KR102033510B1 -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510B1
KR102033510B1 KR1020170182901A KR20170182901A KR102033510B1 KR 102033510 B1 KR102033510 B1 KR 102033510B1 KR 1020170182901 A KR1020170182901 A KR 1020170182901A KR 20170182901 A KR20170182901 A KR 20170182901A KR 102033510 B1 KR102033510 B1 KR 102033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e resin
cosmetic composition
comparative example
weight
eye make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0447A (ko
Inventor
탁기민
김은혜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2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5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80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내수성, 빠른 건조 속도 및 가벼운 발림성으로 피지에 대한 번짐이 적고 발림성이 우수한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유성 필름 형성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유성 필름 형성제는 실리콘 레진과 캐리어를 1:1~1:2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는 저비중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과 실리콘계 오일을 1:0.8~1:3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 레진은 T형 실리콘 레진과 MQ형 실리콘 레진을 1:1~1:3의 중량비로 포함한다.

Description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Ey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내유성, 빠른 건조 속도 및 가벼운 발림성으로 피지에 대한 번짐이 적고 발림성이 우수한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마스카라는 속눈썹에 도포되어 눈의 윤곽을 강조하고, 눈매에 아름다움을 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마스카라가 갖추어야 할 조건들은 속눈썹에 도포되는 것으로 눈에 대한 자극이 없어야 하고, 건조 속도가 빨라 도포 직후에 눈썹 밑에 묻어남이 없으면서 속눈썹끼리 엉겨 붙거나 땀, 눈물 및 유분에 쉽게 번지지 않으면서, 가루 날림이 없도록 균일하게 발리며, 사용시 부담감이 없고, 미생물에 대한 오염가능성이 적으며, 세안시 쉽게 지워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마스카라의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기능은 크게 3가지로 눈썹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숱이 많아 보이게 하는 볼륨, 눈썹을 위로 올려주어 눈매가 선명해 보이도록 하는 컬링, 눈썹이 길어 보이게 하는 롱래쉬의 기능이 있다.
종래의 마스카라 제조시 유성 필름 폴리머는 물에 대한 지속성은 우수하지만 피지에 대한 지속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리콘 종류인 디메치콘 검이나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를 사용하지만, 이러한 원료들은 사용시 끈적여서 사용감이 좋지 못하고, 피막이 너무 단단하여 부서지기 쉬워서 가루가 떨어지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눈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을 뿐 만 아니라 볼륨감 및 컬링이 우수하고 가루떨어짐 억제가 향상된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 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특허 공개공보 10-2013-0086780, 등록특허 10-1282572 등).
본 발명의 목적은, 내유성, 빠른 건조 속도 및 가벼운 발림성으로 피지에 대한 번짐이 적고 발림성이 우수한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성 필름 형성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유성 필름 형성제는 실리콘 레진과 캐리어를 1:1~1:2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는 저비중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과 실리콘계 오일을 1:0.8~1:3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 레진은 T형 실리콘 레진과 MQ형 실리콘 레진을 1:1~1:3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내유성이 우수하고 빠른 건조 속도와 더불어 발림성이 향상되어 피지에 대한 번짐이 적고, 가루 떠어짐이 없고, 컬 처짐이 적어 지속성이 우수하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실시예 1 및 비교예 9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24hr 후의 퍼짐성을 확인한 사진이다.
도 3은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필름막 형성을 확인한 사진이다.
도 4는 비교예 5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필름막 형성 및 플렉셔블성을 확인한 사진이다.
도 5는 비교예 19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24hr 전후 퍼짐성을 확인한 사진이다.
도 6은 비교예 21의 조성은 제형화가 어렵다는 것을 확인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유성 필름 형성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유성 필름 형성제는 실리콘레진과 캐리어를 1:1~1:2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는 저비중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과 실리콘계 오일을 1:0.8~1:3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 레진은 T형 실리콘 레진과 MQ형 실리콘 레진을 1:1~1:3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2~1:3, 더욱 바람직하게는 3:7의 중량비로 포함한다.
상기 실리콘 레진과 캐리어가 1:1~1:2의 중량비로 포함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서 상기 캐리어가 상기 실리콘 레진에 대해 1:2 보다 과량 첨가되면 필름막 기능이 현저히 떨어지며, 상기 실리콘 레진이 상기 캐리어에 대해 1:1보다 과량 첨가되면 용해도가 떨어져서 용해가 되지 않아 풀리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캐리어는 저비중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과 실리콘계 오일을 1:0.8~1:3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0.8~1:2의 중량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8~1:1의 중량비로 포함한다. 실리콘계 오일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 과다 첨가되면, 건조속도가 느려져 눈밑에 찍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저비중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 과량 첨가되면, 건조속도는 빨라 좋으나, 자극을 느낄 수 있고, 얇게 발리고, 발림 재현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실리콘 레진은 T형 실리콘 레진과 MQ 형 실리콘 레진을 1:1~1:3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2~1:3의 중량비, 보다 바람직하게는 3:7의 중량비로 포함하며, 상기 T형 실리콘 레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서 상대적으로 많아지면 끈적거리고 소프트하며 MQ 실리콘 레진이 많아지면 건조된 후 브리틀하여 부서지기 쉽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MQ형 실리콘 레진은 (R13SiO1/2)a 단위 및 (SiO4/2)b 단위로부터 선택된 실록시 단위를 80mol% 이상 포함한다. 상기 R1은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또는 아릴 그룹일 수 있다. 상기 알킬기의 예는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및 헥실 등이며, 상기 아릴기의 예는 페닐, 나프틸, 벤질, 톨릴, 크실릴 및 크세닐 등이다. 상기 a 및 b는 0을 초과하는 정수를 나타내며, a/b의 비는 0.5 내지 1.5이다. 상기 MQ형 실리콘 레진은 D 및 T 단위를 함유할 수 있으며, 단, 전체 MQ형 실리콘 레진의 80mol% 이상, 더 구체적으로, 90mol% 이상은 M형 및 Q형 수지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T형 실리콘 레진이 폴리프로필실세스 퀴녹산이며,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15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T형 실리콘 레진이 2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필름막 형성이 약해지고, 플렉서블성이 떨어져 가루가 날리며, 1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필름막 형성이 견고하지 못하여 끈적거리며, 눈밑번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프로필실세스퀴옥산 수지는 R2SiO3 / 2 단위를 80mol% 이상 포함한다. R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며, 40mol% 이상은 프로필기이다. 상기 프로필실세스퀴옥산 수지는 M, D 및 Q 단위를 함유하는데, 단, 총 프로필실세스퀴옥산 수지의 80mol% 이상은 T 단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MQ형 실리콘 레진이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이며,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6~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30 중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MQ형 실리콘 레진이 6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필름막 견고성이 떨어져서 지속성이 부족해질 수 있고,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캐리어에 레진 용해가 어려워 제형 형성이 어려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캐리어의 일 성분으로서, 상기 저비중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은 탄소수가 8~16인 탄화수소 오일이며, 바람직하게는, 이소데칸, 이소도데칸 및 이소헥사데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저비중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2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저비중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이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제형 발림시 건조가 느려 눈밑에 찍히게 되며, 30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제형 발림시 휘발도가 있어 눈에 자극적이고 드로잉이 매끄럽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캐리어의 일 성분으로서,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디메치콘, 트리실록산 및 사이클로펜타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2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 중량부로 포함된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이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시 함량이 적어 유동성이 없어 발림이 매끄럽지 않고, 3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함량이 너무 많아 건조가 느리고 눈 밑 찍힘이 발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캐리어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3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3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3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리어가 1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면 캐리어가 부족하여 실리콘 레진이 풀리지 않으며, 35 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되면 전체 점도가 묽고 건조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실리콘 레진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3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 레진이 1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필름막이 약해서 눈밑 묻어남이 발생하고, 30 중량부 초과해서 포함되면 부서지기 쉬워 가루가 날리거나 경시 변화가 좋지 못하다.
발명의 조성물은 분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물 및 수성 성분뿐만 아니라 계면활성제 성분도 포함하지 않으므로, 분산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저비중 휘발성 오일 내에서 저비중의 파우더를 고르게 분산시키고 조성물의 뭉침을 예방하여 제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레시틴, 에틸헥실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이소스테아린산 및 폴리글리세릴-3폴리리시놀리에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분산제를 저비중 파우더 및 섬유상 파이버의 총 중량에 대하여 1~60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3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파우더 및 섬유상 파이버의 분산 효과가 거의 없어 시간 경과에 따라 파우더와 파이버의 침강 현상이 발생하여 제형이 불안정해지며, 60중량%를 초과하면 더 이상의 분산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효율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과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왁스, 점증제, 방부제, 가소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왁스, 오일, 파우더, 점증제, 색소, 영양성분, 휘발성 용해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및 향 등과 같은 통상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이하 "기타 성분"이라고 한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마스카라, 아이섀도우, 아이브로우 펜슬 및 아이라이너를 포함하는 제형에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마스카라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모발의 스타일링 등을 위한 제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유색안료는 카본블랙 또는 산화철 중 어느 하나이거나, 그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유색안료의 함량은 상기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30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유색안료가 1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안료의 양이 너무 적어 색상 효과를 얻기 어려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사용감이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흑도를 증가시키는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을 위해서는 상기 유색안료의 입자는 미세하여야 하며, 미세한 입자를 안정하게 분산하여야 한다. 즉, 안료가 색상을 표현하는 부분에 대한 방해요인을 제거해야 한다. 입자가 미세한 안료로는 입자의 크기가 20 ~ 50㎚인 카본블랙을 사용하는 것이 대략 300㎚인 흑색산화철을 사용하는 것보다 바람직하나, 안료에 의한 볼륨감과 찹쌀 반죽물에 의한 분산안정성을 고려할 때 흑색산화철을 추가 도입할 수 있다. 이러한 흑색산화철의 도입으로 흑색도 및 볼륨을 주는 바디감을 동시에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1
하기 표 1 내지 표 2의 조성으로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21이 조성은 이소데칸, 사이클로펜타실록산, 트리메틸실록시실레케이트, 폴리프로필렌실세스퀴옥산의 조성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의 조성과 같다.
마스카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실온에서 A상 원료 1,2를 교반하면서 B상 원료 3,4를 투입하여 분산한다.
투명해짐을 확인한다.
2. 용해조에 C상 원료 5~9까지 85~90에서 완전용해 가열하면서 용해 및 혼합시켰다.
3. D상, E상, F상 차례로 투입하여 교반, 혼합시킨다. 85~90℃로 온도를 유지하였다.
4. A~F상까지의 용해조 교반후 배출한 뒤 3단롤 1회 처리하였다.
슬라이드 글라스로 분산을 확인하였다.
(단위 중량%)
상구분 NO ICID 실시예1 실시예2
A 1 ISODODECANE 13.00 15.00
2 CYCLOPENTASILOXANE 13.00 15.00
B 3 TRIMETHYLSILOXYSILICATE 14.00 14.00
4 POLYPROPYLSILSESQUIOXANE 6.00 6.00
C 5 MICROCRYSTALLINE WAX 7.00 7.00
6 HYDROGENATED POLYISOBUTENE 5.00 5.00
7 VP/EICOSENE COPOLYMER 5.00 5.00
8 TRIHYDROXYSTEARIN 2.00 2.00
9 STEAROYL INULIN 2.00 0.50
D 10 SILICA DIMETHYL SILYLATE 5.00 4.00
11 IRON OXIDES(CI 77499) 2.50 2.50
12 TALC TO 100 TO 100
E 13 PHENOXYETHANOL 0.50 0.50
F 15 DISTEARDIMONIUM HECTORITE 20.00 20.00
(단위: 중량%)
이소도데칸 사이클로펜타
실록산
폴리프로필
실세스퀴옥산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비교예 1 4.0 16.0 6.0 14.0
비교예 2 4.0 12.8 6.0 14.0
비교예 3 12.0 8.0 6.0 14.0
비교예 4 16.0 4.0 6.0 14.0
비교예 5 15.0 15.0 4.0 16.0
비교예 6 10.0 10.0 6.0 20.0
비교예 7 15.0 15.0 12.0 8.0
비교예 8 10.0 10.0 18.0 2.0
비교예 9 10.0 10.0 2.0 2.0
비교예 10 8.0 8.0 2.0 2.0
비교예 11 8.0 4.0 2.0 2.0
비교예 12 2.0 2.0 10.0 10.0
비교예 13 2.0 2.0 15.0 15.0
비교예 14 - 20.0 14.0 6.0
비교예 15 20.0 - 14.0 6.0
비교예 16 10.0 10.0 - 20.0
비교예 17 10.0 10.0 20.0 -
비교예 18 4.0 4.0 14.0 6.0
비교예 19 17.0 17.0 14.0 6.0
비교예 20 15.0 15.0 3.0 3.0
비교예 21 10.0 10.0 20.0 20.0
실험예 1:
마스카라 제품을 20~35세의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제로 사용하도록 하여 제품의 효과를 비교하도록 하였다.
비교 항목으로는 각 제품들의 볼륨, 컬링, 가루떨어짐, 눈밑번짐, 지속성, 건조속도로 하였으며, 각 항목들을 품평한 후 0~10까지의 점수를 나타내었다. 데이터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5회 반복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항목 볼륨 컬링 가루떨어짐 눈밑번짐 지속성
(필름막)
건조속도
실시예1  9.5 10.0  10.0  10.0 10.0  9.5 
실시예2  9.5 9.5  10.0  10.0  9.5  9.0 
비교예1 7.0 8.0  8.0  5.0  8.0  5.0 
비교예2 7.0  8.0  8.0  5.5  8.0  5.0 
비교예3 7.0  8.0  5.0  7.0  8.0  7.0 
비교예4 7.0  8.0  4.0  7.0  8.0  8.0 
비교예5 7.0  7.0  4.0  8.0  7.0  5.0 
비교예6 7.0  8.0  5.0  8.0  6.0  4.0 
비교예7 7.0  5.0  6.0  4.0  4.0  5.0 
비교예8 7.0  5.0  6.0  2.0  3.0  3.0 
비교예9 5.0  4.0  8.0  3.0  2.0  3.0 
비교예10 5.5  5.0  8.0  4.0  4.0  4.0 
비교예11 6.0  5.5  8.0  5.0  5.0  5.0 
비교예12 -  -  -  -  -  - 
비교예13 -  -  -  -  -  - 
비교예14 6.0 6.0  7.0  4.0  5.0  4.0 
비교예15 6.0  8.0  3.0  8.0  7.0  8.0 
비교예16 6.0  7.0  1.0  8.0  8.0  8.0 
비교예17 6.0  3.0  7.0  3.0  5.0  3.0 
비교예18 -  -  -  -  -  - 
비교예19 6.0  6.0  8.0  4.0  7.0  5.0 
비교예20 4.0  3.0  8.0  2.0  3.0  5.0 
비교예21 -  -  -  -  -  - 
상기 표 3의 결과에 의하면, 비교예 1~4까지 실리콘 레진 T:MQ의 중량비가 1:2.3로 동일하면서 이소도데칸:사이클로펜타실록산의 중량비가 본원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서, 비교예 1~2는 이소도데칸에 비해 사이클로펜타실록산이 과다 포함된 것으로서, 많으면 건조속도가 느려져 눈밑찍힘 발생하였으며, 비교예 3~4 이소도데칸에 비해 사이클로펜타실록산이 적게 포함된 것으로서, 건조속도는 빨라 좋으나, 자극을 느낄 수 있고, 얇게 발리고, 발림재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5~8에 의하면, 이소도데칸:사이클로펜타실록산 1:1 동일하면서 실리콘 T: MQ 의 중량비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서, 비교예 5~6에서는 T레진에 비해 MQ레진의 비율이 높으면 필름막이 단단하고 브리틀하여 가루날림 발생하고, 비교예 7~8에서는 T레진에 비해 MQ레진의 비율이 낮아, 끈적거리고 눈밑번짐 발생하였다.
비교예 9~13에 의하면, 실리콘 레진:캐리어의 비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서, 저비중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과 실리콘계 오일의 비, 또는 T:MQ의 중량비가 본 발명에 속하더라도, 실리콘 레진: 캐리어의 비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비교예 9~11에서는, 실리콘 레진보다 캐리어 함량이 많아 필름막 기능이 현저히 떨어지고, 비교예 12~13는 실리콘 레진보다 캐리어 함량이 적어 용해도가 떨어져 레진이 풀리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14 내지 21에 의하면 캐리어나 실리콘 레진 한 종류가 빠졌을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비교예14는 건조속도가 느려 눈밑 찍힘 발생하고, 비교예 15는 건조속도가 당장은 좋으나, 추후 경시변화 안정도가 좋지 않으며, 비교예 16은 필름막이 단단하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루가 떨어지고 덧바르면 발림 재현성 떨어지며, 비교예 17은 T레진이 끈적거리고, 필름막도 부드럽고 컬링, 세팅력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비교예 18 및 비교예 19에 의하면 캐리어가 10중량% 미만으로서 실리콘 레진이 풀리지 않고, 비교예 19에서는 캐리어가 30중량%초과로서 전체 점도가 묽고, 건조속도가 느리다는 문제점이 있다.
비교예 20에서는 실리콘 레진이 10중량%미만으로서 필름막이 약해서 눈밑 묻어남 생기고 비교예 21에서는 실리콘 레진이 30중량%를 초과하여 용매제에 풀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험예 2
슬라이드 글라스를 이용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9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일정량 동일 두께로 도포한 후 완전 건조시킨 후 식물성 스쿠알란을 1ml 떨어뜨렸다. 24hr후에 drop퍼짐성을 확인하였으며, 각각 도 1 및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슬라이드 글라스를 이용하여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일정량 동일 두께로 도포한 후 완전 건조시켰다. 도 3에 의하면, 비교예 1에 따른 조성물은 표면이 굳지 않고 필름막 형성이 잘 안되어 건조가 느리고 눈밑 찍힘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합성 가죽에 비교예 5가 적용된 마스카라를 도포 및 실온에서 건조한 후, 동일하게 스트레칭한 후 마스카라 표면의 유연함을 확인하였다. 도 4에 의하면 표면이 브리틀하고 가루 날림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5
슬라이드 글라스를 이용하여 비교예 19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일정량 동일 두께로 도포한 후 완전 건조시킨 후 식물성 스쿠알란을 1ml 떨어뜨렸다. 24hr후에 drop퍼짐성을 확인하였으며,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의하면, 드롭 퍼짐성이 커서 필름막이 약해 번짐이 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비교예 21의 조성에 따라 조성물을 제형화하고자 하였으나, 제형화가 어려웠으며, 이를 도 6에 나타내었다.

Claims (6)

  1. 유효성분으로서 유성 필름 형성제 및 왁스를 함유하는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성 필름 형성제는 실리콘 레진과 캐리어를 1:1~1:2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는 저비중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과 실리콘계 오일을 1:1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 레진은 T형 실리콘 레진과 MQ형 실리콘 레진을 1:1~1:3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캐리어 26~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형 실리콘 레진이 폴리프로필실세스 퀴녹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Q형 실리콘 레진이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비중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은 탄소수가 8~16인 탄화수소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비중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은 이소데칸, 이소도데칸 및 이소헥사데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디메치콘, 트리실록산 및 사이클로펜타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82901A 2017-12-28 2017-12-28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33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901A KR102033510B1 (ko) 2017-12-28 2017-12-28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901A KR102033510B1 (ko) 2017-12-28 2017-12-28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447A KR20190080447A (ko) 2019-07-08
KR102033510B1 true KR102033510B1 (ko) 2019-11-08

Family

ID=67256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901A KR102033510B1 (ko) 2017-12-28 2017-12-28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5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8582A1 (fr) * 2021-01-07 2022-07-08 L'oreal Compositions anhydres pour cils contenant des résines de silicone et un plastifia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946B1 (ko) * 2019-09-25 2021-05-07 코스맥스 주식회사 자성을 갖는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FR3141063A1 (fr) * 2022-10-21 2024-04-26 L'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semi-solide végane
WO2024015451A1 (en) * 2022-07-14 2024-01-18 L'oreal Vegan semi-solid cosmetic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267B1 (ko) * 2014-02-25 2016-10-13 (주)셀트리온 화장 지속성 및 유연감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142462B1 (ko) * 2014-06-30 2020-08-10 (주)아모레퍼시픽 컬링유지력이 우수한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453363B1 (ko) * 2015-09-30 2022-10-07 (주)아모레퍼시픽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에뛰드하우스/플레이 101펜슬/50호(크리미), https://blog.naver.com/jiyeon4847/220151295207*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8582A1 (fr) * 2021-01-07 2022-07-08 L'oreal Compositions anhydres pour cils contenant des résines de silicone et un plastifiant
WO2022148990A1 (en) * 2021-01-07 2022-07-14 L'oreal Anhydrous eyelash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one resins and plastic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447A (ko) 201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510B1 (ko)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453363B1 (ko)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68052B1 (ko) 마스카라 방수용 조성물
CN103037836B (zh) 用于对皮肤和/或唇部化妆和/或护理的美容方法
CN103025304B (zh) 基于超分子聚合物和吸收性填料的美容组合物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63232B1 (ko)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KR20170091864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EP2531171B1 (de) Kosmetische zubereitung und ihre verwendung
WO2007013943A2 (en) Makeup compositions and methods
US10456350B2 (en) Ey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with excellent curling holding force
KR20160077757A (ko) 오일 분산형 화장료 조성물
KR101975850B1 (ko)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85801B1 (ko) 우수한 색상 지속력과 유연성을 가지는 입술용 메이크업 조성물
KR20200144904A (ko)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2455B1 (ko) 눈썹 또는 속눈썹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8518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94367A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JP3001832B2 (ja) 揮発性化合物とポリビニルピロリドンのポリマーの混合物を含有する組成物及びこの混合物の使用
JP7350269B2 (ja) 光沢感と色移りの程度が改善された唇用化粧料組成物
KR102459288B1 (ko) 겔상 점증제 프리 유분산형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KR102347571B1 (ko) 컬링 유지력 및 롱래시 유지력이 우수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213431B1 (ko) 섬유 성분을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472315B1 (ko) 헥토라이트, 미세 분쇄 안료를 함유하는 크림형태의 아이라이너 화장료 조성물
JP6452495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