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904A -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904A
KR20200144904A KR1020190073124A KR20190073124A KR20200144904A KR 20200144904 A KR20200144904 A KR 20200144904A KR 1020190073124 A KR1020190073124 A KR 1020190073124A KR 20190073124 A KR20190073124 A KR 20190073124A KR 20200144904 A KR20200144904 A KR 20200144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dimethicone
saturation control
saturation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92678B1 (ko
Inventor
김겸손
임채우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90073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2678B1/ko
Publication of KR20200144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2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2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몰리언트, 파우더, 분산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채도 개선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제형 안정성 및 사용감이 우수하여 다양한 제형의 화장품에 적용이 용이하다. 또한, 기존 화장품과의 상용성이 높아 혼합 사용이 가능하고, 그 사용 범위가 넓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APABLE OF MIXED USING FOR ADJUSTING CHROMA}
본 발명은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화장품은 피부에 영양 및 보습 공급, 수렴 효과 등을 제공하는 스킨 케어 기능과 피부의 결점을 커버하고 피부결을 정리하며 색상에 의해 피부를 아름답게 미화하는 기능이 있다.
이러한 기능 중 피부미화 기능은 대부분 안료에 의해 제공된다. 안료는 크게 산화철, 울트라마린, 감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등의 무기계 착색안료와 D/C Red No. 6 바륨레이크, D/C Red No. 7 알루미늄레이크, F/DC Bule No. 1 알루미늄레이크 등의 유기계 착색안료,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백색안료, 탈크, 마이카, 세리사이트, 카올린, 실리카 등의 무기계 체질안료, 나이론, PMMA 등의 유기계 체질안료 등으로 분류된다.
이들 안료들은 기본적으로 메이크업 화장품의 품질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안료의 입도, 성상 등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조성 등의 화학적 성질에 따라 물성이 상이하다. 이런 특성들에 의해 제형에서 퍼짐성, 밀착성, 지속성, 부드러움성 등의 사용성에 차이가 있으며, 제형에 따라 약간씩 상이하지만 안정성에도 차이가 있다. 또한, 안료의 뭉침 또는 재응집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피부에 도포시 균일한 도포 여부에 차이가 있으며, 피부색을 보정하는 정도 등에 차이가 발생한다.
한편, 최근에는 내추럴과 웰빙의 트랜드에 맞춰 자연스러운 투명함과 입체감을 부여하면서도 피부결 및 피부색의 칙칙함(명도가 저하되어 황색의 채도가 상승한 상태)을 개선해주는 개념의 색재(色材)로 빛의 간섭원리를 이용한 펄 안료가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를 여러 제형의 화장품에 도입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133493호는 일정 두께 및 에스펙트비를 갖는 금속 산화물 플레이크의 표면을 상기 금속 산화물 플레이크보다 높은 굴절률을 가지는 피복층으로 둘러싼 복합 분체를 사용함으로써 명도 및 채도가 모두 양호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2905호는 판상의 산화알루미늄 표면에 금속산화물이 1차 코팅되어 있거나, 상기 금속산화물에 의한 1차 코팅에 더하여 실리콘 화합물에 의한 2차 코팅되어 있는 간섭색 안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통해 피부 결점의 보정 및 피부의 광택 지속 효과가 개선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이들 특허들은 안료의 기능성 및 안정성을 어느 정도 개선하였으나, 피부색 개선 및 기존 화장품과는 상용성(compatibility) 측면에서는 그 효과가 충분치 않다. 또한 안료의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상용화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피부에 도포시 우수한 색감 개선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안정성이 우수하여 기존 화장품과 병용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133493호(2011.12.12), 화장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2905호(2012.12.10), 간섭색 안료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각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에몰리언트, 파우더, 분산제 및 점증제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채도 조절 효과를 나타내면서 기존 화장품과 혼합 사용이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채도 조절 효과, 기존 화장품과의 상용성, 제형 안정성 및 사용감이 우수한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에몰리언트, 파우더, 분산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은 색차계를 이용한 CIELAB 표색계에서 명도(L*)가 60.00 내지 70.00이고, 채도 좌표의 X축인 a*가 8.00 내지 12.00이고, 채도 좌표의 Y축인 b*가 18.00 내지 22.00인 색좌표를 동시에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에몰리언트는 디메치콘, 페닐 트리메치콘, 디페닐 디메치콘, 카프릴 디메치콘, 카프릴릭 메치콘, 메칠 트리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트리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이소도데칸, 도데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디세테아릴다이머 디리놀리에이트, 헥실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 2-디이소스테아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옥틸도데칸올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및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몰리언트는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50.00 내지 70.0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우더는 이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황색 산화철, 적색 산화철 및 흑색 산화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우더는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3.00 내지 5.0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피이지-10 디메치콘, 세틸 피이지/피피지-10/1 디메치콘, 라우릴 피이지-9 폴리디메칠실록시에틸 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PEG.PPG-19.19 디메치콘, 라우릴 PEG.PPG-18.18 메치콘,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피이지-12 디메치콘/PPG-20 크로스 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0/15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 세틸 디메치콘 코폴리올,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폴리하이드록시 스테아릭산, 아크릴레이트/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및 비닐피롤리돈/헥사데센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5.00 내지 7.0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암모늄 헥토라이트, 쿼터늄-18 벤토나이트,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및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0.50 내지 1.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기존 화장품의 기능성은 유지하고 동시에 피부의 채도를 개선하는 작용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은 립 메이크업용, 아이 메이크업용 또는 베이스 메이크업용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채도 개선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제형 안정성 및 사용감이 우수하여 다양한 제형의 화장품에 적용이 용이하다. 특히, 기존 화장품과의 상용성이 높아 혼합 사용이 가능하고, 그 사용 범위가 넓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제형 안정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a): 제조 직후, (b): 24 시간 후).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따른 상용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따른 상용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명도(brightness 또는 lightness 또는 intensity)”는 색의 밝기를 의미한다. CIELAB 색 공간에서 L*은 명도를 나타내는 수치이고, L*=100은 흰색이며 L*=0은 검정색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밝기가 높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채도(chroma 또는 saturation)”는 색의 강도 또는 색의 선명도를 의미한다. CIELAB 색 공간에서 a* 및 b*는 채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a*는 빨강(양수) 및 초록(음수)의 정도, b*는 노랑(양수) 및 파랑(음수)의 정도를 나타내는 입체 좌표이다. 채도의 지표가 되는 △E값은 측정치인 a*과 b*을 이용해 계산되는 것으로서, 높을수록 발색력이 높아 색채가 선명하고 색감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기존 메이크업 화장품에서 피부색을 보정하거나 피부색의 칙칙함(명도가 저하되어 황색의 채도가 상승한 상태)을 개선하기 위해 이산화티탄이나 산화철 등의 은폐력이 높은 안료를 배합하거나, 빛의 흡수원리를 이용한 유/무기계 안료를 첨가하여 피부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산화티탄과 같은 은폐력이 높은 안료를 사용한 경우 백색 반사광과 청색 반사광이 동시에 나타나는 효과로 인하여 부자연스러운 인상을 준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무기계 안료의 경우 비중이 무겁기 때문에 쉽게 침강되고, 이로 인하여 메이크업 화장품 상에 이를 안정하게 분산시키기 위해서 과량의 계면활성제와 분산제가 포함되기 때문에 피부 자극이 우려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더해서, 전술한 안료 또는 유/무기계 안료를 사용하는 기술은 피부의 색감, 구체적으로 피부의 명도 및 채도 개선에 있어서 효과가 불충분하였다.
최근 피부 결점을 커버하면서도 자연스러운 피부색 표현이 가능한 메이크업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빛의 반사율이 높은 천연 운모, 합성 운모 등의 판상 분체를 이산화티탄이나 산화철 등으로 코팅해 간섭 효과에 의한 색상을 나타내는 복합 분체인 펄 안료가 메이크업 화장품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펄 안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품은 윤기나 광택을 통해 투명함과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직경이 20 ㎛ 이상인 복합 분체의 크기로 인해 다량 사용시 부자연스런 광택감을 주고, 시간 경과시 번들거림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펄 안료를 구성하는 판상 분체가 독특한 반사광을 갖거나 판상 분체 자체에서 나타나는 많은 광택으로 인하여 충분한 색감을 표현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기존 메이크업 화장품의 경우 색상이 다양하긴 하나, 기성품이기 때문에 소비자 개개인에게 완벽하게 맞는 채도를 구현하기는 어려운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자신에게 맞는 색상 선택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 소비자가 늘어나고 있으며, 자신에게 맞는 색상을 찾고자 하는 요구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용하고자 하는 메이크업 화장품의 속성은 유지하면서 채도를 개선하여 우수한 색감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제형 안정성 및 사용성이 우수한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은 에몰리언트, 파우더, 분산제 및 점증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몰리언트는 후술하는 파우더를 조성물 내 안정적으로 분산시켜 제형 안정도를 향상시키고 높은 발림성과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저점도의 휘발성 물질이라면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휘발성 물질이란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방치 시 20% 이상이 휘발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휘발성 물질의 점도는 점도측정계를 이용하여 스핀들(spindle) no.64, 12rpm, 1분의 조건에서 측정하였을 때 약 2,000 내지 10,000, 바람직하게는 약 3,000 내지 5,000 cps일 수 있다. 상기 에몰리언트의 휘발성과 점성이 전술한 수치범위를 만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사용감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몰리언트는 본 발명의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 시 가볍고 부드러운 느낌을 제공하고 도포 후에는 휘발되어 유분감 없이 매트하고 보송한 마무리감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기존 화장품의 변화를 최소화하여 그 기능 및 사용감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에몰리언트는 디메치콘(dimethicone), 페닐 트리메치콘(phenyl trimethicone), 디페닐 디메치콘(diphenyl dimethicone), 카프릴 디메치콘(capryl dimethicone), 카프릴릭 메치콘(caprylic methicone), 메칠 트리메치콘(methyl trimethicone),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트리실록산(trisiloxane), 사이클로헥사실록산(cyclohexasiloxane), 이소도데칸(isododecane), 도데칸(dodecane),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디세테아릴다이머 디리놀리에이트(dicetearyl dimer dilinoleate), 헥실라우레이트(hexyl laurate), 폴리글리세릴 2-디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 2-diisostearta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 capric triglyceride), 옥틸도데칸올(octyldodecanol)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및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dicaprylyl cabo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에몰리언트는 디메치콘, 페닐 트리메치콘, 트리실록산, 이소도데칸,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몰리언트는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50.00 내지 70.00 중량%, 바람직하게는 55.00 내지 65.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7.00 내지 62.0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몰리언트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후술하는 파우더의 분산성, 발림성 및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잔류하는 에몰리언트로 인해 눅진한 사용감을 줄 수 있으며, 피부 가려움증 또는 자극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는 피부색 개선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색소로서, 특정 파장 영역의 색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색상을 나타내는 전 파장영역(400 ~ 700 ㎚)의 색을 발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우더를 통해 피부색을 보정하고, 피부의 칙칙함을 개선함으로써 피부의 채도가 향상되어 우수하면서도 자연스러운 피부 색감을 나타낼 수 있게 한다.
상기 파우더는 목적한 색상을 나타낼 수 있도록 화장료 조성물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더는 목적한 색상을 나타내기 위해 둘 이상 혼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우더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백색 안료; 산화알루미늄, 황색 산화철, 적색 산화철, 흑색 산화철 등의 무기계 착색 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이 베이스 메이크업용인 경우, 바람직하게, 상기 파우더는 이산화티탄과 황색 산화철 및 적색 산화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파우더는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3.00 내지 5.00 중량%,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4.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75 내지 4.2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우더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피부색 특히 피부의 채도 개선 효과가 미미하며,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과한 색감으로 인해 부자연스러운 피부표현이 나타나고, 파우더의 응집 또는 뭉침 현상이 발생하여 조성물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본 발명의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내 전술한 파우더의 분산성을 향상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산제로는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분산제는 피이지-10 디메치콘(PEG-10 dimethicone), 세틸 피이지/피피지-10/1 디메치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라우릴 피이지-9 폴리디메칠실록시에틸 디메치콘(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사이클로펜타실록산/PEG.PPG-19.19 디메치콘(cyclopentasiloxane/PEG.PPG-19.19 dimethicone), 라우릴 PEG.PPG-18.18 메치콘(lauryl PEG.PPG-18.18 methicone),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lauryl 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피이지-12 디메치콘/PPG-20 크로스 폴리머(caprylyl methicone, PEG-12 dimethicone/PPG-20 crosspolymer), 디메치콘/피이지-10/15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PEG-10/15 crosspolymer),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polyglycerin-3 crosspolymer), 세틸 디메치콘 코폴리올(cetyl dimethicone copolyol),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폴리하이드록시 스테아릭산(polyhydroxystearic acid), 아크릴레이트/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s/ethylhexyl acrylate/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 및 비닐피롤리돈/헥사데센 코폴리머(vinylpyrrolidone/hexadecene copolymer)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산제는 피이지-10 디메치콘 및 아크릴레이트/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5.00 내지 7.00 중량%, 바람직하게는 5.50 내지 6.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75 내지 6.2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전술한 파우더가 고르게 분산되지 않고 서로 응집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끈점임이 유발되어 사용감을 저해할 수 있으며, 고유의 이취가 심하게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상기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를 적정하게 유지하여 피부 발림성 및 사용성을 높이면서 전술한 파우더의 분산을 도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점증제는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 다이하이드로제네이티드 탈로우 벤질모늄 헥토라이트(dihydrogenated tallow benzylmonium hectorite), 스테아랄코늄 헥토라이트(stearalkonium hectorite), 쿼터늄-18 헥토라이트(quaternium-18 hectorite) 등의 암모늄 헥토라이트(ammonium hectorite), 쿼터늄-18 벤토나이트(quaternium-18 bentonite),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및 글리세롤 지방산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점증제는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일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0.50 내지 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60 내지 1.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65 내지 1.0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파우더의 균일한 분산이 어려워 안정성이 저하되고,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으며,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서 사용감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은 알코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보송한 마무리감과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에탄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6.00 내지 10.0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9.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50 내지 8.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마무리감과 사용감 개선 효과가 미미하며,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피부에 자극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은 전술한 조성 이외에 기본적인 물성 및 품질을 유지하고, 제형의 제제화를 위한 통상적인 임의 성분으로서 당해 분야의 전문가에게 널리 공지되어 사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 안정화제, 자외선 흡수제, 증량제(bulking agent), 결합제(binder), 불투명화제(opacifying agent), 펄화제, 방부제, pH조절제, 향료, 보존제, 방부제 등이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추가 성분의 함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다.
전술한 조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과 함께 사용하기 적합한 것으로, 기존 화장품의 기능성은 유지하고 동시에 피부의 채도를 개선하는 작용을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 화장품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화장한 피부에 겹쳐 바름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채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 화장품 성분과 그 상용성이 우수함에 따라 혼합 사용하는 경우에도 기존 화장품의 속성을 유지하면서 채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은 앞서 한 화장에 겹쳐 바르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기존 화장이 도포된 피부에 덧바르는 경우에도 기존 화장의 기능성은 지속함과 동시에 채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자국, 기미, 주근깨, 칙칙함 등의 피부색 트러블이나, 모공, 주름 등의 피부 결점을 보정하는 시각적 보정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을 피부에 표현하여 피부의 채도가 개선되는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은 색차계를 이용한 CIELAB 표색계에서 명도(L*)가 60.00 내지 70.00이고, 채도 좌표의 X축인 a*가 8.00 내지 12.00이고, 채도 좌표의 Y축인 b*가 18.00 내지 22.00인 색좌표를 동시에 만족한다. 본 발명의 경우 LAB 색좌표로 표시된 색 정보를 활용하며, 이때 LAB 색좌표는 CIE(국제조명위원회)에서 규정한 색상 값으로 우리 눈이 감지할 수 있는 색차와 색 공간에서 수치로 표현한 색차를 거의 일치시킬 수 있는 색 공간이다. CIELAB은 균일한 색 공간 좌표로서 눈과 매우 근사한 차이를 보여주어 세계적으로 표준화되어 있는 색 공간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은 전술한 바의 CIELAB 색 공간 좌표를 만족함으로써 피부에 적용 시 피부의 명도의 변화를 최소화하면서 피부의 채도 변화는 최대화할 수 있다.
이에 더해서, 본 발명의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부착성이 좋아 화장이 자연스러우면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제형에 따라 통상의 제조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은 립 메이크업용, 아이 메이크업용 또는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은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립펜슬, 루즈, 립팔레트, 팩트, 파우더, 블러셔, 트윈케이크, 콤팩트, 파우더 팩트, 프레스트 파우더, 스킨커버, 파운데이션, 컨실러, 메이크업 베이스, 메이크업 프라이머, BB(blemish balm)크림, CC(complete correction)크림, 자외선 차단제, 아이섀도우, 아이브라우, 아이라이너 및 마스카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의 조성 및 함량으로 각각의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17 17 17 17 17 17 17
페닐 트리메치콘 15 15 15 15 15 15 15
디메치콘 13.5 13.5 13.5 13.5 13.5 13.5 17.3
트리실록산 6.5 6.5 6.5 6.5 6.5 6.5 9.3
이소도데칸 6.09 6.09 6.09 6.09 6.09 6.09 6.09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1 2.1 2.1 2.1 2.1 2.1 2.1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0.21 0.21 0.21 0.21 0.21 0.21 0.21
이산화티탄 3.804 3.804 3.804 3.804 3.804 3.804 3.804
황색 산화철 - - - - 0.4704 0.5488 -
적색 산화철 0.04704 0.02352 0.03136 0.0392 - - 0.04704
피이지-10 디메치콘 5 5 5 5 5 5 -
아크릴레이트/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0.9 0.9 0.9 0.9 0.9 0.9 -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 0.7 0.7 0.7 0.7 0.7 0.7 -
폴리메틸 메티크릴레이트 15.952 15.976 15.968 15.96 15.52 15.44 15.952
에탄올 8 8 8 8 8 8 8
질화 붕소 5 5 5 5 5 5 5
수산화 알루미늄 0.116 0.116 0.116 0.116 0.116 0.116 0.116
트리에톡시카프릴실란 0.08096 0.08048 0.08064 0.0808 0.0896 0.0912 0.08096
실험예 1. 제형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을 상온(약 25 ℃)에서 24 시간 방치하면서, 층 분리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제조직후 및 24 시간 경과 후의 모습을 관찰하였으며, 이때 얻어진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 1에 비해 제형 안정성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의 경우 층 분리가 발생하지 않은 반면, 비교예 1에 따른 조성물의 경우 층 분리가 일어나 제형이 불안정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상용성 평가
검은색 인조피혁 위에 파운데이션(프로테일러 비 글로우 아이보리 컬러, 에스쁘아사 제조) 0.1 g을 올린 후,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을 두 방울씩 떨어뜨린 후 파운데이션과의 상용성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이어서,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을 떨어뜨린 파운데이션을 동일한 세기로 10회 시계 반대방향으로 문질러 파운데이션과 섞이는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이때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파운데이션 위에 아무것도 떨어뜨리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또한, 얻어진 결과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 1에 비해 기존 화장품과의 상용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보면, 비교예 1에 따른 조성물의 경우 층 분리가 발생하는 반면,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의 경우 파운데이션 상에서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을 통해, 비교예 1의 경우 파운데이션과 섞이는 정도가 낮아 문지른 방향의 외곽에 밀려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실시예 1의 경우 파운데이션과 균일하게 섞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색좌표 측정 비교
파운데이션과의 혼합에 따른 색좌표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2 내지 6에서 제조한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을 파운데이션(프로테일러 비 글로우 아이보리 컬러, 에스쁘아사 제조)과 10% 및 20% 중량비로 각각 혼합하였고, 이를 검은색 인조피혁에 0.05 g 도포한 후, KONICA MINOLTA 사에서 제조된 상품명 Spectrophotometer CM-5인 색차계를 이용하여, CIELAB 표색계에 따른 값을 각각 측정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혼합비율
(중량비)
L* a* b*
실시예 2-1 실시예 2:파운데이션=9:1 75.39 11.21 21.55
실시예 2-2 실시예 2:파운데이션=8:2 74.27 11.8 21.51
실시예 3-1 실시예 3:파운데이션=9:1 74.45 11.08 21.47
실시예 3-2 실시예 3:파운데이션=8:2 74.26 11.64 21.38
실시예 4-1 실시예 4:파운데이션=9:1 74.42 12.17 22.31
실시예 4-2 실시예 4:파운데이션=8:2 74.39 12.32 22.05
실시예 5-1 실시예 5:파운데이션=9:1 75.75 9.93 22.51
실시예 5-2 실시예 5:파운데이션=8:2 75.1 10.05 22.78
실시예 6-1 실시예 6:파운데이션=9:1 75.9 10.14 23.22
실시예 6-2 실시예 6:파운데이션=8:2 65.1 10.25 23.86
로지 필터 - 85.38 11.32 17.49
선샤인 필터 - 75.78 8.54 24.03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우더의 함량에 따라 명도가 높아지면서도 빨강과 노랑의 정도가 높아져 채도가 향상되어 색상의 칙칙함이 감소되면서도 색감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4-2 및 6-2의 경우 통상 채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명 카메라 앱(Camera360)의 로지 필터 및 선샤인 필터의 CIELAB 표색계에 따른 값과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고, 이로부터 본 발명의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을 통해 선명한 색감 발현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4)

  1. 에몰리언트, 파우더, 분산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은 색차계를 이용한 CIELAB 표색계에서 명도(L*)가 60.00 내지 70.00이고, 채도 좌표의 X축인 a*가 8.00 내지 12.00이고, 채도 좌표의 Y축인 b*가 18.00 내지 22.00를 동시에 만족하는,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몰리언트는 디메치콘, 페닐 트리메치콘, 디페닐 디메치콘, 카프릴 디메치콘, 카프릴릭 메치콘, 메칠 트리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트리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이소도데칸, 도데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디세테아릴다이머 디리놀리에이트, 헥실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 2-디이소스테아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옥틸도데칸올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및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는 이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황색 산화철, 적색 산화철 및 흑색 산화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피이지-10 디메치콘, 세틸 피이지/피피지-10/1 디메치콘, 라우릴 피이지-9 폴리디메칠실록시에틸 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PEG.PPG-19.19 디메치콘, 라우릴 PEG.PPG-18.18 메치콘,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피이지-12 디메치콘/PPG-20 크로스 폴리머, 디메치콘/피이지-10/15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 세틸 디메치콘 코폴리올,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폴리하이드록시 스테아릭산, 아크릴레이트/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및 비닐피롤리돈/헥사데센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암모늄 헥토라이트, 쿼터늄-18 벤토나이트,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및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늄 헥토라이트는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 다이하이드로제네이티드 탈로우 벤질모늄 헥토라이트, 스테아랄코늄 헥토라이트 및 쿼터늄-18 헥토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몰리언트는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50.00 내지 70.00 중량%로 포함하는,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는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3.00 내지 5.00 중량%로 포함하는,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5.00 내지 7.00 중량%로 포함하는,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0.50 내지 1.50 중량%로 포함하는,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한 피부에 겹쳐 바르는 것으로서, 기존 화장의 기능성은 유지하고 동시에 피부의 채도를 개선하는 작용을 하는 것인,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은 립 메이크업용, 아이 메이크업용 또는 베이스 메이크업용인,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은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립펜슬, 루즈, 립팔레트, 팩트, 파우더, 블러셔, 트윈케이크, 콤팩트, 파우더 팩트, 프레스트 파우더, 스킨커버, 파운데이션, 컨실러, 메이크업 베이스, 메이크업 프라이머, BB크림, CC크림, 자외선 차단제, 아이섀도우, 아이브라우, 아이라이너 및 마스카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형인,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73124A 2019-06-19 2019-06-19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92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124A KR102692678B1 (ko) 2019-06-19 2019-06-19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124A KR102692678B1 (ko) 2019-06-19 2019-06-19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904A true KR20200144904A (ko) 2020-12-30
KR102692678B1 KR102692678B1 (ko) 2024-08-07

Family

ID=74088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124A KR102692678B1 (ko) 2019-06-19 2019-06-19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9267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215B1 (ko) * 2021-01-08 2021-04-20 (주)비엔 저온 고압 효소 반응시킨 컬러 베이스 및 추출액을 함유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CN115245239A (zh) * 2022-07-25 2022-10-28 浙江名妆化妆品有限公司 腮红试色卡及其生产工艺
KR102591077B1 (ko) 2023-06-29 2023-10-20 주식회사 스킨앤플러스 화장료 조성물
KR102624282B1 (ko) * 2023-02-03 2024-01-15 주식회사 투슬래시포 흑색도 또는 청색도 향상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2682828B1 (ko) 2023-08-17 2024-07-17 주식회사뿌리온 인공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3493A (ko) 2009-03-31 2011-12-12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화장료
KR101212905B1 (ko) 2005-11-11 2012-12-14 (주)아모레퍼시픽 간섭색 안료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905B1 (ko) 2005-11-11 2012-12-14 (주)아모레퍼시픽 간섭색 안료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20110133493A (ko) 2009-03-31 2011-12-12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화장료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215B1 (ko) * 2021-01-08 2021-04-20 (주)비엔 저온 고압 효소 반응시킨 컬러 베이스 및 추출액을 함유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WO2022149634A1 (ko) * 2021-01-08 2022-07-14 (주)비엔 저온 고압 효소 반응시킨 컬러 베이스 및 추출액을 함유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JP2023502802A (ja) * 2021-01-08 2023-01-26 貴子 藤木 低温高圧酵素を反応させたカラーベースおよび抽出液を含有する色調化粧料組成物
JP2023145698A (ja) * 2021-01-08 2023-10-11 貴子 藤木 低温高圧酵素を反応させたカラーベースおよび抽出液を含有する色調化粧料組成物
CN115245239A (zh) * 2022-07-25 2022-10-28 浙江名妆化妆品有限公司 腮红试色卡及其生产工艺
KR102624282B1 (ko) * 2023-02-03 2024-01-15 주식회사 투슬래시포 흑색도 또는 청색도 향상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WO2024162757A1 (ko) * 2023-02-03 2024-08-08 주식회사 투슬래시포 흑색도 또는 청색도 향상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2591077B1 (ko) 2023-06-29 2023-10-20 주식회사 스킨앤플러스 화장료 조성물
KR102682828B1 (ko) 2023-08-17 2024-07-17 주식회사뿌리온 인공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92678B1 (ko) 202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92678B1 (ko)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2046798A1 (ja) 固形粉末化粧料
KR20170091864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N105980429B (zh) 化妆品和个人护理产品中的苯乙烯马来酸酐聚合物
EP3895689B1 (en) Lip cosmetic composition having improved gloss and reduced color staining
WO2020099109A1 (en) Two-composition kit for making up the eyebrows and their contour; two-step makeup process
KR20150085932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EP3212160B1 (en) Cream to powder cosmetic compositions
EP2719372B1 (en) Emulsion-type make-up bas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11931436B2 (en) Water-in-oil emulsion for skin or lip care or makeup
KR20160061476A (ko) 유중수 유화형 저점도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645436B1 (ko) 커버력 및 발림성이 우수한 스틱형 메이크업 조성물
KR102684988B1 (ko) 유성 화장료
US20200315927A1 (en) Solid cosmetic composition for eye make-up including fiber
JP6441528B1 (ja) 化粧下地用組成物
KR101780709B1 (ko) 수용성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4123681A (ja) 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3454908B2 (ja) 化粧料
JP3492966B2 (ja) 化粧料
KR20180102035A (ko)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N112351764A (zh) 具有增加的色调稳定性的组合物
JP2004238337A (ja) 化粧料
KR102703187B1 (ko)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84913B1 (ko) 밀착성 및 분산성이 우수한 파우더 타입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