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8442A - 고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품 - Google Patents

고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8442A
KR20170038442A KR1020150137821A KR20150137821A KR20170038442A KR 20170038442 A KR20170038442 A KR 20170038442A KR 1020150137821 A KR1020150137821 A KR 1020150137821A KR 20150137821 A KR20150137821 A KR 20150137821A KR 20170038442 A KR20170038442 A KR 20170038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cosmetic
oil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9579B1 (ko
Inventor
김상윤
김경남
최경호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50137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579B1/ko
Priority to TW105130990A priority patent/TWI716460B/zh
Priority to PCT/KR2016/010774 priority patent/WO2017057885A1/ko
Publication of KR20170038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점도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되는 스펀지를 포함하는 담체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은 스펀지를 포함하는 담체에 대한 충진능 및 담지능이 개선되어 담체에 함침된 형태로 제공이 가능하고 우수한 제형안정성을 나타내므로, 종래의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이 담체에 함침된 제형의 화장품보다 강화된 커버력과 지속력 및 보습력을 갖는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품{Cosmetics comprising high viscous cosmetic composition impregnated in sponge}
본 발명은 고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산뜻한 사용감과 우수한 퍼짐성 등을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 점도를 낮게 조절하며, 피부에 대한 커버력, 지속력, 고보습력 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점도를 높게 조절한다.
휴대성을 위하여 화장료 조성물이 담체에 함침된 제형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와 같은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은 담체에 함침된 제형의 화장품으로 시장에 출시되어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데 반해, 고점도의 화장료의 경우 스펀지와 같은 담체에 담지가 어려워 제품화에 한계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100643호(2009. 09. 24. 공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담체에 담지가능한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의 한계로 인해 담지가 어려웠던 고점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담체에 함침한 제형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일 분산제형에서 오일이 분리되고 운송 또는 보관조건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이 흐르거나, 토출량의 조절이 어려웠던 문제를 해결하여 안정된 제형의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관점은 유상부 점증제, 오일, 고상분체 안료 및 분산제를 포함하고, 20,000 내지 80,000cps(centipoise)의 점도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되는 스펀지를 포함하는 담체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은 스펀지를 포함하는 담체에 대한 충진능 및 담지능이 개선되어 담체에 함침된 형태로 제공이 가능하므로, 종래의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이 담체에 함침된 제형의 화장품보다 강화된 커버력과 지속력 및 보습력을 갖는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부 점증제를 포함하고 담체에 담지된 제형으로 제공함으로써, 20,000 내지 80,000cps(centipoise)의 고점도를 가짐에도 오일분리 현상없이 높은 제형안정도를 나타낸다. 뿐만아니라, 유상부 점증제를 상기와 같이 적게 함유시 용기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이 과도하게 토출되거나, 운송 중 또는 보관조건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이 용기 밖으로 흐르던 문제를 해결하여 우수한 배출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내구성 또한 뛰어나다.
도 1은 조성물 1의 화장료 조성물을 발포폼 담체에 담지하여 상온 또는 45 ℃에서 보관한 경우(조성물 1-상온(담지)), 조성물 3의 화장료 조성물을 발포폼 담체에 담지하지 않고 일반 용기에 상온에서 보관한 경우(조성물 3-상온(담지X)) 및 발포폼 담체에 담지하여 상온 또는 45℃에서 보관한 경우(조성물 3-상온(담지), 조성물 3-45도(담지)) 2주 경과 후의 제형 분리정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유상부 점증제를 상이한 함량을 포함하는 조성물 2 내지 5의 발포폼 담체에 담지 또는 일반 비커에 보관시의 제형 분리정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의 1) 및 2)는 조성물 3 및 조성물 6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유리판 뒤에 종이를 붙여 종이의 검은색과 흰색의 경계선이 투과되는 정도를 촬영한 것이고, 3)은 어두운 곳에서 LED 전구로 빛을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도포된 면의 반대편에서 비추어 빛이 투과되는 정도를 촬영한 것이다.
도 4는 검은 얼룩이 있는 메츄리알에 조성물 6 및 조성물 3의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도포한 것을 촬영한 것이다.
도 5는 조성물 6 및 조성물 3의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끈적임 정도)을 비교한 결과를 촬영한 것이다.
도 6은 조성물 6 및 조성물 3의 화장료 조성물의 충진력을 비교한 결과를 촬영한 것이다.
도 7은 조성물 3을 용융상태 및 용융되지 않은 고상에서의 충진능을 비교한 사진이다.
도 8은 조성물 6 및 조성물 3의 화장료 조성물의 담지력을 비교한 결과를 촬영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담체"는 조성물을 예로 들 수 있는 임의의 물질 또는 성분을 담지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담지체", "함침재" 또는 "매개체"로도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담체"는 이에 담지된 물질을 별개의 도포구에 배출하도록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담체에 담지되어 있는 조성물은 예를 들어 손이나, 퍼프, 팁, 브러쉬 등의 도포 수단(도포구 또는 어플리케이터(applicator)라고도 함)을 통해 피부에 전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담지능" 또는 "담지력"은 임의의 물질 또는 성분을 담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담체에 요구되는 "담지능"은 조성물을 장기간 균질하게 담지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도포구 등에 일시적으로 물질이 취해지는 것과 구별된다.
본 명세서에서, "충진능" 또는 "충진력"은 스펀지가 화장료 조성물을 충진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스펀지에 일정한 양의 화장료 조성물이 충진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배출능" 또는 "배출력"은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한 스펀지로부터 도포구에 의해 화장료 조성물을 취할 때 배출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며, 많지도 적지도 않은 적절한 양의 화장료 조성물이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내구성"은 스펀지에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시키고 일정 온도 하에서 일정 시간 방치하였을 때 스펀지가 녹거나 찢어지거나 팽창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 및/또는 사용 시 도포구에 의해 스펀지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을 취할 때 스펀지가 도포구에 의한 반복적인 압력을 견디는 정도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상부 점증제, 오일, 고상분체 안료 및 분산제를 포함하고, 20,000 내지 80,000cps의 점도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되는 스펀지를 포함하는 담체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종래 화장료 조성물은 20,000 내지 80,000cps의 고점도를 갖기 위해 사용하는 왁스 또는 오일 점증제의 종류 및 함량에 따라 오일이 분리되는 안정도의 문제가 있다. 텍스쳐를 부드럽게 구현하기 위해서 왁스 또는 오일점증제를 적게 포함할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이 과도하게 토출된다. 또한, 스펀지 등에 상기 조성물을 담지할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담체 제형이 요구하는 특성을 만족하지 못한다. 즉, 담체에 화장료 조성물이 잘 충진될 수 있는지 여부, 담체가 화장료 조성물을 장기간 균질하게 담지할 수 있는지 여부 및 담체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을 취하고자 할 때 적당량이 배출되는지 여부 등이 고려되어야 하지만,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20,000cps 이상인 경우 유동성이 없어 묵과 같은 흘러내리지 않는 제형을 가지므로, 담체에 충진이 어려워 자동화 생산 설비에서 담체에 내용물의 담지가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부 점증제를 포함하고 용융상태에서 스펀지에 함침시킴으로써, 함침 전후에 20,000 내지 80,000cps의 고점도를 가지면서도 스펀지를 포함하는 담체에 대한 용이하게 충진시킬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담지할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한 스펀지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을 취할 때 적절한 양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충진능, 담지능 및 배출능은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상부 점증제, 분체 등의 함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점도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담체에 함침시키기 전 상온에서 측정한 것으로서, 점도 측정 기기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rookfield DV-III ULTRA로, 스핀들(spindle) NO. 64, 속도 12RPM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점도가 20,000cps 미만인 경우 제형에서 오일층 분리될 수 있으며, 80,000cps 초과인 경우 담체에 충진이 용이하지 않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스펀지를 포함하는 담체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이 취해지는 측정값인 배출력(배출능)은 0.10 내지 0.20g, 구체적으로는 0.13 내지 0.18g일 수 있다. 이때 퍼프로 담체의 표면을 약 1.5 내지 2.5kg의 무게(힘)으로 1회 눌렀을 때 취해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양(담체로부터의 토출량)을 배출량으로 하였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유상부 점증제는 유상부에 분산되어 유상부를 점증시키는 원료로써,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헥토라이트, 벤토나이트, 비닐디메치콘/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덱스트린팔미테이트, 덱스트린팔미테이트/에칠헥사노에이트, 덱스트린미리스테이트, 스테아로일이눌린, 폴리에틸렌, 세레신, 오조케라이트,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카나우바 왁스 및 스테아릴 알코올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유상부를 점증시키는 원료라면 상기 원료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유상부 점증제로 유기 점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점증제는 당(sugar)과 지방산(fatty acid)을 에스테르 반응으로 합성한 물질로, 무기 점증제와 달리 열에 의해 점도가 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유기 점증제는 예를 들어 덱스트린 팔미테이트(Dextrin Palmitat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유상부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20.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상부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8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2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18 중량% 이상 또는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20.0 중량% 이하, 18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1 중량% 이하, 0.1 중량% 이하 또는 0.0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상부 점증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0중량% 내지 10중량%일 수 있다. 상기 유상부 점증제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점증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20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제형 안정성과 사용감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유상부 점증제는 함량 범위에 따라서 오일의 점증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오일의 종류에 따라 점증 정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오일은 에스테르계, 트리글리세라이드계, 탄화수소계 및 실리콘계 오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오일은 부드러움, 촉촉함, 밀착감 등 조성물에서 요구하는 발림성 정도에 따라 상이한 비율로 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0중량% 내지 70.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0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40 중량% 이상, 45 중량% 이상, 50 중량% 이상, 55 중량% 이상, 60 중량% 이상, 65 중량% 이상 또는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70 중량% 이하, 65 중량% 이하, 60 중량% 이하, 55 중량% 이하, 50 중량% 이하, 45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또는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0중량% 내지 4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발림성을 떨어뜨려 사용감을 저해할 수 있으며 7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되면 오일로 인해 조성물이 미끄러워 매끄러운 밀착감을 줄 수 없다.
본 발명은 고상 분체 안료는 화장료 조성물이 요구하는 자외선 차단 기능성, 커버력, 색상 및 발림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탈크, 알루미나, 아이런 옥사이드, 마이카, 실리카, 알루미나, 유기 색소 및 천연 색소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고상 분체 안료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5.0중량% 내지 70.0중량%로 다량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상 분체 안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5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40 중량% 이상, 45 중량% 이상, 50 중량% 이상, 55 중량% 이상, 60 중량% 이상, 65 중량% 이상 또는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70 중량% 이하, 65 중량% 이하, 60 중량% 이하, 55 중량% 이하, 50 중량% 이하, 45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또는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10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5.0 중량% 미만이면 커버력에서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70.0 중량%를 초과하면 제형 안정성과 사용감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고상 분체 안료의 분산성을 위하여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함께 배합되는 고상 분체 안료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분산제의 종류와 함량도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분산제의 종류는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브이피/헥사데센코폴리머, 라우릴피이지/피피지-18/18메치콘, 라우릴피이지-9 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피이지-10 디메치콘, 피이지/피피지-19/19 디메치콘, 세틸피이지 피피지-10/1 디메치콘, 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비스-이소부틸피이지/피피지10/7/디메치콘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에칠헥실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릭애씨드 및 폴리글리세릴-3폴리리시놀리에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분산제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20.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산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8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2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18 중량% 이상 또는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20.0 중량% 이하, 18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또는 1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분산, 수분산, 유중수, 수중유 또는 다중유화형 조성물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분산형 조성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본원발명의 오일분산형 조성물은 수상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수분 프리(aqueous ingredient free) 조성물이다. 이때 상기 수분(aqueous ingredient)은 수용성으로 물에 녹는 모든 물질을 의미하며, 정제수, 알코올, 천연보습인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원발명의 오일분산형 조성물은 담체에 함침시 담체가 부푸는 스웰링(swelling)이 적어 내구성이 우수하며, 피부에 도포시 보송하고 가벼운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 실시예로서 상기 성분들 이외에 사용목적에 따라 이용되는 일반적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감 조절을 위한 극성 또는 비극성 오일, 유동도 및 분산효율을 위한 분산제, 계면활성제, 화장 효과 및 사용성 조절을 위한 안료 등과 방부제, 자외선 흡수제, 폴리머, 지방산 알코올 및 향료 등을 적당히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상기 성분의 양은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기능성을 부과하기 위해 자외선차단제, 주름, 미백 등의 기능을 겸비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에는 자외선 차단제, 주름, 미백 등이 추가되어 자외선 차단, 주름, 미백 기능이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액상 또는 고상일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서 유동성이 없는 겔과 같은 고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또는 스킨케어 조성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이크업 프라이머, 메이크업 베이스, 액상 또는 고상 파운데이션, 컨실러 등의 페이스 메이크업 조성물, 립스틱, 립글로스, 립 라이너 등의 립 메이크업 조성물,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아이섀도우 등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블러셔(blusher) 등의 치크 메이크업 조성물, 자외선 차단제 등을 포함하는 기능성 메이크업 조성물 일 수 있으며, 로션, 크림 또는 에센스 등의 스킨케어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스펀지"는 조성물을 예로 들 수 있는 임의의 물질 또는 성분을 담지할 수 있는 재질로서, 고무, 섬유 또는 수지를 해면처럼 만든 것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 및 배출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스펀지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천연 스펀지 또는 합성 스펀지일 수 있고, 상기 천연 스펀지는 예를 들어 해면 스펀지, 천연고무 스펀지 등일 수 있으며, 상기 합성 스펀지는 합성수지 스펀지, 우레탄, 발포 우레탄, 라텍스,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부타디엔 고무(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NR(Natural Rubber), 클로로프렌 고무(CR), 부틸고무(isoprene-isobutylene rubber:IIR), 이소프렌 고무(IR), 가황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다황화물 고무(Polysulfide rubber),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 플루오로고무(fluororubber), 우레탄고무(urethane rubber),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 폴리비닐알코올(PVA)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NR(Nitrile Rubber)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펀지의 일종인 발포 우레탄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일 실시예로서 폴리에테르계 발포 우레탄(에테르 폴리올을 주베이스로 함), 폴리에스테르계 발포 우레탄 및 폴리카보네이트계 발포 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발포 우레탄은 폴리에테르계 발포 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테르계 발포 우레탄은 폴리에테르계 건식 발포 우레탄 및 폴리에테르계 습식 발포 우레탄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발포 우레탄은 폴리에스테르계 건식 발포 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계 습식 발포 우레탄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발포 우레탄은 폴리카보네이트계 건식 발포 우레탄 및 폴리카보네이트계 습식 발포 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스펀지는 1mm 내지 5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스펀지의 두께가 1mm 미만이면 화장료 조성물의 담지량이 적으며, 50mm를 초과하면 사용시 화장료 조성물의 배출에 있어서, 그 내용물의 잔량 없이는 배출이 어렵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상기 스펀지를 이용한 담체는 예를 들어 3mm 내지 4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mm 내지 4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8mm 내지 3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mm 내지 3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두께는 50mm 이하, 40mm 이하, 30mm 이하, 20mm 이하, 10mm 이하, 또는 5mm 이하일 수 있으며, 1mm 이상, 10mm 이상, 20mm 이상, 30mm 이상, 40mm 이상, 또는 50mm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스펀지는 포어(pore)들을 포함하며, 상기 스펀지에 포함되는 포어들은 30 내지 1000㎛의 평균 사이즈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균 포어 사이즈는 1000㎛ 이하, 900㎛ 이하, 800㎛ 이하, 700㎛ 이하, 600㎛ 이하, 500㎛ 이하, 400㎛ 이하, 300㎛ 이하, 200㎛ 이하, 100㎛ 이하, 50㎛ 이하 또는 30㎛ 이하일 수 있으며, 30㎛ 이상, 50㎛ 이상, 100㎛ 이상, 200㎛ 이상, 300㎛ 이상, 400㎛ 이상, 500㎛ 이상, 600㎛ 이상, 700㎛ 이상, 800㎛ 이상, 900㎛ 이상 또는 1000㎛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스펀지의 평균 포어 사이즈의 측정은 광학현미경(Nikon ECLIPSE LV100POL)을 사용하여 5x/0.15배율로 확대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스펀지의 포어 사이즈가 평균 30㎛ 미만이면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하는 포어 공간이 작아, 담지능이 떨어지고, 평균 1000㎛를 초과하는 경우 포어 공간이 지나치게 커서 조성물의 배출 조절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품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스펀지 담체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을 취하여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도포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담체를 수납할 수 있는 하부 및 거울 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뚜껑의 상부를 포함하는 용기, 일반적으로 "팩트"라고 불리는 화장품용 용기를 더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조성물 1 및 조성물 2-5]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종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장료 조성물(조성물 1) 및 유상부 점증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조성물 2-5)을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각 해당 화장료 조성물 제조 후의 점도를 함께 기재하였다.
조성물 1 조성물 2 조성물 3 조성물 4 조성물 5
유상부 점증제
(덱스트린팔미데이트)
- 1.000 3.000 5.000 10.000
분산제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
5.000 5.000 5.000 5.000 5.000
오일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52.700 51.700 49.700 47.700 42.700
고상 분체 안료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이런 옥사이드)
42.000 42.000 42.000 42.000 42.000
방부제
(페녹시에탄올)
0.300 0.300 0.300 0.300 0.300
합계(중량%) 100.000 100.000 100.000 100.000 100.000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cps) 600cps 25,000cps 35,000cps 50,000cps 70,000cps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a) 연속상인 오일에 분산제를 넣고 실온에서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b) 유상부 점증제를 상기 a) 단계의 혼합물에 투입하여 분산시킨 후, 가온하며 혼합물을 용융시키면서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혼합물에 고상 분체 안료를 투입한 후 균일하게 교반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혼합물에 방부제를 투입하여 균일하게 교반하는 단계.
[실험예 1] 화장료 조성물의 담체에 담지 여부에 따른 제형 안정도 비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담체에 담지 여부에 따른 제형 안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조성물 3 및 조성물 1 각 17.2g을 에테르계 폴리 우레탄 발포폼 담체에 담지시킨 화장품과 상기 조성물 3을 일반 플라스틱 용기에 담은 화장품을 각각 준비하였다. 상기 담체는 원지름 44mm x 높이 9.0mm의 크기의 에테르계 폴리 우레탄 발포폼이었다. 이를 상온(평균 25 ℃) 및 45 ℃에서 각각 보관하고, 2주 후 오일층의 분리 정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 1의 화장료 조성물을 담체에 담지하여 상온(평균 25 ℃)에서 보관한 경우, 스페츌라로 담체를 눌렀을 때 오일이 흘러나와 오일의 분리가 일어났다. 상기 조성물 3의 화장료 조성물을 발포폼 담체에 담지하지 않고 일반 용기에 보관한 경우에도 상온에서 오일의 분리가 나타났다. 반면, 조성물 3의 화장료 조성물을 담체에 담지한 경우에는 상온(평균 25 ℃) 및 45 ℃에서 모두 오일층의 분리가 나타나지 않아 제형이 안정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유상부 점증제의 함량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 비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상부 점증제의 함량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 비교하기 위하여, 유상부 점증제를 각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3, 5, 10 중량%로 포함하는 조성물 2 내지 5를 각각 원지름 44mm x 높이 9.0mm의 크기의 에테르계 폴리 우레탄 발포폼 담체에 담지시킨 화장품과 일반 유리 용기(비커)에 담은 화장품을 각각 준비하였다. 이를 상온에서 2주간 보관한 후, 제형의 분리정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성물 2 내지 5 모두 발포폼 담체에 담지시킨 경우에는 오일층의 분리가 나타나지 않았다. 발포폼 담체에 담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조성물 2 내지 4 모두 비커 내 조성물의 상부에서 오일층의 분리가 나타났으며 조성물 5의 경우 가장 양호한 제형안정도를 보였다.
[실험예 3] 배출능 비교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배출능과의 비교를 위하여, 기존의 담지 제형에 적용되던 15,000 cps의 저점도를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조성물 6).
구체적으로, 유성 성분, 계면활성제, 그리고 점증제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균일하게 만들어 놓은 후, 여기에 고상분체안료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균일하게 만들었다. 별도의 믹서에 수상 성분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앞서 별도로 제조한 수상 성분을 유상에 천천히 투입시키고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유화시켰다. 그 후, 향을 투입하여 혼합하고, 30℃까지 냉각하여 저점도의 W/O형 유화물을 얻었다.
구분 성분 (함량 중량 %) 조성물 6
유상성분 유상성분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10.00
디메치콘 20.00
계면활성제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3.00
라우릴피이지.피피지-18.18메치콘 1.50
점증제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0.50
고상분체안료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00
아이런옥사이드 3.00
티타늄디옥사이드 10.00
수상성분 To 100
보습제 부틸렌글라이콜 5.00
유화안정제 소금 1.00
0.40
합계(중량%) 100.00
그 다음 상기 조성물 6 및 조성물 3의 화장료 조성물 각 17.2g을 원지름 44mm x 높이 9.0mm의 크기의 에테르계 폴리 우레탄 발포폼 담체에 충진하여 담지시켰다. 그 다음, 퍼프로 담체의 표면을 약 1.5-2.5의 무게(힘)으로 1회 눌렀을 때 취해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양(담체로부터의 토출량)을 배출량으로 하였다.
상기 과정을 10회 반복하여 그 평균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조성물 6(기존 담지제형) 조성물 3
1회 평균 배출량(g) 0.16 0.14
상기 "배출량"은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한 스펀지로부터 도포구에 의해 화장료 조성물을 취할 때 배출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며, 많지도 적지도 않은 적절한 양(약 0.15g)의 화장료 조성물이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험 결과, 표 3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조성물 3은 기존에 담지 제형으로 제공되던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의 배출량인 0.16g과 유사한 수준의 배출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 고점도의 조성물이 과도하게 배출되던 문제를 개선하여, 고점도를 가짐에도 저점도의 조성물과 같은 우수한 배출능을 나타냄을 의미한다.
그 다음, 상기 담체에 담지된 조성물 3의 화장료 조성물과 조성물 6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퍼프로 담체의 표면을 약 1.5-2.5kg의 무게(힘)으로 눌러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을 반복하여 지속적으로 취하였다. 더 이상 조성물이 토출되지 않았을 때의 담체의 무게를 측정하여, 담체에 남아있는 각 화장료 조성물의 잔량을 측정함으로써 배출능을 평가하였다.
조성물 6
(기존 담지제형)
조성물 3
화장료 조성물 잔량(g) 2.31 2.42
그 결과, 표 4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조성물 3은 기존에 담지 제형으로 제공되던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의 잔량인 2.31g과 유사한 수준의 잔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고점도를 가짐에도 저점도의 조성물과 같이 담체로부터 효과적으로 배출됨을 의미한다.
[실험예 4] 내구성 비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담체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 하지 않은 에테르계 폴리 우레탄 발포폼 담체(대조군), 조성물 3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에테르계 폴리 우레탄 발포폼 담체 및 상기 조성물 6인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에테르계 폴리 우레탄 발포폼 담체의 경도 및 두께를 각각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상기 담체는 원지름 44mm x 높이 9.0mm의 크기의 에테르계 폴리 우레탄 발포폼이었다. 이때, 경도는 측정기기로 SUN RHEO METER(CR-500DX), SUN SCIENTIFIC CO., LTD.를 사용하였으며, 경도 측정 조건은 mode 20, Max 2kg, R/H Hold 5.0mm, P/T PRESS 5mm/m였다.
경도 직경
대조군 0.280N 48.8cm
조성물 3을 담지한 담체 0.171N 50.8cm
조성물 6을 담지한 담체 0.127N 51.8cm
그 결과, 조성물 3을 담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존의 담지 제형인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한 담체보다 경도가 더 높고 대조군에 비하여 두께 변화가 적은 것으로 나타나, 본래 담체가 가진 탄성 등의 특성을 잘 유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5] 커버력 비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고점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커버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상기 조성물 3과 기존에 담지 제형으로 사용되던 저점도의 조성물인 상기 조성물 6을 각각 0.15g씩 유리판에 도포한 다음, 도 3의 1)과 같이 유리판 뒤에 종이를 붙여 종이의 검은색과 흰색의 경계선이 투과 되는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도 3의 2)와 같이 상기 1)의 유리판에 LED 전구로 빛을 비추어 종이의 검은색과 흰색의 경계선이 투과되는 정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도 3의 3)과 같이 어두운 곳에서 LED 전구로 빛을 조성물이 도포된 면의 반대편에서 비추어, 빛이 투과되는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의 1) 및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성물 6의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 빛이 더 잘 투과되므로 조성물 3보다 유리판에 붙인 종이의 검은색과 흰색부분의 경계가 더 잘 보였다. 또한, 도 3의 3)과 같이 조성물 3이 LED 전구의 불빛을 더 잘 차단하였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화장료 조성물은 높은 점도를 가짐으로 인해 기존에 담체에 담지된 제형으로 제공되던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보다 우수한 커버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도 4는 검은 얼룩이 있는 메츄리알에 상기 조성물 3 및 조성물 6의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도포하여 각 커버력을 직접적으로 비교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화장료 조성물은 높은 점도를 가짐으로 인해 기존에 담체에 담지된 제형으로 제공되던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보다 우수한 커버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사용감 비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고점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조성물 3 및 조성물 6의 화장료 조성물 각 17.2g을 원지름 44mm x 높이 9.0mm의 크기의 에테르계 폴리 우레탄 발포폼 담체에 충진하여 담지시킨 다음, 상기 각 발포폼 담체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을 퍼프 및 손으로 내용물을 취하여 팔의 안쪽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각 화장료 조성물이 끈적이지 않고 보송한 사용감을 갖는지를 비교하기 위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도포된 부위에 커피믹스를 뿌린 다음, 털어내어서 잔여물이 남아있는 정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성물 3의 경우 대부분의 커피믹스가 피부에서 탈착되어 조성물 6보다 현저히 적은 양의 잔여물이 남아 있었다. 이는 조성물 3이 수분을 함유하지 않은 오일 분산형으로서 고상 분체안료와 같은 파우더를 다량 함유함으로 인해 더 산뜻하고 보송한 사용감을 가짐을 의미한다.
[실험예 7] 충진력 비교 1
조성물 6 및 용융상태의 조성물 3을 각 0.5g씩 원지름 44mm x 높이 9.0mm의 크기의 에테르계 폴리 우레탄 발포폼 담체에 위에 올려두고, 5분 경과후 상기 각 화장료 조성물의 흡습정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성물 6은 5분 경과 후 초기와 동일하게 흡습이 되지 않았지만, 조성물 3은 5분 경과 후 화장료 조성물이 담체 내부로 흡습(충진)되어, 충진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8] 충진력 비교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의 용융여부에 따른 충진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조성물 3을 가온하여 융융시킨 상태의 시료 및 가온하지 않은 고상의 상태의 시료로 1g씩 준비한 다음, 각각 원지름 44mm x 높이 9.0mm의 크기의 에테르계 폴리 우레탄 발포폼 담체에 위에 올려두고 5분 경과후 상기 각 화장료 조성물의 흡습정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온하여 녹인 조성물 3의 경우, 흡습이 잘되어 충진력이 좋으나, 가온하지 않은 조성물 3의 경우는 흡습이 어려움을 확인 할 수 있다.
[실험예 9] 담지력 비교
조성물 6 및 용융상태의 조성물 3을 각 15g씩 원지름 44mm x 높이 9.0mm의 크기의 에테르계 폴리 우레탄 발포폼 담체에 위에 올려두고, 충분히 흡습(충진)한 다음, 각 담체를 클립에 매달아서 시간 경과에 따라 충진되었던 각 화장료 조성물이 다시 배출되지 않고 충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지, 즉 담지력이 우수한지 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성물 6 및 조성물 3 모두 7일 경과시 화장료 조성물이 흘러나오지 않고 충진된 상태 그대로 유지되어, 담지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고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이 기존의 고점도의 화장료 조성물보다 개선된 담지력을 가짐으로써 기존의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과 같은 우수한 담지능을 가짐을 의미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유상부 점증제, 오일, 고상 분체 안료 및 분산제를 포함하고, 20,000 내지 80,000cps(centipoise)의 점도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되는 스펀지를 포함하는 담체;
    를 포함하는 화장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부 점증제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하는, 화장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유상부 점증제 0.01 내지 20 중량%;
    오일 1.0 내지 70 중량%;
    고상분체안료 5 내지 70 중량%; 및
    분산제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화장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 점증제는 유기 점증제를 포함하는, 화장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분산형 화장료 조성물인, 화장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 점증제는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헥토라이트, 벤토나이트, 비닐디메치콘/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덱스트린팔미테이트, 덱스트린팔미테이트/에칠헥사노에이트, 덱스트린미리스테이트, 스테아로일이눌린, 폴리에틸렌, 세레신, 오조케라이트,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카나우바 왁스 및 스테아릴 알코올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화장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에스테르계, 트리글리세라이드계, 탄화수소계 및 실리콘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화장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상 분체 안료는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탈크, 알루미나, 아이런 옥사이드, 마이카, 실리카, 알루미나, 유기색소 및 천연 색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화장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브이피/헥사데센코폴리머, 라우릴피이지/피피지-18/18메치콘, 라우릴피이지-9 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피이지-10 디메치콘, 피이지/피피지-19/19 디메치콘, 세틸피이지 피피지-10/1 디메치콘, 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비스-이소부틸피이지/피피지10/7/디메치콘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에칠헥실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릭애씨드 및 폴리글리세릴-3폴리리시놀리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화장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융상태에서 스펀지에 함침된 것인, 화장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는 천연고무, 합성수지, 폴리 우레탄, 라텍스,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부타디엔 고무(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NR(Natural Rubber), 클로로프렌 고무(CR), 부틸고무(isoprene-isobutylene rubber:IIR), 이소프렌 고무(IR), 가황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다황화물 고무(Polysulfide rubber),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 플루오로고무(fluororubber), 우레탄고무(urethane rubber),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 폴리비닐알코올(PVA)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및 NR(Nitrile Rubber)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화장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담체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을 취하는 도포구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150137821A 2015-09-30 2015-09-30 고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529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821A KR102529579B1 (ko) 2015-09-30 2015-09-30 고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품
TW105130990A TWI716460B (zh) 2015-09-30 2016-09-26 包含浸漬於海綿之高黏度化妝品組成物之化妝品產品
PCT/KR2016/010774 WO2017057885A1 (ko) 2015-09-30 2016-09-26 고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821A KR102529579B1 (ko) 2015-09-30 2015-09-30 고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442A true KR20170038442A (ko) 2017-04-07
KR102529579B1 KR102529579B1 (ko) 2023-05-09

Family

ID=58424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821A KR102529579B1 (ko) 2015-09-30 2015-09-30 고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29579B1 (ko)
TW (1) TWI716460B (ko)
WO (1) WO201705788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863A (ko) * 2017-06-30 2019-01-09 (주)아모레퍼시픽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045524A1 (ko) * 2017-08-31 2019-03-07 코스맥스 주식회사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품
WO2019098805A3 (ko) * 2017-11-20 2019-07-11 (주)아모레퍼시픽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소르비탄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23054803A1 (ko) * 2021-09-29 2023-04-06 코스맥스 주식회사 고분자 파우더를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3725A (ko) * 2004-12-24 2006-06-29 주식회사 태평양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100643A (ko) 2008-03-20 2009-09-24 (주)아모레퍼시픽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조성물
KR20130116205A (ko) * 2012-04-13 2013-10-23 (주)아모레퍼시픽 발포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316B1 (ko) * 2010-11-30 2017-10-18 (주)아모레퍼시픽 수용성 원료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70308B1 (ko) * 2011-06-17 2013-06-04 한국콜마주식회사 다공성 화장용 퍼프 및 이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
JP6355620B2 (ja) * 2012-04-13 2018-07-11 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コーポレーション 化粧料組成物とウレタンフォームとを備える化粧品
KR102000300B1 (ko) * 2013-08-27 2019-07-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다공성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3725A (ko) * 2004-12-24 2006-06-29 주식회사 태평양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100643A (ko) 2008-03-20 2009-09-24 (주)아모레퍼시픽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조성물
KR20130116205A (ko) * 2012-04-13 2013-10-23 (주)아모레퍼시픽 발포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863A (ko) * 2017-06-30 2019-01-09 (주)아모레퍼시픽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045524A1 (ko) * 2017-08-31 2019-03-07 코스맥스 주식회사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90024317A (ko) * 2017-08-31 2019-03-08 코스맥스 주식회사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품
WO2019098805A3 (ko) * 2017-11-20 2019-07-11 (주)아모레퍼시픽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소르비탄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23054803A1 (ko) * 2021-09-29 2023-04-06 코스맥스 주식회사 고분자 파우더를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57885A1 (ko) 2017-04-06
TW201717898A (zh) 2017-06-01
TWI716460B (zh) 2021-01-21
KR102529579B1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203B1 (ko)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발포 우레탄 폼이 담긴 에어리스 타입의 용기
KR101562221B1 (ko) 발포폼을 담체로 포함하는 화장품
KR20140094485A (ko) 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CN101984953A (zh) 含硅酮改性的蜡的组合物及含有该组合物的化妆品制剂
TWI717362B (zh) 包含紫外線隔離化妝品組成物及載體的化妝品產品
KR20170038442A (ko) 고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70091864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52775B1 (ko) 라텍스 발포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KR20170012056A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 프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23103B1 (ko) 내용물 전달력이 개선된 도포구
JP6000013B2 (ja) 口唇化粧料
KR20180082874A (ko) 저융점 왁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85640B1 (ko) 메쉬타입의 수분방출형 쿠션 화장품
JP2014080389A (ja) 油性化粧料
KR101055164B1 (ko) 오일 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40721A (ko) 무취 및 고안정 화장료 조성물
KR20060073725A (ko)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9320B1 (ko)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하는 폼
KR100854086B1 (ko) 실리콘 기가 부가된 왁스를 함유하는 눈화장용 조성물
JP3816045B2 (ja) 油性化粧料
KR101822002B1 (ko)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2021506734A (ja) スキンケアもしくはリップケア又はメーキャップのための油中水型エマルション
JP2022052752A (ja) 整髪方法
WO2022091877A1 (ja) 固形化粧料
JP2020079220A (ja) 固形粉末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