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0721A - 무취 및 고안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무취 및 고안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0721A
KR20170140721A KR1020160073404A KR20160073404A KR20170140721A KR 20170140721 A KR20170140721 A KR 20170140721A KR 1020160073404 A KR1020160073404 A KR 1020160073404A KR 20160073404 A KR20160073404 A KR 20160073404A KR 20170140721 A KR20170140721 A KR 20170140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thicone
peg
cosmetic composition
crosspolymer
laur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3436B1 (ko
Inventor
강신범
최경호
신홍주
백두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073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436B1/ko
Priority to CN201780050180.6A priority patent/CN109640941B/zh
Priority to EP17813526.5A priority patent/EP3470053B1/en
Priority to PCT/KR2017/006037 priority patent/WO2017217702A1/ko
Publication of KR20170140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4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polyoxyalkylene group, e.g. cetyl dimethicone copoly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4Aftersun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콘 엘라스토머 유화제를 분산제를 대체하여 포함함으로써, 종래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분산제로 인한 특이 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에서도 상기 고비중 무기자외선차단제 파우더를 안정하게 잡아주어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이로부터 상기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발포폼 담체에 함침시 우수한 충진력, 담지력 및 배출력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무취 및 고안정 화장료 조성물{Odorless and high stabilizing cosmetic composition}
본 명세서는 내용물의 취가 개선되고 안정성이 높은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안전한 자외선 차단 화장품에 대한 니즈를 충족하기 위하여 피부자극 우려가 있는 유기자외선차단제를 배제하고, 고비중 무기자외선차단제 파우더를 다량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화장품은 고함량 파우더로 인해 매트한 사용감을 가지고 있으며, 총 무게중량%에서 액상함량이 줄어들어 사용시 취해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양이 감소된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고비중 무기자외선차단제 파우더를 다량 함유하는 W/O 유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통상적으로 그 안정도를 확보하기 위해 무기자외선차단제 파우더와 친화력이 우수한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분산제를 높은 함량으로 포함하지만, 이 경우 내용물의 특이취가 발생하며, 제조시 단가가 상승한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450387호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특이 취를 유발하는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분산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 유화제를 포함하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프리(free)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되는 스펀지를 포함하는 담체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실리콘 엘라스토머 유화제는 10-30:0.01-5의 중량비를 가지며,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는 5,000 내지 35,000cps(centi poise)인,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화장료 조성물은 고비중 파우더인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다량 함유하기 위해 포함하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분산제를 대체하여 유화제인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분산제로 포함함으로써,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로 인한 특이 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향에 민감한 사용자도 모두 거부감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그물망 구조를 가짐으로써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에서도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안정하게 잡아주어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이로부터 상기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스펀지에 포함하는 담체에 함침시 우수한 충진력, 담지력 및 배출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다량 함유로 액상 내용물의 함량이 감소되어 발포폼 담체로부터 취해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양(배출량)이 감소된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유중수형 조성물내 무기 자외선 차단제(피그먼트)의 분산제로서의 작용을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비교예들의 제형안정성을 비교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비교예들의 제형안정성을 비교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포구로 배출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양을 비교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이다.
도 5는 담체로부터 배출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의 양을 비교한 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담체"는 조성물을 예로 들 수 있는 임의의 물질 또는 성분을 담지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담지체, 함침재, 매개체, 캐리어(carrier)라고도 한다. "담체"에 담지되어 있는 조성물은, 예를 들어 손, 퍼프, 팁, 브러쉬 등을 포함하는 도포구(도포 수단 또는 어플리케이터 (applicator)라고도 함)을 통하여 피부에 전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발포폼"은 폴리머를 건식 혹은 습식의 발포 방식으로 폼(foam)을 형성한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담지능" 또는 "담지력"은 임의의 물질 또는 성분을 담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담체에 요구되는 "담지능"은 조성물을 장기간 균질하게 담지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도포구 등에 일시적으로 물질이 취해지는 것과 구별된다.
본 명세서에서, "충진능" 또는 "충진력"은 발포폼이 화장료 조성물을 충진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발포폼에 일정한 양의 화장료 조성물이 충진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충진능" 또는 "충진력"의 측정은 원지름 44mm x 높이 9.0mm의 크기의 발포폼에 5,000 내지 35,000cps의 화장료 조성물이 수동으로 충진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배출능" 또는 "배출력"은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한 발포폼으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을 취할 때 배출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며, 많지도 적지도 않은 적절한 양의 화장료 조성물이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배출능" 또는 "배출력"의 측정은 5,000 내지 35,000cps 의 화장료 조성물이 충진된 원지름 44mm x 높이 9.0mm의 크기의 발포폼의 표면을 2kg의 무게(힘)으로 눌렀을 때 취해지는 측정 값이다.
본 명세서에서, "안정성" 또는 "제형 안정성"은 발포폼에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시키고 일정 온도하에서 일정 시간 방치하였을 때 화장료 조성물이 그 제형을 유지하여 구성성분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균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유화제"는 유화력과 분체 분산력이 있는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유화력은 없고 분체 분산력만 있는 "분산제"와 구분된다.
본 명세서에서, "실리콘 엘라스토머 유화제"는 "실리콘 유화제"의 하위개념으로서, "실리콘 유화제" 중 점성(viscosity)과 탄성(elasticity)을 모두 갖는 점탄성(viscoelasticity)을 가지면 "실리콘 엘라스토머 유화제"로 분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 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되는 스펀지를 포함하는 담체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 유화제를 포함하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프리(free)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되는 스펀지를 포함하는 담체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실리콘 엘라스토머 유화제는 10-30:0.01-5의 중량비를 가지며,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는 5,000 내지 35,000cps(centi poise)인, 화장품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로서 도 1을 참조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 유화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물망 구조를 가지므로 구조내 형성되는 공극에 피그먼트를 트랩핑(trapping)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유중수형의 조성물에 포함시 유상부(오일)와 수상부(물)의 계면에서 피그먼트를 안정적으로 잡아둘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화제인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포함함으로써 저점도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고비중 파우더인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분산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우수한 제형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 유화제는 기존의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분산제와는 달리 원료의 특이취가 덜하거나 없어서 취 민감도가 높은 사용자들의 만족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분산제를 포함하지 않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프리(free) 조성물이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 유화제는 디메치콘/피이지-10/15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PEG-10/15 Crosspolymer),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POLYGLYCERIN-3 Crosspolymer), 디메치콘/비스-이소부틸 피피지-20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Bis-Isobutyl PPG-20 Crosspolymer), 디메치콘/피이지-10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PEG-10 Crosspolymer), 디메치콘/피이지-15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PEG-15 Crosspolymer), 디메치콘/피피지-20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PPG-20 Crosspolymer), 라우릴 디메치콘 피이지-15 크로스폴리머(Lauryl Dimethicone PEG-15 Crosspolymer), 피이지-12 디메치콘/비스-이소부틸 피피지-20 크로스폴리머(PEG-12 Dimethicone/Bis-Isobutyl PPG-20 Crosspolymer), 피이지-10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PEG-10 Dimethicone Crosspolymer), 피이지-12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PEG-12 Dimethicone Crosspolymer), 피이지-8 디메치콘/폴리소르베이트 20 크로스폴리머(PEG-8 Dimethicone/Polysorbate 20 Crosspolymer), 피이지-12 디메치콘/피피지-20 크로스폴리머(PEG-12 Dimethicone/PPG-20 Crosspolymer), 피이지-10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PEG-10 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피이지-10/라우릴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PEG-10/Lauryl Dimethicone Crosspolymer), 피이지-15/라우릴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PEG-15/Lauryl Dimethicone Crosspolymer), 피이지-15/라우릴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PEG-15/Lauryl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Crosspolymer), 피이지-10/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비스-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PEG-10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Bis-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및, 폴리글리세릴-3/라우릴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Polyglyceryl-3/Lauryl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Cross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디메치콘/피이지-10/15 크로스폴리머 및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의 구조를 하기 화학식에 나타내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 유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 초과, 0.01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4 중량% 이상, 5 중량% 또는 5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3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1 중량% 이하 또는 0.1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 유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내지 5중량%, 0.1 내지 3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1.5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 유화제가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유중수형 조성물의 제형 내에 무기 자외선 차단제가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으며, 5 중량% 초과이면 제형을 안정화하기 어렵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 유화제외에 실리콘 유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유화제는 예를 들어, 피이지-10 디메치콘(PEG-10 Dimethicone), 라우릴 피이지-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아크릴레이트/메톡시 피이지-4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s/Methoxy PEG-4 Methacrylate Copolymer), 비스-세틸/피이지-8 세틸 피이지-8 디메치콘(Bis-Cetyl/PEG-8 Cetyl PEG-8 Dimethicone), 디이에이이 피지-프로필 피이지/피피지-18/21 디메치콘(DEA PG-Propyl PEG/PPG-18/21 Dimethicone), 라우릴 피이지-8 디메치콘(Lauryl PEG-8 Dimethicone), 라우릴 피이지-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라우릴 피이지/피피지-18/18 메치콘(Lauryl PEG/PPG-18/18 Methicone) 및 라우릴 피이지-10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에틸 디메치콘(Lauryl PEG-10 Tris(Trimethylsiloxy)silylethyl Di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실리콘 유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4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6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8 중량% 이상, 9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또는 10 중량% 이하, 9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7 중량% 이하, 6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3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1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미립자 이산화티탄(Micro Particle Titanium Dioxide) 및 산화아연(Zinc Oxid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자외선 차단 기능성, 발림성, 색상 등 사용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평균 입도가 클수록 피부에 도포시 백탁 현상이 심하여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지게 되고, 반면에 입도가 너무 작게 되면 피부에 침투하여 자극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므로, 백탁 현상을 고려할 시는 평균입도가 300nm 이하인 것이 적당하고 피부 자극과 백탁 현상을 동시에 고려할 시에는 10~50nm가 적당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9 중량% 이상, 11 중량% 이상, 12 중량% 이상, 14 중량% 이상, 16 중량% 이상, 18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22 중량% 이상, 24 중량% 이상, 26 중량% 이상, 28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32 중량% 이상, 34 중량% 이상, 36 중량% 이상, 38 중량% 이상, 40 중량% 이상 또는 40 중량% 이하, 38 중량% 이하, 36 중량% 이하, 34 중량% 이하, 32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8 중량% 이하, 26 중량% 이하, 24 중량% 이하, 22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8 중량% 이하, 16 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9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7 중량% 이하, 6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3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1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 10 내지 2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15 내지 2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가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자외선 차단 효과가 미미하며, 30 중량% 초과이면 유중수형 제형내 분산이 어렵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내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분산 안정성을 위하여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실리콘 엘라스토머 유화제를 10-30:0.01-5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1:0.01-0.5, 1:0.045-0.2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예를 들어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옥토크릴렌, 아보벤젠,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 옥틸트리아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3,4-메틸벤질리덴 켐퍼 및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자외선 차단 기능성, 발림성, 색상 등 사용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4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6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8 중량% 이상, 9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1 중량% 이상, 12 중량% 이상, 13 중량% 이상, 14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또는 15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3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1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9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7 중량% 이하, 6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3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1 중량% 이하, 0.1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 0.1 내지 1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자외선 차단 효과가 미미하며, 10 중량% 초과이면 피부에 자극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0-80 중량%의 유상부 성분과 20 내지 60 중량%의 수상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유상부 성분은 보다 구체적으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70 중량%, 약 6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상부 성분은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 유기 자외선 차단제,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이나 페닐트리메치콘(Phenyl Trimethicone)과 같은 실리콘 오일, 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와 같은 점증제, 착색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상부 성분은 조형물의 사용감 및 기능성 등에 따라 상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수상부 성분은 보다 구체적으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50 중량%, 약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상부 성분은 정제수, 프로판디올(Propanediol),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이나 글리세린(Glycerin)과 같은 폴리올, 소듐 클로라이드(Sodium Chloride), 디소듐 이디티에이(Disodium EDTA), 카프릴릴 글리콜(Caprylyl Glycol)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상부 성분은 조형물의 사용감 및 기능성 등에 따라 상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저점도 조성물일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5,000 내지 35,000cps(centi poise)의 점도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는 50,000cps 이하, 40,000cps 이하, 35,000cps 이하, 30,000cps 이하, 20,000cps 이하, 10,000cps 이하, 7,000cps 이하 또는 5,000cps 이하일 수 있으며, 5,000cps 이상, 7,000cps 이상, 8,000cps 이상, 10,000cps 이상, 20,000cps 이상 또는 35,000cps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3,000cps 미만이면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 담지 후에도 용기 내에서 침적이 일어나거나 내용물 자체의 분리가 일어날 수 있고, 30,000cps 초과이면 점도가 높아 충진력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점도는 점도 측정 기기로 측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LVDV II+PRO, 스핀들 NO. 63, 스핀들 속도 5 RPM, 12RPM로 측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라이너 3500~5000, spindle 63, 12rpm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는, BROOKFIELD RVDV-III ULTRA(Serial No. RY6521152), 64spindle, 12 rpm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액상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Brookfield DV-III ULTRA로 스핀들(spindle) NO. 63, 스핀들 속도 5rpm으로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액상 화장료 조성물 5,000 내지 35,000cps는 35℃, 60sec에서 측정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지수(Sun Protection Factor, SPF)가 30 이상일 수 있다. 자외선 A 차단등급(Protection grade of UVA, PA)은 더블 플러스(PA++) 내지 트리플 플러스(PA+++)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일 실시예로서 상기 성분 이외에도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색소, 계면활성제, 보습제, 증점제, 윤활제, 방부제, 향 및 기타 첨가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용액, 에멀젼, 젤, 크림 및 현탁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메이크업 프라이머, 메이크업 베이스, 액상 또는 고상 파운데이션, 컨실러, 립스틱, 립글로스, 파우더, 립 라이너,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아이섀도우, 블러셔(blusher), 트윈 케익, 자외선 차단제, 로션, 크림 또는 에센스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스펀지를 포함하는 담체에 함침시킴으로써, 안정성 및 휴대성이 높은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담체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을 취하여 피부에 적용한 후에 별도의 손 세척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외출시에도 간편하게 지속적인 화장 효과 또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누릴 수 있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스펀지"는 조성물을 예로 들 수 있는 임의의 물질 또는 성분을 담지할 수 있는 재질로서, 고무, 섬유 또는 수지를 해면처럼 만든 것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 및 배출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스펀지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천연 스펀지 또는 합성 스펀지일 수 있고, 상기 천연 스펀지는 예를 들어 해면 스펀지, 천연고무 스펀지 등일 수 있으며, 상기 합성 스펀지는 합성수지 스펀지, 발포 우레탄, 라텍스,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부타디엔 고무(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NR(Natural Rubber), 클로로프렌 고무(CR), 부틸고무(isoprene-isobutylene rubber:IIR), 이소프렌 고무(IR), 가황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다황화물 고무(Polysulfide rubber),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 플루오로고무(fluororubber), 우레탄고무(urethane rubber),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 폴리비닐알코올(PVA)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및 NR(Nitrile Rubber)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펀지의 일종인 발포 우레탄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일 실시예로서 폴리에테르계 발포 우레탄(에테르 폴리올을 주베이스로 함), 폴리에스테르계 발포 우레탄 및 폴리카보네이트계 발포 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발포 우레탄은 폴리에테르계 발포 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테르계 발포 우레탄은 폴리에테르계 건식 발포 우레탄 및 폴리에테르계 습식 발포 우레탄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발포 우레탄은 폴리에스테르계 건식 발포 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계 습식 발포 우레탄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발포 우레탄은 폴리카보네이트계 건식 발포 우레탄 및 폴리카보네이트계 습식 발포 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스펀지는 포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스펀지의 포어들에 함침되어 담체에 고르게 분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스펀지는 평균 30-2,500㎛ 사이즈의 포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어 사이즈는 광학 현미경(NIKON ECLIPSE 80i)으로 측정한 평균치이다. 상기 스펀지의 포어 사이즈가 평균 30㎛ 미만이면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하는 포어 공간이 작아, 담지능이 떨어지고, 평균 2500㎛를 초과하는 경우, 포어 공간이 지나치게 커서 조성물의 배출 조절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 "담지능"은 임의의 물질 또는 성분을 담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담체에 요구되는 "담지능"은 조성물을 장기간 균질하게 담지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도포구 등에 일시적으로 물질이 취해지는 것과 구별된다. "배출능" 또는 "배출력"은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한 발포폼으로부터 도포구에 의해 화장료 조성물을 취할 때 배출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며, 많지도 적지도 않은 적절한 양의 화장료 조성물이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펀지는 일 실시예로서 1인치당 55-130 개의 포어들(ppi)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펀지의 1인치 당 포어 수가 130 ppi를 초과하면 포어 사이즈가 작아서 화장료 조성물의 유동성, 화장료 조성물의 흡수 또는 배출을 제어하기 어려우며, 55 ppi 미만이면 화장료 조성물 담지 후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담지력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포어 수"는 우레탄 폼의 1인치 당 포어 수를 말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포어 수는 WI-QA-14(ASTM 기준)를 이용하여 가로, 세로 1인치선상에 있는 포어의 수를 측정하여 평균을 낸 수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펀지의 밀도는 0.05 내지 0.2 g/cm3, 구체적으로 0.1 내지 0.18 g/cm3일 수 있다. 스펀지의 밀도가 0.05 g/cm3 미만일 경우 화장료 조성물이 너무 많이 배출되어 사용하기 불편하며, 밀도가 0.2 g/cm3를 초과하면 화장료 조성물의 충진과 배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스펀지는 1mm 내지 5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스펀지의 두께가 1mm 미만이면 화장료 조성물의 담지량이 적으며, 50mm를 초과하면 사용시 화장료 조성물의 배출에 있어서, 그 내용물의 잔량 없이는 배출이 어렵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상기 스펀지를 이용한 담체는 예를 들어 3mm 내지 4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mm 내지 4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8mm 내지 3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mm 내지 3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두께는 50mm 이하, 40mm 이하, 30mm 이하, 20mm 이하, 10mm 이하, 또는 5mm 이하일 수 있으며, 1mm 이상, 10mm 이상, 20mm 이상, 30mm 이상, 40mm 이상, 또는 50m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장품은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상기 스펀지를 포함하는 담체에 담지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이 잘 충진되며, 화장료 조성물을 장기간 균질하게 담지할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을 취할 때 적당량의 화장료 조성물이 배출됨과 동시에, 장기간 뛰어난 제형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은 화장료 조성물 담체를 수납할 수 있는 하부 및 거울 등이 부착될 수 있는 뚜껑의 상부를 포함하는 용기, 일반적으로 간략하게 "팩트"라고 불리는 화장품용 용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팩트"에는 담체와 함께 담체에 담지된 화장료 조성물을 취하여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도포구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품은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스펀지 담체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을 취하는 도포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담체를 수납할 수 있는 하부 및 거울 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뚜껑의 상부를 포함하는 용기, 일반적으로 팩트라고 불리는 화장품용 용기를 더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중수형(W/O type)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 유상 성분, 분산제 및 착색제를 혼합하고 실온에서 교반하여 균일하게 한 후, 여기에 하기 점증제를 혼합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이후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혼합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별도의 믹서에 하기 수상 성분을 혼합하고 실온에서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균일하게 교반한 상기 수상 성분을 상기 제조한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천천히 투입시키고 호모게나이져를 이용하여 유화시켰다. 이를 냉각하여 실시예 1 및 2, 비교예 1 내지 6을 각각 얻었다. 상기 각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후 다음날 점도는 실시예 1=12,500, 실시예 2=12,000, 비교예 1=16,500, 비교예 2=15,700, 비교예 3=16,000, 비교예 4=17,000, 비교예 5=16,200, 비교예 6=18,300cps였다.
성분 함량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한 중량%)
유기+무기 자외선 차단제 무기 자외선 차단제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1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실시예2
유기자외선 차단제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7.00 7.00 7.00 7.00 0.00 0.00 0.00 0.00
유상성분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16.75 18.75 17.75 23.75 16.75 18.75 17.75 23.25
페닐 트리메치콘(Phenyl Trimethicone)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분산제/유화제 아크릴레이트/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S/ETHYLHEXYL ACRYLATE/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 3.00 3.00 3.00 0.00 3.00 3.00 3.00 0.00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Polyhydroxystearic Acid) 2.00 2.00 2.00 0.00 2.00 2.00 2.00 0.00
라우릴 피이지-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4.00 4.00 2.00 2.00 4.00 4.00 2.00 2.50
피이지-10 디메치콘(PEG-10 Dimethicone) 4.00 4.00 5.00 4.00 4.00 4.00 5.00 4.00
디메치콘/피이지-10/15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PEG-10/15 Crosspolymer) 2.00 0.00 2.00 2.00 2.00 0.00 2.00 2.00
점증성분 디스테아르디모늄 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 0.20 0.20 0.20 0.20 0.20 0.20 0.20 0.20
무기자외선 차단제 미립자 이산화티탄(Micro Particle Titanium Dioxide) 5.00 5.00 5.00 5.00 10.00 10.00 10.00 10.00
산화아연(Zinc Oxide) 10.00 10.00 10.00 10.00 12.00 12.00 12.00 12.00
착색제 산화철(Iron Oxide)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수상성분 정제수(WATER) 34.00 34.00 34.00 34.00 34.00 34.00 34.00 34.00
프로판디올(Propanediol) 3.50 3.50 3.50 3.50 3.50 3.50 3.50 3.50
소듐 클로라이드(Sodium Chloride) 0.80 0.80 0.80 0.80 0.80 0.80 0.80 0.80
디소듐 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카프릴릴 글리콜(Caprylyl Glycol) 0.20 0.20 0.20 0.20 0.20 0.20 0.20 0.20
   합계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시험예 1]제형 안정도 평가
상기 제조된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 25ml를 각각 100ml의 시료 용기에 넣고, 온도 -10℃ ~ 45.4℃ 범위 내에서 시간별로 온도가 변화하는 기기인 사이클 챔버(Cycle chamber)로 1주일간 상기 온도 구간에서 냉해동 과정을 반복시키며 순환시킨과 동시에 185rpm의 속도로 교반시켜, 극한조건에서의 제형 안정도의 육안 평가하였다. 제형안정도는 제형이 분리되거나 색소가 분리된 띠가 보이는지 여부로 판단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1주일 후 cycle shaking
관찰 이미지
벽면 무기자외선차단제 분리 벽면 착색제 및 무기자외선차단제 분리 벽면 및 상부
착색제 및 무기자외선차단제 분리
안정도 우수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실시예 2
1주일 후 cycle shaking
관찰 이미지
벽면 무기자외선차단제 분리 벽면 착색제 및 무기자외선차단제 분리 벽면 및 상부
착색제 및 무기자외선차단제 분리
안정도 우수
그 결과, 상기 표 2, 3 및 이를 사진과 함께 나타낸 도 2 및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분산제를 대체하여 실리콘 엘라스토머 유화제를 포함하는 실시예 1 및 2가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비교예 1-6보다 더 적은 양으로 포함되면서도 더 높은 제형안정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배출력 평가
상기 제조된 실시예 2 및 비교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을 스펀지를 포함하는 담체에 충진시킨 다음, 사용시 배출력을 평가하였다.
먼저, 원지름 44mm x 높이 9.0mm의 크기의 발포 우레탄 폼을 용기에 넣고, 스페츌라를 이용하여 상기 각 화장료 조성물 17g을 수동으로 충진하였다.
그 다음, 배출되는 양을 측정하기 위해 도 4의 구조를 갖는 경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기기에 의해 균일한 힘이 가해질 때 도포구에 묻어나는 양을 평가하였고, 측정 조건은 아래와 같다.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하였다.
-조성물 진입깊이: 10mm
-로드셀의 헤드 스피드: 20mm/min
-Ф= 25mm
-로드셀 진입후 머무름 시간(t)= 1min
-로드셀 최대하중: 2kg
비교예 5 실시예 2
①도포구(g) ②도포구+화장료조성물 중량(g) 화장료 조성물(g)
(②-①)
①도포구(g) ②도포구+화장료조성물 중량(g) 화장료 조성물(g)
(②-①)
1.38 2.20 0.82 1.56 2.48 0.92
1.58 2.54 0.96 1.48 2.50 1.02
1.39 2.20 0.81 1.54 2.44 0.90
평균값(g) 0.86 평균값(g) 0.95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5 대비 실시예 2의 화장료 흐름성 증대로 배출량이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배출량을 분석한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리콘 아크릴레이트가 아닌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포함함으로써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이 높은 제형안정성을 갖게 되어, 이를 통한 유체의 흐름성 증대로 배출량이 비교예 대비 10.47%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4)

  1.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 유화제를 포함하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프리(free)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되는 스펀지를 포함하는 담체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실리콘 엘라스토머 유화제는 10-30:0.01-5의 중량비를 가지며,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는 5,000 내지 35,000cps(centi poise)인, 화장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 유화제는 디메치콘/피이지-10/15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PEG-10/15 Crosspolymer),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POLYGLYCERIN-3 Crosspolymer), 디메치콘/비스-이소부틸 피피지-20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Bis-Isobutyl PPG-20 Crosspolymer), 디메치콘/피이지-10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PEG-10 Crosspolymer), 디메치콘/피이지-15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PEG-15 Crosspolymer), 디메치콘/피피지-20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PPG-20 Crosspolymer), 라우릴 디메치콘 피이지-15 크로스폴리머(Lauryl Dimethicone PEG-15 Crosspolymer), 피이지-12 디메치콘/비스-이소부틸 피피지-20 크로스폴리머(PEG-12 Dimethicone/Bis-Isobutyl PPG-20 Crosspolymer), 피이지-10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PEG-10 Dimethicone Crosspolymer), 피이지-12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PEG-12 Dimethicone Crosspolymer), 피이지-8 디메치콘/폴리소르베이트 20 크로스폴리머(PEG-8 Dimethicone/Polysorbate 20 Crosspolymer), 피이지-12 디메치콘/피피지-20 크로스폴리머(PEG-12 Dimethicone/PPG-20 Crosspolymer), 피이지-10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PEG-10 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피이지-10/라우릴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PEG-10/Lauryl Dimethicone Crosspolymer), 피이지-15/라우릴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PEG-15/Lauryl Dimethicone Crosspolymer), 피이지-15/라우릴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PEG-15/Lauryl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Crosspolymer), 피이지-10/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비스-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PEG-10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Bis-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및, 폴리글리세릴-3/라우릴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Polyglyceryl-3/Lauryl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Cross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장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 유화제는 그물망 구조를 갖는, 화장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유화제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유화제는 피이지-10 디메치콘(PEG-10 Dimethicone), 라우릴 피이지-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아크릴레이트/메톡시 피이지-4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s/Methoxy PEG-4 Methacrylate Copolymer), 비스-세틸/피이지-8 세틸 피이지-8 디메치콘(Bis-Cetyl/PEG-8 Cetyl PEG-8 Dimethicone), 디이에이이 피지-프로필 피이지/피피지-18/21 디메치콘(DEA PG-Propyl PEG/PPG-18/21 Dimethicone), 라우릴 피이지-8 디메치콘(Lauryl PEG-8 Dimethicone), 라우릴 피이지-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라우릴 피이지/피피지-18/18 메치콘(Lauryl PEG/PPG-18/18 Methicone) 및 라우릴 피이지-10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에틸 디메치콘(Lauryl PEG-10 Tris(Trimethylsiloxy)silylethyl Di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장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미립자 이산화티탄(Micro Particle Titanium Dioxide) 및 산화아연(Zinc Oxid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장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22 중량%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 유화제를 0.1 내지 3 중량%로 포함하는, 화장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옥토크릴렌, 아보벤젠,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 옥틸트리아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3,4-메틸벤질리덴 켐퍼 및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장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더 포함하는, 화장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지수 (Sun Protection Factor, SPF) 가 30 이상이고, 자외선 A 차단등급(Protection grade of UVA, PA)이 더블 플러스(PA++) 내지 트리플 플러스(PA+++)인, 화장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에멀젼, 젤, 크림 및 현탁액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화장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는 천연고무, 합성수지, 발포 우레탄, 라텍스,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부타디엔 고무(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NR(Natural Rubber), 클로로프렌 고무(CR), 부틸고무(isoprene-isobutylene rubber:IIR), 이소프렌 고무(IR), 가황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다황화물 고무(Polysulfide rubber),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 플루오로고무(fluororubber), 우레탄고무(urethane rubber),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 폴리비닐알코올(PVA)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및 NR(Nitrile Rubber)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화장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담체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을 취하는 도포구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160073404A 2016-06-13 2016-06-13 무취 및 고안정 화장료 조성물 KR102623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404A KR102623436B1 (ko) 2016-06-13 2016-06-13 무취 및 고안정 화장료 조성물
CN201780050180.6A CN109640941B (zh) 2016-06-13 2017-06-09 无气味且高度稳定的化妆品组合物
EP17813526.5A EP3470053B1 (en) 2016-06-13 2017-06-09 Odorless and highly stable cosmetic composition
PCT/KR2017/006037 WO2017217702A1 (ko) 2016-06-13 2017-06-09 무취 및 고안정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404A KR102623436B1 (ko) 2016-06-13 2016-06-13 무취 및 고안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721A true KR20170140721A (ko) 2017-12-21
KR102623436B1 KR102623436B1 (ko) 2024-01-11

Family

ID=60663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404A KR102623436B1 (ko) 2016-06-13 2016-06-13 무취 및 고안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470053B1 (ko)
KR (1) KR102623436B1 (ko)
CN (1) CN109640941B (ko)
WO (1) WO201721770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666A (ko) * 2015-09-02 2017-03-10 (주)아모레퍼시픽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8154A (ko) * 2018-10-29 2020-05-08 (주)아모레퍼시픽 개선된 사용감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08498A1 (en) * 2001-10-26 2003-06-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ilicone elastomer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olorant inclusive internal phase
WO2008149279A2 (en) * 2007-06-04 2008-12-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formulation cosmetic compositions
KR20120042397A (ko) * 2010-10-25 2012-05-03 (주)아모레퍼시픽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다량 함유한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49078A (ko) * 2010-11-08 2012-05-16 한국콜마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포함하는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KR20120139465A (ko) * 2011-06-17 2012-12-27 한국콜마주식회사 다공성 화장용 퍼프 및 이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
WO2013100207A1 (en) * 2011-12-27 2013-07-04 Dow Corning Toray Co., Ltd. Novel liquid organopolysiloxane and uses thereof
KR101450387B1 (ko) 2012-04-17 2014-10-14 양승호 내열성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1887A (ko) * 2013-07-23 2015-02-03 주식회사 서울화장품 스폰지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KR20160047416A (ko) * 2014-10-22 2016-05-02 (주)아모레퍼시픽 라텍스 발포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5914A (ja) * 2001-01-11 2002-07-23 Kanebo Ltd 化粧料
US7455849B2 (en) * 2004-09-16 2008-11-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queous, non-alcoholic liquid powder formulations
CN102327196A (zh) * 2011-08-19 2012-01-25 广州市白云联佳精细化工厂 一种防晒bb霜及其制备方法
JP6106523B2 (ja) * 2013-05-17 2017-04-05 株式会社東洋クオリティワン 化粧塗布用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KR101998889B1 (ko) * 2013-08-27 2019-07-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다공성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US9744111B2 (en) * 2014-07-11 2017-08-29 Mary Kay Inc. Sunscre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CN104173208B (zh) * 2014-08-28 2017-05-24 广州神采化妆品有限公司 一种调光隔离霜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08498A1 (en) * 2001-10-26 2003-06-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ilicone elastomer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olorant inclusive internal phase
WO2008149279A2 (en) * 2007-06-04 2008-12-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formulation cosmetic compositions
KR20120042397A (ko) * 2010-10-25 2012-05-03 (주)아모레퍼시픽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다량 함유한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49078A (ko) * 2010-11-08 2012-05-16 한국콜마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포함하는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KR20120139465A (ko) * 2011-06-17 2012-12-27 한국콜마주식회사 다공성 화장용 퍼프 및 이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
WO2013100207A1 (en) * 2011-12-27 2013-07-04 Dow Corning Toray Co., Ltd. Novel liquid organopolysiloxane and uses thereof
KR101450387B1 (ko) 2012-04-17 2014-10-14 양승호 내열성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1887A (ko) * 2013-07-23 2015-02-03 주식회사 서울화장품 스폰지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KR20160047416A (ko) * 2014-10-22 2016-05-02 (주)아모레퍼시픽 라텍스 발포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666A (ko) * 2015-09-02 2017-03-10 (주)아모레퍼시픽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8154A (ko) * 2018-10-29 2020-05-08 (주)아모레퍼시픽 개선된 사용감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70053A1 (en) 2019-04-17
EP3470053B1 (en) 2020-12-09
KR102623436B1 (ko) 2024-01-11
EP3470053A4 (en) 2020-01-01
WO2017217702A1 (ko) 2017-12-21
CN109640941B (zh) 2022-04-22
CN109640941A (zh) 201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203B1 (ko)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발포 우레탄 폼이 담긴 에어리스 타입의 용기
JP6862370B2 (ja) 日焼け止め用化粧料組成物
JP5291729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JP5058353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20170012056A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 프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5537513B2 (ja) 水中油型日焼け止め化粧料
CA2900091A1 (en) Cosmetic product comprising uv-blocking cosmetic composition impregnated into expanded urethane foam
CN105982832B (zh) 固体型彩妆化妆品组合物
EP2995295A1 (en) Oil-based thickening agent, oil-based thickening composition, and cosmetic preparation
KR100550967B1 (ko)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JP2012521356A (ja) 炭化水素ワックスと極性油とを含む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KR102405999B1 (ko) 무수 파우더 제형 화장료 조성물
EP3470053B1 (en) Odorless and highly stable cosmetic composition
KR102360819B1 (ko) 유화 분리 방지 화장료 조성물, 이를 함침시킨 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JP6726456B2 (ja) 皮膚化粧料
KR20170038442A (ko) 고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80082874A (ko) 저융점 왁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TW201929830A (zh) 高內相油包水形式乳化的化妝品組成物和化妝品
US10441526B2 (en) Liquid oil dispersion cosmetic composition
KR102587340B1 (ko) 개선된 사용감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17014519A1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 프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96176A (ko) 미립자 공정을 통해 분산된 파우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파우더 조성물
KR101495018B1 (ko) 매직센서리존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스크리닝 방법 및 제조방법
CN107530252B (zh) 不含表面活性剂的水性防晒化妆品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