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018B1 - 매직센서리존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스크리닝 방법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매직센서리존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스크리닝 방법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018B1
KR101495018B1 KR20140115009A KR20140115009A KR101495018B1 KR 101495018 B1 KR101495018 B1 KR 101495018B1 KR 20140115009 A KR20140115009 A KR 20140115009A KR 20140115009 A KR20140115009 A KR 20140115009A KR 101495018 B1 KR101495018 B1 KR 101495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ratio
pigment
friction coefficient
kinetic fri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15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나래
김지희
문성호
이승기
박선경
안창하
Original Assignee
(주)셀트리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셀트리온 filed Critical (주)셀트리온
Priority to KR20140115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018B1/ko
Priority to CN201510543721.1A priority patent/CN105380828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4Mixtures of polym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직센서리존, 매트존, 글로시존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이것의 스크리닝 방법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스크리닝 방법에 의해, 예상되는 사용감의 처방적 특징을 미리 확인할 수 있으며, 설정된 각 구간별로 특징적인 사용감과 화장효과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 중 특정 운동마찰계수를 갖는 구간의 처방에서는 매끄럽고, 윤기있는 화장특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은 피그먼트, 오일상, 수상으로 이루어진 3성 분계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직센서리존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스크리닝 방법 및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having magic sensory zone, screening metho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매직센서리존, 매트존, 글로시존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이것의 스크리닝 방법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크게 피부의 결점과 요철을 커버하면서 피부를 보호해주는 기능을 하는 베이스메이크업 화장료와 입술, 눈, 눈썹, 손톱 등에 색조를 부여하여 아름답게 보이도록 하는 포인트메이크업 화장료로 구분되고, 이 중, 베이스메이크업 화장료는 제형 상 유중수형 유화, 수중유형 유화 등의 3성분계, 파우더 분산형, 유분산형 등의 2성분계로 구분 지어진다. 특히, 유중수형이나 수중유형과 같이 파우더원료, 오일상, 수상의 3성분계로 이루어진 제형은 그 사용감을 제어하기에 그 변수와 요인이 다양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드문 실정이다.
제품 내에서의 사용감은 운동마찰계수, 점도, 틱소트로피성, 표면장력, 입자의 모폴로지 등 다양한 측정 가능한 요인과 관련이 있는데, 그 중 매끄러움성과 퍼짐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운동마찰계수를 들 수 있다. 운동마찰계수는 마찰력을 수직항력으로 나눈 값으로 그 값이 작을수록 퍼짐성이 좋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의 요인과 처방과의 상관관계를 밝힌 연구가 없으며, 처방적 구성 원료 군들이 상기 요인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관능적 또는 실험적 경험을 통하여 알고 있으나, 그 상관관계를 수치적으로 분석하여 사용감을 예상하여 처방의 실험 결과물을 예측 실험하는 스크리닝 방법은 전무하다. 따라서 사용감을 확인하기 위하여는 일일이 순차적으로 실험을 진행하여 사용감을 확인하여 처방방향을 설정하여야만 한다.
특히, 3성분계 제형의 처방에서는 그 변수가 더욱 다양하여 사용감을 경험적으로도 예측하기 어려워 원하는 사용감으로의 방향으로 진행하는데 있어 실험적 실패를 많이 겪어야만 한다.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3성분계인 유중수형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처방 내에서 구성 원료군들 간의 상관계수를 확인하고, 그 처방적 특징이 사용감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여, 실질적 실험 전에 그 사용감을 예측하여 처방의 기본골격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그 중 특정한 처방적 특징과 특정한 운동마찰계수의 영역 내에 있는 사용감적인 영역을 설정하여, 본 발명의 특징으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오일과 피그먼트의 성분 비율과 운동마찰계수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목적하는 사용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오일과 피그먼트의 성분 비율과 운동마찰계수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목적하는 사용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방법으로 스크리닝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3성분계인 유중수형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그 처방내의 구성 원료군들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그것과 운동마찰계수간의 2차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각 구간별 사용감 특징을 규명함으로써 제품개발에 있어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고, 각 구간의 특정 사용감과 화장 특징을 갖는 조성물 및 그것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운동마찰계수가 0.06~0.11이고,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정의되는 오일과 피그먼트의 비율(PO ratio)이 0.49~0.9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운동마찰계수가 0.11을 초과하고, 수학식 1에 의하여 정의되는 오일과 피그먼트의 비율(PO ratio)이 0.94를 초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운동마찰계수가 0.06 미만이고, 수학식 1에 의하여 정의되는 오일과 피그먼트의 비율(PO ratio)이 0.49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비휘발성 오일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 부틸렌글라이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isononyl isononanoate),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페닐트리메치콘(phenyl trimethico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 메도우폼씨드오일(meadowfoam seed oil), 마카다미아너트오일(macadamia nut oil), 호호바 오일 (jojoba oil), 스쿠알란(squalane), 폴리이소부텐(polyisobutene), 에칠헥실팔미테이트(ethylhexyl palmitate), 디메치콘(dimethicone, 20cs이상), 폴리글리세릴-2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triisostearate), C12-15 알킬벤조에이트(C12-15 alkyl benzoate),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iglyceride), 디이소프로필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diisopropyl dimer dilinoleate), 에칠헥실글리세릴팔미테이트(ethylhexylglyceryl palmitate), 이소프로필이소스테아레이트(isopropyl isostearate), 및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cetyl ethyl hexanoat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휘발성 오일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사이클로펜타실록산 (cyclopentasiloxane), 사이클로헥사실록산(cyclohexasiloxane) , 디메치콘 (dimethicone, 0.65~6CS), 메칠트리메치콘(methyl trimethicone), 카프릴릭메치콘(caprylic methicone), 이소도데칸 (isododecane), 이소헥사데칸(isohexadecane), C6-8이소파라핀(C6-8 isoparaffin), C8-9이소파라핀(C8-9 isoparaffin), C9-10이소파라핀(C9-10 isoparaffin), 및 C10-11이소파라핀(C10-11 isoparaffi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피그먼트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산화철류(Iron oxides), 탤크(talc), 세리사이트(sericite), 마이카(mica), 합성마이카(synthetic fluorphlogopite), 메칠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 우레탄계파우더(polyurethane-44 또는 polyurethane-45), 폴리메칠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polymethylsilsesquioxane), 실리카(silica), 나일론(nylon) 파우더 등의 파우더, 및 전술한 파우더들을 표면개질한 안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비비크림, 선크림, 프라이머,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컨실러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a) 오일(oil)과 피그먼트(pigment)를 포함하는 복수의 시험 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시험 조성물 각각의 운동마찰계수를 측정하는 단계; 및
(c) i) 운동마찰 계수와 ii) 오일과 피그먼트의 비율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목적하는 사용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선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감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글리즈하고 미끈거리거나, 크림질감이 있거나 또는 매트함일 수 있다.
상기 단계 (c)는 하기 단계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계일 수 있다:
i) 운동마찰계수가 0.06~0.11이고, 수학식 1의 오일과 피그먼트의 비율(PO ratio)이 0.49~0.94인 크림질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선별하는 단계;
ii) 운동마찰계수가 0.11을 초과하고, 수학식 1의 오일과 피그먼트의 비율(PO ratio)이 0.94를 초과하는 매트한 화장료 조성물을 선별하는 단계; 및
iii) 운동마찰계수가 0.06 미만이고, 수학식 1의 오일과 피그먼트의 비율(PO ratio)이 0.49 미만인 글리즈하고 미끈거리는 화장료 조성물을 선별하는 단계.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스크리닝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비휘발성 오일과 휘발성 오일과 피그먼트를 1.0 : 0 ~ 3.9 : 0.5 ~ 2.7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동마찰계수가 0.06~0.11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학식 1에 의하여 정의되는 오일과 피그먼트의 비율(PO ratio)이 0.49~0.94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비휘발성 오일과 휘발성 오일과 피그먼트를 0 ~ 1.0 : 2.7 ~ 20.0 : 2.7 ~ 18.0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동마찰계수가 0.11을 초과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학식 1에 의하여 정의되는 오일과 피그먼트의 비율(PO ratio)이 0.94를 초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비휘발성 오일과 휘발성 오일과 피그먼트를 1.0 : 0 ~ 5.7 : 0.3 ~ 2.0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동마찰계수가 0.06 미만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학식 1에 의하여 정의되는 오일과 피그먼트의 비율(PO ratio)이 0.49 미만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운동마찰계수(μ)"는 운동마찰력(f)을 물체의 수직항력(N)으로 나눈 값으로서, 다음의 수학식 2에 의하여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4083092056-pat00002
(μ: coefficient of friction, f: friction force, N: load force)
운동마찰계수가 작을수록 퍼짐성, 매끄러움성이 좋다.
"황금비율구간"은 크림질감으로 사용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방측면에서의 특정 구간이다. 본 발명에서는 PO ratio로서 0.49~0.94 구간이다.
"매직센서리존(Magic Sensory Zone)"는 처방내의 피그먼트 질감이 크게 느껴지지 않아 파우더리하지 않고, 사용성이 매끄러운 크림질감을 부여하며 윤기가 우수한 화장효과를 부여하는 영역이다. 본 발명에서는 PO ratio 0.49~0.94 구간과 운동마찰계수 0.06~0.11구간이 크림질감이 우수하고 화장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어 "매직센서리존"으로 지칭하였다.
"매트존"은 처방내의 피그먼트 질감이 느껴져 도포 시 파우더리하게 느껴지며, 화장표현 또한 매트한 화장막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 영역이다. 본 발명에서는 PO ratio 0.94 초과 구간과 운동마찰계수 0.114 초과 구간이 사용감이 매트한 것으로 확인되어 "매트존"으로 지칭하였다.
"글로시존"은 처방내의 피그먼트 질감이 거의 느껴지지 않고 오일의 매끄러움성이 주로 느껴지고, 제공되는 화장막 역시 광택감이 높은 특징을 갖는 영역이다. 본 발명에서는 PO ratio 0.49 미만 구간과 운동마찰계수 0.06 미만 구간이 광택감이 높아 글로시하고 사용감이 글리즈한 것으로 확인되어 "글로시존"으로 지칭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스크리닝 방법에 의해, 예상되는 사용감의 처방적 특징을 미리 확인할 수 있으며, 설정된 각 구간별로 특징적인 사용감과 화장효과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 중 특정 운동마찰계수를 갖는 구간의 처방에서는 매끄럽고, 윤기있는 화장특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은 피그먼트, 오일상, 수상으로 이루어진 3성 분계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제조예 1, 2 (총 22개)의 휘발성오일군, 비휘발성오일군, 피그먼트군의 함량과 운동마찰계수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산점도 행렬에 의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이다. n_oil은 비휘발성 오일, oil은 휘발성 오일, pigment는 피그먼트, response는 운동마찰계수를 나타낸다.
도 2는 제조예 1, 2 (총 22개)의 피그먼트군과 오일군 간의 상관계수인 PO ratio와 운동마찰계수 간의 단순선형회귀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광택감 평가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a) 제조예 2 의 J
(b) 제조예 1 의 D
(c) 제조예 2 의 Q
(d) 제조예 1 의 F
(e) 제조예 2 의 V
도 4는 묻어나지 않음 평가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a) 제조예 2 의 J
(b) 제조예 1 의 D
(c) 제조예 2 의 Q
(d) 제조예 1 의 F
(e) 제조예 2 의 V
본 발명은 3성분계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사용감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처방내의 오일군, 즉 휘발성 오일군 및 비휘발성 오일군과 파우더상의 피그먼트군 간의 상관계수를 설정하고, 이 상관계수와 매끄러움성과 크림질감을 표현할 수 있는 운동마찰계수와의 2차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그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그 스크리닝 방법에 의해 지정된 특정영역에 해당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을 제공한다. 제공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은 특정 영역범위에 해당하여 특정한 사용감과 화장특성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및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제조예 및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사용감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우선 처방 내에서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3성분계의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상의 피그먼트, 오일상, 수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일상은 휘발성 오일과 비휘발성 오일로 구분된다.
파우더 성상의 피그먼트군에는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산화철류(Iron oxides), 탤크(talc), 세리사이트(sericite), 마이카(mica), 합성마이카(synthetic fluorphlogopite), 메칠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 우레탄계파우더(polyurethane-44 또는 polyurethane-45),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polymethylsilsesquioxane), 실리카(silica), 나일론파우더(nylon) 등의 파우더 또는 전술한 파우더들을 표면 개질한 안료로 구성된 군 등으로 구성된다.
휘발성 오일은 세틸 피이지/피피지-10/1 디메치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피이지-10 디메치콘(PEG-10 dimethicone), 라우릴 피이지-9 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 디메치콘(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등의 계면활성제, 오조케라이트(ozokerite), 세레신(ceresine), 비즈왁스(bees wax),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disteadimonium hectorite), 벤토나이트(bentonite) 등의 점도형성제, 사이클로펜타실록산 (cyclopentasiloxane), 사이클로헥사실록산(cyclohexasiloxane) , 디메치콘 (dimethicone, 0.65~6CS), 메칠트리메치콘(methyl trimethicone), 카프릴릭메치콘(caprylic methicone), 이소도데칸 (isododecane), 이소헥사데칸(isohexadecane), C6-8이소파라핀(C6-8 isoparaffin), C8-9이소파라핀(C8-9 isoparaffin), C9-10이소파라핀(C9-10 isoparaffin), C10-11이소파라핀(C10-11 isoparaffin) 등이 있다.
비휘발성 오일은 디페닐실록시페닐 트리메치콘(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 부틸렌글라이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isononyl isononanoate),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페닐트리메치콘(phenyl trimethico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 메도우폼씨드오일(meadowfoam seed oil), 마카다미아너트오일(macadamia nut oil), 호호바 오일 (jojoba oil), 스쿠알란(squalane), 폴리이소부텐(polyisobutene), 에칠헥실팔미테이트(ethylhexyl palmitate), 디메치콘(dimethicone, 20cs이상), 폴리글리세릴-2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triisostearate), C12-15 알킬벤조에이트(C12-15 alkyl benzoate),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iglyceride), 디이소프로필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diisopropyl dimer dilinoleate), 에칠헥실글리세릴팔미테이트(ethylhexylglyceryl palmitate), 이소프로필이소스테아레이트(isopropyl isostearate),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등이 있다.
수상은 정제수, 에탄올(ethanol) 등의 용제,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등의 보습제 및 그 외 유화안정제, 보존제 등을 포함한다.
상기의 원료 중 대표되는 성분들로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을 도출하기 위해 제조예 1과 제조예 2를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구성하여 분석하고, 사용성 평가 및 운동마찰계수를 측정하였다.
제조예 1: 화장료 조성물의 구성비율
 구분 A B C D E F G H I
비휘발성
오일군의 총량
22.430 13.252 11.177 25.100 12.500 11.000 20.400 19.000 16.000
휘발성
오일군의 총량
0.000 27.450 21.180 0.000 12.300 9.900 3.000 5.400 9.200
피그먼트군의
총량
14.808 15.192 13.923 12.500 15.100 15.800 15.300 12.500 14.500
PO ratio 0.660 0.511 0.583 0.498 0.760 0.933 0.689 0.562 0.674
운동마찰계수 0.074 0.087 0.090 0.071 0.080 0.077 0.068 0.069 0.068
단위: g중량 %
제조예 2: 화장료 조성물의 구성비율
원료명 J K L M N O P Q R S T U V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소르비탄올리베이트 0.70 0.70 0.70 0.70 0.70 0.70 0.70 0.70 0.70 0.50 0.40 0.40 0.40
비휘발성오일군 40.00 20.00 12.00 8.00 6.00 29.00 14.00 6.00 6.00 6.00 4.00 2.00 0.00
벤토나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휘발성오일군 0.00 20.00 28.00 32.00 34.00 0.00 15.00 23.00 23.00 16.00 16.00 18.00 20.00
피그먼트군 12.00 12.00 12.00 12.00 12.00 12.00 12.00 12.00 16.00 16.00 18.00 18.00 18.00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소듐클로라이드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이디티에이 0.04 0.04 0.04 0.04 0.04 0.04 0.04 0.04 0.04 0.04 0.04 0.04 0.04
부틸렌글라이콜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보존제 0.50 0.50 0.50 0.50 0.50 0.50 0.50 0.50 0.50 0.50 0.50 0.50 0.50
PO ratio 0.300 0.375 0.417 0.441 0.455 0.414 0.522 0.606 0.808 1.026 1.324 1.406 1.500
운동마찰계수 0.042 0.044 0.049 0.087 0.091 0.072 0.079 0.079 0.079 0.113 0.120 0.117 0.138
단위: g중량 %
비휘발성 오일군의 조성
원료명 함량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12.50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12.50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12.50
페닐트리메치콘 12.5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12.50
메도우폼씨드오일 12.50
에칠헥실팔미테이트 12.50
디메치콘(100cs) 12.50
합계 100.00
단위: g중량 %
휘발성오일군의 조성
원료명 함량
카프릴릴메치콘 25.00
디메치콘(6cs) 25.0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5.00
사이클로헥사실록산 25.00
합계 100.00
단위: g중량 %
피그먼트군의 조성
원료명 함량
메칠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3.00
티타늄디옥사이드(coated methicone) 83.00
적색산화철(coated methicone) 3.00
황색산화철(coated methicone) 8.20
흑색산화철(coated methicone) 2.80
합계 100.00
단위: g중량 %
이 중, 사용감을 파우더리하고 뻑뻑한 질감의 요인은 파우더상의 피그먼트를 들 수 있다. 피그먼트의 뻑뻑한 사용성을 매끄러운 질감으로 상쇄시켜 줄 수 있는 성분은 오일로서, 그 오일의 종류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휘발성오일과 비휘발성오일로 구분되므로 각 군의 총량으로 표기하였다.
실시예 1: 오일- 피그먼트 -운동마찰계수의 상관관계 분석
본 실시예는 제조예 1, 2의 오일, 즉 비휘발성 오일군과 휘발성 오일군 및 피그먼트군의 함량, 또한 각 예의 운동마찰계수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운동마찰계수는 마찰계수 측정기(Friction Test Machine TO-100-IC, Testone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하고자 하는 샘플, 즉 제조예 1 및 제조예 2를 인공피부에 지름 30mm의 원안에 0.16g을 균일한 두께로 발랐다. 센서의 끝 부분은 부드러운 실리콘 고무가 부착되어 있어 일정한 힘으로 평형이동을 하여 마찰계수를 측정한다. 마찰계수는 다음의 식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측정기의 감도는 0.005N이다.
μ= f / N
(μ: coefficient of friction, f: friction force, N: load force)
도 1.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점도 행렬에 의한 데이터 분석 결과, 휘발성오일군 - 비휘발성오일군, 비휘발성오일군 - 피그먼트군, 피그먼트군 - 운동마찰계수, 비휘발성오일군 - 운동마찰계수 간에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p<0.05).
도 1 a)의 산점도 행렬은 변수들간의 산점도를 행렬로 나타내어 한번에 볼 수 있도록 만든 그래프이다. 여기서 산점도란 두 변수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두 변수값을 나타내는 점을 도표에 나타낸 것을 말한다.
도 1 b)에서 피어슨 상관계수는 변수들 사이의 선형성의 강도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말한다.
즉, x와 y가 직선에 가까우면 1 또는 -1에 가깝고, 비선형에 가까우면 0에 가까운 값을 가진다. 또한 상관계수값이 0 보다 크면 양의 상관관계, 0 보다 작으면 음의 상관관계를 가진다. 상관계수 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14083092056-pat00003
상기 식에서 Sxy는 x와 y가 함께 변하는 정도를 의미하고,
Figure 112014083092056-pat00004
는 x와 y가 따로 변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실시예 2: 비휘발성 오일군과 휘발성 오일군의 사용성 기여도 평가 및 신변 PO ratio 도출
실시예 1에서 확인된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두 종류의 오일군이 크림질감의 대표적인 성질인 매끄러움성과 잔여감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이 평가한 후, 그 기여도에 따라 피그먼트의 뻑뻑한 질감을 상쇄하는 것을 반영한 새로운 계수를 도출하였다.
2-1. 오일군 중 비휘발성오일군과 휘발성오일군의 사용성 평가
각 오일 한 방울을 손등에 펴 발라 매끄러움성(퍼짐성) 및 잔여감을 10점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매그러움성에 대한 평가 기준>
1점: 퍼지지 않고 매우 끈끈함
2점: 퍼지지 않고 끈끈함
3점: 미약하게 퍼지나 끈끈함
4점: 퍼지나 두께감이 무겁고 약간 끈끈함
5점: 퍼지고 끈끈하지 않고 두께감이 있음
6점: 퍼지고 두께감이 있으며 마찰감이 있음
7점: 마찰감이 약간 있으며 약간 매끄러움
8점: 마찰감이 약간 있으며 매끄러움
9점: 마찰감이 없이 매끄러움
10점: 마찰감이 느껴지지 않고 매우 매끄러움
<잔여감에 대한 평가 기준>
1점: 피부에 전혀 흡수되지 않고 두꺼운 막감으로 잔존함
2점: 피부에 전혀 흡수되지 않고 중간 막감으로 잔존함
3점: 피부에 전혀 흡수되지 않고 얇은 막감으로 잔존함
4점: 중간 막감으로 잔존하나, 시간경과 후 미약하게 흡수됨
5점: 얇은 막감으로 잔존하나, 시간경과 후 미약하게 흡수됨
6점: 얇은 막감으로 잔존하나 시간이 지나면 흡수됨
7점: 흡수 및 휘발되나, 미끌미끌함.
8점: 흡수 및 휘발되나, 약간 미끈한 느낌으로 있음
9점: 흡수 및 휘발되고, 비교적 매트함
10점: 잔여감이 없이 흡수되거나 매트하게 휘발됨
비휘발성 오일군의 사용성 평가
원료명 매끄러움성 잔여감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8.00 9.00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8.00 8.50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5.00 10.00
페닐트리메치콘 8.00 9.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9.00 9.00
메도우폼씨드오일 7.00 9.00
에칠헥실팔미테이트 9.00 9.00
디메치콘(100cs) 10.00 8.50
평가 평균값 : 8.50
휘발성 오일군의 사용성 평가
원료명 매끄러움성 잔여감
카프릴릴메치콘 8.50 6.00
디메치콘(6cs) 6.00 3.0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6.00 2.50
사이클로헥사실록산 6.00 2.50
평가 평균값 : 5.06
상기 사용성 평가 결과로부터 휘발성 오일(평가평균값=5.06)은 비휘발성 오일(평가평균값=8.50)에 비해 60% 정도 사용성(매끄러움성(퍼짐성), 잔여감)에 기여함을 규명하였다.
2-2. 신변수 PO ratio 도출
상기 기여도를 반영하여 피그먼트의 뻑뻑함을 상쇄시켜주는 오일군의 영향력을 고려하여 신변수를 도출하였고, 그 비율을 PO ratio라 칭하였다.
Figure 112014083092056-pat00005

실시예 3: PO ratio 와 운동마찰계수의 상관관계 분석
상기의 신변수인 PO ratio와 운동마찰계수간의 상관관계를 단순선형회귀 분석해 본 결과, 운동마찰계수 = 0.03996 + 0.05916 × PO ratio의 선형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도 2와 같은 그래프를 얻었다.
단순선형 회귀분석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연관관계를 적절한 함수로 적합하여 자료해석 및 예측을 간편케 하는 통계분석방법이다.
실시예 4: PO ratio 구간별 사용감 평가
도 2에 있어, 신변수인 PO ratio 구간 별 사용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조예 1, 2를 PO ratio 기준으로 정렬하여, 매끄러움성(퍼짐성), 광택감, 묻어나지 않음에 대한 항목에 대하여 10점 평가를 진행한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매그러움성에 대한 평가 기준>
1점: 퍼지지 않고 매우 끈끈함
2점: 퍼지지 않고 끈끈함
3점: 미약하게 퍼지나 끈끈함
4점: 퍼지나 두께감이 무겁고 약간 끈끈함
5점: 퍼지고 끈끈하지 않고 두께감이 있음
6점: 퍼지고 두께감이 있으며 마찰감이 있음
7점: 마찰감이 약간 있으며 약간 매끄러움
8점: 마찰감이 약간 있으며 매끄러움
9점: 마찰감이 없이 매끄러움
10점: 마찰감이 느껴지지 않고 매우 매끄러움
<광택감에 대한 평가 기준>
1점: 바르자마자 광택감이 없고 두꺼운 느낌
2점: 초기광택감만 보이고 바르면서 매트해짐
3점: 화장막이 고정되기 전 광택감없이 매트해짐
4점: 화장막이 고정된 직후 광택감이 약해짐
5점: 광택감 있으나, 화장막이 고정된 후 광택감 매우 약해짐
6점: 광택감이 좋으나, 화장막이 고정된 후 광택감이 약해짐
7점: 광택감이 우수하나, 화장막이 고정된 후 서서히 약해짐
8점: 화장막이 고정된 후 광택감 있음
9점: 화장막이 고정된 후 광택감이 우수함
10점: 화장막이 고정된 후 광택감이 매우 우수함
<묻어나지 않음에 대한 평가 기준>
1점: 매우 많이 묻어나고 화장막 매우 무너짐
2점: 많이 묻어나고 화장막 매우 무너짐
3점: 묻어나고 화장막 매우 무너짐
4점: 묻어나고 화장막 무너짐
5점: 묻어나고 화장막 미약하게 무너짐
6점: 약간 묻어나고 화장막 비교적 유지함
7점: 약간 묻어나나 화장막 유지함
8점: 희미하게 묻어나나 잘 묻어나지 않음
9점: 거의 묻어나지 않음
10점: 전혀 묻어나지 않음
제조예 1, 2의 PO ratio 기준별 사용감 평가
제조예
1, 2
PO ratio 운동마찰계수 매끄러움성
(퍼짐성)
광택감 묻어나지 않음 총점
J 0.300 0.042 10 10 1 21
K 0.375 0.044 10 9 1 20
O 0.414 0.072 10 9 1 20
L 0.417 0.049 9 9 1 19
M 0.441 0.087 9 9 1 19
N 0.455 0.091 9 9 3 21
D 0.498 0.071 9 10 6 25
B 0.511 0.087 9 10 8 27
P 0.522 0.079 8 9 6 23
H 0.562 0.069 9 10 6 25
C 0.583 0.09 8 9 8 25
Q 0.606 0.079 9 9 7 25
A 0.660 0.074 9 10 6 25
I 0.674 0.068 9 9 8 26
v 0.689 0.068 8 9 7 24
E 0.760 0.08 9 9 8 26
R 0.808 0.079 8 9 9 26
F 0.933 0.077 8 9 9 26
S 1.026 0.113 6 7 9 22
T 1.324 0.12 7 6 8 21
U 1.406 0.117 5 4 8 17
V 1.500 0.138 5 3 10 18
사용감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 PO ratio가 0.498인 제조예 D ~ PO ratio가 0.933인 제조예 F 사이의 사용감 평가가 이외의 결과에 비하여 상당히 우수한 결과(총점 24점 이상)를 보였다.
광택감의 평가는 제조예를 동일량 취하여 인공피부에 도포한 후 화장막이 고정되도록 5분 동안 실온에서 건조하여 광택감을 평가하였고, 도 3의 (a) ~ (e)는 각각 제조예 J, D, A, F, V의 광택감을 평가한 사진이다. 사진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PO ratio가 가장 낮은 제조예 J(도 3(a))는 광택이 없이 매트하고 파우더리한 화장막을 보이며, PO ratio 가 가장 높은 제조예 V(도 3(e))는 광택감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냈다. PO ratio가 0.498인 제조예 D ~ PO ratio가 0.933인 제조예 F 사이의 D, A, F 의 경우, 제조예 V에 비해 광택감이 비교적 적긴 하나 우수한 광택감의 화장막을 연출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묻어나지 않음에 대한 평가는 제조예를 동일량 취하여 인공피부에 도포한 후 화장막이 고정되도록 5분 동안 실온에서 건조하여 화장막을 티슈로 동일한 힘으로 눌러 묻어나는 양을 확인하여 평가하였다. 도 4의 (a) ~ (e)는 각각 제조예 J, D, A, F, V의 묻어나지 않음을 평가한 사진이다. 제조예 J(도 4(a))는 매우 많이 묻어남이 확인되었으나, 제조예 V(도 4(e))의 경우 거의 묻어나지 않았다. PO ratio가 0.498인 제조예 D ~ PO ratio가 0.933인 제조예 F 사이의 D, A, F 의 경우, 정도의 차이가 있으나 미약하게 묻어나는 수준으로 지속성이 비교적 우수하다고 평가할 수 있었다.
따라서 PO ratio가 0.498~0.933의 구간이 크림질감의 대표속성인 매끄러움성과 화장표현속성인 광택감과 묻어나지 않음의 평가에서 가장 우수한 속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구간을 3성분계인 유중수형 베이스메이크업제품에 있어 크림질감이 우수하고 화장효과가 뛰어난 구간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본 구간을 PO ratio에 있어 "황금비율구간"으로 지정하였다.
도 2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운동마찰계수 = 0.03996 + 0.05916 × PO ratio의 선형상관관계를 가지며, 예측치에 대한 95% 신뢰구간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황금비율구간의 하한의 PO ratio(0.498)에 대한 운동마찰계수 신뢰하한 ~ 상한의 PO ratio(0.933)의 운동마찰계수 신뢰상한, 즉 0.063 ~ 0.104 가 황금비율구간에서 예측 가능한 운동마찰계수 구간이다. 즉, 상기 구간의 운동마찰계수를 가진 제품의 경우, 크림질감이 우수한 유중수형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으로 예측이 가능하다.
상기의 수식과 설정된 황금비율구간은 비휘발성오일/휘발성오일/피그먼트와 운동마찰계수 간의 상관관계를 통계학적으로 모델링 한 것으로, 처방을 예측하거나, 사용감을 예측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다.
상기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발명에서는 PO ratio 0.49~0.94 구간과 운동마찰계수 0.06~0.11 구간을 크림질감이 우수하고 화장효과가 뛰어난 "매직센서리존"으로 지칭하였다. 또한, PO ratio 0.94 초과 구간과 운동마찰계수 0.114 초과 구간은 사용감이 매트한 "매트존", PO ratio 0.49 미만 구간과 운동마찰계수 0.06 미만 구간은 사용감이 글리즈한 "글로시존"으로 지칭하였다.
표 1 및 2의 구성비율로부터 매직세서리존, 매트존, 글로시존에 해당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비휘발성오일과 휘발성 오일과 피그먼트 성분을 어떤 중량비로 혼합하는지 산출하였다.
운동마찰계수가 0.06~0.11인 매직센서리존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비휘발성 오일과 휘발성 오일과 피그먼트를 1.0 : 0 ~ 3.9 : 0.5 ~ 2.7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운동마찰계수가 0.11을 초과한 매트존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비휘발성 오일과 휘발성 오일과 피그먼트를 0 ~ 1.0 : 2.7 ~ 20.0 : 2.7 ~ 18.0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운동마찰계수가 0.06 미만인 글로시존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비휘발성 오일과 휘발성 오일과 피그먼트를 1.0 : 0 ~ 5.7 : 0.3 ~ 2.0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4)

  1. 운동마찰계수가 0.06~0.11이고, 하기 식에 의하여 정의되는 오일과 피그먼트의 비율(PO ratio)이 0.49~0.9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Figure 112014083092056-pat00006

  2. 운동마찰계수가 0.11을 초과하고, 하기 식에 의하여 정의되는 오일과 피그먼트의 비율(PO ratio)이 0.94를 초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Figure 112014083092056-pat00007

  3. 운동마찰계수가 0.06 미만이고, 하기 식에 의하여 정의되는 오일과 피그먼트의 비율(PO ratio)이 0.49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Figure 112014083092056-pat00008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휘발성 오일은 디페닐실록시페닐 트리메치콘(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 부틸렌글라이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isononyl isononanoate),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페닐트리메치콘(phenyl trimethico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 메도우폼씨드오일(meadowfoam seed oil), 마카다미아너트오일(macadamia nut oil), 호호바 오일 (jojoba oil), 스쿠알란(squalane), 폴리이소부텐(polyisobutene), 에칠헥실팔미테이트(ethylhexyl palmitate), 디메치콘(dimethicone, 20cs이상), 폴리글리세릴-2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triisostearate), C12-15 알킬벤조에이트(C12-15 alkyl benzoate),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iglyceride), 디이소프로필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diisopropyl dimer dilinoleate), 에칠헥실글리세릴팔미테이트(ethylhexylglyceryl palmitate), 이소프로필이소스테아레이트(isopropyl isostearate), 및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휘발성 오일은 사이클로펜타실록산 (cyclopentasiloxane), 사이클로헥사실록산(cyclohexasiloxane) , 디메치콘 ((dimethicone, 0.65~6CS), 메칠트리메치콘(methyl trimethicone), 카프릴릭메치콘(caprylic methicone), 이소도데칸 (isododecane), 이소헥사데칸(isohexadecane), C6-8이소파라핀(C6-8 isoparaffin), C8-9이소파라핀(C8-9 isoparaffin), C9-10이소파라핀(C9-10 isoparaffin) 및, C10-11이소파라핀(C10-11 isoparaffi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그먼트는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산화철류(Iron oxides), 탤크(talc), 세리사이트(sericite), 마이카(mica), 합성마이카(synthetic fluorphlogopite), 메칠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 우레탄계파우더(polyurethane-44 또는 polyurethane-45), 폴리메칠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polymethylsilsesquioxane), 실리카(silica), 나일론파우더(nylon), 및 이것들의 표면 개질한 안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a) 오일(oil)과 피그먼트(pigment)를 포함하는 복수의 시험 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시험 조성물 각각의 운동마찰계수를 측정하는 단계; 및
    (c) i) 운동마찰 계수와 ii) 오일과 피그먼트의 비율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목적하는 사용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선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스크리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과 피그먼트의 비율(PO ratio)은 하기 식에 의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리닝 방법.
    Figure 112014083092056-pat00009

  9. 제8항에 있어서,
    단계 (c)는 하기 단계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i) 운동마찰계수가 0.06~0.11이고, 상기 식의 오일과 피그먼트의 비율(PO ratio)이 0.49~0.94인 크림질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선별하는 단계;
    ii) 운동마찰계수가 0.11을 초과하고, 상기 식의 오일과 피그먼트의 비율(PO ratio)이 0.94를 초과하는 매트한 화장료 조성물을 선별하는 단계; 및
    iii) 운동마찰계수가 0.06 미만이고, 상기 식의 오일과 피그먼트의 비율(PO ratio)이 0.49 미만인 글리즈하고 미끈거리는 화장료 조성물을 선별하는 단계.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스크리닝한 화장료 조성물.
  11. 비휘발성 오일과 휘발성 오일과 피그먼트를 1.0 : 0 ~ 3.9 : 0.5 ~ 2.7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동마찰계수가 0.06~0.11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12. 비휘발성 오일과 휘발성 오일과 피그먼트를 0 ~ 1.0 : 2.7 ~ 20.0 : 2.7 ~ 18.0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동마찰계수가 0.11을 초과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13. 비휘발성 오일과 휘발성 오일과 피그먼트를 1.0 : 0 ~ 5.7 : 0.3 ~ 2.0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동마찰계수가 0.06 미만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20140115009A 2014-09-01 2014-09-01 매직센서리존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스크리닝 방법 및 제조방법 KR101495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5009A KR101495018B1 (ko) 2014-09-01 2014-09-01 매직센서리존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스크리닝 방법 및 제조방법
CN201510543721.1A CN105380828B (zh) 2014-09-01 2015-08-28 具有神秘感觉区的化妆品组合物、筛选方法及制备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5009A KR101495018B1 (ko) 2014-09-01 2014-09-01 매직센서리존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스크리닝 방법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018B1 true KR101495018B1 (ko) 2015-02-24

Family

ID=52594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15009A KR101495018B1 (ko) 2014-09-01 2014-09-01 매직센서리존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스크리닝 방법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95018B1 (ko)
CN (1) CN10538082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154A (ko)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아쉬세븐 피부 보습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756A (ko) * 2012-11-12 2014-05-21 코웨이 주식회사 광택감, 광택 지속력 및 사용감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2548A (ko) * 2012-12-05 2014-06-13 코웨이 주식회사 광택감 및 사용감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6241B2 (en) * 2001-08-17 2005-08-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nscreen composition
FR2855043B1 (fr) * 2003-05-22 2006-08-11 Oreal Composition de maquillage pour la peau et plus particulierement une composition de type fond de teint fluide, dotee de qualites d'application optimisees
US20050191328A1 (en) * 2004-02-26 2005-09-01 Toshiya Taniguchi Make-up composition
US20050191329A1 (en) * 2004-02-26 2005-09-01 Toshiya Taniguchi Solid water-in-oil emulsion make-up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756A (ko) * 2012-11-12 2014-05-21 코웨이 주식회사 광택감, 광택 지속력 및 사용감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2548A (ko) * 2012-12-05 2014-06-13 코웨이 주식회사 광택감 및 사용감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154A (ko)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아쉬세븐 피부 보습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8109B1 (ko) 2018-07-31 2020-03-11 주식회사 아쉬세븐 피부 보습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80828A (zh) 2016-03-09
CN105380828B (zh) 201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16489B (zh) 化妆品组合物
JP7021077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CN105982832B (zh) 固体型彩妆化妆品组合物
KR102467005B1 (ko) 케라틴 물질에 도포 후 다층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화장용 조성물
KR102235054B1 (ko) 끈적임이 개선된, 지속력 있고, 묻어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
CN109890352A (zh) 提供皮肤哑光和真实颜色的油包水乳液
KR20230061310A (ko) 즉각적인 결점 은폐용 화장료 조성물
EP3576845A1 (en) Topcoat for permanent lip make up
JP2016124846A (ja) 粉体化粧料
JP2023506988A (ja) 超持続性メイクアップファンデーション
JP2009235017A (ja) 非固形状油性化粧料
KR20150080826A (ko) 고체 유형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95018B1 (ko) 매직센서리존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스크리닝 방법 및 제조방법
JP2005314369A (ja) 固形油性化粧料
KR20180062144A (ko) 지속성이 우수한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3533860B2 (ja) 化粧料
KR101822002B1 (ko)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854536B1 (ko) 촉촉함이 우수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8168210B2 (en) Pressed powde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flaky glass
KR100715611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TW201841601A (zh) 油中水型乳化彩妝用化妝料
KR102131181B1 (ko)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428616B1 (ko) 고형상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US20230064727A1 (en)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JP2013043847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