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154A - 개선된 사용감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개선된 사용감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154A
KR20200048154A KR1020180129898A KR20180129898A KR20200048154A KR 20200048154 A KR20200048154 A KR 20200048154A KR 1020180129898 A KR1020180129898 A KR 1020180129898A KR 20180129898 A KR20180129898 A KR 20180129898A KR 20200048154 A KR20200048154 A KR 20200048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dimethicone
composition
pe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7340B1 (ko
Inventor
이소영
정하진
김경남
이수진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80129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340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개선된 사용감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 기술한다. 상기 조성물은 높은 자외선 차단지수를 나타내면서도 피부에 밀착력 및 발림성 등이 매우 우수한 개선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사용감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make-up cosmetic composition having improved feeling of use}
본 명세서는 개선된 사용감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 기술한다.
선크림과 메이크업베이스 등 기초 기능성 화장품과 파운데이션 등의 메이크업 기능을 복합적으로 포함하는 내용물을 특수 스펀지 재질에 흡수시켜 팩트형 용기에 담아낸 소위 쿠션 팩트 제품의 전 세계적 시장 확대가 진행되고 있다. 쿠션 팩트는 복합기능을 가지면서 사용상 간편성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에게 선호되기 때문에, 쿠션 팩트 만의 사용으로 메이크업 효과뿐 아니라 높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쿠션 팩트에 사용되는 내용물인 화장료 조성물은 높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면서도 피부 위에 균일하게 밀착되며 발림성이 우수한 메이크업 속성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높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유기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 성분이 고함량 함유될 필요가 있으나, 전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실리콘 오일과의 상용성이 좋지 않으며, 후자는 피그먼트 분산 안정도에 악영향을 주는 한계가 있다.
이에, 밀착력 및 발림성 등의 개선된 사용감을 나타내도록 하는 안료를 안정적으로 분산할 수 있고, 스펀지 등의 재질에 흡수되어 사용될 수 있는 저점도를 나타내면서도, 조성물 전체로서 안정성이 우수하며, 높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구현하기 위한 요구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77693호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개선된 사용감을 갖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밀착력 및 발림성 등이 우수하면서 높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밀착력 및 발림성 등이 우수하면서 분산 안정성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점도의 안정성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커버력, 밀착력 등의 메이크업 속성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개선된 사용감을 갖는 쿠션 팩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함침재 내부에 안정적으로 함침되고 배출력이 우수한 쿠션 팩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외선 차단 지수가 SPF 30이상, PA ++ 이상인 쿠션 팩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a) 폴리글리세릴기 함유 유화제, 분지형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계 유화제 및 직쇄형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계 유화제 중 2종 이상의 유화제,
(b) 아크릴계 분산제 및 소르비탄(sorbitan)계 분산제 중 1종 이상의 분산제,
(c) 실리콘/IPDI 공중합체(silicone/isophorone diisocyanate copolymer), 소이아민(soyamine)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의 혼합물; 또는 디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disodium stearoyl glutamate)를 포함하는 표면처리물질로 표면 처리된 안료인, 표면 처리 안료, 및
(d) 자외선 차단제,
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개선된 사용감을 갖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밀착력 및 발림성 등이 우수하면서 높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밀착력 및 발림성 등이 우수하면서 분산 안정성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저점도의 안정성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커버력, 밀착력 등의 메이크업 속성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개선된 사용감을 갖는 쿠션 팩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함침재 내부에 안정적으로 함침되고 배출력이 우수한 쿠션 팩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지수가 SPF 30이상, PA ++ 이상인 쿠션 팩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및 비교예 제형의 물성 평가에 따른 색소 분산성의 변화를 관찰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의 일부만을 도시하기도 하였으나, 당업자라면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평균 입경”이란 전자현미경 이미지 관찰, 레이저 회절법 등의 공지된 입도 분포 측정법에 의해 측정된 입도 분포에 기초하여, 그 체적 평균을 산출하여 구해지는 체적 평균 입경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함침재”란 화장료 조성물을 내부에 흡수하여 담지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담지체", "담체" 또는 "매개체"로도 표현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함침재는 내부에 담지된 물질을 별도의 도포구에 배출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포구”란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 대상인 피부 등에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의미하며, “도포수단”, “도포용 스펀지”, 또는 “어플리케이터(applicator)”라고도 표현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도포구는 퍼프, 팁, 브러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점도는 브룩필드 점도계 모델 DV-II+(Brookfield Viscometer Model DV-II+)를 사용하여 온도 30℃에서 64번 스핀들, 12rpm으로 1분간 측정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오픈 셀(open cell)”은 발포폼 내에 포함되는 셀로서, 전체가 개방(open)되어 있는 셀을 의미하며, “세미오픈 셀(semi-open cell)”은 셀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셀을 의미하며, “클로즈드 셀(closed cell)”은 셀의 적어도 일부분이 밀폐(closed)되어 있는 셀을 의미하며, “망상형 구조(reticulated structure)”는 클로즈드 셀, 세미오픈 셀 또는 오픈 셀의 발포폼 내 셀 벽을 제거시키는 망상화 공정(reticulation)을 거쳐 형성되는 것으로, 셀 벽이 거의 없는 그물망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특정 유화제, 특정 분산제와, 특정 표면 처리 물질로 표면처리된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고함량의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면서도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성분에 관하여 분설한다.
(a) 유화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분지형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계 유화제 및 직쇄형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계 유화제 중 2종 이상의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특정 유화제 조합을 사용하여 고함량의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조성물의 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특정 유화제 조합을 사용하여 표면 처리 안료를 포함하면서도 저점도인 조성물의 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유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이상, 0.05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0.2 중량% 이상, 0.3 중량% 이상, 0.4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0.6 중량% 이상, 0.7 중량% 이상, 0.8 중량% 이상, 0.9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또는 3.0 중량% 이상이고, 10.0 중량% 이하, 9.5 중량% 이하, 9.0 중량% 이하, 8.5 중량% 이하, 8.0 중량% 이하, 7.5 중량% 이하, 7.0 중량% 이하, 6.5 중량% 이하, 또는 6.0 중량% 이하, 5.5 중량% 이하, 5.0 중량% 이하, 4.5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또는 3.5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01 중량% 내지 10.0 중량%, 예를 들어 0.1 중량% 내지 6.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기(polyglyceryl group)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유화제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4 디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Polyglyceryl-4 Diisostearate/Polyhydroxystearate/Sebacate), 라우릴 폴리글리세릴-3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티콘(lauryl 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폴리글리세릴-3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티콘(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폴리글리세릴-3 디실록산 디메티콘(polyglyceryl-3 disiloxane dimethicone), 디메티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 폴리머(dimethicone/polyglycerin-3 crosspolymer), 라우릴 디메티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lauryl dimethicone/polyglycerin-3 crosspolymer), 폴리글리세릴-2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Dipolyhydroxystearate), 디이소스테아로일 폴리글리세릴-3 다이머 디리놀리에이트(DIISOSTEAROYL POLYGLYCERYL-3 DIMER DILINOLEATE), 폴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4 ISOSTEARATE)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이상, 0.05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0.2 중량% 이상, 0.3 중량% 이상, 0.4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0.6 중량% 이상, 0.7 중량% 이상, 0.8 중량% 이상, 0.9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또는 2.0 중량% 이상이고, 10.0 중량% 이하, 9.5 중량% 이하, 9.0 중량% 이하, 8.5 중량% 이하, 8.0 중량% 이하, 7.5 중량% 이하, 7.0 중량% 이하, 6.5 중량% 이하, 또는 6.0 중량% 이하, 5.5 중량% 이하, 5.0 중량% 이하, 4.5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또는 2.5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01 중량% 내지 10.0 중량%, 예를 들어 0.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분지형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계 유화제는 분지(branched) 구조를 갖는 PEG계 유화제로, 예를 들어 분지형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티콘 유화제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분지형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계 유화제는 라우릴 피이지-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티콘(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라우릴 피이지-8 디메티콘(Lauryl PEG-8 Dimethicone), 피이지-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티콘(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분지형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계 유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이상, 0.05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0.2 중량% 이상, 0.3 중량% 이상, 0.4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0.6 중량% 이상, 0.7 중량% 이상, 0.8 중량% 이상, 0.9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또는 2.0 중량% 이상이고, 10.0 중량% 이하, 9.5 중량% 이하, 9.0 중량% 이하, 8.5 중량% 이하, 8.0 중량% 이하, 7.5 중량% 이하, 7.0 중량% 이하, 6.5 중량% 이하, 또는 6.0 중량% 이하, 5.5 중량% 이하, 5.0 중량% 이하, 4.5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또는 2.5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01 중량% 내지 10.0 중량%, 예를 들어 0.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직쇄형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계 유화제는 분지(branched) 구조가 존재하지 않는 PEG계 유화제로, 예를 들어 직쇄형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티콘 유화제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직쇄형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계 유화제는 피이지/피피지-18/18 디메티콘(PEG/PPG-18/18 dimethicone), 피이지-10 디메티콘(bis-PEG-10 dimethicone), 비스-피이지/피피지-14/14 디메티콘(bis-PEG/PPG-14/14 dimethicone), 피이지/피피지-19/19 디메티콘(PEG/PPG-19/19 dimethicone), 세틸 피이지/피피지-10/1 디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직쇄형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계 유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이상, 0.05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0.2 중량% 이상, 0.3 중량% 이상, 0.4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0.6 중량% 이상, 0.7 중량% 이상, 0.8 중량% 이상, 0.9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또는 2.0 중량% 이상이고, 10.0 중량% 이하, 9.5 중량% 이하, 9.0 중량% 이하, 8.5 중량% 이하, 8.0 중량% 이하, 7.5 중량% 이하, 7.0 중량% 이하, 6.5 중량% 이하, 또는 6.0 중량% 이하, 5.5 중량% 이하, 5.0 중량% 이하, 4.5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또는 2.5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01 중량% 내지 10.0 중량%, 예를 들어 0.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분지형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계 유화제 및 직쇄형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계 유화제 중 2종 이상의 특정 조합을 포함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특정 분산제와의 조합을 통하여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가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분지형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경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와 분지형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계 유화제의 중량비는 10:1 ~ 1:1 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1 ~ 1:1 일 수 있다.
상기 유화제가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직쇄형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경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와 직쇄형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계 유화제의 중량비는 10:1 ~ 1:1 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1 ~ 1:1 일 수 있다.
상기 유화제가 분지형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계 유화제 및 직쇄형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경우 분지형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계 유화제와 분지형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계 유화제의 중량비는 10:1 ~ 1:1 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1 ~ 1:1 일 수 있다.
상기 유화제가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분지형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계 유화제 및 직쇄형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경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분지형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계 유화제 및 직쇄형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계 유화제의 중량비는 0.1~10 : 0.1~10 : 0.1~10 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1~4 : 0.1~2 : 0.01~2 일 수 있다.
(b) 분산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아크릴계 분산제 및 소르비탄(sorbitan)계 분산제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분산제와 상술한 특정 유화제와의 조합을 통하여 고함량의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분산제와 상기 특정 유화제 조합을 포함하여 후술하는 표면 처리 안료의 분산 안정성을 구현하여 저점도에서도 안정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분산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이상, 0.05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0.2 중량% 이상, 0.3 중량% 이상, 0.4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0.6 중량% 이상, 0.7 중량% 이상, 0.8 중량% 이상, 0.9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또는 2.0 중량% 이상이고, 10.0 중량% 이하, 9.5 중량% 이하, 9.0 중량% 이하, 8.5 중량% 이하, 8.0 중량% 이하, 7.5 중량% 이하, 7.0 중량% 이하, 6.5 중량% 이하, 또는 6.0 중량% 이하, 5.5 중량% 이하, 5.0 중량% 이하, 4.5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또는 2.5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01 중량% 내지 10.0 중량%, 예를 들어 0.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아크릴계 분산제는 아크릴계 백본(backbone)과 디메티콘 측쇄(side chian)을 함유하는 분산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계 분산제는 아크릴레이트/디메티콘 코폴리머(Acrylate/Dimethicone Copolymer, 아크릴레이트/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디메티콘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s/Ethylhexyl Acrylate/Dimethicone MethacrylateCopolymer)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소르비탄(sorbitan)계 분산제는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Sorbitan sesquioleate),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Sorbitan monolaurate, Sorbitan monopalmitate),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Sorbitan monostearate, Sorbitan monooleate), 소르비탄 트리올리에이트(Sorbitan trioleate),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Sorbitan isostearate)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c) 표면 처리 안료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표면 처리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표면 처리 안료”는 안료를 표면 처리 물질로 코팅한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면 처리 안료는 특정 표면 처리를 통하여 우수한 발색력과 함께 밀착력 및 발림성이 현저하게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용매에 용해되지 않고 분산되어 존재하는 미세 분체로서, 피그먼트라고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료는 무기안료일 수 있다. 상기 무기안료는 화장품에 색상을 부여하는 착색안료(coloring pigment), 피부의 커버력(covering power)을 조절하는 백색안료(white pigment), 착색안료의 희석제로서 색조를 조정하고 제품의 전연성, 부착성 등 사용감촉과 제품의 제형화에 역할을 하는 체질안료(extender pigment) 및 색상에 진주광택을 주며, 홍채색 또는 금속 광채를 부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특수한 광학적 효과를 갖고 있는 진주광택안료(pearlescent pigment) 등으로 더 분류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무기안료는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산화철 중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상기 산화철은 황색 산화철, 적색 산화철, 흑색 산화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후술하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서 사용되는 것과는 별개의 성분이며, 상기 안료는 평균 입경 0.1 ㎛ 이상, 0.2 ㎛ 이상, 0.5 ㎛ 이상, 1.0 ㎛ 이상, 10㎛ 이상, 20㎛ 이상, 30㎛ 이상, 40㎛ 이상, 50㎛ 이상,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 90㎛ 이상, 100㎛ 이상, 110㎛ 이상, 120㎛ 이상, 130㎛ 이상, 140㎛ 이상, 150㎛ 이상, 160㎛ 이상, 170㎛ 이상, 180㎛ 이상, 190㎛ 이상, 또는 200㎛ 이상이고, 300㎛ 이하, 290㎛ 이하, 280㎛ 이하, 270㎛ 이하, 260㎛ 이하, 250㎛ 이하, 240㎛ 이하, 230㎛ 이하, 220㎛ 이하, 또는 210㎛ 이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1 ㎛ 내지 0.3 ㎛, 예를 들어 약 0.2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평균 입경은 표면 처리된 안료의 평균 입경을 의미한다.
일 예에서, 상기 안료는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산화철일 수 있으며, 표면 처리된 티타늄디옥사이드와 표면 처리된 산화철의 중량비는 안료가 구현하고자 하는 색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표면 처리된 티타늄디옥사이드와 표면 처리된 황색 산화철의 중량비는 1~7:1, 3~5:1, 3:1 또는 4:1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표면 처리 물질은 실리콘/IPDI 공중합체(silicone/isophorone diisocyanate copolymer), 소이아민(soyamine)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의 혼합물; 또는 디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disodium stearoyl glutamate)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표면 처리 물질은 안료 전체 중량에 대하여 2 중량% 이상, 또는 3 중량% 이상이고, 4 중량% 이하, 또는 5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4 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IPDI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디메티콘/IPDI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구체예에서, 비스-피이지-15 디메티콘/IPDI 공중합체(bis-PEG-15 dimethicone)일 수 있다.
상기 소이아민은 소이산(soy acid)으로부터 유래한 1차 지방족 아민으로, 소이빈아민(soyabeanamine) 또는 아민, 소야 알킬(Amines, soya alkyl)로도 지칭되며, 예를 들어 PEG 소이아민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소이아민은 피이지-2 소이아민(PEG-2 soyamine), 피이지-5 소이아민(PEG-5 soyamine), 피이지-10 소이아민(PEG-10 soyamine), 피이지-15 소이아민(PEG-15 soyamine), 피이지-25 소이아민(PEG-25 soyamine) 중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피이지-2 소이아민일 수 있다.
상기 알킬티타늄지방산염에서의 알킬은 지방족 포화 탄화수소에서 수소 원자 1개를 제거한 나머지의 원자단을 가지는 치환기를 지칭하며, C1-10의 탄소 분포를 가지는 직쇄형, 또는 측쇄형 알킬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예로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so-프로필기, n-부틸기, iso-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알킬티타늄지방산염에서의 지방산염은 C12-24의 탄소분포를 가지는 지방산염일 수 있으며, 일례로 스테아르산, 아라키드산, 베헨산, 리그노세르산, 미리스트산, 라우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팔미트산, 올레산, 이소프로필스테아르산, 이소프로필아라키드산, 이소프로필베헨산, 이소프로필리그노세르산, 이소프로필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라우르산, 이소프로필리놀레산, 이소프로필리놀렌산, 이소프로필팔미트산, 이소프로필올레산 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알킬티타늄지방산은 이소프로필티타늄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isopropyl titanium triisostearate)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IPDI 공중합체, 소이아민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은 표면 처리 대상인 안료의 흡유량에 따라 그 혼합 비율이 상이해질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실리콘/IPDI 공중합체, 소이아민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의 중량비는 0.1~10 : 1 : 0.1~10일 수 있으며, 상기 0.1~10은 바람직하게 0.1 이상, 0.2 이상, 0.3 이상, 0.4 이상, 0.5 이상, 0.6 이상, 0.7 이상, 0.8 이상, 0.9 이상, 1 이상, 1.5 이상, 2 이상, 2.5 이상, 3 이상, 3.5 이상, 4 이상, 또는 4.5 이상이고, 5 이하, 5.5 이하, 6 이하, 6.5 이하, 7 이하, 7.5 이하, 8 이하, 8.5 이하, 9 이하, 9.5 이하, 또는 10 이하의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예에서, 안료로 산화철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실리콘/IPDI 공중합체, 소이아민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의 중량비는 7:1:8일 수 있으며, 안료로 이산화티탄을 사용하는 경우 실리콘/IPDI 공중합체, 소이아민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의 중량비는 1:1:5일 수 있다. 안료의 흡유량이 높으면 실리콘/IPDI의 혼합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표면 처리 물질은 비스-피이지-15 디메티콘/IPDI 공중합체(bis-PEG-15 dimethicone/IPDI copolymer), 피이지-2 소이아민(PEG-2 soyamine) 및 이소프로필티타늄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isopropyl titanium triiostearate)의 혼합물; 또는 디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disodium stearoyl glutamate)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표면 처리는 기술분야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에 따라 안료 분체를 표면 처리 물질로 코팅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면 처리는 상기 표면 처리 물질이 안료의 표면 상에서 화학적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표면 처리 안료는 화장료 조성물이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인 경우 외상인 유상에 분산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표면 처리 안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중량% 이상, 6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8 중량% 이상, 9 중량% 이상, 또는 10 중량% 이상이고, 11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3 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또는 15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8 중량% 내지 1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d) 자외선 차단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제를 고함량으로 함유하면서도 표면 처리 안료 존재 하에서 분산성이 우수하며, 경시 안정성이 현저하게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4.0 중량% 이상, 4.5 중량% 이상, 5.0 중량% 이상, 5.5 중량% 이상, 6.0 중량% 이상, 6.5 중량% 이상, 7.0 중량% 이상, 7.5 중량% 이상, 8.0 중량% 이상, 8.5 중량% 이상, 9.0 중량% 이상, 9.5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1 중량% 이상, 12 중량% 이상, 13 중량% 이상, 14 중량% 이상, 또는 15 중량% 이상이고, 40 중량% 이하, 39 중량% 이하, 38 중량% 이하, 37 중량% 이하, 36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4 중량% 이하, 33 중량% 이하, 32 중량% 이하, 31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9 중량% 이하, 28 중량% 이하, 27 중량% 이하, 26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24 중량% 이하, 23 중량% 이하, 22 중량% 이하, 21 중량% 이하, 또는 20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1 중량% 내지 40중량%, 예를 들어 6.0 중량% 내지 2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우수한 자외선 차단지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화장료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이면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octyl methoxycinnamate),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isoamyl-p-methoxycinnamate), 에틸헥실 p-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p-methoxycinnamate) 등의 신나메이트(cinnamate)계 자외선 차단제; 옥틸살리실레이트(octyl salicylate) 등의 살리실레이트(salicylate)계 자외선 차단제; 옥틸디메틸 p-아미노벤조에이트(octyldimethyl p-aminobenzoate) 등의 PABA(p-aminobenzoic acid)계 자외선 차단제; 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hydroxyl-4-methoxybenzophenone) 등의 벤조페논(benzophenones)계 자외선 차단제; 안트라닐레이트(anthranilates)계 자외선 차단제, 옥토크릴렌(octocrylen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phenylbenzimidazole sulfonic acid), 옥시벤존(oxybenzone), 옥틸트리아존(octyltriazone), 멘틸안트라닐레이트(menthyl anthranilate), 3,4-메틸벤질리덴 캠퍼(3, 4-methylbenzylidene camphor), 우로카닉애씨드(urocanic acid), 우로카닉애씨드 에틸에스테르(urocanic acid ethyl ester), 5-메틸-2-페닐벤족사졸(5-Methyl-2-phenyl-benzooxazole),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2(2'-Hydroxy-5'-methyl-phenyl)benzotriazole), 2-(2'-하이드록시-5'-t-옥틸페닐)-2H-벤조트리아졸(2-(2'-hydroxy-5'-t-octylphenyl)benzotriazole), 디벤잘하이드라진(dibenzalhydrazine), 디아니소일메탄(dianisoylmethane), 4-메톡시-4'-t-부틸 디벤조일메탄(4-methoxy-4'-t-butyldibenzoylmethane), 5-(3,3-디메틸-2-노보나디엔)-3펜탄-2-온(5-(3,3-dimethyl-2-norbornylidene)-3-pentane-2-one),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triazine),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 butylpheno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4.0 중량% 이상, 4.5 중량% 이상, 5.0 중량% 이상, 5.5 중량% 이상, 6.0 중량% 이상, 6.5 중량% 이상, 7.0 중량% 이상, 7.5 중량% 이상, 8.0 중량% 이상, 8.5 중량% 이상, 9.0 중량% 이상, 또는 9.5 중량% 이상이고, 15 중량% 이하, 14.5 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3.5 중량% 이하, 13 중량% 이하, 12.5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1.5 중량% 이하, 11 중량% 이하, 10.5 중량% 이하, 또는 10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1 중량% 내지 15.0 중량%, 예를 들어 6.0 중량% 내지 1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피부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높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화장료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이면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미립자 이산화티탄(TiO2), 미립자 산화아연(ZnO)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상술한 표면 처리 안료에서 사용되는 안료와는 별개의 것으로, 일 예에서, 200nm 이하 또는 100nm 이하의 미립자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4.0 중량% 이상, 4.5 중량% 이상, 5.0 중량% 이상, 5.5 중량% 이상, 6.0 중량% 이상, 6.5 중량% 이상, 7.0 중량% 이상, 7.5 중량% 이상, 8.0 중량% 이상, 8.5 중량% 이상, 9.0 중량% 이상, 또는 9.5 중량% 이상이고, 20 중량% 이하, 19.5 중량% 이하, 19 중량% 이하, 18.5 중량% 이하, 18 중량% 이하, 17.5 중량% 이하, 17 중량% 이하, 16.5 중량% 이하, 16 중량% 이하, 15.5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4.5 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3.5 중량% 이하, 13 중량% 이하, 12.5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1.5 중량% 이하, 11 중량% 이하, 10.5 중량% 이하, 또는 10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1 중량% 내지 20.0 중량%, 예를 들어 4.0 중량% 내지 1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우수한 사용감을 유지하면서 높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평균 입경이 200nm 이하, 예를 들어 10nm 내지 200nm, 예를 들어 10nm 내지 100nm 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가 미립자 이산화티탄인 경우, 평균 입경은 100nm 미만, 95nm 이하, 90nm 이하, 85nm 이하, 80nm 이하, 75nm 이하, 70nm 이하, 65nm 이하, 60nm 이하, 55nm 이하, 50nm 이하, 45nm 이하, 40nm 이하, 35nm 이하, 30nm 이하 또는 25nm 이하이고, 10nm 이상, 11nm 이상, 12nm 이상, 13nm 이상, 14nm 이상, 15nm 이상, 16nm 이상, 17nm 이상, 18nm 이상, 19nm 이상, 또는 20nm 이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nm 이상 100nm 미만, 또는 15nm 내지 30nm일 수 있다.
일 예에서, 미립자 산화아연의 평균 입경은 200nm 이하, 190nm 이하, 180nm 이하, 170nm 이하, 160nm 이하, 150nm 이하, 140nm 이하, 130nm 이사, 120nm 이하, 110nm 이하, 100nm 이하, 90nm 이하, 85nm 이하, 80nm 이하, 75nm 이하, 70nm 이하, 65nm 이하, 60nm 이하, 55nm 이하, 50nm 이하, 45nm 이하, 40nm 이하, 35nm 이하, 또는 30nm 이하이고, 10nm 이상, 11nm 이상, 12nm 이상, 13nm 이상, 14nm 이상, 15nm 이상, 16nm 이상, 17nm 이상, 18nm 이상, 19nm 이상, 20nm 이상, 21nm 이상, 22nm 이상, 23nm 이상, 24nm 이상, 또는 25nm 이상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고,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며 백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e) 실리콘 오일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 오일은 제형에 실키하고 가벼운 사용감을 부여할 수 있어 화장료 제형에 널리 사용되나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고함량으로 포함되는 화장료의 경우,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의 상용성이 좋지 않아 분산 안정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특정 유화제 및 분산제를 포함하여 고함량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실리콘 오일을 동시에 포함하면서도 분산 안정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디메티콘(dimethicone), 사이클로메티콘(cyclomethicone), 알킬트리메티콘(alkyltrimethicone), 메틸페닐실록산(methylphenylsiloxane, 트리실록산(trisiloxane),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decamethylcyclopentasiloxane), 사이클로페닐메티콘(cyclophenylmethicone), 카프릴디메티콘(caprylyl dimethicone), 카프릴릴트리메티콘(caprylyl trimethicone), 카프릴릴메티콘(caprylyl methicone), 세테아릴메티콘(cetearyl methicone), 헥사데실메티콘(hexadecyl methicone), 헥실메티콘(hexyl methicone), 라우릴메티콘(lauryl methicone), 미리스칠메티콘(myristyl methicone), 페닐메티콘(phenyl methicone), 스테아릴메티콘(stearyl methicone), 스테아릴디메티콘(stearyl dimethicone), 트리플루오로프로필메티콘(trifluoropropyl methicone), 세틸디메티콘(cetyl dimethicone), 폴리페닐메틸실록산(polyphenylmethylsiloxane), 디메틸폴리실록산(dimethylpolysilioxane), 메틸페닐폴리실록산(methylphenylpolysiloxane),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사이클로헥사실록산(cyclohexasiloxane), 사이클로헵타실록산(cycloheptasiloxane),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cyclotetrasiloxane), 사이클로트리실록산(cyclotrisiloxane), 메틸트리메치콘(methyl trimethicone),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diphenylsiloxypheyl trimethicone), 및 페닐트리메티콘(phenyltrimethicon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0.01 중량% 이상, 0.05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4.0 중량% 이상, 4.5 중량% 이상, 5.0 중량% 이상, 5.5 중량% 이상, 6.0 중량% 이상, 6.5 중량% 이상, 7.0 중량% 이상, 7.5 중량% 이상, 8.0 중량% 이상, 8.5 중량% 이상, 9.0 중량% 이상, 9.5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1 중량% 이상, 12 중량% 이상, 13 중량% 이상, 14 중량% 이상, 또는 15 중량% 이상이고, 40 중량% 이하, 39 중량% 이하, 38 중량% 이하, 37 중량% 이하, 36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4 중량% 이하, 33 중량% 이하, 32 중량% 이하, 31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9 중량% 이하, 28 중량% 이하, 27 중량% 이하, 26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24 중량% 이하, 23 중량% 이하, 22 중량% 이하, 21 중량% 이하, 또는 20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01 중량% 내지 40.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점도가 8000cps 이상, 9000 cps 이상, 10000cps 이상, 11000cps 이상, 12000cps 이상, 13000cps 이상, 14000cps 이상, 15000cps 이상, 16000cps 이상, 17000cps 이상, 또는 18000cps 이상이고, 25000cps 이하, 24000cps 이하, 23000cps 이하, 22000cps 이하, 21000cps 이하, 또는 20000cps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은 8000 cps 내지 25000 cps의 점도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함침재 내부에 함침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점도 범위 내에서 함침재 내에 균일한 조성으로 함침이 용이하고, 함침재로부터 배출이 용이하며, 피부 도포시 끈적임 없이 산뜻한 사용감을 나타낼 수 있다. 점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재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함침되지 않고 하부로 가라앉아 사용이 불편하거나, 보관 시 화장료 조성물이 제품 외부로 누출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점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함침재 내부로 화장료 조성물의 함침이 어려우며, 피부 도포 시 끈적이고 무거운 사용감을 나타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유중수(W/O)형 유화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형으로 흐름성 있는 화장료, 예를 들어 메이크업 프라이머, 메이크업베이스, 스킨커버, 파운데이션, 립스틱, 립글로스, 리퀴드 아이섀도우, 아이브라우, 리퀴드 컨실러, 리퀴드 블러셔 등의 다양한 제형의 화장품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손이나 도포구를 통해 도포 대상인 피부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임의의 유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유화는 유상부 및 수상부를 제조하고 이들을 혼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화장품 제조 분야에서 사용하는 통상의 혼합기, 균일화기, 호모게나이저, 또는 고압 호모게나이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시 교반 속도는 사용하는 장치 및 조성 함량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지수 SPF 30 이상, SPF 40 이상 또는 SPF 50 이상일 수 있으며, PA ++ 이상 또는 PA +++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재에 함침된 이른바 쿠션 팩트에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소망하는 바에 따른 메이크업 효과와 현저히 높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동시에 가져 한번의 사용으로 간편하게 복합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SPF 50 이상 및 PA +++ 이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발림성 및 밀착성이 현저하게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발림성은 화장료 조성물이 도포될 때에, 피부에 저항 없이 부드럽고 고르게 펴발리는 정도를 의미하며, 상기 밀착력은 화장료 조성물이 도포 시 피부에 잘 고정되며, 도포 후 화장료 조성물이 도포된 부위를 만졌을 때 화장료가 잔여감 없이 피부에 흡수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재에 함침된 이른바 쿠션 팩트에 적용되는 경우, 함침재로부터 도포구에 의해 전달된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에 저항 없이 균일하고 부드럽게 펴발리는 발림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재에 함침된 이른바 쿠션 팩트에 적용되는 경우, 함침재로부터 도포구에 묻혀 피부에 두드려 도포할 때에 피부 상에 도포되는 화장료 조성물이 잘 고정되어 밀착되며, 도포 후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2-3분) 경과에 의해 피부에 충분히 흡수되어 잔여감 없이 밀착되는 밀착감이 우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고함량의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분산된 상태의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고함량의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면서도 안료 분산을 저해하지 않고 안정적인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고함량의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면서도 실리콘 오일과의 상용성을 증진시켜 조성물의 안정성이 우수한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저점도에서도 안료 및 자외선 차단제 성분이 안정적으로 분산된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특정 유화제 및 분산제와 표면 처리 안료를 포함하여 높은 자외선 차단 효과와 밀착감 및 발림성 등의 메이크업 속성이 개선된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함량의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면서도 화장료의 제형 안정성과 안료의 분산 안정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높은 자외선 차단 효과와 메이크업 속성이 개선되면서 함침재에 함침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안정한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한 물질 이외에 다른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다른 성분으로 보습제, 지방산, 방부제, pH 조절제, 산화 방지제, 염료, 향료, 안정화제, 점증제 등을 들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다른 성분의 함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예를 들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중량% 내지 5 중량%, 또는 0.01 내지 3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보습제는 에리트리톨, 자일리톨, 말티톨, 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폴리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1,2-펜탄디올, 이소프로필렌글리콜, 아미노산, 락트산나트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크실로글루칸, 모과 종자, 카라기난, 펙틴, 만난, 커들란, 갈락탄, 데르마탄 황산염, 글리코겐, 케라탄 황산염, 콘드로이틴, 뮤코이틴황산, 케라토 황산염, 로커스트빈검, 숙시노글리칸, 칼로님산(Calonym acid), 히알루론산, 헤파린 황산염, 히알루론산나트륨, 콜라겐, 무코 다당류, 콘드로이틴 황산염,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실록산, 유산균 또는 비피더스균의 배양 상청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지방산은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렌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점증제는 화장료 조성물로의 사용시에 적절한 점도를 제공하여 사용감을 높이기 위한 것이며, 알긴산나트륨, 크산탄 고무, 규산알루미늄, 모과 종자 추출물, 아라비아 고무, 히드록시에틸 구아 고무, 카르복시메틸 구아 고무, 구아 고무, 덱스트란, 트래거캔스 고무,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질은 망고 버터, 시어(Shea) 버터, 코코아 시드 버터, 마카다미아넛 오일, 바틸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방부제는 벤조산염, 살리실산염, 소르브산염, 디히드로아세트산염,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3,3,4-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 염화벤잘코늄, 히노키티올, 레조르신,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등의 파라벤류, 페녹시에탄올, 옥탄디올, 헥산디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pH 조절제는,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붕산, 붕사(borax), 인산수소칼륨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산화 방지제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산프로필, 아스코르브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 일실시예들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함침재 내부에 함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함침재는 내부에 담지된 물질을 별도의 도포구에 배출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함침재는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하기 위한 발포폼(또는 스펀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발포폼은 발포 재질로 사용 가능한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지만, 함침재로서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 구체적인 재질, 셀 구조, 셀 크기, 포어 수, 밀도, 경도 등의 구체적 특성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함침재로서 요구되는 물성은 예를 들어 흡수성, 충진능, 담지능, 내구성, 배출능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흡수성은 함침재가 화장료 조성물을 흡수하여 함침재 내부 전체를 통하여 균일하게 담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흡수성이 높다는 것은 함침재와 화장료 조성물 간의 상용성이 우수한 것이며, 흡수성이 높을수록 고온 조건 보관 시 화장료 조성물 증발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충진능은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재 내부로 충진시킬 때에 화장료 조성물이 용이하게 함침재 내부 전체로 균일하게 담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충진능이 우수하다는 것은 화장료 조성물을 동일 조건과 압력으로 충진시킬 때에 화장료 조성물이 빠른 속도로 균일하게 충진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담지능은 함침재가 화장료 조성물을 보유하여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담지능이 우수하다는 것은 화장료 조성물을 장기간 동안 균일하게 담지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함침재의 담지능은 화장료 조성물을 전달을 위해 도포구에 일시적으로 취출되는 것, 도포구에 일시적으로 묻히는 것과는 구분되는 것이다.
상기 내구성은 화학적 내구성과 물리적 내구성을 포함한다. 화학적 내구성은 함침재가 화장료 조성물이 담지된 상태로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방치한 경우 함침재가 녹거나 찢어지는 등의 손상이나 팽창과 같은 변형이 일어나지 않고 초기 상태를 유지하는 성질을 의미한다. 물리적 내구성은 함침재에 물리적 자극,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의 취출을 위해 도포구를 함침재에 반복적으로 접촉 및 압력을 가하는 경우에 함침재에 인가된 압력 및 마찰에 대하여 견디는 성질을 의미한다. 따라서 내구성이 높다는 것은 함침재가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한 상태로 일정 조건에서 장기간 변형 또는 손상 없이 유지되며, 도포구에 의해 반복적으로 물리적 마찰과 압력을 받더라도 함침재의 손상 또는 변형 없이 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배출능은 함침재 내부에 담지된 화장료 조성물이 사용 시에 적절한 양으로 배출되는 능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배출능은 일정 압력으로 함침재에 도포구를 접촉하여 화장료 조성물이 도포구에 묻어나는 양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배출능이 너무 높거나 낮을 경우 화장료 조성물이 과도하게 묻어나거나 지나치게 소량 만이 묻어나 사용이 불편하므로, 함침재에 인가되는 압력에 따라 적당량의 화장료 조성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적절한 배출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함침재로서 요구되는 물성들은 함침재의 재질, 셀 구조, 셀 크기, 셀 수, 밀도, 경도 등의 구체적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함침재는 다공성의 발포폼일 수 있다.
상기 발포폼의 재질은 합성수지 스펀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우레탄, 발포 우레탄, 라텍스, 부타디엔 고무(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천연 고무(Natural Rubber), 클로로프렌 고무(CR), 부틸고무(isoprene-isobutylene rubber:IIR), 이소프렌 고무(IR), 가황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다황화물 고무(Polysulfide rubber),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 플루오로고무(fluororubber), 우레탄고무(urethane rubber),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 폴리비닐알코올(PVA),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NR(Nitrile Rubber) 등의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발포폼은 건식 폴리에테르계 우레탄 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발포폼의 셀 구조는 함침재로서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오픈 셀(open cell), 세미오픈 셀(semi-open cell), 클로즈드 셀(closed cell), 또는 망상형(reticulated) 구조 일 수 있으며, 이들이 각각 형성되거나 이들 중 2종 이상이 조합된 형태일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함침재의 기공 내에 함침되고, 도포구에 의해 배출 되는데, 이때 기공이 형성된 발포폼의 셀 구조가 클로즈드 셀인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함침 및 배출이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상기 함침재는 100% 클로즈드 셀인 경우를 제외하고, 오픈 셀, 세미오픈 셀, 망상형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셀 구조는 발포폼의 제조에 따라 클로즈드 셀이 일부 포함될 수도 있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망상형 구조의 발포폼을 사용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의 흡수능, 담지능 및 배출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오픈 셀, 반오픈 셀 및 망상형 구조의 발포폼은 단면을 잘라서 사진 촬영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상기 발포폼의 셀 크기는 발포폼 내 담지된 화장료 조성물의 흡수성, 충진능, 담지능, 내구성 및 배출능 모두에 관련될 수 있으며, 발포폼 자체의 사용감과도 관련이 있다. 발포폼의 셀 크기는 광학 현미경(NIKON ECLIPSE 80i)으로 측정한 평균치일 수 있다. 셀 크기는 발명의 의도한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수준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크기는 100 ㎛ 내지 900 ㎛, 구체적으로 300 ㎛ 내지 700 ㎛일 수 있다. 셀 크기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담지능이 높더라도 화장료 조성물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화장료 조성물의 담지능이 저하되면서 배출량이 지나치게 많아질 수 있고, 발포폼의 표면이 거칠어질 수 있어 도포구에 배출 시 사용감이 부드럽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발포폼의 밀도는 발포폼 내부에 화장료 조성물을 어느 정도 흡수 및 담지할 수 있는지와 배출이 가능한지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밀도는 1.0 ~ 3.0 pcf(pounds per cubic feet)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5 ~ 2.5 pcf 일 수 있다. 상기 발포폼의 밀도가 1.0 미만일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이 너무 많이 묻어날 수 있어 사용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밀도가 3.0을 초과하면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될 수 있는 기공이 부족하여 효과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발포폼의 포어 수는 셀의 개수와 관련된 것으로 함침재 자체의 물성, 즉 연성, 탄성, 유연성, 부드러운 느낌, 푹신한 느낌 등과 관련된다. 상기 포어 수는 발포폼의 1 제곱인치 당 포어 수(pores per square inch)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포어 수는 40 내지 120 ppi(1인치 내의 포어 수)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 ppi일 수 있다. 상기 발포폼의 포어 수가 40 ppi 미만이면 폼의 탄성이 떨어지며 화장료 조성물의 유동성을 제어하기가 어렵고, 포어 수가 120 ppi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 시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발포폼의 경도는 애스커(ASKER, 제조원) 듀로미터 경도(DUROMETER HARDNESS) 측정기(F 형(Type F))로 측정했을 때의 경도로서, 조성물이 발포폼에 담지되기 전의 경도를 의미한다. 상기 경도는 발포폼 내 담지된 화장료 조성물의 배출능과 관련된 파라미터로, 경도가 너무 높거나 낮은 경우 배출이 지나치게 많거나 너무 적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도는 애스커(ASKER) 경도기 F 형(Type F) 기준으로 50 ~ 95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 만일, 경도가 50 미만인 경우 도포구를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취출할 때에 폴리우레탄 폼에 함침시킨 화장료 조성물이 과도하게 배출될 수 있으며, 경도가 95 초과로 너무 딱딱하면 화장료 조성물이 쉽게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발포폼은 피막 가공 폼 또는 플록(flock) 가공 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막 가공 폼은 고무, 폴리비닐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고분자 폼에 막을 입힌 것으로, 피막 가공 전 폼에 비해 일반적으로 셀의 크기가 작다. 상기 플록 가공 폼은 고분자 폼에 섬유를 붙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섬유는 코튼, 아크릴, 폴리아미드,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실크 및 레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코튼, 아크릴, 폴리아미드,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실크, 코튼과 아크릴, 코튼과 레이온,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 및 코튼, 아크릴과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포폼의 지름과 두께는 화장 용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발포폼의 지름은 30mm 내지 70mm 또는 40mm 내지 60mm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의 토출량이 적절할 수 있다. 상기 발포폼의 두께는 1mm 내지 50mm, 예를 들어 5mm 내지 30mm, 6mm 내지 29 mm, 7mm 내지 28 mm, 8mm 내지 27 mm, 9mm 내지 26 mm 또는 10mm 내지 25 mm일 수 있다.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화장료 조성물의 담지량이 적을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사용시 내용물의 배출에 있어서 그 내용물의 잔량 없이는 배출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함침재를 수납하는 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팩트타입 용기일 수 있다.
상기 발포폼은 발포폼은 용기와 분리 가능한 것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발포폼이 분리된 용기에 화장료 조성물을 원하는 대로 채워 넣은 후 발포폼을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발포폼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화장품은 함침재와 별도의 도포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용기는 상기 함침재 및 도포구를 수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품은 함침재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구에 묻혀 도포대상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 시 화장료 조성물이 손에 묻지 않아 사용이 간편하며, 위생적이다.
상기 도포구의 재질 및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나,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할 때 선이나 점등의 자국이 생기지 않고 매끈하게 도포되어야 하므로 포어가 미세하고, 피부에 직접 닿기 때문에 부드럽고 쿠션감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에서 상기 도포구는 발포폼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포구로 피부에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할 때 도포구는 화장료 조성물을 일시적으로 머금어, 도포시 축축한 불쾌감을 줄 수 있으며, 도포구에 일시적으로 흡수된 상태로 외부에 노출되었던 화장료 조성물이 재차 피부에 도포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도포구는 화장료 조성물을 과도하게 흡수하지 않는 것이 유리하고, 화장료 조성물이 묻혀졌을 때 팽창되지 않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포구는 함침재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을 용이하게 취출하고, 피부에 용이하게 도포되고, 피부 도포시 우수한 사용감을 나타낼 것을 요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도포구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천연 고무(NR),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부틸 고무(EVA), 라텍스, 실리콘,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폴리비닐알코올(PVA), 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네오프렌®,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및 에테르계 폴리우레탄과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조된 폼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은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시험예 1] 표면 처리 안료의 제조
안료인 티타늄디옥사이드와 산화철 각각을 표면 처리 물질로 코팅하여 표면 처리 안료 1 및 2를 제조하였다. 상기 각각의 표면 처리 안료 총 중량에 대하여 표면 처리 물질 4중량%를 사용하였다. 제조예 1은 티타늄디옥사이드 96중량%에 대하여 표면 처리 물질 총 4중량%를 포함하며, 표면 처리 물질은 비스-피이지-15 디메티콘/아이피디아이코폴리머, 피이지-2소이아민 및 이소프로필티타늄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를 중량비 1:1:5로 포함하는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제조예 2는 산화철 96중량%에 대하여 표면 처리 물질 총 4중량%를 포함하며, 표면 처리 물질은 비스-피이지-15 디메티콘/아이피디아이코폴리머, 피이지-2소이아민 및 이소프로필티타늄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를 중량비 7:1:8로 포함하는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제조예 3은 티타늄디옥사이드 96중량%에 대하여 표면 처리 물질 총 4중량%를 포함하며, 표면 처리 물질은 디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를 사용하였다. 제조예 4는 산화철 96중량%에 대하여 표면 처리 물질 총 4중량%를 포함하며, 표면 처리 물질은 디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를 사용하였다.
표면 처리된 산화철은 표면 처리된 황색산화철 : 표면 처리된 적색산화철 : 표면 처리된 흑색산화철을 15 : 3.5 : 1.5 비율로 혼합한 것이다.
(중량%) 표면처리안료 1 표면처리안료 2
표면처리물질 이소프로필티타늄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비스-피이지-15디메티콘/아이피디아이코폴리머, 피이지-2소이아민 디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제조예 1(표면처리된 티타늄디옥사이드) 80 -
제조예 2(표면처리된 산화철) 20 -
제조예 3(표면처리된 티타늄디옥사이드) - 80
제조예 4(표면처리된 산화철) - 20
[ 시험예 2]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의 자외선 차단제, 유성 성분 및 유화제, 분산제를 혼합하고 실온에서 교반하여 균일하게 한 후, 여기에 하기 점증제를 혼합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이후 피그먼트를 혼합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이후 수성 성분을 상기 제조한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천천히 투입시키고 호모게나이져를 이용하여 유화시키고 냉각한 조성물을 발포폼에 함침한 화장품을 제조하여 실시예 1~2, 비교예 1~5의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을 각각 얻었다.
표면 처리 안료 1 및 2는 상기 시험예 1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표 3의 미립자 티타늄디옥사이드(평균입경 15-30nm) 및 미립자 산화아연(평균입경 200nm 이하)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서 사용된 것으로, 상기 표면 처리 안료에서 사용된 티타늄디옥사이드(표면 처리 후 평균입경 약 200㎛)와 별개의 물질이다.
[ 시험예 3] 화장료 조성물의 물성 평가
1. 점도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 100g을 30℃ 항온조에 24시간 보관한 후 Brookfield Viscometer Model DV-II+를 사용하여 64번 스핀들, 12rpm으로 1분간 측정시의 점도를 읽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2. 자외선 차단 지수 측정
2-1. 자외선 차단 지수(sunprotection factor, SPF) 측정
자외선 차단 지수(sunprotection factor, SPF)는 자외선 SPF/UVA 차단 시험은 화장품법 규정에 의한 자외선 차단효과 측정방법 및 기준에 따라 측정하였다.
자외선 SPF 차단 시험은 병력조사 및 피부상태 진단을 통해 시험 목적에 적합한 피험자를 선정하여 제품을 도포하지 않은 등 부위에 Multiport Solar UV simulator (601-300w)로 자외선을 조사하고 16-24시간 후 무도포 부위의 MED를 결정한다. 신체 건강한 여성 3명을 대상으로 피시험자의 등 부위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2mg/cm2 두께로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무도포의 MED를 근거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표준시료와 시험제품의 MED와 SPF를 결정한다. 수학식 1 공식에 따라 각 피험자 별 자외선 차단지수(SPFi)를 산출하고 산술평균값으로 시료의 자외선 차단지수를 결정한다.
[수학식 1]
피험자별 자외선 차단지수(SPFi) = 제품 도포 부위의 최소홍반량(MEDp)/제품 무도포 부위의 최소홍반량(MEDu)
2-2. UVA 차단 등급(PA) 측정
자외선 UVA 차단 시험은 일본화장품공업협회 자외선 UVA 차단효과 측정방법(JCIA, 2012)에 제시된 시험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이 시험방법은 국제표준화기구의 자외선 UVA 차단효과 측정방법(ISO24442, 2011)을 사용한다. 피험자의 등 부위에 표준시료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2 mg/cm2의 양으로 균일하게 도포하고 15분간 안정화한 후, 무도포의 MPPDD를 근거로 자외선 A를 조사하여 표준시료와 시험제품의 MPPDD와 PFA를 결정한다. 최소지속형즉시흑화량(MPPD)을 판정하고 그 판정 값을 이용하여 자외선 A 차단지수를 하기 수학식 2로 계산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자외선 A 차단등급은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분류된다.
[수학식 2]
PFA 산출방법= (시료 도포부위의 최소지속형즉시흑화량(MPPDp))/(시료를 도포하지 않은 부위의 최소지속형즉시흑화량(MPPDu))
자외선 A 차단지수 (PFA) 자외선 A 차단등급 (PA) 자외선 A 차단효과
2이상 4미만 PA+ 있음

매우 많이 있음
4이상 8미만 PA++
8이상 16미만 PA+++
16이상 PA++++
3. 분산 안정도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 각각 10g씩을 취해 -10°C 내지 45°C를 24시간 순환하는 사이클 챔버에 시료를 각각 넣은 후, 제형의 색소 분산성의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안정도를 확인하였다. 결과를 표 3 및 도 1에 나타낸다.
[ 시험예 4]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의 제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발포폼에 함침하여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발포폼으로는 건식 폴리에테르계 우레탄폼 재질로서, 포어수 80ppi, 밀도는 1.8 lb/ft3, 조성물 함침 전 경도 70 (애스커(ASKER) 경도기 F형(Type) 기준)이며, 셀 크기(cell size) 500㎛이고, 직경 40mm, 두께 5mm를 사용하였다.
[ 시험예 5]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대한 관능 평가
1. 밀착력 및 발림성 관능 평가
25세 내지 40세의 여성 패널 30명의 전박(팔뚝)을 항온항습실에서 세척하고, 헤라 아쿠아볼릭 로션과 헤라 선메이트 엑셀랑스 썬크림 각각을 50㎕ 씩 도포한다. 그 후 전박에 0.5cm*1.5cm 넓이의 직사각형을 검은 선으로 표기하고 직사각형 안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이 담지된 발포 폼을 손으로 눌러서 1회 접촉하여 손에 묻어나오는 양 0.5g을 취하여 도포하였다. 도포된 각 조성물은 손을 이용하여 15회 롤링, 20회 탭핑하여 준 후 1차적으로 실시예 1의 조성물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 후 나머지 시료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의 조성물과 비교하여 각 조성물에 대한 점수를 매겼다. 발림성 관능 평가 점수는 초기 피부에 저항없이 부드럽고 고르게 펴발리는 정도를 평가한 결과를 평균 낸 값이고, 밀착력 관능 평가 점수는 각 조성물을 피부에 두드려 바를 때 피부에 잘 고정되는 정도 및 상기 각 조성물을 바른지 3분이 경과되었을 때 상기 조성물의 피부에 흡수된 정도에 대한 종합적인 수준(level)에 대한 평가를 받은 결과를 평균 낸 값이다. 밀착력 및 발림성 센서리 평가 점수의 평가값의 최저점은 0점이고, 최고점은 16점으로 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2. 밀착력 간이 시험
25세 내지 40세의 여성 패널 30명의 전박(팔뚝)을 항온항습실에서 세척하고, 헤라 아쿠아볼릭 로션과 헤라 선메이트 엑셀랑스 썬크림 각각을 50㎕ 씩 도포한다. 그 후 전박에 0.5cm*1.5cm 넓이의 직사각형을 검은 선으로 표기하고 그 안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이 담지된 발포폼을 손으로 눌러서 1회 접촉하여 손에 묻어나오는 양 0.5g을 취하여 전박에 도포하였다. 그리고 나서, 손을 이용하여 상기 도포된 각 조성물이 모두 고정될 때까지 요구되는 롤링 횟수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중량%) 비교예1 실시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2 비교예4 비교예5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0.0 7.0 7.0 7.0 7.0 7.0 7.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30.0 30.0 30.0 30.0 30.0 30.0 30.0
폴리글리세릴-4 디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 4.0 4.0 4.0 4.0
라우릴 피이지-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티콘 4.0 2.0 4.0 2.0
피이지/피피지-18/18 디메티콘 4.0 2.0 2.0
아크릴레이트/디메티콘 코폴리머 3.0 3.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3.0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0.5 0.5 0.5 0.5 0.5 0.5 0.5
표면처리 안료 1 16.0 16.0 16.0 16.0
표면 처리 안료 2
(디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 티타늄디옥사이드, 산화철)
16.0 16.0 16.0
미립자 티타늄디옥사이드 5.00 5.00 5.00 5.00 5.00 5.00
미립자 산화아연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탈이온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점도(cps) 18000 16000 17000 13000 15000 17000 18000
밀착력 관능 평가 점수 11.6 12.5 11.1 11.5 13.5 11.4 11.6
셋팅될 때까지의 롤링횟수
(밀착력 간이 시험 결과)
17 16 25 27 18 26 25
발림성 관능 평가 점수 11.3 11.5 9.2 8.7 11.8 9.3 8.7
자외선차단 효과 SPF 0, PA+ 이하 SPF 50.5 이상, PA +++ SPF 50.5 이상, PA +++ SPF 50.5 이상, PA +++ SPF 50.5 이상, PA +++ SPF 50.5 이상, PA +++ SPF 50.5 이상, PA +++
색소 분산성(Cycle-shaking, 3일) 양호 양호 색소띠 있음 색소띠 있음 양호 색소띠 있음 색소띠 있음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은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밀착력 및 발림성에 관한 사용감이 우수하고, 동시에 분산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제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분산성은 우수하나 자외선 차단효과가 없으며, 본 발명 실시예의 유화제를 1종만 사용하거나(비교예 2, 4), 분산제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비교예 3-5), 분산 안정성이 열악하여 색소 띠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3)

  1. (a)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분지형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계 유화제 및 직쇄형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계 유화제 중 2종 이상의 유화제,
    (b) 아크릴계 공중합체 분산제 및 소르비탄(sorbitan)계 분산제 중 1종 이상의 분산제,
    (c) 실리콘/IPDI 공중합체(silicone/isophorone diisocyanate copolymer), 소이아민(soyamine)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의 혼합물; 또는 디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disodium stearoyl glutamate)를 포함하는 표면처리물질로 표면 처리된 안료인, 표면 처리 안료, 및
    (d) 자외선 차단제,
    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자외선 차단제를 0.1 중량% 내지 40중량%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 중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0.1 중량% 내지 15.0 중량%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 중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0.1 중량% 내지 20.0 중량% 로 포함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점도가 8000 cps 내지 25000 cps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4 디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Polyglyceryl-4 Diisostearate/Polyhydroxystearate/Sebacate), 라우릴 폴리글리세릴-3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티콘(lauryl 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폴리글리세릴-3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티콘(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폴리글리세릴-3 디실록산 디메티콘(polyglyceryl-3 disiloxane dimethicone), 디메티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 폴리머(dimethicone/polyglycerin-3 crosspolymer), 라우릴 디메티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lauryl dimethicone/polyglycerin-3 crosspolymer), 폴리글리세릴-2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Dipolyhydroxystearate), 디이소스테아로일 폴리글리세릴-3 다이머 디리놀리에이트(DIISOSTEAROYL POLYGLYCERYL-3 DIMER DILINOLEATE), 및 폴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4 ISOSTEARATE)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분지형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계 유화제는 라우릴 피이지-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티콘(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라우릴 피이지-8 디메티콘(Lauryl PEG-8 Dimethicone), 및 피이지-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티콘(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직쇄형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계 유화제는 피이지/피피지-18/18 디메티콘(PEG/PPG-18/18 dimethicone), 피이지-10 디메티콘(bis-PEG-10 dimethicone), 비스-피이지/피피지-14/14 디메티콘(bis-PEG/PPG-14/14 dimethicone), 피이지/피피지-19/19 디메티콘(PEG/PPG-19/19 dimethicone), 및 세틸 피이지/피피지-10/1 디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분산제는 아크릴레이트/디메티콘 코폴리머(Acrylate/Dimethicone Copolymer, 및 아크릴레이트/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디메티콘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s/Ethylhexyl Acrylate/Dimethicone MethacrylateCopolymer) 중에서 선택되고,
    소르비탄(sorbitan)계 분산제는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Sorbitan sesquioleate),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Sorbitan monolaurate, Sorbitan monopalmitate),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Sorbitan monostearate, Sorbitan monooleate), 소르비탄 트리올리에이트(Sorbitan trioleate), 및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Sorbitan isostearate)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IPDI 공중합체(silicone/isophorone diisocyanate copolymer), 소이아민(soyamine) 및 알킬티타늄지방산염의 혼합물은 비스-피이지-15 디메티콘/IPDI 공중합체(bis-PEG-15 dimethicone/IPDI copolymer), 피이지-2 소이아민(PEG-2 soyamine) 및 이소프로필티타늄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isopropyl titanium triiostearate)의 혼합물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무기안료인,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티타늄디옥사이드 또는 산화철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0.01 중량% 내지 40.0 중량%로 포함하는,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유중수(W/O)형 유화 조성물인, 조성물.
KR1020180129898A 2018-10-29 2018-10-29 개선된 사용감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587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898A KR102587340B1 (ko) 2018-10-29 2018-10-29 개선된 사용감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898A KR102587340B1 (ko) 2018-10-29 2018-10-29 개선된 사용감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154A true KR20200048154A (ko) 2020-05-08
KR102587340B1 KR102587340B1 (ko) 2023-10-12

Family

ID=7067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898A KR102587340B1 (ko) 2018-10-29 2018-10-29 개선된 사용감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73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286B1 (ko) * 2023-11-02 2024-01-31 한국콜마주식회사 블루라이트 및 자외선 차단, 내수성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선케어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7693A (ko) 2006-01-25 2008-08-25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유중수 에멀젼 조성물
KR20090044108A (ko) * 2007-10-31 2009-05-07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용 케이크형 화장료 조성물
KR20170012056A (ko) * 2015-07-22 2017-02-02 (주)아모레퍼시픽 유기 자외선 차단제 프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27666A (ko) * 2015-09-02 2017-03-10 (주)아모레퍼시픽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170088172A (ko) * 2016-01-22 2017-08-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불투명 유액 방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70140721A (ko) * 2016-06-13 2017-12-21 (주)아모레퍼시픽 무취 및 고안정 화장료 조성물
KR20180076812A (ko) * 2016-12-28 2018-07-06 코웨이 주식회사 유중수 유화형 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7693A (ko) 2006-01-25 2008-08-25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유중수 에멀젼 조성물
KR20090044108A (ko) * 2007-10-31 2009-05-07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용 케이크형 화장료 조성물
KR20170012056A (ko) * 2015-07-22 2017-02-02 (주)아모레퍼시픽 유기 자외선 차단제 프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27666A (ko) * 2015-09-02 2017-03-10 (주)아모레퍼시픽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170088172A (ko) * 2016-01-22 2017-08-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불투명 유액 방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70140721A (ko) * 2016-06-13 2017-12-21 (주)아모레퍼시픽 무취 및 고안정 화장료 조성물
KR20180076812A (ko) * 2016-12-28 2018-07-06 코웨이 주식회사 유중수 유화형 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7340B1 (ko) 202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203B1 (ko)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발포 우레탄 폼이 담긴 에어리스 타입의 용기
EP3318245B1 (en) Uv-blocking cosmetic composition
EP2823807B1 (en) Sunscreen composition
US20110014254A1 (en) Uv-blocking cosmetics prepared by being impregnated with urethane foam
JP5962567B2 (ja) 水中油型日焼け止め化粧料
KR20180005159A (ko) 무광택 화장품 조성물
KR102587335B1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 프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EP2837652A1 (en) Foam having improved feeling during use
KR101072128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EP1877490B1 (en) Silicone elastomer exfoliting compositions
KR102587340B1 (ko) 개선된 사용감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360819B1 (ko) 유화 분리 방지 화장료 조성물, 이를 함침시킨 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EP3470053B1 (en) Odorless and highly stable cosmetic composition
KR20190002810A (ko) 수분산 제형의 액상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KR101964163B1 (ko) 자외선 차단기능의 화장료 조성물을 지닌 탄력망 화장품
US8357355B2 (en) Silicone elastomer exfoliating compositions
KR20180003030A (ko)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80130178A (ko)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92658B1 (ko) 액상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JP2022534868A (ja) 局所用組成物
KR20200048994A (ko) 복합 사용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US20240074951A1 (en) Water-in-oil emulsified cosmetic composition
KR20140058224A (ko) 소프트 포커스 효과를 갖는 저자극성 기초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