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128B1 -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128B1
KR101072128B1 KR1020090019683A KR20090019683A KR101072128B1 KR 101072128 B1 KR101072128 B1 KR 101072128B1 KR 1020090019683 A KR1020090019683 A KR 1020090019683A KR 20090019683 A KR20090019683 A KR 20090019683A KR 101072128 B1 KR101072128 B1 KR 101072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e
water
oil
makeup
dimethi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1278A (ko
Inventor
김경남
최선경
심민경
차나리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019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128B1/ko
Publication of KR20100101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5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e.g. vin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1Graft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중수형 화장료에서 실리콘계 폴리머를 복합화한 실리콘계 폴리머 콤플렉스를 유상성분에 함유함으로써 외부 스트레스(땀, 물, 피지)에 의한 화장막 붕괴를 개선하고 필름 형성제로 작용하여 끈적임 없이 화장 지속성을 높인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실리콘계 폴리머 콤플렉스, 화장 지속성, 필름 형성제, 유중수형

Description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Make up cosmetic composition of water in oil emulsion type with excellent sweat-proof}
본 발명은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중수형 화장료에서 실리콘계 폴리머를 복합화한 실리콘계 폴리머 콤플렉스를 유상성분에 함유함으로써 외부 스트레스(땀, 물, 피지)에 의한 화장막 붕괴를 개선하고 필름 형성제로 작용하여 끈적임 없이 화장 지속성을 높인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메이크업 화장료의 지속성을 높이는 방법으로는 표면처리, 입자 복합화, 형질변경 등을 통하여 색소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하지만, 이런 파우더에 촛점을 맞춘 연구는 퍼짐성, 재응집 방지성 및 밀착 지속성이 우수하면서도 사용시 피지에 의한 화장붕괴를 방지하거나, 특히 부드러움을 부여하는데 아직도 만족스럽지 못한 실정이다. 상기의 목적 중 피지에 의한 화장 붕괴를 방지할 목적으로 불소 화합물로 분체를 처리함으로써 발수성 및 발유성을 부여하는 것이 제안되었지만(일본 특허공개공보 소 55-167209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 62-250074호 및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 1-180811호), 이들의 발수, 발유성 화장용 분체는 사용 감촉면에서 평 활성 및 부착성 향상이 저조한 결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발수성 코팅 분체들은 발유성이 좋지 않아 땀 등에 있는 피지 성분에 의해 젖기 때문에 화장 후 장시간이 경과하면 화장이 두껍게 되며 피부의 모공을 막아 피부 호흡이 곤란해지고 지속성이 나빠져 화장이 들뜨고 뭉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파운데이션은 유상부와 수상부의 함량이 높아서 적은 색소의 비중을 통해서 메이크업 화장료의 지속성을 구현하는 것은 상당히 힘들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상기의 장점을 살리기 위한 연구로서, 자외선 차단 화장료에 사용된 발수 발유성을 갖는 실리콘계 벤조페논 유도체를 적용(일본 특허공개공보 제1998-007517호), 폴리비닐 피롤리돈/알킬 공중합체와 실리콘계 계피산 유도체를 적용한 조성물(일본 특허공개공보 제1996-268856호), 실리콘유와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과 자외선 흡수제, PVP/알킬 공중합체를 적용한 조성물(일본 특허공개공보 제1996-259430호) 등 매우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일반 에스터계 오일과의 상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유중수형 화장료 제형에서 제형 안정도를 확보하여 높은 화장 지속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트리메틸실록시 실리케이트계 폴리머,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형태의 실리콘젤 및 실리콘 아크릴 그래프트 폴리머를 복합화한 실리콘계 폴리머 콤플렉스를 유상 성분에 함유함으로써 화장 지속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리메틸실록시 실리케이트계 폴리머,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형태의 실리콘젤 및 실리콘 아크릴 그래프트 폴리머를 복합화한 실리콘계 폴리머 콤플렉스를 유상성분에 함유하여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트리메틸실록시 실리케이트계 폴리머,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형태의 실리콘젤 및 실리콘 아크릴 그래프트 폴리머를 복합화한 실리콘계 폴리머 콤플렉스를 유상성분에 함유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트리메틸실록시 실리케이트계 폴리머,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형태의 실리콘젤 및 실리콘 아크릴 그래프트 폴리머를 복합화한 실리콘계 폴리머 콤플렉스를 유상성분에 함유 함으로써 땀, 물, 피지 등의 외부 스트레스에 의한 화장막 붕괴를 개선하고 필름 형성제로 작용하여 끈적임이 없으며 색상 지속력 및 화장 지속성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은 트리메틸실록시 실리케이트(Trimethylsiloxy silicate)계 폴리머,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형태의 실리콘젤 및 실리콘 아크릴 그래프트 폴리머(Silicone acrylic graft polymer)를 복합화한 실리콘계 폴리머 콤플렉스를 유상성분에 함유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트리메틸실록시 실리케이트계 폴리머,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형태의 실리콘젤 및 실리콘 아크릴 그래프트 폴리머를 복합화한 실리콘계 폴리머 콤플렉스를 유상성분에 함유함으로써 외부 스트레스(땀, 물, 피지)에 의한 화장막 붕괴를 개선하고 필름 형성제로 작용하여 끈적임 없이 화장 지속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리콘계 폴리머 콤플렉스를 구성하는 트리메틸실록시 실리케이트(Trimethylsiloxy silicate)계 폴리머는 고체 수지(Solid Resin)인 M-수지와 Q-수지를 합성한 형태의 MQ수지를 휘발성 실리콘 용매에 분산시킨 물질로서 M-수지와 Q-수지의 비율에 따라 피막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M-수지와 Q-수지는 모노늄(Mononium) 및 쿼터늄(Quaternium)을 의미하며, 규소와 결합된 산소의 수가 1 개 또는 4개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트리메틸실록시 실리케이트계 폴리머는 MQ수지의 M/Q비율은 0.5~1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이다. 이는 M/Q 비율이 1을 초과하면 생성된 피막이 연하고 무르게 되어 그 효과가 미미하고, 0.5 미만이면 피막이 너무 강하여 화장 후 피부 당김이 생기기 때문이다. 이를 분산시키는 실리콘 용매로는 시클로테트라실록산(cyclotetrasiloxane),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디메치콘(Dimethico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리콘계 폴리머 콤플렉스를 구성하는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형태의 실리콘젤은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 파우더를 디메치콘(Dimethicone), 미네랄 오일(mineral oil), 이소도데칸(isododecane), 스쿠알렌(squalene) 등의 분산매에 균일하게 분산시킨 젤 상태로서 피지 흡착을 통해 피지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도포했을 때 매끄러운 질감과 매트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 파우더의 제품화 예로서 다우코닝사의 DC®506을 들 수 있다. 그 외에도, Shin Etsu Silicones of America, Inc.가 제조한 제품명 KSG-15의 사이클로펜타실록산&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 제품명 KSG-16의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 제품명 KSG-17의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를 상업적으로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다. 또한, GE silicones에서 제조한 제품명 SFE839의 사이클로펜타실록산&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 Grant chemical company 에서 제조한 제품명 Gransil RPS-NA의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리콘계 폴리머 콤플렉스의 구성성분인 실리콘 아크릴 그래프트 폴리머(Silicone acrylic graft polymer)는 아크릴 수지에 실리콘이 그래프트 결합된 형태의 고분자 물질로서, 메이크업 지속력과 밀착력을 높여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 수지에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코폴리머 형태로 결합되거나 비헤닐 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코폴리머 형태를 말한다.
상기 실리콘계 폴리머 콤플렉스의 제품화 예는 Shin Etsu Silicones of America, Inc.가 제조한 제품명 KP561P(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KP562P(아크릴레이트/비헤닐 아크릴레이트/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리콘계 폴리머 콤플렉스는 상기 세가지 구성성분들을 복합화하여 사용한다. 이때, 트리메틸실록시 실리케이트계 폴리머: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형태의 실리콘젤: 실리콘 아크릴 그래프트 폴리머는 1:1:1~1:20: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1~1:10:10의 비율로 복합화되는 것이 화장 지속력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리콘계 폴리머 콤플렉스는 당업계에 공지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트리메틸실록시 실리케이트계 폴리머,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형태의 실리 콘젤 및 실리콘 아크릴 그래프트 폴리머를 약 50℃의 온도에서 아지믹싱하여 완전히 혼합 및 분산시킴으로써 복합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폴리머 콤플렉스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01중량% 내지 2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내지 10중량%로 함유된다. 이는 그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화장 지속의 효과가 미미하고, 20중량%를 초과하면 사용감이 뻑뻑해지거나 필름 형성능이 과도하게 높아져 사용 후 피부가 당기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리콘계 폴리머 콤플렉스와 함께 화장료 조성물의 구성 성분으로 배합되는 성분으로는 유성 성분, 유화제, 자외선 차단제, 색소, 수상 성분, 방부제, 향 및 기타 첨가제 등 통상적으로 화장료에 배합되는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주로 사용되는 유성 성분은 로즈힙오일, 사플라워오일, 복숭아씨오일, 메도폼씨드오일, 썬플라워 씨드오일 등의 식물성 오일,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스쿠알란, 네오펜틸글라이콜디헵타노에이트, 토코페릴아세테이트, 트리옥타노인, C12-15 알킬벤조에이트, C12-15 알킬에틸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트리카프릴린, 옥틸도데실스테아로일스테아레이트, 비스-하이드록시에톡시프로필디메치콘,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이소트리데실이소노나노에이트,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디펜타에리스라이트패티애씨드에스테르, 세틸옥타노에이트, 오조케라이트 등의 합성에스테르 또는 탄화수소, 페닐트리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콘,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등의 실리콘유, 패티 알코올(FATTY ALCOHOL), 지방산이나 고급 알코올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화제는 W/O 유화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HLB 범위가 1~6으로 HLB가 낮은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적당하며 구체적으로는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및 PEG/PPG-18/18 디메치콘(PEG/PPG-18/18 Dimethicone), 글리콜 스테아레이트(Glycol Stearate),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Sorbitan Sesquioleate), 글리세릴 올레이트(Glyceryl Oleate),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Glycol Distearate),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Propylene Glycol Monostearate),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PEG-30 디폴리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PEG-30 Dipolyhydroxystearate), PEG-10 디메치콘(PEG-10 Dimethicone), 사이클로펜타실록산/ PEG.PPG-19.19 디메치콘(Cyclopentasiloxane/PEG.PPG-19.19 Dimethicone),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Sorbitan Isostearate), 라우릴 PEG.PPG-18.18 메치콘(Lauryl PEG.PPG-18.18 Methicone), 세틸 PEG.PPG-10.1 디메치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라우릴 PEG-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PPG-26-Buteth-26, PEG-40 경화 피마자유(Hydrogenated Castor Oil), PEG-30 경화 피마자유(Hydrogenated Castor Oil), 세테아레쓰(CETEARETH)-12, PEG-6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Glyceryl Isostearate), PEG-100 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20,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10 Pentastearate), 베헤틸 알코올(Behenyl Alcohol), 소듐 스테아로일 락틸레이트(Sodium Stearoyl Lactylate), 메톡시 PEG-114/폴리엡실론 카프로락톤(Methoxy PEG-114/Polyepsilon Caprolactone), 포타슘 세틸 포스페이트(Potassium Cetyl Phosphate),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 이눌린 라우릴 카르바메이트(Inulin Lauryl Carbamate), 세테아릴 올리베이트/소르비탄 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Sorbitan Olivate), PEG-60 경화 피마자유, 폴리글리세릴-3 메틸글루코오스 디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3 Methylglucose Distearate), PEG-5 레이프시드 스테롤(Rapeseed Sterol), 수크로오스 폴리스테아레이트/경화 폴리이소부텐, C14-22 알코올 및 C12-20 알킬 글루코시드, 세테아릴 알코올/세테아릴 글루코시드, 경화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아라키딜 알코올(Arachidyl Alcohol), 베헤닐 알코올, 아라키딜 글루코시드(Arachidyl Glucoside), 올리브 오일 PEG-8 에스테르 및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SUCROSE FATTY ACID ESTER)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자외선 차단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각각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 옥틸트리아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3,4-메틸벤질리덴켐퍼,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비스에틸헥실록시페놀메톡시페 닐트리아진,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리테트라메틸부틸페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평균입도가 5~100nm인 이산화티탄, 평균입도가 5~300nm인 산화아연, 평균입도가 5~300nm인 산화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평균 입도가 클수록 피부에 도포시 백탁 현상이 심하여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지게 되고, 반면에 입도가 너무 작게 되면 피부에 침투하여 자극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므로, 백탁 현상을 고려할 시는 평균입도가 300nm 이하인 것이 적당하고 피부 자극과 백탁 현상을 동시에 고려할 시에는 10~50nm가 적당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색소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제외한 성분으로서 PMMA(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실리카, 나일론, 폴리우레탄, 울트라마린, 산화철(iron oxide), 펄, 합성마이카, 마이카, 탈크, 세라사이트 및 보론나이트라이드 중에서 선택한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상 성분은 정제수,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및 글리세린, 1,3-PG, 소르비톨(sorbitol), 자일리톨(xylitol), 헥실렌 글리콜(hexylene glycol), 펜틸렌 글리콜(pentylene glycol), 카프릴릴 글리콜(caprylyl glycol), 그 외 각종 PEG류, 각종 다당류(polysaccharid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있으며, 유중수형의 경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70중량%, 수중유형의 경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80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유중수형의 경우 수상 성분이 30중량% 미만이면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 제형의 안정도가 낮아지고, 70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수중유형의 경우 수상성분이 20중량% 미만이면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 사용성이 나빠지고 80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져서 제형의 안정도가 낮아진다.
또한, 상기 성분 이외에도 방부제, 향 및 기타 첨가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더 혼합할 수도 있다. 특히 방부제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 중 메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부틸 파라벤, 에틸 파라벤 등의 파라벤류는 유상에, 페녹시 에탄올 같은 경우는 수상에 혼합할 수 있다. 또한, 향은 조성물의 제조 공정의 마지막 단계에 투입하여 W/O의 유상에 투입한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메이크업 프라이머, 파운데이션 또는 메이크업베이스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실리콘계 폴리머 콤플렉스의 제조
트리메틸실록시 실리케이트계 폴리머(제품명 KF7312J),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형태의 실리콘젤(제품명 KSG-16) 및 실리콘 아크릴 그래프트 폴리머(제품명 KP 561P)를 Shin-Etsu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실리콘 아크릴 그래프트 폴리머(33.3g)을 50℃로 가온하여 분산시키고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형태의 실리콘젤(33.3g)을 투입하여 혼합하였다. 이어서, 트리메틸실록시 실리케이트계 폴리머(33.3g)를 투입하고 아지믹싱하여 완전히 혼합 및 분산시켜 복합화함으로써 트리메틸실록시 실리케이트계 폴리머,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형태의 실리콘젤 및 실리콘 아크릴 그래프트 폴리머가 1:1:1의 비율로 복합 화된 실리콘계 폴리머 콤플렉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4]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W/O 메이크업 화장료 제형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4를 제조하였다(단위:중량%).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계 폴리머(제품명 KF7312J),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형태의 실리콘젤(제품명 KSG-16) 및 실리콘 아크릴 그래프트 폴리머(제품명 KP 561P)를 Shin-Etsu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구분 No. 성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유상성분
1 오조케라이트 0.1 0.1 0.1 0.1 0.1
2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10.0 10.0 10.0 10.0 10.0
3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16.0 16.0 16.0 16.0 16.0
4 메틸파라벤 0.1 0.1 0.1 0.1 0.1
5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7.0 7.0 7.0 7.0 7.0
6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2.0 2.0 2.0 2.0 2.0
7 실리콘계폴리머콤플렉스
(제조예1)
0.3 - - - -
8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계 폴리머 - - 0.3 - -
9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형태의 실리콘젤 - - - 0.3 -
10 실리콘 아크릴 그래프트 폴리머 - - - - 0.3
11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0.2 0.2 0.2 0.2 0.2
12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0 5.0 5.0 5.0 5.0
13 이산화티탄/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스테아릭애씨드 7.0 7.0 7.0 7.0 7.0
14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2.0 2.0 2.0 2.0 2.0
15 라우릴피이지.피피지-18.18메치콘 1.5 1.5 1.5 1.5 1.5

수상성분
16 정제수 To 100.0 To 100.0 To 100.0 To 100.0 To 100.0
17 글리세린 8.0 8.0 8.0 8.0 8.0
18 소듐클로라이드 1.0 1.0 1.0 1.0 1.0
19 0.4 0.4 0.4 0.4 0.4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실시예 1 및 비교예 1~4의 제조방법>
1) 믹서에서 성분 1~4에 성분 5~6을 투입하여 혼합 용해시킨다.
2) 상기 1)에 성분 14~15를 혼합하고 80℃로 가온 교반시킨다.
3) 상기 2)에 성분 7~10을 먼저 투입하여 분산시킨 후, 성분 11~13를 혼합하고 교반시킨다.
4) 별도의 믹서에 성분 16~18을 혼합하고 80℃로 가온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다.
5) 상기 4)를 상기 3)에 천천히 투입하고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유화시킨다.
6) 50℃까지 냉각한 후, 성분 19를 투입하여 W/O 메이크업 화장료를 제조한다.
[시험예 1] 화장의 지속성 평가(In-Vitro)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대한 화장막의 지속성을 평가하기 위해 일상 생활 중 발생하는 땀과 피지에 의한 화장막의 붕괴 정도를 In-Vitro로 테스트하는 시험법(Dropping Test)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3g/cm2씩 인공피부에 도포하고 이를 인공 산성 땀액[KS K 0112(유아용 제품의 침액 및 땀액 저항성 시험 방법 중 3.3.2의 "땀액의 제조")에 따름]이 담긴 비이커에 담근 후 700분간 초음파 처리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비교예 1의 경우는 초음파 처리 후 인공피부로부터 군데군데 제품이 지워지고 떨어져나가 표면이 드러나 있지만, 실시예 1의 경우는 지워짐 현상이 거의 없고 표면이 드러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리콘계 폴리머 콤플렉스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외부 스트레스에 노출될 경우에도 화장의 지워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화장막 붕괴를 개선함으로써 화장 지속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화장의 지속성 평가(In-Vivo)
성인여성 22명을 대상으로 피부색(spectrophotometer)과 피부 사진(VISA-CR) 측정을 통해서 상기 실시예 1의 화장 지속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세안 후 15분간 항온 항습 조건에서 대기하고 제품 사용 전의 피부색을 측정하였다. 얼굴을 반으로 나누어 한쪽에는 실시예 1을 도포하고(실험군), 다른 쪽은 무처리 대조군으로 하여 사우나 조건(건구온도: 46±3℃, 습구온도: 37±2℃)에서 30분간 대기하고 나머지 시간은 항온 항습 조건에서 대기한 다음, 도포 후 1, 2 및 3시간(각 측정마다 사우나 조건은 30분)이 경과한 피부의 피부색(ITA) 및 피부 붉기(HUE) 값을 측정하고 피부 사진을 얻었다. 그 결과는 하기 도 2~4에 나타내었다.
도 2~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1)의 사용으로 인해 피부색이 밝아지고 땀을 많이 흘리는 사우나 조건 후에도 화장이 지워지지 않고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피부의 울긋불긋한 정도가 개선되고 사우나 조건 후 3시간까지도 피부 붉기가 개선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사용감 테스트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4를 20~35세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제품의 효과를 비교하도록 하였다. 시험 항목으로는 발림성, 끈적임 없음, 도포 균일성 및 화장 지속성으로 하였으며, 각 항목들을 품평한 후 0~10의 점수를 부여하도록 하고 점수들을 평균내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발림성 10 8 7 8 7
끈적임 없음 9 9 8 8 7
도포 균일성 9 8 8 8 8
화장 지속성 10 6 8 7 8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계 폴리머 콤플렉스를 함유하는 실시예 1은 이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4와 비교하여 발림성, 끈적임 없음, 도포 균일성 및 화장 지속성이 모두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계 폴리머 콤플렉스를 유상성분에 함유함으로써 발림성이 우수하고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될 뿐만 아니라 땀, 물, 피지 등의 외부 스트레스에 의한 화장막 붕괴를 개선하고 필름 형성제로 작용하여 끈적임 없이 화장 지속성을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Dropping 테스트에 의한 화장막 지속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도포 후 시간에 따른 피부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도포 후 시간에 따른 피부 붉기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도포 후 시간에 따른 피부색을 관찰하기 위한 VISA-CR 사진이다.

Claims (3)

  1. 트리메틸실록시 실리케이트(Trimethylsiloxy silicate)계 폴리머,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형태의 실리콘젤 및 실리콘 아크릴 그래프트 폴리머(Silicone acrylic graft polymer)를 복합화한 실리콘계 폴리머 콤플렉스를 유상성분에 함유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메틸실록시 실리케이트계 폴리머,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형태의 실리콘젤 및 실리콘 아크릴 그래프트 폴리머가 1:1:1~1:20:20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폴리머 콤플렉스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19683A 2009-03-09 2009-03-09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072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683A KR101072128B1 (ko) 2009-03-09 2009-03-09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683A KR101072128B1 (ko) 2009-03-09 2009-03-09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278A KR20100101278A (ko) 2010-09-17
KR101072128B1 true KR101072128B1 (ko) 2011-10-10

Family

ID=4300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683A KR101072128B1 (ko) 2009-03-09 2009-03-09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1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7959A (ko) 2020-01-31 2021-08-10 (주)아모레퍼시픽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6741A1 (fr) * 2011-04-28 2012-11-01 Rhodia Operations Corps gras copolymérisé, son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ses applications
FR2988293B1 (fr) * 2012-03-26 2014-04-25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sous la forme d'emulsions eau-dans-huile comprenant un elastomere de silicone emulsionnant et un ester non volatil
TWI658837B (zh) 2012-04-12 2019-05-11 愛茉莉太平洋股份有限公司 具有改進的使用感覺之發泡體
KR101978827B1 (ko) * 2013-04-02 2019-05-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실리콘 조성물을 배합하여 분사각을 증진시킨 펌프식 분사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9420B1 (ko) * 2013-12-18 2020-06-08 (주)아모레퍼시픽 유중수중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6967767B2 (ja) * 2017-06-14 2021-11-17 株式会社クラブコスメチックス 化粧崩れの評価方法および化粧崩れ評価用モデル
KR102299762B1 (ko) 2019-12-30 2021-09-10 주식회사 브이티피엘 지속성이 개선된 색조화장료 및 이를 포함하는 색조화장품
KR102299157B1 (ko) * 2021-03-22 2021-09-09 한국콜마주식회사 화장료 조성물
CN116196224A (zh) * 2021-12-01 2023-06-02 嘉药学校财团法人嘉南药理大学 具保护防护功效的弹力凝胶状组合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0260A (ko) 2003-05-22 2004-12-02 주식회사 태평양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립스틱 조성물
US20070128233A1 (en) * 2005-12-05 2007-06-07 L'oreal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 unique cushiony tex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0260A (ko) 2003-05-22 2004-12-02 주식회사 태평양 아크릴 중합체를 함유하는 립스틱 조성물
US20070128233A1 (en) * 2005-12-05 2007-06-07 L'oreal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 unique cushiony tex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7959A (ko) 2020-01-31 2021-08-10 (주)아모레퍼시픽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278A (ko) 201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2128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699551B1 (ko) 화장료
KR101699552B1 (ko) 화장료
JP5595043B2 (ja) 唇のメーキャップ用組成物
JP5741519B2 (ja) 油性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6035932B2 (ja) 皮膜形成性重合体を含む化粧料
RU2667971C2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макияжа кожи
EP3223775B1 (fr) Gel aqueux ou hydroalcoolique de phyllosilicates synthetiques a titre d&#39;agent viscosant, matifiant et/ou homogeneisant d&#39;application
KR20180005159A (ko) 무광택 화장품 조성물
JP2017514827A (ja) 高い湿潤点を有する粒子を含むマイクロカプセルを含む組成物
KR20160110125A (ko) 겔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 겔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JPWO2019044590A1 (ja) 油中水乳化型スティック状デオドラント剤
JP2005023079A (ja) シリコーンエラストマーおよびブロックシリコーンコポリマー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JPWO2019004048A1 (ja) ウォーターブレイク型日焼け止め化粧料
KR20190090376A (ko) 나노 결정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그 방법 및 용도
EP3838249A1 (en) Oil-in-water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KR102631658B1 (ko) 화장료
JP2013213041A (ja) 複合粒子の製造方法
JP6831737B2 (ja) 水中油型化粧料
JP2013082649A (ja) スイゼンジノリ由来糖誘導体被覆処理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化粧料
JPWO2019044391A1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化粧料
JPH11263721A (ja) 水中油型ゴマージュ化粧料
WO2022196521A1 (ja) シリコーンゴム粒子の水分散物および化粧料
JP2018538278A (ja) 低い熱伝導率を有する少なくとも1種の粉末を含む化粧品組成物
EP4082617A1 (en) Powdery solid cosmetic pr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