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157B1 -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157B1
KR102299157B1 KR1020210036909A KR20210036909A KR102299157B1 KR 102299157 B1 KR102299157 B1 KR 102299157B1 KR 1020210036909 A KR1020210036909 A KR 1020210036909A KR 20210036909 A KR20210036909 A KR 20210036909A KR 102299157 B1 KR102299157 B1 KR 102299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ater
present
emulsified particles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은
김진모
홍인기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6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및 환경에 친화적이고, 안정성, 분산성 및 사용감이 우수한 고내상(수상)의 워터 드롭(water drop)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구체적으로 피부 및 환경에 친화적이고, 안정성, 분산성 및 사용감이 우수한 고내상(수상)의 워터 드롭(water drop)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수계 분산 형태의 유성 밤(balm) 타입의 화장품은 보습에 효과적인 오일, 왁스 등으로 구성되어 피부에 보습막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제품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성 밤 타입의 제품은 사용자에게 답답한 사용감을 줄 수 있고, 제형 내 수용성 효능 물질을 고함량으로 포함할 수 없어 제형 구현에 한계가 있다. 반면, 수중유형 제품의 경우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하나, 수분 증발과 함께 보습감과 내수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체 타입의 밤 제형 제조 시, 충전 과정에서 수축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고온에서 수분 손실로 인한 수축 현상이나 경도 하락 현상이 발생하는 등 안정성이 열세하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 고함량 효능 물질을 포함하는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크림에 적용되는 고함량의 수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고형 밤 타입 제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제품의 일례로, 고함량의 내상을 포함하는 워터 드롭 제형이 제공되고 있다. 고함량의 내상을 포함하는 워터 드롭 제형은 외부 쉐어에 의해 제형 내 분산된 수십 마이크로 사이즈의 수상 드롭이 합쳐지면서, 큰 물방울 형태로 터져 나와 수분감을 제공하는 제형이다.
이러한 고체 타입 워터 드롭형 제품의 경우, 유화 입자의 안정도가 좋지 못하면 고온에 노출되는 화장료 충전 시 오스왈드 라이프닝(Ostwald ripening)이 일어나고, 유화 입자가 커져 결국 내상과 외상이 분리되는 합일(coalescence)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유화 불안정으로 인해 유화 입자 크기가 불균일해지면, 분산도가 열세해져 벌크의 유동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그 결과 충전 이슈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화력이 우수한 폴리에틸렌글리콜(PEG) 계열 또는 실리콘계 유화제를 사용하는 제품이 제공되고 있으나, 해당 유화제는 피부 자극 또는 알러지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피부 자극 또는 생태계 교란 등의 이슈를 야기할 수 있는 PEG나 실리콘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고함량의 수상(내상)을 안정적으로 분산시키는 높은 유화 안정도를 갖는 고체 타입의 유중수형 제형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피부 및 환경에 친화적이고, 안정성, 분산성 및 사용감이 우수한 고내상(수상)의 워터 드롭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내상(수상)의 워터 드롭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로 폴리글리세릴-5폴리리시놀리에이트 및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함량으로 수상(water phase)을 포함하는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PEG, 실리콘 등을 포함하지 않아 피부 자극이 적고, 워터 드롭 제형으로서 펴바르면서 터지는 물방울로 인해 우수한 쿨링감, 수분력 및 수분지속력을 제공한다. 또한, 고온에 노출 시에도 유화가 분리되지 않는 안정적인 고내상의 유중수형 제형으로, 왁스가 포함되어 고온(80 ℃ 이상)의 온도에서 가온, 교반하여 충전되어야 하는 고형 제형에도 적용 가능하며, 제품 충전 시 표면 무너짐, 수축, 어글거림 현상 등이 발생하지 않고 매끄러운 충전이 가능한 밤 타입의 제형을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 1의 유화 입자를 관찰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2의 유화 입자를 관찰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3의 유화 입자를 관찰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비교예 1의 유화 입자를 관찰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비교예 2의 유화 입자를 관찰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비교예 3의 유화 입자를 관찰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7는 비교예 4의 유화 입자를 관찰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8은 비교예 5의 유화 입자를 관찰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9는 비교예 6의 유화 입자를 관찰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10은 비교예 7의 유화 입자를 관찰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11은 비교예 8의 유화 입자를 관찰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12는 비교예 9의 유화 입자를 관찰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13은 비교예 10의 유화 입자를 관찰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14는 실시예 1 내지 3의 고온 유화 안정도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15는 비교예 1 내지 10의 고온 유화 안정도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16은 실시예 1 내지 3의 충전 표면 상태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17은 비교예 1 내지 10의 충전 표면 상태를 관찰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내용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각 구성요소가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선택적으로 혼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고내상의 워터 드롭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유화제로 폴리글리세릴-5폴리리시놀리에이트 및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왁스, 오일, 보습제, 점토 광물, 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고함량으로 수상을 포함하는 고내상의 워터 드롭 타입으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수상을 65 중량% 이상, 예를 들어 65 내지 90 중량% 포함한다. 전술한 범위에 해당하는 고함량의 수상을 포함하는 워터 드롭 제형은 외부 쉐어에 의해 제형 내 분산된 수십 마이크로 사이즈의 수상 드롭이 합쳐지면서 큰 물방울 형태를 이루고, 제품을 펴 바를 때 수분이 터져 나와 우수한 쿨링감, 수분력, 수분 지속력을 제공한다.
상기 수상은 정제수를 포함하고, 염, 보습제, 수용성 기능성 원료, 유효 성분, 추출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내상의 워터 드롭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로 폴리글리세릴-5폴리리시놀리에이트 및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2종의 유화제를 혼용함으로써, PEG, 실리콘 등과 같이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안정성 및 분산성이 우수한 고내상 워터 드롭 제형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폴리글리세릴-5폴리리시놀리에이트는 주 유화제로 사용되며, 친수성 부분인 폴리글리세릴 작용기가 한 분자당 5개인 구조로 다량의 유화 입자를 효율적으로 안정화 할 수 있어서, 고함량의 수상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안정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폴리글리세릴-5폴리리시놀리에이트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4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3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폴리글리세릴-5폴리리시놀리에이트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유화 계면을 형성하는 유화제의 양이 불충분하여 고함량의 내상을 분산, 안정화 시키기 어려워질 수 있고,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과유화가 진행되어 큰 유화 입자를 형성하기 어려워지거나, 끈적임이 높아지는 등 사용감이 변질될 수 있다.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는 보조 유화제로 사용되며, 주 유화제에 의해서 형성된 유화 계면막에 존재하여 유화 입자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 중량%, 예를 들어 0.5 내지 1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고온에서 이뤄지는 충전 과정에서 크게 형성된 유화 입자가 쉽게 합일되어 분리가 발생할 수 있고,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형성된 유화 입자의 안정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피부 위에서 워터 드롭을 형성하지 않아 쿨링감, 보습감 등 사용감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일례로, 폴리글리세릴-5폴리리시놀리에이트와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는 1 : 0.1 내지 1, 예를 들어 1 : 0.25 내지 0.5의 중량비로 배합될 수 있다. 폴리글리세릴-5폴리리시놀리에이트에 대한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의 혼합비가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안정한 워터 드롭 고형 제형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워터 드롭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의 유화제를 사용함으로써, 입자 크기가 1 내지 20 μm, 예를 들어 5 내지 20 μm, 다른 예로 5 내지 10 μm인 유화 입자를 형성할 수 있다. 유화제가 과량 함유되어 유화 입자의 계면이 단단하고 안정한 경우, 유화 입자의 크기가 전술한 범위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입자간 합일 현상이 발행하여 워터 드롭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유화 입자의 크기가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거대한 유화 입자가 서로 충돌하여 합일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그 결과 불안정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의 유화제는 적절한 계면 장력을 제공하여 제형 내 적절한 크기의 유화 입자를 안정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안정화된 유화 입자들이 제공하는 외부 압력에 의해, 제형 내 분산된 수십 마이크로 사이즈의 수상 드롭이 합쳐지면서 워터 드롭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워터 드롭의 입자 크기는 0.5 내지 5 mm, 예를 들어 1 내지 3 mm일 수 있다. 워터 드롭의 크기가 전술한 범위를 만족할 때, 피부에 러빙 시 드롭렛이 방울 방울 맺히면서 적절한 수분감을 제공하는 동시에 원활한 제품의 흡수를 돕는다. 워터 드롭의 크기가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쿨링감과 수분감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고,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 위에 드롭렛을 형성하기 보다 흘러내릴 수 있고, 그 결과 오히려 제품의 피부 내 흡수를 방해하고, 수분 지속력 또는 밀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고내상의 워터 드롭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점토 광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점토 광물은 유화 입자를 조절하여 드롭렛이 더욱 일정하게 형성되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제품의 흡수력 및 촉촉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흡수력이 증가될 경우, 제형의 마무리감이 좋아지고 번들거림이 줄어드는 등 사용감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점토 광물로는 스테알코늄 헥토라이트,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토 광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 예를 들어 0.2 내지 0.4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점토 광물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고온에서 유동도가 높아짐에 따라 유화 불안정도가 높아질 수 있고,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고온에서 벌크 유동도가 낮아 충전이 용이하지 못하거나 충전 무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왁스, 오일, 보습제, 주름 개선제, 항노화제, 항산화제, 탄력 개선제, 미백제, 보습제, 자외선 차단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습윤화제, 오일, 염료, 안료, 향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및 지질 소낭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멀티밤, 립밤, 클렌징밤, 수분밤, 립스틱, 파운데이션 등의 밤(balm)형 제형 또는 스틱(Stick)형 제형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고내상의 워터 드롭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일례로 하기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오일, 왁스, 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상을 준비하고 고온(80-90 ℃)에서 용해, 분산한다. 보습제, 방부제 등을 포함하는 수상을 준비하고 고온(70-80 ℃)로 가온한다. 준비된 유상을 호모지나이저(homogenizer)를 통해 80-85 ℃에서 완전 분산한 후, 준비된 수상을 천천히 투입하여 충분히 유화시키고, 유화가 완성되면 실온에서 용기에 충전하여, 워터 드롭 형태의 고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각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10]
하기 표 2 및 표 3의 조성에 따라, 각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1033583100-pat00001
Figure 112021033583100-pat00002
Figure 112021033583100-pat00003
[실험예 1]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의 유화 입자 분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도 1 내지 13에 나타내었다.
도 1 내지 3은 실시예 1 내지 3의 유화 입자를 관찰한 현미경 사진이다. 하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5 내지 15 μm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갖는 유화 입자가 왁스 결 사이로 고르게 분산되어 있는 모습이 확인되었다. 특히,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은 점토 광물이 더 포함된 경우로서, 유화 입자가 좀 더 균일한 크기로 분포된 것이 확인되었다.
도 4 내지 13은 비교예 1 내지 10의 유화 입자를 관찰한 현미경 사진이다.
비교예 1 내지 4는 유화제로서 폴리글리세릴-5폴리리시놀리에이트 대신 유사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동량 적용한 예로서, 유화 입자가 고르게 분포되지 못하고 벌키한 입자가 형성되거나(비교예 1, 3, 4), 또는 유화 입자가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 것(비교예 2)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2종의 유화제를 모두 사용하되, 폴리글리세릴-5폴리리시놀리에이트를 본 발명의 범위 미만의 양으로 사용한 비교예 5 및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를 본 발명의 범위 미만의 양으로 사용한 비교예 10의 경우, 벌키한 유화 입자가 형성되었고 또한 이들이 고르게 분포되지 못하였다. 한편, 폴리글리세릴-5폴리리시놀리에이트를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는 양으로 사용한 비교예 7 및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를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는 양으로 사용한 비교예 9의 경우, 1 μm 이내의 매우 작은 크기의 유화 입자가 형성되었다.
한편, 주 유화제인 폴리글리세릴-5폴리리시놀리에이트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8의 경우, 유화 입자가 형성되지 않았고, 보조 유화제인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6의 경우, 20 내지 50 μm의 큰 유화 입자가 만들어졌고, 그 크기 분포도 고르지 못하게 나타났다.
[실험예 2]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80 ℃에 60분간 노출한 후 유화 안정도를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었다.
도 14는 실시예 1 내지 3의 고온 유화 안정도를 관찰한 사진이다. 하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오일층과 수상층의 분리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고, 고르게 분포된 유화 입자로 벌크 상태가 햐?方?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도 15는 비교예 1 내지 10의 고온 유화 안정도를 관찰한 사진이다.
하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화제가 폴리글리세릴-5폴리리시놀리에이트를 포함하지 않거나(비교예 1-4, 8), 본 발명에 따른 2종의 유화제를 모두 사용하되, 폴리글리세릴-5폴리리시놀리에이트 또는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를 본 발명의 범위 미만의 양으로 사용하거나(비교예 5), 10,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6), 고온에 노출됨에 따라 균일하지 못한 유화 입자의 합일이 발생하고, 큰 유화 입자들 간의 오스왈드 라이프닝(Ostwald ripening)으로 흰색의 불투명한 벌크의 투명도가 증가하였고, 수상부가 가라앉는 층 분리 현상이 관찰되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2종의 유화제를 모두 사용하되, 폴리글리세릴-5폴리리시놀리에이트 또는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를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는 양으로 사용한 비교예 7, 9의 경우에는, 실시예와 유사한 정도의 흰색의 유화 상태가 유지되었다.
[실험예 3]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원통형의 용기에 충전하고, 25 ℃에서 한달 간 보관한 후, 충전 표면을 관찰하였다. 결과는 하기 도 16 내지 19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또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의 밤 경도 형성 여부, 충전 표면 상태 및 워터 드롭 형성 여부를 관찰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도 16은 실시예 1 내지 3의 충전 표면 상태를 관찰한 사진이다. 하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은 표면이 매끈하게 수축 없이 고르게 충전되었다.
도 17은 비교예 1 내지 10의 충전 표면 상태를 관찰한 사진이다. 하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심한 수축 현상이 발생하여 용기와 내용물 간에 틈이 생기거나(비교예 1, 4, 5, 10), 경도를 만족시키지 못하여 함몰되거나(비교예 2), 표면이 매끄럽지 않게 충전되었다(비교예 3, 6-9). 특히, 유화제가 과량으로 포함된 비교예 7 및 비교예 9의 경우, 높은 점도를 갖고 충전 시 심한 기포 자국이 발생되었다.
Figure 112021033583100-pat00004
밤 경도 평가 기준
○: 충전 후 시간이 경과하면 유동성을 띄지 않는 고형 제형 형성
X: 충전 1시간 후에도 유동성이 있어 고형 제형 미형성
충전 표면 상태 평가 기준
○: 매끄럽게 충전
△: 약한 정도의 수축, 충전 무늬 등의 충전 불량 발생
X: 수축, 충전 무늬 등의 충전 불량 발생
워터 드롭 평가 기준
○: 워터 드롭의 입자 크기 0.5 내지 5 mm
△: 워터 드롭의 입자 크기 5 mm 초과
X: 워터 드롭의 입자 크기 0.5 mm 미만 또는 워터 드롭 미형성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은 적당한 크기의 워터 드롭을 형성하였다. 반면, 유화제가 폴리글리세릴-5폴리리시놀리에이트를 포함하지 않거나(비교예 1-4, 8), 본 발명에 따른 2종의 유화제를 모두 사용하되, 폴리글리세릴-5폴리리시놀리에이트 또는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를 본 발명의 범위 미만의 양으로 사용하거나(비교예 5, 10),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6), 지나치게 큰 크기의 워터 드롭을 형성하였다. 한편, 폴리글리세릴-5폴리리시놀리에이트 또는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를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는 양으로 사용한 경우(비교예 7, 9)에는, 지나치게 작은 크기의 워터 드롭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4]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10명의 사용자가 각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후, 쿨링감, 보습 지속력, 흡수력, 촉촉함 및 번들거림 정도를 1 내지 5 단계로 평가하였고, 하기 표 5에 그 평균값을 기재하였다.
Figure 112021033583100-pat00005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은 측정 항목 전반적으로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화제가 폴리글리세릴-5폴리리시놀리에이트를 포함하지 않거나(비교예 1-4, 8), 본 발명에 따른 2종의 유화제를 모두 사용하되, 폴리글리세릴-5폴리리시놀리에이트 또는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를 본 발명의 범위 미만의 양으로 사용하거나(비교예 5, 10),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6), 유화 입자가 고르게 생성되지 않아 지나치게 큰 크기의 워터 드롭이 형성되었고, 그 결과 쿨링력은 우수하나, 보습 지속력이 약하며 번들거림이 강하게 느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폴리글리세릴-5폴리리시놀리에이트 또는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를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는 양으로 사용한 경우(비교예 7, 9), 워터 드롭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실시예에 비해 흡수력과 촉촉함이 열세하고, 번들거림이 강하게 느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6)

  1.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글리세릴-5폴리리시놀리에이트 0.5 내지 4 중량% 및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0.5 내지 2 중량%를 포함하고,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수상을 65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인 고내상의 워터 드롭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글리세릴-5폴리리시놀리에이트와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가 1 : 0.1 내지 1의 중량비로 배합되는 고내상의 워터 드롭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유화 입자 크기가 1 내지 20 μm인 고내상의 워터 드롭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워터 드롭의 입자 크기가 0.5 내지 5 mm인 고내상의 워터 드롭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의 점토 광물을 더 포함하는 고내상의 워터 드롭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36909A 2021-03-22 2021-03-22 화장료 조성물 KR102299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909A KR102299157B1 (ko) 2021-03-22 2021-03-22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909A KR102299157B1 (ko) 2021-03-22 2021-03-22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157B1 true KR102299157B1 (ko) 2021-09-09

Family

ID=77777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909A KR102299157B1 (ko) 2021-03-22 2021-03-22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15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1278A (ko) * 2009-03-09 2010-09-17 (주)아모레퍼시픽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30119586A (ko) * 2012-04-24 2013-11-01 (주)바이오제닉스 사용감과 보습력이 우수한 지용성 물질을 담지한 폴리 이온 복합체를 이용한 실리콘 중수 및 수중 실리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US20150164768A1 (en) * 2013-12-17 2015-06-18 Avon Products, Inc. Glycerin-in-Oil Emulsion
KR20190057660A (ko) * 2017-11-20 2019-05-29 (주)아모레퍼시픽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소르비탄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136351A1 (en) * 2018-01-05 2019-07-11 Altus Labs, Llc Personal care compositions
WO2020117239A1 (en) * 2018-12-06 2020-06-11 Colgate-Palmoliv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s
KR102174588B1 (ko) * 2020-03-06 2020-11-06 한국콜마 주식회사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1278A (ko) * 2009-03-09 2010-09-17 (주)아모레퍼시픽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30119586A (ko) * 2012-04-24 2013-11-01 (주)바이오제닉스 사용감과 보습력이 우수한 지용성 물질을 담지한 폴리 이온 복합체를 이용한 실리콘 중수 및 수중 실리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US20150164768A1 (en) * 2013-12-17 2015-06-18 Avon Products, Inc. Glycerin-in-Oil Emulsion
KR20190057660A (ko) * 2017-11-20 2019-05-29 (주)아모레퍼시픽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소르비탄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136351A1 (en) * 2018-01-05 2019-07-11 Altus Labs, Llc Personal care compositions
WO2020117239A1 (en) * 2018-12-06 2020-06-11 Colgate-Palmoliv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s
KR102174588B1 (ko) * 2020-03-06 2020-11-06 한국콜마 주식회사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7528B1 (ko) 유중수형 피커링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20110841A1 (en) Cosmetic preparation in gel form
KR102586463B1 (ko) 고함량의 유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스프레이형 화장료 조성물
EP1064909A2 (en) High internal aqueous phase water-in-oil type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KR20150116655A (ko) 난용성 기능성 성분을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KR102245838B1 (ko)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KR20220042013A (ko)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1110622B (zh) 稳定硅粉体的不含表面活性剂的水包油型化妆品组合物
CN114831899A (zh) 高温稳定性和使用感提高的固体状化妆品组合物以及其制备方法
KR102299157B1 (ko) 화장료 조성물
JP2002020623A (ja) 極性溶剤中油中水型エマルジョン
KR102423954B1 (ko)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JP2008094811A (ja) O/w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
KR100614380B1 (ko) 겔화제를 이용한 유중수 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18476A (ko) 수중유 유화 화장료
JPH09249548A (ja) 油中水乳化組成物
JP3862076B2 (ja) 後発泡性パック料
KR101834196B1 (ko) 겔 형상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
JP2000119132A (ja) エアゾール組成物
JP4129204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H0552810B2 (ko)
KR102328109B1 (ko) 난용성 유효 성분을 안정화 한 화장료 조성물
KR102488088B1 (ko) 광택감이 우수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4334311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307371A (ja) 高内水相油中水型乳化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