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588B1 -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588B1
KR102174588B1 KR1020200028615A KR20200028615A KR102174588B1 KR 102174588 B1 KR102174588 B1 KR 102174588B1 KR 1020200028615 A KR1020200028615 A KR 1020200028615A KR 20200028615 A KR20200028615 A KR 20200028615A KR 102174588 B1 KR102174588 B1 KR 102174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cosmetic composition
harmful rays
blocking harmf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배수진
김진모
홍인기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8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5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6Tri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o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를 포함하는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of water-in-oil type for blocking harmful rays}
본 발명은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를 포함하는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은 적외선, 가시광선 및 자외선 등의 여러 파장대의 빛으로 구분되며, 그 중 자외선이 피부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음은 널리 알려져 있다. 자외선은 파장의 길이에 따라 자외선 A(UVA, 320 내지 400 ㎚), 자외선 B(UVB, 290 내지 320 ㎚) 및 자외선 C(UVC, 200 내지 290 ㎚)로 구분되는데, 자외선 C는 오존층을 만나면서 반사 또는 산란이 일어나 지표면에 도달하지 못해 소실되지만, 자외선 A와 자외선 B는 지표면에 도달하여 인체의 피부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구체적으로, 자외선 B는 피부의 표피까지 침투하여 홍반과 주근깨, 부종 등을 유발하고, 자외선 A는 피부의 진피까지 침투하여 멜라닌과 주름 형성 및 피부암을 유발하는 등 피부 손상 및 피부 노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외선 이외의 다른 파장의 빛(예컨대, 가시광선)이 인간의 피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그동안 거의 알려진 바가 없으나, 최근 바이올렛라이트와 블루라이트가 피부에 미치는 유해성에 대해 조사되고 있다. 예컨대, 블루라이트의 경우, 상피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손상시키고 활성산소(ROS)를 생성하여, 세포 기능장애, 세포 노화 및 종양 발생을 야기한다고 보고된 바 있고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 280, No. 22, Issue of June 3, pp. 21061-21066, 2005), 실제로 이를 차단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이 구현되기도 하였다 (한국등록공보 제10-1851623호).
한편, 최근 여가시간 확대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야외활동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태양광 노출에 의한 위험이 알려지면서, 다양한 자외선 차단지수(Sun Protection Factor; SPF)나 자외선 A 차단지수(Protection Factor in UVA; PFA)를 가지는 제품이 출시되는 등, 자외선 차단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태양광이나 TV,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및 LED 조명기기에서 방출된다고 보고되는 블루라이트에 대한 관심도 증가되면서, 자외선은 물론 인체에 유해한 블루라이트까지도 차단할 수 있는 제품, 나아가, 여름철뿐만 아니라 사계절 적용 가능한 다양한 제형의 발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이러한 자외선의 유해성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시기 및/또는 장소에 따라 사용에 편리하도록, 기능성은 물론 사용감, 위생성 등을 고려하여 크림타입, 로션타입, 젤타입, 에어로졸타입, 스틱타입 또는 파우더타입 등 다양한 제형의 차단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자외선 차단제품은 구성된 상의 조성에 따라 유중수형(Water in Oil; W/O)과 수중유형(Oil in Water; O/W) 또는 비수형으로 크게 분류된다. 이중, 유형수형의 경우 안정한 제형이고 높은 지속력을 가진다는 장점이 있어 선호되고 있으나, 수중유형과는 달리 발림성이나 사용감에서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자외선 뿐만 아니라 청색광 등의 유해 가시광선에 대해서도 차단능을 나타내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자외선은 물론 청색광 영역의 빛에 대해서도 차단 효과를 나타내고,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내수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제형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상기 차단 효과를 보다 장시간 지속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를 포함하는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를 포함하는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나의 구체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를 2:8 내지 9: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이 특징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280 내지 500 nm 파장대의 UV, 자색광 및 청색광에 대한 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특징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 이외의 자외선 차단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특징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 이외의 자외선 차단제는 3 내지 24의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특징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 이외의 자외선 차단제는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호모살레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옥토크릴렌, 에칠헥실트리아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 애씨드,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트리스바이페닐트리아진,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및 징크옥사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특징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수용성 보습제, 유용성 점증제, 오일, 유화제, 방부제 및 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특징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합이 0.2 내지 22 중량%의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 혼합물; 3 내지 24 중량%의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 이외의 자외선 차단제; 0.01 내지 15 중량%의 수용성 보습제; 0.01 내지 8 중량%의 유용성 점증제; 0.01 내지 30 중량%의 오일; 0.01 내지 10 중량%의 유화제; 0.01 내지 10 중량%의 방부제; 및 물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수용성 보습제는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글리세린, 프로판다이올, 트리프로필렌글라이콜, 소르비톨, 폴리글리세린, 바이오사카라이드검, 펜탄디올,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히아루론산나트륨 및 콜라겐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특징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오일은 실리콘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및 천연오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특징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 다이메티콘, 페닐트라이메티콘, 카프릴릴메티콘 및 다이실록세인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특징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은 프로필헵틸카프릴레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부틸렌글라이콜 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카프릴레이트/다이카프레이트 다이부틸아디페이트, 다이아이소프로필아디페이트,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다이카프릴릴에터, C12-15 알킬벤조에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에칠헥실스테아레이트, 에칠헥실팔미테이트,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 및 다이아이소프로필세바케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특징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폴리데센,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폴리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C15-18 알케인, 이소에이코산, 아이소헥사데칸, 이소도데칸, 운데케인, 도데칸 및 아이소도데케인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특징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천연오일은 스쿠알란, 타마누 오일, 마카다미아넛 오일, 해바라기 씨 오일, 올리브 오일, 달맞이 꽃 오일, 아르간 오일, 살구씨 오일, 베르가못 오일, 동백 오일, 티트리 오일, 호호바 오일 및 유자씨 오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특징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유용성 점증제는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 및 스테아랄코늄벤토나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특징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유화제는 피이지-10 다이메티콘, 라우릴피이지-9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세틸피이지/피피지-10/1 다이메티콘, 폴리글리세릴-5폴리리시놀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3 메칠글루코오스 디스테아레이트,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특징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방부제는 펜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p-아니스산, 에칠헥실글리세린, 카프릴릴글라이콜, 페녹시에탄올 및 1,2-헥산디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특징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향료, 색소, pH조절제, 안정화제 및 항산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특징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를 포함하여 자외선은 물론 가시광선 중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자색 및 청색광에 대한 차단 효과를 나타내고, 이를 기반으로 제형화하여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하는 경우, 사용감이 개선되고 우수한 내수성을 나타내면서도 상기 유해광선에 대한 차단 효과를 지속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의 블루라이트 파장 영역에서의 투과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 7의 화장료 조성물에서의 유중수형 제형 형성의 곤란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자외선 차단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실시예 4와 비교예 7의 조성물을 PMMA plate에 도포했을 때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되는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할 수 없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통상의 실험만을 사용하여 본 출원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대한 다수의 등가물을 인지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등가물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아울러, 본원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분산물 형태로 유통되는 나노입자 형태의 자외선 차단제인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과 오일 형태의 자외선 차단제인 폴리실리콘-15을 포함하고, 나아가 추가적인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자외선은 물론 280 내지 500nm 영역의 자색 및 청색광에 대해서도 차단 효과를 나타내며, 이에 수용성 보습제, 유용성 점증제, 오일, 유화제, 방부제 및 물을 더 포함하여 제조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또한 전술한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에 대한 차단효과를 나타냄은 물론, 지속성이 향상된 제형을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한 것에 기초한다.
본 발명은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를 포함하는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methylene bis-benzotriaolyl tetramethylbutylphenol)"은 비스옥트리졸(bisoctrizole)이라고도 불리며, 벤조트리아졸계(benzotrizole-based)의 화합물로서 UV 광선을 흡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선스크린에 첨가되기도 한다.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은 광범위한 스펙트럼의 자외선 흡수제로서 UVA는 물론 UVB를 흡수하며, UV를 반사 및 산란시킨다. 이는 하이브리드 UV 흡수제로서 다른 유기 UV 흡수제의 경우 오일 또는 물에 용해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과 달리 이들 용매에 대해 난용성이며, 산화아연 및 이산화티타늄과 같이 미세입자(microfine particle) 상태로 제조되는 유일한 유기 UV 차단제이다.
본 발명의 용어, "폴리실리콘-15(polysilicon-15)"는 자외선 흡수제로서의 기능을 갖는 자외선 차단 성분으로 알려진 디에칠벤질리딘 말로네이트 디메치콘(diethylbenzylidene malonate dimethicon) 또는 디메치코디에칠벤잘말로네이트(dimethicodiethylbenzalmalonate)의 INCI(international nomenclature of cosmetic ingredients) 명칭이다. 상기 폴리실리콘-15는 실리콘계 UVB 흡수제로 무색 내지 옅은 노란색의 점성 액체로 보통의 극성을 갖는 유기 용매에 용해되며 수불용성이다. 이는 실리콘 골격에 결합된 발색단(chromophore)을 포함하는 최초의 고분자성 UVB 차단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은 자외선 차단 성분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 특히, 이들 조합에 의한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와 같은 유해광선 동시 차단 효과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 없다.
예컨대, 본 발명은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를 2:8 내지 9:1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2:8, 3:7, 4:6, 5:5, 6:4, 7:3, 8:2 또는 9: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중량비의 범위라면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2:8의 혼합비와 비교하여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대비 폴리실리콘-15의 비율이 더 높을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이 저해되며, 9:1의 혼합비와 비교하여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대비 폴리실리콘-15의 비율이 더 낮을 경우에는 블루라이트 차단에 대한 지속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합이 0.2 내지 22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 폴리실리콘-15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2 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를 0.2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너무 미량으로 첨가되어 블루라이트 차단력을 발휘하기 어렵고, 22 중량% 초과하여 포함하였을 때는 미세입자 형태의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의 분산력이 저해되어, 오히려 블루라이트 차단력이 제대로 발휘되기 어려우며, 또한,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의 특유의 매트하고 눅진한 사용감으로 인해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이 저해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유해광선"은 자외선은 물론 가시광선 영역 중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보고되고 있는 자색광 및 청색광을 포함하는 280 내지 500 nm 파장대의 빛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280 내지 500 nm 파장대의 UV, 자색광 및 청색광에 대한 차단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 이외의 자외선 차단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부 내에 수상부가 분산된 에멀젼 형태의 유중수형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유중수형(water-in-oil; w/o)"은 사전적으로 오일 상에 수용액이 분산된 형태를 의미한다. 오일과 물은 통상 비혼합성(immiscible)이나, 적절한 혼합방법 및 안정제 등에 의해 에멀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수용액 상에 분산된 오일방울을 포함하는 것이 수중유형이며, 반대로 연속적인 오일상에 분산된 물방울을 포함하는 것이 유중수형이다.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피부에 강한 오일막을 형성시켜 피부로부터의 증발을 억제하고, 장시간 지속적으로 수분 및 피부활성 물질을 전달시킴으로써 피부보호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에 비해 내수성이 우수하여 여름에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선스크린 제품, 유아의 기저귀 발진 방지를 위한 베이비 크림, 과도한 피지의 손실방지를 위한 핸드 크림 등 그 응용범위가 매우 넓다. 이에, 본 발명은 보다 우수한 사용감을 나타내는 유중수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서는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을 특정 함량으로 포함하거나, 여기에 추가적인 자외선 차단제를 더 포함하여 자외선은 물론, 블루라이트에 대해서도 차단효과를 나타내면서도, 우수한 제형과 사용감을 갖는 유중수형 제형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화된 조성을 발견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 이외의 자외선 차단제"는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과 폴리실리콘-15를 제외한 자외선 차단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호모살레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옥토크릴렌, 에칠헥실트리아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 애씨드,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트리스바이페닐트리아진,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및 징크옥사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상기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 이외의 자외선 차단제는 구체적으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24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화를 위하여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 이외의 자외선 차단제 외에도, 수용성 보습제, 유용성 점증제, 오일, 유화제, 방부제 및 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합이 0.2 내지 22 중량%의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 혼합물; 3 내지 24 중량%의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 이외의 자외선 차단제; 0.01 내지 15 중량%의 수용성 보습제; 0.01 내지 8 중량%의 유용성 점증제; 0.01 내지 30 중량%의 오일; 0.01 내지 10 중량%의 유화제; 0.01 내지 10 중량%의 방부제; 및 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수용성 보습제"는 수분감을 부여하는 동시에 유화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성 보습제는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글리세린, 프로판다이올, 트리프로필렌글라이콜, 소르비톨, 폴리글리세린, 바이오사카라이드검, 펜탄디올,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히아루론산나트륨 및 콜라겐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어, "오일"은 자외선 차단제를 분산시키고 계면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오일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은 실리콘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및 천연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콘 오일은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 다이메티콘, 페닐트라이메티콘, 카프릴릴메티콘 및 다이실록세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은 프로필헵틸카프릴레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부틸렌글라이콜 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카프릴레이트/다이카프레이트 다이부틸아디페이트, 다이아이소프로필아디페이트,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다이카프릴릴에터, C12-15 알킬벤조에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에칠헥실스테아레이트, 에칠헥실팔미테이트,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 및 다이아이소프로필세바케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폴리데센,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폴리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C15-18 알케인, 이소에이코산, 아이소헥사데칸, 이소도데칸, 운데케인, 도데칸 및 아이소도데케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천연오일은 스쿠알란, 타마누 오일, 마카다미아넛 오일, 해바라기 씨 오일, 올리브 오일, 달맞이 꽃 오일, 아르간 오일, 살구씨 오일, 베르가못 오일, 동백 오일, 티트리 오일, 호호바 오일 및 유자씨 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유용성 점증제"는 제형 형성시 적절한 점도를 부여하여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용성 점증제로는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 및 스테아랄코늄벤토나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유화제"는 에멀전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물질로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이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서로 섞이지 않는 2종 이상의 액체를 강력히 교반하여 하나의 액체가 되도록 하는 유화(乳化)를 돕기 위하여 첨가되는 물질이다. 뿐만 아니라 유화제는 유화된 용액이 각각 원래의 상으로 분리되지 않고 장시간 유액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예컨대, 유화제를 첨가하여 물과 기름의 경계면에 작용하는 힘 즉, 표면장력을 낮춤으로써 물속에 오일방울을, 또는 반대로 오일속에 물방울을 분산시키고, 분산된 입자가 다시 응집하지 않도록 안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유화제는 크게 친수성, 소수성, 자기유화형 유화제로 나눌 수 있으며, 그 유화제의 분자구조로 구분하면, 대부분이 친수/친유의 밸런스에는 차이가 있지만, 한 분자 내에 하나의 친수기와 하나의 친유기를 가지고 있는 형태이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농도에서는 분산상에 단일막(mono layer)으로 계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이는 화장품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유화제는 그 계면특성과 HLB(hydrophilic-lipophilic-balance) 이론이라는 어느 정도 일반화된 원칙에 의해 사용감 및 물성을 조절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안정된 유화를 위하여, 1종이 아닌 다종의 유화제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자가유화형 유화제의 경우는 친수기와 친유기를 모두 가진 형태로서 그 하나의 사용만으로 수상부에 유상부를 안정하게 분포시킬수 있는 능력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화제는 피이지-10 다이메티콘, 라우릴피이지-9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세틸피이지/피피지-10/1 다이메티콘, 폴리글리세릴-5폴리리시놀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3 메칠글루코오스 디스테아레이트,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방부제"는 제품에 미생물의 생육을 저해하여 안전성 및 안정성을 부여하고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방부제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부제는 펜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p-아니스산, 에칠헥실글리세린, 카프릴릴글라이콜, 페녹시에탄올 및 1,2-헥산디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in vitro SPF 70 이상의 자외선 차단효과를 가지며 40% 이하의 낮은 블루라이트 투과율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즉, 본 발명의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뿐만 아니라 청색 및 자색을 포함하는 블루라이트 영역까지 포함하는 유해광선 영역 전체에서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7: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제조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를 2:8 내지 9:1의 중량비로 사용하도록 조절하여 유중수형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성분의 구체적인 함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구분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A 프로필헵틸카프릴레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디부틸아디페이트 8.0 8.0 8.0 8.0 8.0 8.0 8.0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 1.2 1.2 1.2 1.2 1.2 1.2 1.2
라우릴피이지-9 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
디메치콘
3.0 3.0 3.0 3.0 3.0 3.0 3.0
B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칠부틸페놀
2.0 3.0 5.0 7.0 9.0 6.0 7.0
폴리실리콘-15 8.0 7.0 5.0 3.0 1.0 6.0 7.0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3.0 3.0 3.0 3.0 3.0 3.0 3.0
호모살레이트 3.0 3.0 3.0 3.0 3.0 3.0 3.0
에칠헥실트리아존 1.0 1.0 1.0 1.0 1.0 1.0 1.0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1.0 1.0 1.0 1.0 1.0 1.0 1.0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1.0 1.0 1.0 1.0 1.0 1.0 1.0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1.5 1.5 1.5 1.5 1.5 1.5 1.5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1.5 1.5 1.5 1.5 1.5 1.5 1.5
징크옥사이드 4.0 4.0 4.0 4.0 4.0 4.0 4.0
티타늄디옥사이드 3.0 3.0 3.0 3.0 3.0 3.0 3.0
C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마그네슘설페이트 1.0 1.0 1.0 1.0 1.0 1.0 1.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3.0 3.0 3.0 3.0 3.0 3.0 3.0
페녹시에탄올 1.0 1.0 1.0 1.0 1.0 1.0 1.0
비교예 1 내지 7: 비율을 벗어나거나, 추가적인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7에 함유된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 이외의 자외선 차단제 함량은 3 내지 24 중량%에 해당하고 대신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과 폴리실리콘-15의 혼합 비율이 벗어나도록 제조한 비교예 1 내지 5의 조성물과, 상기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과 폴리실리콘-15의 혼합비가 2:8 내지 9:1에 해당하나,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 이외의 자외선 차단제 함량이 3 내지 24 중량%을 벗어나도록 제조한 비교예 6 내지 7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성분의 구체적인 함량은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구분 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A 프로필헵틸카프릴레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디부틸아디페이트 8.0 8.0 8.0 8.0 8.0 8.0 8.0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 1.2 1.2 1.2 1.2 1.2 1.2 1.2
라우릴피이지-9 폴리디메칠
실록시에칠 디메치콘
3.0 3.0 3.0 3.0 3.0 3.0 3.0
B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칠부틸페놀
10.0 - 1.5 1.0 9.2 7.0 7.0
폴리실리콘-15 - 10.0 8.5 9.0 0.8 3.0 3.0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3.0 3.0 3.0 3.0 3.0 2.0 4.0
호모살레이트 3.0 3.0 3.0 3.0 3.0 - 5.0
에칠헥실트리아존 1.0 1.0 1.0 1.0 1.0 - 1.0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1.0 1.0 1.0 1.0 1.0 - 1.0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1.0 1.0 1.0 1.0 1.0 - 3.0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1.5 1.5 1.5 1.5 1.5 - 1.5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1.5 1.5 1.5 1.5 1.5 - 1.5
징크옥사이드 4.0 4.0 4.0 4.0 4.0 - 5.0
티타늄디옥사이드 3.0 3.0 3.0 3.0 3.0 - 3.0
C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마그네슘설페이트 1.0 1.0 1.0 1.0 1.0 1.0 1.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3.0 3.0 3.0 3.0 3.0 3.0 3.0
페녹시에탄올 1.0 1.0 1.0 1.0 1.0 1.0 1.0
제조예 1: 유중수형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표 1 및 2에 나타난 조성으로,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7의 유중수형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A상을 실온에서 AGI 믹서를 이용하여 고르게 분산시켜 준비하였다. 이와 별도로 B상은 75 내지 80 ℃까지 가온하여 용해시킨 후, 25 ℃까지 냉각시켜 준비하였다. A상에 B상을 투입하여 ULTRA HOMO MIXER로 고르게 분산시켰다. 이와 독립적으로, C상을 실온에서 용해 및 분산시켜 준비한 후, ULTRA HOMO MIXER로 2,000 rpm으로 교반하면서 A상과 B상의 혼합물에 서서히 투입하였다. C상을 완전히 투입한 후, ULTRA HOMO MIXER로 4,000 rpm으로 약 3분 동안 처리하였다.
그 결과, 비교예 7의 조성물은 제조 당일에는 이상이 없었으나 3일 경과시점에 분리현상이 일어나 제형의 안정성이 유지되지 못함을 확인하여 이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사진으로 찍어 도 2에 나타냈다. 생각건대, 자외선 차단제 24 중량% 초과하여 첨가 시, 유화 입자의 계면에서 상대적으로 극성도가 높은 자외선차단제 성분들이 연속상에 안정적으로 분포되지 못하여 분산상으로 이동하고, 분산상의 자외선차단제는 용해도가 저하되어, 석출현상이 발생하면서 실온상태에서 분리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과량의 자외선차단제 적용 시, 연속상과 분산상에 안정하게 분산 안정화 되지 않으면, 화장료 조성물이 안정하게 유지되지 못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실험예 1: 자외선 차단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7및 비교예 1 내지 7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자외선 차단효과 평가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내수성 측정을 위하여, 상기 시료들을 1.3 mg/cm2씩 취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HELIO PLATE HD6') 플레이트에 약 30초 동안 발라 도포하고, 15분 동안 암실에서 건조시켰다. 건조한 시료에 대해 Labsphere UV 2000S in vitro SPF Analyzer를 이용하여 침수 전 SPF를 측정하였다. 자외선 차단지수는 3회 실험치의 평균값으로 정리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과 도 4에 나타냈다.
시료 in vitro SPF 시료 in vitro SPF
실시예 1 70 비교예 1 60
실시예 2 78 비교예 2 55
실시예 3 86 비교예 3 62
실시예 4 80 비교예 4 60
실시예 5 77 비교예 5 58
실시예 6 88 비교예 6 27
실시예 7 91 비교예 7 49
그 결과,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7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7의 조성물에 비해 우수한 자외선 차단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비교예 7의 조성물은 실시예의 조성물들에 비해 자외선 차단제의 총 함량은 높았으나, 실제 사용시에는 이로 인한 낮은 표면장력으로 인해 부착력을 낮추는 역할을 하여 사용량 대비 자외선 차단효과는 높지 않았다.
특히, 비교예 7의 경우, 매우 높은 함량의 자외선차단제가 함유되었음에도, 자외선차단효과가 실시예 1 내지 7에 비해 낮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의 원인은, 상기에 언급된 제조예 1: 유중수형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서 비교예 7의 조성물이 제조 후 실온에서 분리된 이유와 동일하다.
또한 도 3을 보면, 자외선차단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PMMA plate에 내용물을 도포했을 때, 비교예 7은 실시예 4처럼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고, 불균일하게 도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자외선차단효과는 자외선차단제 함량 비례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조성물에서의 분산 안정성을 유지해야 자외선차단제 함량 대비 자외선차단효과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험예 2: 블루라이트 차단효과 평가
상기 실험예 1을 통해 자외선 차단효과가 확인된,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7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블루라이트 차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JASCO 사의 UV-Visible/NIR 분광광도계(V-770)를 이용하여, 블루라이트 파장대(380 내지 500 nm)에서의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1에서와 같이, PMMA 플레이트 상에 준비한 시료들에 대해,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1 nm 간격으로 380 내지 500 nm 영역에서 블루라이트 투과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냈다.
시료 투과율 (%) 시료 투과율 (%)
실시예 1 40 비교예 1 70
실시예 2 37 비교예 2 80
실시예 3 34 비교예 3 84
실시예 4 35 비교예 4 80
실시예 5 38 비교예 5 85
실시예 6 32 비교예 6 78
실시예 7 31 비교예 7 75
그 결과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7 조성물은 40% 이하의 낮은 투과율을 나타낸 반면, 비교예 1 내지 7의 조성물은 모두 70% 이상의 높은 투과율을 나타냈으며, 비교예 7의 화장료 조성물은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자외선 차단효과와 같이 사용함량 대비 블루라이트 차단효과가 높지 않고 오히려 저해하는 현상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전체 블루라이트 파장 영역에서의 차단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4 및 비교예 1의 시료에 대해 380 내지 500 nm 범위에서 측정한 파장에 따른 블루라이트 투과율을 도 1에 나타냈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시료에 대해 측정된 투과율은 실시예 4의 시료에 대해 측정된 투과율에 비해 블루라이트 파장 영역 전체에서 약 20% 이상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이로부터 블루라이트 영역 전체에서 실시예 4의 조성물이 비교예 1의 조성물에 비해 우수한 차단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블루라이트 차단에 대한 지속성 평가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효과 평가 시 유의한 차단효과가 나타난 실시예 1 내지 7과 비교예 1 내지 7이 도포된 플레이트를 물이 든 비이커에서 마그네틱바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15분 동안 침수시킨 후 암실에서 15분 동안 건조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하였다. 상기 2회의 침수를 반복한 후, 블루라이트 투과율을 측정하고 상기 실험예 2에서 측정한 침수 전 수치와 비교하여 블루라이트 차단 유지력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냈다.
시료 지속력 (%) 시료 지속력 (%)
실시예 1 63 비교예 1 37
실시예 2 66 비교예 2 33
실시예 3 75 비교예 3 38
실시예 4 75 비교예 4 36
실시예 5 77 비교예 5 30
실시예 6 78 비교예 6 29
실시예 7 79 비교예 7 40
그 결과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7의 화장료 조성물은 모두 60%를 상회하는 유의한 지속력을 나타냈다. 반면, 상기 실험예 2에 따른 비교예 1 내지 7의 화장료 조성물은 모두 40% 이하로 지속력이 낮은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비교예 1 내지 7 대비 현저히 우수한 지속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면, 본 발명의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은 물론 가시광선 중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자색 및 청색광에 대하여 차단 효과를 나타내고, 안정한 제형을 가지면서도 상기 유해광선에 대한 차단 효과를 지속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8)

  1.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를 2:8 내지 9: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280 내지 500 nm 파장대의 UV, 자색광 및 청색광에 대한 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것인,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 이외의 자외선 차단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 이외의 자외선 차단제는 3 내지 24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 이외의 자외선 차단제는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호모살레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옥토크릴렌, 에칠헥실트리아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 애씨드,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트리스바이페닐트리아진,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및 징크옥사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수용성 보습제, 유용성 점증제, 오일, 유화제, 방부제 및 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합이 0.2 내지 22 중량%의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 혼합물;
    3 내지 24 중량%의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폴리실리콘-15 이외의 자외선 차단제;
    0.01 내지 15 중량%의 수용성 보습제;
    0.01 내지 8 중량%의 유용성 점증제;
    0.01 내지 30 중량%의 오일;
    0.01 내지 10 중량%의 유화제;
    0.01 내지 10 중량%의 방부제; 및
    물을 포함하는 것인,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보습제는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글리세린, 프로판다이올, 트리프로필렌글라이콜, 소르비톨, 폴리글리세린, 바이오사카라이드검, 펜탄디올,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히아루론산나트륨 및 콜라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실리콘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및 천연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 다이메티콘, 페닐트라이메티콘, 카프릴릴메티콘 및 다이실록세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은 프로필헵틸카프릴레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부틸렌글라이콜 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카프릴레이트/다이카프레이트 다이부틸아디페이트, 다이아이소프로필아디페이트,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다이카프릴릴에터, C12-15 알킬벤조에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에칠헥실스테아레이트, 에칠헥실팔미테이트,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 및 다이아이소프로필세바케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폴리데센,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폴리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C15-18 알케인, 이소에이코산, 아이소헥사데칸, 이소도데칸, 운데케인, 도데칸 및 아이소도데케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오일은 스쿠알란, 타마누 오일, 마카다미아넛 오일, 해바라기 씨 오일, 올리브 오일, 달맞이 꽃 오일, 아르간 오일, 살구씨 오일, 베르가못 오일, 동백 오일, 티트리 오일, 호호바 오일 및 유자씨 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용성 점증제는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 및 스테아랄코늄벤토나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피이지-10 다이메티콘, 라우릴피이지-9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세틸피이지/피피지-10/1 다이메티콘, 폴리글리세릴-5폴리리시놀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3 메칠글루코오스 디스테아레이트,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부제는 펜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p-아니스산, 에칠헥실글리세린, 카프릴릴글라이콜, 페녹시에탄올 및 1,2-헥산디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향료, 색소, pH조절제, 안정화제 및 항산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028615A 2020-03-06 2020-03-06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174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615A KR102174588B1 (ko) 2020-03-06 2020-03-06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615A KR102174588B1 (ko) 2020-03-06 2020-03-06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588B1 true KR102174588B1 (ko) 2020-11-06

Family

ID=73572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615A KR102174588B1 (ko) 2020-03-06 2020-03-06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5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157B1 (ko) * 2021-03-22 2021-09-09 한국콜마주식회사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larins Dry Touch Sun Care Cream ingredients (Explained), 2019.03.29.* *
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2008, Vol.50, pp.159-16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157B1 (ko) * 2021-03-22 2021-09-09 한국콜마주식회사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64325T3 (es) Composición de protección solar
JP6272764B2 (ja) 少なくとも1種の親油性有機uvスクリーニング剤及び疎水性シリカのエアロゲル粒子を含有する連続油相を伴う組成物
JP5592383B2 (ja) ポリアルキルエーテル含有シロキサンエラストマーを含む弾力性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EP2674146B1 (en) Sunscreen cosmetic
KR102583575B1 (ko) 산화 방지제를 이용한 uva 광 보호를 증대시키는 방법
KR101979217B1 (ko) 유중수형 고형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TWI745503B (zh) 水中油型紫外線防禦化妝料
JP4866066B2 (ja) 化粧料
EP2609902B1 (en) Water-in-oil emulsified cosmetic preparation
KR20160110125A (ko) 겔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 겔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KR20210097079A (ko)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4587B1 (ko) 유해광선 차단용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JP5822427B2 (ja) アスコルビン酸またはサリチル酸化合物を含む化粧用組成物
KR102498844B1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WO2015004629A1 (en) Color changing composition comprising pigments and a high amount of water
KR102174588B1 (ko) 유해광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137947B1 (ko)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
CN110662528A (zh) 油包水型化妆材料
EP2964336A2 (en) Colour changing composition in emulsion form comprising a partially neutralized, crosslinked acrylic homopolymer or copolymer
KR20160111212A (ko) 알긴을 함유하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JP7272459B2 (ja) 油中水型化粧料
KR20190062937A (ko) 수중유 또는 유중수 에멀전 형태를 가지는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42903B1 (ko) 세륨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광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15519A (ko) 화장 조성물
TW202108117A (zh) 含有雙乙基己氧基苯酚甲氧基苯基三嗪之複合配方之防曬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