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812A - 유중수 유화형 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중수 유화형 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812A
KR20180076812A KR1020160181382A KR20160181382A KR20180076812A KR 20180076812 A KR20180076812 A KR 20180076812A KR 1020160181382 A KR1020160181382 A KR 1020160181382A KR 20160181382 A KR20160181382 A KR 20160181382A KR 20180076812 A KR20180076812 A KR 20180076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eight
water
oil
polyglycer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유미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1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6812A/ko
Publication of KR20180076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8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 안정도 및 저온 안정도가 우수하고 피부에 유연하고 얇은 막을 형성하여 사용감과 피부 안전성 및 SPF(Sun Protect Factor, 자외선차단능)을 개선시킨 유중수 유화형 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중수 유화형 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Water in Oil Emulsion Type Solid Make-up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고온 안정도 및 저온 안정도가 우수하고 피부에 유연하고 얇은 막을 형성하여 사용감과 피부 안전성 및 SPF(Sun Protect Factor, 자외선 차단능)을 개선시킨 유중수 유화형 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조성물은 수중유형(Oil-in-Water, O/W)과 유중수형(Water-in-Oil, W/O)으로 대별된다. 수중유형 조성물은 유중수형에 비해 가벼운 사용감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외상이 수상인 형태로 내수성 및 화장 지속성이 떨어지고, 피지에 의한 색상 변색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유중수형 조성물은 외상이 오일상이므로 땀에 대한 내수성 및 피지에 의한 내유성이 우수하나, 수중유형 조성물에 비해 무거운 사용감 및 장기 보관시 제품 안정도의 저하가 최대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고형 메이크업 화장료는 오일을 결정화시킬 수 있는 왁스를 사용하여 고형을 만든다. 일반적인 제조방법은 왁스와 오일을 혼합 가열하여 왁스의 녹는점까지 온도를 높인 후 완전 용해하고 일정 시간 교반하여 제조하며, 메이크업 화장료에는 분체를 혼합하고, 유중수형 고형 메이크업 제품은 왁스, 오일, 분체의 분산물에 수상을 첨가하여 만들어지는 제품이다.
그런데, 이러한 유중수형 고형 메이크업 제품은 안정성과 성형성에서 고온에서 표면에 오일이 배어 나오는 스웨팅 현상과 저온에서 표면이 갈라지는 현상 및 왁스 특유의 두꺼운 화장감과 번들거림, 피부에 도포시 도포되는 양이 일정치 않아 사용감에 있어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메이크업 화장료에 요구되는 자외선 차단능으로 인해 유,무기 자외선차단 원료를 사용함으로써 오일 및 왁스와의 상용성을 저해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저해하고, 가벼운 사용감을 구현해 내는데 한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료에는 PEG(POLYETHYLENE GLYCOL)계 유화제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PEG계 유화제는 가격 경쟁력이 있고, 유화력이 좋아 사용하기 편리하나, 유화제 자체가 피부에 자극을 일으키며, 이러한 PEG계 유화제가 함유된 화장료 또한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화장료 성분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도서나, 휴대폰 어플리케이션 앱을 통해 성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화장품의 비밀'이라는 도서에 수록되어 있는 '가장 피해야 할 20가지 성분'의 목록에 PEG(POLYETHYLENE GLYCOL)이 포함되어 있어, 주의가 필요한 성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PEG(POLYETHYLENE GLYCOL)가 아닌 유화제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유화능이 떨어져 오일과 분리되는 등의 제품 안정도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PEG계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고도 고온에서의 스웨팅 현상과 저온에서 갈라짐 현상 및 내용물 수축 문제 등의 제형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는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상부와 유상부를 포함하는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가 폴리글리세릴-2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 및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화제와 C30-45알킬디메치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 유화형 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PEG계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아 피부에 안전하고, 고온에서 오일이 배어 나오는 스웨팅 현상과 저온에서 표면이 갈라지는 안정성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두껍고 무거운 사용감과 번들거림 및 피부 도포시 일정치 않은 pay-off양을 개선하여 가볍고 균일한 사용감을 갖는다.
도 1은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 고온에서의 제형 안정도를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 저온에서의 제형 안정도를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PEG계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고도 피부 안전성과 제형 안정성이 동시에 확보된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유상부 내에 폴리글리세릴-2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 및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화제와 C30-45알킬디메치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2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한다.
상기 유화제는 PEG-Free 유화제로 피부에 대한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PEG-Free 유화제의 사용으로 인한 제형 불안정성은 C30-45알킬디메치콘과 상기 유화제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개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화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5 내지 5 중량% 범위로 사용하는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며,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유화가 어렵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사용감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C30-45알킬디메치콘은 알킬메틸 실록산왁스로 녹는점이 70 ℃이며, 높은 분자량의 탄화수소기를 가지는 폴리디메칠실록산이다. 실리콘과 탄화수소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어 탄화수소 오일과 실리콘 오일 및 유기 자외선차단원료와 상용성이 우수하여 자외선차단 기능을 향상시킨다. 화장료의 녹는점을 낮추어 유연하고 가벼운 막을 형성하고 피부 도포시 페이오프양을 균일하게 하고 두꺼운 화장감으로 인한 피부 부담감을 해소한다.
또한, C30-45알킬디메치콘은 실리콘 오일, 탄화수소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및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의 상용성이 좋아 유화체계에 도움을 주어 온도에 따라 결정화 되지 않도록 도와준다. 또한 오일과의 결합되는 힘이 강하여 고온에서 오일이 배어 나오는 현상을 억제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자외선 차단 원료의 양을 적게 사용하여 피부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C30-45알킬디메치콘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 0.5 내지 5 중량%가 바람직하다. 만약 C30-45알킬디메치콘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를 미달하는 경우에는 고형 타입의 제형 형성이 어렵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형이 지나치게 단단해져 사용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기 못하다.
본 발명의 유중수 유화형 저점도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부, 유상부 및 분체로 이루어지며, 이때 수상부와 유상부의 조성은 본 발명에서 크게 한정하지 않으며, 제조되는 각 제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화장료 특히, 메이크업 화장료의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선크림,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비비크림, 컨실러, 립스틱, 립글로스, 립라이너, 파우더, 투웨이케익, 프라이머, 팩트, 파우더, 아이섀도, 블러셔, 아이라이너, 치크칼라, 아이 마스카라, 헤어젤, 헤어 마스카라 등 다양한 제형의 메이크업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파운데이션, 컨실러, 아이섀도, 또는 치크칼라의 제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조성들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그 효과를 떨어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의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i) 폴리글리세릴-2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 및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화제와 C30-45알킬디메치콘을 포함하는 유상부 30 내지 50 중량%; ⅱ) 분체 10 내지 25 중량%; 및 ⅲ) 수상부 3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i) 폴리글리세릴-2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 및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화제 0.5 내지 5 중량%, C30-45알킬디메치콘 0.5 내지 5 중량%, 자외선 차단제 5 내지 20 중량% 및 오일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유상부 30 내지 50 중량%와, ⅱ) 분체 10 내지 25 중량%와, ⅲ) 폴리올 0.1 내지 20 중량%, 및 잔부로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 3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이용되는 자외선 차단제는 종래부터 화장료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글리세릴파바(Glyceryl PABA),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드로메트리졸, 디갈로일트리올리에이트,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셀로네이트, 디이에이-메톡시신나메이트, 로우손과 디히드록시아세톤의 혼합물, 4-메틸벤질리덴캠퍼,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벤조페논-3, 벤조페논-4, 벤조페논-8,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시녹세이트, 에틸디하이록시프로필파바, 옥토크릴렌, 에틸헥실디메틸파바,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에틸헥실트리아존,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티이에이-살리실레이트, 파라아미노벤조산(PABA: Para-Aminobenzoic Acid),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폰산, 호모살레이트, 디에틸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폰산 및 그 염류, 폴리실리콘-15, 벤조페논-1, 벤조페논-2, 벤조페논-5, 벤조페논-6, 벤조페논-9, 3-벤질리덴캠퍼, 벤질리덴캠퍼 설포닉에시드, 부틸파라아미노벤조산, 캠퍼 벤젤코늄 메토셀페이트, 디에틸헥실 부타미도 트리아존, 디이소프로필 메틸신나메이트, 에틸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2-에틸헥실디메톡시벤질리딘디옥소이미다졸리딘프로피오네이트, 에틸파라아미노벤조산, 페룰산, 글리세릴에틸헥사노에이트 디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펜틸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트리실록산, 이소프로필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벤질살리실레이트, 피이지-25 파바, 폴리아크릴아미도메틸 벤질리딘캠퍼, 포타슘페닐벤지이미다졸 설포네이트, 소듐 페닐벤지이미다졸 설포네이트 및 티이에이-페닐벤지이미다졸 설포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가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미미하며,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에멀젼의 안정도가 저하되고 끈적이는 등의 사용감에 악영향을 주며, 자외선 차단 효과도 사용량에 비해 크지 않아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오일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폴리데센 및 파라핀 오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글리세릴 트리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옥틸팔미테이트를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합성오일; 페닐트리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콘,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에칠트리실록산, 트리실록산 및 사이클로헵타실록산을 포함하는 실리콘 오일; 동물성 오일; 망고 버터, 쉐어버터, 코포아수 씨드버터, 마카다미아씨 오일을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 에톡시레이티드 알킬에스테르계오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세라마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체는 1mm 이하의 입자크기를 갖는 고체물질의 집합체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분체는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체질안료, 백색 안료, 착색 안료, 진주광택 안료, 금속 분체, 유기 분체 등을 포함한다. 나아가, 내수성 및 분산성을 높이기 위해 알킬실란, 실리카, 마이카 등으로 코팅된 원료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분체는 탤크, 마이카, 세리사이트, 탄산칼슘, 탄산마크네슘 무수규산 및 황산바륨 등의 체질안료;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등의 백색안료; 적색산화철, 황색산화철, 흑색산화철, 군청, 감청, 산화크롬 및 카본블랙 등의 착색안료;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나일론-6 및 나일론-12 등의 유기안료; 및 진주광택안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 및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비닐디메치콘/ 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 페닐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및 라우릴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등의 실리콘 변성 파우더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분체는 전체 조성물 내에서 10 내지 25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피부 잡티 등을 커버하기 부족하며, 25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사용감이 좋지 않고, 분체의 분산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수상부는 정제수, 폴리올을 포함하고, 이때 각 수상부 및 유상부에 각종 첨가제나 유효 활성 성분을 더욱 첨가할 수 있다.
이때 물은 증류수이고, 바람직하게는 탈이온화된 증류수를 사용하며, 전체 중량%를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잔부로서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폴리올은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1,3-부틸렌글라이콜,폴리에틸렌글라이콜, 솔비톨, 1,2-펜탄디올 또는 이소프렌글라이콜이 가능하다.
이러한 폴리올은 전체 조성물 내에서 0.1 내지 20.0 중량%, 바람직하기로 0.5 내지 10.0 중량%의 범위로 사용한다.
이외에도, 필요한 경우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바의 수용성 및 유용성 생리 활성 성분, 용매, 방부제, pH 조절제, 지방산, 유화제, 산화방지제, 안료, 염료, 향료, 등의 첨가제를 더욱 첨가할 수 있으며, 이때 그 종류 및 함량은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조성 이외에 다른 성분들을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일예로, 수상부에 수용성 유효 활성 성분으로 주름 개선제, 미백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주름 개선제로는 아데노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미백제로는 닥나무추출물, 알부틴, 에칠아스코빌에텔,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효 활성 성분은 수상부 내에서 5 중량% 이하로 사용한다.
또한, 유상부에는 유용성 유효 활성성분으로 미백 효과가 있는 유용성 감초, 알파-비사보롤 등이 가능하다. 또한,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활성성분으로는 레티놀 및 이의 유도체 (예, 레티닐 팔미테이트) 등과 같은 유용성 활성성분이 가능하다. 이들 활성성분은 전체 조성물 내에서 0.001~10.0 중량%의 범위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유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1) 폴리글리세릴-2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폴리리시놀리에이트, 및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화제, C30-45알킬디메치콘, 자외선 차단제 및 오일을 혼합하여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S2) 폴리올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및
S3) 상기 유상부에 분체를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수상부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를 거쳐 제조한다.
상기 S1), S2), S3)의 혼합 공정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온도 조절과 교반이 가능한 진공 유화조 내에서 수행하며, 필요에 따라 교반 및 열을 가하는 방식이 이루어진다.
일례로, 수상부는 50∼80℃, 바람직하게는 65∼75℃로 가열하여 수행하고, 유상부는 50∼80℃, 바람직하게는 65∼75℃로 가열하여 오일에 다른 성분이 충분히 용해될 수 있도록 수행한다.
상기 교반은 진공 유화조 내에서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2000∼4000rpm, 바람직하게는 3000rpm의 속도로 3∼10분 동안 교반을 수행한다.
이후 25∼30℃까지 냉각을 진행하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비교예 :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제조
혼합기에 하기 표 1에서 제시한 조성을 첨가한 후 85℃에서 아지믹서 및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20분 동안 교반하여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1) 원료 1~11을 평량하여 가열하여 교반하였다.
(2) (1)에 원료 12~16을 평량하여 가열하여 교반하였다.
(3) 원료 17~21을 평량하여 가열하여 교반하였다.
(4) (3)을 (2)에 서서히 가하면서 교반, 혼합하여 유화시킨다.
원료명 (중량%)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1 세레신 4.00 5.50 - 4.00 4.00 4.00 4.00
2 폴리에틸렌 - - 5.50 - - - -
3 C30-45알킬디메치콘 1.50 - - 1.50 6.00 1.50 -
4 폴리글리세릴-2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3.00 - - - 3.00 6.00 3.00
5 피이지-10디메치콘 - - - 3.00 - - -
6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4.00 4.00 4.00 4.00 4.00 4.00 4.00
8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9 에칠헥실이소노나노에이트 5.00 5.00 5.00 5.00 5.00 5.00 5.00
1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4.00 4.00 4.00 4.00 4.00 4.00 4.00
11 페닐트리메치콘 12.00 12.00 12.00 12.00 12.00 12.00 12.00
12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3.00 3.00 3.00 3.00 3.00 3.00 3.00
13 티타늄디옥사이드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4 황색산화철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5 적색산화철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6 흑색산화철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7 부틸렌글라이콜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8 소듐클로라이드 0.60 0.60 0.60 0.60 0.60 0.60 0.60
19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0.02 0.02
20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30 0.30 0.30 0.30 0.30 0.30 0.30
2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험예 1 : 고온에서의 제형 안정도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6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고온에서 오일이 베어 나오는 발한 (Sweating)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50℃ 항온조에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6의 화장료 조성물을 넣은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발한 안정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듯이, 1시간이 경과한 후 비교예 1 내지 3에서는 오일이 표면에 베어나오는 발한이 발생하였으나, 실시예 1에서는 발한 현상을 관찰할 수 없었다. 비교예 4 내지 6의 경우 충진 도중 굳거나, 고형이 되지 않아 용기에 충진이 불가능하였다. 실시예 1의 경우 폴리글리세릴-2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에 의해 유화계가 안정화되고 C30-45알킬디메치콘과 유기 자외선 차단 원료 및 오일과의 상용성이 좋아져 고온에서 분리되거나 오일이 삐져나오지 않고 안정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저온에서의 제형 안정도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저온에서 크랙이 발생하거나 수축되는 정도를 비교하였다. -20℃ 항온조에 실시예 1과 비교예 1과 2의 화장료 조성물를 넣은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제형 안정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1주일 경과 후 비교예 1과 2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기 주변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수축되었으나,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관찰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C30-45알킬디메치콘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왁스의 재결정되는 정도를 조정하여 저온에서도 크랙이 발생하거나 수축하는 문제점 없이 안정한 제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사용감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6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25세 ~ 45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아침에 사용하게 한 후 사용 후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항목으로는 사용직 후 번들거림, 밀착력, 퍼짐성, 균일성, 무거움 등의 사용감으로 하였으며, 각 항목들을 품평한 후에 0~5점까지 점수를 주도록 하여 그 평균점수를 내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번들거림 밀착력 퍼짐성 균일성 무거움
실시예1 1 4.5 5 5 1
비교예1 4 3 2 2 4
비교예2 4 3 2 2 4
비교예3 4 3 3 4 4
비교예4 4 1 2 2 5
비교예5 4 1 1 1 5
비교예6 4 1 5 4 2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번들거림, 밀착력, 퍼짐성, 균일성, 무거움 등의 사용감에서 모두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4 : 안전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6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25세 ~ 45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첩포검사를 실시하였다. 피험자의 전완(forearm) 또는 등(back) 부위에 첩포를 48시간 부착하여 나타나는 피부자극을 육안 판독하였다. 첩포를 제거하고 나타나는 피부자극을 당일, 그리고 24시간 경과 후 육안 판독하였다.
그 결과, 비교예 3과 비교예 5에서 약양성 이상의 반응이 나타났고, 실시예 1과 비교예 1, 2, 4 및 6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이상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예 5 : in vitro SPF 수치 비교
PMMA(폴리메칠마타크릴레이트)의 판에 비교예 1 내지 3과,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균일하게 도포(0.2mg/㎠)한 후, in vitro SPF를 UV-2000S 분석기를 이용하여 자외선차단 수치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SPF PFA
실시예1 72 19
비교예1 64 17
비교예2 59 16
비교예3 67 17
상기 표 3의 결과를 보면, 실시예 1의 자외선 차단 수치가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수상부와 유상부를 포함하는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가 폴리글리세릴-2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 및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화제와 C30-45알킬디메치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 유화형 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2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 유화형 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30-45알킬디메치콘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5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 유화형 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5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 유화형 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i) 폴리글리세릴-2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 및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화제와 C30-45알킬디메치콘을 포함하는 유상부 30 내지 50 중량%;
    ⅱ) 분체 10 내지 25 중량%; 및
    ⅲ) 수상부 3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 유화형 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i) 폴리글리세릴-2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 및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화제 0.5 내지 5 중량%, C30-45알킬디메치콘 0.5 내지 5 중량%, 자외선 차단제 5 내지 20 중량% 및 오일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유상부 30 내지 50 중량%와,
    ⅱ) 분체 10 내지 25 중량%와,
    ⅲ) 폴리올 0.1 내지 20 중량%, 및 잔부로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 30 내지 50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 유화형 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PEG계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 유화형 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파운데이션, 컨실러, 아이섀도, 또는 치크칼라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 유화형 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81382A 2016-12-28 2016-12-28 유중수 유화형 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800768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382A KR20180076812A (ko) 2016-12-28 2016-12-28 유중수 유화형 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382A KR20180076812A (ko) 2016-12-28 2016-12-28 유중수 유화형 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812A true KR20180076812A (ko) 2018-07-06

Family

ID=62921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382A KR20180076812A (ko) 2016-12-28 2016-12-28 유중수 유화형 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681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849A (ko) 2018-09-13 2020-03-23 (주)아모레퍼시픽 커버력 및 발림성이 우수한 스틱형 메이크업 조성물
KR20200048154A (ko) * 2018-10-29 2020-05-08 (주)아모레퍼시픽 개선된 사용감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423954B1 (ko) * 2021-12-27 2022-07-25 한국콜마주식회사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849A (ko) 2018-09-13 2020-03-23 (주)아모레퍼시픽 커버력 및 발림성이 우수한 스틱형 메이크업 조성물
KR20200048154A (ko) * 2018-10-29 2020-05-08 (주)아모레퍼시픽 개선된 사용감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423954B1 (ko) * 2021-12-27 2022-07-25 한국콜마주식회사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6487B2 (en) Comfortable, long-wearing, transfer-resistant colored cosmetic compositions
JP2898232B2 (ja) 無水の耐水性化粧品組成物
KR100955353B1 (ko) 화장료의 제조 방법
US8293222B2 (en) Silicone-modified wax-containing composition and cosmetic preparation containing the composition
US6534072B2 (en) Process for increasing the persistence of at least one cosmetic effect and/or care effect of a cosmetic composition, cosmetic composition and use thereof
US20090074689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volatile fatty phase
KR100318658B1 (ko) 신규한 안료를 함유하는 화장품용 조성물
JP2004346046A (ja) 化粧料
JP2001342254A (ja) シリコーン化合物及び化粧料
JP2013209296A (ja) 油性固形化粧料
KR20180076812A (ko) 유중수 유화형 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US20060051383A1 (en) Preparation, in particular cosmetic preparation, and the production and use thereof
US20090041694A1 (en) Preparation, in particular cosmetic preparation, production and use thereof
KR20160055411A (ko) 수중유 유화형 반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211896B1 (ko) 발림성이 우수한 매트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1476A (ko) 유중수 유화형 저점도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70061898A (ko) 수중유 유화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815127B1 (ko) 온도 감응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60165640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alkoxylated alcohol ester and at least one apolar oil
JP4152899B2 (ja) 耐褪色性に優れた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2003113034A (ja) 水中油型化粧料
US20200246246A1 (en) Cosmetic
JP2003113033A (ja) 油中水型化粧料
WO2023189896A1 (ja) 化粧料
KR20150051675A (ko) 제형 안정도 및 지속성이 우수한 저점도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