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889B1 -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다공성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 Google Patents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다공성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889B1
KR101998889B1 KR1020130112519A KR20130112519A KR101998889B1 KR 101998889 B1 KR101998889 B1 KR 101998889B1 KR 1020130112519 A KR1020130112519 A KR 1020130112519A KR 20130112519 A KR20130112519 A KR 20130112519A KR 101998889 B1 KR101998889 B1 KR 101998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foam
cosmetic
porous
foam
cosm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4749A (ko
Inventor
이천구
김경섭
오세웅
김현정
김혜련
박상욱
강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50024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0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수성 단량체 고분자를 포함하고, 인치당 셀 수가 70 ppi 이상인 다공성 폼 및 다공성 폼에 함침된 화장료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공성 폼은 화장료의 함침량, 보액성 및 사용감에 있어서 향상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다공성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COSMETICS COMPRISING COSMETIC COMPOSITION IMPREGNATED IN POROUS FOAM}
아래의 설명은 다공성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수성 단량체 고분자를 포함하며, 인치당 셀 수가 70 ppi 이상인, 보액성을 향상시킨 다공성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에 있어서, 발림성이나 사용감에서 액상 형태의 화장료가 선호되고 있으나 휴대성이나 사용성에 있어서 불편함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저점도 유화 제형인 액상 화장료를 폴리우레탄 폼에 함침시킨 화장품 제품이 개발되어 사용되어오고 있었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폼을 함침용 스폰지로서 사용하는 화장품은, 폴리우레탄의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장점과 폴리우레탄 폼 내에 많은 양의 화장료를 함침시키기에 유리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이의 기공이 너무 크기 때문에 화장료를 기공 전반에 걸쳐서 고른 분포로 보액하지 못하고 함침된 화장료가 폼의 하부에 가라 앉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원래 형태를 유지하면서는 함침된 화장료를 끝까지 사용하기 어려우며, 하부에 가라 앉은 화장료를 사용하기 위하여 화장품을 어느 정도 사용한 후 소비자가 직접 함침용 스폰지를 다시 뒤집어서 사용해야 하는 등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화장료를 함침하는 폼의 보액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시킬 폼으로서 기존의 폴리우레탄 폼을 대체하여, 보액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액상 화장료의 함침량도 우수하며,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낼 수 있는 다공성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또한, 내화학성 및 내광성이 우수하여 장기 보존시에도 다공성 폼의 외관 변질이 없어 화장료의 함침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다공성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은, 소수성 단량체 고분자를 포함하고, 인치당 셀 수가 70 ppi 이상인 다공성 폼 및 상기 다공성 폼에 함침된 화장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폼은 점도가 브룩필드 점도계 LVII, spindle no. 4, 30rpm, 25℃ 의 측정조건에서 2000 cps 내지 20000 cps 인 화장료를 함친시킨 후 에스커 경도기 F형(Type F) 기준으로 25 내지 60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폼은 에스터 오일, 휘발성 실리콘 오일, 물, 극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내화학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폼은 밀도가 0.05 내지 0.3 g/cm3 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폼은 신율이 100 내지 450% 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폼은 셀의 평균 길이가 0.01 내지 0.35 mm 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폼은 소수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발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단량체 고분자는, 스티아렌, 부타디엔, 클로로프렌, 아크로닐로니트릴, 이소프렌, 이소부틸렌, 에틸렌 및 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단량체 고분자는, NR, SBR, BR, NBR, ABS, PE 및 PVA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는 점도가 2000 cps 내지 20000 cps 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는 유중수형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수성 단량체 고분자로서, NR (natural rubber) 및 SBR (styrene-butadiene rubber) 를 함유하고 인치당 셀 수가 70 ppi 이상인 다공성 폼을 사용하는 경우, 기존의 폴리우레탄 보다 액상 화장료의 함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보액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다공성 폼 내에 함침된 화장료가 다공성 폼의 하부로 가라 앉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소수성 단량체 고분자로서, NR 및 SBR 를 함유하고 인치당 셀 수가 70 ppi 이상인 다공성 폼은 경도가 대체적으로 낮아서 부드러운 사용감을 가지며, 사용함에 있어서도 퍼프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힘(예를 들면, 약 0.4kgf/cm2)으로 다공성 폼을 가압 하는 경우, 매회 거의 균일한 토출량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소수성 단량체 고분자로서, NR 및 SBR 를 함유하고 인치당 셀 수가 70 ppi 이상인 다공성 폼은 안정하여 함침된 화장료가 저점도의 액상의 형태를 가질 지라도 내용물의 휘발을 방지하고, 내광성 및 내화학성 또한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NR-SBR 다공성 폼 및 다공성 우레탄 폼의 확대 이미지이다.
도 2는 NR-SBR 다공성 폼 및 다공성 우레탄 폼의 내광성 평가의 결과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폼은 함침된 액이 가라앉지 않도록 하는 정도의 기공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소수성 단량체 고분자를 포함하면서, 인치당 셀 수가 70 ppi 이상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인치당 셀 수가 90 ppi 일 수 있다. 인치당 셀 수의 측정은 화상분석기를 이용하여 100 배 확대한 이미지를 측정한 후에, 평균 셀 크기를 측정하고, 기준 길이(1 인치, 약 2.54 cm)에 들어가는 셀의 수를 환산하여 측정한다. 인치당 셀 수가 70 ppi 미만인 경우, 화장료를 함침하는 다공성 폼의 밀도가 커지게 되어 함침된 화장료의 배출 시 과도한 힘이 요구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화장료가 함침될 수 있는 내부의 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다공성 폼의 함침량이 적어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폼은 소수성 단량체 고분자로서, 스티아렌, 부타디엔, 클로로프렌, 아크로닐로니트릴, 이소프렌, 이소부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단독 또는 혼합된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이러한 고분자의 예로는 천연고무 (NR; natural rubber), SBR(styrene-butadiene rubber), BR(butadiene rubber),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ABS, PE(polyethylene), PVA(polyvinyl alcohol), EVA(ethylene vinyl acetate)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NR 및 SBR를 함유하는 고분자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폼은 소수성 단량체 고분자로서, NR 및 SBR를 함유하는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NR 및 SBR를 함유하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다공성 폼은, 이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기존의 폴리우레탄 다공성 폼과는 달리 소수성의 단량체를 함유하는 고분자에 의해 구성되므로 보액성이 더 우수할 수 있다. 즉, 소수성의 고분자로 함침용 스폰지가 만들어질 경우 내부에 충진된 액상의 화장료가 점도와 표면장력에 의해서 충진된 후 기공을 거쳐 다공성 폼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는데, 이는 다공성 폼을 구성하는 고분자 자체가 그의 소수성 특성으로 인해 화장료를 유인하여 확산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NR 및 SBR의 중량비는 2 대 8 내지 8 대 2 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7 대 3 내지 5 대 5의 비율일 수 있다. NR과 SBR의 함량비에 있어서 NR의 함량이 8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다공성 폼의 경도가 높아져서 딱딱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 할 수 있으며, 고무 냄새가 강하게 발생함으로 인하여 사용 시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반면에 NR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으로 SBR의 함량이 높아 지는 경우에는, 다공성 폼의 경도가 낮아져서 너무 무르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공성 폼에 점도가 2000 cps 내지 20000 cps 인 화장료를 함침시킨 후에 에스커 경도기 F형(Type F)을 기준으로 경도를 측정하였을 때, 그 값이 25 내지 60로 나타날 수 있다. 화장료를 함침시킨 후의 경도가 25 미만이면, 다공성 폼을 가압하였을 때 너무 무른 성질로 인하여 저점도의 액상 화장료의 경우 과도한 배출이 발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공성 폼의 반발탄성력 또한 낮아지게 되어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에 화장료를 함침시킨 후의 경도가 60 초과로서 높은 경우에는 다공성 폼을 가압하여 화장료를 토출시키는데 요구되는 힘이 커지므로, 다공성 폼으로부터 화장료를 용이하게 토출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 할 수 있다.
또한, 다공성 폼에 화장료를 함침시키기 전 다공성 폼의 경도는 에스커 경도기 F형(Type F)을 기준으로 경도를 측정하였을 때 20 내지 100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다공성 폼 내에 화장료를 충진하는 공정은 다공성 폼을 가압하는 것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이뤄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함침 전의 경도가 100 초과함으로서 에스커 경도기 F형의 기기를 이용한 측정이 어려울 정도로 너무 크면 다공성 폼 내로의 화장료 충진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공성 폼은 에스터 오일, 휘발성 실리콘 오일, 물, 극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내화학성을 가질 수 있다. 다공성 폼은 함침되는 화장료와의 관계에서 높은 안정성을 가짐으로써 화장료의 변질을 방지해야 함은 물론이고, 다공성 폼의 변질 또는 변형을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다공성 폼은 하기의 [시험예 7]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온에서뿐만 아니라 고온인 70℃ 에서도 에스터 오일, 휘발성 실리콘 오일, 물, 극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 등과의 함침에 있어서 안정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공성 폼의 밀도는 0.05 내지 0.3 g/cm3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1 g/cm3 일 수 있다. 이러한 밀도의 측정은, 지름 40 mm, 두께 9T 로 하여 부피가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무게를 측정한 후에 밀도를 계산한다. 다공성 폼의 밀도는 화장료를 함침시킬 수 있는 내부 공간과 관련이 있을 뿐 아니라, 화장료를 함침하는 다공성 폼의 보액성 및 화장료의 토출을 위해 필요한 가압의 크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공성 폼의 밀도가 0.3 g/cm3 초과로서 높은 경우, 화장료를 함침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부족하여 효과적인 함침이 어려울 수 있을 뿐 아니라 화장료의 토출을 위해 가해야 하는 압력 또한 높아지므로 사용에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다공성 폼의 밀도가 0.05 g/cm3 미만으로서 낮은 경우에는 다공성 폼을 가압 시 화장료의 토출량이 과도할 수 있으며, 다공성 폼의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다공성 폼의 셀 내에 화장료를 보액하는 물성으로 인하여, 다공성 폼의 보액성 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공성 폼의 신율은 100 내지 450 % 일 수 있으며, 이러한 신율은 250 mm/min 의 속도로 초기길이 25 mm로 하여 utm 으로 측정할 수 있다. 다공성 폼에 있어서 신율이 클수록 다공성 폼의 압착이 잘 일어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공성 폼의 셀 평균 길이는 함침된 화장료가 바닥으로 가라앉지 않도록 하는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0.01 내지 0.35 mm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2 mm 일 수 있다. 인치당 셀 수의 측정과 마찬가지로 셀 평균 길이의 측정 또한 화상분석기를 이용하여 100 배 확대한 이미지를 측정한 후에, 평균 셀 크기를 측정한다. 셀의 평균 길이는 화장료를 함침시키기 위하여 다공성 폼이 보유하고 있는 미세공간의 크기와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미세공간의 크기는 모세관힘의 작용과 연관된다. 따라서, 셀의 평균길이가 0.01 mm 미만으로 너무 작으면 모세관힘은 커져서 보액성은 커질 수 있으나, 다공성 폼 내로의 화장료의 함침 및 다공성 폼에서 화장료의 토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셀의 평균길이가 0.35 mm 초과로서 너무 크게 되면 다공성 폼 내로의 화장료의 함침은 용이하지만, 다공성 폼을 가압 시 과도한 양이 토출되거나 또는 낮은 모세관힘으로 인하여 보액성이 저하되어 다공성 폼 하부에 함침된 화장료가 가라앉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폼은, 소수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발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발포 과정을 제어하여 다공성 폼의 기공 크기 및 기공율, 기공의 분포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당업계에 따르면, 고분자의 발포는 발포제의 양과 종류, 제조시 발포를 위한 공기의 주입량, 발포온도, 소수성 단량체의 종류 (특히, 단량체의 주쇄 및 분지쇄의 길이) 등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가능하며, 이러한 조정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장품은 다공성 폼 및 다공성 폼에 함침된 화장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장료는 메이크업 프라이머,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트윈케익, 아이섀도우, 치크 파우더, 블러셔, 컨실러, 팩트류, 이들의 액체 제형 또는 에어리스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장료의 점도는 2000 cps 내지 20000 cps 일 수 있다. 점도가 20000 cps 초과로서 높으면 다공성 폼 내에 화장료의 함침 및 토출이 어려울 뿐 아니라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 시 끈적이고 무거운 사용감을 줄 수 있으며, 점도가 2000 cps 미만으로서 낮은 경우에는 낮은 점도로 인하여 다공성 폼 내의 보액성이 저하되어 균일하게 보액하기 어려우므로 다공성 폼의 하부에 가라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장료는 오일을 외부상으로 하여 물이 내부상으로 분산되어 있는 유중수형(water in oil)의 화장료 조성물 일 수 있다. 오일과 물의 비율 조절로 점도 등의 물성 조절이 가능하고, 다공성 폼에의 함침 정도, 가압 시의 토출 정도 조절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정의된 점도의 정도를 갖는다면, 유중수형 화장료 뿐만 아니라, 수중유형, 가용화형, 오일타입형 등의 화장료도 사용이 가능하다.
[실시예 1] 유중수형 파운데이션의 제조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화장료의 일 실시예로서, 아래 표와 같은 조성을 갖는 저점도의 유중수형 파운데이션을 제조할 수 있다.
유상조에 유상 성분과 점증제를 넣고, 80℃로 열을 가하여 균일하게 한 후, 피그먼트를 넣고 분산시켰다. 수상조에는 수상 성분을 넣고, 80℃로 열을 가하여 원료를 완전히 용해시킨 후, 피그먼트가 분산되어 있는 유상조에 첨가하여 호모믹서로 유화하여 저점도 자외선 차단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100 ml 안정성 용기에 내용물을 채운 후, 25℃ 챔버에 하루 이상 보관한 후, 브룩필드 LVII 점도계에 spindle 4번을 이용하여 30rpm에서 1분간 작동시킨 후 25℃ 에서 점도를 측정하였을때 2,800 cps 의 점도가 나왔다.
실험에서 점증제로 사용한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의 양을 예를 들면 0.1내지 2.0중량% 로 조절하는 경우에는 조성물의 점도를 2000 cps 내지 20000 cps 로 조절할 수 있다.
Figure 112013085691636-pat00001
<표 1. 유중수형 파운데이션의 조성예>
[시험예 1] NR-SBR 다공성 폼 및 다공성 우레탄 폼의 셀 비교
본 발명에 따른 NR-SBR 다공성 폼 (NR:SBR 비율이 6:4인)과 다공성 우레탄 폼을 화상분석기로 100배 확대하여 이미지를 측정한 후에 평균적인 셀의 크기를 측정하였으며, 이후에 기준 길이(1인치, 약 2.54cm) 에 들어가는 셀의 개수를 환산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다공성 폼은 ㈜에스앤드지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13085691636-pat00002
<표 2. NR-SBR 다공성 폼 및 다공성 우레탄 폼의 셀 비교>
[시험예 2] 소수성 재질의 다공성 폼의 경도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공성 폼은 적당한 경도를 갖는 다공성 폼이어야 한다. 다공성 폼의 경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에스커 (ASKER) 경도계 F Type을 이용하여 시료 위에 경도계를 올려 놓고 눈금 수치가 안정화 된 시점에서 눈금을 측정한다.
실시예 1의 조성을 갖는 화장료를 5cm x 5cm x 1cm 사이즈의 NR-SBR 다공성 폼에 함침시킨 후 경도를 측정하였다.
Figure 112013085691636-pat00003
<표 3. 화장료 함침 후의 다공성 폼의 경도>
[시험예 3] 소수성 재질의 다공성 폼의 화장료 보액성
소수성 재질의 다공성 폼의 보액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실험을 하였다.
화장료가 함침되기 전의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폼을 준비하여 무게를 재두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실시예 1과 같은 조성을 갖는 저점도 리퀴드타입 화장료를 다공성 폼과 거의 유사한 크기의 접시(Jar)에 담았다. 저점도 리퀴드타입 화장료가 담긴 볼에 각각의 다공성 폼을 3분간 과량 침적시켰다. 침적된 각각의 다공성 폼을 집게를 이용하여 들어올린 후 흡수되지 못한 화장료는 자유낙하방식으로 2분간 제거하였다. 화장료가 침적된 다공성 폼의 총 무게를 측정하고 초기 스폰지 무게를 감안하여 보액량 무게를 측정하였다.
Figure 112013085691636-pat00004
<표 4. NR-SBR 다공성 폼 및 다공성 우레탄 폼의 화장료 보액성>
[시험예 4] 소수성 재질의 다공성 폼의 토출량
소수성 재질의 다공성 폼의 토출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실험을 하였다.
동일한 깊이, 동일한 면적, 동일한 힘으로 샘플을 누를 수 있는 프레스기(LLOYD LS1)에 도포용 퍼프(구입처: S&P WORLD, 1cm x 1cm 로 재단)를 장착하여,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다공성 폼(직경 4.6cm, 높이 1cm 크기 재단)을 동일한 압력(0.4kgf/cm2)으로 3초간 가압하였을 때, 다공성 폼으로부터 묻어나오는 화장료 조성물의 양을 계산하였다. 10회 테스트 마다 각각의 도포용 퍼프를 교체하여 측정하였다.
Figure 112013085691636-pat00005
<표 5. NR-SBR 다공성 폼 및 다공성 우레탄 폼의 화장료 토출량>
위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다공성 우레탄 폼의 경우 0.14g 에서 0.26g (최소/최대량 제외)까지 다양하게 토출되었으나, NR-SBR 다공성 폼의 경우에는 0.14g에서 0.17g 로서 일정한 범위에서 토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시험예 5] 소수성 재질의 다공성 폼에 함침된 화장료의 휘발성 안정도
소수성 재질의 다공성 스폰지에 화장료를 함침하였을 때, 화장료의 휘발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실시예 1의 조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실험을 하였다.
우선 침적될 화장료 조성물의 무게를 측정하고, 화장료 조성물이 침적된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폼을 화장품 용기에 담아 무게를 측정하였다. 상기 화장품 용기를 50℃ 고온에 보관하면서, 보관 중에 화장품 용기를 꺼내어 무게를 각각 측정함으로써 4주간 매일 휘발량을 측정하였다. 비교예로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폼에 침적시키지 않은 화장료를 동일한 조건에서 휘발량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13085691636-pat00006
<표 6. NR-SBR 다공성 폼에 함침된 화장료의 휘발성>
[시험예 6] 소수성 재질의 다공성 폼의 내광성
소수성 재질의 다공성 스폰지에 대한 내광성을 평가하고자, 12시간 동안 형광등을 이용한 색상의 변경 정도를 Lab 값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사용된 수학식은 다음과 같다.
delta E = 루트 (L'-L)2 + (a'-a)2 + (b'-b)2
Figure 112013085691636-pat00007
<표 7. NR-SBR 다공성 폼의 내광성>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NR-SBR 다공성 폼은 빛에 의한 변색의 정도가 미미한 반면, 다공성 우레탄 폼은 노랗고 어둡게 변색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NR-SBR 다공성 폼의 내광성이 강하다는 것을 나타내므로, 다공성 폼에 원하는 색으로 도색할 경우에도 변색의 우려 없이 자유로이 다양한 색상을 선정할 수 있다.
[시험예 7] 소수성 재질의 다공성 폼의 내화학성
소수성 재질의 다공성 폼에 대한 내화학성을 평가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폼에 저점도 화장료를 구성하는 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는 에스터 오일, 극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 휘발성 실리콘 오일 및 물 각각을 다공성 폼에 함침시키고, 70℃ 및 상온에서 30분간 유지한 후에 다공성 폼의 외관을 관찰하였다.
Figure 112013085691636-pat00008
<표 8. NR-SBR 다공성 폼의 내화학성>
위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소수성 재질의 다공성 폼은 에스터 오일, 극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 휘발성 실리콘 오일 및 물에 대하여 상온 또는 그 이상의 온도에서도 변질이나 변형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는바, 화장료와의 관계에서 안정하다.
[시험예 8] 패널테스트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폼의 사용감을 알아보고자, 소비자 패널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일정 기간 동안에 다공성 폼을 사용하여 꾸준하게 화장하였을 때의 사용감을 1에서 5로 등급을 나누어 평가하였다.
Figure 112013085691636-pat00009
<표 9. NR-SBR 다공성 폼 및 다공성 우레탄 폼의 패널테스트>
소비자 패널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 기존의 다공성 우레탄 폼에 화장료를 함침하여 사용하였을 경우, 사용일 수가 늘어남에 따라 폼의 표면이 마르고 내용물의 양 조절이 어렵다는 점이 제기되었으며, 이러한 점은 화장 시 화장료가 뭉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뻑뻑한 사용감을 주었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폼을 활용한 경우, 장기간 동안 높은 등급의 사용감을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 및 시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 및 시험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1)

  1. 도포용 퍼프;
    소수성 단량체 고분자를 발포하여 형성된 다공성 폼; 및
    상기 다공성 폼에 함침된 화장료;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폼은 인치당 셀 수가 70 ppi 이상이고,
    상기 다공성 폼은, 점도가 2000 cps 내지 20000 cps 인 화장료를 함침시킨 후 에스커 경도기 F형(Type F) 기준으로 25 내지 60의 경도를 갖는 것인,
    화장품.
  2. 도포용 퍼프;
    소수성 단량체 고분자를 발포하여 형성된 다공성 폼; 및
    상기 다공성 폼에 함침된 화장료;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폼은 인치당 셀 수가 70 ppi 이상이고,
    상기 다공성 폼은, 셀의 평균 길이가 0.01 내지 0.35 mm 인 것인,
    화장품.
  3. 도포용 퍼프;
    소수성 단량체 고분자를 발포하여 형성된 다공성 폼; 및
    상기 다공성 폼에 함침된 화장료;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폼은 인치당 셀 수가 70 ppi 이상이고,
    상기 다공성 폼은, 밀도가 0.05 내지 0.3 g/cm3인 것인,
    화장품.
  4. 도포용 퍼프;
    소수성 단량체 고분자를 발포하여 형성된 다공성 폼; 및
    상기 다공성 폼에 함침된 화장료;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폼은 인치당 셀 수가 70 ppi 이상이고,
    상기 다공성 폼은, 신율이 100 내지 450%인 것인,
    화장품.
  5. 도포용 퍼프;
    소수성 단량체 고분자를 발포하여 형성된 다공성 폼; 및
    상기 다공성 폼에 함침된 화장료;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폼은 인치당 셀 수가 70 ppi 이상이고,
    상기 다공성 폼은, 점도가 2000 cps 내지 20000 cps 인 화장료가 함침된 것인,
    화장품.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단량체 고분자는, 스티아렌, 부타디엔, 클로로프렌, 아크로닐로니트릴, 이소프렌, 이소부틸렌, 에틸렌 및 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품.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단량체 고분자는, NR, SBR, BR, NBR, ABS, PE 및 PVA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품.
  10. 삭제
  11. 삭제
KR1020130112519A 2013-08-27 2013-09-23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다공성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19988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538 2013-08-27
KR1020130101538 2013-08-27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766A Division KR101795165B1 (ko) 2013-08-27 2015-11-06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다공성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150155712A Division KR101843229B1 (ko) 2013-08-27 2015-11-06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다공성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749A KR20150024749A (ko) 2015-03-09
KR101998889B1 true KR101998889B1 (ko) 2019-07-10

Family

ID=5302125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519A KR101998889B1 (ko) 2013-08-27 2013-09-23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다공성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150155766A KR101795165B1 (ko) 2013-08-27 2015-11-06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다공성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150155712A KR101843229B1 (ko) 2013-08-27 2015-11-06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다공성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766A KR101795165B1 (ko) 2013-08-27 2015-11-06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다공성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150155712A KR101843229B1 (ko) 2013-08-27 2015-11-06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다공성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9988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643A (ko) * 2015-04-02 2016-10-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발포 고무 폼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WO2017078204A1 (ko) * 2015-11-06 2017-05-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개선된 함침재를 구비한 메이크업 화장품
KR102623436B1 (ko) * 2016-06-13 2024-01-11 (주)아모레퍼시픽 무취 및 고안정 화장료 조성물
WO2018016931A1 (ko) * 2016-07-22 2018-01-25 코스맥스 주식회사 특정 고무를 이용한 화장료 수용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6383A (ja) * 2012-01-19 2013-08-01 Shalon Co Ltd 化粧用スポンジパフ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515B1 (ko) * 2004-01-02 2006-02-08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257628B1 (ko) * 2011-03-24 2013-04-2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발포 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1270308B1 (ko) * 2011-06-17 2013-06-04 한국콜마주식회사 다공성 화장용 퍼프 및 이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6383A (ja) * 2012-01-19 2013-08-01 Shalon Co Ltd 化粧用スポンジパフ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749A (ko) 2015-03-09
KR20150128642A (ko) 2015-11-18
KR20150128643A (ko) 2015-11-18
KR101843229B1 (ko) 2018-03-28
KR101795165B1 (ko) 201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4928A (ko)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다공성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1843229B1 (ko)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다공성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US10603254B2 (en) Urethane foam for use in impregnating cosmetic composition
KR101887958B1 (ko) 발포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KR101972072B1 (ko)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우레탄 폼
KR101882197B1 (ko)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함침용 NBR(nitrile butadiene rubber) 스폰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74306B1 (ko) 고무배출패드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859501B1 (ko) 발포폼을 담체로 포함하는 화장품
US20170319440A1 (en) Cosmetic composition carrier comprising latex foam
KR102323103B1 (ko) 내용물 전달력이 개선된 도포구
US9744117B2 (en) Cosmetics comprising cosmetic compositions impregnated in hydrophobic polymer foam
KR20180035771A (ko)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함침용 NBR(nitrile butadiene rubber) 스폰지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2085871A (ja) 化粧用塗布具
KR20160118643A (ko) 발포 고무 폼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20190114948A (ko)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함침용 NBR(nitrile butadiene rubber) 스폰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89554A (ko) 화장료가 솜에 흡수된 화장품의 제조방법
KR20170010173A (ko) 겔상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연속 기포형 니트릴 고무 스폰지
KR20160035537A (ko) 화장료가 솜에 흡수된 형태의 화장품
KR20160089553A (ko) 화장료가 솜에 흡수된 화장품
KR20180087205A (ko) 화장료가 솜에 흡수된 화장품
CN110612091A (zh) 浸渍有具有防紫外线功能的化妆品组合物的化妆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