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583B1 -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 Google Patents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583B1
KR102164583B1 KR1020200016416A KR20200016416A KR102164583B1 KR 102164583 B1 KR102164583 B1 KR 102164583B1 KR 1020200016416 A KR1020200016416 A KR 1020200016416A KR 20200016416 A KR20200016416 A KR 20200016416A KR 102164583 B1 KR102164583 B1 KR 102164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cosmetic composition
cosmetic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식
이기용
소태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riority to KR1020200016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6Multiple emulsions, e.g. water-in-oil-in-wat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4Specific forms not provided for by any of groups A61K8/0208 - A61K8/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발포 폼 내부의 화장료 주입공간에 주입되어, 유중수중유형의 오일 드롭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대한 것으로, 온도 변화에 대한 안정성 및 사용감이 우수하며, 피부 수분 함량을 향상시키며, 피부 수분 장벽을 개선하고, 커버력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OIL IN WATER IN OIL TYPE COSMETIC COMPOSITION AND COSMETIC PRODUC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색조 화장품에는 피부의 결점을 보정하거나 은폐시키기 위한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투웨이케익, 컨실러와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과 피부의 생기와 활력을 불어 넣어 주기 위한 아이섀도, 블러셔, 마스카라, 립스틱 등과 같은 포인트 메이크업 제품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은 제형에 따라 액상, 크림상, 케익상, 고형상, 스프레이형 및 스틱형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최근에는 유화타입의 크림상이나 리퀴드상의 파운데이션 및 비비크림 등 액상과 같은 제형이 많이 출시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사용이 편리하고 휴대가 간편한, 크림상 또는 액상 제품을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킨 제품이 다수 출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4761호는 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의 화장료가 주입되며, 공극을 갖는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하여, 가압 시 화장료 주입공간의 공극을 통해 화장료가 배어 나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화장료 수용체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온도 변화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여 최근 주목 받고 있는, 오일 드롭 형태의 화장료를 상기 화장료 수용체에 주입할 경우, 상기 화장료 수용체의 공극을 통해 배어나오는 화장료는 불안정한 오일 드롭을 형성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오일 드롭의 발현성이 우수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안정성이 우수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휴대가 간편한 화장품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4761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중수중유형의 안정한 오일 드롭 형태로 제공되어, 온도 변화에 대한 안정성 및 사용감이 우수하며, 피부 수분 함량을 향상시키며, 피부 수분 장벽을 개선하고, 커버력이 우수한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발포 폼 내부의 화장료 주입공간에 주입되어 제공됨으로써 유중수중유형의 오일 드롭의 발현성이 우수한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발포 폼 내부의 화장료 주입공간에 주입되어, 유중수중유형의 오일 드롭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폼은 포어(pore) 수가 10ppi 내지 70ppi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중유형의 안정한 오일 드롭 형태로 제공되어, 온도 변화에 대한 안정성 및 사용감이 우수하며, 피부 수분 함량을 향상시키며, 피부 수분 장벽을 개선하고, 커버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발포 폼 내부의 화장료 주입공간에 주입되어 제공됨으로써 유중수중유형의 오일 드롭의 발현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포어(pore) 수가 35ppi인 폴리우레탄 발포 폼에 주입된 화장품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팽창 능력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오일 드롭 발현력을 평가한 도면이다.
도 4는 포어(pore) 수가 90ppi인 폴리우레탄 발포 폼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포어(pore) 수가 35ppi인 폴리우레탄 발포 폼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시, 사용자의 피부 수분 함량 개선율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시, 사용자의 피부 수분 장벽 개선율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시, 사용자의 피부 색소(brown spot) 커버력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시, 일반 광(좌), 갈색 스팟(중앙), UV 광(우) 커버력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유중수중유형(oil in water in oil, O/W/O)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폴리우레탄 발포 폼 내부의 화장료 주입공간에 주입되어(도 1 참조), 유중수중유형의 안정한 오일 드롭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중유형의 오일 드롭 형태로 유상 성분, 수상 성분 및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며, 보습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목적으로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의 화장품에 사용 가능한 성분으로, 착색제 및 첨가제(예를 들어, 착향제, 보존제 및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코폴리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비스-하이드록시프로필디메치콘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글리세릴아크릴레이트/아크릴릭애씨드코폴리머,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유상 성분과 수상 성분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폼과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간의 점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폼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오일 드롭 형태가 안정적으로 발현되어,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온도 안정성 및 지속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아크릴계 수지 외에 쿼터늄-18벤토나이트 등 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다른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아크릴계 수지가 조성물을 오일 드롭 형태로 안정적으로 발현시키는 효과가 저해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폼과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간의 점착력이 낮아져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불안정한 형태의 오일 드롭을 형성하고,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온도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아크릴계 수지가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될 경우,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불안정한 형태의 오일 드롭을 형성하여, 사용 시 끈적이고 무거운 사용감을 주며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폼과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상기 유상 성분은 실리콘계 오일 및 자외선 차단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실리콘계 오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상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8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2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주 성분 오일로써,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페닐트리메치콘, 디메치콘 및 디페닐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이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될 경우,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안정한 유중수중유형의 오일 드롭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미만 또는 초과로 포함될 경우,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유중수중유형의 오일 드롭 형태를 제대로 형성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은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디갈로일트리올레이트, 4-메칠벤질리덴캠퍼, 메틸안트라닐레이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시녹세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옥토크릴렌, 에칠헥실디메칠파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폴리실리콘-15,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호모살레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신나메이트,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및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의 함량은 목적하는 자외선차단 지수(Sun Protection Factor, SPF)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중 티타늄디옥사이드는 자외선 차단과 착색제(색소)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 착색제(색소)로서 추가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유상 성분은 상기 실리콘계 오일 및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외에, 해바라기씨 오일, 동백나무씨 오일, 호호바 오일, 로즈힙 오일, 썬플라워 오일, 마카다미아넛 오일, 마카다미아씨 오일 메도우폼씨드 오일, 아르간커넬 오일, 코코아 오일 등 식물성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및 탄화수소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및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상 성분은 유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스테아릭애씨드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수상 성분은 정제수; 소듐클로라이드; 및 1,3-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등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상 성분은 각종 기능성 성분과, 계면활성제 또는 유화 안정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주름 개선 기능성 성분으로 아데노신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미백 기능성 성분으로 나이아신아마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계면활성제 또는 유화 안정제로서 소듐서팩틴, 이눌린라우릴카바메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상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9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4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보습제로서 히알루로네이트 및 글루코만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루코만난은 상기 수상 성분을 만나면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는데(도 2 참조), 이로 인해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력 및 유지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상기 히알루로네이트는 상기 글루코만난에 의한 보습력 및 유지력을 증강시킬 수 있다.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히알루로네이트는 0.01 내지 10.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10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 글루코만난은 0.01 내지 10.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10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제 및 상기 첨가제(예를 들어, 착향제, 보존제 및 산화방지제)는 통상의 화장품에 사용 가능한 성분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폼은 망상형의 에테르계 폴리우레탄 발포 폼으로, 일정한 두께로 절단한 두 개의 발포 폼의 가장자리를 열접착식으로 접합하여, 내부에 화장료 조성물을 주입할 수 있는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이다.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폼에 주입하는 방법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4761호에 공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오픈셀 구조의 망상형 폴리우레탄 발포 폼에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시키는 방법 또는 니들을 사용하여 주입공간을 구비한 우레탄 발포 폼 내부로 주입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가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폼 내부의 상기 화장료 주입공간에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주입하는 경우,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수분이나 실리콘계 오일 등이 휘발되어,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변질되거나 사용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폼은 에테르계 폴리우레탄 발포 폼으로 포어(pore)수가 10ppi 내지 70ppi(pixel per inch), 바람직하게는 20ppi 내지 50ppi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폼의 포어 수가 10ppi 미만이면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상기 화장료 주입공간에 주입할 시,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화장료 주입공간 밖으로 새어 나와 제품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며, 포어 수가 70ppi를 초과하면 유중수중유형의 오일 드롭 형태가 안정적으로 형성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로션, 에센스, 크림, 핸드크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컨실러, 선로션, 선크림 등의 제형인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장품>
본 발명은 상술한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하며, 상기 화장품은 쿠션 화장품,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 로션, 크림, 마사지 크림, 영양 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 에센스, 클렌징 로션, 클렌징 크림, 바디 로션, 바디 클렌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쿠션 화장품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본 발명의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기술된 내용을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을 참조하여, 먼저 A상을 75℃로 가열하여 완전히 교반 용해시킨 후, B상을 혼합 교반하고, 여기에 C상을 60℃에서 서서히 가열하면서 혼합 교반하며 유화하였다. 다음으로, 45℃로 냉각한 후, D상을 첨가하면서 교반하고, E상과 F상을 추가 혼합 교반하고, 냉각시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오일 드롭 형태의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 실시예 (중량%) 비교예 (중량%)
1 2 3 1 2
A상:
유상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5.0 5.0 5.0 5.0
페닐트리메치콘 0.5 0.5 0.5 0.5 0.5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0 7.0 7.0 7.0 7.0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4.0 4.0 4.0 4.0 4.0
옥토크릴렌 2.0 2.0 2.0 2.0 2.0
스테아릭애씨드 0.5 0.5 0.5 0.5 0.5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05 0.05 0.05 0.05 0.05
사이클로펜타실록산 9.0 9.0 9.0 9.0 9.0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6.0 6.0 6.0 6.0 6.0
쿼터늄-18벤토나이트 - - - 2.0 -
B상:
착색제
티타늄디옥사이드 9.0 9.0 9.0 9.0 9.0
색소 1.92 1.92 1.92 1.92 1.92
C상:
수상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소듐클로라이드 1.0 1.0 1.0 1.0 1.0
아데노신 0.04 0.04 0.04 0.04 0.04
나이아신아마이드 2.0 2.0 2.0 2.0 2.0
소듐서팩틴 0.1 0.1 0.1 0.1 0.1
이눌린라우릴카바메이트 0.3 0.3 0.3 0.3 0.3
D상: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0.5 1.0 2.0 - -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코폴리머 0.5 1.0 2.0 - -
E상:
보습제
히알루로네이트 0.2 0.2 0.2 - -
글루코만난 0.7 0.7 0.7 - -
F상:
첨가제
부틸렌글라이콜 3.0 3.0 3.0 3.0 3.0
보존제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향료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시험예 1: 온도 안정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10℃, 0℃, 25℃, 45℃, 및 cycle(10℃~40℃)의 조건에서 4주간 보관한 후, 제품의 물성 및 제형을 평가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온도에서, 초기 상태와 비교하여 물성이나 제형의 상태가 매우 양호하면 ◎, 양호하면 ○, 보통이면 △, 및 불량하면 X로 표시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안정성 0℃
25℃
45℃ X
cycle X X
상기 표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아크릴계 수지(D상)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따른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온도 변화에 대해 매우 안정한 것으로 확인되나, 아크릴계 수지(D상)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에 따른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온도 변화에 따라 제품의 물성 및 제형이 불량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오일 드롭 발현력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20~40세의 여성 20명이 오일 드롭 발현 생성 정도를 평가하였다(도 3 참조).
평가 점수는 매우 효과가 있으면 5점, 조금 효과가 있으면 3점, 보통이면 0점, 별로 효과가 없는 경우에는 -3점, 전혀 효과 없음 경우에는 -5점으로 표시하였다. 각 개인별의 평가 점수에 대해 아래의 식과 같은 수식에 의해 평점을 산출하여 하기 표 3에 최종 결과를 나타내었다.
평점=((매우효과있음 인원수)*5+(조금효과있음 인원수)*3+(별로효과없음 인원수)*(-3)+(전혀효과없음 인원수)*(-5))/평가인원수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평점 4.1 4.3 4.6 3.2 2.5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아크릴계 수지(D상)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따른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중유형의 안정한 오일 드롭이 형성되며, 구체적으로는, 아크릴계 수지(D상)의 함량에 따라 오일 드롭 발현력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아크릴계 수지(D상)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에 따른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드롭 발현력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폴리우레탄 발포 폼의 포어 수에 따른 오일 드롭 발현력 평가
폴리우레탄 발포 폼의 포어 수에 따른 오일 드롭 발현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피부 도포 후 생성된 오일 드롭의 사이즈를 평가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포어 수가 90ppi인 폴리우레탄 발포 폼의 사진이고, 도 5는 포어 수가 35ppi인 폴리우레탄 발포 폼의 사진으로, 포어 수가 증가할수록 포어의 사이즈가 증가한다.
각각의 폴리우레탄 발포 폼의 포어 수에 따라, 오일 드롭의 사이즈가 1㎛ 초과 내지 1000㎛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500㎛ 초과 내지 1000㎛ 이하로 크거나 우수하면 ○, 1㎛ 초과 내지 500㎛ 이하로 보통이면 △, 1㎛ 이하로 불량하면 X로 표시하였다.
화장료 수용체 포어 수
(ppi)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5
60
100 X X X X X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폴리우레탄 발포 폼의 포어 수가 작을수록 오일 드롭의 사이즈가 크거나 양호하게 형성되고, 포어 수가 많을수록 오일 드롭의 사이즈가 작거나 아예 오일 드롭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포어 수가 10ppi 내지 70ppi인 폴리우레탄 발포 폼에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주입하여야 유중수중유형의 안정한 오일 드롭이 형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사용감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20~40세의 여성 20명이 이중맹검법을 통한 비교 품평을 실시하여, 보습감, 밀착감, 화장지속력, 수분감, 발림성 등의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제품의 사용감은 5점을 만점으로 수치화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사용감 보습감 4.2 4.4 4.4 3.3 3.4
밀착감 3.8 4.0 4.0 3.2 3.2
화장지속력 3.9 4.0 4.2 2.8 2.2
수분감 3.8 4.2 4.2 3.0 3.2
발림성 4.2 4.0 4.0 3.2 3.6
상기 표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히알루로네이트 및 글루코만난 (E상)을 포함하는 실시예에 따른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감, 밀착감, 화장 지속력, 수분감 및 발림성이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히알루로네이트 및 글루코만난 (E상)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에 따른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감이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5: 피부 수분 함량 개선율 평가
피부 수분 함량 개선율 평가를 하기 위해 Corneometer를 사용하여 피시험자 20명을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Corneometer는 피부 각질층의 정전용량(capacitance)이 수분함량과 비례하여 증가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수분 함량을 측정하는 장비이다. 측정원리는 절연체(dielectric)인 매개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작용을 하는 두개의 복잡한 금속판콘덴서(condenser)를 이용하는 물리적인 법칙에 근거하고 있다. 전기전하를 저장하는 전기량을 정전용량(capacitance)이라 하는데 이러한 피부의 정전용량은 수분함량과 서로 비례하는 경향이 있어 피부 수분함량이 낮을수록 수치가 낮게 나타나며, 피부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수치가 높게 나타난다.
Corneometer를 통해 실시예 3, 비교예 1 및 2를 사용하였을 경우의 각질층 내 수분량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도포 전 (A.U.) 도포 후 (A.U.) 개선율
실시예 3 (오일 드롭) 33.46 54.99 64%
비교예 1 (워터 드롭) 35.99 40.85 14%
비교예 2 (일반 쿠션) 34.24 23.14 -3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 비교예 1 및 2에 따른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시, 사용자의 피부 수분 함량 개선율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로, 피시험자 20명의 피부 수분 함량 개선율의 평균치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6 및 도 6을 참조하면, 히알루로네이트 및 글루코만난을 포함하는 실시예 3에 따른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중유형의 안정한 '오일 드롭'을 형성하여, 피부의 수분 함량을 크게 향상시킨 반면, 비교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쿼터늄-18벤토나이트를 포함함에 따라 안정한 오일 드롭이 형성되지 못하고 '워터 드롭'이 형성되었으며, 이에 오일 드롭을 형성한 실시예 3 대비 피부의 수분 함량이 크게 개선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비교예 2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드롭 또는 워터 드롭이 형성되지 않은 '일반 쿠션' 화장료 조성물로, 오일 드롭을 형성한 실시예 3 및 워터 드롭을 형성한 비교예 1 대비 피부 수분 함량이 오히려 악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6: 피부 수분 장벽 개선율 평가
피부 수분 장벽 개선율 평가를 하기 위해 Tewameter를 사용하여 피시험자 20명을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Tewameter는 피부를 통한 수분의 손실을 측정하는 기계로서 피부를 둘러싸고있는 미세환경 내에 피부표면과 주위 공기간에 water vapor gradient의 존재를 Tewameter의 오픈 챔버(open chamber) 내에 있는 센서가 인지하여 단위시간당 경피수분손실량(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을 측정하는 장비이다.
Tewameter를 통해 실시예 3, 비교예 1 및 2를 사용하였을 경우의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도포 전 (g/m²h) 도포 후 (g/m²h) 개선율
실시예 3 (오일 드롭) 11.72 9.00 23%
비교예 1 (워터 드롭) 11.86 9.94 16%
비교예 2 (일반 쿠션) 9.58 9.42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 비교예 1 및 2에 따른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시, 사용자의 피부 수분 장벽 개선율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로, 피시험자 20명의 피부 수분 장벽 개선율의 평균치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7 및 도 7을 참조하면, 히알루로네이트 및 글루코만난을 포함하는 실시예 3에 따른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중유형의 안정한 오일 드롭을 형성하여, 피부의 수분 장벽을 23% 개선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비교예 1에 따른 워터 드롭을 형성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예 2에 따른 일반 쿠션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 피부 수분 장벽을 16%와 2% 개선하는 데 그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7: 색소(brown spot) 커버력 평가
색소(brown spot) 커버력 평가를 하기 위해 Visia를 사용하여 피시험자 20명을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Visia는 고화질 디지털 이미지 촬영 및 분석 장비로서 일반광, 편광, 자외선광의 3종의 광원을 사용하며 색소침착, 모공, 기미, 피지등의 피부상태를 자체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화상분석으로 계측하는 장비이다. Visia는 8가지 모드를 사용하여 안면부 분석이 가능하며, 백분위(Percentiles), 특징합계(Feature Counts), 절대점수(Absolute Scores)를 데이터 표시형식으로 사용한다.
Visia(Absolute Scores)를 통해 실시예 3, 비교예 1 및 2를 사용하였을 경우의 색소커버력 비교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도포 전 도포 후 개선율
실시예 3 (오일 드롭) 61.8 0 100%
비교예 1 (워터 드롭) 65.03 0 100%
비교예 2 (일반 쿠션) 57.36 43.99 2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 비교예 1 및 2에 따른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시, 사용자의 피부 색소(brown spot) 커버력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로, 피시험자 20명의 피부 색소 개선율의 평균치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8 및 도 8을 참조하면, 히알루로네이트 및 글루코만난을 포함하는 실시예 3에 따른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중유형의 안정한 오일 드롭을 형성하여, 피부의 색소 개선율이 100%로 크게 향상된 반면, 비교예 2에 따른 일반 쿠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색소 개선율이 매우 저조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시, 일반 광(좌), 갈색 스팟(중앙), UV 광(우) 커버력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양 볼과 그 외 부위를 비교하여 볼 때, 양 볼에서 갈색 스팟이 관찰되지 않으며, UV 광에 검게 나오는 것을 보아, 피부 색소 개선율이 증진되며, 자외선 차단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9)

  1. 폴리우레탄 발포 폼 내부의 화장료 주입공간에 주입된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 성분, 수상 성분, 및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유상 성분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드롭 형태의 화장품.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코폴리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비스-하이드록시프로필디메치콘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글리세릴아크릴레이트/아크릴릭애씨드코폴리머,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드롭 형태의 화장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드롭 형태의 화장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상 성분은 보습제 성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습제 성분은 히알루로네이트 및 글루코만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드롭 형태의 화장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착색제, 착향제, 보존제 및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드롭 형태의 화장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폼은 포어(pore) 수가 10ppi 내지 70pp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드롭 형태의 화장품.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로션, 에센스, 크림, 핸드크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컨실러, 선로션, 및 선크림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포함하는, 오일드롭 형태의 화장품.
  9. 삭제
KR1020200016416A 2020-02-11 2020-02-11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164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416A KR102164583B1 (ko) 2020-02-11 2020-02-11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416A KR102164583B1 (ko) 2020-02-11 2020-02-11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583B1 true KR102164583B1 (ko) 2020-10-12

Family

ID=72886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416A KR102164583B1 (ko) 2020-02-11 2020-02-11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5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4015A (ja) * 1999-01-08 2000-07-25 Kanebo Ltd 保湿化粧料
KR200464761Y1 (ko) 2012-10-31 2013-01-16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
KR101805823B1 (ko) * 2016-08-19 2017-12-07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이 주입된 폴리우레탄 발포폼을 포함하는 워터드롭 타입 화장품
KR20180003030A (ko) * 2016-06-30 2018-01-09 (주)아모레퍼시픽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4015A (ja) * 1999-01-08 2000-07-25 Kanebo Ltd 保湿化粧料
KR200464761Y1 (ko) 2012-10-31 2013-01-16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
KR20180003030A (ko) * 2016-06-30 2018-01-09 (주)아모레퍼시픽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805823B1 (ko) * 2016-08-19 2017-12-07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이 주입된 폴리우레탄 발포폼을 포함하는 워터드롭 타입 화장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8712C (en) Cosmetic product comprising uv-blocking cosmetic composition impregnated into expanded urethane foam
US20210121379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two fatty acid esters of (poly)glycerol, and use thereof in cosmetics
KR102216005B1 (ko)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867847B1 (ko) 재결정 입자를 갖는 수중유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65982A (ko)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US8784854B2 (en) Cosmetic product comprising UV-blocking cosmetic composition impregnated into expanded urethane foam
KR102211894B1 (ko) 수용분산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08125406A2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gulating sebum flow
KR20150044104A (ko) 피부에 도포 후 메이크업층과 보습 및 윤기막의 이중층으로 분리되는 메이크업용 킷트 조성물
KR101803271B1 (ko) 피부 보습용 또는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0557B1 (ko) 세라마이드 함유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4583B1 (ko)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200144490A (ko)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719174B1 (ko) 라멜라 액정이 수분산된 실리콘 중 수(w/s) 타입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432885B1 (ko) 안티에이징 화장료 조성물
KR101995267B1 (ko) 즉각적인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삼중캡슐 및 이를 안정화한 유중수형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54681A (ko) 청량감을 갖는 세라마이드 함유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2003095844A (ja) 化粧料
KR102065321B1 (ko) 재결정 입자를 함유하는 수중유 에멀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75467B1 (ko)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81125A (ko) 온도에 따른 세정력 변화를 갖는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286078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5127B1 (ko) 온도 감응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7256624B2 (ja) ジェル状皮膚外用剤又は皮膚化粧料
US10555885B2 (en) Low viscous cosmetic composition using a natural emulsifying ag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