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005B1 -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005B1
KR102216005B1 KR1020190130278A KR20190130278A KR102216005B1 KR 102216005 B1 KR102216005 B1 KR 102216005B1 KR 1020190130278 A KR1020190130278 A KR 1020190130278A KR 20190130278 A KR20190130278 A KR 20190130278A KR 102216005 B1 KR102216005 B1 KR 102216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smetic composition
skin
self
gluco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2612A (ko
Inventor
김태곤
Original Assignee
(주)파이온텍
김태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107349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1600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이온텍, 김태곤 filed Critical (주)파이온텍
Publication of KR20190122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61K8/21Fluorid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45Specific shapes or structure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of A61K8/024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2Gas releasing
    • A61K2800/222Efferv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Abstract

불소 화합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제품, 및 상기 조성물 및/또는 제품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Self-foaming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불소 화합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제품, 및 상기 조성물 및/또는 제품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현대사회는 과학기술의 발달과 소비자들의 미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향상됨에 따라 스킨케어 제품은 이제 더 이상 기본적인 보습기능에만 머물러서는 소비자들의 수요를 만족시킬수 없으며, 미백 및 주름개선, 안티에이징 등 부가적인 기능이 추가된 제품들이 선호되는 추세이다
기능성 화장품에 사용되는 활성 유효성분으로서는 아데노신, 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알파-비사보롤, 비타민류 및 각종 자외선차단제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성분들이 함유한 제품들의 피부 흡수율이 낮아 주름개선, 미백, 자외선차단제 성분들의 피부에 미치는 효과가 미미한 편이다. 따라서 유효성분의 피부 흡수를 촉진하는 기술등의 개발이 요구된다.
인간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러 가지 호르몬의 분비가 쇠퇴하고, 세포의 활성이 떨어져 생체에 필요한 단백질들의 합성력이 떨어지게 되고, 외부적으로는 여러 가지 환경오염 및 파괴에 따른 자외선 및 활성산소의 증가로 인하여 피부의 정상기능이 약화되어 혈색이 나빠지고 피부톤도 어두워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코직산, 알부틴 및 나이아신아마이드 등의 미백성분들을 사용하지만, 가격이 높은 점 및 피부 자극이 높은 점등의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스킨케어 제품들은 제형별로는 가용화 타입의 액상 및 젤상, 유화타입의 로션상 및 크림상으로 구분되며 제형 및 피부 타입에 따라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에멀젼 타입은 로션, 에센스, 크림 제형이 대표적이며 이들은 섞이지 않는 다량의 수상과 유상을 계면활성제를 적절히 배합함으로서 스킨케어 효과를 부여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에멀젼 타입은 유상(오일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자가 발포성이 있는 성분의 버블을 저해시키는 단점이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유성성분(오일)을 함유함에도 불소화합물의 자가 발포성을 유지하며 그 자가 발포되는 불소화합물에 의해 경피흡수가 촉진되고 피부톤이 개선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일 예는 불소 화합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폴리올, 점증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첨가제 및/또는 1종 이상의 활성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자체 및/또는 추가로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피부/모발/두피 흡수를 의도하는 조성물일 수 있으며, 닦아낼 필요가 없는 조성물, 예컨대, 세정용 (클렌징) 조성물이 아닐 수 있다.
다른 예는 상기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제품은 피부/모발/두피 흡수를 의도하는 제품일 수 있으며, 세정용 (클렌징) 조성물이 아닐 수 있다.
다른 예는 상기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제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불소 화합물 및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의 자가발포형 화장료 또는 이를 포함하는 제품으로서의 용도 또는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제품의 제조를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혼합물은 오일, 폴리올, 점증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혼합물은 1종 이상의 첨가제 및/또는 1종 이상의 활성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제품은 피부/모발/두피 흡수를 의도하는 조성물 또는 제품일 수 있으며, 세정용 (클렌징) 조성물이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은 불소화합물을 함유하여 자가발포형 (버블 발생)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은 O/W 또는 O/W/O 제형의 유화 또는 가용화 형태의 성상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불소화합물 및 계면활성제(유화제)를 포함하고, 소망하는 목적 또는 효과에 따라서 임의로, 오일, 폴리올, 점증제, 보습제, 피부 활성 성분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로션, 에센스, 또는 크림의 성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이 조성물은 피부 등에 도포시 자가발포 (버블 발생) 기능을 나타내어 즉각적으로 피부온도를 낮춰주고, 피부 활성 성분의 흡수력 증가, 이로 인한 피부 효과의 극대화, 피부톤을 개선, 및/또는 각질 턴오버 주기의 활성화 등의 유용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가 발포성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시, 유상성분을 함유하게 되면 자가 발포성이 있는 성분의 버블을 저해시키는 단점이 있다. 반면, 기초화장료 조성물 제조 시에 활성 성분을 가진 오일을 소량만 배합하여도 보습효과가 저하되고 스킨케어 기능 이외의 부가적인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불소화합물을 이용하여 보습, 진정, 및/또는 수렴 등의 스킨케어 기능은 충족 (유지 내지 증진)하면서 버블이 발생되고, 피부 쿨링 효과를 갖는, 새로운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기술은 유화 또는 가용화 타입의 액상, 젤상, 로션, 크림상 등의 성상을 가지며, 불소화합물과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피부에 도포시 자가발포 (버블생성) 기능을 발휘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우수한 스킨 케어 효과를 가지는 버블의 생성 속도와 양을 일정하게 구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에서, 불소 화합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제1 화장료 조성물). 상기 제1 화장료 조성물은 자가발포성을 갖는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이다.
상기 제1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폴리올, 점증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화장료 조성물). 상기 제2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성분을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자가발포성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제1 화장료 조성물 또는 제2 화장료 조성물)은 이온 봉쇄제, 유화 안정제, pH 조절제, 피부컨디셔닝제 등과 같이, 화장료 조성물, 예컨대 세정용 제품이 아닌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함유 가능한 모든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3 화장료 조성물).
다른 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제1 화장료 조성물, 제2 화장료 조성물, 또는 제3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피부 미백제, 피부 탄력제, 피부 주름 개선제 등의 피부, 두피 및/또는 모발에 유리한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모든 활성 성분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활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4 화장료 조성물)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로서,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함유(사용) 가능한 첨가제는 피부/두피/모발에 적용되는 외용 제품에 함유(사용)되는 것이 허용되는 모든 성분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1 내지 4는 각각 적절한 용제 (예컨대, 정제수, 암반수, 해수, 심해수, 식물 추출수 등)에 유화, 분산, 현탁, 또는 용해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화장료 조성물' 또는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1 내지 4 및 이들이 적절한 용제에 포함된 형태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 (예컨대, O/W 또는 O/W/O) 또는 가용화 타입의 제형일 수 있으며, 자가 발포가 가능한 자가발포형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화장료 조성물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자가발포성을 갖는 자가발포형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상기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여 피부 표면에서 발생한 버블층은 피부 쿨링 효과와 함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활성 성분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며, 피부톤 개선에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은 생성된 버블층이 적절한 시간 내에 소멸하여 피부에 흡수되므로, 피부에서 제거 (티슈, 퍼프 등으로 닦아내거나 세안하여 씻어내는 등)할 필요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은 세정보다는 피부/모발/두피 흡수를 의도하는 조성물일 수 있으며, 닦아내지 않고 피부/모발/두피 등에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은 세정용 (클렌징) 조성물이 아닐 수 있다.
상기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은 얼굴, 손, 발을 포함한 신체의 모든 피부, 두피, 모발 등에 적용 가능하다.
상기 불소 화합물은 가스 전달자(Gas Carrier)로서 작용하며, 피부에 가스를 전달하고, 계면활성제의 계면 장력을 저하시킴으로써, 가스가 기화하면서 버블이 발생하도록 하는 발포제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불소 화합물은 피부 유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피부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각질층은 유효 성분(활성 성분)의 투과성이 낮은 편이다. 이는 각질층이 케라틴 섬유질로 이루어진 각질 세포와 그 사이 사이에 지질 성분들이 촘촘하게 들어찬 이중성분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피부 표면에 불소 화합물에 의한 자가발포 기능을 갖는 조성물이 적용되는 경우, 피부 표면에 형성된 버블층 및 상기 버블층의 피부 유연 효과에 의하여, 조성물 내의 유효성분의 각질층 투과율 및 피부 흡수율이 증진될 수 있다.
상기 불소 화합물은, 통상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되는 모든 종류를 사용 가능하며, 예컨대, 메틸퍼플루오로이소부틸에테르, 메틸퍼플루오로부틸에테르, 에틸퍼플루오로부틸에테르, 에틸퍼플루오로이소부틸에테르, 퍼플루오로데칼린, 퍼플루오로헥산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불소 화합물이 버블 발생 및/또는 피부 유연 효과를 잘 발휘하기 위하여, 상기 불소 화합물의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100 중량% 내의 함량은, 0.1 내지 20 중량%, 0.5 내지 20 중량%, 또는 1 내지 20중량%, 예컨대, 0.5 내지 18 중량%, 0.5 내지 16 중량%, 0.5 내지 14 중량%, 0.5 내지 12 중량%, 0.5 내지 10 중량%, 1 내지 18 중량%, 1 내지 16 중량%, 1 내지 14 중량%, 1 내지 12 중량%, 1 내지 10 중량%, 1.5 내지 20 중량%, 1.5 내지 18 중량%, 1.5 내지 16 중량%, 1.5 내지 14 중량%, 1.5 내지 12 중량%, 1.5 내지 10 중량%, 2 내지 20 중량%, 2 내지 18 중량%, 2 내지 16 중량%, 2 내지 14 중량%, 2 내지 12 중량%, 2 내지 10 중량%, 3 내지 20 중량%, 3 내지 18 중량%, 3 내지 16 중량%, 3 내지 14 중량%, 3 내지 12 중량%, 3 내지 10 중량%, 5 내지 20 중량%, 5 내지 18 중량%, 5 내지 16 중량%, 5 내지 14 중량%, 5 내지 12 중량%, 5 내지 10 중량%, 7 내지 20 중량%, 7 내지 18 중량%, 7 내지 16 중량%, 7 내지 14 중량%, 7 내지 12 중량%, 또는 7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버블의 발생, 표면장력의 저하, 피부유연, 제형의 안정화 등의 기능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로서,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또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친수성기가 전하를 띄지 않으나 분자 내에 여러 개의 극성기를 가지고 있어 물과의 친화성이 자유롭다. 따라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피부에 자극이 가장 적은 종류의 유화제이기 때문에, 유액, 크림, 에센스 등과 같은 피부에 오랜 시간 적용되는 기초 화장품에 사용하기에 유리하다.
대표적인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활성제, 폴리글리세린계 계면활성제, 슈가 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전기적으로 중성이기 때문에 전해질의 존재에 덜 민감하여 pH에 의한 영향을 덜 받으며 합성과정에서 친수성기의 중합도를 고안하여 용해성을 조절하기 쉬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반면,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친수성기로 음이온 전하를 갖는 것으로서 수중에서 친수기 부분이 음이온으로 해리된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세정작용과 기포형성 작용이 우수하여 비누, 샴푸, 클렌징 폼에 많이 사용된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석유부산물에서 화학 합성하여 얻어지며, 강한 세척력으로 피부 자극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예에서 제안되는 화장료 조성물이 세정용이 아닌 화장료 조성물 (예컨대, 기초 화장품용 조성물)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상기 계면활성제로서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채택하는 것이 음이온 계면활성제보다 피부에 자극이 적고 물과의 친화성이 자유롭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계면활성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합성적 계면활성제, 천연유래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계 계면활성제, 폴리글리세린계 계면활성제, 슈가 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디스테아레이트 (예컨대, 폴리글리세릴-10 디스테아레이트 등),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소르비탄올리베이트, PEG(poly(ethylene glycol))-스테아레이트류 (예컨대, PEG-100 스테아레이트, PEG-40 스테아레이트 등),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 데실글루코사이드, 코코-글루코사이드, 라우릴글루코사이드, 카프릴릴/카프릴글루코사이드,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C12-20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글루코사이드,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세테아레스류 (예컨대, 세테아레스-20 등), 스테아레스류 (예컨대, 스테아레스-2, 스테아레스-21, 등), 올레일 알코올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 (예컨대, 올레스-20, 등), 메칠글루코스세스퀴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슈크로스코코에이트, 폴리소르베이트류 (예컨대, 폴리소르베이트60 등),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소르비탄올리베이트, 기름야자오일, 기름야자커넬오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계면활성제가 버블의 발생, 표면장력의 저하, 피부유연, 제형의 안정화 등의 기능을 잘 발휘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계면활성제 (예컨대,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100 중량% 내의 함량은, 0.1 내지 10 중량%, 0.1 내지 9.5 중량%, 0.1 내지 9 중량%, 0.1 내지 8.5 중량%, 0.1 내지 8 중량%, 0.1 내지 7.5 중량%, 0.1 내지 7 중량%, 0.1 내지 6.5 중량%, 0.1 내지 6 중량%, 0.1 내지 5.7 중량%, 0.1 내지 5.5 중량%, 0.1 내지 5.2 중량%, 0.1 내지 5 중량%, 0.1 내지 4.7 중량%, 0.1 내지 4.5 중량%, 0.1 내지 4.2 중량%, 0.1 내지 4 중량%, 0.1 내지 3.7 중량%, 0.1 내지 3.5 중량%, 0.1 내지 3.2 중량%, 0.1 내지 3 중량%, 0.1 내지 2.9 중량%, 0.1 내지 2.8 중량%, 0.1 내지 2.7 중량%, 0.1 내지 2.6 중량%, 0.1 내지 2.5 중량%, 0.1 내지 2.4 중량%, 0.1 내지 2.3 중량%, 0.1 내지 2.2 중량%, 0.1 내지 2.1 중량%, 0.1 내지 2 중량%, 0.3 내지 10 중량%, 0.3 내지 9.5 중량%, 0.3 내지 9 중량%, 0.3 내지 8.5 중량%, 0.3 내지 8 중량%, 0.3 내지 7.5 중량%, 0.3 내지 7 중량%, 0.3 내지 6.5 중량%, 0.3 내지 6 중량%, 0.3 내지 5.7 중량%, 0.3 내지 5.5 중량%, 0.3 내지 5.2 중량%, 0.3 내지 5 중량%, 0.3 내지 4.7 중량%, 0.3 내지 4.5 중량%, 0.3 내지 4.2 중량%, 0.3 내지 4 중량%, 0.3 내지 3.7 중량%, 0.3 내지 3.5 중량%, 0.3 내지 3.2 중량%, 0.3 내지 3 중량%, 0.3 내지 2.9 중량%, 0.3 내지 2.8 중량%, 0.3 내지 2.7 중량%, 0.3 내지 2.6 중량%, 0.3 내지 2.5 중량%, 0.3 내지 2.4 중량%, 0.3 내지 2.3 중량%, 0.3 내지 2.2 중량%, 0.3 내지 2.1 중량%, 0.3 내지 2 중량%, 0.5 내지 10 중량%, 0.5 내지 9.5 중량%, 0.5 내지 9 중량%, 0.5 내지 8.5 중량%, 0.5 내지 8 중량%, 0.5 내지 7.5 중량%, 0.5 내지 7 중량%, 0.5 내지 6.5 중량%, 0.5 내지 6 중량%, 0.5 내지 5.7 중량%, 0.5 내지 5.5 중량%, 0.5 내지 5.2 중량%, 0.5 내지 5 중량%, 0.5 내지 4.7 중량%, 0.5 내지 4.5 중량%, 0.5 내지 4.2 중량%, 0.5 내지 4 중량%, 0.5 내지 3.7 중량%, 0.5 내지 3.5 중량%, 0.5 내지 3.2 중량%, 0.5 내지 3 중량%, 0.5 내지 2.9 중량%, 0.5 내지 2.8 중량%, 0.5 내지 2.7 중량%, 0.5 내지 2.6 중량%, 0.5 내지 2.5 중량%, 0.5 내지 2.4 중량%, 0.5 내지 2.3 중량%, 0.5 내지 2.2 중량%, 0.5 내지 2.1 중량, 또는 0.5 내지 2 중량%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물성 증진을 위하여,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에 더하여,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 계면 활성제는 라우릴 황산나트륨, 라우릴 황산암모늄, 라우릴 황산마그네슘, 라우릴 황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암모늄, 소듐코코암포아세테이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코카마이드엠이에이, 디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 티이에이-코코일글루타메이트,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 코카마이드디이에이,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소듐라우릴설페이트,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추가로 포함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닦아내지 않고 피부에 흡수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자극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100%에 대하여, 2 중량% 이하 또는 미만, 예컨대, 1.8 중량% 이하 또는 미만, 1.6 중량% 이하 또는 미만, 1.4 중량% 이하 또는 미만, 1.2 중량% 이하 또는 미만, 1.1 중량% 이하 또는 미만, 1 중량% 이하 또는 미만, 0.9 중량% 이하 또는 미만, 0.8 중량% 이하 또는 미만, 0.7 중량% 이하 또는 미만, 0.6 중량% 이하 또는 미만, 0.5 중량% 이하 또는 미만, 0.4 중량% 이하 또는 미만, 0.3 중량% 이하 또는 미만, 0.2 중량% 이하 또는 미만, 0.1 중량% 이하 또는 미만, 0.09 중량% 이하 또는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임의 성분이므로,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0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한값은 0을 포함하여 상기 기재된 상한값까지의 범위 중 선택된 임의의 수치일 수 있으며, 예컨대, 하한값은 0 중량%, 0.00001 중량%, 0.0001 중량%, 0.001 중량%, 0.01 중량%, 0.05 중량%, 또는 0.1 중량%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은,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소량 포함하는 것, 즉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2 중량% 이하 또는 1.1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내의 상기 불소 화합물과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간의 함량비 (불소 화합물 중량:비이온 계면활성제 중량)는 1 내지 20:0.1 내지 10, 1 내지 20:0.5 내지 5, 또는 1 내지 20:0.5 내지 3, 예컨대, 1: 0.2 내지 1.2 또는 1: 0.2 내지 1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간의 함량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량: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중량)가 1:0 내지 0.9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중량비가 '0'인 경우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지 않은 것을 의미함, 이하 동일함), 1:0 내지 0.8, 1:0 내지 0.7, 1:0 내지 0.6, 1:0 내지 0.5, 1:0 내지 0.4, 1:0 내지 0.3, 1:0 내지 0.2, 1:0 내지 0.1, 1:0 내지 0.05, 1:0.00001 내지 0.9, 1:0.00001 내지 0.8, 1:0.00001 내지 0.7, 1:0.00001 내지 0.6, 1:0.00001 내지 0.5, 1:0.00001 내지 0.4, 1:0.00001 내지 0.3, 1:0.00001 내지 0.2, 1:0.00001 내지 0.1, 또는 1:0.00001 내지 0.05이 되도록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 가능한 오일은 실리콘 오일, 비실리콘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 왁스 등과 같은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함유(사용) 가능한 모든 오일 성분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100% 내의 오일의 함량은, 0.01 내지 10 중량%, 0.01 내지 8 중량%, 0.01 내지 5 중량%, 0.01 내지 4 중량%, 0.01 내지 3 중량%, 0.1 내지 10 중량%, 0.1 내지 8 중량%, 0.1 내지 5 중량%, 0.1 내지 4 중량%, 0.1 내지 3 중량%, 0.5 내지 10 중량%, 0.5 내지 8 중량%, 0.5 내지 5 중량%, 0.5 내지 4 중량%, 0.5 내지 3 중량%, 1 내지 10 중량%, 1 내지 8 중량%, 1 내지 5 중량%, 1 내지 4 중량%, 또는 1 내지 3 중량% 정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콘 오일은 부드러운 사용감 부여, 끈적임 개선, 표면 윤활 작용 등의 기능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모든 종류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리콘오일은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디메치콘, 디메치콘올, 사이클로메치콘, 트리실록산, 아모디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디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PEG-디메치콘류 (예컨대, PEG-12 디메치콘, PEG-10 디메치콘, PEG-7 디메치콘 등), 폴리실리콘류 (예컨대, 폴리실리콘-11 등), 시메치콘, 디페닐디메치콘, PEG-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리콘 오일이 부드러운 사용감 부여, 끈적임 개선, 표면 윤활 작용 등의 기능을 잘 발휘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실리콘 오일의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100% 내의 함량은, 0.01 내지 10 중량%, 0.01 내지 8 중량%, 0.01 내지 5 중량%, 0.01 내지 4 중량%, 0.1 내지 10 중량%, 0.1 내지 8 중량%, 0.1 내지 5 중량%, 0.1 내지 4 중량%, 0.5 내지 10 중량%, 0.5 내지 8 중량%, 0.5 내지 5 중량%, 0.5 내지 4 중량%, 1 내지 10 중량%, 1 내지 8 중량%, 1 내지 5 중량%, 또는 1 내지 4 중량% 정도일 수 있다.
상기 비실리콘 오일은 실리콘 오일 이외의 화장료에 사용 가능한 오일 성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습효과, 유분감조절, 및/또는 사용감 향상 등의 기능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비실리콘 오일은, 실리콘 오일 이외에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모든 종류의 오일 성분들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비실리콘 오일은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디에톡시에틸석시네이트, 헥실라우레이트, 트리에틸헥사노인,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폴리이소부텐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실리콘 오일이 부드러운 보습효과, 유분감조절, 사용감 향상 등의 기능을 잘 발휘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비실리콘 오일의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100% 내의 함량은, 0.01 내지 10 중량%, 0.01 내지 8 중량%, 0.01 내지 5 중량%, 0.01 내지 4 중량%, 0.01 내지 3 중량%, 0.1 내지 10 중량%, 0.1 내지 8 중량%, 0.1 내지 5 중량%, 0.1 내지 4 중량%, 0.1 내지 3 중량%, 0.5 내지 10 중량%, 0.5 내지 8 중량%, 0.5 내지 5 중량%, 0.5 내지 4 중량%, 0.5 내지 3 중량%, 1 내지 10 중량%, 1 내지 8 중량%, 1 내지 5 중량%, 1 내지 4 중량%, 또는 1 내지 3 중량% 정도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한 실리콘 오일 1종 이상과 비실리콘 오일 1종 이상이 혼합된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혼합물의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100% 내의 함량은, 0.01 내지 10 중량%, 0.01 내지 8 중량%, 0.01 내지 5 중량%, 0.01 내지 4 중량%, 0.01 내지 3 중량%, 0.1 내지 10 중량%, 0.1 내지 8 중량%, 0.1 내지 5 중량%, 0.1 내지 4 중량%, 0.1 내지 3 중량%, 0.5 내지 10 중량%, 0.5 내지 8 중량%, 0.5 내지 5 중량%, 0.5 내지 4 중량%, 0.5 내지 3 중량%, 1 내지 10 중량%, 1 내지 8 중량%, 1 내지 5 중량%, 1 내지 4 중량%, 또는 1 내지 3 중량% 정도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보습을 부여하고 습윤성과 용해성 향상 기능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모든 종류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폴리올은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글리세레스 (예컨대, 글리세레스-26 등), 메틸프로판디올, PEG(poly(ethylene glycol))/PPG(poly(propylene glycol)) 코폴리머류 (예컨대, PEG/PPG-17/6코폴리머 등), 메틸글루세스류 (예컨대, 메틸글루세스-20 등),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판디올, 카프릴릴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올이 보습, 습윤성과 용해성 향상 등의 기능을 잘 발휘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폴리올의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100% 내의 함량은, 0.1 내지 20 중량%, 0.1 내지 18 중량%, 0.1 내지 15 중량%, 0.1 내지 13 중량%, 0.1 내지 10 중량%, 0.3 내지 20 중량%, 0.3 내지 18 중량%, 0.3 내지 15 중량%, 0.3 내지 13 중량%, 0.3 내지 10 중량%, 0. 5 내지 20 중량%, 0.5 내지 18 중량%, 0.5 내지 15 중량%, 0.5 내지 13 중량%, 0.5 내지 10 중량%, 1 내지 20 중량%, 1 내지 18 중량%, 1 내지 15 중량%, 1 내지 13 중량%, 또는 1 내지 10 중량%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제형의 점도를 향상시키고 유화의 안정화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모든 종류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점증제는 카보머,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잔탄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소듐카보머 등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화합물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점증제가 제형의 점도를 향상시키고 유화의 안정화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잘 발휘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점증제의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100% 내의 함량은, 0.01 내지 2 중량%, 0.01 내지 1.5 중량%, 0.01 내지 1 중량%, 0.01 내지 0.5 중량%, 0.05 내지 2 중량%, 0.05 내지 1.5 중량%, 0.05 내지 1 중량%, 0.05 내지 0.5 중량%, 0.1 내지 2 중량%, 0.1 내지 1.5 중량%, 0.1 내지 1 중량%, 또는 0.1 내지 0.5 중량%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소망하는 제형의 점도에 맞게 적절한 종류 및/또는 함량을 선택하여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및/또는 제형화에 사용 가능한 모든 첨가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통상적인 함량 범위에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첨가제는, 화장료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온 봉쇄제, 유화 안정제, pH 조절제, 피부컨디셔닝제, 향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자유 라디칼 파괴제, 불투명화제, 안정화제, 에몰리언트 (emollient), 비타민, 곤충 기피제, 보존제, 소염제, 염기성화 또는 산성화제, 착색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총량 100중량%에 함유된 상기 성분들을 제외한 잔량은 적절한 용제가 채울 수 있다. 상기 용제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되는 모든 용제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예컨대, 정제수, 암반수, 온천수, 빙하수, 해수, 심층 해양수, 식물 추출수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시 버블 생성시간 (버블이 생기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기산하여 버블 생성이 최대 수준이 될 때까지의 시간)이 약 5 내지 약 40초, 예컨대 7 내지 37초, 또는 10초 내지 33초 정도이고, 버블 소멸 시간 (생성된 버블이 소멸되기 시작하여 최소 수준이 될 때까지의 시간)은 약 10초 내지 약 120초, 예컨대, 10초 내지 100초, 10초 내지 90초, 20초 내지 100초, 20초 내지 90초, 30초 내지 100초, 30초 내지 90초, 40초 내지 100초, 40초 내지 90초, 50초 내지 100초, 또는 50초 내지 90초 정도일 수 있다.
상가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시 피부 표면 온도를 약 0.5℃ 이상, 약 0.7℃ 이상, 또는 약 1℃ 이상 (예컨대, 0.5 내지 2℃, 0.7 내지 2℃, 또는 1 내지 2℃) 낮추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성분 이외에 스킨(피부) 케어 및/또는 모발/두피 케어에 유리한 효과를 발휘하는 활성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유리한 효과는 피부 미백,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노화 방지, 피부 수분 공급, 피부 보습, 피부 영양 공급, 모공 축소, 피부결 개선, 각질 제거, 피부 볼륨 개선, 두피 보호, 두피 또는 피부의 피지 방지, 탈모 방지, 모발 수분 공급, 모발 영양 공급, 모발 볼륨 개선 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대상의 피부/모발/두피에서 소망하는 모든 효과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활성 성분은 각종 식물 추출물 (예컨대, 지모 추출물, 녹차 추출물, 포도 추출물, 연꽃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동백꽃 추출물, 해조류 추출물 등), 식물 캘러스 배양물 또는 배양 추출물, 효모 추출물, 세포 함유 또는 무세포 효모 배양물 또는 배양 추출물, 비타민, 각종 펩타이드, 지질, 또는 지방산 (예컨대, 각종 어패류 유래의 지질, 지방산, 펩타이드 등) 히알루론산, 글리코시드 (예컨대, 알부틴 등), 이외의 각종 피부용 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소망하는 효과에 따라서 적절한 활성성분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활성성분은 수소첨가 폴리이소부텐 (hydrogenated polyisobutene)과 지모추출물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화장료 조성물은, 지표성분으로 알부틴을 사용하여 HPLC를 통하여 경피 투과율을 측정시, 경피 투과율이 0.3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0.7 중량% 이상, 또는 0.9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예는 상기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품 (피부, 모발, 및/또는 두피 케어용 제품; 예컨대, 화장품)을 제공한다. 상기 제품은 얼굴, 손, 발, 온몸 등의 피부, 두피, 모발 등에 적용하기 위한 모든 형태의 제품 (예컨대, 로션, 크림, 에센스 등)일 수 있으며, 세정용 (클렌징) 제품이 아닐 수 있다.
다른 예는 불소 화합물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제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예에서, 상기 제조 방법은, 불소 화합물 및 계면활성제에 오일, 폴리올, 점증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제조 방법은, 불소 화합물 및 계면활성제의 혼합물 (제1 혼합물: 제1 화장료 조성물) 또는 상기 제1 혼합물에 오일, 폴리올, 점증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첨가된 혼합물 (제2 혼합물: 제2 화장료 조성물)에, 1종 이상의 첨가제 및/또는 1종 이상의 활성성분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사용된 각 성분의 종류 및 함량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혼합 단계는, 상기 성분들 중, 수상 성분을 혼합하는 단계, 유상 성분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수상 성분의 혼합물과 유상 성분의 혼합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 성분의 혼합물과 유상 성분의 혼합물을 혼합한 혼합물에 불소 화합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임의로, 상기 수상 및 유상의 혼합물을 용제에 분산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상 성분의 혼합 단계와 유상 성분의 혼합 단계는 순차적으로 수행되거나,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그 순서는 상기 기재된 순서 또는 그 반대 순서로 진행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유상 성분은 유화제, 오일 성분, 유상 용제 등을 포함하고, 상기 수상 성분은 상기 유상 성분을 제외한 화장료 성분, 예컨대, 폴리올, 점증제, 활성성분, 수상 용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혼합하는 단계는 교반 등의 통상적인 혼합 방법에 의하여 균질한 혼합이 달성될 때까지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혼합 조건은 통상적인 화장료 혼합 조건 (예컨대, 30 내지 80℃ 및 대기압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조 방법 또는 제조 방법 중에 수행되는 혼합하는 단계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정제수, 폴리올, 점증제, 기타 활성 성분, 일반화장품 원료 성분 등이 함유된 수상 성분 (불소 화합물은 포함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수상부를 65 ~ 85℃로 가온 후 용해시키는 단계;
b) 유화제, 오일 성분 등이 함유된 유상부를 65~85℃로 가온 후 용해시키는 단계;
c) 상기 단계 a)에서 용해된 수상부에 단계 b)에서 용해된 유상부를 천천히 투입하여 65~85℃에서 호모믹서 1,500~3,500 rpm으로 3~10분간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35~30℃까지 냉각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에서 냉각된 반응 혼합물에 불소화합물을 첨가하고 균일 교반하는 단계.
다른 예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제1 화장료 조성물, 제2 화장료 조성물, 제3 화장료 조성물, 또는 제4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쿨링 조성물 (피부 온도 강하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제1 화장료 조성물, 제2 화장료 조성물, 제3 화장료 조성물, 또는 제4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쿨링 (피부 온도 강하) 또는 피부 쿨링 조성물 (피부 온도 강하용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다른 예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제1 화장료 조성물, 제2 화장료 조성물, 제3 화장료 조성물, 또는 제4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 (예컨대,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쿨링 방법 (피부 온도 강하 방법)을 제공한다. 일 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용하는 단계 이후에, 적용된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흡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적용된 화장료 조성물을 닦아내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제1 화장료 조성물, 제2 화장료 조성물, 제3 화장료 조성물, 또는 제4 화장료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른 예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제1 화장료 조성물, 제2 화장료 조성물, 제3 화장료 조성물, 또는 제4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효성분 (예컨대, 활성 성분)의 경피 투과 증진용 조성물 또는 피부 흡수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제1 화장료 조성물, 제2 화장료 조성물, 제3 화장료 조성물, 또는 제4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 (예컨대, 활성 성분)의 경피 투과 증진 또는 피부 흡수 증진, 또는 유효성분 (예컨대, 활성 성분)의 경피 투과 증진용 조성물 또는 피부 흡수 증진용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다른 예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제1 화장료 조성물, 제2 화장료 조성물, 제3 화장료 조성물, 또는 제4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 (예컨대,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활성 성분의 경피 투과 증진 방법 또는 피부 흡수 증진 방법을 제공한다. 일 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용하는 단계 이후에, 적용된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흡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적용된 화장료 조성물을 닦아내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제1 화장료 조성물, 제2 화장료 조성물, 제3 화장료 조성물, 또는 제4 화장료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가스 전달 물질이자 기화도가 높은 불소화합물을 이용하여 버블을 발생시킴으로써 피부의 온도를 떨어뜨리고, 발생되는 버블을 통하여 활성 성분의 경피 흡수를 촉진하고 혈액순환을 증진시켜 피부톤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는 비교적 다량의 오일을 배합함으로써 보습효과를 높이고 저자극의 천연유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피부자극을 최소화하고 버블 발생의 속도와 양은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포형 조성물의 피부 적용시의 피부 온도 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포형 조성물의 피부 적용시의 버블 생성 시간 및 버블 소멸 시간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자가발포형 및 비교예 1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서 자가발포형 조성물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구분 원료명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1 용제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이온 봉쇄제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0.02
3 폴리올 부틸렌글라이콜 4.00 6.00 - - - -
메틸프로판디올 - - 4.00 6.00 3.00 3.00
글리세린 2.00 3.00 4.00 3.00 5.00 5.00
4 점증제 카보머 0.25 0.25 0.25 0.25 0.25 0.25
잔탄검 0.15 0.15 0.15 0.15 0.15 0.15
5 유화제(계면활성제) 폴리글리세릴-10디스테아레이트 0.90 1.20 1.00 0.60 0.80 0.80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0.60 0.90 0.80 1.00 1.20 1.20
데실-글루코사이드 0.50 0.80 0.60 0.80 0.90 0.90
6 유화 안정제 세테아릴알코올 1.00 1.00 1.00 1.00 1.00 1.00
7 pH조절제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0.06 0.06 0.06 0.06 0.06 0.06
8 피부컨디셔닝제 (오일)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00 2.00 2.00 2.00 2.00 2.0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3.00 3.00 3.00 3.00 3.00 3.00
9 불소 화합물 메틸퍼플루오로이소부틸에테르 2.00 4.00 6.00 8.00 10.00 -
표 1을 참조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반조에 원료 1 내지 3을 넣고 75℃로 가온 후, 호모믹싱하여 균일화하여 수상 교반조를 준비하였다. 다른 교반조에 원료 5, 6, 및 8을 넣고 75℃로 가온하여 완전 용해시켜 유상 교반조를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된 수상 교반조에 원료 4를 호모믹싱하면서 천천히 투입하여 균일 분산시켰다. 75℃에서 수상 교반조에 유상 교반조 내 유상 원료 혼합물을 투입하고 5분간 균일 유화시켰다. 상기 얻어진 유화물을 65℃로 냉각 후, 원료 7을 정제수에 용해시킨 용액을 넣고 4분간 균일 분산시켰다. 상기 얻어진 결과물을 30℃로 냉각시킨 후, 원료 9를 넣고 3분간 균일 교반시켜, 유백색의 로션상 (O/W)의 조성물을 얻었다.
시험예 1: 사용감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자가발포형 조성물 중 실시예 5에서 제조된 조성물 (이하, '실시예 5의 자가발포형 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감을 시험하여 비교예 1과 비교하였다. 본 시험은 30세 내지 40세의 1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다음의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세안 후 토너를 사용하여 피부결을 정돈한 후, 실시예 5의 자가발포형 조성물을 2회 펌핑의 양으로 덜어 피부결에 따라 얼굴 전체에 도포하여 흡수시켜 사용하였다. 사용감 시험을 위하여, 흡수력, 진정/수렴 효과, 끈적임, 촉촉함, 발림성, 피부자극도, 및 전체적인 만족도의 7개의 항목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각 항목에 대하여 최대 5점에서 최하 0점 (피부 자극도를 제외한 항목: 점수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좋음; 피부 자극도: 점수가 낮을수록 피부 자극도가 낮음)으로 평가하였다.
상기 얻어진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항목 패널 평균
1 2 3 4 5 6 7 8 9 10
흡수력 5 5 5 4 3 4 4 4 5 5 4.4
진정/수렴효과 5 5 5 5 4 5 4 4 3 4 4.4
끈적임 4 5 4 5 4 5 3 4 4 3 4.1
촉촉함 4 3 5 4 5 4 5 4 3 4 4.1
발림성 4 4 5 4 5 5 5 4 3 4 4.3
피부자극도 0 2 0 0 0 0 0 0 0 0 0.2
전체적인 만족도 4 5 4 5 4 5 4 4 5 4 4.4
비교를 위하여, 자가발포성을 갖지 않는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동일한 패널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감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항목 패널 평균
1 2 3 4 5 6 7 8 9 10
흡수력 3 2 4 2 2 3 2 2 2 4 2.6
진정/수렴효과 4 3 3 3 2 4 3 3 3 3 3.1
끈적임 3 4 4 3 3 4 4 3 3 4 3.5
촉촉함 4 3 3 3 3 3 4 4 4 3 3.4
발림성 3 2 4 3 3 4 3 3 4 4 3.3
피부자극도 0 1 0 1 1 1 0 0 1 0 0.5
전체적인 만족도 3.4 2.8 3.6 3.0 2.8 3.8 3.4 3.2 3.4 3.6 3.3
상기 표 2 및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5의 자가발포형 조성물이 자가발포성이 없는 비교예 1과 비교하여, 흡수력, 진정/수렴효과, 촉촉함, 및 발림성이 우수하고, 끈적임과 피부 자극도가 적으며, 전체적인 만족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2: 피부 온도 변화 시험
자가발포형 조성물이 피부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기 위하여, 피부 적외선 체온계를 이용하여 1 일간 다음의 방법으로 자가발포형 조성물 적용시의 피부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시험은 자발적으로 모집된 평균 30세 이상의 3명의 여성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피험자가 동일한 세안제 (㈜파이온텍)로 세안하고, 30분간 항온습실 (온도: 22±1℃, 습도: 40±5%)에서 안정을 취하게 한 후, 실시예 5의 자가발포형 조성물의 적당량을 피험자의 왼쪽 안면 부위에 적용하였다.
실시예 5의 자가발포형 조성물의 사용 전과 사용 직후의 피부온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맨 얼굴 상태에서 적외선 체온계를 이용하여 2~3cm 거리에서 왼쪽 안면 부위 피부 온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맨 얼굴의 피부 온도 측정 시로부터 1분 후에 실시예 5의 자가발포형 조성물을 피험자의 왼쪽 안면 부위에 1g 용량으로 얇고 고르게 도포하고, 버블 발생 30초 후에 버블이 소멸되면 두드려 흡수시키고, 10초 후 적외선 체온계를 이용하여 2~3cm 거리에서 왼쪽 안면의 도포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자가발포성을 갖지 않는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동일한 피험자에 대하여 동일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얻어진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맨 얼굴 평균 피부 온도는 36.2℃이고, 자가발포성을 갖지 않는 비교예 1 사용 시의 평균 피부 온도는 36.1℃인 반면, 실시예 5의 자가발포형 조성물 사용 시의 평균 피부 온도는 35℃인 것으로 나타나, 자가발포형 조성물의 버블 발생 작용에 의하여 즉각적인 피부 온도 저하 효과 (피부 쿨링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버블 생성 및 소멸 시간 측정
실시예 5의 자가발포형 조성물의 버블 생성 시간 및 소멸 시간을 측정하였다.
본 시험은 자발적으로 모집된 평균 30세 이상의 3명의 여성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피험자가 동일한 세안제 (㈜파이온텍)로 세안하고, 30분간 항온습실 (온도: 22±1℃, 습도: 40±5%)에서 안정을 취하게 한 후, 실시예 5의 자가발포형 조성물의 적당량을 피험자의 왼쪽 안면 부위에 적용하였다.
실시예 5의 자가발포형 조성물을 적용하여 버블이 생기기 시작하는 시점으로부터 계산하여 버블 생성량이 최대 수준이 될 때까지의 시간 (버블 생성시간) 및 생성된 버블이 소멸되기 시작하여 최소 수준이 될 때까지의 시간 (버블소멸 시간)을 각각 측정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버블 생성 시간은 평균 22초이고, 버블 소멸 시간은 평균 78.6초이다. 자가발포형 조성물 적용시의 버블 생성 시간 및 버블 소멸 시간은 피험자의 피부 상태 (수분 정도, 피부결, 피부 노화 정도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지만, 상기 결과는 자가발포형 조성물이 유용한 효과를 나타내는 활성 성분의 피부흡수 및/또는 피부 쿨링 효과를 얻기에 충분하면서, 사용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시간동안 버블 생성을 유지함을 보여준다.
실시예 6 내지 7 및 비교예 2: 자가발포형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방법을 참조하여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서 자가발포형 조성물 (실시예 6 내지 7)을 제조하였다. 단 지표물질은 최종 공정에 추가 투입하였다. 참고로, 실시예 7은 지표물질 (알부민)을 포함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의 조성과 동일하다.
(단위: 중량%)
구분 원료명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2
1 용제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2 이온 봉쇄제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3 폴리올 부틸렌글라이콜 - - -
메칠프로판디올 3.00 3.00 3.00
글리세린 5.00 5.00 5.00
4 점증제 카보머 0.25 0.25 0.25
잔탄검 0.15 0.15 0.15
5 유화제(계면활성제) 폴리글리세릴-10디스테아레이트 0.80 0.80 0.80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20 1.20 1.20
데실-글루코사이드 0.90 0.90 0.90
6 유화 안정제 세테아릴알코올 1.00 1.00 1.00
7 pH조절제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0.06 0.06 0.06
8 피부컨디셔닝제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00 2.00 2.0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3.00 3.00 3.00
9 불소 화합물 메칠퍼플루오로이소부틸에텔 5.00 10.00 0.00
10 지표물질 알부틴 2.00 2.00 2.00
시험예 4: 경피흡수율 확인
본 시험은 생체 외 피부흡수시험 가이드라인(식품의약품안전처)을 따라 진행하였다.
생체 외 피부 흡수시험방법은 시험물질이 피부를 통과하는 것을 확인 하는 것으로 피부 표면에 시험물질을 도포 혹은 적용 하여 일정한 시간 이후 피부 안쪽 용액저장소에 이동한 양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인간 또는 다른 종의 다세포 동물의 피부, 또는 인공피부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인공 피부를 사용하는 경우 시험물질에 대하여 반복 측정이 가능하며 실험 동물을 사용하지 않고 노출 조건에 대한 연구가 가능하다. 생체 외 피부흡수시험은 물질의 조성에 따른 피부 흡수와 투과를 비교 할 수 있어, 인체 내 피부흡수에 의한 위험성 평가 등에 유용한 모델로 사용 할 수 있다.
한편, 경피흡수 시험에 사용되는 피부투과장치 (World Cprporation, Model GLMS-26)는 공여칸(donor chamber)과 수용칸(receptor chamber)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사이에 피부를 고정한다. 동일한 시험에 사용하는 각 셀은 0.3~5 cm2 범위 내에서 동일한 표면적을 갖는다. 준비된 피부를 각질층(stratum corneum)이 위로 위치하도록 하여 피부 투과장치에 고정한다. 피부투과장치는 피부를 잘 밀착시켜야 하고, 피부 하단의 수용액을 균질하게 혼합시킬 수 있어야 하며, 수용액의 채취가 용이하고, 장치와 내용물의 온도 조절이 용이해야한다.
시험에 사용되는 수용액은 피부조직과 친화성이 있어야 하며, 시험 물질의 용해도를 고려하여 선택하여야 한다. 생리활성이 없는 피부를 이용하여 수용성 물질을 평가하는 경우, 수용액은 pH 7.4의 생리 식염수를 사용한다. 소수성 시험물질을 평가하는 경우, 물, 에탄올 혼합액(1:1) 또는 6% 폴리에칠렌글리콜20올레일에텔액을 사용한다.
상기 방법으로 알부틴의 함량을 HPLC를 통해 측정하여 경피 투과율을 시험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피부투과장치의 공여칸과 수용칸 사이에 피부를 고정시키고 생리식염수을 사용하여 수용칸에 공기 없이 채워 넣었다. 각 시험물질을 용매와 혼합하여 공여칸에 로딩(loading)하고 24시간 이후에 수용칸에 있는 액을 채취하여 성분을 HPLC로 분석하여 시험 물질의 피부 투과율을 확인하였다. 알부틴의 투과율은 공여칸의 알부틴 질량 대비 수용칸의 알부틴 질량의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2
투과율(%) 0.99 1.23 0.15
표 5의 결과에서 불소화합물의 함량이 증가 할수록 알부틴의 경피흡수율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불소화합물을 5 및 10% 함유한 실시예 6 및 7의 조성물의 경우 비교예 2와 비교하여 약 6.6, 및 8.2배 높은 경피 투과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이 유효 성분의 피부 내 전달 효과가 우수함을 보여준다.
시험예 5: 미백 효능 시험
본 시험에서는 상기 실시예 7 및 비교예 2의 알부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능을 시험하였다.
이를 위해, 색소침착증을 가지고 있는 건강한 성인 여성 40명을 무작위로 20명씩 2개 그룹(A 및 B)으로 나눈 후, A그룹을 대상으로 실시예 7의 조성물을, B그룹을 대상으로 비교예 2의 조성물을 각각 1일 2회씩 8주간 도포하였다. 1회 도포량은 0.4~0.8g으로 하였다. 그러나 개인의 취향에 따라 도포량은 변할 수 있지만 각 조성물의 도포량은 동일하도록 하였다. 이후, 피부색의 변화를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Minolta CM600-d)를 이용하여 색의 밝기 변화(ΔL)를 측정하고, 복수의 숙련자에 의한 객관적인 육안관찰과 피검자에 의한 주관적 육안관찰을 실시하여 미백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이때, 미백 효능 정도를 다음의 미백 효능 평가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피검자 피부색의 밝기변화(ΔL) 숙련자의 객관적 평가 피검자의 주관적 평가
A 그룹
(실시예7)
B 그룹
(비교예2)
A 그룹
(실시예7)
B 그룹
(비교예2)
A 그룹
(실시예7)
B 그룹
(비교예2)
1 3.5 2.7 2 0 2 0
2 3.4 2.4 1 1 2 1
3 2.9 2.5 1 0 2 0
4 3.0 2.9 2 0 1 0
5 3.6 1.9 2 1 1 1
6 3.9 2.2 1 1 2 1
7 3.5 2.7 2 1 2 1
8 3.2 2.6 1 0 0 0
9 3.8 2.3 1 0 1 0
10 3.3 1.9 1 0 2 0
11 2.9 2.4 2 1 2 1
12 3.7 2.1 2 0 1 1
13 4.4 2.5 1 1 1 1
14 4.5 2.1 1 0 1 0
15 3.1 2.2 1 0 2 0
16 3.3 1.7 2 2 2 2
17 3.6 1.8 2 0 1 0
18 3.7 2.5 0 1 2 0
19 3.3 2.4 1 1 1 1
20 3.1 2.1 2 1 1 2
평균 3.485 2.295 1.4 0.55 1.45 0.6
(<미백효능 평가 기준>
-3: 매우악화, -2: 악화, -1: 약간 악화, 0: 변화 없음, 1: 약간 개선, 2: 개선, 3: 매우 개선)
시험 결과, 실시예 7에서 제조된 자가발포형 조성물을 도포한 A그룹의 평균 ΔL의 값은 3.485이었고, 비교예 2(자가발포성이 없음)을 도포한 B그룹의 평균 ΔL의 값은 2.295이었다. 한편, 숙련자에 의한 미백 평가에서 A그룹은 1.4, B그룹은 0.55, 피검자에 의한 미백평가에서는 A그룹은 1.45, B그룹은 0.6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불소화합물을 함유하는 자가발포형 조성물 실시예7의 미백효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불소화합물의 경피투과율에 의한 결과이다.
시험예 6: 피부톤 개선 평가
상기 실시예 5의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톤 개선 효능을 알아보고자 분광광도계와 전안촬영시스템을 이용하여 4주간 다음의 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시험은 자발적으로 모집된 평균 30세 이상의 여성 25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피험자는 시험기간인 4주 동안 매일 아침, 저녁 세안 후 실시예 5의 조성물 동일한 양 0.4~0.8g을 오른쪽 안면 부위에 고르게 펴 발라 흡수시켰다.
피부톤 개선을 평가하기 위해 1회 사용 후, 2주후, 및 3주후에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색의 밝기 변화(ΔL)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표 7에 나타내고, 설문지를 통해 사용 전후에 대한 피시험자의 주관적인 피부상태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표 8에 나타내었다.
  사용직후 2주 사용 후 3주 사용 후
ΔL  평균 1.32 0.75 0.93
표준편차 0.66 0.69 0.86
개선율(%) 2.12 1.21 1.49
(ΔL = 사용 후 측정 값 - 사용 전 측정 값
개선율(%)=[(사용 후 측정값 - 사용전 측정값)/(사용 전 측정값)]*100)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시험 결과, 표 7에서와 같이 실시예 5의 자가발포형 조성물을 사용한 후 피부톤 개선도를 분석한 결과, 사용 전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1회 사용 후 2.12%, 2주 사용 후 1.21%, 3주 사용 후 1.49%의 피부톤 개선율을 나타냈다.
  응답률 (조사인원: 총 25명)
사용
기간
항목 전혀
아니다
아니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2주 피부톤이 밝아진 것 같다. - - 16% 76% 8%
색소침착이 옅어진 느낌이다. - 4% 28% 64% 4%
피부에서 윤기가 나는 것 같다. - - 28% 64% 8%
피부결이 매끈해진 것 같다. - - 20% 60% 20%
3주 피부톤이 밝아진 것 같다. - 8% 80% 12% -
색소침착이 옅어진 느낌이다. - 4% 24% 68% 4%
피부에서 윤기가 나는 것 같다. - - 20% 68% 12%
피부결이 매끈해진 것 같다. - - 4% 72% 24%
4주 피부톤이 밝아진 것 같다. - - 8% 60% 32%
색소침착이 옅어진 느낌이다. - - 16% 68% 16%
피부에서 윤기가 나는 것 같다. - - 16% 56% 28%
피부결이 매끈해진 것 같다. - - 4% 56% 40%
상기 표 8에서와 같이 실시예 5의 자가발포형 조성물을 4주동안 사용한 피험자 중 피부톤이 밝아진 것 같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92%이다. 상기 결과는 자가발포형 조성물이 피부톤 개선 효과를 가짐을 보여준다.

Claims (11)

  1. 불소 화합물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불소 화합물과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비는 중량 기준으로 1:0.29 내지 1.2(불소 화합물 중량:비이온 계면활성제 중량)이고,
    피부 적용시, 버블이 생기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기산하여 버블 생성이 최대 수준이 될 때까지의 시간이 5 내지 40초이고,
    비이온 계면활성제 함량은 0.5 내지 8.0 중량%이고, 불소화합물의 함량은 1.5 내지 14 중량%이고,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1) 코코-글루코사이드, 라우릴글루코사이드, 카프릴릴/카프릴글루코사이드,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C12-20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글루코사이드, 및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2)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디스테아레이트류,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소르비탄올리베이트, PEG-스테아레이트류,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 세테아레스류, 스테아레스류, 올레일 알코올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 메칠글루코스세스퀴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슈크로스코코에이트, 폴리소르베이트류,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소르비탄올리베이트, 기름야자오일, 및 기름야자커넬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1) 코코-글루코사이드, 라우릴글루코사이드, 카프릴릴/카프릴글루코사이드,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C12-20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글루코사이드, 및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함량이 전체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0.3 내지 3 중량%이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2중량% 이하로 포함하고,
    씻어내거나 닦아내지 않고 피부에 흡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화합물은 메틸퍼플루오로이소부틸에테르, 메틸퍼플루오로부틸에테르, 에틸퍼플루오로부틸에테르, 에틸퍼플루오로이소부틸에테르, 퍼플루오로데칼린, 및 퍼플루오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화합물은 총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1.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인,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톤 개선 효과를 갖는,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 적용시, 생성된 버블이 소멸되기 시작하여 최소 수준이 될 때까지의 시간이 10초 내지 약 12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1.8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1.6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1.1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0.9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일, 폴리올, 및 점증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 코코-글루코사이드, 라우릴글루코사이드, 카프릴릴/카프릴글루코사이드,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C12-20 (직쇄 또는 분지형) 알킬 글루코사이드, 및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함량이 전체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0.5 내지 3 중량%인,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30278A 2016-08-05 2019-10-18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216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326 2016-08-05
KR20160100326 2016-08-0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573A Division KR102080290B1 (ko) 2016-08-05 2019-03-21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612A KR20190122612A (ko) 2019-10-30
KR102216005B1 true KR102216005B1 (ko) 2021-02-16

Family

ID=6107349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766A KR101962952B1 (ko) 2016-08-05 2017-08-01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90032573A KR102080290B1 (ko) 2016-08-05 2019-03-21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90130278A KR102216005B1 (ko) 2016-08-05 2019-10-18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766A KR101962952B1 (ko) 2016-08-05 2017-08-01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90032573A KR102080290B1 (ko) 2016-08-05 2019-03-21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3) KR101962952B1 (ko)
CN (1) CN109843250B (ko)
WO (1) WO20180261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383A (ko) 2018-03-05 2019-09-17 코스맥스 주식회사 자가발포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96010B1 (ko) * 2018-09-10 2020-04-0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모발의 건조 시간 감소 및 유연감 개선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CN108852945B (zh) * 2018-09-14 2021-06-15 广州艾蓓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自发泡的氨基酸洁面乳
KR20200105033A (ko) 2019-02-28 2020-09-07 주식회사 맥클린코스메틱 펩타이드 볼륨 에센스
KR102234579B1 (ko) * 2020-12-07 2021-03-31 리봄화장품 주식회사 버블 필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35537A (ko) 2021-03-30 2022-10-07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자가 발포 기능을 가지는 정제 형태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61767B1 (ko) * 2022-12-27 2023-08-02 (주)비에프글로벌 다래나무 수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6769266B (zh) * 2023-07-13 2024-01-23 上海芯密科技有限公司 一种半导体密封圈橡胶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44743A (zh) 2008-11-28 2010-06-23 高宝化妆品(中国)有限公司 一种自发泡洁肤面膜及其制作方法
JP2014051481A (ja) * 2012-09-07 2014-03-20 Nobel Kagaku Kogyo Kk 発泡性外用剤
CN104688621A (zh) 2015-03-02 2015-06-10 上海卡卡化妆品有限公司 一种自发泡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5633A1 (fr) * 1999-06-30 2001-01-05 Oreal Utilisation dans une composition cosmetique demaquillante ou nettoyante d'au moins un compose fluore volatil
JP2008189644A (ja) * 2007-02-01 2008-08-21 Supplement Co Ltd 自己発泡可能な皮膚清浄剤組成物
KR20120039241A (ko) * 2010-10-15 2012-04-25 코스맥스 주식회사 휘발성 불소화합물을 함유하는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라미네이트 튜브
KR101260975B1 (ko) * 2010-10-15 2013-05-06 네비온 주식회사 불소화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94187A (ko) * 2013-01-21 2014-07-30 코웨이 주식회사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자가발포성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2791A (ko) * 2014-01-08 2015-07-16 코웨이 주식회사 다기능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1614803B1 (ko) * 2014-03-18 2016-04-22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자가 발포 기능을 갖는 클렌징용 마스크시트형 화장료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44743A (zh) 2008-11-28 2010-06-23 高宝化妆品(中国)有限公司 一种自发泡洁肤面膜及其制作方法
JP2014051481A (ja) * 2012-09-07 2014-03-20 Nobel Kagaku Kogyo Kk 発泡性外用剤
CN104688621A (zh) 2015-03-02 2015-06-10 上海卡卡化妆品有限公司 一种自发泡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612A (ko) 2019-10-30
CN109843250A (zh) 2019-06-04
KR101962952B1 (ko) 2019-03-27
KR102080290B1 (ko) 2020-02-21
CN109843250B (zh) 2023-11-03
KR20180016291A (ko) 2018-02-14
WO2018026171A1 (ko) 2018-02-08
KR20190034510A (ko) 2019-04-02
KR101962952B9 (ko) 2023-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6005B1 (ko)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6843863B2 (ja) (ポリ)グリセロールの少なくとも2つの脂肪酸エステルを含む組成物、および化粧品におけるその使用
Azeem et al. Emerging role of microemulsions in cosmetics
JP2000063263A (ja) サリチル酸又はサリチル酸誘導体を含む化粧品及び/又は皮膚科学的組成物及びその使用
KR20110058949A (ko) 고유상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PL177769B1 (pl) Kompozycja kosmetyczna i/lub dermatologiczna i sposób wytwarzania kompozycji kosmetycznej i/lub dermatologicznej zawierającej pochodną kwasu salicylowego
JP2010515720A (ja) 化粧品組成物
KR102411385B1 (ko) 공융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90803B1 (ko) 칼라민을 포함하는 즉각미백 또는 안색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2179555A (ja) 脂質小胞に基づく分散物の抗炎症組成物としての使用
KR20160082054A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수중유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65658A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190142655A (ko) 7-데하이드로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및 스테아린산이 히알루론산-세라마이드 엔피 복합체의 내상에 봉입된 나노에멀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32885B1 (ko) 안티에이징 화장료 조성물
JP6932078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エアゾル化粧料
ES2240024T3 (es) Composicion en forma de emulsion agua-en-aceite con una velocidad de cizallamiento evolutiva.
TW202308591A (zh) 化妝料
KR102175467B1 (ko)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65321B1 (ko) 재결정 입자를 함유하는 수중유 에멀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7256624B2 (ja) ジェル状皮膚外用剤又は皮膚化粧料
JP2017081883A (ja) 皮膚外用剤
KR102594145B1 (ko) 천연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반투명 제형의 나노에멀젼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맞춤형 화장품 제조 방법
KR102310519B1 (ko) 탄산가스 포집용 에어로졸 조성물
US20220040077A1 (en) Use of evodone or a derivative thereof as a cooling agent
EP2512411B1 (en) Composition with enhanced hydration 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