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767B1 - 다래나무 수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래나무 수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767B1
KR102561767B1 KR1020220185950A KR20220185950A KR102561767B1 KR 102561767 B1 KR102561767 B1 KR 102561767B1 KR 1020220185950 A KR1020220185950 A KR 1020220185950A KR 20220185950 A KR20220185950 A KR 20220185950A KR 102561767 B1 KR102561767 B1 KR 102561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kin
cosmetic composition
cream
s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5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주)비에프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에프글로벌 filed Critical (주)비에프글로벌
Priority to KR1020220185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7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래나무 수액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개선 기능성 크림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크림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다래즙 60 내지 62 중량%, 수소화폴리데센 11 내지 13 중량%, 정제수 4.5 내지 5.5 중량%, 메틸프로판디올 2.5 내지 3.5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5 내지 2.5 중량%, 세테아릴알코올 1.5 내지 2.5 중량%, 수소화식물성오일 1.5 내지 2.5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5 내지 2.5 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1.5 내지 2.5 중량%, 글리세린 0.7 내지 1.5 중량%, 비즈 왁스 0.7 내지 1.5 중량%,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스디스테아레이트 0.7 내지 1.5 중량%, 프로판디올 0.7 내지 1.5 중량% 및 동백나무 꽃 추출물 0.01 내지 0.1 중량%를 포함하는 크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래나무 수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REAM-TYP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CTINIDIA ARGUTA JU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 진정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다래나무 수액을 포함하는 크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래나무는 다래나무속 다래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덩쿨식물로서, 그 열매가 달아 다래라는 명칭이 붙여졌다. 진한 초록색에 과육의 중심부에 작은 검은 씨들이 박혀있는 열매를 맺는 나무로 널리 알려져 있다.
열매는 후숙시켜 섭취하거나, 주스로 만들어 섭취하기도 하고, 진통약이나, 이뇨제 등의 한의학적 효능이 있으며, 설사약, 구충약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수액이란 나무와 식물 등의 몸체 안내서 뿌리부터 줄기를 지나 잎으로 흐르는 물과 같은 액체로서, 다수의 무기 이온과 포도당, 과당 등의 성분이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이다.
이 중 다래나무 수액은 인체에 유용한 10대 주요 무기물이 전부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4대 미네랄인 칼슘, 칼륨, 마그네슘, 나트륨이 수액의 87%를 차지할 정도로 무기물과 미네랄이 풍부하고, 17종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음이 확인된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논문 자작나무류, 대나무류 및 다래나무 수액의 성분조성(J. Korean Soc. Food Nutr. 24(5), 727~733(1995))에서는 다래나무 수액이 고로쇠 나무와 자작나무 등에 비해서 3~5배나 더 많은 수액을 얻을 수 있고, 건위, 이뇨, 신경안정 및 심장질환의 발생억제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무기물, 유리당, 아미노산, 핵산 관련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 결과가 개시된 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40317호는 다래나무 수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다래나무 수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사노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109085호는 다래나무의 수액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서, 주름발생 방지와 개선, 미백, 보습, 각화 방지 및 개선, 질환의 예방 및 개선 기능성 약효제로서 다래나무 수액을 포함하는 피부외용제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상기 특허는 다래나무 수액을 주요 성분으로 하여, 피부 보습, 피부 진정 및 재생 효과를 가지면서도, 안정적인 크림 제형으로 유지될 수 있는 신규한 크림 화장료에 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꾸준한 연구와 실험을 통해, 우수한 피부 보습 개선 활성 및 피부 진정 활성 기능을 가진 새로운 크림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40317호 (2013.04.2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109085호 (2010.10.08)
정미자 외, 자작나무류, 대나무류 및 다래나무 수액의 성분조성(J. Korean Soc. Food Nutr. 24(5), 727~733 (1995)
본 발명은 다래나무 수액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개선 기능성 크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래나무 수액을 포함하되, 기타 다른 구성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크림 제형으로 안정적으로 제조, 보관이 가능하며, 피부 자극 없이 피부 보습 개선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피부 보습 개선 기능성 및 피부 진정 기능성 크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크림 화장료 조성물은, 다래나무 수액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개선 기능성 크림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크림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다래나무 수액 60 내지 62 중량%, 수소화폴리데센 11 내지 13 중량%, 정제수 4.5 내지 5.5 중량%, 메틸프로판디올 2.5 내지 3.5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5 내지 2.5 중량%, 세테아릴알코올 1.5 내지 2.5 중량%, 수소화식물성오일 1.5 내지 2.5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5 내지 2.5 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1.5 내지 2.5 중량%, 글리세린 0.7 내지 1.5 중량%, 비즈 왁스 0.7 내지 1.5 중량%,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스디스테아레이트 0.7 내지 1.5 중량%, 프로판디올 0.7 내지 1.5 중량% 및 동백나무 꽃 추출물 0.01 내지 0.1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림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점증제, 방부제, 킬레이트제, 피부컨디셔닝제 및 에멀젼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및/또는 솔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및/또는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일 수 있다.
상기 피부컨디셔닝제는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베타인, 판테놀, 병풀추출물, 에틸헥실글리세린, 아데노신,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팔미토일테트라펩타이드-7,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5,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및 귤껍질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림 화장료 조성물은, 다래나무 수액을 포함하되, 기타 구성성분을 함께 혼합하여도 하나의 제형으로 안정적으로 제조, 보관이 가능하며, 피부 자극 없이 피부 보습 개선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림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진정 및 단기 보습 개선 효과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크림 화장료 조성물의 단기 보습 개선 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다음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바람직한" 또는 "바람직하게는"은 특정 조건에서 특정 장점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 또한 동일 조건 또는 다른 조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가 유용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다른 실시예를 배제하는 것도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포함한다"는 용어는 본 발명에 유용한 재료, 조성물, 장치, 및 방법들을 나열할 때 사용되며 그 나열된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래나무 수액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개선 기능성 크림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크림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다래나무 수액 60 내지 62 중량%, 수소화폴리데센 11 내지 13 중량%, 정제수 4.5 내지 5.5 중량%, 메틸프로판디올 2.5 내지 3.5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5 내지 2.5 중량%, 세테아릴알코올 1.5 내지 2.5 중량%, 수소화식물성오일 1.5 내지 2.5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5 내지 2.5 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1.5 내지 2.5 중량%, 글리세린 0.7 내지 1.5 중량%, 비즈 왁스 0.7 내지 1.5 중량%,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스디스테아레이트 0.7 내지 1.5 중량%, 프로판디올 0.7 내지 1.5 중량% 및 동백나무 꽃 추출물 0.01 내지 0.1 중량%를 포함한다.
다래는 다래나무과 다래속에 속하는 낙엽이 지는 덩굴식물로서, 다래나무 수액은 다래나무 몸체 안에 흐르는 물과 같은 액체로서, 넝쿨 일부에 상처를 내에서 얻은 수액이다.
본 발명에서 가장 주된 구성성분으로 첨가되어, 크림 화장료 조성물의 주재료를 구성한다.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60 내지 62 중량%로 첨가되는데, 상기 함량보다 과다한 경우, 다른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적어지게 되어, 보습 효과 및 피부 진정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상기 함량보다 소량으로 첨가되는 경우, 크림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수소화폴리데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으로도 불리며, 합성스쿠알란으로 불린다. 향료나 피부컨디셔닝제로서 첨가될 수 있으며 수분증발차단 및 보습 유지 등의 기능을 갖는다.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1 내지 13 중량%으로 첨가되며, 상기 함량보다 과다한 경우, 용매로 첨가되는 정제수 등의 친수성 성분과 분리되어 제형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소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보습 효과가 다소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상기 수소화폴리데센은, 밀폐 용기에 넣고 내부 압력이 1.5 bar가 될 때까지 탄산가스를 주입시킨 후 3시간 동안 유지하는 전처리 공정을 거친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전처리 하여 사용하는 경우, 피부 진정 효과가 보다 향상된 효과를 갖는다.
정제수와 메틸프로판디올, 프로판디올은 용매로서 첨가되어, 유효성분이나 기타 구성성분을 용해시키고 혼합이 용이해지도록 돕는다.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정제수는 4.5 내지 5.5 중량%, 메틸프로판디올 2.5 내지 3.5 중량%, 프로판디올 0.7 내지 1.5 중량%로 첨가될 수 있으며, 상기 함량보다 과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제형이 불안정해질 수 있고, 상기 함량보다 소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도, 구성성분의 혼합이 어렵게 되어 제형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는 카프릴릭과 카프릭애씨드 및 글리세린의 혼합 트라이에스터로서, 착향제, 피부컨디셔닝제(수분차단제)로서 첨가될 수 있다.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2.5 중량% 첨가될 수 있으며, 상기 함량보다 소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보습 효과가 다소 떨어질 수 있으며, 과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제형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
세테아릴알코올은 세틸 및 스테아릴알코올로 구성된 지방알코올의 혼합물로서, 유화안정제로서 첨가되어, 친수성분과 친유성분의 유화가 용이하도록 돕는다.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2.5 중량%으로 첨가될 수 있다. 과량으로 첨가되는 경우, 보습성 유효 성분의 첨가량이 감소하여 보습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상기 함량보다 소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제형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
수소화식물성오일은 식물성오일을 조건화 수소첨가 반응하여 얻어진 것으로서, 식물성 오일의 종류는 카놀라오일, 올리브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등 다양한 종류의 오일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2.5 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부틸렌글라이콜은 부탄 사슬에 두 개의 수산기를 갖는 지방족 디올로서, 착향제, 피부컨디셔닝제로서, 첨가된다.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나이아신아마이드는, 헤테로고리 방향족 아마이드로서, 피부와 헤어 컨디셔닝제로서 활용될 수 있다.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2.5 중량%으로 첨가될 수 있다.
글리세린은 습윤제, 보습제로 널리 사용되는 세 개의 수산기를 갖는 폴리하이드릭알코올이다.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7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함량보다 과량으로 포함되는 경우, 크림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하여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함량보다 소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보습 효과의 유지 시간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비즈 왁스는 서양꿀벌 (Apis mellifera)의 벌집에서 얻은 납을 정제하여 얻은 것이다. 표백한 것은 화이트왁스(백납), 표백하지 않은 것은 옐로우왁스로 불리며, 결합제, 유화안정제로서 첨가된다.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0.7 내지 1.5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는 메틸글루코오스와 플리글리세린-3의 축합물과 스테아릭애씨드의 다이에스터이다. 피부컨디셔닝과 계면활성제로서 첨가될 수 있다.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7 내지 1.5 중량%으로 첨가될 수 있다.
동백나무 꽃 추출물은 동백나무 꽃에서 추출된 성분으로, 피부컨디셔닝, 보습 효과를 위하여 첨가되며,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0.1 중량%으로 첨가되어, 보습 효과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함량보다 과량으로 첨가되는 경우,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수 있고, 상기 함량보다 소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보습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성분 외에 추가로 계면활성제, 점증제, 방부제, 킬레이트제, 피부컨디셔닝제 및 에멀젼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필요에 따라 기타 첨가제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화장료로서 안정적인 제형과 기능성을 고려하여 상기 구성성분 외 다음과 같은 구성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및/또는 솔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일 수 있다.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경우,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2 내지 0.6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솔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0.001 내지 0.00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하는 성분으로서,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및/또는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경우, 0.05 내지 0.2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경우, 0.003 내지 0.00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피부컨디셔닝제는 피부 유연화제로도 불리우며, 피부를 부드럽게 하고 제품의 사용감을 좋게 하며, 피부와 수분 및 피부 지질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다양한 피부컨디셔닝제를 포함하되, 필요에 따라 다음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여 크림 제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피부 보습 기능이 우수한 화장료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베타인, 판테놀, 병풀추출물, 에틸헥실글리세린, 아데노신,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팔미토일테트라펩타이드-7,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5,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및 귤껍질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방부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카프릴릴글라이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3 내지 0.4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0.03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에멀젼화제를 더 포함하는 경우,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 및/또는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경우, 0.7 내지 1.2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를 포함하는 경우, 0.05 내지 0.15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성분을 포함함으로써, 안정적인 크림 제형을 유지하는 한편, 보습 기능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조예
하기 표 1에 기초하여, 크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No. INCI Name 성분의 한글명 %(w/w) FUNCTION CAS No.
1 Actinidia Arguta Juice 다래즙 61.6822970 Skin-Conditioning Agent -
2 Hydrogenated Polydece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12.0000000 Skin-Conditioning Agent 68037-01-4
3 Water 정제수 4.7490000 Solvent 7732-18-5
4 Methylpropanediol 메틸프로판다이올 3.0000000 Solvent 2163-42-0
5 Caprylic/Capric Triglyceride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2.0000000 Skin-Conditioning Agent 73398-61-5
6 Cetearyl Alcohol 세테아릴알코올 2.0000000 Emulsion Stabilizer 8005-44-5
7 Hydrogenated Vegetable Oil 하이드로제네이티드식물성오일 2.0000000 Skin-Conditioning Agent 68334-28-1
8 Butylene Glycol 부틸렌글라이콜 2.0000000 Skin-Conditioning Agent 107-88-0
9 Niacinamide 나이아신아마이드 2.0000000 Skin-Conditioning Agent 98-92-0
10 Glycerin 글리세린 1.2000000 Humectant 56-81-5
11 Beeswax 비즈왁스 1.2000000 Skin-Conditioning Agent 8006-40-4 (white)
12 Polyglyceryl-3 Methylglucose Distearate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 1.1000000 Emulsifying Agent -
13 Propanediol 프로판다이올 1.0250000 Solvent 504-63-2 ,26264-14-2
14 Glyceryl Stearate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4948000 Surfactant 123-94-4, 31566-31
15 Saccharide Isomerate 사카라이드이소머레이트 0.5000000 Skin-Conditioning Agent 100843-69-4
16 Polyglyceryl-3 Distearate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 0.9000000 Emulsifying Agent 9009-32-9,94423-19-5
17 1,2-Hexanediol 1,2-헥산다이올 0.6799500 Solvent 6920-22-5
18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1000000 Viscosity Increasing Agent -
19 Betaine 베타인 0.5000000 Skin-Conditioning Agent 107-43-7
20 Caprylyl Glycol 카프릴릴글라이콜 0.3679500 Preservative 1117-86-8
21 Glyceryl Stearate Citrate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0.1000000 Emulsifying Agent 39175-72-9,55840-13-6
22 Panthenol 판테놀 0.1000000 Skin-Conditioning Agent 81-13-0(D-Form) ,16485-10-2
23 Centella Asiatica Extract 병풀추출물 0.0950000 Skin-Conditioning Agent 84696-21-9
24 Ethylhexylglycerin 에틸헥실글리세린 0.0500000 Skin-Conditioning Agent 70445-33-9
25 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 0.0425000 Viscosity Increasing Agent 111286-86-3
26 Camellia Japonica Flower Extract 동백나무꽃추출물 0.0400000 Skin-Conditioning Agent 223748-13-8
27 Adenosine 아데노신 0.0400000 Skin-Conditioning Agent 58-61-7
28 Sodium Hyaluronate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0100000 Skin-Conditioning Agent 9067-32-7
29 Disodium EDTA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200000 Chelating Agent 6381-92-6
30 Sorbitan Isostearate 솔비탄아이소스테아레이트 0.0027500 Surfactant 54392-26-6,71902-01-7
31 Palmitoyl Tetrapeptide-7 팔미토일테트라펩타이드-7 0.0000010 Skin-Conditioning Agent 221227-05-0
32 Palmitoyl Tripeptide-5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5 0.0000010 Skin-Conditioning Agent 623172-56-5
33 Acetyl Hexapeptide-8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0.0000010 Skin-Conditioning Agent 616204-22-9
34 Citrus Unshiu Peel Extract 귤껍질추출물 0.0007500 Skin-Conditioning Agent -
Total 100.000000    
크림 제형 안정성 평가
3℃, 25℃ 및 45℃의 온도 환경에서, 상기 제조예의 크림을 종이컵에 1 cm의 두께로 채운 후, 5시간 유지한 후, 제형의 분리 등 제형 변화를 확인하였다.
모든 온도에서 크림 제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일부 성분이 분리되는 등의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다만, 높은 수분 성분을 함유함에 따라, 온도에 따라 낮은 온도에서는 점도가 다소 높아지고, 높은 온도에서는 점도가 다소 낮아지는 현상이 관찰되기는 하였으나, 크림 화장료로 활용하기에 전혀 지장이 없이 충분한 유동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기 보습 개선 효과 확인 시험
단기 보습 개선 효과 확인을 위해 화장료 조성물을 전박 부위에 도포하여, 제품 도포 전과 15분간 도포 후의 시간 경과에 따른 피부수분함유도 비교 평가를 진행하였다.
1) 시험대상자 선정
- 만 20~59세 한국 성인 남녀
- 시험 책임자 또는 시험 책임자의 위임을 받은 사람으로부터 시험의 목적, 내용 등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자발적 참여의사를 밝힌 자
- 피부 질환을 포함하는 급, 만성 신체질환이 없는 건강한 자
- 발생 가능한 이상반응에 대해 이해하고 시험 참여 동의서에 서명한 자
- 시험 기간동안 추적관찰이 가능한 자
- 그 외, 시험 제외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자(임신 또는 수유 중인 여성과 임신계획 중인 여성, 피부 질환 치료를 위해 스테로이드 함유 피부 외형제를 1개월 이상 사용한 자, 동일 시험 참가 후 6개월 미경과자, 과민성/민감성 피부를 가진 자, 3개월 내에 시험 부위에 동일/유사 효능 화장품 및 의약품 사용한 자)
2) 시험방법
- 시험대상자 및 인원: 성인 남녀 22 명
- 시험 부위: 전박
- 평가 항목: 피부 단기 보습 개선 여부
- 평가 방법: Corneometer CM825(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 전후 비교평가
- 시험실 조건: 온도: (20-24) ℃, 습도: (50±15) %
3) 유효성 평가 결과 분석
- 본 시험의 유효성 평가 결과분석은 시험 계획서에 따라 시험이 정상적으로 종료된 시험 대상자를 대상(PP set, Per protocol set)으로 한다.
- 통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statistic 28(SPSS, USA) software를 사용한다.
- 통계분석 방법은 사용 전후 비교의 경우 모수적 검정 방법인 Paired t-test 와 Independent t test 그리고 비모수적 검정방법인 Wilcoxon signed rank test 와 Mann-Whiteny test를 사용한다.
3회 이상 반복 측정의 경우 모수적 검정 방법인 Repeated Measure ANOVA 와 비모수적인 검정 방법인 Friedman Test 사용 후 Wilcoxon signed rank test로 사후 검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4) 피부 보습 유효성 평가
Corneometer는 피부를 기본적으로 부 도체로 보고 수분량이 많을수록 전기가 잘 통하는 성질을 응용한 장비로, 측정원리는 직경 16mm의 탐침(probe)에 두개의 절연된 금속판에 전자의 흐름이 발생하여 한쪽은 양성전하가 다른 쪽은 음성전하가 발생하는 것으로 탐침(probe)이 피부표면에 접촉하는 전극 간격을 통해 전도되는 전류의 정전용량(Capacitance)을 계측한다. 피부의 수분함유량과 정전용량은 서로 비례하므로 수분함유량이 높을수록 수치가 높아진다. 단위는 A.U(Aribitary Unit)이며, 3 회 측정한 후 그 평균값을 수분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3에 기재하였다.
통계 항목 N 평균 표준오차 중간값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A.U. 사용 전 22 30.3 1.33 29.7 6.22 21.0 44.5
사용 직후 22 67.9 2.88 69.9 13.52 47.2 94.3
통계 항목 정규성 검정
(Shapiro-Wilk Test)
평가 결과
유의차(P) 결과 통계 방법 유의차(P)
수분함유량(A.U.) 사용 전-사용 즉시 0.103 정규 분포 Paired t test <0.001
피부 보습 개선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계산식을 이용하여 개선율(%)을 구해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개선율(%) =[(사용 전 측정 값 - 사용 후 측정 값)/(사용 전 측정 값)]*100
Parameter Unit Statistics Subjects
Before After
Moisturizing A.U. Average 30.3 67.9
Improvement, % 124.09
P value <0.001
Significance ***
Validity
도 1은 상기 실험결과의 수분함유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 및 상기 표 4를 참고하면,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후의 측정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p<0.001), 개선율은 124.09%로 확인되었다. 사용 전후 비교결과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크림 화장료 조성물은 단기 보습 개선에 유효성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피부 진정 효과 확인 시험
상기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제조예2로 제조된 화장료에 대하여 피부 진정 효과 확인 시험을 진행하였다.
제조예2
상기 제조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아무런 전처리 하지 않은 수소화폴리데센을 사용하는 대신, 수소화폴리데센을 밀폐된 용기에 넣어 준비하고, 여기에 탄산가스를 추가 주입하여 용기 내부 압력을 1.5 bar로 유지하며 3시간 유지시키는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1) 시험대상자
시험대상자는 상기 '단기 보습 효과 확인 시험'에서와 동일한 대상을 기준으로 진행하였다.
2) 시험방법
- 시험대상자 및 인원: 성인 남녀 22 명
- 시험 부위: 안면
- 평가 항목: 피부 진정 효과
- 평가 방법: 분광광도계와 전안촬영시스템 VISIA-CA를 이용하여 2주 사용 전후 비교평가
- 시험실 조건: 온도: (20-24) ℃, 습도: (50±15) %
피시험자의 안면부위를 시험부위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시험기간인 2중 동안 매일 아침, 저녁 세안 후 각 1회씩 총 2회, 시험물질인 화장료를 안면부위에 고르게 펴 발라서 흡수시켜 사용하도록 안내하였다. 시험 기간 동안 시험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아이크림, 미백크림, 노화방지용 크림 등과 같은 기타 기능성 화장품 및 각질제거제의 사용을 일체 금지하고 시험을 진행하였다.
3) 피부 진정 효과 유효성 평가
분광광도계와 전안촬영시스템 VISIA-CA를 이용하여 시험물질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의 피부 진정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냈다.
피부 진정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계산식을 이용하여 개선율(%)을 구해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기재하였다.
a* value 개선율(%) =[(사용 후 측정 값 - 사용 전 측정 값)/(사용 전 측정 값)]*100
a* value 변화 a* value
개선율(%)
P value
평균 표준편차
제조예 사용 전 12.53 1.50 - -
2주 사용 후 12.00 0.99 4.23 p <0.05
제조예2 사용 전 12.71 - -
2주 사용 후 11.99 0.99 5.67 p <0.05
표 4를 참고하면, 제조예와 제조예2의 화장료는 피부의 붉은기를 나타내는 a* value가 각각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4.23%, 5.67%가 감소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 효과가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p<0.05). 시험 물질이 피부 진정효과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제조예 2는 제조예에 비하여 보다 향상된 피부 진정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5)

  1. 다래나무 수액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개선 기능성 크림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크림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다래나무 수액 60 내지 62 중량%, 수소화폴리데센 11 내지 13 중량%, 정제수 4.5 내지 5.5 중량%, 메틸프로판디올 2.5 내지 3.5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5 내지 2.5 중량%, 세테아릴알코올 1.5 내지 2.5 중량%, 수소화식물성오일 1.5 내지 2.5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5 내지 2.5 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1.5 내지 2.5 중량%, 글리세린 0.7 내지 1.5 중량%, 비즈 왁스 0.7 내지 1.5 중량%,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스디스테아레이트 0.7 내지 1.5 중량%, 프로판디올 0.7 내지 1.5 중량%, 동백나무 꽃 추출물 0.01 내지 0.1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2 내지 0.6 중량%, 솔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0.001 내지 0.003 중량%,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05 내지 0.2 중량% 및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 0.003 내지 0.00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수소화폴리데센은, 밀폐 용기에 넣고 내부 압력이 1.5 bar가 될 때까지 탄산가스를 주입시킨 후 3시간 동안 유지하는 전처리 공정을 거친 것인, 크림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방부제, 킬레이트제, 피부컨디셔닝제 및 에멀젼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크림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85950A 2022-12-27 2022-12-27 다래나무 수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61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5950A KR102561767B1 (ko) 2022-12-27 2022-12-27 다래나무 수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5950A KR102561767B1 (ko) 2022-12-27 2022-12-27 다래나무 수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767B1 true KR102561767B1 (ko) 2023-08-02

Family

ID=87566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5950A KR102561767B1 (ko) 2022-12-27 2022-12-27 다래나무 수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7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085A (ko) 2009-03-31 2010-10-08 김선일 다래나무의 즙액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 약효제.
KR20130040317A (ko) 2011-10-14 2013-04-24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다래나무 수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6291A (ko) * 2016-08-05 2018-02-14 (주)파이온텍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11322A (ko) * 2018-07-24 2020-02-03 주식회사 리더스코스메틱 마스크팩용 액정 유화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마스크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085A (ko) 2009-03-31 2010-10-08 김선일 다래나무의 즙액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 약효제.
KR20130040317A (ko) 2011-10-14 2013-04-24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다래나무 수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6291A (ko) * 2016-08-05 2018-02-14 (주)파이온텍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11322A (ko) * 2018-07-24 2020-02-03 주식회사 리더스코스메틱 마스크팩용 액정 유화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마스크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정미자 외, 자작나무류, 대나무류 및 다래나무 수액의 성분조성(J. Korean Soc. Food Nutr. 24(5), 727~733 (199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8312A (en) Skin care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moisture retention in skin
US20010016213A1 (en) Cosmetic formulations containing extracts from phyllanthus emblica and centella asiatica and/or bacopa monnieri
CN106333898A (zh) 一种多重保湿双层卸妆液及其制备方法
KR101111132B1 (ko)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KR101909980B1 (ko) 보습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5006285A (zh) 冰沙状卸妆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427088B1 (ko) 두피 면역력 강화, 항산화 및 탈모예방 기능을 갖는 천연 약산성 샴푸 조성물
CN111821215A (zh) 一种本草多糖护肤组合物、保湿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749690B1 (ko) 배초향을 함유하는 피지관리 및 모공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3970A (ko) 수딩 크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047374A (ko) 남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3271B1 (ko) 피부 보습용 또는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2095A (ko) 흰목이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US10682306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skin
CN107468609A (zh) 一种用于蚊虫叮咬后的皮肤修护组合物以及含有该种组合物的水基体系
KR102561767B1 (ko) 다래나무 수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6348B1 (ko) 팩조성물
JP4716497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KR102024114B1 (ko) 풀브산 함유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장벽 강화를 위한 조성물
KR101763736B1 (ko) 효소 처리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919113B1 (ko) 연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EP2399648B1 (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und deren Verwendung
KR20110045151A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53083A (ko) 피부 붓기를 완화해주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4268A (ko) 병풀추출물, 세라마이드 및 자작나무수액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의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