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267B1 - 즉각적인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삼중캡슐 및 이를 안정화한 유중수형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즉각적인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삼중캡슐 및 이를 안정화한 유중수형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267B1
KR101995267B1 KR1020120150182A KR20120150182A KR101995267B1 KR 101995267 B1 KR101995267 B1 KR 101995267B1 KR 1020120150182 A KR1020120150182 A KR 1020120150182A KR 20120150182 A KR20120150182 A KR 20120150182A KR 101995267 B1 KR101995267 B1 KR 101995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apsule
wrinkle
dimethicon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0955A (ko
Inventor
전향화
김명래
한현탁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0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267B1/ko
Publication of KR20140080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3More than one co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즉각적인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삼중 캡슐 및 이를 안정화한 유중수형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리활성물질이 포접된 리포좀으로 이루어진 코어; 상기 코어를 둘러싸고 있는 실리콘 고분자; 및 상기 실리콘 고분자를 코팅하고, 홍조류 유래 다당류로 이루어진 투명 코팅층을 포함하는 즉각적인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삼중 캡슐 및 이를 안정화한 유중수형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효성분의 용출 없이 제형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피부 도포시 손놀림에 의한 피부 위에서의 캡슐의 붕괴에 의해 용출된 실리콘 고분자에 의해 즉각적인 주름 개선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즉각적인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삼중캡슐 및 이를 안정화한 유중수형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Triple Capsule having Immediately Improving Skin Wrinkle and W/O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Wrinkle Comprising It}
본 발명은 내용물의 유출 없이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삼중캡슐과, 이러한 삼중캡슐이 안정적으로 분산되어 있어 시각적인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유중수형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이 자신의 피부의 타입 및 사용상의 선호도 등에 따라 적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여러 제조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제품형태로 개발, 시판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는 눈에 띄는 특이한 제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에 아가(agar)와 같은 홍조류 유래 다당류를 캡슐 막질로 사용하여 시각적인 캡슐 개발이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다.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42357호는 카라기난(Carageenans) 1.5 내지 3.0중량%, 알긴(algin) 0.5 내지 1.5중량%, 아가(agar) 0.1 내지 0.2중량%, 알칼리토금속실리케이트류의 무기충진제 0.05 내지 0.2중량% 및 잔량으로서 탈이온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막질조성물로 메이크업 베이스 크림이나 파운데이션 크림을 포함하는 W/O 또는 W/S 제형의 화장료를 코팅하여 캡슐화하거나, 비타민 C(Vitamin C)나 레티놀을 포함하는 생리활성물질들을 W/O 또는 W/S 형으로 제형화한 후 코팅하여 캡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14034호는 한천과 카라기난의 물리적 성질을 이용하여 1차 캡슐을 형성하고, 알긴산 나트륨을 이용하여 2차 캡슐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한천과 카라기난의 단점인 물에 의한 팽윤 현상을 막고, 피부 도포시 흡수가 빠르고 잔여물이 전혀 남지 않으며, pH의 영향도 받지 않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장료 이외에 폴리올이 다량 함유된 화장수에 넣었을 때에도 변화가 없는 안정화된 캡슐을 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캡슐을 화장품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제품에 적용된 상태에서는 형태를 안정하게 유지하다가 사용시에 전단응력에 의해 쉽고 부드럽게 와해되어 피부에 아무런 흔적 없이 사라지는 특성이 있어야 하고, 캡슐 모양이나 크기가 장시간 보관시에도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아가와 같은 홍조류 유래 다당류를 캡슐 막질로 사용하는 경우 다당류의 팽윤 현상으로 캡슐의 형태가 변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내용물이 용출될 수 있다. 또한 이런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아가의 함량을 높이게 되면 캡슐의 안정도는 높으나 캡슐의 강도가 높아 사용시 큰 물리적인 압력으로 캡슐을 깨뜨려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캡슐 잔여물들의 피부 침투가 늦어지며 겉도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시각적으로 차별화 될 수 있는 요소와 유효 성분을 담지하는 기능을 포함하면서 안정하게 캡슐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0342357 B1 KR 10-0814034 B1
이에 본 발명자들은 투명한 홍조류 유래 다당류를 캡슐 막질로 사용함에 있어 시각적인 차별성과 내용물의 용출 없이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실리콘 고분자로 리포좀이 함유된 코어를 1차적으로 둘러싼 이후 홍조류 유래 다당류로 캡슐화 하는 경우, 유효성분의 용출 없이 제형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피부 도포시 손놀림에 의한 피부 위에서의 캡슐의 붕괴에 의해 용출된 실리콘 고분자에 의해 즉각적인 주름 개선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 막질로 홍조류 유래 다당류를 사용함에 따른 시각적인 차별화와 함께 제형의 안정성이 향상된 삼중캡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삼중캡슐에 담지된 내용물의 용출 없이 캡슐 구조를 유지하도록 안정화한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생리활성물질이 포접된 리포좀을 포함하는 코어;
상기 코어를 둘러싸고 있는 실리콘 고분자; 및
상기 실리콘 고분자를 코팅하고, 홍조류 유래 다당류로 이루어진 투명 코팅층
을 포함하는 즉각적인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삼중 캡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삼중 캡슐을 함유하는 유중수형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효성분의 용출 없이 제형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피부 도포시 손놀림에 의한 피부 위에서의 캡슐의 붕괴에 의해 용출된 실리콘 고분자에 의해 즉각적인 주름 개선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중캡슐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삼중캡슐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삼중캡슐의 즉각적인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주름 깊이 감소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삼중캡슐의 즉각적인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도포 전후의 피부 표면을 이미지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중캡슐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삼중캡슐은 생리활성물질이 포접된 리포좀을 포함하는 코어; 상기 코어를 둘러싸고 있는 실리콘 고분자; 및 상기 실리콘 고분자를 코팅하고, 홍조류 유래 다당류로 이루어진 투명 코팅층을 포함한다.
이때 코어를 형성하는 리포좀은 평균 입자 지름이 50 내지 200 nm이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이 포접된 리포좀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예로, 유효성분, 폴리올, 유성성분, 계면활성제, 인지질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폴리올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메틸프로판디올, 이소프로필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솔비톨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상기 유성 성분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오일이 이용될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헥사데칸 및 파라핀 오일과 같은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에스테르계의 합성오일, 디메치콘 및 사이크로메치콘계와 같은 실리콘 오일, 해바라기유, 옥수수유, 대두유, 아보카도유, 참깨유 및 어유와 같은 동식물성 오일, 에톡시레이티드 알킬에테르계오일, 프로폭시레이티드 알킬에테르계오일, 피토스핑고신, 스핑고신 및 스핑가닌과 같은 스핑고노이드 지질, 세레브로사이드 콜레스테롤, 시토스테롤 콜레스테릴설페이트, 시토스테릴설페이트, C10-40 지방알콜 및 이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리포좀에 이용되는 계면활성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는 알킬아실글루타메이트, 알킬포스페이트, 알킬락틸레이트, 디알킬포스페이트 및 트리알킬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는 폴리솔베이트, 알콕시레이티드 알킬에테르, 알콕시레이티드 알킬에스테르,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폴리글리세릴에스테르 및 슈가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상기 인지질은 양쪽친화성 지질이 이용되고, 천연 인지질(예를 들어, 난황
레시틴 또는 대두 레시틴, 스핑고마이엘린) 및 합성 인지질(예를 들어,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또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레시틴이다. 특히, 대두 또는 난황에서 추출한 천연 유래 의 불포화 레시틴 또는 포화 레시틴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천연 유래의 레시틴은 포스파티딜콜린의 양이 23~95%, 그리고 포스파디딜에탄올아민의 양이 20% 이하이다.
상기 물은 증류수이고, 바람직하게는 탈이온화된 증류수를 사용한다.
상기 리포좀에 포집된 생리활성성분은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성분도 가능하다. 일예로, 미백제, 콜라겐 합성 촉진제, 주름 제거제, 피부 장벽 강화제, 노화 억제제, 보습제 등의 화장료 조성에 사용되는 생리 활성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를 사용한다.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는 아세틱애시드와 4개의 아미노산 잔기가 축합반응하여 형성된 단백질로서, 예를 들면 아세틸-글리신-히스티딘-리신-글리신으로 이루어진 단백질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단백질은 아세틸기에 의해 피부의 표피층 침투가 용이하며, 피브로넥틴(Fibronectin), 라미닌(Laminin), 엘라스틴(Elastin), 콜라겐(Collagen)의 합성을 촉진하여 진피내 세포조직을 강화시킴으로서 피부탄력 및 주름개선 효과가 뛰어나다.
상기 코어는 실리콘 고분자가 둘러싸고 있다.
이때 실리콘 고분자는 유효성분이 담지된 코어가 용출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삼중캡슐의 색을 부여한다.
상기 실리콘 고분자는 피부 도포시 손놀림에 의한 피부 위에서의 투명 코팅층이 붕괴되면서 용출된다. 피부에 도포시 실키한 느낌으로 부드럽게 퍼지며 사용 후에 도 번들거림이 없으며 투명한 느낌을 부여하고, 주름을 은폐하여 즉각적인 주름 개선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실리콘 고분자의 재질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화장료 조성에 사용하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일례로, 1 내지 10 ㎛의 입경을 갖는 것으로 디메틸실록산,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비닐디메치콘/메치콘실세스퀴옥산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페닐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라우릴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다.
상기 실리콘 고분자는 홍조류 유래 다당류로 이루어진 투명 코팅층으로 코팅된다.
이때 홍조류 유래 다당류는 카라기난, 아가 및 아가로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삼중캡슐을 구성하는 각 조성의 비는 전체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a) (ⅰ) 유효성분이 포접된 리포좀 3 내지 7 중량%,
(ⅱ) 보습제 5.0∼30.0 중량%,
(ⅲ) 물을 잔부로 포함하는 수상부와,
(b) (ⅰ) 실리콘 고분자 15 내지 30 중량%.
(ⅱ) 오일 1∼10 중량%를 포함하는 유상부와,
(c) 홍조류 유래 다당류 5 내지 8 중량%로 구성된다.
상기 리포좀은 캡슐 총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7 중량%로 포함된다. 이때 리포좀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캡슐 크기가 지나치게 커져 사용감이 저하된다.
사용가능한 보습제는 글리세린,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말티톨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소르비톨, 폴리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1,2-펜탄디올, 이소프렌글리콜인 다가 알콜류; 아미노산, 유산나트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등의 성분, 크실로글루칸, 모과씨, 카라기난, 펙틴, 만난, 카드란, 갈락탄, 델만탄황산, 글리코켄, 케라탄황산, 콘드로이틴, 뮤코이틴황산,케라토황산, 콘드로이틴, 뮤코이틴황산, 케라토황산, 로커스트빈검, 숙시노글루칸,카로님산(Calonym acid), 히알론산, 헤파란황산, 히알론산나트륨, 콜라겐, 뮤코다당류, 콘드로이틴황산인 수용성 고분자 물질; 디메틸폴리시록산, 메틸페닐시록산인 실리콘류; 유산균ㆍ비피더스균인 배양상청;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선택된 1종을 포함한다.
상기 보습제의 함량은 전체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내에서 5.0∼30.0중량%, 바람직하기로 5.0∼20.0 중량%의 함량으로 사용한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충분한 보습 효과를 부여할 수 없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다른 조성의 함량이 줄어들어 그 효과를 확보할 수 없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상기 실리콘 고분자는 캡슐 총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된다. 이때 실리콘 고분자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즉각적인 주름 개선효과 및 캡슐 안정성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캡슐 크기가 지나치게 커져 사용감이 저하된다.
오일로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폴리데센 및 파라핀 오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글리세릴 트리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옥틸팔미테이트를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합성오일; 시클로 메치콘, 디메치콘을 포함하는 실리콘오일; 동물성 오일; 망고 버터, 쉐어버터, 코포아수씨드버터, 마카다미아씨 오일을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 에톡시레이티드 알킬에스테르계오일;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설페이트; 파이토스핑고신; 스핑고노이드 지질; 바틸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등의 C10∼C40 지방알코올,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세라마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내에서 1∼10 중량%로 사용하며,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실리콘 고분자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없으며,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캡슐의 안정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삼중 캡슐에서 투명 코팅층을 구성하는 홍조류 유래 다당류는 5 내지 8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범위 미만이면 캡슐 형성이 어렵고, 형성되더라도 안정성이 저하되어 캡슐 피막을 통해 내용물이 용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사용감이 저하되고 피부자극은 물론 깨어진 캡슐 잔여물들의 피부 침투가 늦어지며 겉도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삼중캡슐은 유중수형(w/o) 유화조성물로 안정화된다.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따르면 삼중캡슐을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화 한 경우 수중유형 조성물, 점성젤 조성물로 제형화한 경우 보다 제형의 안정성이 더 우수하였다.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부 및 유상부로 이루어지며, 이때 수상부와 유상부의 조성은 본 발명에서 크게 한정하지 않으며, 제조되는 각 제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각 제형의 조성들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그 효과를 떨어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의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오일 5.0∼50.0 중량%, 삼중캡슐 3 내지 20 중량%, 및 안정화제 0.1∼10 중량%를 포함하는 유상부와, 폴리올 1∼20 중량% 및 잔부로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삼중캡슐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시각적인 차별화를 확보하기 어렵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사용감과 제형의 안정성이 저하된다.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바의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따른다. 일례로, 혼합기에 각 조성을 첨가한 후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혼합은 필요에 따라 열을 가해 수행할 수 있으며, 균일한 혼합을 위해 호모게나이저와 같은 혼합기를 사용한다.
이때, 수상부는 50~80 ℃, 바람직하게는 65~75 ℃로 가열하여 수행하며, 필요한 경우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2000~4000rpm, 바람직하게는 3000rpm의 속도로 3~10분 동안 교반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하는 오일로는 망고버터 오일, 쉐어버터 오일, 코코아수씨드 버터 오일, 마카다미아넛오일, 올리브오일, 미도우폼씨드오일, 정제포도씨 오일, 로즈힙오일, 사플라워오일, 복숭아씨오일, 썬플라워 씨드오일 등의 식물성 오일;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스쿠알란, 네오펜틸글라이콜디헵타노에이트, 토코페릴아세테이트, 트리옥타노인, C12-15 알킬에틸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트리카프릴린, 옥틸도데실스테아로일스테아레이트, 비스-하이드록시에톡시프로필디메치콘,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이소트리데실이소노나노에이트,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디펜타에리스라이트패티애씨드에스테르,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세틸옥타노에이트, 오조케라이트, 글리세릴 트리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옥틸팔미테이트 등의 합성에스테르 오일; 페닐트리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콘,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등의 실리콘유;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피이지-60 캐스터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카본 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전체 조성물 5 내지 50.0 중량%로 포함된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거나 초과하면 유중수 유화 조성물의 안정성이 저하되어 각종 제품의 제조가 어렵다.
안정화제로는 하이드로카본; 및 라우린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지방산, 실리콘 폴리머 안정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폴리머로는 비스피이지15/메틸에틸디메틸 실란, 디메치콘/디메치콘 피이지-10/15,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디메치콘/디메치코놀, 디메치콘/디메치콘 비닐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코놀,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사이클로펜타실론산/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론산/피이지-12 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론산/세테아릴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론산/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정화제는 전체 조성물 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된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거나 초과하면 유중수 유화 조성물의 안정성이 저하되어 각종 제품의 제조가 어렵다.
물은 증류수이고, 바람직하게는 탈이온화된 증류수를 사용한다.
사용가능한 보습제는 글리세린,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말티톨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소르비톨, 폴리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1,2-펜탄디올, 이소프렌글리콜인 다가 알콜류; 아미노산, 유산나트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등의 성분, 크실로글루칸, 모과씨, 카라기난, 펙틴, 만난, 카드란, 갈락탄, 델만탄황산, 글리코켄, 케라탄황산, 콘드로이틴, 뮤코이틴황산, 케라토황산, 콘드로이틴, 뮤코이틴황산, 케라토황산, 로커스트빈검, 숙시노글루칸, 카로님산(Calonym acid), 히알론산, 헤파란황산, 히알루론산나트륨, 콜라겐, 뮤코다당류, 콘드로이틴황산인 수용성 고분자 물질; 디메틸폴리시록산, 메틸페닐시록산인 실리콘류; 유산균 또는 비피더스균인 배양상청;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한다.
이때 조성 이외에 다른 성분들을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수상부에 수용성 유효 활성 성분으로 주름 개선제, 미백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주름 개선제로는 아스코르빌글루코사이드, 키네틴(kinetin), 옥신(auxin), 펩타이드(peptide), 알파-하이드록시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미백제로는 알부틴, 아스코르빈산,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아스코르빌 애시드-2-글루코사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효 활성 성분은 수상부 내에서 5 중량% 이하로 사용한다.
또한, 유상부에는 유용성 유효 활성성분으로 미백 효과가 있는 유용성 감초, 에틸 아스코빌 에테르, 알파-비사보롤 등이 가능하다. 또한,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활성성분으로는 레티놀 및 이의 유도체 (예, 레티닐 팔미테이트), 아데노신 등과 같은 유용성 활성성분이 가능하다. 이들 활성성분은 전체 조성물 내에서 0~10.0 중량%, 바람직하기로 0.001~10.0 중량%의 범위로 사용한다.
이외에도, 필요한 경우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바의 보조 계면활성제, 색소 분체, 안료, 자외선 차단제, 중화제, pH 조절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안정화제, 유기 용매, 증점제, 유연화제, 산화방지제, 자유 라디칼 파괴제, 불투명화제, 안정화제, 에몰리언트(emollient), 실리콘, 알파 히드록시산, 소포제, 비타민, 곤충 기피제, 향료, 보존제, 소염제, 물질 P 길항제, 충전제, 중합체, 추진제, 염기성화 또는 산성화제, 또는 착색제 등 공지의 화합물을 포함하여 제조된다. 상기 첨가제의 선정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고, 그 함량 또한 통상의 범위 내에서 사용한다. 바람직하기로, 이러한 첨가제의 함량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15 중량%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그리고, 방부제의 경우 메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부틸 파라벤, 에틸 파라벤, 페녹시 에탄올 등이 사용되고, 색소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제외한 성분으로서 PMMA(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실리카, 나일론, 폴리우레탄, 울트라마린, 산화철(iron oxide), 펄, 합성마이카, 마이카, 탈크, 세라사이트 및 보론나이트라이드 중에서 선택한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 자외선 차단제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 옥틸트리아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3,4-메틸벤질리덴켐퍼,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비스에틸헥실록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리테트라메틸부틸페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평균입도가 5~100nm인 이산화티탄, 평균입도가 5~300nm인 산화아연, 평균입도가 5~300nm인 산화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젤, 파우더, 보디로션, 보디크림, 보디오일, 및 보디에센스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가 캡슐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난 함량으로, 혼합기에 첨가한 후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고압 마이크로플루다이저(Microfludizer, U.S. Patent 4533254)를 이용하여 1000기압으로 리포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44
글리세린 30
레시친 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0
디메치콘 10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1 1

상기에서 제조한 리포좀을 이용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낸 함량으로 혼합기에 첨가한 후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실리콘 고분자로 형성된 이중캡슐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35
글리세린 15
부틸렌글라이콜 5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30
사이클로메치콘 10
리포좀 조성물 5

상기에서 제조한 이중 캡슐을 이용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낸 함량으로 초음파혼합방식의 vibration cut system으로 구형의 드롭을 형성하여 아가를 코팅하여 삼중캡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삼중캡슐을 도 2에 나타내었다.
성분 함량(중량(%)
삼중캡슐A 삼중캡슐B
이중 캡슐 드롭 92 90
아가 8 10

실험예 1: 삼중 캡슐 내 아가 함량에 따른 사용성 만족도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삼중캡슐 A와 B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 표 4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제형예 1 비교제형예 1
정제수 to 100 to 100
글리세린 20 20
클로페네신 적량 적량
마그네슘설페이트 0.5 0.5
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 3 3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0 10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5 5
삼중캡슐A 10 -
삼중캡슐B - 10
페녹시에탄올 적량 적량

상기에서 제조된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1의 사용성(발림성)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상세한 평가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용성 평가는 25세~50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1일 2회 화장료 조성물을 눈가 피부에 도포하고 발림성에 대한 만족도를 표기하도록 하였고, 그 평균값을 결과로 표현하였다. 만족도 평가 기준은 아래 표 5와 같고, 그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아주 잘 발린다 5점
잘 발린다 4점
보통이다 3점
잘 발리지 않는다 2점
전혀 발리지 않는다 1점
구분 사용성 만족도
제형예 1 4.4
비교제형예 1 3.5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중 캡슐 내 아가의 함량이 10 중량%로 사용된 비교제형예 1의 경우 아가의 함량이 8 중량%인 제형예 1과 비교하여, 피부 도포시 손놀림에 의한 피부 위에서의 캡슐의 붕괴가 어려워 사용성 만족도가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조성물 내 삼중 캡슐 안정도 비교
상기에서 제조된 삼중캡슐 A의 제형 내에서의 안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하기 표 7의 함량에 따라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제형예 2),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비교제형예 2)와 점성젤 조성물(비교제형예 3)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제형예 2 비교제형예2 비교제형예3
수상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20 20 20
클로페네신 적량 적량 적량
마그네슘설페이트 0.5 - -
유상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 3 -
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 3 - -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0 10 -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5 5 -
카보머 - 0.2 0.2
트로메타민 - 0.2 0.2
에탄올 - - 3
피이지-60하이드로네제이티드캐스터오일 - - 0.5
삼중캡슐A 10 10 10
페녹시에탄올 적량 적량 적량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제형예 2)]
1. 수상과 유상을 각각 65 ℃까지 가온하였다.
2. 유상에 수상을 첨가하여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3. 삼중캡슐을 첨가하여 패들믹서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냉각하였다.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비교제형예 2)]
1. 수상과 유상을 각각 75 ℃까지 가온하였다.
2. 수상에 유상을 첨가하여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3. 점증 후 삼중캡슐을 첨가하여 패들믹서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냉각하였다.
[점성젤 조성물(비교제형예 3)]
1.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균일하게 용해하였다.
2. 수상에 에탄올상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3. 점증 후 삼중캡슐을 첨가하여 패들믹서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조성물을 45 ℃에서 2개월 보관한 후 안정도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구분 캡슐 상태 제조직후
제형예 2 구형으로 양호함 구형
비교제형예2 비정형의 형태로 풀어짐 구형
비교제형예3 비정형의 형태로 풀어짐 구형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로 제형화한 제형예 2의 경우 삼중캡슐의 형태가 유지되면서 굴절률 조절을 통해 시각적을 캡슐의 차별화를 소구할 수 있다. 반면,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로 제형화한 비교제형예 1의 경우 유백색의 유화 조성물로 제형화되어 캡슐이 시각적으로 표현되기 어려우며 고온에서 캡슐의 형태가 유지되지 않았다. 또한, 점성젤 조성물로 제형화한 비교제형예 2의 경우도 무색투명의 점성젤로 캡슐이 시각적으로 표현되나 고온에서의 캡슐 형태 유지가 어려웠다.
실험예 3: 즉각적인 주름개선효과 측정
삼중캡슐에 대한 즉각적인 주름 개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하기 표 9의 조성에 따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세한 평가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 아가 캡슐은 상기 실시예 1의 표 1 조성에 따라 리포좀 조성물을 제조하고, 초음파 혼합 방식의 vibration cut system으로 구형의 드롭을 형성하여 아가를 코팅하는 과정으로 삼중 캡슐 제조 과정 중 2차 캡슐 제조과정을 제외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때 아가와 캡슐 내부 물질의 비율은 삼중캡슐 A를 제조한 비율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삭제
30세~60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세안 후 1회 눈가 피부에 도포하여 주름깊이를 측정하였다. 주름깊이 측정장비는 Breuckmann 사의 Derma Top-Blu (Germany)이고 측정장비에 장착된 카메라를 세안한 눈가 피부에 초점을 맞춘 후 이미지를 촬영하고 Image analyzer software를 통한 값으로 주름의 깊이를 계측하여 초기값을 설정하고 상기의 측정위치를 지정하여 화장료 적용 후 주름 깊이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초기 주름 깊이를 ‘0’으로 두고 주름 깊이 감소율 %로 측정하여 평가기준을 정하고 측정 대상의 평균 값을 산출한 후 소수점 한자리 이상으로 반올림하였다. 그 결과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성분 함량(중량%)
제형예 3 비교제형예4
정제수 to 100 to 100
글리세린 20 20
클로페네신 적량 적량
마그네슘설페이트 0.5 0.5
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 3 3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0 10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5 5
삼중캡슐A 10 -
일반 아가 캡슐 - 10
페녹시에탄올 적량 적량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삼중캡슐을 포함하는 제형예 3이 일반 아가 캡슐을 함유하는 비교제형예 4 보다 주름 깊이 감소율이 향상된 결과를 보여, 즉각적인 주름 개선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아세틸테트라 펩타이드-1이 포접된 리포좀을 포함하는 코어;
    상기 코어를 둘러싸고 있는 실리콘 고분자; 및
    상기 실리콘 고분자를 코팅하고, 홍조류 유래 다당류로 이루어진 투명 코팅층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삼중 캡슐 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로,
    상기 삼중 캡슐은 전체 조성이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a) (ⅰ) 아세틸테트라 펩타이드-1이 포접된 리포좀 3 내지 7 중량%,
    (ⅱ) 보습제 5.0∼30.0 중량%,
    (ⅲ) 물을 잔부로 포함하는 수상부와,
    (b) (ⅰ) 실리콘 고분자 15 내지 30 중량%.
    (ⅱ) 오일 1∼10 중량%를 포함하는 유상부와,
    (c) 홍조류 유래 다당류 5 내지 8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오일 5 내지 50 중량%, 상기 삼중 캡슐 3 내지 20 중량% 및 안정화제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유상부와, 폴리올 1 내지 20 중량% 및 잔부로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로 이루어진 유중수형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고분자는 디메틸실록산,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비닐디메치콘/메치콘실세스퀴옥산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페닐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라우릴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조류 유래 다당류는 카라기난, 아가 및 아가로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0150182A 2012-12-21 2012-12-21 즉각적인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삼중캡슐 및 이를 안정화한 유중수형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5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182A KR101995267B1 (ko) 2012-12-21 2012-12-21 즉각적인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삼중캡슐 및 이를 안정화한 유중수형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182A KR101995267B1 (ko) 2012-12-21 2012-12-21 즉각적인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삼중캡슐 및 이를 안정화한 유중수형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955A KR20140080955A (ko) 2014-07-01
KR101995267B1 true KR101995267B1 (ko) 2019-07-02

Family

ID=51732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182A KR101995267B1 (ko) 2012-12-21 2012-12-21 즉각적인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삼중캡슐 및 이를 안정화한 유중수형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2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172B1 (ko) 2016-01-08 2016-08-18 제니코스(주) 즉각적인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발휘하는 화장료 조성물
PT3700506T (pt) 2017-10-27 2021-09-29 Xyon Health Inc Formulações tópicas para tratar distúrbios dermatológicos incluindo calvíce de padrão masculino
KR20200100605A (ko) * 2017-12-18 2020-08-26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한천 쉘 캡슐을 갖는 액상 화장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357B1 (ko) * 1999-06-21 2002-06-27 이두형 화장료 캡슐용 막질조성물을 이용하여 캡슐화한 화장료
KR100547645B1 (ko) * 2004-03-17 2006-01-31 (주)아르떼르화장품 피부에 탄력을 부여하는 유효성분이 봉입된 리포좀 함유화장료 조성물
KR100879134B1 (ko) * 2006-09-14 2009-01-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수용성 성분 함유 오일형 화장료 조성물
KR100814034B1 (ko) 2006-11-27 2008-03-14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955A (ko) 201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37969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articles containing high content of ceramid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101867847B1 (ko) 재결정 입자를 갖는 수중유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8268335B2 (en) Skin treatment systems
JP4527530B2 (ja) ベシクル分散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016500113A (ja) 変色用組成物
WO2015099198A1 (en) Transparent composition containing oil and microcapsules
KR101934788B1 (ko) 미생물 유래 당지질계 유화제를 이용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137017A1 (ja) 美白剤、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細胞内活性酸素消去剤、刺激緩和剤、シワ改善剤、複合体、化粧料、及び皮膚外用剤
KR20140081293A (ko) 워터 드롭 고타입 화장료 조성물
EP2174646B1 (en) Reverse vesicle
KR20160145829A (ko)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30011800A (ko) 피부 유사 지질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5424A (ko) 미백능과 항노화능이 뛰어난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13730A (ko) 폴리올을 함유하는 색상 변화 조성물
KR20180023537A (ko)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5267B1 (ko) 즉각적인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삼중캡슐 및 이를 안정화한 유중수형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3B1 (ko) 성상 변화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44104A (ko) 피부에 도포 후 메이크업층과 보습 및 윤기막의 이중층으로 분리되는 메이크업용 킷트 조성물
KR102500905B1 (ko) 천연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반투명 제형의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
JP6982697B2 (ja) 皮膚化粧料用組成物
KR102070557B1 (ko) 세라마이드 함유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755925B2 (ja) 化粧水組成物
KR20160068177A (ko) 미리스틸 3-글리세릴아스코베이트를 포함하는 나노 전달체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1815127B1 (ko) 온도 감응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42903B1 (ko) 세륨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광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