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4034B1 -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4034B1
KR100814034B1 KR1020060117417A KR20060117417A KR100814034B1 KR 100814034 B1 KR100814034 B1 KR 100814034B1 KR 1020060117417 A KR1020060117417 A KR 1020060117417A KR 20060117417 A KR20060117417 A KR 20060117417A KR 100814034 B1 KR100814034 B1 KR 100814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cosmetic
agar
sodium alginate
carrageen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훈
안순애
한상훈
강학희
김영택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주)에이티 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주)에이티 랩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60117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4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0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3Alginic acid;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 한천과 카라기난의 물리적 성질을 이용하여 1차 캡슐을 형성하는 단계; 및 2) 알긴산 나트륨을 이용하여 2차 캡슐 피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쳐서 제조된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캡슐, 부틸렌글리콜, 카라기난, 한천, 알긴산나트륨, 화장료조성물

Description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apsule composition for an cosmetic and the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 한천과 카라기난의 물리적 성질을 이용하여 1차 캡슐을 형성하는 단계; 및 2) 알긴산 나트륨을 이용하여 2차 캡슐 피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쳐서 제조된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금까지 사용되어 왔던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은 사용감과 안정성의 한계 그리고 일부 제형에 국한되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42357호에 개시된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은 캡슐용 화장료 제조시 카라기난 또는 한천의 함량이 많아져도 외형이 수려하고 안정적인 캡슐을 만들 수는 있으나 가압붕괴성이 좋지 않아 사용감이 저하되고 자극이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는 알긴(algin), 알칼리토금속, 카라기난 및 한천을 혼합, 용해하여 막질 조성물로 사용하고 있으나, 알긴(algin)과 알칼리토금속의 캡슐 피막 형성의 원리는 이온결합에 의해 캡슐 피막을 형성하는 것이며[현재 발간된 Microencapsulation: Methods and Industrial Applications, edited by simon benita (Page 367)], 이렇게 하나의 상 내에 알긴(algin)과 알칼리토금속이 공존하면 상 내부에서 경화가 먼저 발생되어 실제적으로는 캡슐 막질 조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이 본 발명자들의 실험을 통하여 밝혀졌다.
따라서, 상기 특허는 알긴(algin)과 알칼리토금속이 캡슐 피막 형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카라기난과 한천으로만 캡슐을 제조했다고도 볼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카라기난과 한천의 팽윤 현상으로 캡슐의 형태가 변화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내용물이 용출될 수 있다. 이런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라기난과 한천의 함량을 높이게 되면 사용감에 있어서 캡슐용 화장료의 외벽과 내부의 경도와 강도가 동일하여 피부에 도포시 캡슐이 으깨어져서 피부자극은 물론 깨어진 캡슐 잔여물들의 피부 침투가 늦어지며 겉도는 단점이 있었다. 반대로 카라기난과 한천의 함량을 줄이게 되면 캡슐 형성이 어려위지며 캡슐이 형성되더라도 고온안정성이 좋지 못하여 캡슐 피막을 통해 내용물이 용출되어 제형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92-0002280호에서는 알긴산 나트륨과 칼슘이온을 이용하여 캡슐용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캡슐용 화장료는 안정도가 비교적 우수한 편이지만, 피부 도포시 가압붕괴성이 좋지 않아 캡슐피막의 찌꺼기가 쉽게 피부에 흡수되지 않고 피부에 남아 있는 외형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량을 사용하여 실험해 본 결과, 제형의 pH에 영향을 많이 받아 캡슐 형태가 변함으로써 넓은 범위의 pH에서는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한천과 카라기난의 물리적 성질을 이용하여 1차 캡슐을 형성하고, 알긴산 나트륨을 이용하여 2차 캡슐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한천과 카라기난의 단점인 물에 의한 팽윤 현상을 막고, 피부 도포시 흡수가 빠르고 잔여물이 전혀 남지 않으며, pH의 영향도 받지 않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장료 이외에 폴리올이 다량 함유된 화장수에 넣었을 때에도 변화가 없는 안정화된 캡슐로 제조가 가능하여 제형의 다양화 및 사용감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고, 또한 캡슐 내부와 외부의 경도가 서로 다름으로써 기능성 원료 물질이 밖으로 용출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천과 카라기난의 물리적 성질을 이용하여 1차 캡슐을 형성하고, 알긴산 나트륨을 이용하여 2차 캡슐 피막을 형성시켜 제조한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a)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코올 3.0 내지 10 중량%; (b) 카라기난(Carageenan) 1.0 내지 1.8 중량%; (c) 한천(agar) 0.3 내지 0.8 중량%; 및 (d)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또는 그의 유도체 0.1 내지 0.5 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은 피부 도포시 피부자극이 없고 캡슐 피막 찌꺼기가 없으며, 발림성이 뛰어난 사용감을 가지고 다양한 색상과 크기의 캡슐로 제조될 수 있어 다양화된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은 부틸렌글리콜로 인해 다량의 폴리올이 함유된 제형에서도 캡슐의 형태가 변하지 않는 우수한 형태 안정성과 캡슐의 내부와 외벽의 벽재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캡슐의 내부와 외벽의 경도를 서로 다르게 하였으며, 리포좀화된 활성성분들을 캡슐용 막질 안에 포집시켜 보다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1) 한천과 카라기난의 물리적 성질을 이용하여 1차 캡슐을 형성하는 단계; 및 2) 알긴산 나트륨을 이용하여 2차 캡슐 피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은 1) 한천과 카라기난의 물리적 성질을 이용하여 1차 캡슐을 형성하는 단계; 및 2) 알긴산 나트륨을 이용하여 2차 캡슐 피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은 유동파라핀 또는 실리콘 오일에서 캡슐 내부를 1차 경화시킨 후, 염화칼슘(CaCl2) 0.3 내지 1.0 중량%를 함유한 수 용액에서 캡슐 외벽을 2차 경화시킨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a)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코올 5.0 중량%; (b) 카라기난(Carageenan) 1.5 중량%; (c) 한천(agar) 0.5 중량%; 및 (d)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0.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의 제조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1) 먼저, 다가알코올과 정제수를 평량하여 90-95℃로 가열한다.
2) 상기 1)에 카라기난, 한천 및 알긴산 나트륨을 평량한 후 투입 교반 용해시킨다.
3) 유동파라핀을 3∼5℃로 냉각한다.
4) 다음으로 정제수에 염화칼슘 용액을 넣고 교반하여 용해시킨다.
5) 상기 3)과 4)를 혼합한다.
6) 상기 2)에서 제조된 용액을 미세노즐을 통해 상기 5)에 자기교반기를 이용하여 20 내지 30rpm으로 한 방울씩 첨가시키면서 10∼15분간 캡슐화시킨다.
6) 캡슐화가 끝나면 건져내어 정제수를 이용하여 수차례 세척한다.
7) 세척이 끝난 캡슐은 Phenonip 0.5 중량%을 포함하고 있는 정제수에 5:5 비율로 넣어서 보관한다.
상기 제조과정에서 카라기난, 한천 및 알긴산나트륨을 용해시킨 것을 냉각된 유동파라핀층을 통과하면서 한천과 카라기난의 물리적 성질로 인해 겔상태가 되면서 1차적으로 캡슐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렇게 1차적으로 형성된 캡슐의 무게로 인해 자유낙하되는 것을 이용하여 유동파라핀층을 통과한 다음 염화칼슘(CaCl2) 0.3 내지 1.0 중량%를 함유하는 염화칼슘 수용액에 도달하였을 시에는 알긴산나트륨과 염화칼슘 수용액의 이온결합으로 인한 2차적 캡슐 외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캡슐은 캡슐 내부는 소프트하며, 알긴산나트륨의 피막으로 인한 2차적 캡슐 피막이 형성되어 팽윤현상이 없고 내부 물질의 용출이 되지 않아 안정성이 우수하며, 사용감이 뛰어난 특징이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2단계를 거쳐서 캡슐이 형성되는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1차 캡슐 형성에서 경도와 강도에 영향을 주는 것은 한천과 카라기난의 함량이므로 한천과 카라기난으로 1차 캡슐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경도와 강도가 캡슐 내막과 외막이 모두 일정하게 된다. 이런 1차 캡슐막이 형성된 후 염화칼슘 용액에 캡슐이 들어갈 경우 알긴산나트륨과 반응하여 캡슐 외부에서만 반응이 일어나게 되며, 이 경우 1차적으로 형성된 캡슐 외막에서 알긴산나트륨과 칼슘이온이 반응을 일으켜 2차 경화가 진행되어 캡슐 외막은 보다 단단해지게 되며 캡슐 내막은 외막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도와 강도가 작아지게 되어 캡슐 외막과 내막의 경도와 강도가 서로 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은 캡슐용 화장료의 캡슐 외막과 내막의 경도와 강도를 서로 다르게 하여 피부에 자극을 전혀 주지 않으면서 캡슐 내부가 소프트하여 피부 흡수가 빠르고 외관이 수려한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불안정한 기능성 원료를 리포좀화한 제형을 캡슐용 화장료에 투입시켜 활성성분들이 2차 안정화를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은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a)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코올 3.0 내지 10 중량%; (b) 카라기난(Carageenan) 1.0 내지 1.8 중량%; (c) 한천(agar) 0.3 내지 0.8 중량%; (d)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또는 그의 유도체 0.1 내지 0.5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각 성분들의 함량은 캡슐화가 되는 최소 함량과 최대 함량을 기준으로 범위를 기재한 것으로서, 상기 최소 함량들은 캡슐이 형성되는 정도에 있어서 캡슐이 붕괴되지 않고 안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최소한의 양을 말하는 것으로서, 상기 성분들이 최소 함량 미만으로 함유될 때에는 캡슐이 붕괴된다. 또한 최대 함량은 제조된 캡슐의 가압붕괴성 및 사용감을 고려한 양으로서, 상기 성분들이 최대 함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압붕괴성 및 사용감이 좋지 않고 껍질 잔유물이 잔존하여 제형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은 상기 필수성분들 이외에 (e) 염화칼슘(CaCl2) 0.3 내지 1.0 중량%; (f) 리포좀화된 기능성물질, 향료 및 무기안료를 포함하는 첨가제 0.2 내지 5.0 중량%; 및 잔량으로서는 정제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화칼슘의 함량이 0.3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그 함량이 미미하여 알 긴산나트륨과 반응하여 캡슐막을 형성할 수 없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캡슐 피막 형성도가 동일해지므로 염화칼슘을 1.0 중량% 이상 사용하는 것은 의미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기능성 물질로는 알부틴(arbutin), 아데노신(adenosine),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및 아세틸 글루코사민(acetyl glucosamine) 등의 통상적으로 화장품 제형에 사용되고 있는 수용성 기능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안료로는 TiO2와 색조화장품에 쓰이는 통상적인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리포좀화된 기능성물질, 향료 및 무기안료를 포함하는 첨가제의 함량이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그 함량이 높아질수록 캡슐 형성이 어려워지고 캡슐이 붕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11]
하기 표 1a 내지 표 1b에 기재된 조성으로 하기의 과정을 거쳐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11의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 중량%).
구분 성분 실시예 1 비교예
1 2 3 4 5 6 7
A 부틸렌글라이콜 5.0 5.0 5.0 5.0 5.0 5.0 5.0 5.0
B 카라기난 1.5 - 1.5 1.5 1.5 - 1.5 -
한천 0.5 0.5 - 0.5 0.5 - - 0.5
알긴산나트륨 0.2 0.2 0.2 - 0.2 0.2 - -
C 정제수 92.8 94.3 93.3 93 92.8 94.8 93.5 94.5
D 유동파라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E 염화칼슘 0.4 0.4 0.4 0.4 - 0.4 - -
F 정제수 99.6 99.6 99.6 99.6 100 99.6 100 99.6
구분 성분 비교예
8 9 10 11
A 부틸렌글라이콜 - - - -
B 카라기난 1.5 - 1.5 -
한천 0.5 0.5 - -
알긴산나트륨 0.2 0.2 0.2 0.2
C 정제수 97.8 99.3 98.3 99.8
D 유동파라핀 100 100 100 100
E 염화칼슘 0.4 0.4 0.4 0.4
F 정제수 99.6 99.6 99.6 99.6
상기 원료들의 함량 기준은 A, B 및 C 상의 총 합을 화장료 조성물 함량 100%로 하여 표기한 것으로서, D, E 및 F상은 캡슐을 만들기 위한 일종의 용매이기 때문에 캡슐 제조 후 버리는 상이므로 실제로 화장료 조성물 함량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 제조방법 >
1) 하기 표 1a 내지 표 1b의 원료 A와 C를 각 중량비율대로 평량하여 90-95℃로 가열하였다.
2) 상기 1)에 B에 해당하는 원료를 각 중량비율대로 평량한 후 투입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3) 유동파라핀 D를 3∼5℃로 냉각하였다.
4) 다음으로 정제수 F에 염화칼슘 용액 E를 넣고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5) 상기 3)과 4)를 혼합하였다.
6) 상기 2)에서 제조된 용액을 미세노즐을 통해 상기(5)에 자기교반기를 이용하여 20 내지 30rpm으로 한 방울씩 첨가시키면서 10∼15분간 캡슐화시켰다.
6) 캡슐화가 끝나면 건져내어 정제수를 이용하여 수차례 세척하였다.
7) 세척이 끝난 캡슐은 Phenonip 0.5 중량%을 포함하고 있는 정제수에 5:5 비율로 넣어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12 ∼ 16]
하기 표 2에 표시된 조성으로 하여 한천(Agar), 카라기난(Carageenan),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및 염화칼슘(CaCl2)을 함유하는 실시예 2의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고, 실시예 2과 비교하기 위하여 하기 표 2의 조성을 가진 비교예 12 내지 16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상기 조성물들을 대상으로 여러 실험을 수행하였다. 다음의 표 2에서 "적량"이라 함은 대체적으로 1x10-6 중량%를 나타낸다(단위 : 중량%).
구분 성분 실시예2 비교예
12 13 14 15 16
A 부틸렌글라이콜 5.0 1.0 5.0 12.0 15.0 1.0
글리세린 3.0 3.0 3.0 3.0 3.0 3.0
B 카라기난 1.5 0.8 2.0 2.0 2.5 0.5
한천 0.5 0.2 0.1 1.0 1.0 1.5
알긴산나트륨 0.2 0.6 0.6 0.8 1.0 0.05
C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무기안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D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E 유동파라핀 100 100 100 100 100 100
F 염화칼슘 0.4 1.2 1.2 1.6 2.0 0.1
정제수 99.6 98.8 98.8 98.4 98.0 99.9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16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캡슐형성도, 피막 잔유물 여부, 및 온도 및 제형에 관한 캡슐 안정도를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a 및 표 3b에 나타내었다.
안정성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5 6 7 8 9 10 11
pH 3∼5 (화장수) 5 5 4 4 3 3 1 2 2 4 4 4 2
pH 8-10(화장수) 5 5 3 3 3 3 1 2 2 4 3 3 1
온도 4℃ 5 5 4 4 4 4 3 4 4 5 4 4 3
25℃ 5 5 3 3 3 3 2 2 1 4 3 3 3
45℃ 5 5 2 2 2 2 2 2 1 4 2 2 2
캡슐 형성도 5 5 3 3 3 3 2 2 1 5 3 3 2
캡슐 피막 잔유물 10 10 9 9 9 9 7 9 8 6 5 5 5
폴리올 30% 함유 화장수 5 5 2 2 2 2 1 1 1 3 1 1 1
안정성 비교예
12 13 14 15 16
pH 3∼5 (화장수) 2 3 3 4 4
pH 8-10(화장수) 2 2 3 4 4
온도 4℃ 4 4 5 5 5
5℃ 3 3 4 5 5
45℃ 1 2 3 5 5
캡슐 형성도 3 4 5 5 5
캡슐 피막 잔유물 3 2 2 1 2
폴리올 30% 함유 화장수 2 3 3 4 3
표 3a 및 표 3b에 나타낸 각 수치는 5회의 실험치를 평균한 값이다.
표 3에 나타낸 "pH 안정성"은 1∼5의 값으로 평가한 것으로서, "1"은 캡슐의 파괴를 나타내고, "5"는 캡슐에 영향이 없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숫자가 클수록 캡슐에 영향이 없이 안정해짐을 나타낸다.
표 3에 나타낸 "온도 안정성"도 1∼5의 값으로 평가한 것으로서, "1"은 캡슐의 파괴를 나타내고, "5"는 캡슐에 영향이 없음을 나타내며, 숫자가 클수록 캡슐에 영향이 없이 안정해짐을 나타낸다.
표 3에 나타낸 "캡슐 형성도"도 1∼5의 값으로 평가한 것으로서, "1"은 캡슐 형성이 안됨을 나타내고, "5"는 캡슐 형성 능력이 강함을 나타내는 것이며, 숫자가 클수록 캡슐이 잘 형성됨을 나타낸다.
"캡슐 피막 잔유물"은 1∼10의 값으로 평가한 것으로서, "1"은 잔유물이 극히 많음을 나타낸 것이고, "10"은 잔유물이 없음을 나타낸 것이며, 숫자가 클수록 잔유물이 없어짐을 나타낸다. 또한 "폴리올 30% 함유 화장수"는 1∼5의 값으로 평가한 것으로서, "1"은 극심한 캡슐의 형태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5"는 캡슐 형태가 변화 없음을 나타낸 것이며 숫자가 클수록 캡슐형태의 변화가 없이 안정해짐을 나타낸다.
상기 결과로부터 한천, 카라기난, 알긴산나트륨, 부틸렌글라이콜 및 알긴산나트륨과 이를 경화시키기 위한 염화칼슘 중 1종 이상이 결여된 비교예 1∼11은 캡슐 형성이 약하여 한천, 카라기난, 알긴산나트륨, 부틸렌 글라이콜 및 염화칼슘 수용액 층이 모두 첨가된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16와 비교했을 시 "캡슐 피막잔유뮬"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제형안정성이 낮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비교예 1∼11은 캡슐 피막 잔유물에 대한 안정성은 비교적 우수하지만 나머지 부분에 있어선 안정성이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12∼16의 결과를 통하여 한천, 카라기난, 알긴산나트륨, 부틸렌글라이콜 및 염화칼슘 수용액의 함량에 따라서 사용감, 가압안정성, 온도, pH 및 피막잔유물의 정도에 따른 캡슐형성 및 안정성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의 캡슐용 화장료가 한천, 카라기난, 알긴산나트륨, 부틸렌글라이콜 및 염화칼슘 수용액을 특정 함량으로 함유함으로써 캡슐형성도, 피막 잔유물 여부, 및 온도 및 제형에 관한 캡슐 안정도 면에서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결과들은 본 발명자들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수행한 다양한 제조와 분석실험 가운데 몇 개를 예로 들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만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부틸렌글리콜을 실시예에서 사용하였으나 부틸렌글리콜에 국한되지 않고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쓰이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코올을 사용하여 다량의 폴리올이 함유된 제형에서 캡슐 형성 안정도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은 알긴산나트륨과 염화칼슘 수용액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캡슐 외벽의 경화를 이루었으며 카라기난과 한천의 온도에 따른 물리적 성질을 이용하여 2차적으로 캡슐 내부의 경화를 이루었다. 이렇게 제조된 캡슐은 알긴산나트륨을 이용한 1차적 캡슐 피막이 한천과 카라기난의 단점인 물에 의한 팽윤 현상을 막았으며, 피부 도포시 흡수가 빠르고 잔여물이 남지 않고 pH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다가알콜의 영향으로 유연화장수나 수렴화장수 이외에도 폴리올이 다량 함유된 화장수에 넣었을 때도 변화가 없는 안정화된 캡슐로 인하여 제형의 다양화 및 사용감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캡슐은 통상적인 화장료, 즉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등에 폭 넓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캡슐 내부와 외부의 경도가 서로 다름으로서 기능성 원료 물질이 밖으로 용출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a) 다가알코올 3.0 내지 10 중량%; (b) 카라기난(Carageenan) 1.0 내지 1.8 중량%; (c) 한천(agar) 0.3 내지 0.8 중량%; 및 (d)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0.1 내지 0.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알코올은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
  3. 1) 한천, 카라기난 및 알긴산나트륨을 혼합한 수용액을 3∼5℃로 냉각된 유동파라핀층에 통과시켜 한천과 카라기난의 수용액이 냉각되면서 굳어지는 성질을 이용하여 1차 캡슐을 형성하는 단계; 및
    2) 상기 1)에서 제조한 캡슐을 염화칼슘 수용액에 첨가하여 알긴산칼슘염이 생성됨으로써 2차 캡슐 피막을 형성하는 단계;
    를 거치는 화장료용 캡슐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의 1차 캡슐화 과정은 유동파라핀 또는 실리콘 오일에서 캡슐 내부를 1차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캡슐의 제조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의 2차 캡슐화 과정은 염화칼슘(CaCl2) 0.3 내지 1.0 중량%를 함유한 수용액에서 캡슐 외벽을 2차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캡슐의 제조방법.
KR1020060117417A 2006-11-27 2006-11-27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14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417A KR100814034B1 (ko) 2006-11-27 2006-11-27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417A KR100814034B1 (ko) 2006-11-27 2006-11-27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4034B1 true KR100814034B1 (ko) 2008-03-14

Family

ID=39398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417A KR100814034B1 (ko) 2006-11-27 2006-11-27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403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519B1 (ko) 2008-03-03 2008-09-26 주식회사 에스앤텍 알긴산칼슘캡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0955A (ko) 2012-12-21 2014-07-01 코웨이 주식회사 즉각적인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삼중캡슐 및 이를 안정화한 유중수형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22863A (ko) * 2017-05-04 2018-11-14 코스맥스 주식회사 캡슐-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WO2017090214A1 (ja) * 2015-11-25 2018-11-15 アサヌマ 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カプセルの製造方法
KR20200029855A (ko) 2018-09-11 2020-03-19 코스맥스 주식회사 유용성 페이스트 또는 겔상의 오일을 포함하는 고형 비드의 제조방법
WO2020138569A1 (ko) 2018-12-28 2020-07-02 주식회사 케이피티 오일분산형 이중캡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일분산형 이중캡슐
KR102346702B1 (ko) * 2021-07-02 2022-01-03 주식회사 림즈 맞춤형 화장품용 캡슐 조성물
FR3122575A1 (fr) 2021-05-05 2022-11-11 Gabrielle De La Goublaye De Nantois Capsules molles cosmétiqu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228A (ja) * 1995-07-13 1997-01-28 Eisai Co Ltd シームレスソフトカプセル
JPH09187493A (ja) * 1996-01-10 1997-07-22 S T Chem Co Ltd ゲル状脱臭剤
JPH1149668A (ja) 1997-06-03 1999-02-23 Unie Colloid Kk 徐放性カプセル
JP2003104861A (ja) 2001-09-28 2003-04-09 Kanebo Ltd W/o/w型複合エマルジョン
JP2004262851A (ja) 2003-03-03 2004-09-24 Kanebo Ltd 化粧料
JP2005306777A (ja) 2004-04-21 2005-11-04 Kyowa Hakko Kogyo Co Ltd 寒天を含有する粒子状製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228A (ja) * 1995-07-13 1997-01-28 Eisai Co Ltd シームレスソフトカプセル
JPH09187493A (ja) * 1996-01-10 1997-07-22 S T Chem Co Ltd ゲル状脱臭剤
JPH1149668A (ja) 1997-06-03 1999-02-23 Unie Colloid Kk 徐放性カプセル
JP2003104861A (ja) 2001-09-28 2003-04-09 Kanebo Ltd W/o/w型複合エマルジョン
JP2004262851A (ja) 2003-03-03 2004-09-24 Kanebo Ltd 化粧料
JP2005306777A (ja) 2004-04-21 2005-11-04 Kyowa Hakko Kogyo Co Ltd 寒天を含有する粒子状製剤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519B1 (ko) 2008-03-03 2008-09-26 주식회사 에스앤텍 알긴산칼슘캡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0955A (ko) 2012-12-21 2014-07-01 코웨이 주식회사 즉각적인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삼중캡슐 및 이를 안정화한 유중수형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WO2017090214A1 (ja) * 2015-11-25 2018-11-15 アサヌマ 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カプセルの製造方法
KR20180122863A (ko) * 2017-05-04 2018-11-14 코스맥스 주식회사 캡슐-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22405B1 (ko) * 2017-05-04 2019-02-20 코스맥스 주식회사 캡슐-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29855A (ko) 2018-09-11 2020-03-19 코스맥스 주식회사 유용성 페이스트 또는 겔상의 오일을 포함하는 고형 비드의 제조방법
WO2020138569A1 (ko) 2018-12-28 2020-07-02 주식회사 케이피티 오일분산형 이중캡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일분산형 이중캡슐
FR3122575A1 (fr) 2021-05-05 2022-11-11 Gabrielle De La Goublaye De Nantois Capsules molles cosmétiques
KR102346702B1 (ko) * 2021-07-02 2022-01-03 주식회사 림즈 맞춤형 화장품용 캡슐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034B1 (ko)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5965515A (en) Coated amine functionality-containing materials
EP1549729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esten riechstoffkonzentrates
KR20190021145A (ko) 세정제 조성물
KR101953858B1 (ko) 히알루론산과 오일이 포함된 안정성이 증가된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 캡슐
US4183366A (en) Henna hair coloring and/or conditioning compositions
KR20090086317A (ko) 피부과용 및 화장품용 활성제를 위한 비히클로서의 수분산성 또는 수용성 중합체 필름
US5801134A (en) Cleansing product
KR101825494B1 (ko) 붕괴성 수분 함유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02272B1 (ko) 피부 온도에 감응하여 가변적 투명도를 갖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EP3445324B1 (en) Deodorant composition
KR102373981B1 (ko) 하이드로겔 솝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L185311B1 (pl) Kompozycja kostki mydła
KR20210001675A (ko) 저온 숙성 천연 비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90069741A (ko) 무정형의 반투명 고분자겔 비드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340274B1 (ko) 파우더 화장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EP4053255A1 (en) Moldable composition for solid washing agent and method for molding the same
KR102183759B1 (ko) 피부보호 천연물질을 이용한 반려동물용 세정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세정제
KR102664458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1905021B1 (ko) 화장료용 색소 또는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는 다중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DE2405216A1 (de) Kosmetische produkte, diese enthaltende schweisshemmende mittel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KR101738474B1 (ko) 이소플라본 보관용 용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소플라본 용액 및 상기 용액의 제조방법
JPS6115827A (ja) 口腔用組成物
KR101836384B1 (ko) 피부 또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CN108125868A (zh) 一种清爽沐浴露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