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478B1 -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478B1
KR101799478B1 KR1020170093969A KR20170093969A KR101799478B1 KR 101799478 B1 KR101799478 B1 KR 101799478B1 KR 1020170093969 A KR1020170093969 A KR 1020170093969A KR 20170093969 A KR20170093969 A KR 20170093969A KR 101799478 B1 KR101799478 B1 KR 101799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pening
closing
guide member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용
고원근
이재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Priority to KR1020170093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4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478B1/ko
Priority to PCT/KR2017/014855 priority patent/WO201902231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41Flexible or deformable reservoirs, e.g. resilient bulbs, compressible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ollapsible empty tub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용기가 설치된 용기보호부를 중심으로 용기개폐부가 회전하여 저장용기를 개폐하므로 부품의 분실을 방지함은 물론 저장용기의 양측을 가압토출부로 가압하므로 저장용기의 내용물이 소진될 때까지 용이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Rotation type 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용기가 설치된 용기보호부를 중심으로 용기개폐부가 회전하여 저장용기를 개폐하고, 저장용기의 양측을 가압토출부로 가압하면서 저장용기의 내용물이 소진될 때까지 용이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그 종류가 다양하나 여성이 아름다움을 가꾸는데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분과 파운데이션, 볼터치 등을 이용한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과 아이섀도우, 마스카라, 립클로즈 등을 이용한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으로 구분되고, 상기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이 최근에는 일반 액체 화장품보다 점도가 상당히 높은 액상으로 제공되는 추세에 있다.
상기 액상의 화장품은 통상적으로 튜브나 병의 형태로 포장 및 제공되어 사용시에 필요한 양만큼 따르거나 짜셔 사용하는데, 이때, 적정량을 토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감각에 의존하고 있으나, 사용자에 의한 누르는 부위가 일정하지 않아 일정량의 화장품을 토출하여 사용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6694호에 측면 버튼 가압식 화장품용기가 공개된 바 있다.
선 공개된 특허는, 오버캡을 지지체캡으로부터 분리한 후, 지지체의 양측으로 돌출된 버튼부재의 가압으로 작동하는 펌핑부재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부로 토출되고, 배출부로 토출되는 내용물을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나, 오버캡을 지지체캡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므로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분실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어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기본체의 내용물을 토출하는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증가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버튼부재가 용기본체를 가압하는 방식이 아니므로 용기본체에 저장된 내용물의 완전 소진이 어려워 내용물이 낭비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669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저장용기가 설치된 용기보호부를 중심으로 용기개폐부가 회전하여 저장용기를 개폐하므로 부품의 분실을 방지하면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용기의 양측을 가압토출부로 가압하므로 저장용기의 내용물이 소진될 때까지 용이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용기를 가압하는 가압토출부 및 저장용기를 개폐하는 용기개폐부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생산성 증대 및 제조원가의 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을 저장하면서 선단부에 토출안내부재가 장착된 튜브 타입의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용기보호부와;
상기 용기보호부에 장착되어 회전하면서 저장용기를 개폐하는 용기개폐부와;
상기 용기개폐부의 회전으로 토출안내부재가 개방된 저장용기의 양측을 용기보호부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가압하여 저장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가압토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보호부는, 상기 저장용기를 수용하면서 용기개폐부 및 가압토출부의 작동을 안내하는 작동안내부재와, 상기 작동안내부재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용기보호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안내부재는, 상기 저장용기를 수용하는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 일측에 용기보호부재의 설치돌기가 결합되도록 관통된 설치공간과, 상기 몸체 내주면에 요입되어 가압토출부의 이동 안내 및 이탈을 방지하는 안내공간과, 상기 몸체 외주면에 요입되어 용기개폐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안내홈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보호부재는, 상기 작동안내부재를 수용하여 보호하도록 내부가 관통된 보호몸체와, 상기 보호몸체 일측에 관통되어 저장용기의 선단부가 돌출되도록 하는 설치공과, 상기 설치공 둘레의 보호몸체 내주면으로 돌출되어 작동안내부재의 설치공간에 결합되는 설치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보호부재에 결합된 작동안내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용기보호부재 내주면 또는 작동안내부재의 외주면 어느 하나의 부재에 적어도 1개 이상 돌출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다른 하나의 부재에 요입되는 고정홈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개폐부는, 상기 가압토출부를 수용하도록 내부가 관통되면서 작동안내부재의 회전안내홈에 회전안내돌기가 결합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연결하여 용기보호부를 따라 회전하면서 토출안내부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 외주면에 개폐부재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재가 토출안내부재의 폐쇄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개폐부재의 내면 및 용기보호부재의 외면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 돌출되는 위치설정돌기와, 상기 위치설정돌기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다른 하나의 부재의 요입되는 위치설정홈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토출부는, 작동안내부재의 안내공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저장용기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토출부재와, 상기 가압토출부재 외주면에 돌출되어 안내공간 단부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장용기가 설치된 용기보호부를 중심으로 용기개폐부가 회전하여 저장용기를 개폐하므로 부품의 분실을 방지함은 물론 저장용기의 양측을 가압토출부로 가압하므로 저장용기의 내용물이 소진될 때까지 용이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장용기를 가압하는 가압토출부 및 저장용기를 개폐하는 용기개폐부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생산성 증대 및 제조원가의 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의 상면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의 저면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의 상면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의 저면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100)는, 저장용기(110), 용기보호부(120), 용기개폐부(130), 가압토출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용기(110)는, 내용물을 저장하는 구성으로, 용기몸체(111), 토출안내부재(112)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몸체(111)는, 선단부(111')가 개구되면서 내부로 내용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요입된다.
상기 토출안내부재(112)는, 용기몸체(111)의 선단부(111')에 장착되어 내부에 관통된 통공(112')으로 내용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용기보호부(120)는, 상기 저장용기(110)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구성으로, 작동안내부재(121), 용기보호부재(122)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안내부재(121)는, 상기 저장용기(110)를 수용하면서 용기개폐부(130) 및 가압토출부(140)의 작동을 안내하는 구성으로, 원통형의 몸체(121a), 설치공간(121b), 안내공간(121c), 회전안내홈(121d)을 포함한다.
상기 원통형의 몸체(121a)는, 상기 저장용기(110)를 수용하도록 내부가 관통된 몸체이다.
상기 설치공간(121b)은, 상기 몸체(121a)의 일측에 관통되어 용기보호부재(122)의 설치돌기(122c)가 결합되면서 용기보호부재(122)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안내공간(121c)은, 상기 몸체(121a)의 내주면에 일정폭으로 대향하게 형성되어 가압토출부(140)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회전안내홈(121d)은, 상기 몸체(121a)의 외주면에 대향하게 요입되어 용기개폐부(130)의 회전을 안내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공간(121c)과 회전안내홈(121d)은 가압토출부(140)가 저장용기(110)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구성이므로 한 쌍으로 대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보호부재(122)는, 상기 작동안내부재(121)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구성으로, 보호몸체(122a), 설치공(122b), 설치돌기(122c)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몸체(122a)는, 상기 작동안내부재(121)를 수용하여 보호하도록 내부가 관통된 몸체이다.
상기 설치공(122b)은 상기 보호몸체(122a) 일측에 관통되어 저장용기(110)의 선단부(111')가 결합되어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설치돌기(122c)는, 상기 설치공(122b) 둘레의 보호몸체(122a) 내주면으로 돌출되어 작동안내부재(121)의 설치공간(121b)에 결합되는데, 상기 설치돌기(122c)가 설치공간(121b)에 결합되므로 작동안내부재(12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용기보호부재(122)에 결합된 작동안내부재(121)를 고정하는 고정부(123)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고정부(123)는, 고정돌기(123a), 고정홈(123b)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돌기(123a)는, 상기 용기보호부재(122)의 내주면 또는 작동안내부재(121)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 적어도 1개 이상 돌출된다.
상기 고정홈(123b)은, 상기 고정돌기(123a)와 대응되도록 다른 하나의 부재에 요입된다.
상기 용기개폐부(130)는, 상기 용기보호부(120)를 따라 회전하면서 저장용기(110)의 토출안내부재(112)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한 쌍의 회전안내부재(131), 개폐부재(132), 손잡이(13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안내부재(131)는, 상기 토출가압부(140)를 수용하도록 내부가 관통되며, 내면에는 작동안내부재(121)의 회전안내홈(121d)에 결합되도록 회전안내돌기(131')가 돌출된다.
상기 개폐부재(132)는, 상기 한 쌍의 회전안내부재(131)를 작동안내부재(121)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연결하고, 내면은 토출안내부재(112)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33)는 상기 개폐부재(132) 외면에 형성되어 개폐부재(1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132)가 토출안내부재(112)의 폐쇄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부(13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설정부(134)는 위치설정돌기(134a), 위치설정홈(134b)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설정돌기(134a)는, 상기 개폐부재(132)의 내면 또는 용기보호부재(122)의 외면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 돌출된다.
상기 위치설정홈(134b)은, 상기 위치설정돌기(134a)와 대응되도록 다른 하나의 부재에 요입된다.
상기 가압토출부(140)는, 상기 저장용기(110)의 양측을 가압하는 구성으로, 가압토출부재(141), 걸림턱(142)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토출부재(141)는, 상기 작동안내부재(121)의 안내공간(121c)을 따라 이동하면서 저장용기(110)의 측면을 가압한다.
상기 걸림턱(142)은, 상기 가압토출부재(141)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가압력이 해제된 가압토출부재(141)가 안내공간(121c)에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 및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일정량의 내용물이 용기몸체(111)에 저장된 저장용기(110)의 선단부(111')에 토출안내부재(112)를 결합하면, 상기 토출안내부재(112)의 외주면에 돌출된 실링돌기(미도시)가 선단부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견고하게 결합되고, 상기 토출안내부재(112)의 상단부 저면이 저장용기(110)의 선단부(111') 상면에 안착된다.
또한, 용기보호부(120)의 작동안내부재(121)를 용기보호부재(122)에 결합하여 작동안내부재(121)의 유동을 방지하는데, 이는 상기 작동안내부재(121)의 설치공간(121b)에 용기보호부재(122)의 설치돌기(122c)가 결합되므로 작동안내부재(12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작동안내부재(121)는 용기보호부재(122)에 고정부(123)에 의해서도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123)는 작동안내부재(121)와 용기보호부재(122)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 요입된 고정홈(123b)이 다른 부재에 돌출된 고정돌기(123a)에 결합되어 고정되는데,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고정돌기(123a)가 용기보호부재(122)의 보호몸체(122a) 내면에 돌출되고, 고정홈(123b)은 작동안내부재(121)의 몸체(121a) 외주면에 요입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상기 작동안내부재(121)가 용기보호부재(122)에 결합되면, 상기 작동안내부재(121)의 회전안내홈(121d)은 용기보호부재(122)의 보호몸체(122a)보다 더 돌출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안내부재(122)에 내용물이 저장된 저장용기(110)를 결합하는데, 상기 저장용기(110)의 선단부(111')는 용기보호부재(122)의 설치공(122b)으로 결합되어 돌출되면서 작동안내부재(121)의 몸체(121a)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저장용기(110)가 작동안내부재(1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용기(110)의 양측면으로 가압토출부(140)의 가압토출부재(141)를 각각 밀착시키는데, 상기 가압토출부재(141) 외주면에 돌출된 걸림턱(142)이 작동안내부재(121)의 몸체(121a)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면서 안내공간(121c)에 위치하면, 상기 걸림턱(142)은 가압토출부재(141) 외주면이 복원되면서 안내공간(121c)에 위치함과 동시에 가압토출부재(141) 내부의 가압면이 저장용기(110)의 용기몸체(111) 일측과 타측에 밀착되면서 저장용기(1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보호부재(122)의 보호몸체(122a)보다 외부에 위치한 작동안내부재(121)의 회전안내홈(121d)에 회전안내부재(131)의 회전안내돌기(131')를 결합하여 용기개폐부(130)의 회전안내부재(131)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회전안내부재(131)는 용기보호몸체(122)의 보호몸체(122a) 외면에 밀착되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안내돌기(131')가 회전안내홈(121d)에 결합되면, 회전안내부재(131)를 연결한 개폐부재(132)를 손잡이(133)의 가압으로 회전시키면서 개폐부재(132)가 토출안내부재(112)의 통공(112')을 폐쇄시키면 본 발명 화장품 용기(100)의 결합을 완료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132)의 내면 또는 용기보호부재(122) 외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된 위치고정부(134)의 위치고정돌기(134a)가 다른 하나에 요입된 위치고정홈(134b)에 결합되면서 개폐부재(132)가 토출안내부재(112)의 폐쇄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결합된 본 발명 화장품 용기(100)를 사용하려면, 도 6과 같이, 용기개폐부(130)의 손잡이(13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손잡이(133)의 회전방향으로 개폐부재(132)가 회전안내부재(131)를 회전시키면서 저장용기(110)의 토출안내부재(112)를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안내부재(131)는 작동안내부재(121)의 회전안내홈(121d)에 회전안내부재(131)의 회전안내돌기(131')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안내홈(121d)을 따라 회전함과 동시에 위치고정부(134)의 위치고정돌기(134a)가 위치고정홈(134b)으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용기개폐부(130)의 회전으로 토출안내부재(112)가 개방되면,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가압토출부(140)의 한 쌍의 가압토출부재(141)를 가압하는데, 상기 가압토출부재(141)는 가압력에 의해 작동안내부재(121)의 안내공간(121c)을 따라 몸체(121a)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안내공간(121c)을 따라 작동안내부재(121)의 몸체(121a)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가압토출부재(141)의 가압면이 저장용기(110)의 용기몸체(111) 양측면을 가압함과 동시에 용기몸체(111)에 저장된 내용물은 저장용기(110)의 선단부(111')에 결합된 토출안내부재(112)의 통공(112')으로 토출되고, 토출되는 내용물을 신체의 필요부위에 바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압토출부재(141)의 가압면은 중앙이 만곡되거나 저장용기(110)의 선단부(111')보다 타측의 타단부가 먼저 가압될 수 있도록 만곡되거나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저자용기(110)에 저장된 내용물을 소진시까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압력이 해제된 가압토출부재(141)는 도 9 내지 도 10과 같이, 저장용기(110)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데, 상기 가압토출부재(141)에 돌출된 걸림턱(142)이 작동안내부재(121)의 안내공간(121c)에 걸리면서 복원동작이 정지되고, 도 11과 같이, 용기개폐부(130)의 손잡이(133)를 개방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손잡이(133)의 반대방향 회전으로 개폐부재(132) 및 회전안내부재(131)는 회전안내돌기(131')가 결합된 작동안내부재(121)의 회전안내홈(121d)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위치고정부(134)의 위치고정돌기(134a)가 위치고정홈(134b)에 결합됨과 동시에 개폐부재(132)는 토출안내부재(112)의 통공(112')을 폐쇄시키면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화장품 용기 110: 저장용기
120: 용기보호부 130: 용기개폐부
140: 가압토출부

Claims (8)

  1. 내용물을 저장하면서 선단부에 토출안내부재가 장착된 튜브 타입의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를 수용하면서 용기개폐부 및 가압토출부의 작동을 안내하는 작동안내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안내부재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용기보호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용기보호부재에 결합된 작동안내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구비된 용기보호부와;
    상기 용기보호부에 장착되어 회전하면서 저장용기를 개폐하는 용기개폐부와;
    상기 용기개폐부의 회전으로 토출안내부재가 개방된 저장용기의 양측을 용기보호부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가압하여 저장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가압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안내부재는,
    상기 저장용기를 수용하는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 일측에 용기보호부재의 설치돌기가 결합되도록 관통된 설치공간과;
    상기 몸체 내주면에 요입되어 가압토출부의 이동 안내 및 이탈을 방지하는 안내공간과;
    상기 몸체 외주면에 요입되어 용기개폐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안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보호부재는,
    상기 작동안내부재를 수용하여 보호하도록 내부가 관통된 보호몸체와;
    상기보호몸체 일측에 관통되어 저장용기의 선단부가 돌출되도록 하는 설치공과;
    상기 설치공 둘레의 보호몸체 내주면으로 돌출되어 작동안내부재의 설치공간에 결합되는 설치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용기보호부재 내주면 또는 작동안내부재의 외주면 어느 하나의 부재에 적어도 1개 이상 돌출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다른 하나의 부재에 요입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개폐부는,
    상기 가압토출부를 수용하도록 내부가 관통되면서 작동안내부재의 회전안내홈에 회전안내돌기가 결합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연결하여 용기보호부를 따라 회전하면서 토출안내부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 외주면에 개폐부재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가 토출안내부재의 폐쇄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개폐부재의 내면 및 용기보호부재의 외면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 돌출되는 위치설정돌기와;
    상기 위치설정돌기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다른 하나의 부재의 요입되는 위치설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토출부는,
    작동안내부재의 안내공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저장용기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토출부재와;
    상기 가압토출부재 외주면에 돌출되어 안내공간 단부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
KR1020170093969A 2017-07-25 2017-07-25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 KR101799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969A KR101799478B1 (ko) 2017-07-25 2017-07-25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
PCT/KR2017/014855 WO2019022316A1 (ko) 2017-07-25 2017-12-15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969A KR101799478B1 (ko) 2017-07-25 2017-07-25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478B1 true KR101799478B1 (ko) 2017-11-20

Family

ID=60809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969A KR101799478B1 (ko) 2017-07-25 2017-07-25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9478B1 (ko)
WO (1) WO201902231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0122A (ja) * 2009-07-29 2013-01-07 ヨンウ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化粧品容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002B1 (ko) * 2013-06-18 2020-08-12 코웨이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KR20150096603A (ko) * 2014-02-14 2015-08-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170021106A (ko) * 2015-08-17 2017-02-27 노예우 액상 화장품 용기
KR20170042023A (ko) * 2015-10-08 2017-04-18 강성일 브러쉬가 내장된 마이크로 펌프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0122A (ja) * 2009-07-29 2013-01-07 ヨンウ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化粧品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2316A1 (ko) 2019-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960B1 (ko) 폴더 타입 화장품 용기
KR101899430B1 (ko) 제품, 특히 화장품 포장 및 도포용 시스템
KR102255920B1 (ko) 화장품 용기
KR101799478B1 (ko)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
US20200146428A1 (en) Brush apparatus for make up
KR200486863Y1 (ko) 화장품 용기
KR20180035463A (ko) 아이라이너
KR200492587Y1 (ko) 화장품 용기
KR102053626B1 (ko) 콤팩트 용기
KR20120005597U (ko) 립 글로스 용기
CN111818820A (zh) 化妆品容器
KR102052996B1 (ko) 화장품 컴팩트 용기
KR20180001542U (ko) 화장품 용기
KR200445862Y1 (ko) 회전형 족집게
KR101778581B1 (ko)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
KR102078686B1 (ko) 화장품 용기
JP2012012056A (ja) 塗布容器
JP4782029B2 (ja) 繰り出し容器
KR20130141331A (ko) 화장용 도포구 및 화장품 용기 조립체
KR20130001774U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110043124A (ko) 크림제품용 화장품 용기
JP7015493B2 (ja) 化粧料容器
KR200488424Y1 (ko) 클립 펜슬
EP3991598A2 (en) A refillable roll-on container for dispensing liquid
US20220055803A1 (en) Application container with weakened por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