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581B1 -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581B1
KR101778581B1 KR1020160036838A KR20160036838A KR101778581B1 KR 101778581 B1 KR101778581 B1 KR 101778581B1 KR 1020160036838 A KR1020160036838 A KR 1020160036838A KR 20160036838 A KR20160036838 A KR 20160036838A KR 101778581 B1 KR101778581 B1 KR 101778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applicator
moving
movemen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서희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160036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581B1/ko
Priority to PCT/KR2017/000455 priority patent/WO201717121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62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05B11/0064Lift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62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05B11/007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being opened by deformation of a sealing element made of resiliently deformable material, e.g. flaps, skirts, duck-bil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65D35/10Body construction made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36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applying contents to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pads or like contents-apply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어플리케이터의 측면에 다수의 내용물 토출홀이 형성됨으로써, 다수개의 내용물 토출홀을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직접 몸이나 얼굴의 넓은 부위에 한번에 도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므로,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Tube vessel with a applicator}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어플리케이터의 측면에 다수의 내용물 토출홀이 형성됨으로써, 다수개의 내용물 토출홀을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직접 몸이나 얼굴의 넓은 부위에 한번에 도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므로,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튜브용기란 내용물이 저장되는 튜브몸체와, 상기 튜브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튜브몸체를 지지하며 튜브몸체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배출홀이 형성되는 튜브네크와, 상기 튜브네크를 감싸며 결합되는 오버캡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튜브용기는 오버캡을 개방하여 튜브몸체로부터 캡을 탈리시킨 후, 튜브몸체를 가압하여 배출홀을 통해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을 손에 묻혀 피부에 도포하게 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어플리케이터를 통해 내용물을 직접 피부에 도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용기'가 등록특허 제10-1411990호(이하, '등록특허'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내용물이 수용되며, 그 상부에는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배출부가 구비되는 튜브몸체; 상기 배출부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이 이동하도록 그 내부에 내용물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상단을 감싸며 결합되어 사용자 피부에 내용물을 도포하되, 그 중앙부에 상기 내용물 이동통로와 연통되어 상기 내용물 이동통로를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내용물 토출홀이 형성되는 어플리케이터; 및 상기 지지체 및 어플리케이터를 감싸며 상기 배출부에 결합되되, 그 내측에 상기 내용물 토출홀을 개폐하는 개폐봉이 형성되는 오버캡;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체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하거나 마사지시, 피부의 굴곡에 따라 어플리케이터의 각도를 변화시키도록 그 하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그 상부가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등록특허는 손에 내용물을 묻히지 않고 어플리케이터를 통해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것은 가능하나, 토출홀이 1개만 형성되는 구조로 인하여, 한번에 넓은 부위에 내용물을 도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199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플리케이터의 측면에 다수의 내용물 토출홀이 형성됨으로써, 다수개의 내용물 토출홀을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직접 몸이나 얼굴의 넓은 부위에 한번에 도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므로,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튜브몸체; 상기 튜브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튜브몸체에 저장된 내용물이 상부로 이동하도록 내용물 이동통로를 형성하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용물 이동홀이 형성되는 내용물 이동부; 상기 내용물 이동부를 감싸며 결합되며 사용자 피부에 접촉되어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하되, 그 내측 상부에는 내용물의 토출여부에 따라 상기 내용물 이동홀을 개폐하는 개폐봉이 구비되며, 그 측면에는 상기 개폐봉이 내용물 이동홀을 개방시 내용물 이동홀과 연통되어 내용물 이동홀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다수의 내용물 토출홀이 형성되는 어플리케이터; 및 상기 어플리케이터를 감싸며 결합되되, 그 내측에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상단을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구비되는 오버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상단에는 내용물의 토출 여부에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였다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되, 내용물의 토출시에는 상방향으로 이동하였다가 내용물의 토출이 완료되면 복원되며 상기 개폐봉을 승하강시키는 탄성변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용물 이동홀을 통해 이동되는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토출홀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내용물 이동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용물 이동홈과 연통되어 상기 내용물 이동홈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상기 다수의 내용물 토출홀로 분배하는 내용물 분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 이동부의 상단에는 상기 내용물 이동홀을 개폐하는 개폐봉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의 양측에는 상기 내용물 이동홀을 통해 이동되는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이동홈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내용물 이동홈과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 이동부에는 상기 내용물 이동홀을 통해 이동되는 내용물이 상기 다수의 내용물 토출홀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내용물 이동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 이동부에는 상기 내용물 이동홈과 연통되어 상기 내용물 이동홈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상기 다수의 내용물 토출홀로 분배하는 내용물 분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 이동부의 외주면 하부에는 상기 어플리케이터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하부를 감싸며 상기 내용물 이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어플리케이터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어플리케이터의 측면에 다수의 내용물 토출홀이 형성됨으로써, 다수개의 내용물 토출홀을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직접 몸이나 얼굴의 넓은 부위에 한번에 도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므로,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단면도.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단면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는 튜브몸체(100), 내용물 이동부(200), 어플리케이터(300), 오버캡(400)이 포함된다.
상기 튜브몸체(100)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연질의 튜브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용물 이동부(200)는 상기 튜브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튜브몸체(100)를 지지하며, 내용물 이동통로(S)를 형성하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튜브몸체(100)에 저장된 내용물이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내용물 이동통로(S)를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이 후술할 어플리케이터(300)의 내용물 이동홈(34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그 상부에 내용물 이동홀(21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이동부(200)의 상단에는 상기 내용물 이동홀(210)을 개폐하는 개폐봉(330)이 삽입되도록 삽입홀(220)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삽입홀(220)은 내용물 토출 여부에 따라 탄성변형부(320)가 변형되어 개폐봉(330)이 승하강되는 과정에서 개폐봉(300)이 수직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여 내용물 이동홀(210)을 정확하게 폐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삽입홀(220)의 양측에는 상기 내용물 이동홀(210)을 통해 이동되는 내용물이 어플리케이터(300)의 내용물 이동홈(34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내용물 이동홈(340)과 연통되는 연통홀(23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내용물 이동부(200)의 외주면 하부에는 어플리케이터(30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턱(24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내용물 이동부(200)에는 어플리케이터(300)의 하부를 감싸며 결합되어 어플리케이터(300)를 지지하는 지지체(5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체(500)의 상부에는 어플리케이터(300)가 내용물 이동부(200)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어플리케이터(300)의 지지돌기(360) 상단을 가압하는 걸림턱(510)이 구비된다.
상기 어플리케이터(300)는 상기 내용물 이동부(200)를 감싸며 결합되며 사용자 피부에 접촉되어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것으로서, 상기 어플리케이터(300)의 내측 상부에는 내용물의 토출여부에 따라 상기 내용물 이동홀(210)을 개폐하는 개폐봉(330)이 구비되며, 그 측면에는 상기 개폐봉(330)이 내용물 이동홀(210)을 개방시 내용물 이동홀(210)과 연통되어 내용물 이동홀(210)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다수의 내용물 토출홀(310)이 형성된다.
상기 개폐봉(330)은 내용물의 토출여부에 따라 승하강되며 내용물 이동홀(210)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300)의 상단에는 내용물의 토출 여부에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였다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는 탄성변형부(320)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탄성변형부(320)는 내용물의 토출시에는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하였다가 내용물의 토출이 완료되면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며 상기 개폐봉(330)을 승하강시킴으로써, 상기 개폐봉(330)을 통한 내용물 이동홀(210)의 개폐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터(300)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용물 이동홀(210)을 통해 이동되는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토출홀(310)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내용물 이동홈(340)이 형성되는데, 상기 내용물 이동홈(340)은 내용물 이동부(200)의 연통홀(230)과 연통되도록 어플리케이터(300)의 내주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연통홀(230)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이 내용물 토출홀(310)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터(300)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용물 이동홈(340)과 연통되어 상기 내용물 이동홈(340)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상기 다수의 내용물 토출홀(310)로 분배하는 내용물 분배홈(350)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내용물 분배홈(350)에는 다수의 내용물 토출홀(310)이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되어 내용물 분배홈(350)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이 다수의 내용물 토출홀(310)을 통해 한번에 외부로 토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터(300)의 하부에는 어플리케이터(300)가 내용물 이동부(200)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체(500)의 걸림턱(510)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돌기(360)가 구비된다.
상기 오버캡(400)은 상기 어플리케이터(300)를 감싸며 지지체(50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그 내측 상부에는 상기 어플리케이터(300)의 상단을 이루는 탄성변형부(320)를 가압하는 가압돌기(410)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돌기(410)는 오버캡(400)이 지지체(5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변형부(320)를 가압하여 개폐봉(330)에 의해 내용물 이동홀(210)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용기를 보관중에 튜브몸체(100)가 가압되어도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터(300)의 개폐봉(330)에 의해 내용물 이동부(200)의 내용물 이동홀(210)이 폐쇄된 상태에서 튜브몸체(100)를 가압하게 되면, 튜브몸체(100)에 저장된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탄성변형부(320)의 변형이 이루어지며 상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탄성변형부(320)의 하부에 위치하는 개폐봉(330)이 함께 상승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개폐봉(330)이 내용물 이동홀(210)로부터 이격되며 내용물 이동홀(210)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내용물 이동홀(210)이 개방되면, 튜브몸체(100)에 저장된 내용물이 내용물 이동홀(210)을 통해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 이동홀(210)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이 연통홀(230)을 통해 내용물 이동홈(340)을 거쳐 내용물 분배홈(350)으로 이동하게 되며, 내용물 분배홈(350)으로 이동된 내용물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 분배홈(350)에 형성된 다수의 내용물 토출홀(310)을 통해 외부로 토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내용물 토출을 완료한 후, 튜브몸체(100)의 가압을 해제하게 되면, 탄성변형부(320)가 복원되며 하강함에 따라 개폐봉(330)이 함께 하강하여 내용물 이동홀(210)을 폐쇄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터(300)의 측면에 다수의 내용물 토출홀(310)을 형성하고, 내용물 이동홀(210)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이 연통홀(230)을 통해 내용물 이동홈(340)을 거쳐 내용물 분배홈(350)으로 이동하여 다수의 내용물 토출홀(310)을 통해 외부로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수개의 내용물 토출홀(310)을 통해 골고루 토출되는 내용물을 어플리케이터(300)를 통해 직접 몸이나 얼굴의 넓은 부위에 한번에 도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므로,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는, 내용물 이동부(200)의 삽입홀(220) 양측에, 내용물 이동홀(210)을 통해 이동되는 내용물이 내용물 토출홀(310)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내용물 이동홈(250)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내용물 이동홈(250)의 끝단에는 내용물 이동홈(250)과 연통되어 상기 내용물 이동홈(250)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다수의 내용물 토출홀(310)로 분배하는 내용물 분배홈(260)이 형성된다.
상기 내용물 분배홈(260)은 다수의 내용물 토출홀(310)로 내용물이 골고루 이동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내용물이 다수의 내용물 토출홀(310)을 통해 한번에 외부로 토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상기 내용물 분배홈(260)은 어플리케이터(300)에 형성되는 다수의 내용물 토출홀(310) 구조에 따라 대응되는 형상으로 다양하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기타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그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튜브몸체 200: 내용물 이동부
210: 내용물 이동홀 220: 삽입홀
230: 연통홀 240: 이탈방지턱
250: 내용물 이동홈 260: 내용물 분배홈
300: 어플리케이터 310: 내용물 토출홀
320: 탄성변형부 330: 개폐봉
340: 내용물 이동홈 350: 내용물 분배홈
360: 지지돌기 400: 오버캡
410: 가압돌기 500: 지지체
510: 걸림턱

Claims (9)

  1. 내용물이 저장되는 튜브몸체;
    상기 튜브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튜브몸체에 저장된 내용물이 상부로 이동하도록 내용물 이동통로를 형성하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용물 이동홀이 형성되는 내용물 이동부;
    상기 내용물 이동부를 감싸며 결합되며 사용자 피부에 접촉되어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하되, 그 내측 상부에는 내용물의 토출여부에 따라 상기 내용물 이동홀을 개폐하는 개폐봉이 구비되며, 그 측면에는 상기 개폐봉이 내용물 이동홀을 개방시 내용물 이동홀과 연통되어 내용물 이동홀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다수의 내용물 토출홀이 형성되는 어플리케이터; 및
    상기 어플리케이터를 감싸며 결합되되, 그 내측에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상단을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구비되는 오버캡;을 포함하되,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상단에는 내용물의 토출 여부에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였다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되, 내용물의 토출시에는 상방향으로 이동하였다가 내용물의 토출이 완료되면 복원되며 상기 개폐봉을 승하강시키는 탄성변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용물 이동홀을 통해 이동되는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토출홀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내용물 이동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용물 이동홈과 연통되어 상기 내용물 이동홈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상기 다수의 내용물 토출홀로 분배하는 내용물 분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이동부의 상단에는 상기 내용물 이동홀을 개폐하는 개폐봉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의 양측에는 상기 내용물 이동홀을 통해 이동되는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이동홈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내용물 이동홈과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이동부에는 상기 내용물 이동홀을 통해 이동되는 내용물이 상기 다수의 내용물 토출홀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내용물 이동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이동부에는 상기 내용물 이동홈과 연통되어 상기 내용물 이동홈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상기 다수의 내용물 토출홀로 분배하는 내용물 분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
  8. 청구항 5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이동부의 외주면 하부에는 상기 어플리케이터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하부를 감싸며 상기 내용물 이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어플리케이터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
KR1020160036838A 2016-03-28 2016-03-28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 KR101778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838A KR101778581B1 (ko) 2016-03-28 2016-03-28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
PCT/KR2017/000455 WO2017171213A1 (ko) 2016-03-28 2017-01-13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838A KR101778581B1 (ko) 2016-03-28 2016-03-28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8581B1 true KR101778581B1 (ko) 2017-09-14

Family

ID=59926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838A KR101778581B1 (ko) 2016-03-28 2016-03-28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78581B1 (ko)
WO (1) WO20171712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3888A1 (fr) * 2017-09-29 2019-04-04 Aptar France Sas Tete de distribution et d'applic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107Y1 (ko) 2012-06-11 2013-09-17 양향우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101411990B1 (ko) 2014-03-14 2014-06-26 (주)연우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용기
KR101511120B1 (ko) * 2014-04-11 2015-05-15 (주)연우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9116B1 (fr) * 2001-09-04 2004-08-27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un produit, notamment cosmetique
GB0613057D0 (en) * 2006-06-30 2006-08-09 Novartis Ag Applicator unit
KR101560642B1 (ko) * 2013-12-30 2015-10-15 (주)연우 이종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용기
KR200480111Y1 (ko) * 2014-08-13 2016-04-15 (주)아모레퍼시픽 도포부재가 구비된 겔상 화장료용 펌프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107Y1 (ko) 2012-06-11 2013-09-17 양향우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101411990B1 (ko) 2014-03-14 2014-06-26 (주)연우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용기
KR101511120B1 (ko) * 2014-04-11 2015-05-15 (주)연우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3888A1 (fr) * 2017-09-29 2019-04-04 Aptar France Sas Tete de distribution et d'appl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71213A1 (ko) 201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875B1 (ko) 노즐고정형 펌핑식 화장품용기
JP4753233B2 (ja) 定量塗布容器
KR20150103858A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EP3718914B1 (en) Liquid contents discharge container
US8528791B2 (en) Closure device comprising a measuring cap, intended to be connected to a flexible container
KR101511120B1 (ko)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용기
JP6014425B2 (ja) 吐出容器
KR20120061258A (ko) 디스펜서 용기
KR20170108311A (ko) 화장품 용기
KR20140026694A (ko) 측면 버튼 가압식 화장품용기
KR101778581B1 (ko)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 용기
KR20100101407A (ko)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
US10919687B2 (en) Dispenser with cap
US10004315B2 (en) Syringe-type cosmetic container
KR20080024354A (ko) 배출용기
KR20120061259A (ko) 디스펜서 용기
KR101360319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액상 화장품 용기
KR101246144B1 (ko) 분말과 액상 공용 화장품 용기
JPH0369466A (ja) 垂直移動閉鎖装置
KR101570132B1 (ko) 화장퍼프를 구비한 튜브용기
KR101789490B1 (ko)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용기
US20080298877A1 (en) Housing and movement control system for cosmetic containers
KR101806530B1 (ko)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KR200400309Y1 (ko) 튜브형 화장품용기의 밸브장치
KR101799478B1 (ko)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