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1407A -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 - Google Patents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1407A
KR20100101407A KR1020090019882A KR20090019882A KR20100101407A KR 20100101407 A KR20100101407 A KR 20100101407A KR 1020090019882 A KR1020090019882 A KR 1020090019882A KR 20090019882 A KR20090019882 A KR 20090019882A KR 20100101407 A KR20100101407 A KR 20100101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shoulder
cosmetic container
moving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2843B1 (ko
Inventor
송호석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피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피월드 filed Critical (주)에스엔피월드
Priority to KR1020090019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843B1/ko
Priority to PCT/KR2010/001439 priority patent/WO2010104304A2/ko
Publication of KR20100101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3Powder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1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with openings in the lid, able to be opened or closed by displacing or rotating a cover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smetic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납되는 수용부; 수용부의 상부에 고정체결되어 수용부의 개구부를 차단하며, 몸체에 이송공이 형성된 지지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중공체로서, 하측에는 수용부 또는 지지부와 결합되는 하부 체결부를 갖는 숄더부; 일측이 개구된 몸체의 외경이 숄더부의 관통홀의 상부 내경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숄더부의 상부에서 관통홀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부에 안착되며, 저면부에는 지지부에 형성된 이송공에 대응되는 배출공이 형성된 분배부; 및 분배부 내부에 삽입 안착되는 터치부재를 갖는 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는 사용자가 숄더부를 회전시켜 구간이동을 시킴에 의해 배출과 차단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분배부의 돌출기둥과 경계턱에 의해 화장용 파우더가 터치부재에 골고루 이송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분배부의 파지부를 위로 올리는 간단한 동작으로 터치부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화장용기, 구간이동, 터치부, 숄더부, 분배부

Description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MAKE-UP RECEPTACLE HAVING SECTION-MOVABLE SHOULDER MEMBER}
본 발명은 화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장용기는 사용자가 한 손에는 화장품이 수납된 수용부를 잡고, 다른 손으로는 얼굴 등에 닿는 스펀지 등으로 된 터치부로 이원화된 구성이 일반적이다.
최근 종래의 수용부와 터치부를 일체화한 구성이 일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일체형 종래기술은 수용부의 내용물을 잘 배출하는 기술적 구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화장용기의 경우, 내용물을 잘 배출하는 것도 중요한 점이나, 내용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차단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사용자가 화장을 하지 않을 경우이거나, 지나치게 많이 배출되어 차단한 상태에서도 충분히 화장을 할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이 차단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또한, 수용부와 터치부를 일체화한 구성이나, 사용횟수가 많아짐에 따라 오염된 터치부를 보다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는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첫째, 수용부에 저장된 내용물의 배출량을 사용자가 숄더부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조절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수용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터치부에 보다 골고루 이송되게 하고자 한다.
셋째, 오염된 터치부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납되는 수용부; 수용부의 상부에 고정체결되어 수용부의 개구부를 차단하며, 몸체에 이송공이 형성된 지지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중공체로서, 하측에는 수용부 또는 지지부와 결합되는 하부 체결부를 갖는 숄더부; 일측이 개구된 몸체의 외경이 숄더부의 관통홀의 상부 내경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숄더부의 상부에서 관통홀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부에 안착되며, 저면부에는 지지부에 형성된 이송공에 대응되는 배출공이 형성된 분배부; 및 분배부 내부에 삽입 안착되 는 터치부재를 갖는 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는 수용부의 상측 외면과 숄더부의 하측 내면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 또는 지지부의 외면과 숄더부의 하측 내면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구간이동홈 및 구간이동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구간이동돌기가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어 숄더부가 구간이동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는 숄더부의 회전에 따른 구간이동에 의해 분배부 및 터치부도 일체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는 숄더부의 구간이동에 따라, 지지부의 이송공과 분배부의 배출공이 상호 겹쳐진 개방상태 또는 겹쳐지지 않은 폐쇄상태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는 터치부재의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배출채널이 구비되고, 배출채널은 분배부의 배출공과 연통되게
본 발명에 따른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는 사용자가 숄더부를 회전시켜 구간이동을 시킴에 의해 배출과 차단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분배부의 돌출기둥과 경계턱에 의해 화장용 파우더가 터치부재에 골고루 이송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분배부의 파지부를 위로 올리는 간단한 동작으로 터치부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 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화장용기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분해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00), 지지부(200), 숄더부(300), 분배부(400) 및 터치부(500)를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100)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내용물인 화장용 파우더가 수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200)는 수용부(100)의 상부에 고정체결되어 수용부(100)의 개구부(110)를 차단한다. 일반적으로는 편평한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200)의 몸체(210)에는 이송공(220)이 형성된다. 지지부(200)는 예를 들어 판 형상의 단부가 수용부(100) 상부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내용물 재충전 등 필요시에는 고정상태를 해제하고 분리시킬 수 있다.
지지부(200)의 이송공(220)은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단수 개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수용부(100) 내부에 저장된 화장용 파우더는 지지 부(200)의 이송공(220)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숄더부(300)는 중앙에 관통홀(310)이 형성된 중공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체결부(320)는 수용부(100)에 결합될 수도 있고, 지지부(2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숄더부(300)의 하부체결부(320)와 수용부(100)가 결합되는 실시예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지지부(200)의 단부가 보다 아래로 형성되어 숄더부(300)의 하부체결부(320)와 체결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미도시). 한편, 하부체결부(320)의 결합구조는 암수결합 등 다양한 구조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배부(400)는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구비된다. 즉 분배부(400)의 몸체(410)는 일측이 개구되어 있다. 몸체(410)의 외경은 숄더부(300)의 관통홀(310)의 상부 내경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분배부(400)는 숄더부(300)의 상부에서 관통홀(310) 내부로 삽입되어, 예를 들어 돌기형상의 체결부(430) 등에 의한 암수결합으로 지지부(200)에 안착된다(도 3 참조). 그러나 암수결합구조 뿐만아니라 강제끼움결합구조, 나사결합구조 등 다양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분배부(400)의 저면부(420)에는 지지부(200)에 형성된 이송공(220)에 대응되는 배출공(421)이 형성된다.
이송공(220)과 배출공(421)이 복수 개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송공(220)의 개수 또는 사이즈와 배출공(421)의 개수 또는 사이즈가 반드시 일치될 필요는 없으나, 일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도 4 및 도 5 참조)
이송공(220)과 배출공(421)이 단수개 형성되는 경우에는, 회전에 따라 구멍의 일치/불일치가 발생하는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부(500)는 분배부(400)의 내부에 삽입 안착되는 터치부재(510)를 가진다. 터치부재(510)는 사용자가 피부 등에 터치하는 부분으로서, 필요시 터치부재(510) 외면을 감싸는 외피(520)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부재(510)는 강제끼움 방식으로 삽입안착되거나, 터치부(500) 외면과 분배부(400) 내면에 암수 결합구조를 형성시켜 삽입안착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삽입안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숄더부(300) 및 분배부(400)와 터치부(500)의 구간이동이 가능한 기술적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숄더부(300)가 수용부(100)에 결합되는 실시예의 경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00)의 상측 외면과 숄더부(300)의 하측 내면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구간이동홈(121) 및 구간이동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구간이동돌기(341)가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수용부(100)의 상측 외면에 구간이동홈(121)이 형성되면 숄더부(300)의 하측 내면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구간이동돌기(341)가 형성된다. 그 반대의 경우도 물론 가능하다.
다음으로, 숄더부(300)가 지지부(200)에 결합되는 실시예의 경우,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지지부(200)의 가장자리 외면에 구간이동홈이 형성되고, 숄더부(300)의 하측 내면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구간이동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 반대의 경우도 물론 가능하다.
수용부(100)와 지지부(200)가 일체로 결합되고, 숄더부(300), 분배부(400) 및 터치부(500)가 일체로 결합된다. 따라서 숄더부(300)의 회전에 따라 구간이동홈의 간격을 구간이동돌기에 의해 숄더부(300)는 구간이동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숄더부(300)에 일체로 결합된 분배부(400) 및 터치부(500)도 일체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숄더부(300)의 구간이동에 따라, 지지부(200)의 이송공(220)과 분배부(400)의 배출공(421)이 상호 겹쳐진 개방상태(도 4 참조)에서 겹쳐지지 않은 폐쇄상태(도 5 참조)로 변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일부 개방상태 또는 일부 폐쇄상태도 당연히 가능하다.
터치부재(510)가 다공성 소재로 구비되어 별도의 배출채널(511)이 없어도 파우더의 배출이 용이한 경우에는 배출채널(511)이 없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러나 파우더의 이송 및 배출을 보다 원활히 하기 위하여 터치부재(510)의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배출채널(511)이 구비될 수 있다.(도 3 참조)
본 발명에 따른 분배부(400)의 저면부(4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기둥(4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터치부재(510)는 돌출기둥(422) 위에 안착될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터치부재(510)의 하면과 분배부(400)의 배출공(421)과의 간격이 생겨서 파우더가 터치부재(510)의 하면 곳곳에 골고루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배부(400)의 내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 계턱(4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터치부재(510)는 경계턱(440)에 안착될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터치부재(510)의 하면과 분배부(400)의 배출공(421)과의 간격이 생겨서 파우더가 터치부재(510)의 하면 곳곳에 골고루 이송될 수 있다. 경계턱(440)은 과도하게 내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왜냐하면 경계턱(440)에 접촉된 터치부재(500)의 하면에는 파우더가 이송되기 곤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터치부재(500)가 안착될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분배부(400)에 돌출기둥(422)과 경계턱(440)이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양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분배부(400)의 상단에는 외부로 돌출형성된 파지부(450)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부(500)는 일반적으로 터치부재(510)를 감싸는 외피(520)를 구비하는 경우가 많다. 터치부재(510)가 오염되었을 때 외피(520)를 교체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는 부분을 별도의 외피(520)로 구비하는 것이 타당한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외피(520)는 또한 외피(520)의 단부가 파지부(450)에 결합하여 터치부재(510)를 안착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 경우 외피(520)의 단부는 탄성 소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기는 터치부(500)를 수용하도록 일 측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숄더부(300) 또는 수용부(100)에 체결되는 캡(600)이 더 구비될 수 있 다. 캡(600)의 외면 일측에는 거울(610)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도 3 참조)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화장용기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숄더부의 구간이동 전에 지지부의 이송공과 분배부의 배출공이 겹쳐져 연통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숄더부의 구간이동 후에 지지부의 이송공과 분배부의 배출공이 겹쳐지지 않아 연통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수용부 110 : 개구부
120 : 구간이동부 121 : 구간이동홈
200 : 지지부 210 : 몸체
220 : 이송공 230 : 체결부
300 : 숄더부 310 : 관통홀
320 : 하부체결부 330 : 상부체결부
340 : 구간이동부 341 : 구간이동돌기
400 : 분배부 410 : 몸체
420 : 저면부 421 : 배출공
422 : 돌출기둥 430 : 체결부
440 : 경계턱 450 : 파지부
500 : 터치부 510 : 터치부재
511 : 배출채널 520 : 외피
600 : 캡 610 : 거울

Claims (11)

  1.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고정체결되어 수용부의 개구부를 차단하며, 몸체에 이송공이 형성된 지지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중공체로서, 하측에는 상기 수용부 또는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는 하부 체결부를 갖는 숄더부;
    일측이 개구된 몸체의 외경이 상기 숄더부의 관통홀의 상부 내경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숄더부의 상부에서 관통홀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에 안착되며, 저면부에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이송공에 대응되는 배출공이 형성된 분배부; 및
    상기 분배부 내부에 삽입 안착되는 터치부재를 갖는 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상측 외면과 상기 숄더부의 하측 내면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 또는 상기 지지부의 외면과 상기 숄더부의 하측 내면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구간이동홈 및 구간이동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구간이동돌기가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어 숄더부가 구간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의 회전에 따른 구간이동에 의해 분배부 및 터치부도 일체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의 구간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부의 이송공과 상기 분배부의 배출공이 상호 겹쳐진 개방상태 또는 겹쳐지지 않은 폐쇄상태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재의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배출채널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채널은 상기 분배부의 배출공과 연통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의 저면부에는 돌출기둥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의 내측에는 경계턱이 형성되어, 상기 터치부재의 하면이 상기 경계턱 상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의 저면부에는 돌출기둥이 형성되며, 경계턱과 돌출기둥의 높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의 상단에는 외부로 돌출형성된 파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터치부재의 외면을 감싸는 외피가 더 구비되며, 상기 외피의 단부는 상기 파지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를 수용하도록 일 측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숄더부 또는 상기 수용부에 체결되는 캡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
KR1020090019882A 2009-03-09 2009-03-09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 KR101072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882A KR101072843B1 (ko) 2009-03-09 2009-03-09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
PCT/KR2010/001439 WO2010104304A2 (ko) 2009-03-09 2010-03-08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882A KR101072843B1 (ko) 2009-03-09 2009-03-09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407A true KR20100101407A (ko) 2010-09-17
KR101072843B1 KR101072843B1 (ko) 2011-10-18

Family

ID=42728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882A KR101072843B1 (ko) 2009-03-09 2009-03-09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72843B1 (ko)
WO (1) WO2010104304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146B1 (ko) * 2013-06-10 2014-12-05 (주)에스엔피월드 중공형 숄더에 퍼프를 결합한 화장용 파우더 용기
WO2017078493A1 (ko) * 2015-11-06 2017-05-1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변의 분리 및 감염 관리를 위한 진보된 소변 검사용 용기
WO2020091319A1 (ko) * 2018-10-31 2020-05-07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그라인딩 파우더 리필 화장품 용기
US11109845B2 (en) 2015-11-06 2021-09-07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Urine test container for urine separation and infection contro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786B1 (ko) 2011-03-23 2012-03-22 황재광 정량 배출 파우더 용기
KR101081204B1 (ko) * 2011-04-15 2011-11-07 황재광 브러쉬가 장착된 회전형 파우더 용기
KR101397395B1 (ko) 2013-06-08 2014-05-20 (주)에스엔피월드 퍼프를 결합한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472590Y1 (ko) 2013-06-28 2014-05-09 장기영 흑채 저장용기
KR101413663B1 (ko) * 2014-04-10 2014-08-06 정규선 화장용 파우더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51228A (en) * 1999-06-24 2000-12-27 Kay Eaton Powder applicator
US6988642B2 (en) * 2002-10-29 2006-01-24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Tamper-evident dispenser bottle
KR200378482Y1 (ko) * 2004-12-07 2005-03-11 유강식 휴대용 분통
KR200402608Y1 (ko) * 2005-09-02 2005-12-02 주식회사 태평양 파우더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파우더 용기
US20080178903A1 (en) 2007-01-25 2008-07-31 Timothy Thorpe Rotating Sift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146B1 (ko) * 2013-06-10 2014-12-05 (주)에스엔피월드 중공형 숄더에 퍼프를 결합한 화장용 파우더 용기
WO2017078493A1 (ko) * 2015-11-06 2017-05-1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변의 분리 및 감염 관리를 위한 진보된 소변 검사용 용기
US11109845B2 (en) 2015-11-06 2021-09-07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Urine test container for urine separation and infection control
WO2020091319A1 (ko) * 2018-10-31 2020-05-07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그라인딩 파우더 리필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2843B1 (ko) 2011-10-18
WO2010104304A2 (ko) 2010-09-16
WO2010104304A3 (ko) 201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2843B1 (ko)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
US7997820B2 (en) Multi-applicator package with single handle
KR101253099B1 (ko) 콤팩트 용기
US20130121752A1 (en) Powder cosmetic brush
US20160073762A1 (en) Airless cosmetic container capable of discharging cosmetic product content in various patterns
US11602212B2 (en) Cosmetic case
KR200463142Y1 (ko) 콤팩트 케이스
KR102221054B1 (ko) 회전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필형 화장품 용기
KR100702621B1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102156554B1 (ko) 화장품 용기
KR20160037425A (ko)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KR101261025B1 (ko) 퍼프 내장형 용기
KR101688623B1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200452331Y1 (ko) 기능성 화장품용기
KR20180006204A (ko) 립글로스 용기
KR101549758B1 (ko) 네일용 스톤 펜슬
US20080298877A1 (en) Housing and movement control system for cosmetic containers
KR20130001774U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0586797B1 (ko) 브러시 일체형 승강식 립스틱
JP3211373U (ja) 美容器および美容器セット
KR200468389Y1 (ko) 화장품 내용물 배출용기
AU2022358642B2 (en) Cosmetic case
KR200467811Y1 (ko) 화장품 용기
CN220655001U (zh) 一种唇彩瓶
KR102355492B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