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811Y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811Y1
KR200467811Y1 KR2020110007248U KR20110007248U KR200467811Y1 KR 200467811 Y1 KR200467811 Y1 KR 200467811Y1 KR 2020110007248 U KR2020110007248 U KR 2020110007248U KR 20110007248 U KR20110007248 U KR 20110007248U KR 200467811 Y1 KR200467811 Y1 KR 2004678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ntainer
contents
cosmetic
discharge port
makeup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2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144U (ko
Inventor
김거수
김동명
윤평
탁기민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72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811Y1/ko
Publication of KR201300011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1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8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72Details
    • A46B11/0079Arrangements for preventing undesired leakage or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8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상기 화장품 용기 내에 배치되어 상기 화장품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연결편, 상기 연결편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누름부, 및 상기 연결편의 타단부에 결합된 화장도구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선택부 및 상기 누름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갖고 상기 화장도구 선택부를 둘러싸고 있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을 토출하는 내용물 토출부를 그 말단에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 토출부는 상기 누름부의 상기 이동에 의해 상기 화장도구가 출입하는 토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이 들어있는 용기 안에 다수의 화장도구가 존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화장도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한가지 제품으로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S VESSEL}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화장도구를 내장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점액 상태의 화장품을 사용하는 경우 용기의 내부에 화장품 용액이 충진되고 충진된 화장품 용액을 브러쉬 또는 팁을 이용하여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화장품 용기의 뚜껑에 브러쉬 또는 팁을 부착한 형태의 경우 사용이 용이하나 화장품 용액이 어느 정도 소모되면 브러쉬 또는 팁에 화장품 용액이 묻어나지 않아 완벽히 사용하지 못하고 버려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그리고 화장품 용액을 소모하고 난 후 소모된 공간은 외부 공기로 채워지기 때문에 쉽게 변질될 우려가 있고, 외부 공기의 유입으로 화장품이 굳어져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브러쉬 또는 팁을 내장한 화장품 용기는 원하는 도구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없고 정해진 도구만을 사용해야하고, 사용자의 취향이나 도포하는 부위에 알맞는 적절한 도구를 선택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의 화장도구를 장착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 용기 내에 배치되어 상기 화장품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연결편, 상기 연결편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누름부, 및 상기 연결편의 타단부에 결합된 화장도구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선택부 및 상기 누름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갖고 상기 화장도구 선택부를 둘러싸고 있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을 토출하는 내용물 토출부를 그 말단에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 토출부는 상기 누름부의 상기 이동에 의해 상기 화장도구가 출입하는 토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내용물 토출부는 상기 화장품 용기의 상기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누출 방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누출 방지 부재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내용물 토출부의 내부면은 상기 토출구를 향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내용물 토출부는 상기 화장도구를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화장도구 안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토출구와 마주보는 안내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토출구에 삽입되어 상기 화장품 용기의 상기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누출 방지 부재 결합부를 갖는 뚜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내용물이 들어있는 용기 안에 다수의 팁이 존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한가지 제품으로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화장품이 묻은 브러쉬가 용기 밖으로 나와 내용물을 끝까지 사용할 수 있어 버려지는 화장품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화장품 용기의 외부로 화장도구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내부판에 결합된 화장도구 선택부를 나타낸다.
도 4는 상단 몸체부와 하단 몸체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 토출부에 결합된 누출 방지 부재와 뚜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7c는 화장품 용기에서 화장도구가 나오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고안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품 용기(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화장품 용기(1)에서 화장도구(15)가 밖으로 토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화장품 용기(1)는 화장도구 선택부(10), 상단 몸체부(20), 하단 몸체부(30), 내용물 토출부(40), 및 뚜껑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도구 선택부(10)는 연결편(12)의 일단부에 화장도구(15)가 결합되고 타단부에 누름부(11)가 결합되며, 연결편(12)은 탄성부재(16)에 끼워질 수 있다.
상단 몸체부(20)는 화장도구 선택부(10)의 누름부(11)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홈(21)을 포함할 수 있다.
하단 몸체부(30)는 상단 몸체부(20)와 연결되고 말단에는 화장도구(15)의 반입 및 반출을 위한 내용물 토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용물 토출부(40)는 하단 몸체부(30)와 연결되고 화장도구(15)가 출입하는 토출구(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단 몸체부(30)가 토출구(41)를 향해 기울어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화장품 용기(1)에 포함된 내용물이 묻은 화장도구(15)의 출입이 용이할 수 있도록 상기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상단 몸체부(20)의 내부판(23)에 결합된 화장도구 선택부(10)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탄성부재(14)는 상단 몸체부(20)의 하단에 배치된 내부판(23)과 누름부(11) 사이에 장착되어 압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내부판(23)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24)을 포함할 수 있다.
막대형상의 연결편(12)의 하단부에는 화장도구(15)가 착탈가능한 결합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3)에는 내용물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화장도구(15)가 결합될 수 있으며, 화장도구(15)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누름부(11)와 연결된 연결편(12)은 탄성부재(14)에 끼워질 수 있고 누름부(11)를 사용자가 누르면 탄성부재(14)가 압축되고 화장도구(15)가 화장품 용기(1)의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반출될 수 있다. 탄성부재(14)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단 몸체부(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21)이 종설될 수 있고, 가이드홈(21)에는 각각의 연결편(12)으로 연결된 누름부(11)가 손가락에 의해 용이하게 눌려지도록 돌출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단 몸체부(10)는 화장품 용기(1)의 내부에 투입되는 내용물이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한 덮개(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화장도구 선택부(10)와 결합된 상단 몸체부(20)가 하단 몸체부(30)와 분리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화장품 용기(1)의 하단 몸체부(30)에는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용물은 점성이 강하여 쉽게 흘러나오지 않는 화장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마스카라 또는 립글로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화장품 용기(1)의 내용물 토출부(40)에 결합된 누출 방지 부재(42)와 뚜껑부(5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장품 용기(1)의 내용물 토출부(40)에는 내용물이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장도구(15)에 묻은 여분의 화장품이 닦일 수 있는 누출 방지 부재(42)가 결합될 수 있다.
누출 방지 부재(42)가 내용물 토출부(40)에 결합되면 누출 방지 부재(42)에 형성된 토출구(41)를 통해 화장도구(15)가 화장품 용기(1)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누름부(11)를 누르는 경우 누름부(11)에 연결된 연결편(12)과 결합된 화장도구(15)가 화장품 용기(1)의 하단 몸체부(30)의 내부 벽에서부터 토출구(41)로 이어지는 상기 내용물 토출부(40)의 내측에 형성된 면을 타고 정확히 토출구(41)를 통해 외부로 반출될 수 있다.
누출 방지 부재(42)의 형태는 본 명세서의 도면에 나타낸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누출 방지 부재(42)에 형성된 토출구(41)의 상단과 하단의 면적이 동일할 수도 있고, 아래로 갈수록 더 넓어지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누출 방지 부재(42)의 재질은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장도구(15)를 사용할때는 누름부(11)를 눌러 내용물이 묻은 화장도구(15)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화장도구(15)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토출구(41)를 뚜껑부(50)로 막을 수 있다. 상기 뚜껑부(50)의 중심에 형성된 누출 방지 부재 결합부(51)는 내용물 토출부(40)에 삽입된 누출 방지 부재(42)의 토출구(41)와 결합하여 하단 몸체부(30)에 포함된 내용물이 밖으로 흐르지 않도록 도와줄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1)의 단면도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선택된 화장도구(15)가 화장품 용기(1)의 외부로 반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화장도구(15)가 하단 몸체부(30)에서 내용물 토출부(40)에 형성된 토출구(41)를 통해 외부로 반출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품 용기(1)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화장품 용기(1)의 하단 몸체부(30)에는 안내구(32)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안내 부재(31)가 내설될 수 있다.
화장도구 안내 부재(31)는 내용물이 묻은 화장도구(15)가 화장품 용기(1)의 토출구(41)로 정확히 반출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화장도구 안내 부재(33)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아래로 볼록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화장도구 안내 부재(33)의 중심에는 화장도구(15)의 반입 및 반출이 가능하도록 도와줄 수 있는 적당한 크기의 안내구(3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고안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화장품 용기 10: 화장도구 선택부
11: 누름부 12: 연결편
13: 결합부 14: 탄성부재
15: 화장도구 20: 상단 몸체부
21: 가이드홈 22: 덮개
23: 내부판 24: 홀
30: 하단 몸체부 31: 화장도구 안내 부재
32: 안내구 40: 내용물 토출부
41: 토출구 42: 누출 방지 부재
50: 뚜껑부 51: 누출 방지 부재 결합부

Claims (5)

  1. 화장품 용기 내에 배치되어 상기 화장품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연결편, 상기 연결편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누름부, 및 상기 연결편의 타단부에 결합된 화장도구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선택부; 및
    상기 누름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갖고 상기 화장도구 선택부를 둘러싸고 있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을 토출하는 내용물 토출부를 그 말단에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 토출부는 상기 누름부의 상기 이동에 의해 상기 화장도구가 출입하는 하나의 토출구를 가지며,
    상기 내용물 토출부의 내부면은 상기 토출구를 향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토출부는 상기 화장품 용기의 상기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누출 방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누출 방지 부재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토출부는 상기 화장도구를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화장도구 안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토출구와 마주보는 안내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 삽입되어 상기 화장품 용기의 상기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누출 방지 부재 결합부를 갖는 뚜껑부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2020110007248U 2011-08-10 2011-08-10 화장품 용기 KR2004678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248U KR200467811Y1 (ko) 2011-08-10 2011-08-10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248U KR200467811Y1 (ko) 2011-08-10 2011-08-10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144U KR20130001144U (ko) 2013-02-20
KR200467811Y1 true KR200467811Y1 (ko) 2013-07-04

Family

ID=51392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248U KR200467811Y1 (ko) 2011-08-10 2011-08-10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8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569B1 (ko) * 2019-02-12 2020-06-25 이현주 화장용 멀티 브러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3252A (ja) * 1994-05-30 1995-12-12 Pentel Kk 塗布容器
KR100586796B1 (ko) * 2004-09-22 2006-06-08 김영육 승강식 마스카라
KR200441229Y1 (ko) * 2007-05-08 2008-08-01 박금종 립라이너와 립브러시가 일체로 구비된 입술화장도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3252A (ja) * 1994-05-30 1995-12-12 Pentel Kk 塗布容器
KR100586796B1 (ko) * 2004-09-22 2006-06-08 김영육 승강식 마스카라
KR200441229Y1 (ko) * 2007-05-08 2008-08-01 박금종 립라이너와 립브러시가 일체로 구비된 입술화장도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569B1 (ko) * 2019-02-12 2020-06-25 이현주 화장용 멀티 브러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144U (ko)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2309B1 (ko) 화장용브러시
KR100758625B1 (ko) 퍼프 일체형 리퀴드 화장품 용기
KR20090087074A (ko) 화장용 브러시의 토출구조
KR200459837Y1 (ko) 화장품 용기
KR20090065146A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20170079303A (ko) 어플리케이터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US6616364B2 (en) Convertible surface contacting implement
KR20140000942U (ko) 진동을 이용한 화장용구
US7491004B2 (en) Container with applicator
KR101636268B1 (ko)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KR101392980B1 (ko) 퍼프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내용물 토출장치
KR200456797Y1 (ko) 사용량에 따라 내부접시가 승강되게 한 화장품 용기
KR200467811Y1 (ko) 화장품 용기
KR101010154B1 (ko) 스포이드
US20100000568A1 (en) Measured cosmetic powder dispenser
KR20130003770U (ko) 화장액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JP2010094409A (ja) 化粧料用容器
KR100781627B1 (ko) 펌핑식 립글로스 용기
KR101971920B1 (ko) 두 가지 화장료를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KR200468389Y1 (ko) 화장품 내용물 배출용기
TWM496389U (zh) 可替換組裝使用的容器出料結構
US20040035438A1 (en) Powder case
KR200425556Y1 (ko) 펌핑식 립글로스 용기
KR200260197Y1 (ko) 메니큐어 겸용 세척액 용기
KR20190051278A (ko) 도포부재에 내용물을 충전시키는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