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154B1 - 스포이드 - Google Patents

스포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154B1
KR101010154B1 KR1020080123905A KR20080123905A KR101010154B1 KR 101010154 B1 KR101010154 B1 KR 101010154B1 KR 1020080123905 A KR1020080123905 A KR 1020080123905A KR 20080123905 A KR20080123905 A KR 20080123905A KR 101010154 B1 KR101010154 B1 KR 101010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pper
contents
eyedropper
pist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5532A (ko
Inventor
정규천
정규선
정한욱
Original Assignee
정규천
정한욱
정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천, 정한욱, 정규선 filed Critical 정규천
Priority to KR1020080123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154B1/ko
Publication of KR20100065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Landscapes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센스 또는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립그로스 스킨로션 등과 같은 각종 고기능성 화장품을 사용함에 있어서 용기로부터 미량의 내용물을 신속하게 흡출하여 손실 없이 피부에 용이하게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개념의 스포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캡(10)과; 상기 지지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지지되는 스포이드관(20)과; 상기 스포이드 관의 내부에 장착되는 피스톤(30) 및 상기 피스톤과 함께 승강 조작되도록 탄발 스프링(42)으로 탄력 설치되는 푸쉬버턴(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 상기 스포이드관으로는 내용물을 직접 피부에 바를수 있는 도포면이나 화장용솔 또는 화장용 스폰지 등의 도포부재(50)를 더 구비하거나, 또는 지지캡(10)으로는 결합수단이 구비된 결합부(12)를 더 연장 형성하여 용기(60)에 일체로 결합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스포이드 구조의 간단성과 사용 편리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스포이드, 에센스, 정량배출, 화장품

Description

스포이드{A spoid}
본 발명은 에센스,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립그로스, 스킨로션 등과 같은 각종의 고기능성 화장품을 사용함에 있어서 용기로부터 미량의 내용물을 신속하게 흡출하여 손실없이 피부에 적당량씩 용이하게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개념의 스포이드에 관한 것이다.
엣센스 또는 아이크림이나 노화 및 주름살방지제 등과 같은 고기능성 화장품은 대개 내용물이 고가이고, 또 포장단위가 소량이어서 이를 수용하는 기존의 화장품 용기 또한 콤팩트한 사이즈가 대부분이며, 용기의 구조 또한 단순히 용기와 마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기의 유출공을 통해 내용물을 손에 묻혀 해당 피부에 바르게 되는 것으로 이는 토출량의 조절이 어렵고, 손에 묻어 낭비되는 양 만큼 고가의 내용물이 손실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종래에는 기존의 스포이드는 유리로 된 스포이드 관의 상부에 탄력성이 좋은 고무재질의 타원형의 펌프를 결합하는 것이 있으나 이와 같은 펌프구조는 내용물을 흡출하기 위하여 손가락으로 누를 경우 펌프의 수축이 양측에서 균일하게 발생되지 않고 일측으로 편중되는 현상으로 인해 스포이드관의 내 용물을 토출하기 위하여 펌프를 가압 할 때 스포이드관이 유동되어 취급에 불편함을 초래하였던 것임은 물론 펌프의 누름 시 손가락이 접촉되는 부위가 집중적으로 눌리게 되고 그 외 부분은 그다지 수축되지 않음으로써 펌프의 수축된 형상이 불규칙하게 되고 비 수축공간이 많아져 펌프의 용적에 비해 흡입량이 적고 흡입량의 조절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스포이드 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푸쉬버튼과 함께 연동해서 가압 조작되는 피스톤 작용에 의해 고 기능성의 내용물이 담겨진 용기로부터 내용물의 흡입 및 배출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미량의 내용물을 신속 용이하게 정량씩 피부에 공급하거나 또는 직접 피부에 바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스포이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포이드를 고 기능성의 액상 내용물이 담겨진 용기에 직접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하여 사용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스포이드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포이드는 지지캡과; 상기 지지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지지되는 스포이드 관과; 상기 스포이드 관의 내부에 장착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과 함께 승강 조작되도록 탄발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되는 푸쉬버턴으로 이루어진 스포이드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드관의 배출단부로는 내용물을 직접 피부에 바를 수 있는 도포면이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포이드관의 배출단부로는 내용물을 직접 피부에 바를 수 있는 화장솔이 화장스폰지 등의 도포부재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포이드는 지지캡에 대하여 화장품 용기에 직접 결합 사용이 가능하도록 결합수단이 구비된 결합부가 더 연장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 기능성의 내용물을 흡 배출시키기 위한 스포이드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면서도 푸쉬버튼과 함께 가압 조작되는 피스톤의 승하강 작용에 의해 미량의 내용물을 정량씩 피부에 배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그 만큼 내용물의 배출 사용이 간편 용이할 뿐 아니라 고가의 내용물이 손실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포이드관에 직접 도포면이나 도포부재가 구비됨으로 인해 내용물을 손으로 문지를 필요없이 직접 피부에 바르는 것이 가능하여 매우 위생적이고, 또 편리한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포이드 자체로도 사용 가능하지만 화장품 용기에 결합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정량 배출 사용에 따른 편리성을 그만큼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 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의 구조를 보인 조립 측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1)는, 지지캡(10)과, 스포이드관(20), 피스톤(30) 및 피스톤과 함께 가압 조작되는 푸쉬버튼(40)으로 구성된다.
내용물이 흡입 저장되는 스포이드관(20)은 지지캡(10)의 내주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지지 된다. 지지캡에 대한 스포이드관의 결합수단은 도면에 도시된 나사결합 방식이 가장 바람직하나, 언더컷 방식 등 다양한 결합 구조가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스포이드관(20)은 피스톤(30)의 승하강 작용에 의해 내용물을 정량씩 흡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용물의 흡배출에 필요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피스톤(30)은 스포이드관(20)의 상단 내측으로 장착되고, 또 푸쉬버튼(40)과 연결 설치되어 있어 함께 가압 조작된다.
따라서, 스포이드관(20)은 상단 내측으로 내용물의 흡배출을 위한 피스톤(30)이 설치됨으로 인해 타방단부, 예를 들어 배출단부(22)로만 개방되어 있다.
푸쉬버튼(40)과 함께 가압조작되는 피스톤(40)은 푸쉬버튼의 하단과 스포이드관(20)의 상단 사이에 탄력 설치 된 탄발스프링(42)에 받침되어 탄발 조작된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내용물의 배출량은 스포이드관(20)에 대하여 승하강하는 피스톤(30)의 승강 거리에 따라 달리할 수 있고, 이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적정한 스트로크(stroke) 설계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스포이드관(20)의 배출단부(22)로는 외주면으로 도포면(24)이 측면에서 보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포면(24)은 비록 도면상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정면에서 보면 일정한 도포면적을 가지면서도 배출구멍을 중심으로 구배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또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스포이드를 한손으로 잡고 내용물을 배출시키면서 직접 피부에 바르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푸쉬버튼(40)이 가압되기 이전에는 피스톤(30)이 스포이드관(20)의 상부쪽에 위치되어 있어 스포이드관의 내부로는 배출단부(22)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한 상태에서 도 2와 같이 스포이드관(20)의 끝을 내용물이 담겨진 용기 내에 집어 넣은 다음 푸쉬버튼(10)을 누르면, 이와 동시에 피스톤(30)이 스포이드관(20)의 내벽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그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밀어 냄과 동시에 푸쉬버튼(40)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탄발스프링(42)의 반력에 의해 피스톤(30)이 푸쉬버튼(40)과 함께 동시에 다시 원상태로 상승 복귀되어지고, 이러한 피스톤(30)의 원상 복귀 동작에 의해 내용물이 스포이드관(20)의 내부에 강제로 흡입 저장되어 진다.
그리고, 스포이드관(20)의 내부로 일정량의 내용물이 강제 흡입된 상태에서 내용물을 바르고자 하는 경우, 내용물을 바르고자하는 피부에 스포이드(1)를 위치시킨 다음 푸쉬버튼(40)을 살짝 눌러주면 이와 동시에 피스톤(30)이 눌려지면서 스포이드관의 내부에 흡입 저장된 내용물을 배출시키게 된다. 이렇게 피부에 배출된 내용물은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피부에 바를 수도 있지만, 스포이드관(20)의 배출단부(22)로 형성된 도포면(24)을 이용하여 바를수 도 있고, 도포면(24)을 이용하는 경우 위생적으로 내용물을 피부에 바를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탄발스프링(42)으로 탄력 설치된 푸쉬버튼(40)을 누르는 동작을 통해 이와 연계 설치된 피스톤(30)이 스포이드관(20)의 내주면을 따라 승하강 작동하는 동작을 통해 내용물의 흡배출 동작이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정량의 내용물을 손실 없이 피부에 간편하게 도포 사용할 수 있고, 또 스포이드관(20)의 내부에 내용물이 일부 남아 있는 경우 내용물을 흡입하지 않고서도 이를 연속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화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1)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조립 측단면도로서, 도 1과 비교할 때 배출단부(22)로 형성되는 도포면(24)을 제거하고, 스포이드관(20)을 일자 형태로 구성한 다음 그 배출단부(22)에 대해 화장용 솔이나 화장용 스폰지 타입의 도포부재(50)가 구비된 구성을 제외하곤 동일하다. 여기서 도포부재(50)는 배출단부(22)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끼우거나 빼낼수 있도록 구성하여 일회용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포부재(5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 이외에도 마스카라용 솔등 기타 형상의 도포부재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 예와 같이 스포이드관(20)의 배출단부(22)에 도포부재(50)를 구비함으로 인해 단순히 내용물을 피부에 떨어뜨린 다음 내용물을 손이나 기타 화장 도구를 별도로 이용하여 문지러는 것에 비하여 스포이드관(20)의 내부에 흡입 저장된 내용물을 도포부재(50)를 통해 적당량씩 배출시키면서 직접 피부에 바를 수 있다는 구조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각 실시 구조의 스포이드(1)는 도 5 내지 7에 도시된바와 같이 지지 캡(10)의 하단으로는 결합부(12)를 더 연장 형성하고, 그 내부로는 나사나 언더컷 등과 같은 결합수단(12a)을 구비함으로써 용기(60)에 대해 직접 결합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 성될 수도 있다. 기타 푸쉬버튼(40)을 가압 조작하여 내용물을 흡배출하는 구조는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하다.
도 5 내지 도 7에서 미설명부호 70은 패킹체이고, 도 2를 포함하여 도 5 내지 도 7의 용기(60)에 구비된 미설명부호 80은 내용물의 흡출시 스포이드관(20)의 외주면에 묻는 내용물을 긁어내기 위한 제거부재이다.
상기와 같이 스포이드를 화장품등의 내용물이 담겨진 용기(60)에 직접 결합한 상태에서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그 만큼 내용물의 사용 편리성 및 스포이드(1)의 보관 및 취급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구조를 보인 스포이드의 조립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푸쉬버튼이 하부로 가압 조작된 상태를 보인 조립 측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의 다른 실시 구조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의 또 다른 실시 구조예를 보인 각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지지캡 12: 결합부
20: 스포이드관 22: 배출단부
24: 도포면 30: 피스톤
40: 푸쉬버튼 42: 탄발스프링
50: 도포부재 60: 용기

Claims (4)

  1. 지지캡(10)과;
    상기 지지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지지되는 스포이드관(20)과;
    상기 스포이드 관의 내부에 장착되는 피스톤(30) 및 상기 피스톤과 함께 승강 조작되도록 탄발스프링(42)으로 탄력 설치되는 푸쉬버턴(40)으로 이루어진 스포이드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드관(20)의 배출단부(22)로는 피부에 내용물을 직접 배출시키면서 바를 수 있는 도포면(24)이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
  2. 삭제
  3. 지지캡(10)과;
    상기 지지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지지되는 스포이드관(20)과;
    상기 스포이드 관의 내부에 장착되는 피스톤(30) 및 상기 피스톤과 함께 승강 조작되도록 탄발스프링(42)으로 탄력 설치되는 푸쉬버턴(40)으로 이루어진 스포이드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드관(20)의 배출단부(22)로는 도포부재(50)가 더 구비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캡(10)의 하단으로는 나사나 언더컷 구조의 결합수단(12a)이 구비된 결합부(12)를 더 연장 형성하여 내용물이 담겨진 용기(60)와 일체로 결합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
KR1020080123905A 2008-12-08 2008-12-08 스포이드 KR101010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905A KR101010154B1 (ko) 2008-12-08 2008-12-08 스포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905A KR101010154B1 (ko) 2008-12-08 2008-12-08 스포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532A KR20100065532A (ko) 2010-06-17
KR101010154B1 true KR101010154B1 (ko) 2011-01-24

Family

ID=42364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905A KR101010154B1 (ko) 2008-12-08 2008-12-08 스포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1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343Y1 (ko) 2011-09-30 2013-08-08 (주)아모레퍼시픽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WO2014051279A1 (ko) * 2012-09-28 2014-04-03 (주)아모레퍼시픽 잎맥형 화장 전용 스포이드 용기
KR200491553Y1 (ko) * 2019-09-03 2020-04-27 한국콜마주식회사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115B1 (ko) * 2016-12-29 2018-10-17 (주)아모레퍼시픽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437Y1 (ko) * 2001-08-22 2002-03-18 이춘우 화장용 브러쉬
KR20020062437A (ko) * 2001-01-20 2002-07-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웨이퍼의 베이크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38535A (ko) * 2002-11-01 2004-05-08 한국신용평가정보주식회사 신용정보 서비스를 위한 민원처리 시스템
KR100445936B1 (ko) * 2001-10-11 2004-08-25 김종출 다용도 케이스
KR200438535Y1 (ko) * 2007-05-15 2008-02-26 (주)아모레퍼시픽 승하강버튼에 의한 정량 토출이 이루어지는 스포이드형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437A (ko) * 2001-01-20 2002-07-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웨이퍼의 베이크 장치 및 그 방법
KR200262437Y1 (ko) * 2001-08-22 2002-03-18 이춘우 화장용 브러쉬
KR100445936B1 (ko) * 2001-10-11 2004-08-25 김종출 다용도 케이스
KR20040038535A (ko) * 2002-11-01 2004-05-08 한국신용평가정보주식회사 신용정보 서비스를 위한 민원처리 시스템
KR200438535Y1 (ko) * 2007-05-15 2008-02-26 (주)아모레퍼시픽 승하강버튼에 의한 정량 토출이 이루어지는 스포이드형화장품 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343Y1 (ko) 2011-09-30 2013-08-08 (주)아모레퍼시픽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WO2014051279A1 (ko) * 2012-09-28 2014-04-03 (주)아모레퍼시픽 잎맥형 화장 전용 스포이드 용기
KR200491553Y1 (ko) * 2019-09-03 2020-04-27 한국콜마주식회사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WO2021045384A1 (ko) * 2019-09-03 2021-03-11 한국콜마주식회사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532A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6862B2 (en) Pull down pump actuator
KR20140031235A (ko) 화장품 디스펜서
KR20090065146A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101010154B1 (ko) 스포이드
US20150201732A1 (en) Fiber and powder electric dispenser
KR20170079303A (ko) 어플리케이터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JP2016503367A (ja) 流体ディスペンサー
WO2015139240A1 (zh) 滴管及具备该滴管的化妆品容器
JP2017525627A (ja) 流体製品ディスペンサー
KR20140000942U (ko) 진동을 이용한 화장용구
KR200450934Y1 (ko) 마사지 부재가 구비된 펌프형 화장품 용기
US20120282010A1 (en) Liquid, fluid, and lotion container and applicator
JP2004065467A (ja) 高粘度流動性化粧品を塗布するための化粧用具
US11957232B2 (en) Applicator system for applying a cosmetic product
US7878374B2 (en) Fluid product dispenser
KR20130003770U (ko) 화장액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KR100781627B1 (ko) 펌핑식 립글로스 용기
KR200467811Y1 (ko) 화장품 용기
KR102527875B1 (ko) 화장품용 디스펜서
KR200468389Y1 (ko) 화장품 내용물 배출용기
KR20160000760U (ko) 화장도구를 가지는 펌프식 스틱 화장품용기
JP3229741U (ja) プッシュ式定量ディスペンサー
KR101673396B1 (ko) 가변형 몸체를 갖는 화장용기
US11910904B2 (en) Pen applicator system for applying a cosmetic product
KR102499659B1 (ko) 리필 구조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