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7425A -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 Google Patents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7425A
KR20160037425A KR1020140129868A KR20140129868A KR20160037425A KR 20160037425 A KR20160037425 A KR 20160037425A KR 1020140129868 A KR1020140129868 A KR 1020140129868A KR 20140129868 A KR20140129868 A KR 20140129868A KR 20160037425 A KR20160037425 A KR 20160037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contents
container
lifting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6268B1 (ko
Inventor
김유섭
서정연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140129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268B1/ko
Priority to US15/515,479 priority patent/US20170215551A1/en
Priority to CN201580052534.1A priority patent/CN106793862A/zh
Priority to JP2017517365A priority patent/JP2017535317A/ja
Priority to EP15846714.2A priority patent/EP3202278A4/en
Priority to PCT/KR2015/008552 priority patent/WO2016052858A1/ko
Publication of KR20160037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oiletry or cosmet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28Containers joined together by screw-, bayonet-, snap-fit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용기본체 내측에 이종의 내용물이 각각 저장된 제1,2저장용기를 수용하되, 승하강부재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제1,2저장용기 중 어느 하나를 용기본체의 상하부로 선택적으로 인출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The container containing different kinds of contents}
본 발명은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하나의 용기본체 내측에 이종의 내용물이 각각 저장된 제1,2저장용기를 수용하되, 승하강부재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제1,2저장용기 중 어느 하나를 용기본체의 상하부로 선택적으로 인출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눈,입술 등의 화장시에는 립글로스, 컨실러, 하이라이터 등을 이용하여 화장을 진행하게 되는데, 입술은 수분에 의해 촉촉함이 유지되어야 아름다운 입술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촉촉하면서 아름다운 입술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립글로스를 바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어지는 립글로스는 튜브형태로 된 것이 있는가 하면 립스틱의 형태로 된 것도 있고, 용기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뚜껑에 부설된 솔대의 화장도포구에 찍어 바르는 립글로스가 있다.
상기의 립글로스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립글로스는 용기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뚜껑에 부설된 솔대의 화장도포구에 묻혀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이러한 "립글로스 용기"가 등록실용신안 제20-0459830호(이하, 등록실용신안이라 함)의 도 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립글로스와 같은 화장료를 저장하며 뚜껑(12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입구(112)가 구비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00)의 입구(112)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며 그 하단에 화장료를 찍어 바르기 위한 솔대(124) 및 솔대(124)의 단부에 형성된 스폰지와 같은 도포구(122)를 포함하는 뚜껑(120)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립글로스 용기는 본체에 나사식으로 결합된 뚜껑을 본체의 입구로부터 분리하여 뚜껑의 하단에 형성된 솔대의 도포구로 화장료를 묻힌 상태에서 도포구를 해당 피부 즉, 입술에 바른 후 다시 본체에 솔대를 인입시켜 보관하도록 구성되는데, 색상이 다른 립글로스 등 이종의 립글로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리된 이종의 립글로스 용기를 각각 구매해야 할 뿐만 아니라, 분리된 이종의 립글로스 용기를 각각 휴대하고 다녀야 하므로,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용기본체 내측에 이종의 내용물이 각각 저장된 제1,2저장용기를 수용하되, 승하강부재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제1,2저장용기 중 어느 하나를 용기본체의 상하부로 선택적으로 인출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는, 제1내용물이 저장되며 저장된 제1내용물이 배출되도록 제1배출부가 구비되는 제1저장용기; 제2내용물이 저장되며 저장된 제2내용물이 배출되도록 제2배출부가 구비되는 제2저장용기; 상기 제1저장용기 및 제2저장용기를 수용하며 상기 제1저장용기 및 제2저장용기가 삽입,인출되도록 상단과 하단이 개방 형성되는 용기본체; 상기 제1저장용기 및 제2저장용기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1배출부 및 제2배출부와 결합되도록 하부와 상부에 각각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가 구비되는 마감캡; 및 상기 마감캡을 감싸며 결합되며, 사용자가 승하강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용기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이동버튼이 구비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길이바향을 따라 승하강되는 승하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버튼의 승하강 조작에 따라 상기 제1저장용기 또는 제2저장용기가 용기본체로부터 인출되어 제1,2내용물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캡을 관통하여 상기 제1저장용기 및 제2저장용기에 삽입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제1,2내용물을 흡수하는 제1,2도포팁으로 구성되는 도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의 전면부에는 상기 이동버튼이 외부로 노출되어 승하강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의 후면부 내측에는 상기 승하강부재가 승하강되는 거리를 제한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캡은 중공을 형성하며 내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도포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지지대를 고정시키는 고정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재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버튼의 승하강 조작시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의 중앙부에는 상기 승하강부재의 자유낙하를 방지하도록 상기 가이드돌기를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의 양 끝단에는 상기 승하강부재의 상승 또는 하강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돌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배출부 및 제2배출부에는 상기 제1,2저장용기로부터 상기 제1,2도포팁의 인출시 제1,2도포팁에 묻어 있는 제1,2내용물을 쓸어내리는 제1,2와이퍼가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저장용기 및 제2저장용기는 투명하게 형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절개부를 통해 제1저장용기 및 제2저장용기에 저장된 제1내용물 및 제2내용물의 색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용기본체 내측에 이종의 내용물이 각각 저장된 제1,2저장용기를 수용하되, 승하강부재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제1,2저장용기 중 어느 하나를 용기본체의 상하부로 선택적으로 인출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또한, 제1,2저장용기를 투명하게 형성하고, 용기본체에 길이방향으로 제1,2저장용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제1,2저장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의 색상을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단면도.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의 사용상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는 제1저장용기(100), 제2저장용기(200), 용기본체(300), 마감캡(400), 승하강부재(500)가 포함된다.
상기 제1저장용기(100)는 액상의 제1내용물이 저장되는 것으로서, 그 상부에는 제1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1배출부(11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배출부(110)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마감캡(400)의 제1결합부(410)와의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배출부(110)에는 제1저장용기(100)에 삽입된 제1도포팁(620)의 인출시 제1도포팁(620)에 묻어 있는 제1내용물을 쓸어내려 제1저장용기(100)로 회수하는 제1와이퍼(70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저장용기(100)는 외부에서 용기본체(300)의 절개부(310)를 통해 제1저장용기(100)에 저장된 제1내용물의 색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저장용기(200)는 액상의 제2내용물이 저장되는 것으로서, 그 상부에는 제2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2배출부(21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배출부(210)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마감캡(400)의 제2결합부(420)와의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배출부(210)에는 제2저장용기(200)에 삽입된 제2도포팁(630)의 인출시 제2도포팁(630)에 묻어 있는 제2내용물을 쓸어내려 제2저장용기(200)로 회수하는 제2와이퍼(80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저장용기(200)는 외부에서 용기본체(300)의 절개부(310)를 통해 제2저장용기(200)에 저장된 제2내용물의 색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본체(300)는 상기 제1저장용기(100) 및 제2저장용기(200)를 수용하되, 그 상단과 하단을 통해 제1저장용기(100) 및 제2저장용기(200)가 삽입,인출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단과 하단이 개방 형성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300)의 전면부에는 후술할 이동버튼(510)이 외부로 노출되어 승하강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부(310)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절개부(310)는 이동버튼(510)이 승하강되는 공간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제1저장용기(100) 및 제2저장용기(200)에 저장된 제1,2내용물의 색상을 외부에서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300)의 후면부 내측에는 승하강부재(500)가 승하강되는 거리를 제한하도록 승하강부재(500)의 가이드돌기(52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320)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가이드홈(320)은 용기본체(300)의 후면부 내측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홈(320)의 중앙부에는 승하강부재(500)의 자유낙하를 방지하도록 가이드돌기(520)를 지지하는 지지돌기(321)가 구비되며, 양 끝단에는 승하강부재(500)의 상승 또는 하강이 완료된 상태에서 가이드돌기(520)가 안착되도록 안착홈(322)이 형성된다.
상기 마감캡(400)은 상기 제1,2저장용기(100,200)의 제1,2배출부(110,210)를 감싸며 결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400)은 상기 제1,2배출부(110,210)와 결합되도록 하부와 상부에 각각 제1결합부(410) 및 제2결합부(420)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제1결합부(410) 및 제2결합부(420)는 마감캡(400)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용기본체(300)의 내측에서 제1저장용기(100)는 직립상태로 제2저장용기(200)는 거꾸로 뒤집힌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410) 및 제2결합부(42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2저장용기(100,200)가 탈착 가능하도록 제1,2배출부(110,210)와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마감캡(400)에는 후술할 도포부재(60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430)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고정부(430)는 도포부재(600)의 지지대(610)가 관통되도록 중공을 형성하며 마감캡(400)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데, 관통 설치되는 도포부재(600)의 지지대(610)를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지지대(610)의 고정홈(611)과 결합되는 고정돌기(432)가 구비된다.
상기 승하강부재(500)는 상기 마감캡(400)을 감싸며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300)의 길이바향을 따라 마감캡(400)과 함께 승하강되는 것으로서, 이동버튼(510), 가이드돌기(52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버튼(510)은 사용자가 승하강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승하강부재(500)의 전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300)의 절개부(31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승하강 조작에 따라 상기 제1저장용기(100) 또는 제2저장용기(200)를 용기본체(300)로부터 인출시킴으로써, 제1,2저장용기(100,200)에 저장된 제1,2내용물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가이드돌기(520)는 상기 승하강부재(500)의 후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320)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버튼(510)의 승하강 조작시 가이드홈(32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가이드돌기(520)는 평상시에는 가이드홈(32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돌기(520)에 의해 지지되어 사용자가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승하강부재(500)의 자유낙하를 방지하며, 승하강부재(500)의 상승 또는 하강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안착홈(322)에 안착되어 제1,2도포팁(620,630)을 통해 피부에 제1,2내용물을 도포시에 그 압력에 의해 승하강부재(50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도포부재(600)는 상기 제1저장용기(100) 및 제2저장용기(200)에 삽입되어 제1,2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것으로서, 상기 마감캡(400)의 고정부(430)에 형성되는 중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저장용기(100) 및 제2저장용기(200)에 삽입되는 지지대(610) 및 상기 지지대(610)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제1,2내용물을 흡수하는 제1,2도포팁(620,63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지지대(610)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부(430)에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돌기(431)와 결합되는 고정홈(611)이 형성된다.
상기 도포부재(600)는 고정부(430)에 고정됨으로써, 마감캡(400)으로부터 제1저장용기(100)를 탈리시에는 제1저장용기(100)로부터 제1도포팁(620)이 인출되어 제1내용물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마감캡(400)으로부터 제2저장용기(200)를 탈리시에는 제2저장용기(100)로부터 제2도포팁(620)이 인출되어 제2내용물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먼저, 평상시 가이드돌기(520)가 가이드홈(320)의 지지돌기(321)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동버튼(510)을 파지하여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승하강부재(500)의 가이드돌기(520)가 가이드홈(320)을 따라 이동하여 승하강부재(500)가 하강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승하강부재(500)의 내측에 결합된 마감캡(400) 및 마감캡(400)의 상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제1,2저장용기(100,200)가 함께 하강하게 되어 용기본체(300)의 하부로 제1저장용기(100)의 인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기본체(300)의 하부로 제1저장용기(100)의 인출이 이루어지게 되면, 제1저장용기(100)를 회전하여 제1저장용기(100)와 마감캡(400)의 제1결합부(410)와의 나사결합을 해체한 후, 용기본체(300)를 파지한 상태로 제1도포팁(620)을 제1저장용기(100)로부터 인출하여 입술 화장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도포팁(620)을 통해 입술 화장을 진행시 가이드돌기(520)는 안착홈(322)에 안착되어 제1도포팁(620)의 입술 접촉에 따른 압력에 의해 승하강부재(50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제2저장용기(200)에 저장된 제2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용기본체(300)를 거꾸로 뒤집어 제2저장용기(200)가 직립상태로 위치하도록 한 후, 전술한 바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제2내용물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이동버튼(510)의 승하강 조작에 따라 상기 제1저장용기(100) 또는 제2저장용기(200)가 용기본체로(300)부터 인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제1내용물 또는 제2내용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제1저장용기 110: 제1배출부
200: 제2저장용기 210: 제2배출부
300: 용기본체 310: 절개부
320: 가이드홈 321: 지지돌기
322: 안착홈 400: 마감캡
410: 제1결합부 420: 제2결합부
430: 고정부 431: 고정돌기
500: 승하강부재 510: 이동버튼
520: 가이드돌기 600: 도포부재
610: 지지대 611: 고정홈
620: 제1도포팁 630: 제2도포팁
700: 제1와이퍼 800: 제2와이퍼

Claims (11)

  1. 제1내용물이 저장되며 저장된 제1내용물이 배출되도록 제1배출부가 구비되는 제1저장용기;
    제2내용물이 저장되며 저장된 제2내용물이 배출되도록 제2배출부가 구비되는 제2저장용기;
    상기 제1저장용기 및 제2저장용기를 수용하며 상기 제1저장용기 및 제2저장용기가 삽입,인출되도록 상단과 하단이 개방 형성되는 용기본체;
    상기 제1저장용기 및 제2저장용기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1배출부 및 제2배출부와 결합되도록 하부와 상부에 각각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가 구비되는 마감캡; 및
    상기 마감캡을 감싸며 결합되며, 사용자가 승하강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용기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이동버튼이 구비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길이바향을 따라 승하강되는 승하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버튼의 승하강 조작에 따라 상기 제1저장용기 또는 제2저장용기가 용기본체로부터 인출되어 제1,2내용물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을 관통하여 상기 제1저장용기 및 제2저장용기에 삽입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제1,2내용물을 흡수하는 제1,2도포팁으로 구성되는 도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전면부에는 상기 이동버튼이 외부로 노출되어 승하강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후면부 내측에는 상기 승하강부재가 승하강되는 거리를 제한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은 중공을 형성하며 내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도포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지지대를 고정시키는 고정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재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버튼의 승하강 조작시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중앙부에는 상기 승하강부재의 자유낙하를 방지하도록 상기 가이드돌기를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양 끝단에는 상기 승하강부재의 상승 또는 하강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돌기가 안착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부 및 제2배출부에는 상기 제1,2저장용기로부터 상기 제1,2도포팁의 인출시 제1,2도포팁에 묻어 있는 제1,2내용물을 쓸어내리는 제1,2와이퍼가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용기 및 제2저장용기는 투명하게 형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절개부를 통해 제1저장용기 및 제2저장용기에 저장된 제1내용물 및 제2내용물의 색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KR1020140129868A 2014-09-29 2014-09-29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KR101636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868A KR101636268B1 (ko) 2014-09-29 2014-09-29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US15/515,479 US20170215551A1 (en) 2014-09-29 2015-08-17 Container for storing heterogeneous contents
CN201580052534.1A CN106793862A (zh) 2014-09-29 2015-08-17 两种内容物存储容器
JP2017517365A JP2017535317A (ja) 2014-09-29 2015-08-17 異種内容物の貯蔵容器
EP15846714.2A EP3202278A4 (en) 2014-09-29 2015-08-17 Container for storing heterogeneous contents
PCT/KR2015/008552 WO2016052858A1 (ko) 2014-09-29 2015-08-17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868A KR101636268B1 (ko) 2014-09-29 2014-09-29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425A true KR20160037425A (ko) 2016-04-06
KR101636268B1 KR101636268B1 (ko) 2016-07-07

Family

ID=55630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868A KR101636268B1 (ko) 2014-09-29 2014-09-29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215551A1 (ko)
EP (1) EP3202278A4 (ko)
JP (1) JP2017535317A (ko)
KR (1) KR101636268B1 (ko)
CN (1) CN106793862A (ko)
WO (1) WO20160528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352A (ko) * 2017-08-31 2019-03-08 (주)아모레퍼시픽 두 가지 화장료를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40820S1 (en) * 2016-08-10 2019-02-19 F.S.Korea Industries Inc. Insert for cosmetic container
KR101996805B1 (ko) * 2017-12-01 2019-10-17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립스틱 용기
US11259624B2 (en) * 2019-10-30 2022-03-01 Masoud Tabesh Nekoo Paint applicator with brush
US20230020394A1 (en) * 2019-12-19 2023-01-19 F.S.Korea Industries Inc. Container for mixing different types of cosmetic conten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212Y1 (ko) * 2000-04-06 2000-10-02 주식회사성진프라콘 이중화장품 용기
KR200246259Y1 (ko) * 2001-03-28 2001-10-10 배희숙 마스카라구조
JP2006174936A (ja) * 2004-12-21 2006-07-06 Suzuno Kasei Kk 塗布具付両軸化粧料容器
JP2011056202A (ja) * 2009-09-15 2011-03-24 Chikuhodo:Kk スライド式両頭化粧筆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10583A (en) * 1927-10-06 1929-04-23 Marjorie D Lindon Lip-stick holder or container
US2219000A (en) * 1938-08-31 1940-10-22 George A Williams Lip and facial rouge compact
JPH09276042A (ja) * 1996-04-10 1997-10-28 Tomio Arakawa 口 紅
CN200962950Y (zh) * 2006-08-11 2007-10-24 牧信企业股份有限公司 多用途化妆品容器
CN201157091Y (zh) * 2007-12-24 2008-12-03 黄荣辉 一种双头化妆盒结构改良
WO2010076396A1 (fr) * 2009-01-05 2010-07-08 Dj-Pack Dispositif de protection et de distribution de produits cosmetiques medicaux ou alimentaires
KR200459628Y1 (ko) * 2009-11-25 2012-04-04 주식회사 씨에라 엠 이종 화장품 수납형 화장품 용기의 숄더 캡
KR101343909B1 (ko) * 2012-02-29 2013-12-20 (주)연우 이종 내용물의 배출구조를 갖는 펌핑식 화장품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12843A (ko) * 2012-07-23 2014-02-04 정수경 복수의 아이라이너 수용이 가능한 아이라이너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212Y1 (ko) * 2000-04-06 2000-10-02 주식회사성진프라콘 이중화장품 용기
KR200246259Y1 (ko) * 2001-03-28 2001-10-10 배희숙 마스카라구조
JP2006174936A (ja) * 2004-12-21 2006-07-06 Suzuno Kasei Kk 塗布具付両軸化粧料容器
JP2011056202A (ja) * 2009-09-15 2011-03-24 Chikuhodo:Kk スライド式両頭化粧筆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352A (ko) * 2017-08-31 2019-03-08 (주)아모레퍼시픽 두 가지 화장료를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35317A (ja) 2017-11-30
WO2016052858A1 (ko) 2016-04-07
CN106793862A (zh) 2017-05-31
KR101636268B1 (ko) 2016-07-07
US20170215551A1 (en) 2017-08-03
EP3202278A1 (en) 2017-08-09
EP3202278A4 (en)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268B1 (ko)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US20190223577A1 (en) Combination dispenser and applicator
US6450179B2 (en) Cosmetic container with interchangeable attachments
KR101503239B1 (ko)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EP2891427B1 (en) Tube-type cosmetic container having double discharge means
EP3542666B1 (en) Rotating open-and-closed type cosmetic container
KR102313212B1 (ko) 화장품 용기
KR20170079303A (ko) 어플리케이터부가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US20150305475A1 (en) Cosmetic applicator
US11464315B2 (en) Dropping pipette-type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pressing button having adjustable descending distance
KR102156554B1 (ko) 화장품 용기
EP3335587A1 (en) Compact container
KR101807294B1 (ko) 이종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용기
KR20180006204A (ko) 립글로스 용기
US20100322694A1 (en) Single container for multi-applicator with single or multi-housing chambers
KR20180105947A (ko) 용기와 브러시를 교체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KR102185917B1 (ko) 이종 내용물이 수용되고 이중 도포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971920B1 (ko) 두 가지 화장료를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KR102060781B1 (ko)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KR101779373B1 (ko) 립글로스 용기
KR200430507Y1 (ko) 화장액 분출용 에어리스 용기
CN220734676U (zh) 一种旋钮式的上下出料容器结构
KR20150087036A (ko) 화장품 용기
KR102355492B1 (ko) 화장품 용기
KR101918471B1 (ko) 스머지팁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