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717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717B1
KR102122717B1 KR1020180014711A KR20180014711A KR102122717B1 KR 102122717 B1 KR102122717 B1 KR 102122717B1 KR 1020180014711 A KR1020180014711 A KR 1020180014711A KR 20180014711 A KR20180014711 A KR 20180014711A KR 102122717 B1 KR102122717 B1 KR 102122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tainer
receiving portion
discharge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4972A (ko
Inventor
김훈기
김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80014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717B1/ko
Priority to CN201821849086.5U priority patent/CN209300386U/zh
Publication of KR20190094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며 내용물을 저장하는 수용부를 갖는 용기본체; 및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이한 재질로 상기 하우징과 함께 다층 블로우 성형으로 제작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며, 상기 배출부에 의해 상기 내용물이 배출됨에 따라 부피가 축소되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vessel}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본체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파운데이션(foundation), 선 블록(sun block) 등과 같은 액체 화장품은, 퍼프(puff)에 묻어난 후 피부에 발라지는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다.
퍼프는 화장품 용기 내에 수납된 상태일 수 있으며, 화장품 이용시 사용자는 퍼프를 직접 화장품에 접촉시켜야 하므로, 사용자가 퍼프를 이용하여 화장품을 가압하는 압력에 따라 필요 이상의 화장품이 퍼프에 묻어서 화장품이 낭비되거나, 사용자의 손가락에 인접한 면까지 화장품이 묻어나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스펀지에 함침된 화장품을 퍼프에 묻혀 얼굴 등의 피부에 접촉시켜 화장품을 바르고 다시 반복하여 퍼프를 화장료가 함침된 스펀지에 눌러서 접촉시키면, 피부에 존재하는 바이러스나 곰팡이, 세균 등으로 인해 화장품에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장품이 함침된 스펀지 방식 이외에, 사용자는 메탈판을 이용한 화장품 용기를 이용하기도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메탈판을 이용한 화장품 용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종래의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장품 용기(100)는,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본체, 용기본체에 수용된 화장품을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리스 펌프 구조, 그리고 에어리스 펌프 구조로부터 배출되는 화장품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토출판(1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용기본체(120)는, 에어리스 펌프 구조가 결합되어, 하부용기(121), 실린더(122), 피스톤로드(123), 피스톤(124), 실링부재(125), 가압판(126), 스프링(127), 승강부재(128)가 마련된다.
여기서 하부용기(121)는, 화장품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상부 전체가 개구된다. 하부용기(121)는, 내부에 화장품이 채워진 뒤 하부용기(121)의 상면을 커버하는 실린더(122) 및 가압판(126)이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실린더(122)의 상부는, 하부용기(121)의 상부 단면 및 가압판(126)의 단면적에 대응하는 넓이로 이루어져 하부용기(121)를 덮는 구조와 일체화된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실린더(122)의 중심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피스톤로드(123), 피스톤(124), 실링부재(125)가 배치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화장품 용기(100)는, 토출판(110)이 가압되거나 또는 별도로 마련되는 버튼(도시하지 않음)이 눌려져 에어리스 펌핑이 이루어지면, 승강부재(128)가 내려가 승강부재(128)와 일체로 결합된 피스톤(124)이 내려간다.
이때 실린더(122) 내벽에 밀착된 피스톤(124)은 하강하지 않아 피스톤(124)에 형성된 구멍이 실린더(122)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이후 승강부재(128)가 더 내려가면, 승강부재(128)가 피스톤(124)을 직접 내리 누르게 되므로, 피스톤(124)에 형성된 구멍은 실린더(122) 내부와 연통된 상태에서, 실린더(122) 내부 압력이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122) 내부의 화장품은 피스톤(124)의 구멍을 통해 토출판(110)의 토출구로 빠져나간다.
반대로 토출판(110)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면, 승강부재(128)와 피스톤(124)이 스프링(127)에 의해 상승한다. 이때 피스톤(124)은, 실린더(122) 내벽에 밀착되어 마찰에 의해 상승하지 않으므로, 피스톤(124)의 구멍은 막힌다.
이후 스프링(127)이 승강부재(128)를 더 밀어 올리면, 실린더(122) 내부의 부피증가로 압력이 낮아져서, 하부용기(121) 내의 화장품이 실린더(12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실린더(122)는 하부용기(121)를 커버하도록 이루어지고, 이러한 실린더(122)와 하부용기(121) 사이에 가압판(126)이 마련되므로, 가압판(126)은 일반적인 에어리스 용기(샴프 등을 수용한 용기 등)에 대비하여 상부의 판 형태가 얇고 넓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실린더(122)는 구동 중 쉽게 비틀리거나 기울어진다. 그래서 종래의 화장품 용기(100)는, 조작과정에서 실린더(122)와 더불어 실린더(122)의 상부(판 형태)와 형태가 동일/유사한 가압판(126)이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여 토출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장품의 재료인 유기 자외선 차단제 등 올레핀계열은, 플라스틱 사출물의 치수 변화를 일으키는 성분을 함유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가압판(126)은, 팽윤 현상으로 인해 치수 변화의 우려가 있어 구동불량이 더 커지게 되므로, 내용물 토출 불량의 가능성이 더욱 커져, 개선이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89433호(2016. 12.19. 공고)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본체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펌핑 시 토출 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며 내용물을 저장하는 수용부를 갖는 용기본체; 및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이한 재질로 상기 하우징과 함께 다층 블로우 성형으로 제작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며, 상기 배출부에 의해 상기 내용물이 배출됨에 따라 부피가 축소되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수용부 사이는 접착층이 생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부는, 출구가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는 주머니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배출부가 연결되는 주둥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흡입하는 펌프엔진; 상기 펌프엔진에 의해 흡입된 상기 내용물이 저장되는 펌프하우징; 상기 펌프엔진에 연동하여 상하 운동되어, 상기 펌프엔진에 의해 흡입된 상기 내용물이 토출되며, 퍼프가 접촉되는 토출부재; 및 상기 주둥이부와 연결되며, 상기 펌프하우징이 마련되는 컨테이너캡을 포함하고, 상기 주둥이부와 상기 컨테이너캡은 나사결합을 이루거나 스냅온 방식의 간섭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컨테이너캡이 연결되며, 함몰되는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주둥이부가 상기 연결홈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용부와의 사이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에어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용기본체의 구조 단순화로 인해 제조가 용이하고, 조립공수가 감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품과 맞닿는 펌핑 구조의 면적이 작아 펌핑 구성의 팽윤 현상을 줄일 수 있으므로, 구동불량으로 인한 화장품 토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용기본체 내에 화장품이 충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용기본체 내에 화장품이 일부 배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상/하 및 좌/우는 도 2에서의 상/하 및 좌/우를 의미하며 설명되는 것이지만,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용기본체(10), 배출부(20) 및 뚜껑(30)을 포함하며, 배출부(20)의 에어리스 펌핑 구조를 통해 내용물인 화장품이 용기본체(10)로부터 토출되는 컴팩트 용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화장품은 파운데이션이나 자외선 차단제 등을 포함하는 등 화장품의 기능이나 성분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용기본체(10)는, 하우징(11) 및 수용부(12)를 가지며, 간략하게는 배출부(20)의 하부에 마련되어, 배출부(20)의 펌핑 작동에 의해 화장품을 배출시킨다.
또한, 후술하게 되는 다층 블로우 성형으로 용기본체(10)가 제작되어, 용기본체(10)는 배출부(20)가 연결되는 주둥이부(11A)를 가질 수 있다. 주둥이부(11A)는 하우징(11) 전체의 면적에 대비하여 작은 홀을 이루는 출구(10A)를 가지게 되어 화장품이 누액될 염려가 없다.
따라서 상부 전체가 개구된 형태를 이루는 종래의 용기가, 누액 방지를 위해 용기 상단 둘레를 밀폐하기 위한 별도의 판이 요구되었던 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용기본체(10)는, 누액 방지를 위한 별도의 판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다. 물론 종래와 달리, 내용물 수용 공간의 수축을 위한 가압판 또한 생략되어 구성의 간소화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져, 사이즈 컴팩트화가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은, 연결홈(11B)과 에어홀(11C)(도 3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은, 상부의 어느 일 영역 바람직하게는 중심부에 주둥이부(11A)가 마련되는 용기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1)은, 뚜껑(30)과 함께 컴팩트와 같은 화장품 용기(1)의 외관을 이룰 수 있으므로, 샴프, 세제, 기초 화장품과 같이 50ml 이상의 내용량을 이루는 용기에 대비하여 높이가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사이즈 컴팩트화를 위해 주둥이부(11A)가 하우징(11)의 상단 외곽 둘레보다 돌출되지 않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1)의 상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함몰된 연결홈(11B)이 마련되는 것이다. 일례로 하우징(11)은, 상부가 평평하되 연결홈(11B)이 가운데 형성된 도넛 형태의 원통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물론 연결홈(11B)은, 하우징(11)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하우징(11) 내부의 좌, 우, 앞, 뒤 공간은 서로 구획되지 않고 중심부의 공간과 함께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홈(11B)은, 화장품 용기(1)의 전체 높이가 커지지 않도록, 하우징(11)의 최상단 높이의 아래에 마련되므로, 컨테이너캡(24)의 연결 영역이 하우징(11)으로부터 과도하게 돌출되지 않아 사이즈 컴팩트화를 이룰 수 있다.
주둥이부(11A)는, 하우징(11)의 최상단보다 돌출되지 않게 연결홈(11B)에 마련될 수 있으며, 연결홈(11B)의 내부에서는 상부로 돌출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즉 주둥이부(11A)의 최상단은 하우징(11)의 상단 좌우 둘레보다 높이가 낮거나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주둥이부(11A)와 연결홈(11B) 사이에는 갭(공간)이 형성되어, 연결홈(11B) 내에서 주둥이부(11A)에 배출부(20)가 연결된다. 그리고 주둥이부(11A)와 배출부(20)의 결합은 나사결합이나 스냅온 구조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에어홀(11C)은, 하우징(11)이 컴팩트와 같은 화장품 용기(1)를 이루면서도 주둥이부(11A)의 형성을 위해, 다층 블로우 성형 과정에서 하우징(11)과 수용부(12)의 탈리를 위한 공기가 유입 및/또는 배출되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하우징(11)과 수용부(12)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져 분리가 가능하나, 불량률 감소 등을 위해 강제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게 에어홀(11C)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에어홀(11C)은 하나 이상 마련되며, 강제 유입 이외에 에어홀(11C)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화장품 용기(1)의 사용과정에서 수용부(12)의 부피가 감소될 수도 있다.
즉 에어홀(11C)은, 하우징(11) 내부에 공기가 고르게 유입 및/또는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홀 또는 큰 면적의 단일의 홀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성형 후, 하우징(11)으로부터 수용부(12)가 더욱 잘 떨어지도록, 출구(10A)를 통해 수용부(12)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수용부(12)를 수축시킨 후, 다시 공기를 주입하여 수용부(12)를 팽창시키는 작업을 통해 하우징(11)과 수용부(12)를 확실히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과 수용부(12) 사이 공간 부피변화가, 에어홀(11C)을 통해 유입/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발생 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2)가 팽창된 상태에서 내용물을 충진하거나, 수용부(12)가 수축된 상태에서 화장품이 충진되면서 수용부(12)의 부피가 증가될 수도 있어, 하우징(11)과 수용부(12) 사이의 부피 가감에 대응하여 에어홀(11C)을 통해 공기가 배출/유입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공정/실시예가 가능하다.
여기서 하우징(11) 내에 수용부(12)가 마련된 구조는, 하우징(11)과 수용부(12)의 출구(10A)가 동일하므로, 하우징(11)의 출구(10A) 둘레면은 수용부(12)와 결합하여 하우징(11)과 수용부(12) 사이는 가로막힌다. 따라서 하우징(11)의 내부 공간은 에어홀(11C)이 없을 경우 밀폐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의 하우징(11)은, 뚜껑(30)에 의해 커버되고, 별도의 내뚜껑(도시하지 않음) 없이 배출부(20)의 토출부재(23) 상에 퍼프(도시하지 않음)와 같은 화장도구가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배출부(20) 상에 내뚜껑이 마련되어 퍼프가 안착되거나, 토출부재(23) 상에 퍼프가 안착되면서도 뚜껑(30)의 거울(도시하지 않음)이 퍼프에 닿지 않도록 또 다른 내뚜껑이 마련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수용부(12)는, 하우징(11) 내에 마련되며 화장품을 저장하고, 에어리스 펌핑 작동에 의해 화장품이 토출될 수 있도록 상단에 출구(10A)가 형성된 주머니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수용부(12)의 출구(10A)는, 하우징(11)의 출구(10A)와 동일할 수 있으며, 수용부(12)의 출구(10A)가 하우징(11)에 의해 배출부(20)에 연결된 주머니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즉 화장품이 가득찬 수용부(12)의 공간은, 하우징(11)의 공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피를 가질 수 있는데, 다층 블로우 성형으로 함께 제작된 수용부(12)와 하우징(11)이 동일한 출구(10A)를 가지고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게다가 수용부(12)는, 블로우/다층 블로우 성형 과정에서 하우징(11)의 내벽면에 밀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2 및 도 3에서 하우징(11)으로부터 수용부(12)가 이격된 형태로 마련된 것이므로, 이러한 형상에 본 명세서의 수용부(12)가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수용부(12)는, 하우징(11)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성형과정에서 서로 부착되지 않도록, 하우징(11)과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수용부(12)와 하우징(11)이 함께 다층 블로우 성형으로 제작되어, 하우징(11)의 내면에 수용부(12)가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배출부(20)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됨에 따라 수용부(12)의 부피가 축소되어, 수용부(12)의 외면이 하우징(11)의 내벽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용이한 분리/이격을 위해 하우징(11)과 수용부(12) 사이 전체에는 접착층이 생략될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1)과 수용부(12)의 결합은, 접착제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용부(12)의 상단은 하우징(11)의 상단 외측으로 연장/절곡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12)의 상단은, 하우징(11)의 상단에 간섭되어 하부로 들어가지 않고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물론 하우징(11)의 외측에는 주둥이부(11A)에 연결된 배출부(20)가 마련되므로, 수용부(12)가 하우징(11)의 외부로 빠질 수도 없다.
이와 같이 하우징(11)과 수용부(12)가 단순히 간섭되어 분리가 방지되는 구조를 이루고, 이러한 용기본체(10)의 외측에 배출부(20)가 나사결합이나 스냅온을 통해 결합되면, 용기본체(10)는 배출부(20)에 의해 밀폐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물론 배출부(20)의 펌핑 작동을 통해 화장품이 토출시에는 수용부(12)가 배출부(20)와 연통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는, 연신성이 있는 고분자(열가소성 수지, 이하에서 수지로 명칭)를 압축물로 만들어, 압축물을 금형(몰드)에 주입하고 압축물 내부에 공기/바람을 불어 넣어 압출물의 내부공간을 성형하는 블로우 성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층의 베리어를 형성하는 다층 블로우 성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1)과 수용부(12)를 다층으로 이루는 용기본체(10)를 다층 블로우 성형으로 형성하기 위해, 서로 다른 재질 즉 외층을 이루는 하우징(11)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재질을 이용하는 것은 물론, 내층을 이루는 수용부(12)를 형성하기 위한 제2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재질과 제2 재질은, 금형에 주입될 때 서로 다른 온도, 주입 속도를 가질 수 있고, 용융점과 경화속도 또한 달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스펙(온도, 주입 속도 등)의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재질은 PP재질로 이루어지고, 제2 재질은 PE와 EVOH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과 수용부(12) 각각이 하나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어, 하우징(11)은 하나의 재질로 단층을 이루고, 수용부(12)는 PE층, 접착층 EVOH층과 같이 다층을 이룰 수도 있다.
아울러 하우징(11)과 수용부(12)의 각각의 기능이, 외관을 이루는 것과 내용물을 수용하여 부피가 감소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11)과 수용부(12)의 기능은 서로 달리 이루어져, 기능에 따라 두께가 달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하우징(11)의 두께는 일반적인 컴팩트 용기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수용부(12)의 두께는 형상의 용이성을 위해 하우징(11)에 대비하여 두께가 얇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재질의 제1 재질과 제2 재질이 하나의 금형에 동시에 주입된 후 공기가 불어넣어져 성형될 수 있다.
한편 용기본체(10)의 성형은, 블로우 성형으로서, 즉 원료수지를 압출기에서 열을 가하며 원통형 등으로 된 압축물로 만든 후, 분할된 금형 내에 압축물을 배치시키고, 금형의 캐비티(Cavity)에 끼워진 압축물에 압축공기를 불어 넣어 캐비티 형태로 압축물이 부풀도록 만든 다음 냉각으로 고화시켜 만들 수도 있다.
이때, 원형만이 가능한 가압판(126)에 의해 용기 형상도 원형으로 고정되었던 종래의 화장품 용기와 달리, 다양한 디자인에 따라 화장품 용기 형상을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으로 자유롭게 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용기본체(10)의 하우징(11)과 수용부(12)는, 다층 블로우 성형과 달리, 개별로 성형될 수 있다.
일례로 하우징(11)을 먼저 성형하고, 수용부(12)를 그 다음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1)을 이루는 제1 재질을 금형에 넣은 후 하우징(11)을 사출하거나 블로우 성형으로 먼저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수용부(12)를 성형하는데, 수용부(12)를 이루기 이한 금형은 하우징(11)일 수 있다. 즉 하우징(11)의 내부에 수용부(12)를 이룰 제2 재질을 유입시킨 다음, 수용부(12)의 형상이 이루어지도록 제2 재질로 공기를 불어 넣어, 하우징(11)의 내부 공간의 형태로 수용부(12)의 형상을 만들 수 있다.
다른 예로 수용부(12)를 먼저 성형한 후, 하우징을 성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수용부(12)를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블로우 성형(압출물 배치, 에어 주입, 고화)을 이용하여 성형한다. 그리고 나서 수용부(12)의 외측에 금형을 배치하고, 수용부(12)와 금형 사이에 제1 재질을 충전하여 하우징(11)을 성형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하우징(11)의 성형시, 수용부(12)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수용부(12)에 유체를 충전하여 하우징(11)을 성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용기본체(10)의 제조방식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부(20)는, 수용부(12)의 일측에 마련되며, 에어리스 펌핑 구조를 통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여기서 에어리스 펌핑 구조는, 용기본체(10)의 출구로부터 화장품이 토출판(토출부재의 구성 중 일부로 후술함)의 토출구(도시하지 않음)로 전달되는 경로를 제외하고는 화장품을 외부와 접하게 하지 않는다. 따라서 에어리스 펌핑 구조는 화장품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화장품이 오염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부(20)는, 펌프엔진(21), 펌프하우징(22), 토출부재(23), 컨테이너캡(24)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판 형태의 토출부재(23)와 용기본체(10) 사이에 컨테이너캡(24)이 배치되고, 컨테이너캡(24)의 내측에 펌프엔진(21)과 펌프하우징(22)이 상하로 배치되어, 배출부(20)가 용기본체(10)와 결합될 수 있다.
배출부(20)의 구성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펌프엔진(21)은, 펌핑 작용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수용부(12)로부터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으며, 피스톤로드(부호 도시하지 않음), 피스톤(도시하지 않음), 스템(도시하지 않음), 스프링(2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펌프엔진(21)은 컨테이너캡(24)에 단순히 수용된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단턱(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단턱에 의한 간섭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피스톤로드는, 중공이 형성되어 피스톤로드를 통해 화장품이 이동할 수 있으므로, 화장품 경로인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은 펌프하우징(22) 내에서 승강하며, 화장품의 이동경로인 유로부가 마련되어 화장품이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피스톤은 승하강을 위해 스템과 맞닿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스템은, 피스톤의 외측에서 상하 이동하며 피스톤의 유로부를 개폐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스템에 유로부가 마련되고, 피스톤이 스템의 유로부를 개폐할 수도 있으며, 스템은 종래의 승강부재(128)(도 5 참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스프링(210)은, 피스톤로드의 외측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하강된 확산부(토출부재의 구성 중 일부로 후술함)의 위치를 외력이 제거되면 상부로 복귀시킬 수 있다. 즉 스프링(210)은, 확산부와 연결된 피스톤을 복귀시켜 피스톤의 유로부가 다시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펌프하우징(22)은 화장품의 역류를 방지하며, 내용물을 임시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중공이 형성된 별도의 몸체(220)에 체크밸브(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된 형태로서 몸체(220)가 피스톤 로드의 경로와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체크밸브가 피스톤 로드 등에 개별로 마련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즉 압력 변화에 따라 체크밸브가 개폐되어 화장품의 경유가 조절될 수 있다면 공지된 다양한 실시예가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펌프하우징(22)의 결합은, 펌프엔진(21)과 동일/유사하게 단턱(부호 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펌프하우징(22)과의 간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몸체(220)에 마련된 단턱은, 몸체(220)의 길이방향 중 중심부에 인접하게 돌출된 구조를 이루거나(도 2 참조), 몸체(22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연장된 구조(도 3 참조)를 이루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토출부재(23)는, 펌프엔진(21)에 의해 흡입된 화장품이 최종적으로 토출되는 구성으로서, 펌프엔진(21)에 연동하여 상하 운동되고, 퍼프가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토출부재(23)가 하나의 판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토출부재(23)가 확산부(도시하지 않음)와 토출판(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여, 펌프엔진(21)으로부터 확산부를 통해 화장품이 확산된 후 확산부로부터 복수의 토출구를 가지는 토출판을 경유하여 퍼프에 화장품이 전달될 수 있다.
일례로 확산부와 토출판 각각은 서로 맞닿은 판의 형태를 이루되, 화장품의 경로 및/또는 토출을 위해 홀이나 홈 등의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고, 공지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컨테이너캡(24)은, 주둥이부(11A)와 결합을 이루어, 배출부(20)와 용기본체(10)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테이너캡(24) 내측에 펌프하우징(22)과 펌프엔진(21)이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를 참조하면, 컨테이너캡(24)과 주둥이부(11A)가 서로 마주하는 각각의 둘레면에 나사산(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컨테이너캡(24)과 주둥이부(11A)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을 참조하면, 컨테이너캡(24)과 주둥이부(11A)가 돌기와 홈 맞물림 방식으로 즉 간섭구조를 이루는 스냅온 방식을 가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구조를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출부(20)의 작동은, 사용자의 토출부재(23) 가압으로 인한 펌프엔진(21)의 펌핑 작동으로 발생될 수 있다.
펌핑 작동은, 펌프하우징(22)의 길이방향을 따라 피스톤이 하강하면서 스템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변동되어, 유로부가 개방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다. 다만 유로부만의 개방으로 화장품이 토출되는 것은 아니다.
즉 펌프하우징(22)의 부피가 피스톤의 위치 변동으로 인해 줄면서 내압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용기본체(10)로부터 피스톤로드 방향으로 펌프하우징(22)이 개방되면서, 용기본체(10)로부터 펌프하우징(22)으로 화장품이 빨려가게 되어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펌프하우징(22)의 체크밸브는 역류방지를 위해 마련되므로, 사용자의 가압력이 없다면, 스프링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복귀되는 토출부재(23)를 따라 펌핑 작동이 반대로 발생하게 되고, 체크밸브는 화장품의 경로를 폐쇄하여 용기본체(10)를 외부로부터 차단한다.
이와 같은 배출부(20)의 작동으로, 용기본체(10)에 수용되어 있는 화장품이 빨려나가 용기본체(10)의 외부인 토출판의 토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부(20)의 반복 과정으로 용기본체(10)에 수용된 화장품이 필요시마다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는, 펌프엔진(21)의 구성이 상기와 같이 한정되지 않으며, 펌프엔진(21)은 에어리스 펌프 외에도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즉 펌프엔진(21)은 용기본체(10)에서 화장품을 배출시킬 수만 있다면 어떠한 구성이든 사용 가능하다
뚜껑(30)은 용기본체(10)의 개방된 상측을 개폐하는 구성으로서, 용기본체(10)와 상하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어, 용기본체(10)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원형, 삼삭, 사각 등 다양한 형태/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뚜껑(30)은 용기본체(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어, 용기본체(10)에 대하여 둔각을 가지도록 회전하여, 뚜껑(30) 개방 후 바닥면이나 손에 용기본체(10)를 올려놓고 거울(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할 수도 있다.
뚜껑(30)이 용기본체(10)에 힌지 결합시, 스프링 등을 구비하여 버튼(부호 도시하지 않음, 도 1 참조)이 눌려져 잠금이 해제되면 자동으로 뚜껑(30)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뚜껑(30)의 개폐 방식은 힌지로 한정되지 않으며, 뚜껑(30)은 용기본체(10)와 나사결합 방식 또는 억지끼움 방식, 돌기와 홈 맞물림 방식 등 다양한 구조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용기본체(10)의 구조 단순화로 인해 제조가 용이하고, 조립공수가 감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고, 화장품과 맞닿는 펌핑 구조인 펌프엔진(21)의 면적이 용기본체(10) 전체 면적에 대응하지 않고 출구로 제한됨에 따라 펌핑 구성인 펌프엔진(21)의 팽윤 현상을 줄일 수 있으므로, 구동불량으로 인한 화장품 토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용기 형태의 피스톤에 의해 제조 상의 한계가 있어, 용기 형상이 원통형으로 한정되었으나, 본 실시예는 용기 형태의 피스톤이 생략됨에 따라 용기 본체(10)의 형상 다양화가 가능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화장품 용기 10: 용기본체
10A: 출구 11: 하우징
12: 수용부 11A: 주둥이부
11B: 연결홈 11C: 에어홀
20: 배출부 21: 펌프엔진
22: 펌프하우징 23: 토출부재
24: 컨테이너캡 30: 뚜껑

Claims (7)

  1.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며 내용물을 저장하는 수용부를 갖는 용기본체; 및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컴팩트형 용기로 이루어지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이한 재질로 상기 하우징과 함께 다층 블로우 성형으로 제작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며, 상기 배출부에 의해 상기 내용물이 배출됨에 따라 부피가 축소되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배출부가 연결되며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주둥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주둥이부를 통해 상기 수용부 내의 상기 내용물을 상방으로 배출하는 펌프엔진; 및
    상기 내용물을 상방으로 노출시키는 토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수용부 사이는 접착층이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출구가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는 주머니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펌프엔진에 의해 흡입된 상기 내용물이 저장되는 펌프하우징;
    상기 펌프엔진에 연동하여 상하 운동되며, 퍼프가 접촉되는 상기 토출부재; 및
    상기 주둥이부와 연결되며, 상기 펌프하우징이 마련되는 컨테이너캡을 포함하고,
    상기 주둥이부와 상기 컨테이너캡은 나사결합을 이루거나 스냅온 방식의 간섭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컨테이너캡이 연결되며, 함몰되는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주둥이부가 상기 연결홈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용부와의 사이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에어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180014711A 2018-02-06 2018-02-06 화장품 용기 KR102122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711A KR102122717B1 (ko) 2018-02-06 2018-02-06 화장품 용기
CN201821849086.5U CN209300386U (zh) 2018-02-06 2018-11-09 化妆品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711A KR102122717B1 (ko) 2018-02-06 2018-02-06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972A KR20190094972A (ko) 2019-08-14
KR102122717B1 true KR102122717B1 (ko) 2020-06-16

Family

ID=67622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711A KR102122717B1 (ko) 2018-02-06 2018-02-06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2717B1 (ko)
CN (1) CN20930038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167B1 (ko) * 2020-01-21 2020-07-13 한국콜마주식회사 내용물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212Y1 (ko) * 2005-03-23 2005-06-20 주식회사 태평양 풍선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482745Y1 (ko) * 2015-01-23 2017-03-31 펌텍코리아 (주) 블로우 용기를 구비한 측면 가압 콤팩트 용기
WO2017199697A1 (ja) 2016-05-20 2017-11-23 東京ライト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プ及び吐出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6609A (ko) 2014-02-14 2015-08-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1896678B1 (ko) * 2016-06-17 2018-09-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212Y1 (ko) * 2005-03-23 2005-06-20 주식회사 태평양 풍선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482745Y1 (ko) * 2015-01-23 2017-03-31 펌텍코리아 (주) 블로우 용기를 구비한 측면 가압 콤팩트 용기
WO2017199697A1 (ja) 2016-05-20 2017-11-23 東京ライト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プ及び吐出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9300386U (zh) 2019-08-27
KR20190094972A (ko)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549B1 (ko) 이중 용기
US10104951B2 (en) Compact container having function of uniformly discharging cosmetic solution
KR101631827B1 (ko) 펌프 타입 컴팩트 용기
US20110220682A1 (en) Openable cosmetic case of dual structure protecting tube
CN100464871C (zh) 手动计量泵及用于包装和分配流体或糊状产品的装置
CA2509587A1 (en) Vented dispensing package
KR100785915B1 (ko) 분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상물 분배 용기
KR101598120B1 (ko) 압출식 화장품 용기
JP6808339B2 (ja) 積層剥離容器及びプリフォーム
CN101815583A (zh) 手动泵型流体分配器和制造这种分配器的方法
JP2005514227A (ja) 圧縮成形プロセス及び該プロセスにより製造された物品
JP6547242B2 (ja) 容器
CA3001164C (en) Dispenser, in particular, for liquid to pasty substances
JP6689662B2 (ja) 二重容器
JP6449546B2 (ja) 取り出される製品が保持される容器を画定する可撓性の外被を有する袋
KR102122717B1 (ko) 화장품 용기
KR20130001155U (ko) 점성 유체 배출 펌프 구조체
KR200484833Y1 (ko) 파우치 용기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CN109205065A (zh) 用于分配流体产品的模制泵
US20040079769A1 (en) Receptacle
JP6794251B2 (ja) 二重容器
KR102242527B1 (ko) 심미감이 증대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JP6153855B2 (ja) 注出容器
KR200482051Y1 (ko) 플라스틱 이중 용기
KR200460181Y1 (ko) 내층이 분리되는 다층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