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181Y1 - 내층이 분리되는 다층용기 - Google Patents

내층이 분리되는 다층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181Y1
KR200460181Y1 KR2020090001724U KR20090001724U KR200460181Y1 KR 200460181 Y1 KR200460181 Y1 KR 200460181Y1 KR 2020090001724 U KR2020090001724 U KR 2020090001724U KR 20090001724 U KR20090001724 U KR 20090001724U KR 200460181 Y1 KR200460181 Y1 KR 2004601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ube
multilayer
layer
inn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7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438U (ko
Inventor
이범우
Original Assignee
이범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범우 filed Critical 이범우
Priority to KR20200900017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181Y1/ko
Publication of KR201000084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4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1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1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71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e.g. geometry, dimensions o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14Making preform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2/00Producing hollow articles
    • B29D22/003Containers for packaging, storing or transporting, e.g. bottles, jars, cans, barrel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1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the preform having one end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Abstract

내층과 외층이 있는 다층용기로서, 내층과 외층은 상용성이 없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서 분리가능하며, 용기바닥에는 내층의 일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며, 용기의 목부에 진공펌프를 장착하고 펌핑을 하면 외층은 본래의 형태를 유지하고 내층만 수축되어 내용물이 토출되는 구조의 다층용기이다.
진공용기, 다층용기, 진공펌프, 내층, 외층, 화장품용기, 샴푸용기, 제약용기, 식품용기

Description

내층이 분리되는 다층용기 {multilayer bottle with shrinkable inner layer }
본 고안은 유체형태의 화장품, 식품, 의약품, 세제와 같은 생활용품을 담아 진공펌프로 내용물을 토출하여 사용하기 위한 다층용기(3)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 용기의 벽은 서로 인접한 내층과 외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용기 벽의 하단의 중앙부에 내층의 일부분이 용기 벽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다층용기(3)의 목부(33)에 진공펌프를 장착하고 내용물을 펌핑하면 용기의 외층(31)은 본래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면서 내층(32)만 분리되어 수축되는 구조의 다층용기(3)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을 실현하기 위한 제조과정은 튜브내층(12)과 튜브외층(11)을 상용성이 없고 서로 융착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한 다층튜브(1)를 다층압출기(7)로 성형하는 과정(도1, 도1a 참조)과, 도3 및 도3a와 같이 하단부(44)에 판형의 돌기(45)가 있는 용기금형(4)의 내측에 상기 과정에서 압출된 다층튜브(1)를 위치시키고 용기금형(4)을 닫고(도2 참조), 가열된 절단칼(19)로 금형 상단부(43)에서 다층튜브(1)를 절단하여 개구부(23)를 형성하고 하단(24)은 용기금형(4)에 의해 압착되어 판형돌기(25)가 형성되면서 절단된 구조로 패리슨(2)을 성형하는 과정(도2, 도5, 도5a, 도5b, 도5c 참조)과, 용기금형(4)의 상단부(43)에 고정되어 있는 패리슨(2)의 개구부(23)를 통해 패리슨(2)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용기하단(34)에 판형돌기(25)가 있는 다층용기(3)로 중공성형하는 과정(도6, 도6a, 도6b, 도6c 참조)과, 용기하단(34)의 판형돌기(25)를 잘라내어 돌기단면(251)을 형성함으로써 용기의 내층(32)의 일부분인 돌기단면(251)의 중앙부(251a)가 외부에 노출되게 하는 과정(도7, 도7a, 도7b, 도7c, 도7d 참조)의 네 과정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과정으로 이루어진 다층용기(3)의 목부(33)에 진공펌프(5)를 밀착하여 장착하고 펌핑을 하면 다층용기(3)의 외층(31)은 본래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고, 내층(32)은 펌핑에 의해 형성된 진공압에 의해서 돌기단면(251)의 중앙부(251a)가 외층(31)으로 부터 분리되어 수축되고, 외부의 공기가 내층(32)과 외층(31)의 사이로 유입되면서 내층(32)이 수축되어 내용물이 토출되는 구조(도8, 도8a, 도8b 참조)의 다층용기(3)가 된다.
일반적으로 액상의 생활용품을 담는 용기는 위생적이고 사용상의 편리성 때문에 마개 겸용 수동식 펌프를 장착하여 사용한다. 상기 용도의 수동식 펌프에는 딥튜브펌프와 진공펌프의 두 종류가 있다.
딥튜브펌프를 장착한 용기는 용기 내의 내용물을 펌핑하면 토출량의 부피만큼의 외부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구조이고, 진공펌프를 장착한 용기는 내용물을 펌핑하면 외부공기유입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며 용기 내부의 부피가 줄어들면서 내용물이 토출되는 구조이다.
상기 용기중 딥튜브펌프를 장착하는 용기는 사용중 지속적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내용물과 접촉하게 되어 내용물이 변질될 가능성이 많은 구조이기 때문에 이하 설명하는 본 고안의 비교대상에서 배제한다.
진공펌프를 장착하는 용기의 구조는 두 종류로 구분되는데, 한 종류는 내용물을 담는 용기와 용기의 내측벽을 따라 미끄러지며 작동하는 피스톤으로 구성되는 구조이고, 다른 한 종류는 레토르트파우치와 같이 유연한 외벽을 갖는 구조이다.
상기 용기중에 레토르트파우치 형태의 용기는 외벽이 유연하기 때문에 적재.보관.운반 등에 불편한 점이 있고 아름답고 다양한 외관을 갖는 화장품이나 생활용품을 담는 용기의 용도로는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비교대상에서 배제한다.
따라서 본 고안과 관련하여 설명하는 배경기술은 용기구부(63)에 장착된 진 공펌프(5)와 단단한 용기벽(61)을 갖는 진공용기(6)와 진공용기(6)의 내벽(62)을 따라 미끄러지며 작동하는 피스톤(65)을 구비한 용기로 한정한다.
이하, 종래기술의 용기의 구조 및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9 및 그 단면도 도9a, 도9b 는 종래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기술의 용기는 진공펌프(5), 진공용기(6), 피스톤(65), 받침(66)으로 구성된다. 진공용기를 조립하는 과정은 피스톤(65)의 미끄럼동작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진공용기(6)의 내벽(62)에 윤활유를 도포하고, 피스톤(65)을 용기 내측에 삽입하여 진공용기(6)의 내벽하단(62b)에 위치시킨다. 진공용기(6)의 하단에 피스톤(6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받침(66)을 설치한다. 받침(66)에는 피스톤(65)이 상승하면서 생긴 공간을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채우도록 하기 위한 구멍(66a)이 뚫려 있다.
상기 진공용기(6)의 내부에 내용물을 채우고 진공펌프(5)를 용기구부(63)에 밀착 결합시키면 도9와 같이 된다.
도9의 단면도 도9a에서 진공펌프(65)를 동작하여 펌핑하면 진공용기(6) 내부에 형성된 진공압에 의해 피스톤(65)은 내벽(62)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피스톤(65)이 상승한 부피만큼 내부의 내용물이 진공용기(6) 밖으로 토출하게 된다.
도9b는 진공펌프(5)에 의한 내용물 펌핑이 진행되어 피스톤(65)이 내벽(62)의 중간까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용기는 진공용기(6)의 내경칫수와 피스톤(65)의 외경칫수 가 일정한 허용공차 안에서 유지될 때 피스톤(65)이 부드럽게 상승하면서 내용물을 정상적으로 토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스톤(65)이 상승하는 구간의 내벽하단(62b)과 내벽상단(62a)에서의 용기의 내경 칫수의 허용공차는 0~0.2mm를 벗어나지 않을 때 내용물을 정상적으로 펌핑하여 토출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용기의 내경칫수가 내벽하단(62b)과 내벽상단(62a)에서 허용공차 이상으로 차이가 나면 피스톤(65)이 정상적으로 상승하지 못하거나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게 된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용기내경의 칫수가 허용공차를 벗어난 실시예이다.
도10 및 부분상세도 도10a는 진공용기(6)의 내경칫수가 피스톤(65)의 외경칫수와의 허용공차를 벗어나게 작아진 위치에서 피스톤(65)이 상승동작을 멈추고 정지된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이다.
도11 및 부분상세도 도11a는 진공용기(6)의 내경칫수가 피스톤(65)의 외경칫수보다 커서 피스톤(65)과 용기 내벽(62) 사이가 밀착되지 않아 펌핑에 의한 피스톤(65)의 상승동작을 못하게 되어 내용물을 토출할 수 없게 되고 용기 바닥으로 내용물이 누출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이다
종래기술의 진공용기(6)는 도10 및 도11의 실시예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공용기(6)와 피스톤(65)의 사출성형 과정에서 칫수를 허용공차로 엄격하게 관리하여야 한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은 사출성형상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정상적인 칫수관리가 어렵다.
일반적으로 사출금형은 사출성형된 사출물을 금형에서 취출하기 위해 빼기구 배(taper)를 주어야 한다. 진공용기(6)도 사출성형시 빼기구배를 주게 되기 때문에 피스톤(65)이 상승 하강하는 내벽상단(62a)과 내벽하단(62b)의 칫수가 차이난다. 그러나 진공용기(6)의 내측에 최소의 각도로 빼기구배를 준다 해도 내벽(62)의 높이가 길어지면 내벽상단(62a)과 내벽하단(62b)에서의 내경칫수 차이는 커지게 되어 허용공차안에 내경칫수를 관리하기가 어려워진다. 또 다른 칫수 변동요인은 사출금형은 여러 개의 캐비티가 하나의 금형에 배열되어 성형되기 때문에 캐비티와 캐비티 간에 칫수 차이가 있고, 사출할 때마다 성형조건이 달라지면 같은 캐비티에서 성형된 것도 칫수변화가 발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유로 용기 내경의 칫수변화와 피스톤(65) 외경의 칫수변화가 합쳐지면 내벽상단(62a)과 내벽하단(62b)에서 용기 내경과 피스톤 외경의 칫수 차이는 커지게 되고 허용공차 안에서 칫수를 관리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허용공차를 벗어난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 용기 내측에 과도한 윤활유를 도포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 피스톤이 상승하면서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한쪽으로 기울고 내용물이 누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를 실현하는 데 있다.
과제 1, 용기의 내경 칫수와 피스톤(65)의 외경 칫수를 정밀하게 관리하지 않아도 되는 진공용기의 제공
과제 2, 윤활유를 용기의 내벽에 도포할 필요가 없는 진공용기의 제공
과제 3, 용기의 내벽하단(62b)과 내벽상단(62a)의 칫수가 일정하지 않아도 되는 다양한 모양의 진공용기의 제공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은 용기 내측에 피스톤이 없고 서로 분리가능한 이중벽으로 구성된 다층용기를 중공성형하고 하단에는 용기의 내층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용기 목부에 진공펌프를 장착하고 펌핑을 하면 용기의 외층은 본래의 형태를 유지한 채 내층만 수축되며 내용물이 토출되는 용기가 된다.
상기 고안의 용기는 후술하는 네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째 단계는 튜브내층(11)과 튜브외층(12)이 서로 상용성이 없고 융착되지 않는 분리가능한 재질로 구성된 다층튜브(1)를 압출 성형한다(도1, 도1a 참조).
둘째 단계는 하단부(44)에 판형의 돌기(45)가 있는 용기금형(4)의 내측에 압출된 다층튜브(1)를 위치시키고 용기금형(4)을 닫고, 용기금형(4)의 상단부(3)에서 가열된 절단칼(19)로 압출튜브(1)를 절단함으로써, 패리슨(2)의 상단에는 개구부(23)를 형성하고 하단(24)에는 판형돌기(25)가 있는 구조의 패리슨(2)를 성형한다.(도2, 도3, 도3a, 도5 ~ 도5c 참조)
상기 과정에서 용기금형(4)의 하단부(44)에 의해 압착되며 절단되는 다층튜브(1)의 단면은 튜브외층(11)만 외부에 나타나게 되는데 이 과정에 대하여 도4 ~ 도4c 참조하여 상세하게 구분하여 설명하면, 도4는 용기금형(4)이 다층튜브(1)를 내측에 위치하고 열려있는 상태이고, 도4a는 용기금형(4)이 닫히는 과정중 초기에 용기금형(4)의 하단부(44)와 튜브외층(11)의 일부가 접촉하게 된 상태, 계속해서 용기금형(4)이 닫히면 양쪽의 용기금형(4)의 하단부(44) 사이에서 압착되는 다층튜브(1)는 차츰 원형에서 타원형을 거쳐 일자형으로 접히게 된다. 다층튜브(1)가 일자형으로 접히게 되면 초기에는 도4b와 같이 다층튜브(1)의 양쪽 벽이 서로 접촉하면서 외측에는 튜브외층(11)이 용기금형(4)의 양쪽 하단부(44)와 접하게 되고 내측에는 양쪽 튜브벽의 튜브내층(12)이 합쳐져 하나의 층으로 형성되는 구조가 된다. 차가운 용기금형(4)의 하단부(44)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에서 다층튜브(1)의 튜브외층(11)은 급속히 냉각되면서 유동성을 잃고 고체화가 진행되는데, 계속해서 용기금형(4)이 닫히면서 고체화 된 튜브외층(11)이 압박을 받아 튜브내층(12) 쪽으로 압착되며 밀려 들어가면 냉각되지 않아 고체화 진행이 안 된 튜브내층(12)은 유동성이 많기 때문에 더 이상 내측 방향으로 밀려 들어갈 공간이 없으므로 상측 방향과 하측 방향으로 갈라지며 밀려난다. 계속해서 용기금형(4)이 닫히면 튜브외층(11)에 의해 밀려나는 튜브내층(12)은 상하로 끊어지고 양쪽 용기금형(4)의 하단부(44) 사이에는 튜브외층(11)만 남는다. 이 상태에서 용기금형(4)이 완전히 닫히면 다층튜브(1)가 끊어지는데 그 끊어진 단면은 튜브외층(11)만 외부에 노출되는 구조 즉 도4c와 같은 형태가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단면의 구조 때문에 본 고안에서는 패리슨내층(22)의 일부분을 외부에 노출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패리슨(2)을 성형할 때 패리슨하단(24)에 판형돌기(25)를 일체로 형성시킨다. 이 과정으로 형성된 패리슨(2)은 도5, 도5a, 도5b, 도5c 와 같은 구조로 패리슨내층(22)과 패리슨외층(21)이 형성된다. 상기 형성된 판형돌기(25)는 후술하는 단계에서 그 일 부를 절단하고, 그 절단된 단면인 돌기단면(251)에 내층(32)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게 함으로써 본 고안을 실현한다.
셋째 단계는 닫혀 진 용기금형(4)의 상단부(43)에 고정되어 있는 패리슨(2)의 개구부(23)를 통해 압축공기를 불어넣어서 용기하단(44)에 판형돌기(2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다층용기(3)를 중공성형한다.(도6, 도6a, 도6b, 도6c 참조)
넷째 단계는 다층용기(3)의 하단부(34)에 있는 판형돌기(25)의 일부분을 잘라낸다.(도7 ~ 도7d 참조)
판형돌기(25)의 일부를 잘라낸 단면인 돌기단면(251)은 도7c와 같이 중앙에 내층(32)의 일부인 중앙부(251a)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그 주위에 외층(31)이 감싸는 구조가 된다. 상기 다층용기(3)의 목부(33)에 진공펌프(5)를 장착하고 펌핑을 하면 다층용기(3)의 내측에 진공압이 형성되고, 이 진공압에 의해 돌기단면(251)의 중앙부(251a)가 외층(31)으로부터 분리되어 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수축하게 되고, 수축된 중앙부(251a)와 외층(31)의 사이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면서 내층(32)이 수축하게 되어 다층용기(3) 내부의 내용물이 토출하게 된다.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용기 내측에 피스톤(65)과 같은 작동 부품이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내용물을 펌핑하여 토출할 때 마찰저항이나 누수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용기를 제공한다.
둘째, 용기 내측에 피스톤(65)의 작동을 위해 도포하는 윤활제 사용을 배제함으로서 용기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해 준다.
셋째, 용기 내측 구조에 대한 제약이 없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외관을 갖는 용기를 제공한다.
넷째, 종래기술에 비해 구성 부품수 및 조립공수가 줄어들어 경제적이다.
본 고안의 실시 내용은 후술하는 네 단계로 설명한다.
첫째 단계는 도1a와 같이 다층압출기(7)를 이용하여 튜브내층(12)과 튜브외층(11)이 서로 상용성이 없고 융착되지 않는 분리가능한 재질로 구성된 다층튜브(1)를 압출 성형하는 과정이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압출된 다층튜브(1)의 벽은 튜브내층(12)과 튜브외층(11)으로 구성되는데 두 개의 층이 서로 쉽게 분리되는 기능을 갖게 하기 위해서 튜브내층(12)과 튜브외층(11)이 압출성형 과정중 서로 융착되지 않도록 두 층의 사이엔 접착층이 없으며 서로 상용성이 없는 재질로 두 층을 구성한다. 튜브외층(11)과 튜브내층(12)의 재질의 구성예로는 각각 나일론수지/폴리에틸렌수지, 나일론수지/폴리프로필렌수지, 피이티(PET)수지/폴리프로필렌수지, 피이티수지/나일론수지와 같이 서로 상용성이 없고 융착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한다. 튜브내층(12)은 수축기능을 갖는 유연한 재질로 하고 튜브외층(11)은 용기 외벽을 형성하는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해 단단한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단계는 하단부(44)에 판형의 돌기(45)가 있는 용기금형(4)의 내측에 상 기 압출된 다층튜브(1)를 위치시키고 용기금형(4)을 닫아, 용기금형(4)의 하단부(44)에서 다층튜브(1)가 압착되어 판형돌기(25)가 형성되면서 절단되어 패리슨하단(24)이 형성되게 하고, 용기금형(4)의 상단부(43)에서는 가열된 절단칼(19)로 다층튜브(1)를 절단하여 패리슨(2)의 개구부(23)를 형성한다. 상기 패리슨(2)의 하단(24)에 형성된 판형돌기(25)의 두께는 다층튜브(1)의 벽두께의 2배를 넘지 않도록 한다.(참조 도2, 도3, 도3a, 도5 ~5c 참조)
판형돌기(25)의 크기는 다층튜브(1)의 두께 및 용기의 모양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실시예로 두께는 다층튜브(1) 벽두께의 2배 이내, 폭은 5mm내외, 길이는 5mm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단계는 닫혀 진 용기금형(4)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는 패리슨(2)의 상부의 개구부(23)를 통해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다층용기(3)를 중공성형한다.
상기 과정으로 중공성형한 다층용기(3)는 외벽이 외층(31)으로 감싸여져 있고 그 외층(31)의 내측에 내층(32)이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패리슨(2)의 성형과정 중 형성된 판형돌기(25)가 용기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도6 ~도6c 참조)
넷째 단계는 용기하단(34)에 형성된 판형돌기(25)를 용기하단(34)에 근접하게(높이0~2mm만 남기고) 절단용 칼로 잘라내어 돌기단면(251)을 형성한다.(도7 ~ 도7d 참조)
판형돌기(25)의 일부를 잘라낸 단면인 돌기단면(251)은 중앙에 내층(32)의 일부인 중앙부(251a)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그 주위는 외층(31)으로 감싸여 있는 구조가 된다.(도7c 참조)
상기 과정으로 제조한 본 고안의 다층용기(3)에 내용물을 채워 넣고 목부(33)에 진공펌프(5)를 장착하고 펌핑을 하여 용기 내부에 진공압이 생성되면, 다층용기(3)의 외층(31)은 본래의 형태를 유지한 채, 용기 내부에 진공압이 생성되고, 이 진공압에 의해 용기하단(34)에 형성된 돌기단면(251)의 중앙부(251a)는 다층용기(3)의 내측 방향으로 빨려들어가고, 내층(32)이 외층(31)으로부터 분리되면서 두 층 사이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내층(32)이 수축하게 되고, 수축된 내층(32)의 부피만큼 내용물이 토출하게 된다.(도8, 도8a, 도8b 참조)
본 고안의 용기는 내측에 작동부품이 없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진공용기에서 발생하는 펌핑기능의 장애가 없고 다양한 외관을 갖는 용기에 적합하다.
본 고안의 용기는 친환경.웰빙제품이나 제약용과 같이 사용중 외부 오염물질의 유입이나 내용물의 변질 없이 장기간 보관해야 되는 엄격한 포장관리가 요구된는 제품의 용기로 적합하다.
도1은 다층압출기(7)를 이용하여 다층튜브(1)를 압출성형하는 개념도
도1a는 다층튜브(1)의 단면도
도2는 용기금형을 닫고 상단부에서 다층튜브(1)를 자르고 패리슨(2)을 성형하는 개념도
도3은 용기금형(4)
도4는 내측에 다층튜브(1)를 위치하고 열려있는 용기금형의 단면도
도4a는 용기금형이 닫히는 과정, 용기금형 하단부(44)와 다층튜브(1)가 접촉한 상태
도4b는 용기금형이 닫히는 과정, 튜브내층(12)이 맞 닿은 상태
도4c는 용기금형이 완전히 닫힌 상태, 다층튜브(1)가 절단된 상태
도5는 용기금형이 닫히면서 형성된 패리슨(2)
도5a는 도5의 A-A단면도
도5b는 도5a의 측벽 상세도
도5c는 도5a의 판형돌기(25) 상세도
도6은 용기하단(34)에 판형돌기(25)가 있는 다층용기(3)
도6a는 도6의 B-B 단면도
도6b는 도6a의 측벽에 대한 상세도
도6c는 도6a의 판형돌기(25)에 대한 상세도
도7은 판형돌기(25)의 일부를 절단하여 돌기단면(251)이 형성된 다층용기(3)
도7a는 도7의 정면도
도7b는 도7a의 C-C단면도
도7c는 돌기단면(251)의 평면도
도7d는 도7b의 판형돌기(25)의 상세도
도8은 도7의 다층용기(3)를 펌핑하여 내층이 수축되어 있는 상태
도8a는 도8의 D-D단면도
도8b는 도8a에서 중앙부(251a)가 수축된 상태의 상세도
도9는 조립된 진공용기(6)
도9a는 도9의 측면 단면도, 피스톤이 내벽하단(62b)에 위치
도9b는 도9의 측면 단면도, 피스톤이 내벽(62)의 중간에 위치
도10은 피스톤이 빡빡한 상태의 진공용기(6)
도10a는 도10의 피스톤의 상세도
도11은 피스톤이 헐거운 상태의 진공용기(6)
도11a는 도11의 피스톤의 상세도

Claims (3)

  1. 서로 상용성이 없고 부착되지 않는 재질로 튜브내층(12)과 튜브외층(11)을 구성하여 다층튜브(1)를 압출성형하고, 하단부(44)에 판형의 돌기(45)가 있는 용기금형(4) 사이에 압출된 다층튜브(1)를 위치시키고 용기금형(4)을 닫아서 패리슨하단(24)에 판형돌기(25)를 형성하고, 용기금형(4)의 상단부(43)에서 가열된 절단칼(19)로 다층튜브(1)를 절단하여 패리슨(2)의 개구부(23)를 형성하고, 개구부(23)에 압축공기를 불어 넣어 용기하단(34)에 판형돌기(25)가 있는 다층용기(3)를 중공성형하고, 다층용기(3)의 하단에 용기와 일체로 형성된 판형돌기(25)의 일부를 절단하여 돌기단면(251)을 형성시켜 내층(32)의 일부인 중앙부(251a)가 외부에 노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다층용기(3)의 목부(33)에 진공펌프(5)를 장착하고 펌핑을 하면 용기하단(34)에 형성된 돌기단면(251)의 중앙부(251a)가 다층용기(3)의 내측 방향으로 빨려들어가면서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다층용기(3)에 내용물을 채워 넣고 목부(33)에 진공펌프(5)를 장착하고 펌핑을 하면, 다층용기(3)의 외층(31)은 본래의 형태를 유지한 채 내층(32)은 외층(31)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수축되어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용기
KR2020090001724U 2009-02-17 2009-02-17 내층이 분리되는 다층용기 KR2004601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724U KR200460181Y1 (ko) 2009-02-17 2009-02-17 내층이 분리되는 다층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724U KR200460181Y1 (ko) 2009-02-17 2009-02-17 내층이 분리되는 다층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438U KR20100008438U (ko) 2010-08-26
KR200460181Y1 true KR200460181Y1 (ko) 2012-05-10

Family

ID=44453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724U KR200460181Y1 (ko) 2009-02-17 2009-02-17 내층이 분리되는 다층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18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812B1 (ko) * 2012-02-09 2013-12-03 허재영 이중 브로우 저장 용기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3372A (ja) * 1991-09-18 1993-08-24 Kamaya Kagaku Kogyo Co Ltd 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75033B1 (ko) * 1996-10-29 2000-12-15 오니시 게이조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394527Y1 (ko) * 2005-06-21 2005-09-02 펌텍코리아 (주) 진공펌프를 가지는 튜브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3372A (ja) * 1991-09-18 1993-08-24 Kamaya Kagaku Kogyo Co Ltd 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75033B1 (ko) * 1996-10-29 2000-12-15 오니시 게이조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394527Y1 (ko) * 2005-06-21 2005-09-02 펌텍코리아 (주) 진공펌프를 가지는 튜브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438U (ko)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3534B1 (ko)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방법에 의한 합성수지제 이중 용기
JP6808339B2 (ja) 積層剥離容器及びプリフォーム
US11427368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double walled container
AU2016297663B2 (en) Barrier tube shoulders
JP2010522674A (ja) 一体型分配コンポーネント
US200500371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hin-walled products, and a product manufactured therewith
JP2016101970A (ja) 二重容器
KR200460181Y1 (ko) 내층이 분리되는 다층용기
JP6396192B2 (ja) 二重容器
JP2015205695A (ja) 注出口及びそれを有する押出し容器
JP6808379B2 (ja) 積層剥離容器
JP6840474B2 (ja) 二重容器
CN108290670B (zh) 挤压吹塑成型的容器
JP4240221B2 (ja) 多層溶融樹脂塊
JP7083747B2 (ja) 合成樹脂製容器、及び合成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
WO2012136935A1 (fr)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tel distributeur.
KR102122717B1 (ko) 화장품 용기
JP7058922B2 (ja) 二重容器用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用キャップの製造方法
JP7139064B2 (ja) 二重容器
CN111629971B (zh) 叠层剥离容器
JP2005103153A (ja) 薬液容器
JP2016141421A (ja) 二重容器
JP7058920B2 (ja) 二重容器用キャップ
JP2007045473A (ja) エアレス容器
JP7317450B2 (ja) 二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