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912B1 -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912B1
KR101984912B1 KR1020170027906A KR20170027906A KR101984912B1 KR 101984912 B1 KR101984912 B1 KR 101984912B1 KR 1020170027906 A KR1020170027906 A KR 1020170027906A KR 20170027906 A KR20170027906 A KR 20170027906A KR 101984912 B1 KR101984912 B1 KR 101984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ort
container body
container
discharg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1097A (ko
Inventor
유민호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027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912B1/ko
Publication of KR20180101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65D43/164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and connected by interfitting hinge elements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and the lid formed respectively
    • B65D43/165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and connected by interfitting hinge elements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and the lid formed respectively these elements being assembled by a separate pin-lik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18Upper closure of the 43-type
    • B65D2251/0021Upper closure of the 43-type of the B65D43/16-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료가 수용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상부에 결합되는 배출판과, 상기 용기본체 상단에 결합되는 회전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배출판은 상부배출판과 하부배출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배출판에는 상부배출구가 형성되며, 하부면에 폐쇄돌기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회전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돌기는 회전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하부배출판에는 하부배출구와 폐쇄돌기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으로써, 상기 상부배출구와 하부배출구가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때 배출판을 가압하면 상기 모든 배출구에서 화장료가 배출되고,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부배출판의 폐쇄돌기를 하부배출판의 하부배출구에 위치시키면 중앙의 배출구로만 화장료가 배출되는 것으로써, 사용자는 화장료의 배출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는 화장료가 수용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배출판과 하부배출판으로 이루어진 배출판과,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부배출판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배출판은 상부배출구와 폐쇄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배출판은 하부배출구와 폐쇄돌기삽입홈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with controlling the discharging amount}
본 발명은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료가 수용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상부에 결합되는 배출판과, 상기 용기본체 상단에 결합되는 회전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배출판은 상부배출판과 하부배출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배출판에는 상부배출구가 형성되며, 하부면에 폐쇄돌기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회전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돌기는 회전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하부배출판에는 하부배출구와 폐쇄돌기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으로써, 상기 상부배출구와 하부배출구가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때 배출판을 가압하면 상기 모든 배출구에서 화장료가 배출되고,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부배출판의 폐쇄돌기를 하부배출판의 하부배출구에 위치시키면 중앙의 배출구로만 화장료가 배출되는 것으로써, 사용자는 화장료의 배출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인체를 청결·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계면활성제와 같은 유화제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제형의 화장료를 혼합하여 제조하며 유상원료와 수상원료의 결합구조에 따라 유중수형과 수중유형의 화장료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는 수상원료 외측에 유상원료를 결합시킨 것으로서 유분감이 많아 피부 흡수가 느리고 사용감이 무겁지만 수중유형보다 지속성이 높은 장점이 있어 지속성이 필요한 화장품의 경우 땀이나 물에 대한 내수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유중수형 화장료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의 사용감이 무겁고 끈적이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내용물의 점도를 낮추어 제조하였는데 상기 저점도 유중수형 제품은 유통 중 용기 내에서 장기간 보관 시 내상인 수상원료와 외상인 유상원료가 서로 분리되는 경우가 있어 사용자가 용기를 흔들어서 분리된 수상원료와 유상원료를 혼합하여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7628호를 개시하여 저점도 유중수형 내용물을 함침부재(1)에 함침시켜 콤팩트 용기에 넣은 제품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퍼프를 이용하여 함침부재(1)를 직접 가압하여 퍼프에 화장료를 묻혀 사용하는 것으로써, 사용자는 함침부재(1)에 함침된 화장료의 배출량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42474호를 개시하였는데, 이는 내용기 상단에 다수의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패드(2)를 이중으로 형성하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배출패드는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배출패드는 내용기에 고정 결합시켜, 상부배출패드를 회전시키면 배출구가 일부만 개방되도록 하여 내용기 안에 있는 화장료의 양을 조절하면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배출패드(2)가 고무재와 같은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배출패드(2)를 자주 가압하면 배출패드(2)의 탄력성을 잃게 되어 하부로 처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배출패드(2)를 가압할 때 배출패드(2)의 중앙 부위만 가압되므로 화장료는 배출패드(2) 중앙 부위로만 배출되어 퍼프에 골고루 화장료를 묻힐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화장료가 수용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상부에 결합되는 배출판과, 상기 용기본체 상단에 결합되는 회전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배출판은 상부배출판과 하부배출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배출판에는 상부배출구가 형성되며, 하부면에 폐쇄돌기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회전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돌기는 회전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하부배출판에는 하부배출구와 폐쇄돌기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으로써, 상기 상부배출구와 하부배출구가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때 배출판을 가압하면 상기 모든 배출구에서 화장료가 배출되고,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부배출판의 폐쇄돌기를 하부배출판의 하부배출구에 위치시키면 중앙의 배출구로만 화장료가 배출되는 것으로써, 사용자는 화장료의 배출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화장료가 수용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배출판과 하부배출판으로 이루어진 배출판과;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부배출판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배출판에는 상부배출구와 폐쇄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배출판에는 하부배출구와 폐쇄돌기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배출판의 회전에 의해 상부배출판의 폐쇄돌기가 하부배출판의 하부배출구 또는 폐쇄돌기삽입홈에 위치하여 상부배출구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는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는 외용기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외용기의 일측에는 외용기뚜껑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는 용기본체뚜껑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배출판에는 회전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돌기는 회전부재에 형성된 회전돌기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배출판의 외측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는 용기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돌기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의 상부에는 마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측면에 제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한돌기는 용기본체에 형성된 규제리브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부배출판의 상부배출구가 하부배출판의 하부배출구와 대응되도록 위치시키면 모든 상부배출구가 개방되고,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부배출판의 폐쇄돌기가 하부배출판의 하부배출구에 삽입되면 중앙의 상부배출구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는 화장료가 수용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상부에 결합되는 배출판과, 상기 용기본체 상단에 결합되는 회전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배출판은 상부배출판과 하부배출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배출판에는 상부배출구가 형성되며, 하부면에 폐쇄돌기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회전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돌기는 회전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하부배출판에는 하부배출구와 폐쇄돌기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으로써, 상기 상부배출구와 하부배출구가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때 배출판을 가압하면 상기 모든 배출구에서 화장료가 배출되고,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부배출판의 폐쇄돌기를 하부배출판의 하부배출구에 위치시키면 중앙의 배출구로만 화장료가 배출되는 것으로써, 사용자는 화장료의 배출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다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상부배출구가 모두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상부배출구가 모두 개방된 배출판을 가압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중앙의 상부배출구만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중앙의 상부배출구만 개방된 배출판을 가압하는 상태의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상부배출구가 모두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상부배출구가 모두 개방된 배출판을 가압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중앙의 상부배출구만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중앙의 상부배출구만 개방된 배출판을 가압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는 화장료가 수용되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배출판(31)과 하부배출판(32)으로 이루어진 배출판(30)과,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부배출판(31)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40)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배출판(32)은 상부배출구(311)와 폐쇄돌기(312)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배출판(32)은 하부배출구(321)와 폐쇄돌기삽입홈(322)이 형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0)는 바닥면(11)과 상기 바닥면(11)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된 내벽(12)과 상기 내벽(12)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외벽(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벽(12)의 내주면에는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돌기삽입홈(16)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삽입홈(16)에는 배출판(30)의 하부배출판(32) 외측에 형성된 고정돌기(323)가 삽입된다.
상기 외벽(13)의 내주면에는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규제리브(17)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40)의 측면에 형성된 제한돌기(43)가 상기 규제리브(17) 사이에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외벽(13)의 외주연에는 힌지블라켓(14)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블라켓(14)에는 용기본체뚜껑(50)에 형성된 힌지블럭(53)이 힌지 결합된다.
상기 용기본체(10)에는 화장료가 직접 수용될 수도 있고,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20)가 내장될 수도 있다.
상기 용기본체(10) 내에 화장료가 직접 수용되는 경우에는 하부배출판(32)을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장착된다.
본 발명에서는 용기본체(10) 내에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20)가 내장된 구조로 설명한다.
상기 함침부재(20)는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eral Rubber), NRSBR(Nateral Rubber Styrene Butadiene Rubber),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라텍스, 실리콘, PVA(PolyVinyl Alcohol), 니트릴고무, 부틸고무 및 네오프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본체(10)는 외용기(6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외용기(60)의 일측에는 외용기뚜껑(70)이 결합된다.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에는 배출판(30)이 결합된다.
상기 배출판(30)은 상부배출판(31)과 하부배출판(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배출판(31)은 상부배출구(311)가 관통 형성되며, 하부에 폐쇄돌기(312)가 형성되고, 상부 테두리에 회전돌기(313)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배출판(32)은 하부배출구(321)가 관통 형성되며, 표면에 폐쇄돌기삽입홈(322)이 형성되고, 테두리에 고정돌기(323)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배출구(311)와 하부배출구(321)는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5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배출판(31)의 상부배출구(311)가 하부배출판(32)의 하부배출구(321)와 대응되도록 위치되면 모든 상부배출구(311)가 개방된다.
이때, 상부배출판(31)의 폐쇄돌기(312)는 하부배출판(32)의 폐쇄돌기삽입홈(322)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도 8과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배출판(31)의 폐쇄돌기(312)가 하부배출판(32)의 하부배출구(321)에 삽입되면 중앙의 상부배출구(311)만 개방된다.
상기 상부배출판(31)의 회전돌기(313)는 회전부재(40)에 형성된 회전돌기삽입홈(42)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재(4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부배출판(31)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하부배출판(32)의 고정돌기(323)는 용기본체(10)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돌기삽입홈(16)에 삽입되어 하부배출판(32)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회전부재(40)는 용기본체(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부배출판(31)을 회전시키며, 상부에 마찰부(41)가 형성되고, 하부 내측에 회전돌기삽입홈(42)이 형성되며, 측면에 제한돌기(43)가 형성된다.
상기 마찰부(41)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부재(40)를 회전시킬 때, 사용자가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해준다.
상기 회전돌기삽입홈(42)에는 상부배출판(31)의 회전돌기(313)가 삽입되어 상기 상부배출판(31)이 회전부재(40)의 회전 동작에 의해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한돌기(43)는 용기본체(10)에 형성된 규제리브(17) 사이에 위치되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부재(40)를 회전시킬 때, 상기 회전부재(40)가 규제리브(17) 사이에서만 회전될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화장료의 배출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용기본체(10)의 일측에는 용기본체뚜껑(50)이 결합된다.
상기 용기본체뚜껑(50)은 하단에 밀폐편(51)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밀폐편(51)은 용기본체(10)의 외벽(13) 내측에 강제 끼움 결합되어 용기본체(10)의 기밀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용기본체뚜껑(50)의 일측면에는 개폐손잡이(52)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손잡이(52)는 용기본체뚜껑(50)의 개폐를 용이하게 해준다.
상기 용기본체뚜껑(50)은 일측에 힌지블럭(53)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블럭(53)은 용기본체(10)의 힌지블라켓(14)에 끼워져서 힌지핀(15)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용기본체뚜껑(50)의 상면에는 화장도구인 퍼프(P)를 보관할 수 있는 퍼프안착홈(54)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조립방법 및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조립하기 위해 용기본체(10)에 화장료를 수용하거나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20)를 장착한다.
이후,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에 상부배출판(31)과 하부배출판(32)으로 이루어진 배출판(30)을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에 배출판(30)의 상부배출판(31)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40)를 결합한 다음, 용기본체(10)에 용기본체뚜껑(50)을 결합하고, 상기 용기본체(10)를 외용기(60)와 외용기뚜껑(70)으로 형성된 케이스에 장착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조립된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화장료를 사용하기 위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퍼프(P)를 이용하여 상부배출판(31)을 가압하여 화장료를 배출시킨다.
이때, 상기 상부배출판(31)의 상부배출구(311)와 하부배출판(32)의 하부배출구(321)가 대응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배출구(311) 전체에서 화장료가 배출된다.
상기 화장료의 배출량이 많다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부재(40)를 회전시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배출판(31)의 폐쇄돌기(312)를 하부배출판(32)의 하부배출구(321)에 위치시키면 중앙의 상부배출구(311)와 하부배출구(321)만 관통된다.
이후,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퍼프(P)를 이용하여 상부배출판(31)을 가압하여 중앙의 상부배출구(311)로만 화장료를 배출시키기 때문에 사용자가 화장료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용기본체 20:함침부재
30:배출판 40:회전부재
50:용기본체뚜껑 60:외용기
70:외용기뚜껑

Claims (9)

  1. 화장료가 수용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배출판과 하부배출판으로 이루어진 배출판과;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부배출판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배출판에는 회전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돌기는 회전부재에 형성된 회전돌기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상부배출판에는 상부배출구와 폐쇄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배출판에는 하부배출구와 폐쇄돌기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부배출판의 상부배출구가 하부배출판의 하부배출구와 대응되도록 위치시키면 모든 상부배출구가 개방되어 모든 배출구에서 화장료가 배출되고,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부배출판의 폐쇄돌기가 하부배출판의 하부배출구에 삽입되면 중앙의 상부배출구만 개방되어 화장료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는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외용기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외용기의 일측에는 외용기뚜껑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에는 용기본체뚜껑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배출판의 외측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는 용기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돌기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상부에는 마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측면에 제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한돌기는 용기본체에 형성된 규제리브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9. 삭제
KR1020170027906A 2017-03-03 2017-03-03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1984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906A KR101984912B1 (ko) 2017-03-03 2017-03-03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906A KR101984912B1 (ko) 2017-03-03 2017-03-03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097A KR20180101097A (ko) 2018-09-12
KR101984912B1 true KR101984912B1 (ko) 2019-05-31

Family

ID=63593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906A KR101984912B1 (ko) 2017-03-03 2017-03-03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9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608Y1 (ko) * 2005-09-02 2005-12-02 주식회사 태평양 파우더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파우더 용기
KR200480113Y1 (ko) * 2013-10-10 2016-04-15 (주)아모레퍼시픽 파우더를 함유한 스펀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JP2016530923A (ja) * 2014-02-14 2016-10-06 エルジー ハウスホールド アンド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化粧品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608Y1 (ko) * 2005-09-02 2005-12-02 주식회사 태평양 파우더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파우더 용기
KR200480113Y1 (ko) * 2013-10-10 2016-04-15 (주)아모레퍼시픽 파우더를 함유한 스펀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JP2016530923A (ja) * 2014-02-14 2016-10-06 エルジー ハウスホールド アンド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化粧品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097A (ko)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939Y1 (ko) 고무배출패드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101947716B1 (ko) 밀폐뚜껑을 갖는 듀얼 화장품 용기
EP3260109B1 (en) Cosmetic product having impregnation member embossed and engraved by melting surface
KR200479315Y1 (ko) 금속 재질의 배출판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US20170303662A1 (en) Cosmetic having impregnation member with melted outside
US20160270510A1 (en) Foundation container capable of easily preventing gel-state content from remaining
JP2017512538A (ja) ゴム排出パッド付き化粧品容器
JP2019181266A (ja) 化粧用品をパッケージングする容器
KR200480111Y1 (ko) 도포부재가 구비된 겔상 화장료용 펌프용기
KR200478729Y1 (ko) 스퀴즈가 가능한 퍼프 일체형 화장품용기
KR100479410B1 (ko) 화장품 용기
KR200484726Y1 (ko) 가압용기를 갖는 겔상 화장품 용기
US20190133294A1 (en) Cosmetic product further having impregnation member with outer surface thereof molten
KR200473583Y1 (ko) 겔상 내용물의 잔량 방지가 용이한 콤팩트 용기
KR20170136048A (ko) 별도의 다른 화장료를 담지한 화장품
KR20160112058A (ko) 듀얼뚜껑을 갖는 콤팩트용기
KR200488290Y1 (ko) 화장품 용기
KR101713592B1 (ko) 돌기가 형성된 배출판과 용기본체를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콤팩트 용기
KR20110043127A (ko) 화장품 용기
KR101984912B1 (ko)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20160123518A (ko) 내용기의 이중밀폐구조를 구비한 콤팩트용기
KR101895040B1 (ko) 화장료 리필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1884932B1 (ko) 2개의 수용공간 및 청결유지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886138B1 (ko) 화장료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1895042B1 (ko) 화장료 리필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