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034B1 - 내용물 배출펌프 - Google Patents

내용물 배출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034B1
KR101446034B1 KR1020130137515A KR20130137515A KR101446034B1 KR 101446034 B1 KR101446034 B1 KR 101446034B1 KR 1020130137515 A KR1020130137515 A KR 1020130137515A KR 20130137515 A KR20130137515 A KR 20130137515A KR 101446034 B1 KR101446034 B1 KR 101446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contents
discharge
valv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7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일
Original Assignee
강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일 filed Critical 강성일
Priority to KR1020130137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034B1/ko
Priority to PCT/KR2014/010828 priority patent/WO2015072732A1/ko
Priority to US15/036,156 priority patent/US1003515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62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05B11/007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being opened by deformation of a sealing element made of resiliently deformable material, e.g. flaps, skirts, duck-bil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1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without contact of the fluid remaining in the container with the atmospheric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05B11/1025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a spring urging the outlet valve in its clos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28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 B05B11/1069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the valve being made of a resiliently deformable material or being urged in a closed position by a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7Spring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27Means for neutralising the actuation of the sprayer ; 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the sprayer actuation means
    • B05B11/0032Manually actuated means located downstream the discharge nozzle for closing or covering it, e.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핑 작동에 의해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일정량씩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용기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내용물 배출펌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펌프본체 상부에 펌프상체가 끼워지고 상기 펌프본체와 펌프상체의 내측에 펌프내체가 끼워지며, 펌프상체 상부의 배출돌출봉에 배출밸브의 밸브돌륜이 결합되어, 펌프상체를 펌프본체에 대해 상하이동하여 펌프내체의 내용물임시저장소의 체적을 변화시킴에 따라 내용물이 배출되게 하도록 함으로서 내용물 배출펌프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생산성이 높고 제품 단가가 낮도록 하는 동시에, 펌프내체의 변형에 의해 내용물임시저장소의 체적을 변화시켜 펌핑이 되도록 함으로서 콤팩트 타입의 겔상파운데이션 용기와 같이 배출펌프의 작동 행정거리가 짧아 배출펌프가 장착될 공간이 작은 제품에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내용물 배출펌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V)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내용물 배출펌프에 있어서, 펌프본체(10)와 펌프상체(20), 펌프내체(30), 배출밸브(40) 그리고 탄성부재(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본체(10)는 그릇형상으로 가운데가 움푹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며, 본체하판(11)의 중앙에는 내용물흡입구(12)를 형성하고, 상기 내용물흡입구(12) 외측으로는 흡입구환형돌출부(13)를 형성하며, 내측 측면에는 펌프내체(30)가 결합되는 펌프내체걸림턱(14)이 형성된다.
상기 펌프상체(20)는 상기 펌프본체(10)의 위쪽에 결합되어 펌프본체(10)에 대해 상하이동에 의해 펌핑작용이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상체(20)는 상체상판(21)의 중앙부에 함몰된 배출밸브결합공간(22)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밸브결합공간(22) 중앙에는 내용물배출구(23)가 형성된 배출돌출봉(24)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밸브결합공간(22)의 측벽면에는 배출밸브(40)가 결합되는 배출밸브결합턱(2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체상판(21)의 아래쪽으로는 펌프내체(30)가 결합되는 제1결합연장편(28)과 이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외측으로 제2결합연장편(29)이 형성된다.
상기 펌프내체(30)는 그릇형상으로 가운데가 움푹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며, 아랫면은 흡입밸브판(70)이 일체로 형성되고, 측면 아랫부분은 주름관(31)이 형성되며 윗부분은 펌프상체(20)와 결합되는 펌프상체결합편(32)이 형성되고, 상기 펌프상체결합편(32)의 상단 외측으로는 일체로 연장된 상부측면연장편(33)이 형성되며, 상기 주름관(31)의 하단 외측으로는 일체로 연장하여 하부측면연장편(34)이 형성된다.
상기 펌프내체(30)의 아랫면을 형성하는 흡입밸브판(70)은 중앙에 펌프본체(10)의 내용물흡입구(12)를 덮는 밸브판(71)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판(71)의 외측 아래로는 펌프본체(10)의 흡입구환형돌출부(13)와 엇갈리게 접촉되어 내용물의 유통을 차단하는 밸브판환형돌출부(72)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판(71)의 외측면과 펌프내체(30)의 내측 하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탄력편(73)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밸브(40)는 상기 펌프상체(20)의 위쪽으로 결합되며, 상기 펌프상체(20)의 내용물배출구(23)를 개폐하는 밸브돌륜(41)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돌륜(41) 외측으로 상기 펌프상체(20)와 결합되는 결합돌륜(42)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돌륜(41)과 결합돌륜(42) 사이에는 밸브돌륜(41)이 온,오프될 때 움직일 수 있는 공간부(43)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50)는 펌프내체(30)의 상부측면연장편(33)과 하부측면연장편(34) 사이에 위치하여 펌프내체(30)를 인장(引張)시키는 동시에 펌프본체(10)와 펌프상체(20)를 탄력 지지한다.
상기 결합보조부재(60)는 배출밸브(40)를 펌프상체(20)에 결합할 때 결합보조수단으로 사용된다. 상기 결합보조부재(6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배출밸브(40)의 끼움홈(45)에 결합되는 끼움돌기(61)가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펌프상체(20)의 배출밸브결합턱(25)과 결합되는 펌프상체결합턱(62)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내용물 배출펌프{Contents exhaust pump}
본 발명은 펌핑 작동에 의해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일정량씩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용기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내용물 배출펌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펌프본체 상부에 펌프상체가 끼워지고 상기 펌프본체와 펌프상체의 내측에 펌프내체가 끼워지며, 펌프상체 상부의 배출돌출봉에 배출밸브의 밸브돌륜이 결합되어, 펌프상체를 펌프본체에 대해 상하이동하여 펌프내체의 내용물임시저장소의 체적을 변화시킴에 따라 내용물이 배출되게 하도록 함으로서 내용물 배출펌프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생산성이 높고 제품 단가가 낮도록 하는 동시에, 펌프내체의 변형에 의해 내용물임시저장소의 체적을 변화시켜 펌핑이 되도록 함으로서 콤팩트 타입의 겔상파운데이션 용기와 같이 배출펌프의 작동 행정거리가 짧아 배출펌프가 장착될 공간이 작은 제품에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내용물 배출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 안에 담겨져 있는 화장품, 샴푸, 세제류, 의약품퓨 등의 내용물을 정량씩 배출하여 사용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용기에 배출펌프를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기에 장착되어 내용물을 정량씩 배출하여 사용하는 기존의 배출펌프는 다양하게 착안 되어 있으나, 일반적인 내용물 배출펌프의 구조는 첨부 도면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유입공(125)을 개폐하는 개폐볼(122)과 작동피스톤(123)이 스프링(121)의 탄성력을 받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작동피스톤(123)으로 내용물저장실(126) 내에 압력을 가해 상기 내용물저장실(126) 내의 내용물을 누름버튼(140)을 통해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실린더(120)가 펌프본체(110)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작동피스톤(123)에는 밀폐피스톤(124)이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120)의 작동피스톤(123)에 체결된 작동관(130)에는 누름버튼(1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내용물 배출펌프는 누름버튼(140)을 누르면 밀폐피스톤(124)과 작동피스톤(123)의 사이에 공극이 먼저 발생한 후, 상기 밀폐피스톤(124)과 작동피스톤(123)이 함께 아래로 내려가면서 내용물저장실(126)에 압력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압력에 의해 작동피스톤(123)의 내용물이송로(123a)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된다.
이때, 개폐볼(122)은 압축되는 스프링(121)에 의해 내용물유입로(125)에 밀착되어져 상기 내용물유입로(125)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누름버튼(140)을 눌러 내용물을 배출한 다음 누름버튼(140)에 가했던 외력을 해제하면,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21)에 축적된 반발 탄성력에 의해 작동피스톤(123)과 밀폐피스톤(124)이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승하는 작동피스톤(123)과 밀폐피스톤(124)은 상승 초기에 밀폐피스톤(124)이 실린더(120) 내측과의 마찰로 인하여 정지하고 있는 동안 작동피스톤(123)이 먼저 상승하여 작동피스톤(123)과 밀폐피스톤(124) 사이에 발생하였던 공극이 닫히면서 내용물이송로(123a)가 차단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내용물이송로(123a)가 차단되어진 상태에서 작동피스톤(123)과 밀폐피스톤(124)이 스프링(121)에 의해 지속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내용물저장실(126)에 진공압이 발생하게 되고, 내용물저장실(126)에 발생한 진공압에 의해 개폐볼(122)이 상기 내용물유입공(125)으로부터 이격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이 내용물저장실(126)에 유입되어 지게 된다.
상기 종래 내용물 배출펌프는 상기의 동작을 연속 반복하면서 내용물을 배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내용물 배출펌프의 가장 큰 단점은 내용물의 배출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폐수단이 금속볼과 금속스프링이어서 금속볼과 금속스프링이 내용물에 의해 화학적 작용으로 인해 부식되어 내용물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내용물 배출펌프의 재료가 합성수지재와 금속재가 혼재된 상태이기 때문에 내용물 배출펌프를 사용한 후 폐기할 때에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분리 수거할 수 없어서 자원 재활용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 내용물 배출펌프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품의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구조상 배출펌프의 작동 행정거리가 길어서 콤팩트와 같이 폭보다 높이가 작은 제품에 사용할 때에는 배출펌프가 장착될 공간이 작아서 장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69816호로 구조가 간단한 내용물 배출펌프를 제안한바 있는데, 이는 변형가압부재(260)가 실린더와 개폐밸브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서 내용물 배출펌프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생산성이 높고 제품 단가가 낮도록 하는 동시에, 변형가압부재(260)의 변형에 의해 내용물 임시저장소(TR)의 체적을 변화시켜 펌핑이 되도록 함으로서 배출펌프의 작동 행정거리가 짧아 배출펌프가 장착될 공간이 작은 제품에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내용물 배출펌프를 제안하였다.
이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210)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내용물 배출펌프에 있어서, 누름버튼(250)을 하강시키면 변형가압부재(260)가 눌려 변형되면서 하강하게 되어 펌프상체(222)와 펌프하체(224)로 이루어진 펌프본체(220) 내의 임시저장소(TR)의 체적이 줄어들면서 임시저장소(TR)에 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밸브판(240)은 내용물 흡입구(226)를 폐쇄하고, 내용물개폐편(252)과 밀착되어 있는 밸브돌륜(262)은 압력에 의해 벌어져 임시저장소(TR)에 있던 내용물이 내용물개폐편(252)과 밸브돌륜(262)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구(254)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그 후 누름버튼(250)을 눌렀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270)의 복원력에 의해 누름버튼(250)이 위로 올라가면서 누름버튼(250)에 눌렸던 변형가압부재(260)가 원래 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이에 따라 임시저장소(TR) 내에는 진공압이 발생하게 되어 변형가압부재(260)의 밸브돌륜(262)과 내용물개폐편(252) 사이가 폐쇄되고 진공압으로 인해 밸브판(240)의 중앙부위가 위로 들리면서 개폐라인(241)의 경계선이 벌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밸브판(240)의 벌어진 개폐라인(241)의 틈새와 내용물 흡입구(226)를 통해 용기(210) 내에 있던 내용물이 임시저장소(TR) 내로 이동하게 된다. 내용물의 이동에 따라 임시저장소(TR)의 진공압이 사라지게 되면 밸브판(240)의 자체 탄성력으로 인해 벌어졌던 개폐라인(241)이 원래 상태로 복원되면서 닫혀지게 되어 밸브판(240)은 내용물 흡입구(226)를 폐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배출펌프는 변형가압부재(260)의 변형에 의해 임시저장소(TR)의 체적을 변형시켜 임시저장소(TR)의 압력에 따라 내용물을 배출하는 것이나, 상기 임시저장소(TR)에 압력이 높아지면 변형가압부재(260)의 밸브돌륜(262)이 벌어지면서 임시저장소(TR)에 있던 내용물이 배출되어야 하지만 상기 변형가압부재(260) 전체가 탄성이 우수한 연질의 고무재로 되어 있으므로 밸브돌륜(262)이 벌어지기 전에 변형가압부재(260)의 다른 부분이 부풀어오르는 경우가 발생하여 항상 일정한 량의 내용물이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83084호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내용물 배출펌프를 제안한바 있는데, 이는 펌프본체 상부 내측으로 펌프상체가 끼워지고 펌프상체 상부의 연장돌륜에 배출밸브의 밸브돌륜이 끼워지게 하여 펌프상체가 펌프본체 내에서 상하이동함에 따라 내용물이 배출되게 하도록 함으로서 내용물 배출펌프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생산성이 높고 제품 단가가 낮도록 하는 동시에, 펌프상체가 펌프본체 내에서 상하이동하게 하는 것에 의해 내용물임시저장소의 체적을 변화시켜 펌핑이 되도록 함으로서 배출펌프의 작동 행정거리가 짧아 배출펌프가 장착될 공간이 작은 제품에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내용물 배출펌프를 제안하였다.
이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V)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내용물 배출펌프에 있어서, 펌프상체(320) 또는 결합보조부재(370)에 의해 펌프상체(320)에 결합된 배출밸브(350)의 윗면을 눌러 펌프상체(320)를 하강시키면 펌프본체(310) 내의 내용물임시저장소(TR)의 체적이 줄어들면서 내용물임시저장소(TR)에 압력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흡입밸브판(340)은 펌프하체(330)의 내용물흡입구(332)를 폐쇄하고, 내용물배출구(322)에 밀착되어 있는 밸브돌륜(352)은 압력에 의해 벌어져 내용물임시저장소(TR)에 있던 내용물이 내용물배출구(322)와 밸브돌륜(352)의 벌어진 틈새를 통과하고 펌프상체(320)와 배출밸브(350) 사이의 틈새인 유로(324)를 통과한 후 배출밸브(350) 상측 주연부에 배출 압력이 작용하여 펌프상체(320)의 윗면과 배출밸브(350) 상측 주연부의 밀폐돌륜(356)과의 사이에 틈새가 벌어져 그 틈새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되게 된다.
그 후 펌프상체(320) 또는 배출밸브(350) 윗면을 눌렀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360)의 복원력에 의해 펌프상체(320)가 위로 올라가면서 펌프본체(310) 내의 내용물임시저장소(TR)의 공간이 커지므로 진공압이 발생하게 되어 배출밸브(350)의 밸브돌륜(352)과 내용물배출구(322) 사이가 폐쇄되고 진공압으로 인해 흡입밸브판(340)의 중앙부위가 위로 들리면서 개폐라인(341)의 경계선이 벌어지게 됨에 따라 흡입밸브판(340)의 벌어진 개폐라인(341)과 내용물흡입구(332)를 통해 용기(V) 내에 있던 내용물이 내용물임시저장소(TR)로 이동하게 되고, 내용물의 이동에 따라 내용물임시저장소(TR)의 진공압이 사라지게 되면 밸브판(340)의 자체 탄성력으로 인해 벌어졌던 개폐라인(341)이 원래 상태로 복원되면서 닫혀지게 되어 흡입밸브판(340)은 내용물흡입구(332)를 폐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배출펌프는 펌프본체(310) 내에 끼워진 펌프상체(320)를 슬라이딩시켜 펌프본체(310) 내의 내용물임시저장소(TR)의 체적을 변화시켜 내용물을 배출하게 하는 것인데, 이는 펌프본체(310)가 실린더 역할을 하고 펌프상체(320)가 피스톤 역할을 하게 하는 것이어서 펌프본체(310)와 펌프상체(320)의 마찰이 심하여 배출펌프의 작동이 부드럽지 못할 뿐만 아니라 배출펌프를 작동시키는데 많은 힘을 가해야 하므로 작동 상 불편하였으며 또한, 펌프본체(310)와 펌프상체(320)의 마찰로 인하여 부품의 마모가 심해져 사용상 작동 이상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는 내용물 배출펌프를 경질의 펌프본체와 펌프상체로 분할하여 구성하되 펌프본체와 펌프상체 내에는 펌프내체를 결합하여 펌프상체가 펌프본체에 대하여 상하이동하면서 내용물임시저장소의 체적을 변화시켜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펌프본체와 펌프상체와의 마찰 없이 펌프내체의 변형에 의해 내용물임시저장소의 체적을 변화시킴으로서 펌프본체와 펌프상체와의 마찰로 인한 부품의 마모 현상이 없도록 하여 불량률을 없애 제품신용도를 높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내용물 배출펌프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제작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서 생산성을 높여 제품 단가를 낮춘 내용물 배출펌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른 목적으로는 내용물 배출펌프의 내용물임시저장소의 제적을 변화시키는 펌프내체와 배출밸브를 분리하여 다른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배출밸브가 작동하기 전에 펌프내체가 부풀어오르는 문제점을 방지하여 항상 일정량의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내용물 배출펌프를 구성하는 부품을 고무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화학물질에 강한 재료로 형성하여 내용물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는 동시에, 배출펌프 내의 흡입밸브와 배출밸브에 금속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내용물 배출펌프를 사용한 후에는 자원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배출펌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내용물 배출펌프의 작동 행정거리가 짧도록 구조를 형성하여 콤팩트와 같이 폭보다 높이가 작은 제품에도 사용이 용이한 내용물 배출펌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V)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내용물 배출펌프에 있어서, 펌프본체(10)와 펌프상체(20), 펌프내체(30), 배출밸브(40) 그리고 탄성부재(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본체(10)는 그릇형상으로 가운데가 움푹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며, 본체하판(11)의 중앙에는 내용물흡입구(12)를 형성하고, 상기 내용물흡입구(12) 외측으로는 흡입구환형돌출부(13)를 형성하며, 내측 측면에는 펌프내체(30)가 결합되는 펌프내체걸림턱(14)이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상단 외측으로는 펌프상체(20)가 이탈되지 않게 결합되는 펌프상체걸림돌륜(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펌프상체(20)는 상기 펌프본체(10)의 위쪽에 결합되어 펌프본체(10)에 대해 상하이동에 의해 펌핑작용이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상체(20)는 상체상판(21)의 중앙부에 함몰된 배출밸브결합공간(22)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밸브결합공간(22) 중앙에는 내용물배출구(23)가 형성된 배출돌출봉(24)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밸브결합공간(22)의 측벽면에는 배출밸브(40)가 결합되는 배출밸브결합턱(2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체상판(21)의 아래쪽으로는 펌프내체(30)가 결합되는 제1결합연장편(28)과 이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외측으로 제2결합연장편(29)이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상체상판(21)의 외측 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는 상체연장편(26)이 더 형성되어 상체연장편(26) 내측 단부에 펌프본체걸림돌륜(27)이 형성되어 상기 펌프본체(10)의 펌프상체걸림돌륜(15)과 걸림 결합된다.
상기 펌프내체(30)는 그릇형상으로 가운데가 움푹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며, 아랫면은 흡입밸브판(70)이 일체로 형성되고, 측면 아랫부분은 주름관(31)이 형성되며 윗부분은 펌프상체(20)와 결합되는 펌프상체결합편(32)이 형성되고, 상기 펌프상체결합편(32)의 상단 외측으로는 일체로 연장된 상부측면연장편(33)이 형성되며, 상기 주름관(31)의 하단 외측으로는 일체로 연장하여 하부측면연장편(3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펌프상체결합편(32)의 하단과 주름관(31)의 상단은 수평연결편(35)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펌프상체(20)의 제1결합연장편(28)의 하단부가 압박하여 누르도록 형성된다.
상기 펌프내체(30)의 아랫면을 형성하는 흡입밸브판(70)은 중앙에 펌프본체(10)의 내용물흡입구(12)를 덮는 밸브판(71)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판(71)의 외측 아래로는 펌프본체(10)의 흡입구환형돌출부(13)와 엇갈리게 접촉되어 내용물의 유통을 차단하는 밸브판환형돌출부(72)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판(71)의 외측면과 펌프내체(30)의 내측 하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탄력편(73)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밸브(40)는 상기 펌프상체(20)의 위쪽으로 결합되며, 상기 펌프상체(20)의 내용물배출구(23)를 개폐하는 밸브돌륜(41)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돌륜(41) 외측으로 상기 펌프상체(20)와 결합되는 결합돌륜(42)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돌륜(41)과 결합돌륜(42) 사이에는 밸브돌륜(41)이 온,오프될 때 움직일 수 있는 공간부(43)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밸브(40)의 외측단으로는 상기 펌프상체(20)의 상체상판(21)과 맞닿아 있다가 내용물이 배출될 때에는 배출압력에 의해 밀려서 열리는 밀폐편(44)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돌륜(42) 외측면에는 결합보조부재(60)가 끼워지는 끼움홈(4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0)는 펌프내체(30)의 상부측면연장편(33)과 하부측면연장편(34) 사이에 위치하여 펌프내체(30)를 인장(引張)시키는 동시에 펌프본체(10)와 펌프상체(20)를 탄력 지지한다.
상기 결합보조부재(60)는 배출밸브(40)를 펌프상체(20)에 결합할 때 결합보조수단으로 사용되며 결합보조부재(60) 없이 직접 배출밸브(40)가 펌프상체(20)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결합보조부재(60)를 사용하여 배출밸브(40)를 펌프상체(20)에 결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결합보조부재(6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배출밸브(40)의 끼움홈(45)에 결합되는 끼움돌기(61)가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펌프상체(20)의 배출밸브결합턱(25)과 결합되는 펌프상체결합턱(6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배출펌프는, 펌프상체(20) 또는 배출밸브(40)의 윗면을 눌러 펌프상체(20)를 펌프본체(10)에 대해 하강시키면, 탄성부재(50)가 압축되면서 펌프내체(30)의 주름관(31)은 내측으로 접히고 내용물임시저장소(TR)의 체적이 줄어들어, 이에 따라 내용물임시저장소(TR)에 압력이 발생되어 내용물임시저장소(TR) 내에 있던 내용물이 내용물배출구(23)로 밀려나가 내용물배출구(23)에 밀착되어 있는 밸브돌륜(41)이 배출압력에 의해 벌어져 내용물이 내용물배출구(23)와 밸브돌륜(41)의 벌어진 틈새를 통과하고, 펌프상체(20)와 배출밸브(40) 사이의 틈새인 유로(46)를 지난 후 배출밸브(40) 상측 주연부의 밀폐편(44)에 배출압력이 작용하여 밀폐편(44)이 벌어지면서 그 틈새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되게 된다. 이때 흡입밸브판(70)은 내용물임시저장소(TR)의 압력에 의해 밀리면서 밸브판환형돌출부(72)가 펌프본체(10)의 흡입구환형돌출부(13)를 압박하여 내용물흡입구(12)는 폐쇄된다.
그리고, 펌프상체(20) 또는 배출밸브(40) 윗면을 눌렀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50)의 복원력에 의해 펌프상체(20)가 위로 올라가면서 펌프내체(30)의 상부측면연장편(33)이 따라 올라가 접혔던 주름관(31)이 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내용물임시저장소(TR)의 체적이 커지게 되므로 내용물임시저장소(TR) 내에 진공압이 발생하게 되어 배출밸브(40)의 밸브돌륜(41)은 내용물배출구(22)를 폐쇄하게 되고, 진공압으로 인해 흡입밸브판(70)의 밸브판(71)이 위로 들리면서 밸브판환형돌출부(72)가 흡입구환형돌출부(13)로부터 이격되면서 내용물흡입구(12)가 개방되어 용기(V) 내에 있던 내용물이 내용물임시저장소(TR)로 이동하게 된다. 내용물이 내용물임시저장소(TR)로 이동함에 따라 내용물임시저장소(TR) 내의 진공압은 사라지게 되고, 흡입밸브판(70)의 탄력편(73)의 탄성으로 인해 밸브판(71)은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면서 닫혀지게 되어 내용물흡입구(12)는 폐쇄되게 된다.
본 발명은 내용물 배출펌프를 경질의 펌프본체와 펌프상체로 분할하여 구성하되 펌프본체와 펌프상체 내에는 펌프내체를 결합하여 펌프상체가 펌프본체에 대하여 상하이동하면서 내용물임시저장소의 체적을 변화시켜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펌프본체와 펌프상체와의 마찰 없이 펌프내체의 변형에 의해 내용물임시저장소의 체적을 변화시킴으로서 펌프본체와 펌프상체와의 마찰로 인한 부품의 마모 현상이 없도록 하여 불량률을 없애 제품신용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용물 배출펌프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제작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서 생산성을 높여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내용물 배출펌프의 내용물임시저장소의 제적을 변화시키는 펌프내체와 배출밸브를 분리하여 다른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배출밸브가 작동하기 전에 펌프내체가 부풀어오르는 문제점을 방지하여 항상 일정량의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내용물 배출펌프를 구성하는 부품을 고무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화학물질에 강한 재료로 형성하여 내용물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는 동시에, 배출펌프 내의 흡입밸브와 배출밸브에 금속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내용물 배출펌프를 사용한 후에는 자원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용물 배출펌프의 작동 행정거리가 짧도록 구조를 형성하여 콤팩트와 같이 폭보다 높이가 작은 제품에도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내용물 배출펌프를 작동시켜 내용물을 배출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내용물 배출펌프에서 힘을 제거하여 원상태로 복원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내용물 배출펌프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내용물 배출펌프의 밸브판의 평면도.
도 5는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내용물 배출펌프에 적용된 밸브판의 개폐라인 작용상태 단면도.
도 6은 또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내용물 배출펌프의 결합 사시도.
도 7은 또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내용물 배출펌프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또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내용물 배출펌프의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배출펌프의 결합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배출펌프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배출펌프의 결합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된 펌프내체의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A-A선 단면도.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적용된 펌프내체의 다른 예시를 보인 평면도.
도 18은 도 14 내지 도 17의 다른 예시의 펌프내체의 개폐라인의 작용상태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적용된 배출밸브를 뒤집어서 보인 저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배출펌프를 작동시켜 내용물을 배출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배출펌프에서 힘을 제거하여 원상태로 복원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배출펌프를 화장크림용기에 적용한 상태의 전체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배출펌프를 로션용기에 적용한 상태의 전체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배출펌프를 콤팩트용기에 적용한 상태의 전체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배출펌프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배출펌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배출펌프의 결합 단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된 펌프내체의 평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A-A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적용된 펌프내체의 다른 예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18은 도 14 내지 도 17의 다른 예시의 펌프내체의 개폐라인의 작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 적용된 배출밸브를 뒤집어서 보인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배출펌프는 도 9 내지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V)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내용물 배출펌프에 있어서, 펌프본체(10)와 펌프상체(20), 펌프내체(30), 배출밸브(40) 그리고 탄성부재(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본체(10)는 그릇형상으로 가운데가 움푹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며, 본체하판(11)의 중앙에는 내용물흡입구(12)를 형성하고, 상기 내용물흡입구(12) 외측으로는 흡입구환형돌출부(13)를 형성한다. 상기 흡입구환형돌출부(13)는 흡입밸브판(70)과의 기밀성을 높이기 위해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펌프본체(10)의 내측 측면에는 펌프내체(30)가 결합되는 펌프내체걸림턱(14)이 형성되는데, 상기 펌프내체걸림턱(14)은 돌륜형상 또는 돌기형상으로 형성하여 펌프내체(30)의 하부측면연장편(34)이 언더컷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펌프본체(10)의 상단 외측으로는 본체연장편(16)을 더 형성하여 상기 본체연장편(16) 단부에 펌프상체(2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펌프상체걸림돌륜(15)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펌프상체(20)가 고정되는 펌프상체고정돌기(17)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펌프상체(20)는 상기 펌프본체(10)의 위쪽에 결합되어 펌프본체(10)에 대해 상하이동에 의해 펌핑작용이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상체(20)는 상체상판(21)의 중앙부에 함몰된 배출밸브결합공간(22)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밸브결합공간(22) 중앙에는 내용물배출구(23)가 형성된 배출돌출봉(24)이 형성된다.
상기 상체상판(21)의 표면은 편평할 수도 있고 배출밸브(40)의 밀폐편(44)이 닿는 부분이 돌출되도록 돌출부(21-3)가 형성될 수도 있으나, 펌핑작용에는 차이가 없으며 상기 돌출부(21-3)가 돌출된 경우에는 배출된 내용물이 돌출부(21-3)를 지나 용이하게 외곽으로 흘러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배출돌출봉(24)의 내측 하부로는 유선형 표면을 가진 내용물유도봉(24-1)이 형성되어 내용물임시저장소(TR) 내의 내용물이 내용물배출구(23)로 배출될 때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출밸브결합공간(22)의 측벽면에는 배출밸브(40)가 결합되는 배출밸브결합턱(25)이 형성되며, 이에 더하여 배출밸브결합공간(22)의 측면과 아랫면에 돌편(25-1)을 형성하여 상기 돌편(25-1)과 돌편(25-1) 사이의 공간으로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는 유로(46)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상체상판(21)의 아래쪽으로는 펌프내체(30)가 결합되는 제1결합연장편(28)과 이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외측으로 제2결합연장편(29)이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연장편(28)과 제2결합연장편(29) 사이에 펌프내체(30)의 펌프상체결합편(32)과 상부측면연장편(33)이 끼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체상판(21)의 외측 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는 상체연장편(26)이 더 형성되어 상체연장편(26) 내측 단부에 펌프본체걸림돌륜(27)이 형성되어 상기 펌프본체(10)의 펌프상체걸림돌륜(15)과 걸림 결합될 수 있으며,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체상판(21)에 연장하여 텐션바(21-1)를 형성하고 텐션바(21-1) 단부에 본체고정돌기(21-2)를 형성하여 상기 본체고정돌기(21-2)를 펌프본체(10)의 펌프상체고정돌기(17)에 언더컷 결합하여 펌프상체(20)를 펌프본체(1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펌프내체(30)는 그릇형상으로 가운데가 움푹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며, 아랫면은 흡입밸브판(70)이 일체로 형성되고, 측면 아랫부분은 주름관(31)이 형성되며, 윗부분은 펌프상체(20)와 결합되는 펌프상체결합편(32)이 형성된다.
상기 펌프상체결합편(32)의 상단 외측으로는 일체로 연장된 상부측면연장편(33)이 형성되며, 상기 주름관(31)의 하단 외측으로는 일체로 연장하여 하부측면연장편(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상체결합편(32)의 하단과 주름관(31)의 상단은 수평연결편(35)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펌프상체(20)의 제1결합연장편(28)의 하단부가 압박하여 누르도록 형성된다.
상기 펌프내체(30)의 상부측면연장편(33)은 펌프상체(20)의 제1결합연장편(28)과 제2결합연장편(29) 사이에 끼워져서 결합되며, 하부측면연장편(34)은 펌프본체(10)의 본체하판(11)과 펌프내체걸림턱(14) 사이에 끼워져서 결합된다.
상기 펌프내체(30)의 상부측면연장편(33)과 하부측면연장편(34) 사이에는 탄성부재(50)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측면연장편(33)과 하부측면연장편(34) 사이를 이격시킴으로써 펌프내체(30)를 인장(引張)시키고 있다.
그리고 상기 주름관(31)은 내측으로 접히도록 내측을 향해 불룩하게 형성되며, 주름관(31) 상단의 수평연결편(35)은 펌프상체(20)의 제1결합연장편(28)에 의해 압박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펌프상체(20)를 압박하면 탄성부재(50)가 압박되는 동시에 상기 제1결합연장편(28)과 제1결합연장편(29) 사이에 끼워진 펌프상체결합편(32)이 압박되며, 이와 함께 제1결합연장편(28)의 단부에 의해 수평연결편(35)이 압박되면서 주름관(31)은 내용물임시저장소(TR) 내측으로 접혀지게 되어 내용물임시저장소(TR)의 체적이 줄어들면서 내용물이 배출되게 된다.
상기 주름관(31)이 형성된 펌프내체(31)는 접혀졌다 펼쳐졌다를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여야 하므로 일반고무, 엘라스토머, 실리콘고무, NBR고무 또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탄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내체(30)의 아랫면을 형성하는 흡입밸브판(70)은 중앙에 펌프본체(10)의 내용물흡입구(12)를 덮는 밸브판(71)이 형성된다. 밸브판(71)은 내용물임시저장소(TR)에 압력이 발생하면 누르는 압력에 의해 아래로 밀려서 내용물흡입구(12)를 막게 되고, 진공압이 발생하면 빨아올리는 압력에 의해 위로 들려서 내용물흡입구(12)가 개방되게 된다. 상기 밸브판(71)은 내용물흡입구(12) 주위의 면과 면접촉에 의해 내용물흡입구(12)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밸브판(71)에 더하여 상기 밸브판(71)의 외측 아래로 펌프본체(10)의 흡입구환형돌출부(13)와 엇갈리게 접촉되어 내용물의 유통을 차단하는 밸브판환형돌출부(72)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밸브판환형돌출부(72)는 흡입구환형돌출부(13)와 선접촉에 의해 내용물흡입구(12)를 개폐하기 때문에 더욱 개폐력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판(71)의 외측면과 펌프내체(30)의 내측 하단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체로 탄력편(73)에 의해 연결 형성된다. 상기 탄력편(73)에 의해 밸브판(71)과 밸브판환형돌출부(72)는 아래쪽으로 압박되어 항상 펌프본체(10)에 닿아 있게 되어 내용물흡입구(12)를 폐쇄하고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펌프내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면, 도 14 내지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형상이 다른 흡입밸브판(70)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입밸브판(70)은 밸브판(71) 주위로 탄력편(73)이 형성되어 이루어지지만, 도 14 내지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상의 밸브판(71) 주위에 여러 개의 개폐라인(74)이 형성되어 상기 개폐라인(74) 사이에 탄성판(7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라인(74)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호형 절개선일 수 있고, 또는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형 절개선일 수 있으며, 또는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선형 절개선일 수 있고, 또는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선형 절개선일 수 있는데, 개폐라인(74)의 형상은 절개선의 특정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탄성판(75)의 탄성으로 개폐라인(74)이 벌어졌다가 닫힐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의 절개선이라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개폐라인(74)은 펌프상체(20)를 눌러 임시저장소(TR)에 배출 압력이 발생했을 때에는 흡입밸브판(70)이 펌프본체(10)의 흡입구환형돌출부(13)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개폐라인(74)의 경계선이 닫혀있지만, 눌렀던 펌프상체(20)을 해제하여 펌프상체(20)가 탄성부재(50)에 의해 상승하면서 임시저장소(TR)에 진공압이 발생하면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흡입밸브판(70)의 밸브판(71)이 위로 들리면서 개폐라인(74)의 경계선이 벌어져 개폐라인(74)의 틈새를 통해 내용물이 용기(V)로부터 임시저장소(TR)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밸브(40)는 상기 펌프상체(20)의 위쪽으로 결합되며, 상기 펌프상체(20)의 내용물배출구(23)를 개폐하는 밸브돌륜(41)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돌륜(41) 외측으로 상기 펌프상체(20)와 결합되는 결합돌륜(42)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돌륜(41)과 결합돌륜(42) 사이에는 밸브돌륜(41)이 온,오프될 때 움직일 수 있는 공간부(43)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밸브(40)는 밸브돌륜(41)의 내측면에 홈(47)을 형성하여 상기 밸브돌륜(41) 하단 내주연으로 밀폐돌륜(48)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밀폐돌륜(48)은 펌프상체(20)의 배출돌출봉(24)에 밀착되어 내용물배출구(23)를 밀폐하되, 배출돌출봉(24)의 내용물배출구(23) 아래쪽 부위에 밀착되어 내용물배출구(23)의 밀폐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배출밸브(40)의 외측단으로는 상기 펌프상체(20)의 상체상판(21) 또는 돌출부(21-3)와 맞닿아 있다가 내용물이 배출될 때 배출압력에 의해 밀려서 들리는 밀폐편(44)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밸브(40)는 결합돌륜(42)에 의해 펌프상체(20)의 배출밸브걸합턱(25)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결합돌륜(42) 외측면에 결합보조부재(60)를 끼워 결합보조부재(60)로 하여금 배출밸브결합턱(25)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보조부재(60)를 배출밸브(40)의 결합돌륜(42)에 끼워서 결합할 때에는 결합돌륜(42)의 외측면에 끼움홈(45)을 형성하고 결합보조부재(60)의 내측면에 끼움돌륜(61)을 형성하여 서로 끼워 결합한다.
상기 결합보조부재(60)는 배출밸브(40)를 펌프상체(20)에 결합할 때 결합보조수단으로 사용한다. 상기 결합보조부재(6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배출밸브(40)의 끼움홈(45)에 결합되는 끼움돌기(61)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펌프상체(20)의 배출밸브결합턱(25)과 결합되는 펌프상체결합턱(6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보조부재(60)의 끼움돌륜(61)을 배출밸브(40)의 끼움홈(45)에 끼워결합보조부재(60)를 배출밸브(40)에 결합한 후, 결합보조부재(60)의 펌프상체결합턱(62)이 배출밸브결합턱(25)에 언더컷 결합되도록 압박하여 배출밸브(40)와 펌프상체(20)를 결합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결합보조부재(60)를 펌프상체(20)에 언더컷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강제끼움 결합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배출밸브(40)가 펌프상체(20)에 결합되면 배출밸브(40)와 펌프상체(20)의 배출밸브결합공간(22) 사이에는 돌편(25-1)으로 인하여 돌편(25-1)과 돌편(25-1) 사이에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는 유로(46)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밸브(40)는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여야 하며, 일반고무, 엘라스토머, 실리콘고무, NBR고무 또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탄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50)는 펌프내체(30)의 상부측면연장편(33)과 하부측면연장편(34) 사이에 위치하여 펌프내체(30)를 인장(引張)시키는 동시에 펌프본체(10)와 펌프상체(20)를 탄력 지지한다.
상기 탄성부재(50)는 합성수지재 또는 엘라스토머, 고무재, 금속재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는데, 상기 탄성부재(50)는 펌프내체(30)의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내용물과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화학 변화로 인한 내용물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내구성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내용물 배출펌프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펌프본체(10)의 내측에 펌프내체(30)를 위치시킨 후 펌프내체(30)의 하부측면연장편(34)을 펌프본체(10)의 펌프내체걸림턱(14)에 걸리도록 언더컷 결합하여 펌프내체(30)를 펌프본체(10) 내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탄성부재(50)를 펌프내체(30)의 하부측면연장편(34)과 상부측면연장편(33) 사이에 끼운 후, 펌프내체(30)의 펌프상체결합편(32)과 상부측면연장편(33)이 펌프상체(20)의 제1결합연장편(28)과 제2결합연장편(29) 사이에 위치하도록 결합하여, 펌프상체(20)의 제1결합연장편(28)이 펌프내체(30)의 수평연결편(35) 위에 닿아 압박하도록 결합한다.
그 후, 펌프상체(20)의 상체연장편(26)의 펌프본체걸림돌륜(27)이 펌프본체(10)의 펌프상체걸림돌륜(15)을 넘어서 걸리도록 펌프상체(20)를 압박하여 펌프본체(10)에 결합시킨다.
이때,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용물 배출펌프를 콤팩트에 적용한 것에 있어서는, 펌프본체(10)의 본체연장편(16)의 펌프상체고정돌기(17)에 펌프상체(20)의 텐션바(21-1) 단부의 본체고정돌기(21-2)를 언더컷 결합시켜 펌프상체(20)를 펌프본체(10)에 고정시킨다.
그 다음, 배출밸브(40)의 밸브돌륜(41)이 펌프상체(20)의 배출돌출봉(24)에 씌워지도록 결합하는 동시에, 배출밸브(40)의 결합돌륜(42)을 직접 펌프상체(20)의 배출밸브결합공간(22)에 압박하여 억지끼움 결합하거나 배출밸브결합턱(25)에 언더컷 결합하여 배출밸브(40)를 펌프상체(20)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또는 결합보조부재(60)를 이용하여 배출밸브(40)를 펌프상체(20)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결합보조부재(60)를 이용할 때에는, 결합보조부재(60)의 끼움돌륜(61)을 배출밸브(40)의 결합돌륜(42)의 끼움홈(45)에 끼워서 결합보조부재(60)를 배출밸브(40)에 결합시킨 후, 결합보조부재(60)와 결합돌륜(42)이 결합된 것을 펌프상체(20)의 배출밸브결합공간(22) 내에 압박하여 결합시킨다.
이때 배출밸브(40)의 밸브돌륜(41)이 펌프상체(20)의 배출돌출봉(24)에 씌워지도록 결합하는 동시에, 결합보조부재(60)는 배출밸브결합공간(22)에 억지끼움 결합시킬 수 있으며 또는 결합보조부재(60)의 펌프상체결합턱(62)을 배출밸브결합턱(25)에 언더컷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내용물 배출펌프는 용기(V)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데,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장품 크림용기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로션용기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는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콤팩트용기에 결합하여 내용물 배출펌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내용물 배출펌프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내용물 배출펌프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V)에 결합하여 사용하는데, 일반 화장품용기 및 생활용품용기, 식품용기, 약품용기 등에 사용할 수 있으며 콤팩트 화장품용기와 같이 폭보다 높이가 작은 포장용기에도 사용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배출펌프는, 펌프상체(20) 또는 배출밸브(40)의 윗면을 눌러 펌프상체(20)를 펌프본체(10)에 대해 하강시키면, 탄성부재(50)가 압축되면서 펌프내체(30)의 주름관(31)은 내측으로 접히고 내용물임시저장소(TR)의 체적이 줄어들며, 이에 따라 내용물임시저장소(TR)에 배출압력이 발생되어 내용물임시저장소(TR) 내에 있던 내용물이 내용물배출구(23)로 밀려나가 내용물배출구(23)에 밀착되어 있는 밸브돌륜(41)이 배출압력에 의해 벌어져 내용물이 내용물배출구(23)와 밸브돌륜(41)의 벌어진 틈새를 통과하고, 펌프상체(20)와 배출밸브(40) 사이의 틈새인 유로(46)를 지난 후 배출밸브(40) 상측 주연부의 밀폐편(44)에 배출압력이 작용하여 밀폐편(44)이 밀려서 벌어지면서 그 틈새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되게 된다.
이때 흡입밸브판(70)은 내용물임시저장소(TR)의 배출 압력에 의해 아래로 밀리면서 밸브판환형돌출부(72)가 펌프본체(10)의 흡입구환형돌출부(13)를 압박하여 내용물흡입구(12)는 폐쇄된다.
또한,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용물 배출펌프를 콤팩트용기에 적용한 경우에는 펌프상체(20) 또는 배출밸브(40)의 윗면을 눌러 펌프상체(20)를 펌프본체(10)에 대해 하강시키면, 탄성부재(50)가 압축되면서 펌프내체(30)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동시에 펌프상체(20)의 텐션바(21-1) 단부가 펌프본체(10)의 본체연장편(16)에 고정되어있기 때문에 상기 텐션바(21-1)가 휘어 탄성력을 받으면서 펌프상체(20)가 하강한다.
그리고, 펌프상체(20) 또는 배출밸브(40) 윗면을 눌렀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50)의 복원력에 의해 펌프상체(20)가 위로 올라가면서 펌프내체(30)의 상부측면연장편(33)이 따라 올라가 접혔던 주름관(31)이 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내용물임시저장소(TR)의 체적이 커지게 되므로 내용물임시저장소(TR) 내에 진공압이 발생하게 되어 배출밸브(40)의 밸브돌륜(41)은 내용물배출구(23)를 폐쇄하게 되고, 진공압으로 인해 흡입밸브판(70)의 밸브판(71)은 위로 들리면서 밸브판환형돌출부(72)가 흡입구환형돌출부(13)로부터 이격되고 내용물흡입구(12)가 개방되어 용기(V) 내에 있던 내용물이 내용물임시저장소(TR) 내로 이동하게 된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펌프내체(3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용물이 용기(V)로부터 내용물임시저장소(TR)로 이동할 때 흡입밸브판(70)의 탄력편(73)이 위로 탄성변형하면서 밸브판(71)이 위로 들리고, 내용물이 내용물임시저장소(TR)로 유입되어 진공압이 사라지면 흡입밸브판(70)의 탄력편(73)의 탄성력으로 인해 밸브판(71)은 내용물흡입구(12) 위에 다시 닫히게 된다.
그리고 도 14 내지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은 펌프내체(30)의 다른 실시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용물이 용기(V)로부터 내용물임시저장소(TR)로 이동할 때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흡입밸브판(70)의 밸브판(71)이 위로 들리면서 탄성판(75)이 탄성변형하여 개폐라인(41)이 벌어져 개폐라인(41)의 틈새를 통해 내용물이 용기(V)로부터 임시저장소(TR)로 유입되고, 내용물이 내용물임시저장소(TR)로 유입되어 진공압이 사라지면 흡입밸브판(70)의 탄성판(75)의 탄성력으로 인해 밸브판(71)은 내용물흡입구(12) 위에 다시 닫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내용물 배출펌프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 펌프본체 11: 본체하판
12: 내용물흡입구 13: 흡입구환형돌출부
14: 펌프내체걸림턱 15: 펌프상체걸림돌륜
20: 펌프상체 21: 상체상판
22: 배출밸브결합공간 23: 내용물배출구
24: 배출돌출봉 24-1: 내용물유도봉
25: 배출밸브결합턱 26: 상체연장편
27: 펌프본체걸림돌륜 28: 제1결합연장편
29: 제2결합연장편 30: 펌프내체
31: 주름관 32: 펌프상체결합편
33: 상부측면연장편 34: 하부측면연장편
35: 수평연결편 40: 배출밸브
41: 밸브돌륜 42: 결합돌륜
43: 공간부 44: 밀폐편
45: 끼움홈 46: 유로
50: 탄성부재 60: 결합보조부재
61: 끼움돌륜 62: 펌프상체결합턱
70: 흡입밸브판 71: 밸브판
72: 밸브판환형돌출부 73: 탄력편

Claims (51)

  1.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V)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내용물 배출펌프에 있어서,
    본체하판(11)의 중앙에 내용물흡입구(12)가 형성된 펌프본체(10)와;
    상기 펌프본체(10)의 위쪽에 결합되어 펌프본체(10)에 대해 상하이동되도록 결합되며, 내용물배출구(23)를 갖는 배출돌출봉(24)이 형성된 펌프상체(20)와;
    상기 펌프본체(10) 내에 위치하며, 아랫면에 흡입밸브판(70)이 형성된 펌프내체(30)와;
    상기 펌프상체(20)의 내용물배출구(23)를 개폐하는 밸브돌륜(41)이 형성된 배출밸브(40)와;
    그리고 상기 펌프내체(30)의 외측에 위치하여 펌프내체(30)를 인장(引張)시키는 동시에 상기 펌프본체(10)와 펌프상체(20)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2.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V)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내용물 배출펌프에 있어서,
    펌프상체(20) 또는 배출밸브(40)의 윗면을 눌러 펌프상체(20)를 펌프본체(10)에 대해 하강시키면, 탄성부재(50)가 압축되면서 펌프내체(30)의 주름관(31)은 내측으로 접히고 내용물임시저장소(TR)의 체적이 줄어들어, 이에 따라 내용물임시저장소(TR)에 배출압력이 발생되어 내용물임시저장소(TR) 내에 있던 내용물이 내용물배출구(23)로 밀려나가 내용물배출구(23)에 밀착되어 있는 밸브돌륜(41)이 배출압력에 의해 벌어져 내용물이 내용물배출구(23)와 밸브돌륜(41)의 벌어진 틈새를 통과하여 배출되고, 흡입밸브판(70)은 내용물임시저장소(TR)의 배출압력에 의해 아래로 밀리면서 펌프본체(10)의 내용물흡입구(12)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3.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V)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내용물 배출펌프에 있어서,
    펌프상체(20) 또는 배출밸브(40) 윗면을 눌렀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50)의 복원력에 의해 펌프상체(20)가 위로 올라가면서 펌프내체(30)의 상부측면연장편(33)이 따라 올라가 접혔던 주름관(31)이 펴지게 되며, 이에 따라 내용물임시저장소(TR)의 체적이 커지게 되어 내용물임시저장소(TR) 내에 진공압이 발생하게 되면서 배출밸브(40)의 밸브돌륜(41)이 내용물배출구(22)를 폐쇄하고, 진공압으로 인해 흡입밸브판(70)의 밸브판(71)이 위로 들리면서 펌프본체(10)의 내용물흡입구(12)가 개방되어 용기(V) 내에 있던 내용물이 내용물임시저장소(TR)로 이동하게 되며, 내용물이 내용물임시저장소(TR)로 이동함에 따라 내용물임시저장소(TR) 내의 진공압이 사라지게 되면, 흡입밸브판(70)의 탄력편(73)의 탄성으로 인해 밸브판(71)이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면서 내용물흡입구(12)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4.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V)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내용물 배출펌프에 있어서,
    펌프본체(10)의 내측에 흡입밸브판(70)을 갖는 펌프내체(30)가 결합되어 고정되며,
    탄성부재(50)가 상기 펌프내체(30)의 하부측면연장편(34)과 상부측면연장편(33) 사이에 끼워지되, 펌프내체(30)의 펌프상체결합편(32)과 상부측면연장편(33)이 펌프상체(20)의 제1결합연장편(28)과 제2결합연장편(29) 사이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며, 펌프상체(20)의 제1결합연장편(28)이 펌프내체(30)의 수평연결편(35) 위에 닿아 압박되도록 결합되고,
    배출밸브(40)의 밸브돌륜(41)이 상기 펌프상체(20)의 배출돌출봉(24)에 씌워지도록 결합되며, 배출밸브(40)의 결합돌륜(42)이 펌프상체(20)의 배출밸브결합공간(22)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본체(10)의 내용물흡입구(12) 외측으로는 흡입구환형돌출부(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본체(10)의 내측 측면에 펌프내체(30)가 결합되는 펌프내체걸림턱(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내체걸림턱(14)은 돌륜형상 또는 돌기형상으로 형성되며, 펌프내체(30)의 하부측면연장편(34)이 언더컷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본체(10)의 상단 외측으로 본체연장편(16)을 더 형성하여 상기 본체연장편(16) 단부에 펌프상체(2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펌프상체걸림돌륜(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본체(10)의 상단 외측으로 본체연장편(16)을 더 형성하여 펌프상체(20)가 고정되는 펌프상체고정돌기(1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상체(20)는 상체상판(21)의 중앙부에 함몰된 배출밸브결합공간(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결합공간(22)은 중앙에 내용물배출구(23)가 형성된 배출돌출봉(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상판(21)은 배출밸브(40)의 밀폐편(44)이 닿는 부분이 돌출되도록 돌출부(2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돌출봉(24)의 내측 하부에는 유선형 표면을 갖는 내용물유도봉(2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결합공간(22)의 측벽면에는 배출밸브(40)가 결합되는 배출밸브결합턱(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결합공간(22)의 측면과 아랫면에는 돌편(25-1)이 형성되어 상기 돌편(25-1)과 돌편(25-1) 사이의 공간으로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는 유로(4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1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상체(20)는 상체상판(21)의 아래쪽으로 펌프내체(30)가 결합되는 제1결합연장편(2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연장편(28)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2결합연장편(2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연장편(28)과 제2결합연장편(29) 사이에 펌프내체(30)의 펌프상체결합편(32)과 상부측면연장편(33)이 끼워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1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상체(20)는 외측 단부 아래쪽으로 상체연장편(26)이 더 형성되며 상기 상체연장편(26) 내측 단부에 펌프본체걸림돌륜(27)이 형성되어 상기 펌프본체(10)의 펌프상체걸림돌륜(15)과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2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상체(20)는 상체상판(21)에 연장하여 텐션바(21-1)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바(21-1) 단부에 본체고정돌기(21-2)가 형성되어 펌프본체(10)의 펌프상체고정돌기(17)에 언더컷 결합되어 상기 펌프상체(20)가 상기 펌프본체(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2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내체(30)는 아랫면에 흡입밸브판(7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23.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내체(30)는 측면 아랫부분에 주름관(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내체(30)는 상기 주름관(31) 윗부분에 펌프상체(20)와 결합되는 펌프상체결합편(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상체결합편(32)의 하단과 상기 주름관(31)의 상단은 수평연결편(35)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결편(35)에는 펌프상체(20)의 제1결합연장편(28)의 하단부가 압박하여 누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2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내체(30)는 펌프상체결합편(32)의 상단 외측으로 상부측면연장편(33)이 형성되며, 상기 주름관(31)의 하단 외측으로 하부측면연장편(3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내체(30)의 상부측면연장편(33)은 펌프상체(20)의 제1결합연장편(28)과 제2결합연장편(29) 사이에 끼워져서 결합되며, 상기 하부측면연장편(34)은 펌프본체(10)의 본체하판(11)과 펌프내체걸림턱(14) 사이에 끼워져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2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내체(30)의 상부측면연장편(33)과 하부측면연장편(34) 사이에는 탄성부재(50)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측면연장편(33)과 하부측면연장편(34) 사이를 이격시킴으로써 펌프내체(30)를 인장(引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30.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31)은 내측으로 접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3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내체(30)는 일반고무, 엘라스토머, 실리콘고무, NBR고무 또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탄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32.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밸브판(70)은 중앙에 펌프본체(10)의 내용물흡입구(12)를 덮는 밸브판(7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판(71)은 아래쪽으로 밸브판환형돌출부(7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판환형돌출부(72)는 펌프본체(10)의 흡입구환형돌출부(13)와 엇갈리게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3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밸브판(70)은 밸브판(71)의 외측면과 펌프내체(30)의 내측 하단이 탄력편(73)에 의해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3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밸브판(70)은 밸브판(71) 주위에 여러 개의 개폐라인(74)이 형성되어 상기 개폐라인(74) 사이에 탄성판(7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라인(74)은 원호형 절개선 또는 파형 절개선 또는 사선형 절개선 또는 직선형 절개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3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40)는 상기 펌프상체(20)의 위쪽에 결합되며, 상기 펌프상체(20)의 내용물배출구(23)를 개폐하는 밸브돌륜(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3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40)는 밸브돌륜(41) 외측으로 상기 펌프상체(20)와 결합되는 결합돌륜(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돌륜(41)과 상기 결합돌륜(42) 사이에는 밸브돌륜(41)이 온,오프될 때 움직일 수 있는 공간부(4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41.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돌륜(41)의 내측면에 홈(47)이 형성되어 상기 밸브돌륜(41) 하단 내주연에 밀폐돌륜(4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4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40)는 외측단에 밀폐편(4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43.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40)는 결합돌륜(42)에 의해 펌프상체(20)의 배출밸브걸합턱(25)에 직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44.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40)는 결합돌륜(42) 외측면에 결합된 결합보조부재(60)에 의해 펌프상체(20)의 배출밸브결합턱(25)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보조부재(60)는 내측면에 끼움돌륜(6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륜(42)은 외측면에 끼움홈(45)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보조부재(60)의 끼움돌륜(61)이 상기 결합돌륜(42)의 끼움홈(45)에 끼워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46.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보조부재(60)는 외측면에는 펌프상체(20)의 배출밸브결합턱(25)과 결합되는 펌프상체결합턱(6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47.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보조부재(60)는 펌프상체(20)의 배출밸브결합공간(22)에 강제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4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40)는 일반고무, 엘라스토머, 실리콘고무, NBR고무 또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탄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49.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펌프내체(30)의 상부측면연장편(33)과 하부측면연장편(34) 사이에 위치하여 펌프내체(30)를 인장(引張)시키는 동시에 펌프본체(10)와 펌프상체(20)를 탄력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5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배출펌프는 화장품크림용기 또는 로션용기, 콤팩트용기, 생활용품용기, 식품용기, 약품용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5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상체(20)의 텐션바(21-1) 단부가 펌프본체(10)의 본체연장편(16)에 고정되어, 펌프상체(20) 또는 배출밸브(40)의 윗면을 눌러 펌프상체(20)를 펌프본체(10)에 대해 하강시키면 탄성부재(50)가 압축되는 동시에 상기 텐션바(21-1)가 휘어 탄성력을 받으면서 펌프상체(20)가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펌프.
KR1020130137515A 2013-11-13 2013-11-13 내용물 배출펌프 KR101446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515A KR101446034B1 (ko) 2013-11-13 2013-11-13 내용물 배출펌프
PCT/KR2014/010828 WO2015072732A1 (ko) 2013-11-13 2014-11-12 내용물 배출펌프
US15/036,156 US10035158B2 (en) 2013-11-13 2014-11-12 Contents dispensing pu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515A KR101446034B1 (ko) 2013-11-13 2013-11-13 내용물 배출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034B1 true KR101446034B1 (ko) 2014-10-01

Family

ID=51996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7515A KR101446034B1 (ko) 2013-11-13 2013-11-13 내용물 배출펌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35158B2 (ko)
KR (1) KR101446034B1 (ko)
WO (1) WO20150727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430Y1 (ko) * 2013-07-15 2016-01-27 강성일 행정거리가 짧은 배출펌프와 내용물 확산부재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101448829B1 (ko) * 2013-07-15 2014-10-13 강성일 내용물 배출펌프
KR20150096609A (ko) 2014-02-14 2015-08-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0479429Y1 (ko) * 2014-09-05 2016-02-12 강성일 가압이 편리한 펌프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WO2017213298A1 (en) 2016-06-10 2017-12-14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vessel
US10107284B2 (en) * 2016-12-21 2018-10-23 Shanp-Yih Precision Industrial Co., Ltd. Check valve for pum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455B1 (ko) 2006-03-02 2006-11-23 박영희 화장품을 수용하는 화장품 용기
JP2009119232A (ja) 2007-11-12 2009-06-04 Taesung Industrial Co Ltd 液体収納容器
KR20100128968A (ko) * 2009-05-29 2010-12-08 김진우 화장품 용기의 배출펌프
KR20110007033U (ko) * 2010-01-07 2011-07-13 (주)아모레퍼시픽 잔량확인이 가능하 에어리스펌프를 갖는 화장품용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33354A1 (de) * 1987-10-02 1989-04-13 Bramlage Gmbh Spender fuer pastoese massen
JP3561072B2 (ja) 1996-02-22 2004-09-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吐出容器
US5894960A (en) * 1997-04-29 1999-04-20 3D Design And Engineering Pump mechanism for mechanical dispensers
FR2809776B1 (fr) * 2000-05-30 2002-12-06 Rexam Smt Pompe a membrane
DE202005019298U1 (de) * 2005-08-01 2006-12-07 Megaplast Gmbh & Co. Kg Spender zur portionierten Ausgabe
FR2915467B1 (fr) * 2007-04-24 2009-06-05 Plastohm Division Emballages S Dispositif et distribution d'un produit liquide a pateux par pompe de dosage.
JP2010047295A (ja) 2008-08-22 2010-03-04 Mitani Valve Co Ltd 噴出装置の噴出ボタン、噴出装置、ならびにポンプ式、エアゾール式および押し出し式噴出器
DE202011051538U1 (de) * 2011-10-05 2013-01-08 Alfred Von Schuckmann Spender für pastöse Massen
DE102014200867A1 (de) * 2014-01-17 2015-08-06 Aptar Radolfzell Gmbh Spender für Flüssigkeit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455B1 (ko) 2006-03-02 2006-11-23 박영희 화장품을 수용하는 화장품 용기
JP2009119232A (ja) 2007-11-12 2009-06-04 Taesung Industrial Co Ltd 液体収納容器
KR20100128968A (ko) * 2009-05-29 2010-12-08 김진우 화장품 용기의 배출펌프
KR20110007033U (ko) * 2010-01-07 2011-07-13 (주)아모레퍼시픽 잔량확인이 가능하 에어리스펌프를 갖는 화장품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35158B2 (en) 2018-07-31
WO2015072732A1 (ko) 2015-05-21
US20160303602A1 (en)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993B1 (ko) 내용물 배출펌프
KR101446034B1 (ko) 내용물 배출펌프
KR101448829B1 (ko) 내용물 배출펌프
US10195625B2 (en) Heterogeneous contents mixing container with improved productivity and sealing ability
KR101028988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크림화장품용기
KR101038320B1 (ko) 화장품 용기의 배출펌프
KR101033754B1 (ko) 액체용기의 배출펌프
KR200480194Y1 (ko) 배출펌프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101928640B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JP2017535422A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
KR20180085253A (ko) 이종물질혼합용기
US10315209B2 (en) Dispenser in particular for liquid to pasty substances
KR102123187B1 (ko) 펌프 용기
KR200294064Y1 (ko) 혼합식 화장품 용기
US20070138209A1 (en) Dispenser pump
KR102338575B1 (ko) 펌프형 화장품 용기
US9675986B2 (en) Contents dispensing pump
KR200480197Y1 (ko) 배출펌프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101453851B1 (ko) 내용물 배출펌프
KR200472346Y1 (ko) 화장품 용기의 토출장치
KR200480198Y1 (ko) 배출펌프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101486012B1 (ko) 가압식 유체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KR20110094522A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크림화장품용기
KR200480196Y1 (ko) 배출펌프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102413886B1 (ko) 에어리스 펌핑형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