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954B1 -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 - Google Patents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954B1
KR101897954B1 KR1020160169643A KR20160169643A KR101897954B1 KR 101897954 B1 KR101897954 B1 KR 101897954B1 KR 1020160169643 A KR1020160169643 A KR 1020160169643A KR 20160169643 A KR20160169643 A KR 20160169643A KR 101897954 B1 KR101897954 B1 KR 101897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button member
discharge plate
discharge
ring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4418A (ko
Inventor
이도훈
Original Assignee
펌텍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펌텍코리아(주) filed Critical 펌텍코리아(주)
Priority to JP2019503406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9520952A/ja
Priority to PCT/KR2017/007983 priority patent/WO2018021791A1/ko
Priority to US16/319,785 priority patent/US20190166977A1/en
Priority to EP17834733.2A priority patent/EP3476245A4/en
Priority to CN201780046332.5A priority patent/CN109475221A/zh
Publication of KR20180014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45D40/0075Jars with dispen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45D33/008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comprising a mirr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025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for compacts, vanity boxes or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with diaphragm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38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pring-lik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8Cosmetic equipment, e.g. hair dressing, shav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팩트 용기 내부에 화장료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배출수단을 가압하는 파레트를 형성하며, 상기 파레트 외측에 결합되는 링버튼부재를 형성하되, 상기 링버튼부재의 내주연에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압박홈을 형성하고, 상기 파레트 외주연에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압박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압박홈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링버튼부재가 기울어진 상태로 가압되더라도 링버튼부재의 압박홈이 파레트의 압박돌기 상부를 가압함에 따라 파레트가 배출수단을 수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하고, 배출수단 상부에 파레트를 형성하되, 상기 파레트의 상부 파레트와 하부 파레트 사이에 배출판을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함으로써, 콤팩트 용기에 배출판과 상, 하부 파레트를 별도로 결합하는 조립 공정을 없애 생산성이 향상되고, 상기 배출판과 상, 하부 파레트의 조립 과정에서 불량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장료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 상기 배출수단에 결합되며, 외주연에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압박돌기가 형성된 파레트; 상기 파레트에 결합되며, 내주연에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압박홈이 형성된 링버튼부재로 형성되되, 상기 파레트의 상부 파레트와 하부 파레트 사이에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 성형되고, 상기 파레트의 압박돌기가 링버튼부재의 압박홈에 끼워져 상기 링버튼부재가 기울어진 상태로 가압되더라도 파레트가 배출수단을 수직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COMPACT CONTAINER HAVING RING BUTTON MEMBER AND inserting discharging plate}
본 발명은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콤팩트 용기 내부에 화장료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배출수단을 가압하는 파레트를 형성하되, 상기 파레트의 상부 파레트와 하부 파레트 사이에 배출판을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함으로써, 콤팩트 용기에 배출판과 상, 하부 파레트를 별도로 결합하는 조립 공정을 없애 생산성이 향상되고, 상기 배출판과 상, 하부 파레트의 조립 과정에서 불량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이란 신체의 아름다운 부분을 돋보이도록 하고, 나아가 신체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여성들은 외모를 보다 아름답게 꾸미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기초 화장품 또는 색조 화장품을 이용하여 얼굴에 화장을 하게 된다.
상기 색조 화장품은 피부색을 균일하게 하고 결점을 커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베이스 메이크업과 입술, 눈, 손톱 등 부분적으로 입체감을 높이는 포인트 메이크업으로 구분되며, 상기 베이스 메이크업은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포인트 메이크업은 립스틱,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파운데이션은 화장료의 형태에 따라 고형 파운데이션, 액상 파운데이션, 겔상 파운데이션으로 나뉘는데, 상기 고형 파운데이션의 경우 커버력은 높지만 수정 화장 시 뭉치는 단점이 있고, 상기 액상 파운데이션의 경우 밀착감은 좋으나 지속력이 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가벼운 느낌과 촉촉한 수분감을 부여하여 산뜻한 사용감을 나타내는 겔상 파운데이션의 사용빈도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상기 겔상 파운데이션을 일반 용기에 충전하여 사용할 경우, 화장을 할 때마다 화장료를 동일한 양으로 덜어 사용할 수 없고, 사용자의 손 또는 퍼프가 화장료에 반복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세균 및 노폐물에 화장료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6114호로 화장품 용기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 기술은 화장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 및 상기 배출수단에서 상기 화장품이 배출되는 일측에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퍼프가 접촉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토출판을 포함하되, 상기 토출판의 눌림에 의해 배출수단으로부터 화장품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래 기술은 확산부와 토출판 사이에 밀착되는 실링부재 또는 패킹재를 더 형성함으로써, 화장품이 토출판의 토출구 외의 부분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토출판의 정중앙을 누르지 못하면 승강부재가 기울어지면서 밀폐부재 내주연에 끼게 되어서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토출판의 중심부를 수직으로 가압해야만 화장료가 펌핑되므로, 토출판을 가압할 때 가압위치가 한정되어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화장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판과 토출판 사이에 실링부재 또는 패킹재를 각각 결합해야 하는 구조이므로, 제품 생산 시 조립 공정이 늘어나 생산성이 떨어지고, 조립 과정에서 불량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콤팩트 용기 내부에 화장료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배출수단을 가압하는 파레트를 형성하되, 상기 파레트의 상부 파레트와 하부 파레트 사이에 배출판을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함으로써, 콤팩트 용기에 배출판과 상, 하부 파레트를 별도로 결합하는 조립 공정을 없애 생산성이 향상되고, 상기 배출판과 상, 하부 파레트의 조립 과정에서 불량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파레트의 상부 파레트 하부에 융착홈을 형성하고, 하부 파레트 상부 외측에 상기 융착홈과 대응되는 융착돌출부를 형성하여 상부 파레트와 하부 파레트의 융착면을 넓히는 동시에, 상기 상부 파레트가 하부 파레트의 외측을 감싸면서 인서트 사출 성형되도록 함으로써, 상부 파레트와 하부 파레트가 서로 떨어지지 않고 융착되며, 상부 파레트와 하부 파레트 및 배출판의 사이로 화장료가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한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외용기와 상기 외용기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외용기뚜껑 및 상기 외용기 내부에 장착되는 내용기로 이루어진 콤팩트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에 설치되며, 화장료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
상기 배출수단에 결합되어 배출수단을 가압하는 파레트;
상기 파레트에 결합되어 파레트를 가압하는 링버튼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파레트는 상부 파레트와 하부 파레트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파레트와 하부 파레트 사이에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 성형되며,
상기 상부 파레트가 하부 파레트의 외측을 감싸면서 인서트 사출되어 서로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출수단은 화장료를 펌핑하는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파레트의 중앙에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판의 하측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파레트에는 배출판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파레트에는 화장료가 넓게 퍼지도록 분배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배통로 상부에는 메쉬망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파레트가 배출판의 상부 외측을 덮는 길이는 0.5mm 내지 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판의 상부면과 상부 파레트의 내측 단부의 높이는 0.3mm 내지 1.5mm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판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상부 파레트의 윗면까지의 높이 1.5mm 내지 5.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파레트 하부에 융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파레트의 상부 외측에 융착돌출부를 형성하여 서로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판은 금속 또는 금속의 합금 또는 도금된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판은 금속 재질 중 스텐레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판은 합성수지 또는 섬유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는 콤팩트 용기 내부에 화장료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배출수단을 가압하는 파레트를 형성하되, 상기 파레트의 상부 파레트와 하부 파레트 사이에 배출판을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함으로써, 콤팩트 용기에 배출판과 상, 하부 파레트를 별도로 결합하는 조립 공정을 없애 생산성이 향상되고, 상기 배출판과 상, 하부 파레트의 조립 과정에서 불량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링버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는 파레트의 상부 파레트 하부에 융착홈을 형성하고, 하부 파레트 상부 외측에 상기 융착홈과 대응되는 융착돌출부를 형성하여 상부 파레트와 하부 파레트의 융착면을 넓히는 동시에, 상기 상부 파레트가 하부 파레트의 외측을 감싸면서 인서트 사출 성형되도록 함으로써, 상부 파레트와 하부 파레트가 서로 떨어지지 않고 융착되며, 상부 파레트와 하부 파레트 및 배출판의 사이로 화장료가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장품 용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의 B-B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의 A-A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의 파레트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와 부분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의 링버튼부재를 눌러 화장료가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A-A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의 링버튼부재가 상승되면서 화장료가 배출수단 내부로 흡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A-A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의 분배통로 상부에 메쉬망이 더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의 B-B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의 A-A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는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용기(10)와 상기 외용기(10)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외용기뚜껑(20) 및 상기 외용기(10) 내부에 장착되는 내용기(30)로 이루어진 콤팩트 용기에 있어서, 화장료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50); 상기 배출수단(50)에 결합되어 배출수단(50)을 가압하는 파레트(60); 상기 파레트(60)에 결합되어 파레트(60)를 가압하는 링버튼부재(70)로 형성되되, 상기 파레트(60)는 상부 파레트(62)와 하부 파레트(64)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파레트(62)와 하부 파레트(64) 사이에 배출구(82)이 형성된 배출판(80)이 인서트 사출 성형되고, 상기 상부 파레트(62)가 하부 파레트(64)의 외측을 감싸면서 인서트 사출되어 서로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용기(10) 내부에는 내용기(30)가 장착되며, 내측면에는 제1, 2 장착돌기(14, 15)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외용기(10) 내주연에는 링버튼부재(70)의 체결돌기(78)와 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홈(18)이 형성된다.
상기 외용기(10) 일측에는 버튼(11)이 형성되며, 상기 버튼(11)의 상측에는 걸림돌기(17)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버튼(11)이 마주보는 외용기(10)의 내측면에는 축결합홈(16)이 형성된다.
상기 외용기뚜껑(20)은 외용기(10)를 개폐하며, 외용기뚜껑(20)의 일측에는 상기 버튼(11)의 걸림돌기(17)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 형상의 후크(21)가 형성되어 상기 버튼(11)의 걸림돌기(17)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외용기뚜껑(20)의 내측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화장을 할 수 있도록 거울(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용기(30) 내부에는 액상 또는 겔상의 화장료가 수용된다.
상기 내용기(30) 내측에는 화장료를 상부로 밀어올리는 밀판(32)이 형성되며, 상기 밀판(32)은 내용기(3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내용기(30)는 내용기바닥면(33)과 상기 내용기바닥면(33)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된 내벽(35)과 상기 내벽(35)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외벽(3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용기(30)의 외벽(36) 내주연에는 결합홈(36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용기(30)의 내용기바닥면(33)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통홀(34)이 형성된다.
상기 내용기(30) 상부에는 판 형태의 배출수단지지대(40)가 더 결합되는데, 상기 배출수단지지대(40)는 내용기(30)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수단지지대(40) 상부에는 배출수단(50)이 설치된다.
상기 배출수단지지대(40)는 중앙에 실린더(51)가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51) 외측으로 배출수단(50)의 부싱(53)이 결합되는 부싱결합홈(41)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수단지지대(40) 외측에는 하부연장돌륜(42)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배출수단지지대(40) 중앙에 실린더(51)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표현하여 피스톤링(56)이 끼워진 피스톤(55)이 실린더(5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부싱(53)을 상기 실린더(51) 외측에 설치하고, 상기 부싱(53)의 관통홀(531) 내측으로 내측수평연장편(532)을 형성시켰으나, 배출수단지지대(40)와 실린더(51)를 분히 형성하여 배출수단(50)을 배출수단지지대(40) 중앙에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에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부싱(53)이 필요치 않게 된다.
상기 배출수단지지대(40)의 하부연장돌륜(42) 외주연에는 결합돌기(421)가 형성되어 상기 내용기(30)의 결합홈(362)과 결합되며, 상기 결합돌기(421)의 상측에는 장착돌륜(422)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외용기(10)의 제1, 2 장착돌기(14, 15)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 배출수단(50)은 배출수단지지대(40)에 설치되어 내용기(30)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출수단(50)은 내용기(30)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를 펌핑하는 펌프일 수 있다.
상기 배출수단(50)은 배출수단지지대(40) 중앙에 형성되며 바닥면에 내용물 흡입공(58)이 형성된 실린더(51)와, 상기 실린더(51) 바닥면에 장착되어 상기 내용물 흡입공(58)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흡입밸브판(52)과, 상기 실린더(51) 상단에 얹혀지면서 실린더(51) 외측으로 결합되는 부싱(53)과, 상기 부싱(53)의 상부 또는 배출수단지지대(40) 상부에 장착되어 파레트(60)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54)와, 상기 실린더(51) 내측에 형성되는 피스톤(55)과, 상기 피스톤(55)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실린더(51) 내측면에 밀착되는 피스톤링(5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싱(53)의 중앙에는 상기 피스톤(55)과 피스톤링(56)이 관통하는 관통홀(53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531) 내측으로는 내측수평연장편(532)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531) 외측에는 다수의 탄성부재장착부(533)가 형성된다.
상기 부싱(53)에는 파레트(60)의 이탈방지부(647)가 결합되는 제1걸림턱(536)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걸림턱(536)은 파레트(60)가 배출수단(5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의 파레트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와 부분단면도이다.
상기 파레트(60)는 배출수단(50) 상부에 결합되며, 배출판(80)을 고정시키는 동시에 수직 이동되면서 배출수단(50)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파레트(60) 외주연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압박돌기(61)가 형성되는데, 상기 파레트(60)의 압박돌기(61)는 링버튼부재(70)의 압박홈(7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링버튼부재(70)의 압박홈(71)에 끼워진다.
상기 파레트(60)의 압박돌기(61)는 링버튼부재(70)의 압박홈(71) 내에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반원 또는 원형 형태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파레트(60)는 상부 파레트(62)와 하부 파레트(64)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상부 파레트(62)와 하부 파레트(64) 사이에는 상기 배출판(80)이 인서트 사출 성형된다.
또한, 상기 상부 파레트(62)의 하부면과 하부 파레트(64)의 상부면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배출판(80)의 외측에서 일체로 융착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 파레트(64)를 사출 성형한 후, 하부 파레트(64)의 지지부(642)와 안착부(644)에 배출판(80)을 안착시킨 다음, 상부 파레트(62)를 사출 성형하여 하부 파레트(64)와 상부 파레트(62)가 배출판(80) 외측에서 일체로 융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콤팩트 용기를 조립할 때, 상기 배출판(80)과 상, 하부 파레트(62, 64)의 조립 공정이 줄어들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배출수단(80)에 의해 배출된 화장료가 상부 파레트(62)와 하부 파레트(64)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 용기는 상부 파레트(62)의 하부에 융착홈(62a)을 형성하고, 하부 파레트(64)의 상부 외측에 상기 융착홈(62a)과 대응되는 융착돌출부(64a)를 형성하여 상부 파레트(62)와 하부 파레트(64)의 융착면을 넓히는 동시에, 상부 파레트(62)가 하부 파레트(64)의 외측을 감싸면서 인서트 사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부 파레트(62)와 하부 파레트(64)가 서로 떨어지지 않고 완전히 융착된다.
상기 상부 파레트(62)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출판(80)과 인서트 사출 시, 배출판(80)의 상부 외측을 덮는 길이(ℓ)가 0.5mm 내지 2.0mm 정도로 되게 한다. 상기 상부 파레트(62)가 배출판(80)의 상부 외측을 0.5mm 미만으로 덮을 경우, 상부 파레트(62)가 배출판(80)의 상부면을 덮는 면적이 작아 상기 배출판(80)이 파레트(60)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아 상부 배출판(62)의 상측으로 빠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상부 파레트(62)가 배출판(80)의 상부 외측을 2.0mm를 초과하여 덮을 경우, 상기 상부 파레트(62)가 배출판(80)의 상부면을 덮는 면적이 넓어져 배출판(80) 상부면의 공간 활용에 있어 비효율적인 문제가 생기게 된다.
상기 상부 파레트(62)의 내측 단부는 단차지게 형성되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출판(80)의 상부면과 상부 파레트(62)의 내측 단부의 높이(h1)는 0.3mm 내지 1.5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판(80)의 상부면과 상부 파레트(62)의 내측 단부의 높이(h1)가 0.3mm 미만일 경우, 상부 파레트(62)의 끝부분이 너무 얇아 제조 공정 또는 유통 및 휴대 시 미세한 충격에도 상기 상부 파레트(62)의 내측 단부가 쉽게 깨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배출판(80)의 상부면과 상부 파레트(62)의 내측 단부의 높이(h1)가 1.5mm를 초과할 경우, 배출판(80)의 상부면으로 배출된 화장료를 퍼프로 문지르면서 찍을 때 배출판(80)의 상부면과 상부 파레트(62)의 내측 단부 사이의 모서리홈에 화장료가 끼어서 남아 있게 되어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배출판(8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부 파레트(62)의 윗면까지의 높이(h2)는 1.5mm 내지 5.5mm로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 파레트(62)의 높이(h2)가 1.5mm 미만일 경우, 배출판(80)의 상부면에 배출된 화장료를 퍼프로 문지르면서 찍을 때 화장료가 상부 파레트(62)를 타고 넘어가 상기 상부 파레트(62)와 링버튼부재(70)의 사이로 떨어지게 되어 콤팩트 용기 내부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고, 5.5mm를 초과할 경우, 상부 파레트(62)의 높이(h2)로 인해 콤팩트 용기 자체의 두께가 커져 휴대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파레트(64) 중앙에는 배출판(80)이 눌려질 때,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642)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부(642)의 상부면은 배출판(80)의 중앙 하부면에 밀착된다.
상기 하부 파레트(64) 외측에는 배출수단(50)에 의해 배출된 화장료가 통과하는 배출통로(641)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파레트(64)의 지지부(642) 하측에는 제1하부연장돌륜(643)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하부연장돌륜(643)은 배출수단(50)의 피스톤(55)에 결합된다.
상기 하부 파레트(64)의 제1하부연장돌륜(643)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출수단(50)의 피스톤링(56) 외측에 끼워지는 제2하부연장돌륜(645)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하부 파레트(64)의 제2하부연장돌륜(645) 외측에는 파레트(60)가 콤팩트 용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647)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상기 이탈방지부(647) 하측에는 제2걸림턱(648)이 형성되어 상기 부싱(53)의 제1걸림턱(536)과 체결된다.
상기 하부 파레트(64) 상부에는 배출통로(641)를 통과한 화장료가 넓게 퍼지도록 하는 분배통로(646)가 형성되고, 상기 분배통로(646) 외측에는 배출판(80)이 안착되는 안착부(644)가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의 분배통로 상부에 메쉬망이 더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상기 하부 파레트(64)의 분배통로(646) 상부에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쉬망(649)이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메쉬망(649)은 배출수단(50)에 의해 펌핑된 화장료가 뭉치지 않고 고운 입자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 파레트(62)는 배출판(80)의 상부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버튼부재(70)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파레트(60) 외측에 결합되며, 내주연에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압박홈(71)이 형성된다.
상기 압박홈(71)의 반대편 외주연에는 체결돌기(78)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돌기(78)는 외용기(10)의 체결홈(18)에 끼워져 링버튼부재(70)가 외용기(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링버튼부재(70)의 외주연 일측에는 축돌기(73)가 형성되어 상기 외용기(10)의 축결합홈(16)에 끼워진다.
상기 링버튼부재(70)의 압박홈(71)은 반원 또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파레트(60)의 압박돌기(61)의 직경은 상기 링버튼부재(70)의 압박홈(7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상기 파레트(60)의 압박돌기(61)가 반원 또는 원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링버튼부재(70)의 압박홈(71)이 반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압박돌기(61)의 직경이 압박홈(7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압박돌기(61)가 압박홈(71)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화장료를 배출시키기 위해 링버튼부재(70) 또는 배출판(80)을 가압할 때, 상기 링버튼부재(70)나 배출판(80)이 기울어진 상태로 가압되더라도 상기 링버튼부재(70)의 압박홈(71)이 상기 파레트(60)의 압박돌기(61) 상부에서 헛돌면서 가압되는 중심을 바꿈에 따라, 상기 파레트(60)가 배출수단(50)을 수직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출판(80)은 파레트(60)의 상부 파레트(62)와 하부 파레트(64) 사이에 인서트 사출 성형된다.
상기 배출판(80)에는 배출수단(50)에 의해 펌핑된 화장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배출구(82)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판(80)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또는 섬유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판(80)이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경우 에폭시(epoxy) 수지, 아미노 수지, 페놀(phenol) 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아크릴수지(Acrylic),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테프론(Teflon), 나일론(Nylon), 폴리아세탈수지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판(80)은 금속의 합금 및 도금된 금속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배출판(80)이 금속 재질로 형성될 경우 철(Fe), 알루미늄(Al), 구리(Cu), 텅스텐(W), 스텐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니켈(Ni), 주석(Sn), 티타늄(Ti), 아연(Zn), 갈륨(Ga)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판(80)은 스텐레스 스틸(Stainless steel)로서 내식성, 내산성, 내열성이 양호한 SUS 300 계열 중 SUS 304 재질일 수 있으며, 특히 항균성과 위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304J1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는 금속판(10)의 재질을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304 계열을 포함하는 301L, 304L, 304LN, 304N1, 305EG, 309S, 310S, 316, 316L, 316LN, 316Ti, 317L, 321, 347, 329J3L, 329L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의 조립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에 외용기뚜껑(20)이 힌지 결합된 외용기(10)의 내부에 내용기(3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내용기(30) 내부에 밀판(32)을 끼워넣고, 상기 내용기(30) 내부에 화장료를 주입한 후 상기 내용기(30) 상부에 배출수단지지대(40)를 결합시키는데, 상기 배출수단지지대(40)의 하부연장돌륜(42)이 내용기(30)의 내벽(35)과 외벽(36) 사이에 끼워지는 동시에 상기 하부연장돌륜(42)의 장착돌륜(422)이 상기 외용기(10)의 제1, 2 장착돌기(14, 15) 사이에 끼워지도록 결합한다.
다음으로, 상기 배출수단지지대(40)에 배출수단(50)를 설치하고, 상기 배출수단(50)의 상부에 파레트(60)를 결합하되, 상기 파레트(60)의 이탈방지부(647)가 배출수단(50)의 이탈방지부삽입홈(535)에 삽입되도록 하면서 상기 이탈방지부(647)의 제2걸림턱(648)이 배출수단(50)의 제1걸림턱(536)과 체결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파레트(60)의 제1하부연장돌륜(643)과 제2하부연장돌륜(645)이 각각 배출수단(50)의 피스톤(55)과 피스톤링(56)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상부 파레트(62) 하부면과 하부 파레트(64) 상부면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배출판(80)의 외측에서 일체로 융착된 상태이며, 상기 배출판(80)의 중앙 하부면은 하부 파레트(64)의 지지부(642)에 밀착된 상태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파레트(60) 상부에 링버튼부재(70)를 장착하되, 상기 파레트(60)의 압박돌기(61)와 링버튼부재(70)의 압박홈(71)의 위치를 맞추어 장착하면서, 상기 링버튼부재(70)의 축돌기(73)를 외용기(10)의 축결합홈(16)에 끼우고, 링버튼부재(70)의 체결돌기(78)를 외용기(10)의 체결홈(18)에 끼움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조립된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의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의 링버튼부재를 눌러 화장료가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A-A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의 링버튼부재가 상승되면서 화장료가 배출수단 내부로 흡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A-A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용기뚜껑(20)을 개방한 후에 링버튼부재(70) 상면을 가압한다.
상기 링버튼부재(70)가 가압되면 링버튼부재(70)가 기울어지면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링버튼부재(70) 하측에 장착된 파레트(60)도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파레트(60)의 압박돌기(61)가 반원 또는 원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링버튼부재(70)의 압박홈(71)이 반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압박돌기(61)의 직경이 상기 압박홈(7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압박홈(71)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상기 링버튼부재(70)가 기울어진 상태로 가압되더라도 링버튼부재(70)의 압박홈(71)이 상기 파레트(60)의 압박돌기(61) 상부에서 가압함에 따라 상기 파레트(60)가 배출수단(50)을 수직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후, 상기 파레트(60)의 하측 이동에 의해 파레트(60)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는 배출수단(50)의 피스톤(55)과 피스톤링(56)도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실린더(51) 내부의 체적이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51)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압력으로 실린더(51) 내의 화장료가 외부로 토출되려고 함에 따라, 토출 압력이 발생하여 흡입밸브판(52)이 상기 실린더(51)의 바닥면에 형성된 내용물 흡입공(58)을 폐쇄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실린더(51) 내에 수용되어 있던 화장료가 피스톤(55)과 피스톤링(56) 사이로 나와 하부 파레트(64)의 배출통로(641)를 통과한 후, 상기 하부 파레트(64)의 분배통로(646)를 지나 배출판(80)의 배출구(82)로 배출된다.
이후,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링버튼부재(70)의 가압을 해제하면, 상기 파레트(60)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54)의 탄성에 의해 파레트(6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파레트(60)의 하부 파레트(64) 하측에 결합되어 있는 피스톤(55)과 피스톤링(56)도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실린더(51) 내부의 체적이 커져 진공압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51) 내부에 발생된 진공압에 의해 흡입밸브판(52)이 들리면서 실린더(51)의 바닥면에 형성된 내용물 흡입공(58)이 개방되며, 이로 인해 내용기(30)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화장료가 상기 내용물 흡입공(58)을 통해 실린더(51) 내부로 유입되는 동시에 상기 내용기(30) 내부에 설치된 밀판(38)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 외용기 16: 축결합홈
18: 체결홈 20: 외용기뚜껑
30: 내용기 40: 배출수단지지대
50: 배출수단 60: 파레트
61: 압박돌기 62: 상부 파레트
64: 하부 파레트 70: 링버튼부재
71: 압박홈 73: 축돌기
78: 체결돌기 80: 배출판
82: 배출구 641: 배출통로
642: 지지부 644: 안착부
646: 분배통로 649: 메쉬망

Claims (13)

  1. 외용기와 상기 외용기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외용기뚜껑 및 상기 외용기 내부에 장착되는 내용기로 이루어진 콤팩트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에 설치되며, 화장료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
    상기 배출수단에 결합되어 배출수단을 가압하는 파레트;
    상기 파레트에 결합되어 파레트를 가압하는 링버튼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파레트는 상부 파레트와 하부 파레트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파레트와 하부 파레트 사이에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 성형되며,
    상기 상부 파레트가 하부 파레트의 외측을 감싸면서 인서트 사출되어 서로 융착되고,
    상기 하부 파레트는 중앙에 지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판의 하측과 밀착되며, 배출판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화장료가 넓게 퍼지도록 하는 분배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파레트와 하부 파레트의 융착면을 넓힐 수 있도록 상부 파레트의 하부에 융착홈이 형성되고, 하부 파레트의 상부 외측에 융착돌출부가 형성되어 서로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은 화장료를 펌핑하는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통로 상부에는 메쉬망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파레트가 배출판의 상부 외측을 덮는 길이는 0.5mm 내지 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판의 상부면과 상부 파레트의 내측 단부의 높이는 0.3mm 내지 1.5mm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판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상부 파레트의 윗면까지의 높이 1.5mm 내지 5.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판은 금속 또는 금속의 합금 또는 도금된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판은 금속 재질 중 스텐레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판은 합성수지 또는 섬유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
KR1020160169643A 2016-07-28 2016-12-13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 KR101897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503406A JP2019520952A (ja) 2016-07-28 2017-07-25 リングボタン部材が備えられて排出板がインサート射出されたコンパクト容器
PCT/KR2017/007983 WO2018021791A1 (ko) 2016-07-28 2017-07-25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
US16/319,785 US20190166977A1 (en) 2016-07-28 2017-07-25 Compact container having ring button member provided thereon and having discharge plate formed through insert injection molding
EP17834733.2A EP3476245A4 (en) 2016-07-28 2017-07-25 COMPACT CONTAINER WITH RING BUTTON ELEMENT THEREFOR AND WITH INSERT HOLDING DISCHARGE PLATE
CN201780046332.5A CN109475221A (zh) 2016-07-28 2017-07-25 具有设置其上的环状按钮件且具有通过插入注塑成型而形成的排出板的粉盒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867 2016-07-28
KR20160095867 2016-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418A KR20180014418A (ko) 2018-02-08
KR101897954B1 true KR101897954B1 (ko) 2018-09-14

Family

ID=61232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643A KR101897954B1 (ko) 2016-07-28 2016-12-13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166977A1 (ko)
EP (1) EP3476245A4 (ko)
JP (1) JP2019520952A (ko)
KR (1) KR101897954B1 (ko)
CN (1) CN10947522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316B1 (ko) 2018-05-29 2019-12-10 펌텍코리아(주) 오염 방지 쿨링판을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101915937B1 (ko) * 2018-07-04 2018-11-06 김진우 배출 펌프 내장형 파운데이션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904B1 (ko) * 2015-06-19 2015-10-02 뉴프론텍(주) 리필용기를 갖는 화장품용 컴팩트
KR101585392B1 (ko) 2015-06-24 2016-01-20 펌텍코리아 (주) 링버튼부재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135Y2 (ko) * 1987-08-05 1993-06-14
JP3003256U (ja) * 1994-03-03 1994-10-18 信濃化学工業株式会社 保温食器
JP2008061673A (ja) * 2006-09-05 2008-03-21 Yoshida Industry Co Ltd 化粧料容器
KR200475589Y1 (ko) * 2013-04-23 2014-12-12 (주)비디비치코스메틱 화장품 용기
KR101781675B1 (ko) * 2014-02-14 2017-09-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WO2015122643A1 (ko) * 2014-02-14 2015-08-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1711180B1 (ko) * 2014-12-31 2017-03-15 펌텍코리아 (주)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CN205143858U (zh) * 2014-12-31 2016-04-13 蒲木科技韩国株式会社 具有环形按钮构件的粉饼容器
KR101541396B1 (ko) * 2015-02-17 2015-08-03 뉴프론텍(주) 리필용기를 갖는 화장품용 컴팩트
CN204698055U (zh) * 2015-05-27 2015-10-14 御田二工业(深圳)有限公司 化妆粉盒用包塑分流垫
KR20160084348A (ko) * 2016-07-01 2016-07-13 펌텍코리아 (주)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904B1 (ko) * 2015-06-19 2015-10-02 뉴프론텍(주) 리필용기를 갖는 화장품용 컴팩트
KR101585392B1 (ko) 2015-06-24 2016-01-20 펌텍코리아 (주) 링버튼부재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75221A (zh) 2019-03-15
KR20180014418A (ko) 2018-02-08
JP2019520952A (ja) 2019-07-25
EP3476245A4 (en) 2019-07-03
EP3476245A1 (en) 2019-05-01
US20190166977A1 (en) 2019-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0417B2 (ja) 排出板が固定部材によって支持されながら、インサート射出成形されるコンパクト容器
US10413041B2 (en) Two-liquid mixing container provided with pressing pocket
KR200481481Y1 (ko) 펌프가 구비된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
JP6514339B2 (ja) リングボタン部材を備えたコンパクト容器
JP6535808B2 (ja) 行程距離の短いポンプとリングボタン部材を備えたコンパクト容器
KR101711180B1 (ko)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200483309Y1 (ko) 방향성 없이 조립이 가능한 확산분배판을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101585392B1 (ko) 링버튼부재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101876119B1 (ko) 화장품 용기
EP3443862B1 (en) Compact container having mixing cushion and mixing mesh
KR101897954B1 (ko)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
CN107847037B (zh) 具有与泵的侧面水平联接的内容物储存容器的紧凑型容器
KR20170114004A (ko) 투명 배출판 저면에 불투명 박막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
KR101784737B1 (ko) 탄성 재질의 내용물용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170002211U (ko) 확산분배판에 밀착부와 기밀부가 일체로 형성된 콤팩트 용기
KR20180016283A (ko) 이탈방지부를 갖는 배출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0484833Y1 (ko) 파우치 용기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200487895Y1 (ko) 메쉬망과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캡슐화장품 용기
KR101768463B1 (ko) 배출판이 고정부재에 의해 지지되면서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
KR101768465B1 (ko) 배출판이 고정부재에 의해 지지되면서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
KR20160084348A (ko)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20200044358A (ko) 압력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되는 화장품용기
KR200482749Y1 (ko) 블로우 용기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20170125435A (ko) 이중 리브를 갖는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JP2023528268A (ja) 内容物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