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645Y1 - 액상물 도포 용기 - Google Patents

액상물 도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645Y1
KR200458645Y1 KR2020100007663U KR20100007663U KR200458645Y1 KR 200458645 Y1 KR200458645 Y1 KR 200458645Y1 KR 2020100007663 U KR2020100007663 U KR 2020100007663U KR 20100007663 U KR20100007663 U KR 20100007663U KR 200458645 Y1 KR200458645 Y1 KR 2004586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container body
container
liqui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6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763U (ko
Inventor
박우람
황정환
황윤균
김진웅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1000076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64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7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7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6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6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1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roller, a disc or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6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pads or like contents-appl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magnetic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상물 도포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액상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 상기 개구부를 가로막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도포면에 접촉할 때에 구름동작으로 액상물을 도포면에 도포하며, 자성금속을 포함하는 볼; 및,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개구부에 인접 배치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볼을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로 끌어당기는 본체 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볼이 용기 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 자석부의 자력만으로 볼을 용기 본체의 내부로 끌어당김으로써 개구부가 볼의 절반 이상을 감싸도록 오므라지게 마련될 필요가 없게 되어 필요시 언제든지 용이하게 볼을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상물 도포 용기{LIQUID SUBSTANCE APPLICATOR}
본 고안은 액상물 도포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볼(ball)의 구름동작으로 액상물을 도포면에 도포하는 액상물 도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굴 마사지 기능을 갖는 화장품은 액상물의 형태로 용기에 담겨져 용기의 개구에 마련된 볼의 구름동작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와 같은 도포면에 도포된다.
이러한, 용기에는 그 밖에도 물파스, 물풀, 액상접착제, 도료 등과 같은 다양한 액상물이 담겨질 수도 있다.
종래의 액상물 도포 용기는 구름동작되는 볼이 용기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가 볼의 절반 이상을 감싸도록 오므라지게 마련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액상물 도포 용기는 개구가 용기에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볼을 세척하기 위해서 볼을 용기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구를 용기와 나사결합 등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별도의 볼 가이드부에 형성하더라도 볼을 분리하려면 일일이 볼 가이드부를 용기에서 분리한 뒤에 볼 가이드부에서 볼을 분리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따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볼의 분리가 용이하지 못하므로 볼의 세척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액상물의 오염도가 증가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포면에 접촉할 때에 구름동작으로 액상물을 도포면에 도포하는 볼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액상물 도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액상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 상기 개구부를 가로막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도포면에 접촉할 때에 구름동작으로 액상물을 도포면에 도포하며, 자성금속을 포함하는 볼; 및,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개구부에 인접 배치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볼을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로 끌어당기는 본체 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도포 용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볼이 수직 방향으로는 용이하게 분리되되 수평방향으로는 좌우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볼을 직경의 절반 정도 이내에서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 자석부는 도넛(doughnut) 형상으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이 외부로부터 밀폐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캡부는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시 상기 볼과 가장 원거리에 위치하도록 외부에 마련되되 상기 본체 자석부보다 강한 자력을 갖는 캡 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볼이 용기 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 자석부의 자력만으로 볼을 용기 본체의 내부로 끌어당김으로써 개구부가 볼의 절반 이상을 감싸도록 오므라지게 마련될 필요가 없게 되어 필요시 언제든지 용이하게 볼을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와 나사 결합 등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볼 가이드부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없이 용기 본체에 개구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나아가, 볼의 분리가 매우 용이해짐으로써 볼과 용기 본체 내부의 세척이 제대로 이뤄지게 되어 액상물의 청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액상물의 재충전도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도포 용기의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볼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본체 자석부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도포 용기의 구성도,
도 6은 도 5의 토출 조절부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도포 용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개구부(111)가 형성되며 액상물(10)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110)와, 볼(ball)(120)과, 본체 자석부(130)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110)는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마련되고, 개구부(111)의 외측 둘레에는 수나사부(111a)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볼(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11)를 가로막도록 용기 본체(110)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도포면에 접촉할 때에 구름동작으로 액상물을 도포면에 도포하며, 자성금속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체 자석부(130)의 자력(磁力)에 의해 볼(120)이 본체 자석부(130)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끌어 당겨짐으로써 용기 본체(110)에서 볼(120)이 이탈되지 않고 개구부(111)를 밀폐하며 용기 본체(110) 내에 수용된 액상물(10)을 구름동작에 의해 도포면에 도포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볼(120)은 전체가 자성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속이 텅 비어 있거나 채워질 수도 있다. 그러나, 볼(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텅 비어 있거나 채워진 수지(樹脂) 재질로 이뤄진 볼 베이스부(121)와, 볼 베이스부(121) 전체를 감싸도록 수지 재질의 볼 베이스부(121)의 외면에 형성된 자성금속층(12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자성금속층(123)에는 액상물이 볼(120)에 잠시 스며들었다가 도포시 원활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복수의 기공(123a)들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금속 재질로 이뤄지며 속이 텅 빈 볼 베이스부(121)와, 볼 베이스부(121) 전체를 감싸도록 자성금속 재질의 볼 베이스부(121)의 외면에 형성된 수지층(125)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볼(12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표면에 요철(凹凸)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자석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10)의 내부에서 개구부(111)에 인접 배치되어 자력에 의해 볼(120)을 용기 본체(110)의 내부로 끌어당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본체 자석부(130)는 네오디뮴(neodymium)으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볼(120)이 용기 본체(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 자석부(130)의 자력만으로 볼(120)을 용기 본체(110)의 내부로 끌어당김으로써 개구부(111)가 볼(120)의 절반 이상을 감싸도록 오므라지게 마련될 필요가 없게 되어 필요시 언제든지 용이하게 볼(120)을 용기 본체(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즉, 본체 자석부(130)의 자력에 의해 볼(120)이 용기 본체(110)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구조가 됨으로써 개구부(111)는 볼(120)을 직경의 절반 정도 이내만을 감싸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120)은 외부의 강제력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는 용이하게 분리되되 수평방향으로는 좌우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체 자석부(130)의 형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공(130a)이 가운데에 형성된 도우넛(doughnut) 또는 제1 통공(130a)이 복수로 형성된 원반 등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 본체(110)에 수용된 액상물(10)은 용기 본체(110)가 가압 되거나 볼(120)이 하부에 놓이게 되도록 용기 본체(110)가 뒤집혀 중력의 영향을 받게 되면 본체 자석부(130)의 제1 통공(130a)을 통해 개구부(111) 측으로 토출되고 볼(120)에 접촉하게 되어 볼(120)의 구름동작에 의해 도포면에 도포될 수 있다. 이때, 볼(120)과 개구부(111) 사이에는 액상물(10)에 작용하는 가압력 또는 중력에 의한 틈새가 형성되기 때문에 볼(120)이 구름동작 될 때에 볼(120)에 묻어나는 액상물(10) 모두가 개구부(111)에 의해서 긁어져 용기 본체(110) 내로 다시 유입되지는 않는다.
한편, 액상물 도포 용기(1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120)이 외부로부터 밀폐되도록 용기 본체(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부(140)의 내측 둘레에는 용기 본체(110)의 수나사부(111a)에 대응되게 암나사부(140a)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용기 본체(110)와 캡부(140)는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용기 본체(110)와 캡부(140)는 나사 결합 방식이 아닌 억지끼움 등을 비롯한 다양한 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캡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10)에 결합시 볼(120)과 가장 원거리에 위치하도록 캡부(140)의 외부에 결합되되 본체 자석부(130)보다 강한 자력을 갖는 캡 자석부(1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캡부(140)를 용기 본체(110)에서 분리하여 뒤집은 상태에서 캡 자석부(150)를 볼(120)에 갖다대면 용기 본체(110)에서 볼(120)을 수직 방향으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캡 자석부(150)는 본체 자석부(130)와 마찬가지로 네오디뮴으로 마련되되 본체 자석부(130)보다 강한 자력을 갖는 네오디뮴으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10)에서 본체 자석부(130)의 하부에는 토출 조절부(160)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 조절부(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통공(160a)이 형성된 원반 형상으로 마련되고,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은 유연한 재질로 이뤄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용기 본체(110)가 외부에서 강제로 가압 되어야만 액상물이 제2 통공(160a)을 통해 토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기 본체(110)에서 볼(120)을 분리할 때에 수용된 액상물(10)이 과다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액상물(10)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토출 조절부(160)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고, 본체 자석부(130)의 하부가 아닌 상부에서 용기 본체(1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통공(160a)은 토출 조절부(160)의 가운데에서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고, 원형으로 천공되지 않고 십자형의 절개선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 본체(110)와 나사 결합 등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볼 가이드부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없이 용기 본체(110)에 개구부(111)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볼(120)의 분리가 매우 용이해짐으로써 볼(120)과 용기 본체(110) 내부의 세척이 제대로 이뤄지게 되어 액상물(10)의 청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액상물(10)의 재충전도 용이해질 수 있다.
100 : 액상물 도포 용기 110 : 용기 본체
111 : 개구부 120 : 볼
130 : 본체 자석부 140 : 캡부
150 : 캡 자석부 160 : 토출 조절부

Claims (5)

  1.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액상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
    상기 개구부를 가로막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도포면에 접촉할 때에 구름동작으로 액상물을 도포면에 도포하며, 자성금속을 포함하는 볼; 및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개구부에 인접 배치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볼을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로 끌어당기는 본체 자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도포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볼이 수직 방향으로는 용이하게 분리되되 수평방향으로는 좌우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볼을 직경의 절반 정도 이내에서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도포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자석부는 도넛(doughnut) 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도포 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이 외부로부터 밀폐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도포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시 상기 볼과 가장 원거리에 위치하도록 외부에 마련되되 상기 본체 자석부보다 강한 자력을 갖는 캡 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도포 용기.
KR2020100007663U 2010-07-21 2010-07-21 액상물 도포 용기 KR2004586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663U KR200458645Y1 (ko) 2010-07-21 2010-07-21 액상물 도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663U KR200458645Y1 (ko) 2010-07-21 2010-07-21 액상물 도포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763U KR20120000763U (ko) 2012-02-02
KR200458645Y1 true KR200458645Y1 (ko) 2012-03-06

Family

ID=45843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663U KR200458645Y1 (ko) 2010-07-21 2010-07-21 액상물 도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64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6609A (ko) 2014-02-14 2015-08-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WO2017213298A1 (en) 2016-06-10 2017-12-14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vessel
KR101895316B1 (ko) * 2017-11-15 2018-09-07 주식회사 승일 롤온 버튼을 구비한 분사용기
KR102207788B1 (ko) * 2019-11-20 2021-01-25 이준호 국부 도포가 가능한 구체 회전방식의 압축 분사장치
CN111570131B (zh) * 2020-05-19 2021-07-06 安徽海思达机器人有限公司 一种弹珠自动装入酒瓶设备
KR102579668B1 (ko) * 2021-04-01 2023-09-1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성 자성 볼과 가이드의 장착을 통한 개폐 조절 기능을 보유한 유체물질 용기 캡 및 그 이용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2980A (ja) 2004-04-28 2005-11-10 L'oreal Sa 支持体及び分配部材を有する包装及びアプリケータ器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2980A (ja) 2004-04-28 2005-11-10 L'oreal Sa 支持体及び分配部材を有する包装及びアプリケータ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763U (ko)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8645Y1 (ko) 액상물 도포 용기
JP5930361B2 (ja) 化粧料塗布具
JP7009212B2 (ja) 気泡性材料を含むスクリーンを備える装置
KR102042647B1 (ko) 화장품 용기
CN105873470A (zh) 使液态内容物以滴形态排出的软管型化妆品容器
KR101371592B1 (ko) 마스카라 화장용기
JP2009034145A (ja) ブラシ式塗布具
KR101456610B1 (ko) 경사형 퍼프를 갖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424791Y1 (ko) 화장품 용기의 파우더 배출구조.
KR102218841B1 (ko) 구강 내에서 구부러짐이 가능한 치간 칫솔
CN102458184B (zh) 用于制造用于皮肤制剂敷抹器的敷抹器顶端组件的物品和方法
KR101369414B1 (ko) 화장품 용기
KR102427475B1 (ko) 화장품 밀봉 패키지
KR200464033Y1 (ko) 화장브러쉬를 포함한 튜브용기의 배출장치
CN115646960A (zh) 一种导管清洗刷
KR101812091B1 (ko) 손톱 소제구
KR100852726B1 (ko) 화장용기의 와이퍼
KR200482295Y1 (ko) 고정돌기를 구비한 화장료 접시
KR200460287Y1 (ko) 액상물 도포 용기
CN209003459U (zh) 一种智能水杯机器人
US20160000217A1 (en) Cosmetic Applicator Cleaning Apparatus
KR200469856Y1 (ko) 구체형 도포구를 갖는 도포 용기
JP2004187878A (ja) 液体化粧料容器
JP3205049U (ja) 口唇化粧料塗布装置
KR200397036Y1 (ko) 화장용 솔이 구비된 파우더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