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316B1 - 롤온 버튼을 구비한 분사용기 - Google Patents

롤온 버튼을 구비한 분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316B1
KR101895316B1 KR1020170152405A KR20170152405A KR101895316B1 KR 101895316 B1 KR101895316 B1 KR 101895316B1 KR 1020170152405 A KR1020170152405 A KR 1020170152405A KR 20170152405 A KR20170152405 A KR 20170152405A KR 101895316 B1 KR101895316 B1 KR 101895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button
contents
applica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하진
고창희
이기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일
Priority to KR1020170152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28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5D83/285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applying the contents, e.g. brushes, rollers, pads, spoons, razors,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0Closure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4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gulating devices
    • B65D83/48Lift valves, e.g. operated by push acti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롤온 버튼을 구비하는 분사용기는, 분사될 내용물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마운트 컵, 상기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분사하도록 외력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마운트 컵에 고정되는 밸브 어셈블리 및 상기 밸브스템으로부터 분사되는 내용물이 유입되는 롤온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롤온 버튼은, 상기 내용물이 도포되는 도포구, 상기 도포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바디, 상기 수용부의 일면에서 리세스되어 형성된 안착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포구와 접촉하는 도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수용부의 단부에서 리세스되게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시키는 복수의 홈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롤온 버튼을 구비한 분사용기{AEROSOL CAN HAVING ROLL-ON BUTTON}
본 발명은 도포구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도포하는 분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사용기는 분사할 내용물(유체 또는 가스)을 하우징 내부에 밀봉시켜둔 상태에서, 내압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할 수 있게 하는 용기를 말한다. 이러한 분사용기의 대표적인 예로는 휴대용 가스용기, 스프레이 모기약, 헤어 스프레이, 휴대용 에어로졸 소화기, 가스 라이터용 용기 등이 있다.
이러한 분사용기는 에어로졸의 입자를 분사하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자외선 방지 피부 보호 크림(썬 크림)을 충전하고, 스프레이 타입으로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하는 스프레이 타입의 썬 크림 분사용기가 상용화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스프레이 타입은 에어로졸의 입자들을 얼굴을 향하여 분사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스프레이 타입은 분사시에 입자들이 주위로 흩뿌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주위로 흩뿌려지지 않는 롤온(Roll-on) 타입의 버튼을 적용하였으나, 롤온(Roll-on) 타입의 버튼은 에어로졸의 가스가 구 형태의 도포구를 밀어내어 도포구가 버튼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도포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롤온(Roll-on) 타입의 분사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포구의 이물질 오염을 방지하고, 도포구에 내용물이 균일하게 발라지는 롤온(Roll-on) 타입의 분사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롤온 버튼을 구비하는 분사용기는, 분사될 내용물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110)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마운트 컵, 상기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분사하도록 외력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마운트 컵에 고정되는 밸브 어셈블리 및 상기 밸브스템으로부터 분사되는 내용물이 유입되는 롤온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롤온 버튼은, 상기 내용물이 도포되는 도포구, 상기 도포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바디, 상기 수용부의 일면에서 리세스되어 형성된 안착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포구와 접촉하는 도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수용부의 단부에서 리세스되게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시키는 복수의 홈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분사용기의 분사가스의 압력에도 상기 도포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의 단부는 상기 도포구를 감싸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수용부의 내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의 내면에는 상기 도포구를 지지하여 상기 수용부의 내면과 상기 도포구의 밀착을 방지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는 상기 수용부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단이 상기 밸브스템과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어 상기 내용물이 유동하는 유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착부는 상기 유로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포구에 상기 내용물이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스템이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로는 복수의 관통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용물은 균일하게 분산되어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롤온 버튼이 각각 결합되는 숄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밸브스템은 스템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 및 좌우 틸팅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롤온 버튼은 상기 밸브스템에 상기 외력을 가하도록 상기 숄더 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언락킹 상태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된 락킹 상태 사이에서 상태 전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버튼부 및 상기 도포구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숄더에 장착되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사용기에서 분사되는 에어로졸이 도포구에 도포됨에 따라, 분사용기의 스프레이 도포 방식이 롤온 도포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내용물을 인체에 직접 스프레이하지 않고, 도포구를 매개로 하여 바를 수 있는 분사용기가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썬 크림을 보다 안전하게 얼굴 등에 도포하며, 주위로 흩뿌려지는 것이 제한되는 분사용기가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은 롤온 버튼에 형성된 홈을 통하여 분사가스를 배출하므로, 도포구가 버튼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을 분사하는 분사용기에도 롤온 버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롤온 버튼 내부에 도포 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내용물이 뭉치지 않고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으며, 이물질로 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롤온 버튼을 구비하는 분사용기의 사시도.
도 2은 도 1의 Ⅰ-Ⅰ'에 따라 절단한 부분의 단면도.
도 3는 도 2에 도시된 영역 A의 확대도.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용기에서 내용물이 분사되는 상태 들을 설명하기 위한 종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롤온 버튼의 바디의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롤온 버튼의 바디의 종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롤온 버튼 및 숄더 부재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7a는 밸브 어셈블리 및 롤온 버튼이 언락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7b는 밸브 어셈블리 및 롤온 버튼이 락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8은 캡 및 숄더 부재에 대한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온 버튼을 구비하는 분사용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사용기(100)는 유체 또는 가스를 밀폐된 공간에 수용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용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사용기(100)는 도포구를 회전시켜 내용물을 도포하는 롤온(Roll-on) 버튼을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며, 이하에서 그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롤온 버튼(300)을 구비하는 분사용기(100)의 사시도이며, 도 2은 도 1의 Ⅰ-Ⅰ'에 따라 절단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는 도 2에 도시된 영역 A의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롤온 버튼(300)을 구비하는 분사용기(100)는 하우징(110), 마운트 컵(120), 숄더 부재(400) 및 롤온 버튼(3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S1)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용물은 예를 들어, 유체 또는 가스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용물은 썬 크림과 분사가스가 될 수 있다.
하우징은 수용공간(S1)이 형성된 몸체(111)와, 밀봉캡(112)을 포함할 수 있다. 밀봉캡(112)은 수용공간(S1)에 일정 수준의 과압이 걸린 경우 수용공간(S1)의 체적을 확대시키도록 변형될 수 있기 위하여 수용공간(S1)을 향해 만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몸체(111)에는 고압의 기체 또는 액체 상태의 내용물이 담길 수 있으며, 일정한 내압을 견딜 수 있는 금속캔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하우징(110)의 상단부에는 밸브 어셈블리(200)를 지지하기 위한 마운트 컵(120)이 결합 된다. 하우징은 상기 마운트 컵(120)과 시밍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마운트 컵(120)에는 시밍 결합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시밍 결합부(121)는 마운트 컵(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10)과 시밍 결합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시밍 결합부(121)는 상기 하우징(110)에 이중 또는 삼중 시밍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시밍 결합부(121)는 단일 시밍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마운트 컵(120)의 중앙에는 밸브 어셈블리(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돌출부분이 마련되어 있다.
밸브 어셈블리(200)는 일 단부가 수용공간(S1)에 배치되고 타 단부는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채로 마운트 컵(120)에 설치되어, 눌림에 의하여 수용공간(S1)에 충전된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운트 컵(120)의 돌출부분(122)의 상단의 중앙부분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밸브 어셈블리(200)를 이루는 밸브스템(210)의 일부가 관통되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밸브스템(210)은 수직방향으로 눌려질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며, 그 눌림에 의하여 수용공간(S1)의 내용물이 분사되고 눌림이 해제되면 내용물의 분사가 중단된다. 또한, 상기 밸브스템(210)은 좌우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틸팅에 의하여 수용공간(S1)의 내용물이 분사되고 틸팅이 해제되면 내용물의 분사가 중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틸팅이 해제되면 내용물의 분사가 중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돌출부분(122)의 내측면에는 걸림돌기(123)가 돌출된다. 걸림돌기(123)는 마운트 컵(120)의 외면에 대한 클램핑 등을 통한 단면축소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123)에는 스템하우징(220)이 고정된다. 스템하우징(22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걸림돌기(123)에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스템하우징(220)의 외주면에는 둘레돌기(221)가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분(122)의 걸림돌기(123)가 둘레돌기(221)에 걸림으로서, 스템하우징(220)이 마운트 컵(120)의 돌출부분(122)에 고정된다.
스템하우징(220)의 내부에는 하우징(110)의 수용공간(S1)과 연통되는 중공부분(222)이 형성되며, 밸브스템(210)이 상기 중공부분(222)에 슬라이딩 및 틸팅가능 하도록 배치된다.
이하, 상기 밸브 어셈블리(200)의 작동에 대하여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용기에서 내용물이 분사되는 상태 들을 설명하기 위한 종 단면도들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밸브스템(210)에는 밸브스템(210)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중공부분(222)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오리피스(211)가 형성된다.
도시에 의하면, 스템하우징(220)에는 밸브스템(210)의 슬라이딩 및 틸팅과 연동하여 오리피스를 개폐하도록 탄성변형되는 개폐부재(231)가 배치된다.
밸브스템(210)이 외력(F)에 의하여 슬라이딩하면, 개폐부재(231)는 휘어지면서 탄성변형되고 스템하우징(220)의 중공부분(222)과 밸브스템(210)의 통로가 상호 연통되면서 내용물이 분사된다. 반대로, 밸브스템(210)을 누르고 있던 힘이 제거되면, 밸브스템(210)의 하단을 지지하는 스프링(232)의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 변형된다. 그 결과, 개폐부재(231)는 밸브스템(210)에 밀착됨으로써 오리피스(211)를 막게 되고, 가스의 유출이 차단된다.
이 경우에 상기 밸브스템(210)의 하단과 상기 스프링(232)은 상기 중공부분 내에서 좌우측으로 상대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중공부분의 측벽과 특정거리로 이격 배치된다. 즉, 스프링(232)이 안착되는 부분에 고정되지 않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밸브스템(210)의 틸팅이 가능하게 된다. 밸브스템(210)이 외력(F)에 의하여 틸팅하면, 개폐부재(231)는 휘어지면서 탄성변형하여 내용물이 분사되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 변형된다.
이러한 메커니즘을 통하여,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분사하도록 슬라이딩 이동 및 좌우 틸팅에 의하여 개폐되는 밸브스템(210)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분사용기(100)는 도포구(340)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도포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구비하며, 이하, 이에 대하여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롤온 버튼의 바디의 사시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롤온 버튼의 바디의 종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분사용기(100)는 분사된 에어로졸 입자를 유입하여 외부로 도포할 수 있도록, 롤온 버튼(300)을 구비한다.
상기 롤온 버튼(300)은, 상기 밸브스템(210)과 함께 슬라이딩 이동 또는 좌우 틸팅되며, 상기 밸브스템(210)에서 분사되는 내용물이 유입되어 유동하는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에서 배출되는 내용물이 도포구(340)에 묻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롤온 버튼(300)은 도포구(340) 및 바디(301)를 구비한다.
상기 도포구(340)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301)에 장착된다. 상기 도포구(340)는 상기 밸브스템(210)으로부터 분사되는 내용물이 도포되어 인체의 손이나 얼굴에 직접 바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301)는 상기 도포구(34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도포구(34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310)를 형성한다. 상기 수용부(310)는 상측을 향하여 개방되고, 상기 도포구(340)를 감싸도록 구 형상의 수용공간(S2)을 형성한다. 상기 도포구(340)는 상기 수용공간(S2)을 채우도록 상기 수용부(310)에 장착되며, 상기 도포구(340)는 상기 수용부(310)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지 않는 상태로 상기 수용부(310)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310)의 상측을 향하여 개방된 상기 단부(311)는 상기 도포구(340)가 상기 수용부(3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도포구(340)를 감싸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포구(34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도포구(340)는 상기 바디(301)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부(310)에 의해 수용되어 내용물이 도포되는 수용부(310)분과 외부로 노출되어 인체의 손이나 얼굴에 직접 바를 수 있는 노출부분으로 구획된다. 상기 수용부(310)분과 상기 노출부분은 회전에 따라 연속적으로 바뀌도록 이루어진다.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도포구(340)는 상기 수용부(310)에 장착되어, 상기 도포구(340)와 상기 수용부(310)의 내면 사이의 틈(S3)을 형성한다. 외력에 의하여 상기 밸브스템(210)에서 내용물이 분사되는 경우, 상기 내용물은 상기 틈(S3)을 채우게 되며, 상기 내용물 중 액상 내용물, 예를 들어, 선 크림은 상기 도포구(340)에 도포된다.
한편, 상기 내용물 중 가스 내용물, 예를 들어, 분사가스는 상기 도포구(340)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도포구(340)가 상기 수용부(3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301)는 상기 단부(311)에서 리세스되어 형성되며, 상기 바디(301)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홈(312)을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도포구(3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연장되는 상기 단부(311)에서 기설정된 깊이로 리세스되어, 상기 틈(S3)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홀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틈(S3)에 분사된 상기 분사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홈(312)은 상기 수용부(310) 내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스의 배출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바디(301)의 단부는 분사가스의 압력에 의한 상기 도포구(3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용부(310)의 내면에는 상기 틈(S3)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포구(340)를 지지하는 지지돌기(313)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돌기(313)는 수용부(310)의 내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3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313)는 상기 도포구(340)와 상기 수용부(310) 내면의 밀착을 방지하도록 상기 틈(S3)을 유지하여, 내용물의 흐름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용물이 밸브스템(210)에서 분사되는 경우, 상기 지지돌기(313) 및 상기 단부(311)가 상기 도포구(340)를 지지하여 분사가스로 인한 도포구(340)의 진동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301)는 상기 내용물을 상기 도포구(340)에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도록 도포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포부재(350)는 스폰지, 부직포, 브러쉬 등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포부재(350)는 상기 수용부(310)의 내면과 상기 도포구(34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바디(301)는 상기 도포부재(35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310)의 내면에서 리세스되어 형성되는 안착부(33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포부재(350)는 상기 안착부(330)를 채우도록 배치되며, 상기 안착부(330)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도포구(340)와 접촉한다. 이와 같이 상기 도포부재(350)는 상기 도포구(340)와 접촉함에 따라, 상기 도포구(340)의 회전시, 상기 내용물을 상기 도포구(340)에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으며, 도포구(340)의 이물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330)는 후술할 유로부(32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도포부재(350)은 상기 안착부(330)를 채우도록 도넛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용물은 상기 도포구(340)에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스템(210)이 이물질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5b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바디(301)는 상기 밸브에서 분출되는 내용물이 상기 수용부(310)로 이동하도록 유로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로부(320)는 일단이 상기 밸브스템(210)과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수용부(310)와 연통되어 상기 내용물이 유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로부(320)는 상기 밸브스템(210)의 배출구가 삽입되는 삽입부(323)와, 상기 삽입부(323)로부터 상기 밸브스템(210)으로 이어지는 유로(323a, 324a)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삽입부(323)에 형성되는 제1유로(323a)의 직경보다 상기 유로에 형성되는 제2유로(324a)의 직경이 작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삽입부(323)는 상기 바디(301)의 하단면에서 상기 수용부(310)를 향하여 리세스되며, 상기 수용부(310)와 연통되도록 상기 밸브스템(210)의 배출구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1유로(323a)의 직경은 상기 밸브스템(210)의 배출구의 외경보다 더 크거나 같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유로는 복수의 관통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323)에서 상기 수용부(3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직경이 연속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용물의 상기 분사가스의 분사력에 의하여 상기 썬크림은 균일하게 분산되어 분사될 수 있다.
또한, 분사용기(100)는 롤온 버튼(300)의 회전에 따라 락킹 또는 언락킹 상태로 전환되는 메커니즘을 구비하며, 이하, 이에 대하여 도 6,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롤온 버튼을 구비하는 분사용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7a는 밸브 어셈블리 및 롤온 버튼이 언락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며, 도 7b는 밸브 어셈블리 및 롤온 버튼이 락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롤온 버튼(30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밸브스템(210)에 상기 슬라이딩 이동 및 좌우 틸팅을 발생하는 외력을 가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롤온 버튼(300)을 기울이면, 도 4b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이 틸트에 의하여 내용물이 분사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우징(110) 및 상기 롤온 버튼(300)은 각각 숄더 부재(4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숄더 부재(400)는 상기 하우징(1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몸체(410)와, 상기 몸체(410)의 내주에서 상기 숄더 부재(400)의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내주턱(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410)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몸체(111)가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몸체(111)의 하단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몸체(410)는 상기 하우징(110)의 몸체(111)보다 길이가 짧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몸체(111)의 하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교체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숄더 부재(400)는 상기 내주턱(42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마운트 컵(120)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되는 걸림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주턱(420)과 상기 걸림부(411)에 의하여 한정되는 공간에 상기 시밍 결합부(121)가 안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내주턱(420)과 상기 걸림부(411)는, 상기 숄더 부재(400)의 내측에서 대체로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내주턱(420)과 상기 걸림부(411)가 만나는 지점 근처에 시밍 결합부(121)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롤온 버튼(300)은, 상기 밸브스템(210)에 외력을 가하도록 상기 하우징(11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언락킹 상태와, 상기 하우징(110)에 대하여 고정된 락킹 상태 사이에서 상태 전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숄더 부재(400) 및 상기 롤온 버튼(3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롤온 버튼(3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롤온 버튼(300)이 상기 숄더 부재(400)에 대하여 이동되는 것을 락킹 또는 언락킹하는 락킹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부는 상기 숄더 부재(400) 및 상기 롤온 버튼(3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돌기(430)와, 상기 숄더 부재(400) 및 상기 롤온 버튼(30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상대돌기(325) 및 상대홈들(326)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롤온 버튼(300)은 숄더 부재(4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에 의하여, 돌기(430)는 상대돌기(325)와 마주보거나, 상대홈(326)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상대돌기(325) 및 상대홈들(326)은 상기 롤온 버튼(3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돌기(430)를 순차적으로 마주보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숄더 부재(400)에는 특정거리로 서로 이격되는 돌기(430)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대돌기(325) 및 상대홈들(326)은 상기 롤온 버튼(300)에 구비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롤온 버튼(300)에는, 상대돌기(325), 상대홈(326), 및 스토퍼(327)가 번갈아가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대돌기(235), 상대홈(326) 및 스토퍼(327)의 개수 각각은 상기 돌기(430)의 개수와 같을 수 있다.
상기 돌기(430)가 상기 롤온 버튼(300)에 구비되는 상대돌기(325)와 마주보는 상태에서는 상기 롤온 버튼(300)의 움직임이 제한되며, 따라서 락킹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돌기(430)가 상기 상대홈들(326)과 마주보는 상태에서는 상기 롤온 버튼(300)의 움직임이 가능하며, 따라서 언락킹 상태가 될수 있다.
한편, 상기 돌기(430)는, 상기 롤온 버튼(300)이 상기 숄더 부재(400)의 중심축에 대하여 좌우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중심축과 대체로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돌기(432)와, 상기 롤온 버튼(300)이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돌기(432)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돌기(4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돌기(432, 433)은, 돌기 몸체(431)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대홈(326)은, 언락킹 상태에서 상기 상대홈(326)에 상기 돌기(430)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롤온 버튼(300)이 상기 숄더 부재(400)의 중심축에 대하여 좌우 틸팅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될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롤온 버튼(300)이 좌우 틸팅되면, 돌기(430)는 상기 상대홈(326)내에서 좌측면에 치우쳐서 배치되거나, 우측면에 치우쳐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락킹 상태에서는, 상기 돌기(430)는, 상대돌기(325)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상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대돌기(325)에는 상기 락킹 상태에서 상기 제1돌기(432)가 삽입되도록 삽입홈(325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홈(325a)은, 상기 상대돌기(325)상에서 상기 롤온 버튼(300)의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325a)에 상기 제1돌기(432)가 삽입되면, 상기 롤온 버튼(300)이 숄더 부재(400)에 대하여 좌우 틸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스토퍼(327)는, 상기 롤온 버튼(300)의 회전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상대돌기(325)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롤온 버튼(300)은, 상기 제1돌기(432)가 삽입홈(325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430)가 상기 상대홈(326)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은 가능하나, 상기 돌기(430)가 상기 스토퍼(327)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은 불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돌기(433)는, 락킹 상태에서, 상기 상대돌기(325)의 하측면과 접함으로써, 상기 롤온 버튼(300)이 숄더 부재(400)의 중심축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사용기(100)는 터치 타입으로 직접 도포 부위에 도포구(340)를 대고 기울이면 내용물이 나오는 타입이므로, 보관 중이거나 이동시 내용물이 쉽게 흘러 나와 주위 물건 등에 오염을 시킬수 있으므로, 상기 락킹부를 이용하여 이를 방지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분사용기(100)는 상기 롤온 버튼(300)을 수용하는 캡(500, 도 1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캡 및 숄더 부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캡(500)은 롤온 버튼(300)을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숄더 부재(4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상기 하우징(1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500)은, 하측을 향하여 개방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는 개방된 공간에 롤온 버튼(300)에 장착된 도포구(340)를 수용하도록, 숄더 부재(4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포구(340)의 청결 유지 및 보호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캡(500)은 상기 숄더 부재(400)와 탈착을 위한 부분으로서, 몸체부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후크부(5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숄더 부재(400)는 상기 후크부(510)와 걸림됨으로써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숄더 부재(400)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44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후크부(510)와 상기 걸림부(441)는, 각각 캡(500)의 몸체부 및 상기 숄더 부재(400)와 함께 탄성 변형됨으로써, 탈착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후크부(510) 및 상기 걸림부(441)는 이에 한하지 않으며, 상기 후크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441)는 외주면에서 상기 후크부(5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리세스되어 형성된 걸림홈일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후크부(510)는 숄더 부재(400)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나선부가 구비되어, 후크부(510)가 회전에 의해 나선부를 타고 결합될 수 있다. 나선부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후크부(510)가 나선부에 삽입되면서 숄더 부재(400)와 캡(500)의 분리 또는 결합이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캡(500)의 몸체부와 숄더 부재(400)는 서로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커버부는 몸체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걸림부(441)가 형성되는 외주면에서 리세스되도록 형성되는 리세스부분(44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부분(440)은 숄더 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캡(500)이 리세스부분(440)에 결합될 수 있다. 리세스부분(440)에 의하여, 캡(500)은 숄더 부재(400)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숄더 부재(400)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숄더 부재(400), 캡(500) 및 하우징(110)이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게 되어, 간결한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롤온 버튼을 구비하는 분사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들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분사용기 110: 하우징
120: 마운트 컵 200: 밸브 어셈블리
300: 롤온 버튼 310: 수용부
320: 유로부 330: 안착부
340: 도포구 350: 도포부재
400: 숄더 부재 500: 캡

Claims (11)

  1. 유체와 분사가스를 포함하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마운트 컵;
    상기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분사하도록 외력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마운트 컵에 고정되는 밸브 어셈블리; 및
    상기 밸브스템으로부터 분사되는 내용물이 유입되는 롤온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롤온 버튼은,
    상기 내용물이 도포되는 도포구;
    상기 도포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바디;
    상기 수용부의 일면에서 리세스되어 형성된 안착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포구와 접촉하는 도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의 단부가 상기 도포구를 감싸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포구를 접촉한 상태로 지지하며,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바디의 단부에서 리세스되게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시키는 복수의 홈; 및
    일단이 상기 밸브스템과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어 상기 내용물이 유동하는 유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분사가스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유로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도포부재가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이 분사되는 경우, 상기 분사가스는 상기 도포부재, 상기 도포구 및 상기 바디로 한정되는 공간으로 유입되며, 상기 도포구와 상기 도포부재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도포구의 외주면을 따라 흘러 상기 복수의 홈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온 버튼을 구비하는 분사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면에는 상기 도포구를 지지하여 상기 수용부의 내면과 상기 도포구의 밀착을 방지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온 버튼을 구비하는 분사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수용부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롤온 버튼을 구비하는 분사용기.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복수의 관통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온 버튼을 구비하는 분사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롤온 버튼이 각각 결합되는 숄더 부재를 더 포함하는 롤온 버튼을 구비하는 분사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스템은 스템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 및 좌우 틸팅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롤온 버튼은 상기 밸브스템에 상기 외력을 가하도록, 상기 숄더 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언락킹 상태와, 상기 숄더 부재에 대하여 고정된 락킹 상태 사이에서 상태 전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온 버튼을 구비하는 분사용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롤온 버튼 및 상기 도포구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숄더에 장착되는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온 버튼을 구비하는 분사용기.
KR1020170152405A 2017-11-15 2017-11-15 롤온 버튼을 구비한 분사용기 KR101895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405A KR101895316B1 (ko) 2017-11-15 2017-11-15 롤온 버튼을 구비한 분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405A KR101895316B1 (ko) 2017-11-15 2017-11-15 롤온 버튼을 구비한 분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5316B1 true KR101895316B1 (ko) 2018-09-07

Family

ID=6359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405A KR101895316B1 (ko) 2017-11-15 2017-11-15 롤온 버튼을 구비한 분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31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788B1 (ko) * 2019-11-20 2021-01-25 이준호 국부 도포가 가능한 구체 회전방식의 압축 분사장치
KR102293172B1 (ko) * 2020-07-13 2021-08-25 주식회사 승일 분사 용기
KR102318969B1 (ko) * 2020-10-08 2021-10-28 주식회사 삼화 화장품 용기
KR20220008065A (ko) * 2020-07-13 2022-01-20 주식회사 승일 분사 용기
KR20220008529A (ko) * 2020-07-14 2022-01-21 주식회사 승일 분사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763U (ko) * 2010-07-21 2012-02-02 (주)아모레퍼시픽 액상물 도포 용기
JP2014091570A (ja) * 2012-11-06 2014-05-19 Daizo:Kk ロールオンタイプの塗布装置
KR20160001262U (ko) * 2014-10-08 2016-04-18 강성일 도포용볼을 구비한 펌프 용기
KR20170085844A (ko) * 2016-01-15 2017-07-25 주식회사 승일 락킹 구조를 구비하는 분사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763U (ko) * 2010-07-21 2012-02-02 (주)아모레퍼시픽 액상물 도포 용기
JP2014091570A (ja) * 2012-11-06 2014-05-19 Daizo:Kk ロールオンタイプの塗布装置
KR20160001262U (ko) * 2014-10-08 2016-04-18 강성일 도포용볼을 구비한 펌프 용기
KR20170085844A (ko) * 2016-01-15 2017-07-25 주식회사 승일 락킹 구조를 구비하는 분사용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788B1 (ko) * 2019-11-20 2021-01-25 이준호 국부 도포가 가능한 구체 회전방식의 압축 분사장치
KR102293172B1 (ko) * 2020-07-13 2021-08-25 주식회사 승일 분사 용기
KR20220008065A (ko) * 2020-07-13 2022-01-20 주식회사 승일 분사 용기
KR102355261B1 (ko) * 2020-07-13 2022-02-07 주식회사 승일 분사 용기
KR20220008529A (ko) * 2020-07-14 2022-01-21 주식회사 승일 분사 용기
KR102357495B1 (ko) * 2020-07-14 2022-02-07 주식회사 승일 분사 용기
KR102318969B1 (ko) * 2020-10-08 2021-10-28 주식회사 삼화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5316B1 (ko) 롤온 버튼을 구비한 분사용기
CA2129513C (en) Spray pump package employing multiple orifices for dispensing liquid in different spray patterns with automatically adjusted optimized pump stroke for each pattern
KR200277197Y1 (ko) 분사구조가 개선된 화장용구
KR101563706B1 (ko) 화장품용기
JP2018079984A (ja) 異なるスプレーを生成するディスペンサ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3159551A (ja) 製品を収容し加圧下で分配するための装置
US20170028421A1 (en) Bottle
EP2718020B1 (en) Fluid dispensing device for discharging fluid simultaneously in multiple directions
KR102427476B1 (ko) 방출 스펀지를 포함하는 액체 디스펜서
KR101634654B1 (ko) 브러쉬를 구비하는 분사용기
EP1201317A1 (fr) Dispositif de pulvérisation comportant au moins deux orifices de sortie de gaz vecteur
KR101838638B1 (ko) 락킹 구조를 구비하는 분사용기
US20190119028A1 (en) Cartridge pump
KR20200030928A (ko) 화장품 용기
JP5903242B2 (ja) 吐出器
JP2001095918A (ja) 鼻腔用投薬器
JP2002179162A (ja) 回動支持要素に固定された塗布要素を備えるパッキング及び塗布装置
KR102282312B1 (ko) 화장품 용기
KR101901161B1 (ko) 플라워 형상으로 내용물을 도포하는 분사용기
KR102186954B1 (ko) 에어로졸 제품용 캡 조립체
KR102293172B1 (ko) 분사 용기
KR101886050B1 (ko) 브러쉬 캡을 구비하는 분사용기
JP6180280B2 (ja) 塗布容器
KR102357495B1 (ko) 분사 용기
JPH10329879A (ja) エアゾール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