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476B1 - 방출 스펀지를 포함하는 액체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방출 스펀지를 포함하는 액체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476B1
KR102427476B1 KR1020197021154A KR20197021154A KR102427476B1 KR 102427476 B1 KR102427476 B1 KR 102427476B1 KR 1020197021154 A KR1020197021154 A KR 1020197021154A KR 20197021154 A KR20197021154 A KR 20197021154A KR 102427476 B1 KR102427476 B1 KR 102427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nge
liquid
storage means
liquid storage
hollow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6293A (ko
Inventor
토마스 브루더
Original Assignee
압타르 라돌프?f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압타르 라돌프?f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압타르 라돌프?f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126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3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movable within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movable withi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00Nibs; Writing-points
    • B43K1/006Porous n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00Nibs; Writing-points
    • B43K1/01Nibs; Writing-points with ink reservoirs, e.g. funnel-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65D47/24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imparting a motion to the valve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pads or like contents-appl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을 방출하기 위한 액체 디스펜서(10)를 위한 방출 헤드(30)에 관한 것으로서, 방출 헤드(30)는 액체 저장 수단(20)에 고정되는 베이스(40)를 가지며, 베이스(40)는 베이스를 액체 저장 수단(20)에 결합하기 위하여 특히 래칭 결합 장치 또는 스레드 형태의 결합 장치(44)를 가진다. 방출 헤드(30)는 스펀지(14)가 배열되는 스펀지 리셉터클(64)을 가진 스펀지 캐리어(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펀지 캐리어(60)는 베이스(40)에 대해 병진운동 방식으로 안내되어 이동될 수 있으며, 스펀지 캐리어(60)는 액체 저장 수단(20)을 스펀지 리셉터클(64)에 연결하는 액체 채널(90)이 내부에 제공되는 중공 커넥터(66)를 가진다. 액체 채널(90)에는 출구 밸브(86)가 제공되고, 출구 밸브(86)는 스펀지 캐리어(60)를 베이스(40)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개방될 수 있으며, 액체는 액체 저장 수단(20)으로부터 흘러나와 스펀지 리셉터클(64) 내로 자유로이 흐를 수 있다.

Description

방출 스펀지를 포함하는 액체 디스펜서
본 발명은 화장품 액체를 방출하기 위한 액체 디스펜서를 위한 방출 헤드, 특히 스펀지-타입의 디스펜서로서 구성되는 액체 디스펜서를 위한 방출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방출 헤드는 액체 저장 수단에 고정되는 베이스를 가지며, 베이스는 액체 저장 수단에 결합하기 위하여 특히 래칭 결합 장치 또는 스레드(thread) 형태의 결합 장치를 가진다. 베이스는 압력 없이 액체가 저장되며 적절하게 구성된 액체 저장 수단에 고정된다.
또한, 방출 헤드는, 스펀지-타입의 디스펜서 경우, 스펀지 캐리어로서 구성되는 애플리케이터 부분을 가지며 스펀지가 배열되는 스펀지 리셉터클을 가진다.
US 6592282 B2호는, 스펀지-타입의 디스펜서의 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방출 헤드가 이동될 수 있는 스펀지-타입의 디스펜서에 관해 기술하고 있다. US 5692846호 및 EP 0374339 A1호는 압축 용기의 병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밸브를 개방하거나 병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스펀지가 이동될 수 있는 스펀지-타입의 디스펜서에 관해 기술하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EP 1002736 A2호는 스프레이 밸브를 가진 압축 가스 팩에 결부된 스펀지-타입의 디스펜서에 관해 기술하고 있다. DE 1143981 B호는 스펀지가 이동될 수 있는 디스펜서에 관해 기술하고 있는데, 상기 디스펜서는 그 위치에 따라 외부에 배열된 홈에 의해 액체 저장 수단으로부터 액체가 공급될 수 있다. EP 0875465 A1호는 2개의 밸브를 가진 스펀지-타입의 디스펜서에 관해 기술하고 있는데, 상기 2개의 밸브는 투여 챔버를 형성하며 미리 정해진 양의 액체가 스펀지에 공급되도록 스펀지를 눌러서 개폐될 수 있다. JP H04-279459 A호, WO 94/10056 A1호, EP127453 B1호, EP 1346927 A2호 및 EP 3155513 A1호는 방출 헤드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형성되며 스펀지에 압력이 제공될 때 스펀지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밸브가 개방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해 기술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는 시스템들 중 그 어느 시스템도, 간단하게 취급하면서도 스펀지에 액체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그와 동시에 원하지 않게 액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작 비용이 저렴한 이점을 가지지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스펀지-타입의 디스펜서(dispenser)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제작하기가 수월하고 스펀지(spongy)에 의해 액체를 연속적이면서도 안전하게 방출할 수 있는 방출 헤드(discharge head)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스펀지 캐리어(spongy carrier)는 베이스(base)에 대해 병진운동 방식으로 안내되어 이동될 수 있으며(movable in a translationally guided manner), 스펀지 캐리어는 액체 저장 수단(liquid storage means)을 스펀지 리셉터클(spongy receptacle)에 연결하는 액체 채널(liquid channel)이 내부에 제공되는 중공 커넥터(hollow connector)를 가진다. 액체 채널에는 출구 밸브(outlet valve)가 제공되고, 출구 밸브는 스펀지 캐리어를 베이스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개방될 수 있으며, 액체는 액체 저장 수단으로부터 흘러나와 스펀지 리셉터클 내로 자유로이 흘러서, 특히 사용자의 피부에 연속적으로 분배하기 위해 스펀지에 공급된다(taken up).
본 발명에 따른 방출 헤드의 스펀지 캐리어는 베이스에 대해 병진운동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베이스 상에서 병진운동 방식으로 안내된다(guided). 시작 위치로부터 누른 위치(pressed-in position)로 상기와 같이 이동되면, 출구 밸브가 개방되고, 그에 따라 중공 커넥터를 통해 스펀지에 액체가 공급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다수의 디자인과는 대조적으로, 출구 밸브를 개방하기 위하여 스펀지 자체에는 그 어떠한 변형도 필요하지 않다. 이에 따라, 스펀지를 선택하는 데 있어서 다양한 옵션이 생긴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딱딱한 스펀지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렇게 상대적으로 딱딱한 스펀지는 피부에 눌러졌을 때 모든 힘 하에서 거의 변형되지 않으며, 대신 강성의 스펀지 캐리어와 함께 이동되어, 출구 밸브가 개방된다. 따라서, 이동될 수 있는 스펀지 캐리어를 포함하는 디자인 개념은 액체를 스펀지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쉽게 한다.
중공 커넥터와 스펀지 캐리어의 이동에 의해 개방될 수 있는 출구 밸브는 스펀지와 액체 저장 수단 사이의 유일한 밸브이다. 스펀지 캐리어를 내부 방향으로 눌러 출구 밸브가 개방되고 디스펜서가 적절하게 배열되면, 추가로 압력을 제공하지 않아도 액체가 스펀지 리셉터클에 연속적으로 흘러 스펀지에 공급될 수 있다. 스펀지가 공급되는 액체 흐름은 스펀지 캐리어가 눌러졌을 때 밸브가 개방된 정도에 좌우되며, 스프링 메커니즘(spring mechanism)을 가진 방출 헤드의 경우에는, 디스펜서의 경사 각도 및 누르는 힘에 좌우되어, 효율적으로 계량될 수 있다(metered).
스펀지는 화장 분야에서 일반적인 스펀지, 예를 들어, 셀룰로스(cellulose) 또는 무명 섬유(cotton fiber)로 제조된 스펀지일 수 있다. 특히, 화장 분야의 일반적인 용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출 헤드를 위해 단지 약간만 변형될 수 있는 스펀지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펀지는 스펀지 캐리어의 한 부분이며 스펀지 캐리어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고 최종 사용자를 위해 교체 가능하다. 특히, 스펀지는 보울(bowl) 형태의 스펀지 리셉터클에 수용될 수 있으며 순전히 압력 끼워맞춤(force fit) 결합에 의해서도 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공 커넥터에 제공된 액체 채널은 스펀지 리셉터클 내로 직접 개방된다.
베이스에 대해 스펀지 캐리어의 한 부분으로서 이동될 수 있으며 일체형으로 형성된(integrated) 액체 채널을 가지는 중공 커넥터는 스펀지 리셉터클과 액체 저장 수단 사이에 연결을 형성한다. 스펀지 캐리어가 눌러진 상태에서, 중공 지지부(hollow support)는 방출 헤드와 액체 저장 수단 사이에서 밀봉 평면(sealing plane)을 지나 연장되며, 액체 저장 수단이 결합되면, 방출 헤드 내로 연장되어 따라서 어떠한 추가적인 액체-전달 요소도 제공될 필요가 없다.
중공 커넥터는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제공되는데, 그 이유는 한 단부에서는 스프링 메커니즘 또는 밀봉 요소에 고정되거나 또는 폼-피팅 결합(form-fit engagement) 방식으로 베이스에 고정 결합되기(secured captively) 때문이다. 특히, 중공 커넥터는 2개 이상의 요소들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는 밑에서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베이스, 또는 베이스 상에 제공된 스프링 메커니즘은 스펀지 캐리어의 중공 커넥터가 돌출되는 구멍(aperture)을 가질 수 있다. 스펀지 캐리어는 스펀지 리셉터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중공 커넥터의 한 단부에서 넓은 부분(widened part)을 가지며, 넓은 부분은 폼-피팅 결합 방식에 의해 베이스 또는 스프링 메커니즘이 스펀지 캐리어에 결합 고정된다. 스프링 메커니즘에 고정되는 경우, 중공 커넥터는 넓은 부분에 의해 스프링 메커니즘의 구멍에 위치가 고정된다(positionally fixed). 베이스의 구멍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중공 커넥터와 함께 전체 스펀지 캐리어는 베이스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한 단부에서 넓은 부분을 가진 중공 커넥터에 의해, 스펀지 캐리어는, 상기와 같이, 특히 간단하게,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스펀지 캐리어는 함께 중공 커넥터를 형성하며 위치가 고정된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장착된 2개의 개별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스펀지 캐리어의 두 구성요소들 중 제1 구성요소는 스펀지 리셉터클을 가지며 스펀지 리셉터클로부터 연장되어 중공 커넥터의 외측 슬리브(outer sleeve)를 가진다. 두 구성요소들 중 제2 구성요소는 넓은 부분을 가진다. 이런 방식으로, 조립 동안에, 베이스 또는 스프링 메커니즘에 폼-피팅 결합이 쉽게 구현될 수 있는데, 함께 중공 커넥터를 형성하는 스펀지 캐리어의 두 구성요소들은 함께 결합되고, 베이스 또는 베이스에 고정된 스프링 메커니즘은 그들 사이에서 구멍에 위치된다.
중공 커넥터를 형성하기 위해 두 구성요소를 사용하는 것은, 두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액체가 액체 채널 내로 통과할 수 있는 입구를 쉽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두 구성요소들 중 내측 구성요소, 특히 중공 커넥터의 단부에서 넓은 부분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는 부분적으로는 슬릿(slit) 구성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슬릿은 중공 커넥터 내에서 액체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두 구성요소들은 래치 연결(latch connection)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는데,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1 구성요소는 중공 커넥터를 가지며, 제2 구성요소는 중공 커넥터를 통해 결합되는 래칭 부분(latching portion)을 가지거나 및/또는 중공 커넥터 내에 래칭 연결된다. 이렇게 부분적인 슬릿 디자인은 래칭 연결에 유리한데, 그 이유는 슬릿 요소의 두 하위-부분(sub-portion) 상의 래칭 요소들이 조립을 위해 제공되는 약간의 힘에 의해서도 서로를 향해 구부러질 수 있기(deflected)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방출 헤드는 방출 헤드의 스펀지 캐리어가 베이스로부터 멀어지도록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 메커니즘을 가진다. 이러한 스프링 메커니즘의 스프링 힘(spring force)은 출구 밸브를 개방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어느 힘을 이용하여 스펀지 캐리어가 눌러져야 하는 지를 결정한다. 여기서는, 특히, 심지어 스펀지에 어떠한 실제 변형도 발생되지 않는 힘 하에서도 구부러질 수 있는 연성 스프링(soft spring)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스펀지의 음의(negative) 접선방향 압축(tangential compression) 없이도, 스펀지에 액체가 공급되는 것이 조절될 수 있다.
스프링 메커니즘의 특히 단순한 변형예에 따르면, 스프링 메커니즘은 중공 커넥터의 외부에 배열되고 베이스와 스펀지 캐리어 사이에서 작동하는 단순한 나선형 스프링(helical spring)으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스프링은 액체와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금속 스프링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플라스틱 스프링으로서의 형상도 가능하다.
스프링 메커니즘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스프링 메커니즘은 중앙 돌출부(central elevation)를 가진 탄성 변형가능한 스프링 플레이트(spring plate)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플레이트는 외부 영역에서 베이스에 고정되고 돌출부 영역에서 스펀지 캐리어에 고정되며, 특히 스펀지 캐리어의 중공 커넥터에 고정된다. 이러한 스프링은 매우 비용-효율적이며 본 발명에 따른 방출 헤드에도 적절한데, 그 이유는 스펀지 캐리어가 베이스에 대해 많이 이동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돌출부를 가진 스프링 플레이트 형태의 이러한 스프링 메커니즘은 추가적인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스프링 메커니즘은 병 밀봉부(bottle seal)로서 적절하며 출구 밸브의 밸브 면(valve face)을 형성할 수 있는 가요성의 탄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이는 밑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메커니즘은 베이스와는 상이한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지만, 다중-요소(multi-component) 사출성형에 의해 베이스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 영역에서 스프링 플레이트에 구멍이 제공되며, 상기 구멍을 통해 액체가 스펀지 리셉터클로 이동된다. 특히 구멍은 위에서 기술된 방식으로 중공 커넥터를 고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방출 헤드는 환기 채널(ventilation channel)을 가질 수 있으며, 액체가 방출된 후에, 환기 채널에 의해 대체 공기(compensating air)가 주변(environment)으로부터 액체 저장 수단 내로 흐를 수 있다. 원칙적으로는, 공기가 스펀지와 액체 채널을 통해 액체 저장 수단을 흐를 수 있기 때문에 개별적인 환기 채널이 없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스펀지를 통해 액체를 분배하기 위하여, 공기가 개별 경로(path)에 의해 흐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고 밝혀졌다. 특히, 스펀지의 공기 투과성(air permeability)이 액체에 의해서 감소되기 때문에, 언더프레셔(underpressure)가 액체 저장 수단에 형성되고 스펀지에 액체를 공급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을 방지하기 때문에, 개별적인 환기 채널이 바람직하다.
환기 채널은 액체 경로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필요는 없다. 하지만, 스펀지의 주변 영역에서 개별적인 환기 채널로서 제공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특히 표면 및/또는 스펀지 내로 들어가는 홈(groove)에 의해, 스펀지와 스펀지를 향하는 스펀지 리셉터클의 표면 사이에 환기 채널의 하위-부분(sub-portion)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홈은 스펀지 리셉터클의 에지 영역(edge region)으로부터 중공 커넥터 내의 액체 채널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은 특히 스펀지 리셉터클 내의 홈으로서 매우 쉽게 형성될 수 있다.
완전히 개별적인 환기 채널이 가능하지만, 환기 채널의 하위-부분이 액체 채널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구조적으로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출구 밸브의 영역에 있는 환기 채널이 액체 경로와 함께 형성되며, 그에 따라 출구 밸브는 액체 채널로 흐르는 액체 흐름과 액체 저장 수단의 환기 둘 모두를 조절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주변 쪽의 입구로부터 액체 저장 수단의 출구로의 환기 채널은 액체 저장 수단의 입구로부터 스펀지 쪽의 출구로의 액체 채널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출 헤드에서, 스펀지로의 공급은 스펀지의 압축에 의해서가 아니라 스펀지 캐리어의 이동에 의해 구현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딱딱한 스펀지, 특히, 시장에서 POREX 상표 명으로 구매할 수 있는 재료 및/또는 다공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된 스펀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펀지는 4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의 쇼어 A 경도를 가질 수 있다. 고유의 안정성으로 인해, 이러한 스펀지는 특히 액체를 표적 방식으로 방출(targeted discharge)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출 헤드를 가진 액체 디스펜서는 원하는 대로 사용하는 동안 다소 밑을 향해 경사져서 배열된다. 하지만, 어느 정도 수직 표면에서 방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펀지는, 애플리케이션 면(application face)에서, 스펀지 캐리어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져서 배열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애플리케이션 면의 50% 이상이 특정 각도로 경사져서 배열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애플리케이션 면에서 법선 벡터(normal vector)가 스펀지 캐리어의 이동 방향에 대해 10° 내지 30° 사이의 각도를 포함하도록 경사져서 배열된다.
스펀지의 형태는 스펀지 캐리어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스펀지의 횡단 평면에서 특별히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스펀지의 비교적 단단한 형상(rigid configuration)에 의해 구현된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태와 원형 형태로부터 벗어난 형태가 제공될 수 있는데, 특히 바람직하게는 타원형 형태, 다각형 형태 또는 심장 형태 또는 모티프(motif) 형태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심미적 목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표적 방식으로 방출할 수 있는 형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앞에서 언급한 타입의 방출 헤드가 제공되는데, 이러한 방출 헤드는 베이스와 스펀지 캐리어 형태의 애플리케이터 부분(applicator portion)을 가지며, 특히 상기 애플리케이터 부분은 베이스에 대해 병진운동 방식으로 안내되어 이동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터 부분은 내부에 액체 채널이 제공되는 중공 커넥터를 가지고, 중공 커넥터에 의해 애플리케이터 부분은 액체 저장 수단으로부터 액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방출 헤드는 애플리케이터 부분에 액체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기(interrupt) 위하여 하나 이상의 출구 밸브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한 실시예에서, 방출 헤드는 결합 장치에 일체형의 밀봉 요소를 가지며, 상기 밀봉 요소는 액체 저장 수단이 결합될 때, 액체 저장 수단과 베이스 사이의 접촉 영역이 주변으로부터 밀폐되어 액체 저장 수단과 베이스 사이에서 고정되는 주변 병-밀봉 부분(peripheral bottle-sealing portion)을 가진다. 상기 밀봉 요소는 중공 커넥터와 상호 작동되는(interact) 내측 밀봉 부분을 가지며, 내측 밀봉 부분 상의 슬라이딩 밀봉 면(sliding sealing face)이 중공 커넥터의 외측면(outer face)과 상호 작동하여, 중공 커넥터가 내측 밀봉 부분에 대해 병진운동 하는 동안, 중공 커넥터의 외측면과 슬라이딩 밀봉 면 사이에는 어떠한 액체도 흐를 수 없으며, 및/또는, 중공 커넥터 상에 제공된 밸브 몸체 면(valve body face)이, 애플리케이터 부분의 단부 위치에서, 내측 밀봉 부분의 밸브 밀봉 면 상에서 지탱되어, 전달 채널이 차단된다(interrupted).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와 함께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일체형 밀봉 요소는 스프링 플레이트를 가진 스프링 메커니즘과 동일하거나 또는 동시에 중공 커넥터를 위한 밀봉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방출 헤드가 또 다른 타입의 용도, 예를 들어, 화장용 디스펜서 스틱(cosmetic dispenser stick)를 위해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방출 헤드는 애플리케이터 부분으로서 스펀지를 가진 스펀지 캐리어와 함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세부 사항들은, 스펀지를 가진 스펀지 캐리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방출 헤드에 단독으로 또는 서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진보적인 특징에 의하면, 병-밀봉 부분에 의해 방출 헤드를 액체 저장 수단에 밀봉 방식으로 장착할 수 있는 밀봉 요소는 추가적인 기능들을 포함하며 그에 따라 방출 헤드에는 구성요소들이 현저하게 적게 필요하다는 점이다.
상기 추가적인 기능들은, 특히, 중공 커넥터의 외측 위치에 제공된 슬라이딩 밀봉 면에 의해, 밀봉 요소의 내측 밀봉 부분이 중공 커넥터의 외측에서 지탱되며, 그에 따라 중공 커넥터가 베이스에 대해 이동될 때 원치 않게 액체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밀봉 요소의 내측 밀봉 부분이 밸브 밀봉 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출구 밸브의 닫힌 상태에서, 중공 커넥터의 밸브 몸체 면이 지탱되며 따라서 출구 밸브를 닫는다.
특히, 여기서는 두 형상(configuration)이 고려될 수 있다. 제1 형상에서, 중공 커넥터는, 한 단부에서, 밸브 몸체 면이 제공된 넓은 부분을 가진다. 중공 커넥터가 밸브 몸체 면과 함께 이동되면, 밸브 몸체 면은 내측 밀봉 부분의 밸브 밀봉 면으로부터 상승될 수 있으며, 밸브 몸체 면과 밸브 밀봉 면 사이에는 간격(gap)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을 통해 액체가 중공 커넥터 내로 흐를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서, 밀봉 요소는 단순하고 평평한 밀봉 링(sealing ring)으로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밀봉 링의 외측 직경은 액체 저장 수단과 베이스의 수치들에 꼭 맞도록 구성되며, 밀봉 링의 내측 직경은 중공 커넥터와 중공 커넥터의 넓은 부분의 외측 수치들에 의해 형성된다.
대안으로, 중공 커넥터는 밀봉 요소의 내측 밀봉 부분에 고정되고, 이를 위하여 밀봉 요소의 내측 밀봉 부분은 내부를 형성하고 병-밀봉 부분의 평면 위로 돌출된 밀봉 구조물(sealing structure)을 가진다. 중공 커넥터 상에서 밸브 몸체 면은 상기 밀봉 구조물에 의해 형성된 내부에 배열된 중공 커넥터의 밸브 부분에 제공된다.
상기 형상에서는, 밸브 몸체 면은 앞선 형상에서와 같이 정지된 밀봉 요소로부터 상승되지 않으며, 대신 밀봉 요소는 병-밀봉 부분 위로 돌출된 밀봉 구조물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변형된다. 상기 밀봉 구조물은 돔(dome)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출구 밸브의 닫힌 상태에서, 중공 커넥터의 밸브 몸체 면은 바람직하게는 돔 형태의 구조물에서 내부 방향으로 지탱된다. 중공 커넥터가 이동하면 밀봉 구조물이 변형되고, 그 결과 벽이 밸브 몸체 면과 접촉된 것이 떨어져서 액체가 중공 커넥터 내로 흐를 수 있다.
앞에서 기술된 타입의 방출 헤드를 사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화장품 액체를 방출하기 위한 액체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상기 액체 디스펜서는 방출 헤드에 결합하기 위해 결합 노즐(coupling nozzle)을 가진 액체 저장 수단을 포함하며, 액체 디스펜서는 액체 저장 수단에 결합하기 위해 결합 장치를 가진 방출 헤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출 헤드는 위에 기술된 방출 헤드로서 구성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스펀지와 스펀지 캐리어를 가진 방출 헤드로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출 헤드를 가진 액체 저장 수단은, 화장품 액체(cosmetic liquid), 가령, 미용 액체(makeup liquid)로 채워지는데, 이러한 화장품 액체는 예를 들어 주변 압력 하에서 존재하며 즉 추진 가스(propellant gas) 또는 그 밖의 방출 수단에 의해 압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출 헤드는 압축 용기(pressurized container)를 사용하기 위한 용도로 제공되지 않는다. 대신, 적절한 경사 각도로 배열된 비-압축 액체 디스펜서를 이용하면, 액체는 중력에 의해 액체 저장 수단의 출구 노즐 방향으로 흐르고, 출구 밸브가 개방되면, 결부된 애플리케이터 부분 내로 특히 스펀지 캐리어 내로 흐른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디스펜서는 특히 래칭 결합에 적합한 기하학적 형상(geometry) 또는 외측 스레드(outer thread)로 방출 헤드를 장착하기 위한 결합 노즐을 가진다. 이러한 폼-피팅 방식의 결합 방법 외에도, 순전히 마찰 결합도 고려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저장 수단은 플라스틱 병 또는 유리병이며, 방출 헤드는 병의 목(bottle neck)에 고정되고 병의 목을 둘러싼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저장 수단은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이거나, 또는 2개 이상의 평면에 대해 평면-대칭이며 액체 저장 수단의 중심축을 형성하는 벽을 가진다. 방출 헤드와 액체 저장 수단은 서로 조절되어, 출구 밸브가 개방되고 중심축이 수평면에 대해 15°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방출 헤드가 배열되면, 완전히 채워진 액체 저장 수단으로부터 액체의 90% 이상이 방출 헤드의 방향으로 방출되어 출구 밸브를 통해 흘러나오며, 최대 10%는 액체 저장 수단 내에 잔여 액체로서 남게 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소량의 잔여 액체를 구현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병 형태의 액체 저장 수단은 가느다란 형태를 가지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또한, 액체 저장 수단의 내부,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의 내부의 최대 내측 직경은 액체 저장 수단의 출구 구멍의 최대 2.5배의 직경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5배 내지 2배 사이이다. 잔여 액체의 양을 소량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액체 저장 수단의 출구 구멍과 최대 직경 사이에는 변환 구조물(transition structure), 예를 들어, 원뿔형 형태 또는 다수-계단형 테이퍼(multi-stepped taper) 형태의 변환 구조물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이점과 양태들은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기술한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로부터 자명해 질 것이다.
도 1 및 2는, 각각, 작동되지 않은 상태와 작동된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펀지-타입의 디스펜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향에 위치된 스펀지-타입의 디스펜서의 단면도.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펀지-타입의 디스펜서의 제1 변형예로서, 출구 밸브가 닫혀 있고 출구 밸브가 열려 있는 분해도 및 단면도.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펀지-타입의 디스펜서의 제2 변형예로서, 출구 밸브가 닫혀 있고 출구 밸브가 열려 있는 분해도 및 단면도.
도 10A 내지 10K는 특정 스펀지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사용 동안 도 10J로부터 스펀지 형태에 의해 구현된 이점을 예시한 도면.
도 1 및 2는 스펀지-타입의 디스펜서로서 구성된 액체 디스펜서(10)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액체 디스펜서(10)는 가느다란 플라스틱 병으로 구성된 액체 저장 수단(20)을 가지며, 방출 헤드(30)가 병의 목(neck)을 형성하는 결합 노즐(22)에 장착된다. 방출 헤드(30)는 결합 노즐(22)에 결합하기 위해 제공된 결합 장치(44)를 가진 베이스(40)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터 부분(61)을 형성하는 스펀지 캐리어(60)가 베이스(40)에 대해 병진운동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movable in translation). 스펀지 캐리어(60)는 스펀지(14)가 배열되는 스펀지 리셉터클(64)을 가진다.
도 1 및 2는 작동되지 않은 상태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볼 수 있듯이, 스펀지 캐리어(60)는 수 밀리미터의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만큼만 편향될 수 있다(deflected).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펀지(14)와 스펀지 캐리어(60)가 눌러지면(depression), 액체가 액체 저장 수단(20)을 통해 스펀지 리셉터클(64)과 스펀지(14) 내에 통과할 수 있도록 출구 밸브(86)가 개방된다.
도 3은 상기 실시예를 예시한 또 다른 예이다. 사용을 위해, 액체 디스펜서(10)는 스펀지(14) 방향으로 다소 밑을 향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배열된다. 그 뒤, 스펀지(14)를 상기 방향으로 피부에 누름으로써, 출구 밸브(86)는 개방되고 액체 저장 수단(20)으로부터 액체가 중공 커넥터(66)를 통해 스펀지 리셉터클(64) 내로 자유로이 흘러서, 방출을 위하여 스펀지(14)에 공급된다(taken up). 또한, 도 3은 특히 액체 저장 수단(20)의 가느다란 형상 및 형태를 예시하는데, 액체 디스펜서(10)가 다소 밑을 향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배열된다 하더라도, 액체 저장 수단(20) 내의 거의 전체 액체량이 방출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 예시된 것과 같이, 액체 저장 수단 내에 남은 잔여량은 원래의 액체량의 3% 미만이다.
방출 헤드(30)의 두 실시예들이, 도 4 내지 6에서의 한 실시예와 도 7 내지 9에서의 다른 실시예로 설명될 것이다.
우선, 도 4 내지 6에 도시되고, 도 3에 상응하는 제1 실시예에 관하여 살펴보자. 상기 실시예에서의 방출 헤드(30)는 주된 구성요소로, 베이스(40)를 가지는데, 베이스(40)는 액체 저장 수단(20)의 결합 노즐(22)에 스냅 끼워맞춤(snap-fitted) 되도록 하기 위하여 래칭 결합 장치(latching coupling device) 형태의 결합 장치(44)와 함께 구성된다. 베이스(40)와 액체 저장 수단(20) 사이를 밀봉하기 위하여, 밀봉 요소(70)에는 외부 병-밀봉 부분(72)이 제공되는데, 이러한 외부 병-밀봉 부분(72)은 밀봉을 위해 액체 저장 수단(20)과 베이스(40) 사이에 고정된다. 베이스(40)는 구멍(46)들에 의해 차단된(interrupted) 수평 벽(42)을 추가로 가진다. 이러한 구멍(46)에 의해, 애플리케이터 부분(61)으로서 기능하는 스펀지 캐리어(60)는 베이스(40)에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스펀지 캐리어(60)는 제1 구성요소(62)와 제2 구성요소(80)를 가진다. 제2 구성요소(80)는 상측 핀 세그먼트에 위치된 슬릿(slit)이며, 두 개의 절반-핀들의 단부에 배열된 래치 부분들은 제1 구성요소(62)에 스냅-끼워맞춤 연결을 위해 서로에 대해 구부러질 수 있다. 제2 구성요소(80)의 넓은 부분(82)이 벽(42)에서 구멍(46) 밑에 배열되며, 제1 구성요소(62)에 의해 형성된 스펀지 캐리어(60)의 메인 부분(main part)이 구멍(46) 위에 배열되기 때문에, 스펀지 캐리어(60)는 베이스(40)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결합 고정된다. 나선형 스프링 형태의,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금속성의 나선형 스프링 형태의 스프링 메커니즘(52)이, 베이스(40), 또는 구멍(46)에 의해 차단된 베이스(40)의 벽(42), 및 제1 구성요소(62)의 하측면 사이에 삽입된다.
스펀지(14)와 액체 저장 수단(20) 사이의 액체 연결은 중공 커넥터(66) 내부의 액체 채널(90)에 의해 구현되는데, 구멍(46)을 통해 내부로 밀어 넣어진다(pushed in). 액체 채널(90)은 두 구성요소(62, 80)들에 의해 형성되는 입구 영역으로부터 보울(bowl) 형태의 스펀지 리셉터클(64)의 바닥까지 연장된다.
도 5에 도시된 닫힌 상태(closed state)에서는, 액체 채널(90) 내로의 액체의 흐름이 가능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중공 커넥터(66)의 넓은 부분(82)이, 밸브 몸체 면(67)과 함께, 밀봉 요소(70)의 밸브 밀봉 면(74A)에서 하부로부터 지탱되어(bear) 출구 밸브(86)를 닫는다. 스펀지 캐리어(60)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삽입되면, 중공 커넥터(66)는 액체 저장 수단(20) 내로 더 깊숙하게 삽입된다. 중공 커넥터(66)의 하측 단부에서의 넓은 부분(82), 따라서 밸브 몸체 면(67)은 밀봉 요소(70)의 밸브 밀봉 면(74A)으로부터 분리되며, 액체 디스펜서(10)가 적절하게 배열되면, 액체는 액체 채널(90) 내로 흐를 수 있다. 액체의 경로(path)는 도 6에서 점선들로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중공 커넥터(66)의 외부에서 지탱되는 밀봉 요소(70)의 내측 슬라이딩 밀봉 면(74B)은, 액체가 중공 커넥터(66)를 지나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방출 과정 동안, 방출된 액체양은 공기로 대체되어야 한다. 공기가 스펀지를 통해 흡입될 필요가 없도록, 부분적으로 분리된 환기 채널(34)이 제공된다. 스펀지 리셉터클(64)의 영역에서, 환기 채널(34)은 홈(groove)으로서 스펀지 리셉터클(64)을 형성하는 제1 구성요소(62) 내로 유입되는데, 이러한 홈은 스펀지(14)를 지나 횡방향으로 배열되고(routed laterally) 액체 채널(90) 내로 개방된다. 그로부터, 유입 공기가 액체와는 반대로 액체 채널(90)을 통해 액체 저장 수단(20) 내로 흐를 수 있다.
도 7 내지 9에 따른 실시예에서, 액체 디스펜서(10)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단지 차이점만 설명된다.
도 7 내지 9에 따른 실시예는 개별 나선형 스프링을 가지지 않는다. 대신, 밀봉 요소(70)는 동시에 스프링 메커니즘(52)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밀봉 요소(70)와 스프링 메커니즘(52)에는 외부 영역(56) 또는 외부 병-밀봉 부분(72)이 제공되는데, 앞에서 기술된 실시예와 같이 외부 영역(56) 또는 외부 병-밀봉 부분(72)은 밀봉을 위해 베이스(40)와 액체 저장 수단(20) 사이에 고정된다. 그 내부에, 중앙에 구멍(54A)이 제공된 돌출부(54)가 배열된다. 중공 커넥터(66)는 구멍(54A)을 통해 돌출되며 여기서는 제2 구성요소(80)에 의해 넓은 부분(82)과 고정된다. 따라서, 도 4 내지 6에 예시된 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밀봉 요소(70)의 내측 영역은 중공 커넥터(66)에 대해 위치가 고정된다(positionally fixed). 중공 커넥터의 이동성(mobility)은, 동시에 스프링 메커니즘(52)을 형성하는 밀봉 요소(70)가 본질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해, 제공된다.
원하는 밸브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넓은 부분(82)의 외부에 밸브 몸체 면(67)이 제공되며, 출구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는 돌출부(54)의 밸브 밀봉 면(75) 내부에서 지탱된다(bear internally).
이제 스펀지 캐리어(60)가 눌러지면(pressed down), 밸브 몸체 면(67)이 돌출부(54)의 내부(76)로부터 철회되어(retreat), 밸브 밀봉 면(75)과 밸브 몸체 면(67) 사이의 접촉이 중지된다. 그와 동시에, 돌출부(54)는, 중공 커넥터(66)의 넓은 부분(82) 상의 다른 위치에서는 밀봉되지 않도록, 도 9에 예시된 방식으로 변형된다. 도 9에 따른 상태에서, 액체가 액체 저장 수단(20)으로부터 흘러나와 액체 채널(90)로 흐르며, 따라서 스펀지(14)로 흐를 수 있다. 상응하는 액체 경로는 점선들로 표시된다.
도 10A 내지 10K는 특별한 형태를 가진 스펀지(14)와 스펀지 캐리어(60)를 도시한다. 단순한 둥근 형태(도 10A) 외에도, 다음과 같이: 다각형 형태(도 10C, 10E, 10F, 10G), 타원형 형태(도 10I), 다이아몬드 형태(도 10H) 또는 모티프(motif) 형태(도 10B)도 바람직하다.
도 10J는 애플리케이션 면(14A)이 특정 각도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을 보여준다. 도 11은, 다음과 같이: 액체 디스펜서(10)가 다소 밑을 향해 배열되는데도 불구하고, 애플리케이션 면(14A)은 예를 들어 볼에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해 이상적으로 거의 수직으로 배열된다.
도 10K는 볼록한 형태를 보여준다. 이러한 형태는, 스펀지(14)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액체 디스펜서를 배열하는 데 관해서 바람직한 형태이다.

Claims (15)

  1. 화장품을 방출하기 위한 액체 디스펜서(10)를 위한 방출 헤드(30)로서,
    방출 헤드(30)는 액체 저장 수단(20)에 고정되는 베이스(40)를 가지며,
    베이스(40)는 액체 저장 수단(2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장치(44)를 가지고,
    방출 헤드(30)는 스펀지(14)가 배열되는 스펀지 리셉터클(64)을 가진 스펀지 캐리어(60)를 포함하는, 방출 헤드(30)에 있어서,
    스펀지 캐리어(60)는 베이스(40)에 대해 병진운동 방식으로 안내되어 이동될 수 있으며,
    스펀지 캐리어(60)는 액체 저장 수단(20)을 스펀지 리셉터클(64)에 연결하는 액체 채널(90)이 내부에 제공되는 중공 커넥터(66)를 가지고,
    방출 헤드(30)는 액체 채널(90)에 제공된 출구 밸브(86)를 가지며, 출구 밸브(86)는 스펀지 캐리어(60)를 베이스(40)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개방될 수 있고, 액체는 액체 저장 수단(20)으로부터 흘러나와 스펀지 리셉터클(64) 내로 자유로이 흐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헤드(30).
  2.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40), 또는 베이스(40) 상에 제공된 스프링 메커니즘(52)은 스펀지 캐리어(60)의 중공 커넥터(66)가 돌출되는 구멍(46, 54A)을 가지며,
    스펀지 캐리어(60)는 스펀지 리셉터클(6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단부에서 넓은 부분(82)을 가지되, 넓은 부분(82)은 폼-피팅 결합 방식에 의해 베이스(40) 또는 스프링 메커니즘(52)이 스펀지 캐리어(60)에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헤드(30).
  3. 제2항에 있어서,
    스펀지 캐리어(60)는 위치가 고정된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장착된 2개의 개별 구성요소(62, 80)를 가지되,
    스펀지 캐리어(60)의 두 구성요소(62, 80) 중 제1 구성요소(62)는 스펀지 리셉터클(64)을 가지고 두 구성요소(62, 80) 중 제2 구성요소(80)는 넓은 부분(82)을 가지며,
    두 구성요소(62, 80)는 래치 연결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데, 제1 구성요소(62)는 중공 커넥터(66)의 외측 슬리브를 가지며, 제2 구성요소(80)는 중공 커넥터(66)를 통해 결합되는 래칭 부분(84)을 가지거나, 중공 커넥터(66) 내에 래칭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헤드(30).
  4. 제1항에 있어서,
    방출 헤드(30)는 방출 헤드(30)의 스펀지 캐리어(60)가 베이스(40)로부터 멀어지도록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 메커니즘(32, 5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헤드(30).
  5. 제4항에 있어서,
    스프링 메커니즘(52)은 중앙 돌출부(54)를 가진 스프링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플레이트는 외부 영역(56)에서 베이스(40)에 고정되고 돌출부(54) 영역에서 스펀지 캐리어(60)에 고정되며,
    돌출부(54) 영역에서 스프링 플레이트에 구멍(54A)이 제공되며, 상기 구멍(54A)을 통해 액체가 스펀지 리셉터클(53)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헤드(30).
  6. 제4항에 있어서,
    스프링 메커니즘(32)은 나선형 스프링으로서 구성되며, 중공 커넥터(66) 외부에서 베이스(40)와 스펀지 리셉터클(64)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헤드(30).
  7. 제1항에 있어서,
    방출 헤드(30)는 환기 채널(34)을 가지며, 액체가 방출된 후에, 환기 채널(34)에 의해 대체 공기가 주변으로부터 액체 저장 수단(20) 내로 흐를 수 있고,
    표면 또는 스펀지 내로 들어가는 홈에 의해, 스펀지(14)와 스펀지(14)를 향하는 스펀지 리셉터클(64)의 표면 사이에 환기 채널(34)의 하위-부분이 제공되거나, 또는,
    액체 채널(90)에 의해 환기 채널(34)의 하위-부분이 형성되거나, 또는
    주변 쪽의 입구로부터 액체 저장 수단의 출구로의 환기 채널(34)은 액체 저장 수단의 입구로부터 스펀지 쪽의 출구로의 액체 채널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헤드(30).
  8. 제1항에 있어서,
    스펀지 리셉터클(64)은 내부에 스펀지(14)가 위치되는 보울 형태를 가지거나, 또는,
    스펀지(14)는 스펀지 리셉터클(64)에 릴리스 가능하지 않도록 고정되거나, 또는 스펀지(14)는 교체식 스펀지(14)로서 구성되며, 오직 압력-끼워맞춤 결합 방식으로 스펀지 리셉터클에 고정되거나, 또는, 스프링 메커니즘(52)은 다중-요소(multi-component) 사출성형에 의해 베이스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헤드(30).
  9. 제1항에 있어서,
    스펀지(14)는 40 이상의 쇼어 A 경도를 가지거나, 또는
    스펀지(14)는, 애플리케이션 면(14A)에서, 스펀지 캐리어(60)의 이동 방향에 대해 부분적으로 경사져서 배열되고, 또는,
    스펀지(14)는, 이동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 직사각형 형태와 원형 형태로부터 벗어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헤드(30).
  10. 화장품을 방출하기 위한 액체 디스펜서(10)를 위한 방출 헤드(30)로서,
    방출 헤드(30)는 액체 저장 수단(20)에 고정되는 베이스(40)를 가지며,
    베이스(40)는 액체 저장 수단(2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장치(44)를 가지고,
    방출 헤드(30)는 베이스(40)에 대해 병진운동 방식으로 안내되어 이동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터 부분(61)을 가지는, 방출 헤드(30)에 있어서,
    애플리케이터 부분(61)은 내부에 액체 채널(90)이 제공되는 중공 커넥터(66)를 가지고, 중공 커넥터(66)에 의해 애플리케이터 부분(61)은 액체 저장 수단(20)으로부터 액체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방출 헤드(30)는 액체 채널(90)에 제공되고 애플리케이터 부분(61)에 액체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출구 밸브(86)를 가지며,
    방출 헤드(30)는 결합 장치(44)에 일체형의 밀봉 요소(70)를 가지며, 상기 밀봉 요소(70)는 액체 저장 수단(20)과 베이스(40) 사이의 접촉 영역이 주변으로부터 밀폐되는 주변 병-밀봉 부분(72)을 가지고,
    밀봉 요소(70)는 중공 커넥터와 상호 작동되는 내측 밀봉 부분(74)을 가지며, 내측 밀봉 부분(74) 상의 슬라이딩 밀봉 면(74B)이 중공 커넥터(66)의 외측면과 상호 작동하여, 중공 커넥터(66)가 내측 밀봉 부분(74)에 대해 병진운동 하는 동안, 중공 커넥터(66)의 외측면과 슬라이딩 밀봉 면(74B) 사이에는 어떠한 액체도 흐를 수 없으며, 또는,
    중공 커넥터(66) 상에 제공된 밸브 몸체 면(67)이, 애플리케이터 부분(61)의 단부 위치에서, 내측 밀봉 부분(74)의 밸브 밀봉 면(74B, 75) 상에서 지탱되어, 전달 채널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헤드(30).
  11. 제10항에 있어서,
    중공 커넥터(66)는, 결합 장치의 방향을 향하는 단부에서, 밸브 몸체 면(67)이 제공된 넓은 부분(82)을 가지며, 밸브 몸체 면(67)은 중공 커넥터(66)의 이동에 의해 내측 밀봉 부분(74)의 밸브 밀봉 면(74A)으로부터 상승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헤드(30).
  12. 제10항에 있어서,
    중공 커넥터(66)는 밀봉 요소(70)의 내측 밀봉 부분(74)에 고정되고,
    밀봉 요소(70)의 내측 밀봉 부분(74)은 내부(76)를 형성하고 병-밀봉 부분(72)의 평면 위로 돌출된 밀봉 구조물을 가지며,
    중공 커넥터(66) 상에서 밸브 몸체 면(67)은 밀봉 구조물에 의해 형성된 내부(76)에 배열된 중공 커넥터(66)의 밸브 부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 헤드(30).
  13. 화장품을 방출하기 위한 액체 디스펜서(10)에 있어서,
    액체 디스펜서(10)는 방출 헤드(30)에 결합하기 위해 결합 노즐(22)을 가진 액체 저장 수단(20)을 포함하고,
    액체 디스펜서(10)는 액체 저장 수단(20)에 결합하기 위해 결합 장치(44)를 가진 방출 헤드(30)를 포함하며,
    방출 헤드(30)는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출 헤드(30)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서(10).
  14. 제13항에 있어서,
    액체 저장 수단(20)은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이거나, 또는 2개 이상의 평면에 대해 평면-대칭이며 액체 저장 수단의 중심축(A)을 형성하는 벽을 가지며,
    방출 헤드(30)와 액체 저장 수단(20)은 서로 조절되어, 출구 밸브(86)가 개방되고 중심축이 수평면에 대해 15°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방출 헤드가 배열되면, 완전히 채워진 액체 저장 수단으로부터 액체의 90% 이상이 방출 헤드(30)의 방향으로 방출되어 출구 밸브(86)를 통해 흘러나오며, 최대 10%는 액체 저장 수단(20) 내에 잔여 액체로서 남게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서(10).
  15. 제13항에 있어서,
    액체 저장 수단(20)은 화장품 액체로 채워지거나 또는,
    중공 커넥터(66)는, 스펀지 캐리어(60) 또는 애플리케이터 부분(61)이 눌러진 상태에서, 액체 저장 수단(20) 내로 돌출하도록, 방출 헤드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디스펜서(10).
KR1020197021154A 2017-03-20 2018-02-15 방출 스펀지를 포함하는 액체 디스펜서 KR102427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61832.5A EP3378348B1 (de) 2017-03-20 2017-03-20 Flüssigkeitsspender mit austragsschwamm
EP17161832.5 2017-03-20
PCT/EP2018/053832 WO2018171986A1 (de) 2017-03-20 2018-02-15 Flüssigkeitsspender mit austragsschwam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293A KR20190126293A (ko) 2019-11-11
KR102427476B1 true KR102427476B1 (ko) 2022-07-29

Family

ID=58398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154A KR102427476B1 (ko) 2017-03-20 2018-02-15 방출 스펀지를 포함하는 액체 디스펜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09659B2 (ko)
EP (1) EP3378348B1 (ko)
KR (1) KR102427476B1 (ko)
CN (1) CN110446438B (ko)
WO (1) WO20181719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333430U (zh) * 2020-05-09 2021-01-12 中山市龙昇精密塑胶有限公司 一种按压泵出瓶
US11857055B2 (en) * 2020-10-04 2024-01-02 Selva Kumar Fluid discharger and applicator device with pressing part
GB2605946A (en) * 2021-03-19 2022-10-26 Lambert & Barclay Ltd Apparatus for dispensing shoe polish
US11700929B1 (en) * 2022-01-07 2023-07-18 Elc Management Llc Applicator system for applying a cosmetic produc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339Y1 (ko) 2004-06-17 2004-09-16 강성일 화장품 용기
KR101748746B1 (ko) 2016-11-02 2017-06-19 변영광 액상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04612A (ko) *
DE172226C (ko) *
US3054134A (en) 1961-01-25 1962-09-18 Knomark Inc Metering applicator for fluids
DE3010352A1 (de) * 1980-03-18 1981-09-24 Lechner + Bek GmbH, 7700 Singen Vorrichtung zum auftragen eines cremeartigen mittels auf eine flaeche
GB8314585D0 (en) 1983-05-26 1983-06-29 Reckitt & Colmann Prod Ltd Valve mechanism
FR2622815B1 (fr) 1987-11-06 1990-02-16 Plot Michel Tampon applicateur pour produit a etaler
ES2041331T3 (es) 1988-12-22 1993-11-16 Artebel, S.L. Pulsador para un aplicador de liquidos.
JPH04279459A (ja) 1991-03-05 1992-10-05 Kamaya Kagaku Kogyo Co Ltd 塗布容器
US5411345A (en) * 1992-07-02 1995-05-02 Konishi Co., Ltd. Felt-tipped pen type adhesive applier
NL9201862A (nl) 1992-10-27 1994-05-16 Sara Lee De Nv Doseerapplicator met dubbele klep.
ES1028682Y (es) 1994-07-28 1995-07-01 Schattaver Schwarzberg Renate Dispositivo dosificador de liquido para limpieza de gafas y similares perfeccionado.
EP0875465A1 (en) 1997-04-29 1998-11-04 Sara Lee/DE N.V. Metering applicator for liquids
DE19853253A1 (de) 1998-11-18 2000-05-25 Beiersdorf Ag Vorrichtung zum Auftragen flüssiger Medien auf die Haut
US6592282B2 (en) 2000-12-11 2003-07-15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Cosmetic applicator for fluid material
ITMI20020494A1 (it) 2002-03-08 2003-09-08 Fulvio Reggiani Contenitore applicatore di prodotti fluidi particolarmente per uso cosmetico e farmaceutico
US7004659B1 (en) * 2003-11-12 2006-02-28 Avery Goodma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solution on toilet paper
WO2007100188A1 (en) * 2006-03-02 2007-09-07 Sei Jin Park Cosmetics container for containing cosmetics
KR101287363B1 (ko) * 2011-06-16 2013-07-19 (주)톨리코리아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도포장치
US9050850B2 (en) * 2011-12-30 2015-06-09 Sanford, L.P. Micro motion poppet valve assembly for delivery of ink with large pigment particles to a writing nib and writing instrument comprising same
US8757914B1 (en) * 2013-03-15 2014-06-24 BlokRok,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a fluid
KR20140140853A (ko) * 2013-05-30 2014-12-10 황재광 화장용 튜브용기
KR200478584Y1 (ko) * 2013-12-13 2015-10-23 펌텍코리아 (주)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 안전장치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TR201811541T4 (tr) * 2014-09-12 2018-09-21 Iwanejko Electronics Zdzislaw Iwanejko Sivi dağitim valfi̇ne sahi̇p muslu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339Y1 (ko) 2004-06-17 2004-09-16 강성일 화장품 용기
KR101748746B1 (ko) 2016-11-02 2017-06-19 변영광 액상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00202A1 (en) 2020-01-02
CN110446438A (zh) 2019-11-12
EP3378348A1 (de) 2018-09-26
EP3378348B1 (de) 2020-07-08
CN110446438B (zh) 2022-11-01
KR20190126293A (ko) 2019-11-11
US11109659B2 (en) 2021-09-07
WO2018171986A1 (de)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7476B1 (ko) 방출 스펀지를 포함하는 액체 디스펜서
US9205437B2 (en) Dispensing device
US8863994B2 (en) Dispensing device
AU2002343237B2 (en) Foam dispenser, housing and storage holder therefor
RU2003119454A (ru)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2008110228A (ja) 化粧製品の包装及び分与装置
US8616416B2 (en) Delivery head
JP6415461B2 (ja) 流体製品の詰め込みおよび分配を行うための詰替可能デバイス
JP2001508696A (ja) 密閉装置を備えている、流体を分与する分与装置
KR102164249B1 (ko) 분배기용 도포기 헤드 및 도포기 헤드를 구비한 분배기
EP2700588A1 (en) Dispensing closure having a vent valve
JP4766627B2 (ja) 媒体ディスペンサ
EP2590875A1 (en) Device for dispensing material
KR20200029537A (ko) 환기식 병 및 이를 위한 토출 헤드를 갖는 액체 분배기
CZ20022186A3 (cs) Vypouątěcí hlavice pro stlačitelné vypouątěcí zařízení
JP2008501518A (ja) 液体製品のための単純化エアレス分与ポンプ
JP2023071924A (ja) 医薬液体を放出するためのディスペンサー
KR101650176B1 (ko) 유체분사장치
KR102403988B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US11154879B2 (en) Orifice and spray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KR102563087B1 (ko) 압축성 액체 저장용기를 가진 액체 디스펜서
KR101707120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102524968B1 (ko) 제품 공급 용기를 가압하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하는 화장품 포트
KR102643135B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KR102282323B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