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746B1 - 액상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액상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746B1
KR101748746B1 KR1020160178009A KR20160178009A KR101748746B1 KR 101748746 B1 KR101748746 B1 KR 101748746B1 KR 1020160178009 A KR1020160178009 A KR 1020160178009A KR 20160178009 A KR20160178009 A KR 20160178009A KR 101748746 B1 KR101748746 B1 KR 101748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applicator
hole
nozzle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영광
Original Assignee
변영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영광 filed Critical 변영광
Priority to US15/459,944 priority Critical patent/US10342314B2/en
Priority to CN201720552205.XU priority patent/CN207090027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746B1/ko
Priority to EP17199677.0A priority patent/EP33185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2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28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5D83/285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applying the contents, e.g. brushes, rollers, pads, spoons, razors,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4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gulating devices
    • B65D83/52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gulating devices for metering
    • B65D83/54Metering valves ; Metering valve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0Closure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0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 B65D83/64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by pis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부품 수를 줄여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회전에 따른 밸브노즐의 개폐를 통해 액상의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이루어진 액상 화장품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액상 화장품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채워지는 용기몸체와, 용기몸체의 상단 개방부에 결합되며 중심부에 토출홀이 형성된 토출관을 갖는 숄더부와, 토출관에 삽입되며 밸브노즐이 승강함에 따라 토출홀을 개폐하는 밸브유닛과, 숄더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운동을 밸브노즐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토출홀을 개폐하되, 회전에 의해 밸브노즐을 하강시킬 때 토출홀을 개방하여 내용물의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밸브노즐을 상승시킬 때 토출홀을 폐쇄하여 내용물의 토출을 차단하는 밸브엑츄에이터부와, 밸브엑츄에이터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밸브엑츄에이터부의 회전에 의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다수의 미세토출홀을 통해 토출시키는 어플리케이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상 화장품 용기{CASE FOR LIQUID STATE COSMETICS}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에 따른 밸브노즐의 개폐를 통해 액상의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이루어진 액상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굴에 화장을 위한 액상의 화장품은 용기 내에 담겨져 화장시 용기 내의 액상 내용물을 토출시켜 사용하게 된다.
종래에는 액상 화장품 용기의 액상 내용물 토출 방식으로 버튼식과 회전식을 주로 적용하였다.
버튼식 액상 화장품 용기의 경우에는, 용기몸체의 상부 또는 측부에 버튼 형태의 어플리케이터를 구비하고, 버튼을 누르는 반복 동작을 통해 용기 내의 액상 내용물 토출시키는 구조이다. 그러나, 용기 몸체의 상부 또는 측부에 버튼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구조가 복잡하고 구성 부품수가 많아 제작비용이 상승하게 되며, 오작동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버튼식 액상 화장품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용기몸체의 하부에 버튼을 적용할 경우에는 용기몸체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외관상 또는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회전식 액상 화장품 용기는, 몸체 내에서 용기를 나사 회전시켜 이동함으로써 용기 내의 액상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구조이다. 그러나, 회전식의 경우에는 점도를 갖는 내용물에만 적용될 수 있고, 토출 부분이 항상 개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의도에 상관없이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어 기밀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의도에 상관없이 내용물이 토출되므로 사용자가 화장품을 쉽게 바를 수 없고, 사용자의 손에 화장품이 묻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내용물이 토출되는 어플리케이터의 상부에 화장패드를 구비하는 경우, 어플리케이터의 상면에 화장패드를 삽입하여 안착하는 패드안착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터의 상면 가장자리 테두리부를 소정높이로 돌출시켜 원형관 형태로 형성하게 된다. 그로 인해, 화장패드를 패드안착홈에 삽입하여 보관하거나 어플리케이터의 상면 토출홀을 통해 토출된 내용물에 묻혀서 사용할 경우 어플리케이터의 원형관 테두리부 내에 내용물이 잔존하게 되어 지저분해지고 잔존 내용물로 인해 오염, 세균번식 등의 원인이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2621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3887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품 수를 줄여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회전에 따른 밸브노즐의 개폐를 통해 액상의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이루어진 액상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패드가 자성에 의해 어플리케이터의 토출홀을 밀봉하도록 유지시켜 내용물의 휘발성을 방지하고, 어플리케이터의 테두리에 내용물이 잔존하지 않도록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액상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채워지는 용기몸체; 상기 용기몸체의 상단 개방부에 결합되며, 중심부에 토출홀이 형성된 토출관을 갖는 숄더부; 상기 토출관에 삽입되며, 밸브노즐이 승강함에 따라 상기 토출홀을 개폐하는 밸브유닛; 상기 숄더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운동을 상기 밸브노즐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토출홀을 개폐하되, 회전에 의해 상기 밸브노즐을 하강시킬 때 상기 토출홀을 개방하여 내용물의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밸브노즐을 상승시킬 때 상기 토출홀을 폐쇄하여 내용물의 토출을 차단하는 밸브엑츄에이터부; 및 상기 밸브엑츄에이터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밸브엑츄에이터부의 회전에 의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다수의 미세토출홀을 통해 토출시키는 어플리케이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숄더부는, 상기 용기몸체의 상단 외측에 끼워져 결합되는 숄더몸체; 및 상기 숄더몸체의 중심부에 상부가 개방된 원형관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밸브하우징이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토출홀이 형성되는 토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토출관의 내측 하부에 상부가 개방된 원형관 형태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토출홀과 연통되는 밸브하우징; 상기 밸브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홀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노즐홀이 형성되고, 측부에 상기 노즐홀과 연결되어 내용물이 상기 노즐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홀이 형성되는 밸브노즐; 상기 밸브노즐의 외측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밸브노즐이 상기 토출홀측으로 이동될 때에는 상기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노즐 사이로 유입되는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상기 토출홀 반대측으로 밀려 상기 유입홀을 개방하고, 상기 밸브노즐이 상기 토출홀 반대측으로 이동될 때에는 상기 밸브노즐에 의해 밀려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상기 유입홀을 차단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밸브노즐의 상부가 관통하도록 상기 밸브하우징과 결합되는 밸브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엑츄에이터부는, 상기 밸브캡의 상부에 끼워지고, 상기 밸브노즐이 중심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외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경사톱니가 다수 형성되는 제 1 캠부; 상기 밸브캡에 대하여 상기 제 1 캠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숄더부의 외측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밸브노즐의 상단이 상면 중심부를 관통하며, 상면 중심부의 내측 하부에 원형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경사톱니와 대응되도록 다수의 캠돌기를 갖는 제 2 캠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캡;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캡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 2 캠부의 캠돌기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캠부의 경사톱니와 경사접촉에 의해 상기 제 1 캠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제 1 캠부와 연결된 상기 밸브노즐을 승강시켜 상기 토출홀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톱니는 상기 회전캡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상향 경사면과 하향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회전캡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 2 캠부의 캠돌기가 상기 상향 경사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 1 캠부를 하부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밸브노즐이 상기 토출홀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토출홀을 개방하고, 상기 제 2 캠부의 캠돌기가 상기 상향 경사면을 지나 상기 하향 경사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 1 캠부를 상부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밸브노즐이 상기 토출홀 반대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토출홀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캠부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숄더부의 토출관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승강가이드홈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상기 승강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캡을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상기 승강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1 캠부가 회전하지 않으면서 상기 토출관 내에서 승강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캡은, 중공의 원형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숄더부의 외측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결합부; 상기 회전결합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고, 내경 및 외경이 상기 회전결합부 보다 축소되며, 외측에 용기뚜껑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뚜껑결합부; 상기 뚜껑결합부의 상면에 돌출 연장되고 중심부에 토출공이 형성되며, 어플리케이터홀더가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어플리케이터홀더결합부; 및 상기 뚜껑결합부의 상면 중심부의 내측 하부에 원형관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캡은, 상기 어플리케이터홀더결합부의 토출공에 삽입 결합되고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밸브노즐의 상단부가 상기 실링부재의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실링부재에 의해 상기 밸브노즐과 상기 토출공 사이로 누액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터부는, 상기 어플리케이터홀더결합부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실링부재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밸브노즐의 노즐홀과 연결되도록 중앙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어플리케이터홀더; 상기 어플리케이터홀더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어플리케이터홀더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을 흡수하여 머금는 흡수패드; 및 상기 흡수패드의 상면을 커버한 상태로 상기 어플리케이터홀더에 고정되고, 상기 흡수패드에 흡수된 내용물이 미세하게 토출되도록 미세토출홀이 다수 형성되는 화장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는, 상기 어플리케이터부의 상부에 자성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자성에 의해 부착시 상기 어플리케이터부의 미세토출홀을 밀봉하도록 유지시키는 화장퍼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터부에는 제 1 자성체 또는 금속부재가 내장되고, 상기 화장퍼프부에는 상기 제 1 자성체와 반대의 극성을 갖는 제 2 자성체가 내장되어, 상기 제 1 자성체와 상기 제 2 자성체 또는 상기 금속부재와 상기 제 2 자성체 간의 자성 인력에 의해 상기 화장퍼프부가 상기 어플리케이터부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터부는, 상기 회전캡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면 하부 중앙에 제 1 자석삽입홈이 형성된 원통형의 자석하우징이 구비되며, 상기 자석하우징의 상면을 관통하는 미세토출홀이 다수 형성되는 어플리케이터홀더; 상기 제 1 자석삽입홈에 삽입되는 제 1 자성체 또는 금속부재; 및 상부가 상기 자석하우징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제 1 자성체 또는 상기 금속부재를 커버하고, 하부가 상기 어플리케이터홀더결합부의 외측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어플리케이터홀더결합부의 토출공을 통해 상기 밸브노즐의 노즐홀과 연결되면서 상기 미세토출홀과 대응되도록 상면에 토출연결홀이 다수 형성되는 자석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터부는, 상부가 상기 자석커버의 내측에 삽입되고 하부가 상기 어플리케이터홀더결합부의 토출공에 삽입되며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밸브노즐의 상단부가 상기 실링부재의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밸브노즐과 상기 토출공 사이로 누액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퍼프부는,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 제 2 자석삽입홈이 형성되는 손잡이홀더; 상기 제 2 자석삽입홈에 삽입되는 제 2 자성체; 및 상기 제 2 자성체가 상기 제 2 자석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홀더의 하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어플리케이터홀더의 상면과 접촉하여 상기 미세토출홀을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흡수하여 머금는 화장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퍼프부는, 상기 손잡이홀더와 상기 화장패드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화장패드에 탄성을 부여하는 스펀지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터홀더는, 상기 화장패드의 하부 가장자리의 곡면과 대응되게 상면의 가장자리 테두리부를 라운드지게 곡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화장패드와 접촉시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상기 어플리케이터홀더의 라운드진 테두리부 내에 토출된 내용물이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상 화장품 용기에 따르면, 사용자가 용기의 회전캡을 회전시 밸브유닛의 밸브노즐을 승강시켜 토출홀을 개폐함으로써, 액상 내용물의 토출 및 차단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노즐의 승강에 따른 토출홀을 개폐하는 밸브식을 적용함으로써, 평상시 토출 부분이 항상 밀폐되어 있으므로 기밀성이 우수하고, 점도와 상관없이 모든 액상 내용물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식을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버튼식 및 회전식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적게 소요되며, 고장 및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노즐이 결합된 제 1 캠부를 승강시키는 제 2 캠부를 회전캡 내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 2 캠부를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할 필요 없이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밸브유닛을 구성하는 밸브하우징을 숄더부의 토출관 내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밸브유닛의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부품 수를 줄여 구조를 간단하게 하며, 그에 따라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폰지 재질의 흡수패드가 배출되는 내용물을 흡수하여 화장시 사용할 일정량만큼의 내용물을 머금은 상태에서 루비셀 재질의 화장패드의 미세토출홀을 통해 내용물이 미세하게 토출되도록 어플리케이터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화장품을 쉽게 바를 수 있고 손에 화장품을 묻히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퍼프부가 어플리케이터부의 상부에 자성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성에 의해 부착시 어플리케이터부의 미세토출홀을 밀봉하도록 유지시켜 기밀성을 향상시키며, 이에 따라 내용물의 휘발성을 방지함과 아울러 공기를 차단하여 내용물의 산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할 용량만큼만 내용물을 토출시킨 상태에서 화장패드로 내용물을 터치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용기몸체의 내부에 채워진 내용물과 용기몸체의 외부로 토출된 내용물을 서로 분리 차단시킬 수 있으므로 내용물의 오염 및 세균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터홀더의 상면 자장자리 테두리부가 상향으로 살짝 라운드지게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화장패드를 어플리케이터홀더의 상면에 접촉하거나 상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면서 터치할 때 어플리케이터홀더의 상면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어플리케이터홀더의 라운드진 테두리부 내에는 토출된 내용물이 잔존하지 않게 되어 어플리케이터홀더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숄더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숄더부의 평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숄더부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밸브노즐의 사시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밸브노즐의 종단면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개폐부재의 종단면도.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밸브캡의 종단면도.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밸브엑츄에이터부의 구성도.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제 1 캠부의 사시도.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제 1 캠부의 종단면도.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회전캡의 사시도.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회전캡의 종단면도.
도 16은 도 2에 도시된 실링부재의 종단면도.
도 17은 도 2에 도시된 어플리케이터부의 사시도.
도 18은 도 2에 도시된 어플리케이터부의 종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이 토출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 토출이 차단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분해사시도.
도 23은 도 21의 종단면도.
도 24는 도 21에 도시된 어플리케이터홀더의 사시도.
도 25는 도 21에 도시된 어플리케이터홀더의 종단면도.
도 26은 도 21에 도시된 자석커버의 사시도.
도 27은 도 21에 도시된 자석커버의 종단면도.
도 28은 도 21에 도시된 실링부재의 사시도.
도 29는 도 21에 도시된 실링부재의 종단면도.
도 30은 도 21에 도시된 화장퍼프부의 사시도.
도 31은 도 21에 도시된 화장퍼프부의 종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이 토출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 토출이 차단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는 용기몸체(100), 가압홀더부(200), 숄더부(300), 밸브유닛(400), 밸브엑츄에이터부(500), 어플리케이터부(600) 및 용기뚜껑(700)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몸체(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중공의 원형관 형태로 형성되며, 용기몸체(100)의 내부에는 액상의 화장품 내용물(1, 도 19, 20 참조)이 채워진다.
또한, 용기몸체(100)는 상단으로부터 연장되고 내경 및 외경이 용기몸체(100) 보다 축소되며 외주면에 숄더부(300)의 내주면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숄더결합부(101)가 형성된다.
가압홀더부(200)는 용기몸체(100)의 내부에 슬라이딩되게 삽입되어 용기몸체(100) 내의 내용물(1)이 원활하게 토출되도록 액상의 내용물(1)을 용기몸체(100)의 토출측으로 가압하여 밀어준다. 액상의 내용물(1)은 용기몸체(100)의 내부에서 용기의 가압홀더부(200)와 숄더부(300) 사이에 채워진다.
또한, 가압홀더부(200)는 용기몸체(100) 내에 삽입되어 내용물(1)을 용기몸체(100)의 토출측으로 밀어주는 가압부(210)와, 가압부(2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용기몸체(100)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접촉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220)는 중심부가 양단부에 비해 가압부(210)의 중심측을 향해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접촉부(220)의 중심부는 용기몸체(100)의 내주면에 접촉되지 않고 양단부만 용기몸체(100)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된다.
숄더부(300)는 용기몸체(100)의 상단 개방부에 결합되며, 중심부에 토출홀(301)이 형성된 토출관(320)이 구비된다. 이러한 숄더부(300)는 숄더몸체(310) 및 토출관(320)을 포함할 수 있다.
밸브유닛(400)은 용기몸체(100)의 외부에서 토출관(320)에 삽입 결합되어 밸브노즐(420)이 승강함에 따라 용기몸체(100) 내의 액상 내용물(1)을 외부로 토출 및 차단할 수 있도록 토출홀(301)을 개폐한다. 이러한 밸브유닛(400)은 밸브하우징(410), 밸브노즐(420), 개폐부재(430) 및 밸브캡(44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밸브하우징(410)을 숄더부(300)의 토출관(320) 내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밸브유닛(400)의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밸브엑츄에이터부(500)는 숄더부(3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 시 밸브유닛(400)의 밸브노즐(420)을 승강시켜 토출홀(301)을 개폐한다. 즉, 밸브엑츄에이터부(500)는 회전운동을 밸브노즐(420)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토출홀(301)을 개폐함으로써 내용물(1)의 토출 및 차단을 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밸브엑츄에이터부(500)는 회전에 의해 밸브노즐(420)을 하강시킬 때 토출홀(301)을 개방하여 내용물(1)의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밸브노즐(420)을 상승시킬 때 토출홀(301)을 폐쇄하여 내용물(1)의 토출을 차단한다. 이러한 밸브엑츄에이터부(500)는 제 1 캠부(510), 탄성부재(520) 및 회전캡(530)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부(600)는 밸브엑츄에이터부(500)의 상부에 설치되며, 밸브엑츄에이터부(500)의 회전에 의해 토출되는 내용물(1)을 다수의 미세토출홀(631)을 통해 토출시킨다. 이러한 어플리케이터부(600)는 어플리케이터홀더(610), 흡수패드(620) 및 화장패드(63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뚜껑(700)은 하부가 개방된 원형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밸브엑츄에이터부(500)의 회전캡(5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시에는 회전캡(530)으로부터 분리되어 어플리케이터부(6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회전캡(530)에 결합되어 어플리케이터부(6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한다. 이러한 용기뚜껑(700)의 개방부 내측에는 회전캡(530)의 뚜껑결합부(533) 외측에 형성된 고정돌기(533a)와 맞물려 용기뚜껑(700)의 분리를 방지하는 고정돌기(701)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용기뚜껑(700)의 상면에는 거울(710)을 부착하여 사용자가 거울(710)을 통해 보면서 화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숄더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숄더부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숄더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숄더부(300)는 용기몸체(100)의 상단 외측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러한 숄더부(300)는 숄더몸체(310) 및 토출관(320)을 포함할 수 있다.
숄더몸체(310)는 용기몸체(100)의 상단 개방부를 커버하도록 원형 형태로 형성되며, 숄더몸체(310)의 하단 내주면이 용기몸체(100)의 상단에 형성된 숄더결합부(101)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숄더몸체(310)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회전캡(530)의 회전결합부(531) 내주면에 형성된 회전결합돌부(531a)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회전결합홈부(311)가 형성된다.
토출관(320)은 숄더몸체(310)의 상면 중심부에 직교되게 연장되어 중공의 원형관 형태로 형성되고, 하단에 토출홀(301)이 형성된다. 토출관(320)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승강가이드홈(321)이 다수 개 형성되어 제 1 캠부(510)의 회전방지돌기(517)가 승강가이드홈(321)에 삽입됨으로써, 회전캡(530)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제 2 캠부(540)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 1 캠부(510)가 회전하지 않으면서 승강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토출관(320)은 내부에 밸브하우징(410)이 일체로 형성되고, 밸브하우징(410)의 하부는 토출홀(301)과 연통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밸브유닛(400)의 밸브하우징(410)을 숄더부(300)의 토출관(320) 내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밸브유닛(400)의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밸브하우징(410)은 노즐삽입부(411) 및 단차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삽입부(411)는 중공의 원형관 형태로 형성되고, 토출관(320)의 내측 하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노즐삽입부(411)의 직경은 토출관(3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노즐삽입부(411)의 높이는 토출관(32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단차부(413)는 노즐삽입부(411)의 타단으로부터 내측으로 단차지게 연장되고, 중심부에 토출홀(301)이 형성된다. 이러한 단차부(413)는 밸브노즐(420)의 후술할 환형돌부(423)가 걸려 노즐몸체(421)가 하방으로 더 이상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밸브노즐(420)이 노즐삽입부(4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밸브노즐(420)이 노즐삽입부(411) 내에서 하방으로 슬라이딩될 때 단차부(413)와 밸브노즐(420) 사이에 틈이 형성되고 그 틈으로 용기몸체(100)에 채워진 내용물(1)이 노즐삽입부(411) 내로 유입된다. 반대로, 밸브노즐(420)이 상방으로 슬라이딩될 때 단차부(413)와 밸브노즐(420) 사이에 틈이 폐쇄되고 용기몸체(100)에 채워진 내용물(1)이 노즐삽입부(411) 내로 유입이 차단된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밸브노즐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밸브노즐의 종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노즐(420)은 밸브하우징(410)의 노즐삽입부(4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 설치된다. 밸브노즐(420)은 노즐몸체(421) 및 환형돌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몸체(421)는 내부에 상단으로 개방된 노즐홀(421a)이 길게 형성되고 측부에 노즐홀(421a)과 연결되는 유입홀(421b)이 형성된다.
환형돌부(423)는 노즐몸체(421)의 측부 중 유입홀(421b)로부터 노즐몸체(421)의 폐쇄된 하단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밸브하우징(410)의 노즐삽입부(411)에 형성된 단차부(413)에 걸려 노즐몸체(421)가 하방으로 더 이상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환형돌부(423)에는 노즐몸체(421)의 하단부와 밸브하우징(410) 사이로 유입되는 액상의 내용물(1)이 통과하는 복수 개의 미세홀(423a)이 이격 형성된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개폐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430)는 노즐몸체(421)의 외측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노즐몸체(421)가 토출홀(301) 측으로 이동될 때, 즉 도면 상에서 노즐몸체(421)가 하강할 때에는 밸브하우징(410)과 노즐몸체(421) 사이로 유입되는 내용물(1)의 압력에 의해 토출홀(301) 반대측으로 밀려 유입홀(421b)을 개방하고, 노즐몸체(421)가 토출홀(301) 반대측으로 이동될 때, 즉 도면 상에서 노즐몸체(421)가 상승할 때에는 노즐몸체(421)에 의해 밀려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유입홀(421b)을 차단한다. 이때, 개폐부재(430)는 노즐몸체(421) 중 환형돌부(423)를 기준으로 유입홀(421b)이 형성되는 부분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러한 개폐부재(430)는 노즐몸체(421)의 외측에 끼워지는 중공의 개폐부(431)와, 개폐부(431)의 외측에 연장되며 밸브하우징(410)의 노즐삽입부(411)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접촉부(433)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431)의 내주면 중 밸브노즐(420)의 환형돌부(423) 쪽에는 노즐몸체(421)와 접촉되지 않고 간극을 형성하는 간극홈(431a)이 형성된다. 따라서, 개폐부(431)가 환형돌부(423)의 반대쪽으로 슬라이딩되어 간극홈(431a)이 유입홀(421b)과 겹쳐지게 되면, 간극홈(431a)으로 유입되는 내용물이 유입홀(421b)을 통해 노즐홀(421a)로 유입된다. 반대로, 개폐부(431)가 환형돌부(423) 쪽으로 슬라이딩되어 간극홈(431a)과 유입홀(421b)의 위치가 어긋나면 노즐몸체(421)와 접촉되는 개폐부(431)의 내주면에 의해 유입홀(421b)을 통한 내용물(1)의 유입이 차단된다.
접촉부(433)는 중심부가 양단부에 비해 개폐부(431)의 내측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접촉부(433)의 중심부는 노즐삽입부(411)의 내주면에 접촉되지 않고 양단부만 노즐삽입부(411)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된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밸브캡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캡(440)은 밸브하우징(410)의 상단에 결합되며, 탄성부재(520), 예컨대 스프링(이하, 참조부호 520으로 표기함)에 의해 후술할 제 1 캠부(510)를 탄성 지지한다. 이러한 밸브캡(440)은 제 1 캠부(510)의 하단부 외측에 끼워지는 중공의 원형관 형태로 형성된 밸브캡몸체(441)와, 밸브캡몸체(441)의 외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게 연장되어 밸브캡몸체(441)의 하단부와의 사이에 밸브하우징(410)의 노즐삽입부(411)의 상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결합홈(443a)이 형성된 캡결합부(443)를 포함할 수 있다. 캡결합부(443)의 내측면에는 노즐삽입부(411)의 외측면에 걸려 밸브캡(440)이 밸브하우징(410)과 맞물려 결합되도록 걸림돌부(443b)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밸브엑츄에이터부의 구성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엑츄에이터부(500)는 밸브노즐(420)에 끼움 결합되어 승강하는 제 1 캠부(510)와, 밸브캡(440)에 대하여 제 1 캠부(51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520)와, 숄더부(300)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제 1 캠부(510)를 승강시키는 제 2 캠부(540)가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캡(5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520)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프링(520)의 상단부는 제 1 캠부(510)에 맞닿아 지지되고, 하단부는 밸브캡(440)에 맞닿아 지지된다.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제 1 캠부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제 1 캠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캠부(510)는 밸브캡(440)의 상부에 끼워지고 밸브노즐(420)이 중심부의 관통공(511a)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회전캡(530)에 일체로 형성된 제 2 캠부(540)의 회전에 연동하여 토출관(320)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제 1 캠부(510)에 끼워진 밸브노즐(420)을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제 1 캠부(510)는 제 1 캠몸체(511), 탄성부재 지지부(513), 경사톱니(515) 및 회전방지돌기(5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캠몸체(511)는 노즐몸체(421)가 내부 중심을 관통하도록 관통공(511a)이 형성된 중공의 원형관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캠몸체(511)의 하단부 외측에 스프링(520)이 끼워져 밸브캡(440)에 대하여 상방으로 탄성 지지된다.
탄성부재 지지부(513)는 제 1 캠몸체(511)의 외측에 연장되어 제 1 캠몸체(511)의 하단부 외측에 끼워지는 스프링(520)을 지지한다. 탄성부재 지지부(513)는 제 1 캠몸체(511)와의 사이에 스프링 끼움홈(513a)이 형성된다.
경사톱니(515)는 제 1 캠몸체(511)의 외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톱니(515)는 회전캡(530)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상향 경사면(515a)과 하향 경사면(515b)을 갖는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캡(530)을 회전시키면 후술할 제 2 캠부(540)의 캠돌기(541)가 상향 경사면(515a)과 접촉하여 제 1 캠부(510)를 하부로 이동시킴에 따라 밸브노즐(420)이 토출홀(301) 쪽으로 이동하면서 토출홀(301)을 개방하고, 제 2 캠부(540)의 캠돌기(541)가 상향 경사면(515a)을 지나 하향 경사면(515b)과 접촉하여 제 1 캠부(510)를 상부로 이동시킴에 따라 밸브노즐(420)이 토출홀(301) 반대쪽으로 이동하면서 토출홀(301)을 폐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톱니(515)의 형상은 상향 경사면(515a)과 하향 경사면(515b)을 갖는 삼각형 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사톱니(515)의 형상은 경사면과 수직면이 교차하는 직삼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회전방지돌기(517)는 제 1 캠몸체(511)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제 1 캠몸체(511)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되어 숄더부(300)의 승강가이드홈(321)에 삽입됨으로써, 회전캡(530)을 회전시키면 회전방지돌기(517)가 승강가이드홈(321)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 1 캠부(510)가 회전하지 않으면서 토출관(320) 내에서 승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회전캡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회전캡의 종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캡(530)은 숄더부(300)의 외측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캡(530)은 회전결합부(531), 뚜껑결합부(533), 어플리케이터홀더결합부(535) 및 제 2 캠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결합부(531)는 중공의 원형관 형태로 형성되어 그 내측면이 숄더부(300)의 외측면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회전결합부(531)는 숄더부(300)의 외주면에 형성된 회전결합홈부(311)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회전결합돌부(531a)가 형성된다.
뚜껑결합부(533)는 회전결합부(53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고 내경 및 외경이 회전결합부(531) 보다 축소되며 외측에 용기뚜껑(700)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진다. 뚜껑결합부(533)의 외측면에는 용기뚜껑(700)이 걸려 고정되는 고정돌기(533a)가 돌출 형성된다.
어플리케이터홀더결합부(535)는 뚜껑결합부(533)의 상면에 돌출 연장되고 내경 및 외경이 뚜껑결합부(533) 보다 축소된 원형관 형태로 형성되며 외측에 어플리케이터홀더(610)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진다. 어플리케이터홀더결합부(535)는 외주면 하단부에 걸림턱(535a)이 형성되어 후술할 어플리케이터홀더(610)의 내주면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610a)가 걸림턱(535a)에 걸려 고정된다. 또한, 어플리케이터홀더결합부(535)의 상면 중앙에는 중공의 실링삽입부(536)가 형성되고 노즐몸체(421)의 상단부가 관통하도록 토출공(501)이 형성된다.
제 2 캠부(540)는 어플리케이터홀더결합부(535)의 상면 중심부의 내측 하부에 중공의 원형관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고 노즐몸체(421)의 상단부가 상면 중심을 관통하는 토출공(501)이 형성된다. 또한, 제 2 캠부(540)는 내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제 1 캠부(510)의 경사톱니(515)와 대응되도록 캠돌기(541)가 다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캠돌기(541)는 제 2 캠부(5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직선형 캠돌기(541)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캠부(510)에 경사톱니(515)를 형성하고 회전캡(530)에 일체로 형성된 제 2 캠부(540)에 캠돌기(541)를 형성함으로써, 회전캡(530)을 회전시키면 제 2 캠부(540)의 캠돌기(541)가 회전하면서 제 1 캠부(510)의 경사톱니(515)와 경사접촉에 의해 제 1 캠부(5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제 1 캠부(510)와 연결된 노즐몸체(421)를 승강시켜 토출홀(301)을 개폐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 2 캠부(540)를 회전캡(530) 내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 2 캠부(540)를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할 필요 없이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6은 도 2에 도시된 실링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550)는 어플리케이터홀더결합부(535)의 토출공(501)에 삽입 결합되고 중앙부에 관통공(551)이 형성된다. 노즐몸체(421)의 상단부가 실링부재(550)의 관통공(551)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실링부재(550)에 의해 노즐몸체(421)와 토출공(501) 사이로 누액에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실링부재(550)는 중공의 원형관 형태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걸림돌기(553)가 형성되어 실링삽입부(536)의 토출공(501)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536a)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도 17은 도 2에 도시된 어플리케이터부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2에 도시된 어플리케이터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터부(600)는 어플리케이터홀더(610), 흡수패드(620) 및 화장패드(630)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홀더(610)는 원형관 형태로 형성되어 어플리케이터홀더결합부(535)의 외측이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어플리케이터홀더(610)는 실링부재(550)의 관통공(551)을 통해 노즐몸체(421)의 노즐홀(421a)과 연결되도록 상면 중앙부에 배출구(611)가 형성된다.
흡수패드(620)는 상면 중앙부가 만곡된 원형 형태로 형성되어 어플리케이터홀더(610)의 상면에 안착된다. 흡수패드(620)는 어플리케이터홀더(610)의 배출구(611)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1)을 흡수하여 화장시 사용할 일정량만큼의 내용물을 머금는다. 이러한 흡수패드(620)는 용액상의 내용물(1)을 흡수할 수 있도록 흡수성이 우수한 스폰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패드(630)는 흡수패드(620)의 상면을 커버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홀더(610)에 고정된다. 이때, 화장패드(630)의 외측 하단부는 어플리케이터홀더(610)의 외측에 끼워지는 패드고정홀더(64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화장패드(630)는 흡수패드(620)에 흡수된 내용물(1)이 미세하게 토출되도록 미세토출홀(631)이 다수 형성된다. 이러한 미세토출홀(631)은 레이저 가공을 통해 화장패드에 형성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미세토출홀(631)을 방사형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심원 등 다양한 형태로 미세토출홀(63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장패드(630)는 흡수패드(620)에 흡수된 내용물(1)이 손실되지 않도록 내용물이 비투과되고 휘발성을 방지하며, 화장시 발림성이 우수한 루비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화장패드(630)의 미세토출홀(631)을 통해 내용물이 토출됨으로써, 사용자가 화장품을 쉽게 바를 수 있고 손에 화장품을 묻히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이 토출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회전캡(530)을 회전시키면, 회전캡(530)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제 2 캠부(540)는 회전캡(530)과 일체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연동하여 제 2 캠부(540)의 내측면에 형성된 캠돌기(541)가 회전하면서 제 1 캠부(510)의 외측면에 형성된 경사돌기(515) 중 회전캡(530)의 회전방향에 대한 상향 경사면(515a)과 접촉하면서 제 1 캠부(510)를 하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제 1 캠부(510)의 외측면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517)가 토출관(320)의 내측면에 형성된 승강가이드홈(321)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 1 캠부(510)가 회전하지 않으면서 토출관(320) 내에서 하강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 1 캠부(510)에 끼워져 결합된 밸브노즐(420)의 노즐몸체(421)는 제 1 캠부(510)의 하강에 연동하여 하방으로, 즉 토출홀(301) 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노즐몸체(421)의 외측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 개폐부재(430)는 밸브하우징(410)과 노즐몸체(421) 사이로 유입되는 내용물(1)의 압력에 의해 토출홀(301) 반대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개폐부재(430)가 토출홀(301) 반대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개폐부(431)의 내측에 형성된 간극홈(431a)과 노즐몸체(421)에 형성된 유입홀(421b)이 일치하게 되면 간극홈(431a) 및 유입홀(421b)을 통해 액상의 내용물(1)이 노즐홀(421a) 내로 유입된다. 노즐홀(421a) 내로 유입된 내용물(1)은 어플리케이터홀더(610)에 형성된 배출구(611)를 통해 흡수패드(620)에 흡수되고, 화장패드(630)의 다수 미세토출홀(631)을 통해 토출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 토출이 차단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캠부(510)가 하강하여 밸브유닛(400)이 개방되어 토출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회전캡(530)을 더 회전시키게 되면, 제 2 캠부(540)의 캠돌기(541)가 제 1 캠부(510)의 상향 경사면(515a)을 지나 하향 경사면(515b)과 접촉하고 스프링(520)의 복원력에 의해 제 1 캠부(510)가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 1 캠부(510)에 끼워져 결합된 밸브노즐(420)의 노즐몸체(421)는 제 1 캠부(510)의 상승 이동에 연동하여 상방으로, 즉 토출홀(301) 반대측으로 이동된다. 노즐몸체(421)가 토출홀(301) 반대측으로 이동될 때, 즉 노즐몸체(421)가 상승할 때 개폐부재(430)는 노즐몸체(421)에 의해 밀려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유입홀(421b)을 차단하게 되어 내용물(1)의 토출이 정지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에 따르면, 사용자가 용기의 회전캡(530)을 회전시 밸브유닛(400)의 밸브노즐(420)을 승강시켜 토출홀(301)을 개폐함으로써, 액상 내용물의 토출 및 차단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매우 편리하다.
또한, 밸브노즐(420)의 승강에 따른 토출홀(301)을 개폐하는 밸브식을 적용함으로써, 평상시 토출 부분이 항상 밀폐되어 있으므로 기밀성이 우수하고, 점도와 상관없이 모든 액상 내용물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고, 기존의 버튼식 및 회전식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적게 소요되며, 고장 및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밸브노즐(420)이 결합된 제 1 캠부(510)를 승강시키는 제 2 캠부(540)를 회전캡(530) 내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 2 캠부(540)를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할 필요 없이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밸브유닛(400)을 구성하는 밸브하우징(410)을 숄더부(300)의 토출관(320) 내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밸브유닛(400)의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부품 수를 줄여 구조를 간단하게 하며, 그에 따라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스폰지 재질의 흡수패드(620)가 배출되는 내용물을 흡수하여 화장시 사용할 일정량만큼의 내용물을 머금은 상태에서 루비셀 재질의 화장패드(630)의 미세토출홀(631)을 통해 내용물이 미세하게 토출되도록 어플리케이터부(600)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화장품을 쉽게 바를 수 있고 손에 화장품을 묻히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3은 도 21의 종단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는 용기몸체(100), 가압홀더부(200), 숄더부(300), 밸브유닛(400), 밸브엑츄에이터부(500), 용기뚜껑(700), 어플리케이터부(800) 및 용기뚜껑(700)을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터부(800) 및 화장퍼프부(90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20을 참고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 용기몸체(100), 가압홀더부(200), 숄더부(300), 밸브유닛(400), 밸브엑츄에이터부(500) 및 용기뚜껑(700)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기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인 어플리케이터부(800) 및 화장퍼프부(900)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어플리케이터부(800)는 밸브엑츄에이터부(500)의 상부에 설치되며, 밸브엑츄에이터부(500)의 회전에 의해 토출되는 내용물(1)을 다수의 미세토출홀(812)을 통해 토출시킨다. 이러한 어플리케이터부(800)는 어플리케이터홀더(810), 제 1 자성체(820) 또는 금속부재(미도시), 자석커버(830) 및 실링부재(84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퍼프부(900)는 어플리케이터부(800)의 상부에 자성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자성에 의해 부착시 어플리케이터부(800)의 미세토출홀(812)을 밀봉하도록 유지시킨다. 이러한 화장퍼프부(900)는 손잡이홀더(910), 제 2 자성체(920), 화장패드(930) 및 스펀지패드(94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퍼프부(900)를 어플리케이터부(800)에 자성을 이용하여 탈부착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터부(800)에는 제 1 자성체(820) 또는 금속부재가 내장되고, 화장퍼프부(900)에는 제 1 자성체(820)와 반대의 극성을 갖는 제 2 자성체(920)가 내장된다. 예를 들어, 제 1 자성체(820)를 N극 자석으로 구성하고 제 2 자성체(920)를 S극 자석으로 구성하거나, 반대로 제 1 자성체(820)를 S극 자석으로 구성하고 제 2 자성체(920)를 N극 자석으로 구성함으로써, 제 1 자성체(820)와 제 2 자성체(920) 또는 금속부재와 제 2 자성체(920) 간의 자성 인력에 의해 화장퍼프부(900)가 어플리케이터부(800)에 부착될 수 있다.
제 1 자성체(820) 또는 금속부재는 어플리케이터부(800)의 제 1 자석삽입홈(814)에 삽입되고, 제 2 자성체(920)는 화장퍼프부(900)의 제 2 자석삽입홈(913)에 삽입된다.
도 24는 도 21에 도시된 어플리케이터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1에 도시된 어플리케이터홀더의 종단면도이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터홀더(810)는 상면(811)이 형성되고 하면이 개방된 원형관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캡(530)의 상부에 설치된다.
어플리케이터홀더(810)는 상면(811) 하부 중앙에 제 1 자석삽입홈(814)이 형성된 원통형의 자석하우징(815)이 상면(811)으로부터 하방으로 직립되게 연장된다. 제 1 자석삽입홈(814)에는 원형의 제 1 자성체(820) 또는 금속부재가 삽입된다. 자석하우징(815)의 내주면에는 고정홈(816)이 형성되어 후술할 자석커버(83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835)가 고정홈(816)에 삽입된다.
또한, 어플리케이터홀더(810)는 제 1 자석삽입홈(814)이 형성된 중앙부의 외측에 자석하우징(815)의 상면을 관통하는 미세토출홀(812)이 다수 형성되어 밸브엑츄에이터부(500)의 회전에 의해 토출되는 내용물(1)이 다수의 미세토출홀(812)을 통해 토출된다.
또한, 어플리케이터홀더(810)는 후술할 화장패드(930)의 하면 가장자리의 곡면과 대응되게 상면(811)의 가장자리 테두리부(813)를 라운드지게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터홀더(810)의 상면 중앙부는 평면으로 형성하고 상면 자장자리 테두리부(813)는 상향으로 살짝 라운드지게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장패드(930)가 어플리케이터홀더(810)의 상면(811)과 접촉하거나 상면을 슬라이딩하면서 터치될 때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어플리케이터홀더(810)의 라운드진 테두리부(813) 내에 토출된 내용물(1)이 잔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6은 도 21에 도시된 자석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27은 도 21에 도시된 자석커버의 종단면도이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커버(830)는 자석하우징(815)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어 제 1 자성체(820) 또는 금속부재를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자석커버(830)는 상면이 형성되고 하면이 개방된 원형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자석하우징(815)에 삽입될 수 있도록 자석하우징(815)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다.
자석커버(830)의 외주면에는 고정돌기(835)가 형성되어 자석하우징(815)의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홈(816)에 고정돌기(835)가 삽입됨으로써, 자석커버(830)를 자석하우징(815) 내에 고정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자석커버(830)의 하부가 회전캡(530)의 어플리케이터홀더결합부(535) 외측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어플리케이터홀더(810)를 회전캡(530)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석커버(830)가 어플리케이터홀더결합부(535)의 외측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자석커버(830)의 내경을 어플리케이터홀더결합부(535)의 외경에 대응되게 형성하고, 자석커버(830)의 내주면에는 고정홈(836)이 형성되어 어플리케이터홀더결합부(535)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535a, 도 14 참조)가 고정홈(836)에 삽입됨으로써, 자석커버(830)를 어플리케이터홀더결합부(535)의 외측에 고정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자석커버(830)는 상면 중앙부에 자석안착홈(831)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어플리케이터홀더(810)의 제 1 자석삽입홈(814)에 삽입된 제 1 자성체(820) 또는 금속부재의 하부를 안착되게 지지한다.
또한, 어플리케이터홀더결합부(535)의 토출공(501, 도 14 참조)을 통해 밸브노즐(420)의 노즐홀(421a)과 연결되면서 미세토출홀(812)과 대응되도록 자석커버(830)의 상면에 자석안착홈(831)의 외주연을 따라 토출연결홀(832)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도 28은 도 21에 도시된 실링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29는 도 21에 도시된 실링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840)는 상부가 자석커버(830)의 내측에 삽입되고 하부가 어플리케이터홀더결합부(535)의 토출공(501)에 삽입되며 중앙부에 관통홀(841)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밸브노즐(420)의 상단부가 실링부재(840)의 관통홀(841)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밸브노즐(420)과 토출공(501) 사이로 누액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링부재(840)의 상부는 원형판 형태로 형성되고 외주면 가장자리에 상부로 돌출된 리브돌기(845)가 형성되어 자석커버(830)의 상면 하측 내주연 자장자리에 형성된 리브홈(834)에 삽입됨으로써, 실링부재(840)의 상부가 자석커버(83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실링부재(840)와 자석커버(830)의 사이로 누액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840)의 상부 원형판 상면에는 유로홈(842)이 소정 깊이로 형성됨으로써, 실링부재(840)의 리브돌기(845)가 자석커버(830)의 리브홈(834)에 삽입될 때 자석커버(830)의 상면과 실링부재(840)의 원형판 사이에는 유로홈(842)에 의한 공간이 형성되며, 실링부재(840)의 관통홀(841)을 관통한 밸브노즐(420)의 노즐홀(421a)에서 토출된 내용물(1)이 유로홈(842)을 통해 자석커버(830)의 토출연결홀(832)로 유입될 수 있다.
실링부재(840)의 하부는 중공의 원형관 형태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걸림돌기(843)가 형성되어 실링삽입부(536)의 토출공(501)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536)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도 30은 도 21에 도시된 화장퍼프부의 사시도이고, 도 31은 도 21에 도시된 화장퍼프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퍼프부(900)는 손잡이홀더(910), 제 2 자성체(920), 화장패드(930) 및 스펀지패드(94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홀더(910)는 어플리케이터홀더(810)와 대응되게 원형판 형태로 형성되며, 손잡이홀더(910)의 직경을 어플리케이터홀더(810)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홀더(910)의 상측 외주면을 따라 패드끼움홈(912)이 형성되어 화장패드(930)의 상단이 패드끼움홈(912)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홀더(910)는 상부에 손잡이(911)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 제 2 자성체(92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제 2 자석삽입홈(913)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제 2 자성체(920)는 제 2 자석삽입홈(913)에 삽입되며, 제 1 자성체(820)와 반대의 극성을 갖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자성체(820)를 N극 자석으로 구성하고 제 2 자성체(920)를 S극 자석으로 구성하거나, 반대로 제 1 자성체(820)를 S극 자석으로 구성하고 제 2 자성체(920)를 N극 자석으로 구성함으로써, 제 1 자성체(820)와 제 2 자성체(920) 또는 금속부재(미도시)와 제 2 자성체(920) 간의 자성 인력에 의해 화장퍼프부(900)가 어플리케이터부(800)에 부착될 수 있다.
화장패드(930)는 제 2 자성체(920)가 제 2 자석삽입홈(9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손잡이홀더(910)의 하부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때, 화장패드(930)의 상단부는 손잡이홀더(910)의 패드끼움홈(912)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화장패드(930)는 어플리케이터홀더(810)의 상면과 접촉하여 어플리케이터홀더(810)의 미세토출홀(812)을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1)을 흡수하여 화장시 사용할 일정량만큼의 내용물을 머금는 역할을 한다.
화장패드(930)는 흡수된 내용물이 손실되지 않도록 내용물의 휘발성을 방지하고 화장시 발림성이 우수한 루비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펀지패드(940)는 손잡이홀더(910)와 화장패드(930)의 사이에 삽입되고, 손잡이홀더(910)와 대응되게 원형판 형태를 가지며, 화장시 화장패드(930)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스펀지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이 토출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회전캡(530)을 회전시키면, 회전캡(530)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제 2 캠부(540)는 회전캡(530)과 일체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연동하여 제 2 캠부(540)의 내측면에 형성된 캠돌기(541)가 회전하면서 제 1 캠부(510)의 외측면에 형성된 경사돌기(515, 도 12 참조) 중 회전캡(530)의 회전방향에 대한 상향 경사면(515a, 도 12 참조)과 접촉하면서 제 1 캠부(510)를 하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제 1 캠부(510)의 외측면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517, 도 12 참조)가 토출관(320)의 내측면에 형성된 승강가이드홈(321, 도 4 참조)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 1 캠부(510)가 회전하지 않으면서 토출관(320) 내에서 하강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 1 캠부(510)에 끼워져 결합된 밸브노즐(420)의 노즐몸체(421)는 제 1 캠부(510)의 하강에 연동하여 하방으로, 즉 토출홀(301) 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노즐몸체(421)의 외측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 개폐부재(430)는 밸브하우징(410)과 노즐몸체(421) 사이로 유입되는 내용물(1)의 압력에 의해 토출홀(301) 반대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개폐부재(430)가 토출홀(301) 반대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개폐부(431, 도 9 참조)의 내측에 형성된 간극홈(431a, 도 9 참조)과 노즐몸체(421)에 형성된 유입홀(421b)이 일치하게 되면 간극홈(431a) 및 유입홀(421b)을 통해 액상의 내용물(1)이 노즐홀(421a) 내로 유입된다. 노즐홀(421a) 내로 유입된 내용물(1)은 실링부재(840)의 관통홀(841)을 통해 유로홈(842)으로 유입된 후 자석커버(830)의 토출연결홀(832)을 통과하여 어플리케이터홀더(810)에 형성된 다수의 미세토출홀(812)을 통해 토출된다. 이렇게 어플리케이터홀더(810)의 미세토출홀(812)을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은 어플리케이터홀더(810)의 상면(811)과 접촉된 화장패드(930)에 화장시 사용할 일정량만큼의 내용물이 흡수되어 머금게 된다.
이처럼, 사용할 용량만큼만 내용물(1)을 토출시킨 상태에서 화장패드(930)로 내용물을 터치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용기몸체(100)의 내부에 채워진 내용물과 용기몸체(100)의 외부로 토출된 내용물을 서로 분리 차단시킬 수 있으므로 내용물의 오염 및 세균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터홀더(810)의 상면 자장자리 테두리부(813)가 상향으로 살짝 라운드지게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화장패드(930)를 어플리케이터홀더(810)의 상면(811)에 접촉하거나 상면(811)에 접촉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면서 터치할 때 어플리케이터홀더(810)의 상면(811)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어플리케이터홀더(810)의 라운드진 테두리부(813) 내에는 토출된 내용물(1)이 잔존하지 않게 되어 어플리케이터홀더(810)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 토출이 차단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캠부(510)가 하강하여 밸브유닛(400)이 개방되어 토출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회전캡(530)을 더 회전시키게 되면, 제 2 캠부(540)의 캠돌기(541)가 제 1 캠부(510)의 상향 경사면(515a, 도 12 참조)을 지나 하향 경사면(515b, 도 12 참조)과 접촉하고 스프링(520)의 복원력에 의해 제 1 캠부(510)가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 1 캠부(510)에 끼워져 결합된 밸브노즐(420)의 노즐몸체(421)는 제 1 캠부(510)의 상승 이동에 연동하여 상방으로, 즉 토출홀(301) 반대측으로 이동된다. 노즐몸체(421)가 토출홀(301) 반대측으로 이동될 때, 즉 노즐몸체(421)가 상승할 때 개폐부재(430)는 노즐몸체(421)에 의해 밀려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유입홀(421b)을 차단하게 되어 내용물(1)의 토출이 정지된다. 이처럼 내용물(1)의 토출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화장퍼프부(900)는 어플리케이터부(800)의 상부에 자성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성에 의해 부착시 어플리케이터부(800)의 미세토출홀(812)을 밀봉하도록 유지시켜 기밀성을 향상시키며, 이에 따라 내용물(1)의 휘발성을 방지함과 아울러 공기를 차단하여 내용물(1)의 산패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자격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용기몸체 200 : 가압홀더부
210 : 가압부 220 : 접촉부
300 : 숄더부 310 : 숄더몸체
320 : 토출관 400 : 밸브유닛
410 : 밸브하우징 411 : 노즐삽입부
413 : 단차부 420 : 밸브노즐
421 : 노즐몸체 423 : 환형돌부
430 : 개폐부재 440 : 밸브캡
500 : 밸브엑츄에이터부 510 : 제 1 캠부
511 : 제 1 캠몸체 513 : 탄성부재 지지부
515 : 경사톱니 517 : 회전방지돌기
520 : 탄성부재(스프링) 530 : 회전캡
531 : 회전결합부 533 : 뚜껑결합부
535 : 어플리케이터홀더결합부 540 : 제 2 캠부
541 : 캠돌기 550 : 실링부재
600 : 어플리케이터부 610 : 어플리케이터홀더
620 : 흡수패드 630 : 화장패드
631 : 미세토출홀 640 : 패드고정홀더
700 : 용기뚜껑 710 : 거울
800 : 어플리케이터부 810 : 어플리케이터홀더
820 : 제 1 자성체 830 : 자석커버
840 : 실링부재 900 : 화장퍼프부
910 : 손잡이홀더 920 : 제 2 자성체
930 : 화장패드 940 : 스펀지패드

Claims (15)

  1.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채워지는 용기몸체;
    상기 용기몸체의 상단 개방부에 결합되며, 중심부에 토출홀이 형성된 토출관을 갖는 숄더부;
    상기 토출관에 삽입되며, 밸브노즐이 승강함에 따라 상기 토출홀을 개폐하는 밸브유닛;
    상기 숄더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운동을 상기 밸브노즐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토출홀을 개폐하되, 회전에 의해 상기 밸브노즐을 하강시킬 때 상기 토출홀을 개방하여 내용물의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밸브노즐을 상승시킬 때 상기 토출홀을 폐쇄하여 내용물의 토출을 차단하는 밸브엑츄에이터부; 및
    상기 밸브엑츄에이터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밸브엑츄에이터부의 회전에 의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다수의 미세토출홀을 통해 토출시키는 어플리케이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숄더부는,
    상기 용기몸체의 상단 외측에 끼워져 결합되는 숄더몸체; 및
    상기 숄더몸체의 중심부에 상부가 개방된 원형관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밸브하우징이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토출홀이 형성되는 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토출관의 내측 하부에 상부가 개방된 원형관 형태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토출홀과 연통되는 밸브하우징;
    상기 밸브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홀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노즐홀이 형성되고, 측부에 상기 노즐홀과 연결되어 내용물이 상기 노즐홀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홀이 형성되는 밸브노즐;
    상기 밸브노즐의 외측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밸브노즐이 상기 토출홀측으로 이동될 때에는 상기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노즐 사이로 유입되는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상기 토출홀 반대측으로 밀려 상기 유입홀을 개방하고, 상기 밸브노즐이 상기 토출홀 반대측으로 이동될 때에는 상기 밸브노즐에 의해 밀려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상기 유입홀을 차단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밸브노즐의 상부가 관통하도록 상기 밸브하우징과 결합되는 밸브캡;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엑츄에이터부는,
    상기 밸브캡의 상부에 끼워지고, 상기 밸브노즐이 중심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외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경사톱니가 다수 형성되는 제 1 캠부;
    상기 밸브캡에 대하여 상기 제 1 캠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숄더부의 외측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밸브노즐의 상단이 상면 중심부를 관통하며, 상면 중심부의 내측 하부에 원형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경사톱니와 대응되도록 다수의 캠돌기를 갖는 제 2 캠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캡;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캡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 2 캠부의 캠돌기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캠부의 경사톱니와 경사접촉에 의해 상기 제 1 캠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제 1 캠부와 연결된 상기 밸브노즐을 승강시켜 상기 토출홀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품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톱니는 상기 회전캡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상향 경사면과 하향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회전캡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 2 캠부의 캠돌기가 상기 상향 경사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 1 캠부를 하부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밸브노즐이 상기 토출홀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토출홀을 개방하고, 상기 제 2 캠부의 캠돌기가 상기 상향 경사면을 지나 상기 하향 경사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 1 캠부를 상부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밸브노즐이 상기 토출홀 반대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토출홀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품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캠부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숄더부의 토출관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승강가이드홈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상기 승강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캡을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상기 승강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1 캠부가 회전하지 않으면서 상기 토출관 내에서 승강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품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캡은,
    중공의 원형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숄더부의 외측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결합부;
    상기 회전결합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고, 내경 및 외경이 상기 회전결합부 보다 축소되며, 외측에 용기뚜껑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뚜껑결합부;
    상기 뚜껑결합부의 상면에 돌출 연장되고 중심부에 토출공이 형성되며, 어플리케이터홀더가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어플리케이터홀더결합부; 및
    상기 뚜껑결합부의 상면 중심부의 내측 하부에 원형관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캠부;를 포함하는 액상 화장품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캡은, 상기 어플리케이터홀더결합부의 토출공에 삽입 결합되고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밸브노즐의 상단부가 상기 실링부재의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실링부재에 의해 상기 밸브노즐과 상기 토출공 사이로 누액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품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부는,
    상기 어플리케이터홀더결합부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실링부재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밸브노즐의 노즐홀과 연결되도록 중앙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어플리케이터홀더;
    상기 어플리케이터홀더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어플리케이터홀더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을 흡수하여 머금는 흡수패드; 및
    상기 흡수패드의 상면을 커버한 상태로 상기 어플리케이터홀더에 고정되고, 상기 흡수패드에 흡수된 내용물이 미세하게 토출되도록 미세토출홀이 다수 형성되는 화장패드;를 포함하는 액상 화장품 용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부의 상부에 자성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자성에 의해 부착시 상기 어플리케이터부의 미세토출홀을 밀봉하도록 유지시키는 화장퍼프부를 더 포함하는 액상 화장품 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부에는 제 1 자성체 또는 금속부재가 내장되고,
    상기 화장퍼프부에는 상기 제 1 자성체와 반대의 극성을 갖는 제 2 자성체가 내장되어, 상기 제 1 자성체와 상기 제 2 자성체 또는 상기 금속부재와 상기 제 2 자성체 간의 자성 인력에 의해 상기 화장퍼프부가 상기 어플리케이터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품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부는,
    상기 회전캡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면 하부 중앙에 제 1 자석삽입홈이 형성된 원통형의 자석하우징이 구비되며, 상기 자석하우징의 상면을 관통하는 미세토출홀이 다수 형성되는 어플리케이터홀더;
    상기 제 1 자석삽입홈에 삽입되는 제 1 자성체 또는 금속부재; 및
    상부가 상기 자석하우징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제 1 자성체 또는 상기 금속부재를 커버하고, 하부가 상기 어플리케이터홀더결합부의 외측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어플리케이터홀더결합부의 토출공을 통해 상기 밸브노즐의 노즐홀과 연결되면서 상기 미세토출홀과 대응되도록 상면에 토출연결홀이 다수 형성되는 자석커버;를 포함하는 액상 화장품 용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부는, 상부가 상기 자석커버의 내측에 삽입되고 하부가 상기 어플리케이터홀더결합부의 토출공에 삽입되며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밸브노즐의 상단부가 상기 실링부재의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밸브노즐과 상기 토출공 사이로 누액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품 용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퍼프부는,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 제 2 자석삽입홈이 형성되는 손잡이홀더;
    상기 제 2 자석삽입홈에 삽입되는 제 2 자성체; 및
    상기 제 2 자성체가 상기 제 2 자석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홀더의 하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어플리케이터홀더의 상면과 접촉하여 상기 미세토출홀을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흡수하여 머금는 화장패드;를 포함하는 액상 화장품 용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홀더는, 상기 화장패드의 하면 가장자리의 곡면과 대응되게 상면의 가장자리 테두리부를 라운드지게 곡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화장패드와 접촉시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상기 어플리케이터홀더의 라운드진 테두리부에 토출된 내용물이 잔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품 용기.
KR1020160178009A 2016-11-02 2016-12-23 액상 화장품 용기 KR101748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459,944 US10342314B2 (en) 2016-11-02 2017-03-15 Liquid cosmetics case
CN201720552205.XU CN207090027U (zh) 2016-11-02 2017-05-18 液体化妆品容器
EP17199677.0A EP3318507B1 (en) 2016-11-02 2017-11-02 Liquid cosmetics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45323 2016-11-02
KR1020160145323 2016-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746B1 true KR101748746B1 (ko) 2017-06-19

Family

ID=59279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009A KR101748746B1 (ko) 2016-11-02 2016-12-23 액상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42314B2 (ko)
EP (1) EP3318507B1 (ko)
KR (1) KR101748746B1 (ko)
CN (1) CN20709002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6752A (ko) * 2017-06-15 2018-1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KR20190126293A (ko) * 2017-03-20 2019-11-11 압타르 라돌프? 게엠베하 방출 스펀지를 포함하는 액체 디스펜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02014016689B1 (pt) * 2014-07-04 2021-12-28 Eric Zembrod Mecanismo valvulado com ponteira aplicadora para embalagens de cosméticos
USD892631S1 (en) * 2018-06-18 2020-08-11 Eric Zembrod Packaging
DE202019002457U1 (de) * 2019-06-05 2020-09-24 Schwan Cosmetics InternationaI GmbH Gerät zum Auftragen einer viskosen Substanz
CN110949878B (zh) * 2020-02-21 2020-09-11 安徽铭装塑业有限公司 一种气体喷雾化妆品包装瓶
CN111568019B (zh) * 2020-05-22 2023-09-01 广州丽达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减少浪费的喷雾化妆品试用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21563A (ja) * 2011-07-26 2014-08-28 ヨンウ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ポンピング式化粧品容器
KR101563706B1 (ko) 2014-05-14 2015-10-27 전재현 화장품용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3690B2 (ja) * 2000-02-21 2010-08-11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エアゾール容器用小分分配装置
KR100702621B1 (ko) 2005-10-26 2007-04-04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액상 화장품 용기
KR200452316Y1 (ko) 2009-09-14 2011-02-22 (주)아우딘퓨쳐스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101192211B1 (ko) * 2010-09-17 2012-10-17 (주)연우 회전개폐형 브러시 튜브형 화장품용기
KR101565857B1 (ko) * 2014-12-31 2015-11-05 (주)연우 회전 토출식 염색제 용기
EP3095522A1 (de) * 2015-05-20 2016-11-23 Aptar Radolfzell GmbH Inhalationseinrichtung, inhalationseinrichtungs-set und düsenplatte hierfü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21563A (ja) * 2011-07-26 2014-08-28 ヨンウ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ポンピング式化粧品容器
KR101563706B1 (ko) 2014-05-14 2015-10-27 전재현 화장품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6293A (ko) * 2017-03-20 2019-11-11 압타르 라돌프? 게엠베하 방출 스펀지를 포함하는 액체 디스펜서
KR102427476B1 (ko) 2017-03-20 2022-07-29 압타르 라돌프?f 게엠베하 방출 스펀지를 포함하는 액체 디스펜서
KR20180136752A (ko) * 2017-06-15 2018-1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KR102038562B1 (ko) 2017-06-15 2019-10-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18507B1 (en) 2019-03-27
CN207090027U (zh) 2018-03-13
EP3318507A1 (en) 2018-05-09
US20180116369A1 (en) 2018-05-03
US10342314B2 (en)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746B1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101736817B1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101559078B1 (ko)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KR101487191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US7494030B2 (en) Sifter device for container
US20180192760A1 (en) Compact container having button member enabling easy assembly
KR101604779B1 (ko) 디스펜서 용기
KR20090104593A (ko) 화장품 용기
KR102371335B1 (ko) 리필형 스틱 파운데이션 용기
KR20150110035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661581B1 (ko) 펌프 타입 콤팩트 용기
KR20140084055A (ko) 제품 용기, 특히 화장품 용기를 위한 밀폐 캡
CN105473023A (zh) 气密性粉饼容器
KR20150110037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20160001262U (ko) 도포용볼을 구비한 펌프 용기
KR100518614B1 (ko) 화장품 용기
KR101223827B1 (ko) 고점도 크림 용기
KR20180015360A (ko) 액상 화장품 용기
EP3646753A1 (en) Cosmetic container
KR20140102886A (ko) 치약 용기 조립체
JP7196191B2 (ja) 化粧品容器
KR102130249B1 (ko) 퍼프 일체형 쿠션 파운데이션 케이스
KR20210043540A (ko) 화장품 용기
KR200358810Y1 (ko) 상승 기능을 갖는 크림자
KR20110042702A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