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8614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8614B1
KR100518614B1 KR10-2003-0028327A KR20030028327A KR100518614B1 KR 100518614 B1 KR100518614 B1 KR 100518614B1 KR 20030028327 A KR20030028327 A KR 20030028327A KR 100518614 B1 KR100518614 B1 KR 100518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crew bar
container body
couple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4511A (ko
Inventor
김윤회
Original Assignee
김윤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회 filed Critical 김윤회
Priority to KR10-2003-0028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8614B1/ko
Publication of KR20040094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4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6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7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의 화장품을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립글로즈와 같은 유동성있는 액상의 화장품을 필요한 양만큼 배출시키는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의 외부에 형성된 버튼을 누름에 따라 용기 내부의 작동부재가 피스톤을 상승시켜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화장품이 일정량씩 배출되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상기 버튼식 구조에 의해 한손(ONE HAND)으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LIP PACKAGE}
본 발명은 액상의 화장품을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립글로즈와 같은 유동성있는 액상의 화장품을 필요한 양만큼 배출시키는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의 외부에 형성된 버튼을 누름에 따라 용기 내부의 작동부재가 피스톤을 상승시켜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화장품이 일정량씩 배출되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상기 버튼식 구조에 의해 한손(ONE HAND)으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립글로즈는 유동성을 가지는 액상의 화장품으로서, 입술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필요한 색과 광택이 유지되도록 하며 입술의 건강상태와 미용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립글로즈를 수용하는 화장품용기는 첨부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에 일체로 또는 손잡이와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원통형태의 로드 및 상기 로드의 하부에 삽입 고정된 브러시로 이루어지는 화장용 솔대와, 립글로즈액이 수용되는 용기본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용기는 립글로즈액의 최소부위만이 외부공기와 접촉되는 입구부를 가지며, 이에 의해 상기 로드는 상기 용기에 삽입되었을 때 로드에 삽입 고정된 브러시의 하단면이 용기의 바닥면에 접하도록 길게 형성되고 상기 용기의 입구부에서 입출 가능한 직경을 가지도록 이루어져, 상기 로드의 반복된 승·하강의 동작에 의해 상기 브러시에 립글로즈액이 묻으면 상기 화장용 솔대를 용기에서 빼낸 후 원하는 신체의 부위에 발라서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장품 용기는 브러시가 고정된 솔대를 용기본체에서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만일 상기 용기본체에 립글로즈액이 다량 수용된 상태이면 상기 브러시 뿐만 아니라 로드에 립글로즈액이 과도하게 묻혀지게 되어 입술과 입술주위의 피부에도 립글로즈액이 발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립글로즈액을 사용할때 마다 립글로즈액을 브러시에 묻혀야 하므로 수시로 용기와 분리 또는 결합되어야 하는데, 이때 상기 브러시의 외측을 이루는 모(毛)들이 상기 용기의 입구부와 수시로 접촉하게 되어 상기 모들이 바깥쪽으로 휘거나, 꼬이거나 또는 빠지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상기 모들이 대기중에 오래 노출되면 금새 경화되어 이 역시 브러시가 딱딱해지는 등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3-0015539호(출원번호 제10-2001-0049313호) "액형 립 펜슬의 용기"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립스틱 액(100)을 수용하는 용기 몸체(110); 상기 몸체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꼭지(120), 및 뚜껑(130)과; 상기 꼭지(120)의 회전으로 연동되어 승강 출몰하는 솔 몸체(140)와 솔(B); 상기 용기 몸체(110) 저부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하부 놉(150); 상기 하부 놉(150)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내측 스크루(160); 이 내측 스크루(160)로 승강되는 선단에 피스톤(171)을 구비한 스크루바(170); 및 상기 피스톤(171)의 리딩에 따라 몸체 내의 액을 솔 몸체(140)의 브러시 하단 근처에 위치되게 관통 설치된 관(180)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부 놉(150)의 테두리돌기(113)가 용기 몸체(110)의 하부의 테두리홈(11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 놉(150)이 회전됨에 따라 상부둘레의 돌기(154)가 내측 스크루(160)의 돌기(164)를 타고 넘으면서 클릭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기 하부 놉(150)의 암나사부((151)가 스크루 바(170)의 나사부를 회전시켜서 피치이동시키고, 상기 스크루 바(170)의 상단에 결합된 피스톤(171)이 용기 몸체(110)에 수용된 액(100)을 압압함으로써 액상의 립스틱은 관(180)을 통하여 솔에 흡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액상의 립스틱이 용기내에서 기밀하게 보관되고, 상기 하부 놉(150)의 회전에 따라 액이 서서히 유출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액형 립 펜슬의 용기를 사용하여 화장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한손으로 용기 몸체(110)를 파지한 후 나머지 한손으로 하부 놉(150)을 파지한 후 회전시켜야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두 손 모두 사용해야 하므로 휴대시 거울 등을 보면서 화장을 할 때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액형 립 펜슬의 용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뚜껑(130)을 결합시켜 두지만, 상기 뚜껑(130)이 용기 몸체(11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기 하부 놉(150)의 회전이 가능하므로 액이 분출될 우려가 있고, 그로인해 제품이 보관되는 가방의 내부에 액이 묻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액형 립 펜슬의 용기는 다수의 모를 가지는 브러시로서, 상기 브러시에 립글로즈액이 묻어도, 상기 모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상기 모 전체에 립글로즈액을 묻혀야 하므로 많은 양이 소요되고, 빨리 건조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액형 립 펜슬의 용기는 액을 분출시키기 위한 하부 놉(150)의 결합구조 및 솔 몸체(140)를 용기 몸체(110) 외부로 상승시키기 위한 결합구조로 인해 제작공정이 복잡하고,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대부분의 액상 화장품 용기는 미관상 길고 얇게 형성되어 용기 몸체(110)의 내부에 액상 화장품을 약 1.5~2.0 ml 정도 밖에 수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린더의 외주면에 형성된 버튼을 누르면 용기몸체 내부의 작동부재가 작동되어 피스톤이 상승됨으로써 상기 실린더에 수용된 화장품이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이 간편하고, 상기 버튼식 구조로 인해 한손으로 화장품 용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화장품 용액을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한손(ONE HAND)으로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화장을 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몸체에 뚜껑이 결합되면 버튼이 작동되지 않는 잠금기능을 가지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상 화장품이 분출되는 분출부재의 형태가 일반적인 립스틱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이 더욱 용이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상 화장품을 수용하는 다공성의 흡수부재가 상기 분출부재에 끼워져, 액상 화장품을 더욱 용이하게 피부에 바를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상 화장품을 분출시키기 위한 내부구조가 간단하게 형성되어 다량의 액상 화장품을 수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푸시버튼을 가지는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에 결합되어 액상의 화장품을 수용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며, 상면에 다수개의 분출공이 형성된 분출부재와; 상기 실린더의 횡단면과 동일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하여 액상의 화장품을 가압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용기몸체의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푸시버튼의 푸시동작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을 수직상승시킴으로써, 상기 분출부재로 액상의 화장품이 분출되도록 작동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분출부재를 밀폐시키는 뚜껑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푸시버튼은 용기몸체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져, 상기 뚜껑이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결합시, 상기 푸시버튼의 고정홈에 상기 뚜껑의 일단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푸시버튼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분출부재의 상면은 상기 실린더의 횡단면에 대하여 경사진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면에는 다수개의 분출공이 형성된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분출부재의 상면을 덮도록 스폰지류의 흡수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푸시버튼의 푸시동작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너트플레이트와; 상기 너트플레이트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너트플레이트의 회전에 의해 상승운동하는 스크류바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바와 결합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스크류바의 상승운동에 의해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푸시버튼의 푸시동작에 의하여 수직상승하는 캠과; 상기 캠과 요철결합되어 상기 캠이 상승되는 위치만큼 함께 상승하는 스크류바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바와 결합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스크류바의 상승에 의해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푸시버튼은, 상기 용기몸체의 관통홀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된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용기몸체의 내측에 고정되는 이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부의 양 측벽에는 작동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해 높이차를 가지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끝단에는 푸시버튼이 수평왕복운동되도록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캠은 푸시버튼의 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수평이동에 의해 수직상승되고; 상기 캠의 수직상승에 의해 스크류바가 수직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캠의 하부로 위치되고, 상기 스크류바와 래치결합되어 상기 스크류바의 수직상승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의 화장품으로는 립글로즈액이 적용되는 것을 것을 실시예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분출부재(2), 피스톤(3), 푸시버튼(4), 작동부재(6), 하부캡(5)이 용기몸체(1)에 수납되고, 립글로즈액(9)(도 3, 도 4 참조)은 상기 용기몸체(11)와 결합된 실린더(11) 내에 수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용기몸체(1)와 실린더(11)는 일체로 이루어지지만, 상기 용기몸체(1)는 작동요소들이 수납되고, 상기 실린더(11)에는 립글로즈액(9)이 수용되므로, 사용 특성상 분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용기몸체(1)는 립글로즈액(9)을 분출시키기 위한 작동요소들이 수납되는 공간으로, 상기 용기몸체(1)의 상부로는 상기 립글로즈액(9)을 수용하는 원통형의 실린더(11)가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11)의 하부인 용기몸체(1)의 내부에는 상기 립글로즈액(9)을 상부로 압출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조립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11)의 외주면은 상기 용기몸체(1)의 외주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상기 실린더(11)와 용기몸체(1)의 결합부위에는 단차를 가지는 걸림턱(16)이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11)는 립글로즈액(9)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상기 실린더(11)의 테두리(12) 내측으로는 립글로즈액(9)이 분출되는 유출통로인 네크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네크부(13)는 상기 테두리(12)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테두리(12)와 네크부(13) 사이에는 소정폭과 깊이를 가지는 결합홈(14)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분출부재(2)가 결합되게 되고, 상기 용기몸체(1)에 하부에는 후술되는 작동부재(6) 및 하부캡(5)이 결합되도록 개방공(1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1)의 일면에는 소정크기를 가지는 관통홀(15)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푸시버튼(4)의 버튼부(41)가 상기 관통홀(15)에 결합되어 작동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관통홀(15)은 상기 걸림턱(16)이 형성된 용기몸체(1)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7)의 내주면 직경은 상기 실린더(11)의 외주면과 동일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용기몸체(1) 상부로 끼워맞춤되어 하강하면서 상기 실린더(11)와 용기몸체(1)를 구분짓는 상기 걸림턱(16)에 걸리게 되어 상기 실린더(11)와 일체형의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분출부재(2)는 상기 실린더(11)에 수용된 립글로즈액(9)을 상기 네크부(13)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수단으로, 상기 분출부재(2)는 상기 네크부(13)와 연통되도록 하부가 개방되고 상면(24)에는 다수개의 분출공(25)이 형성되며, 그 외주면 둘레로는 상기 실린더(11)의 테두리(12)에 안착되도록 플랜지(2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11)의 결합홈(14)에 끼워져 고정결합되도록 상기 플랜지(21)의 하부로는 상기 결합홈(14)의 두께 및 길이에 대응되는 끼움부(22)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21)의 내측으로는 상기 상면(24)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분출부재(2)의 외주면과 연결되는 요홈(23)이 형성되어, 스폰지 등의 흡수성이 뛰어난 다공성의 흡수부재(8)(도 6 참조)로 상기 상면(24)을 커버하면서 상기 흡수부재(8)의 끝단을 상기 요홈(23)에 끼워넣어 사용하여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면(24)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형의 립스틱 형태와 유사하게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상면(24)이 편평한 원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상면(24)이 중앙를 향하여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피스톤(3)은 상기 실린더(11) 내부에 수용된 립글로즈액(9)을 상기 분출부재(2)로 압출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립글로즈액(9)이 하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11)의 내주면 횡단면과 동일형태 및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그 하부면 중앙에는 피스톤(3)을 상승시키기 위해 작동부재(6)의 스크류바(60)가 결합되는 끼움홈(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3)의 소재로는 실리콘 또는 탄성재질을 가지는 합성수지가 사용되어, 상기 피스톤(3)이 실린더(11) 내부에 결합되면 상기 피스톤(3)은 그 재질의 특성으로 상기 실린더(11)의 내주면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실린더(11)의 내부가 완전 밀폐된 상태가 되므로 립글로즈액(9)이 상기 실린더(11)의 하부로 유출되는 것은 방지되고, 또 외부의 압력이 가해지면 그 재질의 특성상 이동가능하므로 립글로즈액(9)을 가압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상기 푸시버튼(4)는 외부의 힘을 작동부재(6)로 전달하여 상기 피스톤(3)을 상승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실린더(11)의 관통홀(15)을 통해 장착되어 외부의 힘을 전달하는 버튼부(41)와, 상기 용기몸체(1)의 내주면에 고정부착되고 상기 버튼부(41)와 결합하여 상기 작동부재(6)의 너트플레이트(70)를 회전시키는 가동부(46)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부(41)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진 누름부(42)와, 상기 누름부(42)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수평연장된 연결부(43)와, 상기 연결부(43) 끝단에서 상부로 수직 연장된 결합부(44)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부(44)가 상기 가동부(46)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43)의 하부면은 상기 관통홀(15)의 아래면에 안착되어 상기 누름부(42)는 전후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부(42)는 상기 관통홀(15)에서 전후이동이 자유롭도록 상기 관통홀(15)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44)는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관통홀(15)보다 큰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가동부(46)는 상기 용기몸체(1)의 내주면을 감싸고 약간의 여유길이를 가지도록 상기 용기몸체(1)의 원주보다 긴 둘레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가동부(46)의 탄성돌기(48)의 두께는 상기 작동부재(6)의 너트플레이트(70)에 형성된 기어돌기(73) 사이에 끼워지도록 소정의 길이 및 두께를 가지는 편평한 면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가동부(46)를 상기 용기몸체(1) 내주면에 접착되는 접착면(47)와, 상기 버튼부(41)와 결합되는 비접착면(47') 및 탄성돌기(48)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접착면(47)이 상기 용기몸체(1)의 관통홀(15)을 제외한 나머지 내주면을 감싸도록 고정부착되면, 상기 접착면(47)에서 연장된 비접착면(47')이 상기 관통홀(15)에 위치되면서 상기 관통홀(15)을 통해 용기몸체(1) 내부로 삽입된 상기 버튼부(41)의 결합부(44)가 접착되어 일체가 되고, 상기 비접착면(47')에서 연장된 탄성돌기(48)는 내측으로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탄성돌기(48)는 상기 작동부재(6)의 기어돌기(73)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부(41)에 외부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버튼부(41)의 연결부(43)가 관통홀(15)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게 되고 동시에 상기 버튼부(41)의 결합부(44)와 일체가 된 가동부(46)의 비접착면(47')이 내측 후방으로 위치이동되면서 상기 비접착면(47')에서 연장된 탄성돌기(48)가 상기 작동부재(6)의 기어돌기(73)를 밀게 되어 상기 기어돌기(73)가 회전하여 위치이동되고, 외부의 힘이 제거되면 상기 버튼부(41)가 원위치로 원상복귀되고, 상기 가동부(46)도 그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탄성돌기(48)는 상기 기어돌기(73)와 이웃하는 기어돌기(73)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상술된 상기 버튼부(41)와 가동부(46)는 분리된 형태이지만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다.
또한, 상기 푸시버튼(4)의 버튼부(41)가 용기몸체(1)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7)을 용기몸체(1)에 결합시키면, 상기 뚜껑(7)이 용기몸체(1)의 외주면을 타고 슬라이딩 하강되면서 상기 관통홀(15)에 설치된 버튼부(41)의 연결부(43)에 안착되는데, 즉 상기 용기몸체(1)에는 관통홀(15)을 통해 버튼부(41)의 결합부(44)가 용기몸체(1)의 내주면에 위치된 상태이고, 상기 버튼부(41)의 누름부(42)는 용기몸체(1)의 외측에 위치된 상태이며, 상기 결합부(44)와 누름부(42)를 연결하는 연결부(43)는 상기 관통홀(15)의 아래면에 안착된 상태이므로, 상기 뚜껑(7)의 하단은 상기 연결부(43)인 고정홈(45)에 안착되면서 상기 용기몸체(1)에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푸시버튼(4)은 상기 뚜껑(7)에 의해 동작할 수 없는 고정된 상태가 된다.
상기 작동부재(6)는 푸시버튼(4)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피스톤(3)을 상승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푸시버튼(4)의 탄성돌기(48)에 의하여 회전운동하는 너트플레이트(70)와, 상기 너트플레이트(70)와 나사결합에 의해 수직 상승운동하여 피스톤(3)을 상승시키는 스크류바(60)와, 상기 너트플레이트(70)가 소정피치를 가지고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래치결합되는 탄지링(80)과, 상기 탄지링(80)이 너트플레이트(70)와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탄성부재(90)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류바(60)는 긴 봉형태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나사산(61)이 형성되어 이루어져, 상기 너트플레이트(70)의 중앙공(74)에 형성된 나사골(75)과 나사결합되고, 그 상단이 피스톤(3)의 끼움홈(31)에 고정결합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바(60)의 외주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길이전체에 대하여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가이드홈(62)이 적어도 한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너트플레이트(70)의 디스크(71)는 상기 용기몸체(1)의 몸체하부에서 회전운동되도록 상기 용기몸체(1)의 내주면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디스크(71)의 직경은 상기 용기몸체(1)에 고정된 가동부(46)에 걸려 상승되지 않을 만큼의 크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71)의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형성된 기어축(72)은 상기 가동부(46)의 탄성돌기(48)가 접촉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기어축(72)의 외주면 전체에는 상기 탄성돌기(48)의 두께에 대응되는 기어돌기(73)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너트플레이트(70)의 중앙 즉, 상기 디스크(71)와 기어축(72)의 중앙 길이방향으로는 상기 스크류바(60)가 삽입되도록 상기 너트플레이트(70)를 관통하는 중앙공(7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공(74)의 내주면은 상기 스크류바(6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61)에 대응되는 나사골(7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너트플레이트(70)의 중앙공(74) 내로 상기 스크류바(60)가 삽입된 후 상기 너트플레이트(7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스크류바(60)가 상기 중앙공(74)에 형성된 나사골(75)을 타고 수직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디스크(71)의 하부면에는 상기 중앙공(74)을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다수개의 래치기어(76)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래치기어(76)의 돌기는 직각삼각형의 톱니형태를 가지므로, 상기 너트플레이트(70)는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각각의 래치기어(76) 사이간격은 소정의 피치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71)와 후술되는 탄지링(80)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플레이트(7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스크류바(60)는 상승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의한 작동상태 참조)
상기 탄지링(80)은 상하부가 천공된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너트플레이트(70)의 디스크(71) 하부로 삽입되어 래치결합되도록 상기 디스크(71) 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지링(80)의 상부면에는 상기 너트플레이트(70)의 래치기어(76)에 대응되는 래치걸이(81)가 적어도 한개 이상 형성되어, 상기 탄지링(80)이 상기 너트플레이트(70)의 디스크(71) 하부로 삽입된 후, 상기 너트플레이트(70)가 회전운동되면 상기 래치기어(76)와 래치걸이(81)의 대응되는 구조로 인해 상기 너트플레이트(70)는 일방향으로만 회전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지링(80)의 외주면 수직방향으로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82)가 적어도 한개 이상 형성되어, 상기 탄지링(80)이 상기 하부캡(5)의 안착홈(55)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탄지링(80)의 돌기(82)가 상기 하부캡(5)의 원기둥(56)에 내주면에 형성된 지지홈(57)에 끼워지게 되어 상기 탄지링(80)은 고정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너트플레이트(70)의 회전에 연동되지 않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90)는 탄성이 우수한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상기 탄지링(80)과 너트플레이트(7)의 하부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상기 하부캡(5)의 안착홈(55)에 끼워져서 그 상부로 안착되는 상기 탄지링(80)과 래치결합된 상기 너트플레이트(70)가 제자리에서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상기 탄지링(80)의 하부에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 하부캡(5)은 하부에 개방공(17)이 형성된 상기 용기몸체(1)를 밀폐시키기 위한 바닥면(51)과, 상기 바닥면(51)을 상기 개방공(17)을 통해 용기몸체(1)에 결합하도록 상부로 연장형성된 원기둥(56)과, 상기 작동부재(6)의 스크류바(60)가 수직상승되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면(51)의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형성된 스플라인(52)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원기둥(56)과 스플라인(52) 사이에는 상기 탄지링(80) 및 탄성부재(90)가 끼워지는 안착홈(5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기둥(56) 및 스플라인(52)의 수직길이는 상기 안착홈(55)에 상기 탄성부재(90) 및 탄지링(80)이 결합되었을 때 이들 전체를 수용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기둥(56)의 내주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한개 이상의 지지홈(57)이 형성되어, 상기 탄지링(80)이 상기 안착홈(55)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탄지링(80)에 형성된 돌기(82)가 상기 지지홈(57)에 끼워져 상기 탄지링(80)은 탄성부재(90)에 의해 수직운동은 가능하지만 회전되는 것은 방지된다. 상기 스플라인(52)은 내부에 상기 스크류바(60)가 끼워지도록 내부홈(53)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홈(53)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바(60)에 형성된 가이드홈(62)에 대응되도록 상기 내주면의 수직방향으로 길이전체에 대하여 돌출된 가이드돌기(54)가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바(60)가 스플라인(52)의 내부홈(53)으로 삽입될 때 상기 스크류바(60)의 가이드홈(62)에 상기 스플라인(52)의 가이드돌기(54)가 끼워지면서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스크류바(60)는 수직상승은 가능하지만 회전운동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요소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상기 실린더(11) 상부로 분출부재(2)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11)와 결합된 용기몸체(1)의 내부에는 스크류바(60)가 고정된 피스톤(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1)의 관통홀(15)을 기준으로 내부에는 가동부(46)가, 외부에는 버튼부(4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부(46)의 하부로는 너트플레이트(70)가 회전운동 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너트플레이트(70)의 기어축(72)에는 상기 가동부(46)의 탄성돌기(48)가 접촉된 상태이며, 상기 너트플레이트(70)의 중앙공(74)에는 스크류바(60)가 나사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너트플레이트(70)의 하부로는 탄지링(80) 및 탄성부재(90)가 순차적으로 조립되는데, 이때 상기 탄지링(80) 및 탄성부재(90)는 상기 하부캡(5)에 형성된 안착홈(55)에 내장되며, 상기 너트플레이트(70)의 중앙공(74) 내로 돌출된 스크류바(60)도 상기 하부캡(5)에 형성된 스플라인(52)의 내부홈(53)에 끼워지며, 상기 하부캡(5)은 상기 용기몸체(1)의 개방공(17)에 억지끼움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작동원리를 도 3와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화장품 용기의 실린더(11)에 설치된 피스톤(3)의 상부로는 립글로즈액(9)이 수용되어 있는 상태이다. 참고로, 후술되는 설명 중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푸시버튼(4)을 가압하기 전에 상기 푸시버튼(4)의 탄성돌기(48)가 접촉된 너트플레이트(70)의 기어돌기(73)를 A라 칭하고, 상기 화장품 용기의 푸시버튼(4)에 가압력을 제거한 후에 상기 푸시버튼(4)의 탄성돌기(48)가 접촉되는 기어돌기(73)를 B라 칭하도록 한다.
우선, 사용자가 한손으로 용기몸체(1)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11)의 일측에 돌출된 버튼부(41)의 누름부(42)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누름부(42)와 연결된 연결부(43)가 상기 용기몸체(1)의 관통홀(15)을 통해 내부로 밀려들어가게 되고 상기 연결부(43)에서 연장되고 상기 관통홀(15)의 내측에 위치되어 가동부(46)의 비접착면(47')과 결합된 결합부(44)는 상기 비접착면(47')과 함께 실린더(11)의 내부를 향하여 위치이동된다. 상기 가동부(46)인 비접착면(47')의 수평이동에 따라 작동부재(6)인 너트플레이트(70)의 기어축(72)에 접촉된 상기 가동부(46)의 탄성돌기(48)는 이미 접촉되어 있던 상기 기어축(72)의 기어돌기(73) A를 밀게되어 그 힘에 의해 상기 기어축(72)은 회전되고, 상기 버튼부(41)에 가해지던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버튼부(41)는 가동부(46)의 비접착면(47')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고, 상기 탄성돌기(48)는 상기 기어축(72)의 회전에 의해 위치이동된 기어돌기(73) B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너트플레이트(70)의 중앙공(74) 내부에 끼워져 나사결합되어 있는 스크류바(60)는 상기 너트플레이트(70)가 회전운동함에 따라 상기 중앙공(740의 나사골(75)을 따라 수직상승되고, 상기 스크류바(60)의 상단과 고정결합된 피스톤(3)은 립글로즈액(9)을 상부로 밀어올리면서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립글로즈액(9)은 상기 실린더(11)의 네크부(13)를 통해 분출부재(2)의 분출공(25)을 통해 그 상면(24)으로 배출된게 된다.
여기서, 상기 너트플레이트(70) 디스크(71)의 하부에는 일정한 피치간격을 가지는 래치기어(7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71)의 하부를 지지하는 탄지링(80)의 상단에는 래치걸이(81)가 형성되어, 상기 너트플레이트(70)와 탄지링(80)은 래치결합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탄지링(80)은 탄성부재(90)에 의해 그 하부가 지탱되고 있으므로, 상기 너트플레이트(70)는 원기둥(56)과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인 탄지링(80)에 의해 소정의 피치간격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스크류바(60)를 일정하게 상승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바(60)는 하부캡(5)의 스플라인(52)에 형성된 내부홈(53)에 삽입된 상태 즉, 상기 스크류바(60)의 가이드홈(62)에 상기 내부홈(53)의 가이드돌기(54)가 끼워진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스크류바(60)는 회전하지 않고 상승운동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립글로즈액(9)의 사용을 마친 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7)을 실린더(11)에 결합시켜 내부를 밀페시키는데, 상기 뚜껑(7)은 상기 실린더(11)의 외주면을 타고 하강되어 걸림턱(16)의 단면에 안착되면서 상기 걸림턱(16)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15)에 설치된 버튼부(41)의 고정홈(45)에 끼워져 실린더(11)와 결합된다. 상기 뚜껑(7)이 상기 버튼부(41)의 고정홈(45)에 삽입되면 상기 버튼부(41)는 관통홀(15)에서 움직일수 없는 고정된 상태, 즉 잠금장치(lock)와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외부의 압력이 상기 푸시버튼(4)에 가해져도 상기 버튼부(41) 및 가동부(46)와 이에 연동되는 작동부재(6)가 작동되지 않게되어, 립글로즈액(9)이 분출부재(2)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립글로즈액(9)인 분출되는 분출부재(2)는 그 상면(24)의 형태가 볼록한 원형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상면(24)의 형태가 고형의 립스틱 형태와 같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더욱 용이하게 사용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상면(24)의 형태가 중심을 향하여 테이퍼진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출부재(2)의 상면(24)으로 흡수성이 뛰어난 스폰지 등의 다공성 흡수부재(8)를 결합시켜, 상기 분출부재(2)를 통해 배출되는 립글로즈액(9)이 흡수부재(8)로 스며들어 입술에 닿는 촉감이 우수하고, 상기 흡수부재(8)에 립글로즈액(9)이 수용된 상태이므로 더욱 용이하게 입술에 발라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1) 및 뚜껑(7)은 고형의 립스틱이 수용되는 립스틱 용기와 그 크기 및 형태가 유사하게 형성되어 내부에 넓은 공간을 가지므로, 상기 실린더(11)의 내부에는 대략 3.0 ml정도의 립글로즈액(9)이 수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용기는 분출부재(2), 피스톤(3), 푸시버튼(4a), 작동부재(6a), 하부캡(5a)을 수납하는 용기몸체(1)와 립글로즈액(9)을 수용하는 실린더(11)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용기몸체(1), 뚜껑(7), 실린더(11), 분출부재(2), 피스톤(3)은 상술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푸시버튼(4a)은 외부의 힘을 작동부재(6a)로 전달하여 상기 피스톤(3)을 상승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실린더(11)의 관통홀(15)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버튼부(41a)와, 상기 버튼부(41a)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용기몸체(1) 내부에 설치되며 후술되는 작동부재(6a)를 작동시키는 이동부(46a)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부(41a)는 상기 실린더(11)의 관통홀(15)을 통해 상기 용기몸체(1)의 외측으로 돌출된 누름부(42a)와, 상기 누름부(42a)의 하단에서 실린더(11)의 내부를 향하여 수평연장된 연결부(43a)와, 상기 연결부(43a) 끝단에서 상부로 수직 연장된 결합부(도면부호 없음)으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부가 상기 이동부(46a)에 연결된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부(42a) 및 결합부는 상기 관통홀(15)에 삽입 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관통홀(15)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46a)는 그 횡단면이 "⊃" 형태로 형성되고, 양 측벽(47a)에는 후술되는 작동부재(6a)의 캠(70a)을 작동시키는 가이드레일(48a)이 형성되며, 상기 양 측벽(47a)의 끝단면에는 상기 푸시버튼(4a)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90a)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49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푸시버튼(4a)은 탄성부재(90a)에 의하여 외부의 힘에 의해 수평이동 되었다가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48a)은 상기 푸시버튼(4a)의 이동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6a)의 캠(70a)이 위치이동되도록 소정의 수평길이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레일(48a)은 일단(S)이 타단(E)보다 낮게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작동부재(6a)는 상기 푸시버튼(4a)의 동작에 의해 상기 피스톤(3)을 상승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푸시버튼(4a)에 결합되어 위치이동하는 캠(70a)과, 상기 캠(70a)의 작동에 의해 수직상승되어 피스톤(3)을 상승시키는 스크류바(60a)와, 상기 스크류바(60a)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80a)와, 상기 푸시버튼(4a)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90a)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류바(60a)는 상기 캠(70a)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캠(70a)의 작동에 의해 상승운동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바(60a)는 사각의 봉형태로 형성되어, 사면 중의 일면에는 수직방향 전체에 대하여 다수개의 기어돌기(61a)가 소정의 피치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일면을 제외한 나머지 세면 중 대향하는 양 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돌기(62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돌기(61a)는 일방향으로만 경사면을 가지는 직각삼각형 형태의 톱니기어이다.
상기 캠(70a)은 상기 푸시버튼(4a) 및 스크류바(60a)와 결합되어 상기 푸시버튼(4a)의 수평운동에 의해 상기 스크류바(60a)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바(60a)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소정크기의 중앙공(74a)을 가지는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캠(70a)의 외주면 중 대향하는 양 측벽에는 상기 푸시버튼(4a)의 가이드레일(48a)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돌기(77a)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77a)가 형성된 상기 캠(70a)의 내주면 양 측벽에는 상기 스크류바(60a)의 가이드돌기(62a)가 끼워지는 가이드홈(78a)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내주면의 일면에는 상기 스크류바(60a)가 상기 캠(70a)의 중앙공(74a)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스크류바(60a)의 기어돌기(61a)에 접촉되도록 탄성을 가지는 기어걸이(79a)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스크류바(60a)와 래치결합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80a)는 후술되는 하부캡(5a)의 원기둥(56a)에 안치되어 상기 푸시버튼(4a), 캠(70a) 및 스크류바(60a)의 기어돌기(61a)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80a)는 상기 용기몸체(1)의 내주면과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푸시버튼(4a) 및 캠(70a)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상면(83a)을 가지며 하부는 개방 형성되고, 상기 상면(83a)에는 스크류바(60a)가 삽입되는 중앙공(84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80a)의 일면 하단에는 상기 지지부재(80a)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크류바(60a)의 기어돌기(61a)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걸이(86a)가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바(60a)의 기어돌기(61a)와 래치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83a) 소정의 위치에는 탄성부재(90a)가 끼워지기 위한 연결공(8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90a)는 상기 푸시버튼(4a)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하부캡(5a)에 형성된 고정홈(59a)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기 푸시버튼(4a)의 이동부(46a)에 형성된 결합홈(49a)에 상단이 각각 끼워져 고정된 상태가 된다.
상기 하부캡(5a)은 하부에 개방공(17)이 형성된 상기 용기몸체(1)를 밀폐시키기 위한 바닥면(51a)과, 상기 바닥면(51a)이 상기 개방공(17)을 통해 용기몸체(1)에 결합되도록 상부로 연장형성된 원기둥(56a)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기둥(56a)의 내측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바닥면(51a)에서 돌출된 돌기(58a)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90a)의 하부가 끼워지기 위한 고정홈(59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요소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상기 실린더(11) 상부로 분출부재(2)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11)의 내부에는 스크류바(60a)가 고정된 피스톤(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11)의 관통홀(15)을 기준으로 내부에는 푸시버튼(4a)의 이동부(46a)가, 외부에는 버튼부(41a)가 용기몸체(1)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46a)의 가이드레일(48a)에는 작동부재(6a)의 캠(70a)에 형성된 결합돌기(77a)가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캠(70a)의 하부로는 지지부재(80a)가 상기 하부캡(5a)의 원기둥(56a)에 안치되어 조립된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바(60a)는 상기 캠(70a)의 중앙공(74a)으로 삽입되고 지지부재(80a)의 중앙공(84a)으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80a)에 형성된 지지걸이(86a)와 래치결합되고, 상기 하부캡(5a)의 고정홈(59a)에 하단이 고정된 탄성부재(90a)는 지지부재(80a)의 연결공(85a)을 통해 상단이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부(46a)의 결합홈(49a)에 각각 삽입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바(60a)의 기어돌기(61a)는 상기 캠(70a)의 기어걸이(79a)에 접촉된 상태가 되고, 상기 캠(70a)의 하부로는 지지부재(80a)가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바(60a)가 지지부재(80a)의 중앙공(74a)으로 삽입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캠(70a)의 가이드홈(78a)으로 상기 스크류바(60a)의 가이드돌기(62a)가 끼워져 결합된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스크류바(60a)는 안정되게 수직상승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화장품 용기의 실린더(11)의 내부로는 립글로즈액(9)이 수용되어 있는 상태이다. 참고로, 후술되는 설명 중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푸시버튼(4a)을 가압하기 전에 캠(70a)의 기어걸이(79a)가 접촉된 스크류바(60a)의 기어돌기(61a)를 C라 칭하고, 상기 푸시버튼(4a)의 가압력을 제거한 후에 상기 캠(70a)의 기어걸이(79a)가 접촉되는 기어돌기(61a)를 D라 칭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화장품 용기의 푸시버튼(4a)을 가압하기 전에 지지부재(80a)의 지지걸이(86a)가 접촉된 스크류바(60a)의 기어돌기(61a)를 M라 칭하고, 상기 푸시버튼(4a)의 가압력을 제거한 후에 상기 지지부재(80a)의 지지걸이(86a)가 접촉된 스크류바(60a)의 기어돌기(61a)를 N라 칭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푸시버튼에 외부의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로, 푸시버튼(4a)의 버튼부(41a)는 관통홀(15)을 통해 실린더(11)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이고, 상기 푸시버튼(4a)의 이동부(46a)의 가이드레일(48a)에 결합된 작동부재(6a)의 캠(70a)의 결합돌기(77a)는 상기 가이드레일(48a)의 일단(S)에 위치된 상태이며, 상기 캠(70a)의 기어걸이(79a)는 스크류바(60a)의 기어돌기(61a) C에 걸려진 상태이다. 또한, 상기 캠(70a)의 하부에 위치된 지지부재(80a)의 지지걸이(86a)는 스크류바(60a)의 기어돌기(61a) M에 걸려진 상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푸시버튼에 외부의 힘이 가해진 상태로, 우선 사용자가 한손으로 용기몸체(1)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11)의 일측에 돌출된 푸시버튼(4a)의 버튼부(41a)를 누르면 상기 버튼부(41a)는 가압력 방향으로 수평이동되면서 상기 버튼부(41a)와 일체로 형성되어 용기몸체(1) 내부에 위치된 이동부(46a)도 상기 버튼부(41a)의 변위만큼 상기 이동부(46a)에 고정된 탄성부재(90a)를 밀면서 수평이동 된다.
그러면 상기 이동부(46a)의 수평이동에 의해 상기 캠(70a)의 결합돌기(77a)는 상기 가이드레일(48a)의 일단(S)에서 벗어나 타단(E)에 위치되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48a)의 일단(S)은 타단(E)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캠(70a)이 상기 가이드레일(48a)의 타단(E)으로 위치변경되면 상기 캠(70a)은 상기 가이드레일(48a)의 일단(S)과 타단(E)의 높이차 만큼 수직상승되고, 상기 캠(70a)의 기어걸이(79a)는 상기 스크류바(60a)의 기어돌기(61a) C를 함께 밀어올려 스크류바(60a)를 수직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스크류바(60a)가 수직상승하면 상기 스크류바(60a)의 기어돌기(61a) M을 지지하고 있던 지지부재(80a)의 지지걸이(86a)는 상기 스크류바(60a)의 상승에 의해 기어돌기(61a) N과 접촉된 상태가 되어 상기 스크류바(60a)를 지지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시버튼(4a)에 가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버튼부(41a)는 탄성부재(90a)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고 상기 캠(70a)도 상기 가이드레일(48a)의 일단(S)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80a)의 지지걸이(86a)는 도 9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스크류바(60a)의 기어돌기(61a) N과 접촉되어 상기 스크류바(60a)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캠(70a)의 기어걸이(79a)는 기어돌기(61a)의 경사면으로 미끄러져 상기 스크류바(60a)의 기어돌기(61a) D에 걸려진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캠(70a)의 기어걸이(79a)는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해 상기 스크류바(60a)의 기어돌기(61a) D로 더욱 유연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즉, 상기 푸시버튼(4a)에 가해지던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캠(70a)의 기어걸이(79a)가 상기 스크류바(60a)의 기어돌기(61a) C에서 기어돌기(61a) D로 위치이동되고, 상기 지지부재(80a)의 지지걸이(86a)도 상기 스크류바(60a)의 기어돌기(61a) M에서 기어돌기(61a) N으로 위치이동되어 상기 스크류바(60a)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바(60a)가 상승되면 스크류바(60a)와 결합되어 실린더(11)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3)도 상승하게 되어 립글로즈액(9)을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립글로즈액(9)은 실린더(11)의 상부에 설치된 분출부재(2)의 분출공(2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화장품 용기도 제1실시예의 화장품 용기에 설명된 푸시버튼(4)의 버튼부(41)와 뚜껑(7)이 동일한 결합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화장품 용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뚜껑(7)을 용기몸체(1)에 조립시키면 상기 뚜껑(7)이 버튼부(41a)의 고정홈(45a)에 삽입되어 상기 푸시버튼(4a)을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잠금기능(LOCKING)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용기는, 용기몸체의 외부로 돌출된 푸시버튼과, 상기 푸시버튼의 누름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수직상승되는 피스톤과, 액상의 화장품이 분출되도록 실린더에 결합된 분출부재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푸시버튼을 클릭하면 실린더의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화장품이 소정량씩 분출되어 사용이 편리하고, 또한 사용자가 한손으로 용기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몸체를 파지한 손의 손가락으로 상기 푸시버튼을 누를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한손(ONE HAND)만을 사용하여 화장을 할 수 있게되어 사용이 더욱 편리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였다.
또한, 상기 실린더의 외측으로 돌출된 푸시버튼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에 뚜껑을 결합시키면 상기 뚜껑이 푸시버튼의 고정홈에 결합되어 상기 푸시버튼은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화장을 마친 후 상기 실린더에 뚜껑을 결합시켜 놓으면 상기 뚜껑이 잠금장치(LOCKING)의 기능을 하게 되어 액상의 화장품이 밖으로 유출될 우려가 없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였다.
또한, 액상의 화장품이 외부로 분출되는 분출부재의 상면형태가 고형의 립스틱 상면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경사면을 가지므로, 액상의 화장품을 더욱 용이하게 피부에 바를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였다.
또한, 상기 분출부재의 상면으로는 흡수력이 우수하고 재질이 부드러운 흡수부재가 결합되어 액상의 화장품이 흡수부재에 수용되므로, 상기 액상의 화장품을 피부에 더욱 효과적으로 바를 수 있고, 피부와의 접촉느낌이 우수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였다.
또한, 상기 실린더 및 뚜껑은 고형의 립스틱용기와 그 크기 및 형태가 유하사게 형성되어 넓은 내부공간을 가지므로, 상기 몸체의 실린더 내부에 다량의 액상의 화장품을 수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과 도 4는 제1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에 뚜껑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1에 흡수부재가 더 포함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 도 9, 도 10은 제2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종래의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용기몸체 2:분출부재
3:피스톤 4,4a:푸시버튼
5,5a:하부캡 6,6a:작동부재
7:뚜껑 8:흡수부재
9:립글로즈액 11:실린더
12:테두리 13:네크부
14:결합홈 15:관통홀
16:걸림턱 17:개방공
21:플랜지 22:끼움부
23:요홈 24:상면
25:분출공 31:끼움홈
41,41a:버튼부 42,42a:누름부
43,43a:연결부 44:결합부
45:,45a:고정홈 46:가동부
46a:이동부 47:접착면
47':비접착면 47a:측벽
48:탄성돌기 48a:가이드레일
49a:결합홈 51,51a:바닥면
52:스플라인 53:내부홈
54:가이드돌기 55:안착홈
56,56a:원기둥 57:지지홈
58a:돌기 59a:고정홈
60,60a:스크류바 61:나사산
61a:기어돌기 62:가이드홈
62a:가이드돌기 70:너트플레이트
70a:캠 71:디스크
72:기어축 73:기어돌기
74,74a:중앙공 75:나사골
76:래치기어 77a:결합돌기
78a:가이드홈 79a:기어걸이
80:탄지링 80a:지지부재
81:래치걸이 82:고정돌기
83a:상면 84a:중앙공
85a:연결공 86a:지지걸이
90,90a:탄성부재

Claims (8)

  1. 삭제
  2.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푸시버튼(4,4a)을 가지는 용기몸체(1)와;
    상기 용기몸체(1)에 결합되어 액상의 화장품을 수용하는 실린더(11)와;
    상기 실린더(11)에 결합되며, 상면(24)에 다수개의 분출공(25)이 형성된 분출부재(2)와;
    상기 실린더(11)의 횡단면과 동일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11)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하여 액상의 화장품을 가압시키는 피스톤(3)과;
    상기 용기몸체(1)의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푸시버튼(4,4a)의 푸시동작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3)을 수직상승시킴으로써, 상기 분출부재(2)로 액상의 화장품이 분출되도록 작동하는 작동부재(6,6a)와;
    상기 실린더(11)의 외주면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분출부재(2)를 밀폐시키는 뚜껑(7)을 포함하고,
    상기 푸시버튼(4,4a)은 용기몸체(1)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져, 상기 뚜껑(7)이 실린더(11)의 외주면에 결합시, 상기 푸시버튼(4,4a)의 고정홈(45,45a)에 상기 뚜껑(7)의 일단이 결합됨으로써 푸시버튼(4,4a)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부재(2)의 상면(24)은 상기 실린더(11)이 횡단면에 대하여 경사진 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부재(2)의 상면(24)의 상면을 덮도록 스폰지류의 흡수부재(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6)는,
    상기 푸시버튼(4)의 푸시동작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너트플레이트(70)와,
    상기 너트플레이트(70)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너트플레이트(70)의 회전에 의해 상승운동하는 스크류바(60)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바(60)와 결합된 상기 피스톤(3)은 상기 스크류바(60)의 상승운동에 의해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6a)는,
    상기 푸시버튼(4a)의 푸시동작에 의하여 수직상승하는 캠(70a)과,
    상기 캠(70a)과 요철결합되어 상기 캠(70a)이 상승되는 위치만큼 함께 상승하는 스크류바(60a)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바(60a)와 결합된 상기 피스톤(3)은 상기 스크류바(60a)의 상승에 의해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4a)은,
    상기 용기몸체(1)의 관통홀(15)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된 버튼부(41a)와;
    상기 버튼부(41a)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용기몸체(1)의 내측에 고정되는 이동부(46a)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부(46a)의 양 측벽(47a)에는 작동부재(6a)를 작동시키기 위해 높이차를 가지는 가이드레일(48a)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47a)의 끝단에는 푸시버튼(4a)이 수평왕복운동되도록 탄성부재(90a)가 결합되는 결합홈(49a)이 형성되어;
    상기 캠(70a)은 푸시버튼(4a)의 가이드레일(48a)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레일(48a)의 수평이동에 의해 수직상승되고,
    상기 캠(70a)의 수직상승에 의해 스크류바(60a)가 수직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6a)는,
    상기 캠(70a)의 하부로 위치되고, 상기 스크류바(60a)와 래치결합되어 상기 스크류바(60a)의 수직상승을 지지하는 지지부재(8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03-0028327A 2003-05-02 2003-05-02 화장품 용기 KR100518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327A KR100518614B1 (ko) 2003-05-02 2003-05-02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327A KR100518614B1 (ko) 2003-05-02 2003-05-02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511A KR20040094511A (ko) 2004-11-10
KR100518614B1 true KR100518614B1 (ko) 2005-10-04

Family

ID=37374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327A KR100518614B1 (ko) 2003-05-02 2003-05-02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861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882B1 (ko) 2007-10-31 2009-05-04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화장품 용기의 슬라이딩 펌핑장치
KR200455996Y1 (ko) 2009-10-16 2011-10-07 주식회사 다인 고점도 내용물의 미세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KR101429089B1 (ko) * 2013-04-05 2014-08-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WO2014163291A1 (ko) * 2013-04-05 2014-10-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0475208Y1 (ko) * 2013-03-29 2014-11-13 (주)아모레퍼시픽 화장용 퍼프를 갖는 립클로우즈 화장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079B1 (ko) * 2013-01-10 2014-04-08 김영호 회전 액상 토출형 화장품 용기
KR102118150B1 (ko) * 2013-11-25 2020-06-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작동 레버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124572B1 (ko) * 2013-11-25 2020-06-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료 배출판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WO2015076646A1 (ko) * 2013-11-25 2015-05-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2124573B1 (ko) * 2013-11-25 2020-06-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푸쉬 버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602925B1 (ko) * 2015-06-24 2016-03-14 주식회사 리치코스 누름 작동식 립스틱 용기
KR200490765Y1 (ko) * 2017-07-13 2019-12-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2009375B1 (ko) * 2018-07-02 2019-08-09 (주)아모레퍼시픽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102133313B1 (ko) * 2018-12-03 2020-07-13 (주)아모레퍼시픽 화장 도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882B1 (ko) 2007-10-31 2009-05-04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화장품 용기의 슬라이딩 펌핑장치
KR200455996Y1 (ko) 2009-10-16 2011-10-07 주식회사 다인 고점도 내용물의 미세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KR200475208Y1 (ko) * 2013-03-29 2014-11-13 (주)아모레퍼시픽 화장용 퍼프를 갖는 립클로우즈 화장용기
KR101429089B1 (ko) * 2013-04-05 2014-08-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WO2014163291A1 (ko) * 2013-04-05 2014-10-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511A (ko) 2004-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7492B2 (ja) 化粧品容器
KR100518614B1 (ko) 화장품 용기
US9386836B2 (en) Cosmetic case having sealing function
KR200388883Y1 (ko) 립스틱 용기
JP4621625B2 (ja) 組成物例えば化粧品用包装及び塗布装置
KR101625329B1 (ko) 스틱형 화장품용기
KR101409004B1 (ko)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
KR101782508B1 (ko) 회전형 립스틱 용기
JP2007000631A (ja) マスカラ容器とアプリケータとの組み立て部品及びこの化粧への適用方法
KR200473938Y1 (ko) 회전 펌핑 샴푸용기
KR101981125B1 (ko) 규제 각도 내에서 누름버튼의 가압이 제한되는 화장품용기
KR200455996Y1 (ko) 고점도 내용물의 미세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KR100540676B1 (ko) 화장품 용기
KR20100008244U (ko) 사용량에 따라 내부접시가 승강되게 한 화장품 용기
KR102354317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1583902B1 (ko) 화장품 용기
KR102354313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1616232B1 (ko) 화장품 용기
KR101886142B1 (ko) 탄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의 도포구가 구비된 화장품 튜브용기
JP2018191887A (ja) 人のケラチン物質に化粧品を塗布するための器具
CN212754676U (zh) 一种化妆品包装物
CN110381773B (zh) 涂敷器系统
KR200365012Y1 (ko) 화장품 용기
KR200202816Y1 (ko) 화장용 브러쉬
KR102619824B1 (ko) 내용물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