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706B1 - 화장품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706B1
KR101563706B1 KR1020140057841A KR20140057841A KR101563706B1 KR 101563706 B1 KR101563706 B1 KR 101563706B1 KR 1020140057841 A KR1020140057841 A KR 1020140057841A KR 20140057841 A KR20140057841 A KR 20140057841A KR 101563706 B1 KR101563706 B1 KR 101563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valve member
flow path
discharge por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현
천성배
Original Assignee
전재현
주식회사 월드스폰지
천성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현, 주식회사 월드스폰지, 천성배 filed Critical 전재현
Priority to KR1020140057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액상화장품을 완전히 밀봉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액상화장품을 균일하게적절한 양으로 토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가 제공된다. 화장품용기는 내측에 액상화장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부, 수용공간을 따라 이동하며 중앙을 관통하여 액상화장품의 이동통로가 되는 유동로가 형성된 피스톤, 용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피스톤과 나사 결합되어 피스톤을 이동시키며, 유동로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판, 및 피스톤과 토출판 사이에 삽입되어 토출구를 개폐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되, 토출판과 밸브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경사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접하는 접촉부가 형성되어, 토출판이 회전하면 접촉부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밸브부재가 토출구를 개폐한다.

Description

화장품용기{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액상화장품이 수용되는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봉 전에는 액상화장품을 완전히 밀봉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액상화장품을 용이하게 토출하고, 액상화장품이 과량 토출되지 않도록 토출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의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분말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것과 액상으로 이루어져 피부에 용이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 있다. 화장품의 제조형태는 화장품의 성분, 화장법, 화장품의 제조방식 등에 따라 분말 형태 또는 액상으로 그에 적합하게 선택되나, 근래에는 전통적인 분말 화장품의 경우에도 성분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액상으로 제조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액상의 화장품을 안전하게 수용하고 보관하기 위해서는 그에 알맞은 구조의 화장품용기가 필요하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일반적인 화장품용기는 용기 일 측에 단순히 토출구멍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기를 기울여 액상화장품을 토출하거나, 용기 상부가 넓게 개방되어 사용자가 액상화장품을 직접 덜어쓰거나, 용기에 펌핑장치를 결합하여 용기 내부의 액상화장품을 펌핑하여 토출하도록 하도록 형성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 같은 종래의 화장품용기는 토출되는 화장품의 양이 불규칙하여 사용자가 반복하여 화장품을 덜어내야 하거나, 또는 원치 않는 과도한 양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용기 구조로는 액상화장품이 적절한 양으로 균일하게 배출되기 어려워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전의 용기는 액상화장품을 완전히 밀봉하기 어려운 구조여서 상대적으로 부패가 쉬운 액상의 화장품을 개봉 전까지 안전하게 보관하기 어려웠다. 즉, 종래 용기 외측에 단순히 씰이나 커버지를 부착하여 밀봉하였으나 이를 통해 용기가 만족스럽게 밀폐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5059호, (2004.10.15)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개봉 전에는 액상화장품을 완전히 밀봉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액상화장품을 용이하게 토출하고, 액상화장품이 과량 토출되지 않도록 토출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의 화장품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용기는, 내측에 액상화장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부; 상기 수용공간을 따라 이동하며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액상화장품의 이동통로가 되는 유동로가 형성된 피스톤; 상기 용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과 나사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을 이동시키며, 상기 유동로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판; 및 상기 피스톤과 상기 토출판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토출판과 상기 밸브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접하는 접촉부가 형성되어, 상기 토출판이 회전하면 상기 접촉부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밸브부재가 상기 토출구를 개폐한다.
상기 토출판으로부터 상기 피스톤을 향하여 돌출되며 일단부가 상기 유동로를 막는 제1밀폐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토출구를 막는 제2밀폐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부재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밸브부재를 상기 토출판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로는 상기 피스톤의 중앙에 관 형태로 돌출되며,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유동로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밸브부재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과 상기 접촉부는 각각 서로 접하는 면이 톱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유동로를 중앙에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판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토출판의 직경방향으로 상기 토출구보다 넓게 분산 배치된 복수의 분배홀이 형성된 분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배판에 밀착되어 상기 분배홀을 통과한 상기 액상화장품을 흡수하여 내부에 유지하는 흡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상화장품을 용기 내부에 밀봉하여 개봉 전까지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개봉 후에는 간편하고 손쉽게 적절한 양의 액상화장품을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액상화장품은 용기의 조작을 통해 균일하게 배출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액상화장품을 매우 용이하게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장품용기의 본체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장품용기가 결합된 상태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본체부의 토출판, 피스톤, 밸브부재, 및 탄성부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각각 서로 다른 각도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의 토출판, 피스톤, 밸브부재, 및 탄성부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토출판, 피스톤, 밸브부재, 및 탄성부재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1의 화장품용기가 결합된 상태의 내부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용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장품용기의 본체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화장품용기가 결합된 상태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용기는 내측에 액상화장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부(100), 수용공간을 따라 이동하며 자신의 중앙을 관통하여 액상화장품이 이동하는 이동통로가 되는 유동로(231)가 형성된 피스톤(200), 용기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피스톤(200)과 나사 결합되어 피스톤(200)을 이동시키며, 유동로(231)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301)가 형성된 토출판(300), 및 피스톤(200)과 토출판(300) 사이에 삽입되어 토출구(301)를 개폐하는 밸브부재(400)롤 포함한다. 이 때, 토출판(300)과 밸브부재(4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경사면(도 5의 321 참조)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경사면(32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접하는 접촉부(도 4의 410 참조)가 형성되어, 토출판(300)이 회전하면 접촉부(410)가 경사면(321)을 따라 이동하여 밸브부재(400)가 토출판(300)의 토출구(301)를 개폐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용기(1)는 경사면(321)과 접촉부(410) 간의 유기적인 접촉, 이를 테면, 빗면 접촉을 통해 작동하는 밸브부재(4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밸브부재(400)를 이용하여 액상화장품의 토출량을 균일하게, 적절한 양이 되도록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밸브부재(400)와 토출판(3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어 액상화장품의 이동통로를 완전히 밀폐하는 돌기 형상의 밀폐구조가 형성되어 용기가 개봉되기 전까지 용기 내부에 수용된 액상화장품을 매우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밸브부재(400)와 피스톤(200)은 모두 토출판(300)과 용기부(100)의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자연스럽게 작동하는 바, 사용자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액상화장품을 매우 편리하게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용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가 그 외측을 감싸는 커버부(20) 및 안착부(30)에 의해 보호되는 구조이며, 특히, 본체부(10)는 상기한 용기부(100), 피스톤(200), 토출판(300), 및 밸브부재(400)등을 포함하여 내부에 액상화장품을 안전하게 수용하였다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이러한 특징을 갖는 화장품용기(1)의 각 구성부와 구체적인 작동과정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체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00)의 상단에 개폐커버(800)가 힌지 결합되어 용이하게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용기부(100)의 내부에는 액상화장품이 수용되어 보관되며 개폐커버(800)가 열렸을 때, 토출판(도 2의 300 참조)을 회전시켜 액상화장품을 적절히 배출시킬 수 있다. 본체부(1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안착부(30)는 본체부(10)를 내측에 수용한다. 안착부(30)는 일 측이 다시 커버부(20)에 결합된다. 안착부(30)는 본체부(10)보다 직경이 넓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본체부(10)를 내부에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커버부(20) 역시 안착부(30)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안착부(30)에 결합된 본체부(10)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커버부(20)는 안착부(30)에 힌지 결합되어 안착부(30)의 일 측으로 용이하게 열릴 수 있고, 내측에는 거울(도 3의 21 참조)등이 결합되어 사용자가 화장품용기(1)를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안착부(30) 내측에 본체부(10)가 결합됨으로써 본체부(1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고 화장대나 테이블 등에도 보다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본체부(10) 만을 따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안착부(30)나 커버부(20)의 형상도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이 아닌 사각형 또는 비정형적인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커버부(20)와 본체부(10)의 개폐커버(800) 사이에는 퍼프(40)를 삽입하여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자유롭게 꺼내 쓸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체부(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00), 용기부(100) 내측에서 이동하는 피스톤(200), 용기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토출판(300), 토출판(300)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700), 및 용기부(100)에 결합되어 용기부(100)를 개폐하는 개폐커버(800)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이하 본체부(1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용기부(100)는 내측에 수용공간(101)이 마련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용공간(101)에 액상화장품을 수용한다. 수용공간(101)에는 또한 피스톤(200)이 결합되어 액상화장품을 가압하여 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피스톤(200)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해 용기부(100) 내측에 피스톤(200)의 이동방향(도면상의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레일(111)을 포함하는 피스톤가이드(110)를 형성할 수 있다. 용기부(100)는 다면체 형태의 보다 입체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는 것이나, 토출판(300)이나 회전부(700) 등이 용기부(100) 외측에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용기부(100) 상단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02)가 형성되어 개구부(102)를 통해 전술한 토출판(300)이 결합될 수 있다. 특히, 개구부(102)는 토출판(300)의 제2나사부(310)를 통과시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00) 내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따라서 용기부(100) 내측에서 토출판(300)과 피스톤(200)이 용이하게 나사 결합할 수 있다. 토출판(300)과 피스톤(200)의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용기부(100)는 피스톤(200), 밸브부재(400), 밸브부재(400)를 지지하는 탄성부재(500) 등을 내측에 보다 원활히 수용하기 위해 몸체(100a)와 저면부(100b)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0a)와 저면부(100b)는 예를 들어,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방식으로 결합된 후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고, 몸체(100a)와 저면부(100b)가 서로 고정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수용공간(101)과 외부를 분리하는 밀폐된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용기부(100)의 몸체(100a) 상단에는 힌지부(120)가 형성되어 전술한 개폐커버(800)가 용이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피스톤(200)은 용기부(100)의 수용공간(101)에 삽입되어 수용공간(101)을 따라 이동한다. 피스톤(200)은 넓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200)의 개구된 부분에는 액상화장품이 이동하는 유동로(23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동로(231)는 피스톤(200)의 일 면에 결합되는 결합부(230)에 형성되어 결합부(230)와 함께 피스톤(200)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유동로(231)가 피스톤(20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피스톤(200)에는 전술한 피스톤가이드(110)의 레일(111)과 평행한 가이드판(22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판(220)과 레일(111)이 접촉하면서 피스톤(200)이 회전하지 않고 레일(111)을 따라 일직선 상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피스톤(200)에는 제1나사부(210)가 형성되어 토출판(300)의 제2나사부(310)와 나사 결합한다. 제1나사부(2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00)의 일 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토출판(300)의 제2나사부(310)와 서로 대응하는 지점에 짝이 맞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원활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나사산은 제1나사부(210)의 내측과 토출판(300)의 제2나사부(31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제1나사부(210)의 외측과 제2나사부(310)의 내측에 나사산의 쌍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피스톤(200)과 토출판(300)은 도시된 바와 같은 제1나사부(210)와 제2나사부(310)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용기의 구조에 알맞게 다양한 형상으로 나사산을 형성하여 용이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나사부(210) 및 제2나사부(310) 중 적어도 하나는 상호간의 접촉마찰을 줄여 보다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나사산의 일부가 단절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2의 제2나사부(310) 참조).
토출판(300)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용기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토출판(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부(100)의 개구부(102)를 통해 결합될 수 있고, 용기부(100)를 향하는 면에 제2나사부(310)가 형성되어 용기부(100) 내측에서 피스톤(200)의 제1나사부(210)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토출판(300)이 회전하면 나사산의 접촉에 의해 회전력이 회전방향과 수직한 일직선 상의 외력으로 전환되고 피스톤(200)이 일직선 방향으로 이동한다. 피스톤(200)의 이동방향은 도 2 및 도 3의 상 하방 특히, 하방이 될 수 있다. 피스톤(200)의 이동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토출판(3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301)가 형성되어 피스톤(200)의 유동로(231)와 연통된다. 즉, 토출판(300)이 회전하여 피스톤(200)이 이동하면 액상화장품이 피스톤(200)의 유동로(231)로 이동하고, 유동로(231)와 연결된 토출구(301)를 통해 토출된다. 토출구(30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동로(231)를 중앙에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액상화장품이 용이하게 토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한정될 것은 아니며 토출구(301)의 형태나 크기, 개수, 배열형태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유동로(231)를 통해 토출구(301)로 토출되는 액상화장품의 토출과정에 대해서도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밸브부재(400)는 피스톤(200)과 토출판(300) 사이에 삽입되어 토출판(300)의 토출구(301)를 개폐한다. 즉, 액상화장품은 피스톤(200)의 유동로(231)를 통해 토출구(301)로 이동하되 피스톤(200)과 토출판(300) 사이의 밸브부재(400)에 의해 그 이동경로가 차단되거나 개방될 수 있다. 특히, 토출판(300)과 밸브부재(4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경사면(도 5의 321 참조)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경사면(32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접하는 접촉부(도 2 및 도 4의 410 참조)가 형성되어, 토출판(300)이 회전하면 접촉부(410)가 경사면(321)을 따라 이동하여 밸브부재(400)가 개폐될 수 있다.
즉, 밸브부재(400)는 토출판(300)과 피스톤(200) 사이에서 토출판(300)의 회전에 의해 작동하는 것으로, 토출판(300)이 회전하면 피스톤(200)과 밸브부재(400)가 함께 유기적으로 움직여 적정량의 액상화장품을 균일하게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밸브부재(400)와 토출판(3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돌기 형태의 밀폐구조(도 4 및 도 5의 제1밀폐돌기(302)와 제2밀폐돌기(401) 참조)가 형성되어 유동로(231)와 토출구(301)를 차단하고 최초 개봉 전까지 액상화장품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전술한 유동로(2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00)의 중앙에 관 형상으로 돌출되며, 밸브부재(400)는 이러한 유동로(231)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외주면에 삽입된다는 것은 밸브부재(400)의 내주면이 관 형상의 유동로(231) 외주면에 밀착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것을 말한다. 밸브부재(400)의 구체적인 구조 및 작동과정에 대해서도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밸브부재(400)와 피스톤(200) 사이에는 탄성부재(500)가 형성되어 밸브부재(400)를 토출판(300)을 향해 가압한다. 따라서 밸브부재(400)는 토출판(300)과 지속적으로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전술한 경사면(도 5의 321 참조)과 접촉부(도 2 및 도 4의 410 참조)가 지속적으로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스톤(200)이 일정간격 이상 움직여 토출판(300)으로부터 멀어지는 경우에도 밸브부재(400)가 토출구(301)와 인접하여 토출구(301)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탄성부재(500)는 도시된 바와 같은 코일형상의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 필요에 따라 판형 스프링이나 그 밖의 다양한 형상의 스프링이 탄성부재(500)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스프링이 아니더라도 적절한 탄성을 가지는 물질을 밸브부재(400)와 피스톤(200) 사이에 개재시켜 탄성부재(500)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토출판(300)의 외측에는 복수의 분배홀(331)이 형성된 분배판(330)이 결합되어 토출구(301)로 토출된 액상화장품을 서로 다른 넓은 지점으로 분산시켜 제공할 수 있다. 분배판(3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판(300) 보다는 직경이 작을 수 있으며, 분배홀(331)은 토출판(300) 또는 분배판(330)의 직경방향(중심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는 일직선 상의 방향)으로 토출구(301)보다 넓게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분배홀(331)은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길이가 변동되는 장홀 형태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분배판(330)은 토출판(300)의 외측 면에 분배판(330)과 동일한 형상의 음각된 부분을 형성하여 보다 견고히 고정할 수 있고, 분배판(330)의 토출판(330)과 접하는 면에는 분배홀(331)과 연결되는 유로를 형성하여 액상화장품이 보다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회전부(700)는 토출판(300)과 결합되어 고정되고, 회전부(700)와 토출판(300) 사이에는 흡수부재(600)가 삽입된다. 회전부(7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토출판(300)의 외주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외측 면에 반복적으로 돌출된 무늬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이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용기부(100)에 힌지 결합된 개폐커버(800)를 열어 회전부(700)에 접근할 수 있으며, 회전부(700)를 파지한 채 회전력을 가하여 회전부(700)와 토출판(300)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피스톤(200)과 밸브부재(400)를 유기적으로 작동시켜 적절한 양의 액상화장품을 균일하게 토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부(700) 및 토출판(300)이 일정간격 회전할 때마다 서로 접촉하여 접촉음 또는 접촉진동으로 회전량을 알려주는 접촉구조(적어도 하나가 복수개로 이루어져 서로 반복적으로 접촉하는 돌기와 돌기, 돌기와 홈 등의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를 회전부(700)와 용기부(100)의 사이, 토출판(300)과 용기부(100)의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회전부(700) 및 토출판(300)이 얼마나 회전하였는지를 감지하고 그에 대응하여 적절한 각도로 회전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토출구(301) 및 전술한 분배홀(331)을 통과하여 배출된 액상화장품은 흡수부재(600)에 흡수되어 유지될 수 있다. 흡수부재(600)는 내부에 미세한 다공성의 공간이 형성된 스펀지와 같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토출된 액상화장품을 내부에 유지하고 있다가 퍼프(도 1의 40 참조) 등과 접촉되는 때 압력에 의해 액상화장품을 내부공간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흡수부재(600)는 토출판(300)에 결합된 분배판(330)과 밀착되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회전부(700) 내측으로 노출되어 넓은 면을 통해 액상화장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흡수부재(600)가 노출되는 링 형상의 회전부(700) 내측 공간에는 망체 등으로 이루어진 배출부(710)가 결합되어 흡수부재(60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토출판, 피스톤, 밸브부재, 및 탄성부재 상호간의 결합구조와 밸브부재의 구체적인 형상 및 특징, 그리고 토출판, 피스톤, 밸브부재의 작동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본체부의 토출판, 피스톤, 밸브부재, 및 탄성부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각각 서로 다른 각도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 및 도 5의 토출판, 피스톤, 밸브부재, 및 탄성부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토출판, 피스톤, 밸브부재, 및 탄성부재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토출판(300)과 피스톤(200)은 각각 제2나사부(310) 및 제2나사부(310)를 이용하여 나사 결합되고, 토출판(300)과 피스톤(200)의 사이에 밸브부재(400) 및 탄성부재(500)가 삽입된다. 유동로(231)는 결합부(230) 일 측에 돌출된 관로 형태로 형성되어 피스톤(200) 중앙부에 결합될 수 있다.
밸브부재(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접촉부(410)는 원통형 밸브부재(40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접촉부(4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판(300)의 제2나사부(310)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320)의 경사면(321)과 접촉하여 경사면(321)을 따라 도면상의 상 하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피스톤(200)의 제1나사부(210) 내측에는 밸브부재(4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원통형상의 밸브가이드(210a)가 형성되어 밸브부재(400)를 수용하고 밸브부재(400)가 이탈되지 않도록 적절히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밸브가이드(210a)의 내측에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돌기(210b)가 형성되어 밸브부재(400)가 일직선 상으로 움직이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밸브부재(400)에는 가이드돌기(210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돌기(210b)를 따라 움직이는 홈부(412)가 형성된다. 따라서, 밸브부재(400)가 회전하지 않고 일직선 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경사면(321)과 접촉부(410)는 서로 접하는 면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판(300)이 일 측으로 회전하면 경사면(321)과 접촉부(41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움직여 경사 접촉하고, 그 반대방향인 타 측으로 회전하면 톱니 형상의 경사면(321)과 접촉부(410)가 서로 걸려 움직임이 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토출판(300)이 불필요하게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촉부(410)에는 접촉부경사면(321)이 형성되어 연장부(320) 끝단에 형성된 토출판(300)의 경사면(321)과 보다 용이하게 빗면 접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경사면(321)이 토출판(300)에 형성되었으나, 경사면은 밸브부재(400)에 형성되거나, 필요한 경우 밸브부재(400)와 토출판(300)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접촉부(410)는 경사면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경사면을 따라 접촉하여 밸브부재(4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한 큰 제약 없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밸브부재(400)와 토출판(300) 모두에 경사면이 형성된 경우, 서로 다른 경사면 중 어느 하나가 접촉부로 기능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판(300)에는 토출판(300)으로부터 피스톤(200)을 향해 돌출되는 제1밀폐돌기(302)가 형성된다. 제1밀폐돌기(302)는 유동로(231)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유동로(231)를 통해 액상화장품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그 단부가 유동로(231)를 막게 된다. 제1밀폐돌기(30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나사부(310)의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된 만입부(310a) 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며, 방사상으로 배치된 토출구(301)의 중심으로부터 피스톤(20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부재(400)에는 토출판(300)을 향해 돌출되는 제2밀폐돌기(401)가 형성된다. 제2밀폐돌기(401)는 토출판(300)의 토출구(301)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돌출되어 토출구(301)에 삽입된다. 따라서, 피스톤(200)과 토출판(300)이 인접하여 피스톤(200)의 유동로(231) 끝단이 토출판(300)과 맞닿는 경우, 밸브부재(400)가 제2밀폐돌기(401)로 토출구(301)를 막고, 토출판(300)이 제1밀폐돌기(302)로 직접 유동로(231)를 막아 액상화장품의 누출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액상화장품을 배출시켜 사용하기 이전 용기의 미개봉 상태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액상화장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토출판, 피스톤, 밸브부재, 및 탄성부재의 작동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는 토출판, 피스톤, 밸브부재, 및 탄성부재의 상호관계를 보다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용기부 등 그 밖의 구성부는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우선 도 6을 참조하면, 최초에 토출판(300)과 피스톤(200)이 서로 최대한 인접하여 맞닿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토출판(300)의 제1밀폐돌기(302)가 피스톤(200)의 유동로(231) 끝단에 삽입되어 유동로(231)를 막아 완전히 차단한다. 또한, 밸브부재(400)의 제2밀폐돌기(401)는 토출판(300)의 토출구(301)에 삽입되어 토출구(301)를 완전히 차단한다. 이와 같이 유동로(231)와 토출구(301) 사이를 제1밀폐돌기(302)와 제2밀폐돌기(401)가 이중으로 차단함으로써 액상화장품의 누출이 원천적으로 봉쇄된다.
이어서, 도 7을 참조하면, 이와 같은 상태에서 토출판(300)을 회전시켜 차단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판(300)을 일부 회전시키면, 토출판(300)과 나사 결합된 피스톤(200)이 토출판(300)의 회전력을 직선 방향의 외력으로 전환하여 토출판(300)의 회전방향과 수직한 방향(도면상의 하방)으로 이동하며, 따라서, 토출판(300)의 제1밀폐돌기(302)가 피스톤(200)의 유동로(231) 끝단에서 이탈하여 분리된다. 또한, 밸브부재(400) 역시 경사면(도 5의 321 참조)과 접촉부(도 4의 410 참조)의 접촉에 의해 토출판(300)의 회전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밀폐돌기(401)가 토출구(301)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전환된다.
이러한 움직임은 토출판(300)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200)과 밸브부재(400)가 함께 움직임으로써 유기적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차단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토출판(300)을 크게 회전시킬 필요가 없으며,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로 일부만 회전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기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토출판(300)을 다시 동일 방향으로 좀 더 회전시킴으로써 토출구(301) 만을 폐쇄할 수 있다. 즉, 피스톤(200)은 회전에 의해 지속적으로 하방으로 이동하나, 밸브부재(400)는 전술한 경사면(도 5의 321 참조)과 접촉부(도 4의 410 참조)의 접촉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도면상의 상 하방으로 왕복 운동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토출구(301)를 폐쇄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밸브부재(400)는 탄성부재(500)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되어 지속적으로 토출판(300)과 접촉하며, 특히, 토출판(300)의 경사면과 밸브부재(400)의 접촉부(410)가 지속적으로 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를 통해 밸브부재(400)의 제2밀폐돌기(401)가 토출구(301)에 재삽입되어 다시 폐쇄상태로 전환된다. 제1밀폐돌기(302)는 유동로(231)가 피스톤(200)과 함께 지속적으로 하방 이동하므로 유동로(231)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유지한다.
밸브부재(400)는 이와 같이 토출판(300)의 회전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반복적으로 토출구(301)를 개방한다. 따라서, 균일한 양의 액상화장품을 토출구(301)를 통해 반복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토출판(300)을 부분적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매우 간편하게 진행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토출판(300)의 회전을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판(300)의 회전량을 증가시키고, 피스톤(200)을 큰 폭으로 하강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토출판(300)과 피스톤(200)이 서로 나사 결합되어 있으므로, 토출판(300)의 지속적인 회전에 의해 피스톤(200)이 일직선 상으로 이동하여 토출판(300)과 상대적으로 큰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탄성부재(500)는 피스톤(200)이 이동한 만큼 신장되어 밸브부재(4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전술한 경사면(도 5의 321 참조)과 접촉부(도 4의 410 참조)가 지속적, 반복적으로 접촉하여 밸브부재(400)는 피스톤(200)이 하강하는 동안 도 7 및 도 8의 토출구(301)를 개폐하는 과정을 반복해서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토출판(300)을 적절히 회전시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밀폐돌기(401)가 토출구(301)에 삽입된 폐쇄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다시 토출판(300)을 일부 회전시키면 토출구(301)를 재개방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토출판(300)을 회전시켜 피스톤(200)과 밸브부재(400)를 유기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토출구(301)를 개폐하고, 피스톤(200)을 하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이를 이용한 액상화장품의 배출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1의 화장품용기가 결합된 상태의 내부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화장품용기(1) 내부의 액상화장품(A)을 배출하기 위해 우선 커버부(20)를 열어 본체부(10)를 노출시키고, 다시 본체부(10)에 힌지 결합된 개폐커버(800)를 개방하여 회전부(700)를 노출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가 회전부(700)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한다. 회전부(700)를 회전시키면, 회전부(700)에 결합된 토출판(300)이 함께 회전한다.
토출판(300)이 일부 회전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밀폐돌기(302)가 유동로(231)에서 이탈되면서 차단상태가 해제되고, 동시에 밸브부재(400)가 이동하여 제2밀폐돌기(401)가 토출구(301)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액상화장품(A)은 피스톤(200) 중앙의 유동로(231)를 통해 이동하여 유동로(231)와 연통된 토출구(301)로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다. 토출된 액상화장품(A)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분배판(330)의 분배홀(331)을 따라 넓게 분산되고 흡수부재(600)에 균일하게 흡수되어 흡수부재(600) 내부에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최초에 미개봉 상태에 있던 화장품용기(1)를 일부 회전시켜 최초로 개방한 초기상태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출판(300)의 회전에 의해 차단상태가 해제되고 동시에 피스톤(200)이 이동하므로, 피스톤(200)의 압박에 의해 용기부(100) 내부의 액상화장품(A)은 피스톤(200)의 유동로(231)를 따라 토출구(301) 까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토출판(300)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피스톤(200)과 밸브부재(400)를 유기적으로 작동시켜 액상화장품(A)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1을 참조하면, 회전부(700)를 좀 더 회전시켜 토출판(300)의 회전량을 일부 증가시킴으로써, 다시 제2밀폐돌기(401)가 토출구(301)에 삽입되어 토출구(301)를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 회전이 시작되면 제1밀폐돌기(302)는 유동로(231)에서 이탈되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유동로(231)를 통과한 액상화장품(A)은 토출구(301)와 인접한 밸브부재(400)의 내측까지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토출구(301)가 제2밀폐돌기(302)에 의해 차단되어 있으므로, 액상화장품(A)은 용기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회전부(700) 및 토출판(300)을 함께 회전시켜 토출구(301)를 반복적으로 개방하고 액상화장품(A)을 원하는 만큼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판(300)의 회전량이 현저히 증가하면, 피스톤(200)을 용기부(100)의 바닥까지 하강시켜 용기부(100) 내측의 액상화장품(A)을 모두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에도, 탄성부재(500)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부재(400)는 토출판(300)과 지속적으로 접촉하고, 토출판(300)의 회전에 대응하여 토출구(301)를 연속적, 반복적으로 원활히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부(100) 내부에 수용되었던 액상화장품(A)은 최초의 차단된 상태(제1밀폐돌기가 유동로를 폐쇄하고, 제2밀폐돌기가 토출구를 폐쇄한 상태)로부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이 소진된 상태까지 회전부(700) 및 토출판(300)을 간단히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매우 편리하게 액상화장품(A)을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회전과정에서 밸브부재(400)의 반복적인 이동으로 액상화장품(A)이 적절한 양으로 균일하게 토출되므로, 사용자가 화장품용기(1)를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화장품용기 10: 본체부
20: 커버부 21: 거울
30: 안착부 40: 퍼프
100: 용기부 100a: 몸체
100b: 저면부 101: 수용공간
102: 개구부 110: 피스톤가이드
111: 레일 120: 힌지부
200: 피스톤 210: 제1나사부
210a: 밸브가이드 210b: 가이드돌기
220: 가이드판 230: 결합부
231: 유동로 300: 토출판
301: 토출구 302: 제1밀폐돌기
310: 제2나사부 310a: 만입부
320: 연장부 321: 경사면
330: 분배판 331: 분배홀
400: 밸브부재 401: 제2밀폐돌기
410: 접촉부 411: 접촉부경사면
412: 홈부 500: 탄성부재
600: 흡수부재 700: 회전부
710: 배출부 800: 개폐커버
A: 액상화장품

Claims (9)

  1. 내측에 액상화장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부;
    상기 수용공간을 따라 이동하며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액상화장품의 이동통로가 되는 유동로가 형성된 피스톤;
    상기 용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과 나사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을 이동시키며, 상기 유동로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판; 및
    상기 피스톤과 상기 토출판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토출판과 상기 밸브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접하는 접촉부가 형성되어, 상기 토출판이 회전하면 상기 접촉부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밸브부재가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화장품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판으로부터 상기 피스톤을 향하여 돌출되며 일단부가 상기 유동로를 막는 제1밀폐돌기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토출구를 막는 제2밀폐돌기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밸브부재를 상기 토출판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로는 상기 피스톤의 중앙에 관 형태로 돌출되며,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유동로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화장품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과 상기 접촉부는 각각 서로 접하는 면이 톱니형상으로 형성된 화장품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유동로를 중앙에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화장품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판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토출판의 직경방향으로 상기 토출구보다 넓게 분산 배치된 복수의 분배홀이 형성된 분배판을 더 포함하는 화장품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에 밀착되어 상기 분배홀을 통과한 상기 액상화장품을 흡수하여 내부에 유지하는 흡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용기.
KR1020140057841A 2014-05-14 2014-05-14 화장품용기 KR101563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841A KR101563706B1 (ko) 2014-05-14 2014-05-14 화장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841A KR101563706B1 (ko) 2014-05-14 2014-05-14 화장품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3706B1 true KR101563706B1 (ko) 2015-10-27

Family

ID=54428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841A KR101563706B1 (ko) 2014-05-14 2014-05-14 화장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706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746B1 (ko) 2016-11-02 2017-06-19 변영광 액상 화장품 용기
KR101774766B1 (ko) 2016-11-28 2017-09-19 (주) 디즈인 화장품 용기
KR200485326Y1 (ko) * 2017-10-25 2017-12-26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회전식 토출형 화장료 용기
KR101842794B1 (ko) 2016-10-26 2018-03-27 (주)더페이스샵 화장품 용기
KR20180045872A (ko) * 2016-10-26 2018-05-04 (주)더페이스샵 화장품 용기
KR20180065737A (ko) * 2016-12-08 2018-06-18 (주)뷰티랩 화장품 용기
KR101910054B1 (ko) * 2017-03-10 2018-10-19 (주)셀트리온 회전 토출식 콤팩트 용기
WO2019031665A1 (ko) * 2017-08-11 2019-02-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2016105B1 (ko) * 2018-05-11 2019-08-29 김강봉 회전형 화장품 용기
KR20190125042A (ko) * 2018-04-27 2019-11-06 김강봉 회전형 화장품 용기
KR20210087629A (ko) * 2020-01-03 2021-07-13 배민준 구비된 조명등의 밝기를 적응적으로 조절하는 화장품 케이스와 그 케이스를 위한 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857B1 (ko) 2016-10-26 2022-03-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1842794B1 (ko) 2016-10-26 2018-03-27 (주)더페이스샵 화장품 용기
KR20180045872A (ko) * 2016-10-26 2018-05-04 (주)더페이스샵 화장품 용기
KR101748746B1 (ko) 2016-11-02 2017-06-19 변영광 액상 화장품 용기
KR101774766B1 (ko) 2016-11-28 2017-09-19 (주) 디즈인 화장품 용기
KR101894490B1 (ko) 2016-12-08 2018-09-03 주식회사 뷰티랩 화장품 용기
KR20180065737A (ko) * 2016-12-08 2018-06-18 (주)뷰티랩 화장품 용기
KR101910054B1 (ko) * 2017-03-10 2018-10-19 (주)셀트리온 회전 토출식 콤팩트 용기
WO2019031665A1 (ko) * 2017-08-11 2019-02-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0485326Y1 (ko) * 2017-10-25 2017-12-26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회전식 토출형 화장료 용기
KR20190125042A (ko) * 2018-04-27 2019-11-06 김강봉 회전형 화장품 용기
KR102080707B1 (ko) 2018-04-27 2020-02-24 김강봉 회전형 화장품 용기
KR102016105B1 (ko) * 2018-05-11 2019-08-29 김강봉 회전형 화장품 용기
KR20210087629A (ko) * 2020-01-03 2021-07-13 배민준 구비된 조명등의 밝기를 적응적으로 조절하는 화장품 케이스와 그 케이스를 위한 방법
KR102382955B1 (ko) 2020-01-03 2022-04-05 배민준 구비된 조명등의 밝기를 적응적으로 조절하는 화장품 케이스와 그 케이스를 위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3706B1 (ko) 화장품용기
KR101446762B1 (ko) 화장품 용기
JP5985061B2 (ja) 自動充填及び定量吐出スポイト型容器キャップ
JP2010051776A (ja) 螺旋作動を用いるフロースルー式ディスペンサー
JP2005324868A (ja) 物質特に化粧品やケア製品の包装装置
US8360259B2 (en) Automatic opening-and-closing discharging structure for a loose powder jar
KR101730807B1 (ko) 쿠션시트가 구비된 액상 화장품 콤팩트 케이스
US9439496B2 (en) Cosmetic container
KR20140120492A (ko) 매니큐어 용기
CA2404470C (fr)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d'un produit liquide
KR101521396B1 (ko) 밀폐식 액상 콤팩트 용기
KR101223827B1 (ko) 고점도 크림 용기
KR100757508B1 (ko) 화장용브러시
JP2009131506A (ja) 繰り出し容器
KR101711200B1 (ko) 콤팩트 용기
KR101931199B1 (ko) 화장품 용기
JP6349221B2 (ja) 計量容器
JP3113855U (ja) 粘性化粧料用容器
KR20140075226A (ko) 마사지 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140102886A (ko) 치약 용기 조립체
KR20160124967A (ko)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KR101931198B1 (ko) 화장품 용기
KR101661740B1 (ko) 도포부재를 구비한 튜브용기
KR102130249B1 (ko) 퍼프 일체형 쿠션 파운데이션 케이스
KR20040110077A (ko) 액상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