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810Y1 - 상승 기능을 갖는 크림자 - Google Patents

상승 기능을 갖는 크림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810Y1
KR200358810Y1 KR20-2004-0015264U KR20040015264U KR200358810Y1 KR 200358810 Y1 KR200358810 Y1 KR 200358810Y1 KR 20040015264 U KR20040015264 U KR 20040015264U KR 200358810 Y1 KR200358810 Y1 KR 2003588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ream
inner container
cosmetics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2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중현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20-2004-00152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8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8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8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45D40/0075Jars with disp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the piston or movable bottom being pulled upwards to dispense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가락으로 찍어 바르는 크림 형태의 화장품을 저장하기 위한 크림자(Cream Jar)에 있어서, 화장품을 저장하기 위한 일정용량의 수용공간을 갖으며 그 상단 구부에 뚜껑을 개폐하기 위한 나사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그 하단면이 관통 형성된 외부용기; 컵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구부 상단이 상기 외부용기의 내면과 밀착된 상태로 일정높이 승강되도록 형성되어지되, 그 하단 외주연에 대칭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된 내부용기; 저면에 회전손잡이가 형성되며 그 상측 외주연을 따라 상기 내부용기의 가이드돌기가 안착된 상태로 승강되도록 파형의 가이드레일이 돌출 형성된 회전승강부재; 및 상기 외부용기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승강부재를 지지하며, 그 중앙에는 상기 회전손잡이가 결합되도록 관통 형성된 하부마감판; 으로 이루어짐으로서, 화장품을 사용시 사용자가 내부용기를 간편하게 상승시켜 잔량의 화장품이 항상 외부용기의 구부에 근접된 상태로 사용하기 위한 상승 기능을 갖는 크림자(Cream Jar)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상승 기능을 갖는 크림자{CREAM JAR HAVING RISE FUNCTION}
본 고안은 크림자(Cream Ja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크림자의 내부에 저장된 화장품을 간편하게 승강시켜 용기의 구부에 근접되도록 함으로서 항상 처음 사용하는 것과 같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상승 기능을 갖는 크림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적인 요건에 의해 부패되거나 변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밀폐된 용기 내부에 저장된 상태로 뚜껑을 개폐하여 사용하는 바, 상기와 같은 밀폐 용기는 화장품의 특성에 따라 여러 형태로서 제공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화장품 용기(이하 크림자로 칭함)는 밀크크림과 같이 점도가 높은 화장품을 손으로 직접 찍어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일정용량의 화장품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즉, 합성수지재 또는 유리재 등을 사용하여 내부에 일정공간을 갖는 용기본체가 일체 형성되어지되, 상기 용기본체 상단에는 손가락을 사용하여 저장된 화장품을 찍어 사용하도록 넓게 벌어진 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부의 상단에는 상호 나사식 결합되어 비 사용시 내부로 이물질이나 공기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뚜껑이 결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크림자는 용기본체의 바닥에 미량의 화장품이 남은 경우 손가락을 용기본체의 바닥으로 깊숙이 찔러 넣은 상태로 손가락의 끝에 화장품을 찍어 사용하기 때문에 손가락 이외의 다른 부분이 용기본체의 구부와 접하여 화장품이 묻어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다시 말해서 어느 정도의 화장품이 저장된 상태에서는 손가락으로 찍어 사용하는 데 따른 불편함이 없지만, 미량의 화장품이 용기본체의 바닥에 남은 상태에서는 손가락으로 찍어 사용하는 데 따른 불편함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용기본체의 바닥에 미량의 화장품이 남은 상태에서 손가락을 깊숙이 넣어 찍어낼 경우 손톱 사이에 화장품이 끼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따라서 찍어낸 화장품을 사용한 후에는 면봉이나 휴지 등을 사용하여 손톱 사이에 낀 화장품을 빼내야 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종래 문제점 및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은 화장품을 사용시 사용자가 내부용기를 간편하게 상승시켜 잔량의 화장품이 외부용기의 구부에 근접되도록 조절함으로서 항상 처음 사용하는 것과 같이 사용이 용이하고 편리하도록 한 상승 기능을 갖는 크림자(Cream Jar)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나아가, 상승된 내부용기가 화장품이나 자체 하중에 의해 다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상승 기능을 갖는 크림자(Cream Jar)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상승 기능을 갖는 크림자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상승 기능을 갖는 크림자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A"부 확대도.
도 4는 "B"부 확대도.
도 5는 "C"부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된 상승 기능을 갖는 크림자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크림자(Cream Jar) 110: 외부용기
112: 승강홈 120: 내부용기
122: 가이드돌기 124: 승강돌기
130: 회전승강부재 132: 회전손잡이
134: 가이드레일 134a: 상향경사면
134b: 수평걸림턱 136: 스냅돌기
140: 하부마감판 142: 스냅홈
150: 뚜껑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손가락으로 찍어 바르는 크림 형태의 화장품을 저장하기 위한 크림자(Cream Jar)에 있어서,
화장품을 저장하기 위한 일정용량의 수용공간을 갖으며 그 상단 구부에 뚜껑을 개폐하기 위한 나사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그 하단면이 관통 형성된 외부용기; 컵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구부 상단이 상기 외부용기의 내면과 밀착된 상태로 일정높이 승강되도록 형성되어지되, 그 하단 외주연에 대칭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된 내부용기; 저면에 회전손잡이가 형성되며 그 상측 외주연을 따라 상기 내부용기의 가이드돌기가 안착된 상태로 승강되도록 파형의 가이드레일이 돌출 형성된 회전승강부재; 및 상기 외부용기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승강부재를 지지하며, 그 중앙에는 상기 회전손잡이가 결합되도록 관통 형성된 하부마감판; 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승강부재의 가이드레일 상에는 가이드돌기의 상승을 원활하게 안내하며, 상승된 가이드 돌기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향경사면과 수평걸림단턱이 다단으로 연속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의 내면에는 승강홈이 요입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내부용기의 구부 외주면에는 승강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승강부재를 회전시 상기 내부용기의 승강돌기가 외부용기의 승강홈을 을 따라 수직으로 상승 안내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승강부재의 회전손잡이 외면에는 환형의 스냅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 마감판의 관통된 내주면에는 상기 환형의 스냅돌기에 대응되는환형의 스냅홈이 요입 형성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상승 기능을 갖는 크림자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상승 기능을 갖는 크림자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A"부 확대도이고, 도 4는 "B"부 확대도이고, 도 5는 "C"부 확대도이다.
본 고안의 크림자(Cream Jar: 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일정용량의 외부용기(110), 상기 외부용기의 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150),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결합되는 내부용기(120), 상기 내부용기를 승강시키기 위한 회전승강부재(130) 및 상기 외부용기의 하단에 결합되어 회전승강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마감판(140)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외부용기(110)는 점도가 높은 크림 형태의 화장품을 저장하도록 일정 용량을 갖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부용기(110)의 상단은 뚜껑(150)이 결합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된 구부가 형성되는 바, 상기 구부는 손가락을 사용하여 저장된 화장품을 간편하게 찍어낼 수 있도록 넓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110)의 하단면은 상기 내부용기(120) 및 회전승강부재(130)가 결합되도록 관통 형성된다.
상기 내부용기(120)는 외부용기(110)의 내부에 결합되어 그 상측으로 화장품이 담겨지도록 구부가 넓은 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부용기(120)의 구부는 외부용기(110)의 내면과 긴밀하게 밀착되어 저장된 화장품이 유실되지 않도록한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120)는 외부용기(11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외부용기의 내면을 따라 일정높이 승강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컵 형상의 내부용기(120) 하단 외주연에는 대칭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122)가 돌출 형성되어 후술되는 회전승강부재(130)의 가이드레일(134)에 안착된 상태로 상승 안내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의 내부용기(120)는 회전승강부재(130)의 작동에 의해 외부용기(110) 내부에 결합된 상태로 수직 상승되는 바, 이를 위해 상기 외부용기(110)의 내면에는 수직으로 연장된 승강홈(112)이 요입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내부용기(120)의 구부 외면에는 상기 승강홈(112)에 안내되는 승강돌기(12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승강부재(130)를 회전시 내부용기(120)의 승강돌기(124)가 승강홈(112)에 안내되면서 수직으로 상승된다.
상기 회전승강부재(130)는 사용자가 임의로 일정각도 회전시킴에 따라 그 상측에 안착된 내부용기(120)를 승강시키도록 형성된다. 즉, 회전승강부재(130)의 하측에는 손으로 잡은 상태로 일정각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손잡이(132)가 형성되는 바, 상기 회전손잡이(132)는 회전승강부재(130)의 하측면 중앙으로부터 돌출된 원형의 외면과, 상기 원형의 외면 내부에 횡방향으로 돌출된 손잡이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승강부재(130)의 상측에는 상기 내부용기(120)를 상승시키기 위한 가이드레일(134)이 형성되는 바, 상기 가이드레일(134)은 상기 내부용기(120)의 가이드돌기(122)가 안착된 상태로 승강되도록 원형의 외주면 상단이 대향되는 하사점과 상사점을 갖는 파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134)의 상단에는 상승된 내부용기(120)가 자체 하중에 의해 역으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단으로 연속되는 상향경사면(134a)과 수평걸림단턱(134b)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파형의 가이드레일(134)을 따라 상향경사면(134a)과 수평걸림단턱(134b)이 다단으로 연속 형성된다. 따라서 내부용기(120)가 상승시 가이드돌기(122)가 상향경사면(134a)을 따라 원활히 상승되고, 상승된 가이드돌기(122)는 수평걸림단턱(134b)에 안착됨으로서 내부용기(120)에 저장된 화장품이나 내부용기(120) 자체의 하중에 하강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하부마감판(140)은 외부용기(110)의 내부에 내부용기(120)와 회전승강부재(130)가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그 하단을 마감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중앙은 회전승강부재(130)의 회전손잡이(132)가 결합되도록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마감판(140)이 결합되는 외부용기(110)의 하단에는 결합턱이 형성되어 하부마감판(140)이 안착된 상태로 접착 또는 융착됨으로서 보다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하부마감판(140)의 중앙에 관통 결합된 회전손잡이(132)는 하부마감판(140)의 하단보다 돌출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는 바, 하부마감판(140)의 관통된 내주면과 회전손잡이(132)의 돌출된 외면에는 각각 스냅홈(142)과 스냅돌기(136)가 형성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하부마감판(140)의 관통된 내주면에는 환형으로 요입 형성된 스냅홈(142)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회전손잡이(132)의 외면에는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 스냅돌기(136)가 각각 형성되어 상호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스냅돌기(136)가 스냅홈(142)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승강부재(130)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함과 동시에가압에 의해 회전손잡이(132)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된 상승 기능을 갖는 크림자(Cream Jar)를 도시한 작동상태도로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작용을 살펴본다.
우선, 상기 외부용기(110)의 관통된 하단으로부터 내부용기(120)를 결합하되, 상기 내부용기(120)의 구부에 형성된 승강돌기(124)가 외부용기(110)의 승강홈(112)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외부용기(110)의 내면과 내부용기(120)의 구부는 상호 긴밀하게 밀착된다.
이어, 상기 내부용기(120)의 하측으로 회전승강부재(130)를 결합하되, 상기 회전승강부재(130)의 가이드레일(134)이 내부용기(120)의 가이드돌기(122)와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외부용기(110)의 하측으로 회전손잡이(132)가 노출되도록 결합한다.
이와 같이 외부용기(110)의 내부에 내부용기(120)와 회전승강부재(130)가 순차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용기(110)의 하단에 하부마감판(140)을 결합하여 마감한다. 이때, 상기 하부마감판(140)의 중앙에 회전승강부재(130)의 회전손잡이(132)가 관통된 상태로 결합하는 바, 상기 하부마감판(140)의 스냅홈(142)과 회전손잡이(132)의 스냅돌기(136)가 상호 걸리도록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외부용기(110)의 구부를 통해 일정량의 화장품을 저장하는 바, 이때 상기 내부용기(120)의 가이드돌기(122)가 회전승강부재(130)의 가이드레일(134)의 하사점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내부용기(120)가 하강된 상태로 많은 양의 화장품을 저장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고안의 상승 기능을 갖는 크림자(Cream Jar: 100)에 저장된 화장품을 어느 정도 사용한 상태에서 크림자(100)의 저면에 형성된 회전손잡이(132)를 일정각도 회전시켜 내부에 저장된 잔량의 화장품이 구부에 근접되도록 상승시킨다.
즉, 사용자가 상기 회전손잡이(132)를 일정각도 회전시키면 그 상측에 형성된 파형의 가이드레일(134)이 동시에 일정각도 회전된다. 이때, 상기 회전되는 가이드레일(134)은 내부용기(120)의 가이드돌기(122)를 밀어내고, 밀리는 내부용기(120)는 그 구부의 승강돌기(124)가 외부용기(110)의 승강홈(112)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상승 작동된다.
이와 같이 일정높이 상승된 내부용기(120)는 가이드돌기(122)가 가이드레일(134)의 수평걸림단턱(134b)에 안착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작동에 의하지 않고는 하강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크림자(100) 내부에 미량의 화장품이 남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저면에 형성된 회전손잡이(132)를 일정각도 회전시키면 각 구성 간에 일련의 작용이 이루어지면서 화장품을 일정높이 상승시키게 됨으로서, 화장품이 항상 외부용기(110)의 구부에 근접된 상태로 편리하게 사용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승 기능을 갖는 크림자(Cream Jar)에 의하면 외부용기의 하측에 형성된 회전손잡이를 회전시켜 내부용기를 일정높이 승강시킴으로서 잔량의 화장품이 외부용기의 구부에 근접되도록 함에 따라 항상 처음 사용하는 것과 같이 사용이 매우 용이하고 편리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이 다단으로 연속 형성된 상향 경사면과 수평 걸림단턱으로 이루어짐으로서 상승된 내부용기가 화장품이나 자체 하중에 의해 다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Claims (4)

  1. 손가락으로 찍어 바르는 크림 형태의 화장품을 저장하기 위한 크림자(Cream Jar)에 있어서,
    화장품을 저장하기 위한 일정용량의 수용공간을 갖으며 그 상단 구부에 뚜껑을 개폐하기 위한 나사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그 하단면이 관통 형성된 외부용기;
    컵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구부 상단이 상기 외부용기의 내면과 밀착된 상태로 일정높이 승강되도록 형성되어지되, 그 하단 외주연에 대칭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된 내부용기;
    저면에 회전손잡이가 형성되며 그 상측 외주연을 따라 상기 내부용기의 가이드돌기가 안착된 상태로 승강되도록 파형의 가이드레일이 돌출 형성된 회전승강부재; 및
    상기 외부용기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승강부재를 지지하며, 그 중앙에는 상기 회전손잡이가 결합되도록 관통 형성된 하부 마감판;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기능을 갖는 크림자(Cream Jar).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승강부재의 가이드레일 상에는 가이드돌기의 상승을 원활하게 안내하며, 상승된 가이드 돌기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향경사면과 수평걸림단턱이 다단으로 연속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기능을 갖는 크림자(Cream Jar).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의 내면에는 승강홈이 요입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내부용기의 구부 외주면에는 승강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승강부재를 회전시 상기 내부용기의 승강돌기가 외부용기의 승강홈을 을 따라 수직으로 상승 안내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기능을 갖는 크림자(Cream Jar).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승강부재의 회전손잡이 외면에는 환형의 스냅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마감판의 관통된 내주면에는 상기 환형의 스냅돌기에 대응되는 환형의 스냅홈이 요입 형성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 기능을 갖는 크림자(Cream Jar).
KR20-2004-0015264U 2004-06-01 2004-06-01 상승 기능을 갖는 크림자 KR2003588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264U KR200358810Y1 (ko) 2004-06-01 2004-06-01 상승 기능을 갖는 크림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264U KR200358810Y1 (ko) 2004-06-01 2004-06-01 상승 기능을 갖는 크림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810Y1 true KR200358810Y1 (ko) 2004-08-11

Family

ID=49435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264U KR200358810Y1 (ko) 2004-06-01 2004-06-01 상승 기능을 갖는 크림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81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680B1 (ko) * 2004-04-26 2008-04-10 정관선 바닥이 상승되는 화장품 용기
KR200462502Y1 (ko) 2010-06-11 2012-09-14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용기
WO2013035976A1 (ko) * 2011-09-09 2013-03-14 (주)연우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KR101285335B1 (ko) 2010-12-28 2013-07-11 이성환 화장품 케이스
KR20170047679A (ko) * 2015-10-23 2017-05-08 코웨이 주식회사 출몰형 용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680B1 (ko) * 2004-04-26 2008-04-10 정관선 바닥이 상승되는 화장품 용기
KR200462502Y1 (ko) 2010-06-11 2012-09-14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용기
KR101285335B1 (ko) 2010-12-28 2013-07-11 이성환 화장품 케이스
WO2013035976A1 (ko) * 2011-09-09 2013-03-14 (주)연우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KR20170047679A (ko) * 2015-10-23 2017-05-08 코웨이 주식회사 출몰형 용기
KR102509162B1 (ko) 2015-10-23 2023-03-13 코웨이 주식회사 출몰형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08829B2 (ja) 化粧品容器
JP6613510B2 (ja) ワンタッチ方式でキャップが開閉操作される化粧品容器
US7540376B2 (en) Contact lens case
KR101333044B1 (ko) 콤팩트 용기
KR200400078Y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JP2019509826A (ja) 螺旋形構造を有するスティック型化粧品容器
KR102042647B1 (ko) 화장품 용기
KR101736817B1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101551230B1 (ko) 기밀 봉상화장품 용기
KR101571456B1 (ko) 액상 립스틱 용기
JP2017500992A (ja) 回転押出式化粧品容器
US10342314B2 (en) Liquid cosmetics case
KR101440010B1 (ko) 다단 나사식 액상화장품용기
KR200358810Y1 (ko) 상승 기능을 갖는 크림자
KR102386380B1 (ko)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101903494B1 (ko) 기밀 봉상화장품 용기
KR101861810B1 (ko) 액상 화장품 토출 장치
KR101705030B1 (ko) 자동 스포이드형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스포이드형 용기
US20230302474A1 (en) Content container
KR101293804B1 (ko) 정량 토출 크림 용기
KR200485326Y1 (ko) 회전식 토출형 화장료 용기
KR101261025B1 (ko) 퍼프 내장형 용기
KR200462001Y1 (ko) 고점도 내용물의 미세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JP2020069367A (ja) 化粧品容器
KR102343208B1 (ko) 화장품 드로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