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162B1 - 출몰형 용기 - Google Patents

출몰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162B1
KR102509162B1 KR1020150148064A KR20150148064A KR102509162B1 KR 102509162 B1 KR102509162 B1 KR 102509162B1 KR 1020150148064 A KR1020150148064 A KR 1020150148064A KR 20150148064 A KR20150148064 A KR 20150148064A KR 102509162 B1 KR102509162 B1 KR 102509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uide groove
protrusion
groove
accommod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7679A (ko
Inventor
함형길
허진형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8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162B1/ko
Publication of KR20170047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상태에 따라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하우징의 일측으로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출몰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풀몰형 용기는, 내주면 일측에 위치하는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홈에서 연장되는 규제홈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되, 그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홈 또는 규제홈을 따라 이동가능한 돌기를 구비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이에 의하면, 수용부 내의 내용물을 사용하고 수용부 및 덮개를 하우징 내에 간편하게 수용할 수 있어, 기존 용기의 덮개 및 하우징의 사이를 통해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수용부 내의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용부 및 덮개가 하우징 내에 완전히 수용됨으로써 용기 전체의 크기가 작아져 휴대하기도 간편하고, 나아가 외관상으로도 미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출몰형 용기{appear-hide type container}
본 발명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상태에 따라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하우징의 일측으로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출몰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림, 분말, 액상 등의 내용물을 알맞은 용기에 보관하는데, 이러한 용기들을 주로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수용부 내에 내용물을 보충 또는 꺼내어 사용될 수 있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용기의 경우, 수용부 및 덮개 사이의 틈을 통하여 수용부 내로 이물질이 침입하여 내용물을 오염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덮개가 수용부의 개구부측에 노출되도록 위치하기에, 덮개가 차지하는 부피만큼 부피가 커질 수밖에 없고, 때문에, 용기의 종류에 따라서는 휴대하기가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2014-0073048 A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용물이 든 수용부를 하우징 내부에서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시에는 수용부를 하우징의 상부로 이동시켜 내용물을 사용하고, 사용후에는 수용부 및 덮개를 모두 하우징 내부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출몰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주면 일측에 위치하는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홈에서 연장되는 규제홈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되, 그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홈 또는 규제홈을 따라 이동가능한 돌기를 구비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출몰형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 하측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승하여, 수용부가 하우징 내부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부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돌기를 상기 규제홈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용부의 하강이동이 규제되며, 상기 수용부가 하우징 내부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돌기를 상기 가이드홈의 상단에 위치시키고,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재가압함으로써 상기 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하강함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 하측에 완전히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홈 및 상기 규제홈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에서 상기 경사부를 따라 상기 규제홈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규제홈에 삽입되어 위치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내주면에 제1나사부를 구비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는 상기 제1나사부와 계합가능한 제2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규제홈은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가 풀리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부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가 풀림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연동하여 상기 규제홈 측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돌기가 상기 규제홈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규제홈에 위치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규제홈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가 조여져 계합됨에 따라 상기 수용부가 상기 규제홈의 반대측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가이드홈의 상단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수용부의 상하이동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 내주면 일측에 위치하는 제1가이드홈, 상기 제1가이드홈에서 연장되는 규제홈 및 상기 제1가이드홈 및 상기 제1가이드홈과 소정거리 이격된 내주면 일측에 위치하는 제2가이드홈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그 외주면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가이드홈 또는 상기 규제홈을 따라 이동가능한 제1돌기 및 상기 제1돌기와 소정거리 이격된 외주면에 위치하는 제2돌기를 구비하는 수용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을 감싸며, 그 내주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2돌기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3가이드홈 및 외주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2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한 제3돌기를 구비하는 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돌기가 상기 제1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출몰형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 하측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제1돌기가 상기 제1가이드홈을 따라 상승함과 함께 상기 관부가 상승하여, 상기 수용부 및 상기 관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용부 및 상기 관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부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돌기를 상기 규제홈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용부 및 상기 관부의 하강이동이 규제되며,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돌기를 상기 제1가이드홈의 상단에 위치시키고,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재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돌기가 상기 제1가이드홈을 따라 하강함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 하측에 완전히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가이드홈과 상기 규제홈 사이를 연결하는 제1경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가 상승함으로써 상기 제1돌기가 상기 제1가이드홈으로부터 상기 제1경사부를 따라 상기 규제홈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가이드홈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제2경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부가 하강함으로써 상기 제3돌기가 상기 제2경사부를 따라 상기 제2가이드홈을 따라 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주면에 제1나사부를 구비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200')의 상측에는 상기 제1나사부와 계합가능한 제2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규제홈은 상기 제1가이드홈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가 풀리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 상부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가 풀림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연동하여 상기 규제홈 측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돌기가 상기 규제홈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규제홈에 위치되고, 상기 제1돌기가 상기 규제홈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가 조여져 계합됨에 따라 상기 수용부가 상기 규제홈의 반대측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가이드홈의 상단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용부의 하강이동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출몰형 용기에 의하면, 수용부 내의 내용물을 사용하고 수용부 및 덮개를 하우징 내에 간편하게 수용할 수 있어, 기존 용기의 덮개 및 하우징의 사이를 통해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수용부 내의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용부 및 덮개가 하우징 내에 완전히 수용됨으로써 용기 전체의 크기가 작아져 휴대하기도 간편하고, 나아가 외관상으로도 미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전체사시도로서, 덮개 및 수용부가 하우징 내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전체사시도로서, 덮개 및 수용부가 상승이동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하우징 내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중앙을 기준으로 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측면도로서, 덮개 및 수용부가 하우징 내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전체사시도로서, 덮개 및 수용부가 상승이동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전체사시도로서, 덮개 및 수용부가 하우징 내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전체사시도로서, 덮개 및 수용부가 상승이동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하우징 내부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중앙을 기준으로 한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측면도로서, 덮개 및 수용부가 하우징 내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전체사시도로서, 덮개 및 수용부가 상승이동한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술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출몰형 용기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1.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수용부(200) 및 덮개(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그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바람직하게는 원통 형상일 수 있고, 그 내주면에 위치하는 가이드홈(110) 및 규제홈(120)을 포함한다.
가이드홈(110)은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파인 홈 형상으로 소정길이를 가지고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제홈(120)은 가이드홈(110)의 상측에서 연장되어 파인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가이드홈(110)과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홈(110)과 규제홈(120)은 'ㄱ'자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부(200)는 그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서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위치하며, 그 외주면에는 돌기(230)가 형성되고, 이러한 돌기(230)가 가이드홈(110) 또는 규제홈(120)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수용부(200)는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수용부(220)와 내수용부(210)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기(230)는 외수용부(220)에 형성되고, 내용물은 내수용부(210)에 수용된다. 이로써 내용물의 사용이 끝난 후, 내수용부(210) 만을 교체함으로써 간단하게 내용물을 보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외수용부(220)와 내수용부(21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수용부(200)의 하부와 하우징(100)의 내부 하측의 사이에는 탄성부(130)가 위치할 수 있다. 탄성부(130)는 상세하게는 수용부(200) 하부에 위치하는 공간 및 하우징(100) 내부 하측면에 위치하는 공간 사이로서 그 내부에 위치하는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부재(131)를 포함하여 이의 탄성으로써 수용부(200)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압력을 제공한다.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탄성부는 이미 공지된 일반적인 클램프 구조로서, 수용부(200) 상부를 한번 누르면 양측으로 벌어졌다가 다시 한번 더 누르면 오므라졌다 하는 암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수용부(200)를 한번 가압하면 수용부(200)가 하강하여 하우징(100)의 하측면으로 밀착되어 하우징(100) 내부로 완전히 수용되어 고정되고, 다시 한번 가압하면 수용부(200)가 하우징(100)의 개구부 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덮개(30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200)의 개구부를 밀폐하며,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나사부(311)를 구비할 수 있다. 제1나사부(211)는 수용부(200) 개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나사부(211)와 계합하여, 수용부(200)를 밀폐하며, 덮개(300)가 수용부(200)에 계합된 후, 덮개(300)를 가압함으로써 수용부(200)가 하우징(100) 내부에서 상기한 상승 및 하강의 상하운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덮개(300)는 수용부(200)에 수용되는 내용물 또는 사용형태에 따라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갯수는 한정되지 않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덮개(310, 320, 330)의 3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든다. 이렇게 복수의 덮개(310, 320, 330)가 구비될 경우 가장 내측에 구비되는 제1덮개(310)의 내주면에 제1나사부(311)가 구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1.2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작용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추가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6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부(200) 및 덮개(300)가 완전히 수용된 상태로서, 수용부(200)에 형성된 돌기(230)가 가이드홈(110)에 삽입되어 가이드홈(110)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이로써 수용부(200) 및 덮개(300)가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이다. 또한, 가이드홈(110)에서 연장되는 규제홈(120)은 가이드홈(110)의 일측으로부터 상기한 제1나사부(211) 및 제2나사부(311)의 계합이 해제되는 방향, 즉 풀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덮개(300) 상부면을 가압하면 탄성부의 탄성으로 인하여,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300) 및 수용부(200)가 상승하고, 이로써 덮개(300)는 하우징(100)으로부터 완전히 노출된 상태가 되고, 수용부(200)는 그 일부(제2나사부(311))가 하우징(100)으로부터 노출되고, 따라서, 수용부(200) 외주면에 위치한 돌기(230)는 가이드홈(110)의 상단, 즉, 가이드홈(110)과 규제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1나사부(211)와 제2나사부(311)의 계합상태가 해제되도록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나사부(211)와 제2나사부(311)의 계합이 풀리면서 수용부(200)도 일정량 회전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수용부(200)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230)가 가이드홈(110) 상단에서 규제홈(120)으로 이동하여 삽입되고, 이로써, 수용부(200)의 상하 움직임이 규제되어, 수용부(200)에 추가적인 가압이 이루어지더라도, 하우징(100) 내부로 하강하여 수용되지 않는다.
그리고, 수용부(200)가 하우징(100)의 개구측 까지 상승한 상태(도 7 상태)에서, 수용부(200)의 내용물을 사용한 후, 덮개(300)를 회전시켜 수용부(200)가 밀폐되도록 한다. 이때, 제1나사부(211)와 제2나사부(311)가 조여짐에 따라, 수용부(200)가 회전하므로, 수용부(200)에 형성된 돌기(230)가 규제홈(120)으로부터 가이드홈(110)의 상단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덮개(300)의 상부면을 가압함으로써 수용부(200) 및 덮개(300)가 하강하여 하우징(100)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2.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구성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발명의 이해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그 외 동일한 구성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는, 하우징(100'), 수용부(200'), 관부(250') 및 덮개(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주면에는 제1가이드홈(111')이 형성되며, 그 일측면에는 규제홈(112')이 연결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가이드홈(111')과 규제홈(112')이 제1경사부를 통하여 연결되며, 규제홈(112')은 제1가이드홈(111')과 마찬가지로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내주면에는, 제1가이드홈(111') 및 규제홈(112')과 소정거리 이격된 제2가이드홈(121')이 형성된다, 제2가이드홈(121')은 바람직하게는 제1가이드홈(111') 및 규제홈(112')의 상측, 하우징(100') 개구부 부분에 위치하고, 제2가이드홈(121')에는 그 상단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경사부가 위치할 수 있다.
수용부(200')의 외주면에는 제1가이드홈(111') 또는 규제홈(112')을 따라 이동가능한 제1돌기(230') 및 제1돌기(230')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돌기(240')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돌기(240')는 제1돌기(230')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또한, 수용부(200')의 상단부에는 수용부(200')에 수용된 내용물을 펌핑하여 토출시키는 펌프부(210')가 위치할 수 있다. 펌프부(210')의 펌핑에 의한 토출작용은 이미 공지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관부(250')는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하며, 수용부(20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관부(25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돌기(240')가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제3가이드홈(251')이 구비된다. 제3가이드홈(251')의 상단에는 걸림턱이 위치할 수 있고, 제2돌기(240')가 이에 걸리도록 되어있다. 이로써 수용부(200')의 상승이동에 따라 관부(250')가 함께 상승하거나, 관부(250')가 하강이동함에 따라 수용부(200')가 함께 하강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관부(250')의 외주면에는 제3돌기(252')가 형성되어 상기 제2가이드홈(121') 내에 이동가능하게 위치한다.
덮개(300')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200')의 상측에 위치한다. 덮개(300')는 수용부(200') 및/또는 관부(250')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수용부(200')가 하우징(100') 내부에서 상기한 상승 및 하강의 상하운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덮개(300')는 수용부(200')에 수용되는 내용물 또는 사용형태에 따라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갯수는 한정되지 않으나, 제1 내지 제2덮개(310', 320')의 2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든다.
2.2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작용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도 14를 추가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출몰형 용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3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부(200') 및 덮개(300')가 완전히 수용된 상태로서, 수용부(200')에 형성된 제1돌기(230')가 제1가이드홈(111')에 삽입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이로써 수용부(200') 및 덮개(300')가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이다.
여기서, 덮개(300') 상부면을 가압하면 탄성부의 탄성으로 인하여,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300'), 수용부(200') 및 관부(250')가 상승하고, 이로써 덮개(300')는 하우징(100')으로부터 완전히 노출된 상태가 되고, 수용부(200')는 그 상측의 일부(펌프부(21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노출되고, 이러한 덮개(300'), 수용부(200') 및 관부(250')의 상승과정에서, 수용부(200')의 제1돌기(230')가 제1가이드홈(111')을 따라 상승하다가 제1경사부(113')에 도달하면, 제1경사부(113')를 따라서 상승하게 된다. 즉, 수용부(200')가 약간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관부(250')도 수용부(200')와 함께 약간 회전하며 관부(250')의 제3돌기(252')가 제2가이드홈(121') 상단에 위치한 제2경사부를 따라 이동하여 제2경사부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덮개(300')를 제거하고 펌프부(210')를 이용하여 수용부(200') 내의 내용물을 토출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00')의 제1돌기(230')는 제1경사부(113')를 따라 규제홈(112')에 위치한 상태이고, 규제홈(112')은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가지고 있어, 펌프부(210')의 펌핑 동작에 따라, 하측으로 소정거리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규제되며, 따라서 펌핑시에 쿠셔닝 효과를 수용부(200')에 부여하여 펌핑감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이때 관부(250')는 제3돌기(252')가 제2가이드홈(121')의 경사부 측에 고정되므로, 펌핑시에 소정거리의 하강이동을 하지 않는다.
수용부(200')의 내용물을 사용한 후, 덮개(300')로써 펌프부(210')를 덮으며 수용부(200') 및 관부(250')의 상부를 가압하면, 가압되는 힘에 의하여 관부(250')의 제3돌기(252')가 제2경사부를 따라 하강함에 따라 관부(250')가 약간 회전하며 제3돌기(252')가 제2가이드홈(121')으로 가이드 되어 제2가이드홈(121')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관부(250')가 회전하며 하강함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수용부(200') 역시 약간 회전하며, 수용부(200')의 제1돌기(230')가 규제홈(112')의 상측에서 제1경사부(113')를 따라 제1가이드홈(111')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용부(200')가 하강하여 하우징(100') 내측에 덮개(300'), 관부(250') 및 수용부(200')가 완전히 수용된다.
3. 추가적인 변형예
상기한 실시형태들은 다음과 같은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실시형태에서의 가이드홈(110)과 규제홈(120)의 사이에는 제2실시형태에서와 같은 경사부가 위치함으로써 돌기(230)가 가이드홈(110)을 따라 상승하며 상기 경사부를 따라 규제홈(120)으로 삽입됨으로써 수용부(200)의 하강이동이 규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는 수용부(200) 및 덮개(300)가 나사부(311, 211)로 계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마찬가지로 제2실시형태의 제1가이드홈(111')과 규제홈(112')은 경사부(113') 없이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제1실시형태와 같이 수용부(200') 상부 및 덮개 내부면에 나사부가 각각 형성되어 이들이 계합됨으로써 제1돌기(230')가 제1가이드홈(111')으로부터 규제홈(112')으로 삽입되어 수용부(200')의 하강이동이 규제되도록 하고, 계합이 풀림으로써 수용부(200')가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가이드홈(121')에도 이와 연장되는 규제홈이 형성되어, 관부(250')의 제3돌기(252')가 제2가이드홈(121')에서 규제홈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출몰형 용기에 의하면, 수용부 내의 내용물을 사용하고 수용부 및 덮개를 하우징 내에 간편하게 수용할 수 있어, 기존 용기의 덮개 및 하우징의 사이를 통해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수용부 내의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용부 및 덮개가 하우징 내에 완전히 수용됨으로써 용기 전체의 크기가 작아져 휴대하기도 간편하고, 나아가 외관상으로도 미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100': 하우징
110: 가이드홈
111': 제1가이드홈
112': 규제홈
113': 제1경사부
120: 규제홈
121': 제2가이드홈
122': 제2경사부
130, 130': 탄성부
131, 131': 탄성부재
200, 200': 수용부
230: 돌기
230': 제1돌기
240': 제2돌기
250': 관부
251': 제3가이드홈
252': 제3돌기
300, 300': 덮개

Claims (9)

  1. 내주면 일측에 위치하는 가이드홈(110) 및 상기 가이드홈(110)에서 연장되는 규제홈(120)을 구비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하되, 그 외주면 일측에는 위치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홈(110)과 상기 규제홈(120)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이동가능한 돌기(230)를 구비하는 수용부(200); 및
    내주면에 제1 나사부(311)를 구비하는 덮개(300);
    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200)의 상측에는 상기 제1 나사부(311)와 계합가능한 제2 나사부(211)가 구비되고,
    상기 규제홈(120)은 상기 가이드홈(110)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 나사부(311)와 상기 제2 나사부(211)가 풀리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돌기(230)가 상기 가이드홈(110)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용부(200)가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출몰형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 하측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200)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승하여, 수용부가 하우징 내부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부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돌기(230)를 상기 규제홈(120)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용부(200)의 하강이동이 규제되며,
    상기 수용부가 하우징 내부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돌기를 상기 가이드홈의 상단에 위치시키고,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재가압함으로써 상기 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하강함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 하측에 완전히 수용되는,
    출몰형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110) 및 상기 규제홈(12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200)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돌기(230)가 상기 가이드홈(110)에서 상기 경사부를 따라 상기 규제홈(120)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규제홈(120)에 삽입되어 위치 가능한,
    출몰형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00)가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나사부(311)와 상기 제2나사부(211)가 풀림으로써 상기 수용부(200)가 연동하여 상기 규제홈(120) 측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돌기(230)가 상기 규제홈(120)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규제홈(120)에 위치되고,
    상기 돌기(230)가 상기 규제홈(120)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나사부(311)와 상기 제2나사부(211)가 조여져 계합됨에 따라 상기 수용부(200)가 상기 규제홈(120)의 반대측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가이드홈(110)의 상단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수용부(200)의 상하이동이 가능한,
    출몰형 용기.
  5. 내주면 일측에 위치하는 제1가이드홈(111'), 상기 제1가이드홈(111')에서 연장되는 규제홈 및 상기 제1가이드홈(111') 및 상기 제1가이드홈(111')과 소정거리 이격된 내주면 일측에 위치하는 제2가이드홈(121')을 구비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하며, 그 외주면 일측에 위치하여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1가이드홈(111')과 상기 규제홈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이동가능한 제1돌기(230') 및 상기 제1돌기(230')와 소정거리 이격된 외주면에 위치하는 제2돌기(240')를 구비하는 수용부(200'); 및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100')을 감싸며, 그 내주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2돌기(240')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3가이드홈(251') 및 외주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2가이드홈(121')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한 제3돌기(252')를 구비하는 관부(250');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돌기(230')가 상기 제1가이드홈(11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용부(200')가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돌기(230')가 상기 규제홈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수용부(200')의 상하이동이 규제되는,
    출몰형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 하측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200')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제1돌기가 상기 제1가이드홈을 따라 상승함과 함께 상기 관부가 상승하여, 상기 수용부 및 상기 관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용부 및 상기 관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부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돌기(230')를 상기 규제홈(112')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용부(200') 및 상기 관부의 하강이동이 규제되며,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돌기를 상기 제1가이드홈의 상단에 위치시키고,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재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돌기가 상기 제1가이드홈을 따라 하강함으로써 상기 수용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 하측에 완전히 수용되는,
    출몰형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홈(111')과 상기 규제홈 사이를 연결하는 제1경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200')가 상승함으로써 상기 제1돌기(230')가 상기 제1가이드홈(111')으로부터 상기 제1경사부(113')를 따라 상기 규제홈(112')으로 이동하는,
    출몰형 용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홈(121')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제2경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부(250')가 하강함으로써 상기 제3돌기(252')가 상기 제2경사부를 따라 상기 제2가이드홈(121')을 따라 하강하는,
    출몰형 용기.

  9. 제 6 항에 있어서,
    내주면에 제1나사부를 구비하는 덮개(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200')의 상측에는 상기 제1나사부와 계합가능한 제2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규제홈(112')은 상기 제1가이드홈(111')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가 풀리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부(200')가 상기 하우징(100') 상부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가 풀림으로써 상기 수용부(200')가 연동하여 상기 규제홈(112') 측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돌기(230')가 상기 규제홈(112')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규제홈(112')에 위치되고,
    상기 제1돌기(230')가 상기 규제홈(112')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가 조여져 계합됨에 따라 상기 수용부(200')가 상기 규제홈(112')의 반대측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가이드홈(111')의 상단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용부(200')의 하강이동이 가능한,
    출몰형 용기.
KR1020150148064A 2015-10-23 2015-10-23 출몰형 용기 KR102509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064A KR102509162B1 (ko) 2015-10-23 2015-10-23 출몰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064A KR102509162B1 (ko) 2015-10-23 2015-10-23 출몰형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679A KR20170047679A (ko) 2017-05-08
KR102509162B1 true KR102509162B1 (ko) 2023-03-13

Family

ID=60164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064A KR102509162B1 (ko) 2015-10-23 2015-10-23 출몰형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1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810Y1 (ko) 2004-06-01 2004-08-11 (주)연우 상승 기능을 갖는 크림자
KR101261025B1 (ko) * 2011-03-30 2013-05-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퍼프 내장형 용기
KR101493878B1 (ko) 2014-07-23 2015-02-17 박현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KR102204326B1 (ko) 2014-10-10 2021-01-19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컵 홀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414B1 (ko) 2012-12-06 2014-11-10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40095141A (ko) * 2013-01-23 2014-08-0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깊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KR101583902B1 (ko) * 2014-01-21 2016-01-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810Y1 (ko) 2004-06-01 2004-08-11 (주)연우 상승 기능을 갖는 크림자
KR101261025B1 (ko) * 2011-03-30 2013-05-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퍼프 내장형 용기
KR101493878B1 (ko) 2014-07-23 2015-02-17 박현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KR102204326B1 (ko) 2014-10-10 2021-01-19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컵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679A (ko) 201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7931B2 (ja) 化粧品二液容器
KR101631827B1 (ko) 펌프 타입 컴팩트 용기
KR200476731Y1 (ko) 다종의 크림형 화장품을 분리수용하는 다중 격실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150019782A (ko) 가이드형 화장료 배출판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CN104603019A (zh) 用于自动填充和固定量分配的注射器式容器盖
EP3718914A1 (en) Liquid contents discharge container
KR101564981B1 (ko) 화장품 케이스
KR101247124B1 (ko) 펜슬형 화장품용기
US10723537B2 (en) Cartridge pump
KR101337069B1 (ko) 화장품 용기의 에어리스 펌프
KR102368660B1 (ko) 내용물 용기
KR101931199B1 (ko) 화장품 용기
KR200488073Y1 (ko) 이종의 내용물 배출이 가능한 액체 배출용기
KR102509162B1 (ko) 출몰형 용기
JP6952991B2 (ja) 塗布体付き容器
KR101627227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의 씰링구조
KR102188196B1 (ko) 화장품 용기
KR101089167B1 (ko) 원터치 캡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KR20150060103A (ko) 화장료 배출판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170050129A (ko) 화장품 용기의 배출 장치
JP5143478B2 (ja) 繰り出し容器
KR101923180B1 (ko) 화장품 용기
KR101246144B1 (ko) 분말과 액상 공용 화장품 용기
KR102080707B1 (ko) 회전형 화장품 용기
KR101931198B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