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087B1 - 압축성 액체 저장용기를 가진 액체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압축성 액체 저장용기를 가진 액체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087B1
KR102563087B1 KR1020207034721A KR20207034721A KR102563087B1 KR 102563087 B1 KR102563087 B1 KR 102563087B1 KR 1020207034721 A KR1020207034721 A KR 1020207034721A KR 20207034721 A KR20207034721 A KR 20207034721A KR 102563087 B1 KR102563087 B1 KR 102563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d lid
delivery
delivery opening
end wall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4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8012A (ko
Inventor
프란시스 모레우
미카엘 호우어
토마스 브루더
Original Assignee
압타르 라돌프?f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압타르 라돌프?f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압타르 라돌프?f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008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0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65D35/46Closures with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2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and elastically biased towards the open position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65D47/208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일반적으로 튜브 형태로 구성된 액체 리저버(12), 및 전달 개구를 가진 전달 헤드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피부에 액체를 국소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크림 디스펜서(10)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타입의 크림 디스펜서(10)는 전달 개구를 보호하기 위하여 힌지식 뚜껑을 가진다. 본 발명은, 공지된 전달 헤드를 개선시키기 위한 두 양태, 즉 촉각 측면에서 즐거움을 주는 방식으로 전달 헤드의 릴리스 버튼의 동작을 제한하기 위해 전달 헤드를 다중-부분으로 형성하는 양태, 그리고, 크림이 피부에 제공되는 동안 날카로운 모서리의 래칭 에지가 피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래칭 에지가 전달 헤드 상에 배열되고 힌지식 뚜껑의 맞은편에 배열되는 양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축성 액체 저장용기를 가진 액체 디스펜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피부에 액체를 국소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크림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디스펜서는 화장품 및 제약 분야에서 사용된다.
일반적인 크림 디스펜서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크림 디스펜서들은 보통 튜브 디스펜서로 구성되며, 이러한 디스펜서들은, 통상, 일체형 튜브 몸체 외에도, 튜브 몸체에 결부되고 전달 개구를 가진 플라스틱 재료의 전달 헤드를 포함한다. 건조를 방지하거나 및/또는 기립 성능(standing capability)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달 헤드는 닫힌 상태에서 전달 개구를 덮는 힌지식 뚜껑을 가진다.
이러한 일반적인 타입의 크림 디스펜서가 종래 기술로부터 다수 알려져 있다. 하지만, 낮은 생산 비용으로, 작동 측면에서 높은 수준의 편안함과 쾌적한 사용자 경험을 보장하는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고 촉각 측면에서 쾌적하게 사용되고 작동되는 크림 디스펜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의 피부에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크림 디스펜서가 제공되는데, 상기 크림 디스펜서는 출구 포트를 가진 액체 리저버(liquid reservoir), 뿐만 아니라 출구 덕트 및 출구 덕트의 단부에서 전달 개구를 가진 전달 헤드를 포함한다. 전달 헤드는 밸브 압력 챔버를 가진 출구 밸브를 포함하며, 출구 밸브는 밸브 압력 챔버의 내부 압력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림 디스펜서는 고점도 액체, 즉 크림 타입 또는 젤 타입의 물질을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리저버에는 이러한 액체들이 채워져 있으며, 이러한 액체들은 순수한 화장품 액체 또는 순수한 제약 방식으로 효과적인 액체, 또는 이러한 화장 및 제약 목적의 용도 모두를 갖는 혼합물(hybrid) 일 수 있다.
전달 헤드는 내부 구성요소 및 외부 구성요소로 구성된 2개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외부 구성요소는 내부에 전달 개구가 제공되며 출구 덕트에 의해 관통되는 단부 벽을 가진다. 출구 포트에 연결하기 위하여, 내부 구성요소는 주 연장선(main extent)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넥터 포트(connector port)를 포함한다. 내부 구성요소는 출구 덕트의 입구 맞은편에 위치된 밸브면(valve face)을 가지며, 밸브면 및 출구 덕트의 입구는 함께 출구 밸브를 형성하고, 밸브면과 출구 덕트를 서로에 대해 재배치 함으로써 출구 밸브가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내부 구성요소 및 외부 구성요소는, 외부 구성요소의 케이싱 면의 내측면에서 둘러싸는 체결 영역(fastening region)을 따라 서로 타이트하게 고정 연결되어 밸브 압력 챔버를 형성한다.
따라서, 내부 구성요소 및 외부 구성요소는, 함께, 액체 리저버, 특히 튜브로부터 액체가 압착되어 유입되는 밸브 압력 챔버를 형성한다. 압력이 올라가면, 내부 구성요소 및 외부 구성요소 상에서 서로 맞은편에 위치된 벽들이 서로 이격되어 밸브가 개방된다. 이제, 크림은 단부 벽에서 전달 개구를 통해 계량 방식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크림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단부 벽의 평면 외측면에 도달하며, 그로부터 크림이 사용자의 피부에 제공된다. 따라서, 외측면은 날카로운 모서리(sharp edge)가 없으며, 이는 이렇게 날카로운 모서리는 피부와 접촉할 때 불쾌한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전달 헤드는 힌지식 뚜껑(hinged lid)을 포함하되, 힌지식 뚜껑은 닫힌 상태(closed state)에서 전달 개구를 덮고 한쪽에는 관절부(articulation)가 제공되며 그 맞은편에는 외부 구성요소 상에서 닫히도록 고정하기 위한 제1 래칭 에지(latching edge)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힌지식 뚜껑은, 바람직하게는, 외부 구성요소의 일체형 부분, 즉 외부 구성요소의 실질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부분(immovable part)으로서, 내부 구성요소와 함께, 전달 헤드의 베이스(base)를 형성하고, 힌지식 뚜껑은 상기 외부 구성요소에 일체형으로 구성하기 위해 몰딩될 수 있는 이동식 부분(movable part)을 가진다.
제2 래칭 에지가 제공된 릴리스 버튼이 외부 구성요소의 움직이지 않는 부분에 제공되며, 힌지식 뚜껑이 닫힌 경우, 힌지식 뚜껑 상에서 제2 래칭 에지가 제1 래칭 에지와 래칭되고, 릴리스 버튼을 누름으로써 상기 래칭 작동으로부터 릴리스되어 힌지식 뚜껑이 개방될 수 있다.
내부 구성요소가 외부 구성요소에 체결되는 체결 영역은 주 연장선의 방향에서 릴리스 버튼과 수평이 되도록(level) 배열되며, 릴리스 버튼은 작동 시에 체결 영역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사용자는 힌지식 뚜껑을 개방하기 위해 릴리스 버튼을 누른다. 본 명세서에서, 이러한 작동은 의도치 않게 릴리스되는 위험 없이 편안한 방식으로 부드럽게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릴리스 버튼의 누름 성능(depressing capability)은 미리 정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라, 릴리스 버튼이 체결 영역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구현된다. 전달 헤드의 상기 영역은, 내부 구성요소 및 외부 구성요소가 상기 영역에서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안정성을 가진다. 기계적 결합 수단이 그 자체로 상기 영역을 강화시킨다(reinforce). 또한, 내부 구성요소의 구성 모드(construction mode) 뿐만 아니라 내부 구성요소의 재료 선택도 특히 안정적인 구성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릴리스 버튼은 안정적인 체결 영역에 대해 눌려지고 더 이상 이동될 수 없을 때까지 제한된 정도로만 눌릴 수 있다. 이동성에 대한 이러한 명확한 제한은 촉각 측면에서 매력적이며 실수로 릴리스 버튼이 파괴될 위험을 감소시킨다.
체결 영역에서, 외부 구성요소 및 내부 구성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스냅-핏 연결(snap-fit connection)에 의해 타이트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 구성요소들 중 한 구성요소, 특히 외부 구성요소는 둘러싸는 홈(groove)을 가지며, 다른 구성요소의 둘러싸는 웹(web), 특히 내부 구성요소의 외측 주변부가 상기 홈 내에 스탭-핏 연결되어 밀봉 방식으로 고정된다.
내부 구성요소는 주 연장선 방향에 대해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부분을 포함하되, 체결 영역에서 환형 부분의 외주는 외부 구성요소에 고정되어 타이트하게 연결된다. 상기 환형 부분은 릴리스 버튼에 작용되는 가압력에 반대인(counter) 반경방향 연장선을 가지며, 그에 따라 특히 양의 강화 효과(positive stiffening effect)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구성요소는, 관절부의 기능 측면에서, 릴리스 버튼의 변형 성능(deformation capability) 측면에서, 그리고, 쾌적한 것으로 간주되는 단부 벽의 탄성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다소 연성의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반면에, 내부 구성요소는 외부 구성요소의 재료보다 강성이며 덜 탄성적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립이 용이해지고 이와 동시에 체결 영역의 강성(stiffness)이 향상된다.
대안으로 또는 그 외에도, 내부 구성요소는, 적어도, 내부 구성요소의 환형 부분의 영역에서, 내부 구성요소와 함께 밸브 압력 챔버를 구획하는(delimit) 외부 구성요소의 단부 벽의 두께보다 두꺼운 벽 두께를 가진다. 이에 따라, 단부 벽의 가요성(flexibility) 및 체결 영역의 강성(stiffness)이 향상된다.
내부 구성요소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영역 부분을 가지며, 상기 영역 부분의 한 면으로부터 돌출된 커넥터 포트와 상기 영역 부분의 외부 영역은 환형 부분을 형성한다. 커넥터 포트의 내측면 상에서 영역 부분에는, 바람직하게는, 밸브면 및 하나 이상의 액체 통로가 제공된다. 따라서, 내부 구성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기본적으로 평평한 형상, 단지 커넥터 포트 및 선택적으로는 상기 기본적으로 평평한 형상으로부터 돌출된 내부 구성요소의 밸브면을 형성하는 구성을 가진다.
릴리스 버튼은 외부 구성요소의 한 면에 탄성적으로 몰딩된 릴리스 텅(release tongue)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래칭 에지는 릴리스 텅의 원위 단부에 제공된다. 릴리스 버튼은 바람직하게는 슬롯(slot)에 의해 외부 구성요소의 둘러싸는 케이싱 면으로부터 분리된다. 릴리스 버튼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 케이싱 벽에 한쪽에서만 연결된 경우, 슬롯에 의한 이러한 분리는 부드럽게 눌러질 수 있게 한다. 체결 영역에서의 디텐트(detent)로 인해, 릴리스 버튼이 파괴될 위험이 없다.
바람직하게는, 힌지식 뚜껑에는 관절부가 제공되며, 상기 관절부는, 릴리스 버튼에 압력이 제공되면, 닫힌 상태에서 힌지식 뚜껑이 편향되고 자동으로 튀어올라(spring) 개방되도록 형태가 형성된다. 이러한 편향은, 한편으로는, 릴리스 버튼만으로도, 힌지식 뚜껑을 수동으로 이동시키거나, 특히 바람직하게는 180° 만큼 피벗회전시켜, 힌지식 뚜껑의 말단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고도, 디스펜서를 이동 준비 상태로 만드는 데 충분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하지만, 이러한 편향은 힌지식 뚜껑과 릴리스 버튼 사이의 래칭 연결을 인장(tension) 상태로 유지하기 때문에 더욱 유리하다. 릴리스 버튼이 자체적으로는 부드럽게 작동한다 하더라도, 의도하지 않게 릴리스 버튼이 눌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힌지식 뚜껑이 이상적으로 완전한 방식으로 튀어올라 개방되도록 하기 위하여, 힌지식 뚜껑을 연결하기 위한 관절부는 바람직하게는 닫힌 상태에서 관절부가 인장 하에 있으며, 개방 과정에서는 릴렉스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힌지식 뚜껑이 안정적으로 자체 작동 방식으로 튀어올라 개방되며, 힌지식 뚜껑이 외부 구성요소의 단부 벽과 지탱되는 접촉 영역에서 인장 하에 있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외부 구성요소의 단부 벽에서 지탱되는 힌지식 뚜껑의 내측면은 전달 개구를 닫는 데 유리하다. 따라서, 단부 벽 또는 힌지식 뚜껑에 존재하는 인장 때문에, 위에서 기술된 방식으로 용이하게 개방된다.
힌지식 뚜껑은 특히 외부 구성요소의 단부 벽을 덮는 커버 벽을 가질 수 있다. 내부를 향하는 면이 전달 개구 방향으로 돌출된 마개면을 형성하며, 그로 인해, 커버 벽은 닫힌 상태에서 전달 개구를 둘러쌀 수 있도록 단부 벽 상에서 편향된 상태로 지탱된다.
이 경우 언급된 벽은 단부 벽의 크기를 초과하는 크기를 가진다. 커버 벽, 적어도 마개면 영역의 내측면, 특히 바람직하게는 내부적으로, 그리고, 외부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추가 구조물, 가령, 돌출부 또는 함몰부가 없도록 구성되며, 전달 개구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만, 완전히 평평한 형태로부터 벗어난다.
그로 인해, 마개면을 형성하는 내측면은 액체의 잔여물을 제거하기 쉽다. 관절부 및 힌지식 뚜껑에 근접하게 래칭 에지 및 관절부가 제공되는 둘러싸는 케이싱 벽은, 바람직하게는, 외부적으로 커버 벽에 인접한다.
위에서 언급한 방식으로 주 연장선 방향에서 전달 헤드의 안정성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 영역은 외부 구성요소의 내측면 및 내부 구성요소가 서로 지탱하는 영역에 의해 형성되며, 그에 따라, 고정 연결되고 액체-기밀 연결이 구현된다.
릴리스 버튼은 바람직하게는 체결 영역의 양쪽에서 주 연장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액체 리저버 방향으로부터 체결 영역을 초과하여 연장된다. 하지만, 대안으로, 액체 리저버 및/또는 릴리스 버튼의 래칭 에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릴리스 버튼의 단부가 체결 영역을 초과하지 않고 오직 체결 영역까지만 연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의 피부에 액체를 국소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크림 디스펜서가 제공되는데, 상기 크림 디스펜서는 출구 포트를 가진 액체 리저버, 뿐만 아니라 출구 덕트 및 출구 덕트의 단부에서 전달 개구를 가진 전달 헤드를 포함한다. 전달 헤드는 내부에 전달 개구가 제공되며 출구 덕트에 의해 관통되는 단부 벽을 가진다.
전달 헤드는 닫힌 상태에서 전달 개구를 닫는 힌지식 뚜껑을 포함한다. 힌지식 뚜껑은 내측면 상에서 돌출된 마개면을 가지고, 돌출된 마개면의 크기는 전달 개구의 횡단면적보다 크며, 돌출된 마개면은 전달 개구를 둘러싸는 환형 접촉면 영역에서 힌지식 뚜껑의 닫힌 상태에서 단부 벽 상에서 지탱된다.
그로 인해, 돌출된 마개면은 전달 개구를 추가로 닫고, 단부 벽을 추가로 약간 더 가압하여, 전달 헤드의 출구 밸브가 개방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커버 벽 전체가 마개면 영역에서 돌출되어 마개면의 맞은편에 있는 외측면이 상기 돌출부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커버 벽은 바람직하게는 균일한(+/- 10%) 벽 두께를 가진다. 하지만, 대안으로, 마개면 자체는 있지만 힌지식 뚜껑의 맞은편 외측면이 돌출되지 않은 디자인도 가능하다. 이 경우, 마개면의 중심 영역의 벽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마개면을 둘러싸는 환형 영역 또는 마개면의 주변 영역보다 크다.
정의에 의해 마개면은 전달 개구의 관점에서 볼 때 볼록하게 돌출된 단부 벽의 내측면의 일부 영역에 의해서만 형성되며, 따라서 전달 개구의 맞은편에 있고 닫힌 상태에서 전달 개구 방향으로 돌출된 면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적어도 환형 접촉면 영역에서, 곡률반경은 상대적으로 크고, 따라서 곡률은 작다. 곡률반경은, 전체 마개면에서, 적어도 환형 접촉면의 영역에서, 4 cm 내지 25 cm 사이, 바람직하게는 6 cm 내지 15 cm 사이이다. 이 값들은 힌지식 뚜껑의 개방 상태와 관련이 있으며, 그에 따라 닫힌 상태로 인한 변형은 제외된다.
곡률은, 마개면과 단부 벽 사이의 접촉면이 작아서, 단위 면적당 상대적으로 높은 접촉 압력이 구현되는 효과를 가진다. 환형 접촉면은, 반경 방향에서, 전달 개구의 반경 방향으로, 0.8 mm 미만, 특히 0.4 mm 미만의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대적으로 작은 접촉면은 견고함을 촉진한다. 힌지식 뚜껑이 닫힌 경우, 설령, 액체 리저버에서, 강하고 의도하지 않은 압력 하에 있는 액체가 실제로 전달 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하더라도, 상기 액체는 이 환형 접촉면에만 도달한다. 상기 액체는 추후에 힌지식 뚜껑의 내측면이 바람직하게는 모서리(edge)가 없기 때문에 매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마개면은 전달 개구가 단부 벽에서 둘러싸는 방식으로 지탱될 수 있도록 전달 개구보다 크다. 마개면이 전체적으로 전달 개구를 침범하지 않고 임의의 경우에서 전달 개구의 주변부를 초과하여 돌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마개면은 전달 개구의 횡단면적보다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크다.
힌지식 뚜껑의 단부 벽의 내측면의 볼록하게 돌출된 부분에 의해 형성된 마개면은 바람직하게는 현저하게 크다. 상기 마개면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둘러싸는 뚜껑 주변부의 내측면에서 전체 내측면 또는 거의 전체 내측면을 형성한다. 이는, 커버 벽의 내측면의 80% 이상이 바람직하게는 돌출된 마개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커버 벽의 80% 이상에 대한 곡률반경은, 바람직하게는, 4 cm 내지 25 cm 사이, 특히 바람직하게는 6 cm 내지 15 cm 사이이다.
커버 벽의 내측면에 의해 이러한 방식으로 완전히 형성된 돌출된 마개면은, 언급된 곡률반경 범위로 인해, 상기 내측면이 세척하기 어려운 균열 또는 임의의 종류의 계단(step)을 갖지 않기 때문에, 전체 내측면은 매우 쉽게 세척된다.
내측면 상에서 전체 커버 벽 또는 거의 전체 커버 벽이 돌출된 마개면을 형성하고 벽 두께가 균일한(+/- 10%) 힌지식 뚜껑의 디자인은, 닫힌 상태의 힌지식 뚜껑에서 특히 균일한 인장을 유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릴리스 버튼에 의해 힌지식 뚜껑이 릴리스 될 때 닫힌 상태로부터 힌지식 뚜껑은 단부 벽으로부터 완전히 릴리스 되는 위치로 튀어 나온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전달 헤드의 베이스에 힌지식 뚜껑을 결부(attachment)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모든 구성은 여기서 상호 독립적으로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의 피부에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크림 디스펜서가 제공되는데, 상기 크림 디스펜서는 출구 포트를 가진 액체 리저버, 뿐만 아니라 출구 덕트 및 출구 덕트의 단부에서 전달 개구를 가진 전달 헤드를 포함한다. 상기 크림 디스펜서는 특히 위에 설명한 방식에 따라 형성된다.
전달 헤드는, 밸브를 개방하거나 릴리스 버튼을 누르기 위한 최소한의 움직임을 제외하고, 액체 리저버에 연결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베이스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는 주 연장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넥터 포트를 포함하고 출구 덕트에 의해 관통되고 내부에 전달 개구가 제공되는 단부 벽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미 위에서 설명된 방식의 단부 벽의 외측면은, 액체가 처음에는 단부 벽의 외측면에 전달되고 그로부터의 액체가 사용자의 피부에 제공되는 단부로 기능할 수 있다.
내부 구성요소 및 외부 구성요소를 갖는 전달 헤드의 형성은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서 주로 관련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베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상기 추가 양태에 따른 전달 헤드는 닫힌 상태에서 전달 개구 및 단부 벽을 덮고 관절부에 의해 베이스에서 피봇회전 할 수 있도록 관절 형태로 구성된 힌지식 뚜껑을 포함한다. 상호 작용하는 래칭 에지는 베이스 및 힌지식 뚜껑 상에서 관절부 맞은편에 위치되도록 제공되며, 이를 통해 닫힌 상태의 힌지식 뚜껑이 베이스에 래칭연결 될 수 있다. 여기서, 관절부 및 베이스 상의 래칭 에지는 주 연장선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열되고 주 연장선 방향에서 완전히 피벗회전되어 개방된 상태에서 힌지식 뚜껑 상의 래칭 장치(latching installation)는 힌지식 뚜껑의 닫힌 상태에서보다 전달 개구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위치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해 위에서 기술된 모든 양태들을 가진 힌지식 뚜껑은, 바람직하게는, 닫힌 위치 및 최대 피벗회전된 위치 사이에서 약 180°(+/- 20°) 만큼 피벗회전 가능하다. 힌지식 뚜껑의 특징은, 관절부, 특히 관절부에 의해 형성된 피벗 축(pivot axis) 및 베이스 상에서 래칭연결을 위한 래칭 에지가 주 연장선 방향에서 상호 이격되어 배열된다는 점이다.
이렇게 이격되어 배열됨으로써, 회전되어 개방되는 힌지식 뚜껑을 가진 힌지식 뚜껑의 래칭 에지는 특히 베이스의 단부 벽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된다(recessed). 이는 쾌적한 사용 측면에서도 유리한데, 그 이유는, 베이스로부터 베이스의 단부 벽으로 전달되는 크림이 처음에 사용자의 피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뚜껑의 상대적으로 날카로운 모서리의 래칭 에지가 의도치 않게 피부와 접촉되는 위험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주 연장선 방향에서, 관절부 및 베이스 상의 래칭 장치는 3mm 이상, 바람직하게는 5mm 이상만큼 상호 이격되도록 배열된다.
원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 즉 회전되어 개방되는 상태에서 베이스의 단부 벽의 평면으로부터 뚜껑 상의 래칭 에지의 이상적으로 큰 간격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 연장선 방향에서 관절부 및 관절부에 의해 형성된 피벗 축은 가능한 최대한 액체 리저버에 가깝게 배열되도록 위치된다. 상기 방향을 가리키는 전달 헤드의 케이싱 면의 단부로부터의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5mm 또는 그 미만이다. 또한, 주 연장선 방향에서 베이스의 래칭 에지는 액체 리저버로부터 가능한 최대한 멀리 떨어져 배열되는 것이 유리하다. 래칭 에지가 단부 벽의 외측면으로부터 약간 오목하게, 특히 3mm 미만만큼 오목한 것이 유리한 것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이 간격은, 크림이 피부에 제공될 때 베이스의 래칭 에지가 피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상적으로는 1mm 미만이 되어서는 안 된다.
힌지식 뚜껑의 둘러싸는 케이싱 면이 닫힌 상태에서 지지되는 베어링 에지(bearing edge)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 외부 구성요소의 외측면에서 양쪽에 제공된다. 여기서, 베어링 에지는 관절부로부터 래칭 장치를 향해 점진적으로 돌출되는 에지로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 이점 및 양태들은 하기 도면에 의해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청구 범위 및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해 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림 디스펜서를 예시한 전체적인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크림 디스펜서를 예시한 분해도;
도 3 및 3A는 뚜껑이 열린 크림 디스펜서를 예시한 단면도;
도 4는 뚜껑이 닫힌 크림 디스펜서를 예시한 단면도;
도 5A 및 5B는 전달 개구를 닫기 위해 전달 개구를 둘러싸는 단부면 및 크림 디스펜서의 힌지식 뚜껑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도면;
도 6 및 7은 도 1 내지 5B의 크림 디스펜서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변형예들은 힌지식 뚜껑 및 그 위에 제공된 마개면의 디자인 측면에서 이전 디자인들과 구분된다.
첨부도면들은 본 발명에 따른 크림 디스펜서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 1은 선적 상태(shipped state)에 있는 크림 디스펜서(10)를 도시한다. 크림 디스펜서(10)는 튜브로서 구성되고 외측면을 수동으로 압력을 가하여 작동시키도록 제공된 액체 리저버(12)를 포함한다. 하지만, 그 밖의 다른 구성들도 가능한데, 예를 들어, 단부면에서 액체 리저버로부터 액체를 이송하기 위해 액체 리저버 내로 눌려지는 재배치식 피스톤(repositionable piston)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전달 헤드(20)가, 예를 들어, 나사고정 연결(threaded connection) 또는 스냅-핏 연결(snap-fit connection)에 의해 액체 리저버(12)에 결부된다. 전달 헤드는 작동 시에 액체 리저버에 대해 실질적으로 움직일 수 없는 상태로 유지되는 베이스(base) 및 닫힌 상태에서 전달 개구(44)를 덮고 릴리스 버튼(48)에 의해 잠금해제 및 개방될 수 있는 힌지식 뚜껑(60)을 포함한다.
도 2는 크림 디스펜서(10)의 개별 구성요소 부분들을 도시한다. 도 2의 상태에서 액체 디스펜서(12)는 여전히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 있으며, 따라서, 맞은편의 하측 단부에서, 출구 포트(14)가 닫혀 있지 않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달 헤드(20)는 2개의 구성요소(30, 40), 구체적으로는, 내부 구성요소(30) 및 외부 구성요소(40)를 가진다. 여기서, 내부 구성요소는 두꺼운 벽을 가질 수 있거나 및/또는 강성의 재료로부터 2개의 구성요소(30, 40)들 중 변형이 덜 되는 구성요소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내부 구성요소(30)는, 조립된 상태에서, 외부 구성요소(40)에 고정 연결된다. 내부 구성요소(30)는 나사고정 연결 또는 스냅-핏 연결에 의해 액체 디스펜서(12)의 출구 포트(14)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포트(32)를 추가로 포함한다. 예시된 출구 포트(14)는, 스레드(thread) 또는 스냅-핏 에지(edge) 없이, 단순하게 예시된다.
2개의 구성요소(30, 40)들 및 전달 헤드의 세부 구성은 다음의 도면들로부터 볼 수 있다.
도 3 및 3A는 사용할 준비가 된 개방된 상태에 있는 전달 헤드(2)를 도시한다. 외부 구성요소(40)는 단부면에서 단부 벽(49)에 의해 접하고 있는 케이싱 벽(46)을 가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단부 벽(49)은 전달 개구(44) 내로 개방되는 출구 덕트(42)에 의해 관통된다. 단부 벽(49)은 외부적으로 거의 평평하며 오직 약간만 오목하게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외측면은, 미리 단부 벽에 전달된 크림이 여기서부터 피부에 제공될 수 있도록, 외부적으로 돌출부 또는 함몰부가 없다.
릴리스 버튼(48) 영역에 있는 케이싱 벽(46)에는, 릴리스 버튼(48)을 횡방향으로 주변 벽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분리시키고 그에 따라 릴리스 버튼(48)이 자유로이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슬롯(47)이 제공된다.
내부 구성요소(30)는 함께 밸브 압력 챔버(52)를 형성하기 위하여 외부 구성요소(40)에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내부 구성요소(30)의 환형 부분(36)의 외주(36A) 영역에 있는 외측 주변부(periphery)가 외부 구성요소(40)의 케이싱 벽(46)의 내측면 상의 홈에 래칭연결된다(latch).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촉 영역은 체결 영역(46A)을 형성한다. 체결 영역(46A)에서의 내부 구성요소(30) 및 외부 구성요소(40) 사이의 연결은 릴리스될 수 없으며(non-releasable) 타이트한 연결이다. 따라서, 내부 구성요소(30) 내에서 액체 통로(33)들에 의해 밸브 압력 챔버(52)에 도달되는 액체 리저버로부터 나온 액체는 오직 전달 개구(44)를 통해서만 배출될 수 있다.
단부 벽(49)을 관통하는 출구 덕트(42), 뿐만 아니라 내부 구성요소(30) 상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제공된 원추형의 돌출부 위의 밸브면(34)은, 함께, 단부 벽(49)의 약간 편향된 형태로 인해 정지 위치에서 닫혀 있는 출구 밸브(50)를 형성한다. 액체 리저버(12) 내의 액체가, 특히 튜브를 압축함으로써, 압력으로 가압되면, 압축된 액체는 밸브 압력 챔버(52)에 도달하고 단부 벽(49)이 외부를 향해 변형하게 된다. 그로 인해, 출구 밸브(50)는 개방되고 액체는 단부 벽(49)의 외측면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도포는, 일단 충분한 양의 액체가 단부 벽(49)에 전달되고 난 뒤, 피부에 바로 수행된다.
이미 언급한 것과 같이, 전달 헤드(20)는 힌지식 뚜껑(60)을 포함한다. 힌지식 뚜껑은 외부 구성요소와 일체형 디자인으로 구성되며, 일체형으로 구성된 관절부(62)에 의해 일체형 힌지 방식으로 외부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하지만, 대안으로, 복수의 부분들을 가진 디자인도 가능하다.
힌지식 뚜껑(60)은 약간 오목하게 돌출된 커버 벽(64)을 포함하며, 커버 벽의 내측면은 전달 헤드의 단부 벽(49)보다 크도록 구성된다. 커버 벽(64)의 내측면은 케이싱 벽(61)에 의해 둘러싸이며 그 내측면 상에서는, 커버 벽(64)의 돌출된 기본 형태보다 더 돌출되는 어떠한 임의의 돌출부도 가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크림의 잔여물은 여기에서 쉽게 제거될 수 있게 된다.
힌지식 뚜껑(60)을 개방하기 위하여, 앞에서 이미 기술했던 릴리스 버튼(48)이 제공된다. 도 4에 예시된 닫힌 상태에서, 릴리스 버튼의 원위 상측 단부에서, 래칭 에지(48A)가 힌지식 뚜껑(60) 상에서 상응하는 래칭 에지(66)와 래칭연결된다. 커버 벽(64)의 영역에 있는 뚜껑이 편향되기 때문에, 닫힌 상태에서 래칭 작동(latching action)이 다소 강하고, 의도하지 않게 릴리스 버튼(48)이 눌러지고 힌지식 뚜껑이 열릴 위험이 없다. 하지만, 이는, 릴리스 버튼(48)이 수동으로, 그리고, 의도적으로 작동될 때, 촉각 측면에서 쾌적하게 수행이 가능하다. 릴리스 버튼(48)은 슬롯(47)들에 의해 3면에서 절단되며 그에 따라 쉽게 눌러질 수 있다. 따라서, 도 3A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릴리스 버튼(48)이 외부적으로 체결 영역(46A)에 접촉된다는 점에서 릴리스 버튼(48)이 과도하게 눌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힌지식 뚜껑(60)은 누름 작동으로 인해 래칭 에지(48A, 66)들이 결합해제 되자마자(disengaged) 튀어서 개방된다(spring open). 커버 벽(64)의 영역에서의 편향 뿐만 아니라 적절하게 편향되게 설계된 관절부로 인해, 이상적인 경우에서, 힌지식 뚜껑(60)이 약 180° 피벗회전되어 릴리스 버튼(48)에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서만 달성될 수 있는 도 3의 개방된 상태가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한편으로는, 래칭 에지(48A, 66)들의 상대적인 배열(disposal)과, 다른 한편으로는, 관절부(62)의 상대적인 배열을 도시한다. 닫힌 상태 및 주 연장선(2)의 방향에 있어서, 관절부(62)는, 도 3에서 추가로 아래로 내려간 것과 같이, 래칭 에지(48A, 66)들보다 액체 리저버(12)에 현저하게 더 가깝게 배치된다. 주 연장선 방향으로 약 6mm 떨어진 이러한 이격배열(offset)로 인해, 개방된 상태에 있는 래칭 에지(66)는 단부 벽(49)의 외측면의 평면으로부터 상기 크기의 2배 이상, 예컨대, 약 13mm만큼 이격되어 배열된다.
이에 따라, 이전에 외측면에 전달되었던 크림이, 다소 날카로운 모서리의 래칭 에지(66)가 피부에 접촉하는 위험 없이 피부에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닫힌 상태에서 인장 하에 있는 힌지식 뚜껑(60)은, 마개면(65)을 형성하는 내측면에 의해, 전달 개구(44)를 닫는다. 이는, 도 5A 및 5B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횡방향 케이싱 벽(61)까지의 커버 벽(64)의 내측면은, 전체적으로, 대략적으로 균일하며 약 12cm의 곡률반경을 가진 돌출된 마개면(65)을 형성한다. 커버 벽은 균일한 벽 두께를 가지며 마개면(65)의 맞은편에 있는 외측면(67) 전체에 거의 균일하게 돌출된다.
도 5A의 닫힌 상태에서, 마개면(65)은 출구 밸브(50) 뿐만 아니라 전달 개구(44)에 의해 관통되는 단부 벽(49) 상의 상대적으로 작은 환형 접촉면(43) 상에서 지탱되어 액체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밸브 압력 챔버(52) 내의 압력이 증가되거나 혹은 튜브(12)가 의도치 않게 수축된다 하더라도, 전달 개구(44)를 통해 액체가 유출될 수 없는데, 이는 출구 밸브(50)가 인장 하에 있는 커버 벽(64)의 마개면(65)에 의해 닫힌 위치로 밀려지기 때문이다.
이렇게, 균일한 벽 두께 뿐만 아니라 돌출된 마개면(65)을 가진 커버 벽(64)의 디자인은, 커버 벽(64)의 전체 내측면을 형성하며, 원하는 밀폐 인장이 구현되고 내측면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리한 것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돌출된 마개면(65)이 오직 커버 벽(64)의 내측면의 중심 영역 만을 형성하고 외부적으로는 예를 들어 평면인 환형 영역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또는 반대로 돌출되는 대안의 디자인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도 6 및 7은 이러한 디자인들을 보여준다.
반경의 약 45%를 가로질러 연장되고 커버 벽(64)의 외부 영역을 형성하는 이러한 평면의 환형 영역(68)은 도 6의 디자인에 제공된다. 돌출된 마개면(65)은 상기 평면의 환형 영역(68)의 오직 내부적으로만 제공되고, 그에 상응하게, 돌출된 마개면(65)은 이전 디자인의 마개면보다 다소 작은 곡률반경을 가진다. 상기 디자인에서, 곡률반경은 약 7cm이다. 환형 영역(68)과 마개면(65)에 의해 형성된 내측면이 세척이 이전 디자인에 비해 쉽지는 않지만, 기술적 측면에 있어서 도 6에 따른 디자인은 공지의 해결책에 비해 유리하다.
도 7의 디자인에서, 커버 벽(64)의 내측면의 형태는 도 6의 디자인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하지만, 도 6의 디자인에 비해, 여기서는 균일한 벽 두께가 제공되지 않는다. 마개면(65)의 맞은편에 있는 커버 벽(64)의 외측면은, 상기 디자인에서 평면이 되도록 구성된다. 힌지식 뚜껑(60)이 닫히고 환형 접촉면(43)의 영역에서 단부 벽(49) 상에 지탱되면, 마개면(65)을 둘러싸는 얇은 환형 영역(68)에서 주로 발생하는 변형으로 이어진다.

Claims (14)

  1. 사용자의 피부에 액체를 국소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크림 디스펜서(10)에 있어서,
    a. 크림 디스펜서(10)는 출구 포트(14)를 가진 액체 리저버(12)를 포함하고;
    b. 크림 디스펜서(10)는 출구 덕트(42) 및 출구 덕트(42)의 단부에서 전달 개구(44)를 가진 전달 헤드(20)를 포함하며;
    c. 전달 헤드(20)는 내부에 전달 개구(44)가 제공되며 출구 덕트(42)에 의해 관통되는 단부 벽(49)을 가지고;
    d. 전달 헤드(20)는 닫힌 상태에서 전달 개구(44)를 닫는 힌지식 뚜껑(60)을 포함하며;
    e. 힌지식 뚜껑(60)은 내측면 상에서 돌출된 마개면(65)을 가지고, 돌출된 마개면(65)의 크기는 전달 개구(44)의 횡단면적보다 크며, 돌출된 마개면(65)은 전달 개구를 둘러싸는 환형 접촉면(43) 영역에서 힌지식 뚜껑(60)의 닫힌 상태에서 단부 벽(49) 상에서 지탱되고;
    f. 돌출된 마개면(65)은 적어도 환형 접촉면(43)의 영역에서 4cm 내지 25cm 사이의 곡률반경을 가지며;
    g. 힌지식 뚜껑은 주변부(61) 및 상기 주변부(61)에 의해 경계를 형성하는 커버 벽(64)을 가지며, 돌출된 마개면(65)은 커버 벽(64)의 내측면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돌출된 마개면(65)은 균열 또는 계단을 갖지 않으며, 환형 접촉면(43)은 전달 개구의 반경 방향에서 0.8mm 미만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 디스펜서(10).
  2. 제1항에 있어서,
    a. 마개면(65)은 적어도 환형 접촉면(43)의 영역에서 6cm 내지 15cm 사이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 디스펜서(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 환형 접촉면(43)은 전달 개구의 반경 방향에서 0.4mm 미만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 디스펜서(10).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 마개면(65)은 전달 개구(44)의 횡단면적보다 20% 이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 디스펜서(10).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 힌지식 뚜껑(60)은 닫힌 상태에서 단부 벽(49) 상에서 편향된 상태로 지탱되고;
    b. 힌지식 뚜껑(60)에는 관절부(62)가 제공되며, 상기 관절부(62)는, 힌지식 뚜껑(60)이 릴리스 되면, 닫힌 상태로부터 단부 벽(49)을 완전히 릴리스 하는 위치로 가도록 형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 디스펜서(10).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207034721A 2018-05-03 2019-03-14 압축성 액체 저장용기를 가진 액체 디스펜서 KR1025630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70634.2 2018-05-03
EP18170634.2A EP3564147B1 (de) 2018-05-03 2018-05-03 Flüssigkeitsspender mit zusammendrückbarem flüssigkeitsspeicher
PCT/EP2019/056444 WO2019211032A1 (de) 2018-05-03 2019-03-14 Flüssigkeitsspender mit zusammendrückbarem flüssigkeitsspeich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012A KR20210008012A (ko) 2021-01-20
KR102563087B1 true KR102563087B1 (ko) 2023-08-02

Family

ID=62116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721A KR102563087B1 (ko) 2018-05-03 2019-03-14 압축성 액체 저장용기를 가진 액체 디스펜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61244B2 (ko)
EP (2) EP3564147B1 (ko)
KR (1) KR102563087B1 (ko)
CN (1) CN112041237A (ko)
WO (1) WO20192110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259B1 (ko) * 2021-09-24 2023-06-14 김기철 용기의 개량 원터치 뚜껑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64313A1 (en) * 1998-06-12 1999-12-16 Bormioli Rocco & Figlio S.P.A. A dispenser capsule for containers of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US20030189065A1 (en) * 2002-04-05 2003-10-09 Gene Stull Multi-piece snap-together cap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87156A (en) 1932-11-18 1935-01-08 William F Gilbert Closure for collapsible tubes
FR996343A (fr) 1949-09-28 1951-12-18 Capsule obturatrice dévissable pour la fermeture de tubes, de bouteilles et de récipients analogues
US3144964A (en) 1961-03-17 1964-08-18 American Can Co Outsert for a collapsible tube
ZA732046B (en) 1972-05-02 1974-11-27 Colgate Palmolive Co Collapsible tube
US4060179A (en) 1972-05-02 1977-11-29 Colgate-Palmolive Company Collapsible tube structure
US4474314A (en) 1982-06-29 1984-10-02 Essex Chemical Corporation Squeeze bottle self-closing viscous liquid dispensing valve having manually operated positive shut-off
US4739906A (en) * 1986-07-14 1988-04-26 Blairex Laboratories, Inc. Storage bottle for contact lens cleaning solution having a self closing valve assembly
FR2616756A1 (fr) 1987-06-19 1988-12-23 Kerplas Snc Dispositif de bouchage pour flacon
US5246145A (en) * 1990-05-03 1993-09-21 Nalge Company Liquid dropper spout having lockable pivoted closure cap
FR2663291A1 (fr) * 1990-06-15 1991-12-20 Oreal Procede pour le conditionnement d'un produit dans un flacon, permettant d'assurer une meilleure conservation du produit au cours du stockage et ensemble de conditionnement correspondant.
DE19580254B4 (de) * 1994-03-25 2004-12-02 Alpla-Werke Alwin Lehner Gmbh & Co. Kg Verschluss und Dichtelement
DE29709328U1 (de) 1997-05-28 1997-08-14 Georg Menshen Gmbh & Co Kg Zweiteiliger Behälterverschluß
US6523690B1 (en) * 2000-03-30 2003-02-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 wipe container with flexible orifice
US7328820B2 (en) * 2000-12-14 2008-02-12 John L. Young Vented fluid closure and container
US7275665B2 (en) 2000-12-14 2007-10-02 Young John L Vented fluid closure and container
FR2830240B1 (fr) * 2001-10-01 2004-08-20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un produit, notamment un produit cosmetique et/ou de soins
DE10157423A1 (de) 2001-11-25 2003-06-05 Roland Knauer Behälter mit elastischem Ventil
GB2401859A (en) * 2003-04-17 2004-11-24 Portola Packaging Ltd Closure with integral spaced hinge portions
US8499985B2 (en) 2003-05-28 2013-08-06 Robert A. Lehmkuhl Automatic dispensing cap for squeezable bottle
US20130193170A1 (en) * 2003-05-28 2013-08-01 Robert A. Lehmkuhl Dispensing cap for a squeezeable bottle
FR2856984B1 (fr) * 2003-07-02 2005-09-09 Janvier Sa Dispositif doseur destine a un recipient souple muni d'une ouverture refermable
CN1845856A (zh) 2003-09-02 2006-10-11 大塚制药株式会社 排出构件、具有该排出构件的排出容器和点眼容器
DE202004012821U1 (de) 2004-08-12 2005-12-22 Alpla-Werke Alwin Lehner Gmbh & Co. Kg Verschluss mit selbstschließenden Ventil
US7195138B2 (en) 2005-08-25 2007-03-27 Continental Afa Dispensing Company Container closure with biased closed valve
SE530421C2 (sv) 2006-10-19 2008-06-03 Petro Pack Ab Förpackningsventil för t.ex flaska eller tub
KR20120032739A (ko) 2010-09-29 2012-04-06 (주)연우 방향성을 갖는 원터치캡이 구비된 튜브용기
FR2967141B1 (fr) 2010-11-04 2014-02-21 Valois Sas Tet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et distributeur comprenant une telle tete de distribution.
KR200476920Y1 (ko) * 2013-03-27 2015-04-16 허성범 포장용 용기 뚜껑
DE102013214227B4 (de) * 2013-07-19 2016-11-24 Aptar Radolfzell Gmbh Austragvorrichtung mit Verschluss
FR3019067B1 (fr) * 2014-03-25 2016-04-22 Albea Le Treport Systeme de distribution d'un produit fluide conditionne dans un reservoir
US20170234446A1 (en) 2014-04-04 2017-08-17 Is/\Mi Vision Inc. Valve closures
GB201601237D0 (en) * 2016-01-22 2016-03-09 Rieke Packaging Systems Ltd Dispensing closures and dispensers
ES2673019T3 (es) 2015-01-29 2018-06-19 Aptar Radolfzell Gmbh Cabezal de descarga
GB201601232D0 (en) * 2016-01-22 2016-03-09 Rieke Packaging Systems Ltd Dispensing closures and dispens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64313A1 (en) * 1998-06-12 1999-12-16 Bormioli Rocco & Figlio S.P.A. A dispenser capsule for containers of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US20030189065A1 (en) * 2002-04-05 2003-10-09 Gene Stull Multi-piece snap-together c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87983A1 (de) 2021-03-10
CN112041237A (zh) 2020-12-04
WO2019211032A1 (de) 2019-11-07
KR20210008012A (ko) 2021-01-20
EP3564147A1 (de) 2019-11-06
EP3787983B1 (de) 2023-09-06
US11661244B2 (en) 2023-05-30
US20210237940A1 (en) 2021-08-05
EP3564147B1 (de) 202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5594B2 (ja) 液状またはペースト状製品用ディスペンサー
RU2494938C2 (ru) Крышка с колпачком с нажимным приведением в действие
US8875953B2 (en) Pump for liquid or viscous product
JPH0794271B2 (ja) 分与装置
RU266434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аковки и распределения продукта с дозировочной насадкой
CN109476407B (zh) 分配系统、喷嘴和可挤压容器
JP2020015557A (ja) 流動性材料を分注するためのディスペンサ
US20150110542A1 (en) Nail polish bottle
KR102641567B1 (ko) 액체 제품, 특히 크림과 같은 화장용 액체 제품의 압축 가능한 디스펜서
US11109659B2 (en) Liquid dispenser with discharge sponge
KR102563087B1 (ko) 압축성 액체 저장용기를 가진 액체 디스펜서
US20160158779A1 (en) Applicator head and dispenser for a preferably pasty medium
KR200492726Y1 (ko) 내용물 용기
WO2014086719A1 (en) Device for packaging and application by means of a pipette
EP1590096B1 (en) Outlet device for a container or vessel
IL43968A (en) A closing device that opens and closes automatically for a container
JPH10194308A (ja) 押出し容器
KR200493356Y1 (ko) 스포이드형 앰플용기
KR200384899Y1 (ko) 디스펜서용 버튼
KR101570199B1 (ko)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102636711B1 (ko) 가압 토출 용기
US20170217649A1 (en) Dispenser with valved nozzle closure
JP2023528268A (ja) 内容物容器
KR20180076674A (ko) 압출식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