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172B1 - 분사 용기 - Google Patents

분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172B1
KR102293172B1 KR1020200086169A KR20200086169A KR102293172B1 KR 102293172 B1 KR102293172 B1 KR 102293172B1 KR 1020200086169 A KR1020200086169 A KR 1020200086169A KR 20200086169 A KR20200086169 A KR 20200086169A KR 102293172 B1 KR102293172 B1 KR 102293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roll
button
hous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하진
고창희
이기홍
김효빈
임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일
Priority to KR1020200086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1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roller, a disc or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mean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operated by manual action, e.g. button-type actuator or actuator caps
    • B65D83/207Actuators comprising a manually operated valve and being attachable to the aerosol container, e.g. downstream a valve fitted to the container; Actuators associated to container valves with valve seats located outside the aerosol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분사 용기는, 유체와 분사가스를 포함하는 내용물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마운트 컵; 외력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 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마운트 컵에 고정되는 밸브 어셈블리; 상기 밸브 스템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을 공급받으며, 상기 내용물이 발라지는 도포구를 구비하는 롤온 버튼부; 및 상기 롤온 버튼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도포구와 브러시를 구비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캡이 상기 롤온 버튼부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도포구와 상기 브러시는 상기 롤온 버튼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캡이 상기 롤온 버튼부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도포구와 상기 브러시는 상기 롤온 버튼부의 내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외부에 노출된다.

Description

분사 용기{SPRAYING BOTTLE}
본 발명은 도포구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도포하는 분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사 용기는 분사할 내용물(유체 또는 가스)을 하우징 내부에 밀봉시켜둔 상태에서, 내압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할 수 있게 하는 용기를 말한다. 이러한 분사 용기의 대표적인 예로는 휴대용 가스용기, 스프레이 모기약, 헤어 스프레이, 휴대용 에어로졸 소화기, 가스 라이터용 용기 등이 있다.
이러한 분사 용기는 에어로졸의 입자를 분사하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자외선 방지 피부 보호 크림(썬 크림)을 충전하고, 스프레이 타입으로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하는 스프레이 타입의 썬 크림 분사 용기가 상용화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스프레이 타입은 에어로졸의 입자들을 얼굴을 향하여 분사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스프레이 타입은 분사시에 입자들이 주위로 흩뿌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주위로 흩뿌려지지 않는 롤온(Roll-on) 타입의 버튼을 적용하였으나, 롤온(Roll-on) 타입의 버튼은 에어로졸의 가스가 구 형태의 도포구를 밀어내어 도포구가 버튼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도포구에 의한 도포 면적이 넓지 않아, 넓은 면적의 피부에 내용물을 도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피부에 도포구를 접촉한 상태로 여러 번 왕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16670호(2019.08.26.)
본 발명은 여러 번 왕복하지 않고도 넓은 면적의 피부에 내용물을 도포 가능한 구조의 분사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누름 조작에 의해 캡에 구비되는 도포구에 내용물을 발라지게 하고, 캡을 롤온 버튼부로부터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대상체에 내용물을 도포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분사 용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롤온 버튼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드러운 누름 조작이 가능한 구조의 분사 용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부에 발라진 내용물을 브러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퍼져 나가게 하기 용이하며, 퍼져 나간 내용물을 넓은 면적에 도포하기 용이한 구조의 브러시를 구비하는 분사 용기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브러시의 독립적인 세척이 가능한 분사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가 반영된 누름 조작에만 반응하여 내용물을 분사할 수 있는 구조의 분사 용기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사 용기는, 유체와 분사가스를 포함하는 내용물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마운트 컵; 외력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 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마운트 컵에 고정되는 밸브 어셈블리; 상기 밸브 스템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을 공급받으며, 상기 내용물이 발라지는 도포구를 구비하는 롤온 버튼부; 및 상기 롤온 버튼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도포구와 브러시를 구비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캡이 상기 롤온 버튼부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도포구와 상기 브러시는 상기 롤온 버튼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캡이 상기 롤온 버튼부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도포구와 상기 브러시는 상기 롤온 버튼부의 내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캡은 상기 도포구를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도포구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도포구 하우징은, 상기 도포구의 절반에 해당하는 반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도포구 수용부; 및 상기 도포구 수용부에 수용되는 도포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도포구 수용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도포구의 나머지 절반에 해당하는 반구를 부분적으로 감싸며, 중공 부분을 통해 상기 도포구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 방지부에는 상기 중공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홈이 형성된다.
상기 도포구 하우징은, 상기 도포구 하우징의 방사 방향에서 상기 이탈 방지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도포구 수용부와 상기 이탈 방지부의 연결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측벽부; 및 상기 연결 부위와 상기 측벽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부위와 상기 측벽부를 연결하는 브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브리지에는 소정 크기의 원주를 따라 원호 형상의 브러시 결합홀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브러시는, 상기 브리지에 안착되는 환형의 안착부; 및 상기 브러시 결합홀에 대응되는 원호를 따라 상기 안착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브러시 결합홀에 삽입되는 후크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포구 하우징은 상기 측벽부와 상기 브러시 결합홀의 사이에서 상기 브러시 결합홀보다 큰 원주를 따라 돌출되는 후크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후크 결합부는 상기 도포구 수용부를 감싸도록 상기 도포구 수용부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후크 결합부에는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홈이 형성된다.
상기 캡은 상기 롤온 버튼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부재는, 테두리를 따라 상기 롤온 버튼부의 측벽부 상단에 안착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하부로부터 속이 빈 기둥 형상으로 돌출되며, 상기 캡이 상기 롤온 버튼부에 결합되면 상기 롤온 버튼부의 측벽부에 의해 감싸이는 영역으로 삽입되는 후크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부재의 후크 결합부는 상기 도포구 하우징의 후크 결합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도포구 하우징의 후크 결합부와 상기 손잡이 부재의 후크 결합부는 서로 후크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 부재의 후크 결합부에는 이탈 방지 돌기와 이탈 방지 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롤온 버튼부의 측벽부에는 이탈 방지 돌기와 이탈 방지 홈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캡이 상기 롤온 버튼부에 결합되면, 상기 이탈 방지 돌기가 상기 이탈 방지 홈에 삽입되며, 상기 이탈 방지 돌기와 상기 이탈 방지 홈의 접촉면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롤온 버튼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서 상향 돌출되는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1 측벽부보다 큰 원주를 따라 하향 돌출되며, 상기 제1 측벽부와 단차를 형성하는 제2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벽부는, 상대적으로 작은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내측벽; 및 상기 내측벽을 감싸도록 상기 내측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외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캡은 상기 내측벽과 상기 외측벽에 안착된다.
상기 분사 용기는 상기 롤온 버튼부와 동축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숄더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온 버튼부에는 언락 돌기와 언락 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숄더 부재에는 언락 돌기와 언락 홈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언락 돌기와 상기 언락 홈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롤온 버튼부와 상기 숄더 부재가 상대 회전 된 상태에서,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롤온 버튼부가 상기 숄더 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언락 돌기가 상기 언락 홈에 삽입된다.
상기 롤온 버튼부의 베이스에는 소정 크기의 원호 형상을 따라 후크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숄더 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마운트 컵의 시밍 결합부에 안착되며, 상하 방향에서 상기 롤온 버튼부의 베이스를 마주보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중공의 둘레를 따라 원호 형상으로 상향 돌출되어 상기 롤온 버튼부의 후크 삽입홀에 삽입되는 후크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결합부의 형상의 정의하는 원호의 중심각은 상기 후크 삽입홀의 형상을 정의하는 원호의 중심각보다 작다.
상기 롤온 버튼부는 상기 후크 결합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롤온 버튼부의 베이스로부터 원호의 형상 또는 환형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후크 결합부에는 상기 후크 삽입홀의 둘레를 마주보는 위치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 삽입홀의 둘레에는 상기 롤온 버튼부와 상기 숄더 부재의 상대 회전 과정에서 상기 돌기를 마주보는 위치에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번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캡은 상기 도포구를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도포구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브러시는, 상기 도포구를 노출시키는 중공부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도포구 하우징에 안착되는 환형의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상부에서 소정 크기의 원주를 따라 돌출되는 복수의 제1 돌출부; 및 상기 안착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1 돌출부보다 큰 원주를 따라 돌출되고, 상기 제1 돌출부를 감싸도록 상기 분사 용기의 방사 방향에서 상기 제1 돌출부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의 원주 방향에서 제1 돌출부의 폭은 상기 제2 돌출부의 폭보다 작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포구에 의해 피부에 도포된 내용물을 브러시가 도포구를 따라가면서 인접 영역까지 발라지게 하여 도포 면적을 넓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브러시가 착탈 가능하게 도포구 하우징에 결합되므로, 이물질 끼임 발생 시 도포구 하우징으로부터 브러시를 분리하여 독립적인 세척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롤온 버튼부의 누름 조작시 캡에 구비되는 도포구에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이 발라지며, 상기 도포구는 캡과 함께 롤온 버튼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므로 분사 용기와는 독립적으로 피부 등의 대상체에 내용물을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롤온 버튼부와 숄더 부재의 상대 이동을 가이드 하고 임의적 분리를 억제하는 구조가 채택되어, 피부에 내용물을 도포 시 흔들림을 방지하고 내용물 분사압에 의한 롤온 버튼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롤온 버튼부와 숄더 부재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롤온 버튼부와 숄더 부재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하는 구조와 락킹 구조가 채택되어 내용물의 임의적인 분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브러시에 구비되는 돌출부가 바깥쪽으로 갈수록 큰 폭을 갖도록 이루어져, 내용물이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퍼져나가기 용이하며, 바깥쪽 돌출부에서는 피부에 내용물을 도포하기에 용이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언락 돌기와 언락 홈이 서로 일치되도록 정렬된 상태에서만 롤온 버튼부의 누름 조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언락 돌기와 언락 홈을 일치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롤온 버튼부가 누름 조작되어 내용물이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용기의 사시도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사 용기의 분해 사시도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사 용기의 단면도로, 롤온 버튼부가 누름 조작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분사 용기의 단면도로, 롤온 버튼부가 누름 조작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롤온 버튼부의 사시도, 평면도, 저면도, 측면도들이다.
도 6은 숄더 부재의 사시도, 평면도, 저면도, 측면도들이다.
도 7은 롤온 버튼부와 숄더 부재의 상대 회전 전후를 보인 개념도다.
도 8은 롤온 버튼부와 숄더 부재의 상대 회전 및 위치 고정 구조를 보인 개념도다.
도 9는 도포구 하우징의 사시도, 평면도, 저면도, 측면도들이다.
도 10은 브러시의 사시도, 평면도, 저면도, 측면도들이다.
도 11은 손잡이 부재의 사시도, 평면도, 저면도, 측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분사 용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용기(100)의 사시도다. 도 1의 (a)는 분사 용기(100)의 롤온 버튼부(140)에 캡(160)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1의 (b)는 롤온 버튼부(140)로부터 캡(160)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사 용기(100)는 내용물(유체 또는 가스)을 밀폐된 공간에 수용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용기이다. 본 발명의 분사 용기(100)는 누름 조작되어 도포구(161)에 내용물을 발라지게 하는 롤온(roll-on) 버튼부(140)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진다.
캡(160)은 롤온 버튼부(1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캡(160)이 롤온 버튼부(140)에 장착되어 있을 때 캡(160)에 구비되는 도포구(161)와 브러시(163)는 롤온 버튼부(140)의 내측에 배치된다. 캡(160)이 롤온 버튼부(140)로부터 분리되면 도포구(161)와 브러시(163)는 롤온 버튼부(140)의 내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외부에 노출된다.
캡(160)이 롤온 버튼부(14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롤온 버튼부(140)가 누름 조작되면 하우징(110)에 채워진 내용물이 분사되어 도포구(161)에 발라지게 된다. 이어서 캡(160)을 잡아당기면 도포구(161)에 내용물이 발라진 채로 캡(160)이 롤온 버튼부(140)로부터 분리된다.
사용자가 캡(160)을 파지한 채로 도포구(161)를 피부 등의 대상물에 문지르게 되면 도포구(161)가 회전된다. 도포구(161)에 발라진 내용물은 도포구(161)가 회전함에 따라 피부 등의 대상물에 도포된다.
그리고 브러시(163)는 도포구(161)를 따라다니며 대상물에 도포된 내용물을 더 넓은 범위까지 펴 바를 수 있게 한다. 브러시(163)는 도포구(161)를 따라다니며 피부에 발라진 내용물을 인접 영역에도 도포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인접 영역이란 도포구(161)에 의해 내용물이 도포된 영역의 주변 영역을 가리킨다.
브러시(163)가 구비되면 캡(160)을 여러 번 왕복 이동시키지 않아도 도포구(161)와 브러시(163)에 의해 도포 면적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사 용기(100)에는 하우징(110)과 롤온 버튼부(140) 외에도 숄더 부재(150)와 브러시(163)가 구비된다. 숄더 부재(150)는 하우징(110)과 롤온 버튼부(140)의 사이에 배치되며, 하우징(110)의 상단에 결합된다. 숄더 부재(150)는 롤온 버튼부(140)와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롤온 버튼부(140)의 누름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먼저 본 발명의 분사 용기(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간략한 구조와 결합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본 발명의 분사 용기(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간략한 구조와 결합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사 용기(100)의 분해 사시도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사 용기(100)의 단면도로, 롤온 버튼부(140)가 누름 조작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분사 용기(100)의 단면도로, 롤온 버튼부(140)가 누름 조작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하우징(110)에는 고압의 기체 또는 액체 상태의 내용물이 담길 수 있다. 하우징(110)은 일정한 내압을 견딜 수 있는 금속캔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상단부에는 밸브 어셈블리(130)를 지지하기 위한 마운트 컵(120)이 결합된다. 하우징(110)과 마운트 컵(120)은 시밍(seaming)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하우징(110)과 마운트 컵(120)에는 시밍 결합부(111, 121)가 형성된다.
시밍 결합부(111, 121)는 하우징(110)과 마운트 컵(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하우징(110) 마운트 컵(120)이 시밍 결합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시밍 결합부(111, 121)는 하우징(110)에 이중 또는 삼중 시밍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시밍 결합부(111, 121)는 단일 시밍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마운트 컵(120)의 중앙에는 밸브 어셈블리(1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돌출 부분(122)이 마련되어 있다. 마운트 컵(120)의 돌출 부분(122)은 분사 용기(100)의 높이 방향에서 시밍 결합부(111, 121)와 대응되는 위치까지 돌출된다. 상기 돌출 부분(122)은 밸브 어셈블리(1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돌출 부분(122)의 내측면에는 걸림 돌기(122a)가 형성된다. 걸림 돌기(122a)는 돌출 부분(122)에 의해 감싸이는 영역을 향해 상기 내측면의 원주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된다. 걸림 돌기(122a)는 마운트 컵(120)의 외면에 대한 클램핑 등을 통한 단면 축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밍 결합부(111, 121)와 상기 돌출 부분(122)의 사이에는 환형으로 리세스된 부분(123)이 형성된다. 리세스된 부분(123)의 리세스된 방향은 하우징(110) 내부의 수용 공간(S1)을 향하는 방향이다.
밸브 어셈블리(130)의 일 단부는 하우징(110)의 수용 공간(S1)에 배치되고 타 단부는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된 채로 마운트 컵(120)에 설치된다. 밸브 어셈블리(130)는 누름 조작에 의해 수용 공간(S1)에 충전된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시키도록 형성된다.
밸브 어셈블리(130)는 누름 조작되는 밸브 스템(131)과 마운트 컵(120)에 고정되는 스템 하우징(132)을 포함한다.
마운트 컵(120)의 돌출 부분(122)의 상단의 중앙부분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밸브 스템(131)의 일부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밸브 스템(131)은 수직방향으로 눌려질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며, 그 눌림에 의하여 수용 공간(S1)의 내용물이 분사되고, 눌림이 해제되면 내용물의 분사가 중단된다.
스템 하우징(132)은 마운트 컵(120)의 걸림 돌기(122a)에 고정된다. 스템 하우징(132)의 적어도 일부는 걸림 돌기(122a)에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스템 하우징(132)의 외주면에는 둘레 돌기(132a)가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 돌기(122a)가 둘레 돌기(132a)에 걸림에 따라 스템 하우징(132)이 마운트 컵(120)의 돌출 부분(122)에 고정된다.
스템 하우징(132)의 내부에는 하우징(110)의 수용 공간(S1)과 연통되는 중공 부분(132b)이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110) 내부에 채워진 내용물은 상기 중공 부분(132b)으로 공급된다.
밸브 스템(131)에는 누름 조작에 따른 밸브 스템(131)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중공부분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오리피스(131a)가 형성된다. 오리피스(131a)는 스템 하우징(132)의 중공 부분을 향해 형성된 작은 구멍에 해당한다.
또한, 스템 하우징(132)에는 밸브 스템(131)의 슬라이딩과 연동하여 오리피스(131a)를 개폐하도록 탄성 변형되는 개폐 부재(133)가 배치된다. 개폐 부재(133)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밸브 스템(131)의 외주면을 감싸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 부재(133)는 스템 하우징(132)의 상단에 거치될 수 있으며, 마운트 컵(120)의 돌출 부분(122) 상단에 의해 상기 스템 하우징(132)의 상단에 눌려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밸브 스템(131)이 누름 조작에 의해 슬라이딩하면, 개폐 부재(133)가 휘어지면서 탄성 변형되고, 스템 하우징(132)의 중공부분과 밸브 스템(131)의 통로가 상호 연통되면서 내용물이 분사된다. 반대로 밸브 스템(131)을 누르고 있던 힘이 제거되면, 밸브 스템(131)의 하단을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134)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된다. 그 결과 개폐 부재(133)는 밸브 스템(131)에 밀착되어 오리피스(131a)를 막게 되고, 내용물의 분사는 차단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분사 용기(100)는 도포구(161)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피부 등의 대상물에 도포할 수 있는 매커니즘을 구비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분사 용기(100)는 롤온 버튼부(140)를 구비한다.
롤온 버튼부(140)는 밸브 스템(131)을 통해 하우징(110) 내부의 내용물을 공급받는다. 롤온 버튼부(140)에 구비되는 도포구(161)에는 밸브 스템(131)을 통해 공급되는 내용물이 발라진다.
롤온 버튼부(140)는 도 2 내지 도 4, 그리고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롤온 버튼부의 사시도(a), 평면도(b), 저면도(c), 측면도들(d1, d2, d3)이다.
롤온 버튼부(140)의 베이스(141)는 측벽부(142, 143)에 의해 감싸이는 영역 내에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베이스(141)는 원형의 평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측벽부(142, 143)는 베이스(141)를 기준으로 상향 돌출되는 제1 측벽부(142)와 하향 돌출되는 제2 측벽부(143)를 포함한다.
제1 측벽부(142)는 소정 크기의 원주를 따라 돌출되며, 속이 빈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측벽부(142)의 상단은 캡(160)을 지지하기 위해 두 부분으로 분기된다. 두 부분이란 내측벽(142a)과 외측벽(142b)을 가리킨다.
내측벽(142a)은 상대적으로 작은 원주를 따라 형성된다. 외측벽(142b)은 내측벽(142a)을 감싸도록 상대적으로 큰 원주를 따라 형성된다. 외측벽(142b)은 내측벽(142a)으로부터 반지름이 커지는 방향으로 분기되어 경사진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캡(160)은 이중 구조를 형성하는 내측벽(142a)과 외측벽(142b)의 상단에 안착된다.
내측벽(142a)과 외측벽(142b)의 사이에는 브리지(142c)가 형성된다. 브리지(142c)는 내측벽(142a)과 외측벽(142b) 사이의 환형 공간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로 복수로 구비된다. 브리지(142c)는 제1 측벽부(142)의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벽(142a)과 외측벽(142b)에 각각 연결된다.
브리지(142c)의 상단이 형성되는 높이는 내측벽(142a)과 외측벽(142b)의 상단이 형성되는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캡(160)은 내측벽(142a)과 외측벽(142b)뿐만 아니라 브리지(142c)의 상단에도 안착된다.
제1 측벽부(142)의 내주면 또는 내측벽(142a)의 내주면에는 이탈 방지 홈(144)이 형성된다. 이탈 방지 홈(144)은 내측벽(142a)의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탈 방지 홈(144)은 캡(16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이탈 방지 돌기(164d)에 대응된다.
캡(160)이 롤온 버튼부(140)에 결합되면, 이탈 방지 돌기(164d)가 이탈 방지 홈(144)에 삽입된다. 이탈 방지 돌기(164d)와 이탈 방지 홈(144)은 캡(160)의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한다. 이탈 방지 돌기(164d)와 이탈 방지 홈(144)의 접촉면은 각각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외력을 가하면 이탈 방지 돌기(164d)가 이탈 방지 홈(144)으로부터 인출되며, 캡(160)이 롤온 버튼부(14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탈 방지 돌기(164d)와 이탈 방지 홈(144)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제2 측벽부(143)는 제1 측벽부(142)보다 큰 크기의 원주를 따라 돌출되며, 속이 빈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측벽부(143)의 형상의 정의하는 원주의 크기가 제1 측벽부(142)의 형상을 정의하는 원주의 크기보다 크므로, 제1 측벽부(142)와 제2 측벽부(143)의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가 형성되는 부분이 베이스(141)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한다.
제2 측벽부(143)의 하단에는 언락 홈(149)이 형성된다. 숄더 부재(150)의 언락 돌기(153)에 대응되는 구성으로, 롤온 버튼부(140)와 숄더 부재(15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어한다. 이에 대하여는 숄더 부재(150)의 언락 돌기(153)와 함께 후술한다.
돌출 분사 유로부(145)는 베이스(141)의 가운데에서 돌출된다. 돌출 분사 유로부(145)에는 분사 유로(146)가 형성된다. 분사 유로(146)는 돌출 분사 유로부(145)의 돌출된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분사 유로(146)는 밸브 스템(131)으로부터 공급되는 하우징(110) 내부의 내용물이 통과하는 유로에 해당한다.
돌출 분사 유로부(145)의 상면은 분사 유로(146)를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리세스된 구조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돌출 분사 유로부(145)가 분사 유로(146)를 가로막지 않게 되므로, 분사 유로(146)로부터 분사되는 내용물이 도포구의 넓은 영역에 도포될 수 있다.
후크 삽입홀(147)은 베이스(141)에 소정 크기의 원호 형상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원호를 정의하는 원은 돌출 분사 유로부(145) 또는 분사 유로(146)와 동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크 삽입홀(147)에는 숄더 부재(150)에 형성되는 후크 결합부(154)가 삽입된다.
후크 삽입홀(147)의 내측 둘레와 외측 둘레 중 적어도 하나에는 슬라이딩 가이드(147a, 147b)가 형성된다. 슬라이딩 가이드(147a, 147b)는 후크 결합부(154)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구성으로, 후크 결합부(154)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이드 되면, 롤온 버튼부(140)에 대한 숄더 부재(150)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이드 된다.
슬라이딩 가이드(147a, 147b)는 베이스(141)로부터 원호의 형상 또는 환형으로 숄더 부재(150)를 향해 하향 돌출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후크 삽입홀(147)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가이드(147a)의 돌출 길이는, 내측 둘레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가이드(147b)의 돌출 길이보다 짧다.
이것은 후크 결합부(154)의 후크가 형성되는 방향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후크와 접촉되는 쪽의 돌출 길이가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후크가 베이스(141)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에 형성된다면, 후크 삽입홀(147)의 내측 둘레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가이드(147b)가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가이드(147a)보다 짧아질 수 있다.
후크 결합부(154)는 양쪽 슬라이딩 가이드(147a, 147b)에 의해 마련되는 공간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롤온 버튼부(140)를 누름 조작 시 롤온 버튼부(140)가 숄더 부재(15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밸브 스템 수용부(148)는 밸브 스템(131)과 결합되도록 속이 빈 원기둥 또는 속이 빈 다각기둥 형상으로 밸브 스템(131)을 향해 돌출되어 밸브 스템(131)을 감싼다. 돌출 분사 유로부(145)가 도포구(161) 쪽으로 상향 돌출됨에 반해 밸브 스템 수용부(148)는 밸브 스템(131) 쪽으로 하향 돌출된다. 따라서 돌출 분사 유로부(145)와 밸브 스템 수용부(148)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원기둥이나 다각기둥의 중공에 해당하는 부분은 상기 돌출 분사 유로부(145)의 분사 유로(146)와 연통된다. 돌출 분사 유로부(145)와 밸브 스템 수용부(148)의 사이에는 분사 유로(146)와 연통되는 중간 공동(cavity)(S3)이 형성된다.
다음으로는 도 2 내지 도 4, 그리고 도 6을 참조하여 숄더 부재(15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숄더 부재(150)의 사시도(a), 평면도(b), 저면도(c), 측면도들(d1, d2, d3)이다.
숄더 부재(150)는 롤온 버튼부(140)와 상대 슬라이딩 이동 및 동축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숄더 부재(150)의 베이스(151)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환형의 중공 부분에는 밸브 스템(131)이 배치된다. 숄더 부재(150)는 하우징(110)과 마운트 컵(120)의 시밍 결합부(111, 121)에 안착된다. 시밍 결합부(111, 121)에 안착된 숄더 부재(150)의 베이스(151)는 상하 방향에서 롤온 버튼부(140)의 베이스(141)를 마주보게 된다.
숄더 부재(150)의 측벽부(152)는 2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측벽부(152a)는 베이스(151)의 외곽 테두리에서 원주를 따라 하향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 측벽부(152b)는 테두리를 따라 제1 측벽부(152a)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측벽부(152a)보다 큰 원주를 따라 하향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 측벽부(152a)와 제2 측벽부(152b)의 사이에는 단차가 존재하며, 상기 단차를 통해 제1 측벽부(152a)의 하단과 제2 측벽부(152b)의 상단이 서로 연결된다. 상기 단차에는 언락 돌기(153)가 형성된다.
언락 돌기(153)는 롤온 버튼부(140)에 형성되는 언락 홈(149)에 대응되는 구성으로 이 둘의 관계에 대하여는 도 7을 참조하여 먼저 설명한다.
도 7은 롤온 버튼부(140)와 숄더 부재(150)의 상대 회전 전후를 보인 개념도다.
도 7에는 롤온 버튼부(140)에 언락 홈(149)이 형성되고, 숄더 부재(150)에 언락 돌기(153)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둘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롤온 버튼부(140)에 형성되는 언락 홈(149)은 상향 리세스 된 구조이고, 숄더 부재(150)에 형성되는 언락 돌기(153)는 단차에서 상향 돌출되는 구조다. 롤온 버튼부(140)와 숄더 부재(150)는 동축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언락 돌기(153)와 언락 홈(149)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까지 롤온 버튼부(140)와 숄더 부재(150)가 상대 회전 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는 롤온 버튼부(140)가 숄더 부재(15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언락 돌기(153)가 언락 홈(149)에 삽입되면서, 롤온 버튼부(140)의 슬라이딩 이동 가능 범위가 확보되기 때문이다.
반면 언락 돌기(153)와 언락 홈(149)이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는 롤온 버튼부(140)가 숄더 부재(15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없다. 언락 돌기(153)가 언락 홈(149)에 삽입되지 못하고 롤온 버튼부(140)의 하단에 가로막히게 되면서, 롤온 버튼부(140)의 슬라이딩 이동 가능 범위가 확보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된 구조가 분사 용기(100)에 채택되면, 롤온 버튼부(140)가 임의적으로 눌려짐에 따라 내용물이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언락 돌기(153)와 언락 홈(149)을 서로 대응되게 위치까지 롤온 버튼부(140)와 숄더 부재(150)를 상대 회전시킨 경우에만 롤온 버튼부(140)가 누름 조작될 수 있다. 이 구조는 사용자의 의도가 반영된 누름 조작의 경우에만 내용물이 분사되게 한다.
다시 도 2 내지 4, 도 6을 참조하여 숄더 부재(150)에 대해 계속 설명한다.
숄더 부재(150)의 제1 후크 결합부(154)는 숄더 부재(150)의 베이스(151)로부터 돌출된다. 숄더 부재(150)의 베이스(151)에는 중공이 형성되며, 제1 후크 결합부(154)는 상기 중공의 둘레를 따라 원호 형상으로 상향 돌출된다. 제1 후크 결합부(154)는 롤온 버튼부(140)의 후크 삽입홀(147)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롤온 버튼부(140)와 숄더 부재(150)의 후크 결합이 이루어진다.
제1 후크 결합부(154)가 후크 삽입홀(147)에 삽입된 채로, 롤온 버튼부(140)와 숄더 부재(150)가 상대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롤온 버튼부(140)와 숄더 부재(150)의 상대 회전 및 위치 고정 구조를 보인 개념도다.
제1 후크 결합부(154)는 원호를 따라 돌출된다. 또한 후크 삽입홀(147)도 원호를 따라 형성된다. 이때 제1 후크 결합부(154)의 형상을 정의하는 원호의 중심각은 후크 삽입홀(147)의 형상을 정의하는 원호의 중심각보다 작다. 제1 후크 결합부(154)의 원호를 제1 원호라 하고, 후크 삽입홀(147)의 원호를 제2 원호라고 한다면, 제1 원호가 제2 원호보다 작다.
따라서 제1 후크 결합부(154)는 후크 삽입홀(147)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1 후크 결합부(154)의 이동 범위는 제2 원호의 크기로 제한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롤온 버튼부(140)와 숄더 부재(150)는 동축으로 상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1 후크 결합부(154)와 후크 삽입홀(147)에는 상대 회전된 후의 위치를 고정하는 구조가 형성된다. 먼저 제1 후크 결합부(154)에는 후크 삽입홀(147)의 둘레를 마주보는 위치에 돌기(154a, 154b)가 형성된다. 돌기(154a, 154b)는 제1 후크 결합부(154)의 원호를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후크 삽입홀(147)의 둘레에는 볼록부(147c, 147e)와 오목부(147d, 147f)가 교번적으로 형성된다. 볼록부(147c, 147e)가 형성되지 않는 위치는 모두 오목부(147d, 147f)로 이해될 수도 있다.
도면과 달리 제1 후크 결합부(154)에 볼록부(147c, 147e)와 오목부(147d, 147f)가 형성되고, 후크 삽입홀(147)의 둘레에 돌기(154a, 154b)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롤온 버튼부(140)와 숄더 부재(150)의 상대 회전 과정에서 돌기(154a, 154b)는 볼록부(147c, 147e)와 오목부(147d, 147f)를 마주보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돌기는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볼록부(147c, 147e)와 오목부(147d, 147f)를 지나가게 된다. 따라서 볼록부(147c, 147e)가 형성되는 위치에서는 사용자가 보다 큰 외력을 인가해야 돌기가 볼록부(147c, 147e)를 넘어 다음 오목부(147d, 147f)로 이동할 수 있다.
돌기(154a, 154b)가 오목부(147d, 147f)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면 추가적인 외력이 인가되기 전까지 롤온 버튼부(140)와 숄더 부재(150)의 상대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돌기(154a, 154b)는 모두 오목부(147d, 147f)에 위치하게 된다.
특히 돌기(154a, 154b)가 볼록부(147c, 147e)를 넘어가며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게 되면 돌기(154a, 154b)가 볼록부(147c, 147e)의 접촉에 의해 딸깍 소리가 발생하여 잠금과 잠금 해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4, 도 6을 참조하여 숄더 부재(150)에 대해 마저 설명한다.
제2 후크 결합부(154)는 측벽부(152)에 의해 감싸이는 영역에서 소정 크기의 원주를 따라 원형 또는 원호 형상으로 하향 돌출된다. 제2 후크 결합부(154)는 속이 빈 원기둥 또는 속이 빈 다각기둥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후크 결합부(154)는 하우징(110)과 마운트 컵(120)의 시밍 결합부(111, 121)에 후크 결합된다. 제2 후크 결합부(154)가 시밍 결합부(111, 121)에 후크 결합됨에 따라 숄더 부재(150)가 하우징(110)과 마운트 컵(120)에 고정된다.
다음으로는 캡(160)에 대하여 설명한다. 캡(160)은 도포구(161), 도포구 하우징(162), 브러시(163), 손잡이 부재(164)를 포함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 그리고 도 9를 참조하여 도포구 하우징(162)을 설명한다.
도 9는 도포구 하우징(162)의 사시도(a), 평면도(b), 저면도(c), 측면도들(d1, d2, d3)이다.
도포구 하우징(162)은 도포구(161)를 제자리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포구 하우징(162)에는 브러시(163)가 결합된다.
도포구 하우징(162)의 도포구 수용부(162a)는 도포구(161)가 장착될 수 있도록 도포구(16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한다. 도포구 수용부(162a)의 내측은 도포구(161)의 절반에 해당하는 반구를 감싸도록 반구 형상의 수용 공간(S2)을 형성한다. 여기서 반구 형상이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면 도포구(161)의 상부 반구에 해당한다.
도포구(161)의 상부 반구 형상에 대응되도록 도포구 수용부(162a)의 내주면의 직경과 외주면의 직경은 일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질 수 있다. 여기서 일측이란 도 3과 도 4를 기준으로 위를 향하는 방향이다.
도포구(161)는 도포구 수용부(162a)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 공간(S2)을 채우도록 도포구 수용부(162a)에 장착된다. 도포구(161)는 도포구 수용부(162a)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도포구 수용부(162a)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포구 수용부(162a)의 내면과 도포구(161)의 사이에는 틈이 형성된다. 도포구 수용부(162a)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노출되어 있는 부분을 도포구(161)의 노출부라고 한다면, 밸브 스템(131)을 통해 분사되는 내용물은 도포구(161)에 묻게 된다. 도포구(161)가 도포구 수용부(162a)의 내면에 밀착된다면 도포구(161)를 통해 피부 등의 대상물에 전달되어야 할 내용물이 도포구 수용부(162a)의 내면에 묻어버리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포구 수용부(162a)의 내면과 도포구(161) 사이의 틈이 유지되어야 한다. 도포구 수용부(162a)의 내면에는 도포구(161)와의 틈을 유지하기 위해 도포구를 지지하는 지지 돌기(162b)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돌기(162b)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틈을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지지 돌기(162b)가 도포구 수용부(162a)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62c)는 도포구 수용부(162a)에 수용되는 도포구(16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도포구 수용부(162a)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도포구(161)의 나머지 절반에 해당하는 반구를 부분적으로 감싼다. 도포구 수용부(162a)의 일단이란 도 3과 도 4를 기준으로 한다면 도포구 수용부(162a)의 하단에 해당한다. 그리고 도포구(161)의 나머지 절반이란 도포구 수용부(162a)에 의해 감싸여지지 않는 부분을 가리킨다.
이탈 방지부(162c)는 도포구 수용부(162a)의 일단에 해당하는 원주를 따라 형성된다. 이탈 방지부(162c)는 도포구(161)의 나머지 절반을 완전히 감싸는 것이 아니라 중공 부분을 통해 반구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킨다. 상기 중공 부분을 통해 노출되는 도포구(161)의 노출부와, 도포구 수용부(162a)로 은폐되는 부분은 도포구(161)의 제자리 회전에 따라 계속 바뀌게 된다.
이탈 방지부(162c)의 단부는 도포구(161)의 나머지 절반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3과 도 4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에서 도포구(161)의 가운데에 해당하는 원주보다 낮은 위치에서 이탈 방지부(162c)의 하단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수용 공간(S2)으로부터 도포구(16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62c)의 일단에는 원주를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홈(162c’)이 형성된다. 여기서 이탈 방지부(162c)의 일단이란 도포구 수용부(162a)로부터 먼 위치의 일단을 가리키며, 중공 부분의 둘레에 해당한다. 홈(162c’)은 이탈 방지부(162c)에게 방사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게 하는 자유도를 부여한다.
도포구(161)를 도포구 수용부(162a)의 수용 공간에 삽입하는 경우 상기 이탈 방지부(162c)의 일단에 도포구(161)를 밀착시킨 후 압입하면, 이탈 방지부(162c)가 방사 방향으로 약간 벌어지게 되어 도포구(161)가 수용 공간(S2)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포구(161)가 수용 공간(S2)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벌어져 있던 이탈 방지부(162c)가 제자리로 복원되어 도포구(161)의 이탈을 방지한다.
도포구 하우징(162)의 측벽부(162e)는 도포구 수용부(162a)와 이탈 방지부(162c)의 연결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측벽부(162e)는 도포구 하우징(162)의 방사 방향에서 도포구 수용부(162a) 혹은 이탈 방지부(162c)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측벽부(162e)는 이탈 방지부(162c)와 동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캡(160)이 롤온 버튼부(140)에 결합되면, 도포구 하우징(162)의 측벽부(162e)는 롤온 버튼부(14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롤온 버튼부(140)의 내측벽(142a)에 밀착될 수 있다.
브리지(162d)는 상기 연결 부위와 측벽부(162e)의 사이에 형성되어 연결 부위와 측벽부(162e)를 연결한다. 브리지(162d)는 측벽부(162e)와 동축의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 결합홀(162g)은 브리지(162d)에 소정 크기의 원주를 따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원주를 따라 브러시 결합홀(162g)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형성된다. 브러시 결합홀(162g)에는 후술하게 될 브러시(163)의 후크 결합부(154)가 삽입된다.
도포구 하우징(162)의 후크 결합부(162f)는 측벽부(162e)와 브러시 결합홀(162g)의 사이에 형성된다. 후크 결합부(162f)는 도포구 수용부(162a)를 감싸도록 도포구 수용부(162a)의 외측에 형성된다. 도포구 하우징(162)의 후크 결합부(162f)는 손잡이 부재(164)의 후크 결합부(164c)와 상호 후크 결합되는 대상이다.
도포구 하우징(162)의 후크 결합부(162f)에는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홈(162f’)이 형성된다. 홈(162f’)은 후크 결합부(162f)를 벌려지게 하거나 오므려지게 하는 자유도를 부여한다.
도포구 하우징(162)의 후크 결합부(162f)가 손잡이 부재(164)의 후크 결합부(164c)와 결합되는 경우, 두 후크 결합부(162f, 164c)를 밀착시킨 후 압입하게 되면 상기 홈(162f’)에 의해 도포구 하우징(162)의 후크 결합부(162f)가 서로 오므려져 손잡이 부재(164)의 후크 결합부(164c)로 삽입될 수 있다.
두 후크 결합부(162f, 164c)의 후크 결합이 완료되면, 오므려져 있던 도포구 하우징(162)의 후크 결합부(162f)가 제자리로 복원되어 도포구 하우징(162)과 손잡이 부재(164)의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한다.
브러시 결합홀(162g), 후크 결합부(162f), 측벽부(162e)는 모두 동축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다. 이 셋 중 브러시 결합홀(162g)의 형상을 정의하는 원주가 가장 작은 직경을 갖고, 측벽부(162e)의 형상을 정의하는 원주가 가장 큰 직경을 갖는다.
다음으로는 도 2 내지 도 4,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여 브러시(16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브러시(163)의 사시도(a), 평면도(b), 저면도(c), 측면도들(d1, d2, d3)이다.
브러시(163)는 도포구 하우징(162)에 결합된다. 브러시(163)는 탄성 재질, 예컨대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환형의 안착부(163a)는 도포구(161)를 노출시키는 중공부의 둘레에 형성된다. 브러시(163)가 도포구 하우징(162)에 결합되면 안착부(163a)는 도포구 하우징(162)의 브리지(162d)에 안착된다.
돌출부(163b) 중 복수의 제1 돌출부(163b1)는 안착부(163a)의 일면에서 소정 크기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분사 용기(10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복수의 제1 돌출부(163b1)는 상기 원주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복수의 제2 돌출부(163b2)는 안착부(163a)의 일면에서 제1 돌출부(163b1)보다 큰 원주 방향을 따라 분사 용기(10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복수의 제2 돌출부(163b2)는 상기 원주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복수의 제2 돌출부(163b2)는 복수의 제1 돌출부(163b1)를 감싸도록 분사 용기(100)의 방사 방향에서 제1 돌출부(163b1)보다 바깥쪽에 위치한다.
복수의 제1 돌출부(163b1)와 복수의 제2 돌출부(163b2)는 방사 방향과 원주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그 사이의 공간을 통해 내용물이 흐를 수 있다. 따라서 도포구(161)를 피부에 대고 문지르는 동안 내용물이 돌출부(163b)에 의해 더 넓은 영역까지 도포될 수 있다.
특히 안착부(163a)의 원주 방향에서 제1 돌출부(163b1)의 폭은 제2 돌출부(163b2)의 폭보다 작다. 이와 같이 안쪽 제1 돌출부(163b1)의 폭이 작으면, 내용물이 제2 돌출부(163b2)까지 쉽게 퍼져 나갈 수 있으며, 제2 돌출부(163b2)의 폭이 크면 도포력이 향상된다. 따라서 브러시(163)에 의한 균일한 도포가 가능하다.
브러시(163)의 후크 결합부(163c)는 안착부(163a)의 타면에서 돌출된다. 후크 결합부(163c)와 돌출부(163b)는 서로 안착부(163a)의 반대쪽 면에 형성된다. 후크 결합부(154)는 소정 크기의 원호를 따라 돌출되며, 상기 원호를 정의하는 원주를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브러시(163)의 후크 결합부(163c)는 도포구 하우징(162)의 브러시 결합홀(162g)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도포구 하우징(162)과 브러시(163)의 후크 결합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는 도 2 내지 도 4, 그리고 도 11을 참조하여 손잡이 부재(164)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손잡이 부재(164)의 사시도(a), 평면도(b), 저면도(c), 측면도들(d1, d2, d3)이다.
손잡이 부재(164)는 롤온 버튼부(1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손잡이 부재(164)의 커버(164a)는 테두리를 따라 롤온 버튼부(140)의 측벽부(142) 상단에 안착된다. 구체적으로 손잡이 부재(164)의 커버(164a)는 롤온 버튼부(140)의 내측벽(142a)과 외측벽(142b), 그리고 그 사이의 브리지(142c)에 안착된다. 롤온 버튼부(140)의 측벽부(142) 상단에 안착되기 위해 커버(164a)는 평평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파지부(164b)는 손잡이 부재(164)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파지부(164b)의 형상은 사용자가 쥐기에 용이하다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손잡이 부재(164)의 후크 결합부(164c)는 커버(164a)의 하부로부터 속이 빈 기둥 형상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속이 빈 기둥 형상이란 롤온 버튼부(140)의 내측벽(142a)에 대응되는 형상이다. 캡(160)이 롤온 버튼부(140)에 결합되면, 후크 결합부(164c)는 롤온 버튼부(140)의 측벽부(142)에 의해 감싸이는 영역으로 삽입된다.
상기 롤온 버튼부(140)의 측벽부(142)에 의해 감싸이는 영역에서 손잡이 부재(164)의 후크 결합부(164c)는 도포구 하우징(162)의 후크 결합부(162f)와 상호 후크 결합된다. 손잡이 부재(164)의 후크 결합부(164c)는 도포구 하우징(162)의 후크 결합부(162f)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 부재(164)의 후크 결합부(164c)에는 이탈 방지 돌기(164d)가 형성된다. 이탈 방지 돌기(164d)는 후크 결합부(164c)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캡(160)이 롤온 버튼부(140)에 결합되면 이탈 방지 돌기(164d)는 이탈 방지 홈(144)에 삽입된다. 이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하였다.
이상에서 설명된 분사 용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3)

  1. 유체와 분사가스를 포함하는 내용물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마운트 컵;
    외력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 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마운트 컵에 고정되는 밸브 어셈블리;
    상기 밸브 스템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을 공급받으며, 상기 내용물이 발라지는 도포구를 구비하는 롤온 버튼부; 및
    상기 롤온 버튼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도포구와 브러시를 구비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캡이 상기 롤온 버튼부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도포구와 상기 브러시는 상기 롤온 버튼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캡이 상기 롤온 버튼부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도포구와 상기 브러시는 상기 롤온 버튼부의 내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분사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도포구를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도포구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도포구 하우징은,
    상기 도포구의 절반에 해당하는 반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도포구 수용부; 및
    상기 도포구 수용부에 수용되는 도포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도포구 수용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도포구의 나머지 절반에 해당하는 반구를 부분적으로 감싸며, 중공 부분을 통해 상기 도포구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 방지부에는 상기 중공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홈이 형성되는 분사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구 하우징은,
    상기 도포구 하우징의 방사 방향에서 상기 이탈 방지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도포구 수용부와 상기 이탈 방지부의 연결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측벽부; 및
    상기 연결 부위와 상기 측벽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부위와 상기 측벽부를 연결하는 브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브리지에는 소정 크기의 원주를 따라 원호 형상의 브러시 결합홀이 복수로 형성되는 분사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상기 브리지에 안착되는 환형의 안착부; 및
    상기 브러시 결합홀에 대응되는 원호를 따라 상기 안착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브러시 결합홀에 삽입되는 후크 결합부를 포함하는 분사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구 하우징은 상기 측벽부와 상기 브러시 결합홀의 사이에서 상기 브러시 결합홀보다 큰 원주를 따라 돌출되는 후크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후크 결합부는 상기 도포구 수용부를 감싸도록 상기 도포구 수용부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후크 결합부에는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홈이 형성되는 분사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롤온 버튼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부재는,
    테두리를 따라 상기 롤온 버튼부의 측벽부 상단에 안착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하부로부터 속이 빈 기둥 형상으로 돌출되며, 상기 캡이 상기 롤온 버튼부에 결합되면 상기 롤온 버튼부의 측벽부에 의해 감싸이는 영역으로 삽입되는 후크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부재의 후크 결합부는 상기 도포구 하우징의 후크 결합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도포구 하우징의 후크 결합부와 상기 손잡이 부재의 후크 결합부는 서로 후크 결합되는 분사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부재의 후크 결합부에는 이탈 방지 돌기와 이탈 방지 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롤온 버튼부의 측벽부에는 이탈 방지 돌기와 이탈 방지 홈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캡이 상기 롤온 버튼부에 결합되면, 상기 이탈 방지 돌기가 상기 이탈 방지 홈에 삽입되며,
    상기 이탈 방지 돌기와 상기 이탈 방지 홈의 접촉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분사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온 버튼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서 상향 돌출되는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1 측벽부보다 큰 원주를 따라 하향 돌출되며, 상기 제1 측벽부와 단차를 형성하는 제2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벽부는,
    상대적으로 작은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내측벽; 및
    상기 내측벽을 감싸도록 상기 내측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외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캡은 상기 내측벽과 상기 외측벽에 안착되는 분사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용기는 상기 롤온 버튼부와 동축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숄더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온 버튼부에는 언락 돌기와 언락 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숄더 부재에는 언락 돌기와 언락 홈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언락 돌기와 상기 언락 홈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롤온 버튼부와 상기 숄더 부재가 상대 회전 된 상태에서,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롤온 버튼부가 상기 숄더 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언락 돌기가 상기 언락 홈에 삽입되는 분사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롤온 버튼부의 베이스에는 소정 크기의 원호 형상을 따라 후크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숄더 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마운트 컵의 시밍 결합부에 안착되며, 상하 방향에서 상기 롤온 버튼부의 베이스를 마주보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중공의 둘레를 따라 원호 형상으로 상향 돌출되어 상기 롤온 버튼부의 후크 삽입홀에 삽입되는 후크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결합부의 형상의 정의하는 원호의 중심각은 상기 후크 삽입홀의 형상을 정의하는 원호의 중심각보다 작은 분사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롤온 버튼부는 상기 후크 결합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롤온 버튼부의 베이스로부터 원호의 형상 또는 환형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하는 분사 용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결합부에는 상기 후크 삽입홀의 둘레를 마주보는 위치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 삽입홀의 둘레에는 상기 롤온 버튼부와 상기 숄더 부재의 상대 회전 과정에서 상기 돌기를 마주보는 위치에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분사 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도포구를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도포구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브러시는,
    상기 도포구를 노출시키는 중공부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도포구 하우징에 안착되는 환형의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상부에서 소정 크기의 원주를 따라 돌출되는 복수의 제1 돌출부; 및
    상기 안착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1 돌출부보다 큰 원주를 따라 돌출되고, 상기 제1 돌출부를 감싸도록 상기 분사 용기의 방사 방향에서 상기 제1 돌출부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의 원주 방향에서 제1 돌출부의 폭은 상기 제2 돌출부의 폭보다 작은 분사 용기.
KR1020200086169A 2020-07-13 2020-07-13 분사 용기 KR102293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169A KR102293172B1 (ko) 2020-07-13 2020-07-13 분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169A KR102293172B1 (ko) 2020-07-13 2020-07-13 분사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172B1 true KR102293172B1 (ko) 2021-08-25

Family

ID=77495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169A KR102293172B1 (ko) 2020-07-13 2020-07-13 분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1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832U (ko) * 2009-02-27 2010-09-06 (주)연우 화장품 도포장치
KR200469856Y1 (ko) * 2012-05-16 2013-11-13 (주)아모레퍼시픽 구체형 도포구를 갖는 도포 용기
JP2017154742A (ja) * 2016-02-29 2017-09-0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塗布具
KR101895316B1 (ko) * 2017-11-15 2018-09-07 주식회사 승일 롤온 버튼을 구비한 분사용기
KR102016670B1 (ko) 2014-02-03 2019-08-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832U (ko) * 2009-02-27 2010-09-06 (주)연우 화장품 도포장치
KR200469856Y1 (ko) * 2012-05-16 2013-11-13 (주)아모레퍼시픽 구체형 도포구를 갖는 도포 용기
KR102016670B1 (ko) 2014-02-03 2019-08-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JP2017154742A (ja) * 2016-02-29 2017-09-0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塗布具
KR101895316B1 (ko) * 2017-11-15 2018-09-07 주식회사 승일 롤온 버튼을 구비한 분사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29513C (en) Spray pump package employing multiple orifices for dispensing liquid in different spray patterns with automatically adjusted optimized pump stroke for each pattern
US7267248B2 (en) Aerosol dispenser for mixing and dispensing multiple fluid products
US4572410A (en) Safety actuator for an aerosol valve
JP5603422B2 (ja) マルチスプレイ装置の作動装置のオーバーキャップ
KR101895316B1 (ko) 롤온 버튼을 구비한 분사용기
JP4471972B2 (ja) エアゾル作動装置
KR102293172B1 (ko) 분사 용기
KR102355261B1 (ko) 분사 용기
CN115551788A (zh) 球形接头阀
JP5903242B2 (ja) 吐出器
KR102357495B1 (ko) 분사 용기
KR101634654B1 (ko) 브러쉬를 구비하는 분사용기
JPH1052207A (ja) 噴霧器
KR101838638B1 (ko) 락킹 구조를 구비하는 분사용기
JPH1029658A (ja) エアゾール式噴射器のステムアタッチメント
JP4737520B2 (ja) 塗布容器
JPH10331894A (ja) ダンパー
US4793527A (en) Aerosol dispenser
JP6180280B2 (ja) 塗布容器
US20060118577A1 (en) Actuator cap and product refill for a housing
EP1789347B1 (en) Actuator cap and product refill for a housing
JP3634920B2 (ja) エアゾール装置
KR101049521B1 (ko) 과압해소 메커니즘을 구비한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JP4156344B2 (ja) 噴出容器
KR101901161B1 (ko) 플라워 형상으로 내용물을 도포하는 분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