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261B1 - 분사 용기 - Google Patents

분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261B1
KR102355261B1 KR1020200086168A KR20200086168A KR102355261B1 KR 102355261 B1 KR102355261 B1 KR 102355261B1 KR 1020200086168 A KR1020200086168 A KR 1020200086168A KR 20200086168 A KR20200086168 A KR 20200086168A KR 102355261 B1 KR102355261 B1 KR 102355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button
brush
circumferen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8065A (ko
Inventor
장하진
고창희
이기홍
김효빈
임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일
Priority to KR1020200086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261B1/ko
Publication of KR20220008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1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roller, a disc or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mean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operated by manual action, e.g. button-type actuator or actuator caps
    • B65D83/207Actuators comprising a manually operated valve and being attachable to the aerosol container, e.g. downstream a valve fitted to the container; Actuators associated to container valves with valve seats located outside the aerosol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분사 용기는, 유체와 분사가스를 포함하는 내용물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마운트 컵; 외력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 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마운트 컵에 고정되는 밸브 어셈블리; 상기 밸브 스템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이 발라지는 도포구와 상기 도포구를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버튼을 구비하는 롤온 버튼부; 및 상기 도포구를 노출시키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브러시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는, 상기 버튼의 브러시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를 감싸도록 상기 삽입부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버튼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사 용기{SPRAYING BOTTLE}
본 발명은 도포구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도포하는 분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사 용기는 분사할 내용물(유체 또는 가스)을 하우징 내부에 밀봉시켜둔 상태에서, 내압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할 수 있게 하는 용기를 말한다. 이러한 분사 용기의 대표적인 예로는 휴대용 가스용기, 스프레이 모기약, 헤어 스프레이, 휴대용 에어로졸 소화기, 가스 라이터용 용기 등이 있다.
이러한 분사 용기는 에어로졸의 입자를 분사하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자외선 방지 피부 보호 크림(썬 크림)을 충전하고, 스프레이 타입으로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하는 스프레이 타입의 썬 크림 분사 용기가 상용화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스프레이 타입은 에어로졸의 입자들을 얼굴을 향하여 분사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스프레이 타입은 분사시에 입자들이 주위로 흩뿌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주위로 흩뿌려지지 않는 롤온(Roll-on) 타입의 버튼을 적용하였으나, 롤온(Roll-on) 타입의 버튼은 에어로졸의 가스가 구 형태의 도포구를 밀어내어 도포구가 버튼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도포구에 의한 도포 면적이 넓지 않아, 넓은 면적의 피부에 내용물을 도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피부에 도포구를 접촉한 상태로 여러 번 왕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63848호(2015.10.21.)
본 발명은 여러 번 왕복하지 않고도 넓은 면적의 피부에 내용물을 도포 가능한 구조의 분사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롤온 버튼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드러운 누름 조작이 가능한 구조의 분사 용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부에 발라진 내용물을 브러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퍼져 나가게 하기 용이하며, 퍼져 나간 내용물을 넓은 면적에 도포하기 용이한 구조의 브러시를 구비하는 분사 용기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브러시의 독립적인 세척이 가능한 분사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사 용기는, 유체와 분사가스를 포함하는 내용물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마운트 컵; 외력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 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마운트 컵에 고정되는 밸브 어셈블리; 상기 밸브 스템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이 발라지는 도포구와 상기 도포구를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버튼을 구비하는 롤온 버튼부; 및 상기 도포구를 노출시키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브러시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는, 상기 버튼의 브러시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를 감싸도록 상기 삽입부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버튼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한다.
상기 브러시는 상기 중공부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에 안착되는 환형의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안착부에서 소정 크기의 원주를 따라 돌출되며, 상기 측벽부는 상기 안착부의 방사 방향에서 상기 삽입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은, 상기 도포구의 하부 반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도포구 수용부; 상기 도포구 수용부에 수용되는 도포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도포구 수용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도포구의 상부 반구를 부분적으로 감싸며, 중공 부분을 통해 상기 도포구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는 이탈 방지부; 및 상기 이탈 방지부를 감싸도록 상기 이탈 방지부의 외측에 형성되며, 원주를 따라 돌출되는 부분을 갖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상기 이탈 방지부의 상단은 상기 도포구 수용부에 수용되는 도포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내측 둘레는 상기 이탈 방지부의 상단에 안착되도록 상기 이탈 방지부에 대응되는 경사를 구비한다.
상기 이탈 방지부의 상단에는 원주를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홈이 형성된다.
상기 이탈 방지부와 상기 플랜지는 상기 버튼의 방사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환형의 상기 브러시 삽입홈을 형성한다.
상기 이탈 방지부와 상기 플랜지는 상기 버튼의 방사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며, 상기 버튼은 방사 방향에서 상기 이탈 방지부와 상기 플랜지를 연결하는 브리지를 구비한다.
상기 버튼과 상기 브러시의 결합 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삽입부와 상기 측벽부의 사이로 삽입된다.
상기 측벽부는, 상기 안착부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를 감싸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단차를 형성하며, 원주를 따라 상기 도포구 수용부와 상기 플랜지의 연결 부위를 감싸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분사 용기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마운트 컵의 시밍(seaming) 결합부에 결합되는 숄더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숄더 부재는, 상기 밸브 스템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환형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소정 크기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후크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도포구의 하부 반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도포구 수용부; 및 상기 도포구 수용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숄더 부재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후크 삽입홀에 대응되는 크기의 원호 형상을 따라 돌출되는 후크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포구 수용부의 내측은 반구 형상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도포구 수용부의 내측 바닥에는 하측을 향해 리세스된 리세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부의 중심에는 상기 밸브 스템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을 공급받는 분사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숄더 부재는 상기 후크 삽입홀의 내측 둘레와 외측 둘레 중 어느 하나로부터 소정 크기의 원주를 따라 상향 돌출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후크 결합부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감싼다.
상기 숄더 부재는 상기 후크 삽입홀을 향해 경사진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후크 삽입홀의 내측 둘레와 외측 둘레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버튼과 상기 숄더 부재의 결합 시 상기 후크 결합부는 상기 경사부를 타고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후크 삽입홀에 삽입된다.
상기 숄더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 돌출되며, 상기 후크 결합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후크 결합부를 감싸는 제1 측벽부; 상기 시밍 결합부와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벽부보다 큰 원주를 갖도록 상기 제1 측벽부와 단차를 형성하는 제2 측벽부; 및 상기 제2 측벽부보다 큰 원주를 갖도록 상기 제2 측벽부와 단차를 형성하는 제3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부의 상단은 상기 버튼의 도포구 수용부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제3 측벽부의 하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거치된다.
상기 브러시는, 상기 중공부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에 안착되는 환형의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상부에서 소정 크기의 원주를 따라 상기 분사 용기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1 돌출부; 및 상기 안착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1 돌출부보다 큰 원주를 따라 상기 분사 용기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돌출부를 감싸도록 상기 분사 용기의 방사 방향에서 상기 제1 돌출부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의 원주 방향에서 제1 돌출부의 폭은 상기 제2 돌출부의 폭보다 작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포구에 의해 피부에 도포된 내용물을 브러시가 도포구를 따라가면서 인접 영역까지 발라지게 하여 도포 면적을 넓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브러시가 착탈 가능하게 롤온 버튼부에 결합되므로, 이물질 끼임 발생 시 롤온 버튼부로부터 분리하여 독립적인 세척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버튼과 숄더 부재의 상대 이동을 가이드 하고 임의적 분리를 억제하는 구조가 채택되어, 피부에 내용물을 도포 시 흔들림을 방지하고 내용물 분사압에 의한 버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브러시에 구비되는 돌출부가 바깥쪽으로 갈수록 큰 폭을 갖도록 이루어져, 내용물이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퍼져나가기 용이하며, 바깥쪽 돌출부에서는 피부에 내용물을 도포하기에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용기의 사시도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사 용기의 분해 사시도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사 용기의 단면도로, 롤온 버튼부가 누름 조작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분사 용기의 단면도로, 롤온 버튼부가 누름 조작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버튼의 사시도, 평면도, 저면도, 측면도들이다.
도 6은 숄더 부재의 사시도, 평면도, 저면도, 측면도들이다.
도 7은 브러시의 사시도, 평면도, 저면도, 측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분사 용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용기(100)의 사시도다. 도 1의 (a)는 분사 용기(100)에 뚜껑(170)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1의 (b)는 분사 용기(100)에 뚜껑(170)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사 용기(100)는 내용물(유체 또는 가스)을 밀폐된 공간에 수용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용기이다. 본 발명의 분사 용기(100)는 누름 조작되어 도포구(141)에 내용물을 발라지게 하고, 도포구(141)를 회전시켜 내용물을 피부 등에 도포하는 롤온(roll-on) 버튼부(140)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진다.
롤온 버튼부(140)는 도포구(141)를 구비한다. 도포구(141)에는 하우징(110)에 채워진 내용물이 발라지게 되며, 도포구(141)에 발라진 내용물은 도포구(141)가 회전함에 따라 피부 등의 대상물에 도포된다.
롤온 버튼부(140)는 버튼(142)을 구비한다. 버튼(142)은 도포구(141)를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버튼(142)은 도포구(14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사 용기(100)에는 하우징(110)과 롤온 버튼부(140) 외에도 숄더 부재(150)와 브러시(160)가 구비된다. 숄더 부재(150)는 하우징(110)과 롤온 버튼부(140)의 사이에 배치되며, 하우징(110)의 상단에 결합된다. 숄더 부재(150)는 롤온 버튼부(140)와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롤온 버튼부(140)의 누름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브러시(160)는 뚜껑(170)을 제외하고 분사 용기(100)의 상단에 배치된다. 분사 용기(100)에서 내용물이 분사되어 도포구(141)에 발라진 후, 도포구(141)가 피부의 표면에서 회전하면서 내용물을 피부에 전달하게 되면 브러시(160)는 도포구(141)를 따라다니며 피부에 발라진 내용물을 인접 영역에도 도포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인접 영역이란 도포구(141)에 의해 내용물이 도포된 영역의 주변 영역을 가리킨다.
브러시(160)는 내용물을 펴 바를 수 있게 하므로, 브러시(160)가 구비되면 여러 번 분사 용기(100)를 왕복 이동시키지 않아도 도포구(141)와 브러시(160)에 의해 도포 면적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본 발명의 분사 용기(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간략한 구조와 결합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사 용기(100)의 분해 사시도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사 용기(100)의 단면도로, 롤온 버튼부(140)가 누름 조작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분사 용기(100)의 단면도로, 롤온 버튼부(140)가 누름 조작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하우징(110)에는 고압의 기체 또는 액체 상태의 내용물이 담길 수 있다. 하우징(110)은 일정한 내압을 견딜 수 있는 금속캔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상단부에는 밸브 어셈블리(130)를 지지하기 위한 마운트 컵(120)이 결합된다. 하우징(110)과 마운트 컵(120)은 시밍(seaming)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하우징(110)과 마운트 컵(120)에는 시밍 결합부(111, 121)가 형성된다.
시밍 결합부(111, 121)는 하우징(110)과 마운트 컵(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하우징(110) 마운트 컵(120)이 시밍 결합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시밍 결합부(111, 121)는 하우징(110)에 이중 또는 삼중 시밍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시밍 결합부(111, 121)는 단일 시밍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마운트 컵(120)의 중앙에는 밸브 어셈블리(1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돌출 부분(122)이 마련되어 있다. 마운트 컵(120)의 돌출 부분(122)은 분사 용기(100)의 높이 방향에서 시밍 결합부(111, 121)와 대응되는 위치까지 돌출된다. 상기 돌출 부분(122)은 밸브 어셈블리(1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돌출 부분(122)의 내측면에는 걸림 돌기(122a)가 형성된다. 걸림 돌기(122a)는 돌출 부분(122)에 의해 감싸이는 영역을 향해 상기 내측면의 원주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된다. 걸림 돌기(122a)는 마운트 컵(120)의 외면에 대한 클램핑 등을 통한 단면 축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밍 결합부(111, 121)와 상기 돌출 부분(122)의 사이에는 환형으로 리세스된 부분(123)이 형성된다. 리세스된 부분(123)의 리세스된 방향은 하우징(110) 내부의 수용 공간(S1)을 향하는 방향이다.
밸브 어셈블리(130)의 일 단부는 하우징(110)의 수용 공간(S1)에 배치되고 타 단부는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된 채로 마운트 컵(120)에 설치된다. 밸브 어셈블리(130)는 누름 조작에 의해 수용 공간(S1)에 충전된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시키도록 형성된다.
밸브 어셈블리(130)는 누름 조작되는 밸브 스템(131)과 마운트 컵(120)에 고정되는 스템 하우징(132)을 포함한다.
마운트 컵(120)의 돌출 부분(122)의 상단의 중앙부분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밸브 스템(131)의 일부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밸브 스템(131)은 수직방향으로 눌려질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며, 그 눌림에 의하여 수용 공간(S1)의 내용물이 분사되고, 눌림이 해제되면 내용물의 분사가 중단된다.
스템 하우징(132)은 마운트 컵(120)의 걸림 돌기(122a)에 고정된다. 스템 하우징(132)의 적어도 일부는 걸림 돌기(122a)에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스템 하우징(132)의 외주면에는 둘레 돌기(132a)가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 돌기(122a)가 둘레 돌기(132a)에 걸림에 따라 스템 하우징(132)이 마운트 컵(120)의 돌출 부분(122)에 고정된다.
스템 하우징(132)의 내부에는 하우징(110)의 수용 공간(S1)과 연통되는 중공 부분(132b)이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110) 내부에 채워진 내용물은 상기 중공 부분(132b)으로 공급된다.
밸브 스템(131)에는 누름 조작에 따른 밸브 스템(131)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중공부분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오리피스(131a)가 형성된다. 오리피스(131a)는 스템 하우징(132)의 중공 부분을 향해 형성된 작은 구멍에 해당한다.
또한, 스템 하우징(132)에는 밸브 스템(131)의 슬라이딩과 연동하여 오리피스(131a)를 개폐하도록 탄성 변형되는 개폐 부재(133)가 배치된다. 개폐 부재(133)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밸브 스템(131)의 외주면을 감싸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 부재(133)는 스템 하우징(132)의 상단에 거치될 수 있으며, 마운트 컵(120)의 돌출 부분(122) 상단에 의해 상기 스템 하우징(132)의 상단에 눌려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밸브 스템(131)이 누름 조작에 의해 슬라이딩하면, 개폐 부재(133)가 휘어지면서 탄성 변형되고, 스템 하우징(132)의 중공부분과 밸브 스템(131)의 통로가 상호 연통되면서 내용물이 분사된다. 반대로 밸브 스템(131)을 누르고 있던 힘이 제거되면, 밸브 스템(131)의 하단을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134)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된다. 그 결과 개폐 부재(133)는 밸브 스템(131)에 밀착되어 오리피스(131a)를 막게 되고, 내용물의 분사는 차단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분사 용기(100)는 도포구(141)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피부 등의 대상물에 도포할 수 있는 매커니즘을 구비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분사 용기(100)는 롤온 버튼부(140)를 구비한다.
롤온 버튼부(140)는 밸브 스템(131)을 통해 하우징(110) 내부의 내용물을 공급받는다. 롤온 버튼부(140)에 구비되는 도포구(141)에는 밸브 스템(131)을 통해 공급되는 내용물이 발라진다.
롤온 버튼부(140)는 도포구(141)와 버튼(142)을 포함한다.
도포구(141)는 구 형으로 형성되어, 버튼(142)에 의해 마련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도포구(141)의 표면에는 밸브 스템(131)에 의해 분사되는 내용물이 발라져 인체의 손이나 얼굴에 직접 도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버튼(142)은 도 2 내지 도 4, 그리고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버튼(142)의 사시도(a), 평면도(b), 저면도(c), 측면도들(d1, d2, d3)이다.
버튼(142)은 도포구(141)를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버튼(142)은 후술하게 될 숄더 부재(150)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결합된다.
버튼(142)의 도포구 수용부(142a)는 도포구(141)가 장착될 수 있도록 도포구(14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한다. 도포구 수용부(142a)의 내측은 도포구(141)를 감싸도록 반구 형상의 수용 공간(S2)을 형성한다. 상기 반구 형상은 도포구(141)의 하부 반구에 대응된다.
도포구(141)의 하부 반구 형상에 대응되도록 도포구 수용부(142a)의 내주면의 직경과 외주면의 직경은 아래로 갈수록 점차 작아질 수 있다.
도포구(141)는 상기 수용 공간(S2)을 채우도록 도포구 수용부(142a)에 장착된다. 도포구(141)는 도포구 수용부(142a)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도포구 수용부(142a)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포구 수용부(142a)의 내면과 도포구(141)의 사이에는 틈이 형성된다. 밸브 스템(131)에서 내용물이 분사되는 경우, 상기 내용물은 상기 틈을 채우게 되며, 내용물 중 액상 내용물, 예를 들어 선크림은 도포구(141)에 도포된다. 한편, 내용물 중 가스 내용물, 예를 들어 분사 가스는 도포구(141)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탈 방지부(142b)는 수용 공간(S2)으로부터 도포구(141)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탈 방지부(142b)는 도포구 수용부(142a)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도포구(141)의 상부 반구를 부분적으로 감싼다. 이탈 방지부(142b)는 소정 크기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다. 이탈 방지부(142b)는 도포구(141)의 상부 반구를 완전히 감싸는 것이 아니라 종공 부분을 통해 상부 반구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킨다. 상기 중공 부분을 통해 노출되는 부분과 도포구 수용부(142a)로 은폐되는 부분은 도포구(141)의 제자리 회전에 따라 계속 바뀌게 된다.
이탈 방지부(142b)의 상단은 도포구 수용부(142a)에 수용되는 도포구(141)의 상부 반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하 방향에서 도포구(141)의 가운데에 해당하는 원주보다 높은 위치에 이탈 방지부(142b)의 상단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수용 공간(S2)에 수용되는 도포구(141)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42b)의 상단에는 원주를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홈(142b’)이 형성된다. 상기 홈(142b’)은 이탈 방지부(142b)에게 방사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게 하는 자유도를 부여한다. 도포구(141)를 도포구 수용부(142a)의 수용 공간에 삽입하는 경우 상기 이탈 방지부(142b)의 상단에 도포구(141)를 밀착시킨 후 압입하면, 이탈 방지부(142b)의 상단이 방사 방향으로 약간 벌어지게 되어 도포구(141)가 수용 공간(S2)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포구(141)가 수용 공간(S2)에 완전히 삽입되면, 벌어져 있던 이탈 방지부(142b)는 제자리로 복원되어 도포구(141)의 이탈을 방지한다.
버튼(142)의 플랜지(142c)는 브러시(160)와 결합되기 위한 구성이다. 플랜지(142c)는 이탈 방지부(142b)를 감싸도록 이탈 방지부(142b)의 외측에 형성된다. 플랜지(142c)는 도포구 수용부(142a)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플랜지(142c)는 이탈 방지부(142b)의 상단과 대응되는 높이까지 돌출되며, 상단에서 원주를 따라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갖는다.
플랜지(142c)와 이탈 방지부(142b)는 버튼(142)의 방사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브러시 삽입홈(142k)을 형성한다. 브러시 삽입홈(142k)은 환형으로 형성된다. 후술하게 될 브러시(160)에는 삽입부(164)가 형성되는데, 상기 브러시(160)의 삽입부(164)가 상기 브러시 삽입홈(142k)에 삽입된다. 그리고 브러시(160)의 안착부(161), 삽입부(164), 및 측벽부(162)가 상기 플랜지(142c)를 감싸게 된다.
버튼(142)의 브리지(142e)는 방사 방향에서 이탈 방지부(142b)와 플랜지(142c)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브리지(142e)는 브러시 삽입홈(142k)에 형성되며, 일 단에서 이탈 방지부(142b)에 연결되고 타 단에서 플랜지(142c)에 연결된다. 브리지(142e)는 환형의 브러시 삽입홈(142k)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구비된다.
브리지(142e)가 형성됨에 따라 이탈 방지부(142b)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브러시 삽입홈(142k)이 유지될 수 있다.
도포구 수용부(142a)의 내측면에는 도포구(141)와의 틈을 유지하기 위해 도포구(141)를 지지하는 지지 돌기(142d)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돌기(142d)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틈을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세 개 이상 도포구 수용부(142a)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도포구 수용부(142a)의 중심에는 분사 유로(142f)가 형성된다. 여기서 도포구 수용부(142a)의 중심이란 도포구 수용부(142a)의 내측 바닥에서의 중심을 가리킨다. 상기 분사 유로(142f)는 도포구 수용부(142a)의 중심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도포구 수용부(142a)의 내측 바닥에는 버튼(142)의 하측을 향해 리세스된 리세스부(142f’)가 형성된다. 리세스부(142f’)는 분사 유로(142f)가 형성되는 도포구 수용부(142a)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사 유로(142f)는 리세스부(142f’)의 중심에 형성된다. 분사 유로(142f)의 둘레에 리세스부(142f’)가 형성되면, 분사 유로(142f)를 통해 공급되는 내용물이 도포구(141)의 더 넓은 면적으로 퍼져 나갈 수 있다.
상하 방향에서 분사 유로(142f)를 기준으로 상기 리세스부(142f’)의 반대쪽에도 리세스부(142f”)가 형성될 수 있다. 구분을 위해 상기 두 리세스부(142f’, 142f”)를 각각 제1 리세스부(142f’)와 제2 리세스부(142f”)로 이름할 수 있다.
제2 리세스부(142f”)는 도포구 수용부(142a)의 외측 바닥에서 상측으로 리세스 되어 형성된다. 제2 리세스부(142f”)에 의해 밸브 스템(131)(의 상단과 분사 유로(142f)의 사이에는 중간 공동(S3)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 스템(131)과 상기 중간 공동(S3)을 통해 상기 분사 유로(142f)에는 하우징(110) 내부의 내용물이 공급된다.
밸브 스템 수용부(142g)는 도포구 수용부(141a)의 하부로부터 밸브 스템(131) 쪽으로 하향 돌출된다. 밸브 스템 수용부(142g)는 밸브 스템(131)과 결합되도록 속이 빈 원기둥 또는 속이 빈 다각기둥 형상으로 밸브 스템(131)을 향해 돌출되어 밸브 스템(131)을 감싼다. 상기 원기둥이나 다각기둥의 중공에 해당하는 부분은 중간 공동(S3)을 통해 분사 유로(142f)와 연통된다.
밸브 스템 수용부(142g)의 중공에 해당하는 부분의 직경은 중간 공동(S3) 둘레의 직경보다 크고, 분사 유로(142f)의 직경은 중간 공동(S3) 둘레의 직경보다 작다. 밸브 스템 수용부(142g)의 중공에 해당하는 부분의 체적은 중간 공동(S3)의 체적보다 크고, 분사 유로(142f)의 체적은 중간 공동(S3)의 체적보다 작다.
밸브 스템 수용부(142g)의 내측에는 밸브 스템(131)의 삽입 깊이를 설정하기 위한 단차(142h)가 형성된다. 단차(142h)는 밸브 스템 수용부(142g)의 내주면에서 환형으로 돌출되며, 밸브 스템 수용부(142g)의 중공 부분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밸브 스템(131)의 상단부는 상기 밸브 스템 수용부(142g)에 삽입되며, 상기 단차(142h)에 의해 가로막히는 위치까지 삽입된다. 이에 따라 버튼(142)과 밸브 스템(131)은 한 몸처럼 누름 조작된다.
후크 결합부(142i, 142j)는 도포구 수용부(142a)의 하부로부터 숄더 부재(150)를 향해 하향 돌출된다. 후크 결합부(142i, 142j)는 밸브 스템 수용부(142g)와 동축의 원주를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원주 상에서 후크 결합부(142i, 142j)의 하부는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후크 결합부(142i, 142j)는 밸브 스템 수용부(142g)를 감싸도록 상기 밸브 스템 수용부(142g)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숄더 부재(150)에는 형성되는 후크 삽입홀(155)과 버튼(142)에 형성되는 후크 결합부(142i, 142j)는 서로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다. 예컨대 숄더 부재(150)에는 소정 크기의 원호 형상으로 후크 삽입홀(155)이 형성되고, 버튼(142)의 후크 결합부(142i, 142j)는 상기 후크 삽입홀(155)에 대응되는 크기의 원호 형상을 따라 돌출된다. 후크 결합부(142i, 142j)는 상기 소정 크기의 원주를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후크 결합부(142i, 142j)는 도포구 수용부(142a)의 하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부분(142i)과, 상기 하향 연장되는 부분(142i)의 하단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142j)을 갖는다.
상기 하향 연장되는 부분(142i)은 오므려질 수 있도록 그 하단에 홈이 형성된다. 하향 연장되는 부분(142i)의 길이는 도포구 수용부(142a)의 하부로부터 숄더 부재(150)의 베이스(151)까지의 거리보다 길더라도 무방하다. 숄더 부재(150)와 버튼(142)의 결합 길이는 버튼(142)에 형성되는 단차(142h)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버튼(142)의 후크 결합부(142i, 142j)는 숄더 부재(150)의 후크 삽입홀(155)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버튼(142)과 숄더 부재(150)의 후크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되는 부분(142j)의 측 방향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은 버튼(142)과 숄더 부재(150)의 후크 결합 시, 후크 결합부(142i, 142j)를 숄더 부재(150)의 후크 삽입홀(155)에 쉽게 삽입되게 하는 구성이다. 숄더 부재(150)에는 상기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부(151a)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숄더 부재는 도 2 내지 도 4, 그리고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숄더 부재의 사시도(a), 평면도(b), 저면도(c), 측면도들(d1, d2, d3)이다.
숄더 부재(150)는 하우징(110)과 마운트 컵(120)의 시밍 결합부(111, 121)에 결합된다.
환형의 베이스(151)는 시밍 결합부(111, 121)에 안착된다. 환형의 베이스(151)는 평평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측벽부(152)는 숄더 부재(15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한다. 측벽부(152)는 2단 내지 3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사이에는 외경의 차이, 내경의 차이, 단차가 존재할 수 있다.
제1 측벽부(152a)는 후크 결합부(142i, 142j)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후크 결합부(142i, 142j)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1 측벽부(152a)는 베이스(151)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 돌출된다. 제1 측벽부(152a)의 상단은 버튼(142)의 도포구 수용부(142a)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따라 버튼(142)이 숄더 부재(15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다.
제2 측벽부(152b)는 하우징(110)과 마운트 컵(120)의 시밍 결합부(111, 121)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된다. 제2 측벽부(152b)는 제1 측벽부(152a)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제2 측벽부(152b)는 제1 측벽부(152a)보다 큰 원주를 갖도록 제1 측벽부(152a)와 단차를 형성한다. 상기 단차는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경사진 단차를 통해 제1 측벽부(152a)와 제2 측벽부(152b)가 서로 연결된다.
제3 측벽부(152c)는 제2 측벽부(152b)보다 큰 원주를 갖도록 상기 제2 측벽부(152b)와 단차를 형성한다. 제3 측벽부(152c)는 제2 측벽부(152b)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단차에 의해 제2 측벽부(152b)와 제3 측벽부(152c)가 서로 연결된다. 제3 측벽부(152c)의 하단은 테두리를 따라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거치된다.
숄더 부재(150)의 후크 결합부(153)는 측벽부(152)에 의해 감싸이는 영역에서 원주를 따라 하향 돌출된다. 후크 결합부(153)는 속이 빈 원기둥 또는 속이 빈 다각기둥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후크 결합부(153)는 하우징(110)과 마운트 컵(120)의 시밍 결합부(111, 121)의 테두리를 따라 시밍 결합부(111, 121)에 후크 결합된다.
숄더 부재(150)의 후크 삽입홀(155)은 베이스(151)에 형성된다. 후크 삽입홀(155)은 소정 크기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원호에 대응되는 원의 반지름과, 베이스(151)의 외측 반지름을 비교하면 전자가 후자보다 작다. 또한 후크 삽입홀(155)은 환형의 베이스(151)와 동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후크 삽입홀(155)은 베이스(151)의 내측 원주와 외측 원주 사이에 형성된다.
후크 삽입홀(155)은 소정 크기의 원주를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형성된다. 후크 삽입홀(155)의 수와 크기는 후크 결합부(142i, 142j)의 하단이 분할된 수와 그 크기에 대응된다.
숄더 부재(150)의 베이스(151)에는 후크 삽입홀(155)을 향해 경사진 경사부(151a)가 형성된다. 경사부(151a)는 후크 삽입홀(155)의 내측 둘레와 외측 둘레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경사부(151a)는 후크 삽입홀(155)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버튼(142)과 숄더 부재(150)의 후크 결합을 위해 버튼(142)의 후크 결합부(142i, 142j)가 숄더 부재(150)의 후크 삽입홀(155)에 삽입되는 경우, 후크 결합부(142i, 142j)의 경사면이 숄더 부재(150)의 경사부(151a)를 타고 슬라이딩 이동하여 후크 삽입홀(155)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후크 결합이 더욱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154)는 베이스(151)로부터 속이 빈 원기둥 또는 속이 빈 다각기둥 형상으로 상향 돌출된다. 슬라이딩 가이드(154)의 돌출 길이는 제1 측벽부(152a)의 돌출 길이보다 짧다. 슬라이딩 가이드(154)는 후크 삽입홀(155)의 내측 둘레와 외측 둘레 중 어느 하나로부터 소정 크기의 원주를 따라 상향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경사부(151a)가 후크 삽입홀(155)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면, 슬라이딩 가이드(154)는 후크 삽입홀(155)의 내측 둘레에 형성된다. 도 3과 도 4에는 이러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슬라이딩 가이드(154)와 경사부(151a)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버튼(142)과 숄더 부재(150)가 서로 결합되면, 버튼(142)의 후크 결합부(142i, 142j)와 슬라이딩 가이드(154)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감싼다. 도 3과 도 4에는 후크 결합부(142i, 142j)가 슬라이딩 가이드(154)를 감싸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대로 슬라이딩 가이드(154)가 후크 결합부(142i, 142j)를 감싸는 구조도 가능하다.
슬라이딩 가이드(154)는 버튼(142)과 숄더 부재(15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한다. 슬라이딩 가이드(154)는 버튼(142)에 인가되는 누름 조작에 의해 버튼(142)의 후크 결합부(142i, 142j)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슬라이딩 가이드(154)의 외주면과 후크 결합부(142i, 142j)의 내주면은 서로 면접촉하거나 미소한 차이로 이격될 수 있다. 버튼(142)의 후크 결합부(142i, 142j)가 슬라이딩 가이드(154)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버튼(142)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이드 된다.
다음으로는 도 2 내지 도 4, 그리고 도 7을 참조하여 브러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브러시의 사시도(a), 평면도(b), 저면도(c), 측면도들(d1, d2, d3)이다.
브러시(160)는 롤온 버튼부(140)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된다. 브러시(160)는 탄성 재질, 예컨대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환형의 안착부(161)는 도포구(141)를 노출시키는 중공부의 둘레에 형성된다. 안착부(161)는 버튼(142)의 이탈 방지부(142b)의 상단과 플랜지(142c)의 상단에 안착된다.
이탈 방지부(142b)의 상단에 도포구(14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가 형성되는 것에 대응하여, 안착부(161)의 내측 둘레에도 이탈 방지부(142b)에 대응되는 경사(165)가 형성된다. 도 3과 도 4에 경사(165)가 도시되어 있다.
경사(165)는 중공부를 향해 형성된다. 안착부(161)의 내측 둘레에 경사(165)가 형성됨에 의해 버튼(142)과 이탈 방지부(142b)는 경사면을 따라 면접촉하게 된다.
브러시(160)에는 버튼(142)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형성된다. 결합부는 삽입부(164)와 측벽부(162)를 포함한다.
삽입부(164)는 안착부(161)의 하부에서 소정 크기의 원주를 따라 환형으로 돌출된다. 버튼(142)의 이탈 방지부(142b)와 플랜지(142c)의 사이에는 브러시 삽입홈(142k)이 형성되며, 삽입부(164)는 상기 브러시 삽입홈(142k)에 삽입된다. 삽입부(164)의 크기와 형상은 브러시 삽입홈(142k)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된다.
측벽부(162)는 삽입부(164)를 감싸도록 삽입부(164)의 외측에 형성된다. 측벽부(162)는 안착부(161)의 방사 방향에서 삽입부(16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측벽부(162)는 버튼(142)의 상단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버튼(142)의 상단 테두리란 플랜지(142c)를 의미한다.
측벽부(162)는 단차를 기준으로 구분되는 제1 부분(162a)과 제2 부분(162b)을 포함한다. 단차는 측벽부(162)의 내측에 형성되며, 측벽부(162)의 외측에는 내측 단차에 대응되는 외측 단차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에 이러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버튼(142)과 브러시(160)의 결합 시 삽입부(164)와 측벽부(162)의 사이로 버튼(142)의 플랜지(142c)가 삽입된다. 측벽부(162)의 단차는 플랜지(142c)를 감싸기 위한 것이다. 측벽부(162)의 제1 부분(162a)은 안착부(161)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된다. 제1 부분(162a)은 플랜지(142c)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감싼다. 제1 부분(162a)과 단차를 형성하는 제2 부분(162b)은 원주를 따라 도포구 수용부(142a)와 플랜지(142c)의 연결 부위를 감싼다. 이에 따라 측벽부(162)는 플랜지(142c)를 완전히 감싸게 된다.
돌출부(163) 중 복수의 제1 돌출부(163a)는 안착부(161)의 상부에서 소정 크기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분사 용기(10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복수의 제1 돌출부(163a)는 상기 원주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복수의 제2 돌출부(163b)는 안착부(161)의 상부에서 제1 돌출부(163a)보다 큰 원주 방향을 따라 분사 용기(10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복수의 제2 돌출부(163b)는 상기 원주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복수의 제2 돌출부(163b)는 복수의 제1 돌출부(163a)를 감싸도록 분사 용기(100)의 방사 방향에서 제1 돌출부(162a)보다 바깥쪽에 위치한다.
복수의 제3 돌출부(163c)는 안착부(161)의 상부에서 제2 돌출부(163b)보다 큰 원주 방향을 따라 분사 용기(10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복수의 제3 돌출부(163c)는 상기 원주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복수의 제3 돌출부(163c)는 복수의 제2 돌출부(163b)를 감싸도록 분사 용기(100)의 방사 방향에서 제2 돌출부(163b)보다 바깥쪽에 위치한다.
복수의 제1 돌출부(163a), 복수의 제2 돌출부(163b), 복수의 제3 돌출부(163c)는 방사 방향과 원주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그 사이의 공간을 통해 내용물이 흐를 수 있다. 따라서 도포구(141)를 피부에 대고 문지르는 동안 내용물이 돌출부(163)에 의해 더 넓은 영역까지 도포될 수 있다.
특히 안착부(161)의 원주 방향에서 제1 돌출부(163a)의 폭은 제2 돌출부(163b)의 폭보다 작다. 또한 안착부(161)의 원주 방향에서 제2 돌출부(163b)의 폭은 제3 돌출부(163c)의 폭보다 작다. 이와 같이 가장 안쪽의 제1 돌출부(163a)의 폭이 가장 작으면, 내용물이 제3 돌출부(163c)까지 쉽게 퍼져 나갈 수 있으며, 제3 돌출부(163c)의 폭이 가장 크면 도포력이 향상된다. 따라서 브러시(160)에 의한 균일한 도포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분사 용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유체와 분사가스를 포함하는 내용물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마운트 컵;
    외력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 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마운트 컵에 고정되는 밸브 어셈블리;
    상기 밸브 스템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이 발라지는 도포구와 상기 도포구를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버튼을 구비하는 롤온 버튼부; 및
    상기 도포구를 노출시키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브러시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는,
    상기 버튼의 브러시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를 감싸도록 상기 삽입부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버튼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는 상기 중공부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에 안착되는 환형의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안착부에서 소정 크기의 원주를 따라 돌출되며,
    상기 측벽부는 상기 안착부의 방사 방향에서 상기 삽입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에는 단차가 형성되는 분사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도포구의 하부 반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도포구 수용부;
    상기 도포구 수용부에 수용되는 도포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도포구 수용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도포구의 상부 반구를 부분적으로 감싸며, 중공 부분을 통해 상기 도포구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는 이탈 방지부; 및
    상기 이탈 방지부를 감싸도록 상기 이탈 방지부의 외측에 형성되며, 원주를 따라 돌출되는 부분을 갖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분사 용기.
  4. 제3항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의 상단은 상기 도포구 수용부에 수용되는 도포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내측 둘레는 상기 이탈 방지부의 상단에 안착되도록 상기 이탈 방지부에 대응되는 경사를 구비하는 분사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의 상단에는 원주를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홈이 형성되는 분사 용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와 상기 플랜지는 상기 버튼의 방사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환형의 상기 브러시 삽입홈을 형성하는 분사 용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와 상기 플랜지는 상기 버튼의 방사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며,
    상기 버튼은 방사 방향에서 상기 이탈 방지부와 상기 플랜지를 연결하는 브리지를 구비하는 분사 용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과 상기 브러시의 결합 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삽입부와 상기 측벽부의 사이로 삽입되는 분사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안착부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를 감싸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단차를 형성하며, 원주를 따라 상기 도포구 수용부와 상기 플랜지의 연결 부위를 감싸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분사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용기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마운트 컵의 시밍(seaming) 결합부에 결합되는 숄더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숄더 부재는,
    상기 밸브 스템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환형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소정 크기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후크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도포구의 하부 반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도포구 수용부; 및
    상기 도포구 수용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숄더 부재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후크 삽입홀에 대응되는 크기의 원호 형상을 따라 돌출되는 후크 결합부를 포함하는 분사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구 수용부의 내측은 반구 형상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도포구 수용부의 내측 바닥에는 하측을 향해 리세스된 리세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부의 중심에는 상기 밸브 스템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을 공급받는 분사 유로가 형성되는 분사 용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 부재는 상기 후크 삽입홀의 내측 둘레와 외측 둘레 중 어느 하나로부터 소정 크기의 원주를 따라 상향 돌출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후크 결합부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감싸는 분사 용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 부재는 상기 후크 삽입홀을 향해 경사진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후크 삽입홀의 내측 둘레와 외측 둘레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버튼과 상기 숄더 부재의 결합 시 상기 후크 결합부는 상기 경사부를 타고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후크 삽입홀에 삽입되는 분사 용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 돌출되며, 상기 후크 결합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후크 결합부를 감싸는 제1 측벽부;
    상기 시밍 결합부와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벽부보다 큰 원주를 갖도록 상기 제1 측벽부와 단차를 형성하는 제2 측벽부; 및
    상기 제2 측벽부보다 큰 원주를 갖도록 상기 제2 측벽부와 단차를 형성하는 제3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부의 상단은 상기 버튼의 도포구 수용부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제3 측벽부의 하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거치되는 분사 용기.
  15. 분사 용기에 있어서,
    유체와 분사가스를 포함하는 내용물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마운트 컵;
    외력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 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마운트 컵에 고정되는 밸브 어셈블리;
    상기 밸브 스템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이 발라지는 도포구와 상기 도포구를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버튼을 구비하는 롤온 버튼부; 및
    상기 도포구를 노출시키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브러시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는,
    상기 버튼의 브러시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를 감싸도록 상기 삽입부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버튼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는,
    상기 중공부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에 안착되는 환형의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상부에서 소정 크기의 원주를 따라 상기 분사 용기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1 돌출부; 및
    상기 안착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1 돌출부보다 큰 원주를 따라 상기 분사 용기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돌출부를 감싸도록 상기 분사 용기의 방사 방향에서 상기 제1 돌출부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의 원주 방향에서 제1 돌출부의 폭은 상기 제2 돌출부의 폭보다 작은 분사 용기.
KR1020200086168A 2020-07-13 2020-07-13 분사 용기 KR102355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168A KR102355261B1 (ko) 2020-07-13 2020-07-13 분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168A KR102355261B1 (ko) 2020-07-13 2020-07-13 분사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065A KR20220008065A (ko) 2022-01-20
KR102355261B1 true KR102355261B1 (ko) 2022-02-07

Family

ID=80053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168A KR102355261B1 (ko) 2020-07-13 2020-07-13 분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26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654B1 (ko) 2015-11-11 2016-06-29 주식회사 승일 브러쉬를 구비하는 분사용기
JP2017154742A (ja) * 2016-02-29 2017-09-0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塗布具
KR101895316B1 (ko) * 2017-11-15 2018-09-07 주식회사 승일 롤온 버튼을 구비한 분사용기
JP6578117B2 (ja) * 2015-03-27 2019-09-18 ホーユー株式会社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JP2020050370A (ja) * 2018-09-26 2020-04-02 株式会社マンダム ロールオン型エアゾール製品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848B1 (ko) 2015-04-22 2015-10-29 주식회사 스킨푸드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78117B2 (ja) * 2015-03-27 2019-09-18 ホーユー株式会社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KR101634654B1 (ko) 2015-11-11 2016-06-29 주식회사 승일 브러쉬를 구비하는 분사용기
JP2017154742A (ja) * 2016-02-29 2017-09-0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塗布具
KR101895316B1 (ko) * 2017-11-15 2018-09-07 주식회사 승일 롤온 버튼을 구비한 분사용기
JP2020050370A (ja) * 2018-09-26 2020-04-02 株式会社マンダム ロールオン型エアゾール製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065A (ko)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7248B2 (en) Aerosol dispenser for mixing and dispensing multiple fluid products
CA2129513C (en) Spray pump package employing multiple orifices for dispensing liquid in different spray patterns with automatically adjusted optimized pump stroke for each pattern
US7357158B2 (en) Aerosol dispenser for mixing and dispensing multiple fluid products
US2829806A (en) Dispensing valve for gas pressure containers
US8328053B2 (en) Siphon head
JPH05330580A (ja) 再充填可能の流体噴霧装置
KR101895316B1 (ko) 롤온 버튼을 구비한 분사용기
JP2002238658A (ja) 加圧下で製品を収容し分配するための装置
KR102355261B1 (ko) 분사 용기
JP5055281B2 (ja) 点眼薬容器
KR102293172B1 (ko) 분사 용기
JPH10331895A (ja) ダンパー
JP5903242B2 (ja) 吐出器
KR102357495B1 (ko) 분사 용기
JP4737520B2 (ja) 塗布容器
JPH10331894A (ja) ダンパー
US8297483B2 (en) Liquid dispenser
JP7348620B2 (ja) 化粧料容器
JP6180280B2 (ja) 塗布容器
JP3634920B2 (ja) エアゾール装置
JP6994744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アクチュエータ
WO2021131870A1 (ja) 薬液供給具及び薬液供給器具
KR102216090B1 (ko) 화장품 용기
JP4156344B2 (ja) 噴出容器
JPH10309502A (ja) 旋回可能な噴射頭を有する定量噴射弁付き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