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2114A - 자립백 - Google Patents
자립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72114A KR20050072114A KR1020057007056A KR20057007056A KR20050072114A KR 20050072114 A KR20050072114 A KR 20050072114A KR 1020057007056 A KR1020057007056 A KR 1020057007056A KR 20057007056 A KR20057007056 A KR 20057007056A KR 20050072114 A KR20050072114 A KR 200500721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g
- self
- air flow
- supporting
- flow path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12—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collapsing and flattening the mouth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securing without folding,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heat-sealing, welding or applying separate securing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06—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with rigid end 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4—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 B65D75/56—Handles or other suspension means
- B65D75/566—Hand holes or suspension aper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4—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 B65D2575/56—Handles or other suspension means
- B65D2575/565—Handles or other suspension means means explicitly used for suspen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1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 B65D75/5822—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and defining, after tearing, a small dispensing spout, a small orific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부 (20) 와 바닥부 (30) 로 구성되는 합성수지제 백 본체 (11) 를 바람직하게 금형으로 성형하고, 그 백 본체 (11) 의 충진전의 단계에서 본체 전체 (11) 가 접힌 상태로 되는 자립백 (10) 에 있어서, 백 본체 (11) 의 접힌 상태가 바닥부 (30) 전체를 몸체부 (20) 에 대해 평행하게 접어서 형성되는 자립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요성 자립백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공보 No.3-148451 (참고문헌 1)에 기술된 접을 수 있는 합성수지 백은 속이 빈 상태일때 백 본체가 접혀질 수 있으며, 백 본체 개구부에 나사산이 구비되어져, 이 나사산에 뚜껑이 장착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진다. 그러므로, 백 본체가 접혀질지라도, 나사산을 가진 개구부와 뚜껑이 존재하기 때문에 백 본체 전체가 대략의 평면형상으로 접혀지는 상태를 만들기가 불가능하고, 이러한 백을 납작하게 쌓아서 보관하기도 어렵다.
이에 반해, 일본 특허 No.3077751 (참고문헌 2)에 기술된 자립백은, 백 본체가 합성수지로 된 전후 몸체부 시트와 합성수지로 된 바닥부 시트를 적층하여 구성되어지므로 백 본체 전부가 접혀질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대상을 특정하여 지시하며 명확히 청구하는 청구항들로 끝을 맺고 있지만 첨부한 도면과 연계되어 주어진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은 더욱 잘 이해되어질 것이다.
도 1 은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자립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자립백의 접혀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자립백의 접혀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자립백의 접혀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접힘 유지 수단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 은 접힘 유지 수단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 은 접힘 유지 수단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 은 접힘 유지 수단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 는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자립백의 주요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 은 제2 실시형태의 변형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 은 제2 실시형태의 또 다른 변형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 는 제3 실시형태에 의한 자립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3 은 도 12 의 주요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 는 제4 실시형태에 의한 자립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5 는 제5 실시형태에 의한 자립백의 주요부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6 은 제6 실시형태에 의한 자립백의 주요부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7 은 제7 실시형태에 의한 자립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성형된 몸체부와 바닥부를 포함하는 합성수지제 백 본체를 가지고 있는 자립백이 제공되는데, 백 본체를 충진하기 전단계에서, 이 백 본체 전부는 접혀진 상태로 놓이게 되는데, 이 백 본체의 접혀진 상태는 바닥부 전체를 몸체부에 대해서 평행하게 접음으로써 형성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자립백은 백 본체에 형성된 방출구를 구비하며, 이 자립백은 백 본체에 형성된 이 방출구를 통해서 그 내용물을 방출할 때, 백 본체 내부로 외기의 침입을 허용하는 공기유통로형성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백 본체 전체가 접혀질 수 있으며, 충진구의 형성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지며, 속이 빈 상태에서도 안정성을 가지는 개선된 자립백에 관한 것이다. 동시에,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백 본체의 미적 외관을 개선하며, 백의 품질을 안정화하고, 낙하강도를 개선시키고 또한 방출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내용물을 방출할 때에 있어서, 손을 사용한 자립백의 지지를 용이하게 하면서 방출 액체의 맥동 발생을 곤란케 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방출 후에 남아있게 되는 백의 내용물의 잔량을 감소시킨다.
상기 종래의 자립백은 하기와 같은 문제들을 갖고 있다.
(1) 백 본체는, 극히 낮은 강성을 지닌 평면형 시트들,즉 몸체부 시트와 바닥부 시트를 적층하여서 형성되어지므로, 백이 비어 있을 때는 그 자립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충진등을 위해 빈 백을 이송할 때 이송장치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백의 본체가 쉽게 구부려지며 그 취급성이 떨어진다.
(2) 전후 몸체부 시트들은 겹치는 부분에서 서로 바싹 들러붙으려 하여서, 충진구를 형성하기 위해 전후 몸체부 시트를 분리하는 공정동안 충진구등이 개방되지 않게되면, 이런 백은 폐기되게 된다.
또한, 상기 참고문헌 2의 자립백은, 그 가요성 백의 본체가, 합성수지로 된 전후 몸체부 시트와 합성수지로 된 바닥부 시트를 적층하여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진다. 강성을 가진 병류와 비교하여 볼때, 상기 자립백은 백 본체에 더 적은양의 수지를 사용하며, 백 본체를 충진하기 전에 백 본체를 접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참고문헌 2의 자립백에 있어서, 이 백은, 백 본체에 형성된 방출구로부터 내용물이 방출될 때 대기압의 작용을 받아 백 본체의 체적이 줄어드는 가요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공기치환이 필요한 공극부분이 백 본체 내부에 발생하지 않으며, 공기치환을 위해 백 본체 내부로 들어간 커다란 기포가 공극부로 들어갈 때 대부분 파열됨으로써 야기되는 방출 액체의 맥동도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백 본체의 체적이 방출되는 내용물의 양에 따라 줄어들고 백 본체의 강성도 계속적으로 줄어드는 결과로, 손을 사용한 백 본체의 지지가 곤란해진다는 사실의 견지에서 볼때, 방출성이 극히 떨어지게 된다. 게다가, 내용물의 대부분이 방출된 상태에서는, 백 내부표면들이 서로 바싹 들러붙어서 백 바닥에 남아있는 내용물을 방출하기 힘들게 만든다.
또한, 종래의 자립백은 하기의 문제들을 갖고 있다.
(a) 백 본체는 여러장의 시트(몸체부 및 바닥부 시트)를 준비하고 이것을 적층하여 제조하는데, 이러한 제조 공정은 복잡하다.
(b) 백 본체의 몸체부가, 전후의 몸체부 시트를 평면적으로 적층하여 구성되어지기 때문에, 충진시 몸체부가 부풀어 오를때 몸체부에 주름이 발생할 수 있어 백 본체의 미적 외관을 떨어뜨린다.
(c) 몸체부 시트와 바닥부 시트는, 접착을 가능하게 하는 접착성 내측 필름과 라미네이팅용 열실링 바에 의한 가열에 의하여 용융되어 훼손되어지지 않는 비접착성 외측 필름을 적층하여서 얻어지는 적층필름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백의 내용물에 계면활성제나 용제가 포함되어 있다면 계면활성제나 용제가 내측필름으로부터 중간 접착층으로 스며들어서 내측필름과 외측필름 사이에 박리를 발생시키는 등, 백 품질의 안정성이 저하될 위험이 있다.
(d) 몸체부 시트와 바닥부 시트 사이, 적층의 교점부는 낙하 충격에 취약하며 충격을 받았을때 깨지기 쉽다.
(e) 방출구가 전후 몸체부 시트 사이의 평면의 적층부에 구성되어지기 때문에 막혀버리기가 쉽다. 이러한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후의 몸체부 시트 사이에 스트로우 등을 끼워넣을 필요가 있다.
아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더 기술한다. 다음 설명은 오로지 해설을 위해 주어지는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8)
자립백 (10) 은 몸체부 (20) 와 바닥부 (30) 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제 백 본체 (11) 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3차원 형상(예를 들자면 입체 형상)으로 블로우성형하여 얻어지며, 백 본체 (11) 전체는 그 백 본체 (11) 를 충진하기 전단계에서 접혀진 상태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백 본체 (11) 는, 몸체부 (20) 와 바닥부 (30) 로 이루어진 내용물 수용부 (21) 와, 몸체부 (20) 의 상부 가장자리 부분의 전체 폭 또는 거의 전체 폭을 따르는 넓은 개구를 형성하여서 충진구 (22A) 가 되게끔 하는 충진구형성부 (22) 를 가지고 있다. 어깨부 (23) 에 의해 수용부 (21) 와 충진구형성부 (22)가 부드럽게 연결되도록 전체 수용부 (21), 충진구형성부 (22) 그리고 어깨부 (23) 가 블로우성형되어진다. 자립백의 측면에서 볼 때(충진구형성부(22)의 후술하는 실링부 (22B)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어깨부 (23) 는, 수용부 (21) 쪽으로부터 충진구형성부 (22) 쪽으로, 역 V자형으로 좁아져있다. 백 본체 (11) 는, 몸체부 (20) 가 정면부 (20A), 후면부 (20B) 및 양측면부 (20C) 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능선부 (41) 가 정면부 (20A) 와 양측면부 (20C) 사이의 경계에 구비되있다. 후면부 (20B) 와 양측면부 (20C) 사이의 경계에는 능선부 (42) 가 있고, 정면부 (20A) 와 바닥부 (30) 사이에는 능선부 (43) 가 있으며, 후면부 (20B) 와 바닥부 (30) 사이에는 능선부 (44) 가 있고, 양측면부 (20C) 와 바닥부 (30) 사이에는 능선부 (45) 가 있다. 또한, 백 본체 (11) 는 양측면부 (20C) 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중앙부에, 블로우성형 금형의 분할선을 따라 뻗은 능선부 (46) 를 구비하고 있으며, 바닥부 (30) 의 중앙부에, 블로우성형 금형의 분할선을 따라 뻗은 능선부 (47) 를 구비하고 있다.
자립백 (10) 은, 충진구 (22A) 로 충진한 후에 충진구 형성부 (22) 의 정면부 (20A) 와 후면부 (22B) 를 시일바로 클램핑하고, 정면부 (20A) 와 후면부 (22B) 를 열실링이나 초음파실링 등으로 융접함으로써 실링된다. 따라서, 충진구 형성부 (22) 는 실링부 (22B) 를 형성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립백 (10) 은, 상부가장자리에 가까운 몸체부 (20) 의 일부에 방출구 (24A) 를 형성하기 위한 방출구형성부 (24) 를 블로우성형시에 형성할 수 있다. 방출구 (24A) 는 방출구형성부 (24) 를 절단하여 형성된다.
자립백 (10) 에 있어서, 백 본체 (11) 전체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접혀질 수 있다(도 2 내지 도 4).
(a) 대략 평면으로 접혀진 형태는, 몸체부 (20) 를 납작하게 하고 평면상의 바닥부 (30) 전체를 몸체부 (20) 의 하부에 대하여 구부려서 바닥부 (30) 를 몸체부 (20) 에 평행하게 겹침으로써 얻어진다. 양측면부 (20C) 의 능선부 (46) 가 몸체부 (20) 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경우(도 2(A)), 또는, 몸체부 (20) 의 내측으로 겹치어지는 경우가 있다(도 2(A)). 접혀진 상태에서의 전체 두께는 능선부 (46) 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 자립백 (10) 에서 더 얇다.
(b) 대략 평면으로 접혀진 형태는, 바닥부 (30) 의 중간부의 능선부 (47) 를 몸체부 (20) 의 내측으로 두부분으로 접고, 두부분으로 접혀진 바닥부 (30) 를 몸체부 (20) 의 하부의 내측으로 포개고, 몸체부 (20) 를 납작하게 펴서 바닥부 (30) 를 몸체부 (20) 에 평행하게 겹침으로써 얻어진다. 양측면부 (20C) 의 능선부 (46) 가 몸체부 (20) 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경우(도 3(A)), 또는 몸체부 (20) 의 내측으로 겹치어지는 경우가 있다(도 3(B)). 접혀진 상태에서의 전체 두께는 능선부 (46) 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 자립백 (10) 에서 더 얇다.
(c) 대략 평면으로 접혀진 형태는, 바닥부 (30) 의 중간부의 능선부 (47) 를 몸체부 (20) 의 외측으로 두부분으로 접고, 두부분으로 접혀진 바닥부 (30) 를 몸체부 (20) 의 하부의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몸체부 (20) 를 평평하게 펴서 바닥부 (30) 를 몸체부 (20) 에 평행하게 겹침으로써 얻어진다. 양측면부 (20C) 의 능선부 (46) 가 몸체부 (20) 의 외측으로 돌출 되는 경우(도 4(A)), 또는 몸체부 (20) 의 내측으로 겹치어지는 경우가 있다(도 4(B)). 접혀진 상태에서의 전체 두께는 능선부 (46) 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 자립백 (10) 에서 더 얇다.
자립백 (10) 은, (a) 내지 (c) 항목에서 언급된 것과 같은 백 본체 (11) 의 접힘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접힘 유지 수단 (50) 을 이하와 같이 구비하고 있다(도 5 내지 도 8). 또한, 접힘 유지 수단 (50) 은 자립백 (10) 을 이송하고 보관하는 단계에서 뿐만 아니라, 자립백 (10) 을 폐기하는 단계에서도 기능한다.
(1) 상기 (a) 내지 (c) 항목의 접혀진 형태에 따른 자립백 (10) (도 2 내지 도 4)에 있어서, 볼록부 (51A) 와 오목부 (51B) 가, 몸체부 (20) 의 정면부 (20A) 와 후면부 (20B) 의 상호 반대편 위치에서 내면상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몸체부 (20) 와 바닥부 (30) (도 5)가 평면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볼록부 (51A) 와 오목부 (51B) 는 자유롭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자립백 (10) 의 접혀진 상태는 볼록부 (51A) 를 오목부 (51B) 에 끼워서 유지되어질 수 있다. 접히기전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측면에서 볼록부 (51A) 와 오목부 (51B) 가 바닥부에 서로 가깝게 놓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 (51A) 와 오목부 (51B) 의 형상은 원형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비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2) 상기 (b) 항목의 접혀진 형태에 따른 자립백 (10) (도 3)에 있어서, 볼록부 (52A) 와 오목부 (52B) 가, 바닥부 (30) 의 외측면 사이에서, 능선부 (47) 를 가지고 있는 양측에서 상호 반대 위치에 각각 구비되어있으며, 몸체부 (20) 와 바닥부 (30) 가 평면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볼록부 (52A) 와 오목부 (52B) 는 자유롭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도 6). 자립백 (10) 의 접혀진 상태는 볼록부 (52A) 를 오목부 (52B) 에 끼워서 유지되어질 수 있다. 볼록부 (52A) 와 오목부 (52B) 의 형상은 원형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비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3) 상기 (b) 항목의 접혀진 형태에 따른 백 본체 (10) (도 3)에 있어서, 핫멜트 (53) 가 능선부 (47) 에 대하여 바닥부 (30) 의 한편의 외측표면에 점 부착되어있으며, 자립백 (10) 의 접혀진 상태는, 몸체부 (20) 의 내측에서 겹치도록 바닥부 (30) 를 두개로 접은 상태에서, 능선부 (47) 를 중간에 두고 바닥부 (30) 의 양측을 핫멜트 (53) 로 접착함으로써 유지된다(도 7).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최소량의 핫멜트 (53) 가 사용되어질 수 있으며, 핫멜트 (53) 는 자립백 (10) 을 사용할 때 용이하게 벗겨질 수 있다.
(4) 상기 (a) 내지 (c) 항목의 접혀진 형태에 따른 백 본체 (10) (도 2 내지 도 4)에 있어서, 자립백 (10) 의 접혀진 상태는, 몸체부 (20) 와 바닥부 (30) 가 평면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충진구 형성부 (22) 의 충진구 (22A) 를 한번 임시로 융접하여서 유지된다. 충진구 형성부 (22) 의 충진구 (22A) 는 충진단계에서 절단되어 개봉되어진다.
(5) 상기 (a) 내지 (c) 항목의 접혀진 형태에 따른 백 본체 (10) (도 2 내지 도 4)에 있어서, 자립백 (10) 의 접혀진 상태는, 몸체부 (20) 와 바닥부 (30) 가 평면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몸체부 (20) 와 바닥부 (30) 의 폭 방향의 양측부를 거의 직각으로 일으켜 세우고, 몸체부 (20) 와 바닥부 (30) 의 횡단면의 양측부에 L자형의 폴딩 해빗을 붙임으로써 유지되어진다(도 8).
자립백 (10) 은, 0.1중량%~50중량%의 계면활성제 또는 0.1중량%~50중량%의 용제 중 1종 이상을 성분으로서 첨가하여 제품으로 만들어진 자립백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립백 (10) 에 의한다면, 하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자립백 (10) 에 있어서, 3차원 형상 (입체 형상)으로 합성수지제의 가요성 백 본체 (11) 를 블로우성형 할 수 있고, 백 본체 (11) 의 충진 전의 단계에서 백 본체 (11) 의 전체를 접을 수가 있고, 바닥부 (30) 가 몸체부 (20) 에 대해 평행하게 겹쳐지는 대략 평면상으로 접혀진 상태로 자립백 (10) 을 납작하게 쌓아서 보관할 수 있고, 충진 할때 입체 형상으로 백 본체 (11) 를 복원시킬 수 있다. 백 본체 (11) 는 블로우성형에 의하여 단일체로서 얇은 가요성 형상으로 성형되어지며, 필름을 적층하여 성형되는 종래의 백에 비하여, 사용되는 수지의 양이 더 적고, 백을 납작하게 쌓아서 보관함으로써 보관 효율이 향상된다.
(2) 백 본체 (11) 는 입체적 형상으로 성형되어지므로, 백 본체 (11) 는 일정한 강성을 가지고 있고, 속이 빈 상태에서도 향상된 자립성을 갖는다. 따라서, 백 본체 (11) 가 충진 라인 등으로 이송되기 위해 이송장치에 놓여졌을 때에도 백 본체 (11) 가 안정적으로 자립하게 되며, 그 취급성이 향상 된다.
(3) 백 본체 (11)의 충진구 형성부 (22) 는 입체적 형상으로 성형되어지므로, 백 본체 (11) 가 접혀졌을 때 마주하는 표면들이 서로 바싹 들러붙지 않고, 충진구 (22A) 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
(4) 백 본체 (11) 는 능선부 (41)~(45) 를 구비하고 있다. 이 능선부 (41)~(45) 는 백 본체 (11) 를 접을 때 접이를 위한 안내선을 형성하고 이에 의하여 접이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능선부 (41)~(45) 는, 백 본체 (11) 의 충진시에 백 본체의 정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의 윤곽을 명확히 하여서, 백 본체 (11) 를 복원 할 수 있게 하며, 백 본체 (11)의 미적 외관성을 향상 할 수 있다.
(5) 자립백 (10) 은 백 본체 (11) 의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접힘 유지 수단 (50) 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백 본체 (11) 의 충진에 앞선 보관과 이송 단계에서 자립백 (10) 의 용이한 이송과 보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백 본체 (11) 를 접을 때, 일반적으로 성형될때의 입체적인 형상으로 백 본체 (11) 를 복원해야되는 것과는 반대로, 백 본체 (11) 를 원래의 접혀진 상태대로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백 본체 (11) 는 부피가 커지지 않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한 채로 납작하게 쌓여져서 장시간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으며, 자립백 (10) 의 이송 및 보관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자립백 (10) 을 폐기하는 단계에서, 폐기할 때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어서, 쓰레기의 부피가 최소화 되어질 수 있으며 폐기가 용이하다.
또, 자립백 (10) 은 하기와 같은 효과들을 가지고 있다.
(1) 백 본체 (11) 내에 내용물을 충진하기 위한 충진구 (22A) 는 백 본체 (11) 의 몸체부 (20) 의 상부가장자리 전체 폭에 걸쳐서, 또는 전체 폭의 대부분에 걸쳐서 만들 수가 있으며 충진이 더욱 용이하다.
(2) 백 본체 (11) 에 있는 방출구 (14) 는 백 본체 (11) 를 블로우성형할 때 몸체부 (12) 의 일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블로우성형된 몸체부 (12) 의 상부 가장자리 개구부를 실링함으로써 형성되어질 수 있다. 또, 방출구 (24A) 는 백 본체 (11) 의 블로우성형시 입체형상으로 성형되어지기 때문에 방출구 (24A) 가 폐색되기 어려울 수 있다.
(3) 백 본체 (11) 의 접혀진 형태는 몸체부 (20) 와 바닥부 (30) 를 포개접어서 대략 평면상으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
(4) 백 본체 (11) 는 블로우성형되기 때문에, 종래의 자립백에서 필요로 한 필름의 절단 작업과 필름의 실링 작업을 대폭 생략할 수 있어서 제조공정이 간단해지게 된다.
(5) 백 본체 (11) 는 몸체부 (20) 와 바닥부 (30) 를 입체형상으로 성형하여 얻어지며, 몸체부 (20) 가 충진시 부풀어 오를때 몸체부 (20) 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아서 백 본체 (11) 의 미적 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6) 시트를 적층하여 백 본체 (11) 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접착층을 사이에 끼워넣은 적층필름으로 백 본체 (11) 를 반드시 구성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백 본체 (11) 를 단층필름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층필름의 박리는 대개 계면활성제 또는 용제 같은 백 내용물이 적층 필름의 접착층으로 침투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그러므로 백 품질을 안정화하는것이 가능하다.
(7) 백 본체 (11) 의 몸체부 (20) 와 바닥부 (30) 는 일체로 성형되므로 그 구조는 낙하에 의한 충격에 강하며 깨지기 어렵다.
(8) 백 본체 (11) 에 형성된 방출구 (24A) 를 백 본체 (11) 의 바닥부 (30) 에 나란한 수평 방향에 대하여 0도에서 90도, 바람직하게는 30도에서 60도 범위내, 가장 바람직하게는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만들어서 방출이 용이하도록 방출구 (24A) 가 형성되어질 수 있다.
(9) 백 본체 (11) 에 형성된 방출구 (24A) 가 백 본체 (11) 의 외측으로 돌출하게끔 금형의 설계가 가능하기 때문에, 돌출되는 형상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으며 방출구의 돌출 길이 연장, 방출구 입구 폭의 확장등을 통해 방출의 용이성을 가진 백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립백은 자립백이 금형에 의해서 성형되는 한 블로우성형에 의해 만들어 지는 것에만 한정 되지 않는다.
자립백은 사출성형 등에 의해서도 성형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9 내지 도 11)
자립백 (10) 에서 방출구 (24A) 는, 방출구형성부 (24) (도 1)의 바깥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된 절단선 (L) 을 따라서 절단함으로써 개봉된다. 방출구 (24A) 로부터 내용물을 방출할 때 방출액의 맥동이 발생하기 어려운 자립백에 대한 설명이 주어질 것이다.
자립백 (10) 은, 도 9 (도 9 (C)는 도 9(A)의 C-C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백 본체 (11) 에 형성되어 있는 방출구 (24A) 로부터 내용물을 방출할 때에 백 본체 (11) 의 내부로 외기를 침입시키기 위한 공기유통로형성부 (25) 를, 백 본체 (11) 의 블로우성형시에 성형하여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유통로형성부 (25) 는 방출구형성부 (24) 에 대해 나란히 배치된 칸막이벽 모양으로 만들어져서 관상의 공기유통로 (25A) 를 형성한다. 방출구형성부 (24) 와 공기유통로형성부 (25) 는 절단선 (L) 을 따라서 동시에 잘리어지며 따라서, 방출구 (24A) 와 공기유통로 (25A) 는 백 외측에 대하여 나란히 개봉되어진다. 백 외측에 면하여 있는 개봉된 공기유통로 (25A) 의 한 말단이 외기취입구 (A) 가 되며, 백 내측에 면하여 있는 또 다른 말단은 외기방출구 (B) 가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기유통로 (25A) 의 양단부는 방출구형성부 (24) 와 공기유통로 형성부 (25) 의 절단전부터 백의 내측으로 열려있다. 다만 공기유통로 (25A) 를 개방함으로써 외기취입구 (A) 에 가깝게되는 단부는 방출구형성부 (24) 와 공기유통로 형성부 (25) 의 절단전에 막혀 있어도 된다.
자립백 (10) 은 직접블로우성형으로 제조 할 수 있다.
직접블로우성형은 패리슨(Parison)을 압출하고, 이 패리슨을 금형에 끼우고 패리슨 내부로 공기를 불어넣어 원주방향으로 연신을 하여 백 본체 (11) 를 형성한다. 직접블로우성형은 단층 또는 적층된 수지층으로된 백 본체 (11) 를 형성한다. 직접블로우성형으로 형성되는 백 본체 (11) 의 구성수지재료로는 단층일 경우에는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L-LDPE) 이나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적층일 경우에는 바깥층에 고밀도폴리에틸렌 (HDPE), 내측층에는 LDPE나 L-LDPE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산소차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에틸렌-비닐알콜공중합체(EVOH) 또는 나일론을 중간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자립백 (10) 은, 백 본체 (11) 의 접힌 형태를 몸체부 (20) 에 바닥부 (30) 를 하기의 방법 (a) 또는 (b)와 같이 접어겹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a) 몸체부 (20) 를 납작하게 하고 납작한 형상의 바닥부 (30) 를 몸체부 (20) 의 하부에 대하여 구부린 형태.
(b) 바닥부 (30) 가 돔형으로 부풀어지게 형성되고, 바닥부 (30) 의 중심부를 몸체부 (20) 의 안쪽으로 블로우성형 금형의 분할선을 따라 포갠 후 몸체부 (20) 를 납작하게 한 형태.
자립백 (10) 은, 계면활성제 0.1중량%~ 50중량% 와 용제 0.1중량%~ 50중량% 중 적어도 한종류 이상을 넣어서 제품으로 하는 자립백으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립백 (10) 에 의한다면, 하기의 작용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백 본체 (11) 는 입체적 형상으로 성형되어 일정한 강성을 가진다. 따라서, 내용물을 방출할 때, 손에 의한 백 본체 (11) 의 지지가 용이하고 방출성도 좋다.
(2) 내용물을 방출할 때, 백 본체 (11) 의 내부에서는 공기치환을 필요로하는 부압상태의 공극부 (12) 가 발생하고, 방출구 (24A) 의 상방에 나란히 배열되어 있어서 더 낮은 액압의 작용을 받게되는 공기유통로 (25A) 의 외기취입구로부터 외기가 침입한다(도 9 (B) 의 일점쇄선). 그리고, 외기는 공기유통로 (25A) 의 외기방출구 (B) 로부터 백내로 방출되어, 기포가 되어 내용물을 통과하고 이 기포가 위로 올라가면서 공극부 (12) 로 침입한다. 공기유통로 (25A) 는 방출구 (24A) 와는 구분된 작은 유로이므로, 외기의 기포는 크기가 작고 공극부 (12) 에서의 파열도 적다. 그러므로, 방출구 (24A) 로부터 방출될 때, 그 내용물은 맥동하지 않는다.
(3) 방출구형성부 (24) 와 공기유통로형성부 (25) 는 백 본체 (11) 에 나란히 배치되므로, 두 형성부 (24) 와 (25) 를 동시에 잘라낼 수 있고, 방출구 (24A) 와 공기유통로 (25A) 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4) 내용물의 잔량이 줄어들어도, 수용부 (21) 사이가 밀착되므로 내용물을 방출하는 유로를 막지 않고도 잔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도 10 의 자립백 (10) 은 제2 실시형태의 변형된 예에 해당하며, 백 본체 (11) 에 있어서의 방출구형성부 (24) 의 절단선 (L) 에서부터, 백 본체 (11) 내부 가장 깊은 곳에 공기유통로형성부 (26) 를 만들어서 공기유통로 (26A) 를 구성할 수 있게 한것이다.
도 11 의 자립백은, 제2 실시형태의 또 다른 변형된 형태에 해당하며, U자형의 연장된 공기유통로형성부 (27) 가, 백 본체 (11) 의 상부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방출구형성부 (24) 에 대해 평행인 위치로부터 방출구형성부 (24) 의 반대편 (충진구형성부 (22) 에 가까운)까지 이르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에따라 공기유통로 (27A) 가 형성된다. 공기유통로 (27A) 로 들어온 외기는 내용물을 관통하지 않고 백 본체 (11) 의 공극부 (12) 로 바로 들어간다.
(제3 실시형태) (도 12 와 13)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자립백 (10) 은, 백 본체 (11) 의 상부에 있는 방출구형성부 (24) 곁에 위치한 들어올림구멍(hanging hole) 형성부 (13) (들어올림구멍 13A)가 백 본체 (11) 를 블로우성형할 때 형성되고 공기유통로형성부 (28) 가 백 본체 (11) 의 상부 가장자리부 (11A) 와 들어올림구멍형성부 (13) 사이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자립백 (10) 과 다르며, 이에 따라 공기유통로 (28A) 가 도 12와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형성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자립백 (10) 에 의한다면 하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백의 본체 (11) 는 3차원 형상으로 성형되며 일정한 강성을 지닌다. 따라서, 내용물을 방출할 때 백 본체 (11) 를 지지하기가 용이하고 방출성이 좋다.
(2) 내용물을 방출할 때, 백 본체 (11) 의 내부에서는 공기치환을 필요로하는 부압상태의 공극부 (12) 가 발생하고, 백 본체 (11) 의 상부가장자리부 가까이에 구비되어 방출구 (24A) 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어 더 낮은 액압의 작용에 노출되는 공기유통로 (28A) 로부터 외기가 침입한다(도 13 (B) 의 일점쇄선). 그리고 이 외기는 기포를 형성하여 그 내용물을 통과하고, 이 기포가 위로 올라가면서 공극부 (12) 로 침입한다. 공기유통로 (28A) 는 백 본체 (11) 의 상부가장자리부와 들어올림구멍형성부 (13) 사이에 형성된 작은 유로이므로, 공극부 (12) 에서의 파열은 적고, 내용물이 방출구 (24A) 로부터 방출될 때 맥동하지 않는다.
(3) 백 본체 (11) 의 들어올림구멍 (13A) 은 내용물을 방출할 때 그곳에 손가락을 끼워넣음으로써 백 본체 (11) 를 지지하는 손잡이로서 사용되어질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도 14)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자립백 (10) 은, 인쇄 등으로 만든 절단예정선 (14) 를 가진 공기유통로 (29) 가, 백 본체 (11) 로부터의 내용물의 방출방향을 따라서, 방출구형성부 (24) 의 반대편에 제공된다는 점에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자립백 (10) 과 다르며, 이에 따라 도 1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유통로 (29A) 가 형성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자립백 (10) 에 의한다면 하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백 본체 (11) 는 3차원 형상으로 성형되며 일정한 강성을 지닌다. 따라서, 내용물을 방출할 때, 백 본체 (11) 를 지지하기가 용이하고 방출성이 좋다.
(2) 내용물을 방출할 때, 백 본체 (11) 의 내부에서는 공기치환을 필요로하는 부압상태의 공극부 (12) 가 발생하고, 백 본체 (11) 의 방출구 (24A) 의 반대편에 제공된 절단예정선 (14) 을 절단함으로써 형성되는 공기유통로 (29A) 로부터 공극부 (12) 로 외기의 칩입이 발생한다(도 14(B)의 일점쇄선). 외기가, 내용물을 통과하지 않고, 공극부 (12) 로 직접 들어가므로, 공극부 (12) 에서 공극의 파열이 발생하지 않으며, 내용물이 방출구 (24A) 로 부터 방출될 때 맥동하지 않게된다.
(3) 공기유통로형성부 (29) 는 백 본체 (11) 에다 절단예정선 (14) 을 부여함으로써 얻어지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도 15)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자립백 (10) 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자립백 (10) 과 같은 방법으로, 백 본체 (11) 를 블로우성형함으로써 백 본체 (11) 에 형성되는 방출구 (24A) 로부터 그 내용물을 방출할시에, 외기를 백 본체 (11) 의 내부로 들어오게 하기 위한 공기유통로형성부 (25) 가 구비되어있다. 공기유통로형성부 (25) 는, 백 본체 (11) 의 상부가장자리부를 따라서, 방출구형성부 (24) 에 대해 평행인 위치로부터 방출구형성부 (24) 의 반대편 (충진구형성부 (22) 에 가까운)까지 이르도록 U자형으로 연장된다. 공기유통로형성부 (25) 는, 방출구형성부 (24) 에 대해 나란히 배치된 칸막이 벽 모양으로 형성되어져서, 관상의 공기유통로 (25A) 를 형성한다. 방출구형성부 (24) 와 공기유통로형성부 (25) 는 절단선 (L) 을 따라서 동시에 잘리어지며, 방출구 (24A) 와 공기유통로 (25A) 는 백의 바깥쪽에 대해 나란하게 개봉된다. 개봉된 공기유통로 (25A) 의 백 바깥쪽을 향한 한단부가 외기취입구 (A) 를 형성하고 백 안쪽으로 향한 다른 한 단부는 외기방출구 (B) 를 형성한다. 공기유통로 (25A) 의 외기방출구 (B) 는, 백 본체 (11) 가 바로 서 있을 때, 내용물 수용부 (21) 의 액면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가 있으며, 이 경우에, 외기방출구 (B) 로부터 방출된 외기는, 내용물을 관통하지 않고, 백 본체 (11) 의 공극부 (12) 로 바로 들어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출구형성부 (24) 와 공기유통로형성부 (25) 를 자르기 전에 공기유통로 (25A) 의 한단부(외기취입구 (A) 를 형성하는 단부)는 막혀있다. 또한, 방출구형성부 (24) 와 공기유통로형성부 (25) 를 자르기 전에 공기유통로 (25A) 의 양단부가 백의 안쪽으로 개방되어 있어도 괜찮다.
자립백 (10) 은, 공기유통로형성부 (25) 에 의해 형성된 공기유통로 (25A) 의 중간부와 백 본체 (11) 내부에 있는 내용물 수용부 (21) 를 연통하는 구멍모양의 연결구 (C) 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구 (C) 는 백 본체 (11) 를 바로 세운 상태에서, 공기유통로 (25A) 의 중간부의 최저점에 놓이게 되며, 개봉전에 백 본체 (11) 의 액면 위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립백 (10) 에 있어서, 백 본체 (11) 가 장기간 옆으로 넘어져 있는 상태로 보관되어질 경우, 백 본체 (11) 의 내용물은, 공기유통로 (25A) 의 외기방출구 (B) 등으로부터 공기유통로 (25A) 안으로 침입한다. 후에 백 본체 (11) 를 바로 세운다면, 공기유통로 (25A) 로 침입한 내용물은 연결구 (C) 로부터 빠져나와 백 본체 (11) 의 액면상으로 방출된다. 따라서, 만일 백 본체 (11) 를 옆으로 넘어져있는 상태로부터 바로 세웠을 때, 연결구 (C) 가 없어서, 공기유통로 (25A) 로 침입한 내용물이 좁은 통로안에서 공기와 접촉하게 되어 고형화 되고, 더 나아가 공기유통로 (25A) 를 막아서 공기치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위험을 피할 수 있다.
이러한 자립백 (10) 에 의한다면 하기의 작용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백의 본체 (11) 는 3차원 형상으로 성형되며 일정한 강성을 지닌다. 따라서, 내용물을 방출할 때, 백 본체 (11) 를 지지하기가 용이하고 그 방출성이 좋다.
(2) 자립백 (10) 을 장기간 보관할 때, 백 본체 (11) 가 옆으로 넘어뜨려진 상태였기 때문에 공기유통로 (25A) 안으로 침입한 내용물은 후에 백 본체 (11) 를 바로 세움으로써, 연결구 (C) 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공기유통로 (25A) 내부에서 내용물의 고형화는 일어나지 않으며, 공기유통로 (25A) 의 공기유통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백 본체 (11) 에 있는 방출구 (24A) 와 공기유통로 (25A) 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방출할 때에 백 본체 (11) 내부가 부압상태에 놓이기 때문에, 공기유통로 (25A) 에 있는 외기취입구 (A) 로부터 칩입한 외기는, 외기방출구 (B) 로 부터 나온 후 내용물을 통과하여서 또는 외기방출구 (B) 로부터 직접, 공극부(12)로 칩입한다. 이때, 외기취입구 (A) 로부터 공기유통로 (25A) 안으로 칩입한 외기는, 공극부 (12) 의 부압 때문에 외기방출구 (B) 로부터 공극부 (12) 로 흡입되며, 공기유통로 (25A) 의 중간부에 있는 연결구 (C) 로부터 액으로 새어나가지 않는다. 공기유통로 (25A) 는 방출구 (24A) 와는 구분된 작은 유로이므로, 공기유통로 (25A) 로 부터 공극부 (12) 로 방출되는 상기 외기의 기포는 크기가 작고, 공극부 (12) 에서의 파열도 적어서, 내용물이 방출구 (24A) 로부터 방출될 때 맥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3) 방출구형성부 (24) 와 공기유통로형성부 (25) 가 백 본체 (11) 에서 나란하게 배치되므로, 두 형성부 (24) 와 (25) 를 동시에 절단할 수 있어서, 방출구 (24A) 와 공기유통로 (25A) 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도 16)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자립백 (10) 은, 공기유통로형성부 (25) 에 의해 형성된 공기유통로 (25A) 의 연결구 (C) 를 통하여 서로 연통하는 두 공기유통로 (41) 과 (42) 의 서로 마주보는 개구 (41A) 와 (42A) 간에 있어서, 백 본체 (11) 내부와 연통하는 외기방출구 (B) 를 가진 쪽인 제2 공기유통로 (42) 의 개구 (42A) 의 구멍직경이, 백 본체 (11) 의 외부와 연통하는 외기취입구 (A) 를 가진 쪽인 제1 공기유통로 (41) 의 개구 (41A) 의 구멍직경보다 더 크게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자립백 (10) 과 다르다.
자립백 (10) 으로부터 그 내용물을 방출할 때, 공기유통로 (25) 를 구성하는 제1 공기유통로 (41) 의 외기취입구 (A) 로부터 제2 공기유통로 (42) 의 외기방출구 (B) 쪽으로 향한 외기의 침입방향의 중간부 (연결구 (C))에 있어서, 제1 공기유통로 (41) 의 개구 (41A) 에 대한 제2 공기유통로 (42) 의 개구 (42A) 는 소켓형상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공기유통로 (25A) (제1 공기유통로 41) 의 외기취입구 (A) 로부터 칩입한 외기는, 공기유통로 (25A) 의 중간부 (연결구 (C))에서 구멍직경이 작은 개구 (41A) 로부터 구멍직경이 큰 소켓형상의 개구 (42A)에 붙잡히고, 연결구 (C) 로부터 액으로 새어나가지 않으며, 공기유통로 (25A) (제2 공기유통로 42) 의 외기방출구 (B) 를 지나서 제4 실시형태와 같은 경로로 백 본체 (11) 의 내부 공극부 (12)로 확실하게 들어간다.
(제7 실시형태) (도 17)
제7 실시형태에 따른 자립백 (10) 은, 그 자립백 (10) 을 바로 세운 상태에 있어서, 공기유통로 (27A) 가 백 본체 (11) 의 상부 가장자리부에 있는 방출구형성부 (24) 에 대하여 평행인 위치에서부터 내용물 수용부 (21) 쪽으로 하향경사를 이루는 형태로 공기유통로형성부 (27) 가 구비되어있다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자립백 (10) (도 11) 과 다르다. 이 구조에 따르면, 자립백 (10) 이 옆으로 넘어져서 내용물이 공기유통로 (27A) 안으로 침입할지라도, 내용물을 배수키 위해 자립백 (10) 을 세움으로써, 내용물이 공기유통로 (27A) 내로부터 수용부 (21) 쪽으로 흘러내려갈 수 있으며, 따라서 공기유통로 (27A) 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기치환성이 저하되어지지 않는다. 또한, 공기유통로 (27A) 의 전체길이가 공기유통로 (27A) 가 U자형으로 연장된 구조보다 더 짧아지게 되어, 공기치환성이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립백에 있어서, 백 본체의 전부를 접을 수 있게 만드는 한편, 속이 빈 상태에 있어서의 자립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방출구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립백에 있어서, 자립백의 내용물을 방출할 때 손으로 그 자립백을 지지하기가 용이하며, 방출되는 액체의 맥동도 본질적으로 방지되어진다. 또한, 방출후에 남아있는 내용물의 잔량을 줄일 수 있다.
Claims (9)
- 성형되어지는 몸체부와 바닥부를 포함하는 자립백에 있어서, 충진전의 단계에서 백 본체 전체가 접혀진 상태로 만들어지고, 백 본체의 접혀진 상태는 바닥부 전체를 몸체부에 대하여 평행하게 접음으로써 형성되고, 본체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백.
- 성형되어지는 몸체부와 바닥부를 포함하는 자립백에 있어서, 충진전의 단계에서 백 본체 전체가 접혀진 상태로 만들어지고, 백 본체의 접혀진 상태는 바닥부를 몸체부에 대해 평행하게 접기위해서 몸체부의 내측으로 두 부분으로 접음으로써 형성되고, 본체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백.
- 성형되어지는 몸체부와 바닥부를 포함하는 자립백에 있어서, 충진전의 단계에서 백 본체 전체가 접혀진 상태로 만들어지고, 백 본체의 접혀진 상태는 바닥부를 몸체부에 대해 평행하게 접기위해서 몸체부의 외측으로 두 부분으로 접음으로써형성되고, 본체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백.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 본체의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백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출구가 백 본체에 형성되있고, 백 본체에 형성된 방출구로부터 내용물을 방출할 때 외기를 백 본체의 내부로 칩입시키기 위한 공기유통로형성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백.
- 제 5 항에 있어서, 방출구형성부와 공기유통로형성부가 백 본체에 나란히 배치되어있고, 방출구와 공기유통로가 나란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백.
- 제 5 항에 있어서, 걸어올림구멍 형성부가 백 본체에 구비되어있고, 공기유통로형성부가 백 본체의 상부가장자리부와 걸어올림구멍형성부 사이에 구비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백.
-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유통로형성부는 공기유통로와, 공기유통로의 중간부와 백 본체 내부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백.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립백의 백 본체가 계면활성제와 용제중 1종 이상으로 채워져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백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2310260A JP2004142789A (ja) | 2002-10-24 | 2002-10-24 | 自立袋 |
JPJP-P-2002-00310260 | 2002-10-24 | ||
JP2002338515 | 2002-11-21 | ||
JPJP-P-2002-00338515 | 2002-11-21 | ||
PCT/JP2003/013569 WO2004037673A1 (en) | 2002-10-24 | 2003-10-23 | Self-supporting ba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72114A true KR20050072114A (ko) | 2005-07-08 |
KR100887205B1 KR100887205B1 (ko) | 2009-03-06 |
Family
ID=32179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07056A KR100887205B1 (ko) | 2002-10-24 | 2003-10-23 | 자립백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7972255B2 (ko) |
EP (2) | EP1556291B1 (ko) |
KR (1) | KR100887205B1 (ko) |
CN (1) | CN100475662C (ko) |
AU (1) | AU2003274746A1 (ko) |
TW (1) | TW200500271A (ko) |
WO (1) | WO2004037673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2211B1 (ko) * | 2007-10-12 | 2008-08-13 | 이경호 | 플라스틱 백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플라스틱 백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067464A4 (en) * | 2006-09-25 | 2013-12-25 | Nipro Corp | INFUSION CONTAINER OF BLAS-SHAPED PLASTIC |
US8261953B2 (en) * | 2007-12-10 | 2012-09-11 | Mcsavaney Craig | Beverage container and closure |
JP5022988B2 (ja) * | 2008-05-21 | 2012-09-12 | 花王株式会社 | 袋容器 |
SE533377C2 (sv) * | 2008-12-19 | 2010-09-07 | Ecolean Res & Dev As | Förpackning samt anordning och metod för aseptisk fyllning av förpackningen |
JP2011006122A (ja) * | 2009-06-29 | 2011-01-13 | Daiwa Gravure Co Ltd | 液体収納袋 |
WO2011037717A1 (en) * | 2009-09-25 | 2011-03-3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Reclosable package |
CN105235279B (zh) * | 2015-11-04 | 2018-07-10 | 江苏利特尔绿色包装股份有限公司 | 纸张自立袋的制作设备 |
US10682019B2 (en) * | 2017-07-07 | 2020-06-16 | Lota Lite Llc | Compact portable ablution vessel |
JP7517787B2 (ja) * | 2018-02-26 | 2024-07-17 | 東洋製罐株式会社 | フィルムの立体成形方法、フィルム成形体の製造方法、およびフィルム成形体 |
US11684443B2 (en) * | 2020-12-30 | 2023-06-27 | Avent, Inc. | System and method for packaging and preparing a radiofrequency ablation kit |
CN113602666A (zh) * | 2021-08-13 | 2021-11-05 | 上海华悦包装制品有限公司 | 耐用型站立袋 |
Family Cites Families (4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4556A (en) * | 1897-06-15 | William a | ||
NL299442A (ko) | 1962-10-19 | |||
US3727803A (en) * | 1969-04-08 | 1973-04-17 | J Campbell | Containers |
BE850434A (fr) * | 1977-01-17 | 1977-07-18 | Ucb Sa | Sachet souple a poignee pour l'emballage de liquides |
FR2377942A1 (fr) * | 1977-01-20 | 1978-08-18 | Erb Rene | Recipient souple pliable |
FR2499943A1 (fr) | 1981-02-17 | 1982-08-20 | Seprosy | Bidon en matiere synthetique equipe d'un regulateur de debit |
JPS59193107A (ja) | 1983-04-18 | 1984-11-01 | Okawara Mfg Co Ltd | ポリアクリルアミド系凝集剤の乾燥法 |
US4598834A (en) * | 1985-02-06 | 1986-07-08 | U.S. Clinical Products, Inc. | Flexible sterile closure system for a container with a side injection port |
JPH0377751A (ja) | 1989-05-19 | 1991-04-03 | Kawasaki Steel Corp | 非晶質合金薄帯の製造用ノズル装置 |
DE59000647D1 (de) | 1989-07-20 | 1993-02-04 | Duering Ag | Faltbare kunststoff-flasche. |
JPH02243184A (ja) | 1989-11-18 | 1990-09-27 | Takara Co Ltd | 人形用服飾品の製造方法 |
US5206037A (en) * | 1990-08-31 | 1993-04-27 | Robbins Edward S Iii | Apparatus for collapsing a container |
JP2873074B2 (ja) | 1990-10-26 | 1999-03-24 | キユーピー株式会社 | ブローバッグの製造方法 |
CH680429A5 (ko) * | 1991-04-29 | 1992-08-31 | Supermatic Kunststoff Ag | |
JPH0546717A (ja) | 1991-08-09 | 1993-02-26 | Toshiba Corp | 画像表示装置 |
US5174458A (en) * | 1992-05-12 | 1992-12-29 | Colgate-Palmolive Company | Collapsible container |
JPH066215A (ja) | 1992-06-16 | 1994-01-14 | Mitsubishi Electric Corp | 周波数シンセサイザ |
JPH06127562A (ja) | 1992-10-16 | 1994-05-10 | Saraya Kk | 液体収納用袋 |
US5529396A (en) * | 1992-11-17 | 1996-06-25 | Union Camp Corporation | Environmentally friendly pinch bottom bag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
JP3098675B2 (ja) | 1993-07-06 | 2000-10-16 |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 線状リブ付き袋の製造方法 |
US5340000A (en) * | 1993-07-13 | 1994-08-23 | Ring Can Corporation | Vented plastic bottle |
JPH0769357A (ja) | 1993-09-02 | 1995-03-14 | Dainippon Printing Co Ltd | 液体用軟包装袋 |
KR100354924B1 (ko) | 1997-05-09 | 2002-10-05 |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 가요성 저장 백 및 접을 수 있고 적층가능하며 자동복원가능한 저장용기 |
JPH1143155A (ja) * | 1997-07-23 | 1999-02-16 | Hosokawa Yoko Co Ltd | 液体容器 |
JPH11130031A (ja) | 1997-10-28 | 1999-05-18 | Yoshino Kogyosho Co Ltd | 圧潰廃棄容易な合成樹脂製簡易使い捨て容器 |
JP3844575B2 (ja) | 1997-10-29 | 2006-11-15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薄肉合成樹脂製容器 |
JP3762074B2 (ja) | 1997-10-29 | 2006-03-29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圧潰廃棄容易な合成樹脂製簡易使い捨て容器 |
JPH11130082A (ja) | 1997-10-29 | 1999-05-18 | Yoshino Kogyosho Co Ltd | 圧潰廃棄容易な合成樹脂製簡易使い捨て容器 |
JPH11130074A (ja) | 1997-10-29 | 1999-05-18 | Yoshino Kogyosho Co Ltd | 詰替え用液体入り薄肉容器 |
JPH11130073A (ja) | 1997-10-29 | 1999-05-18 | Yoshino Kogyosho Co Ltd | 詰替え用液体収納容器 |
JPH11130034A (ja) | 1997-10-31 | 1999-05-18 | Yoshino Kogyosho Co Ltd | 合成樹脂製ラベル補強薄肉容器 |
JPH11227801A (ja) | 1998-02-19 | 1999-08-24 | Toppan Printing Co Ltd | 液体用包装容器と液体用包装容器の開封方法 |
JP4134388B2 (ja) | 1998-07-15 | 2008-08-20 | 東洋製罐株式会社 | 注出機能付きパウチ |
AT411168B8 (de) * | 1999-03-24 | 2003-11-25 | Pack Pro Kunststoff Und Metall | Ausgiessvorrichtung für einen kanisterartigen behälter |
JP2000334814A (ja) | 1999-05-31 | 2000-12-05 | Sekisui Seikei Ltd | 脈動防止口部を有するブロー成形容器及びその成形方法 |
US6206243B1 (en) * | 1999-06-09 | 2001-03-27 | Alterra Holdings Corporation | Collapsible spray bottle |
JP3848803B2 (ja) | 1999-08-31 | 2006-11-22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容易に折り畳みが可能な中空容器 |
JP2001106217A (ja) | 1999-10-05 | 2001-04-17 | Toppan Printing Co Ltd | 粘稠液用ブロー成形ボトル |
JP2001114284A (ja) | 1999-10-15 | 2001-04-24 | Yoshino Kogyosho Co Ltd | 超薄肉容器 |
JP4117638B2 (ja) | 1999-10-19 | 2008-07-16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チューブ容器一次成形品およびチューブ容器 |
JP3864274B2 (ja) | 2000-04-28 | 2006-12-27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合成樹脂製ブロー成形壜体 |
JP3893414B2 (ja) | 2000-04-28 | 2007-03-14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合成樹脂製ブロー成形壜体 |
US6488222B1 (en) * | 2000-08-18 | 2002-12-03 | Larry G. West | Bag dispensing system and C-fold bag used therewith |
JP4765156B2 (ja) | 2000-10-02 | 2011-09-07 | 凸版印刷株式会社 | 滑止め機能を有する注ぎ口付包装袋 |
JP2002211595A (ja) | 2001-01-19 | 2002-07-31 | Dainippon Printing Co Ltd | 係止部付き袋 |
US6485177B2 (en) | 2001-03-07 | 2002-11-26 | Gary M. Bell | Flexible stand-up pouch constructions for dispensing liquids |
JP2002284199A (ja) | 2001-03-28 | 2002-10-03 | Toppan Printing Co Ltd | ノズル付き液体収納容器 |
JP2003054579A (ja) * | 2001-08-16 | 2003-02-26 | Showa Packs Kk | フィルム内袋入り紙袋 |
JP4177011B2 (ja) | 2002-03-29 | 2008-11-05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詰替え液体収納容器 |
-
2003
- 2003-09-30 TW TW092127054A patent/TW200500271A/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10-23 EP EP03758832A patent/EP1556291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10-23 KR KR1020057007056A patent/KR10088720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10-23 AU AU2003274746A patent/AU200327474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10-23 CN CNB2003801017122A patent/CN100475662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10-23 EP EP07110160.4A patent/EP1837290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10-23 WO PCT/JP2003/013569 patent/WO200403767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3-10-23 US US10/532,109 patent/US797225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2211B1 (ko) * | 2007-10-12 | 2008-08-13 | 이경호 | 플라스틱 백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플라스틱 백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60140515A1 (en) | 2006-06-29 |
AU2003274746A1 (en) | 2004-05-13 |
EP1837290B1 (en) | 2013-05-08 |
US7972255B2 (en) | 2011-07-05 |
WO2004037673A1 (en) | 2004-05-06 |
EP1556291A1 (en) | 2005-07-27 |
CN100475662C (zh) | 2009-04-08 |
EP1556291B1 (en) | 2012-07-11 |
TWI295261B (ko) | 2008-04-01 |
EP1837290A1 (en) | 2007-09-26 |
CN1705591A (zh) | 2005-12-07 |
KR100887205B1 (ko) | 2009-03-06 |
TW200500271A (en) | 2005-0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87205B1 (ko) | 자립백 | |
KR101234465B1 (ko) | 자립포대와 그 제조방법 | |
KR100635345B1 (ko) | 액체용 용기 | |
JP2009532279A (ja) | 液体を制御された仕方で吐出するための破断および漏れに強いパッケージ | |
JP5002908B2 (ja) | 包装体 | |
JP4336179B2 (ja) | 自立袋 | |
JP4074001B2 (ja) | 自立性パウチ | |
JP2019059196A (ja) | インク収容パック | |
JP2000006991A (ja) | 詰め替え用パウチ | |
JP7535576B2 (ja) | シート材容器の製造方法 | |
JP4108847B2 (ja) | 詰め替え用自立袋 | |
JP2000085801A (ja) | 詰め替え用パウチ | |
KR200427808Y1 (ko) | 리필용 파우치 | |
JP2005001748A (ja) | 自立袋 | |
JP4932139B2 (ja) | 包装袋 | |
JP4162438B2 (ja) | 自立袋 | |
JP2001253474A (ja) | バッグインボックス内袋 | |
JP4169574B2 (ja) | 自立袋 | |
JP4458211B2 (ja) | 容器 | |
JP4133192B2 (ja) | 自立袋 | |
JP4212911B2 (ja) | 自立袋 | |
JP4255004B2 (ja) | 自立袋 | |
JP4304397B2 (ja) | 容器及び充填方法 | |
JP2004142789A (ja) | 自立袋 | |
JP2002029550A (ja) | 注出口組合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