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808Y1 - 리필용 파우치 - Google Patents

리필용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808Y1
KR200427808Y1 KR2020060019181U KR20060019181U KR200427808Y1 KR 200427808 Y1 KR200427808 Y1 KR 200427808Y1 KR 2020060019181 U KR2020060019181 U KR 2020060019181U KR 20060019181 U KR20060019181 U KR 20060019181U KR 200427808 Y1 KR200427808 Y1 KR 2004278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film
spout
shape
re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1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천근
정창명
김문식
박상준
Original Assignee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91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8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8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8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1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9/00Sacks or like containers made of fabrics; Flexible containers of open-work, e.g. net-lik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06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with rigid en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4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 B65D75/56Handles or other suspension means
    • B65D75/563Integral handles or suspens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우치 제조 및 내용물의 충전이 용이하고, 사용 시에 주출구부(注出口部)를 개봉하는 것만으로 보형성(保形性)이 양호한 개구부가 자동적으로 형성되고, 점도가 높은 내용물이라도 안전하고 용이하게 옮길 수 있는 사용 적성이 뛰어난 리필용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리필용 파우치(100)를 스탠딩 파우치 형식으로 형성하고, 상부의 코너부에 협폭의 주출구부(6)를 마련하고, 그 측부에 용기의 입구부에 고정하기 위한 절결부(7a, 7b)를 마련함과 동시에, 파우치(100)의 적어도 일방의 벽면 필름(5)에, 주출구부(6)로부터 파우치의 폭 방향의 중심선을 넘을 때까지의 상부에서는 경사진 하방으로 향하고, 그 앞의 중간부에서 곡선 형상으로 하방으로 만곡되고, 하부에서는 수직이 되는 형상의 팽창부(S)를, 주출구부에서는 그 폭과 높이가 크고, 경사진 하방으로 향하여 서서히 폭과 높이가 작아지고, 중간부부터 아래에서는 폭과 높이가 일정하게 되도록 마련하여 구성한다.
리필용 파우치, 팽창부, 주출구부, 절결부, 열봉합부, 개구성, 보형성

Description

리필용 파우치{REFILLABLE POUCH}
도 1은 본 고안의 리필용 파우치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 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의 벽면 필름에 마련한 팽창부의 폭 방향의 단면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며, (a)는 일방(전면)의 벽면 필름에만 팽창부를 마련했을 경우의 A-A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고, (b)는 그 때의 B-B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고, (c)는 전후 양면의 벽면 필름에 대칭형으로 팽창부를 마련했을 경우의 A-A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고, (d)는 그 때의 B-B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의 벽면 필름에 마련한 팽창부의 폭 방향의 단면 형상의 도 2와는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며, (a)는 일방(전면)의 벽면 필름에만 팽창부를 마련했을 경우의 A-A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고, (b)는 그 때의 B-B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고, (c)는 전후 양면의 벽면 필름에 대칭형으로 팽창부를 마련했을 경우의 A-A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고, (d)는 그 때의 B-B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리필용 파우치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리필용 파우치의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의 벽면 필름에 마련한 팽창부의 폭 방향의 단면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며, (a)는 일방(전면)의 벽면 필름에만 팽창부를 마련했을 경우의 A-A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고, (b)는 그 때의 B-B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고, (c)는 전후 양면의 벽면 필름에 대칭형으로 팽창부를 마련했을 경우의 A-A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고, (d)는 그 때의 B-B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리필용 파우치의 제4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파우치의 정면도, (b)는 A-A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리필용 파우치의 제5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파우치의 정면도, (b)는 A-A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리필용 파우치의 제6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파우치의 정면도, (b)는 A-A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리필용 파우치의 제7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파우치의 정면도, (b)는 A-A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리필용 파우치의 제8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파우치의 정면도, (b)는 A-A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리필용 파우치의 제9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파우치의 정면도, (b)는 A-A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 *
1: 저부 2: 저부 열봉합부
3: 동체부 열봉합부 4: 상부 열봉합부
5: 벽면 필름 6: 주출구부
7a, 7b: 절결부 8: 손잡이부
9: 노치 10: 절취선
11: 하프컷 선 S: 팽창부
S1: 주출구부의 팽창부 S2: 중간부의 팽창부
S3: 하부의 팽창부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리필용 파우치
본 고안은, 액체, 점체, 분체 등의 유동성을 가지는 내용물을 밀봉 포장하고, 사용 시에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겨 사용하는 리필용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봉 시에 내용물을 병 등의 다른 용기에 안전하고 용이하게 옮길 수 있도록, 파우치의 일부에 협폭의 주출구부를 마련함과 동시에, 그 개구성 및 보형성 등을 개선한 리필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액상 등의 유동성을 가지는 내용물을 밀봉 포장하는 리필용 파우치로서는, 자립성이 있고 입체 용기로서의 특징도 일부 갖추고 있는 스탠딩 파우치 가 주로 채용되고, 또한, 개봉 시에 내용물을 외측으로 흘리지 않으면서 다른 용기에 안전하게 옮길 수 있도록, 개구부를 파우치 상부 전체가 아니라 코너부 등의 일부분을 절취하여 형성하거나, 파우치 상부의 일부에 폭을 좁게 한 주출구부를 마련하는 방법, 플라스틱 성형물 등에 의한 별도의 주출구를 파우치 상부의 일부에 열 접착하여 부착하는 방법 등이 채용되었다.
그러나, 플라스틱 성형물에 의한 별도의 주출구를 파우치 상부의 일부에 부착하는 방법은, 제조 공정이 증가하고 주출구 자체에도 비용이 들고, 또한, 주출구를 부착한 빈 파우치는, 두께가 증가하기 때문에, 보관이나 운반의 비용도 비교적 고가가 되고, 더욱이, 내용물의 충전 시에, 예를 들면 충전기의 공급부로의 빈 파우치의 적재(stacking) 수도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작업자가 빈번히 빈 파우치의 공급을 실시할 필요가 생기는 등, 전체적으로 비용이 상승하고 공정과 작업이 번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파우치 상부의 일부에 폭을 좁게 한 주출구부를 마련하는 방법에서도,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길 때의 조작성과 안전성은 어느 정도 개선될 수 있지만, 내용물의 주출 시에, 주출구의 입구가 개방되기 어렵고 주출 중에 흐름이 안정되지 않으며, 특히 잔량이 적게 되었을 경우에, 파우치의 주출구가 폐색되기 쉽고, 파우치를 압박하여 내용물을 밀어내면, 내용물이 강하게 배출되어 외측으로 흘리는 경우가 있고, 내용물을 옮기는 작업의 용이성과 안전성의 점에서는 더욱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성형물 등에 의한 별도의 주출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통상의 파우치와 동일한 공정으로 생산성 양호하게 제조할 수 있고, 내용물의 충전도 용이하고, 또한 사용 시에는 파우치의 일부에 마련된 주출구부의 선단부를 절취하는 것만으로 자연스럽게 주출구부의 입구가 개방되고, 또한, 그 보형성도 양호하고, 구경이 작은 병 등에 대해서도 안전하고 용이하게 최후까지 옮길 수 있는 사용 적성이 뛰어난 리필용 파우치를 저비용으로 생산성 양호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이하의 본 고안에 의해 해결할 수 있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고안은, 양측의 열봉합(heat seal)부에 의해 형성되는 협폭의 주출구부를 갖추고, 내부에 유동성을 가지는 내용물이 밀봉 포장되는 리필용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부 근방의 적어도 일방의 벽면 필름에, 평탄한 면의 조합으로서 폭 방향의 단면 형상이 직선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팽창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파우치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평탄한 면이란, 높이 방향으로 곡선부가 없는 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파우치 본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삼방 봉합 형식, 사방 봉합 형식 등의 평(平) 파우치일 수도 있고, 스탠딩 파우치 형식의 파우치일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리필용 파우치는, 그 일부에 양측의 열봉합부에 의해 형성되는 협폭의 주출구부를 갖추고, 또한 그 주출구부 근방의 적어도 일방의 벽면 필름에는, 평탄한 면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팽 창부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파우치에 충전된 내용물을 병 등의 다른 용기에 옮겨 담을 때, 주출구부의 선단부를 절취하여 개봉하는 것만으로, 팽창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보형성이 양호한 주출구가 개방된다. 이 때, 팽창부는, 평탄한 면의 조합으로 형성되어 있고, 면과 면과의 경계에는 각각 선상(線狀)의 절곡부가 형성되고, 이 절곡부가 각각 리브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압축 등의 힘에 대하여 저항성과 복원성이 있고 보형성에 있어서도 우수하다. 따라서, 주출 도중에 주출구가 폐색되지 않으며 최후까지 안전하고 용이하게 내용물을 옮길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고안은, 상부의 코너부에, 양측의 열봉합부에 의해 형성되는 협폭의 주출구부를 갖추고, 내부에 유동성을 가지는 내용물이 밀봉 포장되는 스탠딩 파우치 형식의 리필용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부의 적어도 일방의 측부에 절결부가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파우치의 적어도 일방의 벽면 필름에, 상기 주출구부로부터 파우치의 폭 방향의 중심선을 넘을 때까지의 상부에서는 경사진 하방으로 향하고, 그 앞의 중간부에서 곡선형으로 하방으로 만곡되고, 하부에서는 수직에 내려가는 형상의 팽창부가 마련되고, 상기 팽창부는 주출구부에서 그 폭과 높이가 크고, 경사진 하방으로 향하여 서서히 폭과 높이가 작아지고, 곡선상의 중간부부터 아래에서는 폭과 높이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파우치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파우치는 스탠딩 파우치 형식이기 때문에, 자립성을 갖추고 취급하기 용이하고 외관도 우수하다. 그리고, 파우치 상부의 코너부에는, 협폭의 주출구부가 마련되고, 적어도 그 일방의 측부에 절결부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파우치에 충전된 내용물을 병 등의 다른 용기에 옮길 때, 주출구부의 선단부를 절취하여 개봉하고, 주출구부를 예를 들면 병의 입구부에 삽입하거나, 주출구부의 측부의 절결부를 병의 입구부에 접촉시키면서 내용물을 주출할 수 있으므로, 주출 중에 주출구부가 병의 입구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안전하게 내용물을 옮길 수 있다.
또한, 파우치의 적어도 일방의 벽면 필름에는, 그 주출구부로부터 파우치의 중심선을 넘을 때까지의 상부에서는 경사진 하방으로 향하고, 거기에서 앞의 중간부에서 곡선형으로 하방으로 만곡되고, 하부에서는 수직으로 내려가는 형상의 팽창부가 마련되고, 상기 팽창부는 주출구부에서 그 폭과 높이가 크고, 경사진 하방으로 향하여 서서히 폭과 높이가 작아지고, 중간부부터 아래에서는 폭과 높이가 일정하게 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주출구부의 선단부를 절취하여 개봉하는 것만으로, 팽창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보형성이 양호한 주출구가 개방되고, 또한 개봉 후에는 중간부의 팽창부가 내용물의 힘으로 외측으로 접혀지고, 파우치의 중심부 근방부터 주출구부에 걸쳐서, 파우치 내부가 외측으로 넓어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점도가 높은 내용물이라도 주출구부로 원활하게 유동시킬 수 있고, 주출의 도중에 주출구가 폐색되지 않으며 최후까지 안전하고 용이하게 내용물을 옮길 수 있다. 또한, 팽창부의 하부는, 그 폭과 높이가 비교적 작고 일정하게 되는 형상으로 수직으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그 리브 효과에 의해 파우치의 형태 안정성과 자립성이 향상한다.
이와 같이, 파우치의 벽면 필름에 마련한 팽창부는, 그 상부 즉 주출구부의 부근에서는, 주로 주출구부의 자연 개구성과 그 보형성을 향상시키고, 중간부에 있어서는 내용물을 주출구부로 원활하게 유동시키는 유도부의 작용을 하고, 하부는 파우치의 형태 안정성 및 자립성을 향상시키는 작용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팽창부는, 파우치의 일방의 벽면 필름에만 마련할 수도 있지만, 예를 들면, 양면의 벽면 필름에 대칭형 등으로 마련함으로써 그 작용 효과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청구항 3에 기재된 고안은, 상부의 코너부에 경사진 상방으로 향하는 주출구부를 갖추고, 내부에 유동성을 가지는 내용물이 밀봉 포장되는 스탠딩 파우치 형식의 리필용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부의 적어도 일방의 측부에 절결부가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파우치의 벽면 필름에, 상기 주출구부로부터 상기 주출구부의 반대 측의 파우치 저부 코너부 근방의 위치에 걸쳐서, 상기 주출구부에서는 폭이 넓고 경사진 하방으로 향하여 서서히 가늘어지고, 하부에서는 가압 괘선 형태로 된 곡선상의 팽창부가, 파우치 양면의 벽면 필름의 동일 위치에서 겹쳐지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파우치로 이루어진다.
이 구성은, 상기 청구항 2에 기재된 고안의 리필용 파우치의 구성 가운데, 주출구부의 방향을 경사진 상방으로 향하게 하고, 또한, 파우치의 벽면 필름에 마련한 팽창부의 형상을, 주출구부로부터 주출구부의 반대 측의 파우치 저부 코너부 가까이의 위치에 걸쳐서, 상기 주출구부에서는 폭이 넓고 경사진 하방으로 향해 서서히 가늘어지고, 하부에서는 가압 괘선의 형태로 된 곡선상의 팽창부로 하고, 또한, 이 팽창부를 파우치 양면의 벽면 필름의 동일 위치에 겹쳐지도록 마련하는 구 성으로 변경 또는 한정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파우치는 스탠딩 파우치 형식이기 때문에, 자립성을 갖추고 취급하기 용이하고 외관도 우수하며, 또한, 파우치 상부의 코너부에는 경사진 상방으로 향하는 주출구부가 마련되고, 그 적어도 일방의 측부에 절결부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주출구부는 경사진 상방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파우치에 충전된 내용물을 병 등의 다른 용기에 옮길 때, 주출구부의 선단부를 절취하여 개봉하고, 주출구부를 예를 들면 병의 입구부에 삽입하거나, 주출구부의 측부의 절결부를 병의 입구부에 접촉시키면서 내용물을 주출할 수 있으므로, 주출 중에 주출구부가 병의 입구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파우치의 중심부로부터 주출구부 출구로의 내용물의 흐름이 직선 모양이 되어 한층 부드럽게 주출되고, 안전하고 용이하게 내용물을 옮길 수 있다.
또한, 파우치의 벽면 필름에는, 주출구부로부터 상기 주출구부의 반대 측의 파우치 저부 코너부 가까이의 위치에 걸쳐서, 상기 주출구부에서는 폭이 넓고 경사진 하방으로 향하여 서서히 가늘어지고, 하부에서는 가압 괘선 형상으로 된 곡선상의 팽창부가 파우치 양면의 벽면 필름의 동일 위치에 겹쳐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주출구부의 선단부를 절취하여 개봉하는 것만으로, 양면의 팽창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한층 넓게 개방된 주출구부가 보형성이 양호한 상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개봉 후에는, 중간부의 팽창부가 내용물의 힘으로 외측으로 접혀지고, 파우치의 중심부 근방부터 주출구부에 걸쳐서 파우치 내부를 외측으로 넓힐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있기 때문에, 점도가 높은 내용물이라도 주출구부로 부드럽게 유 동시킬 수 있고, 주출의 도중에 주출구가 폐색되지 않으며 최후까지 안전하고 용이하게 내용물을 옮길 수 있다. 또한, 팽창부의 하부는, 대략 수직인 가압 괘선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리브 효과에 의해 파우치의 형태 안정성 및 자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고안은, 상기 팽창부가, 평탄한 면의 조합으로서 폭 방향의 단면 형상이 직선의 조합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리필용 파우치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고안의 작용 효과뿐만 아니라, 팽창부를 형성하는 면과 면과의 경계에는 선상의 절곡부가 형성되고, 이 부분이 리브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압축에 대한 저항력과 복원력이 증가하고, 팽창부를 압축하는 방향의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도 팽창부가 압축되기 어렵고, 또한, 만일 일단 압축되어도 힘이 제거되면 복원되기 용이하고 한층 확실하게 팽창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고안은, 상기 팽창부가, 적어도 주출구부에 있어서, 높이가 다른 단을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필용 파우치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안의 작용 효과와 더불어, 높이가 다른 단의 부분이 리브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이 부분의 팽창부의 압축에 대한 저항력과 복원력이 증가하여, 주출구의 자연 개구성과 함께 그 보형성이 한층 향상한다. 또한, 주출구부의 개봉 시에, 이 부분의 팽창부가 일단 압축되었을 경우에도, 힘이 제거되면 복원되어 주출구부의 자연 개구성이 유지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고안은, 상기 팽창부가, 열 엠보스법에 의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필용 파우치이다. 팽창부는, 열 엠보스법, 진공 성형법, 압공(壓空)·진공 성형법 등에 의해 마련할 수 있지만, 특히, 열 엠보스법은, 세밀한 패턴의 재현성 및 그 생산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안의 작용 효과와 더불어, 희망하는 형상의 팽창부를 한층 재현성 양호하게 또한 용이하게 얻을 수 있으므로, 팽창부에 의한 상기 작용과 효과도 확실히 얻을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고안은, 상기 주출구부에 개봉 용이화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필용 파우치이다. 상기 개봉 용이화 수단은, 통상의 파우치에서도 흔히 사용되는 노치 이외에도, 레이저 광 조사 등에 의한 하프컷(half cut) 선, 또는, 파우치의 적층 필름 중에 1축 연신 필름을 적층하는 방법(이 경우, 1축 연신 필름은, 그 연신 방향이 주출구부의 개봉 방향과 일치하도록 이용함) 등이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거나, 예를 들면, 노치와 1축 연신 필름의 적층 또는 하프컷 선 등과 같이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하프컷 선을 마련하는 경우에, 직선 모양의 하프컷 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재봉선 형상 등의 단속적인 하프컷 선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하 프컷 선은 1개일 수도 있지만, 절취 방향이 어긋났을 경우를 가정하여 중심의 하프컷 선의 양측으로 각 1개 또는 각 2개 등 복수 개의 하프컷 선을 평행하게 마련할 수도 있다.
특히, 본 고안의 리필용 파우치는, 주출구부의 개봉 위치에 팽창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절취 방향성이 불안정하게 되기 쉽고, 전술한 바와 같이 개봉 용이화 수단을 조합해 이용하는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치는, 통상적으로 일(一)자형이나 V자형의 노치가 이용되고 있지만,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절취 방향으로 예각 부분을 가지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에 기재된 고안의 작용 효과와 더불어, 주출구부를 개봉할 때, 가위 등의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손만으로 소망하는 위치에서 용이하게 주출구부의 선단부를 절취하여 주출구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고안은, 상기 주출구부에 개봉 용이화 수단과 함께, 손잡이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7에 기재된 리필용 파우치이다. 상기 손잡이부는, 통상적으로 주출구부의 개봉 용이화 수단의 상부에서 주출구부의 측부에, 열봉합부를 연장하는 형식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주출구부를 개봉할 때에, 손잡이부를 손가락으로 잡아 주출구부의 선단부를 개봉 용이화 수단에 의해 절취하여 개봉할 수 있으므로, 개봉의 조작을 한층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고안의 실시 형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리필용 파우치의 제조에 이용하는 필름과, 파우치의 제조 방법 등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리필용 파우치의 제조에 이용하는 필름으로는, 주로 플라스틱을 주체로 하는 적층 필름이 이용되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각종 액체용 파우치에 이용되고 있는 공지의 적층 필름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 포장하는 내용물의 종류나 충전 후의 가열 처리의 유무 등의 사용 조건에 따라 적합한 것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적층 필름의 구성의 대표적인 예로서 이하와 같은 구성을 들 수 있다.
(1) ON 필름/접착제/L·LDPE 필름(실란트층)
(2) ON 필름/접착제/1축 연신 HDPE 필름/접착제/L·LDPE 필름(실란트층)
(3) ON 필름/접착제/1축 연신 PP필름/접착제/L·LDPE 필름(실란트층)
(4) ON 필름/접착제/1축 연신 PP필름/접착제/알루미늄 박/접착제/L·LDPE 필름(실란트층)
(5) ON 필름(실리카 증착층)/접착제/1축 연신 HDPE 필름/접착제/L·LDPE 필름(실란트층)
(6) ON 필름/앵커 코트(anchor coat)층/공압출 코트층(HDPE층/L·LDPE층)(실란트층은 L·LDPE층)
(7) ON 필름/앵커 코트층/공압출 코트층(HDPE층/LDPE층)/접착제/L·LDPE 필름(실란트층)
(8) PET 필름/접착제/알루미늄 박/접착제/ON 필름/접착제/L·LDPE 필름(실란트층)
(9) PET 필름/접착제/알루미늄 박/접착제/ON 필름/접착제/CPP 필름(실란트층)
(10) PET 필름/접착제/ON 필름/접착제/알루미늄 박/접착제/L·LDPE 필름(실란트층)
(11) PET 필름/접착제/ON 필름/접착제/알루미늄 박/접착제/CPP 필름(실란트층)
(12) PET 필름/접착제/EVOH 필름/접착제/ON 필름/접착제/CPP 필름(실란트층)
등을 예로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조합의 적층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적층 필름 구성에 있어서, ON 필름은 2축 연신 나일론 필름, L·LDPE는 직쇄(直鎖)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HDPE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LDPE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PP 필름은 폴리프로필렌 필름, PET 필름은 2축 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EVOH 필름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필름, CPP 필름은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가리킨다. 또한, 앵커 코트는, 압출 코팅으로 수지를 적층할 때,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재 필름 측에 미리 코팅하는 것으로 프라이머 코트의 일종이다.
상기 적층 필름의 구성에 있어서, ON 필름과 PET 필름은 기재 필름으로서 파우치에 기계적 강도나 인쇄 적성을 부여하고, 1축 연신 HDPE 필름과 1축 연신 PP 필름은, 파우치의 주출구부를 개봉할 때의 절취 방향과 연신 방향이 일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용되며, 절취 방향성을 한층 안정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알루미늄 박, 실리카 증착층, EVOH 필름 등은 가스 배리어성 부여를 위해서 적층된다. 또한, 실란트층으로서는, L·LDPE 필름과 CPP 필름의 2 종류의 예를 들었지만, L·LDPE 필름은, 열봉합의 안정성이나 내용물에 대한 저항성, 예를 들면 계면 활성제에 대한 응력 균열 저항성 등이 우수하고, CPP 필름은 내열성과 저취성(抵臭性)이 우수하고, 이러한 성능을 필요로 하는 내용물의 포장용으로 적합하다.
실란트층으로는 전술한 것 이외에도, 충전되는 내용물에 따라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아이오노머(ionomer),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메탈로센(metallocene)계 촉매 등 싱글 사이트(single site)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한 것은, 분자량 분포의 폭이 좁고 공중합비도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저온 열봉합성이나, 열간 봉합성이 우수하고, 스탠딩 파우치와 같은 열봉합부에 필름의 중첩의 차이에 의한 단차가 있는 파우치의 실란트층에는, 봉합 누락에 의한 핀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적합하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에 올레핀계 일래스토머(elastomer)를 혼합한 것을 이용함으로써, 실란트층의 열 유동성이 개선되고 상기 단차에 의한 핀홀의 발생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적층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본 고안의 리필용 파 우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리필용 파우치는, 기본적으로는 본체 부분의 형상에 따라서, 즉, 본체 부분이 스탠딩 파우치 형식의 경우는, 종래의 스탠딩 파우치용의 파우치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단, 통상의 형상의 파우치와는 아래와 같은 점에서 차이가 있다.
(가) 파우치의 일부에 협폭의 주출구부를 마련하고 있는 점.
(나) 상기 주출구부의 측부에, 필요에 따라서, 용기의 입구부에 고정하기 위한 절결부를 마련하고 있는 점.
(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주출구부에 개봉 용이화 수단이나 손잡이부를 마련하고 있는 점.
(라) 파우치의 벽면 필름에, 상기 주출구부 근방 또는 주출구부로부터 경사진 하방의 파우치 저부 근방의 위치에 걸쳐서 여러 형상의 팽창부를 마련하고 있는 점.
따라서, 상기 (가)~(라)에 기재된 추가 구성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가공 장치, 즉, 주출구부, 절결부 등을 형성하기 위한 트리밍 장치, 열봉합 장치 등의 추가 또는 부분 변경, 그리고, 파우치 벽면 필름에 팽창부를 형성하기 위한 엠보스 장치와 같은 장치 등을, 스탠딩 파우치용 파우치 제조기 등의 각각에 대응하는 파우치 제조기에 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면 필름에 마련되는 팽창부의 팽창 높이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주출구부에 있어서는, 최고부에서 1mm ~ 7mm 정도가 바람직하고, 2mm ~ 5mm 정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최고부의 높이가 1mm 미만의 경우는 자연 개방성에 대한 효과가 감소하고, 또한 7mm를 초과하는 높이는, 그 필요성이 없고 가공 자체가 어려워짐과 동시에 주출구부가 커지게 되어, 빈 파우치의 취급성, 충전 봉합기에 있어서의 적재 특성 등이 저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팽창부의 주출구부 이외의 부분의 높이는, 예를 들면 주출구부로부터 경사진 하방으로 향하여 폭이 서서히 감소하는 중간부에서 경사지게 하여, 1.8mm ~ 0.5mm 정도까지 낮게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고안은 이러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부여한 도면부호에 있어서는, 도면이 다르더라도 동일 명칭의 부분에는 동일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리필용 파우치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의 (a), (b), (c), (d)는 각각 도 1 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의 벽면 필름에 마련한 팽창부의 폭 방향의 단면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일방(전면)의 벽면 필름에만 팽창부를 마련했을 경우의 A-A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고, (b)는 이 때의 B-B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2의 (c)는, 전후 양면의 벽면 필름에, 대칭형으로 팽창부를 마련했을 경우의 A-A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고, (d)는 이 때의 B-B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의 (a), (b), (c), (d)는 각각 도 1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의 벽면 필름에 마련한 팽창부의 폭 방향의 단면 형상의 도 2와는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일방(전면)의 벽면 필름에만 팽창부를 마련했을 경우의 A-A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고, (b)는 그 때의 B-B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의 (c)는 전후 양면의 벽면 필름에, 대칭형으로 팽창부를 마련했을 경우의 A-A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로, (d)는 그 때의 B-B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우선, 도 1에 있어서, 리필용 파우치(100)는, 그 본체 부분이 스탠딩 파우치 형식으로 제조되어 있고, 저부(1)가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필름을 내측으로 접어서 이루어진 거세트(gusset) 형식으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접어 넣어진 필름의 양측 하단 근방에, 반원 형상 등의 절결부가 마련되고, 선저형(船底形)의 저부 열봉합부(2)에서 열봉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파우치(100)의 동체부는 전후 양면의 벽면 필름(5)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이 열봉합되어 동체부 열봉합부(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파우치(100)의 상부의 코너부에는, 협폭의 주출구부(6)가 양측의 열봉합부에 의해 형성됨과 동시에, 그 양측이 절결부(7a, 7b)로 절결되어 머리 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출구부(6)의 선단부 근방에는, 절결부(7b)의 트리밍 시에, 손잡이부(8)와 개봉 용이화 수단으로서 V자형의 노치(9)가 동시에 마련되고, 또한, 노치(9)에 연결되는 절취선의 위치에는, 절취를 용이하게 하고 그 방향성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레이저 광 조사 등에 의한 하프컷 선(11)(도면에서는 3개)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8)와 노치(9)는 절결부(7a) 측에 마련될 수도 있고 주출구부(6)의 양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파우치(100)의 벽면 필름(5)에는, 팽창부(S)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출구부(6)로부터 파우치의 폭 방향의 중심선을 넘을 때까지의 상부에서는 경사진 하방으로 향하고, 그로부터 앞의 중간부에서 곡선형으로 하방으로 만곡되고, 하부에서는 수직에 내려가는 형상이다. 상기 팽창부(S1, S2, S3)는 주출구부(6)에서 폭과 높이가 크고, 경사진 하방으로 향하여 서서히 폭과 높이가 작아지고, 곡선상의 중간부부터 아래의 하부에서는 폭과 높이가 일정하도록 마련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팽창부(S)는, 전후 양면의 벽면 필름(5) 중에서, 일방의 벽면 필름(5)에만 마련될 수도 있지만, 양면의 벽면 필름(5)에 대칭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팽창부(S)는, 압축에 대한 저항성 또는 복원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서는, 팽창부(S)의 폭 방향의 단면 형상을 예를 들면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련할 수 있다. 즉, 도 2의 (a)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100)의 벽면 필름(5)의 일방, 예를 들면 전면의 필름에만 팽창부(S)를 마련했을 경우의 A-A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며, 팽창부(S)는, 상부에 폭이 2mm 정도의 수평면을 구비하고, 그 양측에 하향 경사면을 구비하고, 또한 그 아래에 대략 수직인 기립부를 구비하는 형상이다.
이러한 형상을 채용한 경우, 팽창부(S)는 평탄한 면의 조합(폭 방향의 단면은 직선의 조합)으로 형성되고, 그 면과 면의 경계에는 각각 선상의 절곡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절곡부가 각각 리브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압축에 대한 저항성과 복원성이 향상한다. 또한, 도 2의 (b)는, 마찬가지로 B-B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고, 상기 (a)의 경우보다, 그 폭(w)과 높이(h)가 감소되어 있지만, 표면의 폭은 상기 (a)의 경우와 같이 2mm 정도가 바람직하고, 전체의 폭(기립부의 폭)(w)은 3mm ~ 4mm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팽창부(S)의 높이(h)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도 2의(a)(A-A선 부분)에서는 2mm ~ 5mm, (b)(B-B선 부분)에서는 1.8mm ~ 1.0mm가 적절하다. 또한, 이러한 팽창부(S)를 전후 양면의 벽면 필름(5)에 대칭형으로 마련했을 경우는, 그 A-A선의 단면이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이 되고, B-B선의 단면이 도 2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이 된다.
또한, 상기 팽창부(S)의 폭 방향의 단면 형상을 도 3 의(a), (b), (c),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련할 수도 있다. 이 팽창부(S)의 형상은, 대략 수직인 기립부를, 양측의 하향 경사면 아래뿐만이 아니라, 상부의 수평면의 양측에도 마련한 것이고, 이러한 형상을 채용함으로써, 팽창부(S)를 형성하는 면의 수가 늘어나고, 동시에 면과 면의 경계에 형성되는 선상의 절곡부의 수도 증가하기 때문에, 이들에 의한 리브 효과도 증가하고, 압축에 대한 저항성과 복원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파우치(100)의 상부 열봉합부(4)는, 내용물의 충전 전에는 미봉합의 개구부로 하고, 여기로부터 내용물을 충전한 후에 열봉합하여 밀봉한다. 이러한 점은, 이하의 도 4, 도 5, 및 도 7 ~ 도 12의 각 도면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에 대해도 동일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액상의 내용물을 충전하고, 상부 열봉합부(4)를 탈가스 봉합하여 밀봉한 리필용 파우치(100)는, 자립성이 있고 취급하기 쉽고 외관이 뛰어나다. 그리고, 충전된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길 때에, 손잡이부(8)를 손가락으로 잡고서 주출구부(6)의 선단부를 하프컷 선(11)의 방향으로 절취함으로써, 노치(9)를 시점으로 하여 하프컷 선(11)을 따라 용이하게 절취하여 주출구부(6)를 개봉할 수 있다.
개봉된 파우치(100)는, 그 벽면 필름(5)에, 주출구부(6)부터 파우치(100)의 대략 중심부를 지나 주출구부(6)의 반대 측의 파우치 하부에 걸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팽창부(S)(S1, S2, S3)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파우치(100)를 평면 위에 놓은 것만으로, 주출구부(6)가 팽창부(S1)에 의해 보형성이 양호한 상태로 자동적으로 개방된다. 또한, 팽창부(S1)부터 중간부의 팽창부(S2)와 하부의 팽창부(S3)는, 내용물의 용적과 중량으로 외측으로 접히고, 파우치(100)가 외측으로 넓어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내용물의 주출구부에의 유동 및 주출구로부터의 주출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하부의 팽창부(S3)는 수직으로 마련되어 있고, 리브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파우치(100)의 자립성과 형태 안정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파우치(100)의 동체부를 손으로 지지하여, 개봉된 주출구부(6)를 예를 들면 병의 입구부에 삽입하고, 절결부(7a, 7b)를 병의 입구부에 접촉시키면서 내용물이 옮길 수 있기 때문에, 병의 입구부로의 주출구부의 고정성이 양호하고, 점도가 높은 내용물이라도 주출구가 도중에 폐색되지 않으면서 최후까지 안전하고 용이하게 옮길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리필용 파우치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110)는, 상기 도 1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100) 의 구성에 있어서, 주출구부(6)의 양측에 마련한 절결부(7a, 7b)를, 일측 즉 도면에 대해 주출구부(6)의 좌측에만 절결부(7a)를 마련하여 구성한 것이고, 그 외의 점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100)와 같은 구성이다. 단, 절결부(7a)의 하프컷 선(11)에 연결되는 위치에는 노치(9)를 추가하여 마련하고, 또한 노치(9)의 상부, 즉, 주출구부의 선단 측에 손잡이부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한 경우, 파우치에 충전된 내용물을 병 등의 다른 용기에 옮길 때에, 주출구부(6)의 선단부를 병의 입구부에 삽입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지만, 절결부(7a)를 병의 입구부에 접촉시키면서 옮길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도 1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100)의 경우와 대략 마찬가지로 안전하게 내용물을 옮길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리필용 파우치의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의 벽면 필름에 마련한 팽창부의 폭 방향의 단면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일방(전면)의 벽면 필름에만 팽창부를 마련했을 경우의 A-A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고, (b)는 그 때의 B-B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5의 (c)는 전후 양면의 벽면 필름에 대칭형으로 팽창부를 마련했을 경우의 A-A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고, (d)는 그 때의 B-B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120)는, 상기 도 1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100)의 구성에 있어서, 파우치의 벽면 필름(5)에 마련한 팽창부(S)의 높이 방향의 형상만이 변경되어 있다. 특히, 주출구부의 S1의 부분부터 폭과 높이가 서서히 작아지는 S2의 부분에 걸쳐서, 예를 들면 도 6의 (a)의 A-A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폭 방향의 단면은 높이가 다른 단을 구비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6의 (a)에 나타낸 팽창부의 형상은, 최상부에 수평인 표면을 구비하고, 그 양측으로 제1 하향 경사면이 연결되고, 각각의 경사면 아래에 수직인 기립부를 갖추고, 또한 그 하단으로부터 양측으로 제2 하향 경사면을 구비하고, 그 아래에 수직인 기립부가 연결된다. 다시 말하자면, 높이가 다른 단을 구비하는 형상이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도 1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100)에서 설명한 작용 효과와 더불어, 팽창부(S) 중에서 특히 폭과 높이가 큰 주출구부(S1)부터 파우치 중심부(S2)에 이르는 부분이 높이 방향으로 여러 면으로 형성되고, 면과 면과의 경계의 선상의 절곡부가 여러 열(列)의 형태로 증가하기 때문에, 그 리브 효과도 향상하고, 이 부분의 팽창부의 강도, 압축에 대한 저항력 및 복원력이 증가하고, 주출구부의 자연 개구성과 그 보형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파우치 중심부로부터 주출구부로의 내용물의 유동로도 한층 확실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파우치의 형태 안정성도 향상하고, 또한 내용물을 옮기는 조작도 한층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12는 각각 본 고안의 리필용 파우치의 제4 내지 제9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각 도면에 대하여 (a)는 파우치의 정면도, (b)는 A-A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에 있어서, (a)는 리필용 파우치(130)의 정면도이며, 파우치(130)는 그 본체 부분이 스탠딩 파우치 형식으로 제조됨과 동시에, 파우치(130)의 상부의 코너부에는, 경사진 상방으로 향하는 주출구부(6)가, 약간 돌출하는 형상으로 양측의 절결부(7a, 7b)의 트리밍에 의해 마련되고, 그 외주가, 좌측 동체부 열봉합부(3)의 상부와 상부 열봉합부(4)의 좌측부에서 열봉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출구부(6)의 선단부 근방의 우측부에는, 절결부(7b)의 트리밍 시에, 손잡이부(8)와 개봉 용이화 수단으로서 V자형의 노치(9)가 동시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8)와 노치(9)는 주출구부(6)의 양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노치(9)에 연결된 절취선(10)의 위치에는 레이저 광 조사 등에 의한 하프컷 선을 마련함으로써, 절취 방향성을 한층 안정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파우치(130)의 양면의 벽면 필름(5)에는, 주출구부(6)부터 상기 주출구부(6)의 반대 측의 파우치 저부 코너부 가까이의 위치에 걸쳐서, 주출구부(6)에서는 폭이 넓고(S1) 경사진 하방으로 향해 서서히 가늘어지고(S2) 하부(S3)에서는 가압 괘선의 형태로 된 곡선상의 팽창부(S)가, 양면의 벽면 필름(5)의 동일 위치에서 겹쳐지도록 대칭형으로 마련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의 (b)는, 상기 도 7 의(a)에 나타낸 파우치(130)의 A-A선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이며, 개구부가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장타원 형상을 이루고, 주출구부(6)의 팽창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액상의 내용물을 충전하고, 상부 열봉합부(4)를 탈가스 봉합하여 밀봉한 리필용 파우치(130)는, 자립성이 있고 취급하기 쉽고 외관이 우수함과 동시에,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옮길 때에, 손잡이부(8)를 손 가락으로 잡고서 주출구부(6)의 선단부를 절취선(10)의 방향으로 절취함으로써, 노치(9)를 시점으로 절취선(10)을 따라 용이하게 절취하여 주출구부(6)를 개봉할 수 있다.
개봉된 파우치(130)는, 그 양면의 벽면 필름(5)에, 주출구부(6)부터 파우치(130)의 대략 중심부를 지나, 주출구부(6)의 반대 측의 파우치 저부 코너부 가까이의 위치에 걸쳐서, 곡선상의 팽창부(S)가 동일 위치에 겹쳐지도록 대칭형으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파우치(130)를 평면 위에 두는 것만으로, 주출구부(6)가 팽창부(S1)에 의해 보형성이 양호한 상태로 자동적으로 개방된다. 또한, 팽창부(S1)에 연결된 중간부의 팽창부(S2)가 내용물의 용적과 중량으로 외측에 넓어지므로, 내용물의 주출구부로의 유동 및 주출구로부터의 주출이 부드럽게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하부의 팽창부(S3)는 대략 수직인 가압 괘선의 형상이고 리브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파우치(130)의 자립성과 형태 안정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파우치(130)에 충전되어 있는 내용물을 병 등의 다른 용기에 옮길 때에는, 파우치(130)의 동체부를 손으로 지지하고, 개봉된 주출구부를 예를 들면 병의 입구부에 삽입하고, 절결부(7a, 7b)를 병의 입구부에 접촉시키면서 내용물을 옮겨 담을 수 있기 때문에, 병의 입구부로의 주출구부의 고정성이 양호하고, 점도가 높은 내용물이라도 주출구가 도중에 폐색되지 않으며 최후까지 안전하고 용이하게 옮길 수 있다.
도 8의 (a)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140)는, 상기 도 7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130)의 구성에 있어서, 양면의 벽면 필름(5)에 마련한 곡선상의 팽창부(S) 가 운데, 주출구부의 팽창부(S1)의 부분의 팽창 형상만을, 높이 방향의 상부가 변형 삼각추 형상이 되도록 변경하여 성형함으로써 파우치(140)를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전술한 변경된 구성 이외의 부분에서는, 상기 도 7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130)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가지고, 주출구부의 팽창부(S1)의 부분에 대해서는, 삼각추 형상의 능선부에 의해 보형성과 복원력이 향상하고, 예를 들면, 주출구부를 개봉할 때에, 개구부의 팽창부가 일단 평탄한 상태로 눌러졌을 경우에도, 힘이 제거되면 자연스럽게 원 상태로 돌아가며, 개구부는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마름모 형상으로 보형성이 양호하게 개방된다. 또한, 이에 따라서 중간부의 팽창부(S2)에 의하여 파우치 내부도 안정적으로 넓어지게 된다.
도 9의 (a)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150)는, 상기 도 7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130)의 구성에 있어서, 양면의 벽면 필름(5)에 마련한 곡선상의 팽창부(S) 중에서 주출구부의 팽창부(S1)의 부분의 팽창 형상만을 변경한 것으로, 팽창부의 상부에 중심선을 따라서 가압 괘선 형상부가 형성되도록 성형하여 파우치(150)를 구성한 것이다. 이 경우, 주출구부의 개구부의 단면은, 도 9의 (b)의 A-A선 확대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장타원형의 상하의 중심부에 상기 괘선 형상부에 의한 돌기가 형성된 형상이 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전술한 변경된 구성 이외의 부분에서는, 상기 도 7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130)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가지고, 또한, 주출구부의 팽창부(S1)의 부분에 대해서는, 팽창부의 상부에 중심선을 따라 마련한 가압 괘선 형상부가, 상기 도 8에 있어서의 능선과 같이, 일종의 리브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팽창부(S1)의 보형성과 복원력이 증가하고, 개구부의 자연 개구성이 향상한다. 또한, 주출구부(6)의 개봉 후에, 주출구부를 외측으로 접음으로써 개구부의 보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0의 (a)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160)는, 상기 도 7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130)와 비교하여 특별히 큰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양면의 벽면 필름(5)에 마련한 팽창부(S) 중에서 주출구부의 팽창부(S1)의 형상만을 변경한 것으로, 주출구의 선단부터 기립부까지 주출구의 대략 전면에 팽창부가 형성되도록 면적을 넓혀 파우치(160)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 주출구부(6)의 A-A선 단면의 형상은,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장타원형이고 도 7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130)와 유사하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전술한 변경된 구성 이외의 부분에서는, 상기 도 7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130)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가지고, 주출구부의 팽창부(S1)의 변경 부분에 대해서는, 주출구부(6)의 거의 전면이 크게 개방되고, 파우치(160)의 중심부부터 주출구부에 걸쳐서 파우치 내부도 더욱 넓어지기 때문에, 내용물의 주출구부로의 유동이 한층 용이하게 되어, 특히 내용물의 점도가 높은 경우에도 원활하게 주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의 (a)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170)는, 상기 도 7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130)의 구성에 있어서, 양면의 벽면 필름(5)에 마련한 곡선상의 팽창부(S) 중에서, 주출구부의 팽창부(S1)의 팽창 형상만을 높이가 다른 2단 구성으로 변경하 고, 상단의 팽창부는 하단의 팽창부보다 약간 작게 독립된 섬 형상이 되도록 성형하여 파우치(170)를 구성한 것이다. 이 경우, 주출구부(6)의 A-A선의 단면은,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면의 필름에 높이가 다른 단이 구비된 형상이 된다.
이 구성의 경우도, 전술한 변경된 구성 이외의 부분에서는, 상기 도 7 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130)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가지고, 또한, 주출구부의 팽창부(S1)의 팽창 형상을 높이가 다른 2단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 부분의 압축에 대한 저항성과 복원성이 증가하고, 주출구부의 개봉 시에 팽창부가 압축되었을 경우에도 원 상태에 복원되기 쉽고, 주출구부의 자연 개구성과 그 보형성이 향상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주출구부의 팽창부를 높이가 다른 단을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2단 구성 이외에, 파우치의 재질과 치수에 의해 적절히 2단 이상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도 12의 (a)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180)는, 상기 도 7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130)의 구성에 있어서, 양면의 벽면 필름(5)에 마련한 곡선상의 팽창부(S) 중에서, 주출구부의 팽창부(S1)의 팽창 형상만을, 상기 도 11의 (a)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170) 같이, 높이가 다른 2단 구성으로 변경한 것이다. 단, 이 경우에는, 상단의 팽창부를 독립된 섬 형상이 아니라 중간부의 팽창부(S2)를 향하여 높이가 서서히 낮아지도록 하고, 하단의 팽창부와 함께 중간부의 팽창부(S2)에 연결되도록 성형하여 파우치(180)를 구성한 것이다. 이 파우치(180)의 주출구부(6)의 A-A선의 단면은,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 11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 치(170)의 경우와 유사한 형상이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도, 그 작용 효과는 상기 도 11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170)와 대략 동일하게 된다. 즉, 전술한 변경된 구성 이외의 부분에서는, 상기 도 7에 나타낸 리필용 파우치(130)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가지고, 또한, 변경한 주출구부의 팽창부(S1)의 팽창 형상은 높이가 다른 2단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의 압축에 대한 저항성과 복원성이 증가하고, 주출구부(6)의 개봉 시에 팽창부가 압축되었을 경우에도 원 상태로의 복원이 용이하고, 주출구부(6)의 자연 개구성과 보형성이 향상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성형물 등에 의한 별도의 주출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통상의 파우치와 거의 동일한 공정으로 생산성 양호하게 제조할 수 있고, 내용물의 충전도 용이하고, 더욱이, 파우치를 스탠딩 파우치 형식으로 하였을 경우는, 내용물의 충전 봉합 후의 파우치의 자립성과 형태 안정성(외관)이 양호하다. 또한, 사용 시에는, 파우치 상부의 코너부 등의 일부에 마련된 주출구부의 선단을 용이하게 절취하여 개봉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보형성이 우수한 주출구가 개방되어 점도가 높은 내용물이라도 주출구부로의 유동 및 주출구로부터의 주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구경의 작은 병 등에 대해서도, 내용물을 외측으로 흘리지 않으면서 안전하고 용이하게 최후까지 옮길 수 있는 사용 적성이 뛰어난 리필용 파우치를 저비용으로 생산성 양호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8)

  1. 양측의 열봉합부에 의해 형성되는 협폭의 주출구부를 갖추고, 내부에 유동성을 가지는 내용물이 밀봉 포장되는 리필용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부 근방의 적어도 일방의 벽면 필름에, 평탄한 면의 조합으로서 폭 방향의 단면 형상이 직선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팽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파우치.
  2. 상부의 코너부에, 양측의 열봉합부에 의해 형성되는 협폭의 주출구부를 갖추고, 내부에 유동성을 가지는 내용물이 밀봉 포장되는 스탠딩 파우치 형식의 리필용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부의 적어도 일방의 측부에 절결부가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파우치의 적어도 일방의 벽면 필름에, 상기 주출구부로부터 파우치의 폭 방향의 중심선을 넘을 때까지의 상부에서는 경사진 하방으로 향하고, 그 앞의 중간부에서 곡선형으로 하방으로 만곡되고, 하부에서는 수직으로 내려가는 형상의 팽창부가 마련되고, 상기 팽창부는 주출구부에서 그 폭과 높이가 크고, 경사진 하방으로 향하여 서서히 폭과 높이가 작아지고, 곡선상의 중간부부터 아래에서는 폭과 높이가 일정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파우치.
  3. 상부의 코너부에 경사진 상방으로 향하는 주출구부를 갖추고, 내부에 유동성을 가지는 내용물이 밀봉 포장되는 스탠딩 파우치 형식의 리필용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부의 적어도 일방의 측부에 절결부가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파우치의 벽면 필름에, 상기 주출구부로부터 상기 주출구부의 반대 측의 파우치 저부 코너부 근방의 위치에 걸쳐서, 상기 주출구부에서는 폭이 넓고, 경사진 하방으로 향하여 서서히 가늘어지고, 하부에서는 가압 괘선 형상이 되는 곡선상의 팽창부가, 파우치 양면의 벽면 필름의 동일 위치에 겹쳐지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파우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평탄한 면의 조합으로서 폭 방향의 단면 형상이 직선의 조합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파우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적어도 주출구부에 있어서, 높이가 다른 단을 구비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파우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열 엠보스법에 의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파우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부에는 개봉 용이화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파우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부에는 개봉 용이화 수단과 함께 손잡이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용 파우치.
KR2020060019181U 2006-07-14 2006-07-14 리필용 파우치 KR2004278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181U KR200427808Y1 (ko) 2006-07-14 2006-07-14 리필용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181U KR200427808Y1 (ko) 2006-07-14 2006-07-14 리필용 파우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808Y1 true KR200427808Y1 (ko) 2006-09-29

Family

ID=41776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181U KR200427808Y1 (ko) 2006-07-14 2006-07-14 리필용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8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7863A3 (en) * 2009-09-28 2011-08-25 Cap Daniel S Candle refill kit and method of u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7863A3 (en) * 2009-09-28 2011-08-25 Cap Daniel S Candle refill kit and method of 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28073A1 (en) Tear and spill resistant package for dispensing liquids in a controlled manner
WO2007086023A1 (en) Packaging bag with pour spout
JP4121648B2 (ja) 詰め替え用パウチ
JP4612391B2 (ja) 注出口部付き自立袋
JP3883632B2 (ja) 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KR200427803Y1 (ko) 리필용 파우치
JP4060943B2 (ja) 詰め替え用パウチ
JP2005313994A (ja) 分岐型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JP4139820B2 (ja) 詰め替え用パウチ
KR200427808Y1 (ko) 리필용 파우치
JP4220073B2 (ja) 詰め替え用パウチ
JP4270635B2 (ja) 詰め替え用パウチ
JP4876561B2 (ja) 注出口部付き袋
KR200427807Y1 (ko) 자립성 파우치
JP4108847B2 (ja) 詰め替え用自立袋
JP4303841B2 (ja) 詰め替え用パウチ
JP4011735B2 (ja) 詰め替え用パウチ及びその製造方法
JP4268255B2 (ja) 詰め替え用パウチ
JP2006273338A (ja) 詰め替え用パウチ
JP4028083B2 (ja) 詰め替え用パウチ
JP3984375B2 (ja) 詰め替え用パウチ
JP4028324B2 (ja) 詰め替え用パウチ
JP4043617B2 (ja) 詰め替え用パウチ
JP2008081209A (ja) 詰め替え用パウチ
JP4171001B2 (ja) 詰め替え用パウ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