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1529A - 개선된 성질을 가진 흡수성 중합체, 그 제조방법 및 용도 - Google Patents

개선된 성질을 가진 흡수성 중합체, 그 제조방법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1529A
KR19990071529A KR1019980703802A KR19980703802A KR19990071529A KR 19990071529 A KR19990071529 A KR 19990071529A KR 1019980703802 A KR1019980703802 A KR 1019980703802A KR 19980703802 A KR19980703802 A KR 19980703802A KR 19990071529 A KR19990071529 A KR 19990071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linked polymer
liquid absorption
aqueous liquid
crosslinking agent
ch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3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6312B1 (ko
Inventor
호우벤 요헨
Original Assignee
클림멕 헬무트
스톡하우젠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림멕 헬무트, 스톡하우젠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클림멕 헬무트
Publication of KR19990071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1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3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0Liquid-swellable gel-forming materials, e.g. super-ab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oxygen-containing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6/00
    • C08F261/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oxygen-containing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6/00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F261/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oxygen-containing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6/00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on to polymers of vinyl alcoho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2Polyeth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중화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산기를 가진 단량체와, 선택적으로 이 단량체와 공중합할 수 있는 다른 단량체 및 선택적으로 그래프트 기제로서 적합한 중합체를 함유하고, 수(水) 팽창성이지만 비수용성인 가교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성 액체 및 물에 대한 분말상 흡수제에 관한 것이다. 이 중합체는 40 내지 90 몰%의 CH2=CHR5-CO-(OCHR3-CHR3)zO-CH2-CHR5=CH2와 10 내지 60 몰%의 R1-[O(CHR3-CHR3O)u-CO-R2]x를 포함하는 가교제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조하며, 전술한 식중에서, R1은 다가 C2-10 알킬, R2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2-10 알케닐, R3은 H, CH3, C2H5이고, R5는 H, CH3, x는 2 내지 6이며, u는 0 내지 15이고, z는 3 내지 20이다. 그 다음 표면 가교에 의하여 높은 보유율과 가압하에서의 높은 흡수율, 낮은 가용성 성분 및 신속한 유체 흡수성의 복합 성질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는 체액 흡수용 기저귀와 같은 구조물이나, 전류 또는 광 전도성 케이블이나, 또는 식물 성장용 등에 사용된다.

Description

개선된 성질을 가진 흡수성 중합체,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시판되는 초흡수성 중합체는 카르복실 기가 나트륨 이온이나 칼륨 이온으로 부분 중화되어 있는 가교된 폴리아크릴산이나 가교된 전분/아크릴산-그래프트 공중합체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중합체들은 예컨대 뇨와 같은 체액을 흡수할 수 있는 위생 물품과 케이블 외장용 재료에 사용된다. 여기에서, 상기 중합체들은 팽창하여 히드로겔을 형성한 가운데 뇨 또는 혈액과 같은 다량의 수성 액체 및 체액을 흡수한다. 또한, 사용중의 일반적인 압력 상태하에서 흡수된 액체 양을 보유하고 있을 필요도 있다. 초흡수성 중합체가 개발되면서 이들 제품에 요구되는 조건들이 지난 수년간 크게 변화하였다. 처음에는 액체와 접촉하였을 때 매우 높은 팽창력만을 나타내는 초흡수제 개발이 주요 목적이었으나, 이후에는 액체 흡수량 이외에도 팽창된 겔의 안정성 또한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한편, 미국 특허 제3,247,17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보유성이라는 성질과 팽창된 겔의 안정성이라는 성질은 서로 대조적인 특성이다. 이것은 특히 높은 보유성만을 가진 중합체가 팽창된 겔 상태에서의 강성율이 낮으며, 따라서 가해진 압력(예, 체중)하에서 변형하여 이후의 액체 흡수를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어법(Anglo-Saxon usage)에서 "가압하의 흡수율"(AUP)이라고 하는 특이적인 흡수성은 예컨대 미국 특허 제5,314,420호에 기재되어 있다.
위생 물품 분야에서 초흡수제에 점차 요구되는 조건으로서, 21 g/㎠(0.3 psi)의 초기 하중이, 면모 함량이 낮으면서 다량의 초흡수제를 함유하는 기저귀 구조물이나 실금용품에 필요한 바람직한 성질 기준으로 더이상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요즘에는 49 g/㎠(0.7 psi)의 압력 하중을 사용한다.
당업자라면, 예컨대 높은 보유성이나 높은 흡수성, 낮은 가용성 성분 함량 또는 신속한 흡수성을 가진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익숙하겠지만, 이러한 4가지 특성을 동시에 모두 나타내는 생성물의 생산은 지금까지 알려진 조성물로는 불가능한 것이다. 예컨대, 가교제 농도를 증가시키면 가용성 함량이 낮은 생성물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사실이다. 하지만, 이것은 보유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한편, 가교제 농도를 감소시키면 보유성이 높은 제품을 생성하지만 가용성 성분의 함량이 증가되고 겔 차단성으로 인하여 흡수성이 저하된다.
미국 특허 출원 제Re32.649호에 개시된 높은 겔 부피와 높은 겔 안정성 및 낮은 가용성 성분의 함량을 가진 제품을 얻고자 하는 노력은 발암성 아크릴아미드를 분열시키는 가교제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를 사용한 경우 상기 목적 성질만을 가진 제품을 얻었다. 하지만, 이러한 제품을 위생 물품에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다.
가압하의 높은 보유율 및 액체 흡수율과 함께, 초흡수제에 존재하는 가용성 중합체 사슬의 함량은 가능한 한 낮아야만 한다. 이러한 성질은 중합중에 불완전한 가교를 형성시키므로써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가용성 성분은 사용중에 팽창된 중합체내에 불완전하게 보유된다. 그 결과 기저귀내의 액체 분포가 불균일해져 초흡수제 성능이 감소하게 되고; 더욱이 극단적인 경우에는 가용성 성분이 기저귀 구조물로부터 누출되어 끈적임이 피부에 느껴진다. EP 312 952호에 교시된 바에 따르면, 팽창된 겔의 우수한 안정성, 높은 흡수율 및 높은 흡수성을 얻기 위해서는 중합체내에 낮은 가용성 성분의 함량을 절대적으로 필요로 한다. 예컨대, 미국 특허 출원Re32,649호는 16 시간후 낮은 가용성 성분의 한계값을 17%라고 기술하고 있으나, 기저귀중에 초흡수제 부분이 많고 보다 얇은 기저귀를 선호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상기 한계값 역시 너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현대의 초흡수제에서는 16 시간 후 12%,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의 한계치가 이상적일 것이다.
이와 같이 감소된 면모부와 증가된 초흡수제부를 가진 위생 물품에 있어서 초흡수제에 요구되는 또다른 조건은 면모 펄프 부의 완충 효과가 상당히 감소됨에 따라 액체를 발생 순간에 신속하게 흡수하는 성질이다. 미국 특허 제5,314,420호는 탄산 나트륨을 첨가하여 신속 흡수성 초흡수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교시하고 있다. 이 방법은 단지 초흡수제의 물리적 구조 변화를 일으켜 보다 신속한 흡수율을 얻는 것이 분명하지만, 중합체의 다른 기본 성질은 개선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WO 93/24153에 기재된 바와 같이 흡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계면활성제 유사 물질로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은 실제 매우 중요한 성질인 재습윤성, 즉 한번 흡수된 액체를 영구적으로 보유하는 초흡수성 중합체의 성질면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방법이다. 즉, 계면활성제의 존재는 전술한 재습윤성을 상당히 손상시킨다.
WO 94/09043호의 목적은 가압하에서도 수성 액체에 대해 증가된 흡수성을 가진 신규의 초흡수성 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얻기 위하여, 제1단계로서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비스(아크릴아미도)아세트산, 알릴 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말단 비닐 작용기와 말단 알릴 작용기를 가진 에스테르나 아미드, 또는 고도 에톡시화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와 중합동안 예비 가교시키는 단계; 제2단계로서 형성된 중합체 입자의 표면을 가교제로 도포한 뒤 가교시키는 단계로 제조되는 이중 가교된 초흡수제를 개시하고 있다. 공지된 이 공정에서, 바람직한 표면 가교제는 폴리히드록시 화합물로서, 이 화합물은 제1단계에서 형성된 중합체 겔의 수분이 부분적으로 제거된 후 물이나 물/용매 혼합물과 함께 도포한 후, 고온(175℃ 내지 230℃)에서 반응된다.
또한, 전술한 1차 가교제중 1종을 2차 표면 가교제와 혼합하면 가압하의 보유성과 액체 흡수성 면에서 고유한 생성물의 성질을 얻을 수 있어, 흡수성 중합체가 다량의 액체를 흡수하여 가압하에서도 그 액체를 보유해야만 하는 위생 물품에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 생성물은 현대 기저귀 구조물의 중요한 조건인 신속한 액체 흡수성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WO 93/21237호는 폴리알킬 글리콜의 불포화 에스테르로 가교된 초흡수성 중합체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는데, 이 중합체의 성질은 연속적인 가열 공정에서 21 g/㎠(0.3 psi)인 저압하에서의 보유성 및 액체 흡수성이 25 g/g로 향상되었다. 바람직한 가교제는 에톡시화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이며, 폴리글리콜 사슬당 EO-단위의 수는 2 내지 7 범위일 수 있다. 이 문헌에 기재된 내용에 따르면, 에톡시화되지 않거나 일부만이 에톡시화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로 가교된 초흡수제는 그 성질이 불량하다고 한다. 하지만, 이 문헌에 개시된 제품도 보다 높은 하중인 49 g/㎠(0.7 psi)하에서의 흡수성에 대한 최근의 필요 조건을 충족시키지는 못하고 있다. 여러 압력 하중하에서의 액체 흡수 과정을 나타내는 WO 93/21237호의 8/8면에 도시된 도 13은 개시된 중합체의 단점을 분명하게 나타내며, 흥미로운 압력 하중 범위인 63 g/㎠(0.9 psi)에서의 측정값도 약 18 g/g로 전혀 만족스럽지 않다. 이 측정 값은 실제 일반적인 150 내지 800μ의 체별 분획보다 더 높은 측정 값을 나타내야 하는 전혀 다른 300 내지 600㎛의 체별 분획에서 얻어진 값이므로 더욱 더 만족스럽지 않다.
미국 특허 제5,314,420호의 목적은 액체를 매우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단량체 용액에 탄산염 함유 발포제를 첨가하고 이어서 형성된 중합체를 재가교하여 달성한다. 이 문헌은 바람직한 여러 가교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해 기술하고 있지만, 보유율, 가압하의 흡수성 및 흡수 속도의 동시적인 증가 뿐만 아니라 가용성 성분 함량의 감소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전혀 제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현재까지 개발 제조된 제품으로는 높은 보유성과 가압하의 높은 흡수성 및 신속한 액체 흡수성의 특성을 가용성 성분 함량의 감소와 함께 복합적으로 나타내는 제품을 얻는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초흡수성 중합체 제조의 또다른 문제점은 중합 개시시에 때로는 20℃ 보다 훨씬 낮은 저온에서 단량체 수용액중에 첨가되는 많은 표준 가교제들의 용해도가 비교적 낮다는 것이다. 일반적인 가교제로서 몇가지 예를 들어보면, 예컨대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알릴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면, 전술한 단량체 수용액은 저온에서 혼탁해진다. 이와 같이 혼탁한 용액은 가교제가 균일하게 용해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며, 결과적으로 다음의 중합 과정동안 불균일한 가교를 형성하고 표준이하의 제품을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피하기 위하여, DE-OS 41 38 408호는 중합에 의해 병입될 수 없는 계면활성제를 단량체 용액에 첨가하는 방안을 제안하며, 따라서 가용성이 낮은 가교제가 보다 균일하게 분포된다. 하지만, 이 방법 역시 2가지 주요 단점이 있다. 그 한가지 단점은 계면활성제 함유 단량체 용액에 질소를 취입했을 때 이 단량체 용액으로부터 소요성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실시된 취입이 단량체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보다 더 오랫동안 지속될 정도로 용액이 발포한다는 점이다. 또다른 한가지 단점은 중합체중에 함유된 계면활성제가 흡수된 물의 방출을 가속화시켜 바람직하지 않은 재습윤 현상을 초래할 뿐 아니라 흡수된 액체를 지나치게 빨리 방출시키기 때문에 위생용품으로는 적당하지 않은 품질의 제품을 만든다.
WO 93/21237호는 전술한 문제점에 대한 또다른 해결 방안을 제공한다. 즉 이 문헌에서는 가교제로서 고도로 에톡시화된 폴리글리콜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에톡시화된 트리메틸올프로판을 사용한다. 에톡시화의 정도에 따라 생성되는 생성물은 단량체 용액에 가용성이어서 균일하게 분산되며, 그 결과 목적한 가용성 함량이 낮은 생성물을 생성하게 된다. 하지만, 이 가교제의 단점은 재가교된 생성물이 30 g/g 초과의 보유율을 나타내지 않으며, 가압(21 g/㎠)하의 흡수율이 28 g/g의 값을 초과하지 못한다는 점이다(표 1 참조). 한편, 에톡시화되지 않거나 에톡시화율이 매우 낮은 가교제는 전술한 반응계중에서, 특히 가용성 성분 함량과 관련하여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더욱이, 이 문헌에는 흡수제의 흡인력 개선에 관한 해결 방안이 전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수팽창성이지만 비수용성인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성 액체 및 물에 대한 분말상 흡수제에 관한 것이다. 산기 함유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가교 중합체는 2종의 예비가교제와 1종의 2차 가교제를 특이적으로 조합하여 얻는다. 이 중합체는 높은 보유성, 가압하의 높은 흡수성, 낮은 가용성 성분 함량 및 신속한 액체 흡수성을 함께 나타내는 지금까지 얻지 못했던 복합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제를 함유하지 않는 단량체 용액중에 가용성이고 재가교된 중합체가 가압하에 우수한 보유율과 흡수율을 나타내며 아울러 12% 미만(16시간 후 값)의 낮은 가용성 성분 함량을 함유하는 가교제 또는 가교제 혼합물을 초흡수제 중합체 제조에 제공하여 신속한 흡수성을 나타내는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와 같은 발암성 아크릴아미드를 분열시키거나 또는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산 에스테르와 같이 감광성을 일으킬 수 있는 가교제는 사용되지 않는다.
가장 놀라운 발견은 산 기 함유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고 그 각각은 공지된 하기 화학식 I 및 II의 화합물인 2종의 상이한 예비가교제 I 및 II를 혼합한 뒤 이어서 재가교하여 제조한 초흡수제가 30 g/g 초과의 보유율과 20 g/g 초과의 가압하의 흡수성, 12% 미만의 가용성 성분(16시간 후) 및 40초 미만의 팽창율로 표현되는 신속한 액체 흡수성을 나타내는 생성물을 생성한다는 점이다.
CH2=CHR5-CO-(OCHR3-CHR3)zO-CH2-CHR5=CH2
R1-[O(CHR3-CHR3O)u-CO-R2]x
상기 식중에서,
R1는 다가 C2-10 알킬, R2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2-10 알케닐, R3은 H, CH3, C2H5이고, R5는 H, CH3이며, x는 2 내지 6이고, u는 0 내지 15이며, z는 3 내지 20이다.
예비 가교제 I인 폴리글리콜 모노(메트)알릴 에테르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는 (메트)알릴 작용기,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작용기 및 이들 두 작용기 사이에 삽입되며 3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5개 내지 20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8개 내지 12개의 글리콜 단위를 함유하는 친수성 사슬을 포함한다. 적합한 글리콜 단위로는 에틸렌 글리콜과 프로필렌 글리콜 단위의 각각의 단독물이나 그 혼합물을 포함하며; 혼합물인 경우에는 랜덤 알콕실레이트와 블록 알콕실레이트가 적합하다. 또한, 복합 에틸렌 글리콜/프로필렌 글리콜 사슬과 순수한 프로필렌 글리콜 사슬을 둘 다 사용할 수 있으며, 순수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예비가교제 I은 예컨대 미국 특허 제4,618,703호에 기술된 방법에 따르거나 또는 과량의 아크릴산이나 메타크릴산을 사용하여 직접적인 에스테르화 방법(실시예 4 내지 9)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에스테르는 미정제 상태, 즉 사용된 촉매와 과량으로 사용된 (메트)아크릴산의 존재하에 저장한 다음 추후 가공처리할 수 있다. 보다 고순도가 필요하거나 보다 장기간 저장하려면 미국 특허 제4,618,703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에스테르를 세척한 뒤, 증류하여 저비점의 성분으로부터 정제할 수도 있다. 에스테르화 정도는 90% 이상,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이어야만 하는데, 그 이유는 유리 히드록실 작용기가 초기에는 기술적 성질을 향상시키지 못하며 잇따른 재가교 동안에 보유율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예비가교제 II인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는 알콜 작용기를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로 전환시킨 다가 알콜이다. 적합한 다가 화합물로는 예컨대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펜타에리쓰리톨, 또는 이들의 에톡시화된 동족체,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기술상의 생성물일 수도 있는 히드록실기의 일부가 에스테르화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는 에스테르도 포함된다. 특히,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3EO-트리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단량체 용액중에 일반적으로 가용성이 낮은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도 이들이 가교제 I에 의하여 용액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가교제 II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비가교제 II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사용된 Craynor CN 435는 15-EO-트리메틸올프로판의 트리아크릴산 에스테르이고; Craynor SR 351은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트리아크릴산 에스테르이다. 이 두가지 제품은 모두 크레이-밸리-컴패니의 제품이다.
예비가교제 I은 가교제 혼합물에 대해 40 내지 90 몰%,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몰%,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몰%의 양으로 사용하고, 예비가교제 II는 가교제 혼합물에 대해 10 내지 60 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몰%,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몰%의 양으로 사용한다. 가교제 혼합물은 불포화성 산 단량체 성분에 대해 0.1 내지 2 중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0 중량%의 농도로 사용한다.
당업자에게는 가교된 폴리아크릴레이트를 생산하는데 있어서 상기 두 종류의 가교제를 각각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히, 폴리글리콜 모노알릴 에테르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미국 특허 제4,076,663호, 제4,654,039호, 제4,906,717호, 제5,154,713호 및 제5,314,420호에 기술되어 있다. 하지만, 예비가교제 I과 예비가교제 II의 바람직한 조합에 대해서는 미국 특허 4,654,039호, 제5,154,713호, 제5,314,420호 및 제4,076,663호에 언급되어 있는 바가 없다. 단지 미국 특허 제4,906,717호에서만이 여러 종류의 가교제를 혼합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해 기술하고 있고, 본 발명에 속하는 혼합물도 광범위한 목록중에 포함되어 있지만, 이러한 혼합물의 장점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는 바가 없으며 바람직한 실시 양태도 전혀 없다. 특히, 본 발명에 기재된 바와 같은 2차 가교제와 혼합된 가교제 혼합물에 대한 장점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거나 인지할 수도 없다.
전술한 가교제 혼합물은 가용성이 매우 낮은 가교제 성분 II가 가교제 I의 존재로 인하여 가용화되고, 그 결과 DE 41,38,408에서와 같이 중합시 병입되지 않는 계면활성제의 존재로 인한 재습윤 양태에 영향을 미침이 없이 그 활성을 완전히 발휘할 수 있다는 놀라운 장점을 갖고 있다.
2차 표면 가교 방법은 본 발명에 기재된 초흡수제의 특성, 특히 가압하의 액체 흡수성에 대한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이것은 팽창된 중합체 입자가 함께 점착하여 기저귀내에 더 이상의 액체 흡수와 액체 분산을 저해하는 "겔 블록킹"이라고 공지된 현상을 억제시키기 때문이다. 2차 가교동안에 중합체 분자의 카르복실기는 고온하에서 가교제에 의하여 초흡수제 입자의 표면에서 가교한다. 본 발명에 기재된 2차 가교 방법은 여러 문헌들, 예컨대 DE 40 20 780, EP 317 106 및 WO 94/9043에 기술되어 있다. 미국 특허 5,314,420호의 제8면 3행 내지 45행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당업자에게 알려진 모든 2차 가교제는 가교제 혼합물 I 및 II와 함께 본 발명에 따라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2개 이상의 작용기를 함유한다. 알콜, 아민, 알데히드, 글리시딜 및 에피클로로 작용기가 바람직하나, 여러 다른 작용기를 가진 가교제 분자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은 2차 가교제중 하나를 사용한다: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폴리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탄올 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산화 폴리프로필렌, 산화 에틸렌과 산화 프로필렌의 블록 공중합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에톡시화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톡시화된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쓰리톨, 에톡시화된 펜타에리쓰리톨, 폴리비닐 알콜, 소르비톨, 탄산 에틸렌, 탄산 프로필렌 및 폴리에폭시화물,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특히, 2차 가교제로서 탄산 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차 가교제는 재가교되는 중합체에 대해 0.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기재된 중합 공정은 여러 조건들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방사선 조사, 전자기 조사, 자외선 조사, 또는 2가지 화합물의 산화환원 반응, 예컨대 과황산 칼륨과 아황산수소 나트륨의 반응이나 과산화수소와 아스코르브산의 반응을 들 수 있다.
또한, 중합을 개시시키기 위하여, 소위 라디칼 개시제, 예컨대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과황산 나트륨, t-부틸 히드로퍼옥사이드, 또는 디벤조일 퍼옥사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여러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중합은 과산화수소와 아스코르브산의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개시시키고 과황산 나트륨 및/또는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드) 디히드로클로라이드를 열 유도 침착시켜 완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기재된 초흡수제를 중합하는 데에는 여러 방법이 적합하다. 예컨대, 벌크 중합, 용액 중합, 분무 중합, 역 유탁 중합, 및 역 현탁 중합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용매로서 물을 사용하여 용액 중합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액 중합은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선행 특허 문헌에는 개시제와 2차 촉매의 농도비, 온도, 종류 및 양에 대한 광범위한 변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일반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허 문헌들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방법들을 본 발명에 따른 생산 방법에 참고 인용하였다: US 4,286,082, DE 27 06 135, US 4 076 663, DE 35 03 458, DE 40 20 780, DE 42 44 548, DE 43 23 001, DE 43 33 056, DE 44 18 818.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산기를 함유하는 불포화 단량체로는 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비닐설폰산, 2-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 설폰산 뿐만 아니라 이들의 알칼리 및/또는 암모늄 염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중합체 성질을 개질시키는 데에는 이 산 단량체에 대하여 40 중량% 이하의 다른 공단량체, 예컨대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또는 이들의 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단량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전술한 단량체와 비이온계 친수성 단량체, 예컨대 (메트)알릴 알콜과의 혼합물, 및 다가 알콜이나 에톡시화물의 모노(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이들의 알칼리 또는 암모늄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산과 이것의 나트륨염 및/또는 칼륨염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기재된 중합 방법에 있어서, 산 단량체는 여러 방법으로 중화시킬 수 있다. 한가지 방법으로서, 즉 산 단량체를 사용하여 US 4 654 039의 교시에 따라 직접 중합을 수행한 다음, 이어서 중합체 겔내에서 중화시켜 수행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산 단량체 성분을 중합 이전에 25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정도 중화시킨 다음, 중합 개시시에 이미 나트륨 염 및/또는 칼륨 염 및/또는 암모늄 염으로서 제공하는 것이다.
중화 목적을 위해서는 이후 단계에서 수행되는 중합에 역영향을 미치지 않는 염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수산화 나트륨 또는 수산화 칼륨 용액 및/또는 암모니아,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사용하며, 추가적으로 탄산 나트륨, 탄산 칼륨 또는 중탄산 나트륨을 첨가하면 양의 효과를 더 제공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US 5 314 420 및 US 5 154 713에 기재된 바 있다. 단열 용액 중합시에, 부분 중화된 단량체 용액은 중합 개시 이전에 3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미만의 온도로 냉각시킨다. 전술한 다른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온도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개시된 중합체는 그래프트 기제로서 본 발명에 개시된 단량체의 총량에 대해 3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수용성 중합체를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성분들중에서도, 상기 중합체에는 부분 사포닌화된 폴리비닐 알콜이나 완전 사포닌화된 폴리비닐 알콜, 전분이나 전분 유도체, 셀룰로스나 셀룰로스 유도체, 폴리아크릴산, 폴리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그래프트 기제로서 첨가되는 중합체의 분자량은 중합 조건에 따라 조정되어야 한다. 수성 용액 중합인 경우에는, 예컨대 중합체 용액의 점도에 따라서 단지 저분자량의 중합체 또는 중간 분자량의 중합체만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에 반해 현탁 중합인 경우에는 전술한 요인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부분 중화된 아크릴산의 가교 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중합체 외에도, 그래프트 중합된 전분 또는 폴리비닐 알콜을 일부 더 포함하는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 생성물에서, 산 단량체는 25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몰% 정도 중화시킨다. 중화는 대응하는 수산화 알칼리 또는 수산화 암모늄을 첨가하거나 대응하는 탄산염이나 탄산수소염을 사용하여 실시한다. 또한, 부분 중화는 단량체 용액을 생성하는 동안, 즉 중합 이전에 실시하거나, 또는 US 4 654 03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최종 중합체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하지만, 중합 이전에 부분 중화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 중합체는 건조, 분쇄한 뒤, 일회용 기저귀, 케이블 절연체나 다른 제품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크기 분획으로 체별한 다음, 2차 가교 반응시킨다. 하지만, 일부 경우에는 중합체 겔을 건조하기 전이나, 또는 부분 건조되거나 거의 건조된 중합체를 마쇄하기 이전에 미리 2차 가교제를 첨가하는 것이 성공적인 것으로 증명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되는 2차 가교는 예컨대 US 4 666 983 및 DE 40 20 780에 기술되어 있다. 종종 2차 가교제는 특히 소량의 2차 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물이나 유기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중에 용해한 용액으로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차 가교제를 첨가하기에 적합한 믹서로는 예컨대 패터슨-캘리(Patterson-Kelley) 믹서, DRAIS 와동 믹서, 뢰디지(Lodige) 믹서, 루베르그(Ruberg) 믹서, 스크류 믹서, 팬 믹서 및 유동-베드 믹서와, 회전 나이프들에 의해 분말이 고속으로 혼합되는 연속 수직형 믹서[슈지(Schugi) 믹서]를 포함한다. 예비가교된 중합체와 2차 가교제를 혼합한 후, 2차 가교를 수행하기 위하여 12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35 내지 200℃,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85℃의 온도로 가열한다. 초흡수제의 바람직한 성질 특성이 열 손상에 의해 다시 붕괴되는 점은 후가열 시간을 한정한다.
목적하는 용도에 따라, 다른 체별 분획을 사용하여 초흡수제를 가공하며, 예컨대 기저귀용으로는 100 내지 1000 ㎜,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850 ㎜를 사용한다. 이 크기 분획은 일반적으로 2차 가교이전에 분쇄한 뒤 체별하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기재된 친수성 초흡수제는 수성 액체를 흡수해야만 하는 모든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그 예로는 유아용 기저귀 형태의 위생용품과 성인 실금용 제품, 생리대, 상처용 패치, 식품 포장재와 같은 공지의 용도와 농업 분야에서 식물 재배, 케이블 절연체, 제지와 수용성 중합체 및 열가소성 재료와 포말로 제조한 흡수성 시트 재료, 및 환경으로 지연 방출시키는 활성 물질 캐리어로서의 용도를 포함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가교제의 제조예를 예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기재된 중합체의 생산과 성질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하기의 "시험 방법"란은 초흡수제의 성질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 것이다.
시험 방법
1. 보유율(TB)
보유율은 EP 514 724호(제4면, 6행 내지 22행)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2. 가압하의 액체 흡수율(AUP)
가압하의 액체 흡수율(21 g/㎠ 및 49 g/㎠에 각각 해당하는 0.3 psi 및 0.7 psi에서의 AUP)은 미국 특허 제5,314,420호, 제9면 28ff행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고; 측정용 액체로서 0.9% 식염(common-salt) 용액을 사용하였다.
3. 가용성 성분(SC)
가용성 성분(1시간 후와 16시간 후)은 시험 액체로서 합성 뇨 대신에 0.9% 식염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미국 특허 제4,654,039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측정하였다.
4. 팽창 속도(SR)
중합체의 팽창 속도(SR)는 다음과 같은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좁은 비이커에 합성 뇨 용액(미국 특허 제4,654,03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 20g을 넣고 칭량하였다. 시험할 물질 1g을 넓은(직경이 5㎝) 원통형 접시의 중앙에 놓는다. 이 접시를 약하게 진탕시키면서 그 바닥 위에 초흡수성을 가진 분말을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접시 바닥 위로 1㎝ 거리에 단부를 위치시킨 호퍼를 사용하여 합성 뇨 용액을 한꺼번에 첨가하였다; 이 때부터 시간을 측정하였다. 액체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순간에 시간 측정을 정지시켰다.
실시예 1: 산화 에틸렌 5몰과 알릴 알콜의 반응
알릴 알콜(머크 제품) 464.8 g을 승강 교반기가 장착된 5 리터 오토클레이브에서 소듐 메틸레이트 용액(25%) 4g과 함께 반응시킨 뒤, 5 바아 이하까지 질소를 5회 주입한 뒤 1 바아까지 배기시켜 산소를 제거하였다. 질소를 연속 통과시키면서 반응기의 내용물을 70℃까지 가열하고 촉매에 의해 생긴 메탄올을 제거하였다. 그 다음, 반응기를 밀봉하고, 140℃까지 가열한 다음, 3 내지 6 바아의 총 압력하에서 30분내에 산화 에틸렌 1760 g을 첨가하였다. 생성물로서 밝은 황색 액체 2210 g을 얻었다. 그 특징은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 산화 에틸렌 10몰과 알릴 알콜의 반응
알릴 알콜(5 몰) 290.5 g을 고체 KOH(85%) 2.5 g과 함께 반응시킨 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불활성 환경을 형성시켰다. 140℃의 반응 온도와 4 내지 6 바아에서 1시간 내에 산화 에틸렌 2200 g(50 몰)을 첨가하였다. 생성물로서 밝은 황색 액체 2480 g을 얻었다. 그 특징을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3: 산화 에틸렌 20몰과 알릴 알콜의 반응
실시예 2의 생성물 1495.8 g(3 몰)을 5 리터 오토클레이브에 준비한 뒤, 실시예 1의 절차에 따라 불활성 환경을 형성시킨 다음, 140℃에서 1 시간내에 산화 에틸렌 1320 g(30 몰)과 반응시켰다. 황색 고체 2805 g을 얻었다. 그 특징을 표 1에 기재하였다.
생성된 에톡시화물의 특징
생성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OH 수 204 ㎎ KOH/g 118 ㎎ KOH/g 53 ㎎ KOH/g
요오드 수(Wijs) 91 ㎎ KOH/g 53 ㎎ KOH/g 27 ㎎ KOH/g
알릴 알콜(GC) 2030 ppm 144 ppm 14ppm
응고점 -15℃ 3℃ 29℃
요도드 색 지수 3 7 -
밀도 1.054 g/㎖ 1.085 g/㎖ -
점도 RV 2/10 18 mPas(20℃) 68 mPas(20℃) -
실시예 4: 10-EO-알릴 알콜 AAA-10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실시예 2의 10-EO-알릴 알콜 245 g(0.726 몰)을 아크릴산 155.6g(2.16 몰) 및 p-메톡시페놀 0.8g과 함께 20℃에서 교반하여 p-메톡시페놀을 완전하게 용해시켰다. 이어서, 황산 2.2g을 첨가하고, 800 mbar의 압력에서 90℃로 배치를 가열하였다. 그 다음 배치내로 기체 프릿(frit)을 통해 균일한 공기류를 유입시켰다. 90℃가 되었을 때, 진공이 400 mbar로 증가했고, 이 때 배치는 증류를 개시한다. 약 3 내지 4 시간 후, 증류물류는 고갈되며, 진공을 100 mbar로 개량하여 반응을 완료시킨다. 2 시간 이상 지난 후, 배치를 냉각시키고 생성물을 분리하였다. 밝은 황색 오일 451g을 얻었다. 산가: 69.1 ㎎ KOH/g, 비누가: 175.6 ㎎ KOH/g, 에스테르화도: 99%.
실시예 5: 5-EO-알릴 알콜 AAA5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실시예 1에 기재된 5-EO-알릴 알콜 275 g(1 몰), p-메톡시-페놀 0.8g, 아크릴산 216.3g(3 몰) 및 황산 2.0g을 실시예 4에서와 같이 반응시켰다. 황색 오일 385g을 얻었다. 산가: 76.5 ㎎ KOH/g, 비누가: 237.4 ㎎ KOH/g, 에스테르화도: 94.5%.
실시예 6: 20 EO-알릴 알콜 AAA20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실시예 3에 기재된 20-EO-알릴 알콜 445.3g(0.42 몰), p-메톡시페놀 0.8g, 아크릴산 216.4g(3 몰) 및 황산 2.0g을 실시예 4에서와 같이 반응시켰다. 황적색 왁스 547g을 얻었다. 산가: 68.5 ㎎ KOH/g, 비누가: 126.1 ㎎ KOH/g, 에스테르화도: 97%.
실시예 7: 20-EO-알릴 알콜 MAA20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실시예 3에 기재된 20-EO-알릴 알콜 445.3g(0.42 몰), p-메톡시페놀 0.8g, 메타크릴산 385g(4.53 몰) 및 농황산 4g을 실시예 4에서와 같이 반응시키고, 단 반응 시간은 2배로 증가시키며 반응 말기에 진공을 20 mbar로 조정하였다. 고체 생성물 555g을 얻었다. 산가: 103.5 ㎎ KOH/g, 비누가: 158.3 ㎎ KOH/g, 에스테르화도: 93.9%.
실시예 8: 5-EO-알릴 알콜 MAA5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실시예 1에 기재된 5-EO-알릴 알콜 275 g(1 몰)을 p-메톡시페놀 0.8g, 메타크릴산(6.08 몰) 516.6g, 및 농황산 2g과 함께 실시예 7에서와 같이 반응시켰다. 그 결과, 황색 액체를 얻었다. 산가: 98.1 ㎎ KOH/g, 비누가: 247.8 ㎎ KOH/g, 에스테르화도: 91.6%.
실시예 9: 10-EO-알릴 알콜 MAA10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실시예 2에 기재된 10-EO-알릴 알콜 479.5g(1.01 몰), p-메톡시페놀 0.8g, 메타크릴산 258.3g(3.04 몰)을 실시예 7에서와 같이 반응시켰다. 그 결과, 황색 오일 680g을 얻었다. 산가: 99.5 ㎎ KOH/g, 비누가: 196.0 ㎎ KOH/g, 에스테르화도: 94%.
이하 실시예 10 내지 17과 비교예 C1 내지 C5에 기술되는 중합 배치는 다음과 같은 일반 제조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a) 출발 생성물
원통형 플라스틱 용기에 아크릴산 265.2 g과 탈이온수 372.4g 뿐만 아니라 사용된 가교제를 함유하는 단량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교반과 냉각하에 수산화 나트륨 50% 용액 206.1g을 사용하여 부분 중화를 실시하였다(중화도 70%). 용액을 7 내지 8℃로 냉각하고, 단량체 용액내에 존재하는 산소 함량이 0.2 ppm 미만이 될 때까지 질소를 주입하였다. 이어서, 탈이온수 10g에 용해시킨 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디히드로클로라이드 0.3g과 탈이온수 6g에 용해시킨 과황산 나트륨 0.05g, 탈이온수 1g에 용해시킨 과산화수소(35%) 0.005g, 및 탄산 나트륨 2g을 첨가하였다. 그 다음 탈이온수 2g에 용해시킨 아스코르브산 0.012g을 첨가하여 중합을 개시시켰고, 이 때 온도가 크게 상승하였다. 그 후, 중합체를 절단하고, 순환식 공기 건조 캐비넷중에서 140℃로 건조시킨 뒤, 마쇄하여 150 내지 850 ㎛의 입자 분획으로 체별하였다.
실시예 18과 비교예 C6 내지 C10은 전술한 일반 제조법에 따라 중합하였고, 단 탄산 나트륨을 첨가하지 않았다.
b) 2차 가교:
150 내지 800 ㎜로 체별한 분쇄 중합체 100 g을 탄산 에틸렌 0.5g과 탈이온수 1.5g의 용액과 MTI 혼합기중에서 강력하게 혼합하여 습윤화시킨 뒤, 오븐내에서 180℃로 30분동안 가열하였다.
표 2 내지 4는 실시예 10 내지 18과 비교예 C1 내지 C10에 기재된 중합체의 조성과 성질에 대하여 기술한 것이다.
표 2 내지 4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속하는 실시예 10 내지 18은 다음과 같이 우수한 성질을 복합적으로 나타내는 중합체를 제공한다.
보유율 > 30g/g
가압(21 g/㎠)하의 흡수율 > 30 g/g
가압(49 g/㎠)하의 흡수율 > 20 g/g
팽창 속도 < 40 s
가용성 성분함량(16시간후) < 12 %
비교예에서도 가교제의 양을 변화시켜 하나의 성질을 얻을 수 있었으나, 전술한 성질을 복합적으로 우수하게 얻을 수는 없었다.
즉, Craynor 435-가교제(각각 WO 93/21237호 및 WO 94/9043호에 개시)는 사용된 양(C2 및 C4)에 따라 26.7 g/g의 우수한 AUP(49 g/㎠)와 허용되는 범위의 가용성 성분 함량을 나타내나 보유율이 저조한 생성물이나, 우수한 보유율과 허용되는 범위의 AUP를 나타내나 가용성 성분에 대한 결과가 나쁜 생성물을 제공한다. 가교제를 한 성분만 함유하는 모든 생성물은 탄산 나트륨의 첨가에도 불구하고 낮은 팽창 속도를 나타냈다.
비교예 C6에 기재된 바와 같은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와 트리알릴아민의 가교제 혼합물은 미국 특허 제5,314,420호에 바람직한 혼합물로서 언급된 혼합물이다. 시험 결과, 보유율, 팽창 속도, 가용성 성분중 어떤 성질도 본 발명의 중합체가 나타내는 성질만큼의 결과를 나타내지 못한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탄산 나트륨을 첨가하지 않은 실험(실시예 18, 비교예 C8 내지 C10)은 본 발명에 기재된 중합체가 우수한 성질의 프로파일을 보유하는 바, 즉 종래 기술과 비교했을 때 상기 탄산 나트륨 성분에 의거하여 개선된 팽창 속도가 얻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탄산 나트륨의 첨가없이도 비교예는 보다 나쁜 성질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교제 I 및 II 혼합물의 이용
실시예 가교제I mmol 가교제 II mmol 보유율 AUP(21 g/㎠) AUP(49 g/㎠) SR SC
10 AAA-10EO(실시예4) 0.53 g 0.96 SR 351 0.27 g 1.03 30.4 g/g 32.9 g/g 21 g/g 34 s 11.70%
11 AAA-10EO(실시예4) 1.06 g 1.92 SR 351 0.14 g 0.52 30 g/g 33g/g 24.8 g/g 30 s 10.20%
12 AAM-10EO(실시예9) 1.06 g 1.99 SR 351 0.14 g 0.52 32.2 g/g 33.0 g/g 25.9 g/g 33 s 11.70%
13 AAA-5EO(실시예5) 1.06 g 3.38 SR 351 0.14 g 0.52 31.6 g/g 31.1 g/g 25 g/g 38 s 10.40%
14 AAA-20EO(실시예6) 1.06 g 1.1 SR 351 0.14 g 0.52 31.1 g/g 31.3 g/g 23.7 g/g 38 s 11.00%
15 AAM-5EO(실시예8) 1.06 g 3.34 SR 351 0.14 g 0.52 31.0 g/g 31.4 g/g 22.5 g/g 39 s 10.20%
16 AAM-20EO(실시예7) 1.06 g 1.11 SR 351 0.14 g 0.52 31.4 g/g 30.5 g/g 24.2 g/g 35 s 9.50%
17 AAA-10EO(실시예4) 0.53 g 0.96 CN 435 0.54 g 0.615 32.6 g/g 34.5 g/g 26.1 g/g 34 s 9.30%
18 AAA-10EO(실시예4) 0.2 g 0.36 SR 351 0.27 g 0.31 35.4 g/g 33.5 g/g 25.8 g/g 38 s 9.30%
단일 가교제 성분만을 사용한 비교예
비교예 가교제 I mmol 가교제 II mmol 보유율 AUP(21 g/㎠) AUP(49 g/㎠) SR SC
C1 SR351 0.34 g 1.32 30.9 g/g 27.8 g/g 22.4 g/g 59 s 15.80%
C2 CN435 0.53 g 0.62 33.3 g/g 35.6 g/g 14.9 g/g 56 s 17.20%
C3 트리알릴아민 0.18 g 1.31 32.9 g/g 28.4 g/g 17.0 g/g 54 s 18.70%
C4 CN435 1.06 g 1.23 25.4 g/g 23.9 g/g 26.7 g/g 56 s 14.30%
C5 AAA-10EO(실시예4) 1.06 g 1.99 36.0 g/g 34.8 g/g 20.2 g/g 61 s 15.50%
C8 트리알릴아민 0.48 g 3.49 33.0 g/g 29.9 g/g 12.0 g/g 78 s 25.00%
C9 트리알릴아민 0.76 g 5.53 30.4 g/g 30.0 g/g 20.6 g/g 67 s 16.50%
본 발명에 기재된 혼합물 이외에 2가지 가교제를 사용한 비교예
비교예 가교제 I mmol 가교제 II mmol 보유율 AUP(21 g/㎠) AUP(49 g/㎠) SR SC
C6 트리알릴아민 0.4 g 2.91 SR351 0.13 g 0.15 28.4 g/g 31.2 g/g 22.5 g/g 45 s 16.20%
C7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0.53 g 4.21 CN435 0.54 g 0.615 25.4 g/g 30.2 g/g 25.0 g/g 53 s 6%
C10 AAA-10EO(실시예4) 0.4 g 0.74 트리알릴아민 0.53 g 3.86 27.8 g/g 25.8 g/g 23.3 g/g 54 s 11.50%
SR 351: 크레이 밸리 회사의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CN 435: 크레이 밸리 회사의 트리메틸올프로판-15EO-트리아크릴레이트

Claims (23)

  1. 부분 중화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성 산기 함유 단량체와, 선택적으로 이 단량체와 공중합할 수 있는 다른 단량체 및 그래프트 기제로서 적합한 선택적인 중합체로 제조되며, 하기 화학식 I의 가교제 40 내지 90 몰%와 하기 화학식 II의 가교제 10 내지 60 몰%를 함유하는 가교제 혼합물을 사용하여 생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액체 흡수용 가교 중합체:
    화학식 I
    CH2=CHR5-CO-(OCHR3-CHR3)zO-CH2-CHR5=CH2
    화학식 II
    R1-[O(CHR3-CHR3O)u-CO-R2]x
    상기 식중에서,
    R1은 다가 C2-10 알킬, R2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2-10 알케닐, R3은 H, CH3, C2H5이고, R5는 H, CH3이며, x는 2 내지 6이고, u는 0 내지 15이며, z는 3 내지 20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가교제 혼합물에 대하여 가교제 I을 50 내지 80 몰% 사용하고 가교제 II를 20 내지 50 몰%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액체 흡수용 가교 중합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교제 혼합물에 대하여 가교제 I을 60 내지 80몰% 사용하고 가교제 II를 20 내지 40 몰%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액체 흡수용 가교 중합체.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교제 혼합물을 단량체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액체 흡수용 가교 중합체.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교제 혼합물을 단량체에 대하여 0.3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액체 흡수용 가교 중합체.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글리콜 사슬내에 존재하는 가교제 I이 중량 평균으로 3 이상의 글리콜 단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의 글리콜 단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의 글리콜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액체 흡수용 가교 중합체.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포화성 산기 함유 단량체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비닐 아세트산, 비닐 설폰산, 메트알릴 설폰산 및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 설폰산으로 구성된 군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액체 흡수용 가교 중합체.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비닐 피롤리돈,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비닐 아세트아미드로 구성된 군중에서 선택되고, 산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에 대하여 0 내지 40 중량%로서 중합에 의해 병입되는 다른 공단량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액체 흡수용 가교 중합체.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래프트 기제로서 적합한 수용성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폴리사카라이드 및/또는 폴리비닐 알콜을 모든 단량체 총량에 대하여 0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액체 흡수용 가교 중합체.
  10.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차 가교제에 의하여 표면에서 가교가 이루어지며, 이 2차 가교가 선택적으로 여러 번 반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액체 흡수용 가교 중합체.
  11. 제10항에 있어서, 폴리올, 폴리에폭사이드, 폴리아민 또는 탄산 알킬렌으로 구성된 군에 속하는 2차 가교제에 의하여 표면에서 가교가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액체 흡수용 가교 중합체.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보유율이 30 g/g 이상이고, 가압(49 g/㎠)하의 액체 흡수율이 20 g/g 이상이며, 16 시간후 가용성 성분의 최대 함량이 12%이고, 팽창 속도가 40초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액체 흡수용 가교중합체.
  13. 제10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압(49 g/㎠)하의 액체 흡수율이 22 g/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액체 흡수용 가교 중합체.
  14. 제10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팽창 속도가 35 초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액체 흡수용 가교 중합체.
  15. 제10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6 시간 후 가용성 성분의 최대 함량이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액체 흡수용 가교 중합체.
  16. 라디칼 형성제의 첨가하에, 부분 중화된 불포화성 산기 함유 단량체 및 하기 화학식 I의 가교제 40 내지 90 몰%와 하기 화학식 II의 가교제 10 내지 60 몰%의 가교제 혼합물을 함유하는 수성 용액을 용액 중합이나 현탁 중합의 방법에 따라 히드로겔로 중합시키고, 마쇄한 뒤, 건조, 분쇄하고 체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성 액체 흡수용 가교 중합체의 제조 방법.
    화학식 I
    CH2=CHR5-CO-(OCHR3-CHR3)zO-CH2-CHR5=CH2
    화학식 II
    R1-[O(CHR3-CHR3O)u-CO-R2]x
    상기 식중에서,
    R1은 다가 C2-10 알킬, R2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2-10 알케닐, R3은 H, CH3, C2H5이고, R5는 H, CH3이며, x는 2 내지 6이고, u는 0 내지 15이며, z는 3 내지 20이다.
  17. 제16항에 있어서, 중합체를 표면 가교제로 처리하며, 표면 가교가 고온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액체 흡수용 가교 중합체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표면 처리와 가교가 여러 번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액체 흡수용 가교 중합체의 제조 방법.
  19. 물과 수성 액체의 흡수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5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교 중합체의 용도.
  20. 체액 흡수용 구조물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5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교 중합체의 용도.
  21. 전류 전도 케이블이나 광전달 케이블중이나, 포장 재료의 한 성분으로서, 토양 조절제로서 그리고 식물 재배중에 물이나 수성 액체 흡수성 성분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5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교 중합체의 용도.
  22. 물이나 수성 액체 흡수용 포말 시이트 또는 비포말 시이트 재료중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5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교 중합체의 용도.
  23. 장기간에 걸쳐 서방 형식으로 환경에 방출되는 비료 또는 다른 활성 물질의 캐리어 물질로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5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교 중합체의 용도.
KR19980703802A 1995-11-21 1996-11-18 개선된성질을가진수분흡수성중합체,그제조방법및용도 KR1004063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43368.8 1995-11-21
DE19543368A DE19543368C2 (de) 1995-11-21 1995-11-21 Wasserabsorbierende Polymere mit verbesserten Eigenschaft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PCT/EP1996/005074 WO1997018890A1 (de) 1995-11-21 1996-11-18 Wasserabsorbierende polymere mit verbesserten eigenschaft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529A true KR19990071529A (ko) 1999-09-27
KR100406312B1 KR100406312B1 (ko) 2004-03-24

Family

ID=7778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80703802A KR100406312B1 (ko) 1995-11-21 1996-11-18 개선된성질을가진수분흡수성중합체,그제조방법및용도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143821A (ko)
EP (1) EP0873188B1 (ko)
JP (1) JP3900538B2 (ko)
KR (1) KR100406312B1 (ko)
CN (1) CN1142953C (ko)
AT (1) ATE185982T1 (ko)
CA (1) CA2235704A1 (ko)
CZ (1) CZ150598A3 (ko)
DE (2) DE19543368C2 (ko)
DK (1) DK0873188T3 (ko)
ES (1) ES2139394T3 (ko)
TW (1) TW408137B (ko)
WO (1) WO199701889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4644A1 (ko) * 2012-12-27 2014-07-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해질
WO2016148397A1 (ko) * 2015-03-18 2016-09-22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방법
KR20190013807A (ko) * 2016-06-03 2019-02-11 코아텍스 점증 및 현탁 특성을 갖는 공중합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6532B1 (en) 1997-12-12 2003-07-22 BIOMéRIEUX, INC. Device for isolation and surface culture of microorganisms from bulk fluids
DE19909838A1 (de) 1999-03-05 2000-09-07 Stockhausen Chem Fab Gmbh Pulverförmige, vernetzte, wässrige Flüssigkeiten sowie Blut absorbierende Polymer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4550256B2 (ja) * 1999-11-19 2010-09-22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吸水性樹脂の製造法
EP1134232A1 (en) * 2000-03-16 2001-09-19 SCA Hygiene Products AB Polysaccharide-based superabsorbent film
US6903243B1 (en) 2000-09-08 2005-06-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absorbent wound dressing
US7393908B2 (en) * 2000-10-19 2008-07-01 Basf Aktiengesellschaft Cross-linked, water-swellable polym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DE10053858A1 (de) 2000-10-30 2002-05-08 Stockhausen Chem Fab Gmbh Absorbierendes Gebilde mit verbesserten Blockingeigenschaften
DE10161496A1 (de) * 2001-12-14 2003-06-26 Stockhausen Chem Fab Gmbh Kompaktierte absorbierende Polymer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10225943A1 (de) * 2002-06-11 2004-01-08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stern von Polyalkoholen
AU2003296558A1 (en) 2002-10-25 2004-05-13 Stockhausen Gmbh Absorbent polymer structure provided with an improved retention capacity and permeability
US20040142495A1 (en) * 2002-12-16 2004-07-22 Hartman William G. Analyte detecting article and method
EP1911426B1 (en) 2003-02-12 2010-01-2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for an absorbent article
ATE409447T1 (de) 2003-02-12 2008-10-15 Procter & Gamble Bequem windel
DE10331456A1 (de) 2003-07-10 2005-02-24 Basf Ag (Meth)acrylsäureester alkoxilierter ungesättigter Polyolether und deren Herstellung
DE10334286B4 (de) 2003-07-25 2006-01-05 Stockhausen Gmbh Pulverförmige,wasserabsorbierende Polymere mit mittels thermoplastischen Klebstoffen gebundenen Feinteilch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iese beinhaltende chemische Produkte und Verbunde
DE10334271B4 (de) 2003-07-25 2006-02-23 Stockhausen Gmbh Verfahren zur Agglomeration von Superabsorberfeinteilchen, daraus erhältliche Superabsorberpartikel, deren Verwendung sowie diese beinhaltende Verbunde
CN1832984B (zh) * 2003-08-06 2010-06-09 宝洁公司 已涂敷的水可溶胀材料
MXPA06001298A (es) 2003-08-06 2006-04-11 Procter & Gamble Estructuras absorbentes que comprenden material recubierto dilatable en agua.
CN100566761C (zh) 2003-08-06 2009-12-09 宝洁公司 包含已涂敷的水可溶胀材料的吸收结构体
EP1518567B1 (en) 2003-09-25 2017-06-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fluid acquisition zones with coated superabsorbent particles
EP1701786B2 (en) 2003-12-12 2022-06-15 Nippon Shokubai Co.,Ltd. Water-absorbing agent, manufacture method thereof, and absorbent and absorbent article made therefrom
DE102004051242A1 (de) 2004-10-20 2006-05-04 Basf Ag Feinteilige wasserabsorbierende Polymerpartikel mit hoher Flüssigkeitstransport- und Absorptionsleistung
DE102004055765A1 (de) 2004-11-18 2006-05-24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wasserabsorbierender Polymere
ITTO20040918A1 (it) * 2004-12-29 2005-03-29 Luigi Ambrosio Idrogel polimerici superassorbenti biodegradabili e procedimento per la loro preparazione
DE102005002412A1 (de) 2005-01-18 2006-07-27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meren durch Sprühpolymerisation
EP1846049B1 (en) * 2005-02-04 2011-08-03 Basf Se Water-absorbing material having a coating of elastic film-forming polymers
DE602006015422D1 (de) * 2005-02-04 2010-08-26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asserabsorbierenden materials mit einem überzug aus elastischen filmbildenden polymeren
US20080154224A1 (en) * 2005-02-04 2008-06-26 Basf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Producing a Water-Absorbing Material Having a Coating of Elastic Filmforming Polymers
TW200635959A (en) * 2005-02-04 2006-10-16 Basf Ag Water swellable material
EP1846046B1 (en) * 2005-02-04 2010-1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 with improved water-absorbing material
DE102005014291A1 (de) 2005-03-24 2006-09-28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wasserabsorbierender Polymere
TWI353360B (en) * 2005-04-07 2011-12-01 Nippon Catalytic Chem Ind Production process of polyacrylic acid (salt) wate
US20060264861A1 (en) 2005-05-20 2006-11-23 Lavon Gary 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breathable side flaps
DE102005042604A1 (de) 2005-09-07 2007-03-08 Basf Ag Neutralisationsverfahren
TWI394789B (zh) 2005-12-22 2013-05-01 Nippon Catalytic Chem Ind 吸水性樹脂組成物及其製造方法、吸收性物品
WO2007074108A1 (en) * 2005-12-28 2007-07-05 Basf Se Process for production of a water-absorbing material
EP1837348B9 (en) 2006-03-24 2020-01-08 Nippon Shokubai Co.,Ltd. Water-absorbing resi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602007003397D1 (de) * 2006-03-29 2010-01-07 Nippon Catalytic Chem I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asserabsorbierendem Polyacrylsäure (Salz)-Harz
ATE465188T1 (de) 2006-10-19 2010-05-15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uperabsorbern
US7863350B2 (en) 2007-01-22 2011-01-04 Maxwell Chase Technologies, Llc Food preserv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DE102008000237A1 (de) 2007-02-06 2008-08-07 Basf Se Phenol-Imidazolderivate zur Stabilisierung von polymerisationsfähigen Verbindungen
WO2008110524A1 (en) * 2007-03-12 2008-09-18 Basf Se Process for producing re-moisturised surface-crosslinked superabsorbents
EP2157956B1 (en) 2007-06-18 2013-07-1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ealed absorbent core with substantially continuously distributed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GB2460727B (en) 2007-06-18 2012-04-11 Procter & Gambl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ubstantially continously distributed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and method
EP2018876A1 (en) * 2007-07-27 2009-01-2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water-absorbing polymeric particle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2010540696A (ja) * 2007-09-25 2010-12-24 サーモディ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耐久性のある膨潤性ヒドロゲルマトリックス及び方法
US20110054375A1 (en) 2007-11-27 2011-03-03 Hans Smola Dressing comprising polyacrylate particles and use thereof
EP2261264B1 (en) * 2008-03-31 2013-10-09 Nippon Shokubai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particulate water absorbent with water-absorbent resin as main ingredient
CN102007170B (zh) * 2008-04-11 2014-06-25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性树脂的表面处理方法和吸水性树脂的制造方法
MX2010011806A (es) 2008-04-29 2010-11-30 Procter & Gamble Proceso para fabricar un nucleo absorbente con una cubierta de nucleo resistente al estiramiento.
US20090318884A1 (en) * 2008-06-20 2009-12-24 Axel Meyer Absorbent structures with immobilized absorbent material
US20100063180A1 (en) * 2008-09-05 2010-03-11 Seungkoo Kang Fire protection and/or fire fighting additives, associated compositions, and associated methods
EP2163266A1 (en) 2008-09-12 2010-03-17 The Procter &amp; Gamble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water-absorbing material
CN102655950B (zh) 2009-02-18 2015-05-13 巴斯夫欧洲公司 制备吸水聚合物颗粒的方法
US20100247916A1 (en) 2009-03-24 2010-09-30 Basf Se Process for Producing Surface Postcrosslinked Water-Absorbing Polymer Particles
JP5645924B2 (ja) 2009-04-30 2014-12-24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金属不純物を分離する方法
EP2609939B1 (de) 2009-05-20 2014-10-29 Basf Se Wasserabsorbierende Speicherschichten
US8502012B2 (en) * 2009-06-16 2013-08-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s including coated absorbent material
CN102803316B (zh) 2009-06-26 2015-09-16 巴斯夫欧洲公司 具有低结块倾向和在压力下的高吸收的吸水性聚合物颗粒的制备方法
DE102009031992A1 (de) 2009-07-06 2011-01-13 Paul Hartmann Ag Vorrichtung zur Unterdrucktherapie von Wunden
EP2277557B1 (en) 2009-07-20 2014-06-2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ated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and processes therefore
EP2277558B1 (en) 2009-07-20 2014-07-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e particles and processes therefore
CN102481387B (zh) 2009-08-25 2014-10-01 巴斯夫欧洲公司 通过聚合单体溶液液滴而制备具有提高的血液吸收量的吸水聚合物颗粒的方法
WO2011023536A1 (de) 2009-08-25 2011-03-03 Basf Se Weiche partikuläre superabsorber und ihre verwendung
WO2011023560A2 (de) 2009-08-26 2011-03-03 Basf Se Geruchsinhibierende zusammensetzungen
CN102596266B (zh) 2009-08-28 2014-12-24 巴斯夫欧洲公司 生产经三氯生涂覆的超吸收剂的方法
US8481159B2 (en) 2009-09-04 2013-07-09 Basf Se Water-absorbent porous polymer particles having specific sphericity and high bulk density
BR112012005901A2 (pt) 2009-09-16 2019-09-24 Basf Se superabsorvente, processo para produzir um superabsorvente, artigo para absorver fluidos, e, processo para produzir artigos para absorver fluidos
CN102612379A (zh) 2009-09-17 2012-07-25 巴斯夫欧洲公司 颜色稳定的超吸收剂
US20120175556A1 (en) 2009-09-18 2012-07-12 Basf Se Open-Cell Foams Having Superabsorbers
EP2484439B1 (en) 2009-09-29 2022-12-14 Nippon Shokubai Co., Ltd. Particulate water absorbent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WO2011042404A1 (de) 2009-10-09 2011-04-14 Basf Se Verwendung von heizdampfkondensat zur herstellung wasserabsorbierender polymerpartikel
JP5591339B2 (ja) 2009-10-09 2014-09-17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吸水性ポリマー粒子の連続製造法
US10066064B2 (en) 2009-10-09 2018-09-04 Basf Se Process for remoisturizing surface-postcrosslinked water-absorbing polymer particles
WO2011042468A2 (de) 2009-10-09 2011-04-14 Basf Se Verfahren zur nachbefeuchtung oberflächennachvernetzter wasserabsorbierender polymerpartikel
CN102596393A (zh) 2009-11-06 2012-07-18 巴斯夫欧洲公司 含改良超吸收剂的织物
NZ599527A (en) 2009-11-09 2014-04-30 Spotlight Technology Partners Llc Fragmented hydrogels
JP5864429B2 (ja) 2009-11-09 2016-02-17 スポットライト テクノロジー パートナーズ エルエルシーSpotlight Technology Partners Llc 架橋ヒドロゲル組成物、ヒドロゲル組成物の形成方法、及びキット
JP2013511608A (ja) 2009-11-23 2013-04-04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色安定性が改善された吸水性ポリマー粒子の製造方法
CN102665771A (zh) 2009-11-23 2012-09-12 巴斯夫欧洲公司 制备吸水性起泡聚合物颗粒的方法
WO2011061282A1 (de) 2009-11-23 2011-05-26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wasserabsorbierender polymerer schäume
EP2329803B1 (en) 2009-12-02 2019-06-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articulate material
WO2011092098A1 (de) 2010-01-27 2011-08-04 Basf Se Geruchsinhibierende wasserabsorbierende verbundstoffe
CN102762617A (zh) 2010-02-24 2012-10-31 巴斯夫欧洲公司 制备吸水聚合物颗粒的方法
JP5818821B2 (ja) 2010-02-24 2015-11-18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吸水性ポリマー粒子の製造法
JP2013522403A (ja) 2010-03-15 2013-06-13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モノマー溶液の液滴の重合による水吸収ポリマー粒子の製造方法
US8703876B2 (en) 2010-03-15 2014-04-22 Basf Se Process for producing water absorbing polymer particles with improved color stability
WO2011117263A1 (en) 2010-03-24 2011-09-29 Basf Se A process for producing wat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by polymerizing droplets of a monomer solution
EP2550304B2 (de) 2010-03-24 2018-09-19 Basf Se Verfahren zur entfernung von restmonomeren aus wasserabsorbierenden polymerpartikeln
WO2011117187A1 (en) 2010-03-24 2011-09-29 Basf Se Ultrathin fluid-absorbent cores
JP2013523903A (ja) 2010-03-25 2013-06-17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吸水性ポリマー粒子の製造方法
WO2011131526A1 (de) 2010-04-19 2011-10-27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wasserabsorbierender polymerpartikel
WO2011157656A2 (de) 2010-06-14 2011-12-22 Basf Se Wasserabsorbierende polymerpartikel mit verbesserter farbstabilität
US9962459B2 (en) 2010-07-02 2018-05-08 Basf Se Ultrathin fluid-absorbent cores
WO2012016880A1 (de) 2010-08-03 2012-02-09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llyalkoholalkoxylaten
US9073836B2 (en) 2010-08-03 2015-07-07 Basf Se Process for preparing allyl alcohol alkoxylates
US9089624B2 (en) 2010-08-23 2015-07-28 Basf Se Ultrathin fluid-absorbent cores comprising adhesive and having very low dry SAP loss
JP2013540186A (ja) 2010-10-06 2013-10-31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熱的に表面後架橋された水吸収性ポリマー粒子の製法
US20130207037A1 (en) 2010-10-21 2013-08-15 Basf Se Water-Absorbing Polymeric Particle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EP2464680B1 (en) 2010-10-21 2013-10-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s comprising post-crosslinked water-absorbent particles
DE102010043113A1 (de) 2010-10-29 2012-05-03 Evonik Stockhausen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erbesserten absorbierenden Polymeren mittels kryogenem Mahlen
EP2447286A1 (en) 2010-11-01 2012-05-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using supercritical medium to produce polymers
EP2476714A1 (de) 2011-01-13 2012-07-18 Basf Se Polyurethanintegralschaumstoffe mit verbesserter Oberflächenhärte
WO2012107344A1 (de) 2011-02-07 2012-08-16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wasserabsorbierender polymerpartikel
EP2673011B2 (de) 2011-02-07 2019-01-16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wasserabsorbierender polymerpartikel mit hoher anquellgeschwindigkeit
DE102011003882A1 (de) 2011-02-09 2012-08-09 Sb Limotive Company Ltd. Zusammensetzung zum Löschen und/oder Hemmen von Fluor- und/oder Phosphor-haltigen Bränden
DE102011003877A1 (de) 2011-02-09 2012-08-09 Sb Limotive Company Ltd. Zusammensetzung zum Löschen und/oder Hemmen von Fluor- und/oder Phosphor-haltigen Bränden
EP2683760B1 (de) 2011-03-08 2018-02-28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asserabsorbierenden polymerpartikeln mit verbesserter permeabilität
DE102011007723A1 (de) 2011-04-20 2012-10-25 Evonik Stockhausen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asserabsorbierenden Polymeren mit hoher Absorptionsgeschwindigkeit
EP2705075B1 (de) 2011-05-06 2016-12-21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wasserabsorbierender polymerpartikel
WO2012156385A1 (en) 2011-05-18 2012-11-22 Basf Se Water-absorbing composites
US9279048B2 (en) 2011-05-18 2016-03-08 Basf Se Use of water-absorbing polymer particles for dewatering feces
US9265855B2 (en) 2011-05-18 2016-02-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eminine hygiene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superabsorbent foam of high swell rate
CN103596599B (zh) 2011-05-18 2016-08-17 巴斯夫欧洲公司 吸水聚合物颗粒用于吸收血液和/或月经的用途
US8987545B2 (en) 2011-05-18 2015-03-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eminine hygiene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water-absorbing polymer particles
US20120296297A1 (en) 2011-05-18 2012-11-22 Achille Di Cintio Feminine hygiene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water-absorbing polymeric foams
JP6109157B2 (ja) 2011-05-18 2017-04-05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高膨潤率の超吸収性フォームの製造
US9149556B2 (en) 2011-05-18 2015-10-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eminine hygiene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water-absorbing composites
CN103561782B (zh) 2011-05-26 2016-11-16 巴斯夫欧洲公司 制备吸水性聚合物颗粒的方法
JP2014515413A (ja) 2011-05-26 2014-06-30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吸水性ポリマー粒子の連続的な製造法
US8999884B2 (en) 2011-06-01 2015-04-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s with coated water-absorbing material
US8664151B2 (en) 2011-06-01 2014-03-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s comprising reinforced polyurethane coating agent
WO2012163995A1 (de) 2011-06-01 2012-12-06 Basf Se Geruchsinhibierende mischungen für inkontinenzartikel
EP2714750B1 (de) 2011-06-03 2015-04-08 Basf Se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wasserabsorbierender polymerpartikel
EP2714755B1 (de) 2011-06-03 2017-04-26 Basf Se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wasserabsorbierender polymerpartikel
EP2532328B1 (en) 2011-06-10 2014-02-2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absorbent material
EP2532334B1 (en) 2011-06-10 2016-10-1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EP3266430B1 (en) 2011-06-10 2020-07-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s
CA2838980A1 (en) 2011-06-10 2012-12-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PL2717820T3 (pl) 2011-06-10 2020-01-3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truktura chłonna do wyrobów chłonnych
EP2532329B1 (en) 2011-06-10 2018-09-1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absorbent material
SG194984A1 (en) 2011-06-10 2013-12-30 Procter & Gamble Absorbent structure for absorbent articles
PL2532332T5 (pl) 2011-06-10 2018-07-3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ieluszka jednorazowego użytku o zredukowanym połączeniu pomiędzy wkładem chłonnym a warstwą spodnią
WO2013003686A1 (en) 2011-06-30 2013-0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 comprising an oil-scavenger component
JP5980325B2 (ja) 2011-07-14 2016-08-31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高い膨潤速度を有する吸水性ポリマー粒子の製造法
WO2013045163A1 (en) 2011-08-12 2013-04-04 Basf Se A process for producing wat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by polymerizing droplets of a monomer solution
WO2013056978A2 (en) 2011-10-18 2013-04-25 Basf Se Fluid-absorbent article
EP2586410A1 (en) 2011-10-24 2013-05-01 Bostik SA Novel process for preparing an absorbent article
EP2586412A1 (en) 2011-10-24 2013-05-01 Bostik SA New absorbent article and process for making it
EP2586409A1 (en) 2011-10-24 2013-05-01 Bostik SA New absorbent article and process for making it
DE102011117127A1 (de) 2011-10-28 2013-05-02 Basf Se Flüssigkeiten aufnehmende und Flüssigkeiten speichernde Polymere, insbesondere Pfropfpolymer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DE102011086516A1 (de) 2011-11-17 2013-05-23 Evonik Degussa Gmbh Superabsorbierende Polymere mit schnellen Absorptionseigenschaften sowie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9126186B2 (en) 2011-11-18 2015-09-08 Basf Se Process for producing thermally surface postcrosslinked water-absorbing polymer particles
WO2013076031A1 (de) 2011-11-22 2013-05-30 Basf Se Superabsorber mit pyrogenem aluminiumoxid
JP2015506406A (ja) 2012-02-06 2015-03-02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吸水性ポリマー粒子の製造法
JP6133332B2 (ja) 2012-02-15 2017-05-24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高い膨潤速度および高い透過率を有する吸水性ポリマー粒子
WO2013143943A1 (de) 2012-03-30 2013-10-03 Basf Se Verfahren zur thermischen oberflächennachvernetzung in einem trommelwärmetauscher mit inverser schneckenwendel
CN104271622B (zh) 2012-03-30 2017-02-22 巴斯夫欧洲公司 颜色稳定的超吸收剂
KR20140142740A (ko) 2012-03-30 2014-12-12 바스프 에스이 색 안정적 초흡수체
CN104394895A (zh) 2012-04-17 2015-03-04 巴斯夫欧洲公司 制备表面后交联吸水性聚合物颗粒的方法
JP2015514842A (ja) 2012-04-17 2015-05-21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表面後架橋された吸水性ポリマー粒子の製造法
EP2859039A2 (en) 2012-06-08 2015-04-15 Basf Se Odour-control superabsorbent
EP2671554B1 (en) 2012-06-08 2016-04-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WO2013186176A1 (de) 2012-06-13 2013-12-19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wasserabsorbierender polymerpartikel in einem polymerisationsreaktor mit mindestens zwei achsparallel rotierenden wellen
WO2013189770A1 (de) 2012-06-19 2013-12-27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wasserabsorbierender polymerpartikel
EP2679208B1 (en) 2012-06-28 2015-0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EP2679209B1 (en) 2012-06-28 2015-03-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core
EP2679210B1 (en) 2012-06-28 2015-0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core
EP2870183B1 (de) 2012-07-03 2021-12-01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wasserabsorbierender polymerpartikel mit verbessertem eigenschaftsprofil
WO2014019813A1 (de) 2012-07-30 2014-02-06 Basf Se Geruchsinhibierende mischungen für inkontinenzartikel
CN104583241B (zh) 2012-08-27 2018-01-16 巴斯夫欧洲公司 制备吸水性聚合物颗粒的方法
EP2897994B1 (en) 2012-09-19 2016-11-23 Basf Se Process for producing water-absorbing polymer particles
EP2730596A1 (de) 2012-11-13 2014-05-14 Basf Se Polyurethanweichschaumstoffe enthaltend Pflanzensamen
DE202013012607U1 (de) 2012-11-13 2017-11-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ptionsartikel mit Kanälen und Signalen
SG11201503955XA (en) 2012-11-21 2015-06-29 Basf Se A process for producing surface-postcrosslinked wat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WO2014079785A2 (de) 2012-11-26 2014-05-30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uperabsorbern auf basis nachwachsender rohstoffe
DE202012013572U1 (de) 2012-12-10 2017-1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ptionsartikel mit hohem Absorptionsmaterialgehalt
DE202012013571U1 (de) 2012-12-10 2017-12-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ptionspartikel mit hohem Absorptionsmaterialgehalt
ES2743718T3 (es) 2012-12-10 2020-02-20 Procter & Gamble Artículo absorbente con sistema de sistema de captación-distribución perfilado
PL2740452T3 (pl) 2012-12-10 2022-01-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yrób chłonny o wysokiej zawartości materiału chłonnego
US10639215B2 (en) 2012-12-10 2020-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US9216116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US8979815B2 (en) 2012-12-10 2015-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EP2740449B1 (en) 2012-12-10 2019-0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material content
EP2740450A1 (en) 2012-12-10 2014-06-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high superabsorbent material content
US9216118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EP2951212B1 (de) 2013-01-29 2017-03-15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wasserabsorbierender polymerpartikel mit hoher quellgeschwindigkeit und hoher zentrifugenretentionskapazität bei gleichzeitig hoher permeabilität des gequollenen gelbetts
CN104955492B (zh) 2013-01-30 2018-01-12 巴斯夫欧洲公司 从吸水性聚合物颗粒中去除残余单体的方法
DE102013203781A1 (de) 2013-03-06 2014-09-11 Evonik Industries Ag Superabsorbierende Polymere mit verbesserten Eigenschaften, insbesondere Geruchskontrolle und Farbbeständigkeit,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2013203779A1 (de) 2013-03-06 2014-09-11 Evonik Industries Ag Superabsorbierende Polymere mit verbesserter Geruchskontrolleigenschaft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9820894B2 (en) 2013-03-22 2017-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JP6163254B2 (ja) 2013-04-08 2017-07-1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バリアレッグカフを備える吸収性物品
US9375507B2 (en) 2013-04-10 2016-06-28 Evonik Corporation Particulate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tability
US9302248B2 (en) 2013-04-10 2016-04-05 Evonik Corporation Particulate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tability
DE102013209023A1 (de) 2013-05-15 2014-11-20 Evonik Industries Ag Superabsorbierende Polymere mit schnellen Absorptionseigenschaften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2013208942A1 (de) 2013-05-15 2014-11-20 Evonik Industries Ag Superabsorbierende Polymere mit schnellen Absorptionseigenschaften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EP2813201B1 (en) 2013-06-14 2017-11-0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core forming channels when wet
JP2016535646A (ja) 2013-08-26 2016-11-17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流体吸収性製品
US9987176B2 (en) 2013-08-27 2018-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RU2649546C2 (ru) 2013-08-27 2018-04-03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Абсорбирующие изделия, содержащие каналы
WO2015036273A1 (de) 2013-09-12 2015-03-19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crylsäure
US11207220B2 (en) 2013-09-16 2021-1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US10292875B2 (en) 2013-09-16 2019-05-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EP3351225B1 (en) 2013-09-19 2021-12-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KR102191077B1 (ko) 2013-10-30 2020-12-15 바스프 에스이 현탁 중합에 의한 물-흡수 중합체 입자의 제조 방법
CN105980799B (zh) 2013-11-22 2019-09-03 巴斯夫欧洲公司 制备吸水性聚合物颗粒的方法
US9789009B2 (en) 2013-12-19 2017-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wetness indicator
ES2606320T3 (es) 2013-12-19 2017-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úcleos absorbentes que tienen áreas formadoras de canal y juntas de envoltura en c
EP2905001B1 (en) 2014-02-11 2017-01-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absorbent structure comprising channels
EP2915548B1 (de) 2014-03-05 2017-11-01 Evonik Degussa GmbH Superabsorbierende polymere mit verbesserter geruchskontrolleigenschaft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ES2643577T3 (es) 2014-05-27 2017-1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úcleo absorbente con diseño de material absorbente
EP2949301B1 (en) 2014-05-27 2018-04-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curved and straight absorbent material areas
EP2949300B1 (en) 2014-05-27 2017-08-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EP2949302B1 (en) 2014-05-27 2018-04-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curved channel-forming areas
EP2977390B1 (en) 2014-07-25 2017-06-21 Evonik Degussa GmbH Anti-stick processing aids and use thereof in the production of water-absorbing particles
EP2995322B1 (de) 2014-09-15 2017-03-01 Evonik Degussa GmbH Geruchsadsorptionsmittel
EP2995323B1 (de) 2014-09-15 2019-02-27 Evonik Degussa GmbH Aminopolycarboxylsäuren als Prozesshilfsmittel bei der Superabsorberherstellung
EP3000486B1 (de) 2014-09-23 2017-11-08 Evonik Degussa GmbH Superabsorberproduktion unter Einsatz bestimmter Fördermaschinen
WO2016052537A1 (ja) 2014-09-29 2016-04-07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性樹脂粉末及び吸水性樹脂粉末の弾性率の測定方法
WO2016050397A1 (de) 2014-09-30 2016-04-07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wasserabsorbierender polymerpartikel
EP3009474B1 (de) 2014-10-16 2017-09-13 Evonik Degussa GmbH Herstellverfahren für wasserlösliche Polymere
WO2016135020A1 (de) 2015-02-24 2016-09-01 Basf Se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dehydratisierung von 3-hydroxypropionsäure zu acrylsäure
EP3270857B1 (en) 2015-03-16 2019-12-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strength
US10322040B2 (en) 2015-03-16 2019-06-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cores
US10857256B2 (en) 2015-04-07 2020-12-08 Basf Se Method for producing super absorber particles
WO2016162175A1 (de) 2015-04-07 2016-10-13 Basf Se Verfahren zur dehydratisierung von 3-hydroxypropionsäure zu acrylsäure
WO2016162218A1 (de) 2015-04-07 2016-10-13 Basf Se Verfahren zur agglomeration von superabsorberpartikeln
KR102597114B1 (ko) 2015-05-08 2023-11-01 바스프 에스이 물 흡수성 폴리머 입자들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 및 벨트 건조기
US10736795B2 (en) 2015-05-12 2020-08-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core-to-backsheet adhesive
EP3302387B1 (en) 2015-05-29 2020-11-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s and wetness indicator
WO2016207444A1 (en) 2015-06-26 2016-12-29 Bostik Inc. New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n acquisition/distribution layer and process for making it
EP3167859B1 (en) 2015-11-16 2020-05-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PL3175832T3 (pl) 2015-12-02 2021-06-14 Paul Hartmann Ag Wyrób chłonny z ulepszonym rdzeniem
EP3205318A1 (en) 2016-02-11 2017-08-1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capacity
CN109310986B (zh) 2016-03-28 2022-03-15 株式会社日本触媒 颗粒状吸水剂
US20170281425A1 (en) 2016-03-30 2017-10-05 Basf Se Fluid-absorbent article
US10881555B2 (en) 2016-03-30 2021-01-05 Basf Se Fluid-absorbent article
US10806640B2 (en) 2016-03-30 2020-10-20 Basf Se Ultrathin fluid-absorbent article
EP3238678B1 (en) 2016-04-29 2019-02-2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transversal folding lines
EP3238676B1 (en) 2016-04-29 2019-01-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profiled distribution of absorbent material
EP3251648A1 (en) 2016-05-31 2017-12-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fluid distribution
WO2017207330A1 (de) 2016-05-31 2017-12-07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uperabsorbern
EP3278782A1 (en) 2016-08-02 2018-02-0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fluid storage
EP3497141B1 (de) 2016-08-10 2020-11-25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uperabsorbern
WO2018077639A1 (en) 2016-10-26 2018-05-03 Basf Se Method for discharging superabsorbent particles from a silo and filling them into bulk containers
US10828208B2 (en) 2016-11-21 2020-11-10 The Procte & Gamble Company Low-bulk, close-fitting, high-capacity disposable absorbent pant
KR102162503B1 (ko) 2016-12-23 2020-10-06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8141677A1 (en) 2017-02-06 2018-08-09 Basf Se Fluid-absorbent article
EP3582734B1 (en) 2017-02-17 2021-12-01 Basf Se Fluid-absorbent article
US20200023625A1 (en) 2017-02-22 2020-01-23 Nippon Shokubai Co., Ltd. Water absorbent sheet, elongated water absorbent sheet, and absorbent article
EP3391959A1 (en) 2017-04-19 2018-10-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king water-absorbing polymer particles having areas with inorganic solid particles and areas substantially free of inorganic solid particles
EP3391961A1 (en) 2017-04-19 2018-10-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gglomerated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having a specific size ratio
US10767029B2 (en) 2017-04-19 2020-09-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gglomerated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comprising clay platelets with edge modification and/or surface modification
EP3391958B1 (en) 2017-04-19 2020-08-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surface-coated water-absorbing polymer particles in a microfluidic device
EP3391960B1 (en) 2017-04-19 2023-11-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comprising one, or more than one area(s) with clay platelets and at least two distinct, non-adjacent areas with no clay platelets
EP3391963B1 (en) 2017-04-19 2021-04-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to prepare agglomerated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comprising clay platelets with edge modification and/or surface modification
US10875985B2 (en) 2017-04-19 2020-12-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comprising one or more than one area(s) with clay platelets and at least two distinct areas substantially free of clay platelets
EP3391962A1 (en) 2017-04-19 2018-10-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king water-absorbing polymer particles
US11053370B2 (en) 2017-04-19 2021-07-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gglomerated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having a specific size ratio
US20180333310A1 (en) 2017-05-18 2018-11-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ncontinence pant with low-profile unelasticized zones
KR102215025B1 (ko) * 2017-06-30 2021-0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얻은 고흡수성 수지
JP7229987B2 (ja) 2017-07-12 2023-02-28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超吸収性ポリマー粒子の製造方法
JP7287946B2 (ja) 2017-07-31 2023-06-06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超吸収性ポリマー粒子の分級方法
KR102621946B1 (ko) 2017-10-18 2024-01-05 바스프 에스이 초흡수제의 제조 방법
DE202017005496U1 (de) 2017-10-24 2017-12-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inwegwindel
US11813589B2 (en) 2017-11-10 2023-11-14 Basf Se Superabsorbent complexed with aluminum ions
DE202017006014U1 (de) 2017-11-21 2018-01-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ptionsartikel mit Taschen
DE202017006016U1 (de) 2017-11-21 2017-12-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ptionsartikel mit Kanälen
CN111566145A (zh) 2018-01-09 2020-08-21 巴斯夫欧洲公司 超吸收剂混合物
WO2019154652A1 (de) 2018-02-06 2019-08-15 Basf Se Verfahren zur pneumatischen förderung von superabsorberpartikeln
CN111836837A (zh) 2018-02-22 2020-10-27 巴斯夫欧洲公司 制备超强吸水剂颗粒的方法
EP3774999B1 (de) 2018-04-10 2022-08-03 Basf Se Permeabler superabsorb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N111989074B (zh) 2018-04-20 2022-08-05 巴斯夫欧洲公司 制备超吸收剂的方法
CN112040919B (zh) 2018-04-20 2023-06-27 巴斯夫欧洲公司 薄流体吸收芯-吸收性纸
US20210291145A1 (en) 2018-07-24 2021-09-23 Basf Se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uperabsorbers
JP2021532868A (ja) 2018-08-01 2021-12-02 ビーエイエスエフ・ソシエタス・エウロパエアBasf Se 生理用吸収性物品
CN112512476A (zh) 2018-08-01 2021-03-16 巴斯夫欧洲公司 流体吸收芯
EP3840872B1 (de) 2018-08-20 2023-08-30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uperabsorbern
US20210338882A1 (en) 2018-09-28 2021-11-04 Basf Se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uperabsorbents
WO2020089013A1 (en) 2018-10-29 2020-05-07 Basf Se Process for producing long-term color stable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DE102019216910A1 (de) 2018-11-12 2020-05-14 Basf Se Verfahren zur Oberflächennachvernetzung von Superabsorbern
US20220016596A1 (en) 2018-11-14 2022-01-20 Basf Se Process for Producing Superabsorbents
JP2022507366A (ja) 2018-11-14 2022-01-18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超吸収体を製造する方法
JP2022507247A (ja) 2018-11-14 2022-01-18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超吸収体を製造する方法
WO2020109601A1 (en) 2018-11-29 2020-06-04 Basf Se Predi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uperabsorbent polymers
WO2020151971A1 (de) 2019-01-23 2020-07-30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uperabsorberpartikeln
WO2020151969A1 (de) 2019-01-23 2020-07-30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uperabsorberpartikeln
WO2020151972A1 (de) 2019-01-23 2020-07-30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uperabsorberpartikeln
EP3914400A1 (de) 2019-01-23 2021-12-01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uperabsorberpartikeln
US20220080386A1 (en) 2019-01-24 2022-03-17 Basf Se Method for producing superabsorbent particles
JP2022523396A (ja) 2019-03-01 2022-04-22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超吸収性ポリマー粒子を製造する方法
JP2020180260A (ja) * 2019-04-26 2020-11-05 株式会社大阪ソーダ アクリル酸エステル系化合物からなる架橋剤、当該架橋剤を含有する吸水性樹脂用組成物、及び吸水性樹脂
JP2022542057A (ja) 2019-07-24 2022-09-29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浸透性超吸収体、及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EP4214252A1 (en) 2020-09-17 2023-07-26 Basf Se Process for producing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CN116348431A (zh) 2020-10-28 2023-06-27 宝洁公司 包含回收的超吸收聚合物的胶结组合物
WO2022128619A1 (de) 2020-12-16 2022-06-23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uperabsorberpartikeln
CN113072791A (zh) * 2021-04-01 2021-07-06 吴达华 一种以玉米淀粉为原料的可降解塑料及其制备方法
WO2023046583A1 (de) 2021-09-27 2023-03-30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uperabsorberpartikeln
WO2023168616A1 (en) 2022-03-09 2023-09-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high permeability sap
US20240091073A1 (en) 2022-09-08 2024-03-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pants with elasticized waist panel structure and obscuring print patterns
WO2024089252A1 (en) 2022-10-28 2024-05-02 Basf Se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propylene-derived chemical of interest, in particular an acrylic ester, from renewably-sourced ethano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49A (en) * 1861-06-25 Improvement in machines for trimming teasels
US3247171A (en) * 1963-04-08 1966-04-19 Dow Chemical Co Process for hydrolyzing a cross-linked acrylamide polymer and the product thereby
FR2575479B1 (fr) * 1984-12-27 1987-02-27 Charbonnages Ste Chimique Copolymeres amphoteres, leur procede de fabrication et leur application a la retention d'eau
US4618703A (en) * 1985-09-13 1986-10-21 Atlantic Richfield Company Production of the acrylates and methacrylates of oxyalkylated allyl alcohol
DE3713601A1 (de) * 1987-04-23 1988-11-10 Stockhausen Chem Fab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ark wasserabsorbierenden polymerisats
US4833222A (en) * 1987-10-22 1989-05-23 The Dow Chemical Company Crosslinker stabilizer for preparing absorbent polymers
US5154713A (en) * 1991-10-22 1992-10-13 Nalco Chemical Company Enhancing absorption rates of superabsorbents by incorporating a blowing agent
DE4138408A1 (de) * 1991-11-22 1993-05-27 Cassella Ag Hydrophile, hochquellfaehige hydrogele
GB9208449D0 (en) * 1992-04-16 1992-06-03 Dow Deutschland Inc Crosslinked hydrophilic resins and method of preparation
US5767213A (en) * 1992-05-29 1998-06-16 The Dow Chemical Company Direct application of surface treatment to absorbent polymers
BR9307292A (pt) * 1992-10-14 1999-06-01 Dow Chemical Co Material absorvente de água polimérico processo para preparar um material absorvente de fluideo aquoso material absorvente de fluideo aquoso material absorvente de fluido aquoso e método para usar um material absorvente de fluido aquoso
DE4244548C2 (de) * 1992-12-30 1997-10-02 Stockhausen Chem Fab Gmbh Pulverförmige, unter Belastung wäßrige Flüssigkeiten sowie Blut absorbierende Polymer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in textilen Konstruktionen für die Körperhygiene
US5314420A (en) * 1993-09-17 1994-05-24 Nalco Chemical Company Superabsorbent polymer having improved absorption rate and absorption under pressure
DE4333056C2 (de) * 1993-09-29 1998-07-02 Stockhausen Chem Fab Gmbh Pulverförmige, wäßrige Flüssigkeiten absorbierende Polymer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Absorptionsmittel
DE4411536A1 (de) * 1994-04-02 1995-10-05 Cassella Ag Wasserquellbare hydrophile Polyme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4644A1 (ko) * 2012-12-27 2014-07-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해질
WO2016148397A1 (ko) * 2015-03-18 2016-09-22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방법
KR20190013807A (ko) * 2016-06-03 2019-02-11 코아텍스 점증 및 현탁 특성을 갖는 공중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73188B1 (de) 1999-10-27
ATE185982T1 (de) 1999-11-15
JP2001503310A (ja) 2001-03-13
ES2139394T3 (es) 2000-02-01
DE59603516D1 (de) 1999-12-02
DE19543368C2 (de) 1998-11-26
EP0873188A1 (de) 1998-10-28
TW408137B (en) 2000-10-11
CN1142953C (zh) 2004-03-24
DE19543368A1 (de) 1997-05-22
KR100406312B1 (ko) 2004-03-24
DK0873188T3 (da) 2000-04-03
JP3900538B2 (ja) 2007-04-04
US6143821A (en) 2000-11-07
CZ150598A3 (cs) 1998-11-11
WO1997018890A1 (de) 1997-05-29
CN1207690A (zh) 1999-02-10
CA2235704A1 (en) 1997-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6312B1 (ko) 개선된성질을가진수분흡수성중합체,그제조방법및용도
EP0312952B1 (en) Process for preparing absorbent polymers
TWI441841B (zh) 水溶性或水膨脹性聚合物,特別是由丙烯醯胺與至少一離子性共單體所成的低單體殘留量之水溶性或水膨脹性共聚物
AU718132B2 (en) Fluid-absorbing polymer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and use thereof
EP1466928B2 (en) Process for producing water-absorbing resin
US6087450A (en) Water-swelling polymers cross-linked with unsaturated amino alcohols, the production and use of same
KR0174745B1 (ko) 흡수성 수지의 제조방법
KR890004330B1 (ko) 흡수성 수지의 제조방법
EP0280541B1 (en) Process for producing highly water absorptive polymer
JP2877255B2 (ja) 耐久性の優れた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
JPH11511183A (ja) 水および水性液体用吸収剤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WO2001045758A1 (en) High permeability, low absorption capacity polymers
JPH01165615A (ja) 親水性で膨潤性のグラフト重合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JPH0826085B2 (ja) 耐久性の優れた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
JPH04227705A (ja) 耐塩性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
CA2806827C (en) Process for producing carboxyl-containing polymer composition, and carboxyl-containing polymer composition
JPH09183884A (ja) 透明性ゲ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199602A (ja) 吸水性ポリマ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302310A (ja) 多孔性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
JPH0656933A (ja) 吸水性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02673A (ko) 다공성 흡수성수지의 제조방법
JP2001200006A (ja) 吸水性樹脂の製造法
JP3187370B2 (ja) 耐久性の優れた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
JP2001172331A (ja) 吸水性樹脂及びその製造方法
JPS60161410A (ja) 高吸水性樹脂固体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