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5385B1 - 비만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만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5385B1
KR100645385B1 KR1020050093577A KR20050093577A KR100645385B1 KR 100645385 B1 KR100645385 B1 KR 100645385B1 KR 1020050093577 A KR1020050093577 A KR 1020050093577A KR 20050093577 A KR20050093577 A KR 20050093577A KR 100645385 B1 KR100645385 B1 KR 100645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weight
fat
leaf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영
이희석
김준식
함종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안지오랩
김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50093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385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안지오랩, 김민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안지오랩
Priority to CN200680036456.7A priority patent/CN101277710B/zh
Priority to EP06799129.9A priority patent/EP1951275B8/en
Priority to CA2624929A priority patent/CA2624929C/en
Priority to ES06799129.9T priority patent/ES2581336T3/es
Priority to AU2006297973A priority patent/AU2006297973A1/en
Priority to JP2008534469A priority patent/JP5284097B2/ja
Priority to PCT/KR2006/004049 priority patent/WO2007040377A1/en
Priority to BRPI0617988-6A priority patent/BRPI0617988A2/pt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385B1/ko
Priority to US12/059,611 priority patent/US9155773B2/en
Priority to AU2011201268A priority patent/AU201120126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8Plantaginaceae (Plantai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Abstract

본 발명은 멜리사엽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뽕나무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쥐 또는 고지방식이쥐에게 투여하였을 때, 체중증가 억제효과, 지방조직의 증가 억제 효과,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효과, 비만관련 혈당수치도 낮아지는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시 지방세포도 비대해지지 않고, 지방세포의 크기 및 면적이 줄어들며, 간에서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는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상시험시 체중, 체지방율 감소, 복부 내장지방 감소, 아포리포프로틴 B 농도 감소, 총 콜레스테롤/HDL 콜레스테롤 비율 및 LDL/HDL 비율의 감소 효과를 보이면서 동맥경화지수의 개선 및 근육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체중감소, 특히 복부지방 중 내장지방을 억제하기 위한 비만 억제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만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obesity}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비만쥐에게 투여시 처리기간별 체중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고지방식이쥐에게 투여시 처리기간별 체중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비만관련 혈당수치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조성물이 피하조직의 지방세포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간 조직내의 지방 액포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성물 복용 전후, 임상시험 대상자의 체중, 체지방 및 제지방량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조성물 복용 전후, 임상시험 대상자의 내장지방 및 피하지방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비만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지구촌 최대의 역병으로 WHO는 1997년 비만을 질병으로 규정하였다. 과체중과 비만은 1960년 이후로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결코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미국의 경우 과체중, 비만에 해당하는 사람의 숫자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20세 이상의 성인 인구의 65%가 과체중이며 30%가 비만으로 분류되고 있다. 개발도상국에서도 경제적으로 발달된 지역에서는 비만율이 선진국에 버금갈 정도이다. 현재 미국과 일본에 과체중으로 분류되는 사람은 약 3억명에 이르고 있다. 매년 30만명 이상이 비만으로 인하여 사망하고 있으며, 비만과 관련되어 쓰이는 비용만도 약 천억불에 이른다.
전세계적으로 비만인구는 경제개발, 현대화, 도시화 등에 힘입은 환경변화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과체중율에서는 앞서지만 비만율에서는 여성이 일반적으로 좀 더 높다. 어린아이와 청소년기의 비만율은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모두에서 높다.
현재 비만에 대한 치료법으로는 섭취하는 음식물의 칼로리 조절(dietary therapy), 비만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육체적인 활동의 증가(physical activity), 체중을 빠지게 하는 생활습관(behavior therapy), 약물요법(drug therapy), 위절제술(combined therapy surgery) 등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다이어트 용도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식품은 대부분이 식이섬유이 며, 그 외에도 과학적으로 효능이 증명되지 않은 다이어트 식품들이 판매되고 있다.
또한, 의약품으로 FDA에 의해서 체중감소 용도로 허가된 약물은 오리스테트(Orlistat, 상품명 Xenical), 펜터민(Phentermine, 상품명 Fastin, Zantryl 등), 그리고 시부트라민(Sibutramine, 상품명 Reductil, Meridia)의 3종류가 있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다.
가장 최근에 허가를 받은 Orlistat(Xenical)은 음식으로 들어온 지방의 약 30% 정도를 흡수하지 못하게 하여 체중을 감소시키며, 펜터민과 시부트라민은 식욕억제시키는 약제이다.
Orlistat(Xenical)은 소화관에서 리파아제(lipase)에 결합하여 소장에서 지방의 분해를 감소시켜 지방의 흡수를 못하게 하므로, 소화되지 않은 지방이 장에 남아 여러 가지 부작용을 유발한다. 복통, 지방변, 구토증, 우울증, 다리의 통증 등과 같은 여러 부작용을 수반하며 섭취하는 음식물에 지방이 많을수록 부작용이 더욱 커진다.
Phentermine은 뇌의 세포토닌(serotonin) 수치를 바꾸어 식욕을 억제하는데, 반면 혈압을 높이고, 심장 박동을 빠르게 하며, 암페타민(amphetamine)과 같이 중추신경을 흥분시키는 부작용이 있다.
Sibutramine은 신경계 전달물질인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세로토닌(serotonin) 및 도파민(dopamine)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뇌의 식욕 억제를 일으키는데 복통, 불안, 변비, 불면, 두통 등 많은 부작용을 유발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최근 보고에 의하면 Sibutramine (Reductil)과 심장질환 사망이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나오면서 안전성(safety)의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상적인 비만치료제는 체중감소시 근육량과 뼈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체지방만을 선택적으로 줄여야 하고, 성공적인 체중감량 후 유지가 가능해야 하며, 무엇보다도 장기복용에 따른 부작용이 없어야 한다.
발명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며 체지방 및 체중을 감소시키는 비만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오래 전부터 사용해오던 생약을 대상으로 비만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국내특허공개 제10-2004-0065427호는 인진쑥에서 분리한 인진쑥올리고당 AIP1(Artemisia iwayomogi Polysaccharide Fraction 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증의 내분비 생리적 대사작용 개선용 기능성 바이오헬스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고, 국내특허공개 제10-2005-83066호는 두충엽 추출물 또는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멜리사엽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및 뽕나무잎 추출물을 배합한 조성물이 체중감소, 체지방 감소 등에 획기적인 작용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멜리사엽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및 뽕나무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멜리사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멜리사엽 추출물 0.1~95.0 중량부를 함유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멜리사엽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및 뽕나무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멜리사엽 추출물 0.1~95.0 중량부, 인진쑥 추출물 0.1~60.0중량부, 뽕나무잎 추출물 1.0~70.0중량부를 함유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멜리사엽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뽕나무잎 추출물을 1~3: 0.1~1: 1~3 의 건조중량비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멜리사(Melissa officinalis)는 꿀풀과(Labitae)에 속하는 다년생초본(多年生草本)으로 비혈초나 레몬밤(Lemon Balm)이라는 별칭을 갖는다. 멜리사엽 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와 테르펜산(terpene acid), 휘발성 오일(valatile oil), 알콜 및 페놀 화합물 등의 배당체 및 카페산 유도체를 함유하고 있으며, 멜리사에 함유되어 있는 비휘발성 성분의 하나인 로즈마릭 산(rosmarinic acid)은 함량이 클 뿐만 아니라 소염해열의 작용도 강하며, 잎에 포함되어 있는 정유는 약효가 풍부하고, 특히 우울증, 신경성 두통, 기억력 저하, 신경통, 발열 등의 병에 널리 쓰여왔으며, 그 외에도 진정 작용, 항균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항 산화 작용 및 항호르몬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고, 현재 멜리사엽 건조엑스는 혈액순환 개선제 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청열, 소염, 진통, 이습(利濕)의 효능이 있으며, 황달, 소변불리, 풍양창개(風痒瘡疥), 부인병을 치료하는 데에 이용되어 왔다. 인진쑥에는 스코파론(scoparone), 카필린(capillin), 카필론(capillone), 카필렌(capillene), 카필린(capillarin)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스코파론(scoparone)은 담즙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빌리루빈(bilirubin)의 배설을 촉진시키는 효과, 간기능 개선, 숙취해소, 항산화, 항균, 항종양효과가 알려져 있다.
또한, 뽕나무(Morus alba L.)의 잎을 상엽(桑葉)이라고 하며, 거풍, 청열, 명목의 효능이 있고, 풍온발열, 두통, 목적, 구갈을 치료한다. 뽕나무잎에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성분인 루틴(rutin), 퀘르세틴(quercetin), 이소퀘르세틴(isoquercetin), 모라세틴(moracetin), 곤충 변태 호르몬인 이노코스테론(inokosterone), 엑디스테론(ecdysterone)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뽕나무잎 추출액은 혈당강하작용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국내특허공개 제10-1998-21670호).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생약은 통상적인 건조 방법에 따라 생약 자체를 건조시켜 건조물 상태 또는 상기 건조물을 세절 또는 분말 형태로 하여, 통상적인 추출 방법, 예를 들면 열수 추출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이미 상품으로 시판되는 추출물 분말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는 생약은 건조한 것, 건조하지 않은 것 또는 이들을 서로 혼합한 상태의 것을 추출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추출물은 생약을 세절한 후, 생약 무게의 약 3배 내지 20배의 물,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또는 유기용매로 실온 내지 100 ℃의 추출온도에서 약 6시간 내지 10일 동안 열수추출, 냉침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냉각 추출 등의 추출방법에 의하여 1회 내지 5회 반복하여 추출한 후, 추출물을 여과,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저급알콜은 C1 내지 C4의 탄소수를 갖는 저급알콜을 포함하며, 상기 유기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헥산,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비극성 용매를 포함하고, 용매를 생약 무게의 3배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추출효과를 나타내며, 20배 이상을 사용할 때는 용매가 추출량에 비하여 많이 소요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부가적으로 식이 섬유 및 녹차, 홍삼을 비롯한 기준 및 규격이 정하여진 기능성 식품의 원료 또는 성분, 비타민, 미네랄 또는 기타의 허가된 식품 첨가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적정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이섬유는 차전자피,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결정셀룰로오스, 리그닌, 펙틴, 알긴산, 폴리만뉴로닉산, 구아검, 아라비아검, 아라비노갈락탄, 곤약만난, 이눌린, 레반, 폴리덱스트로스,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녹차는 녹차 추출액 또는 녹차 추출액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 고, 상기 홍삼은 홍삼 분말, 홍삼 추출액 또는 홍삼 추출액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3, 비타민 B6, 비타민 B12, 엽산(folic acid), 비타민 C, 비타민 D3, 비타민 E 등의 비타민(Vitamin) 류와, 구리, 칼슘, 철, 마그네슘, 칼륨, 아연 등의 미네랄 또는 기타 허가된 식품 첨가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적정량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함량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조성물은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95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체중감소 및 체지방 감소를 위한 약품,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말, 과립제, 정제, 환제, 캅셀제, 연질캅셀제 또는 액제 등의 식품으로 복용할 수 있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육류, 차 등의 음료수, 스넥류, 과자류, 라면류, 기타 면류, 캔디, 초콜릿, 아이스크림류 껌,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비만 예방 및 치료 방법은 경구, 주사 등 통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쥐 및 고지방식이쥐에게 5주간 투여시 체중이 감소하고, 체지방 및 성선 지방량이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상기 식이섬유, 녹차추출물, 홍삼추출물 등의 보조성분이 추가 함유된 조성물의 경우, 체중감소, 체지방/성선지방 감소와 같은 비만 억제 효과가 상승적으로 증가하는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비만쥐 및 고지방식이쥐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시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감소하였으며, 비만관련 혈당수치도 낮아지는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시 지방세포도 비대해지지 않고, 지방세포의 크기 및 면적이 줄어들며, 간조직 내의 지방액포의 갯수 및 크기가 줄어들어 간에서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는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임상시험시 체중, 체지방율 감소, 복부 내장지방 감소, 아포리포프로틴 B 농도 감소, 총 콜레스테롤/HDL 콜레스테롤 비율 및 LDL/HDL 비율의 유의적 감소 효과를 보이면서 동맥경화지수의 개선 및 근육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멜리사엽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뽕나무잎 추출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일일 복용량은 멜리사엽 추출물 기준으로 0.1~200mg/kg, 인진쑥 추출물은 0.1~100mg/kg, 뽕나무잎 추출물은 0.1~200mg/kg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체중증가, 체지방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비만 억제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1
유효성분이 함유된 캅셀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멜리사엽 추출물 10 g, 인진쑥 추출물 5 g, 뽕나무잎 추출물 10 g을 혼합하고(이하, '시료 1'이라 한다.), 통상의 캅셀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상기 캅셀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멜리사엽 추출물............10 g
인진쑥 추출물...............5 g
뽕나무잎 추출물............10 g
실시예 2.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2
유효성분이 함유된 액제 조성물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멜리사엽 추출물 0.1 g, 인진쑥 추출물 0.05 g, 뽕나무잎 추출물 0.1 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0 ㎖을 제조하였다(이하, '시료 2'라 한다.).
상기 액제 조성물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멜리사엽 추출물...........0.1 g
인진쑥 추출물.............0.05 g
뽕나무잎 추출물...........0.1 g
증류수.....................정량
실시예 3.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3
유효성분 및 식이섬유를 함유한 조성물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멜리사엽 추출물 6 g, 인진쑥 추출물 4 g, 뽕나무잎 추출물 6 g, 식이섬유(곤약만난,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84 g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이하, '시료 3'이라 한다.).
멜리사엽 추출물...........6 g
인진쑥 추출물.............4 g
뽕나무잎 추출물...........6 g
곤약 만난.................12 g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72 g
실시예 4.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4
유효성분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멜리사엽 추출물 6 g, 인진쑥 추출물 4 g, 뽕나무잎 추출물 6 g, 녹차 추출물 (카테킨 함량 20%) 84 g을 혼합하였다(이하, '시료 4'라 한다.).
멜리사엽 추출물..........6 g
인진쑥 추출물............4 g
뽕나무잎 추출물..........6 g
녹차 추출물..............84 g
실시예 5.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5
유효성분 및 홍삼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멜리사엽 추출물 6 g, 인진쑥 추출물 4 g, 뽕나무잎 추출물 6 g, 홍삼 농축액 분말 (홍삼 성분 함량 110 ㎎/g) 4 g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이하, '시료 5'라 한다.).
멜리사엽 추출물...........6 g
인진쑥 추출물.............4 g
뽕나무잎 추출물...........6 g
홍삼 농축액 분말..........4 g
비교예. 인진쑥 및 뽕나무잎 추출물 함유 조성물의 제조
유효성분이 함유된 캅셀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인진쑥 추출물 5g, 뽕나무잎 추출물 10g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이하, '비교예 시료'라 한다).
상기 캅셀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인진쑥 추출물...............5 g
뽕나무잎 추출물............10 g
실험예 1. 비만쥐에서 비만 억제 효과 확인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비만쥐에서의 비만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동물은 5주령 수컷 비만 쥐(B6.V-Lep<ob>, Jackson Laboratory사)를 사용하였으며, 며칠간의 적응기를 거친 후 대조군은 생리 식염수를 투여하고 처치군은 시료 1~5의 조성물을 멸균 증류수에 녹여 투여하였다.
상기 비교예 시료는 25 ㎎을 10 ml의 멸균 증류수에 녹여 매일 0.4 ㎖씩 5주간 경구투여 하였으며, 유효성분 함량이 50 ㎎/㎏에 해당하도록 하였다.
상기 시료 1은 25 ㎎을 10 ml의 멸균 증류수에 녹여 매일 0.4 ㎖씩 5주간 경구투여 하였으며, 유효성분 함량이 50 ㎎/㎏에 해당하도록 하였다.
상기 시료 2는 40 ㎎을 150 ㎖의 멸균 증류수에 녹여 음용수로 5주간 제공하였으며, 유효성분 함량이 40 ㎎/㎏에 해당하도록 하였다.
상기 시료 3은 1.56 g을 100 ㎖의 멸균 증류수로 현탁한 다음 매일 0.4 ㎖씩 5주간 경구투여하였으며, 유효성분 함량이 50 ㎎/㎏에 해당하도록 하였다.
상기 시료 4는 1.56 g을 100 ㎖의 멸균 증류수로 현탁한 다음 매일 0.4 ㎖씩 5주간 경구투여하였으며, 유효성분 함량이 50 ㎎/㎏에 해당하도록 하였다.
상기 시료 5는 312.5 ㎎을 100 ㎖의 멸균 증류수로 현탁한 다음 매일 0.4 ㎖씩 5주간 경구투여하였으며, 유효성분 함량이 50 ㎎/㎏에 해당하도록 하였다.
체중은 투여일부터 측정하여 매일 측정하고 사료 섭취량은 일주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5주간의 실험종료 후 혈액을 채취하여 혈당을 측정하고, 희생시킨 후 피하지방, 내장 지방, 성선 지방(gonadal fat)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1 처리군의 평균 체중은 대조군의 평균 체중에 비해 8% 감소하였고 그룹의 체중증가는 27% 감소하였다. 특히 피하 지방량이 15% 감소하였고, 성선 지방은 7%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인진쑥, 뽕나무잎 추출물만을 함유하는 비교예 시료 처리군의 피하지방 감소량인 7% 와 비교할 때, 약 67%의 비만억제효과가 증가한 것이다.
따라서, 멜리사엽, 인진쑥, 뽕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체지방이 현저하게 감소시켜 비만억제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특히 시료 1의 유효성분량을 유지한 상태에서 식이섬유, 녹차추출물 또는 홍삼 농축액 분말과 같은 기능 식품군을 조합하였을 경우 항비만 효과가 증가하였다.
체지방(피하지방+성선지방)의 변화를 보면, 식이섬유를 함유한 시료 3은 시료 1보다 135%, 녹차 추출물을 함유한 시료 4는 124%, 홍삼 농축액 분말을 함유한 시료 5는 112%의 체지방 감소율을 각각 보임으로써, 비만 억제 효과가 상승적으로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비만 쥐(ob/ob 마우스)에서 비만 억제 효과
시료 항목 대조군 처리군 감소율
비교예 시료 체중(g) 47.0 ± 3.85 45.1 ± 4.22 4%
체중증가(g) 16.6 ± 2.24 14.4 ± 2.02 14%
피하지방(g) 1.02 ± 0.15 0.95 ± 0.13 7%
성선지방(g) 3.24 ± 0.23 3.13 ± 0.31 4%
시료 1 체중(g) 47.0 ± 3.85 43.1 ± 4.17 8%
체중증가(g) 16.6 ± 2.24 12.1 ± 3.01 27%
피하지방(g) 1.02 ± 0.15 0.87 ± 0.12 15%
성선지방(g) 3.24 ± 0.23 3.01 ± 0.37 7%
시료 2 체중(g) 47.0 ± 3.85 44.7 ± 4.20 5%
체중증가(g) 16.6 ± 2.24 12.5 ± 2.43 25%
피하지방(g) 1.02 ± 0.15 0.93 ± 0.11 9%
성선지방(g) 3.24 ± 0.23 3.11 ± 0.42 4%
시료 3 체중(g) 47.0 ± 3.85 42.8 ± 4.31 9%
체중증가(g) 16.6 ± 2.24 11.3 ± 2.01 32%
피하지방(g) 1.02 ± 0.15 0.82 ± 0.12 20%
성선지방(g) 3.24 ± 0.23 2.92 ± 0.24 10%
시료 4 체중(g) 47.0 ± 3.85 42.8 ± 4.44 9%
체중증가(g) 16.6 ± 2.24 11.8 ± 2.11 29%
피하지방(g) 1.02 ± 0.15 0.83 ± 0.12 19%
성선지방(g) 3.24 ± 0.23 2.95 ± 0.30 9%
시료 5 체중(g) 47.0 ± 3.85 42.7 ± 4.01 9%
체중증가(g) 16.6 ± 2.24 12.5 ± 1.11 25%
피하지방(g) 1.02 ± 0.15 0.85 ± 0.22 17%
성선지방(g) 3.24 ± 0.23 2.98 ± 0.28 8%
또한, 도 1은 실시예 1(시료 1)을 비만 쥐에 35일간 투여하는 동안의 체중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대조군에 비해 처리군에서 체중 증가율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체중을 감소시키고, 체중증가를 억제하며, 피하지방 및 성선지방을 감소시켜 비만 억제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고지방식이 쥐에서 비만 억제 효과 확인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고지방 식이 쥐에서의 비만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동물은 6주령 수컷 쥐(C57BL/6J 마우스, Jackson Laboratory사)를 사용하였으며, 며칠간의 적응기를 거친 후 대조군과 처리군에 고지방 사료를 공급하고, 처리군은 실험예 1처럼 시료 1~5의 조성물을 함께 16주간 투여하였다.
고지방 사료는 일본 Oriental Yeast사에서 생산한 고지방식 조성(지방 함량 15%w/w)을 사용하였다. 대조군의 경우 고지방식 조성만을 사료로 공급하였으며, 처리군의 경우에는 시료 1~5의 조성물을 분말형 고지방식 조성에 혼합하여 사료로 공급하였다.
체중은 투여일부터 측정하여 매일 측정하고 사료 섭취량은 일주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실험 종료 후 혈액을 채취하여 혈당을 측정하고, 희생시킨 후 피하지방, 내장 지방, 성선 지방(gonadal fat)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1 처리군의 평균 체중은 대조군의 평균 체중에 비해 6% 감소하였고 그룹의 체중증가는 16% 감소하였다. 특히 피하 지방량이 24% 감소하였고, 성선 지방은 28% 감소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이 체지방을 감소시켰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비교예 시료 1의 조성물보다 약 70%의 비만 억제 효과가 증가한 것이다.
체지방(피하지방+성선지방)의 변화는 식이섬유를 함유한 시료 3은 시료 1보다 132%, 녹차 추출물을 함유한 시료 4는 123%, 홍삼 농축액 분말을 함유한 시료 5는 107%의 감소율을 각각 보여 비만억제 효과가 실험예 1과 같이 상승적으로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고지방식이 쥐에서 비만 억제 효과
시료 항목 대조군 처리군 감소율
비교예 시료 체중(g) 32.2 ± 2.40 31.2 ± 2.27 3%
체중증가(g) 11.1 ± 2.65 10.1 ± 2.58 10%
피하지방(g) 0.82 ± 0.20 0.70 ± 0.19 15%
성선지방(g) 0.41 ± 0.13 0.35 ± 0.12 16%
시료 1 체중(g) 32.2 ± 2.40 30.4 ± 1.91 6%
체중증가(g) 11.1 ± 2.65 9.3 ± 2.89 16%
피하지방(g) 0.82 ± 0.20 0.62 ± 0.12 24%
성선지방(g) 0.41 ± 0.13 0.30 ± 0.06 27%
시료 2 체중(g) 32.2 ± 2.40 30.6 ± 0.28 5%
체중증가(g) 11.1 ± 2.65 9.7 ± 1.90 12%
피하지방(g) 0.82 ± 0.20 0.66 ± 0.20 19%
성선지방(g) 0.41 ± 0.13 0.33 ± 0.11 20%
시료 3 체중(g) 32.2 ± 2.40 29.9 ± 2.25 7%
체중증가(g) 11.1 ± 2.65 8.7 ± 1.98 21%
피하지방(g) 0.82 ± 0.20 0.56 ± 0.21 32%
성선지방(g) 0.41 ± 0.13 0.26 ± 0.08 37%
시료 4 체중(g) 32.2 ± 2.40 29.7 ± 2.68 7%
체중증가(g) 11.1 ± 2.65 9.0 ± 1.57 19%
피하지방(g) 0.82 ± 0.20 0.58 ± 0.19 29%
성선지방(g) 0.41 ± 0.13 0.27 ± 0.11 34%
시료 5 체중(g) 32.2 ± 2.40 30.2 ± 3.21 6%
체중증가(g) 11.1 ± 2.65 9.2 ± 2.43 17%
피하지방(g) 0.82 ± 0.20 0.6 ± 0.12 27%
성선지방(g) 0.41 ± 0.13 0.3 ± 0.11 27%
또한, 도 2는 시료 1을 고지방 식이쥐에 16주간 투여하는 동안의 체중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대조군에 비해 처리군에서 체중 증가율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체중을 감소시키고, 체중증가를 억제하며, 피하지방 및 성선지방을 감소시켜 비만 억제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혈액 및 조직학적 분석을 통한 비만억제효과 확인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비만쥐 및 고지방식이 쥐에서의 비만억제효과에 대한 혈액 및 조직학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먼저, 실시예 1의 조성물을 5주간 투여한 후, 실험쥐의 혈액을 채취한 후, 혈액 내 콜레스테롤 수치를 측정하여 변화양상을 측정하였다.
또한, 조직학적 분석은 실험쥐 복부에서 적출한 지방을 동결절편화(cryosection)한 후, 오스뮴 테트라옥사이드(osmium tetraoxide) 염색을 하여 지방세포의 크기와 수를 측정하였다. 이 때 간조직도 고정하고 지방 염색을 하여 대조군과 처치군의 간을 비교해 보았다.
3-1)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실험쥐에서의 콜레스테롤치 분석
비만쥐 실험에서 일반 사료만을 공급한 대조군의 경우 혈중 콜레스테롤수치가 140 ± 17.6 mg/dl 인데 비하여, 일반 사료와 함께 시료 1을 투여한 처리군은 128 ± 15.2 mg/dl로 나타나,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9%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고지방식이쥐 실험에서 고지방 사료만을 공급한 대조군의 콜레스테롤수치가 288 ± 31.1 mg/dl인데 비하여, 고지방 사료와 함께 시료 1을 투여한 처리군은 279 ± 62 mg/dl로 나타나,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3%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3-2)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비만쥐에서의 혈액학적 분석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만과 관련된 혈액지표 중에서 혈당 수치는 비만쥐에 일반 사료만을 공급한 대조군에게서 362.1 ± 129.7 mg/dl, 일반 사료와 함께 시료 1을 투여한 처리군에게서 244.4 ± 115.2 mg/dl로 측정되어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처리군에서 혈당이 약 33%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뿐만 아니라 비만과 관련된 혈당까지 감소시켜 비만억제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3-3)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비만쥐에서의 조직학적 분석
일반 사료만을 공급한 대조군 및 일반 사료와 함께 시료 1을 투여한 처리군의 피하지방 조직을 염색하여 지방세포의 크기를 비교 분석하였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은 지방세포가 비대(hypertrophy)해진 반면, 처리군의 지방세포는 대조군에 비하여 비대하지 않고 크기가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도 4의 결과를 이미지분석기(image analyzer)로 지방세포의 면적을 계산하여 비교한 결과, 지방세포의 면적은 11.2 ± 2.9에서 6.1 ± 1.5로 크게 46% 감소하였다.
또한, 간조직을 오스뮴 테트라옥사이드로 염색한 결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검정색으로 염색된 지방액포(lipid vacuole)의 크기와 숫자가 대조군에 비하여 처리군에서 줄어든 것을 관찰하였으며, 지방액포의 면적은 5.4 ± 0.5에서 0.92 ± 0.1로 크게 83% 감소하여(표 3), 시료 1의 조성물이 간에서 지방의 축적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시료 1의 조성물이 지방세포 및 지방액포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
대조군 처리군 감소율
지방세포 (면적, a.u.) 11.2 ± 2.9 6.1 ± 1.5 46%
지방액포 (% area) 5.4 ± 0.5 0.92 ± 0.1 83%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지방세포의 면적을 감소시키고, 간조직의 지방 액포의 크기 및 숫자를 감소시켜 비만억제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체중 증가 및 체지방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비만 억제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4. 본 발명의 조성물의 비만억제효과 임상시험
본 발명의 조성물의 비만 억제 효과를 임상시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4-1. 실험 대상자 모집 및 시험방법
실험대상자는 PIBW(이상 체중 백분율) 110% 이상 또는 허리둘레가 남자는 90cm, 여자는 80cm 이상인 19세 이상 60세 이하의 과체중 혹은 복부비만인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공개적으로 자원자를 모집하였다.
지원자들은 문진, 설문조사를 통하여 과거 심각한 질환을 앓았거나 현재 심각한 질환으로 치료중인 환자, 임신부 또는 임신 계획이 있는 사람 및 수유부, 조절되지 않은 중등도 이상의 고혈압 환자, 당뇨로 진단 받고 약물치료 중인 사람, 갑상선 질환을 현재 앓고 있는 환자, 체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약물(제니칼, 리덕틸, 이뇨제, 항우울제, 기타 식욕 억제제 등)을 복용중인 사람과 ㈜안지오랩의 직원, 연구 책임자 지도 학생 등의 연구자와 관련된 지인은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는 pilot study로 대조군이 없는 단순 전후 비교 방법을 채택해 실험군으로만 효능을 평가하였다. 총 연구 참가 인원은 25명이 참여하였고, 12주간 시험을 진행하고, 이에 대해서 통계처리를 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표 4).
복용방법은 피시험자들에게 시료 1이 250 mg이 함유된 캡슐을 1일 3회, 1회 2캡슐씩 12주 동안 매일 복용하도록 하였다.
12주간의 시험을 완료한 전체 대상자(n=25)는 남성과 여성의 비율이 3:22였으며, 평균 연령은 31.8±1.51세(19-47), 평균 이상 체중 백분율(PIBW)은 133.3±3.17%, 평균 체질량지수는 28.4±0.67 kg/m2 (23.5-34.7)였고 평균 체지방량은 39.4±1.46%였다. 또한, 현재 흡연, 음주를 하는 대상자의 비율은 각각 20%, 72%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 복용 전후 신체 지수 및 혈압의 변화
피실험인(n=25)
0주 12주
남성 / 여성 3 / 22
연령 (세) 31.8±1.51
신장 (cm) 162.8±1.31
체중 (kg) 75.2±2.11 74.0±2.18*
PIBW (%) 133.3±3.17 131.2±3.40*
BMI (kg/m2) 28.4±0.67 27.9±0.72*
체지방율 (%) 39.4±1.46 37.2±1.38**
제지방질량 (kg) 45.3±1.40 46.2±1.40*
허리둘레 (cm) 91.4±1.73 90.0±1.78
엉덩이둘레 (cm) 104.9±1.44 103.6±1.47**
허리둘레/엉덩이둘레 비율 0.87±0.01 0.86±0.01
Tricep skinfold thickness (mm) 26.1±1.32 26.2±0.91
수축기 혈압 (mmHg) 125.3±3.38 124.2±2.64
이완기 혈압 (mmHg) 77.5±2.09 82.2±2.46**
흡연 여부 (n(%)) 5(20)
일일 흡연량 7.70±3.03
음주 여부 (n(%)) 18 (72)
일일 알콜올 흡수량 (g/d) 8.82±2.72
평균 ± 표준오차. 0주의 수치와 비교한 *p<0.05, **p<0.01
4-2. 체중 및 체지방량의 변화
상기 표 4의 결과를 보면, 체중은 연구 시작 시 평균 75.2±2.11 kg에서 12주 후 74.0±2.18 kg으로 유의적으로 감소(-1.6%, p<0.05)하여 평균 이상 체중 백분율과 평균 체질량지수 감소 또한 통계적인 유의성(p<0.05)을 나타내었다.
체지방율은 복용 전과 비교하여 12주 후 39.4±1.46%에서 37.2±1.38%로 감소하였으며(-5.6%, p<0.01), 제지방질량은 45.3±1.40 kg에서 46.2±1.40kg로 유의적으로 증가되어(+2.0%, p<0.05) 체성분의 유의적인 개선을 보여주었다(도 6).
평균 허리둘레는 12주 후 다소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수준은 아니였으며, 엉덩이둘레는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p<0.01). 또한 평균 이완기 혈압은 정상 범위 내에서 12주 후 유의적인 증가(p<0.01)를 보여주었다(표 4).
4-3. 컴퓨터 단층촬영에 따른 복부 지방 면적의 변화
하기 표 5의 결과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 복용 12주 후 상복부(L1)에서는 유의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하복부(L4)에서는 피하지방면적에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내장지방면적이 9.5% 감소(p<0.01)됨에 따라 내장지방면적과 피하지방면적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개선되는 양상(p<0.01)을 보여주었다(도 7, 표 5).
또한 하복부(L4)의 총 지방면적은 12주 후 감소경향을 보여주었다(p<0.01).
피실험인(n=25)
0주 12주
1번 요추 (상복부)
총지방 (cm2) 260.9±13.1 256.6±12.2
내장지방 (cm2) 99.4±6.54 98.7±5.59
피하지방 (cm2) 161.5±9.66 157.9±9.43
내장지방/피하지방 비율 0.65±0.05 0.67±0.05
4번 요추 (하복부)
총지방 (cm2) 313.0±11.7 301.6±13.4
내장지방 (cm2) 81.5±4.40 73.8±4.72**
피하지방 (cm2) 231.5±11.4 227.8±11.5
내장지방/피하지방 비율 0.38±0.03 0.33±0.02**
허벅지
지방 (cm2) 87.7±4.83 85.2±4.64
근육 (cm2) 113.8±3.36 115.5±3.81
장딴지
지방 (cm2) 29.8±1.84 30.1±2.00
근육 (cm2) 73.4±2.84 72.9±3.31
평균 ± 표준오차. 0주의 수치와 비교한 **p<0.01
4-4. 혈청 지질 및 지단백질 농도와 공복 혈당, 인슐린 농도의 변화
하기 표 6의 결과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 복용 전후 혈액 내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농도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아포리포프로틴 B(apolipoprotein B) 농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양상(p<0.05)을 보여주었다.
지질 패턴과 관련하여서는 동맥경화지수(atherogenic index)의 유의적 개선(p<0.05)을 보였으며, 총 콜레스테롤과 HDL 콜레스테롤 비(p<0.05)와 LDL 콜레스테롤과 HDL 콜레스테롤 비(p<0.05)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표 6).
공복 혈당과 인슐린 및 유리 지방산 농도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표 6).
복용 전후 혈장내 지방 및 공복 혈당의 변화
피실험인(n=25)
0주 12주
트리글리세라이드(mg/dl) 124.9±11.0 119.2±10.7
총 콜레스테롤(mg/dl) 203.3±6.97 197.1±6.36
LDL 콜레스테롤(mg/dl) 126.7±6.29 119.7±5.99
HDL 콜레스테롤(mg/dl) 51.6±2.21 53.6±2.38
동맥경화지수1 3.10±0.21 2.82±0.18*
총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4.10±0.21 3.82±0.18*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2.57±0.16 2.33±0.15*
아포리포프로틴 A1(mg/dl) 146.7±4.24 142.1±3.93
아포리포프로틴 B(mg/dl) 81.6±3.80 75.4±3.23*
혈당 (mg/dl) 91.6±3.33 92.5±3.96
인슐린 (μIU/ml) 12.4±1.10 11.7±1.30
유리지방산 (μEq/L) 499.7±27.8 431.6±42.2
동맥경화지수1 = (총 콜레스테롤 - HDL 콜레스테롤) / HDL 콜레스테롤 평균 ± 표준오차. 0주의 수치와 비교한 *p<0.05
4-5. 혈청 GOT, GPT 및 BUN, 크레아티닌 농도와 혈색소 및 혈소판의 변화
하기 표 7의 결과를 보면, 본 발명의 조성물 복용 전후 간기능 지표인 GOT, GPT 농도와 신장기능 지표인 BUN, 크레아티닌(creatinine) 농도는 정상 범위였으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적혈구 수치(p<0.05)와 백혈구 수치(p<0.001)는 본 발명의 시료 1 섭취 후, 정상 범위 내에서 유의적인 증가가 관찰되었다.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hematocrit) 농도와 혈소판 수는 변화가 없었다(표 7).
복용 전후 다른 생화학 수치의 변화
피실험인(n=25)
0주 12주
GOT (U/L) 19.3±0.99 21.5±1.34
GPT (U/L) 18.4±2.44 20.7±2.57
BUN (mg/dl) 12.6±01.52 11.7±0.49
크레아틴 (mg/dl) 0.52±0.03 0.52±0.03
백혈구 (×103/㎕) 4.92±0.29 6.38±0.26***
적혈구 (×106/㎕) 4.48±0.14 4.73±0.11*
헤모글로빈 (g/dl) 13.2±0.47 13.7±0.38
Hematocrit (%) 38.7±1.38 40.0±1.11
혈소판 (×103/㎕) 306.0±17.3 310.0±13.5
평균 ± 표준오차. 0주의 수치와 비교한 *p<0.05, ***p<0.001
4-6. 식사 섭취량 및 활동량 분석 결과
하기 표 8의 결과를 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을 복용하는 12주동안 식사 섭취량 및 각 영양소 섭취량과 에너지 소비량은 변화가 없었다.
복용 전후 식사 섭취량 및 에너지 소비량
피실험인(n=25)
0주 12주
TEE1 2029.8±36.6 2012.9±38.2
TCI2 2352.3±43.9 2325.0±45.4
TEE / TCI 0.86±0.11 0.87±0.12
탄수화물 (% of TCI) 62.5±0.43 62.1±0.26
단백질 (% of TCI) 17.2±0.33 16.9±0.27
지방 (% of TCI) 20.6±0.38 21.1±0.44
콜레스테롤 (mg) 425.8±41.7 435.8±33.3
TEE1 = 총 에너지 소비량 TCI2 = 총 칼로리 섭취량 평균 ± 표준오차. 0주와 12주 사이에 특별한 변화가 없음
4-7. 혈장 산화 LDL 농도 및 지질 과산화물 농도의 변화
하기 표 9의 결과를 보면, 본 발명의 조성물 복용 전후 혈장 산화 LDL 농도와 혈액 내 지질과산화물인 MDA 농도 및 소변 내 지질과산화물인 8-epi-PGF2α 농도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표 9).
복용 전후 산화 LDL과 지질 과산화물의 변화
피실험인(n=25)
0주 12주
LDL 산화
산화 LDL (U/L) 37.2±1.99 36.5±2.17
지질과산화물
MDA (nmol/mml) 3.15±0.29 2.92±0.17
PGF2α(pg/mg creatinine) 1391.2±145.8 1125.2±180.9
평균 ± 표준오차. 0주와 12주 사이에 특별한 변화가 없음
4-8. 이상반응 발현 현황
본 효능시험에 참여하여 시험제품을 섭취한 25명 중 본 발명의 조성물 시료 1의 섭취에 의한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체중증가 억제효과, 피하지방 및 성선지방의 증가 억제 효과,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효과, 비만관련 혈당수치 감소의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시 지방세포도 비대해지지 않고, 지방세포의 크기 및 면적이 줄어들며, 간에서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는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상시험시 체중, 체지방율 감소, 복부 내장지방 감소, 아포리포프로틴 B 농도 감소, 총 콜레스테롤/HDL 콜레스테롤 비율 및 LDL/HDL 비율의 감소 효과를 보이면서 동맥경화지수의 개선 및 근육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체중감소, 특히 복부지방 중 내장지방을 억제하기 위한 비만 억제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9)

  1. 멜리사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멜리사엽 추출물은 0.1~95.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인 비만 억제용 조성물.
  3. 멜리사엽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및 뽕나무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멜리사엽 추출물은 0.1~95.0 중량부, 인진쑥 추출물은 0.1~60.0중량부, 뽕나무잎 추출물은 1.0~70.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인 비만 억제용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멜리사엽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뽕나무잎 추출물은 1~3: 0.1~1: 1~3의 건조중량비로 함유되는 것인 비만 억제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에 식이섬유, 녹차추출물, 홍삼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이섬유는 차전자피,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결정셀룰로오스, 리그닌, 펙틴, 알긴산, 폴리만뉴로닉산, 구아검, 아라비아검, 아라비노갈락탄, 곤약만난, 이눌린, 레반, 폴리텍스트로스, 난소화성말토텍스트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비만 억제용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 추출물은 녹차 추출액 또는 녹차 추출액 분말인 비만 억제용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추출물은 홍삼 분말, 홍삼 추출액 또는 홍삼 추출액 분말인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20050093577A 2001-12-12 2005-10-05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0645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577A KR100645385B1 (ko) 2005-10-05 2005-10-05 비만 억제용 조성물
EP06799129.9A EP1951275B8 (en) 2005-10-05 2006-10-09 Antiobesity composition
CA2624929A CA2624929C (en) 2005-10-05 2006-10-09 Antiobesity composition
ES06799129.9T ES2581336T3 (es) 2005-10-05 2006-10-09 Composición antiobesidad
CN200680036456.7A CN101277710B (zh) 2005-10-05 2006-10-09 减肥组成物
AU2006297973A AU2006297973A1 (en) 2005-10-05 2006-10-09 Antiobesity composition
JP2008534469A JP5284097B2 (ja) 2005-10-05 2006-10-09 抗肥満組成物
PCT/KR2006/004049 WO2007040377A1 (en) 2005-10-05 2006-10-09 Antiobesity composition
BRPI0617988-6A BRPI0617988A2 (pt) 2005-10-05 2006-10-09 composição anti-obesidade, uso de extrato de melissa, uso de uma mistura de extrato de melissa e extrato de mori folium, uso de uma mistura de extrato de melissa, extrato de artemisia e extrato de mori folium e método para suprimir a obesidade
US12/059,611 US9155773B2 (en) 2001-12-12 2008-03-31 Antiobesity composition
AU2011201268A AU2011201268B2 (en) 2005-10-05 2011-03-22 Antiobesity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577A KR100645385B1 (ko) 2005-10-05 2005-10-05 비만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5385B1 true KR100645385B1 (ko) 2006-11-23

Family

ID=37712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577A KR100645385B1 (ko) 2001-12-12 2005-10-05 비만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155773B2 (ko)
EP (1) EP1951275B8 (ko)
JP (1) JP5284097B2 (ko)
KR (1) KR100645385B1 (ko)
CN (1) CN101277710B (ko)
AU (2) AU2006297973A1 (ko)
BR (1) BRPI0617988A2 (ko)
CA (1) CA2624929C (ko)
ES (1) ES2581336T3 (ko)
WO (1) WO2007040377A1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3694A1 (en) * 2007-04-04 2008-10-16 Adipogen., Ltd. Active extracts, containing scoparone, isolated from mugwort or chestnut peel having inhibitory effects on obesity
KR100868261B1 (ko) 2007-04-30 2008-11-11 한국식품연구원 근력 향상 활성을 갖는 조성물
WO2011065767A2 (ko) * 2009-11-26 2011-06-03 (주)아모레퍼시픽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델타의 활성촉진 조성물
KR101108376B1 (ko) 2009-04-08 2012-01-30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아테미신 산을 함유하는 항비만, 항지방용 조성물
KR101539289B1 (ko) * 2013-08-16 2015-07-24 한국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똥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간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18552A (ko) 2015-04-02 2016-10-1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칡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70021270A (ko) 2017-02-15 2017-02-2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칡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70076043A (ko) * 2015-12-24 2017-07-04 오좌섭 광대나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CN109511848A (zh) * 2018-12-11 2019-03-26 北京康比特体育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减肥功能的代餐组合物
KR102036186B1 (ko) * 2019-03-25 2019-10-24 임재선 레몬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 분해용 주사제 조성물
KR20200053344A (ko) 2018-11-08 2020-05-1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펙티넥스를 처리한 뽕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125244B1 (ko) * 2018-12-14 2020-06-23 주식회사 휴앤코스메틱 지방 분해용 조성물
KR102143084B1 (ko) * 2019-10-08 2020-08-11 주식회사 뉴트라코어 비만, 당뇨, 고지혈증 및 지방간을 포함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197041A1 (ko) * 2019-03-25 2020-10-01 임재선 레몬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사제 및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5621A (ko) 2019-05-23 2020-12-03 주식회사 하람 퀘르세틴-3-o-글루쿠로니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소재
US10894071B2 (en) 2007-08-23 2021-01-19 Angiolab, Inc. Fraction of melissa leaf extract having angiogenesis and MMP inhibitory activiti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20210019051A (ko) 2021-02-10 2021-02-1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펙티넥스를 처리한 뽕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30098421A (ko) 2021-12-24 2023-07-04 주식회사 앤드메이드 체중 감량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0301A (ja) * 2006-08-24 2008-03-06 Prima Meat Packers Ltd 膵リパーゼ阻害剤
EP2060192B9 (en) 2007-10-17 2016-05-04 Rudolf Wild GmbH & Co. KG Composition comprising lemon balm extracts
JP5503125B2 (ja) * 2008-08-08 2014-05-28 静岡県公立大学法人 内臓脂肪蓄積抑制剤
CN101361774B (zh) * 2008-09-01 2012-01-25 北京世纪博康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褐藻多糖硫酸酯和人参的组合物和其应用
US20130052284A1 (en) * 2011-08-29 2013-02-28 Carolyn J. Harrington Palm kernel oil-based intranasal composition and use
CN104736147B (zh) * 2012-05-29 2018-05-18 尤妮金公司 用于控制体重的组合物和方法
JP2014097987A (ja) * 2013-12-17 2014-05-29 Shizuokaken Koritsu Daigaku Hojin 内臓脂肪蓄積抑制剤
CN105899208A (zh) 2014-01-10 2016-08-24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对孕产妇施用维生素b6 预防后代发胖、超重或肥胖的增加
CN105899218A (zh) 2014-01-10 2016-08-24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对孕产妇施用维生素b12预防后代尤其是超重和/或肥胖母亲的后代发胖、超重或肥胖的增加
JP6338113B2 (ja) * 2015-03-31 2018-06-06 株式会社東洋新薬 除脂肪体重の増加剤
KR101915071B1 (ko) 2016-12-01 2018-11-20 주식회사 코시스바이오 커피 로부스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CN108902939A (zh) * 2018-06-23 2018-11-30 袁维寨 一种用于减肥的组合物
JP2020164486A (ja) * 2019-03-29 2020-10-08 丸善製薬株式会社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CN113115881A (zh) * 2019-12-31 2021-07-16 南京宿根花卉植物园有限公司 一种具有减肥功能的固体饮料
WO2021156184A1 (en) * 2020-02-07 2021-08-12 Dsm Ip Assets B.V. New formulation of a plant extract
BR112022019688A2 (pt) * 2020-04-08 2022-11-22 Angiolab Inc Extrato de fração de folhas de melissa officinalis e nova composição farmacêutica incluindo o mesmo
JP6923065B1 (ja) * 2020-11-25 2021-08-18 大正製薬株式会社 経口固形組成物
CN113712206A (zh) * 2021-09-16 2021-11-30 湖南希尔天然药业有限公司 一种含有桑叶dnj和桑叶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3826799A (zh) * 2021-09-26 2021-12-24 山东森健生物科技发展有限公司 减肥用食品
CN113875952A (zh) * 2021-10-09 2022-01-04 江西邦泰绿色生物合成生态产业园发展有限公司 一种减肥复合制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42633A1 (fr) 1978-11-28 1980-06-27 Kitasato Inst Inducteurs d'interferon et leur procede de fabrication
JPS6140763A (ja) * 1984-08-02 1986-02-27 Osaka Chem Lab 抗肥満食品
FR2622110A1 (fr) 1987-10-26 1989-04-28 Marty Georges Pile prevue pour l'utilisation du pouvoir radio-actif des plantes a des fins medicales
JPH02256621A (ja) 1988-12-28 1990-10-17 King Jozo Kk 抗変異原剤
CN1033945C (zh) * 1992-12-09 1997-02-05 陈宗尧 一种保健花粉糖
JPH06199647A (ja) 1992-12-28 1994-07-19 Noevir Co Ltd 美白化粧料
JPH07196526A (ja) 1994-01-11 1995-08-01 Takano Co Ltd コラゲナーゼ阻害剤
JPH08301779A (ja) 1995-05-01 1996-11-19 Sansho Seiyaku Co Ltd アトピー性皮膚炎用外用剤
JPH09241142A (ja) 1996-03-06 1997-09-16 Noevir Co Ltd 皮膚外用剤
FR2751878B1 (fr) 1996-07-30 1998-09-04 Oreal Utilisation dans une composition d'un extrait d'au moins une labiee
KR19980021670U (ko) 1996-10-22 1998-07-15 이영서 전자렌지
KR100257448B1 (ko) 1997-08-01 2000-07-01 박홍락 항암, 기관분화유도, 암세포전이 혈관형성억제, 항산화 및 숙취해소 작용을 하는 옻나무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DE69808790T3 (de) 1997-09-12 2009-07-16 The Procter & Gamble Co., Cincinnati Hautreinigungs- und konditionierungsartikel für haut und haar
JP3796340B2 (ja) 1997-11-18 2006-07-12 株式会社ノエビア セリンプロテアーゼ阻害剤
JPH11187843A (ja) * 1997-12-25 1999-07-13 Lotte Co Ltd 肥満改善用の飲食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飲食物
JPH11335285A (ja) * 1998-05-25 1999-12-07 Toyotama Koryo Kk 整腸・便秘改善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飲食物並びに動物用飼料
FR2788438B1 (fr) * 1999-01-14 2003-10-03 Arkopharma Laboratoires Composition pour le traitement de l'obesite et procede de traitement esthetique
US20010024664A1 (en) 1999-03-19 2001-09-27 Obukowicz Mark G. Selective COX-2 inhibition from edible plant extracts
US6485756B1 (en) 1999-04-06 2002-11-26 Collaborative Technologies, Inc. Stable, homogeneous natural product extracts containing polar and apolar fractions
US6261566B1 (en) 1999-10-22 2001-07-17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mulberry extract and retinoids
KR100455222B1 (ko) * 1999-12-31 2004-11-06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다이어트 인삼복합제품 및 그 제조방법
US6416769B1 (en) 2000-03-03 2002-07-09 Australian Importers, Ltd.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exfoliating enzymes and uses thereof
JP4173733B2 (ja) * 2000-12-12 2008-10-29 アンジオラボ・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抗−血管新生および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イナーゼ阻害活性を有するメリッサ葉抽出物を含む組成物
DE10065832A1 (de) * 2000-12-21 2002-06-27 Bettina Kater Mittel zur Gewichtsreduktion auf der Basis Minze, Melisse und Fenchel
KR100451962B1 (ko) 2001-07-18 2004-10-08 주식회사 대창중기계 지중 물막이 연속벽 구축 공법 및 장치
CA2459045A1 (en) * 2001-08-31 2003-03-13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Antidiabetic extracts of artemisia dracunculus
JP5127104B2 (ja) * 2001-09-29 2013-01-23 小林製薬株式会社 便意を増進する香料組成物及び付香製品
KR100496622B1 (ko) * 2002-04-29 2005-06-29 (주) 김형민한약연구소 비만 억제를 위한 알콜 발효 식품 또는 약학적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KR100828519B1 (ko) 2002-07-12 2008-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패널과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EP1534082A4 (en) * 2002-08-14 2006-05-10 Bionutrigen Co Ltd POWDER OR EXTRACTS FROM PLANT BLOOMS WITH EFFECTS OF GRAVITY AND COMPREHENSIVE GRAVITY OF ELASTIC FOOD
JP2004217532A (ja) * 2003-01-10 2004-08-05 Maruzen Pharmaceut Co Ltd 桑葉抽出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血糖値上昇抑制用組成物及び肥満防止用組成物
KR100569792B1 (ko) 2003-01-14 2006-04-10 학교법인 인제학원 인진쑥올리고당 aip1을 함유한 항비만성 바이오헬스 소재
KR20030026939A (ko) * 2003-01-27 2003-04-03 최미회 구아바잎을 주성분으로한 당뇨병치료용, 비만개선용,노화방지용차의 효과적인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건강식품
US6908573B2 (en) 2003-04-17 2005-06-21 General Electric Polymeric resin blend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JP2005008572A (ja) * 2003-06-19 2005-01-13 Yakult Honsha Co Ltd リパーゼ阻害剤
KR100549698B1 (ko) 2003-07-12 2006-02-08 영 욱 김 활성탄 섬유를 이용한 발열구조 및 이를 적용한 전열기구
KR100521582B1 (ko) 2003-07-15 2005-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사이드 팽창장치
KR100624488B1 (ko) * 2004-02-03 2006-09-19 제일약품주식회사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16066B1 (ko) 2004-02-21 2007-05-08 변상요 두충엽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식품
JP4929611B2 (ja) * 2004-04-09 2012-05-09 大正製薬株式会社 リパーゼ阻害剤
KR20060070254A (ko) * 2004-12-20 2006-06-23 김정훈 비만조절용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US20060280700A1 (en) * 2005-06-08 2006-12-14 Isler Stuart L Oral hygiene system to fight the effects of aging on the mouth, gums, and teeth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3694A1 (en) * 2007-04-04 2008-10-16 Adipogen., Ltd. Active extracts, containing scoparone, isolated from mugwort or chestnut peel having inhibitory effects on obesity
KR100868261B1 (ko) 2007-04-30 2008-11-11 한국식품연구원 근력 향상 활성을 갖는 조성물
US10894071B2 (en) 2007-08-23 2021-01-19 Angiolab, Inc. Fraction of melissa leaf extract having angiogenesis and MMP inhibitory activiti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11224629B2 (en) 2007-08-23 2022-01-18 Angiolab, Inc. Fraction of Melissa leaf extract having angiogenesis and MMP inhibitory activiti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1108376B1 (ko) 2009-04-08 2012-01-30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아테미신 산을 함유하는 항비만, 항지방용 조성물
US10183048B2 (en) 2009-11-26 2019-01-22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promoting the activity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delta
WO2011065767A3 (ko) * 2009-11-26 2011-11-03 (주)아모레퍼시픽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델타의 활성촉진 조성물
WO2011065767A2 (ko) * 2009-11-26 2011-06-03 (주)아모레퍼시픽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델타의 활성촉진 조성물
KR101539289B1 (ko) * 2013-08-16 2015-07-24 한국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똥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간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18552A (ko) 2015-04-02 2016-10-1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칡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70076043A (ko) * 2015-12-24 2017-07-04 오좌섭 광대나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1885949B1 (ko) * 2015-12-24 2018-08-06 오좌섭 광대나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20170021270A (ko) 2017-02-15 2017-02-2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칡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200053344A (ko) 2018-11-08 2020-05-1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펙티넥스를 처리한 뽕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09511848A (zh) * 2018-12-11 2019-03-26 北京康比特体育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减肥功能的代餐组合物
KR102125244B1 (ko) * 2018-12-14 2020-06-23 주식회사 휴앤코스메틱 지방 분해용 조성물
KR102036186B1 (ko) * 2019-03-25 2019-10-24 임재선 레몬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 분해용 주사제 조성물
JP2020158484A (ja) * 2019-03-25 2020-10-01 林 載▲そん▼LIM, Jae Sun レモンバーム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注射剤及び化粧料組成物
WO2020197041A1 (ko) * 2019-03-25 2020-10-01 임재선 레몬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사제 및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5621A (ko) 2019-05-23 2020-12-03 주식회사 하람 퀘르세틴-3-o-글루쿠로니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소재
WO2021070999A1 (ko) * 2019-10-08 2021-04-15 주식회사 뉴트라코어 비만, 당뇨, 고지혈증 및 지방간을 포함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3084B1 (ko) * 2019-10-08 2020-08-11 주식회사 뉴트라코어 비만, 당뇨, 고지혈증 및 지방간을 포함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19051A (ko) 2021-02-10 2021-02-1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펙티넥스를 처리한 뽕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30098421A (ko) 2021-12-24 2023-07-04 주식회사 앤드메이드 체중 감량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40377A1 (en) 2007-04-12
ES2581336T3 (es) 2016-09-05
US20080187606A1 (en) 2008-08-07
CN101277710B (zh) 2014-12-03
BRPI0617988A2 (pt) 2011-08-16
JP5284097B2 (ja) 2013-09-11
AU2006297973A1 (en) 2007-04-12
AU2011201268B2 (en) 2012-01-12
EP1951275B1 (en) 2016-05-18
AU2011201268A1 (en) 2011-04-14
US9155773B2 (en) 2015-10-13
CA2624929C (en) 2013-10-01
EP1951275B8 (en) 2016-08-10
EP1951275A1 (en) 2008-08-06
CA2624929A1 (en) 2007-04-12
EP1951275A4 (en) 2010-05-05
JP2009511468A (ja) 2009-03-19
CN101277710A (zh) 200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385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JP2009511468A5 (ko)
US6541046B2 (en) Herb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body weight and composition
CN110447902B (zh) 一种具有减肥功效的组合物
CN100998650A (zh) 肉桂在治疗糖尿病上的用途及产品和其制备方法
US11266668B2 (en) Dietary supplement for glycemia control and diabetes prevention
KR100815200B1 (ko) 항비만 효과를 갖는 홍삼 혼합 조성물
KR20070113460A (ko) 체중조절용 건강식품 조성물
KR20100109697A (ko) 체중감량 및 고지혈증 개선 효과가 있는 기능성 조성물
KR100831621B1 (ko) 혈당 강하용 식품 조성물
CN101243883B (zh) 一种具有降血糖功能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EP1583547B1 (en) Anti-obesity ingredients from medicinal plants and their composition
US10757961B2 (en) Dietary supplement for glycemia control and diabetes prevention
EP1369123A1 (en) A health-care product comprising lotus rhizome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KR20090087671A (ko) 두충을 이용한 고혈압 억제 음료 개발
KR101511364B1 (ko) 복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및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100815212B1 (ko) 혈당과 체중 조절용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배합물
KR100293890B1 (ko) 동아녹즙및그잔사를사용하여제조된체중및혈당조절용식품조성물및그제조방법
KR100653460B1 (ko) 뽕잎 추출물과 호로파 추출물을 함유한 항당뇨 조성물
KR101695299B1 (ko) 필발 추출물,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154182B1 (ko) 방광과체질에 처방되는 변비개선용 천연음료 조성물
KR100450055B1 (ko) 두과 식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질개선용 식품 조성물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식품
KR100473529B1 (ko) 순기산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RU2316972C1 (ru) Кофе для похудения комплексного действия
KR20030059952A (ko) 변방 소풍순기원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