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212B1 - 혈당과 체중 조절용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배합물 - Google Patents

혈당과 체중 조절용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배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212B1
KR100815212B1 KR1020060098092A KR20060098092A KR100815212B1 KR 100815212 B1 KR100815212 B1 KR 100815212B1 KR 1020060098092 A KR1020060098092 A KR 1020060098092A KR 20060098092 A KR20060098092 A KR 20060098092A KR 100815212 B1 KR100815212 B1 KR 100815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extract
indigestible maltodextrin
cudrania
mixture
diabe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운행
장미선
Original Assignee
조운행
장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운행, 장미선 filed Critical 조운행
Priority to KR1020060098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2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2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혈당 및 체중을 조절할 수 있는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의 배합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혈당과 체중 조절용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배합물{Antidiabetic and antiobese mixture of leaf extract of Cudrania tricuspidata and digestion-resistant maltodextrin}
본 발명은 혈당과 체중을 조절할 수 있는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의 배합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에너지 함량이 높은 가공식품을 많이 섭취하고 운동량이 적어지면서 비만증이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비만인은 거북하고 아름답지 않은 외모로 보는 이에게 좋지 않은 인상을 주고 활동이 불편할 뿐 아니라 정상인에 비하여 당뇨병, 심혈관질환, 고지혈증 등의 발생률과 수술의 위험성이 높아 대체로 단명하다고 보고되고 있다[Pi-Sunyer, F. X. (1994). in: Modern Nutrition in health and Disease, Shils, M. E., Olson, J. A. and Shike, M. (Eds), pp. 984-1006. Lea & Febiger, Philadelphia, Vol. 2.]. 따라서, 비만증은 중년을 넘어선 사람에게는 생명에 관한 문제이며, 특히 젊은 여성에게는 심각한 미용상의 문제가 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당뇨병 환자는 1,300만명에 달하고 있다. 또한 당뇨병은 50%의 하류층 성인 수술, 25%의 신장 질환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성인 실명의 가장 큰 요인이 되고 있다. 당뇨병과 그의 합병증은 제3위의 사망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당뇨병의 발생빈도가 점차 증가되어 인구의 5.1%가 당뇨병, 4.1%가 당뇨병 의증(疑症)을 지니고 있어서 전국적으로 약 150만명의 당뇨병 환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당뇨병이 많아지는 이유는 경제적인 여유와 생활수준의 향상, 식생활의 변화, 평균 수명의 증가, 운동량 부족을 초래하는 생활습관, 현대인의 각종 스트레스 등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당뇨병 환자의 95% 이상이 만성 대사성 질환인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을 가지고 있으며, 이 질환의 합병증인 당뇨병성 신경병증, 망막병증, 신장병, 백내장 등이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수명을 단축시키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에 비만증, 당뇨병 등과 같은 성인병의 예방 및 치료법으로서 적절한 운동과 더불어 오랜 세월 동안 안전성과 효능이 검증된 여러 식품소재의 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비만인을 위한 건강식품으로 식이섬유, 생약재 및 여러 식품소재를 함유하는 제품들이 개발되어 있으나, 그 값이 매우 비싸며 식사량을 줄이고 이 제품들을 섭취할 경우 여러 영양소의 부족으로 인한 부작용으로 정상적인 생활이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당뇨병의 치료 및 예방에는 각종 의약품, 천연식품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 의약품으로는 경구용 혈당 강하제, 인슐린제, 합병증 치료제 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저혈당증, 알레르기, 고지혈증, 다뇨증 등의 부작용이 많이 나타난다.
꾸지뽕은 한국, 중국 및 일본에서 항암, 항염증, 위염 및 간손상에 중요한 전통 생약 중의 하나이다[Bioorg. Med. Chem. Lett. Aug. 17 (2006), Epub. ahead of print]. 꾸지뽕에는 β-sitosterol, β-sitosterol glucoside, artocapesin, norartocapesin, 5-O-methylgenistein, phytoalexins 등이 함유되어 있다.
옥수수 전분을 열분해 및 효소적 가수분해시켜 제조한 수용성 식이섬유인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은 식후 혈당농도 증가를 억제하여 인슐린 분비를 감소시킨다[J. Endocrinol. 144, 533 (1995), J. Jpn. Diabetes Soc. 42, 61 (1999)].
본 발명자는 서로 다른 물질적 특성을 지닌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배합시 혈당 및 체중 조절 효과가 상승함을 동물 및 임상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배합하여 우수한 혈당 및 체중 조절용 배합물을 개발하였다.
기술적 수단
꾸지뽕은 한국, 중국 및 일본에서 항암, 항염증, 위염 및 간손상에 중요한 전통 생약 중의 하나이다. 또한 지질 과산화 억제하고[Am J Clin Med. 31(6), 907 (2003)] 자유기를 제거한다고 보고되고 있다[Phytomedicine. 10(6-7), 544 (2003)].
옥수수 전분을 열분해 및 효소적 가수분해시켜 제조한 수용성 식이섬유인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은 식후 혈당농도 증가를 억제하여 인슐린 분비를 감소시킨다.
Metabolic syndrome에서 atherosclerosis, 비만, insulin 내성, 고혈당 등이 복합적으로 발생한다. 또한 만성적 염증과 생체 산화가 metabolic syndrom을 일으키는 요인의 하나라고 알려져 있다[Circul. 107, 391 (2003)]. 따라서,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배합할 경우 metabolic syndrom에 속하는 질환인 고혈당과 비만 억제에 상승적인 효과가 기대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동물 및 임상 실험을 통하여 서로 다른 물질적 특성을 지닌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의 배합에 따른 혈당 및 체중 조절 활성의 상승효과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을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꾸지뽕잎은 통상의 방법으로 열수추출하고 60°Brix(굴절당도계에서 Sucrose sugar 60%(w/w)용액과 같은 굴절률을 나타내는 추출물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로 감압농축하였다. 수율은 10%였다.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은 일본 마쯔다니사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중량 기준으로 25~35%의 60°Brix 꾸지뽕잎 추출물과 65~75%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배합하였다.
이하 실시예에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중량 기준으로 28%의 60°Brix 꾸지뽕잎 추출물과 72%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배합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 혈당강하 작용 실험
(1)실험방법
체중이 160~200g인 스프래그-다울리(Sprague-Dawley)계 웅성 흰쥐에게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시그마사제) 40mg/kg를 정맥내로 투여하여 당뇨병을 유발시켰다. 스트렙토조토신을 투여한 지 3일후에 혈당농도를 측정하여 혈당이 200mg/dl 이상인 개체를 선정하여 1군당 7마리씩 배치하였다. 시판 펠렛(pellet) 사료를 급여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득된 시료에 증류수를 넣고 혼합하여 하루 2회 경구투여하였고 대조군은 같은 부피의 생리식염수를 투여하였다. 시료의 1일 투여량은 사람에 대한 1일 권장 섭취량과 사람과 쥐의 평균 대사체중(체중3/4)의 비율로부터 계산되었는데[Nutr. Res. 11, 1465 (1991)], 사람의 1일 권장 섭취량은 꾸지뽕잎 추출물 2.0g[김창민 등, 완역 중약대사전, 도서출판 정담 (1998)],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5.2g[식품의약품안전청,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 제정 (2004)], 그리고 사람의 평균 체중은 65kg으로 하였다. 쥐의 체중은 매주 측정되었다.
1, 2, 4, 8주 경과후 꼬리 정맥에서 채혈하여 혈당을 측정하였다. 채혈전 16 시간 절식시킨 후 오후 2시에 채혈하였다.
혈청의 포도당 함량은 드라이 케미스트리 시스템(dry chemistry system, 일본 Daiichi사 제품)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 실험결과
실험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경구투여 8주후, 대조군의 혈당 농도가 72.3% 증가한 반면, 꾸지뽕잎 추출물 투여군의 혈당은 26.6% 감소하였고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군의 혈당 강하율은 19.5%였다.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의 배합물이 투여된 실시예군의 혈당 강하율이 40.0%로 가장 컸다.
표 1. 혈당조절 효과 실험결과1
Figure 112006072866717-pat00001
1평균치±SE, 1군당 7마리. 같은 칼럼에서 서로 다른 위첨자를 갖는 값들은 유의차가 있슴(P<0.05).
표 2는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의 배합비가 시료의 경구투여 8주후 스트렙토조토신으로 유도된 흰쥐의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시료의 1일 투여량은 사람에 대한 1일 권장 섭취량과 사람과 쥐의 평균 대사체중(체중3 /4)의 비율로부터 계산되었는데[Nutr. Res. 11, 1465 (1991)], 사람의 1일 권장 섭취량은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의 배합물 7.5g[김창민 등, 완역 중약대사전, 도서출판 정담 (1998), 식품의약품안전청,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 제정 (2004)], 그리고 사람의 평균 체중은 65kg으로 하였다. 쥐의 체중은 매주 측정되었다.
표 2.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의 배합비가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1
Figure 112006072866717-pat00002
1평균치±SE, 1군당 7마리. 같은 칼럼에서 서로 다른 위첨자를 갖는 값들은 유의차가 있음(P<0.05).
2꾸지뽕잎 추출물 :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의 배합비가 30 : 70일 때 혈당조절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중량 기준으로 25~35%의 60°Brix 꾸지뽕잎 추출물과 65~75%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함유하는 배합물이 혈당조절에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실험예 2 : 비만증 억제효과 실험
(1) 동물실험
① 실험법
본 실험에 사용된 동물은 스프래그-다울리(Sprague-Dawley)계 웅성 흰쥐였다. 4주령의 쥐를 구입하여 1주간 시판 펠렛(pellet) 사료를 급여한 뒤 10 마리씩 군을 나누었다. 정상 대조군은 계속 펠렛 사료만 주고 나머지 모든 군은 펠렛 사료와 함께 사람에게 가장 흔히 발생하는 비만유형과 가장 가까운 비만을 유발한다고 알려진 카페테리아 다이어트(cafeteria diet)를 급여하였으며[J. Nutr. Biochem. 6, 151 (1995)], 모든 사료와 물을 자유섭취시켰다. 카페테리아 다이어트를 2주간 급여한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득된 시료에 같은 부피가 되도록 증류수를 넣 고 혼합하여 하루 2회 경구투여하였으며, 대조군은 같은 부피의 생리식염수를 경구투여하였다. 6주간 카페테리아 다이어트를 급여하면서 시료를 경구투여하였다. 시료의 1일 투여량은 사람에 대한 1일 권장 섭취량과 사람과 쥐의 평균 대사체중(체중3/4)의 비율로부터 계산하였는데[Nutr. Res. 11, 1465 (1991)], 사람의 1일 권장 섭취량은 꾸지뽕잎 추출물 2.0g[김창민 등, 완역 중약대사전, 도서출판 정담 (1998)],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5.2g[식품의약품안전청,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 제정 (2004)], 그리고 사람의 평균 체중은 65kg으로 하였다. 쥐의 체중은 매주 측정되었다. 카페테리아 다이어트로 쿠키, 비스켓, 쵸콜렛, 땅콩, 치즈, 감자칩, 아몬드, 소세지, 설탕함유 음료 및 햄을 급여하였다.
시료를 6주간 경구투여한 후 심장에서 혈액을 채취하고 간, 신장 지방조직(perirenal fat pad) 및 정소상체 지방조직(epididymal fat pad)을 잘라내어 무게를 측정하였다.
② 화학분석
간의 중성지질을 분석하기 위하여 간의 지질을 추출한 뒤 효소법으로 중성지질을 정량하였다.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및 포도당 함량은 드라이 케미스트리 시스템(dry chemistry system, 일본 Daiichi사 제품)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③ 실험결과
꾸지뽕잎 추출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및 실시예에서 제조된 꾸지뽕잎 추 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배합물 투여의 카페테리아 다이어트에 의하여 흰쥐에게 유발된 비만 억제기능 조사 결과가 표 3에 나타나 있다.
비만 대조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열량섭취가 25% 증가하였고, 체중증가 또한 19% 증가하였다. 또한 복부지방은 47% 증가하였고 간의 중성지방과 혈당농도 역시 각각 28%, 16% 증가하였다. 그리고 동맥경화 위험지수도 57%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cafeteria diet가 흰쥐의 비만을 유발하였으며, 비만증이 지방간, 동맥경화 및 당뇨병과 연관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동아출판사 편집국, 현대가정의학백과 (1988)].
표 3. 비만증 억제효과 실험 결과1
Figure 112006072866717-pat00003
1평균치±SE, 1군당 10마리. 같은 칼럼에서 서로 다른 위첨자를 갖는 값들은 유의차가 있슴(P<0.05).
2도살전 5일간 측정.
3(총 콜레스테롤 - HDL-콜레스테롤)/HDL-콜레스테롤.
비만 대조군에 비하여 꾸지뽕잎 추출물군에서 체중증가 11%, 열량섭취 12%, 복부지방 24%, 간 중성지방 11% 및 혈당농도 6%가 감소하였다. 심장질환, 뇌졸중, 당뇨병, 유방암 등의 성인병이 복부 비만인에게 많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어서 꾸지뽕잎 추출물의 복부지방 감소효과는 비만 및 이와 관련된 성인병의 예방에 중요한 기능이라 할 수 있다.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군은 비만 대조군에 비하여 체중증가 6%, 열량섭취 11% 및 복부지방 20%가 감소하였다. 특히,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의 배합물이 투여된 실시예군에서는 비만 대조군에 비하여 체중증가 15%, 열량섭취 15%, 복부지방 31%, 간 중성지방 18% 및 혈당농도 12%가 감소하여, 모든 측정치가 정상 대조군과 같은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의 배합물이 꾸지뽕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에 비하여 체중조절 효과가 매우 탁월하며, 비만증 및 이와 관련된 질환인 지방간, 동맥경화, 그리고 당뇨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표 4는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의 배합비가 카페테리아 다이어트에 의하여 유도된 흰쥐의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시료의 1일 투여량은 사람에 대한 1일 권장 섭취량과 사람과 쥐의 평균 대사체중(체중3 /4)의 비율로부터 계산되었는데[Nutr. Res. 11, 1465 (1991)], 사람의 1일 권장 섭취량은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의 배합물 7.5g[김창민 등, 완역 중약대사전, 도서출판 정담 (1998), 식품의약품안전청,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 제정 (2004)], 그리고 사람의 평균 체중은 65kg으로 하였다. 쥐의 체중은 매주 측정되었다.
표 4.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의 배합비가 체중조절에 미치는 영향1
Figure 112006072866717-pat00004
1평균치±SE, 1군당 10마리. 같은 칼럼에서 서로 다른 위첨자를 갖는 값들은 유의차가 있슴(P<0.05).
2꾸지뽕잎 추출물 :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의 30 : 70 배합물군의 비만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하여 체중증가 및 복부지방이 정상 대조군과 같은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중량 기준으로 25~35%의 60°Brix 꾸지뽕잎 추출물과 65~75%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함유하는 배합물이 체중조절에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2) 인체실험
생체 전위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체지방 함량이 30% 이상인 성인 여성 30인을 선발하여 실시예에서 제조된 시료 2.4g을 식사 30분전 하루 3회, 40일간 섭취시킨 후 체형, 임상 및 생화학적 측정을 하여 섭취 전과 비교한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실시예에서 제조된 시료의 섭취에 의한 체형, 임상 및 생화학적 측정치의 변화1
Figure 112006072866717-pat00005
1평균치±S.E.
*p < 0.05, **p < 0.01
40일간의 섭취 결과 체중이 평균 4.2kg 감소하고 체지방이 7.7% 감소하였다. 또한 허리 둘레, 상박 둘레, 엉덩이 둘레 및 혈청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농도가 섭취 전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특히 흰쥐 실험에서와 같이 혈당 농도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배합물을 섭취하면 상기 실험예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당뇨병 및 비만증이 효율적으로 억제된다.

Claims (1)

  1. 중량 기준으로 25~35%의 60°Brix 꾸지뽕잎 추출물과 65~75%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함유하는 혈당 및 체중 조절용 배합물.
KR1020060098092A 2006-10-09 2006-10-09 혈당과 체중 조절용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배합물 KR100815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092A KR100815212B1 (ko) 2006-10-09 2006-10-09 혈당과 체중 조절용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배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092A KR100815212B1 (ko) 2006-10-09 2006-10-09 혈당과 체중 조절용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배합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5212B1 true KR100815212B1 (ko) 2008-03-19

Family

ID=39411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092A KR100815212B1 (ko) 2006-10-09 2006-10-09 혈당과 체중 조절용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배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52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9365A2 (ko) 2011-09-15 2013-03-21 씨제이제일제당(주) 지소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
CN103298477A (zh) * 2010-09-10 2013-09-11 韩国食品研究院 包含柘木和薏苡具有抑制肥胖活性和降低血糖作用的组合物及其用途
KR101359806B1 (ko) * 2012-05-31 2014-02-13 광동제약 주식회사 혈당강하에 효능이 있는 돼지감자 및 꾸지뽕잎의 복합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9(3), 531-6 (2000)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43(4), 303-8 (2000)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8477A (zh) * 2010-09-10 2013-09-11 韩国食品研究院 包含柘木和薏苡具有抑制肥胖活性和降低血糖作用的组合物及其用途
JP2013537890A (ja) * 2010-09-10 2013-10-07 コリア フード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ハリグワ及びヨクイニンを含む肥満抑制又は血糖降下用組成物、並びにその用途
CN103298477B (zh) * 2010-09-10 2015-09-02 韩国食品研究院 包含柘木和薏苡用于抑制肥胖或降低血糖的组合物及其用途
WO2013039365A2 (ko) 2011-09-15 2013-03-21 씨제이제일제당(주) 지소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당뇨 개선용 감미 소재 조성물
KR101359806B1 (ko) * 2012-05-31 2014-02-13 광동제약 주식회사 혈당강하에 효능이 있는 돼지감자 및 꾸지뽕잎의 복합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385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TWI329516B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multiple risk factor syndromes and visceral fat-type obesity
Srinivasan Fenugreek (Trigonella foenum-graecum): A review of health beneficial physiological effects
CN101579120A (zh) 一种具有减肥功能的营养食品及其制备方法
CN101253903B (zh) 一种具有减肥功能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CN102526479A (zh) 一种增强免疫力、降血糖功能的保健药物配方
KR20070113460A (ko) 체중조절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0900875B1 (ko) 강화약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0815212B1 (ko) 혈당과 체중 조절용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배합물
KR20200016608A (ko) 체중조절용 건강식품 조성물
Shane-McWhorter Dietary supplements for diabetes: an evaluation of commonly used products
KR100293890B1 (ko) 동아녹즙및그잔사를사용하여제조된체중및혈당조절용식품조성물및그제조방법
Basharat et al. Beneficial effects of okra in diabetes mellitus
Lok et al. Effects of polypeptide-k supplemented soft bun on blood glucose level in healthy adults
KR100503208B1 (ko)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US20220062312A1 (en) Oral composition comprising b-escin and the use thereof
CN103181557A (zh) 具有减肥功能的营养食品及其制备方法
TWI294284B (ko)
JPWO2005082391A1 (ja) ヒトβ3アドレナリン受容体アゴニスト剤
Santhi Sirisha et al. Estimation of glycemic index of ragi recipes incorporated with curry leaf powder
Tak et al. Fenugreek derived diosgenin as an emerging source for diabetic therapy
CN110404029B (zh) 一种具有降血糖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317197B1 (ko) 서사향의 항비만 활성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Nnadi et al. Effects of formulated unripe plantain and millet dietary feeds in Alloxan-induced diabetic albino rats
KR100450055B1 (ko) 두과 식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질개선용 식품 조성물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