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2227B1 - 유기전해액전지 - Google Patents

유기전해액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2227B1
KR100212227B1 KR1019950046295A KR19950046295A KR100212227B1 KR 100212227 B1 KR100212227 B1 KR 100212227B1 KR 1019950046295 A KR1019950046295 A KR 1019950046295A KR 19950046295 A KR19950046295 A KR 19950046295A KR 100212227 B1 KR100212227 B1 KR 100212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metal
lithium
organ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6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6184A (ko
Inventor
아키히로 사노
슈이치 니시노
후미오 다이오
슈스케 오구로
마사쯔구 콘도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츠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츠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960036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6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2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24Alkaline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1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3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5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7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8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adhesiveness or hard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26Fluorocarbon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Fibrous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5Terminals formed by the casing of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8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u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9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rim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150℃를 넘는 고온환경에서도 장기사용 및/ 또는 보존을 실현시키고, 융점이 적어도 170℃인 다공성합성수지시트로 만든 격리판을 이용하고 블론아스팔트로 주로 만든 밀폐층이 배치된, 연속사용가능한 온도가 적어도 150℃인 열가소성수지로 주로 또는 단독으로 만든 개스킷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양극과 음극을 분리하는 코스트성능이 높은 범용유기전해액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유기전해액전지
제1도는 Li/(CF)n계 코인형유기전해액전지의 전형적인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2도는 온도를 파라미터로해서 전해액내의 유기용매의 혼합비율에 대해서 40%의 방전깊이에서의 전지의 동작전압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150℃에서 보존된 Li/(CF)n계전지의 개방회로전압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150℃에서 보존된 Li/(CF)n계전지에 밀봉된 전해액의 잔유율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덮개케이스 2 : 음극
3 : 양극 4 : 격리판
5 : 케이스 6 : 개스킷
8 : 밀봉충
본 발명은 리튬금속, 리튬합금, 또는 리튬과 탄소 또는 리튬과 금속산화물사이에서 형성된 삽입화합물로 이루어진 활성재의 음극 및 유기전해액을 사용하여, 고온·고습환경하에서 장기 사용 및 또는 보존(저장)이 가능한 유기전해액전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지용 무수전해액으로서는 유기전해액 또는 고체폴리머전해액을 사용해왔고, 이중유기전해액은 용질로서 리튬염을 저융점의 매우 활성적인 리튬금속조성물에서도 고안정성이라는 이유로 비양성자성유기용매중에 용해하는 것에 의해 제조하였다.
유기전해액전지는 우수한 저온특성, 광범위한 동작온도 및 우수한 장기보존성때문에, 일반소비자용전자시계, 전자노트북, 자동초점카메라 등의 각종 응용에의 주요전원으로서뿐아니라, 최근 매우 급속도로 팽창하고 있는 각종 전자회로에 내장되는 메모리보완(백업)전원장치로도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이들 보완전원장치로서는, 최근 리튬그래파이트 플루오르화물Li/(CF)n 및 리튬-망간이산화물Li/MnO2계 1차전지외에, 리튬 2차전지도 많이 사용된다.
제1도는 Li/(CF)n계 코인형 유기전해액 리튬전지의 전형적인 종단면도이다. 동도에 있어서, 음극(2)으로 작용하는 리튬금속은 음극단자로서 작용하는 스텐레스강제 덮개케이스(1)의 내부면에 일체로 압착되어 있고, 개스킷(6)은 덮개케이스(1)의 플랜지상에 끼워져 있다. 그리고, 주로 (CF)n계활성재료로 성형된 양극(3)은 양극단자로 작용하는 스텐레스강(SUS304제 : Cr18%, Ni8%함유)제 케이스(5)의 내부바닥면에 접속된 티타늄오리목으로 이루어진 전류콜렉터상에 프레스되어 있고, 음극(2)과 양극(3)은 격리판(4)에 의해서 격리되어 있다.
양극(3)과 격리판(4)사이에 형성된 기공내에는 유기전해액이 주입되어 유지되고 있다. 금속케이스(5)의 플랜지는 덮개(1)와 케이스(5)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개스킷(6)에 만곡됨과 동시에 압착되어 전지를 밀봉한다.
종래, 밀봉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적어도 덮개케이스(1)와 접촉한 개스킷(6)의 표면앞에 주로 블론(blown)아스팔트로 이루어진 밀봉층(8)을 배치한다. 종래의 Li/(CF)n계 유기전해액리튬전지에서는, 폴리프로필렌(PP)부직포로 만든 격리판, 폴리프로필렌(PP)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개스킷 및 고비점용매인-부티로락톤(BL), 또는 BL과 1.0mol/l농도로 혼합한 저비점용매인 1,2-디메톡시에탄(DME)으로 구성된 혼합용매에 용질인 리튬플루오보레이트(LiBF4)를 용해하여 제조한 유기전해액을 사용했다.
유기전해액을 사용하는 Li/(CF)n계전지에 있어서, 양극 활성재료로서 사용되는 그래파이트 플루오보레이트의 열분해온도는, 음극으로 사용시 리튬금속의 융점인 180.54℃까지 용융변형을 일으키지않는 320∼420℃범위의 온도이다.
방전생성물인 플루오르화리튬(LiF)의 열분해온도가 848℃이므로, Li/(CF)n계 전지는 주로 열적으로 안정한 진지일 수 있다. 이와 같이, -40∼+60℃의 온도범위에서 종래의 Li/(CF)n계 전지는 10년이상의 장기보존 및 또는 사용이 가능했었다.
통상, 코인형, 버튼형, 웨이퍼형 및 원통형을 포함한 전지의 각 형태에 관계없이, 양극단자로서 작용하는 금속케이스와 음극단자로서 작용하는 금속케이스사이를 전해액에 대해서 내성이 높고 전기절연특성이 양호한 합성수지로 만든 개스킷 등에 의해 밀봉함으로써, 전해액 등의 내부전지요소의 외부누출을 방지하고, 전지내로의 외부공기 및 습기의 침입을 방지하는 액체 및 기체기밀을 실현할 수 있다.
최근 전자기술의 급속한 개발로, 메모리보완전지를 필요로하는 분야가 급속도로 팽창되고 있다. 따라서, 전지는 산업기기를 설치하여 조작하는 자동차엔진구획 또는 옥외환경내에서 가능한 고온 및 고습 등의 보다 가혹한 조건에 대해서 견딜 수 있어야만 한다.
또 전자가 환류납땜 등의 가혹한 고온조건에 노출되고 있는 기타 전자부품과 함께 프린트기판에 장착된 경우에도 전지특성은 열화되어서는 안된다.
Li/(CF)n계 이외의 유기전해액으로서는, 비점이 높은 프로필렌카보네이트(PC)를 비점이 낮은 1,2-디메톡시에탄(DME)과 혼합하여 얻은 용매를 광범위하게 사용한다. 저비점의 용매를 첨가하는 목적은, 전해액의 점도를 저하시키고, 펄스방전특성을 포함한 고속방전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전지용기의 두께에 비해서 전지단면이 큰 코인형 또는 웨이퍼형전지를 고온환경에 두는 경우, 전해액중의 저비점용매가 기화하여 전지의 내부압력을 증가시켜 전지용기를 팽창시키고, 심한 경우, 이 조건에서는, 전해액조성물의 변화, 유기전해액자체의 누출, 외부로부터의 공기의 유입 또는 공기중에 함유된 습기로 인해 리튬음전극에 형성된 산화층에 의해 야기된 내부저항의 증가를 포함한 전지특성의 열화등의 다수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내열성이 높은 전지를 개발해야만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전해액의 조성물을 포함한 개스킷, 밀봉제, 격리판 등의 유기전지재료의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광범위한 노력을 시도했었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공부 제5,246,795호 및 일본국 특공평 5-58232호 공보에는, 상기 노력으로부터 귀착된 제안을 개시하고 있으나, 실제효과는 만족할 만하지 않다.
또, 음극케이스의 상부플랜지상에, 유리대금속으로 양극단자를 레이저에 의해 용접한 덮개를 사용한 밀봉구조의 전지를 개발했었다. 이 구조의 신뢰성은 우수하지만, 부품의 코스트때문에 범용 전지를 제작하는 데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Li/(CF)n계 유기전해액전지의 격리판 또는 개스킷의 제작시 종래 사용한 PP수지의 융점은 비교적 높기때문에, 내열성이 높은 범용수지로서 이용되어 왔다. PP수지성형의 연속적인 이용은 하중스트레스가 비교적 낮은 조건에서 가능하며 하중이 없으면 150℃정도의 온도에서도 가능하다. 하지만, 반면에 개스킷에 고하중스트레스처리를 하면 100℃미만의 온도에서도 한류에 의한 개스킷의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같이 60℃를 초과하는 고온에서 전지를 장기보존하거나 사용조건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사용 및/ 또는 보존으로 야기되는 종래의 문제를 해소한 전지구조 및 적절한 내열성분을 이용하는 Li/(CF)n계유기전해액 전지 등의, 고온에서 사용가능한 신뢰성이 높은 범용의 유기전해액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리튬, 리튬을 주성분으로 하는 경금속합금 등의 경금속, 또는 리튬 등의 알칼리금속과 탄소 또는 금속산화물사이에서 형성된 삽입화합물로 이루어진 활성재의 음극: 적어도 170℃의 고비점유기용매 또는 혼합유기용매중에 리튬염 등의 용질을 용해하여 얻은 유기전해액; 내전해액성이 높고 전해액유지능력이 우수하며 적어도 170℃의 융점을 지닌 다공성합성수지시트로 이루어진 상기 음극과 양극을 분리하는 격리판; 및 블론아스팔트로 주로 만든 밀봉층으로 미리 도포되어 있는, 내전해액성이 높고 적어도 150℃의 연속사용 가능한 온도를 지닌 열가소성합성수지단독 또는 그것을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진 개스킷 등을 사용하여; 양극금속용기와 음극금속용기 사이에 배치된 상기 개스킷을 압착하는 음극 또는 양극 금속용기중 한쪽의 상부플랜지를 만곡하는 것에 의해 상기 양극금속용기와 상기 음극금속용기를 밀봉하여 얻은 밀봉유기전해액전지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적절한 내열성부품 및 활용성을 주로 발전시킨 구조를 이용하여 실현한 150℃를 초과한 온도에서의 장기 사용 및 또는 보존이 가능한 유기전해액전지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사출성형방법에 의해서, Li/(CF)n계 모델No. BR1225전지(외부직경12.5㎜, 전체높이 2.5㎜)에 대해 설계한 각종 내열성수지제의 개스킷을 제작하고, LiBF4를 BL용매에 1.0mol/l농도로 용해하여 제조한 전해액 100ml를, 상기 각종수지제의 각 10개의 개스킷이 배치된 입구가 넓은 시약병에 넣는다. 상기 시약병을 단단히 밀봉한 후, 150℃온도에서 40일간 방치한다.
그 다음에, 시각검사 및 관측한 중량변화에 의해 이들 개스킷의 내전해액특성을 결정한다.
그 결과는 표 1에 표시되어 있다.
표 1은 8종의 수지중에서 내전해액 특성이 높은 수지를 보이고 있으며, 이들은 폴리페닐렌술피드(PPS), 테트라플루오라이드-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공중합체(PFA), 폴리에테르케톤(PEK),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등이다.
이들중에서, PEEK수지로 만든 개스킷은 전술한 미국특허공보 제 5,246,795호에 제안되어 있다.
내전해액특성이 우수하다고 확인된 4종의 수지로 만든 개스킷을 이용하여 BR1225형 Li/(CF)n계 코인형전지(공칭용량 48mAh)를 제작하였다. 이들 경우에서는, 적어도 전지덮개 및 케이스와 접촉하는 개스킷표면을, 미네랄유가 첨가된 블론아스팔트를 용매중에 용해하여 얻은 페인트로 미리 도포한 다음 건조하여 블론아스팔트로 주로 만든 밀봉층을 형성하였다. 이외에, 격리판 및 개스킷을 제외하고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재료 및 부품을 사용한다.
이외에, 종래의 PP섬유부직포대신에,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섬유부직포(섬유직경 15.0㎛미만, 단위면적당 섬유중량 25.0∼100.0g/㎡범위내, 평균기공직경 10.0∼60.0㎛)로 만든 격리판을 사용한다.
이들 각 50개전지에 대해 150℃에서의 40일간의 고온보존테스트와, 60℃ 및 90%RH의 조건에서의 40일간의 열대보존테스트를 행한다.
이들 테스트동안, 전지조건을 통상 온도 및 습도의 조건으로 되돌리고 나서 10일에 한번 각 전지의 개방회로전압과 내부임피던스를 측정(AC1000Hz에서)한 다음, 이들 전체 값의 평균치를 낸다. 이들 고온보존테스트와 고온 및 고습보존테스트의 결과는 표 2 및 표 3에 각각 표시되어 있다.
표 2 및 표 3의 결과는 보존일에 비례해서 고온 및 고온고습조건하에서 테스트한 각전지에 있어서 개방회로전압의 점차적인 감소 및 내부임피던스의 점차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지만, PPS 및 PFA수지로 만든 개스킷을 사용한 No.1 및 2형전지는 개방회로전압의 감소 및 내부임피던스의 증가가 이들중 최소로, 우수한 내열성을 증명하고 있다.
개스킷은 음극 및 양극금속용기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영구히 압착되므로 한류현상이 발생하면 그 밀봉부분이 기체 및 액체기밀성이 점차로 손실되곤 한다. 4종의 수지중에서 PPS수지의 연속적으로 사용가능한 온도는 200℃이고 PFA수지는 적어도 150℃를 초과하는 260℃이므로, 이것은 고온 및 고온고습테스트중에 보이는 전지의 우수한 내열특성의 이유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연속적으로 사용가능한 온도는 IEC간행물 No. 216에서 정의한 20,000시간에서의 내열성 테스트의 TI(테스트인덱스)에 의해 결정된 온도와 동일하다.
[제2실시예]
PPS 및 PFA수지로 만든 개스킷의 우수한 성능이 확인되었으므로 유리섬유를 첨가하여 개스킷구조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가능성을 실험한다.
이들 실험에 있어서, 5,10,15,20wt%로 PPS수지와 균일하게 혼합한 유리섬유를 제조하고, 사출성형방법에 의해 상기 각수지로 만든 개스킷을 제작한다. 그 다음에, 상기 개스킷을 사용한 BR1225형 Li/(CF)n계 코인형전지각 100개를 제1실시예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제작한다. 이들 100개의 전지에, -10℃ 및 +60℃의 조건에서 1시간 보존을 60회 반복하는 순환 온도테스트처리를 하고, 측정을 위해 통상의 온도 및 습도조건으로 되돌린 다음 누출에 대해서 조사한다. 이들 실험결과는 표 4에 표시되어 있다.
표 4는, 충전제로서 작용하는 유리섬유의 첨가율은 10%까지만 유효하며, 유리섬유의 첨가율이 너무 높으면 취약화된 주름밀봉개스킷표면상의 열쇼크에 의해 생긴 미세크랙에 의해 전해액의 누출이 발생한다는 것을 보이고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PPS수지에 충전제로서 작용하는 유리섬유를 첨가한 효과만을 설명했다. 하지만, 여기서 충전제로서 작용하는 유리섬유는 PPS수지의 경우에서와 같이, PFA수지의 경우에서도 10wt%까지만의 첨가가 유효하다는 사실도 부가적으로 주목해야 한다.
[제3실시예]
제2실시예의 경우에서는, 개스킷의 경도를 증가시킨 PPS수지에 충전제로서 작용하는 유리섬유를 첨가한 효과를 연구했다. 한편, 수지를 얻는 2,4,6,8,10,12,15wt%의 단계로 PPS수지중에 균일하게 혼합된 탄성중합체로서 작용하는 폴리메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의 효과를 실험한다.
다음에, 이들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성형한 개스킷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BR1225형Li/(CF)n계 코인형전지 각 100개를 제작하고, 이들 전지에 제2실시예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순환열쇼크테스트를 향한 다음 전해액의 누출을 조사한다. 이들 실험결과는 표 5에 표시되어 있다.
표 5는, 탄성중합체로서 작용하는 PE또는 PP를 10wt%까지 첨가한 PPS수지로 만든 개스킷을 사용한 전지는 광범위의 온도차에서 순환열쇼크테스트를 향할 수 있다는 것을 명백히 보이고 있다. 여기서는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탄성중합체의 중량비가 10wt%미만인 한 PE 또는 PP 탄성중합체를 같은 비로 첨가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전형적인 폴리올레핀계 탄성중합체인 PE 및 또는 PP는 10wt%까지의 중량비로 첨가하면 PPS수지에 대해서 탄성중합체로서 동등하게 유효하다. PFA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한 경향이 관찰된다.
상기외에도, 융점이 낮은 PE를 10wt%의 비까지 PPS수지 또는 PFA수지와 혼합하면, 연속적으로 사용가능한 온도가 150℃조금위까지 저하한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
[제4실시예]
충전제로서 작용하는 유리섬유를 10%미만의 중량비로 혼합하거나 또는 PE 및/ 또는 PP로 구성된 폴리올레핀계탄성중합체를 균일하게 혼합한 PPS수지 또는 DFA수지로 만든 개스킷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유기전해액전지의 내열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전지의 밀봉조건은 개스킷을 양극성의 금속용기와 음극성의 금속용기사이에 삽입한 경우의 개스킷두께의 유지율에 의존해야만 하고, 이들 금속용기는 각 극성의 금속용기의 상부플랜지를 만곡하는것에 의해 개스킷상에 압력을 가하여 함께 결합된다. 개스킷 두께의 유지율은 이하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다음에, PPS수지 또는 PFA수지로만 만든 개스킷의 두께를 변화시켜 30,40,50,70,90,95%의 개스킷두께의 유지율을 실현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품 및 재료를 사용하여 BR1225형 Li/(CF)n계 코인형전지를 제작한다. 그리고 이들 전지에 순환열쇼크테스트를 행한다음 누출에 대해 조사한다. 이들 실험결과는 표 6에 표시되어 있다.
표 6은 개스킷두께의 유지율이 각각 30,40,95%인 전지 No. C-1,C-2,C-6,C-7,C-8,C-12의 성능을 증명하는 누출성이 양호하지 못하다는 것을 명백히 보이고 있다. 이들 중에서도, 유지율이 30 및 40%인 전지는, 밀봉시 개스킷에 인가된 하중이 너무 높기 때문에 밀봉 부분의 개스킷이 너무 얇아져서 개스킷성능을 상실하여, 그 결과 밀봉성능이 악화된다.
개스킷두께의 유지율이 95%인 것은 밀봉압력이 너무 낮아서 밀봉성능도 악화된다.
그러므로, PPS 또는 PFA수지로 만든 개스킷을 사용하여 전지를 밀봉하는 경우에는 개스킷두께의 유지율을 50∼90%범위내로 적절하게 유지해야만 한다.
또, 결과가 여기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PPS 또는 PFA수지에 10wt%미만의 비로 유리섬유층전제 또는 폴리올레핀계탄성중합체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경우에도 PPS 또는 PFA수지만으로 만든 개스킷을 사용한 경우에서와 같이, 개스킷두께의 유지율이 50∼90% 범위내여야만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5실시예]
제1실시예의 경우에서와 동일한 PPS수지로 만든 개스킷을 이용한 BR1225형 Li/(CF)n계코인형전지 각 50개와 PP섬유부직포로 만든 종래의 격리판을 이용한 기타 전지를 준비하여 제1실시예와 같이 150℃에서 40일간의 고온보존테스트를 행한다. 상기 고온보존테스트기간동안에 이들 전지의 개방회로전압과 내부임피던스(AC1000Hz)를 측정하여 평균을 낸다. 결과는 표 7에 표시되어 있다.
표 7은 내열성이 높은 PPS수지개스킷을 사용한 전지도 종래의 PP섬유부직포로 만든 격리판을 사용한 전지도 고온보존일에 비례하여 개방회로전압은 현저한 감소를 내부임피던스는 현저한 증가를 보임을 나타낸다.
종래의 PP섬유부직포로 만든 격리판을 사용하여 제작한 전지에 있어서, 격리판은 테스트후에 반용융상태로 발견되어 격리판의 블라인딩을 야기하는 막형상으로 된다. 또, 150℃의 고온환경에서 격리판으로 작용하는 PBT섬유부직포의 안정성도 재확인된다.
[제6실시예]
PPS수지로 만든 개스킷과 PBT섬유부직포로 만든 격리판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내열성이 우수하고 열쇼크방지특성을 지닌 Li/(CF)n계유기전해액전지의 가능성이 제1실시예∼제5실시예에 의해 증명됐지만 격리판에 관한 PBT섬유부직포의 섬유직경을 더 결정해야만 한다.
격리판의 PBT섬유부직포의 평균섬유직경을 0.5, 1.0, 5.0, 10.0, 20.0 및 25.0㎛의 순으로 각각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No.1전지와 동일하게 PPS수지로 만든 개스킷을 사용한 BR1225형Li/(CF)n계 코인형전지 각 100개와 기타성분을 준비한다.
이들 경우에는, 전지 No.1에서 사용한, 섬유직경이 15.0㎛미만인 PBT섬유부직포와 마찬가지로 단위면적당 섬유중량이 25.0∼100.0g/㎡범위내이고 평균기공사이즈가 10.0∼60.0㎛인 PBT섬유부직포를 일정하게 사용한다.
각 전지의 격리판의 전해액흡수 및 유지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소정 부피의 전해액을 주입한 후 누출된 전지수를 센 다음에 최종단계에서 밀봉한다. 이후, 30kΩ의 일정한 저항하중을 접속하고, 각 20개의 전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20℃에서 2.5V의 최종전압을 달성하는 연속방전을 행하고 이후, 방전지속시간의 평균을 구한다. 상기 테스트결과는 표 8에 표시되어 있다.
표 8의 결과는, 평균섬유직경이 15.0㎛를 초과하는 섬유를 사용한 경우에 특히 현저한 전지내 감소된 전해액부피로 인한 누출된 전지의 증가수와 방전지속시간이 감소된 전지를 보이고 있다.
상기외에도, 낮은 기계적강도와 취급의 곤란성때문에 평균직경이 0.5㎛미만인 섬유로 만든 부직포는 격리만으로서 사용할 수 없다. 또, 격리판으로서 요구되는 기계적강도는 단위면적당 섬유중량이 25.0g/㎡미만인 섬유로 만든 부직포의 경우에도 부적당하다.
또, 단위면적당 평균중량이 100.0g을 초과하는 섬유로 만든 부직포는 전해액흡수속도가 너무낮고 전해액보유성이 부적합해서 격리판으로서 부적합하다. 평균기공직경이 10.0㎛미만인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므로 상기와 같은 부직포는 결코 실용적이지 않다.
한편, 평균기공직경이 60.0㎛를 초과하는 PBT섬유부직포는 내부 단락회로의 변화가 높으므로, 격리판으로서의 기능을 만족스럽게 수행할 수 없다.
그러므로, Li/(CF)n계 유기전해액전지의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적합한 격리판으로서는 섬유직경이 15.0㎛미만, 또는 바람직하게는 평균섬유직경이 0.5∼10.0㎛범위, 단위면적당 섬유중량이 25.0∼100.0g/㎡, 평균기공사이즈가 10.0∼60.0㎛범위내인 PBT섬유부직포를 사용해야 한다.
이제까지는, PBT섬유부직포를 만든 격리판의 상세를 설명했지만, 개스킷에 사용하는 PPS수지에서 유래한 PPS섬유부직포로 만든 격리판도 유효하다. 이 경우에는, 섬유직경이 30.0㎛미만, 또는 평균섬유직경이 1.0∼20.0㎛의 범위이고, 단위면적당 섬유중량이 10.0∼100.0g/㎡인 섬유로 만든 부직포를 선택해야 한다.
각종 유기전해액전지중에 Li/(CF)n계 유기전해액전지는 격리판으로서 부직포를 사용하지만, 미공성 합성수지박막으로 만든 격리판을 이용하는 다른 형태의 전지도 있다. 예를들면, 코일형상으로 감은 전극군을 이용하여 고속방전을 위해 설계한 원통형 Li/MnO계전지와, 음극의 활성재료로서 리튬금속, 리튬합금 또는 리튬과 탄소 금속산화물사이에서 형성된 삽입화합물을 이용한 리륨 2차전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전지시스템에서 격리판으로 미공성합성수지박막을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과잉전류에 의해 행해진 방전 또는 충전으로 인한 전지온도의 이상상승으로 야기되는 격리판폐쇄현상을 활용하여 폭발 또는 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 격리판으로서는 PE 및 또는 PP로 만든 미공성합성수지박막을 사용해 왔지만, 전지온도가 120℃이상으로 상승하면 충전 및 방전이 불가능한 폐쇄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고온유기전해액전지로는 PE 및 또는 PP박막을 사용할 수 없으나, 융점이 170℃인 폴리비닐리덴플루오르화물(PVDF)로 만든 미공성박막을 기대할 수 있었다. 또 고온유기전해액전지용 격리판으로서는 폴리에틸렌테트라플루오라이드(PTFE)로 만든 미공성박막을 기대할 수 있었다.
이상을 요약하면, 본 발명은 PBT, PPS, PVDF 또는 PTFE수지중 적어도 하나의 합성수지로 만든 부직포 또는 미공성박막격리판에 의해 양극 및 음극을 격리하고; 양 및 음극금속용기사이에 삽입됨과 동시에, 블론아스팔트로 주로 만든 밀봉층으로 피복된 단일열가소성PPS 또는 PFA수지로 만들거나 또는 연속사용가능한 온도가 적어도 150℃인 이들 열가소성수지로 주로 만든 개스킷을 이용하고; 상기 삽입된 개스킷을 압착하는 음 또는 양극금속용기의 상부플랜지를 만곡하여 전지를 밀봉하는 것에 의해 고온유기전해액전지를 얻는 것이다.
[제7실시예]
여기서는, 용질 LiBF를 용매 BL중에 1.0mol/l의 농도로 용해하여 얻은 유기전해액을 제1∼제6실시예에 표시한 Li/(CF)n계 유기전해액전지내에서 계속해서 이용하여, 종래보다도 높은 온도에서 전지가 양호한 동작특성을 지니게 하고 -20℃에서 전지방전이 가능하게 하는 용매를 고려한다.
표 9는 유기전해액에 적합한 수개용매의 융점(어느점) 및 비점의 리스트를 표시한 것이다.
유기전해액전지의 실제 저온동작을 -20℃만큼 낮다고 간주하면, 가능한 용매는 PC 또는 BL만 될수 있다. 이와 같이, 각종 비율로 PC와 BL을 혼합하여 제조한 용매를 이용하고, BL 또는 혼합용매중에 저비점의 1,2디메톡시에탄(DME)을 혼합하여 얻은 용매에 용질 LiBF를 1.0mol/l의 농도로 용해하여 제조한 유기전해액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제1실시예의 No.1전지와 동일한 BR1225형 Li/(CF)n계 유기전해액코인형전지를 제작한다.
-40∼85℃의 광범위한 온도에서 방전깊이가 40%까지인 30kΩ의 고정레지스터로 부하된 이들 전지의 방전특성 및 40%의 방전깊이에서 각 동작전압을 결정하여 비교한다.
이 실험의 결과는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BL을 PC보다 많이 함유한 PC 및 BL로 구성하거나 또는 BL로 주로 구성한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유기전해액을 이용한 전지의 성능이 BL과 혼합된 저비점 DME용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유기전해액을 이용하여 얻은 전지와 근사할 수 있음을 보인다.
그러므로, 전지의 최저동작온도를 -20℃로 제한하면 저비점용매를 첨가하지 않고도 고온조건하에서 장기 사용 및 또는 보존시 동작 가능한 Li/(CF)n계 유기전해액전지를 명백하게 실현할 수 있다.
[제8실시예]
지금까지 표시한 본 발명의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Li/(CF)n계 전지에 이용된 유기전해액의 용질 LiBF의 농도는 1.0mol/l로 고정해 왔다. BL단독용매에 용해된 0.8, 0.9, 1.0, 1.3, 1.5 및 1.6mol/l의 농도의유기전해액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제1실시예의 No.1전지와 동일한 BR1225형 Li/(CF)n계 코인형전지 각 50개를 준비하여, 고온 40일 보존테스트를 행한다. 테스트기간중의 내부임피던스(AC1000Hz에서)의 변화와 그 평균은 표 10에 표시되어 있다.
표 10은 농도가 0.8∼1.6mol/l인 LiBF용질을 이용하여 제작한 전지의 내부임피던스의 고온보존일 수에 비례한 주된 증가를 나타낸 것으로, 적절한 LiBF용질농도는 0.9∼1.5mol/l범위에서 발견된다.
[제9실시예]
Li/(CF)n계 전극의 양극케이스로서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강 SUS304(Cr 18%, Ni 8%)제 금속을 이용했지만, 얻은 고온보존특성은 항상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크롬함량이 높은 페라이트계 스텐레스강제에 몰리브덴을 더 첨가한 양극용기를 이용하여, 제1실시예의 No.1전지와 동일한 전지 각 50개를 제작한 다음, 85℃에서 200일간 고온보존테스트를 향하고 개방회로전압을 측정한 결과는 표 11에 표시되어 있다.
표 11에 표시한 결과는 85℃에서 보존된 니켈을 함유한 오스테나이트계스텐레스강을 사용하여 제작한 No.1형전지의 개방회로전압의 대폭적인 강하를 보이고 있다. 분해된 전지를 관찰하면, 양전극과 접촉한 금속용기의 바닥에 약간의 부식을 보였고, 리튬금속제 음극상에는 불순물퇴적으로 인한 검은 오염이 나타났다.
크롬을 함유한 페라이트계 스텐레스강제 용기에 있어서는 개방회로전압의 강하가 관찰되었으나, 관찰된 개방회로전압강하는 16wt%를 초과하여 크롬을 함유한 것을 제외하고는 마찬가지인 스텐레스강제 용기를 사용한 경우가 더 낮다.
실제로 니켈은 없고 크롬을 15wt%를 초과하여 함유한 것에 몰리브덴을 0.5%초과하여 첨가한 스텐레스강용기로 만든 전지에 의하면, 전지분해후 전지의 부식은 관찰되지 않고, 또 개방회로전압의 강하도 관찰되지 않는 등, 고온보존특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 강종류의 실제효과를 증명하고 있다.
[제10실시예]
PPS수지제개스킷, PBT섬유부직포제 격리판, Cr을 18wt%, Mo를 2.0wt%함유한 스텐레스강제용기 및 BL에 LiBF를 1.0mol/l농도로 용해하여 얻은 전해액을 사용한 본 발명의 BR1225형 Li/(CF)n계 코인형전지와, PP수지제 개스킷, PP섬유부직포체 격리판, Ni을 18wt%, Cr을 8wt% 함유한 스텐레스강제 용기, BL과 DME와의 혼합물에 LiBF를 1.0mol/l농도로 용해하여 얻은 전해액 및 상술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No.1전지와 동일한 기타 성분을 사용한 동일형의 전지를 동일조건하에서 제작한다.
이들 2개형전지에 150℃의 환경에서 40일간 동일한 고온보존테스트를 행하고 10일간격으로 개방회로전압과 전지중량을 측정한다. 전지의 감소된 중량이 전해액의 손실때문이라고 추정하여, 전해액의 평균잔유율과 20℃및 30kΩ연속방전조건(최종전압2.5V:평균 20개전지까지)에서의 방전용량을 구한다. 그 결과는 제3도 및 제4도, 표 12에 각각 표시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온보존일의 증가에 따른 개방회로전압의 급저하는 종래의 전지에서 두드러진다. 이것은 제4도에 도시한 전해액의 전유율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이것은 DME의 누출로 야기된 전해액의 감소 및 금속용기의 부식으로 야기된 리튬음전극의 열화에 관한 것일 수도 있다.
표 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150℃에서 20일 보존후의 종래의 전지의 0%의 용량보유율과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전지는 동일 보존기간 후에 81%의 용량보유율을 보였고 40일보전테스트후에도 62%의 용량보유율을 보였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목적은 불가능하다고 간주해왔던 고온의 가혹한 환경하에서 장기사용 및/ 또는 보존에 적합한 코스트성능이 높은 범용유기전해액전지를 얻는 것이다. 이것은 이제 내열성이 높은 신규의 개스킷 및 격리판과 신규의 공업재료를 포함한 전지소자를 이용하고, 이들의 합성효과를 활용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를 포함한 범용유기전해액전지의 응용분야의 급속한 팽창이 달성된다.

Claims (13)

  1. 리튬 등의 경금속, 리튬 등의 경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 또는 리튬 등의 알칼리금속과 탄소 또는 금속산화물사이에서 형성된 삽입화합물로 이루어진 활성재의 음극과, 비점이 170℃인 단일유기용매 또는 혼합유기용매중에 용질로서 리튬염을 용해하여 얻은 유기전해액으로 구성된 유기전해액전지에 있어서, 양극과 음극은 융점이 적어도 170℃인 다공성합성수지시트로 이루어진 격리판에 의해 격리되어 있고, 양극금속용기와 음극금속용기사이에는 블론아스팔트(blown-asphalt)를 주성분으로 하는 밀봉층으로 표면이 미리 도포되어 있는, 연속사용가능한 온도가 적어도 150℃인, 열가소성합성수지 단독 또는 이 열가소성합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진 개스킷이 삽입되어 있고, 이들 금속용기는 상기 양극금속용기 또는 상기 음극금속용기의 상부플랜지를 만곡시키고, 상기 금속용기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개스킷상에 압력을 가하여 밀봉되고, 충전제로서 작용하는 유리섬유를 폴리페닐렌술피드수지 또는 테트라플루오라이드-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공중합체수지중에 10wt%미만의 비율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강화된 수지로 이루어진 개스킷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해액전지.
  2. 리튬 등의 경금속, 리튬 등의 경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 또는 리튬 등의 알칼리금속과 탄소 또는 금속산화물사이에서 형성된 삽입화합물로 이루어진 활성재의 음극과, 비점이 170℃인 단일유기용매 또는 혼합유기용매중에 용질로서 리튬염을 용해하여 얻은 유기전해액으로 구성된 유기전해액전지에 있어서, 양극과 음극은 융점은 적어도 170℃인 다공성합성수지시트로 이루어진 격리판에 의해 격리되어 있고, 양극금속용기와 음극금속용사이에는 블론아스팔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밀봉층으로 표면이 미리 도포되어 있는, 연속사용가능한 온도가 적어도 150℃인, 열가소성합성수지 단독 또는 이 열가소성합성수지를 주성분으로하여 이루어진 개스킷이 삽입되어 있고, 이들 금속용기는 상기 양극금속용기 또는 상기 음극금속용기의 상부플랜지를 만곡시키고, 상기 금속용기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개스킷상에 압력을 가하여 밀봉되고,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폴리에틸렌과 폴리플로필렌으로 이루어진 폴리올레핀계탄성중합체를 폴리네필렌술피드수지 또는 테트라플루오라이드-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공중합체수지중에 10wt%미만의 비율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얻은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진 개스킷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해액전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양극금속용기 또는 음극금속용기의 상부플랜지를 만곡하여 압착스트레스를 인가하고, 개스킷상에 압력을 가하여 밀봉한 상기 개스킷의 두께는, 밀봉하고 압착하기 전에 결정한 스트레스받지 않은 개스킷두께의 50∼90%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해액전지.
  4. 리튬 등의 경금속, 리튬 등의 경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 또는 리튬 등의 알칼리금속과 탄소 또는 금속산화물사이에서 형성된 삽입화합물로 이루어진 활성재의 음극과, 비점이 170℃인 단일유기용매 또는 혼합유기용매중에 용질로서 리튬염을 용해하여 얻은 유기전해액으로 구성된 유기전해액전지에 있어서, 양극과 음극은 융점이 적어도 170℃인 다공성합성수지시트로 이루어진 격리판에 의해 격리되어 있고, 양극금속용기와 음극금속용기사이에는 블로아스팔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밀봉층으로 표면이 미리 도포되어 있는, 연속사용가능한 온도가 적어도 150℃인, 열가소성합성수지 단독 또는 이 열가소성합성수지를 주성분으로하여 이루어진 개스킷이 삽입되어 있고, 이들 금속용기는 상기 양극금속용기 또는 상기 음극금속용기의 상부플랜지를 만곡시키고, 상기 금속용기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개스킷상에 압력을 가하여 밀봉되고, 블론아스팔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밀봉층은 용매중에 미네랄유가 첨가된 블론아스팔트를 용해하여 미리 제조한 도료를 적어도 양극금속용기와 음극금속용기가 접촉된 개스킷의 표면영역에 도포하여 건조함으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해액전지.
  5. 리튬 등의 경금속, 리튬 등의 경금속을 주로 함유한 합금, 또는 리튬 등의 알칼리금속과 탄소 또는 금속산화물사이에서 형성된 삽입화합물로 이루어진 활성재의 음극과, 비점이 170℃인 단일유기용매 또는 혼합유기용매중에 용질로서 리튬염을 용해하여 얻은 유기전해액으로 구성된 유기전해액전지에 있어서, 양극과 음극은 융점이 적어도 170℃인 다공성합성수지시트로 이루어진 격리판에 의해 격리되어 있고, 양극금속용기와 음극금속용기사이에는 블론아스팔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밀봉층으로 표면이 미리 도포되어 있는, 연속사용가능한 온도가 적어도 150℃인, 열가소성합성수지 단독 또는 이 열가소성합성수지를 주성분으로하여 이루어진 개스킷이 삽입되어 있고, 이들 금속용기는 상기 양극금속용기 또는 상기 음극금속용기의 상부플랜지를 만곡시키고, 상기 금속용기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개스킷상에 압력을 가하여 밀봉되고, 부직포의 형태를 취한 합성섬유로 만든 격리판을 사용하거나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비닐리덴 및 폴리테트라풀루오라이드에틸렌의 군에서 선택한 적어도 1종의 수지로 이루어진 미공성박막으로 만든 격리판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전해액전지.
  6. 그래파이트플루오르화물의 주성분으로 하는 양전극과 리튬금속으로 구성된 음극은 융점온도가 적어도 170℃인 다공성합성수지로 만든 격리판에 의해 격리되어 있고, 양극금속용기와 음극금속용기사이에는 블론아스팔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밀봉층으로 개스킷의 표면이 미리 도포되어 있는, 연속사용가능한 온도가 적어도 150℃인, 열가소성합성수지단독 또는 이 열가소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진 개스킷이 삽입되어 있고, 이들 금속용기는 상기 양극금속용기 또는 상기 음극금속용기의 상부플래지를 만곡시키고 상기 금속용기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개스킷상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밀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해액전지.
  7. 제6항에 있어서, 폴리페닐렌술피드수지 또는 테트라플루오라이드-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공중합체수지의 어느 한쪽의 열가소성수지 단독 또는 이 열가소성수지를 주성분으로하여 이루어진 개스킷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해액전지.
  8. 제6항에 있어서, 유리섬유를 폴리-페닐렌술피드수지 또는 테트라플루오라이드-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공중합체수지중에 10wt%미만의 비율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강화된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진 개스킷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해액전지.
  9. 제6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거나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폴리올레핀계 탄성중합체를 폴리-페닐렌술피드수지 또는 테트라플루오라이드-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공중합체수지중에 10wt%미만의 비율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얻은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진 개스킷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해액전지.
  10. 제6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극금속용기 또는 음극금속용기의 상부플랜지를 만곡하여 압착스트레스를 인가하고 개스킷상에 압력을 가하여 밀봉한 상기 개스킷의 두께는, 밀봉하고 압착하기 전에 결정한 스트레스받지 않은 개스킷두께의 50∼90%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해액전지.
  11.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양극 및 음극금속용기와 접촉하는 개스킷의 표면영역상에 블론아스팔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밀봉층은, 블론아스팔트에 미네랄유를 첨가하여 용매중에 용해하여 얻은 도료로 도포하여 건조함으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해액전지.
  12. 제6항에 있어서, 리튬플루오보레이트의 용질을-부티로락톤 단독용매 또는-부티로락톤을 주성분으로 하고 비점이 높은 혼합용매에 0.9∼1.5mol/l의 농도로 용해하여 얻은 유기전해액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유기전해액전지.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금속용기는 15wt%를 초과하는 크롬과 0.5wt%를 초과하는 몰리브덴을 함유한 스텐레스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해액전지.
KR1019950046295A 1995-03-20 1995-12-04 유기전해액전지 KR100212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60767 1995-03-20
JP6076795 1995-03-20
JP95-261239 1995-10-09
JP26123995A JP3708183B2 (ja) 1995-03-20 1995-10-09 有機電解液電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184A KR960036184A (ko) 1996-10-28
KR100212227B1 true KR100212227B1 (ko) 1999-08-02

Family

ID=13151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6295A KR100212227B1 (ko) 1995-03-20 1995-12-04 유기전해액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5656392A (ko)
EP (1) EP0739046B1 (ko)
JP (2) JP3708183B2 (ko)
KR (1) KR100212227B1 (ko)
DE (1) DE69515640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215B1 (ko) 2004-03-19 2007-03-27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전자부품용 세퍼레이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093339B1 (ko) * 2009-10-29 2011-12-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고출력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7128B2 (ja) * 1996-09-21 2005-07-27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封口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302737A (ja) * 1997-04-22 1998-11-13 Fuji Film Selltec Kk 電池用ガスケ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電池
JPH10302739A (ja) * 1997-04-25 1998-11-13 Seiko Instr Inc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H10302740A (ja) * 1997-04-25 1998-11-13 Seiko Instr Inc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H10302741A (ja) * 1997-04-25 1998-11-13 Seiko Instr Inc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3532109B2 (ja) * 1997-12-22 2004-05-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の取付方法及び取付装置
TW431004B (en) 1998-10-29 2001-04-21 Toshiba Corp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3920510B2 (ja) * 1998-10-29 2007-05-30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液二次電池
US6444359B1 (en) * 1998-12-18 2002-09-03 Nec Corporation Liquid electrolyte solution including a halogenated and aliphatic polyolefin dissolved therein and secondary battery
JP3703667B2 (ja) * 1998-12-24 2005-10-05 株式会社エスアイアイ・マイクロパーツ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0289542B1 (ko) * 1999-04-09 2001-05-02 김순택 각형 리튬 2차 전지의 제조 방법
JP2001015390A (ja) * 1999-06-28 2001-01-19 Elna Co Ltd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ガスケット
JP4565530B2 (ja) * 2000-06-19 2010-10-20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扁平形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4759784B2 (ja) * 2000-03-28 2011-08-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有機電解液電池
WO2001080621A2 (en) 2000-04-25 2001-11-01 Rayovac Corporation Extended temperature operating range electrochemical cells
JP2001319641A (ja) * 2000-05-10 2001-11-16 Denso Corp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の製造方法
WO2001089020A1 (en) * 2000-05-19 2001-11-22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 hybrid polymer electrolyt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hybrid polymer electrolyte and their fabrication methods
JP2002050328A (ja) * 2000-08-02 2002-02-15 Seiko Instruments Inc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0734703B1 (ko) * 2000-08-09 2007-07-02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코인형 전지
JP3908459B2 (ja) * 2000-12-22 2007-04-25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4909470B2 (ja) * 2001-06-28 2012-04-0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20030113622A1 (en) * 2001-12-14 2003-06-19 Blasi Jane A. Electrolyte additive for non-aqueous electrochemical cells
US20030162099A1 (en) * 2002-02-28 2003-08-28 Bowden William L. Non-aqueous electrochemical cell
US7175677B2 (en) * 2002-03-28 2007-02-13 Omron Corporation Methodology for making electrical contact from a button cell battery to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ATE355629T1 (de) * 2003-08-20 2006-03-15 Samsung Sdi Co Ltd Elektrolyt für wiederaufladbare lithium-batterie und wiederaufladbare lithium-batterie enthaltend denselben
US8252458B2 (en) * 2003-10-09 2012-08-28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Electrolyte-absoring, non-permeable sealing materials
US7923137B2 (en) * 2003-10-09 2011-04-12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Nonaqueous cell with improved thermoplastic sealing member
JP4501529B2 (ja) * 2004-05-18 2010-07-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イン形蓄電セル
JP2006019274A (ja) * 2004-06-30 2006-01-19 Samsung Sdi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US7285356B2 (en) * 2004-07-23 2007-10-23 The Gillette Company Non-aqueous electrochemical cells
JP4951207B2 (ja) * 2005-02-09 2012-06-13 Fdkエナジー株式会社 筒形密閉電池
US7479348B2 (en) * 2005-04-08 2009-01-20 The Gillette Company Non-aqueous electrochemical cells
JP5092212B2 (ja) * 2005-07-15 2012-12-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イン型リチウム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82058B2 (ja) * 2005-08-10 2012-07-25 淀川ヒューテック株式会社 電池用ガスケットの製法
WO2007034798A1 (ja) * 2005-09-21 2007-03-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偏平形有機電解液二次電池
US7802796B2 (en) 2006-01-05 2010-09-28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Composite material and seals formed thereof
JP5231246B2 (ja) 2006-01-05 2013-07-10 サン−ゴバン パフォーマンス プラスティ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環状シールおよび環状シールを含むポンプ
US7763375B2 (en) 2006-05-24 2010-07-27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Current interrupt device for batteries
US20080254343A1 (en) * 2007-04-16 2008-10-16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Electrochemical cell with thermal current interrupting switch
JP4831625B2 (ja) * 2007-12-08 2011-12-07 日立マクセルエナジー株式会社 コイン形電池
JP2009212051A (ja) * 2008-03-06 2009-09-17 Fdk Energy Co Ltd ボビン形リチウム電池
RU2465503C1 (ru) 2008-12-24 2012-10-27 Сэнт-Гобэн Перформанс Пластикс Корпорейшн Полимерный материал и уплотнение, изготовленное из него,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насосе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EP2211398B1 (de) 2009-01-19 2018-01-10 Renata AG Galvanisches Element für hohe Beanspruchungen
KR101055536B1 (ko) * 2009-04-10 2011-08-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공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JP5809783B2 (ja) * 2009-06-23 2015-11-11 Dic株式会社 ガスケット用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二次電池用ガスケット
JP5099789B2 (ja) * 2010-04-27 2012-12-19 日立マクセルエナジー株式会社 扁平形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5945904B2 (ja) 2010-12-28 2016-07-05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の製造方法
JP5920650B2 (ja) 2010-12-28 2016-05-18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JP2012164634A (ja) * 2011-01-20 2012-08-30 Gs Yuasa Corp 蓄電素子
JP2012190729A (ja) * 2011-03-13 2012-10-04 Seiko Instruments Inc コイン型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8632912B2 (en) 2011-04-14 2014-01-21 Gs Yuasa International Ltd. Battery including baffling member and sealing material that seals auxiliary terminal to lid plate
US8748034B2 (en) 2011-04-14 2014-06-10 Gs Yuasa International Ltd. Battery including baffling member including one of projecting portion and recessed portion extending from lid plate
KR101210756B1 (ko) * 2011-05-02 2012-12-10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양극 활물질 및 이것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JP5715907B2 (ja) * 2011-08-19 2015-05-13 Fdkエナジー株式会社 円筒形電池
JP5728721B2 (ja) * 2011-10-12 2015-06-03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耐熱性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WO2014050056A1 (ja) * 2012-09-28 2014-04-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電解液電池
JP6228134B2 (ja) * 2012-12-27 2017-11-08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ガスケット用樹脂組成物及び二次電池用ガスケット
KR20160049537A (ko) 2013-08-30 2016-05-09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개스킷용 수지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이차전지용 개스킷
CN103510108B (zh) * 2013-10-08 2017-02-01 铜陵有色金属集团股份有限公司金昌冶炼厂 用于长距离输送铜电解液的装置
KR102234381B1 (ko) 2014-01-07 2021-03-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내열부재를 갖는 이차 전지
KR102232531B1 (ko) 2014-09-22 2021-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내열성 절연층을 갖는 이차 전지
WO2017014576A1 (ko) * 2015-07-21 2017-0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정성이 향상된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원형 이차전지
KR101947477B1 (ko) 2015-07-21 2019-0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정성이 향상된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원형 이차전지
CN114258609A (zh) * 2019-08-26 2022-03-29 大金工业株式会社 非水电解液电池用部件
CN114270620A (zh) * 2019-08-26 2022-04-01 大金工业株式会社 非水电解液电池用部件
JP6974778B2 (ja) * 2019-08-26 2021-12-0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非水電解液電池用部材
CN114223086A (zh) * 2019-08-26 2022-03-22 大金工业株式会社 蓄电体和垫片
KR20210152726A (ko) 2020-06-09 2021-12-16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개스킷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개스킷
JP2024015661A (ja) * 2022-07-25 2024-02-06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池
JP2024015658A (ja) * 2022-07-25 2024-02-06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池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0518A (en) * 1976-10-01 1978-08-29 P.R. Mallory & Co. Inc. Fluorocarbon seal
JPS5355744A (en) * 1976-11-01 1978-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attery
US4048392A (en) * 1976-12-13 1977-09-13 Honeywell Inc. Crimp seal using polyphenylene sulfide plastic with an aluminum terminal pan
JPS5422527A (en) * 1977-07-20 1979-02-20 Seiko Instr & Electronics Alkaline cell
JPS5816754B2 (ja) * 1978-08-02 1983-04-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リチウム↓−沃素錯体電池
JPS5842672B2 (ja) * 1978-08-03 1983-09-2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選択信号方式
JPS5528238A (en) * 1978-08-17 1980-0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lat battery
US4327166A (en) * 1980-09-29 1982-04-27 Union Carbide Corporation Nonaqueous cell having a MNO2 /poly-carbon fluoride cathode
JPS58112246A (ja) * 1981-12-04 1983-07-04 Toshiba Battery Co Ltd 有機溶媒電池の製造法
JPS59859A (ja) * 1982-06-09 1984-01-06 Toshiba Battery Co Ltd 有機溶媒電池
US4489144A (en) * 1983-03-28 1984-12-18 Union Carbide Corporation Isoxazole derivative additive in organic electrolytes of nonaqueous cells employing solid cathodes
JPS59224073A (ja) * 1983-06-03 1984-12-15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非水電解液電池
JPS60249256A (ja) 1984-05-23 1985-12-09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液電池
JPS612260A (ja) * 1984-05-31 1986-01-08 Seiko Electronic Components Ltd 非水電解液電池
US4565751A (en) * 1984-06-18 1986-01-21 Eastman Kodak Company Cathode for high current density and high power density electrochemical cells
JPS6166360A (ja) * 1984-09-07 1986-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有機電解質電池
JPS6174256A (ja) * 1984-09-18 1986-04-16 Seiko Electronic Components Ltd 平板型リチウム電池
JPS61294757A (ja) * 1985-06-24 1986-1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
JPH02126554A (ja) * 1988-11-07 1990-05-15 Toshiba Battery Co Ltd 非水溶媒二次電池
US5057386A (en) * 1989-01-04 1991-10-15 Alexander Manufacturing Company Seal for cells containing alkaline electrolyte
US5114811A (en) * 1990-02-05 1992-05-19 W. Greatbatch Ltd. High energy density non-aqueous electrolyte lithium cell operational over a wide temperature range
JP2965335B2 (ja) * 1990-08-09 1999-10-18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
JPH0513059A (ja) * 1991-07-03 1993-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質電池
US5246795A (en) 1991-07-31 1993-09-21 Rayovac Corporation High temperature lithium solid cathode electrochemical cells
JP3195475B2 (ja) * 1992-11-26 2001-08-06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電気化学セル
US5418091A (en) * 1993-03-05 1995-05-23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Polymeric electrolytic cell separator membrane
JPH0831429A (ja) * 1994-07-21 1996-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液電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215B1 (ko) 2004-03-19 2007-03-27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전자부품용 세퍼레이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093339B1 (ko) * 2009-10-29 2011-12-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고출력 이차전지
US10673029B2 (en) 2009-10-29 2020-06-02 Samsung Sdi Co., Ltd. High power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184A (ko) 1996-10-28
US5656392A (en) 1997-08-12
EP0739046A1 (en) 1996-10-23
DE69515640T2 (de) 2000-07-06
JPH08321287A (ja) 1996-12-03
JP3985805B2 (ja) 2007-10-03
JP2004296447A (ja) 2004-10-21
US5851693A (en) 1998-12-22
DE69515640D1 (de) 2000-04-20
EP0739046B1 (en) 2000-03-15
JP3708183B2 (ja) 2005-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2227B1 (ko) 유기전해액전지
US5624771A (en) Non-aqueous electrolyte cell
KR101108290B1 (ko) 열가소성 밀봉 부재가 개선된 비수성 전지
KR100462960B1 (ko) 전기화학소자용 봉지제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화학소자
CN1993856B (zh) 具有表面安装用的端子的二次电池
US4448860A (en) Galvanic element with integral getter
US20090087739A1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for mounting the same
US6274277B1 (en) Organic electrolyte battery
CA1172693A (e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safety vent closure
US7479348B2 (en) Non-aqueous electrochemical cells
SG184835A1 (en) Electrolyte composition, electrochemical cell including a contrast ag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ells using same
JP5166033B2 (ja) 偏平形有機電解液二次電池
JP4195949B2 (ja) リフロー法による自動実装可能な有機電解液電池
JP4075866B2 (ja) 偏平形有機電解液電池
KR101253359B1 (ko) 열가소성 밀봉 부재가 개선된 비수성 전지
JPH04115456A (ja) リチウム電池
JPH0418427B2 (ko)
CN101375440A (zh) 锰干电池
JPH05198292A (ja) 非水電解質電池
JP2001273926A (ja) 有機電解液電池
WO2013037120A1 (en) Lithium cell having improved weight-loss characteristics
JPH04223046A (ja) リチウム電池
JPH04345751A (ja) リチウム電池
JPS583595B2 (ja) 電池用封口パッキングの製造法
JPS62211854A (ja) リチウム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