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2960B1 - 전기화학소자용 봉지제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화학소자 - Google Patents

전기화학소자용 봉지제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화학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2960B1
KR100462960B1 KR10-2002-7016539A KR20027016539A KR100462960B1 KR 100462960 B1 KR100462960 B1 KR 100462960B1 KR 20027016539 A KR20027016539 A KR 20027016539A KR 100462960 B1 KR100462960 B1 KR 100462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chemical device
rubber
tackifier
metal case
encapsu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0292A (ko
Inventor
우야마다카오
오카히사미쓰구
이케하타도시히코
야마나카스스무
오카모토도시히데
사토시게노리
다나카요시노리
쓰보타후쿠지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0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9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2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4Electrolytes
    • H01G11/56Solid electrolytes, e.g. gels; Additives there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8Housing; Encapsulation
    • H01G9/10Sealing, e.g. of lead-in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3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6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0Printed batteries, e.g. thin film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10Multiple hybrid or EDL capacitors, e.g. arrays or modules
    • H01G11/12Stacked hybrid or EDL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5Immobilising or gelification of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전기화학소자에 넓은 온도범위에 있어서의 뛰어난 밀봉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고무성분 및 점착부여제로 이루어지는 전기화학소자용 봉지제로서, 상기 고무성분이 부틸 고무 및 폴리이소부틸렌 고무의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점착부여제가 테르펜계 수지, 지방족계 석유수지 및 지환식계 석유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는 봉지제를 사용한다.

Description

전기화학소자용 봉지제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화학소자{SEALING MATERIAL FOR ELECTROCHEMICAL ELEMENT AND ELECTROCHEMICAL ELEMENT CONTAINING THE SAME}
전기화학소자의 대부분은, 세퍼레이터를 통해 대향(對向)배치된 한 쌍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소자 유니트, 전해액 및 이들을 수용하는 용기를 가진다. 용기는, 일반적으로, 개구부를 가진 바닥이 있는 금속 케이스 및 그 개구부를 입구밀봉하기 위한 입구밀봉체로 이루어진다. 금속 케이스의 형상에는, 바닥이 있는 통형, 각형, 버튼형 등이 있다. 금속 케이스와 입구밀봉체의 사이에는, 전기적 절연을 가진 가스켓을 개재시키는 경우도 있다. 금속 케이스의 개구끝단부와 입구밀봉체, 금속 케이스의 개구끝단부와 가스켓 혹은 가스켓과 입구밀봉체의 사이는 봉지제로 밀봉되어 있다.
봉지제는, 전해액의 누액이나 증발을 막아, 전기화학소자 내부에의 수분의 침입을 막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사용된다. 특히, 비수전해액이나 전극은, 수분에 의해 영향받기 쉽기 때문에, 소자 내부에의 수분의 침입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로부터 여러 가지 봉지제가 제안되어 있지만, 아스팔트, 코르타르 등의 피치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50-10365호 공보에는, 봉지제로서 피치가 단독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피치는 저온에서 물러지고, 고온에서 연화되기 때문에, 피치 단독으로 이루어지는 봉지제를 사용하여도, 고온 및 저온 하에서의 누액을 충분히 방지할 수는 없다.
이러한 결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일본 특공소61-36344호 공보에는, 피치에 광물유를 혼합하는 것이, 일본 특개소63-80471호 공보에는, 피치에 실리콘고무를 혼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근래의 전기화학소자의 사용환경은 엄격하여, 피치를 함유한 봉지제를 사용하여 전기화학소자의 누액을 충분히 방지하는 것은 역시 곤란하다. 예를 들어, 60℃ 정도의 고온 및 마이너스 10℃ 정도의 저온에서 주기적으로 전기화학소자를 노출시키는 히트 사이클 시험에 있어서는, 만족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또한, 피치에 실리콘고무를 첨가하면, 저온에서의 봉지제의 물러짐은 방지할 수 있지만, 피치는 실리콘고무와의 상용성이 부족하다. 따라서, 히트 사이클을 반복하면, 실리콘고무가 피치로부터 분리하여, 봉지제의 성능이 저하한다.
그런데, 전기화학소자가 사용되는 전자기기에는, 고성능화와 함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내에 수용되는 전기화학소자에도, 전기용량을 손상시키지 않고 소형화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전기화학소자가 작아지면, 그 입구밀봉부의 강도는 저하한다. 그 때문에 종래의 봉지제를 사용하여 충분한 밀봉성을 얻는 것은 더욱 곤란해진다. 예를 들면, 피치 단독으로 이루어진 봉지제는, 가스켓에 대한 접착성이 낮기 때문에, 소자의 소형화에 따른 접착면적의 감소에 의해 밀봉성이 저하한다.
또한, 고용량인 전기화학소자를 얻기 위해서 여러 가지 전해액의 사용이 시도되고 있지만, 몇 가지 전해액은 종래의 봉지제를 용해하여 버린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전기화학소자용 봉지제에는 이하가 요구된다.
첫째로, 봉지제는 전해액에 용해되기 어려운 것이어야만 한다. 근래, 전기화학소자의 용량을 높이기 위해서 극성이 높은 전해액이 사용되고 있지만, 극성이 높은 전해액은 봉지제를 용해하기 쉽다. 특히 고온에서는, 봉지제가 전해액에 용해되기 쉽고, 입구밀봉부의 밀봉성이 급격히 손상된다.
둘째로, 봉지제의 투습성(透濕性)은 작을 것이 요구된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부타디엔 고무와 같은 고무의 라텍스가 히트 사이클에 내성이 있는 봉지제로서 제안되어 있지만, 이들은 비교적 높은 극성을 갖기 때문에 수분을 투과시키기 쉽다. 따라서, 고습도 하에서는, 수분이 봉지제를 통과하여 소자 내부에 침입해 버린다. 높은 극성을 가진 고무 라텍스는, 높은 극성을 가진 전해액에 용해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셋째로, 봉지제의 금속 케이스, 입구밀봉체 및 가스켓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해야만 한다. 금속 케이스, 입구밀봉체 및 가스켓과 봉지제의 사이에 빈틈이 있으면, 거기에서 전해액이 새거나 소자 내부로 수분이 침입하거나 하기 때문이다.
넷째로, 봉지제는 온도변화에 대하여 안정적이어야만 한다. 전기화학소자가사용되는 기기, 특히 휴대기기의 사용온도영역은 광범하다. 따라서, 봉지제도 고온 및 저온에서 양호한 성능을 유지해야 한다.
다섯째로, 봉지제는 입구밀봉부에 균일한 두께로 배치하는 것이 용이한 것이어야만 한다. 봉지제의 두께에 따라서 밀봉성이 다르기 때문에, 입구밀봉부에 배치된 봉지제의 두께가 불균일하면 입구밀봉부의 밀봉성도 불균일하게 되어 버린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요구를 만족시키는 봉지제를 가진 전기화학소자 및 봉지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고무성분 및 점착부여제로 이루어지는 봉지제를 가지며, 상기 고무성분이 부틸 고무 및 폴리이소부틸렌 고무의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부여제가 테르펜계 수지, 지방족계 석유수지 및 지환식계 석유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무성분은 전해액에 팽윤 또는 용해하기 어렵고, 가스투과성 및 투습성이 작고, 금속 케이스, 입구밀봉체 및 가스켓과의 밀착성에 우수하다. 이 고무성분에, 테르펜계 수지, 지방족계 석유수지 및 지환식계 석유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점착부여제를 첨가함으로써, 금속 케이스, 입구밀봉체 및 가스켓과의 밀착성 및 온도변화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진다. 상기 봉지제의 구성성분의 분자량은 피치에 비해서 크기 때문에, 상기 봉지제는 고온에서 유동하는 일이 없고, 저온에서 물러지는 일도 없다. 따라서, 상기 봉지제는 넓은 온도범위에서 각 부품과 밀착할 수 있어, 전기화학소자의 밀봉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지제는 균일한 두께로 입구밀봉부에 배치하는 것도 용이하다.
상기 봉지제는, 상기 고무성분 100중량부당, 3∼150중량부의 상기 점착부여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봉지제는, 티아졸계, 티우람계, 퀴논계 또는 디티오카르바민산 염계의 가교제를 더욱,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를 사용함으로써, 고무성분을 화학적으로 가교할 수 있다. 고무성분이 가교되면, 봉지제의 고온에 있어서의 안정성이 한층 더 향상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세퍼레이터를 통해 대향배치된 양극 및 음극으로 이루어지는 소자 유니트, 상기 소자 유니트와 접촉하는 전해액, 상기 소자 유니트 및 상기 전해액을 수용하는 금속 케이스, 상기 금속 케이스의 개구부를 입구밀봉하는 입구밀봉체, 및 상기 금속 케이스의 개구끝단부와 상기 입구밀봉체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상기 봉지제로 이루어지는 전기화학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세퍼레이터를 통해 대향배치된 양극 및 음극으로 이루어지는 소자 유니트, 상기 소자 유니트와 접촉하는 전해액, 상기 소자 유니트 및 상기 전해액을 수용하는 금속 케이스, 상기 금속 케이스의 개구부를 입구밀봉하는 입구밀봉체, 상기 금속 케이스와 상기 입구밀봉체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가스켓, 적어도 상기 가스켓과 상기 금속 케이스의 개구끝단부의 사이 또는 상기 가스켓과 상기 입구밀봉체의 사이에 개재하는 상기 봉지제로 이루어지는 전기화학소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봉지제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페닐렌설파이드에 밀착시키는 것은 곤란하지만, 점착부여제로서 테르펜계 수지, 지방족계 석유수지 및 지환식계 석유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봉지제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페닐렌설파이드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상기 봉지제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페닐렌설파이드로 이루어지는 입구밀봉체나 가스켓을 가진 전기화학소자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은 더욱 상기 금속 케이스가 한쪽의 전극단자를 가지며, 상기 입구밀봉체가 다른쪽의 전극단자를 갖고, 상기 가스켓이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기 전기화학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화학소자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은 에테르, 에스테르, 알콜 및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1,2-디메톡시에탄, 디에톡시에탄, 테트라히드로프란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부틸렌카보네이트, γ-부티로락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지, 전기 2중층 콘덴서 및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와 같은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한 전기화학소자용 봉지제(封止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넓은 온도범위에서 뛰어난 밀봉성을 가진 전기화학소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원통형 비수전해액전지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전기 2중층 콘덴서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편평형 비수전해액전지의 종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전기화학소자용 봉지제는, 부틸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고무 또는이들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고무성분, 및 테르펜계 수지, 지방족계 석유수지 및 지환식계 석유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는 점착부여제를 함유하고 있다. 상기 고무성분과 상기 점착부여제를 혼합함으로써, 상기 고무성분 단독으로는 얻을 수 없는 점착성이 봉지제에 부여된다. 또한, 고무성분의 유연성이 향상하고, 탄성율이 저하한다.
따라서, 금속 케이스, 입구밀봉체 또는 가스켓의 표면에 미소한 요철이 있는 경우에도, 그 표면에 상기 봉지제를 도포하여 소자를 입구밀봉하면, 봉지제가 입구밀봉시의 압력에 의해서 용이하게 넓어져 오목부를 채우기 때문에, 입구밀봉부가 밀봉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전기화학소자의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1은, 원통형 비수전해액전지의 종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금속 케이스(11)의 내부에는, 양극(12) 및 음극(14)이 세퍼레이터(13)를 통해 대향배치되어, 권회(卷回)된 소자 유니트 및 비수전해액이 수용되어 있다. 단, 도 1에서는 비수전해액은 묘사되어 있지 않다. 소자 유니트의 상하에는, 전극의 단락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한 상부 절연 링(18) 및 하부 절연 링(19)이 배치되어 있다. 양극(12)과 접속된 양극 리드(12a)는, 양극단자(15)를 설치한 입구밀봉체(1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음극(14)과 접속된 음극 리드(14a)는, 음극단자를 겸하는 금속 케이스(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전기화학소자에서는, 본 발명의 봉지제(17)가, 금속 케이스(11)의 개구끝단부와 입구밀봉체(16)의 둘레가장자리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전기 2중층 콘덴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금속 케이스(21)의 내부에는, 양극 및 음극이 세퍼레이터를 통해 대향배치되고, 권회된 소자 유니트(20) 및 비수전해액이 수용되어 있다. 단, 도 2에서는 비수전해액은 묘사되어 있지 않고, 소자 유니트(20)의 단면은 표시되어 있지 않다. 금속 케이스(21)의 개구부는, 관통구멍(23a 및 23b)을 가진 입구밀봉체(26)로 입구밀봉되어 있다. 소자 유니트(20)를 구성하는 양극 및 음극에는, 각각 양극 리드(22a) 및 음극 리드(24a)가 접속되어 있고, 관통구멍(23a 및 23b)을 통해서 외부로 인출되고 있다. 금속 케이스(21)의 개구끝단부는, 스로틀가공에 의해, 입구밀봉체(26)의 윗면 둘레가장자리부에 코킹되고 있다. 이 전기화학소자에서는, 본 발명의 봉지제(27)가 금속 케이스(21)의 개구끝단부와 입구밀봉체(26)의 측부 및 윗면 둘레가장자리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양극 리드(22a)와 관통구멍(23a)의 내면의 사이, 및 음극 리드(24a)와 관통구멍(23b)의 내면의 사이에도 봉지제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전기화학소자는, 금속 케이스, 입구밀봉체 또는 가스켓의 소정의 장소에 상기 봉지제를 5∼100㎛의 두께로 도포하고, 그리고 소자를 입구밀봉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봉지제에는 점착성과 유연성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변화에 따라 금속 케이스, 입구밀봉체 또는 가스켓이 팽창 또는 수축하여도 그 변화에 따라 넓어질 수 있다. 따라서, 온도변화에 의해서 전기화학소자의 밀봉성이 손상되는 일은 없고, 누액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부틸 고무는, 이소부틸렌과 이소프렌과의 공중합체의 총칭이고, 일반적으로 IIR이라 칭해진다. 부틸 고무의 불포화도는 0.6∼3.0몰%이다. 또한, 100℃에서 측정되는 부틸 고무의 무니 점도는 4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틸 고무의 무니 점도는 미가황 고무의 시험방법(JIS K 6300)에 준하여 측정할 수가 있다.
폴리이소부틸렌 고무는, 이소부틸렌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포화도가 높은 고무이다. 폴리이소부틸렌 고무는, 그 점도평균분자량이 10만 이하에서는 반고체 상태이고, 그 점도평균분자량이 80∼200만에서는 고무탄성을 가진 고체이다.
부틸 고무와 고무탄성을 가진 고체의 폴리이소부틸렌 고무와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혼합물에 있어서의 고체의 폴리이소부틸렌 고무의 함유율은 임의이다. 한편, 부틸 고무와 반고체 상태의 폴리이소부틸렌 고무와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는, 혼합물에 있어서의 부틸 고무의 함유율이 2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봉지제에 사용하는 점착부여제로서는, 테르펜계 수지, 지방족계 석유수지 및 지환식계 석유수지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이들 수지는 부틸 고무나 폴리이소부틸렌 고무와의 상용성이 양호하고, 전해액에 대한 내성에도 우수하다.
상기 테르펜계 수지로서는, 야스하라유지사 제조의 YS레진P, A시리즈, 하큐레스사 제조의 피코라이트 A, C 시리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방족계 석유수지로서는, 니혼제온사 제조의 쿠인튼 A, B 시리즈, 엑손화학사 제조의 에스코레쯔 1000시리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환식계 석유수지로서는, 아라카와화학사 제조의 알콘 P, M 시리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로진계 수지, 쿠마론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및 알킬페놀계 수지와 같은 점착부여제도 알려져 있지만, 이들 수지는 상기 고무성분과의 상용성이 낮기 때문에, 이들 수지를 사용하여도 불충분한 성능의 봉지제밖에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의 봉지제는, 상기 고무성분 100중량부당 3∼150중량부, 특히 3∼120중량부의 상기 점착부여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성분 100중량부당 점착부여제가 3중량부 미만에서는, 봉지제의 점착성이 불충분하게 되어, 충분한 밀봉성을 얻을 수 없다. 또한, 고무성분 100중량부당 점착부여제가 150중량부를 넘으면, 저온에서 봉지제가 물러지고, 밀봉성이 저하한다.
봉지제에 티아졸계, 티우람계, 퀴논계 또는 디티오카르바민산염계의 가교제를 첨가하면, 고무성분을 가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온에서의 봉지제의 안정성이 한층 더 향상한다. 상기 가교제는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티아졸계 가교제로서는, 2-메르캅토벤조티아졸, 디벤조티아질 디설파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티우람계 가교제로서는, 테트라메틸티우람 디설파이드, 테트라메틸티우람 모노설파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퀴논계 가교제로서는, 퀴논디옥심, 디벤조일퀴논디옥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디티오카르바민산염계 가교제로서는,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 아연, 디부틸디티오카르바민산 아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봉지제에 첨가하는 가교제의 양은, 고무성분 100중량부당 0.2∼7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다음에, 편평형 비수전해액전지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지,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할만한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도 3은, 본 실시예에서 제작한 두께 0.5mm, 지름 20mm의 편평형의 이산화망간/리튬전지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가스켓(6)과 금속 케이스(1)의 사이 및 가스켓(6)과 입구밀봉판(5)의 사이가 봉지제(7)로 밀봉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있어서, 금속 케이스(1)는 두께 O.1mm의 스텐레스강판제이고, 양극단자를 겸하고 있다. 금속 케이스(1)의 내면에는, 이산화망간, 흑연 및 결착제의 혼합분말을 두께 0.18mm의 펠릿으로 가압성형하여 얻어진 양극(2)이 접촉하고 있다. 양극(2)의 윗면은 두께 0.03mm의 다공성 폴리프로필렌 시트로 이루어지는 세퍼레이터(3)로 덮여져 있다. 두께 0.06mm의 금속리튬으로 이루어지는 음극(4)은, 세퍼레이터(3)를 통해 양극(2)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음극(4)은, 두께 0.1mm의 스텐레스강판제의 대략 접시형상 입구밀봉판(5)의 내면에 붙여져 있고, 음극단자를 겸하고 있다. 입구밀봉판(5)의 둘레가장자리부에는, 두께 약 0.1mm의 필름상태의 폴리페닐렌설파이드제 가스켓(6)이 배치되어 있고, 이 가스켓(6)에 의해 입구밀봉판(5)과 금속 케이스(1)가 절연되어 있다. 그리고, 가스켓(6)을 통해 금속 케이스(1)의 개구끝단부가 입구밀봉판(5)의 둘레가장자리부에 코킹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 케이스(1)의 안쪽면 및 바닥면 바깥둘레부 및 입구밀봉판(5)의 둘레가장자리부에, 이하의 봉지제를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나서 도포하고, 건조시키고 나서, 상기의 전지를 조립하였다. 그 결과, 가스켓(6)과 금속 케이스(1)의 사이 및 가스켓(6)과 입구밀봉판(5)의 사이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지제로 밀봉되었다.
상기 봉지제는, 불포화도가 2몰%로 무니 점도가 75인 부틸 고무 100중량부와, 점착부여제로서 연화점 100℃의 지방족계 석유수지(니혼제온사 제조의 쿠인튼 A-100) 30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제하였다. 이 봉지제를 사용하여 얻어진 전지를 전지 A로 하였다.
실시예 2
점도평균분자량 90만의 폴리이소부틸렌 고무 100중량부와,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점착부여제 30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제한 봉지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전지 B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스티렌 함유량이 23%이고 무니 점도가 50인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100중량부와,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점착부여제 30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제한 봉지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전지 C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스티렌 함유량이 30%이고 멜트플로레이트(MFR)가 6인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블록 고무 100중량부와,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점착부여제 30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제한 봉지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전지 D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
에틸렌 함유량이 63몰%이고 무니 점도가 38인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 고무 100중량부와,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점착부여제 30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제한 봉지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전지 E를 제작하였다.
전지 A∼E를 각각 10개씩, 60℃, 습도 90%의 항온항습조에 30일간 보본한 후, 20℃에서 1일 방치하였다. 그 후, 전지의 내부저항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측정치의 평균치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항온항습조에 보존하기 전의 전지의 내부저항은 모두 20∼25Ω이었다.
표 1
전지 고무의 종류 내부저항(Ω)
A 부틸 고무 32
B 폴리이소부틸렌 고무 35
C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78
D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블록 고무 70
E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 고무 45
다음에, 전지 A∼E에서 사용한 고무성분의 투습도를 JIS Z 0208에 규정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시료의 막두께는 20㎛으로 하고, 조건은 45℃, 습도 90%로 하였다.
또한, 고무성분의 시료 1g을 상기 전지의 제작으로 사용한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및 디메톡시에탄의 혼합액으로 이루어지는 비수전해액에 1주간 침지하여, 시료의 중량변화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투습도 및 중량변화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고무성분의 종류 투습도(g/m2·24hr) 중량변화(mg)
부틸 고무 15 +90
폴리이소부틸렌 고무 17 +110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72 -10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블록 고무 60 -8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 고무 35 -5
투습도는, 전기화학소자 내부로 수분이 침입하기 쉬움의 지표가 된다. 투습도가 낮을수록, 소자 내부에 수분이 침입하기 어려운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중량변화는 봉지제의 전해액에 대한 내성의 지표가 된다. +의 값은, 봉지제가 전해액으로 팽윤은 하지만, 전해액에 용출하는 일이 없고, 봉지제의 성능이 유지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의 값은, 봉지제가 전해액에 용해하여, 전기화학소자의 입구밀봉부에 빈틈이 생기기 쉬운 것을 나타내고 있다.
표 2로부터, 부틸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고무는 투습도가 낮고, 전해액에 용해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블록 고무는, 투습도가 높고, 전해액에 용해하기 쉬운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지 A, B를 항온항습조로 보존하여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저항은 안정되고 있다. 한편, 전지 C, D는 항온항습조로 보존하면, 수분의 침입 등에 의해 내부저항이 상승하고 있다.
또한,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 고무는, 비교적 투습도가 낮지만, 전해액에 용해하기 쉽기 때문에, 입구밀봉부에 빈틈이 생겨, 수분이 침입하여 내부저항이 상승하였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3
봉지제에 함유되는 점착부여제의 양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틸 고무 100중량부당 3∼175중량부의 사이에서 변화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전지를 제작하였다. 단, 점착부여제로서는 테르펜계 수지(하큐레스사 제조의 피코 라이트A-115)를 사용하였다.
얻어진 전지를 10개씩 사용하여, -20℃∼+60℃의 온도로 정기적으로 전지를 노출시켜 히트 사이클 시험을 하여, 250사이클 후에 누액이 발생하고 있는 전지의 수를 확인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
점착부여제의 첨가량(중량부) 누액발생수
0 5/10
3 1/10
5 0/10
10 0/10
30 0/10
50 0/10
100 0/10
125 0/10
150 0/10
175 3/10
표 3에 있어서, 부틸 고무 100중량부당 점착부여제를 3∼150중량부 부여한 전지에 있어서는, 히트 사이클 시험에 있어서, 누액의 발생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이것은, 상기 양의 점착부여제를 첨가함으로써, 봉지제의 탄성율이 저하하고, 봉지제가 유연하게 되기 때문에, 금속 케이스 및 입구밀봉판과 가스켓과의 사이의 빈틈부분 전체에 봉지제가 침입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금속 케이스 및 입구밀봉판과 가스켓이, 봉지제에 의해서 강고하게 접착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한편, 점착부여제의 양이 부틸 고무 100중량부당 175중량부인 봉지제는, 0℃ 이하의 저온영역에서 단단해지기 때문에, -20℃에서는 전지의 밀봉성이 저하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상으로, 부틸 고무 100중량부당 5∼150중량부의 점착부여제를 함유한 봉지제는, 히트 사이클에 대한 내성에 뛰어난 것이 확인되었다. 여기서는, 점착부여제로서 테르펜계 수지를 사용하였지만, 지방족계 석유수지, 지환식 석유수지를 사용하여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4
부틸 고무 100중량부와,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점착부여제 50중량부와, 퀴논계 가교제인 디벤조일퀴논디옥심 5중량부를 함유한 봉지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전지를 제작하였다.
또한, 부틸 고무 100중량부와,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점착부여제 50중량부를 함유하고, 가교제를 함유하지 않은 봉지제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전지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전지를 각각 10개씩 사용하여, JIS X6303에 규정되어 있는 IC 카드를 평가하기 위한 구부림 테스트를 하였다. 구부림 테스트에서는, 전지를 투명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피복하고 치수 54 ×76 ×0.76mm의 카드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30회/분의 주기로, 상기 카드를 긴 방향 및 짧은 방향의 각각에 있어서 125회씩 구부렸다. 긴 방향에 있어서의 휘어짐은 2cm, 짧은 방향에 있어서의 휘어짐은 1cm로 하였다. 이어서, 카드의 표리를 반대로 하여 같은 조작을 하고, 합계 500회 카드를 구부렸다. 그 후, 전지의 누액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표 4
가교제의 유무 누액발생수
있음 0/10
없음 2/10
표 4로부터, 가교제를 봉지제에 첨가함으로써, 구부림 테스트에 있어서의 전지의 누액이 일어나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가교제에 의해서 봉지제와 금속 케이스나 가스켓의 접착성이 향상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가교제를 함유하지 않은 봉지제를 사용한 전지를 구부리면, 금속 케이스나 가스켓으로부터 봉지제가 벗겨져, 전지의 입구밀봉부에 빈틈이 생긴다고 생각된다.
다음에, 두께 0.1mm의 스텐레스강판사이에, 가교제를 함유한 봉지제 또는 가교제를 함유하지 않은 봉지제를 끼운 시료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시료를 사용하 여, ASTM D 1876-69(접착 핸드백)에 규정하는 T형 박리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 가교제를 함유하지 않은 봉지제의 인장강도는 0.6kgf/cm이고, 가교제를 함유한 봉지제의 인장강도는 1.1kgf/cm이었다. 즉, 가교제를 함유한 봉지제의 강도는, 가교제를 함유하지 않은 봉지제의 강도의 약 2배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지, 전기 2중층 콘덴서, 알루미늄전해 콘덴서와 같은 전기화학소자에 대하여, 넓은 온도범위에서의 뛰어난 밀봉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2)

  1. 고무성분 및 점착부여제로 이루어지는 전기화학소자용 봉지제로서, 상기 고무성분이 부틸 고무 및 폴리이소부틸렌 고무의 적어도 한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점착부여제가 테르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봉지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성분 100중량부당 3∼150중량부의 상기 점착부여제를 함유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봉지제.
  3. 제 1 항에 있어서, 티아졸계, 티우람계, 퀴논계 또는 디티오카르바민산염계의 가교제를 더욱, 함유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봉지제.
  4. 세퍼레이터를 통해 대향배치된 양극 및 음극으로 이루어지는 소자 유니트, 상기 소자 유니트와 접촉하는 전해액, 상기 소자 유니트 및 상기 전해액을 수용하는 금속 케이스, 상기 금속 케이스의 개구부를 입구밀봉하는 입구밀봉체, 및 상기 금속 케이스의 개구끝단부와 상기 입구밀봉체와의 사이에 개재한 봉지제로 이루어지는 전기화학소자로서,
    상기 봉지제가 고무성분 및 점착부여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무성분이 부틸 고무 및 폴리이소부틸렌 고무의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부여제가 테르펜계 수지, 지방족계 석유수지 및 지환식계 석유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
  5. 세퍼레이터를 통해 대향배치된 양극 및 음극으로 이루어지는 소자 유니트, 상기 소자 유니트와 접촉하는 전해액, 상기 소자 유니트 및 상기 전해액을 수용하는 금속 케이스, 상기 금속 케이스의 개구부를 입구밀봉하는 입구밀봉체, 상기 금속 케이스와 상기 입구밀봉체의 사이에 개재한 가스켓, 적어도 상기 가스켓과 상기 금속 케이스의 개구끝단부의 사이 또는 상기 가스켓과 상기 입구밀봉체의 사이에 개재한 봉지제로 이루어지는 전기화학소자로서,
    상기 봉지제가 고무성분 및 점착부여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무성분이 부틸 고무 및 폴리이소부틸렌 고무의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부여제가 테르펜계 수지, 지방족계 석유수지 및 지환식계 석유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케이스가 한쪽의 전극단자를 가지며, 상기 입구밀봉체가 다른쪽의 전극단자를 갖고, 상기 가스켓이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전기화학소자.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이 에테르, 에스테르, 알콜 및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는 전기화학소자.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이 에테르, 에스테르, 알콜 및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는 전기화학소자.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제가 상기 고무성분 100중량부당 3∼150중량부의 상기 점착부여제를 함유하는 전기화학소자.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제가 티아졸계, 티우람계, 퀴논계 또는 디티오카르바민산염계의 가교제를 더욱 함유하는 전기화학소자.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제가, 상기 고무성분 100중량부당 3∼150중량부의 상기 점착부여제를 함유하는 전기화학소자.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제가 티아졸계, 티우람계, 퀴논계 또는 디티오카르바민산염계의 가교제를 더욱 함유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2002-7016539A 2000-06-05 2001-06-04 전기화학소자용 봉지제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화학소자 KR1004629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67961A JP3260349B2 (ja) 2000-06-05 2000-06-05 電気化学素子用封止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化学素子
JPJP-P-2000-00167961 2000-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292A KR20030020292A (ko) 2003-03-08
KR100462960B1 true KR100462960B1 (ko) 2004-12-23

Family

ID=18671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539A KR100462960B1 (ko) 2000-06-05 2001-06-04 전기화학소자용 봉지제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화학소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30148179A1 (ko)
EP (1) EP1294031A4 (ko)
JP (1) JP3260349B2 (ko)
KR (1) KR100462960B1 (ko)
CN (1) CN1209826C (ko)
WO (1) WO20010954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3122A (ja) 2004-02-05 2005-08-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チップ型アルミ電解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4821298B2 (ja) * 2005-12-13 2011-11-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デンサ
JP5179008B2 (ja) * 2005-12-13 2013-04-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デンサ
WO2006115111A1 (ja) * 2005-04-20 2006-11-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FR2894381B1 (fr) * 2005-12-05 2008-02-15 Batscap Sa Systeme de stockage d'energie electrique
WO2007069538A1 (ja) * 2005-12-13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コンデンサ
FR2921195B1 (fr) * 2007-09-13 2009-11-06 Batscap Sa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fabrication d'ensambles de stockage d'energie electrique
WO2009119589A1 (ja) * 2008-03-26 2009-10-01 アイカ工業株式会社 ホットメルト組成物、シール材、及び太陽電池
JP5261034B2 (ja) * 2008-06-11 2013-08-14 Nok株式会社 色素増感型太陽電池用封止材
KR101706438B1 (ko) * 2011-08-26 2017-02-13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접착성 밀봉 필름, 접착성 밀봉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접착성 밀봉 필름용 도포액
DE102012000871A1 (de) * 2012-01-18 2013-07-18 Li-Tec Battery Gmbh Zellengehäuse für elektrochemische Zellen zum Aufbau eines elektrochemischen Energiespeichers
JP5736548B2 (ja) * 2012-11-16 2015-06-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ンデンサ
CN104797670B (zh) * 2012-11-30 2017-12-29 琳得科株式会社 粘接剂组合物、粘接片、电子设备及其制造方法
US9362546B1 (en) 2013-01-07 2016-06-07 Quantumscape Corporation Thin film lithium conducting powder material deposition from flux
JP2014164888A (ja) * 2013-02-22 2014-09-08 Mitsubishi Chemicals Corp 有機電界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16880A (ko) * 2013-08-05 2015-0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방법
HUE056765T2 (hu) 2013-10-07 2022-03-28 Quantumscape Battery Inc Lítiummal töltött garnet filmet tartalmazó kettõs rétegek és hármas rétegek, továbbá módszer vékony és szabadon álló, lítiummal töltött garnet film szinterezésére
CN104017520B (zh) 2014-05-27 2016-06-01 中国科学院广州能源研究所 萜烯树脂基水系粘结剂及其在锂离子电池负极或超级电容器中的应用
KR102585092B1 (ko) 2015-04-16 2023-10-05 퀀텀스케이프 배터리, 인코포레이티드 고체 전해질 제조를 위한 리튬 함유 가넷 세터 플레이트
JP2018528916A (ja) 2015-07-21 2018-10-04 クアンタムスケイプ コーポレイション グリーンガーネット薄膜を流延及び焼結するプロセス及び材料
KR102562335B1 (ko) 2015-11-23 2023-07-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외장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US9966630B2 (en) 2016-01-27 2018-05-08 Quantumscape Corporation Annealed garnet electrolyte separators
EP3455892B1 (en) 2016-05-13 2024-02-07 QuantumScape Battery, Inc. Solid electrolyte separator bonding agent
EP3494613A4 (en) 2016-08-05 2020-03-11 QuantumScape Corporation TRANSPARENT AND TRANSPARENT SEPARATORS
EP3529839A1 (en) 2016-10-21 2019-08-28 QuantumScape Corporation Lithium-stuffed garnet electrolytes with a reduced surface defect density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EP4369453A2 (en) 2017-06-23 2024-05-15 QuantumScape Battery, Inc. Lithium-stuffed garnet electrolytes with secondary phase inclusions
US10347937B2 (en) 2017-06-23 2019-07-09 Quantumscape Corporation Lithium-stuffed garnet electrolytes with secondary phase inclusions
US11600850B2 (en) 2017-11-06 2023-03-07 Quantumscape Battery, Inc. Lithium-stuffed garnet thin films and pellets having an oxyfluorinated and/or fluorinated surfac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thin films and pellets
JP6948258B2 (ja) * 2017-12-28 2021-10-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6948256B2 (ja) * 2017-12-28 2021-10-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6948255B2 (ja) * 2017-12-28 2021-10-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6948257B2 (ja) * 2017-12-28 2021-10-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18419A (ko) 2018-06-06 2021-02-17 콴텀스케이프 코포레이션 고체-상태 배터리
JP6636121B1 (ja) * 2018-11-23 2020-01-29 株式会社大北製作所 端子付きケース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2004501A1 (ja) * 2020-06-30 2022-01-0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非水電解液電池用シール剤、非水電解液電池用シール剤組成物、および非水電解液電池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0950A (en) * 1960-10-25 1962-03-07 Telegraph Condenser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antalum-anode electrolytic capacitors
US3932341A (en) * 1972-05-25 1976-01-13 Novagard Corporation Hot melt sealants, adhesives and the like
CA1067070A (en) * 1975-06-30 1979-11-27 Helmut Moser Azo dyestuffs
GB1538483A (en) * 1976-01-05 1979-01-17 Southland Corp Thermoplastic container end sealant composition
DE2915323A1 (de) * 1978-04-26 1979-11-08 Sandoz Ag Basische bzw. kationische, sulfonsaeuregruppenhaltige monoazo- oder disazoverbindungen
EP0093828B1 (en) * 1980-05-08 1987-11-19 Sandoz Ag Sulpho-free basic azo compounds in metal-free or 1:1 or 1:2 metal complex form
US4331746A (en) * 1981-02-27 1982-05-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Advanced inorganic separators for alkaline batteries
US4673735A (en) * 1982-04-15 1987-06-16 Sandoz Ltd. Azo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6-hydroxypyrid-2-one coupling component radical metal complexes thereof and intermediates therefor
US4780106A (en) * 1982-04-15 1988-10-25 Sandoz Ltd. Use of metal-free azo _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_6-hydroxypyrid-2-one _coupling component radical and metal _complexes thereof for dyeing _substrates and substrates dyed therewith
JPS58194970A (ja) * 1982-05-07 1983-11-14 Bridgestone Corp タイヤパンク防止用シ−ラント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JPS59190068U (ja) * 1983-06-03 1984-12-17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非水電解液電池
JPH0717898B2 (ja) * 1984-03-30 1995-03-0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性シ−ル材料
US5352334A (en) * 1985-03-30 1994-10-04 Sandoz Ltd. The use of metal-free sulfo group free basic disazo compounds containing two identical 6-hydroxypyrid-2-one coupling component radicals for producing colored paper
CH672496A5 (ko) * 1986-05-14 1989-11-30 Sandoz Ag
US5010119A (en) * 1987-12-23 1991-04-23 Mcelrath Jr Kenneth O Ternary adhesive compositions
US4839422A (en) * 1987-12-23 1989-06-13 Exxon Chemical Patents Inc. Ternary adhesive compositions
DE4005015C2 (de) * 1989-02-23 2003-09-18 Clariant Finance Bvi Ltd Kationische Phthalocyaninfarbstoffe
JPH0513059A (ja) * 1991-07-03 1993-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質電池
CH684948A5 (de) * 1992-05-13 1995-02-15 Sandoz Ag Basische sulfogruppenhaltige Disazoverbindungen.
US5539033A (en) * 1992-11-06 1996-07-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olventless compounding and coating of non-thermoplastic hydrocarbon elastomers
JPH0831429A (ja) * 1994-07-21 1996-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液電池
JP3174804B2 (ja) * 1995-05-10 2001-06-11 カネボウ株式会社 有機電解質電池
US5876463A (en) * 1995-06-07 1999-03-0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mpositions for coloring keratinous fibers comprising sulfo-containing, water dispersible colored polymers
AU6242496A (en) * 1995-06-28 1997-01-30 Fuji Photo Film Co., Lt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JP2945308B2 (ja) * 1995-09-29 1999-09-06 サンスター技研株式会社 加熱加硫性ゴム組成物
JP3473929B2 (ja) * 1995-12-15 2003-12-08 株式会社寺岡製作所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粘着テープ
US5929215A (en) * 1996-03-27 1999-07-27 Clariant Finance (Bvi) Limited Basic monoazo compounds
JPH104034A (ja) * 1996-06-18 1998-01-06 Sumitomo Bakelite Co Ltd 集電用導電性フィルム及び製造方法
US6146789A (en) * 1996-08-15 2000-11-14 Three Bond Co., Ltd. Battery having a visible-light or near-infrared-light curing resin as an insulating seal
JPH10157008A (ja) * 1996-11-28 1998-06-16 Teijin Ltd ラミネートフイルム及び該ラミネートフイルムを用いた電池
JP4121043B2 (ja) * 1997-07-16 2008-07-16 株式会社アスクテクニカ ガスケット材と、ガスケ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891993B1 (en) * 1997-07-18 2003-05-02 Mitsui Chemicals, Inc. Unsaturated copolymers,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JPH11265840A (ja) * 1998-03-17 1999-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ルミニウム電解コンデンサ
JP2000068166A (ja) * 1998-08-21 2000-03-03 Nichicon Corp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36376A (zh) 2003-08-13
EP1294031A4 (en) 2007-12-05
EP1294031A1 (en) 2003-03-19
WO2001095411A1 (fr) 2001-12-13
KR20030020292A (ko) 2003-03-08
JP3260349B2 (ja) 2002-02-25
CN1209826C (zh) 2005-07-06
JP2001351587A (ja) 2001-12-21
US20030148179A1 (en) 200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2960B1 (ko) 전기화학소자용 봉지제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화학소자
KR100212227B1 (ko) 유기전해액전지
CN1253388A (zh) 非液体电解质电池
CA1294320C (en) Battery cell sealant
EP2416404A2 (en) Electrochemical cell with a gas permeable membrane
KR20010030229A (ko) 전기이중층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
US2003007299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separator assembly for galvanic elements
KR101924432B1 (ko) 고출력 전지
JP5095213B2 (ja) 改良型熱可塑性シーリング部材を備えた非水セル
KR20190067083A (ko)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JPH04115456A (ja) リチウム電池
KR20170059683A (ko) 이차 전지용 외장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23119765A1 (ja) 電気化学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88089B1 (ko) 초박형 망간전지의 양극 및 그의 제조방법
US11764429B2 (en) Sheath material for battery
CA1052859A (en) Flat alkaline cell with double collector positive, negative and third terminal connections
JP4030142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薄膜状電解質
JPS62216157A (ja) 密閉型アルカリ電池
JPH1050318A (ja) 無水銀アルカリ電池
JP2007213957A (ja) 電池
JPH04223046A (ja) リチウム電池
JPH09306445A (ja) 有機電解質電池
KR101023145B1 (ko) 이차전지용 외장재
JP2008047496A (ja) アルカリ乾電池
KR20180136311A (ko) 롤러블 배터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