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8853A -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8853A
KR20100028853A KR1020080087788A KR20080087788A KR20100028853A KR 20100028853 A KR20100028853 A KR 20100028853A KR 1020080087788 A KR1020080087788 A KR 1020080087788A KR 20080087788 A KR20080087788 A KR 20080087788A KR 20100028853 A KR20100028853 A KR 20100028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achine direction
relaxation
width direction
polyest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8937B1 (ko
Inventor
김윤조
송기상
김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20080087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937B1/ko
Priority to US13/062,373 priority patent/US9453114B2/en
Priority to PCT/KR2009/004892 priority patent/WO2010027172A2/en
Priority to JP2011525972A priority patent/JP5662317B2/ja
Priority to CN2009801346305A priority patent/CN102143993A/zh
Priority to TW098129949A priority patent/TWI492837B/zh
Publication of KR20100028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9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 B29C55/14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firstly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feed and then transversely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609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704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761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9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flattening, folding or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Heating, e.g. for cross 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15Cooling of hollow articles
    • B29C48/912Cooling of hollow articles of tubular films
    • B29C48/913Cooling of hollow articles of tubular films exter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20Edge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03PET, i.e. poyl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열치수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a)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압출, 냉각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시트를 기계방향(MD)으로 연신하는 단계; c) 기계방향 연신 후 폭방향(TD)으로 연신하는 단계; d) 열처리하는 단계; e) 열처리 후 텐터 내에서 폭방향(TD)으로 완화하면서, 동시에 기계방향(MD)에 대해 1%이상의 비율로 동시완화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필름, 내열치수안정성, 동시완화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Polyester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프리즘필름용 베이스필름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기계특성, 열특성, 전기특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 시 연신된 필름의 치수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열처리를 하는 단계를 거치나 기계방향 수축율을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열처리 시 고온에 의해 기계방향 및 폭방향에서의 강신도 및 광학적 특성의 저하를 유발한다.
통상적으로 열처리 시 기계방향의 수축응력은 낮출 수 있으나, 단순 열처리에 의해서는 기계방향의 저수축화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필름의 치수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내열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계방향(Machine Direction, 이하 MD)의 수축율을 개선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계방향(MD)의 수축율이 0.5%이하 (@150℃, 30분)이며, 기계방향(MD)의 최대 수축응력이 0.20Kg/mm2이하(@150℃, 3분, 초기 하중 0.007Kg/mm2)이고, 폭방향(Transverse Direction, 이하 TD)의 최대 수축응력이 0.05Kg/mm2이하(@150℃, 3분, 초기 하중 0.007Kg/mm2)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프리즘필름의 베이스필름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 시 기계방향(MD)의 수축율을 감소시켜 내열치수안정성이 우수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계방향(MD) 및 폭방향(TD) 연신 후, 열처리 단계를 거친 필름에 완화(Relaxation)단계를 추가하여 필름에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폭방향(TD)의 완화 시 기계방향(MD)의 완화를 동시에 적용함으로써, 가장 효과적인 내열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a)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압출, 냉각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시트를 기계방향(MD)으로 연신하는 단계;
c) 기계방향 연신 후 폭방향(TD)으로 연신하는 단계;
d) 열처리하는 단계;
e) 열처리 후 텐터 내에서 폭방향(TD)으로 완화하면서, 동시에 기계방향(MD)에 대해 1%이상의 비율로 동시완화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내열치수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동시완화는 연신된 필름의 길이에 대하여, 폭방향(TD)으로 1 ~ 10%, 기계방향(MD)으로 1 ~ 10% 의 비율로 완화시키며, 상기 열처리 온도보다 5 ~ 35℃ 낮은 온도범위, 구체적으로 170 ~ 240℃ 온도범위에서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통상적인 필름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다면 그 제한을 두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라 함) 또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된 반복단위로 하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수지를 사용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디올과 디카르복실산의 중축합에 의하여 얻어진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디카르복실산의 예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및 세바신산 등이고, 디올의 예로는 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및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폴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p-옥시벤조에이트, 폴리-1,4-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등이 있다. 이들 폴리에스테르는 단독중합체, 공중합체일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공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및 폴리알킬렌글리콜 등의 디올 성분, 아디프산, 세바신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및 히드록시벤조산 및 6-히드록시-2-나프토산 등의 히드록시카르복실산 성분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그들의 공중합체 및 변성 중합체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연신"이란, 크게 롤러군(Rollers)의 속도차를 이용하여 기계방향(MD)으로 필름을 잡아당김으로써 기계방향(MD)으로 배향시키는 기계방향(MD) 연신과 텐터 오븐을 사용하여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고정하면서 필름을 반송하여 폭방향(TD)으로 필름을 잡아당김으로써 폭방향(TD)으로 배향시키는 폭방향(TD) 연신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연신하기 위한 연신 온도, 구체적으 로 예열 및 연신 롤러(Roller)의 온도, IR-Heater온도와 연신단수 및 연신 패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한 일 예로써 기계방향(MD) 연신 시 예열을 거쳐 600 ~ 900℃로 가열된 IR히터 구간을 거치면서 1 ~ 10배로 1차 연신하고, 500 ~ 800℃로 가열된 IR히터 구간을 거치면서 1 ~ 3배 연신하여 총 기계방향(MD)으로 1 ~ 10배 연신을 행한다.
연속하여 예열구간을 거쳐 100 ~ 200℃에서 폭방향(TD)으로 1 ~ 10배 연신한 후, 205 ~ 245℃에서 열처리 하여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열처리 온도보다 5 ~ 35℃ 낮은 온도범위, 구체적으로 170 ~ 240℃ 온도범위에서 폭방향(TD)으로 완화하는 단계를 거치며, 폭방향(TD) 완화 시 기계방향(MD)으로 1% 이상 동시에 완화를 하여 기계방향(MD)에 대한 내열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시완화는 연신된 필름의 길이에 대하여, 폭방향(TD)으로 1 ~ 10%, 기계방향(MD)으로 1% 이상 완화시킨다. 동시완화 시 폭방향(TD)의 완화 비율은 한정되지 않으나, 1 ~ 10%가 적절하며, 기계방향(MD) 완화 시 비율은 1 ~ 10%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8%의 비율로 완화시키는 것이 열수축율 뿐만 아니라 필름의 광학적 물성이 보다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기계방향(MD)의 완화(Relaxation)율이 1% 미만인 경우에는 그 효과가 미미하여, 기계방향(MD)의 열수축율을 0.5% 이하로 만들기가 어려우며,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지나친 기계방향(MD)의 강도 저하를 가져오며, 설비적인 한계로 인해 필 름에 주름이 발생되어 외관이 불량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8%의 범위로 완화를 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범위로 완화하는 경우 기계방향(MD)의 열수축율이 0.4% 이하로 제조되어, 프리즘필름의 제조공정에서 열변형이 적으며,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필름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완화(Relaxation)"이라 함은,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고정시키면서 필름을 반송하여, 기계방향(MD) 및 폭방향(TD)으로 필름을 이완시켜 응력을 완화시키는 조작을 말한다.
또한 “동시완화”라 함은, 폭방향(TD) 완화 시 동시에 기계방향(MD) 완화를 하는 것을 의미하며, 동시완화 시 구간을 정하여 여러 번, 즉 다단계로 폭방향(TD)완화와 기계방향(MD)완화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열수축률에 관련해서는, 150℃에서 30분간 오븐(Oven)에서 무장력하에서 처리 시, 기계방향(MD)의 열수축율이 0.5% 이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0.0 ~ 0.5%이다. 또한, 초기 하중(Load) 0.007Kg/mm2 하에서 150℃에서 3분간 테스트라이트(Testrite)로 측정 시, 기계방향(MD)의 최대 수축응력이 0.20Kg/mm2이하이고, 폭방향(TD)의 최대 수축응력이 0.05Kg/mm2이하이다.
기계방향(MD)의 열수축율이 0.5% 보다 큰 경우에는, 프리즘필름의 제조공정 또는 최종 제품화하여 사용 시에 열에 의한 변형으로 인해 필름에서의 주름발생을 유발하여 평활성을 떨어뜨리며, 불량이 발생되기 쉽다. 따라서, 기계방향(MD)의 열수축율은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계방향(MD)의 최대 수축응력이 0.20Kg/mm2이하이고, 구체적으로는 0.00 ~ 0.20Kg/mm2이고, 폭방향(TD)의 최대 수축응력이 0.05Kg/mm2이하, 구체적으로는 0.00 ~ 0.05Kg/mm2이다. 기계방향(MD)의 최대 수축응력이 0.20Kg/mm2를 초과하는 경우는 후 공정 시 필름에 가해지는 열에 의해 코팅층의 변형을 유발하여 외관을 불량하게 만든다. 폭방향(TD)의 최대 수축응력이 0.05Kg/mm2를 초과하는 경우는 웨이브(Wave) 및 주름(Wrinkle)을 유발하여 평활성(Flatness)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조건들을 모두 만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내열치수 안정성 및 광학특성이 우수한 프리즘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무기 및 유기 입자, 및 산화방지제, 정전기 방지제 및 결정핵 생성제 등의 다양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무기입자로 사용 가능한 화합물은 한정되지는 않으나, 실리콘 옥사이드, 알루미늄 옥사이드, 마그네슘 옥사이드 및 티타늄 옥사이드와 같은 산화물, 카올린, 탈크 및 몬모릴로나이트와 같은 산화화합물(compound oxide), 칼슘카보네이트 및 바륨 카보네이트와 같은 카보네이트, 칼슘 술페이트 및 바륨 술페이트와 같은 술페이트, 바륨 티타네이트 및 칼륨 티타네이트와 같은 티타네이트, 제3인산칼슘, 제2인산칼슘 및 제1인산칼슘와 같은 인산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목적에 따라서, 이들 화합물을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유기입자는 한정되지는 않으나, 폴리스티렌 입자 또는 가교 폴리스티렌 입자와 같은 비닐계 입자, 스티렌·아크릴 입자 또는 아크릴 가교입자, 스티렌·메타크릴 입자 또는 메타크릴 가교 입자, 벤조구아나민·포름알데히드 입자, 실리콘 입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입자 등이 열거된다. 폴리에스테르에 불용성인 성분이면 모든 유기 중합체 미립자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유기입자들은 구형이고, 균일한 입자크기분포를 갖는 것이 이활성 및 필름표면의 돌기형성의 균일성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입자의 입자지름, 양, 형상 등은 용도 및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입자의 평균입경은 0.2 ~ 5.0㎛이 바람직하고, 입자 함유량은 10 내지 1000ppm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름의 전체 두께는 필름의 용도 및 목적에 따라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프리즘 필름용 베이스필름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두께는 50 내지 3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 시 기계방향(MD방향)의 수축율을 감소시켜 내열치수안정성이 우수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폭방향(TD방향)의 열수축율은 열처리온도, 이완(Relaxation)율 조정을 통해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나, 기계방향(MD방향)의 수축율을 조정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우며, 수축율 조정에 따른 물성 저하가 발생된다.
통상적으로 기계방향(MD방향)의 수축율을 낮추기 위하여 텐터내의 열처리 온도를 높이거나, 기계방향 연신배율을 낮추어 조정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수축율을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필름의 기계적 물성 저하 및 광학적특성 저하를 유발하여 산업용에 적합한 필름을 제조하기 어렵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필름의 물성 저하 및 광학적 특성의 저하가 일어나지 않으면서도 기계방향(MD) 및 폭방향(TD)의 수축율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산업용 및 광학용에 적합한 내열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필름을 적용한 경우 코팅(Coating) 및 열처리를 포함하는 후 공정 중에 필름의 열적 형태안정성이 우수하므로 후 공정 시 열에 의한 변형 등에 의해 발생되는 불량을 감소시켜 주며, 최종 제품에 있어서 사용 시 열에 의한 형태변형이 적어 필름 자체의 특성 및 평활성을 유지할 수 있어 제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일예를 들어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서 필름의 물성은 다음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1) 열수축율
필름을 20cm × 20cm의 정방향으로 재단하여 필름의 기계방향(MD) 및 폭방향(TD)의 길이를 측정한 후, 이를 150℃의 오븐(Oven)중에 무하중 상태에서 30분간 열수축 시킨 후, 열수축된 필름의 기계방향(MD) 및 폭방향(TD)의 길이를 측정하여 기계방향(MD) 및 폭방향(TD)의 열수축율을 하기 식 1에 따라 구하였다.
<식 1>
(수축 전 길이 - 수축 후 길이)
열수축율 (%) = -------------------------------- × 100
수축 전 길이
2) 최대 수축응력
테스트라이트(MKV Shrinkage-Force Tester, Testrite Ltd)를 이용하여 150℃의 온도 하에서 3분간 시간에 따른 기계방향(MD방향) 및 폭방향(TD방향) 수축응력을 측정하였으며, 이때 각 방향별 최대수축응력을 시료의 단면적으로 나누어 다음 식 2에 의해 최대수축응력 값을 구하였다.
이때 시료의 폭은 15mm, 길이는 400mm로 하였으며, 시료를 편평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초기 하중은 0.007Kg/mm2 을 주었다.
< 식 2 >
최대 수축응력 = 최대수축응력 측정치(Kg) / 시료의 단면적(폭× 두께; mm2)
예) 최대 수축응력 측정치 : 10N (1.02Kg = 10/9.8 Kg)
시료의 단면적 : 1.5mm2 (시료 폭 15mm, 두께 100㎛의 경우)
최대 수축응력(Kg/mm2) = 1.02Kg / 1.5mm2 = 0.68Kg/mm2
3) 강신도
필름을 폭 15mm로 하고, 시료장 (Gauge Length)을 50mm하고, 인장속도(Cross head-up speed)를 500mm/min로 하여 만능인장 시험기(Instron社 Tensile Test Machine)을 이용하여 필름의 기계방향(MD) 및 폭방향(TD)에 대한 인장 특성을 측정하였다.
4) 광학적 특성 평가 (Haze측정)
측정방법은 ASTM D-1003 을 기준으로 측정하였으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변부 2개소, 중심부 1개소에서 무작위로 7 개 부분을 추출한 후 각 5cm× 5cm 크기로 절편하여 헤이즈 측정기(니혼덴쇼쿠 NDH 300A) 에 넣고 555nm 파장의 빛을 투과시켜 하기의 식 3으로 계산한 후 최대/최소값을 제외한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식 3>
헤이즈(%) = (전체산란광/전체투과광) × 100
[실시예 1]
테레프탈산 100몰%, 글리콜 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을 124몰%를 사용하고 촉매로 3산화안티몬을 산성분에 대하여 0.05몰 사용하여 직접에스테르화법에 의하여 축중합한 고유 점도 0.64dl/g인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한 후, 이를 275℃에서 용융 압출하여 급속냉각시켜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미연신 시트를 연속적으로 기계방향(MD)으로 이송되는 롤러군(MDO : Machine Direction Organization)에서 예열을 거쳐 760℃로 가열된 IR Heater구간을 거치면서 2.5배, 650℃로 가열된 IR Heater구간을 거치면서 1.3배 연신하여 전체 3.25배로 기계방향(MD) 연신을 행하였다.
기계방향(MD)으로의 연신을 거친 직후, 텐터로 이송하여 연속하여 125℃의 예열구간을 거쳐 150℃에서 폭에 대하여 3.5배 연신시킨 후, 230℃에서 열처리를 행한 직후, 210℃로 가열된 하나의 구간에서 폭방향(TD)으로 4.2%의 완화(Relaxation)를 적용하였으며, 동시에 기계방향(MD)으로 완화(Relaxation)를 4% 적용하여 125㎛ 두께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필름의 열수축율, 최대수축응력, 강신도 및 헤이즈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였으며, 기계방향(MD)의 연신배율, IR Heater구간 온도, 열처리온도, 기계방향(MD)완화(Relaxation)율, 폭방향(TD)완화(Relaxation)율, 완화구간의 개수, 완화 온도 및 완화구간에서 기계방향(MD) 과 폭방향(TD)의 완화(Relaxation)율 구배를 달리하여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 조건은 표1에 나타내었으며, 제조된 필름의 특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단지 기계방향(MD)으로의 연신을 거친 직후, 텐터로 이송하여 폭방향(TD) 연신한 후, 210℃로 가열된 구간에서 기계방향(MD)으로 6% 완화시킨 후, 연속하여 210℃로 가열된 구간에서 폭방향(TD)으로 4.2% 완화하여 제조된 필름의 특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단지 폭방향(TD) 연신 후 210℃로 가열된 구간에서 기계방향(MD)으로 완화없이 폭방향(TD)으로만 4.2% 완화하여 제조된 필름의 특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상기 비교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단지 열처리 구간의 온도를 245℃로 하여 필름을 제조한 필름의 특성을 표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단지 기계방향(MD)의 완화율을 0.8%로 하여 제조한 필름의 특성을 표2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08063327069-PAT00001
상기 표 1에 있어서 MD(또는 TD)방향 완화율, MD(또는 TD)방향 완화율 구배, 완화구간 온도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 MD(또는 TD)방향 완화율 : MD(또는 TD)방향에 주어지는 전체 완화율
- MD(또는 TD)방향 완화율 구배 : MD(또는 TD)방향에 적용된 전체 완화율을 완화구간에서 적용된 비율로 나누어 적용함.
예) “MD방향 완화율 6%, MD방향 완화율 구배 3/2/1
& TD방향 완화율 4.2%, TD방향 완화율 구배 2.1/1.4/0.7”의미
; 기계방향(MD)으로 전체 6%의 완화율을 적용함에 있어 3구간으로 나누어 1구간에서는 3%, 2구간에서는 2%, 3구간에서는 1%의 완화율을 적용하여 전체 6%의 완화율을 기게방향(MD)에 적용하고, 폭방향(TD)으로 전체 4.2%의 완화율을 적용함에 있어 3구간으로 나누어 1구간에서는 2.1%, 2구간에서는 1.4%, 3구간에서는 0.7%의 완화율을 적용하여 전체 4.2%의 완화율을 폭방향(TD)에 적용함.
- 완화구간 온도 : 기계방향(MD)과 폭방향(TD)의 완화율이 적용된 구간의 온도
[표 2]
Figure 112008063327069-PAT00002
상기 표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기계방향(MD)의 수축율이 0.5%이하(@150℃, 30분)이며, 기계방향(MD)의 최대 수축응력이 0.20Kg/mm2이 하(@150℃, 3분, 초기 하중 0.007Kg/mm2)이고, 폭방향(TD)의 최대 수축응력이 0.05Kg/mm2이하(@150℃× 3분, 초기 하중 0.007Kg/mm2)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에서 기계방향(MD)으로 완화를 한 후, 이어서 폭방향(TD)으로 완화시킨 비교예 1의 경우 기계방향(MD)의 수축율이 0.8%이었으며, 이러한 필름을 이용하여 프리즘필름을 제조하는 경우는 열에 의한 변형으로 인해 주름발생을 유발하여 평활성이 떨어진다.

Claims (8)

  1. 기계방향(MD)의 수축율이 0.5%이하 (@150℃, 30분)이며, 기계방향(MD)의 최대 수축응력이 0.20Kg/mm2이하(@150℃, 3분, 초기 하중 0.007Kg/mm2)이고, 폭방향(TD)의 최대 수축응력이 0.05Kg/mm2이하(@150℃, 3분, 초기 하중 0.007Kg/mm2)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2. a)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압출, 냉각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시트를 기계방향(MD)으로 연신하는 단계;
    c) 기계방향 연신 후 폭방향(TD)으로 연신하는 단계;
    d) 열처리하는 단계;
    e) 열처리 후 텐터 내에서 폭방향(TD)으로 완화하면서, 동시에 기계방향(MD)에 대해 1%이상의 비율로 동시완화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내열치수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완화는 연신된 필름의 길이에 대하여, 폭방향(TD)으로 1 ~ 10%, 기계방향(MD)으로 1 ~ 10% 의 비율로 완화시키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완화는 다단계로 폭방향(TD)완화와 기계방향(MD)완화를 동시에 부여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완화는 열처리 온도보다 5 ~ 35℃ 낮은 온도범위에서 수행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완화는 170 ~ 240℃ 온도범위에서 수행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완화는 텐터 내에서 클립 간의 간격 및 폭을 동시에 조절하여 필름의 응력을 완화시키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8. 제 2항 내지 제 7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0080087788A 2008-09-05 2008-09-05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68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788A KR101468937B1 (ko) 2008-09-05 2008-09-05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US13/062,373 US9453114B2 (en) 2008-09-05 2009-09-02 Polyester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CT/KR2009/004892 WO2010027172A2 (en) 2008-09-05 2009-09-02 Polyester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1525972A JP5662317B2 (ja) 2008-09-05 2009-09-02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CN2009801346305A CN102143993A (zh) 2008-09-05 2009-09-02 聚酯薄膜及其制造方法
TW098129949A TWI492837B (zh) 2008-09-05 2009-09-04 聚酯薄膜及其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788A KR101468937B1 (ko) 2008-09-05 2008-09-05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853A true KR20100028853A (ko) 2010-03-15
KR101468937B1 KR101468937B1 (ko) 2014-12-11

Family

ID=41797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788A KR101468937B1 (ko) 2008-09-05 2008-09-05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53114B2 (ko)
JP (1) JP5662317B2 (ko)
KR (1) KR101468937B1 (ko)
CN (1) CN102143993A (ko)
TW (1) TWI492837B (ko)
WO (1) WO201002717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849A (ko) * 2015-06-30 2017-01-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8631A (ja) * 2011-03-14 2012-10-04 Fujifilm Corp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並びに、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6197539B2 (ja) * 2013-03-08 2017-09-20 東レ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028687B (zh) * 2013-06-27 2022-03-18 可隆工业株式会社 聚酯膜及其制备方法
CN106794683A (zh) * 2014-10-03 2017-05-31 纳幕尔杜邦公司 多层食品肠衣或食品膜
JP6672819B2 (ja) * 2016-01-18 2020-03-25 東レ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2654779B1 (ko) 2016-11-24 2024-04-03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다층 mdo 내열 열수축성 필름
KR102654778B1 (ko) 2016-11-24 2024-04-03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내열성 mdo 열수축 필름
US10870738B2 (en) 2016-12-27 2020-12-22 Mitsui Chemicals, Inc. Polyester sheet
CN112622314B (zh) * 2020-11-27 2022-09-13 安徽皖维高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pva光学薄膜的制备方法
CN113861627B (zh) * 2021-09-28 2022-12-30 中国科学技术大学 光学聚酯薄膜及其制备方法
CN113927978B (zh) * 2021-09-30 2024-02-09 浙江洁美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聚酯薄膜的制造方法、获得的聚酯薄膜、载体及陶瓷坯片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420240Y1 (ko) 1966-07-02 1969-08-29
JPS6022616B2 (ja) * 1977-02-02 1985-06-03 帝人株式会社 寸法安定性の優れた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の製造方法
DE2854554A1 (de) * 1978-12-18 1980-06-26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hermoplastischen flachfolien mit verbesserter dimensionsstabilitaet
JPS59140028A (ja) * 1983-01-18 1984-08-11 Diafoil Co Ltd 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の製造方法
GB8310381D0 (en) * 1983-04-16 1983-05-18 Proctor & Schwartz Ltd Apparatus for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of film
JPS59218598A (ja) 1983-05-27 1984-12-08 横河電機株式会社 光フアイバ形センサ
JPH064276B2 (ja) * 1985-12-10 1994-01-19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メンブレンスイツチ用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S62211124A (ja) * 1986-03-12 1987-09-17 Toray Ind Inc ステンタ
JPH0639533B2 (ja) * 1988-06-17 1994-05-25 株式会社クラレ 全芳香族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5139727A (en) * 1988-11-11 1992-08-18 Daifoil Company, Limited Process for producing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JP2611421B2 (ja) * 1989-03-30 1997-05-21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856283B2 (ja) * 1989-06-02 1999-02-10 三菱化学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5093064A (en) * 1989-06-13 1992-03-03 Diafoil Company, Ltd. Low-shrinkage polyester film and preparation thereof
JP3078117B2 (ja) 1992-07-14 2000-08-21 花王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08193137A (ja) 1995-01-18 1996-07-30 Toray Ind Inc 磁気記録媒体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6287667B1 (en) * 1995-12-22 2001-09-11 Mitsubishi Polyester Film Corporation Polyester film and capacitor using the same
CA2199334C (en) * 1996-09-09 2006-04-18 Kohzo Takahashi A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for laminating metallic sheets
US6268052B1 (en) * 1996-09-24 2001-07-31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Biaxially-oriented pet foil for use for SMD foil capacitors,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aid foil and its use as foil capacitors in SMD technology
JPH10180866A (ja) * 1996-10-21 1998-07-07 Toray Ind Inc 低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5885501A (en) * 1997-06-24 1999-03-2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dimensionally stabilized biaxially stretched thermoplastic film
JP2000038463A (ja) * 1998-07-23 2000-02-08 Teijin Ltd 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DE19839007A1 (de) * 1998-08-29 2000-03-02 Hoechst Diafoil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iaxial orientierten PET-Folie und Verwendung derselben für Folienkondensatoren in der SMD-Technik
JP2000141472A (ja) * 1998-11-11 2000-05-23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69441B1 (ko) * 1998-11-20 2003-03-1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100369442B1 (ko) * 1998-11-20 2003-03-2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JP4020283B2 (ja) * 1999-03-19 2007-12-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3840834B2 (ja) * 1999-04-28 2006-11-01 東レ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DE60015062T2 (de) * 1999-06-14 2006-03-09 Teijin Ltd.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und magnetisches aufzeichnungsmedium
JP2001191406A (ja) * 2000-01-06 2001-07-17 Teijin Ltd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069553B1 (en) * 1999-07-12 2006-09-13 Teijin Limited Magnetic recording medium and polyester film therefor
US6974620B1 (en) 2000-02-28 2005-12-13 Toray Industries, Inc. Polyester film for heat-resistant capacitor, metallized film thereof, and heat-resistant film capacitor containing the same
JP2002001810A (ja) * 2000-06-21 2002-01-08 Teijin Ltd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弛緩熱処理方法
KR20020030007A (ko) * 2000-09-29 2002-04-22 힐커트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된 내가수분해성 투명이축배향 필름 및 그 제조방법
EP1350613A4 (en) * 2000-12-01 2005-10-19 Teijin Lt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OIL
CN102785419B (zh) * 2001-09-11 2015-01-14 美国杜邦泰津胶片合伙人有限公司 用于柔性电子器件和光电子器件的热稳定聚萘二甲酸乙二醇酯膜
JP2004042528A (ja) * 2002-05-23 2004-02-12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N1512934A (zh) 2001-12-10 2004-07-14 ���˶Ű�����ձ���ʽ���� 光学用粘结性聚酯膜
JP2003201357A (ja) 2001-12-28 2003-07-18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3311907A (ja) 2002-04-26 2003-11-06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ディスプレイ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TW200408531A (en) * 2002-09-05 2004-06-01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Base film for membrane switch and membrane switch
KR101110140B1 (ko) * 2003-06-04 2012-01-31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적층필름 및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CN100446966C (zh) 2003-07-02 2008-12-31 上海紫东化工塑料有限公司 一种低热收缩率的聚酯薄膜及其生产方法
CN1835994B (zh) * 2003-08-19 2010-08-25 东洋纺织株式会社 聚酯薄膜
US7524920B2 (en) * 2004-12-16 2009-04-28 Eastman Chemical Company Biaxially oriented copolyester film and laminates thereof
GB0602678D0 (en) * 2006-02-09 2006-03-22 Dupont Teijin Films Us Ltd Polyester film and manufacturing process
JP4420240B2 (ja) * 2006-07-04 2010-02-24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制御装置
ES2397870T3 (es) * 2006-10-05 2013-03-12 Treofan Germany Gmbh & Co. Kg Película opaca hecha de PLA simutáneamente estirada
JP5123704B2 (ja) * 2007-03-27 2013-01-23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基板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N100496948C (zh) 2007-10-19 2009-06-10 常州裕兴绝缘材料有限公司 厚型低热缩率聚酯薄膜的生产方法
EP2687369B1 (en) * 2011-03-18 2018-03-07 Kolon Industries, Inc. Polyester-based deposited film
WO2012128518A2 (ko) * 2011-03-18 2012-09-2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849A (ko) * 2015-06-30 2017-01-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7172A2 (en) 2010-03-11
CN102143993A (zh) 2011-08-03
TW201012629A (en) 2010-04-01
JP2012502133A (ja) 2012-01-26
US20110160425A1 (en) 2011-06-30
WO2010027172A3 (en) 2010-06-03
TWI492837B (zh) 2015-07-21
JP5662317B2 (ja) 2015-01-28
KR101468937B1 (ko) 2014-12-11
US9453114B2 (en) 201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8853A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60718B1 (ko)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101412803B1 (ko) 열 수축률이 낮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
KR960014546B1 (ko) 저수축 폴리에스테르 필름
JP6797279B2 (ja)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及び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983075B2 (ja)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970010466B1 (ko)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0253831A (ja) 光学用フィルムのフィルムロール
JPH06210720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成形方法
JP3740761B2 (ja)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0157090B1 (ko)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692269B2 (ja) 低収縮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516258A (ja) 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の熱処理方法
JP7095211B2 (ja) 光学用高透明フィルム
JPS6360731A (ja) 縦方向高強力二軸配向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トフイルムの製造法
JPH0324936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8174662A (ja)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の製造方法
CN117642271A (zh) 制造双向拉伸聚酯膜的方法
KR20160103413A (ko) 저광택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반사 시트
JPH02130125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02198824A (ja) 高強度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70002849A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H07125063A (ja)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4212849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259324A (ja) 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イル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