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8405A - 첨가제 담지 서방성 캡슐을 포함하고 있는 리튬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첨가제 담지 서방성 캡슐을 포함하고 있는 리튬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8405A
KR20070008405A KR1020060064279A KR20060064279A KR20070008405A KR 20070008405 A KR20070008405 A KR 20070008405A KR 1020060064279 A KR1020060064279 A KR 1020060064279A KR 20060064279 A KR20060064279 A KR 20060064279A KR 20070008405 A KR20070008405 A KR 20070008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lithium secondary
electrolyte
lithium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7126B1 (ko
Inventor
이호춘
김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070008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1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해질 또는 전극에 필요한 첨가제를 소망하는 양으로 일정한 수준에서 계속 방출하는 서방성 캡슐을 전해질 및/또는 전극 재료에 포함시킴으로써, 첨가제 고유의 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잉여 첨가제의 부반응을 최소화하여 전지 성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첨가제 담지 서방성 캡슐을 포함하고 있는 리튬 이차전지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Capsule for Controlled-release of Additives}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해질 또는 전극에 필요한 첨가제를 소망하는 양으로 일정한 수준에서 계속 방출하는 서방성 캡슐을 전해질 및/또는 전극 재료에 포함함으로써, 첨가제 고유의 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잉여 첨가제의 부반응을 최소화하여 전지 성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고, 그러한 이차전지 중 고에너지 밀도와 높은 방전 전압의 리튬 이차전지에 대해 많은 연구가 행해졌고 또한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발전요소로서의 양극, 음극, 분리막 및 전해질에 일반적으로 다양한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첨가제들은 크게 전지의 작동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첨가제와, 전지의 성능 내지 안정성 확보를 위해 부가적으 로 요구되는 첨가제로 분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의 필수 첨가제는 전지의 구성요소들을 준비(제작)하는 과정에서 첨가되고, 후자의 부수적 첨가제는 전지의 구성요소들의 준비 과정 또는 전지의 조립 과정에서 첨가된다.
그러한 첨가제 중, 안정성 확보 등을 목적으로 하는 첨가제들이 특정한 시기, 예를 들어, 전지의 비정상적인 작동으로 인한 과전류 또는 고온 발생시에 요구됨에 반하여, 일부 첨가제들은 전지의 사용 과정에서 일정한 수준으로 계속적으로 필요한 경우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수명 향상용 전해액 첨가제는 전지의 초기 형성(formation) 과정에서 전극의 표면에 견고한 고체 전해질 계면(solid electrolyte interface: SEI) 층을 형성하거나 반복적인 충방전 과정에서 일부 손상된 SEI 층을 복구하는데 사용됨으로써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초기 형성 과정에서는 비교적 많은 양의 첨가제가 소모되는 반면에, 이후 충방전 또는 장기간 보존시에는 소량의 첨가제만이 요구된다. 만일, 전지에 투입되는 첨가제의 양이 적어 초기 형성 과정에서 모두 소모되어 버리면 이후 충방전 또는 장기 보존시에 수명의 열화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첨가제의 양이 너무 많을 경우 잉여 첨가제가 반응하면서 비가역 용량을 발생시키거나, 분해되면서 가스를 발생하여 전지의 안정성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첨가제를 필요량 만큼만 전해질 또는 전극으로 방출함으로써 첨가제 고유의 효과를 발휘하면서 잉여 첨가제의 부반응을 최소화하여 이로 인한 전지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심도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전해질 또는 전극에 필요한 첨가제를 일정한 수준으로 방출하는 서방성 캡슐을 개발하였고, 이를 전해질 및/또는 전극 재료에 포함시킴으로써 첨가제 고유의 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잉여 첨가제의 부반응을 최소화하여 전지 성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을 기초로 완성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는, 리튬의 가역적인 저장 및 방출이 가능한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음극, 리튬의 가역적인 저장 및 방출이 가능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양극, 상기 음극과 양극 사이에 개재되는 다공성 분리막, 및 리튬 염을 포함하고 있는 전해질로 구성된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 전지의 작동과 관련하여 필수적 또는 부가적으로 요구되는 물질이 일정한 수준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미세 다공성의 셀 내부에 담지되어 있는 서방성 캡슐을 전해질 및/또는 전극에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지의 작동과 관련하여 필수적 또는 부가적으로 요구되는 물질"이란, 전지의 작동에 필수적으로 요구되거나 전지의 성능 향상과 같은 목적에서 부가적으 로 요구되는 물질로서, 작동 과정에서 소모됨으로 인해, 바람직하게는 계속적인 보충이 필요한 물질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물질을 때때로 '담지 물질'로 칭하기도 한다.
상기 담지 물질의 하나의 예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SEI 층의 형성 및 복구에 필요한 전해액 첨가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전해액 첨가제는, 예를 들어, vinylene carbonate(VC), vinylene ethylene carbonate, fluoro-ethylene carbonate, succinic anhydride, lactide, caprolactam, ethylene sulfite, propane sulton(PS), propene sultone, vinyl sulfone, 이들의 유도체 및 할로겐 치환체 등을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물질들은 둘 이상의 조합으로 첨가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담지 물질의 또 다른 예로는 전지내 부반응을 억제하는 전해액 첨가제인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tetramethylethylene diamine, pyridine, dipyridyl, ethylebis(diphenylphosphine), butyronitrile, succinonitrile, iodine, ammonium halogenate 등과, 전지의 열적 안정성을 개선하는 물질인 hexamethyldisiloxane, hexamethoxycyclotriphosphazene, hexamethylphosphoramide, cyclcohexyl benezene, biphenyl, dimethyl pyrrole, 이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물질들은 둘 이상의 조합으로 첨가될 수도 있다.
서방성 캡슐에는 한 종류의 물질이 담지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둘 또는 그 이상의 물질들이 함께 담지될 수도 있다. 또한, 둘 또는 그 이상의 물질들 이 각각 담지되어 있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종류의 캡슐들이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일정한 수준"이란, 전지의 작동 상태를 최적화하는데 적합한 수준으로서, 담지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담지 물질의 방출 수준은, 담지 물질의 크기, 전해질에의 용해도, 셀의 기공 크기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방출 속도는 1 내지 10000 ㎍/day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담지 물질로서 VC를 사용하는 경우, 바람직한 방출 속도는 10 내지 1000 ㎍/day일 수 있다.
서방성 캡슐의 셀은 전해질에 불용성인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나일론,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젤라틴, 키토산, 셀룰로오스, 이들의 유도체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 물질들의 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이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서방성 캡슐의 셀에 형성되어 있는 기공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담지 물질의 방출 속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서방성 캡슐의 크기는 분리막의 기공을 막지 않도록 그것의 기공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5 ㎛ 이하이다.
서방성 캡슐은 전해질내에 포함될 수도 있고, 전극내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해질 및 전극에 모두 포함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해질내에 포함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서방성 캡슐 이외에, 상기 서방성 캡슐에 담지되어 있는 물질과 동일 및/또는 유사한 물질이 함께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지의 초기 형성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다량이 필요하고 추후의 충방전 과정에서 연속적으로 소량이 필요한 첨가제의 경우, 상기 첨가제를 전해질에 일정량 직접 첨가하고 나머지량은 서방성 캡슐에 담지시킨 후 전해질 및/전극에 첨가할 수 있다. 반면에, 전지의 초기 형성 과정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추후 충방전 과정에서 일정한 수준으로 소량이 필요한 첨가제의 경우, 상기 첨가제를 전해질 및 전극에 별도로 첨가하지 않고 서방성 캡슐에 담지한 상태에서 전해질 및/또는 전극에 첨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해질 또는 전극에 필요한 첨가제를 소망하는 양으로 방출하는 서방성 캡슐을 전해액 및/또는 전극 재료에 포함하고 있는 리튬 이차전지는, 첨가제 고유의 효과를 발현함과 동시에, 잉여 첨가제의 부반응이 최소화되어 전지 성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의 전해질 첨가제 성분을 내부에 담지하고 있는 서방성의 다공성 캡슐은 solvent evaporation, coacervation, interfacial polycondensation, in-situ polymerization, piezoelectric process, 분무 건조법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서방성의 다공성 캡슐을 제조하는 이들 방법들은 타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그 중의 하나의 예가 하기 실시예들에 개시되어 있다.
앞서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의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분리막, 및 리튬염 함유 비수 전해질 화합물에 상기 서방성 캡슐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양극은, 예를 들어,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활물질, 도전제 및 바인더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혼합물에 충진제를 더 첨가하기도 한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내지 500 ㎛의 두께로 만든다. 이러한 양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집전체는 그것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양극 활물질의 접착력을 높일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니켈 산화물(LiNiO2) 등의 층상 화합물이나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화합물; 화학식 Li1 + xMn2 - xO4 (여기서, x 는 0 ~ 0.33 임), LiMnO3, LiMn2O3, LiMnO2 등의 리튬 망간 산화물; 리튬 동 산화물(Li2CuO2); LiV3O8, LiFe3O4, V2O5, Cu2V2O7 등의 바나듐 산화물; 화학식 LiNi1-xMxO2 (여기서, M = Co, Mn, Al, Cu, Fe, Mg, B 또는 Ga 이고, x = 0.01 ~ 0.3 임)로 표현되는 Ni 사이트형 리튬 니켈 산화물; 화학식 LiMn2-xMxO2 (여 기서, M = Co, Ni, Fe, Cr, Zn 또는 Ta 이고, x = 0.01 ~ 0.1 임) 또는 Li2Mn3MO8 (여기서, M = Fe, Co, Ni, Cu 또는 Zn 임)로 표현되는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화학식의 Li 일부가 알칼리토금속 이온으로 치환된 LiMn2O4; 디설파이드 화합물; Fe2(MoO4)3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전제는 통상적으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한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도전제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양극 활물질에 도전성의 제 2 피복층이 부가됨으로 인해 상기 도전제의 첨가를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바인더는 활물질과 도전제 등의 결합과 집전체에 대한 결합에 조력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바인더의 예로는,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테르 폴리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 브티렌 고무, 불소 고무, 다양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충진제는 양극의 팽창을 억제하는 성분으로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섬유상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리핀계 중합체;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섬유상 물질이 사용된다.
음극은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재료를 도포, 건조하여 제작되며, 필요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성분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내지 500 ㎛의 두께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음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양극 집전체와 마찬가지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음극 활물질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극 재료는, 예를 들어, 난흑연화 탄소, 흑연계 탄소 등의 탄소; LixFe2O3 (0≤x≤1), LixWO2 (0≤x≤1), SnxMe1 - xMe'yOz (Me: Mn, Fe, Pb, Ge; Me': Al, B, P, Si, 주기율표의 1족, 2족, 3족 원소, 할로겐; 0<x≤1; 1≤y≤3; 1≤z≤8) 등의 금속 복합 산화물; 리튬 금속; 리튬 합금; 규소계 합금; 주석계 합금; SnO, SnO2, PbO, PbO2, Pb2O3, Pb3O4, Sb2O3, Sb2O4, Sb2O5, GeO, GeO2, Bi2O3, Bi2O4, and Bi2O5 등의 산화물; 폴리아세틸렌 등의 도전성 고분자; Li-Co-Ni 계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은 음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며, 높은 이온 투과도와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절연성의 얇은 박막이 사용된다. 분리막의 기공 직경은 일반적으로 0.01 ~ 10 ㎛이고, 두께는 일반적으로 5 ~ 300 ㎛이다. 이러한 분리막으로는, 예를 들어, 내화학성 및 소수성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머; 유리섬유 또는 폴리에틸렌 등으로 만들어진 시트나 부직포 등이 사용된다. 전해질로서 폴리머 등의 고체 전해질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고체 전해질이 분리막을 겸할 수도 있다.
리튬염 함유 비수계 전해질은, 비수 전해질과 리튬으로 이루어져 있다. 비수 전해질로는 비수 전해액, 고체 전해질, 무기 고체 전해질 등이 사용된다.
상기 비수 전해액으로는, 예를 들어, N-메틸-2-피롤리디논,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부틸렌 카르보네이트, 디메틸 카르보네이트, 디에틸 카르보네이트, 에틸 메틸 카르보네이트, 감마-부틸로 락톤, 1,2-디메톡시 에탄, 테트라히드록시 프랑(franc),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틸술폭시드, 1,3-디옥소런,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옥소런, 아세토니트릴, 니트로메탄, 포름산 메틸, 초산메틸, 인산 트리에스테르, 트리메톡시 메탄, 디옥소런 유도체, 설포란, 메틸 설포란,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유도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유도체, 에테르, 피로피온산 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등의 비양 자성 유기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 고체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유도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유도체,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유도체, 인산 에스테르 폴리머, 폴리 에지테이션 리신(agitation lysine), 폴리에스테르 술파이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 불화 비닐리덴, 이온성 해리기를 포함하는 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 고체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Li3N, LiI, Li5NI2, Li3N-LiI-LiOH, LiSiO4, LiSiO4-LiI-LiOH, Li2SiS3, Li4SiO4, Li4SiO4-LiI-LiOH, Li3PO4-Li2S-SiS2 등의 Li의 질화물, 할로겐화물, 황산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튬염은 상기 비수계 전해질에 용해되기 좋은 물질로서, 예를 들어,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CF3SO2)2NLi, 클로로 보란 리튬, 저급 지방족 카르본산 리튬, 4 페닐 붕산 리튬, 이미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수계 전해질에는 충방전 특성, 난연성 등의 개선을 목적으로, 예를 들어, 피리딘, 트리에틸포스파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환상 에테르, 에틸렌 디아민, n-글라임(glyme), 헥사 인산 트리 아미드, 니트로벤젠 유도체, 유황, 퀴논 이민 염료, N-치환 옥사졸리디논, N,N-치환 이미다졸리딘, 에틸렌 글리콜 디알킬 에테르, 암모늄염, 피롤, 2-메톡시 에탄올, 삼염화 알루미늄 등이 첨가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불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염화탄소, 삼불화에틸렌 등의 할로겐 함유 용매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고, 고온 보존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산화 탄산 가스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즉, 양극과 음극 사이에 다공성 분리막을 삽입하고 거기에 전해액을 투입하여 제조할 수 있다.
양극은,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 활물질과 도전제 및 바인더를 함유한 슬러리를 집전체 위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음극은,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탄소 활물질과 도전제 및 바인더를 함유한 슬러리를 얇은 집전체 위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에서 상기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이들 각각의 시트를 권회식(winding type) 또는 적층식(stacking type)으로 원통형, 각형 또는 파우치형의 케이스에 삽입한 형태일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서방성 캡슐의 제조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을 디클로메탄(dichloromethane: DCM)에 용해시켜 25 ml의 분산용액(a)을 제조하였다. 또한, 5 중량%의 비닐렌 클로라이 드(vinylene chloride: VC)와 안정제인 0.5 중량%의 젤라틴(gelatin)을 포함하는 250 ml의 수용액(b)을 제조하였다. 분산용액(a)을 수용액(2)에 첨가하여 오일/물(oil/water) 에멀젼을 형성하였다. 그런 다음, DCM을 증발시켜 제거함으로써, VC가 포함된 PS 캡슐을 얻었다. 이를 증류수에 여러 차례 세척하여 최종적인 캡슐을 제조하였다.
2. 전지의 제조
음극은 93 중량%의 탄소 활물질(오사카 가스사의 MCMB10-28)과 7 중량%의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PVDF, Elf Atochem 사의 Kynar 761)를 용매인 N-메틸-2-피롤리돈(NMP)에 첨가하여 혼합기(Ika 사의 Mixer)에서 2 시간 동안 혼합한 후, 구리 호일 집전체에 코팅하고, 130℃에서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양극은 91 중량%의 LiCoO2, 3 중량%의 PVDF (Kynar 761) 및 6 중량%의 도전성 탄소(Lonza 사의 KS-6)를 용매인 N-메틸-2-피롤리돈(NMP)에 혼합하여 혼합기(Ika 사의 Mixer)에서 2 시간 동안 혼합한 후, 알루미늄 호일 집전체에 코팅하고, 130℃에서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음극과 양극 사이에 분리막(Hoechst Celanese 사의 celgard 2400)을 개재하여 파우치형의 전지를 제조하였다. 전해액으로는 1 M LiPF6 EC/EMC 용액을 사용하였고, 첨가제로서 2 중량%의 VC과 VC를 담지한 5 중량%의 서방성 캡슐을 포함시킨 전해질을 주입하여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VC 담지 서방성 캡슐을 음극에 포함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서방성 캡슐을 포함하지 않은 전해액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VC 첨가량을 4 중량%로 늘리고 서방성 캡슐을 포함하지 않은 전해액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수명 특성 평가 실험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및 2에서 각각 제조한 전지들을 45℃에서 0.5 C로 충방전을 200 회 실시한 후, 1 회 방전 용량 대비 100 회 및 200 회의 방전 용량 유지율을 계산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2. 고온 보존 특성 평가 실험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및 2에서 각각 제조한 전지들을 만충전 상태로 60℃에서 6 시간 동안 저장한 후, 이들의 두께 증가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 었다.
<표 1>
Figure 112006049074655-PAT00001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2 중량%의 VC만을 직접 첨가한 비교예 1의 전지에 비해, 2 중량%의 VC와 VC 담지 캡슐을 전해액과 음극에 각각 첨가한 실시예 1 및 2의 전지들과, 4 중량%의 VC를 직접 첨가한 비교예 2의 전지는 높은 용량 유지율을 나타내었다. 이는 200 회 이상의 충방전을 위해 2 중량% 이상의 VC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동일한 4 중량의 함량이라 하더라도, VC를 직접 첨가한 비교예 2의 전지에 비해, 2 중량%의 VC 담지 캡슐을 전해액과 음극에 각각 첨가한 실시예 1 및 2의 전지들과, 2 중량%의 VC만 직접 첨가한 비교예 1의 전지에서 두께 증가가 상대적으로 적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과량의 VC를 처음부터 직접 첨가한 비교예 2 전지의 경우, 잉여의 VC가 고온에서 분해되어 가스를 다량 방출하기 때문이다.
이상의 수명 특성과 고온 보존 특성 평가 결과로부터, VC 담지 캡슐을 일부 첨가하여 전해액 중 VC의 농도가 적정한 수준을 유지하도록 한 실시예 1 및 2의 전지가 우수한 특성을 발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는 전해질 또는 전극에 필요한 첨가제를 소망하는 일정한 수준으로 방출하는 서방성 캡슐을 전해질 및/또는 전극 재료에 포함시킴으로써, 첨가제 고유의 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잉여 첨가제의 부반응을 최소화하여 전지 성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킴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0)

  1. 리튬의 가역적인 저장 및 방출이 가능한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음극, 리튬의 가역적인 저장 및 방출이 가능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양극, 상기 음극과 양극 사이에 개재되는 다공성 분리막, 및 리튬 염을 포함하고 있는 전해질로 구성된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 전지의 작동과 관련하여 필수적 또는 부가적으로 요구되는 물질(담지 물질)이 일정한 수준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미세 다공성의 셀 내부에 담지되어 있는 서방성 캡슐을 전해질 및/또는 전극에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리튬 이차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 물질이 SEI 층의 형성 및 복구에 필요한 물질로서, vinylene carbonate(VC), vinylene ethylene carbonate, fluoro-ethylene carbonate, succinic anhydride, lactide, caprolactam, ethylene sulfite, propane sulton(PS), propene sultone, vinyl sulfone, 이들의 유도체 및 할로겐 치환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 물질이 전지내 부반응을 억제하는 전해액 첨가제로서,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tetramethylethylene diamine, pyridine, dipyridyl, ethylebis(diphenylphosphine), butyronitrile, succinonitrile, iodine, ammonium halogenate,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 물질이 전지의 열적 안정성을 개선하는 물질로서, hexamethyldisiloxane, hexamethoxycyclotriphosphazene, hexamethylphosphoramide, cyclcohexyl benezene, biphenyl, dimethyl pyrrole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5. 제 1 항에 있어서, 둘 또는 그 이상의 물질들이 각각 담지되어 있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종류의 캡슐들이 함께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 물질의 방출 속도는 1 내지 10000 ㎍/d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방성 캡슐의 셀은 전해질에 불용성인 물질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나일론,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젤라틴, 키토산, 셀룰로오스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방성 캡슐의 크기는 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방성 캡슐 이외에, 상기 서방성 캡슐에 담지되어 있는 물질과 동일 및/또는 유사한 물질이 함께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방성 캡슐은 solvent evaporation, coacervation, interfacial polycondensation, in-situ polymerization, piezoelectric process, 또는 분무 건조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0060064279A 2005-07-13 2006-07-10 첨가제 담지 서방성 캡슐을 포함하고 있는 리튬 이차전지 KR100777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018 2005-07-13
KR20050063018 2005-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405A true KR20070008405A (ko) 2007-01-17
KR100777126B1 KR100777126B1 (ko) 2007-11-29

Family

ID=37637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279A KR100777126B1 (ko) 2005-07-13 2006-07-10 첨가제 담지 서방성 캡슐을 포함하고 있는 리튬 이차전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92095B2 (ko)
EP (1) EP1905118B1 (ko)
JP (1) JP5208736B2 (ko)
KR (1) KR100777126B1 (ko)
CN (1) CN101213703B (ko)
TW (1) TWI335686B (ko)
WO (1) WO2007008006A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258B1 (ko) * 2007-07-16 2012-06-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이차전지
KR20130070272A (ko) * 2011-12-19 2013-06-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공성 코팅층을 구비한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한 전기화학소자
KR20170042228A (ko) * 2015-10-08 2017-04-18 도요타 지도샤(주) 전고체 전지
KR20170113458A (ko) * 2016-03-31 2017-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개선된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20180080909A (ko) * 2017-01-05 2018-07-13 주식회사 엘지화학 2차 전지
KR20210000197A (ko) * 2019-06-24 2021-01-0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전해질 첨가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US11075373B2 (en) 2016-10-24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sitive electrode for metal secondary battery and metal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WO2021256763A1 (ko) 2020-06-17 2021-12-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황 이차전지용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이차전지
KR20220033813A (ko) 2020-09-10 2022-03-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황 이차전지용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이차전지
WO2024085333A1 (ko) * 2022-10-18 2024-04-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
WO2024085334A1 (ko) * 2022-10-18 2024-04-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
WO2024085335A1 (ko) * 2022-10-18 2024-04-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1815A1 (en) * 2006-07-28 2010-01-28 Lg Chem, Ltd. Secondary batteries comprising eutectic mixtu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898857B1 (ko) 2006-08-25 2009-05-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수전해액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WO2008032657A1 (fr) * 2006-09-12 2008-03-20 Gs Yuasa Corporation Procédé pour fabriquer une batterie secondaire à électrolyte non aqueuse
TWI358843B (en) * 2006-10-09 2012-02-21 Lg Chemical Ltd Non-aqueous electrolyte and secondary battery usin
US7943259B1 (en) * 2006-12-18 2011-05-17 University Of South Florida Method of controlled delivery for use of electrochemical power source
JP5029005B2 (ja) * 2006-12-26 2012-09-19 株式会社Gsユアサ 非水電解質及び非水電解質電池
EP2206189B1 (en) * 2007-09-19 2014-10-22 Lg Chem, Ltd. Non-aqueous electrolyte lithium secondary battery
US8617743B2 (en) * 2007-12-05 2013-12-31 The Gillette Company Anode balanced lithium-iron disulfide primary cell
KR101020465B1 (ko) * 2008-11-20 2011-03-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KR101056441B1 (ko) * 2009-04-01 2011-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첨가제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9257719B1 (en) * 2009-07-14 2016-02-09 Hrl Laboratories, Llc Electrolyte additives for lithium-ion batteries
JP5446612B2 (ja) * 2009-08-28 2014-03-19 Tdk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EP3439082A1 (en) 2009-09-29 2019-02-06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Electrodes and lithium-ion batteries
CN102044697A (zh) * 2009-10-13 2011-05-04 法拉赛斯能源公司 锂离子电池及其制备方法
WO2011060433A1 (en) * 2009-11-16 2011-05-19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ilicon-based an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147870B2 (ja) * 2010-01-13 2013-02-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およびその再生方法
KR101212203B1 (ko) * 2010-03-16 2012-12-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1140150A1 (en) 2010-05-03 2011-11-10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Alginate-containing compositions for use in battery applications
GB201014317D0 (en) * 2010-08-27 2010-10-13 Qinetiq Ltd Preparation of electrode compositions
US20120202121A1 (en) * 2011-02-04 2012-08-09 Toyota Motor Engin. & Manufact. N.A.(TEMA) High voltage battery for a lithium battery
JP5776422B2 (ja) * 2011-08-02 2015-09-09 三菱化学株式会社 非水系電解液及びそれを用いた非水系電解液電池
JP5719623B2 (ja) * 2011-02-14 2015-05-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回復方法及び電源システム
WO2013028046A2 (ko) * 2011-08-25 2013-0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미소 캡슐을 구비한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CN102324565B (zh) * 2011-09-05 2014-07-02 厦门华戎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解液添加剂及含有该添加剂的电解液和锂离子电池
US9048505B2 (en) 2011-11-03 2015-06-02 Robert Bosch Gmbh Lithium-ion battery with life extension additive
JP5800146B2 (ja) * 2011-11-10 2015-10-2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1656315B1 (ko) * 2011-11-11 2016-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화학소자
US8951654B2 (en) * 2011-12-02 2015-02-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aterials and methods for retarding or preventing thermal runaway in batteries
KR101344939B1 (ko) * 2011-12-13 2013-12-27 주식회사 코캄 리튬 이차전지용 고내열성 복합체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JP5978314B2 (ja) * 2011-12-27 2016-08-24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9559383B2 (en) 2012-01-17 2017-01-3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ealed lithium secondary battery
JP5978796B2 (ja) * 2012-06-20 2016-08-24 三菱化学株式会社 非水系電解液及びそれを用いた非水系電解液電池
JP5902047B2 (ja) * 2012-06-20 2016-04-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非水二次電池用電解液およ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GB2504954A (en) * 2012-08-14 2014-02-19 Leclancha S A Electrolyte additives for electrochemical cells
GB2508218A (en) * 2012-11-26 2014-05-28 Leclanch S A Electrode for the reduction of gassing in lithium titanate cells
HUE051656T2 (hu) * 2012-12-13 2021-11-29 Eliiy Power Co Ltd Eljárás nem-vizes elektrolitú másodlagos akkumulátor elõállítására
US9368285B1 (en) * 2013-02-27 2016-06-14 Amazon Technologies, Inc. Power cell embedded in enclosure
JP6279241B2 (ja) * 2013-07-30 2018-02-1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電池の製造方法、電解液、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TWI525880B (zh) 2013-09-17 2016-03-11 Lg化學股份有限公司 帶有改良之熱穩定性之分隔件及包含彼之二次電池
DE102013219865A1 (de) * 2013-10-01 2015-04-02 Robert Bosch Gmbh Zusatz für einen Elektrolyten einer lithiumbasierten Sekundärbatteriezelle
CN104953175A (zh) 2014-03-28 2015-09-3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固体电解质及其制备方法和锂离子电池
JP5963012B2 (ja) 2014-04-21 2016-08-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106415908B (zh) 2014-06-17 2019-02-12 美敦力公司 用于电池的半固体电解质
US10333173B2 (en) 2014-11-14 2019-06-25 Medtronic, Inc. Composite separator and electrolyte for solid state batteries
EP3783733A1 (en) * 2015-01-27 2021-02-24 NantEner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additives in electrochemical cells
US10177365B2 (en) * 2015-03-05 2019-01-08 Uchicago Argonne, Llc Metal fluoride passivation coatings prepared by atomic layer deposition for Li-ion batteries
US10355310B2 (en) * 2015-05-28 2019-07-16 Shenzhen Capchem Technology Co., Ltd. Electrolyte compositions for electrochemical devices
CN105406124B (zh) * 2015-12-31 2019-03-19 哈尔滨工业大学 一种提高锂离子电池高温及高电压性能的电解液及其在锂离子电池中的应用
CN105742717B (zh) * 2016-03-01 2019-01-18 湖南立方新能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提升锂离子电池性能的方法
US10587005B2 (en) 2016-03-30 2020-03-10 Wildcat Discovery Technologies, Inc. Solid electrolyte compositions
FR3053535A1 (fr) * 2016-07-01 2018-01-05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Cellules electrochimiques de batteries au lithium specifiques comprenant des electrolytes non aqueux a base d'au moins un solvant sulfone et/ou carbonate et au moins un additif de la famille des diesters cycliques
US11158856B2 (en) 2018-05-01 2021-10-26 Uchicago Argonne, Llc Composite bilayer coatings for high capacity cathodes and anodes
CN108878976B (zh) * 2018-06-19 2020-11-24 惠州亿纬锂能股份有限公司 一种硅碳体系锂离子电池电解液及硅碳体系锂离子电池
CN109585783B (zh) * 2018-12-03 2022-02-18 桑顿新能源科技(长沙)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及其极片的浸润方法
CN110048154A (zh) * 2019-05-14 2019-07-23 福建省致格新能源电池科技有限公司 软包锂离子电池及电解液胶囊、锂离子电池的制备方法
CN110265621A (zh) * 2019-07-22 2019-09-20 荷贝克电源系统(武汉)有限公司 电池
CN112201873A (zh) * 2020-11-11 2021-01-08 江苏卫健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动力锂离子电池的注液化成方法
CN113410517B (zh) * 2021-06-04 2022-10-11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缓释电解液及其制备和在锂离子电池中的应用
EP4207329A4 (en) * 2021-10-29 2023-08-09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SLOW RELEASE DEVICE FOR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CN116918168A (zh) * 2021-10-29 2023-10-20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电池的缓释装置、包含其的二次电池
EP4270626A1 (en) * 2021-11-08 2023-11-01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Composite separator of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composite separator
CN114388867A (zh) * 2021-12-14 2022-04-22 浙江锋锂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原位修复的锂金属电池、制备及修复方法
CN114695883A (zh) * 2022-04-13 2022-07-01 浙江南都电源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电解液补锂胶囊及制备方法,锂离子电池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5400A (en) * 1977-02-04 1978-02-21 Fritts David H Over temperature battery deactivation system
DE2736750C2 (de) * 1977-08-16 1979-05-31 Varta Batterie Ag, 3000 Hannover Negative Elektrode für Bleiakkumulator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H0610984B2 (ja) * 1986-09-30 1994-02-09 富士電気化学株式会社 非水電解液電池
JP2717890B2 (ja) * 1991-05-27 1998-02-2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JPH06283206A (ja) * 1993-03-30 1994-10-07 Canon Inc マイクロカプセル含有電池
CA2119959C (en) * 1993-03-30 2000-03-14 Soichiro Kawakami Secondary battery
US5399444A (en) * 1993-09-30 1995-03-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Encapsulated dry electrolyte composition for time release into a solute
JP3359164B2 (ja) * 1994-10-19 2002-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二次電池
JP3536534B2 (ja) * 1995-05-23 2004-06-14 株式会社デンソー 非水電解液二次電池
US6881520B1 (en) * 1996-06-14 2005-04-19 N.V. Umicore S.A. Electrode material for rechargeable batteri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H10270084A (ja) * 1997-03-27 1998-10-09 Seiko Instr Inc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H11260413A (ja) * 1998-03-09 1999-09-24 Toshiba Corp 二次電池
KR100423030B1 (ko) * 2000-03-13 2004-03-1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재충전가능한 리튬배터리용 전극재료의 제조방법, 재충전가능한 리튬배터리의 전극구조체, 상기 전극구조체의 제조방법, 상기 전극구조체를 사용한 재충전 가능한 리튬배터리, 및 상기 재충전가능한 리튬배터리의 제조방법
GB2376560B (en) * 2000-03-20 2004-10-27 Johan C Fitter Method and apparatus for achieving prolonged battery life
DE10059461A1 (de) * 2000-11-30 2002-06-06 Dieffenbacher Gmbh Maschf Verfahren und Anlage zur Herstellung von faserverstärkten Kunststoffmassen
JP2002198088A (ja) * 2000-12-26 2002-07-12 Ngk Insulators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DE10151826A1 (de) * 2001-10-20 2003-04-30 Beck Walter Vorrichtung zum Zerstäuben einer Flüssigkeit
DE10151830B4 (de) * 2001-10-20 2014-11-20 Dilo Trading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ithium-Sekundär-Batterien, vorzugsweise von Lithium-Polymer-Batterien, und Lithium-Polymer-Batterie
JP4281895B2 (ja) * 2001-12-28 2009-06-17 三井化学株式会社 非水電解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JP4067824B2 (ja) * 2001-12-28 2008-03-26 三井化学株式会社 非水電解液およびそ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JP4385586B2 (ja) * 2002-01-21 2009-12-16 株式会社デンソー 非水電解液二次電池
US6864018B2 (en) * 2002-02-22 2005-03-08 Nanotek Instruments, Inc Battery with a controlled release anode
KR100424644B1 (ko) * 2002-03-06 2004-03-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의 제조 방법
US7718321B2 (en) * 2004-02-04 2010-05-18 Quallion Llc Battery having electrolyte including organoborate salt
DE10314826B4 (de) * 2003-04-01 2007-01-25 Dilo Trading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lektroden, Elektroden und Verwendung der Elektroden
KR100558847B1 (ko) * 2003-08-19 2006-03-10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와 그의 제조방법
JP4831987B2 (ja) * 2005-03-31 2011-12-07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4771725B2 (ja) * 2005-03-31 2011-09-14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4889232B2 (ja) * 2005-03-31 2012-03-07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の製造方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258B1 (ko) * 2007-07-16 2012-06-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이차전지
KR20130070272A (ko) * 2011-12-19 2013-06-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공성 코팅층을 구비한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한 전기화학소자
KR20170042228A (ko) * 2015-10-08 2017-04-18 도요타 지도샤(주) 전고체 전지
US10903497B2 (en) 2016-03-31 2021-01-26 Lg Chem, Ltd. Cathode having improved safet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170113458A (ko) * 2016-03-31 2017-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개선된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US11075373B2 (en) 2016-10-24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sitive electrode for metal secondary battery and metal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180080909A (ko) * 2017-01-05 2018-07-13 주식회사 엘지화학 2차 전지
KR20210000197A (ko) * 2019-06-24 2021-01-0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전해질 첨가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WO2021256763A1 (ko) 2020-06-17 2021-12-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황 이차전지용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이차전지
KR20210155885A (ko) 2020-06-17 2021-12-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황 이차전지용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이차전지
KR20220033813A (ko) 2020-09-10 2022-03-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황 이차전지용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이차전지
WO2022055217A1 (ko) 2020-09-10 2022-03-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황 이차전지용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이차전지
WO2024085333A1 (ko) * 2022-10-18 2024-04-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
WO2024085334A1 (ko) * 2022-10-18 2024-04-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
WO2024085335A1 (ko) * 2022-10-18 2024-04-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05118B1 (en) 2018-09-05
TWI335686B (en) 2011-01-01
JP2009501419A (ja) 2009-01-15
WO2007008006A1 (en) 2007-01-18
CN101213703B (zh) 2010-06-09
CN101213703A (zh) 2008-07-02
US20070015048A1 (en) 2007-01-18
US7592095B2 (en) 2009-09-22
TW200805733A (en) 2008-01-16
EP1905118A1 (en) 2008-04-02
KR100777126B1 (ko) 2007-11-29
JP5208736B2 (ja) 2013-06-12
EP1905118A4 (en) 200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126B1 (ko) 첨가제 담지 서방성 캡슐을 포함하고 있는 리튬 이차전지
US978035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101540618B1 (ko)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0898706B1 (ko) 도전성 고분자가 균일한 패턴으로 코팅되어 있는 양극 및이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US9786916B2 (en)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11056682B2 (en)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article including core including lithium cobalt oxide and shell including lithium cobalt phospha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190046617A (ko) 리튬-결핍 전이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된 리튬 과잉의 리튬 망간계 산화물을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KR101481993B1 (ko) 시안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US20180062173A1 (en)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core containing lithium cobalt oxide and shell being deficient in lithium,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US2014034917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20070023293A (ko) 안전성이 향상된 리튬 이차전지
KR20100071773A (ko)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20080058967A (ko) 과충전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KR20130011670A (ko) 전기적 안전성이 향상된 리튬 이차전지
KR100861711B1 (ko) 과방전 방지를 위한 음극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US20230187651A1 (en)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metal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lithium metal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130116027A (ko) 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극
CN114097109A (zh) 无锂电池及其制备方法
CN109314238B (zh) 金属掺杂的高电压用正极活性材料
KR20110083930A (ko) 과충전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9761864B2 (en) Cathode active material for high voltage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20230021950A1 (en) Negative electrode comprising pre-lithiation layer for lithium metal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lithium metal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0868259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과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 리튬이차전지
KR101159103B1 (ko) 전극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음극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는음극 합제
US20230135791A1 (en)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for lithium free battery,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lithium free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