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1097A -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1097A
KR20020011097A KR1020010045812A KR20010045812A KR20020011097A KR 20020011097 A KR20020011097 A KR 20020011097A KR 1020010045812 A KR1020010045812 A KR 1020010045812A KR 20010045812 A KR20010045812 A KR 20010045812A KR 20020011097 A KR20020011097 A KR 20020011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aper
recording medium
image forming
pap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1126B1 (ko
Inventor
모치마루히데아키
오마타야수쿠니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20020011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1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6Means for paper feeding or form fee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22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 G06K2215/0082Architecture adapted for a particular function
    • G06K2215/0088Collated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unters In Electrophotography And Two-Sided Copying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Pile Receiv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페이지 정리 순서가 상이한 복수개의 용지 배출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적정하게 용지를 배출할 수 있고, 특히 단단한 용지라도 적정하게 배출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동 트레이(35)로부터 용지를 공급하는 경우, 중간 전사 벨트(10)로부터 용지 아랫면에 제1 페이지의 화상을 전사하고,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용지 윗면에 제2 페이지 화상을 전사하여 장치 측면의 용지 받이(44)로 배출한다. 제2매 이후의 용지에 대해서도 동일 양태의 화상 형성·전사 제어에 의해 두꺼운 용지의 경우에도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양면 인쇄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기록매체(이하, 용지라고 한다)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 종래의 양면 기록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화상 담지체상에 형성한 일면의 화상(가시상:可視像)을 용지에 전사하여 정착시키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방식에 의한 양면 기록의 경우, 용지의 이송 방향 전환이나, 일면 화상의 정착에 의한 용지 말림 등에 의해 용지 이송의 신뢰성 확보에 많은 과제를 갖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일본 특허 공개 평 1-209470호 공보, 특허 공개 평 3-253881호 공보, 특허 공개 평 10-142869호 공보에는 제1 화상 담지체와 제2 화상 담지체를 이용하여 용지의 양면에 토너 화상을 전사한 후, 한번에 정착을 행하는 방식의 것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평 1-209470호 공보에 기재된 것은 감광체 상에 형성한 제1 화상을 제1 전사 수단으로 전사 벨트에 전사하고, 그 다음으로 감광체 상에 형성된 제2 화상을 제1 전사 수단으로 용지의 일면에 전사한다. 그 후, 전사 벨트 상의 제1 화상을 제2 전사 수단으로 용지의 다른 면에 전사함으로써 용지의 양면에 화상을 전사하고, 그 용지를 정착 장치로 이송하여 정착시키는 것이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 3-253881호 공보에 기재된 것은 상기 평 1-209470호 공보에 기재한 것과 거의 동일한 양태이지만, 감광체 상에 형성된 제2 화상(토너 화상)의 극성을 전사 공정전에 감광체 상에서 반전시킴으로써 제2 전사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용지 양면에 토너 화상을 전사할 수 있도록 하고, 전사 후의 용지를 정착 장치로 이송하여 정착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특허 공개 평 10-142869호 공보에 기재된 것은 전사 수단은 2개 마련되는 타입의 것으로서, 컬러 화상을 용지의 양면에 전사하고 정착 장치로 이송하여 한번에 정착시키는 것이다. 이 장치에서는 양면에 미정착 토너 화상을 유지한 용지의 이송을 안내하는 부재로서 주면에 복수개의 돌기를 구비하는 박차를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양면 기록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용지에 대한 화상의 전사 면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용지 배출 형태에 의해서는 페이지 정리에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도 1과 같이, 장치 윗면과 측면에 용지 받이(T1, T2)를 마련하는 경우, 용지 받이(T1)로 배출할 때에 페이지 순서(화상면이 아래로 향함)로 되도록 하여 용지에 대한 화상 전사면을 설정하면, 용지 받이(T2)로 배출할 때에는 페이지 순서로 되지 않고(화상면이 위로 향함)배출되게 된다. 반대로, 용지 받이(T2)로 배출할 때에는 화상면이 아래로 되도록 설정하면, 용지 받이(T1)로 배출할 때에는 화상면이 위로 된다.
이것에 대하여, 장치 내에 반전 이송부를 마련함으로써 화상면을 아래로 또는 화상면을 위로 배출하도록 전환 가능하게 한 것이 특허 공개 2000-1979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 공보에 기재한 장치의 경우, 반전 이송부에 의해 용지를 반전시킴으로써 용지에 대한 화상 전사면을 고정한 대로 화상면 위로 또는 화상면 아래로 용지 배출의 전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이 공보 중에는 반전 이송부를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 용지에 대한 화상 전사면을 변경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공개 2000-19799호 공보에 기재한 장치에서는 기계적인 반전 이송부에 의해 용지를 반전시키고 있으므로, 특히 단단한 용지(두꺼운 용지 등)의 경우에는 이송성에 문제가 생겼다.
또한, 도 1의 장치와 같은 복수개의 용지 받이를 구비하는 것에 특허 공개 2000-19799호 공보에 기재된 용지에 대한 화상의 전사 면을 변경시키는 기술을 적용한 경우에도 각 용지 받이로 화상면 위로 또는 화상면 아래로의 용지 배출을 적정하게 행할 수 있도록 용지에 대한 화상의 전사 면을 이용자가 설정하는 것은 번거로울 뿐만아니라 오류 조작할 우려도 크다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시이트형 원고의 양면(안팎)의 화상을 판독하여 기록지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특허 공개 2000-38234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장치에 있어서는 원고의 일면을 판독한 후, 원고를 스위치 백 시켜 원고를 반전시켜 원고의 뒷면을 판독하고 있다. 또한, 기록지의 일면에 화상을 형성한 후, 기록지를 스위치 백시켜 기록지를 반전시켜 재차 기록지의 뒷면에 화상을 전사하는 것이다(상기 공보의 도2).
또한, 특허 공개 평 11-258864호 공보에는 시이트형 원고를 주행시켜서 그 양면을 판독하는 판독 장치를 마련하고, 화상 형성부에서는 용지의 양면에 한번의 용지 이송에 의해 화상을 기록하는 양면 화상 형성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원고 화상의 양면 판독 및 양면 기록이 가능한 장치에 있어서도 용지 이송의 신뢰성이 낮은 것이나, 장치 공간이 커진다는 문제에 가하여 복수개의 용지 배출부로 기록지를 배출할 때의 페이지 정리에 대해서는 고려되어 있지 않고, 특히 양면 인쇄물 또는 원고 양면 화상을 판독한 인쇄물의 복수개의 용지 배출부로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용지를 배출함에 관해서는 아무런 고려도 되어 있지 않아 다양한 용지 공급·용지 배출 형태 및 원고 판독 방식에 대해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적정한 기록지를 배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에 있어서의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 페이지 정리 순서가 상이한 복수개의 용지 배출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적정한 용지 배출을 행할 수 있고, 특히 단단한 용지라도 적정하게 배출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이송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다양한 원고 형태 및 기록·용지 배출 형태에 대하여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적정한 기록지 배출을 행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과제이다.
도 1은 종래의 양면 인쇄시의 용지 배출 형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인 프린터의 개략을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프린터의 조작 패널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을 화상 판독 수단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6은 도 5의 화상 형성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원고 판독용 이미지 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ADF(automatic document feeder)를 구비하지 않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추가 용지 배출 장치와 추가 용지 공급 장치를 장착한 시스템을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원고 순환형 ADF를 구비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을 화상 판독 수단을 구비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감광체 드럼(제1 화상 담지체)
10 중간 전사 벨트(제2 화상 담지체)
16, 17 벨트 냉각 수단
18, 19 정착 롤러
20 벨트 유닛
21 전사 대전기(제1 전사 수단)
21B 전사 롤러(제1 전사 수단)
22 전사 대전기(제2 전사 수단)
25 벨트 클리닝 장치
30, 30B 정착 장치
40 배출 용지 적재부
44 용지 받이
68 고체 촬상 소자(CCD)
78 이미지 센서
100 프린터
100B 컬러 프린터
200, 200B 원고 판독부
250, 250B ADF
상기의 과제는 본 발명에 의해 제1 화상 담지체와 제2 화상 담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화상 담지체로부터 제2 화상 담지체로 일단 전사된 가시상을 제2 화상 담지체로부터 기록 매체의 일면에 전사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화상 담지체로부터 가시상을 기록매체의 다른 면에 전사함으로써 기록지의 양면에 가시상을 전사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기록매체 배출시의 페이지 정리 순서가 상이한 복수개의 용지 배출부를 마련하고, 기록매체가 배출되는 용지 배출부에 따라 화상 형성 및 전사 제어를 행하여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기록매체의 배출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복수매의 기록을 행하는 경우에 페이지수의 번호가 작아지는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짐으로써 해결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면 인쇄 또는 양면 인쇄를 설정하는 인쇄 설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록매체가 배출되는 용지 배출부를 선택하는 용지 배출부 선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종류를 설정하는 용지 종류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이 용지 종류 설정 수단으로부터의 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용지 배출부 중의 어느 용지 배출부가 선택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용지 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록매체를 공급하는 용지 공급부를 선택하는 용지 공급부 선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용지 종류를 설정하는 용지 종류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이 용지 종류 설정 수단으로부터의 설정에 따라상기 복수개의 용지 공급부 중의 어느 용지 공급부가 선택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지 공급부로부터 용지 배출부까지의 용지 이송 경로가 거의 직선형으로 되도록 용지 공급부 및 용지 배출부를 구비한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종류를 설정하는 용지 종류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이 용지 종류 설정 수단에 의해 특수 용지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용지 공급부로부터 용지 배출부까지의 용지 이송 경로가 거의 직선형으로 되도록 하는 용지 공급부 및 용지 배출부가 설정된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용지 공급부로부터 용지 배출부까지의 용지 이송 경로가 거의 직선형으로 되도록 한 용지 공급부가 수동 용지 공급 트레이인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수동 용지 공급 트레이의 사용을 검지하는 트레이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이 트레이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수동 용지 공급 트레이의 사용이 검지된 경우, 화상 형성부로부터 용지 배출부까지의 용지 이송 경로가 거의 직선형으로 되도록 한 용지 공급부 및 용지 배출부가 설정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복수개의 용지 배출부 중의 하나의 용지 배출부는 상기 제1화상 담지체로부터 직접 기록매체에 전사된 화상면을 아래로 하여 기록매체를 배출하는 배출부이고, 양면 인쇄시에 이 용지 배출부에 배출되는 기록매체가 페이지 순서로 정리되도록 홀수 페이지의 화상을 상기 제1 화상담지체로부터 직접 기록매체에 전사하고, 짝수 페이지의 화상을 상기 제2 화상 담지체를 통하여 기록매체에 전사하도록 화상 형성 및 전사 제어를 행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록매체가 배출되는 용지 배출부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이 전환 수단의 전환에 따라 화상 형성 및 전사 제어가 행해지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인쇄 설정 수단, 용지 배출부 선택 수단, 용지 종류 설정 수단 및 용지 공급부 선택 수단이 이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 패널 상에 마련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인쇄 설정 수단, 용지 배출부 선택 수단, 용지 종류 설정 수단 및 용지 배출 선택 수단과 동등의 설정·선택을 이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된 호스트 장치로부터 할 수 있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1 화상 담지체가 감광성을 구비하고,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해 형성된 토너 화상을 담지하는 화상 담지체이고, 상기 제2 화상 담지체가 상기 제1 화상 담지체로부터 전사되는 토너 화상을 담지하는 화상 담지체인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 판독 수단을 마련하고, 화상 형성부에 복수개의 화상 담지체를 구비하며, 각 화상 담지체로부터 기록매체의 각 면에 가시상을 전사함으로써 기록매체의 양면에 가시상을 전사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기록매체를 배출하는 복수개의 용지 배출부를 마련하고, 상기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한 원고 화상을 기록매체에 기록할 때, 기록매체가 배출되는 용지 배출부에 따라 상기 화상 형성부에서 화상 형성·전사 제어를 행하고, 각 용지 배출부의 어느 것에도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기록매체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화상 형성부가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한 것이고, 상기 복수개의 화상 담지체로서 토너 화상을 담지하는 감광성을 구비하는 제1 화상 담지체 및 이 제1 화상 담지체로부터 전사되는 토너 화상을 담지하는 제2 화상 담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화상 담지체로부터 제2 화상 담지체로 일단 전사된 가시상을 제2 화상 담지체로부터 기록매체의 일면에 전사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화상 담지체로부터 가시상을 기록매체의 다른 면에 전사함으로써 기록매체의 양면에 가시상을 전사할 수 있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복수개의 용지 배출부에 페이지 정리 순서가 상이한 용지 배출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페이지 순서로 배출되는 기록매체가 일면 인쇄물인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페이지 순서로 배출되는 기록매체가 양면 인쇄물인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이 원고 양면의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고 양면의 정보를 판독하여 기록매체의 일면에 기록한 후 페이지 순서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고 양면의 정보를 판독하여 기록매체의 양면에 기록한 후 페이지 순서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은 원고를 이송하면서 한번의 이송 공정에서 원고 양면을 판독할 수 있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은 원고를 이송하면서 원고 화상을 판독하는 제1 판독부와, 원고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원고 화상을 판독하는 제2 판독부를 구비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2 판독부는 콘택트 유리의 아래쪽에서 주행 가능하게 마련된 주행체를 구비하고, 이 주행체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제2 판독부를 상기 제1 판독부의 일부로서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1 판독부의 원고 공급대 위에 원고가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제2 판독부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은 원고 반전부를 구비하고 원고 양면을 판독할 수 있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독한 원고 페이지가 백지 페이지인 것을 검지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고, 원고 페이지가 백지 페이지인 경우에는 이 백지 페이지에 대한 화상 형성 공정을 생략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지 배출부 중의 하나가 상기 화상 판독 수단과 화상 형성부 사이의 장치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의 원고 배출부가 장치 본체의 투영 면적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지 공급부로부터 용지 배출부까지의 기록매체 이송 경로가 거의 직선형으로 되도록 용지 공급부 및 용지 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용지 공급부가 수동 용지 공급 수단인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원고 정보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경우에 기록매체의 일면에 기록하는가 양면에 기록하는 가를 지정하는 기록 형태 지정 수단과, 상기 복수개의 용지 배출부 중의 어느 것에 기록매체를 배출하는 지를 지정하는 용지 배출부 지정 수단을 구비하는 조작부를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의 근처에 마련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매의 기록을 행하는 경우에 페이지 수의 순서가 작아지는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지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복수매의 원고를 판독하여 복사하는 경우, 복수매 원고의 페이지의 순서로 원고를 판독하고, 페이지수 순서가 작아지는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지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1 화상 담지체가 감광체이고, 상기 제2 화상 담지체는 표면 저항이 105∼1012Ω의 범위에 있는 벨트형 중간전사체인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벨트형 중간 전사체 상에 기록매체를 유지한 채로 기록매체 양면의 화상을 정착할 수 있는 정착 장치를 마련한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벨트형 중간 전사체가 내열성을 구비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접속되는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화상 형성할 수 있고, 이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화상 형성시에 기록매체 일면에 기록하는지 양면에 기록하는지의 지정 및 복수개의 용지 배출부의 어느 것에 기록매체를 배출하는지의 지정을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설정할 수 있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면 방향을 화상 전사시로부터 반전시켜 배출하는 용지 배출부를 구비하고, 이 용지 배출부로의 기록매체 이송로에 접속되는 외부 용지 배출 장치를 마련하고, 이 외부 용지 배출 장치에 페이지 순서로 기록매체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용지 배출부로의 기록매체 이송로에 접속되어 기록매체를 상기 외부 용지 배출 장치로 인도하는 추가 기록매체 이송로가 상기 용지 배출부의 상단부에 따라 마련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용지 배출부로의 기록매체 이송로와 상기 추가 기록매체 이송로의 접속부에 기록매체 이송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톱을 마련하고, 기록매체를 배출하는 곳을 상기 용지 배출부 또는 상기 외부 용지 배출 장치로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면 방향을 화상 전사시의 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고, 이 용지 배출부로의 기록매체 이송로에 접속되는 외부 용지 배출 장치를 마련하며, 이 외부 용지 배출 장치에 페이지 순서로 기록매체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화상 담지체로부터 제2 화상 담지체로 일단 전사한 가시상을 제2 화상 담지체로부터 기록매체의 일면에 전사함과 동시에, 제1 화상 담지체로부터 가시상을 기록매체의 다른 면에 전사함으로써 기록매체의 양면에 가시상을 전사할 수 있고, 기록매체 배출시의 페이지 정리 순서가 상이한 복수개의 용지 배출부에 대해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기록매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기록매체가 배출되는 배출부에 따라 화상 형성 및 전사 제어를 행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화상 담지체 각각으로부터 기록매체의 각면에 가시상을 전사함으로써 기록매체의 양면에 가시상을 전사할 수 있고,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한 원고 화상을 기록매체에 기록할 때, 복수개의 용지 배출부 어느 것에 대해서도 페이지 순서의 기록매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기록매체가 배출되는 용지 배출부에 따라 화상 형성부에서 화상 형성·전사 제어를 행하는 것을 제안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인 프린터의 개략을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프린터(100)는 장치 내의 거의 중앙에 제1 화상 담지체인 감광체 드럼(1)을 배치하고 있다. 감광체 드럼(1)의 주위에는 클리닝 장치(2), 방전 장치(3), 대전 장치(4), 현상 장치(5)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감광체 드럼(1)의 위쪽에는 노광 장치(7)가 마련되고, 노광 장치(7)로부터 발사되는 레이저광(L)이 대전 장치(4)와 현상 장치(5) 사이의 기록 위치에서 감광체 드럼(1)에 조사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감광체 드럼(1), 클리닝 장치(2), 방전 장치(3), 대전 장치(4), 현상 장치(5) 등을 일체로 유닛화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로 하여 수명에 도달하였을 때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감광체 드럼(1)의 아래쪽에는 벨트 유닛(20)이 마련되어 있다. 벨트 유닛(20)은 제2 화상 담지체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10)를 중심으로 하는 것으로, 감광체 드럼(1)은 그 일부가 중간 전사 벨트(10)에 접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10)는 롤러(11, 12, 13)에 씌워져 도면에서 역시계바늘 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중간 전사 벨트(10)는 내열성을 구비하고 있고, 동시에 토너를 전사할 수 있는 저항값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10)의 표면 저항은 105∼1012Ω의 범위에 있는 것을 사용하고 있다.
중간 전사 벨트(10)의 루프 내측에는 벨트 뒷면 맞대임 롤러(14, 15), 냉각수단(16, 16), 정착 롤러(18), 제1 전사 수단(21) 등이 배치되어 있다. 정착 롤러(18)는 히터 등의 열원을 내장하고, 용지의 제1면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용지 상에 정착시키는 것이다. 제1 전사 수단(21)은 벨트(10)를 끼우고 감광체 드럼(1)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감광체 드럼(1)상에 형성한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벨트(10) 또는 용지상(용지의 제1면)에 전사시키는 것이다.
중간 전사 벨트(10)의 외주부에는 제2전사 수단(22),정착 장치(39), 벨트용 클리닝 장치(25)가 배치되어 있다.
정착 장치(30)는 히터 등의 열원을 내장하는 정착 롤러(19)를 구비하고 있고, 용지의 제2면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용지 상에 정착시키는 것이다. 이 정착 장치(30)는 지지점(30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기구에 의해 화살표 G방향으로 회전되고, 벨트(10)(및 용지)를 끼우고 정착 롤러(18)에 압접 및 이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정착 장치(30)의 좌측 상부에는 기내 공기를 배출하여 기내 온도의 과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팬(F1)이 마련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10)용의 클리닝 장치(25)는 내부에 클리닝 롤러(25a), 블레이드(25b), 토너 이송 수단(25c) 등을 마련하고, 중간 전사 벨트(10) 표면에 잔류하는 불필요한 토너를 제거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클리닝 장치(25)내에 체류된 토너는 토너 이송 수단(25c)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회수 용기로 이송된다. 이 클리닝 장치(25)는 회전 지지점(25d)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H방향으로 정·역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기구에 의해 클리닝 장치(25) 전체를회전시킴으로써 클리닝 롤러(25a)는 중간 전사 벨트(10)에 대하여 접리할 수 있다.
장치 본체의 하부에는 용지 공급 카세트(26)가 마련되어 있다. 이 용지 공급 카세트(26)는 도면에서 우측 방향으로 꺼낼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카세트(26)내에는 기록재로서의 전사지(P)가 수납된다. 카세트(26)의 용지 공급 방향 선단측(도면의 우측)의 상부 위치에 용지 공급 롤러(2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감광체 드럼(1)의 우측에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쌍(28)이 마련되어 있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쌍(28)으로부터 전사 위치로 용지를 안내하는 안내 부재(29)가 마련되어 있다. 카세트(26)의 위쪽에는 전기 장치부(E1) 및 제어 장치(E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장치 우측면에는 수동 용지 공급 장치인 트레이(35)가 마련되고, 용지 카세트대(37)위에 세트된 용지(P)를 송출하기 위한 용지 공급 롤러(36)가 마련되어 있다. 수동 용지 공급 장치인 트레이(35)로부터 공급되는 용지는 안내 부재(29)에 안내되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쌍(28)으로 이송된다.
도 2에 있어서, 정착 장치(30)의 좌측 위치에 전환톱(42)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전환톱(42)은 지지점(43)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벨트 유닛(20)으로부터 송출된 용지의 이송 방향을 장치 본체의 윗면에 마련된 배출 용지 적재부(49) 또는 장치 측면의 용지 받이(44)로 전환한다. 전환톱(42)은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예컨대 솔레노이드 등)에 의해 동작된다. 전환톱(42)이 도면의 위치에 있을 때, 용지는 배출 용지 적재부(40)로 이송되고, 전환톱(42)을 화살표 J방향으로 전환하면, 용지는 용지 받이(44)로 송출된다.
전환톱(42)의 위쪽에는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롤러쌍(33)이 배치되어 있다.또한, 나아가 위쪽에는 용지를 배출 용지 적재부(40)로 배출하기 위한 용지 배출 롤러쌍(34)이 배치되어 있다. 이송 롤러쌍(33)과 용지 배출 롤러쌍(34) 사이는 안내부재(31a, 31b)에 의해 안내된다. 한편, 전환톱(42)의 좌측에는 용지 받이(44)로 용지를 배출하기 위한 용지 배출 롤러쌍(32)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용지 양면에 화상을 얻는 경우의 동작으로부터 설명한다. 또, 용지 양면에 화상을 얻는 경우, 우선 형성하는 화상을 제1면 화상, 나중에 형성하는 화상을 제2면 화상이라고 하고, 제1면 화상이 전사되는 용지면을 용지 제1면, 제2면 화상이 전사되는 용지면을 용지 제2면이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이른바 프린터이고, 기록을 위한 신호는 도시하지 않는 호스트 머신, 예컨대 컴퓨터로부터 보내온다. 수신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노광 장치(7)가 구동되고, 노광 장치의 레이저 광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발사되는 빛은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폴리건 미러(7a)에 의해 주사되어 미러(7b), fθ렌즈(7c) 등을 거쳐 대전 장치(4)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 드럼(1)에 조사되고, 감광체 드럼(1)상에 기록 정보에 대응한 잠상을 형성한다.
감광체 드럼(1)상의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5)에 의해 현상되어 토너에 의한 가시상(可視像)이 감광체 표면에 형성·유지된다. 감광체 드럼(1)상의 토너 화상은 제2 화상 담지체인 중간 전사 벨트(10)의 뒷쪽에 있는 제1 전사 수단(21)에 의해 감광체 드럼(1)과 동기하여 주행하는 중간 전사 벨트(10)의 표면에 전사된다.
감광체 드럼(1)의 표면에 잔존하는 토너는 클리닝 장치(2)에 의해 클리닝되고, 방전 장치(3)에 의해 방전되어 다음의 화상 형성 사이클에 대비한다.
중간 전사 벨트(10)는 표면에 전사된 토너 화상(용지 제1면에 전사되는 화상)을 담지하여 도면에서 역시계바늘 방향으로 주행한다. 이 때, 토너 화상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제2 전사 수단(22), 정착 장치(30) 및 클리닝 장치(25)는 비동작 상태(전기 입력 차단 또는 중간 전사 벨트(10)로부터 이탈)를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중간 전사 벨트(10)가 소정 곳까지 주행하면, 용지의 다른 면(제2면)에 작성될 토너 화상이 감광체 드럼(1)상에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으로 형성되기 시작하고, 용지 공급이 개시된다. 용지 공급 롤러(27) 또는 용지 공급 롤러(36)가 화살표 방향과 같이 회전하면, 용지 공급 카세트(26)내 또는 수동 트레이(35)의 최상부에 있는 용지(P)가 꺼내져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쌍(28)으로 이송된다.
중간 전사 벨트(10)는 감광체 드럼(1)과 동기하여 주행하고, 앞서 중간 전사 벨트(10)상에 전사된 토너 화상(제1면 화상)은 1회전 하여 중간 전사 벨트(10)와 감광체 드럼(1)이 접촉하는 위치를 향하여 이송된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쌍(28)을 거쳐 중간 전사 벨트(10)와 감광체 드럼(1) 사이로 이송된 용지(제2면)에 우선 감광체 드럼(1) 표면의 토너가 제1 전사 수단(21)에 의해 전사된다. 이 전사에 있어서 용지와 화상(제2면 화상)의 위치가 정규한 것으로 되도록,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쌍(28)에 의해 타이밍이 맞추어져 이송된다. 또, 용지와 제1면 화상의 위치도 정규한 것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용지에 토너(제2면 화상)가 전사되고 있는 동안, 용지의 다른 면은 중간 전사 벨트(10) 상에 놓여있는 토너와 함께(용지의 제1면이벨트(10)상에 전사된 제1면 화상에 밀착되어) 이동한다. 용지가 제2 전사 수단(22)의 작용 영역을 통과할 때, 이 전사 수단(22)에 전압이 가해져 중간 전사 벨트(10)상의 토너가 용지에 전사된다.
제1 전사 수단(21)과 제2전사 수단(22)의 작용으로 그 양면에 토너 화상이 전사된 용지는 벨트(10)의 주행에 의해 정착 영역으로 보내진다. 여기서 정착 롤러(19)가 벨트(10)를 끼우고 정착 롤러(18)에 압접되도록 정착 장치(30)가 회전되고, 정착 롤러(19)와 정착 롤러(18)의 협동으로 용지상의 토너 화상(양면)이 한번에 정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토너 화상이 전사된 후, 용지를 중간 전사 벨트(10)로부터 떼지 않고 용지와 중간 전사 벨트(10)를 겹친 상태로 정착하므로 토너 화상이 흐터지지 않아 화상 흐트러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정착 후의 용지는 롤러(11)부에서 중간 전사 벨트(10)로부터 곡률 분리되고, 전환톱(42)에 의해 이송 방향이 전환되어 장치 윗면의 배출 용지 적재부(40) 또는 장치 측면의 용지 받이(44)로 배출된다.
장치 윗면의 배출 용지 적재부(40)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양면 화상 중 제2면, 즉 감광체로부터 용지에 직접 전사되는 면이 아랫면으로 되어 배출 용지 적재부(40)에 적재되므로 페이지 정리를 해두기 위해서는 제2페이지의 화상을 먼저 작성하여 중간 전사 벨트(10)상에 그 토너 화상을 유지하고, 제1페이지의 화상을 나중에 작성하여 감광체 드럼(1) 표면으로부터 용지에 직접 토너 화상을 전사하도록 하면 된다. 따라서, 배출 용지 적재부(40)에 페이지 순서로 용지를 배출(제1화상면을 아래로 하여 배출)하는 경우에는 제1면 화상이 제2페이지의 화상이고, 제2면 화상이 제1페이지 화상이다. 제3페이지 이후의 화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고, 짝수 페이지에 화상이 있는 경우에는 그 짝수 페이지의 화상을 우선 형성하여 중간 전사 벨트(10)상에 전사·유지하고, 그 짝수 페이지의 앞페이지인 홀수 페이지를 나중에 작성하여 감광체 드럼(1) 표면으로부터 용지에 직접 전사한다. 이 경우의 화상 형성 순서를 페이지수로 나타내면, 2→1→4→3→6→5···로 된다. 또한, 이 때의 프린트 순서를 용지의 매수로 나타내면,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의 인쇄물의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여기서, 작은 매수 순서란, 제1페이지와 제2페이지가 기록된 용지를 제1매라고 하고, 제3페이지와 제4페이지가 기록된 용지를 제2매라고 하며, 이하 마찬가지로 제3매(P3, P4)→제4매(P5, P6)···인 것을 말한다.
프린터나 복사기에 있어서는 인쇄(복사)물을 뒤(최종 페이지)측으로부터 출력하는 모드 또는 구성의 장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최종 n페이지와 n-1페이지가 기록된 것(양면 기록의 경우)이 최초로 출력된다. 최초에 출력된 것을 제1매라고 하는 경우가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단순히 최초로 출력된 것을 제1매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제1페이지와 제2페이지가 기록된 것(양면 기록의 경우)을 제1매라고 하고, 이하, 제2매(P3, P4), 제3매(P5, P6)라고 하는 것이다. 또한, 일면 기록의 경우에도 제1페이지가 기록된 것을 제1매라고 하고, 이하, 제2매(P2), 제3매(P3)라고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복수매 인쇄물의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하는 것이란, 양면 기록이면 제1페이지와 제2페이지가 기록된 용지를 최초로 출력하고(제1매), 다음에 제3페이지와 제4페이지가 기록된 용지를 출력하며(제2매), 이하 동일한 양태로 출력한다. 또한, 일면 기록이면 제1페이지가 기록된 용지를 최초로 출력하고(제1매), 다음에 제2페이지가 기록된 용지를 출력하며(제2매), 이하 동일한 양태로 출력한다. 또, 각 페이지에는 백지 화상(화상 없음)이 포함되어 있어도 관계없다.
한편, 장치 측면의 용지 받이(44)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양면 화상 중의 제2면, 즉 감광체로부터 용지에 직접 전사되는 면이 윗면으로 되어 용지 받이(44)로 배출된다. 따라서, 용지 받이(44)로 용지를 배출할 때에 페이지 순서로 정리할(제1화상면을 아래로 하여 배출) 경우에는 제1면 화상이 제1페이지의 화상이고, 제2면 화상이 제2페이지의 화상이다. 제3페이지 이후의 화상에 대해서도 동일한 양태이고, 홀수 페이지에 화상이 있는 경우에는 그 홀수 페이지의 화상을 우선 형성하여 중간 전사 벨트(10)상에 전사·유지하고, 그 홀수 페이지의 바로 뒷페이지인 짝수 페이지를 나중에 작성하여 감광체 드럼(1) 표면으로부터 용지에 직접 전사한다. 이 경우의 화상 형성 순서를 페이지수로 나타내면, 1→2→3→4→5→6···으로 된다. 또한, 이 때의 인쇄 순서를 용지의 매수로 나타내면,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배출 용지 적재부(40)로 페이지 순서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복수매 인쇄물의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어느 용지 배출부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에도 복수매의 인쇄물의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이용자에 의한 인쇄물의 내용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최초의 1매 또는 처음의 수 매를 확인함으로써 출력된 것이 소망의 파일인지 또한, 그 인쇄 상태가 소망의 상태인지를 즉석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가령 복수매 인쇄물을 뒤페이지로부터 화상 형성을 행한다면, 최후의 1매(즉, 선두 페이지가 인쇄된 용지)가 출력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으면 안되어 인쇄물의 내용 확인에 시간이 걸린다.
또한, 복수매 인쇄물의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을 행함으로써 용지 걸림이 발생한 경우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즉, 용지 걸림 처리 종료 후에 걸린 페이지 이후를 순번으로 인쇄하면 되므로, 용지 걸림 후의 인쇄 처리가 용이하게 된다. 특히, 용지 걸림 발생시에 걸린 용지 이후의 페이지를 자동적으로 재인쇄하지 않는 모드(이용자가 용지 걸림 이후의 페이지의 인쇄를 지정하여 재차 인쇄할 필요가 있다)의 경우에 용지 걸림 이후의 인쇄 설정이 용이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지를 배출하는 트레이(적재부)를 조작 패널(도 3)로부터 이용자가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복수개 있는 용지 배출부(배출 용지 적재부(40), 용지 받이(44))의 어느 것으로 용지를 배출하는 가를 이용자가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어느 용지 배출부가 지정된 경우에도 각 용지 배출부로 페이지 순서로 용지가 배출되도록 상기 화상 형성 순서가 자동적으로 제어된다. 이 화상 형성 순서의 제어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행해진다.
따라서, 어느 용지 배출부를 지정하는 경우에도 이용자는 화상 형성 순서(용지에 대한 화상 전사면)등을 걱정하지 않고 용지 배출부를 지정(선택)하기만 하면 그 용지 배출부로 페이지 순서로 배출할 수 있어 양면 기록시의 적정한 용지 배출을 간단한 조작으로 행할 수 있다. 또, 페이지 정리를 위한 화상 형성 순서 변경은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축적하는 공지의 기술로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동 트레이(35)로부터 용지를 공급하여 용지 받이(44)로 배출하는 경우에는 용지 공급부로부터 용지 배출부까지의 용지 이송 경로가 거의 직선형으로 된다. 따라서, 단단한 용지, 예컨대 두꺼운 용지나 OHP 필름 등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수동 트레이(35)를 이용하여 용지 받이(44)를 지정함으로써 두껍고 강성이 큰 기록매체의 경우에도 이송성을 손상주지 않고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양면 인쇄를 얻을 수 있다.
통상의 용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용지 공급 카세트(26) 또는 수동 트레이(35)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용지를 공급할 수 있고, 용지 배출부도 적재부(40) 또는 용지 받이(44)중의 어느 하나로 지정할 수 있다. 물론, 어느 경우에도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양면 인쇄를 얻을 수 있다. 사용 빈도가 높은 통상의 용지를 대상으로 하여 용지 공급 카세트(26)로부터 공급하여 배출 용지 적재부(40)로 배출하는 동작을 디폴트 설정으로서 마련하여도 좋다.
그런데, 통상은 감광체 드럼(1)상에 역상(경상)을 형성하고, 이것을 용지에 직접 전사하면 정상을 얻을 수 있는데, 중간 전사 벨트(10)상에 전사한 화상을 용지에 전사하는 경우, 감광체 드럼(1)상에서 경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용지 전사시에 경상으로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10)로부터 용지에 전사되는 화상(제1면 화상)은 감광체 드럼(1) 표면에서 정상으로 형성하고,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용지에 직접 전사되는 토너 화상(제2면 화상)은 감광체 표면에서 경상으로 되도록 노광된다. 이와 같은 정·역상으로 전환하는 노광은 공지의 화상 처리 기술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중간 전사 벨트(10)로부터 떨어져 있던 클리닝 장치(25)는 중간 전사 벨트(10)로부터 용지에 화상이 전사된 후에 클리닝 롤러(25a)가 벨트(10)에 접촉하도록 클리닝 장치(25)가 회전되고, 용지에 전사한 후의 잔류 토너를 클리닝 롤러(25a)의 표면에 이동시켜 블레이드(25b)로 긁어뜨린다. 긁어 떨어진 토너는 토너 이송 수단(25c)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수납부에 모여진다. 정착 수단(18, 19)에 의해 가열된 상기 잔류 토너는 냉각되기 전이 보다 클리닝 롤러(25a)에 전이하기 쉬우므로, 냉각 수단(16, 16)보다 상류에서 클리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리닝 영역을 통과한 중간 전사 벨트(10)는 냉각 수단(16, 16)의 동작에 의해 냉각된다. 냉각 수단(16)으로서는 각종 방열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공기를 유통시키는 방식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10) 표면에 유지된 토너 화상을 흩뜨리지 않도록 기록매체(용지)에 전사한 후에 공기를 유통시키면 적절하다. 중간 전사 벨트(10)의 루프 내면에 직접 접촉시켜 열을 빼앗는 히트 파이프(heat pipe)에 의한 냉각 수단도 채용할 수 있다.
다음, 용지의 일면에 화상을 얻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면 기록시의 동작에 관해서는 장치 윗면의 배출 용지 적재부(40)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와, 장치 측면의 용지 받이(44)로 배출하는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우선, 장치 윗면의 배출 용지 적재부(40)로 배출하는 경우의 일면 기록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중간 전사 벨트(10)에 토너를 전사하는 공정을 생략하고, 감광체 드럼(1)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용지에 직접 전사한다. 일면 화상의 경우에감광체 드럼(1)상의 토너 화상은 경상이고, 용지에 전사되면 정상으로 된다.
도 2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1)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과 위치를 맞추기 위하여 동기를 취하여 용지(P)가 감광체 드럼(1)과 중간 전사 벨트(10)의 사이로 보내지고, 제1 전사 수단(21)에 의해 용지상(용지 윗면: 감광체 드럼(1)측의 면)에 토너 화상이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전사된다.
제2전사 수단(22)은 동작하지 않고, 용지는 중간 전사 벨트(10)와 함께 이동하여 토너가 정착된다. 그 후, 용지는 중간 전사 벨트(10)로부터 이탈되어 안내 부재(31), 용지 배출 롤러쌍(32)을 거쳐 화살표A1 방향으로 배출되고, 화상면이 아래로 된 상태로 배출 용지 적재부(40)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수 페이지에 달하는 원고를 1페이지로부터 순서로 처리하여도 배출 용지 적재부(40)로부터 꺼냈을 때, 인쇄물은 페이지 순서로 되어 있다. 이 때의 화상 형성 순서는 1→2→3→4→5→6···으로 된다. 이 때의 용지 매수로 나타낸 인쇄 순서는 페이지 순서와 동일하므로,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인쇄물의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다음, 장치 측면의 용지 받이(44)로 배출하는 경우의 일면 기록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감광체 드럼(1)상에 작성한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벨트(10)에 일단 전사한다(제1 전사 수단(21)의 작용). 그 토너 화상을 담지하여 중간 전사 벨트(10)가 1회전하고, 중간 전사 벨트(10)상의 토너 화상과 위치를 맞추기 위하여 용지(P)가 동기를 취하여 감광체 드럼(1)과 중간 전사 벨트(10)의 사이로 보내지고, 제2 전사수단(22)에 의해 용지상(용지 아랫면: 중간 전사 벨트(10)측의 면)에 토너 화상이 중간 전사 벨트(10)로부터 전사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수 페이지에 달하는 원고를 1페이지로부터 순서로 처리하여도 용지 받이(44)로부터 취출하였을 때, 인쇄물은 페이지 순서로 되어 있다. 이 때의 화상 형성 순서는 1→2→3→4→5→6···으로 된다. 이 때의 용지 매수로 나타낸 인쇄 순서는 페이지 순서와 동일하므로,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인쇄물의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일면 인쇄의 경우에는 장치 윗면의 배출 용지 적재부(40)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에도, 장치 측면의 용지 받이(44)로 배출하는 경우에도, 화상 형성 순서는 1→2→3→4→5···로 동일하지만, 화상을 전사하는 용지의 면이 상이하다. 즉, 전자에서는 용지 윗면에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것에 대해 후자에서는 용지 아랫면에 중간 전사 벨트(10)로부터 토너 화상이 전사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면 인쇄의 경우에도 용지를 배출하는 트레이(적재부)를 조작 패널(도 3)로부터 이용자가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복수개 있는 용지 배출부(배출 용지 적재부(40), 용지 받이(44))중의 어느 것으로 용지를 배출하는 가를 이용자가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어느 용지 배출부가 지정되는 경우에도 각 용지 배출부로 페이지 순서로 용지가 배출되도록 상기 화상 형성 제어가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에 의해 행해진다. 따라서, 이용자는 화상 형성 순서(용지에 대한 화상 전사면)등을 걱정하지 않고 용지 배출부를 지정(선택)하기만 하면 그 용지 배출부로 페이지 순서로 배출할 수 있어 양면 기록시의 적정한 용지 배출을 간단한조작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일면 인쇄에 있어서도 단단한 용지, 예컨대 두꺼운 용지나 OHP 필름 등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수동 트레이(35)를 이용하여 용지 받이(44)를 지정함으로써 두껍고 강성이 큰 기록매체의 경우에도 이송성을 손상주지 않고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일면 인쇄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일면 인쇄의 경우에도 양면 인쇄의 경우에도 인쇄 순서를 용지의 매수로 나타내면,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용지 배출 장소에 관계없이 복수매 인쇄물의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따라서, 양면 인쇄시는 물론 일면 인쇄시시에 있어서도 출력된 인쇄물의 내용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용지 걸림 후의 인쇄 처리, 특히 이용자에 의한 재인쇄의 설정이 용이하게 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인 프린터의 조작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패널(50)에는 액정 디스플레이(51)외에 각종 설정 단추(52∼59)이 마련되어 있다. 온라인 단추(52)는 프린터의 온라인/오프라인의 전환을 행하기 위한 입력 키이다. 리세트 단추(53)는 그 때까지의 설정을 리세트하기 위한 입력 키이다. 용지 공급 단추(54)는 사용하는 용지 종류를 지정(선택)하기 위한 입력 키이고, 두꺼운 용지 등의 특수 용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이 용지 공급 단추(54)를 눌러 설정한다. 양면 단추(55)는 양면 인쇄를 지정하기 위한 입력 키이다. 설정 단추(56)는 각종 설정을 행하기 위한 입력 키이고, 이 설정 단추를 누름으로써 액정 디스플레이(51)에 표시된 설정 항목을 상하 화살표 단추(58, 59)에 의해 선택하고, 실행 단추(57)를 누름으로써 그 항목의 선택(지정)이 완료한다. 설정 단추(56)에 의한 설정 항목으로서는 용지 공급부의 선택 및 용지 배출부의 선택 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지 양면에 인쇄하는 경우에는 양면 단추(55)를 눌러 양면 인쇄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용지 양면에 인쇄된 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 그 때, 설정 단추(56)로부터 용지 공급부를 지정함으로써 용지 공급 카세트(26) 또는 수동 트레이(35)로부터의 용지 공급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설정 단추(56)로부터 용지 배출부를 지정함으로써 장치 윗면의 배출 용지 적재부(40) 또는 장치 측면의 용지 받이(44)를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용지 공급부와 용지 배출부를 조합하여 지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일면 인쇄시에도 동일한 양태로 하여 용지 공급부와 용지 배출부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에서는 일면 인쇄시와 양면 인쇄시의 쌍방에 있어 용지 공급부, 용지 배출부를 선택하면, 지정한 용지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용지에 대하여 지정한 용지 배출부로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용지가 배출되도록 상술한 화상 형성 제어가 행해져 이용자는 용지에 대한 화상 전사면 등을 걱정하지 않고 적정하게 페이지 순서로 정리되어 배출된 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예컨대 두꺼운 용지나 OHP 필름 등 두껍고 강성이 큰 기록매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동 트레이(35)로부터 용지를 공급하여 용지 받이(44)로 배출함으로써 용지 공급부로부터 용지 배출부까지의 용지 이송 경로가 거의 직선형으로 되어 단단한 용지에 대해서도 이송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래서 본실시형태에서는 용지 공급 단추(54)를 눌러 두꺼운 용지(두꺼운 용지 이외의 OHP 필름 등 두껍고 강성이 큰 기록매체를 포함)를 선택한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용지 공급부로서 수동 트레이(35)가 선택되고, 용지 배출부로서 장치 측면의 용지 받이(44)가 선택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이용자가 두꺼운 용지를 지정하기만 하면 적절한 용지 공급부와 용지 배출부가 자동 설정되고, 두꺼운 용지에 대한 일면 또는 양면의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인쇄물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의 용지를 선택한 경우에는 용지 배출부로서 배출 용지 적재부(40)가 설정되어 있고, 통상 용지의 일면 또는 양면의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인쇄물을 커내기 쉬운 장치 윗면의 적재부(40)에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하는 용지의 종류에 따라 용지 배출부가 자동적으로 설정되고, 그 용지 배출부로 용지를 배출하였을 때에 페이지 순서로 정리되어 있도록 화상 형성 제어함으로써 이용자는 용지 종류의 지정만 하면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일면 또는 양면 인쇄물을 적절한 용지 받이에 얻을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수동 트레이(35) 근처의 장치 본체 내에는 트레이 개폐 검지 센서(38)가 마련되어 있다. 이 센서(38)는 수동 트레이(35)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트레이 개폐 검지 센서(38)가 수동 트레이(35)의 개폐를 검지한 경우에는 용지 종류로서 특수 용지(두꺼운 용지, 엽서 등)가 자동적으로 설정되고, 나아가 용지 배출부로서 용지 받이(44)가 자동적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특수 용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동 트레이(35)를 개방하기만 하면(수동 트레이(35)에 용지를 세트하기만 하면), 이용자는 그 외의 설정을 하지 않고(단, 필요하면 양면 설정 등을 행한다) 극히 용이하게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일면 또는 양면 인쇄물을 용지 받이(44)에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에서는 용지 배출부의 전환은 전환톱(42)의 전환 제어에 의해 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간단한 제어로 용지 배출부의 전환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패널(50)로부터 행하는 각종 설정과 동일 설정을 프린터가 접속되는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호스트 컴퓨터의 사용자는 프린터 본체로부터 떨어져 있는 장소에서 용지 공급부, 용지 배출부, 용지 종류 등의 설정을 행할 수 있고, 이들 설정이 행해진 경우에 필요한 화상 형성·전사 제어가 자동적으로 행해져 어느 용지 배출부에 대해서도 적정하게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일면 또는 양면 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을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컬러 프린터(100B)는 회전식 현상 장치(5R)를 마련하는 것으로, 중간 전사 벨트(10)가 감광체 드럼(1)에 접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것 이외의 구성은 상기 단색형 실시형태와 동일한 양태이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회전식 현상 장치(5)는 4개의 현상기(5a∼5d)를 탑재하고 있고, 화살표방향과 같이 도면에서 역시계바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각 현상기를 전환하여 현상 위치에 이동시킬 수 있다. 4개의 현상기(5a∼5d)에는 풀 컬러 현상을 가능하게 하는 각색 토너가 수납되어 있다. 예컨대, 현상기(5a)에는 옐로우, 현상기(5b)에는 마젠타, 현상기(5c)에는 시안, 현상기(5d)에는 블랙 토너가 수납된다. 흑백 프린트의 경우에는 블랙 토너를 수납하는 현상기(5d)를 현상 위치에 이동시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양태의 화상 형성 동작을 행한다.
풀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감광체 드럼(1)과 중간 전사 벨트(10)가 이탈한 상태에서 대전된 감광체 드럼(1) 표면에 우선 옐로우 토너로 현상될 광 정보가 노광 장치(7)로부터 기록된다. 그 정전 잠상에 대하여 현상 위치에 이동된 옐로우 현상기(5a)로부터 옐로우 토너가 부여되어 현상된다. 마찬가지로 감광체 드럼(1) 표면에 마젠타의 화상이 형성되어 옐로우 화상에 중첩된다. 나아가, 시안 화상이 형성되어 앞서 화상에 감광체 상에서 중첩된다. 최후로 블랙 토너에 의한 화상이 중첩되어 4색의 컬러 화상이 감광체 표면에 형성되어 담지된다. 4색의 컬러 화상 작성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1)은 4회 회전한다.
4색 컬러 화상이 감광체 표면에 형성되면, 감광체 드럼(1)에 중간 전사 벨트(10)가 접촉되고,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8)에 의해 타이밍을 맞추어 공급된 전사지상에 제1 전사 수단(21)의 작용에 의해 감광체 드럼(1)상의 컬러 화상이 전사된다.
양면 프린트의 경우에는 제1면 화상이 감광체 드럼(1)상에 형성되면 감광체 드럼(1)에 중간 전사 벨트(10)가 접촉되고, 이동하는 중간 전사 벨트(10)상에 제1 전사 수단(21)의 작용에 의해 제1면 화상이 전사된다. 제1면 화상을 담지하는 중간 전사 벨트(10)는 소정 위치에서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이탈되어 정지하여 대기한다. 그리고, 감광체 드럼(1)상에 제2면 화상의 형성이 개시된다. 감광체 드럼(1)상에 4색 컬러 화상(제2면 화상)이 형성되면, 감광체 드럼(1) 표면의 제2면 화상 선단과 중간 전사 벨트(10)에 담지된 제1면 화상의 선단의 위치가 맞도록 중간 전사 벨트(10)의 주행이 개시되고, 중간 전사 벨트(10)가 감광체 드럼(1)에 접촉된다. 거기에 전사지가 타이밍을 맞추어 공급된다. 감광체 드럼(1)상의 제2면 화상은 제1전사 수단(21)의 작용에 의해 전사지의 제2면에 전사되고, 중간 전사 벨트(10)상의 제1면 화상은 제2 전사 수단(22)의 작용에 의해 전사지의 제1면에 전사된다. 이것에 의해 전사지 양면에 컬러 화상이 전사되고, 그 전사지는 중간 전사 벨트(10)에 중첩되어 유지된 상태로 정착 장치(30)에 의한 정착 영역으로 이송된다. 정착 이후의 공정은 일면 인쇄의 경우에도 양면 인쇄의 경우에도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양태이다.
본 실시형태의 컬러 프린터에 있어서 인쇄시의 화상 형성 순서(페이지 순서)는 양면 인쇄·일면 인쇄 어느 경우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용지 매수로 나타낸 인쇄 순서도 제1매→제2매→제3매···로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고, 용지 배출 장소에 관계없이 복수매 인쇄물의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따라서, 양면 인쇄시는 물론 일면 인쇄시에 있어서도 출력된 인쇄물의 내용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용지 걸림 후의 인쇄 처리, 특히 이용자에 의한 재인쇄의 설정이 용이하게 된다.
또, 컬러 프린터로서는 본 실시형태와 같은 회전식 현상 장치(5)를 마련하는 것 이외, 이른바 탠덤식 현상 장치를 마련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 경우, 감광체를 벨트형 감광체로 하고, 그 벨트형 감광체에 따라 복수개의 현상기로 이루어지는 탠덤식 현상 장치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을 화상 판독 수단을 마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프린터부(100)와 그 상부의 원고 판독부(200)로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 원고 판독부(200)는 그 상부에 시이트 원고(S)를 자동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ADF(250)를 장착하고 있다. 이 화상 형성 장치는 원고의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송신(팩시밀리 기능으로)하거나, 컴퓨터의 출력 장치(프린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는 디지털 복사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외관을 도 6에 나타낸다.
프린터부(100)의 구성은 도 2에 의해 설명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 양태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장치 본체의 하부 위치에는 용지 공급 장치인 용지 공급 카세트(26)가 마련되어 있다. 이 용지 공급 카세트(26)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앞쪽 (화살표 C방향)으로 꺼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프린터부의 윗면은 배출 용지 적재부(40)로서 형성되어 있다.
다음, 원고 판독부(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원고 판독부의 프레임(61) 상부에는 콘택트 유리(62, 63)이 배치되어 있다. 큰 콘택트 유리(62)는 이 콘택트 유리상에 원고를 고정적으로 올려놓고 원고 화상을 판독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작은 콘택트 유리(63)는 ADF(250)에 의해 원고를 주행시키면서 원고 화상을 판독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원고 판독부(200)의 내부에는 조명용 광원(64)과 미러로 구성된 제1주행체(65)와, 미러를 포함하는 제2 주행체(66)가 콘택트 유리(62)에 평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2 주행체(66)는 제1 주행체(65)의 1/2의 속도로 이동하는 공지의 광학계를 채용하고 있고, 이들 주행체(65, 66)가 이동하면서 콘택트 유리(62)상의 원고 화상을 주사한다. 또한, 원고를 주행시키면서 화상을 판독하는 경우에는 제1·제2 주행체(65, 66)를 도 2에 나타낸 위치에 정지시킨 상태로 콘택트 유리(63)상을 이동하는 원고 화상을 주사한다.
광원(64)에 의해 조명되는 원고는 고정된 렌즈(67)로 결상되어 고체 촬상 소자(CCD)(68)에 판독된다. 이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로서 적당히 처리되고, 팩시밀리 기능에 의해 원격지로 보내지거나, 본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인쇄된다. 또, 이 데이터를 컴퓨터에 취득하여 화상 처리하여 적당히 이용할 수도 있다.
ADF(250)는 원고 묶음을 수납하기 위한 용지 공급대(71)를 구비하고 있다. 용지 공급대(71)에는 가동판(72)이 마련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 용지 공급대(71)의 좌측 부분은 ADF(250)의 용지 공급 이송부(73)로 되어 있다. 용지 공급 이송부(73)에는 가동판(72)의 선단 상부에 있는 용지 공급 롤러(74), 분리 롤러쌍(75), 이송 롤러쌍(76), 이미지 센서(78), 이미지 센서(78)에 대향하여 마련된 이송 롤러(77), 압판(79), 이송 롤러(80), 용지 배출 롤러(81) 등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용지 공급대(71)의 하부에는 용지 받이(82)가 있고, 용지 공급대(71)와 용지 받이(82) 사이가 용지 배출 공간으로 되어 있다. 용지 받이(82)의 하부 위치에 압판(70)이 있고, 콘택트 유리(62)위에 세트된 원고를 압판(70)이 누른다. 압판(70)의 아랫면에는 백색 시이트(69)가 첨부되어 있다. 이 ADF(250)는 압판(70)과 함께 콘택트 유리(62, 63)를 경계로 위쪽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시이트형의 원고는 이 ADF(250)를 사용하여 자동 공급시키면 바람직하다. 그리고, ADF(25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복수 페이지의 시이트 원고 묶음은 용지 공급대(71)의 가동판(72)상에 제1페이지를 윗면으로 하여 세트한다. 용지 공급 롤러(74)가 화살표 방향(도면에서 시계바늘 방향)으로 회전하고, 최상부의 시이트 원고가 송출되어 용지 공급 이송부(73)로 보내진다. 원고는 분리 롤러쌍(75)에 의해 확실하게 1매씩 이송된다. 그 원고는 이송용 롤러(76, 77, 80)를 거쳐 용지 배출 롤러(81)로부터 화살표 B방향으로 배출되고, 원고 받이(82)위에 제1페이지가 아랫면으로 되어 적재된다.
배출할 때까지의 동안에 이미지 센서(78)에 의해 제2페이지의 화상이 판독된다. 그 후 제1페이지의 화상은 시이트 압판(79)과 콘택트 유리(63)의 사이를 통과할 때 상술한 광학계로 판독된다. 이 광학계로 제2 콘택트 유리(63)를 통과하는 원고를 판독하는 경우, 상술한 제1, 제2 주행체(65, 66)를 그 판독 위치에 정지시킨다.
즉, ADF(250)에 의해 원고 화상을 판독하는 경우, 시이트 원고의 양면이 한번의 이송으로 어긋나게 배치된 2개소의 판독 장소에서 판독된다. 이하, 시이트형 원고를 이송하면서 판독하는 판독부를 R1, 원고를 고정한 주행체(65, 66)에 의해 판독하는 판독부를 R2라고 한다.
여기서, 도 5에는 ADF(250)내의 이미지 센서(78) 부분에 부호R1를 부여하고, 원고판독부(200)내에 부호 R2를 부여하고 있는데, 원고 판독부(200)는 원고를 고정한(압판(70)을 이용한) 판독을 행한 경우는 판독부(R2)이지만, 주행체를 판독하는 위치에 정지시켜 ADF(250)에 의해 원고를 이송하면서 판독하는 경우에는 판독부(R1)의 일부로 된다. 즉, 판독부(R1)는 ADF(250)내의 이미지 센서(78)를 중심으로 하는 부분과, 주행체 정지 상태의 원고 판독부(200)로 구성된 것이다.
또, 뒷면이 비쳐 보이는 얇은 원고의 경우에는 압판의 색이 판독 수단에서 배경으로서 판독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압판(70)의 원고에 접하는 부분에는 백색 시이트(69)가 붙여져 백색으로 되어 있다. 동일한 이유로, 이송 롤러(77), 시이트 압판(79)도 백색으로 되어 있다.
도 7은 이미지 센서(78)를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원고에 대면하는 유리(83), 원고의 판독 면을 조명하는 광원, 예컨대 LED(발광 다이오드) 어레이(84), 결상 소자인 렌즈 어레이(85), 등배 센서(86)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형식 이외의 이미지 센서, 예컨대 결상 렌즈를 사용하지 않는 밀착 센서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 5에 나타낸 ADF(250)는 두꺼운 책 등의 원고를 판독부(R2)에 세트하는 경우, 압판(70)으로 누르지만, ADF 본체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제1 판독부(R1)도 약간 뜨고, 제2 콘택트 유리(63)와 시이트 압판(79)이 떨어진다. 그 때문에 시이트 압판(79)이 콘택트 유리(63)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을 검지하는 센서(미도시)를 마련하며, 이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제1 판독부(R1)의 사용을 금지하도록 되어 있다.
시이트 원고를 제1 판독부(R1)로 판독 중에, 긴급 판독·화상 형성의 필요가 생긴경우, 예컨대 시이트 원고가 용지 공급대(71) 또는 원고 받이(82)에 존재하고 있어도 끼어들기 작업으로서 콘택트 유리(62)와 압판(70)을 사용하는 제2 판독부(R2)를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끼어들기 명령의 조작은 조작 패널(50)(도 6)의 키에 의해 지시할 수 있다.
도 8은 ADF(250)를 구비하지 않는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ADF(250)를 설치하는 장소에 다른 구성의 원고 압판(70)을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ADF(250)가 없는 이외는 도 5의 실시예와 동일 양태의 구성이고, 도 8의 구성예에서는 판독부(R2)에 의한 한번의 판독 주사로 콘택트 유리(62)상에 놓여진 원고를 이송하면서 제1 판독부(R1) 및 제2 판독부(R2)로 원고의 양면 페이지를 한번에 핀독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실시예에서도 원고를 콘택트 유리(62)상에 놓고 판독하는 경우는 판독부(R2)에 의한 한번의 판독 주사로 원고의 일면 페이지만 판독된다.
그런데, 도 5 및 도 8의 실시예에서는 프린터부(100) 윗면의 배출 용지 적재부(40)에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와, 프린터부(100) 측면의 용지 받이(44)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배출된 용지의 페이지 정리 순서가 상이하다. 그래서 제1 판독부(R1) 또는 제2 판독부(R2)에 의해 원고 화상을 판독하고, 배출 용지 적재부(40) 또는 용지 받이(44)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용지 배출부에 있어서 용지가 페이지 순서로 적재되도록 본 발명에 의해 원고면의 판독 순서의 제어 및 화상 형성·전사 제어를 행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지 배출부에 용지를 페이지 순서로 적재하기 위한 원고면의 판독 순서와 화상 형성 순서에 관하여 다음의 표 1에 나타냈다.
판독형태기록형태 a b c d
판독부: R1원고: 일면판독순서:P1,P2,P3,P4 판독부: R1원고: 양면판독순서:P2,P1,(P4),P3 판독부: R2원고: 일면판독순서:P1,P2,P3,P4 판독부: R2원고: 양면판독순서:P1,P2,P3,(P4)
A 용지 배출부:40일면기록 화상 형성 페이지 순서:P1,P2,P3,P4공정: 2 화상 형성 페이지 순서:P1,P2,P3공정: 2 화상 형성 페이지 순서:P1,P2,P3,P4공정: 2 화상 형성 페이지 순서:P1,P2,P3공정: 2
B 용지 배출부:40양면기록 화상 형성 페이지 순서:P2,P1,P4,P3공정: 1,2,3의반복 화상 형성 페이지 순서:P2,P1,P3공정: 1,2,3 및2 화상 형성 페이지 순서:P2,P1,P4,P3공정: 1,2,3의반복 화상 형성 페이지 순서:P2,P1,P3공정: 1,2,3 및2
C 용지 배출부:44일면기록 화상 형성 페이지 순서:P1,P2,P3,P4공정: 1,3 의 반복 화상 형성 페이지 순서:P1,P2,P3공정: 1,3 의 반복 화상 형성 페이지 순서:P1,P2,P3,P4공정: 1,3 의 반복 화상 형성 페이지 순서:P1,P2,P3공정: 1,3 의 반복
D 용지 배출부:44양면기록 화상 형성 페이지 순서:P1,P2,P3,P4공정: 1,2,3의반복 화상 형성 페이지 순서:P1,P2,P3공정: 1,2,3 및1,3 화상 형성 페이지 순서:P1,P2,P3,P4공정: 1,2,3의반복 화상 형성 페이지 순서:P1,P2,P3공정: 1,2,3 및1,3
주해1 원고 판독 순서의 (P4)는 백지 페이지를 나타낸다.
주해2 공정 1: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10)로의 화상 전사
공정 2: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기록용지로의 화상 전사
공정 3: 중간 전사 벨트(10)로부터 기록용지로의 화상 전사
본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배출 용지 적재부(40)로 용지를 배출하는 이송 경로는 기록지를 반전시켜(화상 전사시의 용지 윗면·아랫면이 반전하여) 용지를 배출하는 구성(반전 용지 배출)으로 되어 있다. 한편, 용지 받이(44)로 용지를 배출하는 이송 경로는 화상 전사시의 용지면 대로 용지를 배출하는 구성(직접적 용지 배출)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기록지를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여 배출하기 위해서는 배출 용지 적재부(40)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와 용지 받이(44)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화상 형성시의 페이지 순서가 상이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특히 기록매체의 양면에 기록하는 경우, 안팎의 화상 데이터를 준비해 두고, 감광체 드럼(1) 및 중간 전사 벨트(10)는 화상 형성 공정 중에는 어느 하나가 정지하는 등 동작은 없고, 연속적으로 이동하는(화상을 전사시키는)방식이다. 그 때문에 화상 형성 공정의 개시 이전에 2페이지 분의 화상 데이터를 준비해 두는 방식이다.
그런데, 표 1에 있어서, 판독부(R1 또는 R2)와 원고 종류(일면 또는 양면)의 조합에 의한 원고의 판독 형태로서는 도 5의 실시예에서 제1 판독부(R1)를 사용한(원고를 이송시키면서) 일면 원고 및 양면 원고의 판독인 a, b의 2 형태와, 도 5의 실시예에서의 제2 판독부(R2) 및 도 8의 실시예에서의 원고 판독부(R2)를 사용한(원고 고정의) 일면 원고 및 양면 원고의 판독인 c, d의 2 형태인 합계 4 형태로 분류되어 있다. 판독 형태 b, d에서는 제4 페이지를 백지 페이지로 하고 있고, 표에서는 (P4)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 1에 있어서, 용지 배출부(배출 용지 적재부(40) 또는 용지 받이(44))와 용지에 대한 일면 기록 또는 양면 기록의 조합에 의한 기록 형태로서는 배출 용지 적재부(40)로의 일면 또는 양면 기록인 A, B인 2 형태와, 용지 받이(44)로의 일면 또는 양면 기록인 C, D의 2 형태인 합계 4 형태로 분류되어 있다. 공정 1은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10)에 대한 화상 전사이다. 공정 2는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기록용지에 대한 화상 전사이다. 공정 3은 중간 전사 벨트(10)로부터 기록용지에 대한 화상 전사이다.
이와 같은 합계 4 형태의 판독 형태와 합계 4 형태의 기록 형태의 조합에 의해 합계 16종류의 판독·기록 형태가 생긴다. 여기서 각각의 판독·기록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ADF(250)에 원고를 세트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페이지를 윗면으로 하여 원고대(71)위에 세트하므로, ADF(250)를 사용한 일면 원고의 화상은 제2 콘택트 유리(63)의 하부 위치에 주행체(65, 66)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CCD(68)에 의해 판독된다. ADF(250)를 사용한 양면 원고의 화상은 홀수 페이지가 주행체(65, 66)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CCD(68)에 의해 판독되고, 짝수 페이지가 이미지 센서(78)로 판독된다. 또한, 압판을 사용한 원고 판독에서는 일면 및 양면 원고 모두 그 원고 화상은 주행체(65, 66)를 주행시키는 판독부(R2)의 CCD(68)에 의해 판독된다. 이 경우의 양면 원고는 수동으로 뒤집는다.
(1) 판독부(R1)에 의해 일면 원고를 판독하여 용지 일면에 인쇄하여 배출 용지 적재부(40)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인 Aa의 형태에서는 ADF(250)에 의해 원고를 이송하면서 페이지 순서로(P1→ P2→ P3→ P4∼) 원고 화상을 판독하여 나간다. 감광체드럼(1)에 대한 화상 형성 순서도 페이지 순서(P1→ P2→ P3→ P4∼)이고, 이 화상을 공정 2로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기록 용지에 전사하고, 순차적으로 배출 용지 적재부(40)로 배출함으로써 화상면을 아래로 하여 겹쳐진 기록지, 즉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출력을 배출 용지 적재부(40)에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의 용지 매수로 나타낸 인쇄 순서는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인쇄물의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또한, 원고 매수로 나타낸 판독 순서는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원고의 작은 매수 순서로 판독이 행해진다.
여기서, 복수매의 원고의 작은 매수 순서로 판독함이란, 인쇄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단순히 최초로 판독하는 것을 제1매라고 하지 않고, 원고의 제1페이지를 제1매, 제2페이지를 제2매, 이후, 제3매(P3) →제4매(P4)∼라고 하는 것이다(일면 원고의 경우).
판독의 구성에 따라서는 원고를 뒤(최종 페이지 측)으로부터 판독하는 것도 있지만, 이 경우는 원고의 최종 페이지가 최초로 판독된다(일면 원고의 경우). 최초로 판독하는 것을 제1매로 하는 경우가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단순히 최초로 판독한 것을 제1매라고 하지 않고, 원고의 제1페이지와 제2페이지가 기록된 것(양면원고의 경우)를 제1매라고 하며, 이하, 제2매(P3, P4), 제3매(P5, P6)라고 하는 것이다. 또한, 일면 기록의 경우에도 원고의 제1페이지를 제1매라고 하고, 이하, 제2매(P2), 제3매(P3)라고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복수매의 원고의 작은 매수 순서로 판독함이란, 양면 원고이면 원고의 제1페이지와 제2페이지를 최초로 판독하고, 다음 제3페이지와 제4페이지를 판독하며,이하 동일 양태로 판독하는 것이다. 또한, 일면 원고이면 원고의 제1페이지를 최초로 판독하고, 다음 제2페이지를 판독하며, 이하 동일 양태로 판독하는 것이다. 또, 원고에 백지 원고가 포함되어 있어도 관계없다.
(2) 판독부(R1)에 의해 양면 원고를 판독하여 용지 일면에 인쇄하고 배출 용지 적재부(40)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인 Ab의 형태에서는 ADF(250)에 의해 원고를 이송하면서 짝수 페이지, 홀수 페이지의 순서로 (P2→ P1→ P4→ P3∼) 원고 화상을 판독하여 나간다. 이것은 판독부(R1)에서 상류측에 이미지 센서(78)가 있고 하류측에 스캐너(200)의 판독부가 위치하기 때문이다. 감광체 드럼(1)에 대한 화상 형성 순서는 페이지 순서로 행해지고(여기서 제4페이지는 백지이기 때문에 이미지 센서(78)에 의해 백지라고 인식함으로써 제4페이지로서 형성되는 화상은 없다), 이 화상을 공정2로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기록 용지에 전사하고, 순차적으로 배출 용지 적재부(40)로 배출함으로써 화상면을 아래로 하여 겹쳐진 기록지, 즉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출력을 배출 용지 적재부(40)에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의 용지 매수로 나타낸 인쇄 순서도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인쇄물의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또한, 원고 매수로 나타낸 판독 순서는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원고의 작은 매수 순서로 판독이 행해진다.
(3) 판독부(R2)에 의해 일면 원고를 판독하여 용지 일면에 인쇄하고 배출 용지 적재부(40)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인 Ac의 형태에서는 이용자가 원고를 콘택트 유리(62)위에 순차적으로 세트하고, 페이지 순서로 원고 화상을 판독하여 나간다. 감광체 드럼(1)에 대한 화상 형성 순서도 페이지 순서이고, 이 화상을 공정 2에서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기록 용지에 전사하고, 순차적으로 배출 용지 적재부(40)로 배출함으로써 화상면을 아래로 하여 겹쳐진 기록지, 즉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출력을 배출 용지 적재부(40)에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의 용지 매수로 나타낸 인쇄 순서도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인쇄물의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또한, 원고 매수로 나타낸 판독 순서는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원고의 작은 매수 순서로 판독이 행해진다.
(4) 판독부(R2)에 의해 양면 원고를 판독하여 용지 일면에 인쇄하고 배출 용지 적재부(40)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인 Ad의 형태에서는 이용자가 원고를 콘택트 유리(62)위에 순차적으로 세트하고(뒤집으면서), 페이지 순서로 원고 화상을 판독하여 나간다. 감광체 드럼(1)에 대한 화상 형성 순서도 페이지 순서이고, 이 화상을 공정2로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기록 용지에 전사하고, 순차적으로 배출 용지 적재부(40)로 배출함으로써 화상면을 아래로 하여 겹쳐진 기록지, 즉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출력을 배출 용지 적재부(40)에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제4페이지는 백지이기 때문에 백지 페이지를 판독시키지 않음으로써 그 페이지에 대한 화상 형성도 행해지지 않는다. 이 경우의 용지 매수로 나타낸 인쇄 순서도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인쇄물의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또한, 원고 매수로 나타낸 판독 순서는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원고의 작은 매수 순서로 판독이 행해진다.
(5) 판독부(R1)에 의해 일면 원고를 판독하여 용지 양면에 인쇄하고 배출 용지 적재부(40)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인 Ba의 형태에서는 ADF(250)에 의해 원고를 이송하면서 페이지의 순서로 원고 화상을 판독하여 나간다. 감광체 드럼(1)에 대한 화상 형성 순서는 짝수 페이지, 홀수 페이지 순서(P2→ P1→ P4→ P3∼)이고, 이 화상을 공정 1, 2, 3에서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벨트(10)로 제2페이지 화상을 전사하고, 제1페이지 화상을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기록용지에 전사함과 동시에, 벨트(10)로부터 제2페이지 화상을 기록용지(의 반대면)에 전사함으로써 제1매의 프린트를 얻는다. 이하, 이 공정 1, 2, 3을 반복함으로써 제2매 이후의 프린트를 얻는다. 기록용지를 순차적으로 배출 용지 적재부(40)로 배출함으로써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양면 인쇄물을 배출 용지 적재부(40)에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의 용지 매수로 나타낸 인쇄 순서도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인쇄물의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또한, 원고 매수로 나타낸 판독 순서는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원고의 작은 매수 순서로 판독이 행해진다.
(6) 판독부(R1)에 의해 양면 원고를 판독하여 용지 양면에 인쇄하고 배출 용지 적재부(40)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인 Bb의 형태에서는 ADF(250)에 의해 원고를 이송하면서 짝수 페이지, 홀수 페이지 순서(P2→ P1→ P4→ P3∼)로 원고 화상을 판독하여 나간다. 감광체 드럼(1)에 대한 화상 형성 순서도 짝수 페이지, 홀수 페이지 순서(P2→ P1→ P4→ P3∼)이고, 이 화상을 공정 1, 2, 3에서 제1매의 프린트를 얻는다. 여기서 제4페이지는 백지 원고이므로 이미지 센서(78)에 의해 백지라고 인식함으로써 제4페이지의 화상 형성은 행하지 않고 제3페이지(P3)화상을 공정 2로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기록 용지에 전사한다. 이 때문에, 표 1에서는 공정 1, 2, 3 및 2로 하고 있다. 이 경우의 용지 매수로 나타낸 인쇄 순서도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인쇄물의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또한, 원고 매수로 나타낸 판독 순서는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원고의 작은 매수 순서로 판독이 행해진다.
(7) 판독부(R2)에 의해 일면 원고를 판독하여 용지 양면에 인쇄하고 배출 용지 적재부(40)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인 Bc의 형태에서는 이용자가 원고를 콘택트 유리(62)위에 순차적으로 세트하고 페이지의 순서로 원고 화상을 판독하여 나간다. 감광체 드럼(1)에 대한 화상 형성 순서는 짝수 페이지, 홀수 페이지 순서(P2→ P1→ P4→ P3∼)이고, 이 화상을 공정 1, 2, 3에서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벨트(10)로 제2페이지 화상을 전사하고, 제1페이지 화상을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기록용지에 전사함과 동시에, 벨트(10)로부터 제2페이지 화상을 기록용지(의 반대면)에 전사함으로써 제1매의 프린트를 얻는다. 이하, 이 공정 1, 2, 3을 반복함으로써 제2매 이후의 프린트를 얻는다. 이것을 순차적으로 배출 용지 적재부(40)로 배출함으로써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양면 인쇄물을 배출 용지 적재부(40)에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의 용지 매수로 나타낸 인쇄 순서도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인쇄물의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또한, 원고 매수로 나타낸 판독 순서는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원고의 작은 매수 순서로 판독이 행해진다.
(8) 판독부(R2)에 의해 양면 원고를 판독하여 용지 양면에 인쇄하고 배출 용지 적재부(40)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인 Bd의 형태에서는 이용자가 원고를 콘택트 유리(62)위에 순차적으로 세트하고(뒤집으면서), 페이지 순서로 원고 화상을 판독하여 나간다. 제4페이지는 백지이므로 판독할 필요가 없고, 제3페이지를 세트하면 조작 패널(50)(도 3)의 스타트 단추를 누름으로써 화상 형성이 개시된다. 감광체 드럼(1)에 대한 화상 형성 순서도 짝수 페이지, 홀수 페이지 순서(P2→ P1→ P4→ P3∼)이고, 이 화상을 공정 1, 2, 3로 제1매의 프린트를 얻고, 공정 2로 제2매의 프린트를 얻는다. 최종 페이지가 백지인 경우는 이와 같이 최종 페이지 바로 앞 페이지를 세트하여 스타트 단추를 누름으로써 정확인 양면 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기록 용지를 순차적으로 배출 용지 적재부(40)로 배출함으로써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양면 인쇄물을 배출 용지 적재부(40)에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의 용지 매수로 나타낸 인쇄 순서도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인쇄물의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또한, 원고 매수로 나타낸 판독 순서는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원고의 작은 매수 순서로 판독이 행해진다.
(9) 판독부(R1)에 의해 일면 원고를 판독하여 용지 일면에 인쇄하여 용지 받이(44)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인 Ca의 형태에서는 ADF(250)에 의해 원고를 이송하면서 페이지 순서로 원고 화상을 판독하여 나간다. 감광체 드럼(1)에 대한 화상 형성 순서도 페이지 순서이고, 이 화상을 공정 1, 3을 반복함으로써 기록용지의 아랫면에만 화상을 전사하여 용지 받이(44)로 배출함으로써 화상면을 아래로 하여 겹쳐진 기록지, 즉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출력을 배출 용지 적재부(40)에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의 용지 매수로 나타낸 인쇄 순서는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인쇄물의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또한, 원고 매수로 나타낸 판독 순서는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원고의 작은 매수 순서로 판독이 행해진다.
(10) 판독부(R1)에 의해 양면 원고를 판독하여 용지 일면에 인쇄하고 용지 받이(44)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인 Cb의 형태에서는 ADF(250)에 의해 원고를 이송하면서 짝수 페이지, 홀수 페이지의 순서로 (P2→ P1→ P4→ P3∼) 원고 화상을 판독하여 나간다. 감광체 드럼(1)에 대한 화상 형성 순서는 페이지 순서로 행해지고(여기서 제4페이지는 백지이기 때문에 이미지 센서(78)에 의해 백지라고 인식함으로써 제4페이지로서 형성되는 화상은 없다), 이 화상을 공정1, 3을 반복함으로써 기록용지의 아랫면에만 화상을 전사하여 용지 받이(44))로 배출함으로써 화상면을 아래로 하여 겹쳐진 기록지, 즉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출력을 용지 받이(44)에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의 용지 매수로 나타낸 인쇄 순서도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인쇄물의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또한, 원고 매수로 나타낸 판독 순서는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원고의 작은 매수 순서로 판독이 행해진다.
(11) 판독부(R2)에 의해 일면 원고를 판독하여 용지 일면에 인쇄하고 용지 받이(44)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인 Cc의 형태에서는 이용자가 원고를 콘택트 유리(62)위에 순차적으로 세트하고, 페이지 순서로 원고 화상을 판독하여 나간다. 감광체 드럼(1)에 대한 화상 형성 순서도 페이지 순서이고, 이 화상을 공정 1, 3을 반복함으로써 기록용지의 아랫면에만 화상을 전사하여 용지 받이(44)로 배출함으로써 화상면을 아래로 하여 겹쳐진 기록지, 즉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출력을 용지 받이(44)에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의 용지 매수로 나타낸 인쇄 순서도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인쇄물의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또한, 원고 매수로 나타낸 판독 순서는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원고의 작은 매수 순서로 판독이 행해진다.
(12) 판독부(R2)에 의해 양면 원고를 판독하여 용지 일면에 인쇄하고 용지 받이(44)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인 Cd의 형태에서는 이용자가 원고를 콘택트 유리(62)위에 순차적으로 세트하고(뒤집으면서), 페이지 순서로 원고 화상을 판독하여 나간다. 감광체 드럼(1)에 대한 화상 형성 순서도 페이지 순서이고, 이 화상을 공정1, 3을 반복함으로써 기록용지의 아랫면에만 화상을 전사하여 용지 받이(44)로 배출함으로써 화상면을 아래로 하여 겹쳐진 기록지, 즉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출력을 용지 받이(44)에 얻을 수 있다. 또, 제4페이지는 백지이기 때문에 백지 페이지를 판독시키지 않음으로써 그 페이지에 대한 화상 형성도 행해지지 않는다. 이 경우의 용지 매수로 나타낸 인쇄 순서도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인쇄물의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또한, 원고 매수로 나타낸 판독 순서는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원고의 작은 매수 순서로 판독이 행해진다.
(13) 판독부(R1)에 의해 일면 원고를 판독하여 용지 양면에 인쇄하고 용지 받이(44)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인 Da의 형태에서는 ADF(250)에 의해 원고를 이송하면서 페이지의 순서로 원고 화상을 판독하여 나간다. 감광체 드럼(1)에 대한 화상 형성 순서는 짝수 페이지, 홀수 페이지 순서(P2→ P1→ P4→ P3∼)이고, 이 화상을 공정 1, 2, 3을 반복함으로써 용지 아랫면에 홀수 페이지를, 윗면에 짝수 페이지를 전사하여 용지 받이(44)로 배출함으로써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출력을 용지 받이(44)에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의 용지 매수로 나타낸 인쇄 순서도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인쇄물의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또한, 원고 매수로 나타낸 판독 순서는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원고의 작은 매수 순서로 판독이 행해진다.
(14) 판독부(R1)에 의해 양면 원고를 판독하여 용지 양면에 인쇄하고 용지 받이(44)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인 Db의 형태에서는 ADF(250)에 의해 원고를 이송하면서 짝수 페이지, 홀수 페이지 순서(P2→ P1→ P4→ P3∼)로 원고 화상을 판독하여 나간다. 감광체 드럼(1)에 대한 화상 형성 순서는 페이지 순서이다. 여기서, 제4페이지는 백지 원고이므로 이미지 센서(78)에 의해 백지라고 인식함으로써 제4페이지의 화상 형성은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공정 1, 2,3으로 용지 아랫면에 제1 페이지를, 용지 윗면에 제2페이지를 전사한 제1매의 프린트를 얻고, 공정 1, 3으로 용지 아랫면에 제3페이지를 전사한 제2매의 프린트를 얻는다. 이것을 용지 받이(44)로 배출함으로써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출력을 용지 받이(44)에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의 용지 매수로 나타낸 인쇄 순서도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인쇄물의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또한, 원고 매수로 나타낸 판독 순서는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원고의 작은 매수 순서로 판독이 행해진다.
(15) 판독부(R2)에 의해 일면 원고를 판독하여 용지 양면에 인쇄하고 용지 받이(44)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인 Dc의 형태에서는 이용자가 원고를 콘택트유리(62)위에 순차적으로 세트하고 페이지의 순서로 원고 화상을 판독하여 나간다. 감광체 드럼(1)에 대한 화상 형성 순서도 페이지 순서이고, 이 화상을 공정 1, 2,3을 반복함으로써 용지 아랫면에 홀수 페이지를, 용지 윗면에 짝수 페이지를 전사하여 용지 받이(44)로 배출함으로써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출력을 용지 받이(44)에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의 용지 매수로 나타낸 인쇄 순서도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인쇄물의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또한, 원고 매수로 나타낸 판독 순서는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원고의 작은 매수 순서로 판독이 행해진다.
(16) 판독부(R2)에 의해 양면 원고를 판독하여 용지 양면에 인쇄하고 용지 받이(44)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인 Dd의 형태에서는 이용자가 원고를 콘택트 유리(62)위에 순차적으로 세트하고(뒤집으면서), 페이지 순서로 원고 화상을 판독하여 나간다. 제4페이지는 백지이므로 판독할 필요가 없고, 제3페이지를 세트하면 조작 패널(50)(도 3)의 스타트 단추를 누름으로써 화상 형성이 개시된다. 감광체 드럼(1)에 대한 화상 형성 순서도 페이지 순서이고, 이 화상을 공정 1, 2,3으로 용지 아랫면에 제1 페이지를, 용지 윗면에 제2페이지를 전사한 제1매의 프린트를 얻고, 공정 1, 3으로 용지 아랫면에 제3페이지를 전사한 제2매의 프린트를 얻는다. 이것을 용지 받이(44)로 배출함으로써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출력을 용지 받이(44)에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의 용지 매수로 나타낸 인쇄 순서도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인쇄물의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또한, 원고 매수로 나타낸 판독 순서는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원고의작은 매수 순서로 판독이 행해진다.
여기서는 4페이지까지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5페이지 이상의 경우에도 표 1의 각 형태의 조합으로 설명한 바와 같은 판독·화상 형성 제어에 의해 어느 판독부로 원고를 판독하고 어느 용지 배출부로 기록지를 배출하는 경우라도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상태의 일면 인쇄 및 양면 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독부 및 용지 배출부의 장소에 관계없이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일면 인쇄 또는 양면 인쇄를 얻을 때, 용지 매수로 나타낸 인쇄 순서가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인쇄물의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또한, 원고 매수로 나타낸 판독 순서는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원고의 작은 매수 순서로 판독이 행해진다.
그 때문에,양면 인쇄시는 물론 일면 인쇄시에 있어서도 출력된 인쇄물의 내용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용지 걸림 후의 인쇄 처리, 특히 이용자에 의한 재인쇄 설정이 용이하게 된다.
나아가, 작은 매수 순서로 원고를 판독하여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을 행함으로써 원고 판독 동작 후 바로 화상 형성 동작에 들어 갈 수 있어 화상 형성 동작을 신속히 행할 수 있다. 가령, 원고를 뒤(최종 페이지)로부터 판독하여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을 행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전부의 원고를 판독한 후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하지 않으면 안되어 화상 형성에 시간이 걸린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은 매수 순서로 원고를 판독하여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을 행하기 때문에 원고 판독 동작 후 바로 화상 형성 동작에 들어 갈 수 있고, 판독한 원고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용량이 적어도 된다. 짝수 페이지로부터 프린트하는 (P2→ P1→ P4→ P3∼)경우에도 최저로 2페이지 분의 화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면 화상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가령 원고를 뒤(최종 페이지)로부터 판독하여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을 행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전부 의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을 만큼의 메모리 용량이 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부(100) 동작은 상기 판독부(R1) 또는 판독부(R2)에 의해 얻은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노광 장치(7)가 구동되는 이외는 도 2의 프린터의 경우와 동일 양태이므로,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를 포함하여 상기 각 실시형태에 공통하지만 중간 전사 벨트(10)의 루프 내측의 정착 롤러(18)와 외측의 정착 롤러(19)를 별개로 온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록 형태(일면 인쇄 또는 양면 인쇄)나 사용하는 기록지의 종류(두꺼운 용지 또는 얇은 용지 등) 에 따라 최적한 조건으로 정착할 수 있다. 예컨대, 양면 인쇄에서는 일면 인쇄에 비하여 정착에 요하는 에너지가 많기 때문에 각 정착 롤러로의 입력 전압을 높이거나 입력 빈도를 빈번하게 하는 등 제어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일면 인쇄의 경우에는 토너 화상이 전사되지 않는 측의 정착 롤러 온도를 저하시키거나 절단하는 등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10)에 전사된 토너 화상이 정착 장치의 열에 의해 용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10)로 토너 화상을 전사하는 공정시에는 정착 장치(정착 롤러(18, 19))로의 가열을 정지하거나 또는 약해지도록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10)에 담지된 토너 화상의 열화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착 장치(30)는 중간 전사 벨트(10)에 접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10)로 토너 화상을 전사시에는 정착 장치(30)를 벨트(10)로부터 이탈시켜 둠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10)에 담지된 토너 화상이 정착 롤러(19)에 의해 기계적으로 흩뜨러지거나 열에 의한 용융을 방지할 수 있고, 중간 전사 벨트(10)에 담지된 토너 화상의 열화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10)에 정착 롤러(18, 19)가 압접되는 구성이므로, 필연적으로 벨트(10)가 뜨꺼워져 벨트 위에 담지된 화상의 열화가 우려된다. 그래서 냉각 수단(16)을 마련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10)상의 토너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5의 실시예에 추가 용지 배출 장치와 추가 용지 공급 장치를 장착한 시스템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공급 카세트(26)의 하부에 2단의 추가 용지 공급 장치(PT1, PT2)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용지 공급 트레이(35)측의 장치 측면에 제1 추가 용지 배출 장치(EXT1), 용지 받이(44)측의 장치 측면에 제2 추가 용지 배출 장치(EXT2)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제1 추가 용지 배출 장치(EXT1) 및 제2 추가 용지 배출 장치(EXT2)는 복수개의 빈을 구비하고 있고, 각 빈에 기록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제1 추가 용지 배출 장치(EXT1) 및 제2 추가 용지 배출 장치(EXT2)는 1세트의 기록물을 페이지 순서로 분류하는 이른바 소터이어도 좋고, 1세트의 기록물을 동일 페이지마다 적재하는 이른바 병합기이어도 좋다. 나아가, 분류 또는 적재한 기록지의 묶음을 철하기 위한 스태플을 장착할 수도 있다.
용지 배출 적재부(40) 상부의 용지 배출 공간부에는 용지 배출 롤러(34)로부터의 용지를 제1 추가 용지 배출 장치(EXT1)로 인도하기 위한 추가 용지 이송로(Q1)가 마련되어 있다. 추가 용지 이송로(Q1)의 용지 배출 롤러(34) 측단부에는 전환톱(41)이 배치되고, 기록지를 용지 배출 적재부(40) 또는 제1 추가 용지 배출 장치(EXT1)로 전환시킨다. 또, 추가 용지 이송로(Q1)는 용지 배출 적재부(40)의 상단부에(상면에 따라)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용지 배출 적재부(40)는 그대로 용지 배출 공간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추가 용지 이송로(Q1)가 용지 배출 적재부(40)로의 용지 배출 및 용지 배출 적재부(40)로부터의 용지 취출에 방애되지 않는다.
또한, 용지 받이(44)로의 용지 배출 롤러쌍(32)에 연접하여 용지를 제2 추가 용지 배출 장치(EXT2)로 인도하기 위한 추가 용지 이송로(Q2)가 마련되어 있다. 추가 용지 이송로(Q2)의 용지 배출 롤러(32) 측단부에는 전환톱이 배치되고, 기록지를 용지 받이(44)로 배출시키거나 제2 추가 용지 배출 장치(EXT2)로 전환시킨다.
제1 추가 용지 배출 장치(EXT1)로 기록지를 배출하는 경우, 배출 용지 적재부(4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반전 용지 배출로 되므로, 배출 용지 적재부(40)의 경우와 동일한 양태의 원고 판독 및 화상 형성·전사 제어에 의해 기록지의 페이지 순서로 정리할 수 있다.
또한, 제2 추가 용지 배출 장치(EXT2)로 기록지를 배출하는 경우, 용지 받이(4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직접적 배출로 되므로, 용지 받이(44)의 경우와 동일 양태의 원고 판독 및 화상 형성·전사 제어에 의해 기록지의 페이지 정리를 행할 수 있다.
또, 추가 용지 배출 장치와 추가 용지 공급 장치를 화상 판독부를 구비하지 않는 도 2의 프린터에 장착하여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 도 10에 ADF를 원고 순환형으로, 화상 형성부의 정착 장치를 중간 전사 벨트의 외부에 배치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프린터부(100B)의 정착 장치(30B)는 중간 전사 벨트(10)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토너 화상이 전사된 기록 용지는 중간 전사 벨트(10)로부터 이탈된 후에 정착 장치(30B)에 의해 미정착 화상의 정착이 행해진다. 정착 장치(30B)는 중간 전사 벨트(10)의 외부라고 하지만 그들은 아주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중간 전사 벨트(10)가 내열성을 갖고 있음으로써 가능하다. 중간 전사 벨트(10)에 아주 근접하게 정착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10)로부터 정착 장치(30B)로 이송되는 용지가 드리워져 미정착의 토너 화상이 흩뜨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박차와 같은 이송 보조 수단이 불필요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10)의 클리닝 장치(25)는 블레이드(25b)가 벨트(10)에 직접 접촉하여 클리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들 이외의 프린터부(100B)의 구성은 도 5 및 도 8의 실시예와 동일 양태이다.
또한,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원고 판독부(200B)의 콘택트 유리(62b)는 하나만으로 되어 있다. 원고 판독부(200B)내부의 주행체, 미러, 렌즈, CCD 등의 구성은 도 5 및 도 8의 경우와 동일 양태이다.
그리고, ADF(250B)는 원고를 순환시킴으로써 원고 양면의 화상을 판독하는 방식이다. ADF(250B)는 원고 세트부의 용지 공급대(71)에 가동판(72)이 마련되어 있다.또한, 용지 공급 이송부(73)에는 용지 공급 롤러(74), 분리 롤러쌍(75), 이송 롤러쌍(76) 등이 마련되어 있다. ADF(250B)의 하부 위치에는 엔드리스 이송 벨트(9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이송 벨트(90)는 구동 롤러(91)와 종동 롤러(92)(반대라도 된다)에 씌워져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벨트 루프내에는 복수개의 벨트 뒷면 맞대임 롤러(93)가 마련되어 적당히 벨트(90)를 아래로 누르고 있다. 이 이송 벨트(90)는 ADF(250B)를 닫았을 때 콘택트 유리(62b)에 적절하게 눌러진다.
이송 벨트(90)의 우측에는 복귀 롤러(94)가 마련되어 있다. 이 복귀 롤러(94)에는 종동 롤러(95)가 압접되어 있다. 복귀 롤러(94)의 좌측 상부에는 용지 배출 롤러쌍(101)이 마련되고, 복귀 롤러(94)와 용지 배출 롤러쌍(101) 사이에 전환톱(96)이 배치되어 있다. 전환톱(96)은 지지축(97)을 중심으로 요동할 수 있고, 도시하지 않은 솔레노이드 등의 액츄에이터에 의해 도시한 양 화살표 방향과 같이 전환된다. 복귀 롤러(94)와 이송 벨트(90)의 사이에는 안내 부재(98)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ADF(250B)는 시이트형 원고를 콘택트 유리(62b)상에 이송하여 정지시키고, 원고 판독부(200B)내부의 조명 장치 및 주행체로 주사하여 CCD에 의해 판독하는 것이다. 원고의 일면이 판독된 후 원고가 반전되어 다른 면이 콘택트 유리(62b)상에서 재치 판독된다. 또, 콘택트 유리(62b)를 경계로 하여 ADF(250B)를 개방할 수 있고, ADF(250B)를 압판으로 하고, 콘택트 유리(62b)상에 수동으로 원고를 세트하여 원고 화상을 판독할 수도 있다.
시이트 원고(S)는 제1페이지를 위로 하여 용지 공급대(71)의 가동판(72)상에 놓여지고, 그 선단부가 도시하지 않는 가압 수단에 의해 용지 공급 롤러(74)에 눌러진다. 용지 공급 롤러(74)가 도면에서 시계 바늘 방향으로 회전하고, 최상위의 원고가 분리 롤러쌍(75)의 닙부에 보내지고, 원고가 확실하게 1매만 보내지도록 분리된다. 나아가, 원고는 안내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이송로를 따라 이송 롤러쌍(76)으로 이송되고, 이송 벨트(90)와 콘택트 유리(62b)의 사이로 보내진다. 또, 이송부(73)의 커버는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용지 걸림 처리 등을 위하여 원고 이송로를 열수 있다.
이송 벨트(90)는 화살표 C1 또는 C2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화살표 C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원고를 콘택트 유리(62b)상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이송한다.
이송 벨트(90)는 소정 타이밍으로 정지되고, 원고를 소정의 판독 위치에 정지시킨다. 조명 장치인 광원(64), 제1 및 제2 주행체(65, 66)(도 5 참조)에 의해 원고의 제1페이지가 주사되고, 원고의 정보가 CCD(68)에 의해 판독된다. 그 후, 이송 벨트(90)가 화살표 C1방향으로 회전하여 원고는 ADF 우측 단부의 반전부로 보내진다.
원고 반전부에서는 도면에서 역시계바늘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귀 롤러(94)와 이것에 종동하는 롤러(95)에 원고가 끼워져 위쪽 화살표 방향으로 전환된 전환톱(96)에 의해 원고는 복귀 롤러(94)를 따라 회전하여 원고가 반전된다. 원고 선단이 안내 부재(98)에 안내되어 이송 벨트(90)의 아래로 들어간다. 이 때, 이송 벨트(90)는 화살표 C2방향으로 회전하여 소정 위치에 원고를 이송한 후 정지한다. 그리고, 원고의 뒷면(제2페이지)이 표면(제1페이지)과 마찬가지로 주사되어 판독된다. 이 판독이 종료하면, 이송 벨트(90)가 C1방향으로 회전되어 재차 원고를 반전부로 인도한다. 이번에는 전환톱(96)이 아래쪽 화살표 방향으로 전환되어 도면의 위치로 되고, 원고는 용지 배출 롤러쌍(101)에 의해 화살표 B방향으로 원고 받이(99)로 배출된다. 이 때, 원고의 제1페이지는 아래쪽으로 되어 연속 배출되는 복수 페이지의 현행 페이지 순서가 유지된다.
원고 반전부의 이송 안내(102)는 이송 저항을 적게 하기 위하여 리브형으로 형성되고, 이 이송 안내(102)는 원고 반전부를 덮는 커버(103)로 형성되어 개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원고의 걸림 처리시에는 이 커버(103)를 개방함으로써 이송로를 개방할 수 있다. 이 ADF(250B)의 용지 공급대(71)로의 원고 세트 작업, 및 판독 후의 용지 받이(99)로부터의 원고 취출 작업, 나아가 기록 완료의 용지를 배출 용지 적재부(40)로부터 취출하는 작업은 화상 형성 장치의 앞면 측으로부터 즉, 도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도 10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5의 실시예에 비하여ADF(250)가 원고 순환형인 것, 및 화상 형성부의 정착 장치(30B)가 중간 전사 벨트(10)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의 차이는 있지만, 도 5의 실시예와 동일 양태의 판독 제어 및 화상 형성·전사 제어에 의해 일면 또는 양면 원고에 대한 기록물을 배출 용지 적재부(40) 또는 용지 받이(44)에 얻는 경우에도 항상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상태로 배출시킬 수 있다. 즉, 원고 형태·기록 형태에 관계없이 페이지가 정리된 적정한 기록지를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0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 5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독부 및 용지 배출부의 장소에 관계없이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일면 인쇄 또는 양면 인쇄물을 얻을 때, 용지 매수로 나타낸 인쇄 순서가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원고의 작은 매수 순서로 판독이 행해진다.
그 때문에, 양면 인쇄시는 물론 일면 인쇄시에 있어서도 출력된 인쇄물의 내용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용지 걸림 후의 인쇄 처리, 특히 이용자에 의한 재인쇄의 설정이 용이하게 된다.
나아가, 작은 매수 순서로 원고를 판독하여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원고 판독 동작 후 바로 화상 형성 동작에 들어갈 수 있고, 화상 형성 동작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판독한 원고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용량이 적어도 된다.
다음, 화상 판독 수단을 마련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낸 본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컬러 프린터(100B)와 그 상부의 원고 판독부(200)로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 원고 판독부(200)는 그 상부에 시이트 원고(S)를 자동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ADF(250)를 장착하고 있다. 이 화상 형성 장치는 원고의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송신(팩시밀리 기능으로)하거나 컴퓨터의 출력 장치(프린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는 디지털 복합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컬러 프린터(100B)의 구성은 도 4에 의해 설명한 것과 동일 양태이고, 원고 판독부(200) 및 ADF(250)의 구성도 도 5에 의해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동작도 기본적으로는 도 5에 의해 설명한 단색형의 장치와 마찬가지이지만, 단색형의 장치에서는 감광체 드럼(1) 및 중간 전사 벨트(10)가 화상 형성 공정 중에 정지되지 않는 것에 대해, 컬러 프린터(100B)에 있어서는 양면 인쇄의 경우에 앞서 형성한 제1면 화상을 중간 전사 벨트(10)에 전사한 후, 중간 전사 벨트(10)가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이탈되어 정지하여 대기하는 것, 그리고 그 동안에 감광체 드럼(1)상에 제2면 화상이 형성되는 점에서 상이하고 있다.
또한, 컬러 스캐너로서 구성된 상기 판독부(R1) 및 판독부(R2)는 원고의 컬러 화상 정보를 적, 녹, 청(이하, 각각 R, G, B로 한다)의 색 분해광마다 판독하고, 전기적 화상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각 판독부의 컬러 이미지 센서는 본 예에서는 R, G, B의 색분해 수단과 광전 변환 소자로 구성되고, 원고 화상을 색분해한 3색의 컬러 화상을 동시에 판독한다. 그리고, 이 컬러 스캐너로 얻은 R, G, B의 색분해 화상 신호 강도 레벨에 근거하여 도시하지 않은 화상 처리부에서 색변환 처리를 행하고, 흑(이하, Bk라고 한다), 시안(이하, C라고 한다), 마젠타(이하, M라고 한다), 옐로우(이하, Y라고 한다)의 컬러 화상 데이터를 얻는다.
상기 BK, C, M, Y의 컬러 화상 데이터를 얻기 위한 컬러 스캐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컬러 프린터(100B)의 동작과 타이밍을 맞춘 스캐너 개시 신호를 받고 상기 판독부(R1) 및 판독부(R2)로 원고를 주사하여 4색의 컬러 화상 데이터를 얻는다. 그리고, 각색 컬러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컬러 프린터(100B)에서 순차적으로 가시상을 작성하고, 이것을 중첩시켜 최종적인 4색 풀 컬러 화상을 형성한다. 본 예에서는 원고를 이송하면서 원고 양면의 풀 컬러 화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므로, 1회의 주사로 4색의 컬러 화상 데이터를 얻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판독부 및 용지 배출부의 장소에 관계없이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일면 인쇄 또는 양면 인쇄를 얻을 때, 용지 매수로 나타낸 인쇄 순서가 제1매→제2매→제3매···로 되어 복수매 인쇄물의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그 때문에, 양면 인쇄시는 물론 일면 인쇄시에 있어서도 출력된 인쇄물의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용지 걸림 후의 인쇄 처리, 특히 이용자에 의한 재인쇄의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작은 매수 순서로 원고를 판독하여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원고 판독 동작 후 바로 화상 형성 동작에 들어갈 수 있어 화상 형성 동작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판독한 원고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용량이 적어도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와 같은 컬러 복사 장치의 경우, 사진 화상과 같은 풀 컬러 원고를 판독한 화상 데이터는 원고 매수가 많으면 상당히 큰 데이터량으로 되지만, 이것을 전부 저장할 필요없이 원고 판독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화상 형성 동작에 들어갈 수 있으므로, 다수 매의 원고의 방대한 컬러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대용량의 메모리를 탑재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형태에 의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형을 행할 수 있다.
예컨대, 양면 기록시에 제1면 화상을 전사한 중간 전사 벨트(10)를 1회전시키지 않고 벨트를 역회전시켜서 제1면 화상을 소정 위치로 이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화상 담지체(감광체 드럼(1))와 제2 화상 담지체(중간 전사 벨트(10))가 이탈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1 화상 담지체를 감광체 드럼으로 하였지만, 벨트식의 화상 담지체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화상 담지체에 대한 대전 수단, 현상 장치, 나아가서는 제1 및 제2 전사 수단, 또는 정착 장치의 구성 등도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하지 않고 적당한 방식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조작 패널의 구성, 조작 패널 상의 각종 설정 수단의 구성도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는 프린터에 한하지 않고, 복사기나 팩시밀리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화상 담지체(감광체)가 하나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화상 담지체의 개수를 늘여서 기록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화상 형성 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 회전식 현상에 한하지 않고, 탠덤형의 현상 장치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는 복수개의 화상 담지체를 마련하는 구성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로 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예컨대 제2 화상 담지체인 중간 전사 벨트의 가장자리에 따라 복수개의 화상 담지체(제1 화상담지체)를 배치하여 행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기록매체 배출시의 페이지 정리 순서가 상이한 복수개의 용지 배출부를 마련하고, 기록매체가 배출되는 용지 배출부에 따라 화상 형성 및 전사 제어를 행하여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기록매체를 배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복수매의 기록을 행하는 경우에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지므로, 페이지 정리 순서가 상이한 용지 배출부의 어느 것으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에도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여 적정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에 의한 인쇄물의 내용 확인 및 용지 걸림이 발생한 경우의 대처가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해, 일면 인쇄 또는 양면 인쇄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페이지 정리 순서가 상이한 용지 배출부에 대하여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여 적정하게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구성에 의해 기록매체가 배출되는 용지 배출부를 선택하는 용지 배출부 선택 수단을 구비하므로, 이용자가 선택한 용지 배출부에 대하여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여 적정하게 배출하는 것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청구항 4의 구성에 의해 기록매체의 종류를 설정하는 용지 종류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이 용지 종류 설정 수단의 설정에 따라 복수개의 용지 배출부 중의 용지 배출부가 선택되므로, 이용자가 선택하는 용지 종류에 따라 적절한 용지 배출부로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여 적정하게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구성에 의해 복수개 용지 공급부의 어느 것으로부터 공급한 용지라도,페이지 정리가 상이한 용지 배출부의 어느 하나로 배출하는 경우에도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여 적정하게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구성에 의해 기록매체를 공급하는 용지 공급부를 선택하는 용지 공급부 선택 수단을 구비하므로, 이용자가 선택한 어느 한 용지 공급부로부터 공급한 용지라도, 페이지 정리 순서가 상이한 용지 배출부의 어느 하나로 배출하는 경우에도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여 적정하게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구성에 의해 기록매체의 종류를 설정하는 용지 종류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이 용지 종류 설정 수단의 설정에 따라 복수개의 용지 공급부 중의 용지 공급부가 선택되므로, 이용자가 설정한 용지 종류에 따른 적절한 용지 공급부로부터 공급한 용지를 페이지 정리 순서가 상이한 용지 배출부 중의 어느 하나로 배출하는 경우에도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여 적정하게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구성에 의해 용지 공급부로부터 용지 배출부까지의 용지 이송 경로가 거의 직선형으로 되도록 용지 공급부 및 용지 배출부를 구비하므로, 단단한 용지라도 이송성을 손상주지 않고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여 적정하게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구성에 의해, 기록매체의 종류를 설정하는 용지 종류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이 용지 종류 설정 수단에 의해 특수 용지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용지 공급부로부터 용지 배출부까지의 용지 이송 경로가 거의 직선형으로 되도록 용지 공급부 및 용지 배출부가 설정되므로, 이용자가 용지 종류 설정 수단으로부터 특수 용지를 설정하기만 하면, 직선형의 용지 공급 및 용지 배출이 행해져 복잡한 설정을 하지 않고 특수 용지를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여 적정하게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10의 구성에 의해 용지 공급부로부터 용지 배출부까지의 용지 이송 경로가 거의 직선형으로 되는 용지 공급부가 수동 트레이므로, 구성이 간단한 수동 트레이에 의해 단단한 용지라도 이송성을 손상주지 않고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여 적정하게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11의 구성에 의해, 수동 트레이의 사용을 검지하는 트레이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이 트레이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수동 트레이의 사용이 검지된 경우, 화상 형성부로부터 용지 배출부까지의 용지 이송 경로가 거의 적선형으로 되는 용지 공급부 및 용지 배출부가 설정되므로, 수동 트레이로부터 용지를 공급하기만 하면 용지 이송 경로가 거의 직선형으로 되는 용지 공급부 및 용지 배출부가 설정되어 이용자가 어떠한 복잡한 설정을 하지 않고 수동 트레이를 사용하여 단단한 용지라도 이송성을 손상주지 않고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여 적정하게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12의 구성에 의해 이른바 화상면이 아래로 배출되는 용지 배출부에 대한 용지 배출이라도 페이지를 정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13의 구성에 의해 전환 수단의 전환에 따라 화상 형성 및 전사 제어를 행하므로 전환 수단에 의해 전환된 용지 배출부에 대하여 확실하게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전사 제어의 변경을 용이한 제어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14의 구성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 패널로부터 인쇄 설정, 용지 배출부 선택, 용지 종류 설정 및 용지 공급부 선택을 행할 수 있어 뛰어난 조작성으로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여 적정하게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15의 구성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가 접속된 호스트 장치로부터 인쇄 설정, 용지 배출부 선택, 용지 종류 설정 및 용지 공급부 선택을 행할 수 있어 원격 조작에 의해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여 적정하게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16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페이지 정리 순서가 상이한 용지 배출부 중의 어느 하나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에도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여 적정하게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17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한 원고 화상을 기록매체에 기록할 때, 기록매체가 배출되는 용지 배출부에 따라 화상 형성부에서의 화상 형성·전사 제어를 행하고, 각 용지 배출부의 어느 것으로도 페이지 순서로 기록매체를 배출할 수 있으므로, 원고 화상을 기록한 기록 용지를 어느 용지 배출부로도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여 배출할 수 있고, 이송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다양한 기록·용지 배출 형태로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여 적정하게 기록지를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18의 구성에 의해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공정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전사 공정이 실행 가능하게 되어 기록매체 양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고 그 기록매체를 어느 용지 배출부로도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19의 구성에 의해 복수매의 용지 배출부에 페이지 정리 순서가 상이한 용지 배출부가 함유되는 경우에도 페이지 순서를 정리하여 적정하게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20의 구성에 의해 일면 인쇄물을 어느 용지 배출부로도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21의 구성에 의해 양면 인쇄물을 어느 용지 배출부로도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22의 구성에 의해 화상 판독 수단이 원고 양면의 정보를 판독할 수 있으므로, 어느 용지 배출부에 대해서도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23의 구성에 의해 원고 양면의 정보를 판독하여 기록매체의 일면에 기록하고 어느 용지 배출부에 대해서도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24의 구성에 의해 원고 양면의 정보를 판독하여 기록매체의 일면에 기록하고 어느 용지 배출부에 대해서도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25의 구성에 의해 화상 판독 수단은 원고를 이송하면서 한번의 이송 공정으로 원고 양면을 판독할 수 있으므로, 화상 판독 시간을 단축하여 장치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6의 구성에 의해 화상 판독 수단은 원고를 이송하면서 원고 화상을 판독하는 제1 판독부와, 원고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원고 화상을 판독하는 제2 판독부를 구비하므로, 원고를 이송하면서 판독하는 효율 높은 화상 판독과, 이송에 적합하지 않는 원고를 확실하게 판독하는 화상 판독 쌍방에 대응할 수 있다.
청구항 27의 구성에 의해 제2 판독부는 콘택트 유리의 아래쪽에서 주행 가능하게 마련된 주행체를 구비하고, 이 주행체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제2판독부를 제1 판독부의 일부로서 사용하므로, 판독부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적게 하여 비용 및 공간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28의 구성에 의해 제1 판독부의 원고 공급대 상에 원고가 놓여진 상태에서제2 판독부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1 판독부에 원고를 세트한 상태로 다른 원고 화상을 판독할 수 있어 긴급한 경우의 끼어들기 인쇄에 대응할 수 있다.
청구항 29의 구성에 의해 화상 판독 수단이 원고 반전부를 구비하여 원고 양면을 판독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원고 양면을 판독할 수 있다.
청구항 30의 구성에 의해 원고 페이지가 백지 페이지인 경우에는 그 백지 페이지에 대한 화상 형성 공정을 생략하므로 화상 형성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31의 구성에 의해 용지 배출부 중의 어느 하나가 화상 판독 수단과 화상 형성부 사이의 장치 본체 내부에 마련되므로, 장치의 설치 공간을 소형화할 수 있다.
청구항 32의 구성에 의해 화상 판독 수단의 원고 배출부가 장치 본체의 투영 면적 범위내에 있으므로 원고 배출부가 장치 본체로부터 돌출되지 않아 장치의 설치 공간을 소형화할 수 있다.
청구항 33의 구성에 의해 용지 공급부로부터 용지 배출부까지의 기록매체 이송 경로가 거의 직선형으로 되는 용지 공급부 및 용지 배출부를 구비하므로, 다양한 기록매체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강성이 높은 용지의 경우에도 이송성을 손상주지 않는다.
청구항 34의 구성에 의해 두꺼운 용지, 봉투 등 특수한 용지를 수동 용지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할 수 있어 이송성을 손상주지 않고 화상을 기록할 수 있다.
청구항 35의 구성에 의해 기록 형태 지정 수단과 용지 배출부 지정 수단을 구비하는 조작부를 화상 판독 수단의 근처에 마련하므로, 원고를 취급하는 부위와 조작하는 부위가 가까워져 조작성이 뛰어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36의 구성에 의해 화상 판독 수단을 마련한 장치에 있어서도 복수매의 기록을 행하는 경우에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을 행함으로써 이용자에 의한 인쇄물의 내용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용지 걸림이 발생한 경우의 대처가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37의 구성에 의해 복수매의 원고를 복사하는 경우에 복수매 원고의 작은 매수 순서로 원고를 판독하고,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지므로, 원고 판독 동작 후 바로 화상 형성 동작에 들어갈 수 있어 화상 형성 동작을 신속히 행할 수 있다. 또한, 판독한 원고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용량이 작아도 되고 특히,원고가 풀 컬러 원고인 경우에 방대한 컬러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대용량의 메모리를 탑재할 필요가 없다. 나아가, 이용자에 의한 인쇄물의 내용 확인 및 용지 걸림이 발생한 경우의 대처가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38의 구성에 의해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중간 전사체를 이용함으로써 대전·노광·현상 등의 프로세스 수단 하나로 양면 인쇄할 수 있다.
청구항 39의 구성에 의해 벨트형 중간 전사체 상에 기록매체를 유지한 상태로 기록매체 양면의 화상을 정착할 수 있으므로, 용지 상의 미정착 화상을 흩뜨리지 않고 정착하여 양면 인쇄시의 화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40의 구성에 의해 벨트형 중간 전사체가 내열성을 구비하므로, 벨트형 중간 전사체의 바로 근처에 정착 장치를 배치한 경우에도 벨트형 중간 전사체가 변형하거나 용융되지 않는다. 또는 중간 전사체 상에 기록매체를 유지한 상태로 정착하여도 벨트형 중간 전사체가 변형하거나 용융되지 않는다.
청구항 41의 구성에 의해 일면 또는 양면 기록의 지정 및 복수개의 용지 배출부 중의 어느 것으로 기록매체를 배출하는 가의 지정을 호스트 장치로부터 설정할 수 있으므로, 장치 사용상의 다용한 설정을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떨어져 있는 장소에서 효율 높게 행하여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인쇄물을 간단하게 얻을 수 있다.
청구항 42의 구성에 의해 외부 용지 배출 장치를 사용한 다수매의 기록물을 페이지 순서로 정리한 적정한 반전 배출로 얻을 수 있다.
청구항 43의 구성에 의해 기록매체를 외부 용지 배출 장치로 인도하는 추가 기록매체 이송로가 용지 배출부의 상단부를 따라 마련되므로, 용지 배출부의 기록 완료 용지의 배출·적재 및 용지 배출부로부터의 용지 취출을 방애하지 않는다.
청구항 44의 구성에 의해 기록매체를 배출하는 곳을 용지 배출부 또는 외부 용지 배출 장치로 선택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청구항 45의 구성에 의해 외부 용지 배출 장치를 사용한 다수매의 기록물을 페이지 순서로 정리한 적정한 비반전 배출로 얻을 수 있다.
청구항 46의 화상 형성 방법에 의해 페이지 정리 순서가 상이한 용지 배출부 중의 어느 것으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에도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여 적정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양면 인쇄시에도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여 적정하게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47의 화상 형성 방법에 의해 원고 화상을 기록한 기록 용지를 복수개의 용지 배출부 중의 어느 용지 배출부로도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여 배출할 수 있고, 이송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다양한 기록·용지 배출 형태로 페이지 순서로 정리하여 적정하게 기록지를 배출할 수 있다.

Claims (47)

  1. 제1 화상 담지체와 제2 화상 담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화상 담지체로부터 제2 화상 담지체로 일단 전사된 가시상을 제2 화상 담지체로부터 기록 매체의 일면에 전사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화상 담지체로부터 가시상을 기록매체의 다른 면에 전사함으로써 기록지의 양면에 가시상을 전사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기록매체 배출시의 페이지 정리 순서가 상이한 복수개의 용지 배출부를 마련하고,
    기록매체가 배출되는 용지 배출부에 따라 화상 형성 및 전사 제어를 행하여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기록매체의 배출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복수매의 기록을 행하는 경우에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일면 인쇄 또는 양면 인쇄를 설정하는 인쇄 설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기록매체가 배출되는 용지 배출부를 선택하는 용지 배출부 선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기록매체의 종류를 설정하는 용지 종류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이 용지 종류 설정 수단의 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개 용지 배출부 중의 어느 용지 배출부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용지 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기록매체를 공급하는 용지 공급부를 선택하는 용지 공급부 선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기록매체의 용지 종류를 설정하는 용지 종류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이 용지 종류 설정 수단의 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개 용지 공급부 중의 어느 용지 공급부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용지 공급부로부터 용지 배출부까지의 용지 이송 경로가 거의 직선형으로 되도록용지 공급부 및 용지 배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기록매체의 종류를 설정하는 용지 종류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이 용지 종류 설정 수단에 의해 특수 용지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용지 공급부로부터 용지 배출부까지의 용지 이송 경로가 거의 직선형으로 되도록 용지 공급부 및 용지 배출부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공급부로부터 용지 배출부까지의 용지 이송 경로를 거의 직선형으로 되 는 용지 공급부가 수동 트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트레이의 사용을 검지하는 트레이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이 트레이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수동 트레이의 사용이 검지된 경우, 화상 형성부로부터 용지 배출부까지의 용지 이송 경로가 거의 직선형으로 되는 용지 공급부 및 용지 배출부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용지 배출부 중의 하나의 용지 배출부는 상기 제1화상 담지체로부터직접 기록매체에 전사된 화상면을 아래로 하여 기록매체를 배출하는 배출부이고, 양면 인쇄시에 이 용지 배출부로 배출되는 기록매체가 페이지 순서로 정리되도록 홀수 페이지의 화상을 상기 제1 화상 담지체로부터 직접 기록매체에 전사하고, 짝수 페이지의 화상을 상기 제2 화상 담지체를 통하여 기록매체에 전사하도록 화상 형성 및 전사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록매체가 배출되는 용지 배출부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이 전환 수단의 전환에 따라 화상 형성 및 전사 제어가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2항, 제3항, 제4항, 제6항, 제7항,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설정 수단, 용지 배출부 선택 수단, 용지 종류 설정 수단 및 용지 공급부 선택 수단이 이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 패널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2항, 제3항, 제4항, 제6항, 제7항,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설정 수단, 용지 배출부 선택 수단, 용지 종류 설정 수단 및 용지 배출 선택 수단과 동등의 설정·선택을 이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된 호스트 장치로부터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담지체가 감광성을 구비하고,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해 형성한 토너 화상을 담지하는 화상 담지체이고,
    상기 제2 화상 담지체가 상기 제1 화상 담지체로부터 전사되는 토너 화상을 담지하는 화상 담지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화상 판독 수단을 마련하고,
    화상 형성부에 복수개의 화상 담지체를 구비하고, 각 화상 담지체로부터 기록매체의 각 면에 가시상을 전사함으로써 기록매체의 양면에 가시상을 전사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기록매체를 배출하는 복수개의 용지 배출부를 마련하고,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한 원고 화상을 기록매체에 기록할 때, 기록매체가 배출되는 용지 배출부에 따라 상기 화상 형성부에서의 화상 형성·전사 제어를 행하고, 용지 배출부 중의 어느 것으로도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기록매체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가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한 것이고,
    상기 복수개의 화상 담지체로서 토너 화상을 담지하는 감광성을 구비하는 제1 화상담지체 및 이 제1 화상 담지체로부터 전사되는 토너 화상을 담지하는 제2 화상 담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화상 담지체로부터 제2 화상 담지체로 일단 전사된 가시상을 제2 화상 담지체로부터 기록매체의 일면에 전사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화상 담지체로부터 가시상을 기록매체의 다른 면에 전사함으로써 기록매체의 양면에 가시상을 전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용지 배출부에 페이지 정리 순서가 상이한 용지 배출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순서로 배출되는 기록매체가 일면 인쇄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순서로 배출되는 기록매체가 양면 인쇄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이 원고 양면의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원고 양면의 정보를 판독하여 기록매체의 일면에 기록한 후 페이지 순서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원고 양면의 정보를 판독하여 기록매체의 양면에 기록한 후 페이지 순서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은 원고를 이송하면서 한번의 이송 공정으로 원고 양면을 판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은 원고를 이송하면서 원고 화상을 판독하는 제1 판독부와, 원고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원고 화상을 판독하는 제2 판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독부는 콘택트 유리의 아래쪽에서 주행 가능하게 마련된 주행체를 구비하고, 이 주행체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제2 판독부를 상기 제1 판독부의 일부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독부의 원고 공급대 위에 원고가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제2 판독부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은 원고 반전부를 구비하여 원고 양면을 판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0. 제17항 내지 제2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독한 원고 페이지가 백지 페이지인 것을 검지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고, 원고 페이지가 백지 페이지인 경우에는 이 백지 페이지에 대한 화상 형성 공정을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1. 제17항 내지 제2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지 배출부 중의 하나가 상기 화상 판독 수단과 화상 형성부 사이의 장치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2. 제17항 내지 제2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의 원고 배출부가 장치 본체의 투영 면적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3. 제17항에 있어서,
    용지 공급부로부터 용지 배출부까지의 기록매체 이송 경로가 거의 직선형으로 되는 용지 공급부 및 용지 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공급부가 수동 용지 공급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원고 정보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경우에 기록매체의 일면에 기록하는가, 양면에 기록하는 가를 지정하는 기록 형태 지정 수단과, 상기 복수개 용지 배출부 중의 어느 것으로 기록매체를 배출하는 가를 지정하는 용지 배출부 지정 수단을 구비하는 조작부를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의 근처에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6. 제17항에 있어서,
    복수매의 기록을 행하는 경우에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복수매의 원고를 판독하여 복사하는 경우, 복수매의 원고의 작은 매수 순서로 원고를 판독하고, 작은 매수 순서로 화상 형성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8. 제1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담지체가 감광체이고, 상기 제2 화상 담지체는 표면 저항이 105∼1012Ω의 범위에 있는 벨트형 중간 전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형 중간 전사체 상에 기록매체를 유지한 채로 기록매체 양면의 화상을 정착할 수 있는 정착 장치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형 중간 전사체가 내열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접속되는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화상 형성할 수 있고, 이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화상을 형성할 때, 기록매체 일면에 기록하는가, 양면에 기록하는 가의 지정 및 복수개 용지 배출부 중의 어느 것으로 기록매체를 배출하는 가의 지정을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2. 제1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기록매체 면 방향을 화상 전사 시로부터 반전시켜 배출하는 용지 배출부를 구비하고, 이 용지 배출부로의 기록매체 이송로에 접속되는 외부 용지 배출 장치를 마련하고, 이 외부 용지 배출 장치로 페이지 순서로 기록매체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배출부로의 기록매체 이송로에 접속되어 기록매체를 상기 외부 용지 배출 장치로 인도하는 추가 기록매체 이송로가 상기 용지 배출부의 상단부를 따라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배출부로의 기록매체 이송로와 상기 추가 기록매체 이송로의 접속부에 기록매체 이송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톱을 마련하고, 기록매체를 배출하는 곳을 상기 용지 배출부 또는 상기 외부 용지 배출 장치로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5. 제1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기록매체 면 방향을 화상 전사 시 상태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고, 이 용지 배출부로의 기록매체 이송로에 접속되는 외부 용지 배출 장치를 마련하며, 이 외부 용지 배출 장치로 페이지 순서로 기록매체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6. 제1 화상 담지체로부터 제2 화상 담지체로 일단 전사한 가시상을 제2 화상 담지체로부터 기록매체의 일면에 전사함과 동시에, 제1 화상 담지체로부터 가시상을 기록매체의 다른 면에 전사함으로써 기록매체의 양면에 가시상을 전사할 수 있고,
    기록매체 배출 시의 페이지 정리 순서가 상이한 복수개의 용지 배출부에 대해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기록매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기록매체가 배출되는 용지 배출부에 따라 화상 형성 및 전사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47. 복수개의 화상 담지체 각각으로부터 기록매체의 각 면에 가시상을 전사함으로써 기록매체의 양면에 가시상을 전사할 수 있고,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한 원고 화상을 기록매체에 기록할 때, 복수개의 용지 배출부 중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페이지 순서로 정리된 기록매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기록매체가 배출되는 용지 배출부에 따라 화상 형성부에서 화상 형성·전사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KR10-2001-0045812A 2000-07-31 2001-07-30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KR100421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31576 2000-07-31
JP2000231575 2000-07-31
JP2000231576 2000-07-31
JPJP-P-2000-00231575 2000-07-31
JPJP-P-2001-00185475 2001-06-19
JP2001185475A JP2002116679A (ja) 2000-07-31 2001-06-19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097A true KR20020011097A (ko) 2002-02-07
KR100421126B1 KR100421126B1 (ko) 2004-03-04

Family

ID=27344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812A KR100421126B1 (ko) 2000-07-31 2001-07-30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7061637B2 (ko)
JP (1) JP2002116679A (ko)
KR (1) KR1004211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555B1 (ko) * 2007-02-12 2009-08-1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다기능 주변 장치 및 그 인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6679A (ja) 2000-07-31 2002-04-1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4035339B2 (ja) * 2002-02-06 2008-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原稿読取装置
KR100449092B1 (ko) * 2002-05-28 200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 중간계류/반전부를 갖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JP2004140474A (ja) * 2002-10-15 2004-05-13 Canon Inc 画像読取装置
JP2005020101A (ja) * 2003-06-23 2005-01-20 Canon Inc 記録装置及びその記録制御方法
JP4532993B2 (ja) * 2003-12-15 2010-08-25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印刷方法、ホスト装置、プリンタ
JP2005247476A (ja) * 2004-03-03 2005-09-1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6003649A (ja) * 2004-06-17 2006-01-05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2006084716A (ja) * 2004-09-15 2006-03-3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6251246A (ja) * 2005-03-09 2006-09-2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075906B2 (ja) * 2005-05-10 2008-04-16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815890B2 (ja) * 2005-06-20 2011-11-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7010936A (ja) * 2005-06-30 2007-01-18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4760601B2 (ja) * 2005-12-16 2011-08-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7216478A (ja) * 2006-02-15 2007-08-30 Canon Inc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4933160B2 (ja) * 2006-06-06 2012-05-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クリア画像形成装置、及び制御装置
JP4977567B2 (ja) * 2007-09-27 2012-07-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956350B2 (ja) * 2007-09-28 2012-06-2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502032B2 (ja) * 2008-03-19 2010-07-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自動原稿搬送機構及び画像読取装置
US8126362B2 (en) * 2008-09-17 2012-02-28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media thickness with a transfer subsystem in a printer
KR101285177B1 (ko) * 2008-10-16 2013-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고공급장치와 이를 가지는 화상독취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US20100129772A1 (en) * 2008-11-21 2010-05-27 David Sklarski Captive thread dental implant apparatus
JP5138653B2 (ja) * 2009-09-30 2013-02-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5821186B2 (ja) * 2010-07-07 2015-11-2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情報入力システム、画像情報入力装置、画像情報入力方法、画像情報入力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4116650A (ja) * 2012-12-06 2014-06-26 Canon Inc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250391B1 (en) 2015-01-30 2020-02-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 method for print media ejection, a print media ejection system, and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9491328B2 (en) * 2015-02-28 2016-11-08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output plex format using automatic page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181B1 (ko) * 1970-12-26 1975-04-10
US3724944A (en) * 1971-10-01 1973-04-03 Ricoh Kk Light intercepting screen winding and paying-out device for copying machines
US3884576A (en) * 1972-02-05 1975-05-20 Ricoh Kk Exposure unit for a copying machine having a variable magnification
JPS5240863B2 (ko) * 1972-12-28 1977-10-14
JPS5837530B2 (ja) * 1975-05-10 1983-08-17 株式会社リコー フクシヤキ
JPS5220837A (en) * 1975-08-09 1977-02-17 Ricoh Co Ltd Variable multiplication type electrophotographic copying machine
DE3403456C2 (de) * 1983-02-01 1985-08-01 Ricoh Co., Ltd., Tokio/Tokyo Halte- und Verriegelungssystem für eine Blattzuführkassette
US4703334A (en) * 1983-08-26 1987-10-27 Ricoh Company, Ltd. Optical recording head and belt positioning apparatus
JPS6156370A (ja) * 1984-08-28 1986-03-2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4753543A (en) * 1985-06-24 1988-06-28 Ricoh Company, Ltd. Electrostatic printing apparatus with heated adjustable pressure toner fixing rolls
US4757344A (en) * 1985-07-16 1988-07-12 Ricoh Company, Ltd. Imaging apparatus with detachable cartridges
JPS6286369U (ko) * 1985-11-19 1987-06-02
JPS6364068A (ja) * 1986-09-05 1988-03-22 Ricoh Co Ltd 静電記録装置
JPH01209470A (ja) 1988-02-17 1989-08-23 Minolta Camera Co Ltd 電子写真式画像形成装置
JPH01308357A (ja) * 1988-06-01 1989-12-13 Minolta Camera Co Ltd 作像装置
JP3015381B2 (ja) * 1988-10-29 2000-03-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システム
US4987446A (en) * 1988-12-15 1991-01-22 Ricoh Company, Ltd. Process unit cartridge for an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US4875344A (en) * 1989-01-17 1989-10-24 Lyco Manufacturing, Inc. Chiller
JPH02198471A (ja) * 1989-01-28 1990-08-06 Sharp Corp 複写機
JP2906538B2 (ja) 1990-03-02 1999-06-21 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257064A (en) * 1990-04-17 1993-10-26 Sharp Kabushiki Kaisha Copying machine provided with a recirculating document feeder apparatus
JP3075764B2 (ja) * 1990-06-20 2000-08-14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装置
JPH0561291A (ja) * 1991-09-03 1993-03-12 Ricoh Co Ltd 両面記録方法及び両面記録装置
JPH0611919A (ja) 1992-06-25 1994-01-21 Ricoh Co Ltd 複写システム装置におけるsadfモードコピー方法
JP3137465B2 (ja) * 1992-07-31 2001-02-1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H06250464A (ja) * 1993-02-22 1994-09-09 Fuji Xerox Co Ltd 用紙反転整合装置
EP0629928B1 (en) * 1993-05-31 2007-08-01 Ricoh Company, Ltd Roller charg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H07128958A (ja) * 1993-09-10 1995-05-19 Ricoh Co Ltd 帯電ローラ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3223013B2 (ja) * 1993-11-18 2001-10-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H07248693A (ja) * 1994-01-19 1995-09-2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7248669A (ja) * 1994-01-23 1995-09-26 Ricoh Co Ltd 電荷付与部材及び画像形成装置
JP3337304B2 (ja) * 1994-02-23 2002-10-21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
JP3236169B2 (ja) * 1994-08-01 2001-12-10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
US5848323A (en) * 1995-02-06 1998-12-08 Hitachi Koki Co., Ltd. Apparatus for printing images on both sides of an image printing medium by one process
JPH0912210A (ja) 1995-06-30 1997-01-14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934183A (ja) * 1995-07-17 1997-02-0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980979A (ja) * 1995-09-13 1997-03-28 Sharp Corp 原稿循環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09127750A (ja) * 1995-10-26 1997-05-1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5760919A (en) * 1995-12-01 1998-06-02 Xerox Corporation Duplex documents scanner with alternating scan lines from dual imaging stations
DE19650283C2 (de) * 1995-12-05 2001-09-20 Ricoh Kk Heizwalzenfixiervorrichtung
JPH09328234A (ja) 1996-06-11 1997-12-22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US5875372A (en) * 1996-07-26 1999-02-23 Konic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JP3099871B2 (ja) * 1996-07-31 2000-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10142869A (ja) 1996-09-12 1998-05-29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4111353B2 (ja) 1996-12-10 2008-07-02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両面画像形成装置
JPH10194574A (ja) * 1997-01-07 1998-07-28 Minolta Co Ltd 画像形成システム
JP3450623B2 (ja) * 1997-01-21 2003-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10239918A (ja) * 1997-02-24 1998-09-11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3445724B2 (ja) * 1997-05-28 2003-09-08 シャープ株式会社 複写方法
US5991563A (en) * 1997-08-06 1999-11-23 Konic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KR19990032083U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프린터의 배지장치
KR100324101B1 (ko) * 1998-02-14 2002-02-20 이토가 미찌야 화상형성장치
JPH11231579A (ja) * 1998-02-16 1999-08-27 Konica Corp 両面画像形成装置
JPH11258864A (ja) 1998-03-11 1999-09-24 Konica Corp 両面原稿読取り装置及び両面画像形成装置
JP2000019799A (ja) 1998-06-26 2000-01-21 Konica Corp 両面画像形成装置
JP2000038234A (ja) 1998-07-23 2000-02-08 Sharp Corp 原稿搬送装置
JP2000056612A (ja) * 1998-08-11 2000-02-25 Fuji Xerox Co Ltd 両面画像形成装置の定着装置
US6559967B1 (en) * 1998-10-29 2003-05-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torage apparatus
KR20000032741A (ko) * 1998-11-17 2000-06-15 윤종용 양면 인쇄된 용지를 배지하는 장치 및 방법
US6205301B1 (en) * 1998-12-22 2001-03-20 Konica Corporation Two-sided image forming apparatus
US6341860B1 (en) * 1999-03-02 2002-01-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uplex document printer mechanism
JP3973810B2 (ja) * 1999-10-29 2007-09-12 株式会社リコー 転写装置・画像形成装置
US6350072B1 (en) * 2000-02-24 2002-02-26 Xerox Corporation Printer with plural mode integral module for document handling print output and print duplex inversion
US6304742B1 (en) * 2000-02-24 2001-10-16 Xerox Corporation Printer with superposed trays for print output and document handling
US6397023B1 (en) * 2000-06-06 2002-05-28 Hewlett-Packard Company Techniques for achieving correct order in printer output
JP2002116679A (ja) 2000-07-31 2002-04-1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555B1 (ko) * 2007-02-12 2009-08-1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다기능 주변 장치 및 그 인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116679A (ja) 2002-04-19
US7061637B2 (en) 2006-06-13
KR100421126B1 (ko) 2004-03-04
US20060227390A1 (en) 2006-10-12
US20020060804A1 (en) 200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1126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CN100403187C (zh) 图像形成方法及其装置
EP1193567B1 (en) Apparatuses for color image formation, tandem color image formation and image formation
KR20020080271A (ko) 화상 형성 장치
JP2003122227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03192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6018311A (ja)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27929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098765A (ja) 画像形成装置
JP392775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3050528A (ja) 画像形成装置
JP2012123123A (ja) 自動原稿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0495236C (zh) 图像形成方法及其装置
JP4139790B2 (ja) 画像形成装置
JP4300474B2 (ja) 手差しトレイ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202639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7261735A (ja) 記録体積載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451224B2 (ja) 両面記録可能な画像形成装置
JPH11109691A (ja) 複写装置
JP2002278410A (ja) 画像形成装置
JP2014056037A (ja) 自動原稿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2062744A (ja) 画像形成装置
JPH0519158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151618A (ja) 画像形成装置
JPH05191589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