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965A - 프린터 - Google Patents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965A
KR19990036965A KR1019980042150A KR19980042150A KR19990036965A KR 19990036965 A KR19990036965 A KR 19990036965A KR 1019980042150 A KR1019980042150 A KR 1019980042150A KR 19980042150 A KR19980042150 A KR 19980042150A KR 19990036965 A KR19990036965 A KR 19990036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r
printer housing
label
separator
plat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2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5452B1 (ko
Inventor
토루 타카미
토시히로 츠카다
Original Assignee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스카와 히데아키
Publication of KR19990036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965A/ko
Priority to KR1020060000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4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04Handle constructions telescopic; extensible; sectio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보통용지와 기록매체에 모두 인쇄할 수 있는 프린터에 보통용지를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프린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라벨지의 판지를 접촉부재위에 압착하고 라벨을 판지로 부터 분리하는 분리기가 제1프린터하우징에 부착된 제2프린터하우징에 설치된다. 분리기는 제2프린터하우징의 정면측 단부에 부착된 암을 구비하여 암은 회전할 수 있고, 판지와 라벨을 분리하기 위하여 회전할 수 있는 압착롤러는 암의 단부에 부착된다. 분리기는, 압착롤러가 운반통로로 부터 벗어난 대기위치와 서멀헤드와 플래튼롤러가 대향하게 배치되는 상태에서 압착롤러가 플래튼롤러위에 압착되는 압착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구성된다. 분리기는 보통용지가 장착되는 경우에 대기위치에 배치되고, 압착롤러는 라벨지가 장착되는 경우에 압착위치로 이동한다.

Description

프린터
본 발명은 감열기록방식을 이용하는 프린터, 특히 베이스시트 위의 라벨용 라벨시트(이하 "라벨지"라 한다)와 일반적인 기록용지(이하 "보통용지"라 한다)에 모두 인쇄할 수 있는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제품가격, 공급목적지 및 기타 정보를 나타내는 바코드가 인쇄된 라벨을 제품에 붙이는 작업이 상점이나 물품판매소 등에서 이루어지고, 최근에는 이와 같은 라벨을 발행하는 휴대용 소형 프린터가 제시되고 있다.
도 7은 라벨을 발행하는 종래의 타입의 프린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라벨(102)이 판지(101)에 붙어있는 롤라벨지(103)(roll label paper)가 프린터(100)내에 적재된다. 서멀헤드(106)(thermal head)는 제1프린터하우징(104)에 대해 열리거나 닫힐 수 있는 제2프린터하우징(15)에 부착된다. 프린터는 제2프린터하우징(105)를 닫음으로써 라벨지(103)가 플래튼롤러(107)(platen roller)위에 압착되고 라벨(102)에 소정의 인쇄가 실행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107)위로 접촉부재(108)가 장착되어 있고, 제2프린터하우징(105)의 단부에 장착된 압착롤러(109)를 압착함으로써 라벨지(103)의 판지(101)는 플래튼롤러(107)위에서 구부러진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인쇄후에 라벨지(103)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라벨(102)의 견고성 때문에 판지(101)와 라벨(102)은 분리되고, 라벨(102)은 제2프린터하우징(105)에 설치된 배출구(110)로 부터 배출된다. 한편, 라벨지(103)의 판지(101)는 제1프린터하우징(104)의 정면에 형성된 배출구로 부터 배출된다.
프린터(100)는 상기 라벨지 대신에 롤 보통용지에도 또한 인쇄할 수 있고, 이 경우 인쇄된 보통용지는 제2프린터하우징(105)의 배출구(110)로 부터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타입의 프린터(10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가진다.
즉, 상기 라벨을 분리하는 기계장치를 갖춘 프린터는 보통용지가 장착되는 경우에 보통용지의 단부가 제2프린터하우징(105)의 배출구(110)를 통과해야되고 작업이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보통용지 뿐만 아니라 기록매체에도 인쇄할 수 있는 프린터에 보통용지를 용이하게 장착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양상에서는 베이스시트와 그위에 분리할 수 있게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라벨시트를 포함하는 기록매체를 인쇄할 수 있는 프린터가 제공되며, 이 프린터는 기록매체를 인쇄하기 위하여 상호 대향하는 프린트헤드와 플래튼과; 상기 프린트헤드와 플래튼을 수용하는 프린터하우징과; 상기 프린트헤드와 플래튼에 의해 인쇄된 후에 기록매체가 방출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린터하우징위에 설치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로 부터 배출된 베이스시트를 휘고 라벨시트의 선단을 베이스시트로 부터 분리하는 분리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프린터헤드와 플래튼에 의해 인쇄된 인쇄매체가 배출구로 부터 배출된 후에 분리기가 베이스시트를 휘게하는 방식으로 운반통로가 설치된다. 그리하여, 분리기를 반드시 사용할 필요는 없는 보통용지는 배출구로 부터 직접 수납된다. 따라서 보통용지가 분리기로 부터 벗어나도록 장착되는 경우에는 작동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이 경우, 배출구위와 배출구의 플래튼측에 배치된 접촉부재와, 베이스시트를 상기 접촉부재 아래로 유도하여 상기 접촉부재에 의해 휘어지도록 하는 유도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서는 유도부재는, 유도부재가 접촉부재와 합동하여 기록매체를 휘게하고 라벨시트의 선단을 분리하는 분리위치에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록매체가 장착되면, 분리기는 상호 대향하게 배치된 프린트헤드와 플래튼과 함께 운반통로로 부터 벗어난 대기위치에 배치되고, 유도부재가 운반되고 배치된다. 그 후, 분리기가 압착위치내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기록매체의 베이스시트로서 작용하는 라벨시트는 접촉부재에 의해 밀려올려지고 휘어진다. 그러므로, 기록매체가 상기 상태로 운반되면, 라벨시트의 단부와 베이스시트는 라벨시트의 견고성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분리된다.
한편으로는, 베이스시트를 운반하기 위한 롤러를 갖춘 유도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유도부재의 효과는 향상되고 베이스시트는 접촉부재에 의해 휘어진 방식으로서 운반된다.
더욱이 이 상태에서는, 라벨시트를 탐지하는 탐지기에 의해 한정된 구조물과, 유도부재를 구동하는 구동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동기는 탐지기에 의한 라벨시트의 탐지에 따라 유도부재를 분리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서, 기록매체는 자동적으로 그리고 부드럽게 작동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서, 베이스시트와 그위에 분리할 수 있게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라벨시트를 포함하는 기록매체를 인쇄할 수 있는 프린터가 제공되며, 이 프린터는 기록매체를 인쇄하기 위하여 상호 대향하는 프린트헤드와 플래튼과; 플래튼을 수용하는 제1프린터하우징과; 프린트헤드를 수용하기 위하여 제1프린터하우징에 움직일 수 있게 연접된 제2프린터하우징과; 프린트헤드와 플래튼에 의해 인쇄된 후에 기록매체가 배출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프린터하우징의 경계에 한정되는 배출구와; 배출구로 부터 배출된 베이스시트를 휘게하고 라벨시트의 선단을 베이스시트로 부터 분리하는 분리기를 구비한다.
이 경우, 배출구위와 상기 배출구의 플래튼측에 배치된 접촉부재와, 베이스시트를 상기 접촉부재 아래에 유도하여 상기 접촉부재에 의해 휘어지도록 하는 유도부재로 구성되는 분리기 구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부재는 제1프린터하우징에 배치되고, 유도부재는 제2프린터하우징에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된다.
한편, 상기 플래튼은 하나의 프린터하우징에 설치되고, 반면에 상기 프린터헤드와 프린터헤드의 작동을 제어하는 헤드제어부는 다른 프린터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 결과, 프린터헤드와 헤드제어부는 동일한 프린터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움직일 수 있는 부재들을 통과하지 않고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프린터헤드의 배선공정이 편리하게 될 수 있다.
또한, 프린터헤드와 헤드제어부가 밀접하게 배치되면, 헤드의 배선이 감소될 수 있고, 프린터헤드에 미치는 전기적 소음의 영향도 감소될 수 있으며, 헤드의 배선에 소요되는 비용도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프린터헤드와 헤드제어부가 제1프린터하우징 내부에 뻗은 배선과 접속될 수 있으므로, 움직일 수 있는 부재를 통과하지 않고 헤드의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고, 구부림으로 인해 헤드의 배선이 단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프린터헤드가 제1프린터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구동부에는 먼지나 기타 오물이 거의 침입할 수 없고, 또한 프린터헤드가 좀처럼 파손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프린터헤드가 하나의 프린터하우징에 설치되고, 반면에 플래튼과 구동력을 플래튼에 가하는 구동기계는 다른 프린터하우징에 설치되며, 플래튼을 구동함으로써 기록용지가 이송되도록 프린터가 구성되는 것이 또한 효과적이다.
이 경우, 플래튼과 이것을 구동하는 구동기계가 제1프린터하우징에 설치되므로 구동력이 플래튼에 가해질 수있고, 플래튼과 구동기계를 항상 동일한 위치관계에 유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플래튼은 항상 안정되게 구동될 수 있고 기록용지는 정확히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2프린터하우징의 개폐여부는 구동기계의 구동을 전달하는 부재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기록용지는 장기간 동안 정확히 이송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프린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이 실시예의 프린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보통용지가 장착된 케이스를 보여준다.
도 2(b)는 이 실시예의 프린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라벨지가 장착된 케이스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프린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프린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프린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라벨지가 장착되는 케이스의 제2프린터하우징이 열려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5(b)는 이 실시예의 프린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라벨지가 장착되는 케이스의 제2프린터하우징이 닫혀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프린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라벨지가 장착되는 케이스의 제2프린터하우징이 닫혀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7은 라벨을 발행하는 종래의 타입의 프린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프린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는 이 실시예의 프린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보통용지가 장착된 케이스를 보여주며, 도 2(b)는 이 실시예의 프린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라벨지가 장착된 케이스를 보여준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프린터(1)에서, 본체(4)는 제1프린터하우징(2)과 제2프린터하우징(3)으로 구성된다. 제2프린터하우징(3)은 스핀들(5)(spindle)에 끼워져 제1프린터하우징(2)에 부착되므로 제2프린터하우징은 회전할 수 있다. 롤지가 회전할 수 있도록 롤 기록용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a)는 제2프린터하우징(3)의 내측에 설치된다. 이 실시예의 프린터는 기록용지로서 보통용지(6)와 라벨지(7)에 모두 인쇄할 수 있다.
도 2(a), (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멀헤드(프린터헤드)(8)는 제1프린터하우징(2)의 정면측에 설치되고, 납선(배선)(25)을 거쳐 회로기판(31)에 연접된다. 회로기판(31)은 서멀헤드(8)의 작동을 제어하는 헤드제어부로서의 기능을 하며, 이 실시예에서 회로기판(31)은 제1프린터하우징(2)의 정면측 근처에 배치된다.
한편, 예를들어 고무로 만들어진 플래튼롤러(9)(플래튼)는 제2프린터하우징(3)의 정면측의 단부에 부착되고, 제2프린터하우징(3)을 닫을 때 플래튼롤러(9)는 서멀헤드(8)위에 압착되어진다. 기어(10)는 플래튼롤러(9)의 롤러샤프트(9a)에 고정되고,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의 구동력이 기어(10)에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도 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록매체로서 라벨지는 베이스시트인 판지(11)위의 라벨시트인 다수의 라벨을 붙여 만들어진다. 한편, 라벨지(7)의 판지(11)를 휘게 하는 접촉부재(13)는 플래튼롤러(9)의 상부측 근처에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촉부재(13)는 플래튼롤러(9)와 평행하게 뻗은 길다란 부재로 구성되고, 그 단면은 대략 삼각형이다.
유도부재(3b)는 제1프린터하우징(2)쪽으로 휘어져 제2프린터하우징(3)의 정면측의 단부에 형성된다. 유도부재(3b)는 라벨지(7)의 분리된 판지(11)를 제2프린터하우징(3)위로 유도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라벨지(7)의 판지(11)를 접촉부재(13)위에 압착하고 또한 그것을 분리하는 분리기(14)가 제2프린터하우징(3)에 설치된다. 분리기(14)는 제2프린터하우징(3)의 정면측위에 부착되어 한쌍의 암(arm)(16a, 16b)은 스핀들(15) 둘레를 회전할 수 있고, 또한 판지(11)와 라벨(12)을 분리하기 위해 회전할 수 있는 압착롤러(17)는 각각의 암(16a, 16b)의 단부에 부착된다. 압착롤러(17)는 고무같은 탄성부재로 구성되고, 플래튼롤러(9)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 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분리기(14)는 압착롤러(17)가 접촉부재(13)위의 점선에 의해 표시된 위치(대기위치)와 덮개(3)가 닫힌 상태, 즉 서멀헤드와(8)와 플래튼롤러(9)가 대향하게 배열되는 상태에서 압착롤러가 플래튼롤러(9)위에 압착되는 위치(압착위치; 실선으로 표시)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압착롤러(17)는 스프링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플래튼롤러(9)위에 압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에서 만약 보통용지(6)가 장착되면, 제2프린터하우징(3)은 도 2(a)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열리고 보통용지(6)는 지지부(3a)내로 적재된다. 이 경우, 보통용지(6)는 제1프린터하우징(2)의 상부에 있는 배출구(18)로 부터 빼내어진다. 제2프린터하우징(3)이 닫히는 경우에는, 서멀헤드(8)는 보통용지(6)를 압착하고 장착이 완료된다. 그 후, 인쇄가 수행되고 플래튼롤러(9)를 회전시키며 보통용지(6)를 배출한다.
한편, 이 실시예에서 만약 라벨지(7)가 장착되고 인쇄가 수행되면, 라벨지(7)는 보통용지(6)의 경우와 같이 제2프린터하우징(3)의 지지부(3a)내에 적재되고, 제2프린터하우징(3)은 배출구(18)로 부터 빼내어진 판지(11)의 단부로 닫힌다. 도 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압착롤러(17)를 예를들어 손가락으로 들어올린 후에 점선에 의해 표시된 위치로 움직이고 판지(11)의 단부는 압착롤러(17)와 접촉부재(13) 사이에 삽입되며, 라벨지(7)의 판지(11)는 실선으로 표시된 것 처럼 압착롤러(17)를 들어올리는 방출력에 의해 플래튼롤러(9)위에 압착된다.
그 후, 서멀헤드(8)가 구동되고, 플래튼롤러(9)를 시계반대방향(화살표 B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라벨지(7)를 같은 방향으로 운반하여 라벨(12)위에 소정의 인쇄를 실행한다. 운반된 라벨지(7)를 위하여 도 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촉부재(13)에 의해 판지(11)가 밀려올려지고 휘어져 판지는 볼록한 형상을 이루고, 반면 라벨(12)은 견고성으로 인해 거의 휘어지지 않기 때문에 판지(11)와 라벨(12)은 분리된다.
이와 같은 작동으로 인해 인쇄된 라벨(12)은 배출구(18)로 부터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으로 배출되고, 반면에 판지(11)는 제2프린터하우징(3)위의 화살표 C로 표시된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서멀헤드(8)와 플래튼롤러(9)가 대향하게 배치되고 아무것도 운반된 통로내의 보통용지(6)를 방해하지 않는 상태에서 분리기(14)가 운반통로로 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므로, 보통용지(6)는 간단하고 확실하게 장착되고 용지급송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한편, 라벨지(7)가 장착되면, 판지(11)와 라벨(12)은 서멀헤드(8)와 플래튼롤러(9)가 대향하게 배치되고 판지(11)가 압착롤러(17)와 플래튼롤러(9) 사이에 장착되는 상태로 대기위치에 배치된 후에 분리기(14)를 압착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판지(11)와 라벨(12)은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상태로 급송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서멀헤드(8)와 회로기판(31)은 제1프린터하우징(2)의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납선(25)은 움직일 수 있는 부재를 통과하지 않고 배선될 수 있으며, 서멀헤드(8)의 배선공정이 용이하게 될 수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특히, 서멀헤드(8)와 회로기판(31)이 밀접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납선(25)을 줄일 수 있으며, 전기소음이 서멀헤드(8)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고 헤드의 배선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서멀헤드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서멀헤드(8)와 회로기판(31)이 납선(25)을 거쳐 제1프린터하우징(2) 내부에 연접될 수 있고, 또한 납선(25)은 움직일 수 있는 부재를 통과하지 않으며, 납선(25)은 구부림에 의해 단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서멀헤드(8)가 제1프린터하우징(2) 내부에 설치되고 먼지 및 기타 오물이 구동부에 거의 침입하지 않기 때문에 서멀헤드(8)가 거의 파손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제2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프린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상기 실시예에 대응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표시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할 수 있는 분리기(14A)가 제1프린터하우징(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압착롤러를 고정하는 암(16A)이 제1프린터하우징(2)의 정면측 상부(2a) 양측에 부착되어, 암은 스핀들(15) 둘레를 회전할 수 있다. 분리기(14A)는, 압착롤러(17)가 점선으로 표시되고 제1프린터하우징(2)의 정면측의 상부(2a)위인 위치(대기위치)와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압착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고 플래튼롤러(9)위에 압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분리기는, 한쪽단부가 암(16A)에 부착되는 나선형 인장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대기위치의 정면측 상부(2a)를 압착하고 압착위치에서 플래튼롤러(9)를 압착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라벨지(7)가 장착되는 케이스를 나타내고, 보통용지가 장착되는 케이스는 생략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에서 보통용지가 장착되고 인쇄가 실행되는 경우에, 분리기(14A)의 압착롤러(17)는 예를들어 손가락으로 들어올려지고 도 3의 점선으로 표시된 대기위치로 이동된다. 다음에, 제2프린터하우징(3)이 열리는 경우에는 보통용지는 지지부(3a)내로 적재되고 덮개(3)는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으로 위쪽으로 빼내어진 보통용지의 단부로 닫히며, 보통용지의 장착이 완료된다. 그 후, 서머멀헤드(8)가 구동되고, 플래튼롤러(9)를 회전시키며, 보통용지(9)를 이동하고 배출하여 보통용지(6)위에 바람직한 인쇄가 실행된다.
한편, 이 실시예에서 라벨지(7)가 장착되고 인쇄가 실행되는 경우에는, 분리기(14A)의 압착롤러(17)는 도 3의 화살표로 표시된 대기위치로 이동하고, 제2프린터하우징(3)이 열리며, 보통용지(6)의 경우와 같이 라벨지(7)는 지지부(3a)내로 적재된다. 다음에, 제2프린터하우징(3)은 위쪽으로 빼내어진 판지(11)의 단부로 닫힌다.
도 3의 실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분리기(14A)의 압착롤러(17)는 압착위치로 회전하고 라벨지(7)의 판지(11)는 플래튼롤러(9)위에 압착된다.
그 후,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서멀헤드(8)를 구동함으로써 판지(11)와 라벨(12)은 분리되고, 플래튼롤러(9)를 시계반대방향(화살표 B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라벨지(7)를 동일한 방향으로 이송하고, 라벨(12)위에 소정의 인쇄를 실행한다.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해, 인쇄된 라벨(12)은 배출구(18)로 부터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으로 방출되고, 반면에 판지(11)는 제2프린터하우징(3)위로 화살표 C로 표시된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보통용지(6)가 장착되는 경우에 용지급송이 원활하게 될 수 있고, 라벨지(7)가 장착되는 경우에 판지(11)와 라벨(12)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압찰롤러(17)가 예를들어 스프링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플래튼롤러(9)위에 압착될 수 있다. 다른 구성으로서, 작동과 효과가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3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프린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상기 실시예에 대응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표시되어 있다.
회전할 수 있는 분리기(14B)는 제2실시예서와 같이 이 실시예의 프린터(1B)의 제1프린터하우징측에 설치되지만, 이 실시예는 분리기(14B)를 회전하기 위한 구동기계(19)가 설치된다는 점에서 제2실시예와 다르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프린터(1B)의 분리기(14B)는 제2실시예의 인장스프링이 없는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설치되고,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프린터하우징(2)의 정면측 상부(2a)의 단부에 부착된다. 구동기계(19)는 제1프린터하우징(2)의 정면측 상부(2a) 바로 아래에 설치된다. 구동기계(19)는 CPU(중앙처리장치; 도시되지 않음)로 부터의 신호에 따라 구동된 구동모터(20)를 구비하고, 구동모터(20)의 토크(torque)가 회전샤프트(22)와 기어트레인(23)에 고정된 기어(21)를 거쳐 분리기(14B)의 암(16B)에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분리기(14B)의 압착롤러(17)는 제1프린터하우징(2)의 정면측 상부(2a)위의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대기위치)와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압착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고, 제2프린터하우징(3)가 닫힌 상태에서 플래튼롤러(9)위에 압착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적재된 기록용지의 타입을 탐지하는 탐지기(24)가 설치된다. 탐지기(24)로서 예를들어 반사식 포토트랜지스터가 사용되고 탐지기(24)는 CPU에 접속된다. 탐지기(24)위에 입사되는 빛의 양의 변화에 근거하여 기록용지의 타입을 판별하는 주파수판별회로가 구성된다. 상세하게 보면, 판지(11)와 라벨(12)의 반사된 빛은 라벨지의 경우에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반사된 빛의 양이 변화하지 않는 경우에 기록용지가 급송되고 보통용지로 판별될 때에는 반사된 빛의 양이 변화하는 경우에 기록용지가 라벨지로 판별된다. 또는 보통용지와 라벨지의 반사된 빛의 각각의 참조값이 설정되고, 그것들은 각각의 참조값에 근거하여 판별될 수 있다.
탐지기(24)가 라벨측에 장착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라벨(12)과 판지(11)의 반사된 빛의 양을 판별하므로써 라벨(12)의 위치를 탐지할 수 있고, 라벨(12)의 바람직한 위치에서 인쇄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이 실시예에서, 보통용지(6)가 인쇄되는 경우에, 즉 보통용지(6)가 적재된다고 판별되면, 분리기(14B)의 압착롤러(17)는 상기 CPU로 부터의 신호에 따라 도 4의 실선으로 표시된 대기위치에 배치되고, 제2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절차에 따라 소정의 인쇄가 실행된다.
한편, 라벨지가 적재된다고 판별되면 상기 CPU로 부터의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20)가 구동되고, 분리기(14B)의 압착롤러(17)는 도 4의 실선으로 표시된 대기위치로 부터 도 4의 점선으로 표시된 압착위치로 회전하고, 라벨지(7)의 판지(11)는 플래튼롤러(9)위에 압착된다. 제2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절차에 따라 소정의 인쇄가 실행된다.
이 실시에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보통용지(6) 또는 라벨지(7)를 제2프린터하우징(3)의 지지부(3a)내에 적재하고 제2프린터하우징(3)을 닫음으로써 인쇄가 실행되기 때문에,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외에도 기록용지의 장착이 용이하게 되고 프린터의 작동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플래튼롤러(9)에 미치는 압착롤러(17)의 압력이 세밀하게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라벨지(7)의 판지(11)가 더욱 부드럽게 배출될 수 있다. 다른 구성으로서, 작동과 효과는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4실시예
도 5(a), 5(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프린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도 5(a)는 라벨지가 장착되는 케이스의 제2프린터하우징이 열려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도 5(b)는 라벨지가 장착되는 케이스의 제2프린터하우징이 닫혀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 실시예의 것과 대응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5(a), 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프린터(1c)에서, 프린터헤드는 제2프린터하우징측에 설치되고, 반면에 플래튼롤러는 제1프린터하우징측에 설치된다.
제2프린터하우징(3)측 정면단부에서 제1프린터하우징(2)측위에 돌출되는 부착부(3c)가 형성되고, 서멀헤드(8)는 부착부(3c)의 정면측의 한 부분에 부착된다. 만약 제2프린터하우징(3)이 닫히고 비스듬한 상부방향으로 부터 제1프린터하우징(2)의 소정의 부분에 배치된 플래튼롤러(9)와 접촉하면, 서멀헤드(8)는 헤드면이 수직방향으로 부터 기울어지는 상태로 제1프린터하우징(2)의 정면측 위에 부착된다.
이 실시예에서 플래튼롤러(9)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들의 경우와 같이 기어(10)가 도 1에 표시된 플래튼 샤프트(9a)에 고정된다. 구동모터(32)는 제1프린터하우징(2) 내부에 설치되고, 구동모터(32)의 구동력을 구동전달기계(33)를 거쳐 상기 기어(10)에 전달함으로써 플래튼롤러(9)를 회전시키는 구동기계(34)가 구성된다.
플래튼롤러(9)쪽으로 휘어진 유도부재(2b)는 보디프레임(2)의 정면측 단부에서 형성된다. 유도부재(2b)는 라벨지(7)의 방출된 판지(11)를 제1프린터하우징(2)의 정면에 유도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도 3에 표시된 상기 분리기(14A)는 제2프린터하우징(3)측에 부착된다. 즉, 분리기(14A)의 암(16A)은 제2프린터하우징(3)의 부착부(3c)의 단부측위의 양측에 부착되어, 암은 스핀들(15) 둘레를 회전할 수 있다.
분리기(14A)는 압착롤러(17)가 도 5(b)의 점선으로 표시되고 제2프린터하우징(3)의 부착부(3c)위인 위치(대기위치)와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압착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고, 플래튼롤러(9)위에 압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이 실시예에서, 라벨(12)이 판지(11) 내부에 부착되면, 롤라벨지(71)가 장착되고 인쇄가 실행되며, 분리기(14A)의 압착롤러(17)는 도 5(b)의 점선으로 표시된 대기위치로 이동하고, 제2프린터하우징(3)가 열리며 라벨지(71)는 지지부(3a)내에 적재된다. 다음에, 제2프린터하우징(3)은 위쪽으로 꺼내어진 판지(11)의 단부로 닫힌다.
도 5(b)의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분리기(14A)의 압착롤러(17)는 압착위치로 회전하고 라벨지(71)의 판지(11)는 플래튼롤러(9)위에 압착된다.
그 후, 서멀헤드(8)를 구동함으로써 판지(11)와 라벨(12)은 분리되고, 플래튼롤러(9)를 도 5(b)의 시계방향(화살표 D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라벨지(71)를 같은 방향으로 운반하고, 상기 실시예들의 경우와 같이 라벨(12)위에 소정의 인쇄를 실행한다.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해, 인쇄된 라벨(12)은 화살표 E로 표시된 방향으로 돌출구(18)를 통하여 배출되고, 반면에 판지(11)는 상기 제1프린터하우징(2)위의 화살표 F로 표시된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플래튼롤러(9)와 구동기계(34)가 제1프린터하우징(2) 내부에 설치되므로 구동력이 플래튼롤러(9)에 가해질 수 있고, 플래튼롤러(9)와 구동기계를 항상 동일한 위치관계에 고정할 수있다. 그 결과, 이실시예에서는 플래튼롤러(9)는 항상 안정되게 구동될 수 있고 기록용지가 정확하게 급송될 수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제2프린터하우징(3)의 개폐가 구동기계(34)의 기어 같은 구동전달부재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기어 등속이 마모되지 않고 기록용지가 장기간 동안 정확하게 급송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라벨(12)이 판지(11)의 안쪽에 부착되는 소위 인볼류트(involute; 소용돌이꼴로 말린) 라벨지(71)가 사용되지만, 그러나 만약 도 2(b)의 경우에서와 같이 라벨(12)이 판지의 바깥쪽에 부착되는 소위 리볼류트(바깥으로 감긴) 라벨지(7)가 사용되면, 라벨지(7)는 다른방향으로 적재되어져 라벨(12)이 서멀헤드(8)에 대향하게 된다. 다른 구성으로서, 작동과 효과가 상기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프린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라벨지가 장착되는 케이스의 제2프린터하우징이 닫혀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 실시예들에 대응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표시되어 있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프린터(1D)는 분리기(14A)가 제1프린터하우징(2)측에 설치된다는 점에서 도 5에 표시된 제4실시예의 프린터(1C)와 다르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분리기(14A)의 암(16A)이 제1프린터하우징(2)의 유도부재(2b)의 양측에 부착되어 암이 스핀들(15) 둘레를 회전할 수 있다.
분리기(14A)는, 압착롤러(17)가 도 6의 점선으로 표시되고 제1프린터하우징(2)의 유도부재(2b)위인 위치(대기위치)와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압착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고 제2프린터하우징(3)이 닫힌 상태에서 플래튼롤러(9)위에 압착되도록 구성된다.
제4실시예서와 같은 그러한 구성을 가진 이 실시예에서, 플래튼롤러(9)는 항상 안정하게 구동될 수 있고, 기록용지는 기어등속을 마모시키지 않고 장기간동안 정확하게 급송될 수 있다. 다른 구성으로서, 작동과 효과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상기 실시예에서 분리기는 대기위치와 압착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지만,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분리기는 대기위치와 압착위치 사이에서 미끌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리기를 구성하는 압착롤러와 암 등속의 형상, 크기 등은 분리기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적절히 변할 수 있다.
또한, 또한 제3실시예의 탐지기는 제1프린터하우징과 제2프린터하우징 사이에서 전송센서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열식 프린터에만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도트 프린터와 잉크젯 프린터에도 응용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감열식 프린터로서 응용되는 경우에는 소형의 경량 프린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분리기가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의 대기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만약 저장부가 제1프린터하우징(2)에 설치되어 분리기 전체가 제1프린터하우징내에 저장될 수 있다면, 시감도(視感度)가 향상되고 프린터의 상업적 가치가 향상된다.
또한, 분리기(14B)를 회전시키는 구동기계(19)를 위해 사용되는 구동모터(20)가 사용되는 예가 앞에서 설명되었지만, 그러나 솔레노이드(solenoid)를 사용하는 구동기계가 또한 작동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보통용지와 기록매체에 인쇄할 수 있는 프린터에서, 보통용지가 매우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고 프린터의 작동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린터는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프린트헤드와 플래튼과, 인쇄시 기록용지가 운반되는 통로와, 기록매체의 베이스시트를 밀어올리고 휘게하기 위하여 상기 운반통로에 있는 상기 플래튼측에 배치된 접촉부재와, 상기 운반통로로 부터 벗어난 대기위치와, 상기 프린트헤드와 플래튼이 대향하게 배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재위의 상기 운반통로에 있는 상기 기록매체를 압착하는 압착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분리기와, 적재된 기록용지의 타입을 탐지하는 탐지기와, 분리기를 구동하는 구동기계와, 기록용지를 저장하는 제1프린터하우징과, 상기 프레임에 대해 열리고 닫히는 제2프린터하우징을 포함하는 프린터 본체와, 상기 제1프린터하우징과 상기 제2프린터하우징중의 하나에 설치된 분리기를 구비하며, 상기 탐지기는 베이스시트 위의 기록용지를 탐지하고, 상기 분리기는 압착위치내에서 움직이며, 상기 플래튼은 상기 제2프린터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프린트헤드와 이것의 작동을 제어하는 헤드제어부는 상기 제1프린터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프린트헤드는 상기 제2프린터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과 이것에 구동력을 가하는 구동기계는 상기 제1프린터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플래튼을 구동함으로써 기록용지가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종래기술의 프린터가 가지고 있었던 문제점 즉, 라벨을 분리하는 기계장치를 갖춘 프린터는 보통용지가 장착되는 경우에 보통용지의 단부가 제2프린터하우징(105)의 배출구(110)를 통과해야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까다롭게 되는 문제점을 없애고, 보통용지와 기록매체에 모두 인쇄할 수 있고 보통용지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가 있다.

Claims (8)

  1. 베이스시트와 그위에 분리할 수 있게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라벨시트 를 포함하는 기록매체를 인쇄할 수 있으며,
    기록매체를 인쇄하기 위해 상호 대향하는 프린트헤드와 플래튼과,
    상기 프린트헤드와 플래튼을 수용하는 프린터하우징과,
    상기 프린터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프린트헤드와 플래튼에 의해 인쇄된 후에 프린터하우징으로 부터 기록매체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로 부터 배출된 베이스시트를 휘게하고 라벨시트의 선단을 베이스시트로 부터 분리시키는 분리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분리기는
    배출구위와 상기 배출구의 플래튼측에 배치되는 접촉부재와,
    베이스시트를 상기 접촉부재 아래에 유도하여 상기 접촉부재에 의해 휘어지게 하는 유도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3. 제2항에 있어서,
    유도부는 분리위치에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고, 여기서 상기 유도부재는 상기 접촉부재와 협동으로 기록매체를 휘게하여 라벨시트의 선단을 베이스시트로 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4. 제2항 및 제3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유도부는 베이스시트를 운반하는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5. 제1항에 있어서,
    라벨시트를 탐지하는 탐지기와,
    유도부재를 움직이는 구동기
    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구동기는 상기 탐지기에 의한 라벨시트의 탐지에 따라 상기 유도부재를 상기 분리위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6. 베이스시트와 그위에 분리할 수 있게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라벨시트 를 포함하는 기록매체를 인쇄할 수 있으며,
    기록매체를 인쇄하기 위해 상호 대향하는 프린트헤드와 플래튼과,
    상기 플래튼을 수용하는 제1프린터하우징과,
    상기 프린트헤드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1프린터하우징에 움직일 수 있게 연접된 제2프린터하우징과,
    상기 제1 및 제2프린터하우징의 경계에 한정되고, 상기 프린트헤드와 플래튼에 의해 인쇄된 후에 상기 제1 및 제2프린터하우징으로 부터 기록매체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로 부터 배출된 베이스시트를 휘게하고 라벨시트의 선단을 베이스시트로 부터 분리시키는 분리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는 상기 제1프린터하우징 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는
    배출구위와 상기 배출구의 플래튼측에 배치되는 접촉부재와,
    베이스시트를 상기 접촉부재 아래에 유도하여 상기 접촉부재에 의해 휘어지게 하는 유도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제1프린터하우징 위에 배치되고, 상기 유도부재는 상기 제2프린터하우징 위에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KR1019980042150A 1997-10-09 1998-10-09 프린터 KR100775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829A KR100761397B1 (ko) 1997-10-09 2006-01-04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726797 1997-10-09
JP97-277267 1997-10-0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829A Division KR100761397B1 (ko) 1997-10-09 2006-01-04 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965A true KR19990036965A (ko) 1999-05-25
KR100775452B1 KR100775452B1 (ko) 2008-05-09

Family

ID=1758114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2150A KR100775452B1 (ko) 1997-10-09 1998-10-09 프린터
KR1020060000829A KR100761397B1 (ko) 1997-10-09 2006-01-04 프린터
KR1020070058555A KR100829849B1 (ko) 1997-10-09 2007-06-14 프린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829A KR100761397B1 (ko) 1997-10-09 2006-01-04 프린터
KR1020070058555A KR100829849B1 (ko) 1997-10-09 2007-06-14 프린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6092945A (ko)
EP (1) EP0908318B1 (ko)
JP (4) JP4045029B2 (ko)
KR (3) KR100775452B1 (ko)
CN (1) CN1142860C (ko)
BR (1) BR9803893A (ko)
DE (1) DE69826203T2 (ko)
HK (1) HK10173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0998B1 (fr) * 1999-03-16 2001-04-20 Sagem Machine de bureau a imprimante a papier en rouleau
EP1039410A1 (en) * 1999-03-24 2000-09-27 Hewlett-Packard Company Intelligent media reader and label printer
US6261013B1 (en) * 1999-04-01 2001-07-17 Eltron International, Inc. Door mounted roll support
JP2000318236A (ja) * 1999-05-10 2000-11-21 Riso Kagaku Corp 画像形成装置
US6241407B1 (en) * 1999-09-16 2001-06-05 Monarch Marking Systems, Inc. Portable printer
DE60002145T2 (de) * 1999-12-15 2003-12-18 Seiko Epson Corp Drucker
JP4412821B2 (ja) * 2000-06-30 2010-02-10 Ai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プリンタ
JP4412822B2 (ja) * 2000-06-30 2010-02-10 Ai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プリンタ
JP2002067408A (ja) * 2000-08-31 2002-03-05 Sato Corp ポータブルプリンタ
JP4889143B2 (ja) * 2000-10-31 2012-03-07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ラベルプリンタ
DE10124322A1 (de) * 2001-05-17 2002-11-28 Espera Werke Gmbh Etikettendrucker
JP2002362796A (ja) * 2001-06-07 2002-12-18 Ishida Co Ltd ラベル印字装置
FR2830003B1 (fr) * 2001-09-21 2003-12-05 Axiohm Appareil distributeur de troncons d'un ruban
US6766844B1 (en) * 2001-10-30 2004-07-27 Zih Corp. Peel assembly for a printer
ES2381546T3 (es) * 2003-06-20 2012-05-29 Sanford, L.P. Rollo de etiquetas
CN1307057C (zh) * 2003-07-15 2007-03-28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记录媒体馈送系统及方法
JP4409344B2 (ja) 2004-04-20 2010-02-03 スター精密株式会社 プリンタ
EP1619034B1 (en) * 2004-07-23 2010-04-28 Seiko Epson Corporation Label printer provided with a label peeling mechanism
JP4556527B2 (ja) * 2004-07-23 2010-10-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ラベル剥離機構付きラベル印字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P1619035B1 (en) * 2004-07-23 2008-08-13 Seiko Epson Corporation Label printer with a label peeling mechanism and a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7674055B2 (en) 2004-07-23 2010-03-09 Seiko Epson Corporation Label printer with a label peeling mechanism and a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4682566B2 (ja) * 2004-09-08 2011-05-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ラベル剥離機構付きラベル印字装置及びその台紙セット制御方法
US7284922B2 (en) * 2004-08-09 2007-10-23 Seiko Epson Corporation Label printer
CN100455487C (zh) * 2004-08-09 2009-01-28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标签打印机
US7779885B2 (en) * 2004-08-09 2010-08-24 Seiko Epson Corporation Label peeling mechanism and label printer
JP4631586B2 (ja) * 2004-08-09 2011-02-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ラベルプリンタ
JP4967337B2 (ja) * 2004-12-27 2012-07-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ピーラー付きプリンタ
JP2008100381A (ja) * 2006-10-17 2008-05-01 Seiko Instruments Inc サーマルプリンタ
JP4763577B2 (ja) * 2006-11-06 2011-08-3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ロール紙支持機構及びプリンタ
US8210351B2 (en) * 2007-04-19 2012-07-03 Tri State Distribution, Inc. Labeling system with multiple designs for prescription containers
ATE523344T1 (de) * 2007-05-18 2011-09-15 Schweers Informationstechnologie Gmbh Mobiles datenverarbeitungs-handgerät
JP5068598B2 (ja) * 2007-08-01 2012-11-07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TWM335391U (en) * 2008-01-07 2008-07-01 Tsc Auto Id Technology Co Ltd Paper output sensing device of a barcode printer
JP5207063B2 (ja) * 2008-12-26 2013-06-12 株式会社リコー 分離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361487B2 (ja) * 2009-03-24 2013-12-0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ラベルプリンタ
JP5432050B2 (ja) 2009-09-17 2014-03-0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ポータブルプリンタ
WO2011038239A1 (en) * 2009-09-25 2011-03-31 Intermec Ip Corp. Mobile printer with optional battery accessory
JP4983888B2 (ja) * 2009-10-22 2012-07-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ラベルプリンタ
JP5423480B2 (ja) * 2010-03-03 2014-02-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ール状媒体収容装置および液体噴射装置
CN104999801B (zh) 2010-04-12 2017-05-31 Zih公司 标签剥离、通用打印头和相关方法
US9434191B2 (en) 2010-04-12 2016-09-06 Zih Corp. Label peeling, universal printheads and related methods
CN102001232A (zh) * 2010-09-25 2011-04-06 广东宝莱特医用科技股份有限公司 整体记录仪
JP4997329B2 (ja) * 2010-10-22 2012-08-08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ラベルプリンタ
EP2634104B1 (en) * 2010-10-29 2016-11-30 Techno Medica Co., Ltd. Labeling device
JP5132799B2 (ja) * 2011-06-13 2013-01-30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ラベルプリンタ
JP5063800B2 (ja) * 2011-06-13 2012-10-31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ラベルプリンタ
JP5842159B2 (ja) * 2011-09-06 2016-01-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付き端末装置
JP5967466B2 (ja) * 2011-12-14 2016-08-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付き端末装置
EP2935026B1 (en) * 2012-12-21 2017-09-13 ZIH Corp. Printer with peeler assembly
US11230402B2 (en) * 2014-04-07 2022-01-25 2109519 Ontario Ltd. Label dispenser apparatus
JP6505984B2 (ja) * 2014-05-27 2019-04-24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プリンタ
JP6257452B2 (ja) * 2014-06-10 2018-01-10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プリンタ
JP6409564B2 (ja) * 2014-12-25 2018-10-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US11286078B2 (en) * 2016-03-04 2022-03-29 Sato Holdings Kabushiki Kaisha Printer
CN107697347B (zh) * 2017-10-23 2021-09-03 邓爱艳 一种用作锂电池自动周转完成贴膜自动卸料设备
JP6633718B2 (ja) * 2018-11-07 2020-01-22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プリンタ
JP7326950B2 (ja) * 2019-07-11 2023-08-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CN113071229A (zh) * 2021-03-29 2021-07-06 韩佑麟 一种桌面式智能打印机
JP2022173641A (ja) 2021-05-10 2022-11-2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1446A (en) * 1962-11-07 1966-01-25 Dennison Mfg Co Device for printing labels
US3343485A (en) * 1965-02-05 1967-09-26 Nashua Corp Label printer and dispenser having reciprocable print carriage
JPS56131309U (ko) * 1980-03-05 1981-10-05
JPS5941290A (ja) * 1982-08-31 1984-03-07 Tokyo Electric Co Ltd ラベルプリンタ
DE3246563A1 (de) * 1982-12-16 1984-06-20 Maatschappij van Berkel's, Patent N.V., Rotterdam Datenaufzeichnungsvorrichtung, insbesondere drucker an einer preisrechnenden waage
JPS59107253U (ja) * 1983-01-07 1984-07-19 株式会社リコー 記録装置
JPS61149366A (ja) * 1984-12-25 1986-07-08 Tokyo Electric Co Ltd 定着型サ−マルプリンタ
US5061946A (en) * 1988-06-22 1991-10-29 Monarch Marking Systems, Inc. Microprocessor controlled thermal printer
DE3843068A1 (de) * 1988-12-21 1990-06-28 Esselte Meto Int Gmbh Vorrichtung zum zufuehren eines etikettenbandes
JPH02171267A (ja) * 1988-12-24 1990-07-02 Nagano Japan Radio Co プリンタの装填装置
JP2624855B2 (ja) * 1989-11-14 1997-06-25 株式会社テック ラベルプリンタ
JP2530043B2 (ja) * 1990-03-30 1996-09-04 株式会社テック ラベルプリンタ
JP2822600B2 (ja) * 1990-05-17 1998-11-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字装置
JP2587158Y2 (ja) * 1990-07-02 1998-12-14 アンリツ株式会社 ラベルプリンタ
JP2633726B2 (ja) * 1990-11-28 1997-07-23 東北リコー 株式会社 バーコードラベルプリンタ
DE4107669C1 (ko) * 1991-03-09 1992-07-02 Seidl-Lichthardt, Johanna, 8000 Muenchen, De
JPH0546455A (ja) * 1991-08-12 1993-02-26 Nec Corp フアイルリカバリ中断方式
JPH0546455U (ja) * 1991-11-29 1993-06-22 東京電気株式会社 ラベルプリンタ
DE4141298A1 (de) * 1991-12-14 1993-06-17 Esselte Meto Int Gmbh Farbrollenhalterung fuer ein handetikettiergeraet
JP2945212B2 (ja) * 1992-05-25 1999-09-0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ラベル剥離装置
JPH06166227A (ja) * 1992-11-30 1994-06-14 Tokyo Electric Co Ltd ラベルプリンタ
US5516219A (en) * 1994-08-01 1996-05-14 Lasermaster Corporation High resolution combination donor/direct thermal printer
JP3005172B2 (ja) * 1995-02-27 2000-01-3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プリンタ
JP3545830B2 (ja) * 1995-04-27 2004-07-2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ラベル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5452B1 (ko) 2008-05-09
JP4492583B2 (ja) 2010-06-30
JP2006240309A (ja) 2006-09-14
HK1017317A1 (en) 1999-11-19
CN1142860C (zh) 2004-03-24
EP0908318B1 (en) 2004-09-15
US6505981B1 (en) 2003-01-14
KR20060009032A (ko) 2006-01-27
US6092945A (en) 2000-07-25
CN1214996A (zh) 1999-04-28
JP5141720B2 (ja) 2013-02-13
DE69826203D1 (de) 2004-10-21
EP0908318A2 (en) 1999-04-14
KR20070076583A (ko) 2007-07-24
JP2008114607A (ja) 2008-05-22
DE69826203T2 (de) 2005-11-17
KR100829849B1 (ko) 2008-05-16
JPH11171155A (ja) 1999-06-29
EP0908318A3 (en) 1999-12-08
KR100761397B1 (ko) 2007-09-27
JP4045029B2 (ja) 2008-02-13
JP2010241143A (ja) 2010-10-28
JP4665961B2 (ja) 2011-04-06
BR9803893A (pt) 2001-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397B1 (ko) 프린터
US6290410B1 (en) Modular autoduplex mechanism with simple linkage
US8205956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US5067835A (en) Printing apparatus
US7600746B2 (en) Cassett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A2344131C (en) Print-medium transport unit
KR100209519B1 (ko) 잉크젯프린팅헤드를 이용한 기기에 있어서 용지급지장치
US20140232786A1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with reciprocating carriage and having a guide device
US4761663A (en) Compact printer having convertible discharge hopper
EP1798051B1 (en) Reciprocating apparatus and printer including reciprocating apparatus
US6398438B1 (en) Sheet feeding techniqu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WO1988006528A1 (en) Compact printer with cassette-drawer sheet feeder
US5735616A (en) Printing mechanism with means for preventing contact between ink ribbon and drive IC of thermal head
JP2763166B2 (ja) 画像プリンタ
JP3408128B2 (ja) 記録装置
JP2023132424A (ja) 塗布ユニット
KR100193724B1 (ko) 잉크젯 프린터의 원고 이송장치
JP3404207B2 (ja) 排紙装置
JPH0664891U (ja) 給紙装置
JPH0667044U (ja) 給紙装置のカバーのロック機構
JPH0665344U (ja) 給紙装置
JPH0655746U (ja) インクリボン及びインクリボン検出装置
JPH04158075A (ja) プリンタ
KR20000018742U (ko) 프린터용 용지 배출 장치
JPH10129879A (ja) シート材搬送装置及び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AMENDMENT REQUESTED 20060309

Effective date: 200606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