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918B1 - 발음제어장치, 그 제어방법 및 매체 - Google Patents

발음제어장치, 그 제어방법 및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918B1
KR100724918B1 KR1020000043801A KR20000043801A KR100724918B1 KR 100724918 B1 KR100724918 B1 KR 100724918B1 KR 1020000043801 A KR1020000043801 A KR 1020000043801A KR 20000043801 A KR20000043801 A KR 20000043801A KR 100724918 B1 KR100724918 B1 KR 100724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information
setting
soun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0034A (ko
Inventor
후타마세츠요시
구라카케야스시
이데겐스케
미즈노시게히코
가라카와슈죠
데라다고세이
하세가와유타카
구니이다카시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0750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58912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79962A external-priority patent/JP3666366B2/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0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41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 coded form
    • G10H1/0058Transmission between separate instruments or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of a musical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10H1/0025Automatic or semi-automatic music composition, e.g. producing random music, applying rules from music theory or modifying a musical pie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5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the accompaniment information being stored on a host computer and transmitted to a reproducing terminal by means of a network, e.g. public telephone li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 G10H7/00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using a common processing for different operations or calculations, and a set of microinstructions (programme) to control the sequence thereof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21Background music, e.g. for video sequences, elevator music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375Tempo or beat alterations; Music timing control
    • G10H2210/385Speed change, i.e. variations from preestablished tempo, tempo change, e.g. faster or slower, accelerando or ritardando, without change in pitc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21Mobile ringtone, i.e. generation, transmission, conversion or downloading of ringing tones or other sounds for mobile telephony; Special musical data formats or protocols 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41Telephone transmission, i.e. using twisted pair telephone lines or any type of telephone network
    • G10H2240/251Mobile telephone transmission, i.e. transmitting, accessing or controlling music data wirelessly via a wireless or mobile telephone receiver, analog or digital, e.g. DECT GSM, UM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색 설정, 편집, 작성 등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풍부하고 다채로운 멜로디음을 얻을 수 있는 휴대용 단말장치를 위한 고확장성 발음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 시스템(TS)은 FM 음원의 이용에 의한 다수음 동시 발음 기능을 가지고, 기지국(BS)과의 통화에 의해 단말 시스템(TS)내에 다운 로드되는 원하는 악곡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시의 멜로디음이나 통화 중의 BGM음 등을 발음한다. 발음용 악곡 정보는 퍼스널 컴퓨터 단말PC에서 작성된 정보나 다른 전화기 단말(OS)의 정보로부터 통신 케이블(20)을 통하여 조합하고, 또한 시스템(TS)에 장착되는 소형 기록 매체(19)에 기록 정보나 다른 전화기 단말(OS)로부터 기지국(BS)을 경유하는 통화 정보로부터 얻을 수도 있다. 시스템(TS)에 도입되는 악곡 정보는 정보원(BS), PC나 시스템(TS)내에서의 편집, 압축, 형식 변환 등에 의해 사용가능한 형태로 다운사이징된다.

Description

발음제어장치, 그 제어방법 및 매체{MUSICAL SOUND GENERATIO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MEDIUM}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발음제어장치가 적용되는 휴대용 전화기 단말의 기본적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발음제어회로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음제어회로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 단말의 사용환경의 일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 단말 자기종의 정보 포맷의 예,
도6은 타기종의 휴대용 전화기 단말의 타기종 종래형 정보 포맷의 예,
도7은 종래부터 전자악기 등에 사용되는 범용 악음정보 포맷의 예,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 단말 및 기지국으로 이루어지는 제1 시스템의 정보 수수 관계를 나타내는 기능적 블록도의 일부,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 단말 및 기지국으로 이루어 지는 제1 시스템의 정보 수수 관계를 나타내는 기능적 블록도의 다른 부분,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 단말 및 퍼스널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제2 시스템의 정보 수수 관계를 나타내는 기능적 블록도,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 단말 및 기록매체 내지 다른 전화기 단말로 이루어지는 제3 시스템의 정보 수수 관계를 나타내는 기능적 블록도,
도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 단말에서의 자단말 처리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에서의 서버 처리예를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
도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퍼스널 컴퓨터 단말에서의 PC 단말 처리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 단말의 가라오케 기능에 적용이 가능한 정보 포맷의 예,
도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 단말의 악곡연주와 가사표시의 동기 처리를 표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 단말의 「수신처리1」의 플로우 챠트,
도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 단말의 「기타 처리1」의 플로우 챠트,
도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 단말의 「선택/설정처리1」의 플로우 챠트,
도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 단말의 「인터럽트 처리2」의 플로우 챠트,
도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 단말의 「선택/설정 처리2」의 플로우 챠트,
도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 단말의 「에디트 처리1」의 플로우 챠트,
도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 단말 시스템의 「음성 작곡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
도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퍼스널 컴퓨터 단말 등의 「자동 작곡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
도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 단말의 악곡 데이터의 자동 생성 방법을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플로우 챠트,
도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 단말의 악곡 휠링/스타일의 표시 화면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 단말의 악곡 데이터에 어울리는 화음을 자동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플로우 챠트,
도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 단말의 멜로디 데이터에 어울리는 반주 파트를 멜로디 파트에 부여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S : 휴대용 전화기 단말(단말 시스템, 자기) BS : 기지국(서버국)
PC : 퍼스널 컴퓨터 단말
OS, Osa, OSb : 다른 전화기 단말 SM : 합성 악음신호
ST : 통화음 신호 SE : 효과 부여후 신호
본 발명은 발음 제어 장치, 이를 이용하는 장치 및 시스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전화기 단말과 같은 휴대용 단말장치에 내장되는 발음 제어 장치 및 이 발음 제어 장치에 악곡 정보 등의 모든 정보를 수여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용 전화기 단말의 발전에 따라 착신했을 때에 멜로디음을 울리게 하는 것이 있다. 이와같은 휴대용 전화기 단말에 있어서 재생할 수 있는 멜로디음은 부저음을 이용한 단음 발음의 악곡이었다. 또한, 이와같은 악곡 정보는 기지국 등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 단말의 이러한 종류의 멜로디음 재생장치에서는 다수 종류의 악음을 동시에 발음하는 악곡을 재생할 수 없어 음색이나 효과 등의 각종 설정을 행할 수도 없었다. 따라서, 다양한 악곡을 재생하여 즐길 수 없었 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이와같은 사정에 감안하여 휴대용 단말장치에 있어서, FM 음원 등을 이용하여 다수음을 동시에 발음시키고, 착신시의 멜로디음이나 통화중의 백 그라운드 뮤직(BGM)음 등을 울리게할 경우에 악음 정보의 음색이나 효과 등의 설정, 편집, 작성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풍부하고 다양, 다채로운 악곡의 재생을 실현함과 동시에, 단말장치의 처리기능이나 사용자의 기호에 적합한 악음을 얻을 수 있는 발음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재생되는 악음과 함께 음성이나 화상을 겸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즐길 수 있는 휴대용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악곡연주와 가사표시를 동기 처리하여 소위 가라오케로서 즐길 수 있는 휴대용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템포변경, 자동 작곡, 음성 피치 검출, 화음검출, 스타일 재생, 악곡정보의 포맷 변환, 악곡정보의 시청 등의 다양한 음악 데이터 처리기능을 실현하는 탈착 가능한 기억매체의 장착가능한 휴대용 단말장치, 악음정보 이용 시스템 및 기지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악음의 발음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장치(TS)에 구비되는 발음 제어 장치(8)로서, 연주정보를 기억하는 연주기억회로(FIFO(22))와, 음색에 관한 설정정보를 기억하는 설정기억회로(음색/효과 RAM (23))와, 연주기억회로로부터 연주정보를 순차 판독하는 연주판독회로(판독회로(26))와, 설정기억회로로부터 설정정보를 판독하는 설정판독회로(제어회로(21))와, 설정판독회로에 의해 설정기억회로로부터 판독된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발음에 사용될 음색을 설정하고, 연주판독회로에 의해 연주기억회로로부터 순차 판독된 연주정보에 의거하여, 설정된 음색을 갖는 악음신호를 생성하는 음원회로(음원회로(24))와, 음원회로에서 생성된 악음신호에 의거하여 악음을 발음시키는 발음회로(DAC(28), VOL(29), AMP(30))를 갖는 발음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악음의 발음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장치(TS)에 구비되는 발음 제어 장치(8)로서, 연주정보를 기억하는 연주기억회로(FIFO(22))와, 음색 및 효과에 관한 설정정보를 기억하는 설정기억회로(음색/효과 RAM (23))와, 연주기억회로로부터 연주정보를 순차 판독하는 연주판독회로(판독회로(26))와, 설정기억회로로부터 설정정보를 판독하는 설정판독회로(제어회로(21))와, 설정판독회로에 의해 설정기억회로로부터 판독된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발음에 사용될 음색을 설정하고, 연주판독회로에 의해 연주기억회로로부터 순차 판독된 연주정보에 의거하여, 설정된 음색을 갖는 악음신호를 생성하는 음원회로(음원회로(24))와, 설정판독회로에 의해 설정기억회로로부터 판독된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부여해야할 효과를 설정하고, 음원회로에 의해 생성된 악음신호에 대하여 설정된 효과를 부여하는 효과회로(효과회로(25))와, 음원회로에서 생성된 악음신호에 의거하여 악음을 발음시키는 발음회로(DAC(28), VOL(29), AMP(30))를 갖는 발음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의 발음제어장치의 발음제어방법 및 이 발음제어방법의 실행에 사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매체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알맞은 실시예에 관해서 상술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는 단순한 일예로서,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단말 시스템의 개요〕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발음 제어장치가 적용되는 휴대용 전화기단말의 기본적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단말 시스템(TS)은 단말 시스템용 중앙처리장치(본체 CPU)(1), 단말 시스템용 판독 전용 메모리(본체 ROM)(2), 단말 시스템용 랜덤 액세스 메모리(본체 RAM)(3), 검출회로(4), 표시회로(5), 송수신회로(6), 오디오 제어회로(7), 발음 제어회로(8), 접속회로(9), 통신 인터페이스(I/F)(10) 등을 구비하고, 이들 장치1∼10은 단말 시스템용 버스(본체 버스)(11)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이 단말 시스템(TS)에서 단말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본체 CPU(1)는 소정 프로그램에 따라 통화제어, 화면제어, 발음제어 등 다양한 제어를 행한다. 본체 ROM(2)에는 이들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이나 제어용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예를들면, 악음에 관해서는 착신시의 멜로디나 통화중의 백 그 라운드 뮤직(BGM) 등을 울리기 위한 악곡정보, 연주정보, 설정정보, 정보형식 변환용의 변환 테이블, 정보압축용의 압축 테이블을 각각 복수 기록하고 있고, 악음 이외에 관해서는 소정의 음성정보나 화상정보 등을 설정정보로서 미리 기록하고 있다. 또, 설정정보는 단말 시스템(TS)에서 착신시, 통화중 혹은 필요에 따라 임의의 시간에 음향의 방음 또는 화상의 표시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조건으로서 설정되는 정보를 말한다. 이 설정정보에는 악음의 음색이나 효과(DSP를 포함한다)에 관한 악음관련의 설정정보 외에 음성정보, 화상정보, 음성 및 화상의 제어정보 등이 있다.
본체 RAM(3)는 이들 통화제어, 화면제어, 발음제어 등의 처리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나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기 위해 이용되고, 단말 시스템(TS)에 추가적으로 도입되는 혹은 단말 시스템(TS) 내에서 신규로 작성되는 다수의 악곡정보, 연주정보, 설정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
검출회로(4)는 휴대용 전화기 단말의 본체표면에 설치된 가압 보턴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자(12)를 구비하고, 조작자(12)의 스위치 조작상태를 검출한다. 이들 스위치에는 통화시에 사용되는 통화 스위치, 착신 멜로디의 다운 로드 요구 스위치, 발음 제어회로(8)(음원/효과회로)의 설정 스위치, 각종정보의 작성/편집 스위치 등이 포함된다. 또한, 표시회로(5)에는 표시부(13)가 접속되고, 표시부(13)의 액정화면상에는 각종 통화정보나 발음제어에 관계되는 각종 멜로디 정보등, 각종 시인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송수신회로(6)는 통신 안테나를 구비하고, 기지국(서버국 또는 중계국이라고 도 한다. )을 통해 다른 전화기 단말과 교신하여 통화하기 위한 회로로, 악곡정보나 설정정보의 요구나 수취에도 이용된다. 한편, 오디오 제어회로(7)는 통화시의 음성신호나 악음의 입출력신호를 제어하기 위해 설치된 회로로, 마이크로폰(MIC)(14)으로부터의 입력음성을 송수신 회로(6)로 송신하는 음성 송신기능이나 송수신 회로(6)에서 수신한 통화음성신호를 통화용 스피커(15) 및 외부출력단자(16)로 송출하는 음성재생기능 외에, 발음제어회로(8)로부터 수신하는 악음 신호를 통화용 스피커(15) 및 출력단자(16)로 송출하는 BGM 재생기능 등을 가지고 있다.
발음제어회로(8)는 착신 멜로디음이나 BGM음 등의 악음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일련의 처리를 독자적으로 행하는 회로로, 다수음을 동시에 발음하는 것이 가능하다. 요컨대, 악음 신호를 합성하여 발음용 스피커(17) 나 오디오 제어회로(7)로 송신함으로써 착신 멜로디나 BGM 등의 악음을 발음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발음제어회로(8)는 또한 디지털 악음 신호를 다른 디지털 악음 신호 이용기기로 송신하기 위한 디지털 출력단자(1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발음용 스피커(17)는 통화용 스피커(15)와 겸용으로 하여 한개에 모으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접속회로(9)는 운반이 가능한 탈착 가능 소형 기억매체(19)를 장착하기 위한 회로로, 장착된 소형 기억매체(19)로부터 악곡정보를 포함하는 각종정보를 조합할 수 있고, 반대로, 기억매체(19)에 정보를 기입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 I/F(l0)은 외부장치와의 케이블 접속용 단자를 구비하고, 이 단자에 접속되는 통신 케이블(20)을 통해, 다른 전화기 단말이나 퍼스널 컴퓨터(PC) 단말과 교신하여, 악 곡정보를 포함하는 각종정보를 이들 장치로부터 단말 시스템(TS)에 조합하거나, 단말 시스템(TS)으로부터 이들 장치에 수여할 수 있다.
소형 기억매체(19)에는 통신 케이블(20) 및 통신 I/F(10)를 통하여 다른 전화기 단말이나 퍼스널 컴퓨터 단말로부터 수신된 악곡정보나 설정정보를 기억하거나, 송수신회로(6)를 통하여 서버(BS)로부터 수신한 악곡정보나 설정정보를 기억해 둘 수 있다. 혹은 휴대용 단말장치(TS)를 이용하여 자동 작곡 또는 자동 편곡한 악곡정보를 기억 해 둘 수도 있다. 또한, 기억한 악곡정보나 설정정보를 판독하고, 착신 멜로디나 BGM 등으로서 발음시킨다. 추가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격납할 수도 있다.
〔발음제어회로(1)〕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발음 제어회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예에 발음제어회로(8)는 회로내에 CPU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휴대용 전화기 단말(단말 시스템(TS)) 본체에 장비되어 있는 본체 CPU(1)에 의해 동작 제어된다. 발음제어회로(8)는 시스템 버스(11)에 접속되는 버스 접속경로를 통해, 악곡정보, 연주정보, 설정정보나 그 밖의 다른 정보(재생개시/정지 등)를 송수신한다.
제어회로(21)는 상술의 버스 접속경로를 통해, 단말 시스템(TS) 본체와의 양방향 정보통신을 행할 수 있다. 본체측에서 미리 준비되거나 혹은 외부로부터 수신된 연주정보나 설정정보는 본체 ROM(2) 혹은 본체 RAM(3)에 기록 내지 격납되어 있지만, 제어회로(21)에 의해, 연주정보는 선입 선출되어 메모리(FIFO)(22)에 기억되 고, 음색 및 효과에 관한 설정정보는 음색/효과 RAM(23)에 기억시킬 수 있다. 이 경우, FIFO(22) 및 RAM(23)에 기억되는 연주정보 및 설정정보는 1악곡 정보분량의 전부 혹은 일부이다.
제어회로(21)는 또한, 본체측에서 지정된 설정음색 및 설정효과에 따라, 음색/효과 RAM(23) 내의 음색 설정정보 및 효과 설정정보(DSP 프로그램을 포함한다)를 판독하고, 음원회로(24) 및 효과회로(25)의 음색 및 효과를 설정한다. 제어회로(21)는 또한, FIFO(22)나 음색/효과 RAM(23)의 기억 허용량의 한계를 본체에 연결하고, 본체측으로부터의 정보통신의 일시정지를 요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FIFO(22) 및 판독회로(26)는 본체 ROM(2) 내지 본체 RAM(3)로부터 수신된 연주정보를, 순차, 음원회로에 송신하는 연주정보 공급제어장치로서 기능한다. 즉, FIFO(22)는 수신된 연주정보를 수신 순서대로 일시 기억하고, 판독회로(26)는 소정시간마다 FIFO(22)에 액세스하여, 정보가 있으면 그것을 순차 판독하여 음원회로(24)로 출력한다.
음원회로(24)는 예를들면, FM 음원으로, 복수음을 동시에 발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음원회로(24)는 음색/효과 RAM(23)으로부터 수신한 음색에 관한 설정정보에 근거하여 발음해야 할 음색을 설정함과 동시에, 판독회로(26)로부터 수신된 연주정보에 의거하여 설정되어 있는 음색에 대응하는 음원신호를 순차 합성하여 믹서(MIX)(27)로 출력한다.
효과회로(25)는 음색/효과 RAM(23)으로부터 수신된 효과에 관한 설정정보에 따라, 부여해야 할 리버브 등의 효과를 설정하는 회로로, 설정된 효과를 MIX(27)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DSP 프로그램에 따라 부여하고, 효과를 부여한 후의 신호를 다시 MIX(27)로 출력한다.
MIX(27)에는 단말 시스템(TS) 본체의 오디오 제어회로(7)와의 접속 경로를 통해, 통화음이 디지털 신호로 입력된다. MIX(27)는 음원회로(24), 효과회로(25) 및 오디오 제어회로에서 입력되는 모든 신호를 합계한다. 즉, MIX(27)로의 입력신호에는 (1) 음원회로(24)로부터의 합성 악음 신호 SM, (2) 오디오 제어회로(7)로부터의 통화음 신호 ST, (3) 효과회로(25)로부터의 효과 부여후의 신호 SE의 3종류가 있다.
여기서, 입력신호 SM, ST는 MIX(27)로부터 효과회로(25)에 선택적으로 출력되어 효과가 부여되지만, 이와 같이 효과부여를 위해 출력되는 신호 SM, ST는 단말 시스템(TS) 본체의 조작자(12) 중의 소정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MIX(27)는 합성한 전체 신호를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회로(DAC)(28)로 출력함과 동시에, 디지털 출력단자(18)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DAC(28), 진폭제어회로(VOL)(29) 및 증폭회로(AMP)(30)는 아날로그 출력장치를 구성한다. DAC(28)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악음신호는 음량이 VOL29에 의해 조정되고, 헤드폰 단자를 통해 단말 시스템(TS) 본체의 오디오 제어회로(7)로 출력되며, 혹은, AMP(30)를 통해 발음용 스피커(17)로 송신되어 악음으로서 방음된다. 즉, 합성된 모든 신호는 VOL29으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로 오디오 제어회로(7)측으로 출력되고, AMP(30)로부터도 아날로그 신호로 스피커(17)로 공급되어 음원으로서 방 음된다.
〔발음제어회로(2)〕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음제어회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 발음제어회로(8)는 회로내에 발음제어 CPU(31)를 구비하고, 본체 CPU(1)로부터 독립하여 발음제어회로(8)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발음제어CPU(31), 통신회로(32), 타이머(33), 발음제어 ROM(34), 발음제어 RAM(35), 음원회로(36), 효과회로(37), 믹서회로(MIX)(38), 진폭제어회로(VOL)(39) 등을 구비하고, 이들 장치31∼39는 발음제어회로용 버스(발음제어버스)(40)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통신회로(32)는 다음 2개의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다.
(1)「본체 버스(11)와의 사이에서 정보의 양방향 통신을 한다」= 본체 버스(11) 및 통신회로(32)를 경유하여 단말 시스템(TS)의 외부로부터 수신한 악곡정보, 연주정보, 설정정보 등을 발음제어 RAM(35)에 기록한다(또한, 발음제어 ROM(34)에는 발음제어를 위한 각종 테이블 등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음색이나 효과 등의 선택, 파라미터 변경, 재생할 악곡정보의 선택 등에 관한 각 정보(본체 조작자의 조작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한 정보는 발음제어 CPU(31)의 동작으로 해석되어, 각 정보에 맞춘 처리, 예를들면 선택된 음색에 관한 설정을 음원회로(36)에 대해 행하는(ROM(34) 혹은 RAM(35)으로부터 선택된 음색에 대응하는 설정정보를 판독하여, 음원회로(36)로 출력한다) 등의 처리가 실시된다.
또한, 본체 조작자의 조작에 의해, 발음제어회로내의 발음제어 ROM(34) 혹은 발음제어 RAM(35)내에 기록되어 있는 악곡정보나 설정정보의 에디트가 지시된 경우에는 ROM(34) 혹은 RAM(35)로부터 조작에 대응하는(선택된) 정보를 판독하고, 본체 RAM(3)로 송신한다(에디트 처리는 본체 RAM(3)를 사용하여 행해지고, 에디트 처리가 종료한 시점에서 다시 발음제어회로내의 RAM(35)에 정보가 덮어씌워진다).
(2)「오디오 제어회로(7)와 정보의 양방향 통신을 한다」= 발음제어회로(8)의 내부에서 합성된 악음 신호 등을 오디오 제어회로(7)로 송신하거나, 오디오 제어회로(7)로부터 수신한 통화음 신호 등의 신호를 발음제어회로(8)내에서 가공하거나, 또한, 가공된 신호를 다시 오디오 제어회로(7)로 송신하는 등의 처리를 행한다. 상술의 가공에는 예를들면, 통화음에의 효과 부여처리나 통화음성의 음고/음색변환처리가 있다.
발음제어 CPU(31)는 단말 시스템(TS) 본체로부터 독립하여 발음제어회로(8)내의 동작을 제어하고, 타이머(33)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발음제어 ROM(34)나 발음제어 RAM(35)내에 기억되어 있는 연주정보를 순차 판독함으로써, 착신 멜로디나 BGM 등의 악음을 재생한다. 발음제어 CPU(31)는 또한, 발음제어 ROM(34) 나 발음제어 RAM(35) 내의 설정정보를 발음제어 버스(40)를 통해 음원회로(36)나 효과회로(37) 등에 송신하여 재생시키고, 또한, 악음의 음색이나 부여효과의 설정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악음의 연주를 개시시키거나 종료시키는 처리는 본체의 조작자(12)를 이용한 지시조작에 의거하여 기동된다.
타이머(33)는 소정시간마다 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서 착신 멜로디음이나 BGM음 등의 악음의 발음 타이밍을 제어하고, 발생악음의 연 주 템포를 결정한다. 이 템포는 사용자에 의한 제어가 가능하다.
템포제어방법은 어떠한 것이라도 된다. 예를들면, 설정된 템포에 따라 타이머(33)로부터 생성되는 신호 주기를 변경하는(즉, 악곡정보의 처리주기를 변경한다)방법, 처리주기(타이머(33)로부터의 신호 주기)를 일정하게 하여 악곡정보 중의 타이밍 데이터의 값을 설정된 템포에 따라 변경하는 방법, 처리주기(타이머(33)로부터의 신호 주기)를 일정하게 하여 1회 처리에서 악곡정보 중의 타이밍 데이터의 계수 방법을 템포에 따라 변경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템포의 지정은 템포 절대치의 수치(“120”이나 “150” 등)에 의한 지정, 템포 표어(「알레그로」, 「모데라토」 등)에 의한 지정, 표준 템포에서의 변경〔퍼센트(%)나 증감치(±)〕의 지정, 감각적인 용어(「빠르다」, 「느리다」, 「중간 정도」등)에 의한 지정 등이 있다. 이들은 본체 조작자(12)를 이용하여 지정된다.
발음제어 ROM(34)은 착신 멜로디용이나 BGM용 등의 소정 악곡정보, 연주정보, 설정정보, 정보형식변환용의 변환 테이블, 정보압축용의 압축 테이블을 각각 복수로 기억하고 있고, 발음제어 RAM(35)은 추가된 혹은 신규로 작성된 다수의 악곡정보, 연주정보, 설정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
음원회로(36)는 이 예에서 FM 음원이고, 다수음의 동시 발음이 가능하다. 발음제어 ROM(34)나 발음제어 RAM(35)로부터 발음제어 버스(40)를 통해 송신되는 음색에 관한 설정정보에 따라 발음 음색을 설정한다. 음원회로(36)는 또한, 발음제어 CPU(31) 및 타이머(33)의 제어에 의해 발음제어 ROM(34)나 발음제어 RAM(35)로부터 송신되는 연주정보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음색에 대응하는 악음 신호를 순차 합성 하여, MIX(38)로 출력한다.
효과회로(37)는 발음제어 ROM(34)나 발음제어 RAM(35)로부터 발음제어 버스(40)를 통해 송신되는 효과에 관한 설정정보에 따라 악음에 부여하는 효과를 설정한다. 효과회로(37)는 또한, MIX(3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및 통신회로(32)로부터 입력되는 통화음 신호(ST) 등에 대해 효과를 부여하고, 부여한 후의 신호 SE를 다시 MIX(38)로 출력한다.
MIX(38)는 입력되는 신호를 합계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회로(DAC)(41) 및 디지털 출력단자(18)로 출력한다. MIX(38)에 입력되는 신호에는 (1)음원회로(36)로부터의 합성악음 신호(SM), (2)오디오 제어회로(7)로부터의 통화음신호(ST), (3)효과회로(37)로부터의 효과부여후 신호(SE) 등이 있다. MIX(38)는 효과부여를 위해, 입력신호(SM),(ST)를 선택적으로 효과회로(37)로 출력하고, 이 출력신호는 단말 시스템(TS) 본체측의 조작자(12)의 소정 스위치 조작에 의해 설정된다.
진폭제어회로(VOL)(39) 및 증폭회로(AMP)(42)는 아날로그 출력장치를 구성하고, DAC(41)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악음 신호의 음량은 VOL39에 의해 조정되며, 음량조정된 아날로그 악음 신호는 헤드폰 단자로부터 오디오 제어회로(7)로 출력됨과 동시에, 또한, AMP(42)를 통해 발음용 스피커(17)로 송신된다.
〔단말 시스템의 사용환경〕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 단말의 사용환경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제1환경에서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휴대용 전화기 단말(단말 시스템)(TS)에서 송수신회로(6)를 통해 기지국(서버국)(BS)에 통화를 하여, 원하는 악곡정보 등을 선곡하여 그 송신을 요구하면, 대응하는 악곡정보 등이 기지국(BS)으로부터 송신되고, 단말 시스템(TS) 내에 다운 로드되어, 이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시의 멜로디음 이나 통화중의 BGM음 등을 발음시킬 수 있다.
제2환경에서 단말 시스템(TS)은 통신 I/F(l0)에 접속되는 통신 케이블(20)을 통해 퍼스널 컴퓨터 단말 PC에서 작성된 악곡정보 등을 수신하여, 이를 멜로디나 BGM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시스템(TS)은 제3 환경에서 접속회로(9)에 장착되는 소형 외부기록매체(19)에 기록되어 있는 악곡정보 등을 기록매체(19)로부터 도입하고, 또한, 제4 환경에서는 다른 전화기 단말(OS)로부터 기지국(BS)을 경유하여 전화회선 및 송수신회로(6)를 통해, 혹은, 통신 케이블(20) 및 통신 I/F(l0)을 통해 다른 전화기단말(OS)의 악곡정보 등을 수신하고, 이들 정보를 악음발음에 이용할 수 있다.
기지국(BS), 퍼스널 컴퓨터 단말 PC, 외부기억매체(19) 또는 다른 전화기 단말(OS) 등의 악곡 정보원에서 단말 시스템(TS)에 도입되는 악곡정보는 정보원(BS), PC나 시스템(TS) 내에서의 편집, 압축, 형식변환 등에 의해 사용가능한 형태로 다운사이징된다.
예컨대, 이들 악곡정보원에서 단말 시스템(TS) 내로 도입되는 악곡정보(연주정보 및 설정정보를 포함한다.)는 자기종에 맞는 포맷의 경우도 있고, 별도의 포맷인 경우도 있다. 자기종에 맞는 포맷이 도입되는 경우는 미리 이 포맷으로 작성되어 있던지, 혹은, 별도의 포맷으로부터 포맷 변환(형식변환)된 것이며, 이 형식변 환은 기지국(BS) 혹은 퍼스널 컴퓨터 단말 PC 내에서 행해진다. 또한, 별도의 포맷이 단말 시스템(TS)에 도입되는 경우에는 단말 시스템(TS) 내에서 별도의 포맷을 단말 시스템(TS)에서의 포맷으로 변환한다.
〔정보 포맷〕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화기 단말의 자기종 정보 포맷의 예를 나타낸다. 이 휴대용 전화기 단말 시스템(TS) 및 이 단말 시스템(TS)과 동일한 포맷으로 정보처리를 행하는 동일기종의 다른 전화기 단말에서 취급이 가능한 「자기종 대응의 악곡정보 IA」는 도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음색/효과를 설정하는 설정정보(SA)와 악음연주용의 연주정보(MA)로 구성된다. 각 정보 SA, MA는 단말 시스템내 메모리(RAM3)의 기억 용량을 압박하지 않고, 또한, 보다 좋은 악음의 발음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필요최소한의 정보만을 기록한 것이며, 단말 시스템(TS) 내에서는 이들 정보에 따라 발음제어가 행해진다. 이하, 이 타입의 정보 포맷을 「자기종 포맷(A)」이라고 한다.
설정정보 SA는 음색에 관해서, (1)음색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음색 넘버(NA), (2)음원회로의 음색을 설정하기 위한 상세한 정보(음색 파라미터)(DA)를 포함하고 있다. (2)의 음색 파라미터(DA)에는 알고리즘 데이터(AA), 주파수 파라미터(F 파라미터)(FA), 엔벨롭 파라미터(EG 파라미터)(EA) 등이 있다.
알고리즘 데이터(AA)는 FM 음원의 다수의 오퍼레이터〔사인파 메모리+아웃풋 레벨 연산기+엔벨롭(EG) 파형 합성기의 세트〕의 조합, 즉 알고리즘을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이고, F 파라미터(FA)는 각 오퍼레이터마다의 판독 사인파의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며, EG 파라미터(EA)는 엔벨롭 파형(EG 파형)을 합성하기 위한 다수의 레벨치 및 레이트치를 설정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또한, 설정정보(SA)에는 이러한 음색 설정용의 정보(NA), (DA) 이외에 효과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정보, 효과회로(25)의 내용을 결정하는 효과 프로그램(DSP 프로그램), 음성정보, 화상정보 등이 있다.
연주정보(MA)는 타이밍 데이터(TM), 키 넘버(KN), 게이트 타임(GT)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주를 하기 위한 정보를 연주순서대로 기록한 것으로, 복수 동시 발음가능한 연주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도6은 타기종의 휴대용 전화기 단말의 종래형 정보 포맷의 예를 나타낸다. 휴대용 전화기 단말에서 착신 멜로디용 정보로서 사용하고 있는 종래 타입의 악곡정보(IB)는 도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기호a, b, c, ……로 이루어지는 기호열로 표시되는 연주정보만으로, 설정정보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하, 이 타입의 정보 포맷을 「종래형 포맷(B)」이라고 한다.
타기종의 연주정보(IB)는 보다 상세히 말하면, 소정의 규칙에 따라, 악곡의 연주순서대로 휴대용 전화기 단말에 장비되어 있는 텐 키로 입력가능한 기호(#,1,2,3,…)를 나열한 것이다. 예컨대, 숫자「1」은 ‘도’의 음고에, 숫자「2」는 ‘레’의 음고에, …, 상당하는 것으로 하고, 이들 숫자의 연속수에 따라 발음 음길이를 규정한다. 따라서, 기호열 a,b,c,…에 의해 「1-1-2-1-1-……」가 표시되는 경우, 이 기호열은 ‘도’를 4분음부 길이로 발음시킨 후, ‘레’를 8분음부 길이로 발음시키고, 그 후, 다시 ‘도’를 4분음부 길이로 발음시키는 악음을 나타낸다.
도7은 종래부터 전자악기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범용의 악음정보 포맷의 예를 나타낸다. 종래의 전자악기 등에서는 범용 악음 정보 포맷〔‘SMF’(Standard MIDI File) 포맷〕에 따라, 도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음색/효과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정보(SC)와 악음연주용의 연주정보(MC)로 구성되는 악음정보(IC)가 사용되고 있다. 이하, 이 타입의 정보 포맷을 「SMF 포맷(C)」이라고 한다.
설정정보(SC) 중 음색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는 (1)음색 식별정보로서의 음색 넘버(NC), (2)음색 설정용 상세정보(음색 파라미터)(DC)로 구성되어 있다.
(2)의 음색 설정용 상세정보(DC)는 도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단말 시스템(TS)용 음색 파라미터(DA)와는 달리, 정보량이 많다. 예컨대, 알고리즘 데이터(AC) 나 F파라미터(FC) 이외에 발음하는 음고에 따라 EG의 레벨을 제어하는 레이트 스케일 데이터(RS)가 기억되어 있거나, EG 파라미터(EC)에 대해서도 그 내용이 보다 상세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도5의 자기종 포맷(A)의 설정정보(SA) 중의 EG 파라미터(EA)보다 레벨치 및 레이트치의 수가 많다. 또한, 이러한 상세정보 DC 중의 과다정보는 단말 시스템(TS)을 포함하는 시스템내에서, SMF 포맷(C)으로부터 자기종 포맷(A)으로 형식 변환할 때에, 단말 시스템(TS)에서는 필수 불가결이 아닌 정보로서, 압축(삭제)되게 된다.
연주정보(MC)는「지속기간 DR + 이벤트 IV」형식의 정보로, 키 온, 키 오프 이벤트가 각각 지속기간 데이터(DR)와 함께 기억되므로, 정보량이 약간 많아진다. 또한, 각 키 온마다 벨로시티 데이터가 기록되는데, 이 벨로시티 데이터도 자기종 포맷(A)에의 형식변환시에 압축(삭제)된다.
또한, 도7의 악곡정보(IC) 및 도5의 악곡정보(IA)는 1 파트 구성으로서 기재되어 있지만, 이것은 설명상의 형편에 의한 것이고, 악곡정보 IC 및 IA는 복수 파트 구성인 것이 통상이다. 이 경우에는, 전 파트에 대해 설정정보가 1개만 기록되어 있어도 된다.
〔기지국과의 정보 수수(주고 받음)〕
도8 및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 시스템 및 기지국으로 이루어지는 제1 시스템에 있어서의 정보 수수 관계를 나타내는 기능적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자단말 즉 휴대용 전화기 단말 시스템(TS)은 기지국(BS)으로부터 악곡정보나 설정정보를 수신하지만, 이들 정보는 정보요구시에 기지국(BS) 측에서 필요에 따라 형식변환되어, 수신시에는 단말 시스템(TS)에서 이용가능한 정보로 되어 있다.
우선, 단말 시스템(TS)은 요구정보송신 모듈(S1)에 의해, 송수신회로(6)를 통해 기지국(서버국)(BS)에 전화하고, 소정 지시에 따라 서버국(BS)의 데이터 베이스(DB) 내의 정보에 대해 다운 로드를 요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서버국(BS)과의 통화중, 데이터 베이스(DB)에 축적되어 있는 악곡정보, 연주정보, 설정정보 등이 자단말 시스템(TS)의 표시부(13)에 순차 표시되기 때문에, 조작자(12)를 이용하여, 이들 정보의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번호를 키 입력하고, 또한, 요구결정조작을 행함으로써, 요구하는 다운 로드 대상정보를 나타내는 선택정보와 자단말 시스템(TS)의 기종·기번 및 단말 시스템(TS)의 음원회로(24)에 장비되어 있는 음원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서버국(BS)으로 송신한다.
서버국(BS) 에서는 단말 시스템(TS)으로부터 요구정보가 송신된 것에 응답하여 선택 판독 모듈(Bl)에 의해, 데이터 베이스(DB)에서 요구정보에 대응하는 악곡정보 등이 선택적으로 판독되고, 판독된 연주정보 등의 포맷 종류를 판단 모듈(도시생략)에 의해 판단한다. 이 판단이란 구체적으로는 판독된 정보에 첨부되어 있는 포맷 종류 정보(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그 정보의 포맷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말한다.)의 내용을 확인함으로써 포맷 종류를 판단하던지 혹은 포맷 종류 정보가 첨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판독된 정보의 내용으로부터 포맷 종류를 판단한다고 하는 처리이다. 그리고, 이 판단의 결과, 판독된 정보의 포맷 종류는 자기종 포맷(A)의 경우, 포맷 변환(형식변환)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즉시 과금 모듈(B2)에 건네진다. 한편, 판독된 연주정보 등이 종래형 포맷(B)과 같이 자기종과 다른 포맷인 경우에는 설정정보첨부 모듈(B3) 및 형식변환 모듈(B4)을 통해 과금 모듈(B2)에 건네진다.
설정정보첨부 모듈(B3)에 있어서는, 판독된 자기종과 다른 포맷의 연주정보가 예를들면, 종래형 포맷(B)의 정보와 같이 설정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이면, 설정정보를 첨부한다. 이 설정정보첨부에 의해, 설정정보를 가지지 않은 타기종의 연주정보라도 단말 시스템(TS)에서 음원기능을 살려 효과적인 음색/효과를 부여한 악음재생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설정정보 첨부방법에는 (1) 미리 정해진 설정정보를 첨부한다, (2) 사용자 선택의 설정정보를 첨부한다, (3) 연주정보에 어울리는 설정정보를 자동검출하여 첨부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설정정보가 첨부된 연주정보는 형식변환 모듈(B4)에 건네지고, 미리 준비 되어 있는 변환 테이블(TB)을 이용하여, 자기종 포맷(A)에의 형식변환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이 변환 테이블(TB)은 형식변환전 및 형식변환후의 포맷 조합마다 준비되어, 예를들면, 종래형 포맷(B)에서 자기종 포맷(A)으로의 변환규칙을 기술하고 있는 테이블로, 연주정보를 별기종 포맷(B)으로부터 자기종 포맷(A)으로 형식변환을 행한다.
또한, 타기종 포맷에는 도9에는 예시되어 있지 않지만, 종래형 포맷(B) 이외에 SMF 포맷(C) 등의 경우도 있고, 예를들면, SMF 포맷(C)의 정보가 판독된 경우는 변환 테이블(TB) 내의 SMF 포맷(C)으로부터 자기종 포맷(A)으로의 변환규칙을 이용하여 형식변환을 행한다. 따라서, 이러한 형식변환기능에 의해, 요구된 정보가 타기종(B, C 등)이어도, 자단말 시스템(TS)에서 발음가능한 악곡정보(IA)로 변환되어, 단말 시스템(TS)에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SMF 포맷(C)으로부터 자기종 포맷(A)으로의 변환 등의 경우에는,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형식변환 처리전에, 후술하는 도10의 정보 압축 모듈(P4)과 동일한 처리에 의해 정보 압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후, 과금 모듈(B2)에 있어서는 다운 로드에 대한 과금작업이 행해진다. 이 작업에서는 단말 시스템(TS)에서 송신된 식별정보(단말의 기종·기번, 음원종류)를 참조함으로써, 특정 기종 혹은 특정의 음원장치(서버국 등과 특정계약이 맺어져 있는 기종이나 음원장치)를 장비한 단말인 것이 인식된 경우에, 과금금액을 할인하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서버국(BS)은 과금작업후, 정보송신 모듈(B5)에 의해, 단말 시스템(TS)에서의 선택정보에 대응하는 자기종 포맷(A)의 악곡정보나 설정정보를 시스템(TS) 측으로 송신한다.
이에 대해, 단말 시스템(TS)에서는 정보수신 모듈(S2)에 의해, 서버국(BS)에서 송수신회로(6)를 통해 악곡정보나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다운 로드하고, 다운 로드된 정보는 본체 RAM(3)에 기억된다. 여기서, 요구정보송신 모듈(S1)에 의해 요구하고 나서, 요구에 대응하는 정보가 기지국(BS)으로부터 송신이 끝나기까지 동안, 단말 시스템(TS)은 통화상태이어도 된다. 또한, 요구정보 송신후에 일단 통화를 해제하고, 그 후의 통화처리(전자 메일이나 기지국(BS)으로부터의 회신통화)에 의해 요구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설정 모듈(S3)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설정조작에 의해 수신한 악곡정보에 의거하는 착신 멜로디 발음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을 행한다. 또한, 수신된 정보는 통화시의 BGM이나 수시로 음악 등으로서 재생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수신한 악곡정보나 설정정보가 수신후, 곧 착신 멜로디음이나 BGM음으로서 자동설정되어도 되고, 수신시에(수신정보를 확인하는 의미를 포함해서) 수신된 정보에 대응하는 악곡이 재생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지금까지 설명해 온 시스템에서는 기지국(BS) 측에서 악곡정보, 연주정보, 설정정보에 대한 설정정보첨부나 형식변환(및 정보압축)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후술하는 도11의 단말 시스템(TS)의 처리와 같이 단말 시스템(TS)측에서 설정정보첨부, 형식변환, 정보압축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퍼스널 컴퓨터와의 정보수수〕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 시스템 및 퍼스널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제2 시스템에 있어서의 정보 수수 관계를 나타내는 기능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 자단말 즉 휴대용 전화기 단말 시스템(TS)은 퍼스널 컴퓨터 단말 PC상에서 작성한 악곡정보나 설정정보를 수신하고, 이들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악곡정보나 설정정보는 임의의 포맷으로 작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조작성이 좋다는 이유로 종래의 SMF 포맷(C)에 따라 작성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자기종 포맷(A)과 다른 포맷으로 악곡정보나 설정정보가 작성된 경우는 송신시에 퍼스널 컴퓨터 단말 PC상에서 자기종 포맷(A)에의 포맷 변환(형식변환)이 행해진다.
퍼스널 컴퓨터 단말 PC에서 인스톨되어 있는 소정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선택 판독 모듈(P1)에 의해 SMF 포맷(C) 또는 자기종 포맷(A)에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단말(PC) 내의 데이터 베이스(DP)에서 착신 멜로디나 BGM 등으로서 사용하고 싶은 악곡정보나 설정정보를 선택하면, 이에따라, 정보편집 모듈(P2)에 의해, 선택한 악곡정보나 설정정보를 편집할 수 있게 된다. 이 편집작업으로는 예를들면, 설정정보내의 음색 파라미터나 효과 파라미터를 변경 또는 추가하거나, 악곡정보내의 연주정보로부터 착신 멜로디나 BGM 등으로서 사용하고 싶은 부분을 선택하여 잘라내거나, 선택한 악곡정보를 단말 시스템(TS)측에서 발음되는 것과 동일 설정으로, 즉 압축된 설정정보에 의거하는 음색이나 효과 등의 설정상태의「시험 발음」을 행하는 것 등이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 단말(PC)의 데이터 베이스(DP)에는 SMF 포맷(C)이나 자 기종 포맷(A)의 정보 이외에, 도6의 종래형 포맷(B) 등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어도 되고, 이들 정보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정보편집이나 도9의 설정정보첨부, 정보압축, 형식변환을 할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퍼스널 컴퓨터 단말 PC상에서 악곡정보를 신규로 작성하는 경우는 예를들면, 컴퓨터 단말 PC상에 인스톨되어 있는 종래의 SMF 타입의 스퀀서 소프트웨어(악곡정보작성 소프트웨어) 등을 이용하여 신규작성 모듈(P3)에 의해, 사용자가 손으로 입력하여 신규악곡정보를 작성한다. 여기서 작성되는 신규악곡정보는 예를들면, SMF 포맷(C)에 따르는 악곡정보이다.
신규작성 모듈(P3)은 또한, 자동작곡 소프트웨어(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신규악곡정보를 작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종래의 자동작곡 소프트웨어 내지 자동작곡장치를 응용하여, 예를들면, 종래의 자동작곡 소프트웨어로 작성된 한곡분의 악곡정보로부터, 원하는 구간의 악곡(정감있는 부분 등)만을 잘라내고, 다수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는 악곡정보 중, 필요최소한의 트랙(멜로디 트랙, 화음 트랙 등)의 정보만을 잘라내고, 잘라낸 구간의 악곡정보가 되풀이하여 재생되었을 시에 잘 연결되도록 연결부(구간선두 및 구간최종위치)를 보정하는 등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신규작성 모듈(P3)은 착신 멜로디나 BGM 등에 상당하는 악곡정보를 직접 자기종 포맷(A)에서 작성할 수도 있다.
정보편집 모듈(P2)로부터 판독 내지 재편집이 이루어진 정보나 신규작성 모듈(P3)로 신규로 작성된 정보 중, 정보 포맷이 SMF 포맷(C)과 같이 자기종 포맷(A)이 아닌 정보에 대해서는 정보 압축 모듈(P4) 및 형식 변환 모듈(P5)에 의해 정보 의 압축 및 형식변환이 행해진다. 한편, 자기종 포맷(A)의 정보는 즉시 정보 송신 모듈(P6)로 건네진다.
자기종 포맷(A)이 아닌 정보는 우선 단말 시스템(TS)에 기억할 수 있도록, 정보 압축 모듈(P4)에 의해, 미리 준비된 압축 테이블(TE)를 사용하여 그 내용이 압축된다. 이 압축 테이블(TE)은 압축전 및 압축후의 포맷조합마다 준비되고, 소정의 정보압축규칙을 기술하고 있다. 이 정보압축규칙에 의거하는 처리의 구체예로는 이미 설명한 SMF 포맷(C)(도7 참조)의 레이트 스케일(RS)이나 EG 파라미터(EC) 중의 과다정보같은 불필요한 정보를 자기종 포맷(A)으로의 변환시에 삭감하는 처리 외에, 복수 트랙(파트)구성의 연주정보로부터 필요한 트랙(멜로디 트랙 및 화음 트랙 등)의 연주정보를 추출하거나, 연주정보 중의 장식음을 삭제하거나, 연주정보중의 피치 벤드 데이터를 음고 데이터로 변경하는 등의 처리가 있다.
압축된 정보는 또한 다음 형식 변환 모듈(P5)에 의해 도8 및 도9의 실시예(제1 시스템)의 형식 변환 모듈(B4)과 마찬가지로 변환 테이블(TC)을 이용하여 예를들면, SMF 포맷(C)으로부터 자기종 포맷(A)으로의 형식 변환이 이루어진다.
원래 자기종 포맷(A)인 모듈(P2, P3)에서의 악곡정보 내지 설정정보 및 자기종 포맷(A)으로 압축·변환된 모듈(P5)에서의 악곡정보 내지 설정정보는 정보 송신 모듈(P6)에 의해 단말 시스템(TS)측에 송신되고, 통신 케이블(20) 및 통신 I/F(10)을 통해 단말 시스템(TS)내로 송신된다.
이에 대해, 단말 시스템(TS)에서는 정보 수신 모듈(Tl)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 단말 PC측(S)에서의 악곡정보나 설정정보가 수신되어 본체 RAM(3)내에 기억된 다. 또한, 설정 모듈(T2)에 있어서, 사용자의 설정조작에 의해, 수신한 악곡정보에 의거하는 착신 멜로디 발음이나 BGM 발음 등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을 행한다.
이 정보 수신 모듈(Tl) 및 설정 모듈(T2)의 처리는 전술한 도8의 정보 모듈(S2) 및 설정 모듈(S3)의 처리와 동일하다.
또한, 이상 기술한 구성에서 퍼스널 컴퓨터 단말 PC상에서 악곡정보, 연주정보, 설정정보의 편집을 행하도록 되어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도11의 정보 기록/편집 모듈(U5)과 동일한 처리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 단말 PC로부터 수신한 정보(편집이 없는 정보)를 단말 시스템(TS)측에서 편집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단말 시스템(TS)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통신 케이블(20)을 통해 퍼스널 컴퓨터 단말에 송신하고, 퍼스널 컴퓨터측에서 송신된 정보를 상술한 내용에 의거하여 편집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록매체 및 타단말과의 정보 수수〕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 시스템 및 기록매체 내지 다른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제3 시스템에 있어서의 정보 수수 관계를 나타내는 기능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 자단말 즉 휴대용 전화기 단말 시스템(TS)은 외부기억매체(19)나 다른 동일 기종 내지 이기종의 전화기 단말 (OSa, OSb) 등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착신 멜로디나 BGM 등으로 이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자단말 시스템(TS)에서 정보압축, 포맷변환(형식변환), 정보편집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다음에 상세히 설명하는 단말 시스템(TS)의 정보압축, 포맷변환(형식 변환), 정보편집 등의 처리를 다른 전화기 단말(OSa, OSb)에서 실시하고, 자기종 포맷(A)의 정보를 작성한 후, 작성된 정보를 단말 시스템 (TS)에서 수신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탈착가능한 소형 외부기억매체(19)에 악곡정보, 연주정보, 설정정보 등을 자기종 포맷(A) 혹은 다른 포맷(예컨대, 포맷B, C)에 기록해 두고, 이들 정보가 기록된 기억매체(19)를 자단말 시스템(TS)에 장착하여, 원하는 정보〔각 정보에는 그 정보가 어느 포맷으로 작성되어 있는가를 나타내는 정보(포맷종류정보)가 첨부되어 있다.〕를 접속회로(9)를 통하여 자단말 시스템(TS) 내에서 판독한다. 이 판독에 있어, 자단말 시스템(TS)의 조작자(12)의 소정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정보만을 판독할 수 있다.
다른 전화기 단말(OSa)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는 기지국(BS)을 경유하여 전화회선을 통해 송수신회로(6)로부터 자단말 시스템(TS)내로 조합된다. 또한, 별도의 다른 전화기 단말(OSb)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는 통신 케이블(20)을 통해 통신 I/F(l0)로부터 자단말 시스템(TS) 내로 조합된다. 이들 전화기 단말(OSa, OSb)에는 자기종 포맷(A)과 동일한 포맷정보를 사용하는 동일 기종 전화기 단말인 경우와, 예를들면, 종래형 포맷(B)이나 SMF 포맷(C)과 같이, 자기종 포맷(A)과는 다른 그밖의 포맷정보를 사용하는 이기종 전화기 단말인 경우가 있다.
여기서, 다른 전화기 단말(OSa, OSb)로부터의 송신에 대해서는 자단말 시스템(TS)의 지시조작으로 다른 전화기 단말(OSa, OSb)에 대해(원하는 정보를) 송신을 원한다는 취지를 연락하는 구성과, 다른 전화기 단말(OSa, OSb)의 지시조작으로 자 단말 시스템(TS)에 대해(원하는 정보를) 수신을 원한다는 취지를 연락하는 구성이 있어, 어느 구성을 이용해도 된다.
다른 전화기 단말(OSa, OSb)로부터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송신하는 각 정보에는 그 정보가 어느 포맷으로 작성되어 있는가를 나타내는 정보(포맷 종류 정보)가 첨부되어 있다. 또한, 수신측 단말인 자단말 시스템(TS)에서 수신정보를 리얼 타임으로 설정 사용하는 것(즉, 자단말 시스템(TS)에서의 수신후, 즉시 설정 사용하는 것)을 정보 송신측 단말인 다른 전화기 단말(OSa, OSb)측에서 요구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BS)을 통해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기지국(BS)에서 정보압축이나 형식변환 등(도9나 도10의 각 처리와 동일)을 행한 후에 수신측 단말(자단말)에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정보 수신/독해 모듈(U1)은 상술과 같이, 외부기억매체(19)로부터 악곡정보, 연주정보, 설정정보 등을 판독하거나, 다른 전화기 단말(OSa, OSb)로부터 송신되는 동일한 여러 가지 정보를 조합함과 동시에, 도9의 선택 판독 모듈(Bl)의 동작설명에서 기술한 처리와 마찬가지로, 판독 혹은 조합한 정보의 포맷 종류를 판단 모듈(도시생략)에 의해 판단한다. 그리고, 이 판단의 결과, 판독된 정보 혹은 수신한 정보 중, 종래형 포맷(B) 혹은 SMF 포맷(C) 등의 정보는 설정정보첨부 모듈(U2), 정보압축 모듈(U3)및 형식변환 모듈(U4)의 계열을 통해 압축·변환된 후, 정보기록/편집 모듈(U5)로 전달되고, 자기종 포맷(A)의 정보는 그대로 정보기록/편집 모듈(U5)에 건네진다.
설정정보첨부 모듈(U2),정보압축 모듈(U3) 및 형식변환 모듈(U4)은 기본적으 로 도8 및 도9의 실시예(제1 시스템) 및 도10의 실시예(제2 시스템)에 있어서의 설정정보첨부 모듈(B3), 정보압축 모듈(P4) 및 형식변환 모듈(B4, P5)에 의한 설정정보첨부, 정보압축 및 형식변환처리와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설정정보첨부 모듈(U2)에 의한 설정정보첨부, 종래형 포맷(B)의 정보와 같이, 설정정보가 첨부되어 있지 않은 정보에 대해서만 실행된다. 이러한 정보압축 및 형식변환처리는 일단 모든 정보를 수신하여 자단말 시스템(TS)내의 메모리(본체 RAM(3))에 기입한 후 실시하는 방법, 수신하면서 리얼 타임으로 압축·변환을 실행하여 필요한 정보만을 메모리(본체 RAM(3))에 격납하는 방법 등이 있다. 후자의 방법은 메모리 용량이 적은 휴대용 전화기 단말에 대해 유효하다.
정보기록/편집모듈(U5)에 건네진 정보는 이 정보기록 모듈(U5)에서 자단말 시스템의 본체 RAM(3)에 기록되고, 그 후, 조작자(12)의 각종 스위치를 이용하여 편집할 수 있게 된다. 이 편집작업에는 설정정보(SA) 중의 각종 파라미터(DA)의 추가, 삭제, 값변경 등이 있다. 또한, 이 정보기록/편집 모듈(U5)에 의해, 신규악곡정보를 작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설정 모듈(U6)에 있어서, 조작자(12)를 이용한 설정조작에 의해, 수신한 악곡정보 등의 정보에 의거하는 착신 멜로디 발음이나 BGM 발음 등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을 행한다.
〔자단말 시스템에서의 자단말 처리〕
도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 시스템의 자단말 처리 플로우의 일예를 나타낸다. 이 자단말 처리는 도8 및 도9의 실시예(제1 시스템), 도10의 실시예(제2 시스템) 및 도11의 실시예(제3 시스템)의 경우에 자단말 시스템(TS)에서 실 행된다. 우선, 제1 스텝TR(1)에 있어서, 단말 시스템(TS)의 전원이 온으로 되었을 시의 초기화 처리(이니셜라이즈), 예를들면, 소정 착신 멜로디의 설정, 음원회로(24), (36) 및 효과회로(25), (37)에의 초기 파라미터의 설정, 기타 휴대용 전화기 단말에 관한 초기화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후, 제2∼제6 스텝 TR2∼TR6의 처리 루틴이 순차로 실행된다.
제2 스텝 TR2는 송신처리 루틴으로, 이 스텝에서는 통상 통화시의 각종정보를 송신하는 이외에 필요에 따라 도8 및 도9의 실시예(제1 시스템)의 경우는 선택정보나 식별정보를 송신하고, 도10 및 도11의 실시예(제1및 제2 시스템)의 경우에는, 원하는 정보를 요구하는 요구정보를 송신하는 등의 처리를 행한다. 제3 스텝 TR3는 수신 처리 루틴으로, 이 스텝에서는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각종처리를 행하고, 수신정보를 착신 멜로디곡이나 BGM곡정보 등으로서 선택가능한 상태로 하는 등의 처리가 그 구체예이고, 통화요구의 수신확인에 관한 처리 등의 휴대용 전화기 단말의 통상처리도 행해진다. 이 스텝에서 도8 및 도9의 실시예(제1 시스템) 및 도10의 실시예(제2 시스템)의 경우는 수신한 정보를 본체 RAM3에 기입, 도11의 실시예(제3 시스템)의 경우에는 수신한 정보에 대해 설정정보첨부, 압축 및 형식변환의 처리를 실시하고, 이들 처리를 실행한 후의 정보를 본체 RAM(3)에 기입한다.
제4 스텝 TR4는 선택/설정 처리 루틴으로, 이 스텝에서는 조작자(12)의 소정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자단말 시스템(TS)의 본체 ROM(2)내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정보 또는 본체 RAM(3)내에 기억된 수신정보로부터, 착신 멜로디나 BGM 등에 사용하고 싶은 정보가 선택되었을 때의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 선택된 정보 중에 연 주정보가 있으면, 그 연주정보를 착신 멜로디곡정보나 BGM곡 정보 등으로서 사용가능하도록 판독 설정을 행한다. 또한, 선택된 정보 중에 설정정보가 있으면, 그 정보에 따른 각종 설정이 행해지고, 예를들면, 음원회로(24), (36)의 음색 파라미터의 설정, 효과회로(25), (37)의 효과 파라미터의 설정, 효과회로(25), (37)의 내용을 결정하는 효과 프로그램(DSP 프로그램)에 의한 효과회로 프로그램의 변경, 음성정보나 화상정보에 관련되는 설정 등을 행한다.
또한, 도8 및 도9의 실시예(제1 시스템)의 경우는 제4 스텝 TR4에서 조작자(12)의 소정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다운 로드하고 싶은 정보의 선택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또한, 도11의 실시예(제3 시스템)의 경우는 제4 스텝 TR4에서 조작자(12)의 소정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외부기록매체(19)로부터의 원하는 정보의 판독 지시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제5 스텝 TR5는 에디트 처리 루틴으로, 이 스텝에서 도11의 실시예(제3 시스템)의 경우, 조작자(12)의 소정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정보편집처리 내지 신규작성처리를 행한다.
이 단말 시스템(TS)에는 자동작곡기능을 가지게 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제6 스텝 TR6의 기타 처리 루틴에 있어서, 기타 처리로서, 자동작곡기능의 동작이 실행된다. 이 자동작곡기능으로서는 예를들면, (1) 사용자가 마이크 입력한 멜로디를 자동적으로 연주(악곡)정보로 변환하는 기능, (2) 조작자(12)의 소정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곡의 분위기 등을 선택함으로써 선택 조작의 결과에 따른 연주(악곡)정보를 자동 생성하는 기능, (3) 이미 작성 내지 기억되어 있는 연주정보에 대해, 그 연주정보에 어울리는 화음에 관한 연주정보를 자동 생성하는 기능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단말 시스템(TS)에는 스타일 재생 기능, 즉, 다수의 스타일 정보나 연주정보를 기록해 두고, 이들을 연결하여 악곡으로서 재생하는 기능을 가지게 할 수 있고, 이 경우, 제6 스텝 TR6의 그 외의 처리 루틴에 있어서, 스타일 재생기능의 동작이 실행된다. 또한, 제6 스텝 TR6에는 음악 게임 기능, 즉 자기종만으로 행하는 음악 게임이나 타기종과 통신하면서 행하는 음악 게임 등을 실행하는 기능을 가지게 해도 된다.
제2∼제6 스텝 TR2∼TR6의 처리 루틴은 다음 제7 스텝 TR7에서 단말 시스템(TS)의 전원이 오프된 것이 검출되지 않는 동안은(전원이 오프로 되지 않는 한) 반복 실행되며, 전원이 오프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이 자단말 처리는 종료한다.
〔기지국에서의 서버 처리〕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서버 처리 플로우의 일예를 도시한다. 이 서버 처리는 도8 및 도9의 실시예(제1 시스템) 및 도11의 실시예(제3 시스템)의 경우에, 기지국(서버국)(BS)에서 실행된다. 우선, 제1 스텝 BR1에서 소정 이니셜라이즈가 행해진 후, 제2∼제4 스텝 BR2∼BR4의 처리 루틴이 순차로 실행된다.
우선, 제2 스텝BR2의 수신 처리 루틴에 있어서는 도8 및 도9의 실시예(제1 시스템)의 경우, 다음 (1)∼(4)의 처리를 행한다 : (1) 단말 시스템(TS)에서의 다 운 로드 요구 통화에 응답하는 통화처리, (2) 통화응답시에 단말 시스템(TS)에서 송신되는 선택정보 및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처리, (3) 수신한 선택정보에 따라, 단말 시스템(TS)측에 송신해야 할 정보를 선택적으로 판독하는 선택판독처리(선택 판독 모듈(B1)), 또한, 필요에 따라 행해지는 설정정보 첨부처리(설정정보 첨부모듈(B3)) 및 형식변환처리(형식변환 모듈(B4)), (4) 수신한 식별정보에 따라 실시되는 과금처리(과금 모듈(B2)).
또한, 제2 스텝 BR2의 수신처리 루틴에서는 도11의 실시예(제3 시스템)의 경우, 다른 전화기 단말(OSa)에서 전화회선을 통해 단말 시스템(TS)의 송수신회로(6)에 정보를 송신할 때의 경유수단으로서, 양 단말(OSa, TS)사이에서의 정보의 송수신에 관여하는 경유처리가 행해지고, 이 때, 필요에 따라 형식변환처리가 실시된다.
다음 제3 스텝 BR3의 송신처리 루틴에 있어서는, 도8 및 도9의 실시예(제1 시스템)의 경우, 서버국(BS) 내의 데이터 베이스(DB)에서 판독되고, 필요에 따라 자기종 포맷(A)에 형식변환된 정보를 단말 시스템(TS)으로 송신하는 처리를 행하고, 송신시에는, 과금 관련 정보 등, 기타 정보를 첨부할 수도 있다. 또한, 도11의 실시예(제3 시스템)의 경우에는 단말 시스템(TS)에서 수신한 정보를 다른 전화기 단말(OSa)로 송신 하는 외에, 단말 시스템(TS)에서 선택된 서버국(BS)의 데이터 베이스(DB) 내의 정보를 다른 전화기 단말(OSa)로 송신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제4 스텝 BR4의 기타 처리 루틴에 있어서는, 단말 시스템(TS)에서의 요구에 맞춰, 악곡정보, 연주정보, 설정정보 등의 내용의 일부만을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설정정보 중의 음색에 관한 정보만을 송신하고, 효과에 관한 정보는 송신하지 않는 등의 처리를 행할 수 있고, 또한, 정보의 스트리밍 송신(리얼 타임 재생)에 의해, 악곡정보 등의「시험 청취」등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스트리밍 송신에 대해서는 예를들면 악곡정보를 재생하고, 재생된 각 이벤트를 리얼 타임으로 패킷화하고, 혹은 시간이 근접한 다수 이벤트를 그들 동안의 시간차 정보와 함께 모아 패킷화하며, 서버(BS)로부터 단말 시스템(TS)으로 스트리밍 송신한다. 단말 시스템(TS)에서는 송신된 패킷을 수신하고, 본체 RAM(3)이나 FIFO(22)에 일시적으로 축적하며, 축적된 악곡정보에 의거하여 악음을 재생한다.
제2∼제4 스텝 BR2∼BR4의 처리 루틴은 다음 제5 스텝 BR5에서 서버국(BS)의 전원이 오프된 것이 검출되지 않는 동안은 반복 실행되고, 전원이 오프된 것이 검출되면, 이 서버 처리는 종료한다.
〔퍼스널 컴퓨터에서의 PC 단말처리〕
도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퍼스널 컴퓨터의 PC 단말처리 플로우의 일예를 나타낸다. 이 PC 단말처리는 도10의 실시예(제2 시스템)의 경우에 퍼스널 컴퓨터 단말 PC에서 실행된다. 우선, 제1 스텝 PR1에서 소정의 이니셜라이즈가 행해진 후, 제2∼제6 스텝 PR2∼PR6의 처리 루틴이 순차로 실행된다.
제2 스텝 PR2의 선택처리 루틴에 있어서는, SMF 포맷(C) 또는 자기종 포맷(A)에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퍼스널 컴퓨터 단말 PC 내의 데이터 베이스(DP)에서 착신 멜로디나 BGM 등으로서 사용하고 싶은 악곡정보나 설정정보를 선택한다( 선택 판독 모듈(P1)).
제3 스텝 PR3의 신규작성 처리루틴에 있어서는 종래 타입의 시퀀서 소프트웨어, 악곡정보작성 소프트웨어, 자동작곡 소프트웨어(장치)등을 이용하고, SMF 포맷(C) 또는 자기종 포맷(A)에 따른 신규악곡정보를 작성한다 (신규작성 모듈(P3)).
제4 스텝 PR4의 편집처리 루틴에서는 선택한 악곡정보나 설정정보를 편집하고(편집 모듈(P2)), 또한, 제5 스텝 PR5의 송신처리 루틴에서는 정보압축처리, 형식변환처리 및 정보송신처리를 포함하는 처리가 실행된다(정보압축, 형식변환 및 정보송신 모듈P4∼P6).
또한, 제6 스텝 PR6의 기타 처리 루틴에 있어서는, 설정정보(SA)내에 기타 정보를 첨부한다. 여기서 첨부되는 기타 정보의 구체예를 들면, 효과회로의 내용을 결정하는 효과 프로그램(DSP 프로그램), 음성정보, 화상정보 등이다.
제2∼제6 스텝 PR2∼PR6의 처리 루틴은 다음 제7 스텝 PR7에서 퍼스널 컴퓨터 단말 PC의 전원이 오프된 것이 검출되지 않는 동안은 반복 실행되고, 전원이 오프된 것이 검출되면, 이 PC 단말처리는 종료한다.
〔음성정보 및 화상정보의 이용예〕
본 발명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악음 관계 이외의 설정정보로서, 음성정보나 화상정보가 이용된다. 예를들면, 음성정보에는 압축형식의 차에 의해, WAVE, AIFF, SOUND VQ, MP3 등의 포맷이 있지만, 이들 형식의 음성정보를 조합할 수 있도록 공통 포맷화를 행하고, 악음정보에 의한 악음 신호의 생성과 병행하여, 안내용 음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화상정보의 이용예로는 단말 시스템(TS)의 표시부(13)에 착신시나 통화상대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아이콘의 움직임을 악음의 재생에 동기하도록 제어하거나, 악음 신호에 대응하는 악보면을 순차로 표시할 수 있다.
〔가라오케 기능〕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장치에 있어서는, 시스템을 가라오케 모드로 하면, 악곡연주와 가사표시를 동기처리하여 악곡연주의 진행에 따라 가사의 표시상태를 순차로 추이시켜 가는 소위 “가라오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휴대용 전화기 단말(단말 시스템)(TS)에 “가라오케”기능의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단말 시스템(TS)의 조작자(12), (도1)에 포함되는 스위치류를 가라오케 모드 선택 스위치나 가라오케 곡선택 스위치 등에 사용한다. 이 경우, 이들 스위치는 가라오케 전용으로 스위치를 설치하던지 혹은 다른 기능에 사용하는 스위치를 유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가라오케 모드 선택 스위치를 조작할 때마다 가라오케 모드와 비가라오케 모드로 전환이 가능하게 하고, 가라오케 모드를 설정했을 시, 전화번호 입력용의 텐 키에 의해 가라오케곡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가라오케 모드에 있어서는 가라오케용의 악곡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라오케용의 악곡정보는 연주정보중에 연주 데이터와 가사 데이터를 포함하고, 다른 악곡정보와 함께 본체 ROM(내부 메모리)에 미리 기록해 두던지, 혹은, 탈착가능한 소형기록매체(l9), 퍼스널 컴퓨터 단말 PC, 다른 전화기 단말, 기지국(BS) 등의 다른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여 본체 RAM(내부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가라오케 모드에서는 본체 CPU1의 가라오케 처리기능에 따라, 이와 같이 기록된 악곡정보를 처리하고, 악곡정보중의 설정정보 및 연주 데이터를 발음제어회로(8)로 송신해 스피커(17) 또는 헤드폰으로부터 악곡연주출력을 방음시키는 한편, 악곡정보중의 가사정보에 따라 단말 시스템(TS)의 표시부(13)에 가라오케 가사의 표시제어를 행한다.
〔악곡정보의 포맷예〕
도15는 휴대용 단말장치에 있어서 가라오케 모드로 사용가능한 악곡정보의 포맷예를 나타낸다. 자기종 포맷(A)에 따른 1악곡분의 가라오케 모드에 적용가능한 악곡정보(IK)는 설정정보(SK) 및 연주정보(MK)로 구성되며, 연주정보(MK)는 연주 데이터(PK) 및 가사 데이터(WK)로 이루어진다. 설정정보(SK)에는 이미 설명한 설정정보(SA)와 마찬가지로, 음색 넘버나 음색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음색정보(CK), 효과 파라미터나 효과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효과정보(EK)가 있다. 설정정보(SK)에는 그 밖의 정보로서 텍스트 플래그(TF)가 있고, 텍스트 플래그(TF)는 연주정보(MK) 내에 가사 데이터(WK)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 연주 데이터(PK), 가사 데이터(WK)로서 기록되는 정보는 1개 악곡의 1구간(예를들면, 「정감있는」부분)의 정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악곡의 진행을 나타내는 연주 데이터(PK)는 내용적으로는 이미 설명한 연주정보(MA)에 상당하고, 타이밍 데이터(PT)나 연주 이벤트(PE)를 연주순서로 기록한 정보로, 엔드 데이터(EP)에서 끝난다. 연주 이벤트(PE)는 키 넘버나 게이트 타임을 한집단으로 한 정보이다. 또한, 가사 데이터(WK)는 연주정보(IK) 내의 연주 데이터(악곡)에 대응하는 가사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이고, 표시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데이터(WT)와, 표시내용이 되는 가사 텍스트를 나타내는 텍스트 이벤트 데이터(WE)가 악곡의 진행순서로 기록되어 있고, 엔드 데이터(EW)에서 끝난다. 가사 데이터(WK) 내의 타이밍 데이터(WT)는 각 텍스트 이벤트(WE)가 악곡의 연주에 동기하여 표시되도록 연주 데이터(PK) 내의 타이밍 데이터(PT)와 동기·대응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사 데이터를 동반하는 악곡정보는 이미 설명한 악곡정보 (IA), (IB), (IC)와 동일하게 외부로부터 수신된 것이어도 된다. 이 악곡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연주 데이터(악곡 진행 데이터)뿐만 아니라, 가사 데이터에 대해서도, 지금까지 설명해 온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정보압축이나 형식변환의 처리를 거쳐, 자기종용 가사 데이터(WK)의 형식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수신된 악곡정보는 상술과 같은 자기종 포맷(A)에 따른 악곡정보(IK)의 형식으로 기억된다.
도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 시스템에 있어서의 악곡연주와 가사표시의 동기처리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다양한 악곡정보는 내부 메모리 블록(KB1)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미리 내부 메모리(본체 ROM2)에 기록되어 있던지, 혹은, 외부장치 블록(KB0)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기지국(BS), 타단말(OS), 퍼스널 컴퓨터 단말 PC, 기억매체(19) 등의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여 내부 메모리(본체 RAM3)에 기록할 수 있다. 내부 메모리에는 악곡정보가 자기종 포맷(A)에 따른 정보기록형식으로 기록되고, 악곡정보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악곡정보가 자기종 포맷(A)에 따르지 않은 경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종 포맷(A)의 정보기록형식으로 변환된 다음, 내부 메모리에 기록된다.
내부 메모리(KBl)에 기록되어 있는 다양한 악곡정보로부터 원하는 악곡정보가 선택되고, 선택된 악곡정보는 가사 데이터(WK)를 동반하고 있으면, 정보분리 블록(KB2)에서 연주 데이터(PK)와 가사 데이터(WK)로 분리되어, 제어지령과 함께 데이터 제어회로 블록(KB3)에 건네진다. 이 때, 연주 데이터(PK)의 타이밍 데이터(PT)에 의거하여 연주 이벤트(PE)를 발음제어회로(8)의 음원회로〔24, 36(도2, 도3)〕의 루트로 송신하고, 가사 데이터(WK)의 타이밍 데이터(WT)에 의거하여 텍스트 이벤트(WE)를 표시회로〔5(제1도)〕의 루트로 송신한다.
제어회로 블록(KB31)은 정보분리 블록(KB2)으로부터 전달된 정보의 송신을 제어지령에 따라 제어한다. 즉, 제어지령이 착신 멜로디곡의 재생을 지시하고 있을 때는, 연주 이벤트(PE)만을 음원회로 블록(KB4)으로 송신하고, 가사표시(가라오케 기능)를 지시하고 있을 때는, 연주 이벤트(PE) 및 텍스트 이벤트(WE)(혹은, 텍스트 이벤트(WE)만)를 각각 음원회로 블록(KB4) 및 표시회로 블록(KB5)으로 송신한다. 그리고, 음원회로 블록(KB4) 및 표시회로 블록(KB5)은 각각 수신된 연주 이벤트(PE) 및 텍스트 이벤트(WE)에 따라 구동되어 악곡연주 및 가사표시를 행한다.
〔수신처리1〕
도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 시스템에서의 수신처리(도12의 스텝 TR3)의 하나의 구체예인 「수신처리1」의 플로우 챠트이고, 이 처리에 의해, 가라오케 모드를 포함하는 각종 모드로 단말 시스템(TS)이 동작되어도, 다른 장치부터의 통화요구를 받아 착신 멜로디곡의 재생개시를 지시할 수 있다.
최초의 스텝 KRl1는 통상의 휴대전화에 있어서의 통화요구 확인처리에 상당하고, 이 스텝에서는 다른 단말장치로부터 통화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통화요구가 있으면 스텝 KR12에서 통화요구가 있다는 취지를 표시한 후, 스텝 KR13로 진행하고, 통화요구가 없으면 이 수신처리1를 종료한다. 스텝 KR12에 있어서의 통화요구표시의 수법으로는 구체적으로 표시부(13)에 통화요구 아이콘을 표시시키거나, 미리 표시되어 있는 통화요구 아이콘을 점멸시키는 방법을 채용하고, 가사를 보고 있을 때에, 돌연 착신 멜로디음이 울리지 않도록 제어한다.
스텝 KR13에서는 착신 멜로디곡의 재생상태를 나타내는 RUN 플래그에 “1”를 세트하고, 다음 스텝 KR14에서 현재 이용하고 있는 데이터의 판독을 리세트하여 현재의 모드를 통화개시전에 강제적으로 일단 정지하고, 착신 멜로디곡의 판독을 세트한다. 예를들면, 현재의 모드가 가라오케 모드이면, 연주 데이터(PK) 및 가사 데이터(WK)의 판독을 리세트하고, 통화개시전에, 현재 표시중인 가사를 소거하여 현재 재생중인 악음을 소음하여 현재의 모드를 강제적으로 일단 정지한다. 또한, 현재 모드를 통화개시전에 강제적으로 종료시키도록 해도 된다. 한편, 착신 멜로디곡에 대해서는 착신 멜로디음으로서 선택되는 악곡정보의 설정정보에 따라 각부를 설정함과 동시에, 데이터 판독 위치를 연주 데이터 선두위치에 세트한다.
〔기타 처리1〕
도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 시스템에서의 기타 처리(도12의 스텝 TR6)의 하나의 구체예인 「기타 처리1」의 플로우 챠트이고, 이 처리에 의해, 통화개시의 조작에 응답하여 착신 멜로디곡의 재생종료를 지시할 수 있다. 최초의 스텝 KR21은 통상의 휴대전화에 있어서의 통화 개시처리에 상당하고, 이 스텝에서는 통화를 개시하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통화개시상태이면 스텝 KR22로 진행하여 착신 멜로디곡의 재생상태를 나타내는 RUN 플래그에 “0”으로 이를 리세트하고, 통화개시상태가 아니면 기타 처리1을 종료한다.
〔선택/설정처리1〕
도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 시스템에서의 선택/설정처리(도12의 스텝 TR4)의 하나의 구체예인 「선택/설정처리1」의 플로우 챠트이고, 이 처리에 의해, 휴대용 전화기단말(단말 시스템)(TS)의 조작자(12)내의 가라오케 모드선택 스위치를 조작하여 가라오케 모드를 기동시킬 수 있다. 이 처리에 의해 가라오케 모드의 기동지시가 있으면, 악곡재생 및 가사(텍스트)표시가 개시된다.
최초 스텝 KR31에서는 가라오케 모드선택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가라오케 모드의 설정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가라오케 모드선택 스위치의 설정조작이 이루어졌을 때는 스텝 KR32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때는 즉시 이 선택/설정처리1를 종료한다. 스텝 KR32에서는 재생하는 곡을 내부 R0M내에서 선택한다. 이 경우, 선택한 곡의 악곡정보내에 가사 데이터가 없으면, 그 취지를 표시한다. 또한, 곡선택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 착신 멜로디음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악곡정보를 선택곡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스텝 KR33에서 현재 이용하고 있는 데이터의 판독을 리세트하여 현재의 모드를 정지한 후, 스텝 KR34에서 가라오케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가라오케 플래그를 반전하여, 이 선택/설정처리1를 종료한다. 이 가라오케 플 래그의 “1”는「가라오케 모드 설정중」을 나타내고, “O”는「가라오케 모드 해제중」을 나타낸다.
또한, 스텝 KR32에 있어서, 가라오케 플래그가 “0”이고 가라오케 모드의 세트가 가능한 경우, 가라오케 재생하는데 선택한 곡의 악곡정보내에 가사 데이터가 없을(텍스트 플래그(TF)의 체크에 의해 검출)때는 스텝 KR34에서 가라오케 “0”→“1”로서 가라오케 모드로 악곡연주만을 행하도록 하던지, 혹은 가라오케 플래그를 반전하지 않고 가라오케 모드로 이행하지않도록 할 수 있다.
〔인터럽트 처리1〕
도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 시스템에 있어서의 인터럽트 처리의 일예인 「인터럽트 처리2」의 플로우 챠트이다. 이 처리는 자기종 휴대용 전화기단말(단말 시스템)(TS)의 메인 처리에 대한 인터럽트 처리로, 타이머의 클록 타이밍마다 기동된다. 최초 스텝 KR41에서는 RUN 플래그가 “1”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RUN=“1”이면 스텝 KR42으로 진행한다.
스텝 KR42에서는 연주 데이터에 따라, 순차, 연주 이벤트를 음원회로〔24, 36(도2, 도3):KB4 (도16)〕로 송신하고, 대응하는 악음을 발음시킨다. 즉, RUN=“1”은 착신 멜로디음이 재생중인 것을 나타내고, 통화요구시나 통화요구음 발음시에 착신 멜로디음으로서 선택되는 악곡정보의 연주 데이터에 따른 악곡재생을 행한다. 이 경우, 악곡의 진행 타이밍은 별도의 인터럽트 처리로 카운트된다. 또한, 착신 멜로디음의 발음중은 가라오케 모드의 설정(가라오케=“1”)이 무시되고, 표시회로〔5(도1):KB5(도16)〕에 의한 가사표시가 진행되지 않도록 자동제어된다.
한편, 스텝 KR41에서 RUN=“0”이라고 판단되면, 스텝 KR43으로 진행하고, 이 스텝 KR43에서 가라오케 플래그가 “1”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가라오케=“1”이면 스텝 KR4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 인터럽트 처리2를 종료한다.
스텝 KR44에서는 가사 데이터에 따라, 순차, 텍스트 이벤트를 표시회로(5:KB5)에 송신하고, 대응하는 악음을 발음시켜, 스텝 KR42으로 진행한다. 즉, RUN=“0”(착신 멜로디음 비재생), 가라오케=“1”은 가라오케 모드중인 것을 나타내고, 스텝 KR44에서는 선택되어 있는 가라오케 악곡의 가사 데이터(WK)에 따라 가사를 표시하고, 스텝 KR45에서는 선택되어 있는 가라오케 악곡의 연주 데이터(PK)에 따라 악곡을 재생한다. 따라서, RUN=“0”, 가라오케=“1”일때는 양 스텝 KR44, KR42의 처리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가라오케 악곡의 연주 데이터(PK) 및 가사 데이터(WK)에 따라 악곡재생 및 가사표시를 동기할 수 있다.
즉, 연주 데이터(PK)에 대해서는 연주순으로 기록한 타이밍 데이터(PT) 및 연주 이벤트(PE)를 순차로 판독하여 악곡을 재생함과 동시에, 가사 데이터(WK)에 대해서는 표시순으로 기록한 타이밍 데이터(WT) 및 텍스트 이벤트 데이터(WE)를 순차로 판독하여 가사표시를 해간다. 이 때, 표시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데이터(WT)는 타이밍 데이터(PT)와 동기·대응하고 있으므로, 가사표시는 악곡의 연주에 동기하여 변화시킬 수 있다. 가사표시는 표시하고 있는 가사부분 중, 악곡의 연주에 대응하여 현재 발성해야 할 문자 혹은 발성이 끝나야할 문자에 대해 휘도를 높이거나, 밑줄·해칭·흑백반전 등의 수식을 실시하는 강조표시수법을 이용하여, 통상의 가라오케장치에 있어서의 문자표시의 색바꿈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양한 가라오케 형태〕
또한, 가라오케 모드에 있어서는, 악곡을 재생하지 않고 가사의 표시만을 행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가사표시의 진행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악곡의 1부분뿐만 아니라 악곡전체에 대응하는 가사 데이터와 연주 데이터를 연주정보로서 기록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착신 멜로디곡 재생시에는 악곡의 소정부분(예를들면, 「정감있는」부분 등)만을 재생시키 도록 하고, 가라오케 재생시에는 전체를 재생시키도록 하면 된다.
또한, 가사 데이터만에 대해 악곡 전체분을 기록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 가라오케 재생 모드(「연주 유」 모드)에서는 연주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분의 가사만을 순차 표시하고, 가사표시만의 모드에서는 악곡전체의 가사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순차, 표시부에 표시해 가도록 하면 된다.
〔에디트 기능〕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 시스템에 있어서는 도11의 정보기록/편집 모듈(U5) 이나 도12의 에디트 처리(TR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작자(12)의 각종 스위치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편집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에디트 처리의 구체예를 소개한다.
에디트 처리시에 사용되는 에디트 모드 선택 스위치나 에디트용의 각종 스위치는 단말 시스템(TS)의 조작자(12)(도1)에 포함된다. 이 경우, 이들 스위치는 전 용 스위치로서 별도 설치하거나, 혹은, 다른 기능에 사용하는 스위치를 유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에디트 모드 선택 스위치를 조작할 때마다, 에디트 모드와 비에디트 모드를 전환 가능하게 하고, 에디트 모드로 하였을 때, 전화번호 입력용 텐 키에 의해 에디트하고 싶은 정보의 선택 혹은 에디트시의 파라미터치의 설정(별도의 키로 텐 키 입력 모드를「정보선택」/「파라미터 설정」으로 전환한다)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설정처리2〕
도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 시스템에서의 선택/설정처리(도12의 스텝 TR4)의 별도의 구체예인 「선택/설정처리2」의 플로우 챠트이다. 최초의 스텝 ERl1에서는 휴대용 전화기단말(단말 시스템)(TS)의 조작자(12)중의 에디트 모드선택 스위치의 설정조작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 조작이 이루어졌을 때는 스텝 ER12로 진행하고, 조작이 없을 때는 즉시 이 선택/설정처리2를 출력한다.
에디트 모드 선택 스위치는 에디트 모드의 개시 및 종료를 지시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로, 조작할 때마다 에디트 플래그의 내용을 반전한다. 여기서, 에디트 플래그의 내용이 “1”일때는 에디트 모드중인 것을 나타내고, “O”일 때는 에디트 모드가 아닌 것(비에디트 모드상태)을 나타낸다. 또한, 모드는 한번에 한개만 설정 가능하고, 예를들면, 에디트 모드설정 조작이 있을 때에 가라오케 모드중(가라오케=“1”)이면, 가라오케 모드는 강제적으로 종료된다.
스텝 ER12에서는 에디트 플래그를 반전하고, 계속해서, 스텝 ER13로 진행한다. 스텝 ER13에서는 에디트 플래그가 “0”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에디트=“0”( 비에디트 모드상태)이면, 스텝 ER14로 진행하여 선택한 정보에 편집내용을 덮어씌워 저장한 다음, 이 선택/설정처리2를 종료하고, 에디트=“1”(에디트 모드중)이면, 스텝 ER15로 진행한다. 스텝 ER14의 처리에 의해, 에디트 모드종료시에는 본체 RAM3의 일시 기억영역에 기억하고 있는 편집내용을 덮어씌워 보존할 수 있다.
스텝 ER15에 있어서는 단말 시스템(TS)의 조작자(12)내의 텐 키의 입력 모드를「정보선택」측으로 전환하고, 음색정보, 효과정보, 연주 데이터, 가사 데이터 등 중에서 에디트하고 싶은 정보를 텐 키로 지시함으로써, 지시된 정보가 선택된다. 또한, 정보의 선택이 없는 경우는 착신 멜로디로서 설정되어 있는 악곡의 음색정보 또는 연주 데이터를 에디트 정보로서 설정한다. 그리고, 다음 스텝 ER16에서는 선택(또는 설정)된 정보의 일부(예를들면, 선두부)를 표시부(13)에 표시한 후, 이 선택/설정처리2를 종료한다.
〔에디트 처리1〕
도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 시스템에서의 에디트 처리(도12의 스텝 TR5)의 하나의 구체예인 「에디트 처리1」의 플로우 챠트이다. 이 처리 플로우의 최초 스텝 ER21에서는 에디트 플래그가 “1”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에디트=“1”(에디트 모드중)이면 스텝 KR22로 진행하여 편집하고 싶은 데이터를 선택하고, 한편, 에디트=“0”이면 즉시 이 에디트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ER22에서는 조작부(12)의 데이터 선택 스위치 등을 조작하여 표시부(13)의 표시를 순차 전환하고, 파라미터나 음부, 타이밍 등, 편집하고 싶은 데이터의 값을 표시시킨다. 다음 스텝 ER23에서는 실제의 편집작업으로 들어가, 조 작부(12)의 전화번호 입력용 텐 키의 입력 모드를 「정보선택」으로부터 「파라미터 설정」측으로 전환하고, 텐 키 등을 조작함으로써, 새로운 파라미터치를 입력하거나, 혹은, 완전히 새롭게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나아가 삭제하기도 한다.
다음에, 스텝 ER24에서 편집된 내용을 본체 RAM3의 일시기록영역에 일시기억시켜 두고, 스텝 ER25로 진행한다. 또한, 일시기억해 둔 편집내용에 대해서는 에디트 모드의 종료시에, 실제 데이터에의 덮어씌우기 처리가 행해진다. 그러나, 에디트 모드 도중에 덮어씌우기를 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스텝 ER25에서는 착신 멜로디곡의 재생상태를 나타내는 RUN 플래그가 “1”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RUN=“1”(착신 멜로디곡 재생중)이면, 스텝 ER26에서 에디트 플래그에 “0”를 세트한 다음, 스텝 ER26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RUN=“0”:착신 멜로디곡 비재생상태) 에디트처리1를 종료한다. 스텝 ER27에서는 편집내용을 덮어씌울지 여부를 판단하여, 덮어씌울 경우는 스텝 ER28로 진행하여 덮어씌우기를 실행한 후, 에디트 처리1를 종료한다. 또한, 덮어씌우기를 하지않을 경우에는 즉시 에디트 처리1를 종료한다.
에디트 모드중에 통화요구가 있으면, 에디트 모드는 강제적으로 종료되지만, 현재까지의 에디트 내용을 남길지 여부는 스텝 ER28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이 가능하고, 예를들면, 덮어씌울지 여부를 촉구하는 보존여부의 표시가 표시부(13)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이 경우, 조작부(13)의 YES/NO 조작 스위치로 보존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또한, 보존여부의 표시가 행해지는 동안은 착신 멜로디곡의 발음처리로 이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처리1(도17 : 스텝 KR12)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에디트 모드시에(다른 모드에 있어서도 동일하지만) 통화 요구가 있으면, 통화 요구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부(13)의 화면상에 표시된다. 이와같은 경우, 착신 멜로디곡이 울리기 시작해도 되지만, 돌연 착신 멜로디음이 울리기 시작하면 사용자가 놀라므로 아이콘을 표시시키는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디트 모드에서는 이미 기록되어 있는 정보의 편집 이외에 상술과 동일한 순서를 이용하여 신규로 음색 정보, 결과 정보, 가사 데이터 등의 정보를 작성하여 기록·등록할 수 있다.
〔음성 작곡기능〕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 시스템에서는 기타 처리(도12:TR6)의 자동 작곡기능의 제1예로서 든 것처럼, 단말 시스템에 입력되는 음성으로부터 악곡 정보를 작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이와같은 음성 작곡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 시스템의 음성 작곡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이 기능 블록도에 의해 나타나는 음성 작곡기능을 실현하는 처리는 구체적으로 본체 CPU(1)의 지시에 의해 표시되는데, 도3의 발음 제어 CPU(31)와 같이 발음 제어회로(8)가 CPU를 장비한 것이면, 발음 제어회로측 CPU의 지시에 의해 처리를 실행시키도록 해도 된다.
입력 모듈CA1은 휴대용 전화기 단말(단말 시스템)(TS)(도1)의 마이크(14)(도1)로부터 입력되는 음(가성)〔마이크 입력음〕을 조합하는 마이크 입력 블록(CA11) 및 송수신회로(6)를 통해 수신한 통화음(통화상대의 가성)〔통화 입 력음〕을 조합하는 통화음 입력 블록(CA12)으로 이루어지고, 마이크 입력 음성 혹은 통화 입력음을 데이터 소스로서 조합한다.
데이터 소스로서 이용하는 입력음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전환 모듈(CA2)은 조작자(12)의 통화 번호 입력용 텐 키를 조작함으로써, 마이크 입력음 혹은 통화 입력음중 어느 하나를 데이터 소스로서 이용할지를 설정한다. AD 변환 모듈(CA3)은 오디오 제어회로(7)(도1)에 의해, 입력 모듈(CA1)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소스 입력음을 아날로그 형식으로부터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한다.
잡음량 설정 모듈(CA4)은 우선 입력 모듈(CA1)로부터의 데이터 소스 입력음에 포함되는 잡음의 음량 레벨을 다음 처리에 의해 설정한다. : (1) 예를들면, 입력 대기를 촉구하는 취지를 표시부(13)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대해 마이크음 혹은 통화음의 입력 개시를 소정 시간만큼 대기시키고, 그 대기기간(무음 기간)동안에 입력 모듈로 입력되는 음을 잡음으로서 검출한다(검출 기능). (2) 검출된 잡음 중의 최대음량을 잡음량(잡음 최대 레벨)으로서 설정한다(설정기능).
이와같은 처리가 종료한 후는 잡음량 설정 모듈(CA4)에 의해 예를들면 입력 개시를 재촉하는 음을 표시부(13)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마이크음 혹은 통화음의 입력 개시를 촉구한다. 잡음 제거 모듈(CA5)은 A/D 변환 모듈(CA3)에 의해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된 데이터 소스 입력음으로부터 잡음량 설정 모듈(CA5)에 의해 설정된 잡음 최대 레벨 이하의 음정보를 삭제한다.
음고 검출 모듈(CA6)은 잡음이 삭제된 데이터 소스 입력음으로부터 음고열을 추출한다. 이 음고열의 추출에는 예를들면 주파수 분석에 의한 검출방법을 이용한다. 또한, 기록할 정보 용량을 삭제하기 위해, 소정 시간 이내에 다수음이 발생하도록 인식된 경우에는 그 다수음 중 선두음 이외를 삭제한다. 구체적으로는 음 길이의 최저길이를 소정 시간(예를들면, 8분음부)으로 하고, 이에 의해 적은 시간에 발생하는 음에 대해서는 삭제한다. 또한, 음고군이 소정 음역에 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검출된 음고열을 소정 음역까지 전체적으로 트랜트포즈하는 트랜스포즈 기능을 장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트랜트포즈 기능에 의해 입력되는 음의 음역이 저음역이어도 착신 멜로디로서 이용 가능한 음역으로 자동 변환할 수 있다.
데이터 작성 모듈(CA7)은 음고 검출 모듈(CA6)에서 검출된 음고열을 자기종 포맷(A)에 대응하는 정보로 변환하고, 본체 RAM3 혹은 제어 RAM35에 기록한다.
〔자동 작곡기능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시스템에 있어서는, 퍼스널 컴퓨터 단말 PC측의 신규 작성 모듈(도10 : P3)에 대해 설명한 바와같이, 자동 작곡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도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성 작곡 기능을 블록화하여 표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이 기능 블록도에 의해 도시되는 자동 작곡 기능을 실현하는 처리는 기본적으로 퍼스널 컴퓨터 단말 PC(도10 : P3)에서 실행하는 것으로 설명하는데, 이와같은 자동 작곡기능을 단말 시스템(TS)에 탑제하도록 해도 된다.
수동 입력 모듈(CB1)에서는 사용자가 종래 타입의 시퀀서 장치(시퀀서 기능 부여 퍼스널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악곡 정보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동으로 입력(작성)입력한다. : (1) 장치에 접속된 전자 악기를 연주하여 악곡 정보를 입력 하는 방법, (2) 퍼스널 컴퓨터 단말 PC에 접속된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입력용 화면을 이용하고, 단말 PC에 접속된 키보드나 마우스를 이용하여 수치 입력 등에 의해 악곡 정보를 작성하는 방법, (3) 미리 준비된 부분곡 데이터(패턴 데이터)를 연결하여 1곡분의 악곡정보를 작성하는 방법 등.
한편, 자동 작곡 모듈(CB2)에서는 우선 작성하고 싶은 악곡의 일부 데이터를 사용자가 입력한다. 이 입력에는 예를들면 전자악기를 실제로 연주하거나 퍼스널 컴퓨터 단말 PC의 표시화면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 단말 PC내에 다수의 부분곡 데이터(패턴 데이터)를 미리 준비해 두고, 이들 부분곡 데이터 중에서 악곡 일부 데이터를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같이 하여 악곡의 일부 데이터를 입력한 후, 이미 알려진 악곡 자동 생성 수법을 이용하여 입력된 악곡의 일부 데이터로부터 한곡분의 악곡 정보를 자동적으로 생성한다.
수동 입력 모듈(CB1) 또는 자동 작곡 모듈(CB2)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작성된 악곡 정보 혹은 미리 퍼스널 컴퓨터 단말PC에 기록되어 있는 악곡 정보는 곡해석 모듈(CB3)에 입력된다. 곡해석 모듈(CB3)에서는 입력(작성)된 한곡분의 악곡 정보를 인트로부, 필-인부, 메인부, 엔딩부 등의 음악적인 구간으로 분할하기 위해, 악곡 정보의 내용을 해석한다.
구간 분할 모듈(CB4)에서는 곡해석 모듈(CB3)에서의 해석 결과에 따라 악곡 정보를 다수의 구간 정보로 분할하고, 구간 선택 모듈(CB5)에서는 분할된 다수의 구간 정보중 어느 하나를 착신 멜로디 또는 BGM으로서 이용할지를 자동적으로 선택한다. 이 구간 정보의 선택에 대해서는 다수의 구간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예를 들면 구간 정보마다 시험 청취가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에게 원하는 구간 정보를 선택시키도록 해도 된다.
트랙 선택 모듈(CB6)에서는 선택된 구간 정보가 다수 트랙〔파트〕구성인 경우에는 필요 최소한의 트랙수로 축소한다. 이 축소에는 예를들면 유사한 음색으로 연주되는 파트가 다수이면, 그 중 1개만 남기고, 그 이외의 파트에 관한 정보를 삭제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반복부 보정 모듈(CB7)에서는 트랙 선택처리(CB6)까지의 처리가 종료된 구간 정보에 관해, 그 구간 정보를 반복 재생했을 시에, 그 구간의 선두위치의 음과 최종 위치의 음이 원활하게 연결되도록 구간 선두위치의 음 혹은 구간 최종위치의 음(혹은 그 근방의 음)을 수정·보정한다. 그리고, 마지막에 정보 기록 모듈(CB8)에 의해 작성된 구간정보를 퍼스널 컴퓨터 단말PC의 기록 영역(RAM)에 기록함과 동시에, 도10의 정보 압축 모듈(P4)로 출력한다.
〔악곡 데이터의 자동생성처리(자동작곡처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시스템에 있어서는, TS 자단말에서의「기타 처리」(도12: 스텝 TR6)나 PC 단말에서의 신규작성(도10: 신규작성모듈 P3, 도14: 스텝부PR3)으로 설명한 자동작곡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단말 시스템 TS나 퍼스널 컴퓨터 단말 PC측에서 악곡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도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장치의 악곡 데이터의 자동생성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처리 플로우도이다. 본 방법에서는 휴대용 단말시스템 TS에서 분위기 등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악곡 데이터가 자동적으로 생성된다. 이 처리 플로우도에 의해 나타나는 악곡 데이터 자동생성처리(자동작곡처리)는 단말 시스템 TS에서 실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물론 퍼스널 컴퓨터 단말 PC에서 실행하도록 해도 되고, 또한, 도24의 자동작곡모듈 CB2에 적용할 수 있다.
도25에 나타나는 방법에 있어서는 휴대용 단말시스템 TS에서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악곡 데이터를 자동생성하기 위해 악곡의 휠링(feeling)마다 복수 종류의 멜로디 생성용 데이터 및 코드 진행 데이터를 본체 ROM2 또는 본체 RAM3에 미리 기억시켜 놓는다. 또한, 이 멜로디 생성용 데이터 및 코드 진행 데이터는 송수신회로(6)를 통하여 서버국BS으로부터 수신해도 된다. 혹은 통신 인터페이스(10)를 통하여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거나, 접속회로(9)를 통하여 탈착 가능한 소형 기록매체(19)로부터 로드해도 된다.
이 악곡 데이터 자동생성처리에 의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휠링에 따른 다수 종류중에서(예를들면, 무작위로) 한그룹의 멜로디 생성용 데이터 및 코드 진행 데이터가 선택되고, 이들 데이터에 따라 또한 사용자의 기호에 의해 데이터의 수정을 행하면서, 멜로디가 자동적으로 생성된다. 이러한 멜로디 등의 악곡의 자동생성에 대해서는 본건 출원인에 의한 특허출원(특원평 11-019625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악곡의 휠링으로서는 예를들면, 「상쾌하게」, 「부드럽게」, 「쓸쓸하게」, 「섹시하게」 등이 있다. 각 휠링마다 다수 종류의 멜로디 생성용 데이터 및 코드 진행 데이터가 대응하고 있고, 선택된 휠링에 대응한 다수종류의 멜로디 생성용 데이터 및 다수 종류의 코드 진행 데이터중의 어느 하나가 각각 무작위로 선택된다. 또, 각 휠링에 대해 1개의 멜로디 생성용 데이터 및 코드 진행 데이터가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멜로디 생성용 데이터는 음표수(다, 중, 소), 박자종류, 싱코페이션의 유무, 악곡의 소절수, 악절구성 등의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리듬 생성용 데이터와, 절대적인 음역폭, 소정구간에서의 목 피치(음고)의 변화폭 등의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피치 생성용 데이터에 의해 구성된다. 각 코드 진행 데이터에는 1악곡(예를들면, 32소절)분의 코드 진행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악곡을 자동 생성할 때는 도25의 처리 플로우의 최초 스텝 CC1에 있어서, 멜로디 생성용 데이터 및 코드 진행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를 위해, 예를들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표시부(13)상에 악곡의 휠링을 말 및/또는 아이콘을 이용하여 다수 종류 표시한다(도26 중란을 참조. 또한, 도26은 자동작곡에 관한 파라미터 설정의 표시화면예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조작자(12)를 이용하여 기호의 휠링을 선택하면, 선택된 한그룹의 멜로디 생성용 데이터 및 코드 진행 데이터가 판독된다.
다음의 스텝 CC2에서는 스텝 CC1에서 판독된 멜로디 생성용 데이터에 의거하여 리듬 데이터가 생성된다. 즉, 판독된 멜로디 생성용 데이터에 포함되는 리듬 생성용 데이터에 따라 우선 몇소절로 이루어지는 모티브(예를들면, 악곡의 선두부분이나 정감있는 부분)의 리듬 데이터(음표의 존재위치를 규정한 데이터로 「타점 데이터」라고도 한다)가 생성되고, 생성된 모티브 및 상술한 악절구성 데이터 등으로부터 1곡분의 리듬 데이터가 생성된다. 예컨대, 1곡분의 리듬 생성 방법에는 악절기호를 반영해야하고, 동일기호의 악절은 대응하는 악절과 동일 리듬으로 하며, 유사 기호의 악절은 대응하는 악절과 일부(예를들면, 전반부분)를 동일 리듬으로 하 는 방법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모티브 리듬 데이터의 생성은 조작자(12) 중의 소정 스위치(전용 스위치여도 되고, 다른 기능과 공통 이용되는 스위치여도 된다)의 조작에 따라 개시된다. 모티브 생성은 전형적으로는 다수의 리듬 패턴(타점 패턴)을 미리 기억해 두고, 리듬 생성용 데이터에 적합한 리듬 패턴을 선택하는 것에 의한다.
리듬 생성용 데이터에 적합한 리듬 패턴에 관해 다수의 후보가 있을 때는 어느 하나를 무작위로 선택하면 된다. 혹은 상술한 휠링이나 별도 지정되는 음악 장르를 고려하여 리듬 패턴을 선택해도 된다. 또한, 모티브의 리듬 데이터를 자동생성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조작자(12)를 이용하여 리듬 데이터를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입력해도 되고, 자동생성된 리듬 데이터를 사용자가 편집해도 된다. 혹은 이미 기술한 바와같이, 마이크 입력된 음성이나 통화입력된 음성으로부터 음표열을 추출하고, 이를 리듬 데이터로서 채용해도 된다.
다음에, 스텝 CC3에서는 생성된 리듬 데이터의 각 타점에서 중요 타점이 검출된다. 여기서, 중요 타점이란 멜로디를 구성하는 전체 타점중 음악적으로 중요한 타점으로, 일례로서 각 소절마다의 강박, 즉, 제1, 3박에 있는 타점 혹은 제1, 3박의 근방의 타점이 중요 타점으로 검출되고, 그 밖의 타점은 비중요 타점으로서 검출된다. 강박 혹은 그 근방의 타점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조건에 따라 중요 타점을 검출해도 된다.
한편, 스텝 CC4에서는 멜로디 생성용 데이터와 코드 진행 데이터에 의거하여 우선 몇소절로 이루어지는 모티브의 골격음이 생성되고, 계속해서, 이 모티브의 골 격음과 악곡 구성 데이터 등을 참조하여 1곡분의 골격음이 형성된다. 여기서, 모티브의 골격음으로는 코드 구성음으로서, 상술한 음역폭, 변화폭의 범위에 들어 가는 피치를 가지는 것이 무작위로 선택된다. 또, 무작위로 선택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 룰에 따라 선택해도 된다.
다음에, 스텝 CC5에 있어서, 스텝 CC3에서 검출된 중요 타점에 대해, 스텝 CC4에서 생성된 골격음이 할당되고, 계속해서, 스텝 CC6에서는 중요 타점사이의 비중요 타점에 대해 피치가 할당된다. 비중요 타점에는 대응하는 코드음의 어베일러블 노트(available notes)의 스케일상의 피치가 무작위로 할당된다. 무작위로 할당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룰에 따라 할당해도 된다. 또한, 1곡분의 골격음 및 비중요 타점의 피치를 형성할 때는 상술의 리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악절기호를 반영해야하고, 동일 기호악절은 대응하는 악절과 동일 피치로 하며, 유사 기호악절은 대응하는 악절과 일부(예를들면, 전반부분)를 동일 피치로 함으로써 얻어진다.
이렇게하여 생성된 악곡 데이터는 스텝 CC7에서 별도 기억되는 음악룰에 따라 부자연스러운 울림이 나오지 않도록 자동 수정된 후, 스텝 CC8에서 본체 RAM3에 기억되어 이 자동작곡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자동 생성된 중요음 및/또는 비중요음의 피치는 조작자(12)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수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피치 수정 가능 개소는 모티브 부분만이어도 되고, 악곡 전체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의 설명에서는 악곡 전체의 리듬 데이터를 생성한 후, 악곡 전체의 피치를 부여하도록 하였지만, 우선, 모 티브의 리듬 데이터를 생성한 후, 모티브의 피치를 부여하고, 이에 계속하여 악곡의 후속부분의 리듬 데이터를 생성하고, 후속부분의 피치 부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악곡 데이터의 자동생성방법에 있어서는 멜로디만을 생성하였지만, 이에 추가하여 반주 파트도 자동 생성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들면, 악곡의 스타일마다 다수의 반주 생성용 데이터(「스타일 데이터」라고도 하고, 1 내지 다수 파트에 대해 소정 코드 타입에 따라 작성된 1 내지 다수 소절분의 연주 데이터이다. )를 본체 ROM2 또는 본체 RAM3에 미리 기억시켜 두고, 조작자(12)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악곡 스타일 혹은 무작위로 선택한 악곡 스타일에 대응한 반주생성용 데이터를 판독하고, 코드 진행 데이터에 의거하여 반주생성용 데이터에 포함되는 음고 데이터를 상기 코드 진행 데이터에 매치하도록 수정하여, 이것을 1곡분(예를들면, 32소절분) 반복하여 반주 파트를 생성한다. 또한, 악곡의 스타일로는 「도회적인」, 「촌스러운」, 「정열적인」, 「춤추는 것 같은」 등이 있다(도26 오른쪽란 참조).
〔화음검출처리 및 반주파트 부여처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시스템(TS)은 자동작곡기능의 하나로서 설명한 바와같이(도12: 스텝 TR6「기타 처리」), 이미 작성 내지 기억되어 있는 연주정보에 어울리는 연주정보를 자동생성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장치의「악곡 데이터에 어울리는 화음(화음진행)을 자동적으로 결정하는 방법」 (화음검출처리)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도이 고, 도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장치 「멜로디 데이터에 어울리는 반주 파트를 멜로디 데이터에 부여하는 방법」(반주 파트 부여처리)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도이다. 도27의 화음검출처리에 의해 결정된 화음(화음진행)은 도28의 반주 파트 부여처리의 자동반주첨부에 이용가능하다.
도27의 화음검출처리에 있어서는 우선, 스텝 CD1에서 멜로디 데이터를 소정 룰에 따라 구간분할한다. 여기서, 분할되는 1개의 구간은 1개의 화음이 계속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 구간이다. 또한, 소정 룰의 예로는 1박이나 2박, 1소절 등의 일정구간마다 분할하는 룰이나, 멜로디 데이터의 배열을 분석하여, 한개의 화음구간으로 간주할 수 있는 범위를 검출하여 그 위치에서 분할하는 룰 등이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룰을 동시에 적용해도 된다.
계속해서, 스텝 CD2에서는 분할된 멜로디 구간마다 화성음을 검출한다. 화성음의 검출은 멜로디 데이터의 배열을 분석하여, 각 구간내에서 화성음으로 간주할 수 있는 음을 검출함으로써 행한다. 또한, 스텝 CD3로 진행하고, 멜로디를 분석하여 조를 검출한다. 예컨대, 멜로디를 구성하는 각 음명의 출현정도(단순한 각 음명의 수이어도 되고, 각 음명마다 음 길이를 가산한 값이어도 된다.)와, 각 조의 음계음과의 매칭을 행하여 가장 일치도가 높은 조를 멜로디의 조로서 검출한다.
다음에, 스텝 CD4에서 멜로디의 연속하는 복수 구간마다 혹은 단구간마다 검출된 화성음과 검출된 조에 따라 화음 또는 화음진행과 매칭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연속하는 복수 구간(예컨대, 4구간, 3구간, 2구간 등)에 대한 전형적인 화음진행을 조마다 데이터 베이스에 기억해 두고, 연속하는 복수구간의 검출된 화성음과, 검출된 조의 각 화음진행의 구성음을 비교한다. 최초에 4구간의 화음진행과 4구간의 화성음을 비교하여, 매치되는 것이 있으면 그것으로 결정하고, 매치하는 것이 없으면, 구간수를 줄여 3구간의 화음진행과 3구간의 화성음을 비교하여 매치되는 것을 결정한다. 3구간에 대해서도 매치되는 것이 없으면, 2구간에 대해 매칭을 행하고, 그래도 매칭되는 것이 없으면, 단독 화음구성음과 단구간의 화성음을 비교하여 가장 잘 매치되는 화음으로 결정한다.
스텝 CD5에서는 이러한 매칭 처리에 의해 가장 일치도가 높은 화음진행 또는 화음을 해당 구간의 코드로 결정하여 이 화음검출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조마다 화음진행을 가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특정한 조에 대해서만 화음진행을 가지도록 하고, 조의 주음에 따라 화음진행의 구성음의 음명을 시프트하여, 실질적으로 전체 조의 화음진행을 가지도록 해도 된다.
도28의 반주 파트 부여처리에 있어서, 반주 파트는 멜로디 데이터에 어울리는 화음진행과, 미리 기억된 스타일 데이터〔반주 파트의 근원이 되는 1 내지 복수 파트의 연주 데이터로서, 소정의 화음(예를들면, C메이져 (major))에 따라 작성된 1 내지 복수 소절분의 연주 데이터가 데이터 베이스에 다수 기억되어 있다. 〕에 따라 생성된다. 멜로디 데이터에 어울리는 화음진행은 전술과 같이 멜로디로부터 검출하는 방법, 미리 멜로디 데이터안에 기억시켜 놓는 방법, 멜로디에 대해 사용자가 지정하는 방법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화음진행을 포함한 멜로디 데이터는 기지국(서버국) BS에서 다운 로드해도 된다.
이 반주파트 부여처리로는 우선, 스텝 CE1에 다수 기억되어 있는 반주 스타 일 데이터속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한다. 각 반주 스타일 데이터에는 해당 반주 스타일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용어(예를들면, 팝이나 클래식 등의 음악장르나, 「밝다」, 「어둡다」 등의 분위기를 나타내는 용어)가 부여되어 있고, 이들 용어 리스트를 휴대용 단말장치 TS의 표시부(13)에 표시하고, 조작자(12)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반주 스타일 데이터를 선택한다. 혹은, 각 반주 스타일 데이터에 부여된 번호를 조작자(12)에 포함되는 숫자 스위치를 이용하여 선택해도 된다.
다음에, 스텝 CE2에서 선택된 반주 스타일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판독하고, 계속되는 스텝 CE3에서 화음진행을 취득하며, 또한 스텝 CE4에서 판독된 반주 스타일 데이터에 포함되는 연주 데이터의 음고를, 취득한 화음진행에 따라 수정하여 반주 파트의 연주 데이터를 생성한다. 연주 데이터 음고의 수정은 화음종류마다 준비된 음고변환 테이블(연주 데이터의 음고를 화음종류에 따라 얼마만큼 수정할지를 규정한 테이블로, 이 테이블에 규정된 수정량만큼 연주 데이터의 음고를 시프트시키면, 지정된 화음종류에 매치된 음고가 얻어지도록 작성된 것)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그리고, 스텝 CE5에 있어서, 스텝 CE4에서 생성된 반주 파트의 연주 데이터를 멜로디 데이터에 부여하고, 복수 파트로 이루어지는 멜로디를 작성하여, 이 반주파트 부여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반주 스타일 데이터는 복수의 섹션으로 구성되고, 섹션의 진행을 지정할수 있도록 해도 된다. 예를들면, 반주 스타일 데이터의 섹션으로서 인트로 섹션, 메인 섹션, 휠 인 섹션, 엔딩 섹션 등이 있고, 멜로디 데이터의 진행에 따라 각 섹션의 배열이나 메인 섹션의 반복 재생 회수를 사용자가 지정하거나, 미리 섹션 배열이나 메인 섹션의 반복 재생 회수가 프로그램된 섹션 진행 데이터를 기억해 두고, 이를 멜로디 데이터의 진행에 따라 판독함으로써 섹션 진행을 지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변화가 풍부한 반주 파트 연주를 얻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
휴대용 단말 장치에 사용 가능한 악음 정보의 포맷은 자기종 포맷(A)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도3과 같은 발음제어회로를 탑재하고, 이 회로안에서 종래의 전자악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연주기능(시퀀서)을 동작시킴으로써, SMF 포맷(C)의 악곡정보를 그대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다른 악음 정보원 장치(PC 등)로부터 휴대용 전화기 단말에 정보를 조합할 시에 형식변환을 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압축 처리는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는 음원회로의 악음 합성 방식으로서 FM방식을 채용하고 있는데, 악음 합성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파형 메모리 방식, 물리 모델 방식, 고조파 합성방식, 포르만트 합성방식, 「VCO+VCF+VGA」의 아날로그 신시사이저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고, 이들 중 어떠한 것이라도 된다. 즉, 음원회로의 악음 합성 방식에 의해 설정정보로서 기록되는 음색에 관한 각종 정보는 다르지만, 기본적으로는 종래부터 전자악기로 사용되는 각 악음 합성 방식에 대응하는 다종 파라미터 정보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음원회로 자체에 대해서는 전용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음원회로를 구성 하는데 한정되지 않고, 「DSP+마이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음원회로를 구성하도록 해도 되고, 「CPU+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으로 음원회로를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한개의 회로를 시분할로 사용함으로써 다수의 발음 채널을 형성하는 것이어도 되고, 한개의 발음 채널이 한개의 회로로 구성되는 형식이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첫째로 악음의 발음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장치에 있어서, 음색에 관한 설정 정보에 따라 설정되는 음색이 주어져 연주정보에 대응하는 악음신호를 생성하고, 이 악음신호에 대해, 효과에 관한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설정되는 효과를 부여하도록 한 발음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FM 음원 등을 이용하여 다수음을 동시에 발음시키고, 착신시의 멜로디음, 통화중의 BGM음, 임의의 필요시에 즐기는 음악 등을 풍부하고 다채롭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둘째로 소정 음색을 가지는 소정 효과가 부여된 악음신호를 생성하는데 있어 휴대용 단말장치와는 독립하여 동작하는 제어수단(CPU)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휴대용 단말장치 본체의 제어에 구속되지 않고, 여유있는 악음신호 생성처리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셋째로 악음정보에 의거하여 악음정보에 포함되는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음색 내지 효과가 주어진 악음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음성정보 및 화상정보에 따라 음성신호 및 화상신호를 생성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재생되는 악음과 함께 음성이나 화상을 겸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즐길 수 있다. 또한, 기억수 단의 기억 용량에 대응하여, 범용 악음 정보 포맷에 비해 다운사이징된 포맷으로 기술되어 있는 악음정보를 이용하여 악음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휴대용 단말장치의 데이터 처리기능 및 용량의 허용 최대한의 범위내에서, 즉, 장치내의 메모리를 압박하지 않고, 양질의 악음을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넷째로 휴대용 단말장치 및 악음 정보원을 가지는 기지국(서버)에 의해 악음 정보 이용 시스템을 형성하고, 휴대용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선택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악음정보를 악음 정보원에서 선택하고, 선택된 악음정보에 대해, 휴대용 단말장치에서 발음되는 악음에 부여하는 음색 내지 효과를 나타내는 설정정보를 부여하고, 설정정보가 부여된 악음정보에 따라, 소정의 음색 내지 효과가 주어진 악음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보다 풍부하고 다채로운 악음을 얻을 수 있다. 이 시스템은 또한 선택정보를 송신한 휴대용 단말장치에 대해 과금작업을 행함으로써 특정 휴대용 단말장치 사용자에 대해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섯째로 퍼스널 컴퓨터 단말 혹은 인텔리전트한 전자악기와 같은 악음정보 처리장치와 함께 악음정보를 이용하고, 악음정보 처리장치에 있어서, 원하는 형태의 악음정보를 작성 또는 편집하여, 휴대용 단말장치의 처리기능에 따른 사이즈로 압축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휴대용 단말장치의 능력에 맞는 악음정보의 음색이나 효과 등의 설정, 편집, 작성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여섯째로 외부 기억매체나 다른 전화기 단말과 같은 악음 정 보원에 기억되어 있는 악음정보를 휴대용 단말장치내에 조합, 조합된 악음정보를 편집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악음정보를 휴대용 단말장치의 처리능력 이나 그 사용자의 기호에 알맞은 악음정보로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곱째로 연주정보와 연주진행에 대응하는 가사정보를 기록해 두고, 연주정보에 따라 악음신호를 순차로 생성함과 동시에, 가사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악음신호에 대응하는 가사표시신호를 생성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휴대전화와 같은 휴대용 단말장치로 가라오케를 즐길 수 있고, 또한, 한가한 시간에 가사를 표시시켜 가사를 외우는 등, 가라오케 연습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주정보, 제2 연주정보 및 제2 연주정보의 연주진행해 대응하는 가사정보를 기억해 두고, 제2 연주정보에 따라 제2 악음신호를 생성하며, 가사정보에 따라, 제2 악음신호에 대응하는 가사표시신호를 생성하여 가라오케 재생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가라오케 재생에 우선하여 제1 연주정보에 의거하는 제1 악음신호를 생성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가라오케 재생으로부터 제1 악음신호에 의한 착신 멜로디 재생으로 자동 전환할 수 있고, 또한, 가사표시가 방해되는 일이 없다.
추가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장치에 의하면, 템포 변경에 관한 것으로, 템포의 절대치, 탬포 표어, 표준 템포로부터의 변경치, 감각적인 템포 용어중 적어도 하나를 휴대용 단말장치(본체)의 조작자에 의해 지정함으로써 착신 멜로디음이나 BGM음 등의 발생 발음의 연주 템포를 사용자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장치에 의하면, 자동 작곡에 관한 것으로, 조작자를 이용하여 곡의 분위기를 선택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악곡정보를 자동적으로 생성하거 나, 혹은 곡의 일부 데이터를 입력하면, 이 일부 데이터에서 1곡분의 악곡정보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장치에 의하면, 음성 피치 검출에 관한 것으로, 입력된 음에서 음고열을 추출하여 악곡정보를 작성하는데 있어, 마이크 입력음 또는 통화 입력음에서 임의로 입력음성을 선택하거나, 혹은 검출된 음고열을 필요에 따라 트랜스포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장치에 의하면, 화음 검출에 관한 것으로, 이미 작성 내지 기억되어 있는 악곡정보에 대해 그 악곡정보에 어울리는 화음에 관한 연주정보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장치에 의하면, 스타일 재생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스타일 정보나 연주정보를 기억해 두고, 이들을 연결하여 악곡으로서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악음정보 이용 시스템 및 기지국에 의하면, 포맷 변환에 관한 것으로, 기지국(서버)에서 제1 포맷과는 다른 타기종용 악곡정보 또는 범용 악곡정보에서 제1 포맷인 자기종용 악곡정보로 포맷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단말로부터 기지국 서버에 대해 단말에 관한 정보(식별정보)를 송신하면, 서버에서 상기 정보에 의거하여 포맷 변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장치 자체에서 제1 포맷과는 다른 포맷의 타기종용 악곡정보 혹은 범용정보에서 제1 포맷의 자기종용 악곡정보로 포맷 변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악음정보 이용 시스템 및 기지국에 의하면, 시청에 관한 것으로, 정보를 서버에서 스트리밍 송신함으로써 휴대용 단말장치측에서 리얼 타임으로 시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장치에 의하면, 탈착 가능한 기억매체를 장착 가능하게 하고, 이 기록매체에서 시스템에 악곡정보를 조합하거나, 혹은 다양한 정보원에서 이 기록매체에 악곡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Claims (361)

  1. 악음의 발음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장치(TS)에 구비되는 발음 제어 장치(8)에 있어서,
    연주정보를 기억하는 연주기억회로(FIFO(22))와,
    음색에 관한 설정정보를 기억하는 설정기억회로(음색/효과 RAM (23))와,
    상기 연주기억회로로부터 연주정보를 순차 판독하는 연주판독회로(판독회로(26))와,
    상기 설정기억회로로부터 설정정보를 판독하는 설정판독회로(제어회로(21))와,
    상기 설정판독회로에 의해 상기 설정기억회로로부터 판독된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발음에 사용될 음색을 설정하고, 상기 연주판독회로에 의해 상기 연주기억회로로부터 순차 판독된 연주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설정된 음색을 갖는 악음신호를 생성하는 음원회로(음원회로(24))와,
    상기 음원회로에서 생성된 악음신호에 의거하여 악음을 발음시키는 발음회로(DAC(28), VOL(29), AMP(3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정보 및 상기 설정정보는, 범용 악음정보 포맷으로부터 다운사이징된 포맷으로 기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악음정보 포맷은 스탠다드MIDI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정보 및 상기 설정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로 다운로드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내의 메모리(본체 RAM(3))에 기억되고, 또한,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발음제어장치내에 취입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정보 및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와 접속한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에 취입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내의 메모리(본체 RAM(3))에 기억되고, 또한,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발음제어장치내에 취입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정보 및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와는 다른 휴대용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에 취입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내의 메모리(본체 RAM(3))에 기억되고, 또한,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발음제어장치내에 취입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정보 및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에 장착된 기억매체(소형 기억매체(19))로부터 상기 발음제어장치내에 취입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제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회로에서 생성되는 상기 악음신호는 복수악음이 동시에 발음가능하게 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제어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TS)는, 통화시의 음성신호를 제어하는 오디오 제어회로(오디오 제어회로(7))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발음제어장치는, 상기 오디오 제어회로로부터 입력된 상기 음성신호와, 상기 음원회로에 의해 생성된 악음신호를 혼합하는 믹서(MIX(27))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제어장치.
  11. 악음의 발음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장치(TS)에 구비되는 발음 제어 장치(8)에 있어서,
    연주정보를 기억하는 연주기억회로(FIFO(22))와,
    음색 및 효과에 관한 설정정보를 기억하는 설정기억회로(음색/효과 RAM (23))와,
    상기 연주기억회로로부터 연주정보를 순차 판독하는 연주판독회로(판독회로(26))와,
    상기 설정기억회로로부터 설정정보를 판독하는 설정판독회로(제어회로(21))와,
    상기 설정판독회로에 의해 상기 설정기억회로로부터 판독된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발음에 사용될 음색을 설정하고, 상기 연주판독회로에 의해 상기 연주기억회로로부터 순차 판독된 연주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설정된 음색을 갖는 악음신호를 생성하는 음원회로(음원회로(24))와,
    상기 설정판독회로에 의해 상기 설정기억회로로부터 판독된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부여해야할 효과를 설정하고, 상기 음원회로에 의해 생성된 상기 악음신호에 대하여 상기 설정된 효과를 부여하는 효과회로(효과회로(25))와,
    상기 음원회로에서 생성된 악음신호에 의거하여 악음을 발음시키는 발음회로(DAC(28), VOL(29), AMP(3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제어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86. 삭제
  87. 삭제
  88. 삭제
  89. 삭제
  90. 삭제
  91. 삭제
  92. 삭제
  93. 삭제
  94. 삭제
  95. 삭제
  96. 삭제
  97. 삭제
  98. 삭제
  99. 삭제
  100. 삭제
  101. 삭제
  102. 삭제
  103. 삭제
  104. 삭제
  105. 삭제
  106. 삭제
  107. 삭제
  108. 삭제
  109. 삭제
  110. 삭제
  111. 삭제
  112. 삭제
  113. 삭제
  114. 삭제
  115. 삭제
  116. 삭제
  117. 삭제
  118. 삭제
  119. 삭제
  120. 삭제
  121. 삭제
  122. 삭제
  123. 삭제
  124. 삭제
  125. 삭제
  126. 삭제
  127. 삭제
  128. 삭제
  129. 삭제
  130. 삭제
  131. 삭제
  132. 삭제
  133. 삭제
  134. 삭제
  135. 삭제
  136. 삭제
  137. 삭제
  138. 삭제
  139. 삭제
  140. 삭제
  141. 삭제
  142. 삭제
  143. 삭제
  144. 삭제
  145. 삭제
  146. 삭제
  147. 삭제
  148. 삭제
  149. 삭제
  150. 삭제
  151. 삭제
  152. 삭제
  153. 삭제
  154. 삭제
  155. 삭제
  156. 삭제
  157. 삭제
  158. 삭제
  159. 삭제
  160. 삭제
  161. 삭제
  162. 삭제
  163. 삭제
  164. 삭제
  165. 삭제
  166. 삭제
  167. 삭제
  168. 삭제
  169. 삭제
  170. 삭제
  171. 삭제
  172. 삭제
  173. 삭제
  174. 삭제
  175. 삭제
  176. 삭제
  177. 삭제
  178. 삭제
  179. 삭제
  180. 삭제
  181. 삭제
  182. 삭제
  183. 삭제
  184. 삭제
  185. 삭제
  186. 삭제
  187. 삭제
  188. 삭제
  189. 삭제
  190. 삭제
  191. 삭제
  192. 삭제
  193. 삭제
  194. 삭제
  195. 삭제
  196. 삭제
  197. 삭제
  198. 삭제
  199. 삭제
  200. 삭제
  201. 삭제
  202. 삭제
  203. 삭제
  204. 삭제
  205. 삭제
  206. 삭제
  207. 삭제
  208. 삭제
  209. 삭제
  210. 삭제
  211. 삭제
  212. 삭제
  213. 삭제
  214. 삭제
  215. 삭제
  216. 삭제
  217. 삭제
  218. 삭제
  219. 삭제
  220. 삭제
  221. 삭제
  222. 삭제
  223. 삭제
  224. 삭제
  225. 삭제
  226. 삭제
  227. 삭제
  228. 삭제
  229. 삭제
  230. 삭제
  231. 삭제
  232. 삭제
  233. 삭제
  234. 삭제
  235. 삭제
  236. 삭제
  237. 삭제
  238. 삭제
  239. 삭제
  240. 삭제
  241. 삭제
  242. 삭제
  243. 삭제
  244. 삭제
  245. 삭제
  246. 삭제
  247. 삭제
  248. 삭제
  249. 삭제
  250. 삭제
  251. 삭제
  252. 삭제
  253. 삭제
  254. 삭제
  255. 삭제
  256. 삭제
  257. 삭제
  258. 삭제
  259. 삭제
  260. 삭제
  261. 삭제
  262. 삭제
  263. 삭제
  264. 삭제
  265. 삭제
  266. 삭제
  267. 삭제
  268. 삭제
  269. 삭제
  270. 삭제
  271. 삭제
  272. 삭제
  273. 삭제
  274. 삭제
  275. 삭제
  276. 삭제
  277. 삭제
  278. 삭제
  279. 삭제
  280. 삭제
  281. 삭제
  282. 삭제
  283. 삭제
  284. 삭제
  285. 삭제
  286. 삭제
  287. 삭제
  288. 삭제
  289. 삭제
  290. 삭제
  291. 삭제
  292. 악음의 발음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장치(TS)의 발음제어방법에 있어서,
    연주정보를 연주기억회로(FIFO(22))에 기억하는 단계와,
    음색에 관한 설정정보를 설정기억회로(음색/효과 RAM (23))에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연주기억회로로부터 연주정보를 순차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기억회로로부터 설정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정보 판독단계에 의해 상기 설정기억회로로부터 판독된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발음에 사용될 음색을 설정하고, 상기 연주정보 판독단계에 의해 상기 연주기억회로로부터 순차 판독된 연주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설정된 음색을 갖는 악음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악음신호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악음신호에 의거하여 악음을 발음시키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제어방법.
  293. 악음의 발음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장치(TS)의 발음제어방법에 있어서,
    연주정보를 연주기억회로(FIFO(22))에 기억하는 단계와,
    음색 및 효과에 관한 설정정보를 설정기억회로(음색/효과 RAM (23))에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연주기억회로로부터 연주정보를 순차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기억회로로부터 설정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정보 판독단계에 의해 상기 설정기억회로로부터 판독된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발음에 사용될 음색을 설정하고, 상기 연주정보 판독단계에 의해 상기 연주기억회로로부터 순차 판독된 연주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설정된 음색을 갖는 악음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정보 판독단계에 의해 상기 설정기억회로로부터 판독된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부여해야할 효과를 설정하고, 상기 악음신호 생성단계에서 생성되는 상기 악음신호에 대하여 상기 설정된 효과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악음신호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악음신호에 의거하여 악음을 발음시키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제어방법.
  294. 삭제
  295. 삭제
  296. 삭제
  297. 삭제
  298. 삭제
  299. 삭제
  300. 삭제
  301. 삭제
  302. 삭제
  303. 삭제
  304. 삭제
  305. 삭제
  306. 삭제
  307. 삭제
  308. 삭제
  309. 삭제
  310. 삭제
  311. 삭제
  312. 삭제
  313. 삭제
  314. 삭제
  315. 삭제
  316. 삭제
  317. 삭제
  318. 삭제
  319. 삭제
  320. 삭제
  321. 삭제
  322. 삭제
  323. 삭제
  324. 삭제
  325. 삭제
  326. 삭제
  327. 악음의 발음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장치(TS)의 발음제어방법의 실행에 사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매체에 있어서,
    연주정보를 연주기억회로(FIFO(22))에 기억하는 단계와,
    음색에 관한 설정정보를 설정기억회로(음색/효과 RAM (23))에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연주기억회로로부터 연주정보를 순차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기억회로로부터 설정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정보 판독단계에 의해 상기 설정기억회로로부터 판독된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발음에 사용될 음색을 설정하고, 상기 연주정보 판독단계에 의해 상기 연주기억회로로부터 순차 판독된 연주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설정된 음색을 갖는 악음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악음신호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악음신호에 의거하여 악음을 발음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발음제어방법의 실행에 사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매체.
  328. 악음의 발음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장치(TS)의 발음제어방법의 실행에 사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매체에 있어서,
    연주정보를 연주기억회로(FIFO(22))에 기억하는 단계와,
    음색 및 효과에 관한 설정정보를 설정기억회로(음색/효과 RAM (23))에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연주기억회로로부터 연주정보를 순차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기억회로로부터 설정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정보 판독단계에 의해 상기 설정기억회로로부터 판독된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발음에 사용될 음색을 설정하고, 상기 연주정보 판독단계에 의해 상기 연주기억회로로부터 순차 판독된 연주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설정된 음색을 갖는 악음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정보 판독단계에 의해 상기 설정기억회로로부터 판독된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부여해야할 효과를 설정하고, 상기 악음신호 생성단계에서 생성되는 상기 악음신호에 대하여 상기 설정된 효과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악음신호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악음신호에 의거하여 악음을 발음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발음제어방법의 실행에 사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매체.
  329. 삭제
  330. 삭제
  331. 삭제
  332. 삭제
  333. 삭제
  334. 삭제
  335. 삭제
  336. 삭제
  337. 삭제
  338. 삭제
  339. 삭제
  340. 삭제
  341. 삭제
  342. 삭제
  343. 삭제
  344. 삭제
  345. 삭제
  346. 삭제
  347. 삭제
  348. 삭제
  349. 삭제
  350. 삭제
  351. 삭제
  352. 삭제
  353. 삭제
  354. 삭제
  355. 삭제
  356. 삭제
  357. 삭제
  358. 삭제
  359. 삭제
  360. 삭제
  361. 삭제
KR1020000043801A 1999-07-28 2000-07-28 발음제어장치, 그 제어방법 및 매체 KR1007249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14083 1999-07-28
JP11214083 1999-07-28
JP31075099A JP3589122B2 (ja) 1999-11-01 1999-11-01 携帯用端末装置
JP99-310750 1999-11-01
JP1999314396 1999-11-04
JP99-314396 1999-11-04
JP2000-179962 2000-06-15
JP2000179962A JP3666366B2 (ja) 1999-11-04 2000-06-15 携帯用端末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241A Division KR100804914B1 (ko) 1999-07-28 2006-07-24 휴대용 단말장치, 악음신호 생성과 가사표시 방법, 및 매체
KR1020060069239A Division KR100832958B1 (ko) 1999-07-28 2006-07-24 휴대용 단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034A KR20010030034A (ko) 2001-04-16
KR100724918B1 true KR100724918B1 (ko) 2007-06-04

Family

ID=2747667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801A KR100724918B1 (ko) 1999-07-28 2000-07-28 발음제어장치, 그 제어방법 및 매체
KR1020060069239A KR100832958B1 (ko) 1999-07-28 2006-07-24 휴대용 단말장치
KR1020060069241A KR100804914B1 (ko) 1999-07-28 2006-07-24 휴대용 단말장치, 악음신호 생성과 가사표시 방법, 및 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239A KR100832958B1 (ko) 1999-07-28 2006-07-24 휴대용 단말장치
KR1020060069241A KR100804914B1 (ko) 1999-07-28 2006-07-24 휴대용 단말장치, 악음신호 생성과 가사표시 방법, 및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5) US6911592B1 (ko)
EP (1) EP1073034A3 (ko)
KR (3) KR100724918B1 (ko)
CN (1) CN1268149C (ko)
HK (1) HK1033801A1 (ko)
SG (4) SG143970A1 (ko)
TW (1) TW4957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64302B1 (en) 1999-08-03 2013-06-11 Videoshare, Llc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video with advertisements over a network
JP3525825B2 (ja) * 1999-09-28 2004-05-10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の遠隔操作機能付き移動無線端末装置
JP3982787B2 (ja) * 1999-10-08 2007-09-26 ヤマハ株式会社 コンテンツデータ配布方法および電話端末装置
US9818386B2 (en) 1999-10-19 2017-11-14 Medialab Solutions Corp. Interactive digital music recorder and player
US7078609B2 (en) 1999-10-19 2006-07-18 Medialab Solutions Llc Interactive digital music recorder and player
US7176372B2 (en) 1999-10-19 2007-02-13 Medialab Solutions Llc Interactive digital music recorder and player
US6496692B1 (en) * 1999-12-06 2002-12-17 Michael E. Shanaha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gramming user-defined information into electronic devices
US7149509B2 (en) * 1999-12-06 2006-12-12 Twenty Year Innovation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gramming user-defined information into electronic devices
US8170538B2 (en) 1999-12-06 2012-05-01 Solocron Media,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gramming user-defined information into electronic devices
US20020056123A1 (en) 2000-03-09 2002-05-09 Gad Liwerant Sharing a streaming video
JP3563326B2 (ja) * 2000-06-20 2004-09-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ワイヤレスマイク通信システム
JP3589952B2 (ja) * 2000-06-20 2004-11-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通信方法、ワイヤレスマイク通信システム、ワイヤレスマイク、並びに、ワイヤレスマイク受信装置
JP2002045567A (ja) * 2000-08-02 2002-02-12 Konami Co Ltd 携帯端末装置、ゲーム実行支援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3675362B2 (ja) * 2000-08-18 2005-07-27 ヤマハ株式会社 楽音生成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4415232B2 (ja) * 2000-10-12 2010-02-1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2149166A (ja) 2000-11-09 2002-05-24 Yamaha Corp 楽曲情報配信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US20020072982A1 (en) 2000-12-12 2002-06-13 Shazam Entertainment Ltd.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ng with a user in an experiential environment
JP2002218107A (ja) * 2001-01-15 2002-08-02 Yamaha Corp 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サー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CN1262955C (zh) * 2001-01-23 2006-07-05 索尼公司 通信设备及方法,电子装置及控制方法
JP3956628B2 (ja) * 2001-02-21 2007-08-08 ヤマハ株式会社 サーバ装置
RU2178922C1 (ru) * 2001-03-28 2002-01-27 Ровнер Яков Шоел-Берович Мобильная система караоке
EP1381026A4 (en) 2001-04-17 2007-09-19 Kenwood Corp SYSTEM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ABOUT ATTRIBUTE TO THE EXAMPLE OF A CD
JP3862061B2 (ja) 2001-05-25 2006-12-27 ヤマハ株式会社 楽音再生装置および楽音再生方法ならびに携帯端末装置
DE10141763B4 (de) * 2001-08-29 2004-02-05 Rácz, Sámuel Mobiltelefon mit erweiterter Funktionalität
WO2003030143A1 (en) * 2001-09-28 2003-04-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with a karaoke function
FR2830363A1 (fr) 2001-09-28 2003-04-04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ispositif comportant un generateur de signal sonore et procede pour former un signal d'appel
WO2003036613A1 (en) * 2001-10-19 2003-05-0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idi composer
US7223911B2 (en) 2001-10-29 2007-05-29 Yamaha Corporation Portable telephone set with reproducing and composing capability of music
US7076035B2 (en) 2002-01-04 2006-07-11 Medialab Solutions Llc Methods for providing on-hold music using auto-composition
EP1326228B1 (en) 2002-01-04 2016-03-23 MediaLab Solu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modifying, interacting with and playing musical compositions
US20030219110A1 (en) * 2002-05-21 2003-11-27 Shih-Kuang Tsai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changing formats of ring tones
EP1557055A1 (en) * 2002-10-22 2005-07-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for sharing human perceptual signals between electronic devices
JP2004144829A (ja) * 2002-10-22 2004-05-20 Rohm Co Ltd メロディー及び画像同期情報作成装置及びメロディー及び画像同期発生装置
US7928310B2 (en) 2002-11-12 2011-04-19 MediaLab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ortable audio synthesis
US6897368B2 (en) 2002-11-12 2005-05-24 Alain Georges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modifying, interacting with and playing musical compositions
US7169996B2 (en) 2002-11-12 2007-01-30 Medialab Solu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music using data/music data file transmitted/received via a network
US20040148226A1 (en) * 2003-01-28 2004-07-29 Shanahan Michael E.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product information and business transactions
AU2003303896A1 (en) * 2003-02-07 2004-08-30 Nokia Corporation Control of multi-user environments
TWI227010B (en) * 2003-05-23 2005-01-21 Mediatek Inc Wavetable audio synthesis system
JP2004348012A (ja) * 2003-05-26 2004-12-09 Oki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におけるカラオケシステム
TW595193B (en) * 2003-05-28 2004-06-21 Winbond Electronics Corp Music format detecting and decod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and digital music sharing method using the same
US7366295B2 (en) * 2003-08-14 2008-04-29 John David Patton Telephone signal generator and methods and devices using the same
JP4089582B2 (ja) * 2003-09-30 2008-05-28 ヤマハ株式会社 電子音楽装置の設定情報編集システム、編集装置用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音楽装置
USRE43379E1 (en) * 2003-10-09 2012-05-15 Pioneer Corporation Music select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50090239A1 (en) * 2003-10-22 2005-04-28 Chang-Hung Lee Text message based mobile phone configuration system
KR100689485B1 (ko) * 2003-11-10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 및 방법, 및 휴대용단말기
TWI249320B (en) * 2004-01-08 2006-02-11 Asustek Comp Inc Method and device to switch the editing format
US8249071B2 (en) * 2004-03-26 2012-08-21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Audio related system communication protocol
US8327026B1 (en) * 2004-07-01 2012-12-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 data compression technique for data transfer through a data network
DE102004033829B4 (de) * 2004-07-13 2010-12-0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r Polyphonen Melodie
US7602901B1 (en) * 2004-07-21 2009-10-13 Sprint Spectrum L.P.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ing-party identification and/or calling-party or called-party ringback services
US7302253B2 (en) * 2004-08-10 2007-11-27 Avaya Technologies Corp Coordination of ringtones by a telecommunications terminal across multiple terminals
US7937074B2 (en) * 2004-08-27 2011-05-03 Panasonic Corporation Information terminal, and event notifying method
JP2006084749A (ja) * 2004-09-16 2006-03-30 Sony Corp コンテンツ生成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生成方法
JP2006085045A (ja) * 2004-09-17 2006-03-3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EP1803113B1 (en) 2004-10-01 2018-12-05 Audiobrax Indústria E Comércio De Produtos Eletrônicos S.A. Portable touchpad or jog with musical guiding by led's for production, accompaniment or karaoke
US7164906B2 (en) * 2004-10-08 2007-01-16 Magix Ag System and method of music generation
EP1679690A1 (en) * 2004-10-08 2006-07-12 Magix AG System and method for music generation
EP1846916A4 (en) * 2004-10-12 2011-01-19 Medialab Solu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E MUSIC
KR20060032832A (ko) * 2004-10-13 2006-04-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음원 및 음원용 가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7542730B2 (en) * 2004-11-24 2009-06-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filtering wavetable information for wireless devices
EP1662821B1 (en) * 2004-11-24 2008-09-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Filtering Wavetable Information for Wireless Devices
US20060148490A1 (en) * 2005-01-04 2006-07-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ltering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a wireless phone by monitoring the phone's movement and/or location
US7599719B2 (en) * 2005-02-14 2009-10-06 John D. Patton Telephone and telephone accessory signal generator and methods and devices using the same
CN101203904A (zh) * 2005-04-18 2008-06-18 Lg电子株式会社 音乐谱写设备的操作方法
US20060293089A1 (en) * 2005-06-22 2006-12-28 Magix A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reation of digitally enhanced ringtones for cellphones
US20070056433A1 (en) * 2005-08-29 2007-03-15 Huffman Eric C Method and Apparatus For Flexibly Processing, Storing, and Retrieving Audio Data
KR100630204B1 (ko) * 2005-08-30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JP4558613B2 (ja) * 2005-09-02 2010-10-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回路基板の設計支援装置、回路基板の設計方法、及びノイズ解析プログラム
US7605322B2 (en) * 2005-09-26 2009-10-20 Yamaha Corporatio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tarting add-on progression to run with inputted music, and computer program therefor
JP3947548B2 (ja) * 2005-12-01 2007-07-25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制御方法
EP1992118B1 (fr) 2006-03-07 2011-09-14 Thomson Licensing Dispositif de communication et base pour un affichage evolue
US20080184870A1 (en) * 2006-10-24 2008-08-07 Nokia Corporation System,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for a multiple-lyric karaoke system
JP5259083B2 (ja) * 2006-12-04 2013-08-07 ソニー株式会社 マッシュアップ用データの配布方法、マッシュアップ方法、マッシュアップ用データのサーバ装置およびマッシュアップ装置
US20080167993A1 (en) * 2007-01-07 2008-07-10 Eddy Cue Creating and Purchasing Ringtones
US20080167968A1 (en) * 2007-01-07 2008-07-10 Eddy Cue Creating and Purchasing Ringtones
US20080167995A1 (en) * 2007-01-07 2008-07-10 Eddy Cue Method for purchasing and editing ringtones
JP4940956B2 (ja) * 2007-01-10 2012-05-30 ヤマハ株式会社 音声伝送システム
US8678896B2 (en) 2007-06-14 2014-03-25 Harmonix Music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synchronous band interaction in a rhythm action game
EP2173444A2 (en) 2007-06-14 2010-04-14 Harmonix Music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imulating a rock band experience
JP4623060B2 (ja) * 2007-07-18 2011-02-02 ヤマハ株式会社 波形生成装置、音響効果付与装置、および楽音発生装置
US8158872B2 (en) * 2007-12-21 2012-04-17 Csr Technology Inc. Portable multimedia or entertainment storage and playback device which stores and plays back content with content-specific user preferences
US20090170586A1 (en) * 2007-12-26 2009-07-02 Springtime Productions, Llc Springtime productions special charity fund raising process
CN101494686B (zh) 2008-01-25 2012-05-30 鹏智科技(深圳)有限公司 具有来电提示功能的通讯装置及其来电提示方法
US7586031B1 (en) * 2008-02-05 2009-09-08 Alexander Baker Method for generating a ringtone
TWI492604B (zh) * 2008-02-15 2015-07-11 Hon Hai Prec Ind Co Ltd 具有來電提示功能的通訊裝置及其來電提示方法
WO2010006054A1 (en) 2008-07-08 2010-01-14 Harmonix Music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imulating a rock and band experience
CN101741968B (zh) * 2008-11-27 2012-07-25 英业达股份有限公司 移动电话及其响铃方法
CN101853650B (zh) * 2009-04-03 2012-04-25 王路露 一种音乐处理及输出系统及其方法
US8465366B2 (en) 2009-05-29 2013-06-18 Harmonix Music Systems, Inc. Biasing a musical performance input to a part
US8449360B2 (en) 2009-05-29 2013-05-28 Harmonix Music Systems, Inc. Displaying song lyrics and vocal cues
US9981193B2 (en) 2009-10-27 2018-05-29 Harmonix Music Systems, Inc. Movement based recognition and evaluation
US10357714B2 (en) 2009-10-27 2019-07-23 Harmonix Music Systems, Inc. Gesture-based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 menu
US8445766B2 (en) * 2010-02-25 2013-05-21 Qualcomm Incorporated Electronic display of sheet music
US8874243B2 (en) 2010-03-16 2014-10-28 Harmonix Music Systems, Inc. Simulating musical instruments
JP5782677B2 (ja) 2010-03-31 2015-09-24 ヤマハ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音声処理システム
CA2798093C (en) 2010-05-04 2016-09-13 Avery Li-Chun Wang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a sample of a media stream
EP3418917B1 (en) 2010-05-04 2022-08-17 App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ynchronizing media
US9159338B2 (en) 2010-05-04 2015-10-13 Shazam Entertainment Ltd. Systems and methods of rendering a textual animation
US8562403B2 (en) 2010-06-11 2013-10-22 Harmonix Music Systems, Inc. Prompting a player of a dance game
US9358456B1 (en) 2010-06-11 2016-06-07 Harmonix Music Systems, Inc. Dance competition game
EP2579955B1 (en) 2010-06-11 2020-07-08 Harmonix Music Systems, Inc. Dance game and tutorial
US9024166B2 (en) 2010-09-09 2015-05-05 Harmonix Music Systems, Inc. Preventing subtractive track separation
US8835738B2 (en) * 2010-12-27 2014-09-16 Apple Inc. Musical systems and methods
KR101274961B1 (ko) * 2011-04-28 2013-06-13 (주)티젠스 클라이언트단말기를 이용한 음악 컨텐츠 제작시스템
EP2718849A1 (en) 2011-06-10 2014-04-16 Shazam Entertainment Ltd.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content in a data stream
US20130065213A1 (en) * 2011-09-13 2013-03-14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dapting audio content for karaoke presentations
EP2573761B1 (en) * 2011-09-25 2018-02-14 Yamaha Corporation Displaying content in relation to music reproduction by means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dependent of music reproduction apparatus
JP5494677B2 (ja) 2012-01-06 2014-05-21 ヤマハ株式会社 演奏装置及び演奏プログラム
WO2013123063A1 (en) * 2012-02-17 2013-08-22 Wanca Frank M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dynamic neural stimulation
DE112013001343B4 (de) * 2012-03-06 2019-02-28 Apple Inc. Benutzerschnittstelle für ein virtuelles Musikinstrument und Verfahren zum Bestimmen einer Eigenschaft einer auf einem virtuellen Saiteninstrument gespielten Note
US20150243083A1 (en) * 2012-10-01 2015-08-27 Guy COGGINS Augmented Reality Biofeedback Display
US9451048B2 (en) 2013-03-12 2016-09-20 Shazam Investments Ltd.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information of a broadcast station and information of broadcasted content
US9390170B2 (en) 2013-03-15 2016-07-12 Shazam Investments Ltd. Methods and systems for arranging and searching a database of media content recordings
US9773058B2 (en) 2013-03-15 2017-09-26 Shazam Investments Ltd. Methods and systems for arranging and searching a database of media content recordings
JP6578710B2 (ja) * 2015-04-03 2019-09-25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CN105116767B (zh) * 2015-07-09 2017-09-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播放场景保存方法、系统、播放终端及控制终端
US9721551B2 (en) 2015-09-29 2017-08-01 Amper Music, Inc. Machines, systems, processes for automated music composition and generation employing linguistic and/or graphical icon based musical experience descriptions
US9805702B1 (en) 2016-05-16 2017-10-31 Apple Inc. Separate isolated and resonance samples for a virtual instrument
CN107146598B (zh) * 2016-05-28 2018-05-15 浙江大学 一种多音色混合的智能演奏系统和方法
CN107195289B (zh) * 2016-05-28 2018-06-22 浙江大学 一种可编辑的多级音色合成系统及方法
CN108269579B (zh) * 2018-01-18 2020-11-10 厦门美图之家科技有限公司 语音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7200681B2 (ja) * 2019-01-10 2023-01-10 ヤマハ株式会社 音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1037538B2 (en) 2019-10-15 2021-06-15 Shutterstock,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automated musical arrangement an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style transformation supported within an automated music performance system
US11024275B2 (en) 2019-10-15 2021-06-01 Shutterstock, Inc. Method of digitally performing a music composition using virtual musical instruments having performance logic executing within a virtual musical instrument (VMI) library management system
US10964299B1 (en) 2019-10-15 2021-03-30 Shutterstock,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digital performances of music compositions using notes selected from virtual musical instruments based on the music-theoretic states of the music compositions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2990A (ko) * 1995-02-10 1996-09-17 박성규 링음색 변경을 제어하는 키폰 전화기의 장치 및 방법
JPH10124046A (ja) * 1996-08-29 1998-05-15 Yamaha Corp 自動演奏データ変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H10271245A (ja) * 1997-03-26 1998-10-09 Yosuke Sugioka 情報通信システム、情報通信装置および情報通信方法
KR19990023612A (ko) * 1997-08-21 1999-03-25 이데이 노부유끼 무선정보 통신방법 및 장치
KR19990024210A (ko) * 1998-12-22 1999-03-25 김재한 휴대형 무선전화기에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고 재생하는 기능을 갖도록 하는 장치와 그 방법
JPH11103332A (ja) * 1997-09-25 1999-04-13 Kokusai Electric Co Ltd 移動体通信端末
JPH11112615A (ja) * 1997-09-30 1999-04-23 Kokusai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
JPH11164058A (ja) * 1997-11-26 1999-06-18 Hitachi Electron Service Co Ltd 携帯型音楽選曲視聴システム
WO1999043136A1 (en) * 1998-02-18 1999-08-26 Ericsson, Inc. Cellular phone with expansion memory for audio and video storage

Family Cites Families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8150A (en) 1981-05-15 1982-1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ultiplex signal transmission system
JPS6165298A (ja) 1984-09-07 1986-04-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音声認識装置
JPS6315777A (ja) 1986-07-08 1988-01-22 Nec Corp シリアルプリンタ
US4831523A (en) * 1986-10-31 1989-05-16 Bull Hn Information Systems Inc. Multiple DMA controller chip sequencer
JPS63184447A (ja) * 1987-01-26 1988-07-29 Nec Corp 録音再生回路付電話機
US4868561A (en) * 1988-07-01 1989-09-19 Motorola, Inc. Method of reprogramming an alert pattern
JP2794894B2 (ja) 1990-04-19 1998-09-10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ガイド装置
JP3214623B2 (ja) 1990-10-31 2001-10-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電子楽音再生装置
US5054360A (en) * 1990-11-01 1991-10-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 output of digital audio and midi synthesized music
KR930006614B1 (ko) * 1990-12-31 1993-07-21 주식회사 금성사 전자악기에서의 악음 재생장치
JP2547676B2 (ja) 1991-03-01 1996-10-23 株式会社タカラ 電話用音響装置
JPH056614A (ja) 1991-06-28 1993-01-14 Omron Corp 光カード記録再生装置
US5650945A (en) 1992-02-21 1997-07-22 Casio Computer Co., Ltd. Wrist watch with sensors for detecting body parameters, and an external data storage device therefor
JP3382962B2 (ja) 1992-02-21 2003-03-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自動演奏装置及び自動演奏制御方法
US5525748A (en) * 1992-03-10 1996-06-11 Yamaha Corporation Tone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H05333890A (ja) 1992-06-03 1993-12-17 Roland Corp カラオケ装置
FR2699444B1 (fr) * 1992-12-21 1995-03-03 Ladner Amv Mandrin automatique.
JP3293227B2 (ja) * 1993-03-31 2002-06-17 ヤマハ株式会社 楽音制御装置
US6025553A (en) * 1993-05-18 2000-02-15 Capital Bridge Co. Ltd. Portable music performance device
JP2705526B2 (ja) 1993-06-29 1998-01-28 株式会社栗本鐵工所 ジョークラッシャーの緊張装置
US5808224A (en) * 1993-09-03 1998-09-15 Yamaha Corporation Portable downloader connectable to karaoke play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JPH07212829A (ja) * 1994-01-10 1995-08-11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機
GB2288054B (en) 1994-03-31 1998-04-08 James Young A microphone
GB2289146B (en) * 1994-04-12 1998-09-09 Nokia Mobile Phones Ltd Buffering data
US6167253A (en) * 1995-01-12 2000-12-26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Mobile data/message/electronic mail download system utilizing network-centric protocol such as Java
US5914941A (en) * 1995-05-25 1999-06-22 Information Highway Media Corporation Portable information storage/playback apparatus having a data interface
JPH0918550A (ja) * 1995-06-28 1997-01-17 Daini Denden Kk 呼出音可変移動通信用端末機器
JP3283163B2 (ja) 1995-10-04 2002-05-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Dspによるメロディ発生装置
SG76495A1 (en) * 1996-01-26 2000-11-21 Yamaha Corp Electronic musical system controlling chain of sound sources
FI102711B (fi) * 1996-02-23 1999-01-29 Nokia Mobile Phones Ltd Puhelimen soittoäänen määrittely
EP0806758A1 (en) 1996-05-09 1997-11-12 Marusho Co. Ltd. Wireless accompaniment apparatus
JP3261983B2 (ja) * 1996-06-19 2002-03-04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H1020878A (ja) * 1996-07-04 1998-01-23 Brother Ind Ltd 楽音再生装置
JPH1015050A (ja) 1996-07-05 1998-01-20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芳香剤容器
JPH1047982A (ja) * 1996-08-06 1998-02-20 Sony Corp 位置測定装置、位置測定方法、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情報サービス方法及び自動車
US6034314A (en) 1996-08-29 2000-03-07 Yamaha Corporation Automatic performance data conversion system
JP3747584B2 (ja) * 1996-10-18 2006-02-22 ヤマハ株式会社 端末装置の機能拡張方法及びホストコンピュータ並びに端末装置
US6018654A (en) * 1996-10-29 2000-01-25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oading tones to mobile terminals
JPH10150505A (ja) 1996-11-19 1998-06-02 Sony Corp 情報通信処理方法及び情報通信処理装置
JPH10161677A (ja) * 1996-11-29 1998-06-19 Kyocera Corp 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
JPH10173737A (ja) * 1996-12-06 1998-06-26 Digital Vision Lab:Kk 個人用機器
JPH10190781A (ja) 1996-12-27 1998-07-21 Nec Telecom Syst Ltd オリジナル着信音生成機能付き携帯端末
FI105308B (fi) 1996-12-30 2000-07-14 Nokia Mobile Phones Ltd Puhelimen soittoäänen ohjelmointi
JP2951281B2 (ja) * 1997-01-27 1999-09-20 三洋電機株式会社 電話機
KR19990015188A (ko) * 1997-08-02 1999-03-05 구본준 음성기능을 내장한 페이저
JP3890692B2 (ja) * 1997-08-29 2007-03-0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配信システム
JP3496481B2 (ja) 1997-10-24 2004-02-09 株式会社デンソー 無線通信装置
KR100251628B1 (ko) * 1997-12-02 2000-10-02 윤종용 통신단말기의멜로디입력방법
JPH11187084A (ja) * 1997-12-19 1999-07-09 Oki Electric Ind Co Ltd 呼出音登録方法、受信装置、及び呼出音登録装置
US6514083B1 (en) * 1998-01-07 2003-02-04 Electric Plane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active karaoke entertainment
JPH11220518A (ja) 1998-01-30 1999-08-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機
JP3690101B2 (ja) 1998-02-06 2005-08-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機能電話機
JP4108809B2 (ja) 1998-02-25 2008-06-25 株式会社第一興商 鳴動メロディ用の音楽生成データを供給するカラオケ演奏装置
JPH11252651A (ja) 1998-02-27 1999-09-17 Toshiba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とその移動端末装置および制御装置
US6328570B1 (en) * 1998-03-20 2001-12-11 Cyberinc Pte Ltd. Portable karaoke unit
JP2000029462A (ja) * 1998-05-18 2000-01-2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提供媒体
KR100270340B1 (ko) * 1998-08-17 2000-12-01 김대기 이동전화망을 이용한 노래반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JP2000081881A (ja) 1998-09-04 2000-03-21 Toshiba Corp 通信端末装置
US6272575B1 (en) * 1999-02-26 2001-08-07 Lucent Technologies Inc. Modular digital assistant
US6366791B1 (en) 1999-06-17 2002-04-02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usical ringing tone on mobile stations
CN1629931B (zh) * 1999-08-05 2010-05-12 雅马哈株式会社 音乐播放设备,音乐播放方法和电话终端装置
FI19991865A (fi) 1999-09-01 2001-03-01 Nokia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mä räätälöityjen audio-ominaisuuksien toimittamiseksi solukkojärjestelmien päätelaitteisiin
JP3580210B2 (ja) * 2000-02-21 2004-10-20 ヤマハ株式会社 作曲機能を備えた携帯電話機
KR100336465B1 (ko) * 2000-05-27 2002-05-15 이경호 휴대용 노래방기기
US6662231B1 (en) * 2000-06-30 2003-12-09 Sei Information Technology Method and system for subscriber-based audio service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2990A (ko) * 1995-02-10 1996-09-17 박성규 링음색 변경을 제어하는 키폰 전화기의 장치 및 방법
JPH10124046A (ja) * 1996-08-29 1998-05-15 Yamaha Corp 自動演奏データ変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H10271245A (ja) * 1997-03-26 1998-10-09 Yosuke Sugioka 情報通信システム、情報通信装置および情報通信方法
KR19990023612A (ko) * 1997-08-21 1999-03-25 이데이 노부유끼 무선정보 통신방법 및 장치
JPH11103332A (ja) * 1997-09-25 1999-04-13 Kokusai Electric Co Ltd 移動体通信端末
JPH11112615A (ja) * 1997-09-30 1999-04-23 Kokusai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
JPH11164058A (ja) * 1997-11-26 1999-06-18 Hitachi Electron Service Co Ltd 携帯型音楽選曲視聴システム
WO1999043136A1 (en) * 1998-02-18 1999-08-26 Ericsson, Inc. Cellular phone with expansion memory for audio and video storage
KR19990024210A (ko) * 1998-12-22 1999-03-25 김재한 휴대형 무선전화기에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고 재생하는 기능을 갖도록 하는 장치와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2958B1 (ko) 2008-05-27
US20030200859A1 (en) 2003-10-30
SG126779A1 (en) 2006-11-29
KR20010030034A (ko) 2001-04-16
KR20060090728A (ko) 2006-08-14
CN1268149C (zh) 2006-08-02
US7161081B2 (en) 2007-01-09
US6967276B2 (en) 2005-11-22
US20040007120A1 (en) 2004-01-15
US20030205125A1 (en) 2003-11-06
SG116472A1 (en) 2005-11-28
KR20060090727A (ko) 2006-08-14
TW495735B (en) 2002-07-21
US7514624B2 (en) 2009-04-07
HK1033801A1 (en) 2001-09-21
EP1073034A2 (en) 2001-01-31
EP1073034A3 (en) 2008-05-14
SG143970A1 (en) 2008-07-29
US7119268B2 (en) 2006-10-10
US6911592B1 (en) 2005-06-28
CN1283060A (zh) 2001-02-07
KR100804914B1 (ko) 2008-02-20
US20030224767A1 (en) 2003-12-04
SG99867A1 (en) 200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918B1 (ko) 발음제어장치, 그 제어방법 및 매체
US73652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voice in synchronism with music piece
EP1736961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reation of digitally enhanced ringtones for cellphones
WO2001061682A1 (fr) Telephone portatif equipe d&#39;une fonction de composition
JP2004170618A (ja) シーケンスデータのデータ交換フォーマット、音声再生装置及びサーバー装置
KR100503617B1 (ko) 악곡 재생장치, 악곡 재생방법, 그 방법이 기록된 기계판독 가능한 매체 및 전화 단말장치
JP3666366B2 (ja) 携帯用端末装置
TW529018B (en) Terminal apparatus, guide voice reproduc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2152329A (ja) 携帯端末装置
KR100731232B1 (ko) 악곡 데이터 편집 재생 장치 및 휴대 정보 단말기
JP3900330B2 (ja) 携帯用端末装置
JP3974069B2 (ja) 合唱曲や重唱曲を処理するカラオケ演奏方法およびカラオケシステム
JP3589122B2 (ja) 携帯用端末装置
JP3620467B2 (ja) 通信端末
JP3788280B2 (ja) 携帯通信端末
JP2004166290A (ja) 携帯用端末装置
JP3933147B2 (ja) 発音制御装置
KR100862126B1 (ko) 휴대 통신 단말
JP3795495B2 (ja) 音源装置
JP3675361B2 (ja) 通信端末
JP2007189705A (ja) 発音制御装置
JP3000441U (ja) 電子音楽再生装置
JP2000181467A (ja) カラオケ装置
JPH1115478A (ja) カラオケ装置
JP2009145382A (ja) 携帯端末機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